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379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379B1
KR102061379B1 KR1020150173002A KR20150173002A KR102061379B1 KR 102061379 B1 KR102061379 B1 KR 102061379B1 KR 1020150173002 A KR1020150173002 A KR 1020150173002A KR 20150173002 A KR20150173002 A KR 20150173002A KR 102061379 B1 KR102061379 B1 KR 102061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od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481A (ko
Inventor
요오스케 하타
도시후미 가쿠타니
다케유키 스다
히로히사 나카지마
신야 스즈키
마나부 고세키
도시유키 아베
다카유키 이이쿠라
가즈노리 미야케
슈지 오바타
미츠히로 스게타
가즈미 사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1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by photoelectric feelers or det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4Manual suppl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8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7Detecting, i.e.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edium handling apparatus, e.g. a sheet sor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687Presence or absence
    • H04N1/00689Pres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687Presence or absence
    • H04N1/00694Presence or absence in an input t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8Size or dimensions
    • H04N1/00713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4Optical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901Using different supplies or connection to an external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1Photoelectric det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 G03G2215/00451Paper
    • G03G2215/00464Non-standard format
    • G03G2215/00468Large sized, e.g. technical pl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 G03G2215/00451Paper
    • G03G2215/00464Non-standard format
    • G03G2215/00472Small sized, e.g. postcar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11Detector details, e.g. optical detector
    • G03G2215/00616Optical detec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5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resence in input t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34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siz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9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auxiliary devices, e.g. add-on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Manual Feeding Of Sheet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수동 시트 트레이 상의 시트 상태에 따라서 발광 소자의 점등/소등을 제어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시트가 그 위에 배치되는 수동 공급 트레이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통상 전력 모드와 절전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통상 전력 모드에서는, 통상의 전력이 공급된다. 절전 모드에서는, 통상 전력 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에 비해 더 적은 전력이 소비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수동 공급 트레이 상의 시트의 유/무를 검지하는 수동 급지 센서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수동 공급 트레이에 배치된 시트의 반송 방향의 대략적인 시트 길이를 검지하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시트 길이 센서(S) 및 시트 길이 센서(L)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시트(예를 들어, 용지)의 유/무는 투과형 센서 및 그 차광 플래그에 의해 검지된다. 이 구성에서, 차광 플래그의 동작에 의해 투과형 센서가 투광/차광 사이에서 각각 전환될 때 시트의 유/무가 검지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 예를 들어 시트 트레이에 배치된 시트의 꺾임 또는 컬(curl)로 인해 시트의 에지가 시트 트레이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 차광 플래그의 크기에 따라서 시트가 정확하게 검지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의 발생이 염려되는 시트 트레이의 부분에는, "용지 컬"이 발생된 시트라도 검지되도록 반사형 센서(예를 들어, 블랭크 시트 검지 거리가 20[mm] 이상인 장거리 유형 반사형 센서)가 사용된다. 이 유형의 센서는 발광 소자부터 대상물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된 광을 검지한다. 이 방식으로 시트의 유/무가 검지되고, 따라서 검지 가능한 거리는 발광 소자의 광량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발광 소자로서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LED)는 LED의 누계 조명 시간이 길어질수록 LED 발광량이 감소되는 특성을 갖는다. 추가로, 투과형 센서에 비교할 때, 장거리 유형 센서는 더 많은 광량을 발광한다. 이에 의해, LED의 광량은 경년 열화로 인해 급속히 감소된다. 따라서, 반사형 센서의 LED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LED의 조명 시간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82886호 공보는 상술된 반사형 센서가 자동 원고 급송기의 원고 트레이 상의 센서로서 채용되는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또한, 디바이스에서, 발광 소자는 원고의 길이를 검지하기 위해 급지 동작이 개시되기 직전에 온 상태로 되고 발광 소자는 검지 이후 오프 상태로 된다.
자동 원고 급송기 외에,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시트의 컬에 의해 발생되는 오 검지가 염려되는 부분은 수동 공급 트레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자동 원고 급송기와 수동 공급 트레이 사이의 시트 크기 검지 기구 차이가 설명된다.
