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138B1 - 부품 공급장치, 표면실장기, 및 부품의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공급장치, 표면실장기, 및 부품의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138B1
KR102056138B1 KR1020177031850A KR20177031850A KR102056138B1 KR 102056138 B1 KR102056138 B1 KR 102056138B1 KR 1020177031850 A KR1020177031850 A KR 1020177031850A KR 20177031850 A KR20177031850 A KR 20177031850A KR 102056138 B1 KR102056138 B1 KR 102056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upply
tape
sending
disp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328A (ko
Inventor
카즈요시 오야마
야스요시 혼가시
츠토무 야나기다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20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 B65H20/22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to effect step-by-step advancement of we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5Interconnecting of containers, e.g. splicing of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2Roll
    • B65H2301/4128Multiple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2Web supporting regularly spaced non-adhesive 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52Mounting machines or li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tools for guiding different components to the same mounting pl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부품 공급장치는 부품 공급 위치가 형성된 본체부(50A)와 테이프 통로(55)와 제 1 송출부(51)와 제 2 송출부(52)와 제어부와 입력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제 1 송출부(51)에 의해 송출해서 제 1 송출 위치(55C1)로부터 이간시키고,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적어도 일부를 부품이 유지된 상태에서 본체부(50A)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처리를 실행하는 배출 처리부와, 제 2 송출 위치(55B1)에 있는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60F)를 제 2 송출부(52)에 의해 제 1 송출 위치(55C1)를 향해서 송출하고, 제 1 송출부(51)에 의해 부품 공급 위치(S1)를 향해서 송출하는 송출 처리를 실행하는 송출 처리부를 갖고, 배출 처리부는 입력부에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배출 처리를 실행하고, 송출 처리부는 입력부에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배출 처리부가 배출 처리를 실행한 후에 배출 처리에 계속해서 송출 처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부품 공급장치, 표면실장기, 및 부품의 공급 방법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부품 공급장치, 그 부품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표면실장기, 및 부품의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부품을 프린트 기판 상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에 있어서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장치의 일례로서, 전자부품이 유지된 부품 공급 테이프를 부품 공급 위치에 송출하는 피더를 구비하는 부품 공급장치가 알려져 있다. 피더의 부품 공급 위치에서 부품 공급 테이프로부터 인출된 각 전자부품은, 표면실장기를 구성하는 부품 실장장치에 의해서 프린트 기판 상에 실장된다.
전자부품을 프린트 기판 상에 실장하는 실장 작업에서는, 프린트 기판의 기종을 바꿀 때에 프린트 기판 상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의 종류가 변경될 것이 있다. 이 경우,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와는 다른 전자부품이 유지된 별도의 부품 공급 테이프를 피더에 셋팅하고, 부품 공급 위치에 송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의 기종을 바꿀 때, 피더에서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를 피더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처리(언로딩 동작)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피더에 장전된 시작의 부품 공급 테이프에 대해서 언로딩 동작을 실행 가능한 피더가 개시되어 있다. 이 피더에서는 부품 공급 테이프를, 전자부품을 공급할 때의 송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송출하고, 피더의 외부로 배출해서 회수한다.
일본 특허공개 2014-11328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피더에서는, 프린트 기판의 기종을 바꿀 때,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의 언로딩 동작을 실행한 후에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와는 다른 전자부품이 유지된 별도의 부품 공급 테이프를, 사람의 손을 통해서 피더의 부품 공급 위치에 송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의 기종을 바꿀 때, 공급하는 전자부품을 교환하는 부품 교환 작업에 손이 많이 가고, 부품 교환 작업에 시간을 요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창작된 것이며, 부품 교환 작업의 단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부품 공급장치, 그 부품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표면실장기, 및 그러한 부품의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복수의 부품이 유지된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해서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장치로서, 상기 부품을 공급할 때의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위치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가 송출되는 테이프 통로와, 상기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 형성된 제 1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하는 제 1 송출부와, 상기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2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제 2 송출부와, 상기 제 1 송출부와 상기 제 2 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부품 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제 1 송출 위치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신장되는 제 1의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송출해서 상기 제 1 송출 위치로부터 이간시킴으로써, 상기 테이프 통로 상에 있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부품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처리를 실행하는 배출 처리부와, 상기 제 2 송출 위치에 있는 제 2의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2 송출부에 의해 상기 제 1 송출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고, 상기 제 1 송출 위치에 도달한 상기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부품 공급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송출 처리를 실행하는 송출 처리부를 갖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입력부에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배출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송출 처리부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배출 처리부가 상기 배출 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배출 처리에 계속해서 상기 송출 처리를 실행하는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에 의하면, 배출 처리에서는 제 1 송출부에 의해 그 적어도 일부가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된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제 1 송출 위치로부터 이간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자체 중량에 의한 낙하나 본체부 내에 설치된 다른 송출 기구를 이용해서 계속해서 송출시킴으로써 그 전체를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배출 처리에서는 부품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배출되기 때문에,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에 남겨진 부품이 부품 공급 위치에서 공급되지 않아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회수할 수 있다. 한편, 송출 처리에서는 제 2 송출 위치에 있는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제 2 송출부에 의해 부품 공급 위치까지 송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 공급장치에서는 입력부에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면 상기 배출 처리와 상기 송출 처리가 계속해서 실행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와는 다른 부품이 유지된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제 2 송출 위치에 배치해 두고, 입력부에 소정의 지시를 입력함으로써 본체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부품의 교환 작업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배출시킨 후에 사람의 손을 통해서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부품 공급 위치까지 송출시키는 것이 필요한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부품의 교환 작업에 있어서의 부품 공급 테이프의 교체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고, 부품 교환 작업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는 복수의 상기 본체부가 부착되는 부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부착부에 부착된 복수의 상기 본체부 중 상기 배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필요한 상기 본체부를 특정하는 특정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부를 갖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부착부에 부착된 복수의 상기 본체부 중 상기 특정 데이터에 의거한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 상기 배출 처리를 일괄해서 실행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기억부에 상기 특정 데이터가 기억됨으로써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특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복수의 본체부 중 부품 교환 작업이 필요한 본체부에 대해서 배출 처리가 일괄해서 실행된다. 