KR102098617B1 -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그리고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 광학 이방체, 및 위상차막 - Google Patents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그리고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 광학 이방체, 및 위상차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617B1
KR102098617B1 KR1020187008030A KR20187008030A KR102098617B1 KR 102098617 B1 KR102098617 B1 KR 102098617B1 KR 1020187008030 A KR1020187008030 A KR 1020187008030A KR 20187008030 A KR20187008030 A KR 20187008030A KR 102098617 B1 KR102098617 B1 KR 102098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oco
coo
formula
ch2ch2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4340A (ko
Inventor
마사히로 호리구치
미카 다카사키
야스히로 구와나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4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09K19/3804Polymers with mesogenic groups in the main chain
    • C09K19/3814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34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 C09K19/3491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having sulfur as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34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 C09K19/3491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having sulfur as hetero atom
    • C09K19/3497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having sulfur as hetero atom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sulfur and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2019/044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 C09K2019/0448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the end chain group being a polymerizable end group, e.g. -Sp-P or 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32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ring systems, i.e. fused, bridged or spiro ring systems
    • C09K19/322Compounds containing a naphthalene ring or a completely or partially hydrogenated naphthalene ring
    • C09K2019/323Compounds containing a naphthalene ring or a completely or partially hydrogenated naphthalene ring containing a binaphthy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34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 C09K19/3402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having oxygen as hetero atom
    • C09K19/3405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having oxygen as hetero atom the heterocyclic ring being a five-membered ring
    • C09K2019/3408Five-membered ring with oxygen(s) in fused, bridged or spiro ring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중합성 조성물에 첨가하여 필름상의 중합물을 제작했을 경우에 시싱이 발생하기 어렵고, 얻어진 필름상의 중합물에 대하여 자외광을 조사했을 경우에, 배향 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운 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당해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 및 당해 중합체를 사용한 광학 이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메소겐기를 갖는 역파장분산성 또는 저파장분산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하기의 식(식 1)
0.5≤YI/Δn≤500 (식 1)
(식 중, YI는 화합물의 황색도를 나타내고, Δn은 필름으로 한 경우의 파장 550㎚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방성을 나타낸다)을 충족시키는 혼합물.

Description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그리고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 광학 이방체, 및 위상차막
본 발명은, YI/Δn의 값이 특정의 범위를 나타내는 혼합물, 그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 당해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광학 이방체 및 당해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막에 관한 것이고, 아울러서 당해 광학 이방체를 갖는 표시 장치, 광학 소자, 발광 장치, 인쇄물, 광정보 기록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은 각종 광학 재료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액정 상태에서 배열시킨 후, 중합시킴에 의해, 균일한 배향을 갖는 중합체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특허문헌 1). 이와 같은 중합체는,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편광판, 위상차판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요구되는 광학 특성, 중합 속도, 용해성, 융점, 유리 전이 온도, 중합체의 투명성, 기계적 강도, 표면 경도, 내열성 및 내광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2종류 이상의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이 사용된다. 그때, 사용하는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에는, 다른 특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중합성 조성물에 양호한 물성을 초래하는 것이 요구된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위상차 필름의 복굴절률의 파장분산성을 작게, 혹은 반대로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것을 위한 재료로서, 역파장분산성 또는 저파장분산성을 갖는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이 각종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그들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은, 중합성 조성물에 첨가하고, 기재에 도포하고 중합시켰을 경우에, 시싱(cissing)이 발생하기 쉬운 결점이나, 얻어진 필름상의 중합물에 대하여 자외광을 조사했을 경우에, 배향 결함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시싱이나 배향 결함이 발생한 필름을,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사용했을 경우, 화면의 밝기에 불균일이 발생하거나, 색감이 부자연하게 되는 경우나, 목적의 광학 특성이 얻어지지 않아, 디스플레이 제품의 품질을 크게 저하시켜 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파장분산성 또는 저파장분산성을 갖는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일본 특개2006-39164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중합성 조성물에 첨가하여 필름상의 중합물을 제작했을 경우에 시싱이 발생하기 어렵고, 얻어진 필름상의 중합물에 대하여 자외광을 조사했을 경우에, 배향 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운 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당해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 및 당해 중합체를 사용한 광학 이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메소겐기를 갖는 역파장분산성 또는 저파장분산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하기의 식(식 1)
0.5≤YI/Δn≤500 (식 1)
(식 중, YI는 화합물의 황색도를 나타내고, Δn은 필름으로 한 경우의 파장 550㎚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방성을 나타낸다)을 충족시키는 혼합물을 제공하고, 아울러서 당해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중합체, 광학 이방체 및 위상차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조성물을 구성해서 광학 이방체를 제작하는 경우에 시싱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광학 이방체는, 자외광을 조사했을 경우에 배향 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위상차막 등의 광학 재료의 용도에 유용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혼합물」이란, 적어도 하나의 메소겐기를 갖는 역파장분산성 또는 저파장분산성 화합물(이후에 있어서,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로 기재한다)과,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을 제조할 때에 불가피하게 혼입하는 불순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불순물이란, 혼합물 중의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 이외의 성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은, 정제 공정을 거쳐 제조되고 있지만, 정제 공정을 거쳤다고 해도 불순물을 완전하게 제로로 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실제로는, 정제의 정도 등에 따라 불순물을 적지 않게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불순물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 자체와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하여, 「혼합물」로 한다.
당해 혼합물은 불순물을 함유하지만, 당해 혼합물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함유량은 70.0질량% 이상이고, 80.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0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이란, 상기 혼합물을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메소겐기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 안정제, 유기 용제, 중합금지제, 산화방지제, 광중합개시제, 열중합개시제, 및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물이, 단일의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임에 대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종의 혼합물 및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물을 함유하는 것이거나, 2종 이상의 혼합물 및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인 점에서 구별된다. 또, 이하에 있어서,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성 액정 조성물로 하는 경우가 있지만, 당해 「액정」이란, 중합성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 인쇄, 적하, 혹은 셀에 주입 등을 행했을 때에 액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고, 조성물로서 반드시 액정성을 나타내지 않아도 된다.
혼합물은, 정제 공정에 의해서 불순물이 제거되지만, 정제 공정을 거침으로써 수율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 원인으로서, 정제 공정을 거침으로써 혼합물 중의 불순물과 함께 화합물이 제거되어 버리는 것이나, 화합물이 정제제에 흡착되어 버리는 것을 일인으로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정제 공정에 있어서, 불순물 중에 화합물이 많이 도입되어 버리는 경우나, 혼합물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할 경우, 혼합물 중에 미량으로 포함되는 불순물의 폴리머 성분끼리가 집합해 버려서, 여과가 번잡하게 된다는 원인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물의 황색도(YI)를 측정하면, 보다 정제된 혼합물일수록, 황색도의 값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대하여 착목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혼합물의 황색도(YI) 및 화합물의 굴절률이방성(Δn)의 값은, 수율과 관련성이 있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혼합물의 황색도(YI) 및 화합물의 굴절률이방성(Δn)의 값에 대하여 더 검토하여, 당해 값은 당해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한 경우의 시싱의 발생이나, 당해 조성물을 사용해서 광학 이방체로 하고, 자외광을 조사한 경우의 배향 결함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의 혼합물은, 0.5≤YI/Δn≤500 (식 1)
(식 중, YI는 혼합물의 황색도를 나타내고, Δn은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의 굴절률이방성을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식을 충족시키는 혼합물이다.
상기 (식 1)을 충족시키는 것이면, 정제의 정도가 적당한 범위이기 때문에,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1)을 충족시키는 것이면, 시싱이 적고, 자외광을 조사했을 경우에 배향 결함이 적은 광학 이방체를 얻을 수 있다. 시싱의 원인으로서, 조성물 중의 폴리머 성분량이나, 화합물의 분자 구조 등이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들 수 있지만, 상기 범위 내의 혼합물은, 적당한 정도의 폴리머 성분 및 화합물의 강직성을 갖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배향성에 영향을 끼치는 원인으로서, 화합물이 일부 중합해서 생긴, 화합물과 마찬가지의 메소겐 골격을 갖는 폴리머의 기능을 들 수 있지만, 상기 범위 내의 혼합물은, 폴리머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하여 있고, 또한, 메소겐 골격의 구조로서 강직성이 너무 높지 않으며, 또한, 폴리머 성분 중의 메소겐 부위와 화합물의 메소겐 부위의 분자 간 상호 작용이 기능하므로, 폴리머 성분에 의한 배향 효과가 효과적으로 얻어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수율을 얻는 관점에서는, 혼합물의 YI/Δn의 값은, 0.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4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시싱 및 배향성에 대하여 양호한 것을 얻는 관점에서는, 혼합물의 YI/Δn의 값은, 4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혼합물의 황색도(YI)는, 본 발명의 혼합물을 20ppm의 비율로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측정 대상물로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해서 측정한다. 또, 용액은 혼합물의 충분한 용해성이 얻어지는 것이면, 아세토니트릴 이외의 용액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퓨란, 시클로펜탄온, 클로로포름 등을 들 수 있다. 얻어진 측정값을, 측정 대상물인 재료 용액 농도가 20ppm, 광로 길이가 1㎝인 셀을 사용해서 측정함에 의해, 혼합물의 황색도(YI)를 산출할 수 있다.
화합물의 굴절률이방성은, 이하와 같이 측정한다. 하기의 식(a)으로 표시되는 화합물(25질량%), 식(b)으로 표시되는 화합물(25질량%), 식(c)으로 표시되는 화합물(25질량%), 식(d)으로 표시되는 화합물(25질량%)
Figure 112018028165959-pct00001
로 이루어지는 모체 액정에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10질량%, 20질량% 또는 30질량%)을 혼합하여 액정 조성물로 한다. 폴리이미드 배향막 부착 유리 기판을 사용하고, 폴리이미드 배향막의 러빙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두 유리 기판을 조합하여, 유리 셀을 작성한다. 그 유리 셀에, 상기 액정 조성물을 주입한 후에, 자외선(조도 800mJ/㎠)을 조사해서 경화시킨 후, 유리 셀로부터 필름을 벗겨낸다. 그 후, 압베 굴절률계로, 필름의 ne, no를 측정하고,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이 100질량%로 되도록 외삽(外揷)한 굴절률이방성(Δn)을 산출한다.
그리고, 혼합물의 황색도(YI)를,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의 굴절률이방성으로 나눔에 의해, YI/Δn의 값을 얻는다.