자동 원고 급송기의 경우, 시트가 의도적으로 방치될 가능성은 적다. 원고는 원고의 판독 동작이 개시되기 직전에 원고 트레이에 배치된다. 원고의 판독이 종료될 때, 원고는 원고 트레이 상에 방치되지 않는다. 즉, 원고가 트레이 상에 장시간 방치될 가능성은 낮다. 한편, 수동 공급 트레이의 경우, 급지 카세트로부터 급지될 수 없는 특수 시트는 가끔씩 수동 공급 트레이 상에 의도적으로 세트된 상태로 유지된다. 특수 시트는 엽서, 봉투 등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시트가 수동 공급 트레이 상에 장시간 방치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통상 전력 모드와 절전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통상 전력 모드에서는, 통상의 전력이 화상 형성을 수행하기 위해 공급된다. 절전 모드에서는, 통상 전력 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에 비해 적은 전력이 소비된다.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될 때 시트가 이미 수동 공급 트레이 상에 세트된 경우, 시트 크기는 복귀 직후 검지된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마다, LED가 온 상태로 된다. 그 결과, LED의 열화가 급격히 진행되어, 검지 거리가 감소하고, 시트 크기가 잘못 검지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주 목적은 수동 공급 트레이 상의 시트의 상태에 따라서 발광 소자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제1 모드와, 제1 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에 비해 더 적은 전력이 소비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시트가 배치되는 수동 공급 트레이, 수동 공급 트레이 상의 시트 유/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검지 유닛,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하며, 발광 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에 의해 검지하고 수동 공급 트레이에 배치된 시트의 반송 방향의 대략적인 시트 길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검지 유닛, 및 모드를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 전환시키는 요인이 제1 검지 유닛에 의한 시트의 검지 이외의 요인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가 제1 모드로 전환될 때 발광 소자가 점등하지 않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부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후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센서 검지 결과와 시트 크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
도 4는 주 제어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 절차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수동 공급 트레이에 배치된 시트의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주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구동 제어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 절차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수동 공급 트레이의 단면도.
이하에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는 원고를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2) 및 화상 형성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부(3)를 포함한다. 도면 전방으로부터 관측될 때 화상 판독부(2)의 상부에는, 고정 설치된 투명한 유리 보드를 포함하는 원고대(4, platen)가 배열된다. 원고대(4)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화상면이 아래쪽으로 배향되게 배치된 원고(D)는 원고 가압 플레이트(5)에 의해 가압 고정된다. 또한, 광학계가 원고대(4)의 하측에 설치된다. 광학계는 원고(D)를 조명하는 램프(6), 조명된 원고(D)의 광학 상을 화상 처리 유닛(7)으로 유도하는 반사 거울(8, 9, 10)을 포함한다. 램프(6) 및 반사 거울(8, 9, 10)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고, 미리 정해진 속도로 이동하여 원고(D)를 주사하는 점에 유의한다.
화상 형성부(3)는 감광체 드럼(11), 1차 대전 롤러(12), 현상 유닛(13), 중간 전사 벨트(14), 전사 롤러(15), 클리너(16) 등을 포함한다.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이저 유닛(17)으로부터 광학 상이 감광체 드럼(11) 상에 조사된다. 이후, 정전 잠상이 그 표면에 형성된다. 1차 대전 롤러(12)는 레이저 광 조사 이전에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현상 유닛(13)은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마젠타(M), 시안(C), 옐로우(Y), 블랙(K) 토너를 부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한다.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 상은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사된 토너 상은 전사 롤러(15)에 의해 시트(S)(예를 들어, 용지)에 추가로 전사된다. 클리너(16)는 토너 상을 전사한 이후 감광체 드럼(11)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한다.
시트는 시트 카세트(18) 또는 수동 공급 트레이(50)로부터 공급된다. 정착 디바이스(19)가 화상 형성부(3)의 하류 측에 설치된다. 정착 디바이스(19)는 반송되는 시트 상의 토너 상을 정착한다. 토너 상이 그 위에 정착된 시트는 배출 롤러 쌍(21)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배출된다.