그리고, 배출 처리가 일괄해서 실행된 각 본체부에 대해서 배출 처리에 계속해서 송출 처리가 일괄해서 실행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본체부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부품 교환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한 본체부마다 배출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없어, 부품 교환 작업의 한층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통로는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1 테이프 통로와,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와 칸막이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송출 위치를 포함하는 제 2 테이프 통로와,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와 상기 제 2 테이프 통로가 합류해서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서 신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송출 위치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를 포함하는 합류 테이프 통로를 가져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테이프 통로 상을 통과하는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에 의해 부품의 공급 작업을 행함으로써, 부품의 공급 작업을 행하면서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제 2 테이프 통로 상의 제 2 송출 위치에 미리 배치해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출 처리로부터 송출 처리로의 이행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처리에 있어서 제 1 테이프 통로를 통해서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시킴으로써,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와 간섭시키지 않고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배출 처리를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에서는, 부품 교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부품 교환 작업의 한층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테이프 통로와 제 2 테이프 통로는 본체부의 일부에 의해 칸막이되어도 좋고, 본체부에 부착된 본체부와는 다른 부재에 의해 칸막이되어도 좋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는,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 상에 형성된 제 3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부를 갖고, 상기 제 3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바이어싱부가 바이어싱함으로써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해서 송출하는 제 3 송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송출부를 또한 제어하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적어도 상기 제 1 송출 위치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와 상기 제 3 송출 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신장되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해서 송출하고, 상기 제 3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바이어싱부에 의해 바이어싱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송출 위치로부터 이간한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3 송출부에 의해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바이어싱부가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바이어싱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 1 테이프 통로 상을 통과하는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에 의해 부품의 공급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에 의해 부품의 공급 작업 중에 실행되는 배출 처리에 있어서, 바이어싱부가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바이어싱함으로써 제 1 송출 위치로부터 이간한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제 3 송출부에 의해 상기 상류측에서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출 처리에 있어서 사람의 손을 통하지 않고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전체를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부품 교환 작업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와 상기 제 2 테이프 통로의 합류점에, 상기 제 2 테이프 통로와 상기 합류 테이프의 경계부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합류 테이프 통로와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의 사이에 연결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경계부를 차단하지 않는 제 2 상태의 사이에서 변경 가능하게 배치되는 경로 형성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 형성부를 또한 제어하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상기 경로 형성부를 상기 제 1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배출 처리가 종료하면 상기 경로 형성부를 상기 제 2 상태로 변경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출 처리의 실행시에 경로 형성부가 제 1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종단부가 합류 테이프 통로 상에 있을 경우이여도 배출 처리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으로 송출되는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종단부가 경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연결되는 경로에 의해서 제 1 테이프 통로 상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배출 처리가 종료하면 경로 형성부가 제 2 상태로 변경되어서 상기 경계부를 차단하지 않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가 제 2 송출 위치에 미리 배치되어 있을 경우 배출 처리의 종료 후에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신속하게 부품 공급 위치를 향해서 송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에서는,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종단부가 합류 테이프 통로 상에 있을 경우라도, 부품 교환 작업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어 부품 교환 작업의 한층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는 상기 합류 테이프 통로로부터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의 하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 1 송출 위치로부터 이간한 상기 합류 테이프 통로 상에 있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그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 가능한 구배로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해서 송출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출 처리에 있어서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상기 상류측으로 송출됨으로써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그 자체 중량에 의해 제 1 테이프 통로의 경사를 따라서 낙하하고,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전체를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상류측으로 송출하기 위한 상기 제 3 송출부 등의 기구를 제 1 테이프 통로 상에 형성하지 않고, 배출 처리에 있어서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자동적으로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간단한 구성으로 부품 교환 작업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어 부품 교환 작업의 한층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는,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 상에 있어서의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 1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적어도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가 없는 것을 상기 제 1 검출부가 검출할 때까지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출 처리에 있어서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상류측을 향해서 송출할 경우, 배출 처리에 있어서 제 1 테이프 통로 상에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없는 것을 제 1 검출부가 검출함으로써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본체부의 상기 상류측에서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된 것으로 가정하고, 배출 처리에 있어서 제 1 테이프 통로 상에 있는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하기 위한 상기 제 3 송출부 등의 기구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 때문에, 상기 기구가 쓸모없이 구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송출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부품의 공급 작업에 필요한 길이만큼 확보해서 상기 상류측에서 미리 잘라 두면, 배출 처리에 있어서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하류측을 향해서 송출함으로써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 3 송출부 등의 기구를 제 1 테이프 통로 상에 형성하지 않고, 배출 처리에 있어서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자동적으로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간단한 구성으로 부품 교환 작업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어 부품 교환 작업의 한층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는, 상기 합류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제 1 송출 위치보다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적어도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없는 것을 상기 제 2 검출부가 검출할 때까지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출 처리에 있어서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하류측을 향해서 송출할 경우, 배출 처리에 있어서 합류 테이프 통로 상 중 부품 공급 위치보다 상기 하류측에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없는 것을 제 2 검출부가 검출함으로써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본체부의 상기 하류측에서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된 것으로 가정하고, 배출 처리에 있어서 합류 테이프 통로 상에 있는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하기 위한 상기 제 1 송출부 등의 기구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 때문에 상기 기구가 쓸모없이 구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는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부와, 소정의 시간이 미리 설정된 감시 타이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한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송출을 개시한 후에 상기 감시 타이머를 셋팅하고,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있는 것을 상기 제 2 검출부가 검출했을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표시부의 상기 표시 화면에 에러 표시를 표시시켜도 좋다.
