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895B1 - 과좌식 차량 - Google Patents

과좌식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895B1
KR102066895B1 KR1020180164826A KR20180164826A KR102066895B1 KR 102066895 B1 KR102066895 B1 KR 102066895B1 KR 1020180164826 A KR1020180164826 A KR 1020180164826A KR 20180164826 A KR20180164826 A KR 20180164826A KR 102066895 B1 KR102066895 B1 KR 102066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pening
storage pocket
power supply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노리 우치사와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2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hielding only the rider's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2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 B62J9/21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above or alongside the front wheel, e.g. on the handle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6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1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 B62J9/1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in the fai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10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over or beside driven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표는 기다란 제품들(예: 플라스틱병)을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전원공급부로부터 용이하게 와이어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덮개가 없는 수납 포켓은, 다리보호부의 상면부에 제공되며 제품들을 넣거나 꺼내기 위해 위로 개방되어 있는 개구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는 수납포켓에서 개구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충전장치는 저누언공급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의 축은 수납 포켓의 개구를 통과한다. 차량 측면도에서, 수납 포켓의 개구는 안장의 안장면 중 전단부보다 위에 배치되며, 차량 배면도에서는 전원공급부와 겹쳐지지만 차량 평면도에서는 전원공급부와 겹쳐지지 않는다. 수납 포켓은 차량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차량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는다. 차량 배면도에서의 수납 포켓의 개구의 면적은 차량 평면도에서의 수납 포켓의 개구의 면적보다 크다.

Description

과좌식 차량{STRADDLED VEHICLE}
본 발명은 과좌식 차량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에 있어서, 개폐덮개를 구비한 수납 포켓을 갖는 과좌식 차량이 존재한다. 수납 포켓은 운전자와 마주하고 전방커버의 후방부에 제공된다. 휴대정보 단말기 등을 충전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는 수납 포켓의 내부에 배치된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WO2014/157372
최근에, 전방커버에 제공된 수납 포켓에 플라스틱병 또는 스마트폰 등의 기다란 제품들을 용이하게 넣거나 꺼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로의 접근용이성 및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와이어에 대한 취급 우수성이 요구된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납 포켓이 개폐덮개를 갖는다면, 개폐덮개와 개폐덮개의 개폐 메커니즘 등에 대한 공간이 필요하다. 공간에 대한 이러한 필요성은 수납 포켓의 수납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기다란 제품들이 개폐덮개를 방해하기 때문에, 기다란 제품들을 수납 포켓에 수납하는 것은 까다롭다.
또한, 종래의 개폐덮개는 운전자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개폐덮개를 개폐할 때 운전자의 다리가 개폐덮개에 방해받기 쉽다. 특히, 수납 포켓에서 제품들을 넣거나 꺼낼 때, 운전자의 다리가 제품들에 방해받기 쉽다. 따라서, 수납포켓의 유용성은 떨어진다.
또한, 수납 포켓이 개폐덮개를 구비한 경우에, 전원공급부로부터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것은 까다롭다. 특히, 전원공급부가 수납 포켓의 먼 벽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들이 수납 포켓에 수납되어 있을 때 전원공급부로부터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것은 더 까다롭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좌식 차량의 수납 포켓에 기다란 제품들(예: 플라스틱병)을 넣거나 꺼내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또한 전원공급부로부터 와이어를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목적은 독립항인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과좌식 차량에 의해 해결되며,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1)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과좌식 차량은 헤드파이프, 전방커버, 조향 샤프트, 핸들부, 다리보호부, 운전자가 앉기 위한 안장, 수납 포켓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조향 샤프트는 헤드파이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핸들부는 조향 샤프트에 고정된 핸들바를 포함하며, 핸들커버가 핸들바를 덮고 있다. 전방커버는 헤드파이프의 전방을 덮고 있다. 다리보호부는 전방커버 뒤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다리보호부는 전방커버의 후단부로부터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면부와 상면부로부터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후면부를 포함한다. 안장은 다리보호부보다 뒤에 배치된다. 수납 포켓은 덮개가 없으며 차량의 폭 방향에서 헤드파이프의 일 측에 제공된다. 수납 포켓은 다리보호부의 상면부에 제공되고 제품들을 넣거나 꺼내기 위해 위로 개방되어 있는 개구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는 수납 포켓에서 개구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충전장치는 전원공급부 상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의 축은 수납 포켓의 개구를 통과한다. 차량 평면도에서 수납 포켓의 개구 중 적어도 일부는 핸들커버와 겹쳐진다. 차량 측면도에서 수납 포켓의 개구는 안장의 안장면 중 전단부보다 위에 배치되며 차량 배면도에서 전원공급부와 겹쳐지고, 차량 평면도에서는 전원공급부와 겹쳐지지 않는다. 수납 포켓은 차량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는다. 차량 배면도에서의 수납 포켓의 개구의 면적은 차량 평면도에서의 수납 포켓의 개구의 면적보다 크다.