각각의 시트 카세트(18)에, 각각의 시트 카세트의 개폐를 검지하는 시트 카세트 개/폐 센서(215) 및 시트 카세트에 저장된 시트 사이즈를 검지하는 시트 크기 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시트 공급 카세트가 폐쇄되는 경우, 시트 크기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시트 크기가 검지되도록 구성된다. 수동 급지 센서(201)가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설치된다. 수동 급지 센서(201)는 수동 공급 트레이(50) 상의 시트 유/무를 검지한다. 수동 급지 센서(201)는 제1 검지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시트가 수동 급지 센서(201)에 의해 검지된 경우, 트레이에 배치된 시트의 시트 크기를 설정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촉구하는 화면이 조작 유닛(210)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조작 유닛(210)에 표시된 화면의 내용에 따라 시트 크기를 설정한다. 이 방식으로, 화상 형성 장치(1)는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배치된 시트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는 통상 전력 모드(제1 모드)와 절전 모드(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통상 전력 모드에서는, 통상의 전력이 화상 형성을 수행하기 위해 공급된다. 절전 모드에서는, 통상 전력 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에 비해 적은 전력이 소비된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1)가 전력 모드로서 통상 전력 모드와 절전 모드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 전력 모드에서, 화상 형성 장치(1)는 복사, 프린트 등의 수신된 작업을 즉시 실행하게 하도록 각각의 부하에 대한 통전을 유지하면서 화상 형성의 개시를 대기한다. 이에 의해, 소비 전력이 크다. 한편, 절전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는 상술한 바 이외의 불필요한 각각의 부하에 대한 통전을 오프 상태로 하면서 조작 유닛(210)의 동작을 수신하는 기능 및 네트워크를 통한 팩시밀리를 수신하는 등의 작업을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한 몇몇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대기한다. 이에 의해, 통상 전력 모드에서 소모되는 전력에 비해, 더 적은 전력이 절전 모드에서 소비된다. 절전 모드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가능한 한 길게 설정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의 소비 전력을 더욱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의 전환은 임의의 타이밍에서 조작 유닛(210)에 설치된 미리 정해진 키를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화상 형성 장치(1)는 인쇄 종료 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 종료로부터 임의의 새로운 인쇄 지시 또는 조작이 없이 미리 정해진 시간의 경과 이후 전력 모드를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1)의 기능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주 제어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200)은 주로 화상 판독부(2), 조작 유닛(210) 및 구동 제어 유닛(203)의 동작을 제어한다. 주 제어 유닛(200)은 주로 화상 처리 기능을 담당한다. 화상 형성 장치(1)가 통상 전력 모드 및 절전 모드의 양쪽 모드에 있는 경우 전력 공급 기능은 온 상태인 제1 전원(208)으로부터 주 제어 유닛(200)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점에 유의한다. 한편, 구동 제어 유닛(203)은 주로 화상 형성부(3)를 제어한다. 주 제어 유닛(200)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구동 제어 유닛(203)은 전자 사진 프로세스 및 시트 반송 제어를 수행한다. 구동 제어 유닛(203)은 또한, 주 제어 유닛(200)에 의해 화상 처리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트에의 화상 형성을 담당한다. 전력은 화상 형성 장치(1)가 통상 전력 모드일 때 전력 공급 기능이 온 상태로 되는 제2 전원(209)로부터 구동 제어 유닛(203)으로 전력 공급된다. 제2 전원(209)의 전력 공급 기능은 절전 모드에서는 오프 상태로 되는 점에 유의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가 절전 모드인 경우, 주 제어 유닛(200)이 동작 가능하여 입력 신호 등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 제어 유닛(203)은 화상 형성 장치(1)가 절전 모드일 때는 동작 가능하지 않고, 입력 신호 등의 상태를 감시할 수 없다. 주 제어 유닛(200)은 제1 전원(208) 및 제2 전원(209)의 전력 공급 기능의 온/오프 전환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주 제어 유닛(200)은 화상 형성 장치(1)를 통상 전력 모드 또는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 유닛(210)을 통해 통상 전력 모드 또는 절전 모드로의 전환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조작 내용에 따라서 주 제어 유닛(200)은 제1 전원(208) 및 제2 전원(209)을 제어한다. 또한, 전방 도어 센서(205)는 장치 내의 소모품 등을 교환하기 위해서 개폐되는 전방 도어의 상태를 검지한다. 전력은 수동 공급 트레이(50)의 수동 급지 센서(201)로 그리고 제1 전원(208)으로부터 전방 도어 센서(205)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도, 장치의 상태 변화(예를 들어, 수동 공급 트레이 상의 시트의 배치, 전방 도어의 개/폐)가 검지될 수 있다.