(역파장분산성 또는 저파장분산성 화합물)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메소겐기를 갖는 액정성 화합물은, 상기 화합물의 복굴절성이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단파장측보다 장파장측에서 큰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식 2)
Re(450㎚)/Re(550㎚)<1.05 (식 2)
(식 중, Re(45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메소겐기를 갖는 액정성 화합물을 기판 상에 분자의 장축 방향이 실질적으로 기판에 대해서 수평으로 배향시켰을 때의 450㎚의 파장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상기 하나의 메소겐기를 갖는 액정성 화합물을 기판 상에 분자의 장축 방향이 실질적으로 기판에 대해서 수평으로 배향시켰을 때의 550㎚의 파장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를 나타낸다)
를 충족시키고 있으면 되고, 자외선 영역이나 적외선 영역에서는 복굴절성이 단파장측보다 장파장측에서 클 필요는 없다. 상기, 하나의 메소겐기를 가지며, 또한, (식 2)를 충족시키는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에 있어서, (식 2)는, 역파장분산성을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1.05 미만이 바람직하고, 1.00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0.95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0.90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에 대한 입사광의 파장 λ를 횡축에 취하고 그 복굴절률 Δn을 종축에 플롯한 그래프에 있어서, 파장 λ가 짧아질수록 복굴절률 Δn이 커질 경우, 그 필름은 「정분산성」이고, 파장 λ가 짧아질수록 복굴절률 Δn이 작아질 경우, 그 필름은 「역파장분산성」 또는 「역분산성」으로 당업자 간에 일반적으로 불리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장 450㎚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Re(450))를 파장 550㎚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 Re(550)로 나눈 값 Re(450)/Re(550)가 0.95 이하인 위상차 필름을 구성하는 화합물을 역분산성 화합물로 한다. 또한, Re(450)/Re(550)가 0.95보다 크고 1.05 이하인 위상차 필름을 구성하는 화합물을 저파장분산성 화합물로 한다. 위상차의 측정 방법은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
적어도 하나의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본 기술분야에서, 복수의 화합물을 혼합해서 조성물로 했을 경우에 액정상을 나타내는 것이면, 분자 내에 중합성 관능기를 하나 또는 둘 이상 갖는 화합물이거나, 분자 내에 중합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이어도, 특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 중합성 액정 화합물 단독에서는, 액정성을 나타내지 않아도 된다. 여기에서, 메소겐기란, 2개 이상의 환 구조와 이들 환 구조를 연결하는 연결기 또는 단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환 구조와 환 구조를 최단 경로로 연결하는 결합수를 갖는 원자의 수가 2 이하인 연결기 또는 단결합에 의해, 2개 이상의 환 구조가 연결된 부분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메소겐기를 갖는 역파장분산성 또는 저파장분산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10-31223호 공보, 일본 특개2009-173893호 공보, 일본 특개2010-30979호 공보, 일본 특개2009-227667호 공보, 일본 특개2009-274984호 공보, 일본 특개2011-207765호 공보, 일본 특개2011-42606호 공보, 일본 특개2011-246381호 공보, 일본 특개2012-77055호 공보, 일본 특개2011-6360호 공보, 일본 특개2011-6361호 공보, 일본 특개2008-107767호 공보, 일본 특개2008-273925호 공보, 일본 특개2009-179563호 공보, 일본 특개2010-84032호 공보, WO2012/141245A1호 공보, WO2012/147904A1호 공보, WO2013/180217A1호 공보, WO2014/010325A1호 공보, WO2014/065176A1호 공보, WO2012/169424A1호 공보, WO2012/176679A1호 공보, WO2014/061709A1호 공보, 일본 특표2010-522892호 공보, 일본 특표2013-509458호 공보 등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소겐기를 갖는 역파장분산성 또는 저파장분산성 화합물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식(I)
Figure 112018028165959-pct00002
(식 중, R1 및 R2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기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임의의 탄소 원자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A1 및 A2는 각각 독립해서 1,4-페닐렌기, 1,4-시클로헥실렌기, 피리딘-2,5-디일기, 피리미딘-2,5-디일기, 나프탈렌-2,6-디일기, 나프탈렌-1,4-디일기,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6-디일기, 데카히드로나프탈렌-2,6-디일기 또는 1,3-디옥산-2,5-디일기를 나타내지만, 이들 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고,
L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노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트리메틸실릴기, 디메틸실릴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L은 PL-(SpL-XL)kL-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도 되고, 여기에서 PL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중합성기는 하기 P0의 경우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SpL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바람직한 스페이서기는 하기 Sp0의 경우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SpL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L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L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L-(SpL-XL)kL-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L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화합물 내에 L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Z1 및 Z2는 각각 독립해서 -O-, -S-, -OCH₂-, -CH₂O-, -CH₂CH₂-,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OCO-NH-, -NH-COO-, -NH-CO-NH-, -NH-O-, -O-NH-,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 -N=CH-,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으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내지만, Z1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Z2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지만,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각각 독립해서, 존재하는 Z1 및 Z2 중 적어도 하나는 -O-, -S-, -OCH₂-, -CH₂O-, -CH₂CH₂-,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NH-O-, -O-NH-,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 -N=N-, -CH=N-, -N=CH-, -CF=CF-, -C≡C- 또는 단결합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고,
G1는 방향족 탄화수소환 또는 방향족 복소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환을 갖는 2가의 기를 나타내지만, G1로 나타나는 기 중의 방향환에 포함되는 π 전자의 수는 12 이상이고, G1로 나타나는 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LG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고,
LG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노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트리메틸실릴기, 디메틸실릴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LG은 PLG-(SpLG-XLG)kLG-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도 되고, 여기에서 PLG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중합성기는 상기 P0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SpLG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바람직한 스페이서기는 상기 Sp0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SpLG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LG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LG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LG-(SpLG-XLG)kLG-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LG는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화합물 내에 LG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m1 및 m2는 각각 독립해서 0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m1+m2는 0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으로 한 경우의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소겐기를 갖는 역파장분산성 또는 저파장분산성 화합물에 있어서,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정성의 관점에서,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하기 일반식(I-0-R)
Figure 112018028165959-pct00003
(식 중, P0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Sp0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Sp0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0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0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0-(Sp0-X0)k0-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0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I-0-R)에 있어서, P0는 중합성기를 나타내지만, 하기의 식(P-1) 내지 식(P-20)
Figure 112018028165959-pct00004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합성기는 라디칼 중합, 라디칼 부가 중합, 양이온 중합 및 음이온 중합에 의해 중합한다. 특히 중합 방법으로서 자외선 중합을 행하는 경우에는, 식(P-1), 식(P-2), 식(P-3), 식(P-4), 식(P-5), 식(P-7), 식(P-11), 식(P-13), 식(P-15) 또는 식(P-18)이 바람직하고, 식(P-1), 식(P-2), 식(P-3), 식(P-7), 식(P-11) 또는 식(P-13)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P-1), 식(P-2) 또는 식(P-3)이 더 바람직하고, 식(P-1) 또는 식(P-2)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I-0-R)에 있어서, Sp0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Sp0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된다. 또한, 당해 스페이서기는 무치환이어도 되고, 하나 이상의 치환기 LSP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스페이서기로서는, 치환기 LSP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또는 -C≡C-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Sp0는 원료의 입수 용이함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각각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각각 독립해서, 치환기 LSP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COO-, -OCO-, -OCO-O-, -CO-NH-, -NH-CO-, -CH=CH- 또는 -C≡C-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메틸기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COO-, -OCO-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각각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각각 독립해서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I-0-R)에 있어서, LSP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노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트리메틸실릴기, 디메틸실릴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LSP은 PLSP-(SpLSP-XLSP)kLSP-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도 되고, 여기에서 PLSP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중합성기는 상기 P0의 경우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SpLSP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바람직한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은 상기 Sp0의 경우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SpLSP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LSP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LSP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LSP-(SpLSP-XLSP)kLSP-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LSP는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화합물 내에 LSP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된다. 원료의 입수 용이함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LSP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H=CH-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LSP은 PLSP-(SpLSP-XLSP)kLSP-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LSP은 불소 원자,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COO- 또는 -OCO-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LSP은 불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LSP은 메틸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I-0-R)에 있어서, X0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0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된다. 원료의 입수 용이함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X0는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각각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각각 독립해서 -O-, -S-, -OCH₂-, -CH₂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O-, -OCH₂-, -CH₂O-, -COO-, -OCO-,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각각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각각 독립해서 -O-, -COO-, -OCO-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I-0-R)에 있어서, k0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0 내지 2의 정수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을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액정성,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일반식(I)에 있어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식(I-0-R)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으로 한 경우의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R1 및 R2이 각각 독립해서 식(I-0-R)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1 및 R2이 식(I-0-R)으로 표시되는 동일한 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I)에 있어서, R1 및 R2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임의의 탄소 원자가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1 또는 R2이 식(I-0-R)으로 표시되는 기 이외의 기를 나타낼 경우, 액정성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R1 또는 R2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이소시아노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혹은,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COO-, -OCO-, -O-CO-O-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혹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 알킬기 또는 직쇄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 알킬기 또는 직쇄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I)에 있어서, A1 및 A2는 각각 독립해서 1,4-페닐렌기, 1,4-시클로헥실렌기, 피리딘-2,5-디일기, 피리미딘-2,5-디일기, 나프탈렌-2,6-디일기, 나프탈렌-1,4-디일기,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6-디일기, 데카히드로나프탈렌-2,6-디일기 또는 1,3-디옥산-2,5-디일기를 나타내지만, 이들 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된다. A1 및 A2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각각 독립해서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L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1,4-페닐렌기, 1,4-시클로헥실렌기, 나프탈렌-2,6-디일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하기의 식(A-1) 내지 식(A-11)
Figure 112018028165959-pct00005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식(A-1) 내지 식(A-8)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식(A-1) 내지 식(A-4)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역분산성의 관점에서, G1로 나타나는 기에 인접하는 Z1로 나타나는 기에 결합하는 A1로 나타나는 기 및 G1로 나타나는 기에 인접하는 Z2로 나타나는 기에 결합하는 A2로 나타나는 기로서는, 각각 독립해서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L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A-2)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A1 및 A2로 나타나는 기가 복수 존재할 경우, 굴절률이방성, 합성의 용이함, 용매에의 용해성의 관점에서, 상기 A1 및 A2 이외의 A1 및 A2로 나타나는 기로서는, 각각 독립해서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L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나프탈렌-2,6-디일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상기한 식(A-1), 식(A-3) 내지 식(A-11)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식(A-1), 식(A-3) 내지 식(A-8)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식(A-1), 식(A-3), 식(A-4)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I)에 있어서, L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노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트리메틸실릴기, 디메틸실릴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L은 PL-(SpL-XL)kL-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도 되고, 여기에서 PL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중합성기는 하기 P0의 경우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SpL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바람직한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은 상기 Sp0의 경우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SpL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L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L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L-(SpL-XL)kL-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L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화합물 내에 L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된다. 액정성,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L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또는,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는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O-CO-O-, -CH=CH-, -CF=CF- 또는 -C≡C-에서 선택되는 기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는 각각 독립해서 -O-, -COO- 또는 -OCO-에서 선택되는 기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 혹은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직쇄 알킬기 혹은 직쇄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I)에 있어서, Z1 및 Z2는 각각 독립해서 -O-, -S-, -OCH₂-, -CH₂O-, -CH₂CH₂-,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OCO-NH-, -NH-COO-, -NH-CO-NH-, -NH-O-, -O-NH-,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 -N=CH-,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으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내지만, Z1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Z2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지만,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각각 독립해서, 존재하는 Z1 및 Z2 중 적어도 하나는 -O-, -S-, -OCH₂-, -CH₂O-, -CH₂CH₂-,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NH-O-, -O-NH-,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 -N=N-, -CH=N-, -N=CH-, -CF=CF-, -C≡C- 또는 단결합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액정성, 원료의 입수 용이함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Z1 및 Z2는 -OCH₂-, -CH₂O-, -COO-, -OCO-, -CF₂O-, -OCF₂-, -CH₂CH₂-, -CF₂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H=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OCH₂-, -CH₂O-, -COO-, -OCO-, -CF₂O-, -OCF₂-, -CH₂CH₂-,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H=CH-,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OCH₂-, -CH₂O-, -COO-, -OCO-, -CF₂O-, -OCF₂-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OCH₂-, -CH₂O-, -COO-, -OCO-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I)에 있어서, m1 및 m2는 각각 독립해서 0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m1+m2는 0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낸다. 용매에의 용해성, 액정성의 관점에서, m1 및 m2는 각각 독립해서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1 또는 2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m1 및 m2는 동일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I)에 있어서, G1는 방향족 탄화수소환 또는 방향족 복소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환을 갖는 2가의 기를 나타내지만, G1로 나타나는 기 중의 방향환에 포함되는 π 전자의 수는 12 이상이고, G1로 나타나는 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LG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된다. 역파장분산성의 관점에서, G1는 300㎚ 내지 900㎚에 흡수 극대를 갖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310㎚ 내지 500㎚에 흡수 극대를 갖는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합물의 액정성, 원료의 입수 용이함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G1는 하기의 식(M-1) 내지 식(M-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06
(식 중, 이들 기는 무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G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고, 임의의 -CH=는 각각 독립해서 -N=으로 치환되어도 되고, -CH₂-는 각각 독립해서 -O-, -S-, -NRT-(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CS- 또는 -CO-로 치환되어도 되고, T1는 하기의 식(T1-1) 내지 식(T1-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07
(식 중,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가져도 되고, 임의의 -CH=는 각각 독립해서 -N=으로 치환되어도 되고, -CH₂-는 각각 독립해서 -O-, -S-, -NRT-(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CS- 또는 -CO-로 치환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가져도 된다는 것은, 예를 들면, 식(M-1) 내지 식(M-6)의 T1에 식(T1-1)이 결합할 경우, 식(T1-1)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하나 갖는 것을 의도한다(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가져도 된다는 것은 마찬가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 기는 무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G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 또는 하기의 식(M-7) 내지 식(M-1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08
(식 중, 이들 기는 무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G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고, 임의의 -CH=는 각각 독립해서 -N=으로 치환되어도 되고, -CH₂-는 각각 독립해서 -O-, -S-, -NRT-(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CS- 또는 -CO-로 치환되어도 되고, T2는 하기의 식(T2-1) 또는 식(T2-2)
Figure 112018028165959-pct00009
(식 중, W1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0의 방향족기 및/또는 비방향족기를 포함하는 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방향족기는 탄화수소환 또는 복소환이어도 되고, 당해 비방향족기는 탄화수소기 또는 탄화수소기의 임의의 탄소 원자가 헤테로 원자로 치환된 기여도 되고(단, 산소 원자끼리가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없다),
W2는 수소 원자,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W2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30의 기를 나타내도 되지만, 당해 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W2는 PW-(SpW-XW)kW-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도 되고, 여기에서 PW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중합성기는 상기 P0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SpW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바람직한 스페이서기는 상기 Sp0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SpW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W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W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W-(SpW-XW)kW-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W는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LW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노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트리메틸실릴기, 디메틸실릴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LW은 PLW-(SpLW-XLW)kLW-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도 되고, 여기에서 PLW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SpLW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SpLW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LW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LW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LW-(SpLW-XLW)kLW-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LW는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화합물 내에 LW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Y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노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트리메틸실릴기, 디메틸실릴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Y는 PY-(SpY-XY)kY-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도 되고, PY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중합성기는 상기 P0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SpY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바람직한 스페이서기는 상기 Sp0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SpY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Y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Y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Y-(SpY-XY)kY-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Y는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W1 및 W2는 일체로 되어 환 구조를 형성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매에의 용해성,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G1는 상기한 식(M-1), 식(M-3), 식(M-4), 식(M-7), 식(M-8)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식(M-1), 식(M-7), 식(M-8)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식(M-7), 식(M-8)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M-1)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하기의 식(M-1-1) 내지 식(M-1-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10
식 중, T1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미를 나타내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M-1-4) 또는 식(M-1-5)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M-1-5)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M-3)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하기의 식(M-3-1) 내지 식(M-3-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11
(식 중, T1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미를 나타내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M-3-4) 또는 식(M-3-5)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M-3-5)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M-4)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하기의 식(M-4-1) 내지 식(M-4-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12
(식 중, T1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미를 나타내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M-4-4) 또는 식(M-4-5)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M-4-5)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M-7) 내지 식(M-14)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하기의 식(M-7-1) 내지 식(M-14-1)
Figure 112018028165959-pct00013
(식 중, T2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미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M-7-1) 내지 식(M-12-1)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M-7-1) 또는 식(M-8-1)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식(M-1) 내지 식(M-6)에 있어서, 파장분산성,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T1는 식(T1-1), 식(T1-2), 식(T1-3), 식(T1-6)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T1-3), 식(T1-5)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T1-3)을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T1-1)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하기의 식(T1-1-1) 내지 식(T1-1-7)
Figure 112018028165959-pct00014
(식 중,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가져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 기는 무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G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T1-1-2), 식(T1-1-4), 식(T1-1-5), 식(T1-1-6), 식(T1-1-7)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T1-2)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하기의 식(T1-2-1) 내지 식(T1-2-8)