배출 처리에 있어서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하류측을 향해서 송출하는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부품 공급장치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나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미리 컷팅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 어떠한 에러가 생김으로써, 배출 처리에 있어서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계속해서 송출될 우려가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감시 타이머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부품 공급 위치의 상기 하류측에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 어떠한 에러가 발생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가정하고 표시 화면에 에러 표시가 표시된다. 이 때문에, 제 1 송출부가 쓸모없이 구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다른 기술은, 상기 부품 공급장치와, 기대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부품을 상기 기대 상의 부품 실장 위치에서 기판 상에 실장하는 부품 실장장치와, 상기 기판을 상기 부품 실장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장치를 구비하는 표면실장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다른 기술은, 복수의 부품이 유지된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하는 부품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 공급장치는 상기 부품을 공급할 때의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위치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가 송출되는 테이프 통로와, 상기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 형성된 제 1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하는 제 1 송출부와, 상기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2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제 2 송출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송출 위치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신장되는 제 1의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송출하고, 상기 테이프 통로 상에 있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부품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공정과, 상기 제 2 송출 위치에 있는 제 2의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2 송출부에 의해 상기 제 1 송출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고, 상기 제 1 송출 위치에 도달한 상기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부품 공급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송출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공정의 뒤에 상기 배출 공정에 계속해서 상기 송출 공정을 실행하는 부품의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부품의 공급 방법은, 상기 배출 공정 전에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있어서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서 컷팅하는 컷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송출해도 좋다.
상기 부품의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출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해서 송출해서 상기 제 1 송출 위치로부터 이간시킨 후에,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신장되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일부를 인발함으로써 상기 테이프 통로 상에 있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전체를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해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에 의하면, 부품 교환 작업의 단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부품 공급장치, 그 부품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표면실장기, 및 그러한 부품의 공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표면실장기의 평면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 의한 피더의 측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부품 공급 테이프의 톱 테이프의 컷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표면실장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배출 방법의 순서 (1)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배출 방법의 순서 (2)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송출 방법의 순서 (1)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송출 방법의 순서 (2)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기종 교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배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송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실시형태 2에 의한 피더의 측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배출 방법의 순서 (1)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배출 방법의 순서 (2)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배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실시형태 3에 의한 피더의 측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실시형태 3에 의한 표면실장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8은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배출 방법의 순서 (1)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9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배출 방법의 순서 (2)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0은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배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실시형태 4에 의한 피더의 측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2는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배출 방법의 순서 (1)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3은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배출 방법의 순서 (2)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4는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배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5는 실시형태 5에 의한 피더의 측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6은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배출 방법의 순서 (1)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7은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배출 방법의 순서 (2)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8은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배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실시형태 1>
(표면실장기의 전체 구성)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해서 실시형태 1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표면실장기(1) 및 표면실장기(1)가 구비하는 피더형 공급장치(부품 공급장치의 일례)(40)에 대해서 예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표면실장기(1)는, 기대(10)와, 프린트 기판(기판의 일례)(P1)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반송장치의 일례)(20)와, 프린트 기판(P1) 상에 전자부품(부품의 일례)(E1)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장치(30)와, 부품 실장장치(30)에 전자부품(E1)(도 3 참조)을 공급하는 피더형 공급장치(40) 등을 구비하고 있다.
기대(10)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 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상면이 평탄하게 된다. 또한, 기대(10)에 있어서의 반송 컨베이어(20)의 하방에는 프린트 기판(P1) 상에 전자부품(E1)을 실장할 때에 그 프린트 기판(P1)을 백업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백업 핀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대(10)의 긴변 방향(도 1의 좌우 방향) 및 반송 컨베이어(20)의 반송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고, 기대(10)의 짧은변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하고, 기대(10)의 상하 방향(도 2의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한다.
반송 컨베이어(20)는 Y축 방향에 있어서의 기대(10)의 대략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프린트 기판(P1)을 반송 방향(X축 방향)을 따라서 반송한다. 반송 컨베이어(20)는 반송 방향으로 순환 구동하는 한쌍의 컨베이어 벨트(22)를 구비하고 있다. 프린트 기판(P1)은 양 컨베이어 벨트(22)에 가설하는 형태로 셋팅된다. 프린트 기판(P1)은 반송 방향의 일방측(도 1에서 나타내는 우측)으로부터 컨베이어 벨트(22)를 따라서 기대(10) 상의 작업 위치(도 1의 2점 쇄선으로 둘러싸이는 위치)에 반입되고, 작업 위치에서 정지해서 전자부품(E1)의 실장 작업이 된 후, 컨베이어 벨트(22)를 따라서 타방측(도 1에서 나타내는 좌측)으로 반출된다.
부품 실장장치(30)는 기대(10) 및 후술하는 피더형 공급장치(40) 등의 상방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 프레임(31)과, 헤드 유닛(32)과, 헤드 유닛(32)을 구동하는 헤드 유닛 구동기구로 구성된다. 각 지지 프레임(31)은 각각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기대(10)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고,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31)에는 헤드 유닛 구동기구를 구성하는 X축 서보기구 및 Y축 서보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 유닛(32)은 X축 서보기구 및 Y축 서보기구에 의해서 일정한 가동 영역 내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Y축 서보기구는 Y축 가이드 레일(33Y)과, 도시하지 않은 볼 너트가 나사결합된 Y축 볼 나사(34Y)와, Y축 서보모터(35Y)를 갖고 있다. 각 Y축 가이드 레일(33Y)에는 볼 너트에 고정된 헤드 지지체(36)가 부착되어 있다. Y축 서보모터(35Y)가 통전 제어되면 Y축 볼 나사(34Y)를 따라서 볼 너트가 진퇴하고, 그 결과, 볼 너트에 고정된 헤드 지지체(36), 및 다음에 서술하는 헤드 유닛(32)이 Y축 가이드 레일(33Y)을 따라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X축 서보기구는 X축 가이드 레일(도면에 나타내지 않음)과, 도시하지 않은 볼 너트가 나사결합된 X축 볼 나사(34X)와, X축 서보모터(35X)(도 4 참조)를 갖고 있다. X축 가이드 레일(33X)에는 그 축방향을 따라서 헤드 유닛(32)이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X축 서보모터(35X)가 통전 제어되면, X축 볼 나사(34X)를 따라서 볼 너트가 진퇴하고, 그 결과, 볼 너트에 고정된 헤드 유닛(32)이 X축 가이드 레일(33X)을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헤드 유닛(32)은, 후술하는 피더형 공급장치(40)에 의해 공급되는 전자부품(E1)을 인출하여 프린트 기판(P1) 상에 실장한다. 헤드 유닛(32)에는 전자부품(E1)의 실장 동작을 행하는 실장 헤드(37)가 열 형상을 이루어 복수개 탑재되어 있다. 각 실장 헤드(37)는 헤드 유닛(32)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그 선단에는 전자부품(E1)을 부압에 의해서 흡착하는 흡착 노즐(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실장 헤드(37)는 R축 서보모터(35R)(도 4 참조) 등에 의해서 축 둘레의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Z축 서보모터(35Z)(도 4 참조) 등의 구동에 의해서 헤드 유닛(3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헤드 유닛(32)에는 기판 인식 카메라(C1)(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 인식 카메라(C1)는 헤드 유닛(32)과 함께 일체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작업 위치에 정지한 프린트 기판(P1) 상의 임의의 위치의 화상을 촬상한다. 또한, 기대(10) 상에 있어서의 작업 위치의 근방에는 부품 인식 카메라(C2)(도 1 참조)가 고정되어 있다. 부품 인식 카메라(C2)는 실장 헤드(37)에 의해서 부품 공급 위치(S1)로부터 인출된 전자부품(E1)의 화상을 촬상한다.