수동 급지 센서(201)의 상태가 "시트 없음"으로부터 "시트 있음"으로 변경되는 것이 검지된 경우, 주 제어 유닛(200)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상태를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전방 도어 센서(205)의 상태가 "도어 폐쇄 상태"로부터 "도어 개방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 검지된 경우, 주 제어 유닛(200)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상태를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조작 유닛(210)에 설치된 절전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의 상태가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의 절환 작동은 "복귀"로 지칭된다.
추가로,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작업이 화상 형성 장치(1)에 입력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는 이에 따라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또한, 주 제어 유닛(200) 및 구동 제어 유닛(203)은 통신선(207)을 통해 정보를 전달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가 통상 전력 모드인 경우, 다양한 정보가 상호간에 전달 및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수동 급지 센서(201) 및 전방 도어 센서(205)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구동 제어 유닛(203)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구동 제어 유닛(203)은 화상 형성 장치(1) 기동시 각 센서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동 공급 트레이(50)의 구성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수동 급지 센서(201), 및 시트 크기를 검지하기 위한 시트 폭 센서(211), 시트 길이 센서(S)(212), 시트 길이 센서(L)(213)가 수동 공급 트레이(50) 상에 배열된다. 시트 폭을 검지하기 위한 시트 폭 센서(211)는 시트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시트 폭을 아날로그 신호로서 출력한다. 출력 결과에 기초하여, 시트 폭이 검지된다. 예를 들어, 이는 가변 저항기에 의해 달성된다. 시트 길이를 검지하기 위한 시트 길이 센서(S)(212) 및 시트 길이 센서(L)(213)는 각각 시트의 반송 방향에 대해 고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센서이다. 각각의 센서는 시트의 유/무를 디지털 신호로서 출력한다. 출력 결과에 기초하여, 대략적인 시트 길이가 검지된다. 시트 길이 센서(S)(212)와 시트 길이 센서(L)(213)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센서는 시트 길이 센서로 지칭되는 점에 유의한다. 시트 길이 센서는 제2 검지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이들 3개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검지 결과의 조합에 의해, 시트 크기가 판정된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3은 센서로부터 획득된 검지 결과와 시트 크기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3 시트 및 A4 시트의 경우, 동일한 값(D2, D6, D9)이 시트 폭 센서(211)로부터 획득된다. 그러나, 시트 길이 센서(L)(213)는 대형 크기를 검지하도록, 즉 시트가 A3 시트인 때에만 검지(온 상태)하도록 구성되고, 이는 A3 시트와 A4 시트의 구별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시트 길이 센서(L)(213)가, 반송 방향의 시트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를 초과한 것을 검지하는 검지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시트 크기가 클수록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배치된 시트의 "시트 컬"이 발생하기 더 쉽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대형 크기의 시트를 검지하는 시트 길이 센서(L)(213)가 반사형 센서로서 채용된다. 이는 시트 컬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반사형 센서가 대형 크기의 시트를 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사형 센서는, 예를 들어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포함한다. 반사형 센서는 발광 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된 광을 광 수광 소자에 의해 검지한다. 이 경우, 시트 길이 센서(L)(213)에 대한 통전은 구동 제어 유닛(203)에 의해 ON/OFF 되고, 상황에 따라서 전력이 반사형 센서에 공급될 수 있다. 수동 공급 트레이(50)의 구조에 따라서, "시트 컬"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이 변경된다. 이에 의해, 시트 길이 센서(S)(212)가 반사형 센서로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시트 길이 센서(S)(212) 및 시트 길이 센서(L)(213) 모두가 반사형 센서로서 채용될 수 있다.