첫째,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의 수납부의 개폐덮개를 제거하여 수납부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시도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개폐덮개를 제거하여 액세서리 소켓으로부터 와이어를 더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하지만, 수납부의 개구가 운전자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공되기 때문에, 개폐덮개가 제거된 경우에도 제품들을 넣거나 꺼낼 때 운전자의 다리는 방해받기 쉬우며, 제품들을 꺼내는 용이성은 떨어진다. 또한, 개폐덮개가 제거된 결과로서, 수납부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이동중의 가속 또는 감속으로 인해 제품들이 수납부에서 더 쉽게 빠져나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수납부의 구조에 대해 더 조사하였으며, 차량 외부커버의 형상에 주목하였다. 외부커버의 일부인 다리보호부는 차량 측면도에서 전방커버 뒤에 배치된다. 다리보호부는 차량의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면과 상면으로부터 차량의 상면의 후단부에서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후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운전자의 다리가 제품들을 넣거나 꺼낼 때 덜 방해받을 수 있는 다리보호부의 상면에 주목하였으며, 상면에 수납부의 개구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수납부가 기다린 제품들(예: 플라스틱병)을 수납할 수 있도록, 다리보호부의 후면을 따라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적으로 긴 형상의 수납부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제품들을 수납부에 넣거나 꺼낼 때 운전자의 다리는 덜 방해받을 수 있으며,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시 다리보호부의 후면으로 인해 수납 박스에 제품들은 보다 용이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수납부의 개구가 다리보호부의 상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우천시 빗물은 수납부에 더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빗물이 수납부에 배치된 전원공급부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물이 전원공급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들을 더 조사하였다.
첫째, 발명자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빗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핸들커버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발명자는 차량 평면도에서 핸들커버와 겹쳐지는 위치에 수납부의 개구 중 적어도 일부를 배치하였다.
즉, 하늘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에 대하여 보호하기 위해 핸들커버를 사용함으로써 빗물은 수납부에 도달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발명자는 외부커버(특히, 다리보호부의 상면)에 붙은 빗물이 차량의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면의 경사를 따라 흐른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따라서, 발명자는 수납부 내에서 수납부의 개구로부터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에 그리고 다리보호부의 상면과 겹치는 위치에 전원공급부를 배치했다. 또한, 발명자는 차량 배면도에서 전원공급부와 겹치도록 그리고 차량 평면도에서 전원공급부와는 겹치지 않도록 개구를 배치했다.
즉, 발명자는 차양(eave)으로서의 다리보호부의 상면을 전원공급부로부터 위에 배치했다. 그 결과, 외부커버에 붙은 빗물이 외부커버를 따라 흐르게 되므로, 전원공급구에 도달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전원공급부에 직접 떨어지는 빗물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배면도에서, 전원공급부가 개구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개구로부터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용이성은 우수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수납 포켓의 개구는 위로 개방되어 있으며 수납 포켓 상에 덮개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다란 제품들(예: 음료용기)을 용이하게 넣고 꺼낼 수 있다. 또한, 수납 포켓이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기다란 제품들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의 축은 개구를 통과하고, 또한 차량 배면도에서 수납 포켓의 개구는 전원공급부와 겹치는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수납 포켓 내 배치된 전원공급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와이어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용이하게 잡아당겨질 수 있다. 또한, 차량 평면도에서, 수납 포켓의 개구 중 적어도 일부는 핸들커버와 겹쳐진다. 따라서, 빗물은 개구에 도달하기 어렵다. 차량 평면도에서, 수납 포켓의 개구는 전원공급부와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빗물이 전원공급부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수납 포켓은 제 1 바닥부를 포함하는 제 1 수납부와 제 1 바닥부보다 위에 배치된 제 2 바닥부를 포함하는 제 2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전원공급부는 제 2 수납부의 제 2 바닥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원공급부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와이어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용이하게 잡아당겨질 수 있다.
(3) 제 2 수납부의 제 2 바닥부는 후방 및 하방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원공급부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와이어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용이하게 잡아당겨질 수 있다.
(4) 제 1 수납부의 제 1 바닥부는 후방 및 하방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으로, 제품들은 제 1 수납부에 안정되게 수납될 수 있다.
(5) 수납 포켓의 제 1 수납부는 제 1 수납부의 제 1 바닥부 중 전단부를 제 2 수납부의 제 2 부닥부 중 후단부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수납부의 제 2 바닥부 중 후단부는 제 1 수납부의 제 1 바닥부 중 전단부보다 뒤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 2 바닥부의 후단부는 제 1 수납부에 저장된 제품들의 움직임을 줄일 수 있다.
(6) 제 1 수납부의 제 1 바닥부는 배수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 1 수납부에 유입되는 빗물은 제 1 수납부에서 배출될 수 있다.
(7) 수납 포켓의 제 1 수납부 중 제 1 바닥부는 안장의 안장면의 전단부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기다란 제품들을 보다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8) 수납 포켓의 개구는 전-후 방향으로의 최대 치수보다 큰 폭 방향으로의 최대 치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폭 방향으로 긴 제품들을 보다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다.
(9) 다리보호부의 후면부는 수납 포켓의 수납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과좌식 차량의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10) 과좌식 차량은 전방커버 또는 다리보호부에 고정되는 내부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수납 포켓의 수납공간은 다리보호부와 내부패널 사이에 규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수납 포켓의 수납공간은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과좌식 차량의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11) 차량 평면도에서, 수납 포켓의 개구 중 주변부 상의 다리보호부의 상면부가 수납 포켓의 수납공간 중 일부와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면부 중 일부는 빗물이 수납공간 내로 직접 흘러 떨어지는 범위을 제한하는 차양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수납공간에 수납된 제품들이 수납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2) 수납 포켓은 핸들부가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르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 음료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납 포켓에 수납된 음료용기의 축은 핸들부의 핸들커버와 교차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음료용기를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좌식 차량에서 기다란 제품들(예: 플라스틱병)을 보다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으며, 또한 전원공급부로부터 와이어를 보다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과좌식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뒤에서 바라본 과좌식 차량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뒤에서 바라본 과좌식 차량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위에서 바라본 과좌식 차량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수납 포켓의 주변부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7은 수납 포켓의 주변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수납 포켓의 주변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위에서 바라본 과좌식 차량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안장의 주변부들과 수납 포켓의 주변부들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뒤에서 바라본 내부패널의 주변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과좌식 차량의 실시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재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 "상-하", "좌-우"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과좌식 차량(100)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시점을 기초로 하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과좌식 차량(10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뒤에서 바라본 과좌식 차량(100)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뒤에서 바라본 과좌식 차량(100)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과좌식 차량(100)은 스쿠터형 차량이다.