Figure 112018028165959-pct00015
(식 중,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가져도 된다. 또한, 이들 기는 무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G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T1-2-1)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T1-3)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하기의 식(T1-3-1) 내지 식(T1-3-8)
Figure 112018028165959-pct00016
(식 중,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가져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 기는 무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G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T1-3-2), 식(T1-3-3), 식(T1-3-6), 식(T1-3-7)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T1-4)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하기의 식(T1-4-1) 내지 식(T1-4-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17
(식 중,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가져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 기는 무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G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T1-5)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하기의 식(T1-5-1) 내지 식(T1-5-9)
Figure 112018028165959-pct00018
(식 중,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가져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 기는 무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G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T1-6)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하기의 식(T1-6-1) 내지 식(T1-6-7)
Figure 112018028165959-pct00019
(식 중,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가져도 된다. 또한, 이들 기는 무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G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I)에 있어서, LG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노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트리메틸실릴기, 디메틸실릴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LG은 PLG-(SpLG-XLG)kLG-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도 되고, 여기에서 PLG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중합성기는 상기 P0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SpLG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바람직한 스페이서기는 상기 Sp0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SpLG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LG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LG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LG-(SpLG-XLG)kLG-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LG는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화합물 내에 LG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된다. 액정성,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LG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노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는 각각 독립해서 -O-, -S-, -COO- 또는 -OCO-에서 선택되는 기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는 각각 독립해서 -O- 또는 -S-에서 선택되는 기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티오이소시아노기,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직쇄상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직쇄상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직쇄상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직쇄상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식(T2-1) 또는 식(T2-2)에 있어서, 액정성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Y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 혹은 PY-(SpY-XY)kY-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Y는 수소 원자 또는 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COO-, -OCO-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Y는 수소 원자 또는 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Y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식(T2-1) 또는 식(T2-2)에 있어서, 액정성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W1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0의 방향족 및/또는 비방향족의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포함하는 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탄소환 또는 복소환의 임의의 탄소 원자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W1에 포함되는 방향족기는 원료의 입수 용이함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1) 내지 식(W-18)
Figure 112018028165959-pct00020
(식 중, 환 구조에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가져도 되고, 이들 기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방향족기를 단결합으로 연결한 기를 형성해도 되고, 임의의 -CH=는 각각 독립해서 -N=으로 치환되어도 되고, -CH₂-는 각각 독립해서 -O-, -S-, -NRT-(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CS- 또는 -CO-로 치환되어도 되지만,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 기는 무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식(W-1)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1-1) 내지 식(W-1-7)
Figure 112018028165959-pct00021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2)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2-1) 내지 식(W-2-8)
Figure 112018028165959-pct00022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3)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3-1) 내지 식(W-3-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23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4)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4-1) 내지 식(W-4-9)
Figure 112018028165959-pct00024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5)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5-1) 내지 식(W-5-1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25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6)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6-1) 내지 식(W-6-12)
Figure 112018028165959-pct00026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7)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7-1) 내지 식(W-7-8)
Figure 112018028165959-pct00027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8)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8-1) 내지 식(W-8-19)
Figure 112018028165959-pct00028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9)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9-1) 내지 식(W-9-7)
Figure 112018028165959-pct00029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10)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10-1) 내지 식(W-10-1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30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11)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11-1) 내지 식(W-11-10)
Figure 112018028165959-pct00031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12)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12-1) 내지 식(W-12-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32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13)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13-1) 내지 식(W-13-10)
Figure 112018028165959-pct00033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17)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17-1) 내지 식(W-17-1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34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18)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18-1) 내지 식(W-18-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35
(식 중, 이들 기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수를 갖고 있어도 되고,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W1에 포함되는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포함하는 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식(W-1-1), 식(W-1-2), 식(W-1-3), 식(W-1-4), 식(W-1-5), 식(W-1-6), 식(W-2-1), 식(W-6-9), 식(W-6-11), 식(W-6-12), 식(W-7-2), 식(W-7-3), 식(W-7-4), 식(W-7-6), 식(W-7-7), 식(W-7-8), 식(W-9-1), 식(W-12-1), 식(W-12-2), 식(W-12-3), 식(W-12-4), 식(W-13-7), 식(W-13-9), 식(W-13-10), 식(W-14), 식(W-18-1), 식(W-18-4)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식(W-2-1), 식(W-7-3), 식(W-7-7), 식(W-14)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식(W-7-3), 식(W-7-7), 식(W-14)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식(W-7-7)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하기의 식(W-7-7-1)
Figure 112018028165959-pct00036
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식(T-1) 또는 식(T-2)에 있어서, 원료의 입수 용이함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W2는 수소 원자, 또는, 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CO-, -COO-, -OCO-, -O-CO-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 혹은, PW-(SpW-XW)kW-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W2는 수소 원자, 또는, 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CO-, -COO-, -OCO-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 혹은, PW-(SpW-XW)kW-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W2는 수소 원자,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상 알킬기, 혹은, PW-(SpW-XW)kW-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W2가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30의 기를 나타낼 경우, W2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상기한 식(W-1) 내지 식(W-18)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보다 바람직한 구조로서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W2가 PW-(SpW-XW)kW-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낼 경우, PW, SpW, XW, kW로 나타나는 기의 바람직한 구조는, P0, Sp0, X0, k0으로 나타나는 기의 바람직한 구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W1 및 W2는 일체로 되어 환 구조를 형성해도 되지만, 그 경우, -NW1W2로 표시되는 환상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19) 내지 식(W-40)
Figure 112018028165959-pct00037
(식 중, 임의의 -CH=는 각각 독립해서 -N=으로 치환되어도 되고, -CH₂-는 각각 독립해서 -O-, -S-, -NRT-(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CS- 또는 -CO-로 치환되어도 되지만,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 기는 무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식(W-19)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19-1) 내지 식(W-19-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38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20)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20-1) 내지 식(W-20-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39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21)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21-1) 내지 식(W-21-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40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22)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22-1) 내지 식(W-22-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41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23)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23-1) 내지 식(W-23-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42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24)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24-1) 내지 식(W-24-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43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25)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25-1) 내지 식(W-25-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44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26)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26-1) 내지 식(W-26-7)
Figure 112018028165959-pct00045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27)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27-1) 내지 식(W-27-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46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28)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28-1) 내지 식(W-28-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47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29)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29-1) 내지 식(W-29-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48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30)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30-1) 내지 식(W-30-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49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31)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31-1) 내지 식(W-31-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50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32)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32-1) 내지 식(W-32-5)
Figure 112018028165959-pct00051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33)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33-1) 내지 식(W-33-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52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34)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34-1) 내지 식(W-34-5)
Figure 112018028165959-pct00053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35)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35-1)
Figure 112018028165959-pct00054
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36)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36-1) 내지 식(W-36-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55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37)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37-1) 내지 식(W-37-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56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38)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38-1) 내지 식(W-38-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57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39)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39-1) 내지 식(W-39-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58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40)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40-1)
Figure 112018028165959-pct00059
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의 입수 용이함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NW1W2로 표시되는 환상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식(W-19-1), 식(W-21-2), 식(W-21-3), 식(W-21-4), 식(W-23-2), 식(W-23-3), 식(W-25-1), 식(W-25-2), 식(W-25-3), 식(W-30-2), 식(W-30-3), 식(W-35-1), 식(W-36-2), 식(W-36-3), 식(W-36-4), 식(W-40-1)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W1 및 W2는 일체로 되어 환 구조를 형성해도 되지만, 그 경우, =CW1W2로 표시되는 환상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41) 내지 식(W-62)
Figure 112018028165959-pct00060
(식 중, 임의의 -CH=는 각각 독립해서 -N=으로 치환되어도 되고, -CH₂-는 각각 독립해서 -O-, -S-, -NRT-(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CS- 또는 -CO-로 치환되어도 되지만,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 기는 무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식(W-41)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41-1) 내지 식(W-41-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61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42)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42-1) 내지 식(W-42-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62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43)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43-1) 내지 식(W-43-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63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44)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44-1) 내지 식(W-44-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64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45)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45-1) 내지 식(W-45-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65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46)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46-1) 내지 식(W-46-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66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47)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47-1) 내지 식(W-47-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67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48)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48-1) 내지 식(W-48-7)
Figure 112018028165959-pct00068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49)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49-1) 내지 식(W-49-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69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50)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50-1) 내지 식(W-50-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70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51)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51-1) 내지 식(W-51-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71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52)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52-1) 내지 식(W-52-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72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53)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53-1) 내지 식(W-53-8)
Figure 112018028165959-pct00073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54)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54-1) 내지 식(W-54-5)
Figure 112018028165959-pct00074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55)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55-1) 내지 식(W-55-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75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56)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56-1) 내지 식(W-56-5)
Figure 112018028165959-pct00076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57)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57-1)
Figure 112018028165959-pct00077
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58)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58-1) 내지 식(W-58-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78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59)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59-1) 내지 식(W-59-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79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60)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60-1) 내지 식(W-60-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80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61)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61-1) 내지 식(W-61-4)
Figure 112018028165959-pct00081
(식 중, RT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W-62)으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하기의 식(W-62-1)
Figure 112018028165959-pct00082
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의 입수 용이함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CW1W2로 표시되는 환상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식(W-42-2), 식(W-42-3), 식(W-43-2), 식(W-43-3), 식(W-45-3), 식(W-45-4), 식(W-57-1), 식(W-58-2), 식(W-58-3), 식(W-58-4), 식(W-62-1)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식(W-57-1), 식(W-62-1)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W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식(W-57-1)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W1 및 W2에 포함되는 π 전자의 총수는, 파장 분산 특성, 보존안정성, 액정성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4 내지 24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성,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LW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또는,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는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O-CO-O-, -CH=CH-, -CF=CF- 또는 -C≡C-에서 선택되는 기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는 각각 독립해서 -O-, -COO- 또는 -OCO-에서 선택되는 기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 혹은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직쇄 알킬기 혹은 직쇄 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I)에 있어서, G1는 하기의 식(G-1) 내지 식(G-22)
Figure 112018028165959-pct0008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84
(식 중, LG, LW, Y, W2는 상술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고, r은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s는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t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u는 0 내지 2의 정수를 나타내고, v는 0 또는 1을 나타낸다. 또한, 이들 기는, 좌우가 반전하여 있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식(G-1) 내지 식(G-10)에 있어서, 식(G-1), 식(G-3), 식(G-5), 식(G-6), 식(G-7), 식(G-8), 식(G-10)에서 선택되는 기가 더 바람직하고, u가 0인 경우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하기의 식(G-1-1) 내지 식(G-10-1)
Figure 112018028165959-pct00085
(식 중, 이들 기는 좌우가 반전하여 있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식(G-11) 내지 식(G-22)에 있어서,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s, t, u, v가 0을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하기의 식(G-11-1) 내지 식(G-20-1)
Figure 112018028165959-pct0008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87
(식 중, 이들 기는 좌우가 반전하여 있어도 된다)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역분산성 및 액정성의 관점에서 하기의 일반식(IA)
Figure 112018028165959-pct00088
(식 중, R1, R2 및 G1는 일반식(I)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고, A11, A12, A21 및 A22는 일반식(I)에 있어서의 A1 및 A2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고, Z11 및 Z12는 일반식(I)에 있어서의 Z1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고, Z21 및 Z22는 일반식(I)에 있어서의 Z2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지만, Z11, Z12, Z21 및 Z22 중 적어도 하나는 -O-, -S-, -OCH₂-, -CH₂O-, -CH₂CH₂-,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NH-O-, -O-NH-,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 -N=N-, -CH=N-, -N=CH-, -CF=CF-, -C≡C- 또는 단결합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기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일반식(I)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식(IA)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역분산성 및 액정성의 관점에서 A11, A12, A21 및 A22는, 각각 독립해서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L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1,4-페닐렌기, 1,4-시클로헥실렌기, 나프탈렌-2,6-디일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하기의 식(A-1) 내지 식(A-11)
Figure 112018028165959-pct00089
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식(A-1) 내지 식(A-8)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식(A-1) 내지 식(A-4)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역분산성의 관점에서, A12 및 A21는 각각 독립해서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L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식(A-2)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굴절률이방성, 합성의 용이함, 용매에의 용해성의 관점에서, A11 및 A22는 각각 독립해서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L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나프탈렌-2,6-디일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상기한 식(A-1), 식(A-3) 내지 식(A-11)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식(A-1), 식(A-3) 내지 식(A-8)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식(A-1), 식(A-3), 식(A-4)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식(A-1)으로 표시되는 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IA)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액정성, 원료의 입수 용이함 및 합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Z11, Z12, Z21 및 Z22는 -OCH₂-, -CH₂O-, -COO-, -OCO-, -CF₂O-, -OCF₂-, -CH₂CH₂-, -CF₂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H=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OCH₂-, -CH₂O-, -COO-, -OCO-, -CF₂O-, -OCF₂-, -CH₂CH₂-,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H=CH-,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OCH₂-, -CH₂O-, -COO-, -OCO-, -CF₂O-, -OCF₂-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OCH₂-, -CH₂O-, -COO-, -OCO-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역분산성 및 액정성의 관점에서 Z11 및 Z22는 각각 독립해서 -COO-, -OCO-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Z12 및 Z21는 각각 독립해서 -OCH₂-, -CH₂O-, -COO- 또는 -OCO-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액정성의 관점에서,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포함되는 1,4-시클로헥실렌기, 테트라히드로피란-2,5-디일기, 1,3-디옥산-2,5-디일기 및 데카히드로나프탈렌-2,6-디일기는 시스체 및 트랜스체 중 어느 한쪽만이어도 되고, 양쪽의 혼합물이어도 되지만, 액정성의 관점에서 트랜스체가 주성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트랜스체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혼합물은, 네마틱 액정 조성물, 스멕틱 액정 조성물, 키랄스멕틱 액정 조성물 및 콜레스테릭 액정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액정 조성물에 있어서 본원 발명 이외의 화합물을 첨가해도 상관없다.