(피더형 공급장치의 구성)
이어서, 피더형 공급장치(4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더형 공급장치(40)는 반송 컨베이어(20)의 양측(도 1의 상하 양측)에 있어서 X축 방향으로 나란히 2개소씩, 합계 4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피더형 공급장치(40)는 피더(50)가 부착된 피더 부착부(부착부의 일례)(42)와, 도시하지 않은 릴 지지부와, 피더(50)의 뒤측에 부착된 송출 유닛(70)을 구비하고, 후술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를 릴 지지부로부터 송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피더형 공급장치(40)에 있어서 전자부품(E1)을 공급하는 측(반송 컨베이어(20)로 향해지는 측, 각 측면도에 있어서의 좌측)을 피더(50)의 앞측으로 하고, 그것과는 반대측을 피더(50)의 뒤측으로 한다. 또한, 피더(50)의 전후 방향(Y축 방향) 및 상하 방향(Z축 방향)의 양자와 직교하는 방향을 피더(50)의 폭 방향(X축 방향, 본체부(50A)의 폭 방향, 부품 공급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한다. 각 피더(50)에서는, 그 뒤측에서 앞측을 향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송출된다. 따라서,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송출 방향은, 각 피더(50)의 뒤측을 상류측으로 해서 피더(50)의 전후 방향과 일치한다.
피더 부착부(42)에는 복수의 피더(50)가 횡배열 상에 정렬해서 부착되어 있다. 각 피더(50)는 전자부품(E1)이 유지된 부품 공급 테이프(60)를, 피더(50)의 앞측에 형성된 부품 공급 위치(S1)를 향해서 송출한다. 릴 지지부는 피더 부착부(42)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릴 지지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권회된 복수의 릴(R1, R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더(5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긴 형상을 이루는 피더 케이스로서의 본체부(50A)와, 본체부(50A)의 앞측 부분에 설치된 앞측 송출부(제 1 송출부의 일례)(51)와, 본체부(50A)의 뒤측 부분에 설치된 뒤측 송출부(제 2 송출부의 일례)(52)와, 본체부(50A)의 뒤측 부분에 설치된 배출부(제 3 송출부의 일례)(53)와, 본체부(50A) 내에 형성된 테이프 통로(55)와, 노출부(56)와, 제 1 센서(제 2 검출부의 일례)(58A)와, 제 2 센서(58B)와, 제 3 센서(제 1 검출부의 일례)(58C)와, 피더 제어부(59)(도 4 참조)를 구비한다.
각 피더(50)에 의해 송출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긴 시트 형상을 이루고 있고, 예를 들면 합성수지제로 되고, 캐리어 테이프(62)와, 캐리어 테이프(62)에 부착되는 톱 테이프(64)로 구성된다. 캐리어 테이프(62)는 상방으로 개구된 공동 형상의 부품 수납부(62A)를 일정한 간격으로 갖고 있다. 각 부품 수납부(62A)에는 톱 테이프(64)에 의해 폐지된 상태로 전자부품(E1)이 수납되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62)의 한변측에는, 그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상하로 관통하는 맞물림 구멍(62B)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더(50)의 앞측 송출부(51)는 앞측 모터(51A)와, 앞측 드리븐 기어(51B)와, 본체부(50A)의 전단부에 배치된 제 1 스프로킷(51C)과, 본체부(50A)의 전단부에 있어서 제 1 스프로킷(51C)의 뒤측에 배치된 제 2 스프로킷(51D)으로 구성된다. 앞측 모터(51A)는 정전 방향 및 역전 방향의 어느 쪽으로나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앞측 드리븐 기어(51B)는 앞측 모터(51A)의 동력을 전달해서 제 1 스프로킷(51C) 및 제 2 스프로킷(51D)의 양자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각 피더(50)에 있어서의 부품 공급 위치(S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프로킷(51C)과 제 2 스프로킷의 사이 중 제 1 스프로킷(51C) 근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스프로킷(51C) 및 제 2 스프로킷(51D)의 외주에는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맞물림 구멍(62B)에 맞물리는 톱니(51C1, 51D1)가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스프로킷(51C, 51D)은 그 톱니(51C1, 51D1)의 일부가 상방으로 노출 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앞측 송출부(51)에서는 양 스프로킷(51C, 51D)의 상기 노출된 톱니(51C1, 51D1)가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맞물림 구멍(62B)에 맞물린 상태에서 앞측 모터(51A)가 정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도 2에 있어서 양 스프로킷(51C, 51D)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부품 공급 테이프(60)이 전방으로 송출된다.