과좌식 차량(100)은 바디프레임(2), 조향장치(3), 바디커버(4), 전륜(5), 후륜(6), 구동장치(7) 및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안장(8)을 포함한다.
바디프레임(2)은 헤드파이프(11), 다운프레임(12), 하부프레임(13) 및 후방프레임을 포함한다.
헤드파이프(11)는 과좌식 차량(100)의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된다. 다운프레임(12)은 헤드파이프(11)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부프레임(13)은 다운프레임(12)의 하부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방프레임(14)은 하부프레임(13)의 후면부에서부터 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향장치(3)는 헤드파이프(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조향장치(3)는 조향 샤프트(15), 핸들부(16) 및 서스펜션(현가장치)(17)을 포함한다. 조향 샤프트(1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헤드파이프(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핸들부(16)는 조향 샤프트(15)의 상부에 고정된다. 핸들부(16)는 핸들바(16a), 핸들커버(16b) 및 손잡이부(16c)를 포함한다. 핸들바(16a)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조향 샤프트(15)의 상부에 고정된다. 핸들커버(16b)는 핸들바(16a)를 덮고 있다. 손잡이부들(16c) 핸들바(16a)의 양 단에 각각 제공된다. 서스펜션(17)은 조향 샤프트(15)의 하부에 연결된다. 서스펜션(17)은 전륜(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바디커버(4)는 전방커버(18), 후면커버(19), 왼다리보호부(20L), 오른다리보호부(20R), 하부커버(21) 및 후방커버(22)를 포함한다.
전방커버(18)는 헤드파이프(11)의 전방을 덮고 있다. 후면커버(19)는 다운 프레임(12)의 후면과 헤드파이프(11)를 덮고 있다. 왼다리보호부(20L)는 후면커버(19)의 죄측에 배치된다. 왼다리보호부(20L)는 전방커버(18) 뒤에 배치되며 전방커버(18)에 연결된다. "연결"이라는 용어는 직접적인 연결에만 제한되지 않고 간접적인 연결 역시 포함한다. 또한, "연결"이라는 용어는 서로 독립적인 부재들을 고정시키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단일 부재 내의 복수의 부분들이 이어지는 것 역시 포함한다.
왼다리보호부(20L)는 상면부(23) 및 후면부(24)를 포함한다. 상면부(23)는 전방커버(18)의 후단부(18a)에서부터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면부(23)는 제 1 상면부(23a) 및 제 2 상면부(23b)를 포함한다. 제 1 상면부(23a)는 전방커버(18)의 후단부(18a)에서부터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상면부(23b)는 제 1 상면부(23a)의 경사보다 큰 경사로 제 1 상면부(23a)의 후방부에서부터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면부(24)는 제 1 후면부(24a) 및 제 2 후면부(24b)를 포함한다. 제 1 후면부(24a)는 제 2 상면부(23b)의 후단부에서부터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후면부(24b)는 하부커버(21)를 향하여 제 1 후면부(24a)의 하단부에서부터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오른다리보호부(20R)는 후면커버(19)의 우측에 배치된다. 오른다리보호부(20R)는 전방커버(18) 뒤에 배치되며 전방커버(18)와 연결되어 있다. 개폐형 수납박스(28)는 오른다리보호부(20R)에 제공된다. 오른다리보호부(20R)는 상면부(25) 및 후면부(26)를 포함한다. 상면부(25)는 전방커버(18)의 후단부(18a)에서부터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면부(26)는 상면부(25)의 후단부에서부터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 후면부(26a)와 하부커버(21)를 향하여 제 1 후면부(26a)의 하단부에서부터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2 후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하부커버(21)는 하부프레임(13)의 주변부들을 덮고 있다. 하부커버(21)는 운전자의 발이 놓이는 발판(21a)을 포함한다. 발판(21a)은 하부프레임(13)의 상부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발판(21a)은 평탄한 형상을 갖는 평탄한 발판이지만, 차량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부가 위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방커버(22)는 후방프레임(14)의 좌측 및 우측 모두를 덮고 있다.
구동장치(7)는 예를 들어 엔진과 같은 모터를 포함한다. 구동장치(7)는 안장 아래에 배치된다.
안장(8)은 왼다리보호부(20L) 및 오른다리보호부(20R)보다 뒤에, 그리고 후방프레임(14) 위에 배치된다. 안장(8)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후방프레임(14)에 의해 지지된다. 안장(8)은 운전자가 착석하는 제 1 안장면(8a)과 동승자가 착석하는 제 2 안장면(8b)을 포함한다. 제 2 안장면(8b)은 제 1 안장면(8a) 뒤에, 그리고 제 1 안장면(8a)보다 위에 배치된다.