이어서, 절전 모드의 화상 형성 장치(1)가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배치된 시트를 검지하고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주 제어 유닛(200) 및 구동 제어 유닛(203)의 제어 절차에 관해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4는 주 제어 유닛(200)에 의해 주로 수행되는 제어 절차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배치된 시트의 설정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주로 주 제어 유닛(200)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구동 제어 유닛(203)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 절차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인쇄 처리의 종료 또는 사용자의 조작의 종료로부터 임의의 새로운 인쇄 지시 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주 제어 유닛(200)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력 모드를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S301). 주 제어 유닛(200)은 전력 모드를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요인(복귀 요인)이 발생할 때까지 대기한다(S302). 복귀 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S302: 예), 주 제어 유닛(200)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력 모드를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이행한다(S303). 이는 화상 형성이 가능하게 하도록, 구동 제어 유닛(203)에 전력 공급이 허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가 통상 전력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전력이 구동 제어 유닛(203)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주 제어 유닛(200)은 구동 제어 유닛(203)과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주 제어 유닛(200)은 구동 제어 유닛(203)에 복귀 요인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시트가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한다(S304). 또한, 주 제어 유닛(200)은 구동 제어 유닛(203)으로부터 통지되는 정보를 획득한다(S305). 주 제어 유닛(200)은 구동 제어 유닛(203)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배치된 시트에 관한 시트 정보의 수동 공급 설정 요구를 포함하는 정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보가 시트 정보의 설정 요구를 포함한다고 판정되는 경우(S306: 예), 주 제어 유닛(200)은 조작 유닛(210)의 표시 화면에 수동 공급 설정 화면(후술됨)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시트 정보를 설정할 것을 촉구한다(S307).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배치된 시트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시트 크기 및 시트 유형)는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트 정보를 설정하도록 촉구된다. 이는 구동 제어 유닛(203)이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배치된 시트에 관한 정보를 아직 확인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 수동 공급 설정 화면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5는 조작 유닛(210)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수동 공급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A4 크기 시트가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배치되는 경우, 시트 크기는 상술된 크기 검지 방법에 의해 자동적으로 식별된다. 도 5는 A4의 시트 크기가 식별된 경우를 도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수동 공급 설정 화면에 표시된 시트 크기를 확인하고, 시트의 유형 등을 선택하고, 화면 우측 아래에 위치된 "OK" 버튼을 누른다. 이 방식으로, 시트 크기 등의 시트 정보(시트 정보)가 확정된다.
도 4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주 제어 유닛(200)은 사용자에 의해 시트 정보의 확정될 때까지 수동 공급 설정 화면을 계속 표시한다(S308). 이후, 시트 정보가 확정되는 경우, 주 제어 유닛(200)은 수동 공급 설정 화면으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의 화면으로 화면 표시를 전환한다(S309). 한편, 획득된 정보가 시트 정보의 설정 요구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S306: 아니오), 주 제어 유닛(200)은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가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복귀한 것에 응답하여, 구동 제어 유닛(203)은 수동 급지 센서(201)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시트가 배치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401). 시트가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S401: 아니오), 구동 제어 유닛(203)은 처리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즉 시트가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배치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S401: 예), 구동 제어 유닛(203)은 단계(S304)(도 4)의 처리를 통해 주 제어 유닛(200)으로부터 복귀 요인에 관한 정보의 통지를 수신한다(S402). 주 제어 유닛(200)으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제어 유닛(203)은 복귀 요인이 수동 공급 트레이(50)에서의 시트의 검지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403).
복귀 요인이 시트의 검지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판정되는 경우(S403: 아니오), 구동 제어 유닛(203)은 처리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즉 복귀 요인이 시트의 검지에 의한 것이라고 판정되는 경우(S403: 예), 수동 공급 트레이(50)에서 검지된 시트는 화상 형성 장치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배치된 시트가 아니라,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새로 배치된 시트인 것으로 고려된다. 이 경우, 구동 제어 유닛(203)은 판정 결과를 주 제어 유닛(200)에 통지한다(S404). 이 처리는 단계(S305)(도 4)의 처리에 대응한다. 구동 제어 유닛(203)은 시트의 설정 요구를 포함하는 정보를 주 제어 유닛(200)에 통지한다.