피더(50)의 뒤측 송출부(52)는 뒤측 모터(52A)와, 뒤측 드리븐 기어(52B)와, 본체부(50A)의 후단부에 배치된 제 3 스프로킷(52C)으로 구성된다. 뒤측 드리븐 기어(52B)는 뒤측 모터(52A)의 동력을 전달해서 제 3 스프로킷(52C)을 회전시킨다.
제 3 스프로킷(52C)의 외주에는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맞물림 구멍(62B)에 맞물리는 톱니(52C1)가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3 스프로킷(52C)은 그 톱니(52C1)의 일부가 상방으로 노출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뒤측 송출부(52)에서는 제 3 스프로킷(52C)의 상기 노출된 톱니(52C1)가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맞물림 구멍(62B)에 맞물린 상태에서 뒤측 모터(52A)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도 2에 있어서 제 3 스프로킷(52C)이 반시계 방햐응로 회전하고,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부품 공급 위치(S1)를 향해서 송출된다.
배출부(53)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바이어싱 모터(바이어싱부의 일례)(53A)와, 바이어싱 모터(53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53B)로 구성된다. 바이어싱 모터(53A)는 승강부(53B)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후술하는 송출 유닛(70)의 가이드 롤러(70A)와의 사이에서 부품 공급 테이프(60)를 협지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60)를 바이어싱한다. 배출부(53)에서는 바이어싱 모터(53A)가 부품 공급 테이프(60)를 바이어싱한 상태에서, 도 2에 있어서 바이어싱 모터(53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후방으로 배출된다.
테이프 통로(55)는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송출되는 통로이다. 테이프 통로(55)는 본체부(50A)의 후단부로부터 전단부에 걸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통로(55)의 앞측 부분은 상방이 개방되어 있고, 여기에 부품 공급 위치(S1)나 후술하는 노출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피더(50)에서는 릴(R1, R2)로부터 도입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본체부(50A)의 후단부로부터 테이프 통로(55)로 들어가고, 본체부(50A)의 전단부에 있어서 테이프 통로(55)로부터 빠져 본체부(50A)의 전방으로 송출되게 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통로(55)는 그 후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고, 이 후단부에 후술하는 송출 유닛(70)이 부착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출 유닛(70)에 의해 앞측에서 뒤측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신장되는 상측의 통로와,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는 하측의 통로로 칸막이된다. 이하에서는, 송출 유닛(70)에 의해 칸막이되는 2개의 통로 중, 상측의 통로를 제 1 테이프 통로(55A)라고 칭하고, 하측의 통로를 제 2 테이프 통로(55B)라고 칭한다. 또한, 테이프 통로(55) 중, 제 1 테이프 통로(55A)와 제 2 테이프 통로(55B)가 합류해서 본체부(50A)의 전단부를 향해서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는 통로를 합류 테이프 통로(55C)라고 칭한다.
각 피더(50)의 본체부(50A)에서는,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을 지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는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의 제 1 송출 위치(55C1)에 있어서 제 2 스프로킷(51D)과 맞물린다. 또한, 제 2 테이프 통로(55B) 상을 지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는 제 2 테이프 통로(55B) 상의 제 2 송출 위치(55B1)에 있어서 제 3 스프로킷(52C)과 맞물린다. 또한, 제 1 테이프 통로(55A) 상을 지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는 제 1 테이프 통로(55A) 상의 배출 위치(제 3 송출 위치의 일례)(55A1)에 있어서 바이어싱 모터(53A)에 바이어싱된다.
노출부(56)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에 있어서의 제 1 스프로킷(51C)과 제 2 스프로킷(51D)의 사이 중 부품 공급 위치(S1)보다 후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노출부(56)에는 합류 테이프 통로(55C)측으로 향하는 부위에, 톱 테이프(64)를 컷팅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컷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출부(56)를 지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는 그 톱 테이프(64)가 상기 컷 기구에 의해 컷팅되어, 부품 수납부(62A)에 수납된 전자부품(E1)이 노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컷 기구에 의해 컷팅된 톱 테이프(6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62)의 폭 방향의 일방측으로 리턴되어, 캐리어 테이프(62)와 함께 송출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톱 테이프(64)가 컷팅된 부품 공급 테이프(60)는, 전자부품(E1)이 노출된 상태에서 부품 공급 위치(S1)에 송출된다. 그리고, 전자부품(E1)이 부품 공급 위치(S1)에 송출되는 타이밍에 맞춰서 실장 헤드(37)가 부품 공급 위치(S1)까지 이동되고, 캐리어 테이프(62)의 부품 수납부(62A)로부터 전자부품(E1)이 인출된다.
제 1 센서(58A)는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에 있어서의 제 1 스프로킷(51C)과 제 2 스프로킷(51D)의 사이 중 노출부(56)보다 후방의 위치에 합류 테이프 통로(55C)측을 향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에 있어서의 제 1 스프로킷(51C)과 제 2 스프로킷(51D) 사이의 위치의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유무를 검출한다.
제 2 센서(58B)는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 중 제 1 테이프 통로(55A)와 제 2 테이프 통로(55B)가 합류하는 위치를 향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합류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유무를 검출한다.
제 3 센서(58C)는 제 1 테이프 통로(55A) 상에 있어서의 배출 위치(55A1)보다 전방의 위치에 제 1 테이프 통로(55A)측을 향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의 위치에 있어서의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유무를 검출한다.
송출 유닛(7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는 유닛 부재이며, 각 피더(50)의 본체부(50A)의 후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송출 유닛(70)은 본체부(50A)의 후단부에 부착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통로(55)의 후단부를 제 1 테이프 통로(55A)와 제 2 테이프 통로(55B)로 칸막이한다. 또한, 송출 유닛(70)에는 제 1 테이프 통로(55A) 상을 지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송출을 가이드하는 공전 가능한 가이드 롤러(7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측 모터(51A), 뒤측 모터(52A), 및 바이어싱 모터(53A)는 서로 같은 속도로 회전 구동한다. 이 때문에,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테이프 통로(55) 상의 소정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까지 송출되는데에 요하는 시간은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표면실장기의 전기적 구성)
이어서, 표면실장기(1)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표면실장기(1)의 본체는 제어부(80)에 의해서 그 전체가 제어 통괄되어 있다. 제어부(80)는 CPU 등에 의해 구성되는 연산 처리부(81)를 구비하고 있다. 연산 처리부(81)에는 모터 제어부(82)와, 기억부(83)와, 화상 처리부(84)와, 외부 입출력부(85)와, 피더 통신부(86)와, 배출 처리부(87A)와, 송출 처리부(87B)와, 표시부(88)와, 입력부(89)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산 처리부(81)에는 지연 타이머(81A)가 내장되어 있다.