도 4는 위에서 바라본 과좌식 차량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핸들부(16)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점을 이해해야 한다.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좌식 차량(100)은 수납 포켓(30), 내부패널(31), 전원공급부(32)를 더 포함한다. 수납 포켓(30)은 차량의 폭 방향에서 헤드파이프(11)의 일 측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납 포켓(30)은 차량의 폭 방향에서 헤드파이프(11)의 좌측에 제공된다. 수납 포켓(30)은 차량의 폭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납 포켓(30)은 차량의 상-하 방향의 길이(L2)가 차량의 전-후 방향의 길이(L1)보다 길다. 수납 포켓(30)에 있어서, 제품들이 수납되는 수납공간(30a) 중 적어도 일부는 왼다리보호부(20L)의 제 1 후면부(24a)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납공간(30a)의 뒤편은 왼다리보호부(20L)의 제 1 후면부(24a)에 의해 덮여 있다. 수납공간(30a)이 상면부(23), 제 1 후면부(24a) 및 내부패널(31)에 의해 규정된 공간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도 6은 수납 포켓(30)의 주변부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7은 수납 포켓(30)의 주변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수납 포켓(30)의 주변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포켓(30)은 제품들을 넣거나 꺼내는 개구(33)를 포함한다. 개구(33)는 위로 개방되어 있다. 개구(33)는 왼다리보호부(20L)의 상면부(23)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33)는 제 1 상면부(23a)와 제 2 상면부(23b)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하지만, 개구(33)는 제 2 상면부(23b)에만 형성될 수 있다. 개구(33)는 안장의 제 1 안장면(8a)보다 위에 배치된다. 개구(33)는 차량의 폭 방향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33)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최대 치수(L4)보다 긴 폭 방향의 최대 치수(L3)를 갖는다. 또한, 개구(33)의 극좌단부와 극우단부 사이의 길이(L5)는 개구(33)의 극상단부와 극하단부 사이의 길이(L6)보다 길다. 개구(33)는 개구의 후방부가 전방부보다 낮도록 경사진다. 즉, 개구(33)는 위로 그리고 뒤로 개방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배면도에서 개구(33)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주변부와 코너부들은 챔퍼링되어 있다(chamfered, 모깍기). 개구(33)는 전방에지부(33a), 후방에지부(33b), 죄측에지부(33c) 및 우측에지부(33d)를 포함한다. 전방에지부(33a) 및 후방에지부(33b)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우측이 죄측보다 아래에 배치되도록 경사진다. 후방에지부(33b)는 전방에지부(33a)보다 뒤에 배치되며, 전방에지부(33a)보다 큰 경사를 갖는다. 죄측에지부(33c) 및 우측에지부(33d)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후측은 전측보다 아래에 배치되도록 경사진다. 우측에지부(33d)는 죄측에지부(33c)보다 길게 더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배면도에서의 수납 포켓(30) 중 개구의 면적(도 6 참조)은 차량 평면도에서의 수납 포켓(30) 중 개구(33)의 면적(도 7 참조)보다 크다. "개구(33)의 면적"이라는 어구는 전방에지부(33a), 후방에지부(33b), 좌측에지부(33c) 및 우측에지부(33d)를 제외한 개구(33)의 부분면적을 의미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수납 포켓(30)은 개구(33)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구(33)는 항상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 포켓(30)은 개구(33)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제품들도 수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배면도에서 개구(33)는 전원공급부(32) 중 적어도 일부와 겹쳐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평면도에서 개구(33)는 전원공급부(32) 중 일부와 겹쳐진다. 구체적으로, 차량 평면도에서 전원공급부(32)는 개구(33)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차량 배면도에서 개구(33)가 전원공급부(32) 전체와 겹쳐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33)는 차량 평면도에서 전원공급부(32)와 겹쳐지지 않는다. 개구(33)의 전방에지부(33a)는 전원공급부(32)보다 뒤에 배치된다. 즉, 전원공급부는 차량 평면도에서 개구(33)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33)의 에지부 상의 왼다리보호부(20L)의 상면부(23)는 차량 평면도에서 수납 포켓(30)의 수납공간(30a) 중 일부와 겹쳐진다. 즉, 개구(33)의 전방에지부(33a), 후방에지부(33b), 좌측에지부(33c) 및 우측에지부(33d)는 수납 포켓(30)의 수납공간(30a) 중 일부와 겹쳐진다. 따라서, 상면부(23)의 일부는 빗물이 저장공간(30a) 내로 직접 떨어지는 범위를 제한하는 차양으로서 제공된다. 또한, 수납 포켓(30)에 수납된 제품들이 수납 포켓(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위에서 바라본 과좌식 차량(100)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6)는 수납 포켓(30)보다 위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핸들부(16)는 개구(33) 위에 배치된다. 핸들부(16)는 차량 평면도에서 개구(33)와 겹쳐진다. 구체적으로, 핸들부(16)의 핸들커버(16b)는 차량평면도에서 개구(33) 중 적어도 일부와 겹쳐진다. 따라서, 핸들부(16)는 빗물이 개구(33)를 통하여 수납공간(30a) 내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안장(8)의 주변부들과 수납 포켓(30)의 주변부들에 대한 확대도이다. 헤드파이프(11) 및 핸들부(16)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도 10에서 운전자가 안장(8)의 제 1 안장면(8a)에 착석하는 경우에 운전자의 다리 위치가 도시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33)는 안장(8)의 제 1 안장면(8a) 중 전단부(8c)보다 위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포켓(30)은 제 1 수납부(35) 및 제 2 수납부(3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수납부(35)는 차량의 폭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수납부(35)는 음료용기(51), 휴대정보 단말기(52)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용기(51)는 원통형의 플라스틱병이며 휴대정보 단말기(52)는 얇은 스마트폰이다.
제 1 수납부(35)는 제 1 바닥부(35a)와 제 1 연결부(35b)를 포함한다. 제 1 바닥부(35a)는 제 1 수납부(35)의 바닥면이다. 제 1 바닥부(35a)는 차량의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바닥부(35a)는 후단부(35d)가 전단부(35c)보다 아래에 배치되도록 후방 및 하방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납부(35)에 수납된 제품들은 왼다리보호부(20L)의 제 1 후면부(24a)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수납된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음료용기(51)는 왼다리보호부(20L)의 제 1 후면부(24a)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제 1 수납부(35)에 수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닥부(35a)는 차량 평면도에서 개구(33)와 겹쳐지지 않는다. 즉, 제 1 바닥부(35a)는 개구(33)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닥부(35a)는 차량 평면도에서 제 1 상면부(23a)와 겹쳐진다. 제 1 바닥부(35a)의 후단부(35d)는 개구(33)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닥부(35a)는 안장(8)의 제 1 안장면(8a) 중 전단부(8c)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제 1 바닥부(35a)는 배수구멍(35e)을 포함한다. 배수구멍(35e)은 제 1 바닥부(35a)의 후단부(35d)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수구멍(35e)은 제 1 바닥부(35a)의 후단부(35d)와 왼다리부호부(20L)의 제 1 후면부(24a) 사이에 제공되는 틈으로부터 구성된다.