구동 제어 유닛(203)은 시트 길이 센서의 LED를 점등하고(S405),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새로 세트된 시트 크기를 검지한다(S406). 구동 제어 유닛(203)은 시트 설정이 사용자에 의해 확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07). 구동 제어 유닛(203)은 사용자에 의해 시트 설정이 완료될 때까지 시트 크기를 계속 검지한다. 시트 설정이 사용자에 의해 확정되는 경우(S407: 예), 구동 제어 유닛(203)은 시트 길이 센서의 LED를 소등하고(S408)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상 형성 장치(1)는 시트가 수동 공급 트레이(50)에 배치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복귀하는 복귀 요인을 식별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1)는 식별된 복귀 요인에 따라서 시트 길이 센서의 LED 점등을 제어하거나, LED의 소등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복귀 요인이 수동 공급 트레이(50) 상의 시트의 검지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1)는 시트 길이 센서의 LED를 점등한다. 또한, 복귀 요인이 수동 공급 트레이(50) 상의 시트의 검지 이외의 요인인 경우, 예를 들어 "도어 개방"으로부터 "도어 폐쇄"로의 변화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1)는 소등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LED의 점등 시간의 최소화가 가능해지고, 이는 LED의 열화에 의해 발생되는 시트 크기의 오검지를 감소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시 수동 공급 트레이 상의 시트의 상태에 따라서 발광 소자의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발광 소자의 열화가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경과,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에 따라야 한다.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여기세 참조로 통합된, 2014년 12월 8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248182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Claims (11)

  1. 화상 형성을 수행하기 위해 전력이 공급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제1 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에 비해 적은 전력이 소비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시트가 위에 배치되는 수동 공급 트레이,
    상기 수동 공급 트레이 상의 시트의 유/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검지 유닛,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광을 상기 수광 소자에 의해 검지하고 상기 수동 공급 트레이에 배치된 시트의 반송 방향의 대략적인 시트 길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검지 유닛, 및
    모드를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 전환시키는 요인이 상기 제1 검지 유닛에 의한 시트의 검지 이외의 요인인 경우, 상기 제1 검지 유닛이 시트를 검지한 경우라도,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발광 소자가 점등하지 않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모드를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 전환시키는 요인이 상기 제1 검지 유닛에 의한 시트의 검지인 경우, 상기 발광 소자가 점등하게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모드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화상 형성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지 유닛은 반송 방향의 시트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를 초과하는 것을 검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지 유닛은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시트의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센서는 시트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크기 및 유형을 포함하는 시트 정보의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모드를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 전환시키는 요인이 상기 제1 검지 유닛에 의한 시트의 검지인 경우, 상기 설정 화면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게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시트 정보의 설정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설정 화면의 표시 및 상기 제2 검지 유닛에 의한 시트의 검지를 계속하게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도어의 개폐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모드를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 전환시키는 요인이 도어 개방 상태로부터 도어 폐쇄 상태로의 도어의 변화의 검지인 경우, 발광 소자를 점등하게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지 유닛은 상기 시트의 반송 방향의 대략적인 길이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반송 방향의 시트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를 초과한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시트의 반송 방향의 길이가 A4 크기 시트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시트 길이가 A4 크기 시트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50173002A 2014-12-08 2015-12-07 화상 형성 장치 KR102061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8182 2014-12-08
JP2014248182A JP6452421B2 (ja) 2014-12-08 2014-12-08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481A KR20160069481A (ko) 2016-06-16
KR102061379B1 true KR102061379B1 (ko) 2019-12-31

Family

ID=5523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002A KR102061379B1 (ko) 2014-12-08 2015-12-0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467586B2 (ko)
JP (1) JP6452421B2 (ko)
KR (1) KR102061379B1 (ko)
CN (1) CN105676606B (ko)
DE (1) DE102015121224A1 (ko)
GB (1) GB25352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2421B2 (ja) * 2014-12-08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150414B2 (ja) * 2014-12-12 2022-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0120317B2 (en) * 2016-10-11 2018-11-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46165B2 (en) * 2016-10-11 2018-12-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7086625B2 (ja) * 2018-01-31 202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印刷システム
JP7148867B2 (ja) 2018-11-30 2022-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搬送制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966A (ja) * 2000-06-16 2002-01-09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2302303A (ja) * 2002-01-21 2002-10-18 Canon Inc 複写装置
JP2003233276A (ja) * 2002-02-07 2003-08-22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6056679A (ja) * 2004-08-20 2006-03-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給紙装置
JP5315218B2 (ja) * 2009-11-26 2013-10-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8546A (ja) * 1984-05-23 1985-12-09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JPS61284780A (ja) * 1985-06-11 1986-12-15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JP2941827B2 (ja) 1988-12-15 1999-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H03123339A (ja) * 1989-10-06 1991-05-27 Sharp Corp 複写機