연산 처리부(81)에 내장된 지연 타이머(81A)는, 테이프 통로(55) 상을 후방으로 송출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선단부가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의 제 1 센서(58A)가 설치된 위치를 떠나고나서 제 1 송출 위치(55C1)를 통과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 및 제 1 테이프 통로(55A) 상의 제 3 센서(58C)가 설치된 위치가 배출 위치(55A1)를 통과할 때까지에 요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타이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피더(50)에서는 상기 양 시간이 거의 같아지도록, 제 1 센서(58A)와 제 1 송출 위치(55C1) 사이의 간격 및 제 3 센서(58C)와 배출 위치(55A1) 사이의 간격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모터 제어부(82)는, 후술하는 실장 프로그램(83A)에 따라서 헤드 유닛(32)의 X축 서보모터(35X) 및 Y축 서보모터(35Y)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각 실장 헤드(37)의 Z축 서보모터(35Z) 및 R축 서보모터(35R)를 구동시킨다. 또한, 모터 제어부(82)는 실장 프로그램(83A)에 따라서 반송 컨베이어(20)를 구동시킨다.
기억부(83)는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고, 실장 프로그램(83A) 및 각종 데이터(83B)가 기억되어 있다. 기억부(83)에 기억되는 실장 프로그램(83A)에는, 실장 대상이 되는 프린트 기판(P1)의 기종이나 생산 대수에 관한 기판정보, 프린트 기판(P1)에 실장되는 전자부품(E1)의 개수나 종류 등을 포함하는 부품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기억부(83)에 기억되는 각종 데이터(83B)에는 피더형 공급장치(40)에 부착된 각 피더(50)에 유지된 전자부품(E1)의 수나 종류에 관한 데이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83)에 기억되는 각종 데이터(83B)에는 상기 실장 프로그램(83A)에 따른 전자부품(E1)의 실장 작업 중에서의 프린트 기판(P1)의 기종의 교체(이하, 「기종 교체」라고 칭한다)마다, 교체 후의 프린트 기판(P1)의 기종에 따라서 피더 부착부(42)에 부착된 복수의 피더(50) 중, 유지된 전자부품(E1)의 종류를 바꾸는 것(이하, 「부품 교환」이라고 칭한다)이 필요한 피더(50)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84)에는 기판 인식 카메라(C1) 및 부품 인식 카메라(C2)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가 각각 도입된다. 화상 처리부(84)에서는 도입된 각 카메라(C1, C2)로부터의 촬상신호에 의거하여 부품 화상의 해석, 기판 화상의 해석 등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외부 입출력부(85)는 소위 인터페이스이며, 표면실장기(1)의 본체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류(85A)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가 도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입출력부(85)는 연산 처리부(8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표면실장기(1)의 본체에 설치되는 각종 액츄에이터류(85B)에 대한 동작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더 통신부(86)는 피더형 공급장치(40)에 부착된 각 피더(50)의 피더 제어부(59)와 접속되어 있고, 각 피더(50)를 통괄해서 제어한다. 피더 제어부(59)는 각 피더(50)의 하측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피더(50) 내의 앞측 모터(51A), 뒤측 모터(52A), 및 바이어싱 모터(53A)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피더 제어부(59)는 피더(50) 내의 제 1 센서(58A), 제 2 센서(58B), 및 제 3 센서(58C)와 접속되어 있고, 각 센서(58A, 58B, 58C)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가 도입되게 되어 있다.
배출 처리부(87A)는 피더(50)의 본체부(50A) 내에 있는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적어도 일부를 본체부(50A)의 외부로 배출한다. 송출 처리부(87B)는 제 2 송출 위치(55B1)에 셋팅된 부품 공급 테이프(60)를 부품 공급 위치(S1)를 향해서 송출한다.
표시부(88)는 표시화면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등으로 구성되고, 표면실장기(1)의 상태 등을 표시화면 상에 표시한다. 표시부(88)에는, 후술하는 기종 교체 처리가 실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기종 교체 램프가 포함된다.
입력부(89)는 키보드 등으로 구성되고, 수동에 의한 조작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게 되어 있다. 입력부(89)에는, 후술하는 기종 교체 처리를 실행하는 지시(소정 지시의 일례)의 입력을 접수하는 기종 교체 버튼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88) 및 상기 입력부(89)는 표면실장기(1) 중 피더형 공급장치(4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한 표면실장기(1)에서는, 자동운전 중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20)에 의한 프린트 기판(P1)의 반송 작업을 행하는 반송 상태와, 기대(10) 상의 작업 위치에 반입된 프린트 기판(P1) 상으로의 전자부품(E1)의 실장 작업을 행하는 실장 상태가 교대로 실행된다.
상기 실장 상태에 있어서 입력부(89)의 기종 교체 버튼이 작업자 등에 의해 눌리면, 제어부(80)는 복수의 피더(50) 중 상기 특정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피더(50)에 있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적어도 일부를 피더(50)의 본체부(50A)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처리를 일괄해서 실행하고, 배출 처리가 실행된 피더(50)에 있어서 배출 처리의 뒤에 배출 처리에 계속하여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와는 다른 전자부품(E1)이 유지된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를 부품 공급 위치(S1)를 향해서 송출하는 송출 처리를 일괄해서 실행한다.