제 1 연결부(35b)는 제 1 수납부(35)의 제 1 바닥부(35a) 중 전단부(35c)를 제 2 수납부(36)의 제 2 바닥부(36a) 중 후단부(36d)(후술함)에 연결한다. 제 1 연결부(35b)는 제 1 수납부(35)의 제 1 바닥부(35a) 중 전단부(35c)에서부터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수납부(36)는 차량의 폭 방향, 전-후 방향,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수납부(36)는 제 1 수납부(35)와 연결되어 있다. 제 2 수납부(36)는 제 2 바닥부(36a) 및 제 2 연결부(36b)를 포함한다. 제 2 바닥부(36a)는 제 1 바닥부(35a)보다 위에 배치된다. 제 2 바닥부(36a)는 제 2 수납부(36)의 바닥면이다. 제 2 바닥부(36a)는 후단부(36d)가 전단부(36c)보다 아래에 배치되도록 후방 및 하방으로 경사진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바닥부(36a)는 안장(8)의 제 1 안장면(8a) 중 전단부(8c)보다 위에 배치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평면도에서 제 2 바닥부(36a)는 왼다리부호부(20L)의 제 1 바닥부(35a) 및 제 1 상면부(23a)와 겹쳐진다. 구체적으로, 제 2 바닥부(36a)의 전단부(36c)와 후단부(36d)는 제 1 바닥부(35a)의 전단부(35c)보다 뒤에 배치된다. 제 2 바닥부(36a)의 전단부(36c)는 제 1 바닥부(35a)의 후단부(35d)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차량 평면도에서, 제 2 바닥부(36a)의 후단부(36d)는 제 1 바닥부(35a)의 후단부(35d)와 겹쳐진다. 제 2 바닥부(36a)의 후단부(36d)는 제 1 수납부(35)에 수납된 제품들의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감소시킨다. 제 2 바닥부(36a)의 후단부(36d)가 제 1 바닥부(35a)의 후단부(35d)보다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제 2 바닥부(36a)의 전단부(36c)는 제 1 바닥부(35a)의 전단부(35c)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배면도에서 제 2 바닥부(36a)의 전단부(36c)는 개구(33)와 겹쳐진다. 차량 배면도에 있어서, 제 2 바닥부(36a)의 후단부(36d)는 왼다리보호부(20L)의 제 1 후면부(24a)와 겹쳐진다.
제 2 연결부(36b)는 제 2 바닥부(36a)의 전단부(36c)를 왼다리보호부(20L)의 상면부(23)에 연결한다. 제 2 연결부(36b)는 제 2 바닥부(36a)의 전단부(36c)에서부터 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연결부(36b)는 개구(33)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차량 배면도에서 개구(33)와 겹쳐진다. 차량 평면도에 있어서, 제 2 연결부(36b)는 왼다리보호부(20L)의 제 2 바닥부(36a) 및 제 1 상면부(23a)와 겹쳐진다. 제 2 연결부(36b)는 제 2 바닥부(36a)의 후단부(36d)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1은 뒤에서 바라본 내부패널(31)의 주변부들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왼다리보호부(20L)의 후면부(24)는 제거되어 있다. 내부패널(31)은 뒤로 개방되는 박스형 부재이다. 내부패널(31)은 왼다리보호부(20L)의 제 1 후면부(24a) 전방에 배치된다. 수납 포켓(30)의 수납공간(30a)은 내부패널(31)과 왼다리보호부(20L) 사이에 규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납 포켓(30)의 수납공간(30a)은 왼다리보호부(20L)의 제 1 후면부(24a)와 내부패널(31) 사이에 규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 1 바닥부(35a), 제 1 연결부(35b), 제 2 바닥부(36a) 및 제 2 연결부(36b)는 내부패널(31)에 의해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패널(31)은 좌측벽(31a) 및 우측벽(31b)을 포함한다. 좌측벽(31a) 및 우측벽(31b)은 좌-우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좌측벽(31a) 및 우측벽(31b)은 제 1 바닥부(35a)로부터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좌측벽(31a)과 우측벽(31b)의 후방부들은 왼다리보호부(20L)의 제 1 후면부(24a)에 연결된다.
내부패널(31)은 전방커버(18) 또는 왼다리보호부(20L)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패널(31)은 복수의 고정부재들(미도시)에 의해 왼다리보호부(20L)에 고정된다. 내부패널(31)이 전방커버(18) 및 왼다리보호부(20L) 모두에 고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납부(35)는 좌측벽(31a)과 우측벽(31b) 사이, 왼다리보호부(20L)의 제 1 연결부(35b)와 제 1 후면부(24a) 사이, 그리고 제 1 바닥부(35a)와 개구(33) 사이에 제공된다. 한편, 제 2 수납부(36)는 좌측벽(31a)과 우측벽(31b) 사이, 그리고 제 2 바닥부(36a), 제 2 연결부(36b)와 개구(33) 사이에 제공된다.