본원 발명의 혼합물과 혼합해서 사용되는 다른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Handbook of Liquid Crystals(D.Demus, J.W.Goodby, G.W.Gray, H.W.Spiess, V.Vill 편집, Wiley-VCH사 발행, 1998년), 계간화학총설 No.22, 액정의 화학(일본화학회편, 1994년), 혹은, 일본 특개평7-294735호 공보, 일본 특개평8-3111호 공보, 일본 특개평8-29618호 공보, 일본 특개평11-80090호 공보, 일본 특개평11-116538호 공보, 일본 특개평11-148079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1,4-페닐렌기, 1,4-시클로헥실렌기 등의 구조가 복수 이어진 메소겐기인 강직한 부위와, 비닐기, 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기와 같은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봉상 중합성 액정 화합물, 혹은 일본 특개2004-2373호 공보, 일본 특개2004-9944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봉상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혼합물과 혼합해서 사용되는 다른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일반식(X-11)
Figure 112018028165959-pct00090
및/또는 일반식(X-12)
Figure 112018028165959-pct00091
(식 중, P11, P12 및 P13는 각각 독립해서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Sp11, Sp12 및 Sp13는 각각 독립해서 단결합 또는 탄소 원자수 1∼20개의 알킬렌기를 나타내지만,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는 -O-, -COO-, -OCO-, -OCOO-로 치환되어도 되고, X11, X12 및 X13는 각각 독립해서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고, Z11 및 Z12는 각각 독립해서 -O-, -S-, -OCH₂-, -CH₂O-, -COO-, -OCO-, -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₂CH₂-, -CH₂CF₂-, -CF₂CH₂-, -CF₂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Z11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Z12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A11, A12, A13 및 A14는 각각 독립해서, 1,4-페닐렌기, 1,4-시클로헥실렌기, 피리딘-2,5-디일기, 피리미딘-2,5-디일기, 나프탈렌-2,6-디일기, 나프탈렌-1,4-디일기,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6-디일기 또는 1,3-디옥산-2,5-디일기를 나타내지만, A11, A12, A13 및 A14는 각각 독립해서 무치환이거나 또는 치환기 L11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A11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A13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L11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노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트리메틸실릴기, 디메틸실릴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L11은 PL11-(SpL11-XL11)kL11-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도 되고, 여기에서 PL11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중합성기는 상기 P0의 경우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SpL11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바람직한 스페이서기는 상기 Sp0의 경우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SpL11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L11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L11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L11-(SpL11-XL11)kL11-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L1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화합물 내에 L11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R11은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이소시아노기, 티오이소시아노기, 혹은,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기를 나타내고, m11 및 m12는 각각 독립해서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P11, P12 및 P13가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인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X-1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식(X-11-A) 내지 식(X-11-F)
Figure 112018028165959-pct00092
(식 중, W11 및 W12는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메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고, Sp14 및 Sp15는 각각 독립해서 탄소 원자수 2 내지 1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Z13 및 Z14는 각각 독립해서 -OCH₂-, -CH₂O-, -COO-, -OCO-,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고, L11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미를 나타내고, s11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식(X-11-A) 내지 식(X-11-F)에 있어서, W11 및 W12는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Z13 및 Z14는 각각 독립해서 -COO-, -OCO-, -COO-CH₂CH₂- 또는 -CH₂CH₂-OCO-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COO- 또는 -OCO-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L11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메틸기 또는 메톡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X-1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식(X-11-B-1) 내지 식(X-11-F-2)
Figure 112018028165959-pct00093
Figure 112018028165959-pct00094
(식 중, W11, W12, Sp14 및 Sp15는 각각 독립해서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미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반식(X-1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일반식(X-12-A) 내지 식(X-12-E)
Figure 112018028165959-pct00095
(식 중, W13는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메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고, Sp16는 각각 독립해서 탄소 원자수 2 내지 1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Z15 및 Z16는 각각 독립해서 -OCH₂-, -CH₂O-, -COO-, -OCO-,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고, L11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미를 나타내고, s11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R12은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시아노기,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식(X-12-A) 내지 식(X-12-E)에 있어서, W13는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Z15 및 Z16는 각각 독립해서 -COO-, -OCO-,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해서 -COO-, -OCO-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L11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메틸기 또는 메톡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X-1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식(X-12-A-1) 내지 식(X-12-E-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96
Figure 112018028165959-pct00097
Figure 112018028165959-pct00098
Figure 112018028165959-pct00099
(식 중, W13, Sp16, R12은 각각 독립해서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미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조성물에는, 중합성기를 갖지 않는 메소겐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첨가해도 되고, 통상의 액정 디바이스, 예를 들면 TFT 액정 등에 사용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중합성기를 갖지 않는 메소겐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하기의 일반식(X-21)
Figure 112018028165959-pct00100
(식 중, R21 및 R22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알킬기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A21 및 A22는 각각 독립해서 1,4-페닐렌기, 1,4-시클로헥실렌기, 피리딘-2,5-디일기, 피리미딘-2,5-디일기, 나프탈렌-2,6-디일기, 나프탈렌-1,4-디일기,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6-디일기, 데카히드로나프탈렌-2,6-디일기 또는 1,3-디옥산-2,5-디일기를 나타내지만, 이들 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L21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지만, A21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L21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Z21는 -OCH₂-, -CH₂O-, -CH₂CH₂-, -COO-, -OCO-, -CO-S-, -S-CO-, -CO-NH-, -NH-CO-, -NH-O-, -O-NH-,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H=CH-, -N=N-, -CH=N-, -N=CH-,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으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내지만, Z21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m21은 0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일반식(X-2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식(X-21-1) 내지 식(X-21-8)
Figure 112018028165959-pct00101
Figure 112018028165959-pct00102
(식 중, R21 및 R22은 각각 독립해서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지만, R21 및 R22은 각각 독립해서 불소 원자, 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가 -O- 또는 -CH=CH-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X-1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계 함유량은, 중합성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서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90.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액정 조성물에는, 키랄네마틱상 또는 키랄스멕틱상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키랄 화합물을 배합해도 된다. 키랄 화합물 중에서도, 분자 중에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키랄 화합물은 액정성을 나타내도 되고, 비액정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키랄 화합물로서는, 중합성 관능기를 하나 이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1-193287호 공보, 일본 특개2001-158788호 공보, 일본 특표2006-52669호 공보, 일본 특개2007-269639호 공보, 일본 특개2007-269640호 공보, 일본 2009-84178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글루코시드 등의 키랄인 당류를 포함하며, 또한, 1,4-페닐렌기1,4-시클로헥실렌기 등의 강직한 부위와, 비닐기, 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기, 또한, 말레이미드기와 같은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키랄 화합물, 일본 특개평8-23966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테르페노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중합성 키랄 화합물, NATURE VOL35 467∼469페이지(1995년 11월 30일 발행), NATURE VOL392 476∼479페이지(1998년 4월 2일 발행)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메소겐기와 키랄 부위를 갖는 스페이서로 이루어지는 중합성 키랄 화합물, 혹은 일본 특표2004-504285호 공보, 일본 특개2007-24894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비나프틸기를 포함하는 중합성 키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나선 비틀림력(HTP)이 큰 키랄 화합물이, 본 발명의 중합성 액정 조성물에 바람직하다.
키랄 화합물의 배합량은, 화합물의 나선 유기력에 따라서 적의(適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중합성 액정 조성물 중, 0∼25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0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질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키랄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식(X-31) 내지 식(X-34)
Figure 112018028165959-pct00103
(식 중, R31, R32, R33, R34, R35, R36, R37 및 R38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이소시아노기, 티오이소시아노기, 혹은,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기를 나타내고, 혹은 R31, R32, R33, R34, R35, R36, R37 및 R38은 각각 독립해서 하기의 식(X-30-R)
Figure 112018028165959-pct00104
(식 중, P31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중합성기는 상기 P0의 경우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Sp31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바람직한 스페이서기는 상기 Sp0의 경우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Sp31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31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31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31-(Sp31-X31)k31-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3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지만, R37 및 R38은 수소 원자 이외의 서로 다른 기를 나타내고, A31, A32, A33, A34, A35 및 A36는 각각 독립해서 1,4-페닐렌기, 1,4-시클로헥실렌기, 피리딘-2,5-디일기, 피리미딘-2,5-디일기, 나프탈렌-2,6-디일기, 나프탈렌-1,4-디일기,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6-디일기, 데카히드로나프탈렌-2,6-디일기 또는 1,3-디옥산-2,5-디일기를 나타내지만, 이들 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L31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고, A31, A32, A33, A34, A35 및 A36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L31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노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트리메틸실릴기, 디메틸실릴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L31은 PL31-(SpL31-XL31)kL31-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도 되고, 여기에서 PL31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중합성기는 상기 P0의 경우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SpL31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바람직한 스페이서기는 상기 Sp0의 경우와 같은 것을 나타내고, SpL31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L31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L31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L31-(SpL31-XL31)kL31-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L31는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화합물 내에 L31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Z31, Z32, Z33, Z34, Z35 및 Z36는 각각 독립해서 -O-, -S-, -OCH₂-, -CH₂O-, -CH₂CH₂-,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OCO-NH-, -NH-COO-, -NH-CO-NH-, -NH-O-, -O-NH-,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 -N=CH-,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으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내지만, Z31, Z32, Z33, Z34, Z35 및 Z36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m31, m32, m33, m34, m35 및 m36은 각각 독립해서 0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낸다)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랄 화합물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식(X-31-1) 내지 식(X-34-6)
Figure 112018028165959-pct00105
Figure 112018028165959-pct00106
Figure 112018028165959-pct00107
Figure 112018028165959-pct00108
Figure 112018028165959-pct00109
Figure 112018028165959-pct00110
(식 중, W31 및 W32는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메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고, Sp32 및 Sp33는 각각 독립해서 탄소 원자수 2 내지 1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39 및 R40은 수소 원자,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성물에 유기 용제를 첨가해도 된다. 사용하는 유기 용제로서는 특히 한정은 없지만, 중합성 화합물이 양호한 용해성을 나타내는 유기 용제가 바람직하고, 10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는 유기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 자일렌, 쿠멘, 메시틸렌, 클로로벤젠 등의 방향족계 탄화수소,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시클로펜탄온 등의 케톤계 용제, 테트라히드로퓨란, 1,2-디메톡시에탄, 아니솔 등의 에테르계 용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계 용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계 용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케톤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에스테르계 용제,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할로겐계 용제 중 어느 1종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유기 용매의 용액으로 하면 기판에 대해서 도포할 수 있고, 사용하는 유기 용제의 비율은, 도포한 상태를 현저하게 손상시키지 않는 한 특히 제한은 없지만, 조성물 용액 중에 함유하는 유기 용제의 합계량이 1∼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55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5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에 조성물을 용해할 때에는, 균일하게 용해시키기 위해서, 가열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교반 시의 가열 온도는, 사용하는 조성물의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고려해서 적의 조절하면 되지만, 생산성의 점으로부터 15℃∼110℃가 바람직하고, 15℃∼105℃가 보다 바람직하고, 15℃∼100℃가 더 바람직하고, 20℃∼90℃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용매를 첨가할 때에는 분산 교반기에 의해 교반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 교반기로서 구체적으로는, 디스퍼, 프로펠러, 터빈 날개 등 교반 날개를 갖는 분산기, 페인트 셰이커, 유성식 교반 장치, 진탕기, 셰이커 또는 로터리 이베이퍼레이터, 스터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는, 초음파 조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를 첨가할 때의 교반 회전수는, 사용하는 교반 장치에 의해 적의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균일한 중합성 조성물 용액으로 하기 위하여 교반 회전수를 10rpm∼1000rp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rpm∼800rpm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rpm∼600rpm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금지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조성물에는, 중합금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금지제로서는, 페놀계 화합물, 퀴논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티오에테르계 화합물, 니트로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페놀계 화합물로서는, p-메톡시페놀, 크레졸, tert-부틸카테콜,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톨루엔,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er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ert-부틸페놀), 4-메톡시-1-나프톨, 4,4'-디알콕시-2,2'-비-1-나프톨 등을 들 수 있다.
퀴논계 화합물로서는, 히드로퀴논, 메틸히드로퀴논, tert-부틸히드로퀴논, p-벤조퀴논, 메틸-p-벤조퀴논, tert-부틸-p-벤조퀴논, 2,5-디페닐벤조퀴논, 2-히드록시-1,4-나프토퀴논, 1,4-나프토퀴논, 2,3-디클로로-1,4-나프토퀴논, 안트라퀴논, 디페노퀴논 등을 들 수 있다.
아민계 화합물로서는, p-페닐렌디아민, 4-아미노디페닐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N'-디-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페닐-β-나프틸아민, 4,4'-디쿠밀-디페닐아민, 4,4'-디옥틸디페닐아민 등을 들 수 있다.
티오에테르계 화합물로서는, 페노티아진,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니트로소계 화합물로서는, N-니트로소디페닐아민, N-니트로소페닐나프틸아민, N-니트로소디나프틸아민, p-니트로소페놀, 니트로소벤젠, p-니트로소디페닐아민, α-니트로소-β-나프톨, N,N-디메틸-p-니트로소아닐린, p-니트로소디페닐아민, N,N-디에틸-p-니트로소아닐린, N-니트로소에탄올아민, N-니트로소디부틸아민, N-니트로소-N-부틸-4-부탄올아민, 1,1'-니트로소이미노비스(2-프로판올), N-니트로소-N-에틸-4-부탄올아민, 5-니트로소-8-히드록시퀴놀린, N-니트로소모르폴린, N-니트로소-N-페닐히드록실아민암모늄염, 니트로소벤젠, 2,4,6-트리-tert-부틸니트로소벤젠, N-니트로소-N-메틸-p-톨루엔설폰아미드, N-니트로소-N-에틸우레탄, N-니트로소-N-프로필우레탄, 1-니트로소-2-나프톨, 2-니트로소-1-나프톨, 1-니트로소-2-나프톨-3,6-설폰산나트륨, 2-니트로소-1-나프톨-4-설폰산나트륨, 2-니트로소-5-메틸아미노페놀염산염, 2-니트로소-5-메틸아미노페놀염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중합금지제의 첨가량은 중합성 조성물에 대해서 0.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화방지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조성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산화방지제 등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화합물로서, 히드로퀴논 유도체, 니트로소아민계 중합금지제, 힌더드페놀계 산화방지제, 힌더드아민계 산화방지제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tert-부틸하이드로퀴논, 메틸하이드로퀴논, 와코쥰야쿠고교샤의 「Q-1300」, 「Q-1301」, BASF샤의 「IRGANOX1010」, 「IRGANOX1035」, 「IRGANOX1076」, 「IRGANOX1098」, 「IRGANOX1135」, 「IRGANOX1330」, 「IRGANOX1425」, 「IRGANOX1520」, 「IRGANOX1726」, 「IRGANOX245」, 「IRGANOX259」, 「IRGANOX3114」, 「IRGANOX3790」, 「IRGANOX5057」, 「IRGANOX565」, 「TINUVIN PA144」, 「TINUVIN765」, 「TINUVIN770DF」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첨가량은 중합성 조성물에 대해서 0.01∼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중합개시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조성물은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개시제는 적어도 1종류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BASF샤제의 「이르가큐어651」, 「이르가큐어184」, 「이르가큐어907」, 「이르가큐어127」, 「이르가큐어369」, 「이르가큐어379」, 「이르가큐어819」, 「이르가큐어2959」, 「이르가큐어1800」, 「이르가큐어250」, 「이르가큐어754」, 「이르가큐어784」, 「이르가큐어OXE01」, 「이르가큐어OXE02」, 「루시린TPO」, 「다로큐어1173」, 「다로큐어MBF」나 LAMBSON사제의 「에사큐어1001M」, 「에사큐어KIP150」, 「스피드큐어BEM」, 「스피드큐어BMS」, 「스피드큐어MBP」, 「스피드큐어PBZ」, 「스피드큐어ITX」, 「스피드큐어DETX」, 「스피드큐어EBD」, 「스피드큐어MBB」, 「스피드큐어BP」나 니혼가야쿠샤제의 「카야큐어DMBI」, 니혼시이벨헤그너샤제(현DKSH사)의 「TAZ-A」, ADEKA샤제의 「아데카옵토머SP-152」, 「아데카옵토머SP-170」, 「아데카옵토머N-1414」, 「아데카옵토머N-1606」, 「아데카옵토머N-1717」, 「아데카옵토머N-1919」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은 중합성 조성물에 대해서 0.1∼10질량%가 바람직하고, 0.5∼5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증감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열중합개시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조성물에는, 광중합개시제와 함께, 열중합개시제를 병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와코쥰야쿠고교샤제의 「V-40」, 「VF-096」, 니혼유시샤제의 「퍼헥실D」, 「퍼헥실I」 등을 들 수 있다.