(배출 방법 및 송출 방법)
본 실시형태에 의한 표면실장기(1) 및 피더형 공급장치(40)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며, 다음에 실시형태 1의 피더형 공급장치(40)에 있어서의 상기 배출 처리의 배출 방법, 및 상기 송출 처리의 송출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전제로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더(50)의 본체부(50A)에 있어서 부품 공급 위치(S1)에서 전자부품(E1)을 공급 중인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일례)(60P)는, 바이어싱 모터(53A)에 의해 바이어싱되지 않는 상태(바이어싱 모터(53A)가 상승된 상태)에서 제 1 테이프 통로(55A)를 지나서 합류 테이프 통로(55C)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배출 처리에 앞서, 작업자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에 의한 전자부품(E1)의 공급 중에,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와는 다른 전자부품(E1)(기종 교체 후의 프린트 기판(P1) 상에 실장되는 전자부품(E1))이 유지된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제 2 부품 공급 테이프의 일례)(60F)의 선단부를 피더(50)의 후단부로부터 제 2 송출 위치(55B1)까지 삽입하고,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의 선단부를 미리 제 3 스프로킷(52C)과 맞물림시켜 둔다(도 2에 나타내는 상태).
배출 처리에서는, 우선 앞측 모터(51A)를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도 2에 있어서 제 1 스프로킷(51C) 및 제 2 스프로킷(51D)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후방으로 송출되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에 남아 있는 전자부품(E1)이 유지된 상태에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선단부(60P1)가 제 2 스프로킷(51D)로부터 분리된다(배출 공정). 즉, 제 1 송출 위치(55C1)로부터 이간한다. 또한, 본체부(50A)의 뒤측에서 후방으로 송출되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는, 릴(R1)로 수시 권취하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바이어싱 모터(53A)를 하강시켜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에 바이어싱시켜, 바이어싱 모터(53A)를 회전 구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바이어싱 모터(53A)에 의해 더욱 후방으로 송출된다. 그리고,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선단부가 바이어싱 모터(53A)에 의해 더욱 후방으로 송출됨으로써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전체가 피더(5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의 순서에 의해 배출 처리가 실행된다.
계속해서 송출 처리에서는, 뒤측 모터(52A)를 회전 구동시킴과 아울러 앞측 모터(51A)를 정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송출 위치(55B1)에 셋팅된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를 전방으로 송출한다(송출 공정). 이것에 의해, 제 2 송출 위치(55B1)로부터 전방으로 송출된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는, 그 선단부(60F1)가 제 1 송출 위치(55C1)에 도달해서 제 2 스프로킷(51D)과 맞물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스프로킷(51D)에 의해 부품 공급 위치(S1)를 향해서 송출된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송출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피더(50)에 있어서 부품 교환을 복수회 행할 경우, 상기 송출 처리의 뒤,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에 의한 전자부품(E1)의 공급 중에 본체부(50A)의 후단부로부터 송출 유닛(70)을 일단 분리하고,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 중 제 2 테이프 통로(55B) 상에 있는 부분을 들어올려서 송출 유닛(70) 상에 위치하도록 해서 송출 유닛(70)을 본체부(50A)에 다시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는 제 1 테이프 통로(55A)를 지나서 합류 테이프 통로(55C)에 도달하는 형태로 되고,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에 의한 전자부품(E1)의 공급 중에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와는 다른 전자부품(E1)이 유지된 다음의 부품 공급 테이프의 선단부를 제 3 스프로킷(52C)과 맞물림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다시 상기 배출 처리와 상기 송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가 실행하는 처리)
이어서, 반송 상태 중에 입력부(89)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해 기종 교체 버튼이 눌렸을 경우에, 제어부(80) 및 피더 제어부(59)가 실행하는 기종 교체 처리에 대해서,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기종 교체 처리에서는, 제어부(80)는 우선, 표시부(88)에 있어서 기종 교체 램프를 점등시킨다(S2).
이어서, 제어부(80)는 기종 교체 후의 프린트 기판(P1)의 폭에 대응하도록, 반송 컨베이어(20)의 한쌍의 컨베이어 벨트(22)의 폭을 변경하는 컨베이어 폭 변경 처리를 실행한다(S4). 이어서, 제어부(80)는 기종 교체 후의 프린트 기판(P1)에 실장되는 전자부품(E1)에 대응하도록, 헤드 유닛(32)에 있어서의 각 실장 헤드(37)의 흡착 노즐을 교환하는 노즐 교환 처리를 실행한다(S6). 이어서, 제어부(80)는 기종 교체 후의 프린트 기판(P1)의 백업에 대응하도록, 백업 핀을 갈아 넣는 백업 핀 교체 처리를 실행한다(S8).
이어서, 제어부(80)는 상기 기억부(83)로부터 상기 특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특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복수의 피더(50) 중 부품 교환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피더(50)를 특정한다(S10).
이어서, 제어부(80)는 S10에서 특정한 피더(50)에 대해서 부품 교환 처리를 실행한다(S12). 부품 교환 처리에서는, 제어부(80)는 S10에서 특정한 피더(50)에 대해서 배출 처리를 일괄해서 실행하고, 계속해서 송출 처리를 일괄해서 실행한다. 제어부(80)가 부품 교환 처리 중에서 실행하는 배출 처리 및 송출 처리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80)는 부품 교환 처리가 종료하면 S14로 이행한다.
S14에서는, 제어부(80)는 기종 교체 작업에 필요한 모든 동작(기종 교체 동작)이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80)는 S14에서 기종 교체 동작이 종료했다고 판단했을 경우(S14:YES), S16으로 이행한다. 제어부(80)는 S14에서 기종 교체 동작이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S14:NO), S4로 돌아간다.
S16에서는, 제어부(80)는 기종 교체 램프를 소등하고, S18로 이행한다. S18에서는, 제어부(80)는 표면실장기(1)의 각 장치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80)는 S18에서 이상이 없다고 판단했을 경우(S18:NO), 기종 교체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부(80)는 S18에서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S18:YES), 표시부(88)에 에러 표시를 표시시키고(S20), 기종 교체 처리를 종료한다.