전원공급부(32)는 액세서리 소켓으로서 구현되는 전원 소켓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32)는 수납 포켓(30)에 배치된다. 전원공급부(32)는 개구(33)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32) 중 적어도 일부는 개구(33)의 전방에지부(33a)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차량 배면도에서, 전원공급부(32) 중 적어도 일부는 개구(33)의 후방에지부(33b)와 겹쳐진다. 차량 배면도에서, 전원공급부(32)는 개구(33)의 우측에지부(33d)보다 죄측에지부(33c)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차량 평면도에서, 전원공급부(32) 중 적어도 일부는 제 1 상면부(23a) 및 제 2 연결부(36b)와 겹쳐진다. 전원공급부(32)는 제 2 수납부(36)의 제 2 바닥부(36a)에 배치된다. 전원공급부(32)의 상부는 제 2 수납부(36)의 제 2 바닥부(36a)로부터 돌출된다. 제 1 바닥부(35a)보다 위에 있는 제 2 바닥부(36a)에 전원공급부(32)가 배치됨으로써, 전원공급부(32)에 접근하는 것은 보다 용이하다.
전원공급부(32)는 휴대정보 단말기 등에 대한 충전장치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착구멍(32a)을 포함한다. 장착구멍(32a)은 위로 및 뒤로 개방되어 있다.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은 장착구멍(32a) 중심을 통과한다.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은 수납 포켓(30)의 개구(33)를 통과한다.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은 개구(33)의 후방에지부(33b)보다 전방에지부(33a)에 더 가까운 위치를 통과한다. 예를 들면, 전원공급부(32)의 축(Ax1)에서부터 개구(33)의 전방에지부(33a)까지의 거리는 전원공급부(32)의 축(Ax1)에서부터 개구의 후방에지부(33b)까지의 거리보다 짧다. 또한,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은 개구(33)의 우측에지부(33d)보다 좌측에지부(33c)에 더 가까운 위치를 통과한다. 수평 방향에 대한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의 경사각은 수평 방향에 대한 왼다리보호부(20L)의 제 1 후면부(24a)의 경사각보다 작다.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이 개구(33)를 통과하기 때문에 전원공급부(32)에 접근하는 것은 보다 용이하다. 또한, 충전장치가 장착구멍(32a)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정보 단말기(52)는 충전장치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수납부(35)에 수납된 제품들은 왼다리부호부(20L)의 제 1 후면부(24a)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수납된다. 따라서, 음료용기(5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납부(35)에 수납된 경우,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은 저장공간(30a) 내 음료용기(51)의 축(Ax2)과 교차하지 않는다. 음료용기(51)의 축(Ax2)은 음료용기(51)의 상부에 제공된 개구(51b)를 향하여 음료용기(51)의 하부(51a)로부터 연장된다. 예를 들면, 개구(51b)는 음료용기(51)를 음료로 채우기 위한 개구이다.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은 음료용기(51)의 축(Ax2)과 수납공간(30a) 외부에서 교차한다. 이와 같이, 제 1 수납부(35)에 수납된 음료용기(51)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음료용기(51)를 수납 포켓(30)으로부터 제거하지 않고도 전원공급부(32)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수납 포켓(30)으로부터 음료용기(51)를 제거하는 경우, 전원공급부(32) 또는 전원공급부(32)의 장착구멍(32a)에 장착된 충전장치는 음료용기(51)를 방해하기 어렵다.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이 음료용기(51)의 축(Ax2)의 축과 수납공간(30a) 외부에서 반드시 교차할 필요는 없을을 이해해야 한다.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르는 위치에 핸들부(16)의 핸들바(16a)가 있는 경우,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은 핸들부(16)의 핸들커버(16b)와 교차하지 않는다. 또한, 핸들부(16)의 핸들바(16a)가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르는 위치에 있는 경우, 음료용기(51)의 축(Ax2)은 핸들부(16)의 핸들커버(16b)와 교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공급부(32)에 접근하는 것은 더 용이하며, 수납 포켓(30)에서 음료용기들을 넣거나 꺼내는 것도 더 용이하다. 도 1, 도 3 및 도 9의 핸들부(16)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르는 위치에 도시되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은 수납공간(30a) 내 제 1 수납부(35)의 중심축(Ax3)과 교차하지 않는다.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은 제 1 수납부(35)의 중심축(Ax3)과 수납공간(30a) 외부에서 교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납부(35)의 중심축(Ax3)은 제 1 수납부(35)의 제 1 하부(35a)의 중심을 통과하며, 또한 왼다리보호부(20L)의 제 1 후면부(24a)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이 제 1 수납부(35)의 중심축(Ax3)과 수납공간(30a) 외부에서 교차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하지만, 전원공급부의 축(Ax1)은 제 1 수납부(35)의 중심축(Ax3)과 수납공간(30a) 외부에서 반드시 교차할 필요는 없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구멍(32a)를 닫는 뚜껑 부재(38)가 장착구멍(32a)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장착구멍(32a)은 뚜껑 부재(38)에 의해 개폐된다. 도 5는 장착구멍(32a)에서 뚜껑 부재(38)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점을 이해해야 한다. 뚜껑 부재(38)를 전원공급부(32)에 연결하는 연결부(39)에 의해, 뚜껑 부재(38)가 과좌식 차량(100)에서 이탈하는 것으로부터 방지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과좌식 차량(100)에 의하면, 수납 포켓(30)의 개구(33)는 위로 개방되어 있으며, 덮개는 수납 포켓(30)에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음료용기(51)와 같은 기다란 제품들을 용이하게 넣고 꺼낼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의 수납 포켓(30)의 길이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수납 포켓(30)의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음료용기(51)와 같은 기다란 제품들을 수납 포켓(30)에 수납하는 것은 보다 용이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포켓(30)의 개구(33)는 안장(8)의 제 1 안장면(8a) 중 전단부(8c)보다 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수납 포켓(30)에 제품들을 넣거나 꺼낼 때, 운전자의 다리와 제품들 사이의 방해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수납 포켓(30)의 수납공간(30a) 뒤편은 왼다리보호부(20L)의 제 1 후면부(24a)에 의해 덮여있다. 따라서, 수납 포켓(30)에 제품들을 넣고 꺼내는 경우에 운전자의 다리는 예를 들어 수납 포켓이 다리보호부의 후면부에 배치된 경우보다 제품들에 덜 방해받을 수 있다. 또한, 과좌식 차량의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32)의 축(Ax1)은 개구(33)를 통과하며, 또한 차량의 배면도에서 수납 포켓(30)의 개구(33)는 전원공급부(32)와 겹쳐지는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32)가 수납 포켓(30) 내에 배치된 경우에도 전원공급부(32)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평면도에서 수납 포켓(30)의 개구(33)는 전원공급부(32)와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빗물이 전원공급부(32)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쿠터형 과좌식 차량의 예시가 기재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모페드(moped, 오토바이) 등의 기타 차량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바디프레임(2)과 바디커버(4)의 구성들 및 형상들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수납 포켓(30)의 형상 등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공급부(32)는 USB 포트 등 다른 유형의 커넥터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납 포켓(30)의 수납공간(30a) 중 일부는 내부패널(31)에 의해 규정되지만, 수납 포켓(30)의 수납공간(30a)은 다른 부재들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수납 포켓(30)은 차량의 폭 방향에서 헤드파이프(11)의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다란 제품들(예: 플라스틱병)을 과좌식 차량의 수납 포켓에 넣거나 꺼내는 것은 보다 용이하며, 전원공급부에서부터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것 또한 보다 용이하다.