열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은 중합성 조성물에 대해서 0.1∼10질량%가 바람직하고, 0.5∼5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조성물은, 광학 이방체로 한 경우의 막두께 불균일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적어도 1종류 이상 함유해도 된다. 함유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카르복시산염, 알킬인산염, 알킬설폰산염, 플루오로알킬카르복시산염, 플루오로알킬인산염, 플루오로알킬설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플루오로알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알킬암모늄염, 플루오로알킬암모늄염류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함불소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메가팩 F-110(MEGAFACE F-110)」, 「메가팩 F-113(MEGAFACE F-113)」, 「메가팩 F-120(MEGAFACE F-120)」, 「메가팩 F-812(MEGAFACE F-812)」, 「메가팩 F-142D(MEGAFACE F-142D)」, 「메가팩 F-144D(MEGAFACE F-144D)」, 「메가팩 F-150(MEGAFACE F-150)」, 「메가팩 F-171(MEGAFACE F-171)」, 「메가팩 F-173(MEGAFACE F-173)」, 「메가팩 F-177(MEGAFACE F-177)」, 「메가팩 F-183(MEGAFACE F-183)」, 「메가팩 F-195(MEGAFACE F-195)」, 「메가팩 F-824(MEGAFACE F-824)」, 「메가팩 F-833(MEGAFACE F-833)」, 「메가팩 F-114(MEGAFACE F-114)」, 「메가팩 F-410(MEGAFACE F-410)」, 「메가팩 F-493(MEGAFACE F-493)」, 「메가팩 F-494(MEGAFACE F-494)」, 「메가팩 F-443(MEGAFACE F-443)」, 「메가팩 F-444(MEGAFACE F-444)」, 「메가팩 F-445(MEGAFACE F-445)」, 「메가팩 F-446(MEGAFACE F-446)」, 「메가팩 F-470(MEGAFACE F-470)」, 「메가팩 F-471(MEGAFACE F-471)」, 「메가팩 F-474(MEGAFACE F-474)」, 「메가팩 F-475(MEGAFACE F-475)」, 「메가팩 F-477(MEGAFACE F-477)」, 「메가팩 F-478(MEGAFACE F-478)」, 「메가팩 F-479(MEGAFACE F-479)」, 「메가팩 F-480SF(MEGAFACE F-480SF)」, 「메가팩 F-482(MEGAFACE F-482)」, 「메가팩 F-483(MEGAFACE F-483)」, 「메가팩 F-484(MEGAFACE F-484)」, 「메가팩 F-486(MEGAFACE F-486)」, 「메가팩 F-487(MEGAFACE F-487)」, 「메가팩 F-489(MEGAFACE F-489)」, 「메가팩 F-172D(MEGAFACE F-172D)」, 「메가팩 F-178K(MEGAFACE F-178K)」, 「메가팩 F-178RM(MEGAFACE F-178RM)」, 「메가팩 R-08(MEGAFACE R-08)」, 「메가팩 R-30(MEGAFACE R-30)」, 「메가팩 F-472SF(MEGAFACE F-472SF)」, 「메가팩 BL-20(MEGAFACE BL-20)」, 「메가팩 R-61(MEGAFACE R-61)」, 「메가팩 R-90(MEGAFACE R-90)」, 「메가팩 ESM-1(MEGAFACE ESM-1)」, 「메가팩 MCF-350SF(MEGAFACE MCF-350SF)」(이상, DIC가부시키가이샤제),
「후타젠트100」, 「후타젠트100C」, 「후타젠트110」, 「후타젠트150」, 「후타젠트150CH」, 「후타젠트A」, 「후타젠트100A-K」, 「후타젠트501」, 「후타젠트300」, 「후타젠트310」, 「후타젠트320」, 「후타젠트400SW」, 「FTX-400P」, 「후타젠트251」, 「후타젠트215M」, 「후타젠트212MH」, 「후타젠트250」, 「후타젠트222F」, 「후타젠트212D」, 「FTX-218」, 「FTX-209F」, 「FTX-213F」, 「FTX-233F」, 「후타젠트245F」, 「FTX-208G」, 「FTX-240G」, 「FTX-206D」, 「FTX-220D」, 「FTX-230D」, 「FTX-240D」, 「FTX-207S」, 「FTX-211S」, 「FTX-220S」, 「FTX-230S」, 「FTX-750FM」, 「FTX-730FM」, 「FTX-730FL」, 「FTX-710FS」, 「FTX-710FM」, 「FTX-710FL」, 「FTX-750LL」, 「FTX-730LS」, 「FTX-730LM」, 「FTX-730LL」, 「FTX-710LL」(이상, 네오스샤제),
「BYK-300」, 「BYK-302」, 「BYK-306」, 「BYK-307」, 「BYK-310」, 「BYK-315」, 「BYK-320」, 「BYK-322」, 「BYK-323」, 「BYK-325」, 「BYK-330」, 「BYK-331」, 「BYK-333」, 「BYK-337」, 「BYK-340」, 「BYK-344」, 「BYK-370」, 「BYK-375」, 「BYK-377」, 「BYK-350」, 「BYK-352」, 「BYK-354」, 「BYK-355」, 「BYK-356」, 「BYK-358N」, 「BYK-361N」, 「BYK-357」, 「BYK-390」, 「BYK-392」, 「BYK-UV3500」, 「BYK-UV3510」, 「BYK-UV3570」, 「BYK-Silclean3700」(이상, 빅케미·재팬샤제),
「TEGO Rad2100」, 「TEGO Rad2200N」, 「TEGO Rad2250」, 「TEGO Rad2300」, 「TEGO Rad2500」, 「TEGO Rad2600」, 「TEGO Rad2700」(이상, 에보닉·인더스트리즈주식회사제)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중합성 액정 조성물에 대해서 0.01∼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중합성 액정 조성물을 광학 이방체로 했을 경우, 공기 계면의 틸트각을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액정 조성물은, 광학 이방체로 한 경우의 공기 계면의 틸트각을 효과적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갖는, 상기 계면활성제 이외로서, 하기 일반식(X-41)
Figure 112018028165959-pct00111
(식 중, R41, R42, R43 및 R44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알킬기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된다)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 이상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일반식(X-41)으로 표시되는 호적한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파라핀, 유동 파라핀, 염소화폴리프로필렌, 염소화파라핀, 염소화 유동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X-4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중합성 화합물을 유기 용제에 혼합하고 가열 교반해서 중합성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에 있어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후의, 중합성 용액에 광중합개시제를 혼합하는 공정에 있어서 첨가해도 되고, 양쪽의 공정에 있어서 첨가해도 된다.
일반식(X-4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첨가량은 중합성 액정 조성물 용액에 대해서, 0.01∼1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액정 조성물 용액은, 광학 이방체로 한 경우의 기재와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쇄이동제를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연쇄이동제로서는, 티올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모노티올, 디티올, 트리티올, 테트라티올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티올 화합물이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식(X-51-1) 내지 식(X-51-12)
Figure 112018028165959-pct00112
Figure 112018028165959-pct00113
Figure 112018028165959-pct00114
(식 중, R51은 각각 독립해서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또는 -CH=CH-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알킬기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Sp51는 각각 독립해서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또는 -CH=CH-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20의 직쇄상 알킬렌기 또는 분기상 알킬렌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쇄이동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유기 용제에 혼합하고 가열 교반해서 중합성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에 있어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후의, 중합성 용액에 중합개시제를 혼합하는 공정에 있어서 첨가해도 되고, 양쪽의 공정에 있어서 첨가해도 된다.
연쇄이동제의 첨가량은 중합성 액정 조성물에 대해서, 0.5∼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성 조정을 위하여, 중합성이 아닌 액정 화합물, 혹은 액정성이 없는 중합성 화합물 등도 필요에 따라서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정성이 없는 중합성 화합물은, 중합성 화합물을 유기 용제에 혼합하고 가열 교반해서 중합성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에 있어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중합성이 아닌 액정 화합물 등은, 그 후의, 중합성 용액에 중합개시제를 혼합하는 공정에 있어서 첨가해도 되고, 양쪽의 공정에 있어서 첨가해도 된다. 이들 화합물의 첨가량은 중합성 액정 조성물에 대해서, 2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혼합물 또는 중합성 조성물에는, 목적에 따라서 다른 첨가제, 예를 들면, 틱소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항산화제, 표면처리제 등의 첨가제를 액정의 배향능을 현저하게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로 첨가할 수 있다.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혼합물의 총 함유량은, 중합성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서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한, 90.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1)을 충족시키는 혼합물의 제조 방법)
상기 (식 1)을 충족시키는 혼합물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의 정제 정도를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식 1을 충족시키는 혼합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의 정제 정도는,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성 공정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정제를 행함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정제한 화합물일수록, 황색도(YI)의 값이 작아진다. 정제는, 합성의 각 공정에 있어서 적의 행할 수 있고, 정제 방법으로서는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 증류, 승화, 재침전, 흡착, 분액 처리, 분산 세정 등을 들 수 있다. 정제제를 사용할 경우, 정제제로서 실리카겔, 알루미나, 활성탄, 활성백토, 셀라이트, 제올라이트, 메소포러스 실리카, 카본 나노 튜브, 카본 나노 혼, 비장탄, 목탄, 그라펜, 이온 교환 수지, 산성백토, 이산화규소, 규조토, 펄라이트, 셀룰로오스, 유기 폴리머, 다공질 겔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이방체의 제조 방법)
(광학 이방체)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해서 제작한 광학 이방체는, 기재, 필요에 따라서 배향막, 및,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체를 순차 적층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이방체에 사용되는 기재는, 액정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광학 부품이나 광학 필름에 통상 사용하는 기재로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의 도포 후의 건조 시에 있어서의 가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재료이면, 특히 제한은 없다. 그와 같은 기재로서는, 유리 기재, 금속 기재, 세라믹스 기재나 플라스틱 기재 등의 유기 재료를 들 수 있다. 특히 기재가 유기 재료일 경우,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설피드, 폴리페닐렌에테르, 나일론 또는 폴리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 기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의 도포성이나 접착성 향상을 위하여, 이들 기재의 표면 처리를 행해도 된다. 표면 처리로서, 오존 처리, 플라스마 처리, 코로나 처리, 실란커플링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의 투과율이나 반사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기재 표면에 유기 박막, 무기 산화물 박막이나 금속 박막 등을 증착 등 방법에 의해서 마련하거나, 혹은, 광학적인 부가 가치를 더하기 위해서, 기재가 픽업 렌즈, 로드 렌즈, 광디스크, 위상차 필름, 광확산 필름, 컬러 필터 등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부가 가치가 보다 높아지는 픽업 렌즈, 위상차 필름, 광확산 필름, 컬러 필터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에는,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도포 건조했을 때에 중합성 조성물이 배향하도록, 통상 배향 처리가 실시되어 있거나, 혹은 배향막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배향 처리로서는, 연신 처리, 러빙 처리, 편광 자외가시광 조사 처리, 이온빔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배향막을 사용할 경우, 배향막은 공지 관용의 것이 사용된다. 그와 같은 배향막으로서는, 폴리이미드, 폴리실록산,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설폰, 에폭시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쿠마린 화합물, 칼콘 화합물, 신나메이트 화합물, 풀기드 화합물, 안트라퀴논 화합물, 아조 화합물, 아릴에텐 화합물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러빙에 의해 배향 처리하는 화합물은, 배향 처리, 혹은 배향 처리의 후에 가열 공정을 넣음으로써 재료의 결정화가 촉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러빙 이외의 배향 처리를 행하는 화합물 중에서는 광배향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본 발명의 광학 이방체를 얻기 위한 도포법으로서는, 애플리케이터법, 바 코팅법, 스핀 코팅법, 롤 코팅법, 다이렉트 그라비어 코팅법, 리버스 그라비어 코팅법, 플렉소 코팅법, 잉크젯법, 다이 코팅법, 갭 코팅법, 딥 코팅법, 슬릿 코팅법 등, 공지 관용의 방법을 행할 수 있다. 중합성 조성물을 도포 후, 건조시킨다.