US5305995A (en) 1989-12-18 1994-04-26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for re-feeding a sheet without smearing
JPH03203752A (ja) 1989-12-29 1991-09-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EP0442527B1 (en) 1990-02-16 1998-11-25 Canon Kabushiki Kaisha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858151B2 (ja) 1990-02-23 1999-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可動部材位置決め機構
JP2673968B2 (ja) 1990-07-10 1997-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温度制御装置
JP3176090B2 (ja) 1991-08-01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EP0577403B1 (en) 1992-06-30 1997-01-15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sheet feeder
US5834857A (en) * 1994-04-15 1998-11-10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device for communication apparatus
JPH0863075A (ja) * 1994-08-22 1996-03-08 Konica Corp シートサイズ検知手段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5819134A (en) 1995-06-30 1998-10-06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a plurality of heaters
JPH0934195A (ja) * 1995-07-13 1997-02-07 Ricoh Co Ltd 画像形成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H09114318A (ja) 1995-10-20 1997-05-02 Canon Inc 定着装置およびこの定着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3666954B2 (ja) * 1995-10-24 2005-06-29 キヤノン株式会社 複写機及びその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H09325644A (ja) 1996-06-04 1997-12-16 Canon Inc 定着器制御装置と定着器の加熱温度制御方法
JPH11354254A (ja) 1998-06-10 1999-12-24 Canon Inc 加熱装置、定着装置及びこの加熱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368222B2 (ja) 1998-12-15 2003-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647240B2 (en) * 2001-03-12 2003-11-11 Canon Kabushiki Kaisha Original feed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ensors
JP3933928B2 (ja) 2001-12-13 2007-06-20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送り装置
JP3834252B2 (ja) * 2002-03-27 2006-10-1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4157832B2 (ja) * 2003-11-20 2008-10-01 株式会社リコー 原稿サイズ検知方法及び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632822B1 (en) 2004-09-06 2017-04-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6208973A (ja) * 2005-01-31 2006-08-10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6326861A (ja) 2005-05-23 2006-12-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7160711A (ja) * 2005-12-14 2007-06-28 Casio Electronics Co Ltd 印刷装置
JP2007171615A (ja) * 2005-12-22 2007-07-05 Kyocera Mita Corp 画像読取装置
JP5025382B2 (ja) * 2007-08-10 2012-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09205027A (ja) * 2008-02-29 2009-09-10 Kyocera Mita Corp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5228749B2 (ja) * 2008-03-28 2013-07-03 株式会社リコー 原稿サイズ検知機能を有する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20002247A1 (en) * 2010-07-02 2012-01-0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document size detection light source
JP2012103600A (ja) * 2010-11-12 2012-05-3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071494B2 (ja) 2012-12-04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6065268B2 (ja) * 2013-01-08 2017-01-25 株式会社リコー 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81285B2 (ja) * 2014-01-07 2018-02-2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6452421B2 (ja) * 2014-12-08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966A (ja) * 2000-06-16 2002-01-09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2302303A (ja) * 2002-01-21 2002-10-18 Canon Inc 複写装置
JP2003233276A (ja) * 2002-02-07 2003-08-22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6056679A (ja) * 2004-08-20 2006-03-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給紙装置
JP5315218B2 (ja) * 2009-11-26 2013-10-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21224A1 (de) 2016-06-09
CN105676606A (zh) 2016-06-15
US20160381241A1 (en) 2016-12-29
GB201521436D0 (en) 2016-01-20
US10038803B2 (en) 2018-07-31
JP2016108110A (ja) 2016-06-20
CN105676606B (zh) 2018-09-25
US9467586B2 (en) 2016-10-11
KR20160069481A (ko) 2016-06-16
GB2535287B (en) 2017-05-10
US20160165086A1 (en) 2016-06-09
JP6452421B2 (ja) 2019-01-16
GB2535287A (en)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379B1 (ko) 화상 형성 장치
US9505580B2 (en) Sheet material bin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with manual binding stand-by position
US9251443B2 (en) Printing apparatus that selects paper tray with priority based on presence or absence of sensor
US9323205B2 (en) Sheet binding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binding method
JP436474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05735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US20120038943A1 (en) Document reading apparatus, document size determin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25978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4315220A (ja) 画像形成装置
JP5233873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4387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081291B2 (ja) 画像形成装置
JP5921594B2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6687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2021006764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JP5740333B2 (ja) 画像形成装置
JP6614911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原稿サイズ検出プログラムおよび原稿サイズ検出方法
JP6749066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及び画像読取用プログラム
JP6188557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0888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21123470A (ja) 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1031247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095177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0021946A (ja) 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001013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