8. 안장 8a. 제 1 안장면
11. 헤드파이프 15. 조향 샤프트
16. 핸들부 16a. 핸들바
16b. 핸들커버 18. 전방커버
20L. 왼다리보호부 23. 상면부
24a. 제 1 후면부 30. 수납 포켓
30a. 수납공간 31. 내부패널
32. 전원공급부 33. 개구
35. 제 1 수납부 35a. 제 1 바닥부
35b. 제 1 연결부 35e. 배수구멍
36. 제 2 수납부 36a. 제 2 바닥부
100. 과좌식 차량 Ax1. 전원공급부의 축

Claims (12)

  1. 헤드파이프(11);
    상기 헤드파이프(11)의 전방을 덮는 전방커버(18);
    상기 헤드파이프(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조향 샤프트(15);
    상기 조향 샤프트(15)에 고정된 핸들바(16a) 및 상기 핸들바(16a)를 덮고 있는 핸들커버(16b)를 포함하는 핸들부(16);
    상기 전방커버(18) 뒤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며, 상기 전방커버(18)의 후단부(18a)에서부터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면부(23) 및 상기 상면부(23)에서부터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후면부(24)를 포함하는 다리보호부(20L 및 20R);
    상기 다리보호부(20L 및 20R)보다 뒤에 배치되며,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안장(8);
    상기 헤드파이프(11)의 차량의 폭 방향에서 일 측에 제공되며, 상기 다리보호부(20L 및 20R)의 상기 상면부(23)에 제공되는 개구(33)를 포함하고 제품들을 넣거나 꺼내기 위해 위로 개방되어 있는, 뚜껑 없는 수납 포켓(30); 및
    충전장치가 전원공급부(32)로부터 탈착가능하고, 상기 전원공급부(32)의 축은 상기 수납 포켓(30)의 개구(33)를 통과하고, 상기 수납 포켓(30)에서 상기 개구(33)보다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전원공급부(32)를 포함하며,
    차량 평면도에서, 상기 수납 포켓(30)의 상기 개구(33)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핸들커버(16b)와 겹쳐지고,
    차량 측면도에서, 상기 수납 포켓(30)의 상기 개구(33)는 상기 안장(8)의 안장면(8a) 중 전단부(8c)보다 위에 배치되며, 차량 배면도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32)와 겹쳐지지만 차량 평면도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32)와 겹쳐지지 않고,
    상기 수납 포켓(30)은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차량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고,
    차량의 배면도에서의 상기 수납 포켓(30)의 상기 개구(33)의 면적은 차량의 평면도에서의 상기 수납 포켓(30)의 상기 개구(33)의 면적보다 큰, 과좌식 차량(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포켓(30)은,
    제 1 바닥부(35a)를 포함하는 제 1 수납부(35); 및
    상기 제 1 바닥부(35a)보다 위에 배치된 제 2 바닥부(36a)를 포함하는 제 2 수납부(36)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32)는 상기 제 2 수납부(36)의 상기 제 2 바닥부(36a)에 배치되는, 과좌식 차량(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납부(36)의 상기 제 2 바닥부(36a)는 후방 및 하방으로 경사지는, 과좌식 차량(100).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35)의 상기 제 1 바닥부(35a)는 후방 및 하방으로 경사지는, 과좌식 차량(100).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포켓(30)의 상기 제 1 수납부(35)는 상기 제 1 수납부(35)의 상기 제 1 바닥부(35a) 중 전단부를 상기 제 2 수납부(36)의 상기 제 2 바닥부(36a) 중 후단부에 연결하는 연결부(35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수납부(36)의 상기 제 2 바닥부(36a) 중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제 1 수납부(35)의 상기 제 1 바닥부(35a) 중 상기 전단부보다 뒤에 배치되는, 과좌식 차량(100).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35)의 상기 제 1 바닥부(35a)는 배수구멍(35e)을 포함하는, 과좌식 차량(100).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포켓(30)의 상기 제 1 수납부(35) 중 상기 제 1 바닥부(35a)는 상기 안장(8)의 상기 안장면(8a) 중 상기 전단부(8c)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과좌식 차량(100).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포켓(30)의 상기 개구(33)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의 최대 치수가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의 최대 치수보다 큰, 과좌식 차량(100).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보호부(20L 및 20R)의 상기 후면부(24)는 상기 수납 포켓(30)의 수납공간(30a)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과좌식 차량(10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18) 또는 상기 다리보호부(20L 및 20R)에 고정된 내부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 포켓(30)의 상기 수납공간(30a)은 다리보호부(20L 및 20R)와 상기 내부패널 사이에 규정되는, 과좌식 차량(100).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평면도에서, 상기 수납 포켓(30)의 상기 개구(33)의 주변부 상의 상기 다리보호부(20L 및 20R) 중 상기 상면부(23)는 상기 수납 포켓(30)의 상기 수납공간(30a) 중 일부와 겹쳐지는, 과좌식 차량(100).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포켓(30)은 음료용기(51)를 수납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들부(16)가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르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수납 포켓(30)에 수납된 상기 음료용기(51)의 축은 상기 핸들부(16)의 상기 핸들커버(16b)와 교차하지 않는, 과좌식 차량(100).