(중합 공정)
본 발명의 중합성 액정 조성물의 중합 조작에 대해서는, 중합성 액정 조성물 중의 액정 화합물이 기재에 대해서 수평 배향, 수직 배향, 또는 하이브리드 배향, 혹은 콜레스테릭 배향(평면 배향)한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자외선 등의 광조사, 혹은 가열에 의해서 행해진다. 중합을 광조사로 행하는 경우는, 구체적으로는 390㎚ 이하의 자외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0∼370㎚의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390㎚ 이하의 자외광에 의해 중합성 조성물이 분해 등을 일으키는 경우는, 390㎚ 이상의 자외광으로 중합 처리를 행하는 편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이 광은, 확산광이며, 또한 편광하여 있지 않은 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방법)
본 발명의 중합성 액정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방법이나 열중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가열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실온에서 반응이 진행하므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조작이 간편하므로,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조사 시의 온도는, 본 발명의 중합성 액정 조성물이 액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온도로 하고, 중합성 액정 조성물의 열중합의 유기를 피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3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액정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승온 과정에 있어서, C(고상(固相))-N(네마틱) 전이 온도(이하, C-N 전이 온도로 약기한다)로부터, N-I 전이 온도 범위 내에서 액정상을 나타낸다. 한편, 강온 과정에 있어서는, 열역학적으로 비평형 상태를 취하기 때문에, C-N 전이 온도 이하에서도 응고하지 않고 액정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를 과냉각 상태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과냉각 상태에 있는 액정 조성물도 액정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390㎚ 이하의 자외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0∼370㎚의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390㎚ 이하의 자외광에 의해 중합성 조성물이 분해 등을 일으키는 경우는, 390㎚ 이상의 자외광으로 중합 처리를 행하는 편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이 광은, 확산광이며, 또한 편광하여 있지 않은 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조사 강도는, 0.05kW/㎡∼10kW/㎡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특히, 0.2kW/㎡∼2kW/㎡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자외선 강도가 0.05kW/㎡ 미만일 경우, 중합을 완료시키는데 다대한 시간이 걸린다. 한편, 2kW/㎡를 초과하는 강도에서는, 중합성 액정 조성물 중의 액정 분자가 광분해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나, 중합열이 많이 발생해서 중합 중의 온도가 상승하여, 중합성 액정의 오더 파라미터가 변화해서, 중합 후의 필름의 리타데이션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마스크를 사용해서 특정의 부분만을 자외선 조사로 중합시킨 후, 당해 미중합 부분의 배향 상태를, 전장, 자장 또는 온도 등을 가해서 변화시키고, 그 후 당해 미중합 부분을 중합시키면, 서로 다른 배향 방향을 가진 복수의 영역을 갖는 광학 이방체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마스크를 사용해서 특정의 부분만을 자외선 조사로 중합시킬 때에, 미리 미중합 상태의 중합성 액정 조성물에 전장, 자장 또는 온도 등을 가해서 배향을 규제하고, 그 상태를 유지한 그대로 마스크 상으로부터 광을 조사해서 중합시킴에 의해서도, 서로 다른 배향 방향을 가진 복수의 영역을 갖는 광학 이방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성 액정 조성물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광학 이방체는, 기판으로부터 박리해서 단체(單體)로 광학 이방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기판으로부터 박리하지 않고 그대로 광학 이방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다른 부재를 오염하기 어려우므로, 피적층 기판으로서 사용하거나, 다른 기판에 첩합해 사용하거나 할 때에 유용하다.
(용도)
본원 발명의 중합성 액정 조성물을 수평 배향, 수직 배향, 또는 하이브리드 배향, 혹은 콜레스테릭 배향한 상태에서 중합해서 얻어지는 중합체는, 배향 성능을 갖는 광학 이방체로서, 광학 보상막, 위상차막, 시야각 확대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반사 필름, 편광 필름, 광정보 기록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방열성을 갖는 접착제, 봉지제(封止劑), 방열 시트, 시큐리티 인쇄용 잉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합성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서 설명하지만, 물론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특히 한정하지 않는 한, 「부」 및 「%」는 질량 기준이다. 하기의 식(I-A-1) 내지 식(I-A-5), 식(I-B-1) 내지 식(I-B-4), 식(I-C-1) 내지 식(I-C-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평가 대상의 화합물로 했다.
Figure 112018028165959-pct00115
Figure 112018028165959-pct00116
Figure 112018028165959-pct00117
Figure 112018028165959-pct00118
Figure 112018028165959-pct00119
Figure 112018028165959-pct00120
일본 특개2011-207765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식(I-A-1) 내지 식(I-A-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정제 전의 조체(粗體)를, 일본 특개2010-03122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식(I-A-4) 및 식(I-A-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정제 전의 조체를, 일본 특개2008-273925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식(I-B-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정제 전의 조체를, 일본 특개2008-10776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식(I-B-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정제 전의 조체를, 일본 특개2016-081035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식(I-B-3) 및 식(I-B-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정제 전의 조체를, WO2014/010325A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식(I-C-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정제 전의 조체를, WO2012/147904A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식(I-C-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정제 전의 조체를 제조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제 전의 조체란, 반응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했을 뿐인 정제 전의 물질을 의미한다.
(실시예 0-1) 식(I-C-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Figure 112018028165959-pct00121
딘-스타크(Dean-Stark) 장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식(I-C-3-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7.00g, p-톨루엔설폰산일수화물 0.96g, 아세트산에틸 65mL를 더하고 가열 환류시켰다. 도중에, 반응 용매를 적의 제거하면서, 제거한 용매와 동량의 용매를 추가하는 조작을 반복했다.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식염수로 세정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알루미나)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3-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9.08g을 얻었다.
딘-스타크 장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식(I-C-3-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9.08g, 파라포름알데히드 4.56g, 염화마그네슘 7.24g, 아세토니트릴 36mL, 트리에틸아민 18mL를 더하고 가열 환류시켰다. 도중에, 반응 용매를 적의 제거하면서, 제거한 용매와 동량의 아세토니트릴 및 트리에틸아민을 추가하는 조작을 반복했다.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5% 염산, 식염수로 세정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3-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9.71g을 얻었다.
반응 용기에 식(I-C-3-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9.71g, 메탄올 29mL, 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5mL를 더하고 60℃에서 가열 교반했다.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10% 염산, 식염수로 세정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알루미나)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3-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6.77g을 얻었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식(I-C-3-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40g, 식(I-C-3-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4.93g,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0.50g, 디클로로메탄 70mL를 더했다. 빙냉(氷冷)하면서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2.55g을 적하하고 실온에서 교반했다. 석출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3-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41g을 얻었다.
반응 용기에 식(I-C-3-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41g, 식(I-C-3-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0.56g, (±)-10-캠퍼설폰산 0.01g, 테트라히드로퓨란 20mL, 에탄올 10mL를 더하고 교반했다. 용매를 증류 제거함에 의해서, 식(I-C-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정제 전의 조체 1.70g을 얻었다. 정제 후의 측정값을 나타낸다.
1H NMR(CDCl3)δ 1.50(m, 8H), 1.65-1.80(m, 4H), 1.80-1.97(m, 4H), 3.15(t, 2H), 4.01(t, 2H), 4.17(t, 2H), 4.31(t, 2H), 4.40(t, 2H), 4.57(t, 2H), 5.83(dd, 2H), 6.13(dd, 2H), 6.42(dd, 2H), 6.87(d, 2H), 6.96(d, 2H), 7.12-7.18(m, 2H), 7.34(d, 1H), 7.48(d, 1H), 7.58(d, 1H), 7.99-8.02(m, 5H), 8.12(d, 2H)ppm.
상전이 온도(5℃/분 승온) C 112 I
(실시예 0-2) 식(I-C-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Figure 112018028165959-pct00122
딘-스타크 장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식(I-C-4-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8.00g, 파라포름알데히드 3.30g, 염화마그네슘 5.23g, 테트라히드로퓨란 39mL, 트리에틸아민 26mL를 더하고 가열 환류시켰다. 도중에, 반응 용매를 적의 제거하면서, 제거한 용매와 동량의 테트라히드로퓨란 및 트리에틸아민을 추가하는 조작을 반복했다.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5% 염산, 식염수로 세정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4-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8.95g을 얻었다.
일본 특개2010-3122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식(I-C-4-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했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식(I-C-4-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94g, 식(I-C-4-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5.00g,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0.02g, 디클로로메탄 40mL를 더했다. 빙냉하면서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1.81g을 적하하고 실온에서 교반했다. 석출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했다. 메탄올을 더하여 고체를 석출시키고 분산 세정하고, 여과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및 재결정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4-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4.70g을 얻었다.
반응 용기에 식(I-C-4-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50g, 식(I-C-4-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0.38g, (±)-10-캠퍼설폰산 0.01g, 테트라히드로퓨란 20mL, 에탄올 10mL를 더하고 교반했다. 용매를 증류 제거함에 의해서, 식(I-C-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정제 전의 조체 1.23g을 얻었다. 정제 후의 측정값을 나타낸다.
1H NMR(CDCl3)δ 0.92(t, 3H), 1.07(q, 2H), 1.24-2.06(m, 27H), 2.35(m, 2H), 2.55(t, 1H), 3.95(t, 2H), 4.18(t, 2H), 5.83(dd, 1H), 6.13(dd, 1H), 6.42(dd, 1H), 6.88(d, 2H), 6.98(m, 3H), 7.19-7.26(m, 2H), 7.35(m, 1H), 7.51(m, 1H), 7.68(m, 1H), 7.89(m, 1H), 8.08(m, 1H)ppm.
상전이 온도(5℃/분 승온) C 117 N 220 I
(실시예 0-3) 식(I-C-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Figure 112018028165959-pct00123
Figure 112018028165959-pct00124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식(I-C-5-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0.0g, tert-부틸알코올 9.6g,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7g, 디클로로메탄 160mL를 더했다. 빙냉하면서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16.3g을 적하하고 실온에서 8시간 교반했다. 석출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5% 염산 및 식염수로 세정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헥산)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5-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4.7g을 얻었다.
반응 용기에 식(I-C-5-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4.7g, 메탄올 200mL, 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3mL를 더하고, 실온에서 8시간 교반했다. 5% 염산으로 중화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킴에 의해, 식(I-C-5-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2.1g을 얻었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식(I-C-5-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0.0g, 테트라히드로퓨란 120mL를 더했다. 빙냉하면서 보란-테트라히드로퓨란 착체(1mol/L) 105mL를 적하하고 2시간 교반했다. 5% 염산 100mL를 적하한 후, 아세트산에틸 200mL로 분액 처리했다.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증류 제거함에 의해 식(I-C-5-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6.9g을 얻었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식(I-C-5-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6.9g, 피리딘 7.5g, 디클로로메탄 100mL를 더했다. 빙냉하면서 메탄설포닐클로리드 10.8g을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했다. 5% 염산에 부은 후, 분액 처리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5-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0.7g을 얻었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식(I-C-5-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0.0g, 48% 브롬화수소산 60mL, 아세트산 60mL를 더하고 6시간 가열 환류시켰다. 냉각한 후, 아세트산에틸 200mL로 분액 처리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알루미나, 아세트산에틸)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5-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4.6g을 얻었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식(I-C-5-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0g, 식(I-C-5-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4.2g, 인산칼륨 3.8g, N,N-디메틸포름아미드 20mL를 더하고 90℃에서 8시간 가열 교반했다. 반응액을 물 100mL에 부은 후, 석출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정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 및 재결정(디클로로메탄/메탄올)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5-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3.1g을 얻었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식(I-C-5-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3.1g, 디클로로메탄 30mL, 포름산 30mL를 더하고 40℃에서 8시간 가열 교반했다. 용매를 증류 제거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테르 30mL를 더하고 교반하고, 석출물을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함에 의해 식(I-C-5-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2g을 얻었다.
반응 용기에 식(I-C-5-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g, p-톨루엔설폰산피리디늄 0.7g, 디클로로메탄 100mL를 더했다. 빙냉하면서 3,4-디히드로-2H-피란 4.6g을 적하하고, 실온에서 7시간 교반했다.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식염수로 세정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알루미나, 디클로로메탄)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5-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3.5g을 얻었다.
내압 용기에 식(I-C-5-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3.5g, 5% 팔라듐탄소 0.1g, 테트라히드로퓨란 50mL, 에탄올 50mL를 더했다. 수소압 0.5MPa, 50℃에서 8시간 가열 교반했다. 촉매를 여과한 후, 용매를 증류 제거함에 의해, 식(I-C-5-1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8.8g을 얻었다.
반응 용기에 식(I-C-5-1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5.0g, 식(I-C-5-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7.7g, 탄산칼륨 16.0g, N,N-디메틸포름아미드 90mL를 더하고 90℃에서 20시간 가열 교반했다. 디클로로메탄 150mL를 더하고 분액 처리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5-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4.2g을 얻었다.
반응 용기에 식(I-C-5-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4.2g, 테트라히드로퓨란 80mL, 메탄올 80mL를 더했다. 진한 염산 1mL를 더하고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했다. 용매를 증류 제거한 후, 아세트산에틸 150mL로 분액 처리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알루미나, 아세트산에틸) 및 재결정(아세트산에틸/헥산)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5-1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7.4g을 얻었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식(I-C-5-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9g, 식(I-C-5-1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4g,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0.06g, 디클로로메탄 20mL를 더했다. 빙냉하면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2.2g을 더하고, 실온에서 8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5% 염산 및 식염수로 세정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 및 재결정(디클로로메탄/메탄올)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5-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3.3g을 얻었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히드라진일수화물, 에탄올을 더했다. 식(I-C-5-1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하고 가열 교반했다. 용매를 증류 제거함에 의해, 식(I-C-5-1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식(I-C-5-1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2-디메톡시에탄, 트리에틸아민, 식(I-C-5-1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더하고 가열 교반했다.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 및 식염수로 세정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헥산/아세트산에틸)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5-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식(I-C-5-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3.3g, 식(I-C-5-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0g, (±)-10-캠퍼설폰산 0.5g, 테트라히드로퓨란 30mL, 에탄올 15mL를 더하고 50℃에서 8시간 가열 교반했다. 용매를 증류 제거한 후, 메탄올을 더하여 결정화시키고 여과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 및 재결정(디클로로메탄/메탄올)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9g을 얻었다.
전이 온도(승온 5℃/분) : C 85 N 128 I
1H NMR(CDCl3)δ 1.22-1.28(m, 4H), 1.44-1.47(m, 8H), 1.60-1.82(m, 12H), 1.90(m, 2H), 2.07(t, 4H), 2.24(d, 4H), 2.53(m, 2H), 3.30(s, 3H), 3.50(t, 2H), 3.66(t, 2H), 3.85-3.89(m, 6H), 3.93(t, 4H), 4.17(t, 4H), 4.53(t, 2H), 5.82(d, 2H), 6.13(q, 2H), 6.40(d, 2H), 6.83-6.90(m, 6H), 6.95-6.98(m, 4H), 7.14(t, 1H), 7.32(t, 1H), 7.52(t, 1H), 7.67(t, 2H), 8.33(s, 1H)ppm.
(실시예 0-4) 식(I-C-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Figure 112018028165959-pct00125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히드라진일수화물, 에탄올을 더했다. 가열하면서 식(I-C-6-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하하고 교반했다. 농축함에 의해, 식(I-C-6-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식(I-C-6-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2-디메톡시에탄, 트리에틸아민, 식(I-C-6-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더하고 가열 교반했다.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 및 식염수로 세정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헥산/아세트산에틸)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6-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반응 용기에 식(I-C-6-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식(I-C-6-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0-캠퍼설폰산, 테트라히드로퓨란, 에탄올을 더하고 가열 교반했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및 재결정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6-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식(I-C-6-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N-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디클로로메탄을 더했다. 빙냉하면서 염화아크릴로일을 더하고 교반했다. 통상의 후처리를 행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및 재결정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식(I-C-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전이 온도(승온 5℃/분) C 71 N 115 I
1H NMR(CDCl3)δ 1.19-1.29(m, 4H), 1.41-1.82(m, 22H), 1.91(m, 2H), 2.08(m, 4H), 2.24(m, 4H), 2.53(m, 2H), 3.62(m, 3H), 3.67(m, 2H), 3.84-3.90(m, 5H), 3.94(t, 4H), 4.15-4.19(m, 6H), 4.53(t, 2H), 5.76(dd, 1H), 5.82(dd, 2H), 6.08(dd, 1H), 6.12(dd, 2H), 6.37(dd, 1H), 6.40(dd, 2H), 6.84-6.90(m, 6H), 6.95-6.98(m, 4H), 7.14(t, 1H), 7.32(t, 1H), 7.53(d, 1H), 7.65(d, 1H), 7.69(d, 1H), 8.34(s, 1H)ppm.
LCMS : 1244[M+1]
(실시예 0-5) 식(I-C-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Figure 112018028165959-pct00126
WO2014-010325A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식(I-C-7-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했다. 실시예 0-3에 있어서 식(I-C-5-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식(I-C-7-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치환한 이외는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서, 식(I-C-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했다.
LCMS : 1188[M+1]
(실시예 0-6) 식(I-C-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Figure 112018028165959-pct00127
실시예 0-4에 있어서 식(I-C-6-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식(I-C-8-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치환한 이외는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서, 식(I-C-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했다.
LCMS : 1272[M+1]
(실시예 0-7) 식(I-C-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Figure 112018028165959-pct00128
일본 특개2016-081035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식(I-C-9-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했다. 실시예 0-1에 있어서 식(I-C-3-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식(I-C-9-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치환한 이외는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서, 식(I-C-9-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했다. 다음으로, 실시예 0-3에 있어서 식(I-C-5-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식(I-C-9-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치환한 이외는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서, 식(I-C-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했다.
LCMS : 1332[M+1]
(실시예 1∼30, 비교예 1∼20)
식(I-A-1) 내지 식(I-A-4), 식(I-B-1), 식(I-B-2), 식(I-C-1) 내지 식(I-C-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로서, 정제도가 서로 다른 혼합물을 준비했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조체에 대하여, 하기의 정제 방법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임의의 복수의 공정을 1회 또는 복수 회 행하고, 또한, 정제제나 용매의 사용량을 적의 조절해서, YI의 값이 각각 서로 다른 혼합물을 얻었다.
(정제 방법)
(정제법 1)
정제 대상의 혼합물에 메탄올을 더하여 결정화시켰다. 결정을 여과하고 클로로포름에 재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에 활성탄을 더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했다. 여과한 후, 용매를 1/3까지 증류 제거하고, 교반하면서 메탄올을 더했다. 석출한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시킴에 의해 혼합물을 얻었다.
(정제법 2)
정제 대상의 혼합물에 메탄올을 더하여 결정화시켰다. 결정을 여과하고 클로로포름에 재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교반하면서 메탄올을 더하고, 석출한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시킴에 의해 혼합물을 얻었다.
(정제법 3)
정제 대상의 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키고 용매를 증류 제거했다. 메탄올을 더하고 냉각하여 결정화시켰다. 석출한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시킴에 의해 혼합물을 얻었다.
(정제법 4)
정제 대상의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및 메탄올의 혼합 용매를 더하여 용해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에 의해 정제를 행함에 의해, 혼합물을 얻었다.
(정제법 5)
정제 대상의 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을 더하여 용해시키고 물로 세정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증류 제거했다. 톨루엔 및 아세트산에틸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에 의해 정제를 행함에 의해, 혼합물을 얻었다.
(정제법 6)
정제 대상의 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을 더하여 용해시키고 물로 세정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증류 제거했다. 헥산 및 아세트산에틸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에 의해 정제를 행함에 의해, 혼합물을 얻었다.
(정제법 7)
정제 대상의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활성탄을 더하고 가열 교반시켰다. 활성탄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및 알루미나) 및 재결정을 행함에 의해 혼합물을 얻었다.
(정제법 8)
정제 대상의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및 알루미나)에 의해 정제를 행함에 의해, 혼합물을 얻었다.
(정제법 9)
정제 대상의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아세톤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활성탄을 더하고 가열 교반시켰다. 활성탄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여, 용매를 증류 제거함에 의해 혼합물을 얻었다.
(정제법 10)
정제 대상의 혼합물을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실리카겔 및 알루미나를 더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시켰다. 실리카겔 및 알루미나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함에 의해 혼합물을 얻었다.
(정제법 11)
정제 대상의 혼합물을 메탄올에 분산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시켰다. 여과하고 건조시킴에 의해 혼합물을 얻었다.
(정제법 12)
정제 대상의 혼합물을 에탄올에 분산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시켰다. 여과하고 건조시킴에 의해 혼합물을 얻었다.
(정제법 13)
정제 대상의 혼합물을 헥산에 분산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시켰다. 여과하고 건조시킴에 의해 혼합물을 얻었다.
〈YI/Δn의 측정〉
상기한 평가 대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황색도를,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했다.
측정 대상물인 혼합물을, 20ppm 용액으로 되도록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했다. 단,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하지 않는 경우는, 용매로서 클로로포름 용액을 사용했다. 당해 용액을 광로 길이 1㎝의 투명 셀에 넣고, 분광 광도계를 사용해서 황색도를 산출했다.
화합물의 굴절률이방성은, 이하와 같이 측정했다. 하기의 식(a)으로 표시되는 화합물(25%), 식(b)으로 표시되는 화합물(25%), 식(c)으로 표시되는 화합물(25%), 식(d)으로 표시되는 화합물(25%)
Figure 112018028165959-pct00129
로 이루어지는 모체 액정에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10%, 20% 또는 30%)을 혼합하여 액정 조성물로 했다. 폴리이미드 배향막 부착 유리 기판을 사용해서, 폴리이미드 배향막의 러빙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두 유리 기판을 조합하여, 유리 셀을 작성했다. 그 유리 셀에, 상기 액정 조성물을 주입한 후에, 자외선(조도 800mJ/㎠)을 조사해서 경화시킨 후, 유리 셀로부터 필름을 벗겼다. 그 후, 압베 굴절률계로, 필름의 ne, no를 측정하고,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이 100질량%로 되도록 외삽한 굴절률이방성(Δn)을 산출했다.
얻어진 각 혼합물의 황색도를, 각 화합물의 Δn의 값으로 나눔에 의해, YI/Δn의 값을 산출했다.
〈화합물 함유량의 측정〉
평가 대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각 혼합물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함유량을 산출했다. 각 혼합물과 내표준 물질을 각각 정밀하게 혼합하고, 중수소 용매에 용해한 용액을 사용해서 1H NMR을 측정했다. 얻어진 스펙트럼에 있어서 화합물에 유래하는 피크 면적, 샘플 질량, 분자량과 내표준 물질에 유래하는 피크 면적, 샘플 질량, 분자량과의 관계로부터, 각 혼합물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함유량을 산출했다. 내표준 물질로서, 1,4-BTMSB-d4 표준 물질 또는 DSS-d6 표준 물질(와코쥰야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TraceSure)을 사용했다.
비교예 1, 비교예 3, 비교예 6에 있어서는, 일본 특개2011-207765호 공보에 기재된 각각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정제 방법을 실시했다. 비교예 8에 있어서는, 일본 특개2010-031223호 공보에 기재된 당해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정제 방법을 실시했다. 비교예 9에 있어서는, 일본 특개2008-273925호 공보에 기재된 당해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정제 방법을 실시했다. 비교예 11에 있어서는, 일본 특개2008-107767호 공보에 기재된 당해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정제 방법을 실시했다. 비교예 13에 있어서는, WO2014/010325A1호 공보에 기재된 당해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정제 방법을 실시했다. 비교예 15에 있어서는, WO2012/147904A1호 공보에 기재된 당해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정제 방법을 실시했다. 평가 대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각 혼합물에 대한, YI/Δn, 조체로부터의 정제 공정에 있어서의 수율 및 화합물 함유량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8028165959-pct00130
[표 2]
Figure 112018028165959-pct00131
표로부터, YI/Δn의 값이 0.5보다 작은, 비교예 1, 비교예 3, 비교예 5 등에 있어서는, 정제 수율이 저수율 내지 중 정도의 수율인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YI/Δn의 값이 0.5 이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YI/Δn의 값이 커짐에 따라 수율이 높아지지만, YI/Δn의 값이 500보다 큰, 비교예 2, 비교예 4, 비교예 6 등에 있어서는, 수율이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어느 혼합물에 있어서도, YI/Δn의 값이 0.5 이상, 500 이하의 범위인 것은, 수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었다.
(실시예 31∼57, 비교예 21∼38)
배향막용 폴리이미드 용액을 두께 0.7㎜의 유리 기재에 스핀 코트법을 사용해서 도포하고, 100℃에서 10분 건조한 후, 200℃에서 60분 소성함에 의해 도막을 얻었다. 얻어진 도막을 러빙 처리했다. 러빙 처리는, 시판의 러빙 장치를 사용해서 행했다.
평가 대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각 혼합물에 대하여, 광중합개시제 Irgacure907(BASF샤제)을 1%, 4-메톡시페놀을 0.1% 및 클로로포름을 80% 첨가하여 도포액을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러빙한 유리 기재에 스핀 코트법에 의해 도포했다. 하기 표에 기재된 온도에서 2분간 건조시킨 후, 추가로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해서, 자외선을 40mW/㎠의 강도로 25초간 조사함에 의해, 평가 대상의 필름을 각 혼합물에 대하여 20매 제작했다. 제작한 20매의 필름 중 10매를 사용하여, 시싱 정도에 대하여 평가했다.
다음으로, 제작한 20매의 필름 중 나머지의 10매의 각 필름에 대하여, 제논 램프 조사 테스트기(아트라스샤제 선테스트XLS)를 사용하여, 50mW/㎠, 25℃에서 100J의 광조사를 행했다. 얻어진 각 필름에 대하여, 배향 결함을 평가했다.
〈시싱 정도의 평가〉
제작한 10매의 각 필름에 대하여, 10모눈×10모눈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편광 현미경 관찰에서 시싱이 발생한 칸의 수(%)를 측정하고, 10매의 평균값을 산출했다.
〈배향 결함〉
제작한 10매의 각 필름에 있어서, 편광 현미경 관찰에서 발생한 배향 결함의 수를 측정하고, 그 합계를 산출했다.
식(I-C-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해서는, 단독으로 액정상을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에 평가를 행하지 않았다. YI/Δn값은 상기한 〈YI/Δn의 측정〉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서 측정한, 평가 대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것이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18028165959-pct00132
[표 4]
Figure 112018028165959-pct00133
상기 표로부터, 본원 발명의 필름은 시싱이 발생하기 어렵고, 광조사 후의 배향 결함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모체 액정의 조제〉
하기의 식(X-1-1) 내지 식(X-1-6), 식(X-2-1) 내지 식(X-2-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하기 표에 나타내는 비율로 혼합하여, 모체 액정(X-A)으로부터 모체 액정(X-E)을 조제했다. 각 모체 액정의 황색도는, 모체 액정을, 20ppm 용액으로 되도록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했다. 당해 용액을 광로 길이 1㎝의 투명 셀에 넣고, 분광 광도계를 사용해서 황색도를 산출했다. 측정해서 얻어진 값을, 모체 액정의 굴절률이방성(Δn)으로 나눔에 의해, 모체 액정의 YI/Δn을 산출했다.
Figure 112018028165959-pct00134
Figure 112018028165959-pct00135
[표 5]
Figure 112018028165959-pct00136
(실시예 58∼72, 비교예 39∼48)
배향막용 폴리이미드 용액을 두께 0.7㎜의 유리 기재에 스핀 코트법을 사용해서 도포하고, 100℃에서 10분 건조한 후, 200℃에서 60분 소성함에 의해 도막을 얻었다. 얻어진 도막을 러빙 처리했다. 러빙 처리는, 시판의 러빙 장치를 사용해서 행했다.