KR1020180164826A 2018-08-31 2018-12-19 과좌식 차량 KR102066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63069A JP2020032945A (ja) 2018-08-31 2018-08-31 鞍乗型車両
JPJP-P-2018-163069 2018-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895B1 true KR102066895B1 (ko) 2020-02-11

Family

ID=6460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826A KR102066895B1 (ko) 2018-08-31 2018-12-19 과좌식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617050B1 (ko)
JP (1) JP2020032945A (ko)
KR (1) KR102066895B1 (ko)
CN (1) CN110871865B (ko)
CO (1) CO2018013816A1 (ko)
PH (1) PH12018050550A1 (ko)
TW (1) TWI7253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8338B2 (ja) * 2020-05-25 2023-12-14 カワサキモータース株式会社 乗物用コネクタユニット、自動二輪車及び支持部材
JP2022066069A (ja) * 2020-10-16 2022-04-2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7366971B2 (ja) * 2021-09-17 2023-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5866A (ja) * 1992-01-13 1999-09-14 Yamaha Motor Co Ltd スク―タ型自動二輪車
KR20140040024A (ko) * 2012-09-24 2014-04-02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EP3006316A1 (en) * 2013-05-31 2016-04-13 Honda Motor Co., Ltd. Article storage structure for automatic two-wheeled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3114B2 (ja) * 1996-07-02 2005-03-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収納装置
TWI385099B (zh) * 2008-12-26 2013-02-11 Kwang Yang Motor Co A front box with a charging function
JP2011105290A (ja) * 2009-10-19 2011-06-02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CN104010934B (zh) * 2011-12-22 2017-07-21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跨乘型电动车辆
JP5897366B2 (ja) * 2012-03-22 2016-03-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収納部構造
ES2693949T3 (es) * 2013-03-29 2018-12-14 Honda Motor Co., Ltd. Estructura de suministro de fuente de alimentación de vehículo
JP5736015B2 (ja) * 2013-08-30 2015-06-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ボディカバー構造
JP6072745B2 (ja) * 2014-09-25 2017-0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
JP6488268B2 (ja) * 2016-09-30 2019-03-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収納部構造
EP3517418B1 (en) * 2018-01-25 2021-03-24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traddled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5866A (ja) * 1992-01-13 1999-09-14 Yamaha Motor Co Ltd スク―タ型自動二輪車
KR20140040024A (ko) * 2012-09-24 2014-04-02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EP3006316A1 (en) * 2013-05-31 2016-04-13 Honda Motor Co., Ltd. Article storage structure for automatic two-wheeled vehicles
US20160121953A1 (en) * 2013-05-31 2016-05-05 Honda Motor Co., Ltd. Article storage structure for automatic two-wheeled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71865B (zh) 2021-05-07
CN110871865A (zh) 2020-03-10
BR102018076399A2 (pt) 2020-03-10
TWI725366B (zh) 2021-04-21
CO2018013816A1 (es) 2019-12-20
EP3617050B1 (en) 2022-10-12
TW202010671A (zh) 2020-03-16
JP2020032945A (ja) 2020-03-05
EP3617050A1 (en) 2020-03-04
PH12018050550A1 (en)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895B1 (ko) 과좌식 차량
JP4364341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物品収納装置
US9902456B2 (en) Storage part structure of saddle-ride-type vehicle
JP5629245B2 (ja) ステップフロアを有する車両
EP3006317B1 (en) Article storage structure for automatic two-wheeled vehicles
JP3343361B2 (ja) 電動二輪車における充電装置
EP3517418B1 (en) Straddled vehicle
CN110949575B (zh) 跨骑型车辆
JP2012166763A (ja) 電動車両
EP2921392B1 (en) Motorcycle Storage box
JP6215540B2 (ja) 鞍乗り型車両のアクセサリーソケット配置構造
JP5863630B2 (ja) 車載電装部品の配置構造
JP2012025198A (ja) 鞍乗り型車両
JP2006182269A (ja) 自動二輪車
JP5588701B2 (ja) 鞍乗り型車両のカバー構造
EP2921382B1 (en) Motorcycle
JP2007091022A (ja) 鞍乗型車両
JP7355856B2 (ja) 制御装置の配置構造
JP7041107B2 (ja) 鞍乗り型車両
JP2014043169A (ja) 鞍乗り型車両の携帯端末保持構造
JP2013208949A (ja) 鞍乗型電動車両
JP7135033B2 (ja) 鞍乗型車両のカバー構造
JPS5953278A (ja) 自動二輪車
BR102018076399B1 (pt) Veículo de montar em selim
JP2640080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物入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