모체 액정(X-A)에, 상기 식(I-A-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30%, 식(I-A-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50%, 식(I-A-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30%, 식(I-B-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40%, 또는 식(I-C-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15% 각각 첨가하여, 하기의 액정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액정 조성물 각각에 대하여, 광중합개시제 Irgacure907(BASF샤제)을 3%, 4-메톡시페놀을 0.1% 및 클로로포름을 80% 첨가하여 도포액을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러빙한 유리 기재에 스핀 코트법에 의해 도포했다. 하기 표에 기재된 온도에서 2분간 건조시킨 후, 추가로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해서, 자외선을 40mW/㎠의 강도로 25초간 조사함에 의해, 평가 대상의 필름을 제작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서 시싱 정도 및 배향 결함을 평가했다. YI/Δn값은 상기한 〈YI/Δn의 측정〉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서 측정한, 평가 대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것이다(이하 마찬가지).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6]
Figure 112018028165959-pct00137
표로부터, 본원 발명의 필름은 시싱이 발생하기 어렵고, 광조사 후의 배향 결함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3∼87, 비교예 49∼58)
모체 액정(X-B)에, 상기 식(I-A-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5%, 식(I-B-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10%, 식(I-C-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20%, 식(I-C-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60%, 또는 식(I-C-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30% 각각 첨가하여, 하기의 액정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서 평가 대상의 필름을 제작하여, 시싱 정도 및 배향 결함을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7]
Figure 112018028165959-pct00138
표로부터, 본원 발명의 필름은, 시싱이 발생하기 어렵고, 광조사 후의 배향 결함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8∼102, 비교예 59∼68)
모체 액정(X-C)에, 상기 식(I-A-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30%, 식(I-A-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10%, 식(I-B-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50%, 식(I-C-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10%, 또는 식(I-C-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55% 각각 첨가하여, 하기의 액정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서 평가 대상의 필름을 제작하여, 시싱 정도 및 배향 결함을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8]
Figure 112018028165959-pct00139
표로부터, 본원 발명의 필름은 시싱이 발생하기 어렵고, 광조사 후의 배향 결함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3∼117, 비교예 69∼78)
모체 액정(X-D)에, 상기 식(I-A-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70%, 식(I-B-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50%, 식(I-C-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90%, 식(I-C-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5%, 또는 식(I-C-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25% 각각 첨가하여, 하기의 액정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서 평가 대상의 필름을 제작하여, 시싱 정도 및 배향 결함을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9]
Figure 112018028165959-pct00140
표로부터, 본원 발명의 필름은 시싱이 발생하기 어렵고, 광조사 후의 배향 결함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8∼132, 비교예 79∼88)
모체 액정(X-E)에, 상기 식(I-A-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50%, 식(I-A-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40%, 식(I-A-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60%, 식(I-C-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15%, 또는 식(I-C-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5% 각각 첨가하여, 하기의 액정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서 평가 대상의 필름을 제작하여, 시싱 정도 및 배향 결함을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10]
Figure 112018028165959-pct00141
표로부터, 본원 발명의 필름은 시싱이 발생하기 어렵고, 광조사 후의 배향 결함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3∼156, 비교예 89∼104)
실시예 31∼57 및 비교예 21∼38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시싱 정도의 평가 및 배향 결함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11]
Figure 112018028165959-pct00142
[표 12]
Figure 112018028165959-pct00143
상기 표로부터, 본원 발명의 필름은 시싱이 발생하기 어렵고, 광조사 후의 배향 결함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57∼180, 비교예 105∼120)
모체 액정(X-E)에, 상기 식(I-A-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50%, 식(I-B-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40%, 식(I-B-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60%, 식(I-C-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15%, 식(I-C-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5%, 식(I-C-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15%, 식(I-C-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5%, 식(I-C-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15%, 각각 첨가하여, 하기의 액정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서 평가 대상의 필름을 제작하여, 시싱 정도 및 배향 결함을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13]
Figure 112018028165959-pct00144
[표 14]
Figure 112018028165959-pct00145
표로부터, 본원 발명의 필름은 시싱이 발생하기 어렵고, 광조사 후의 배향 결함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YI/Δn의 값이 0.5 이상, 500 이하의 범위인 혼합물은, 시싱의 발생이 억제되고, 광조사 후의 배향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메소겐기를 갖는 역파장분산성 또는 저파장분산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화합물이 중합성기를 갖고, 하기의 식(식 1)
    0.5≤YI/Δn≤500 (식 1)
    (식 중, YI는 화합물의 황색도를 나타내고, Δn은 필름으로 한 경우의 파장 550㎚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방성을 나타낸다)을 충족시키는 혼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파장분산성 또는 저파장분산성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I)
    Figure 112020003673982-pct00146

    (식 중, R1 및 R2은 각각 독립해서 식(I-0-R)
    Figure 112020003673982-pct00147

    (식 중, P0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Sp0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Sp0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0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0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0-(Sp0-X0)k0-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0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기, 수소 원자, 탄소 원자수 1 내지 8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탄화수소기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임의의 탄소 원자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단, R1 및 R2의 적어도 하나는 식(I-O-R)으로 표시되는 기이고,
    A1 및 A2는 각각 독립해서 1,4-페닐렌기, 1,4-시클로헥실렌기, 피리딘-2,5-디일기, 피리미딘-2,5-디일기, 나프탈렌-2,6-디일기, 나프탈렌-1,4-디일기,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6-디일기, 데카히드로나프탈렌-2,6-디일기 또는 1,3-디옥산-2,5-디일기를 나타내지만, 이들 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의 치환기 L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고,
    L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노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트리메틸실릴기, 디메틸실릴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L은 PL-(SpL-XL)kL-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도 되고, 여기에서 PL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SpL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SpL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L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L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L-(SpL-XL)kL-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L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화합물 내에 L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Z1 및 Z2는 각각 독립해서 -O-, -S-, -OCH₂-, -CH₂O-, -CH₂CH₂-,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OCO-NH-, -NH-COO-, -NH-CO-NH-, -NH-O-, -O-NH-,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 -N=CH-,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으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내지만, Z1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Z2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지만,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각각 독립해서, 존재하는 Z1 및 Z2 중 적어도 하나는 -O-, -S-, -OCH₂-, -CH₂O-, -CH₂CH₂-,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NH-O-, -O-NH-,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 -N=N-, -CH=N-, -N=CH-, -CF=CF-, -C≡C- 또는 단결합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고,
    G1는 방향족 탄화수소환 또는 방향족 복소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환을 갖는 2가의 기를 나타내지만, G1로 나타나는 기 중의 방향환에 포함되는 π 전자의 수는 12 이상이고, G1로 나타나는 기는 무치환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LG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고,
    LG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펜타플루오로설퓨라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노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트리메틸실릴기, 디메틸실릴기, 티오이소시아노기, 또는, 1개의 -CH₂- 또는 인접하고 있지 않은 2개 이상의 -CH₂-가 각각 독립해서 -O-, -S-,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H=CH-, -CF=CF- 또는 -C≡C-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당해 알킬기 중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고, 혹은, LG은 PLG-(SpLG-XLG)kLG-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도 되고, 여기에서 PLG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SpLG는 스페이서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SpLG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XLG는 -O-, -S-, -OCH₂-, -CH₂O-, -CO-, -COO-, -OCO-, -CO-S-, -S-CO-, -O-CO-O-, -CO-NH-, -NH-CO-, -SCH₂-, -CH₂S-, -CF₂O-, -OCF₂-, -CF₂S-, -SCF₂-, -CH=CH-COO-, -CH=CH-OCO-, -COO-CH=CH-, -OCO-CH=CH-, -COO-CH₂CH₂-, -OCO-CH₂CH₂-, -CH₂CH₂-COO-, -CH₂CH₂-OCO-, -COO-CH₂-, -OCO-CH₂-, -CH₂-COO-, -CH₂-OCO-, -CH=CH-, -N=N-, -CH=N-N=CH-, -CF=CF-, -C≡C-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지만, XLG가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단, PLG-(SpLG-XLG)kLG-에는 -O-O-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kLG는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화합물 내에 LG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며 달라도 되고,
    m1 및 m2는 각각 독립해서 0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m1+m2는 0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것인, 혼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혼합물의 총 함유량이 5.0질량%∼90.0질량%인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액정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광학 이방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막.
  9. 제7항에 기재된 광학 이방체를 갖는 표시 장치.
  10. 제7항에 기재된 광학 이방체를 갖는 광학 소자.
  11. 제7항에 기재된 광학 이방체를 갖는 발광 장치.
  12. 제7항에 기재된 광학 이방체를 갖는 인쇄물.
  13. 제7항에 기재된 광학 이방체를 갖는 광정보 기록 장치.
KR1020187008030A 2015-09-03 2016-07-14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그리고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 광학 이방체, 및 위상차막 KR102098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3757 2015-09-03
JPJP-P-2015-173757 2015-09-03
PCT/JP2016/070830 WO2017038267A1 (ja) 2015-09-03 2016-07-14 メソゲン基を有する化合物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並びに重合性組成物を重合することにより得られる重合体、光学異方体、並びに位相差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340A KR20180044340A (ko) 2018-05-02
KR102098617B1 true KR102098617B1 (ko) 2020-04-08

Family

ID=5818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030A KR102098617B1 (ko) 2015-09-03 2016-07-14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그리고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 광학 이방체, 및 위상차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327668A1 (ko)
JP (1) JPWO2017038267A1 (ko)
KR (1) KR102098617B1 (ko)
CN (1) CN107924015B (ko)
WO (1) WO20170382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081A (ko) * 2015-11-09 2018-07-1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중합성 화합물 및 광학 이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8103B2 (ja) 2014-12-25 2019-08-28 Dic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及び光学異方体
JP6237934B2 (ja) 2015-01-16 2017-11-29 Dic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異方体
CN107207652B (zh) 2015-01-16 2022-10-18 Dic株式会社 聚合性组合物和使用其的光学各向异性体
EP3346304A4 (en) 2015-09-03 2019-04-24 DIC Corporation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UND HAVING A MESOGENIC GROUP, POLYMER AND OPTICALLY ANISOTROPIC BODY OBTAINED BY POLYMERIZATION OF A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PHASE DIFFERENCE FILM
CN108290850A (zh) * 2015-12-07 2018-07-17 Dic株式会社 聚合性化合物的制造方法
WO2019017444A1 (ja) 2017-07-19 2019-01-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重合性液晶化合物、重合性液晶組成物、光学異方性膜、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871474B2 (ja) * 2018-02-14 2021-05-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感光性接着剤付き円偏光板
JP7145955B2 (ja) * 2018-09-04 2022-10-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有機電界発光装置、液晶表示装置
TW202035380A (zh) * 2018-12-11 2020-10-01 日商Dic股份有限公司 液晶組成物及顯示元件、以及化合物
KR20210070042A (ko) *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중합성 화합물, 중합성 조성물 및 광학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2334A1 (en) * 2004-03-31 2005-10-06 Veeraraghavan Srinivasan Methods for producing and purifying 2-hydrocarbyl-3,3-bis(4-hydroxyaryl)phthalimidine monomers and polycarbonates derived therefrom
WO2015080220A1 (ja) * 2013-11-29 2015-06-04 Dic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組成物、重合体、光学異方体、液晶表示素子及び有機el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5708B2 (ja) * 2003-03-13 2010-07-21 Dic株式会社 重合性液晶組成物
JP2006039164A (ja) 2004-07-27 2006-02-09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4894258B2 (ja) * 2005-03-29 2012-03-14 Jnc株式会社 重合性液晶組成物および光学異方性薄膜
JP5316739B2 (ja) * 2007-08-29 2013-10-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391682B2 (ja) * 2007-12-28 2014-01-15 住友化学株式会社 化合物、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445449B2 (ja) * 2008-03-24 2014-03-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アクリル樹脂含有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9242718A (ja) * 2008-03-31 2009-10-22 Fujifilm Corp 重合性液晶化合物と安定剤からなる液晶組成物
JP5899607B2 (ja) * 2009-03-16 2016-04-06 住友化学株式会社 化合物、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229169B2 (ja) * 2009-09-11 2013-07-0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液晶化合物の製造方法
EP2871192B1 (en) * 2012-07-09 2018-06-20 Zeon Corporation Polymerizable compound, polymerizable composition, polymer, optically anisotropic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merizable compound
JP2014081622A (ja) * 2012-09-28 2014-05-08 Fujifilm Corp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TWI582218B (zh) * 2012-10-30 2017-05-11 Zeon Corp Liquid crystal composition, retardation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optical anisotropic layer
CN106029835B (zh) * 2014-03-04 2022-02-25 Dic株式会社 含有具有介晶基的化合物的混合物
US20170066967A1 (en) * 2014-03-04 2017-03-09 Dic Corporation Polymerizable composition comprising compound having mesogenic group, and polymer thereof
EP3121168B1 (en) * 2014-03-19 2020-10-21 Zeon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izable compou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2334A1 (en) * 2004-03-31 2005-10-06 Veeraraghavan Srinivasan Methods for producing and purifying 2-hydrocarbyl-3,3-bis(4-hydroxyaryl)phthalimidine monomers and polycarbonates derived therefrom
WO2015080220A1 (ja) * 2013-11-29 2015-06-04 Dic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組成物、重合体、光学異方体、液晶表示素子及び有機el素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081A (ko) * 2015-11-09 2018-07-1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중합성 화합물 및 광학 이방체
KR102600890B1 (ko) * 2015-11-09 2023-11-1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중합성 화합물 및 광학 이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8267A1 (ja) 2017-03-09
JPWO2017038267A1 (ja) 2017-11-09
CN107924015A (zh) 2018-04-17
KR20180044340A (ko) 2018-05-02
US20180327668A1 (en) 2018-11-15
CN107924015B (zh)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617B1 (ko)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그리고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 광학 이방체, 및 위상차막
KR102098616B1 (ko)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 광학 이방체, 그리고 위상차막
KR101752694B1 (ko)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TWI575061B (zh) 聚合性液晶組成物、光學各向異性體及其製造方法
US9809668B2 (en) Polymerizable compound, composition, polymer, optically anisotropic bod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 device
WO2015198915A1 (ja) 重合性液晶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て作製した光学異方体、位相差膜、位相差パターニング膜
JP7082127B2 (ja) 重合性液晶組成物、そ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71987B1 (ko) 메소겐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및 그 중합체
JP6554777B2 (ja) 光配向膜用の共重合体
WO2015056600A1 (ja) 重合性液晶組成物の製造方法
US20170029655A1 (en) Polymerizable compound, composition, polymer, optically anisotropic bod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 device
JP6296135B2 (ja) 重合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EP3312258A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optically anisotropic body using same
JP2013035938A (ja) 重合性コレステリック液晶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コレステリック反射フィルム
JP5767619B2 (ja) 液晶組成物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キラル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