(배출 처리)
이어서, 제어부(80)의 배출 처리부(87A)가 피더 제어부(59)를 통해서 S12의 부품 교환 처리 중에서 실행하는 실시형태 1의 배출 처리에 대해서, 도 10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배출 처리에서는, 배출 처리부(87A)는 우선, 피더(50)의 본체부(50A) 내의 제 1 센서(58A), 제 2 센서(58B), 및 제 3 센서(58C)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32).
배출 처리부(87A)는 S32에서 제 1 센서(58A), 제 2 센서(58B), 및 제 3 센서(58C)의 모든 센서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32:YES), S34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32에서 제 1 센서(58A), 제 2 센서(58B), 및 제 3 센서(58C)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32:NO), 배출 처리를 종료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34에서는 앞측 모터(51A)를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S36으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송출 위치(55C1)에 있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후방으로 송출된다. 배출 처리부(87A)는, S36에서는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36에서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36:YES), S36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36에서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36:NO), S38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38에서는 연산 처리부(81)에 내장된 지연 타이머(81A)를 셋팅하고(지연 타이머(81A)에 의한 카운트를 개시하고), S40으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0에서는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했는지의 여부(지연 타이머(81A)의 나머지 시간이 제로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0에서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했다고 판단했을 경우(S40:YES), 후방으로 송출 중인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선단부가 제 1 송출 위치(55C1)를 통과한(제 2 스프로킷(51D)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가정하고, S42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0에서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S40:NO),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할 때까지 S40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2에서는 승강부(53B)에 의해 바이어싱 모터(53A)를 하강시킨다. 다음에 배출 처리부(87A)는 바이어싱 모터(53A)를 회전 구동한다(S44). 이것에 의해, 배출 위치(55A1)에 있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후방으로 송출된다. 이어서, 배출 처리부(87A)는 지연 타이머(81A)를 리셋하고(S46), S48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8에서는 제 3 센서(58C)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8에서 제 3 센서(58C)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48:YES), S48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8에서 제 3 센서(58C)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48:NO), S50으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50에서는 연산 처리부(81)에 내장된 지연 타이머(81A)를 다시 셋팅하고, S52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52에서는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52에서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했다고 판단했을 경우(S52:YES), 후방으로 송출 중인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선단부가 배출 위치(55A1)을 통과한(바이어싱 모터(53A)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가정하고, S54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52에서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S52:NO),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할 때까지 S52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54에서는 승강부(53B)에 의해서 바이어싱 모터(53A)를 상승시킨다. 이어서, 배출 처리부(87A)는 바이어싱 모터(53A)의 구동을 정지한다(S56). 이어서, 배출 처리부(87A)는 앞측 모터(51A)의 구동을 정지한다(S58). 이어서, 배출 처리부(87A)는 지연 타이머(81A)를 리셋하고(S60), 배출 처리를 종료한다.
(송출 처리)
다음에, 제어부(80)의 송출 처리부(87B)가 피더 제어부(59)을 통해서 S12의 부품 교환 처리 중에서 실행하는 송출 처리에 대해서 도 11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송출 처리에서는, 송출 처리부(87B)는 우선, 뒤측 모터(52A)를 회전 구동하고(S72), S74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송출 위치(55B1)에 있는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가 제 1 송출 위치(55C1)를 향해서 송출된다.
송출 처리부(87B)는, S74에서는 제 2 센서(58B)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송출 처리부(87B)는 S74에서 제 2 센서(58B)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74:YES),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의 선단부(60F1)가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에 도달한 것으로 가정하고, S76으로 이행한다. 송출 처리부(87B)는 S74에서 제 2 센서(58B)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74:NO), S74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송출 처리부(87B)는, S76에서는 앞측 모터(51A)를 정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송출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송출 위치(55C1)에 도달한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의 선단부(60F1)가 부품 공급 위치(S1)까지 송출되어,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에 의한 전자부품(E1)의 공급을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더형 공급장치(40)에서는, 배출 처리에 있어서 앞측 모터(51A)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그 적어도 일부가 피더(50)의 외부로 배출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제 2 스프로킷(51D)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이 배출 처리에서는 전자부품(E1)이 유지된 상태에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배출되기 때문에,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에 남겨진 전자부품(E1)이 부품 공급 위치(S1)에서 공급되지 않아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회수할 수 있다. 한편, 송출 처리에서는 뒤측 모터(52A)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피더(50)의 뒤측에 설치된 제 3 스프로킷(52C)과 미리 맞물린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를, 피더(50)의 앞측에 형성된 부품 공급 위치(S1)까지 송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에 의한 전자부품(E1)의 공급 작업 중에 입력부(89)의 기종 교체 버튼이 작업자 등에 의해 눌림으로써 상기 배출 처리와 상기 송출 처리가 계속해서 실행된다. 이 때문에, 기종 교체시의 부품 교환 처리에 있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배출시킨 후에, 사람의 손을 통해서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를 부품 공급 위치(S1)까지 송출시키는 것이 필요한 종래의 구성이나, 피더(50)의 본체부(50A)와 함께 교환하는 것이 필요한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부품 교환 처리에 있어서의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교체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고, 부품 교환 작업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80)의 기억부(83)에 상기 특정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고, 기종 교체 버튼이 눌렸을 경우, 복수의 피더(50) 중 상기 특정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피더(50)에 있어서 배출 처리가 일괄해서 실행되고, 그리고, 배출 처리가 일괄해서 실행된 각 피더(50)에 대해서 배출 처리에 계속해서 송출 처리가 일괄해서 실행된다. 이 때문에, 기종 교체시에 부품 교환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한 피더(50)마다 배출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없어, 부품 교환 작업의 한층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이어싱 모터(53A)가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바이어싱하지 않는 상태에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제 1 테이프 통로(55A)에 통과시켜서 부품 공급 위치(S1)에서 전자부품(E1)의 공급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에 의한 전자부품(E1)의 공급 작업을 행하면서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를 제 2 테이프 통로(55B) 상의 제 2 송출 위치(55B1)에 미리 배치해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출 처리로부터 송출 처리로의 이행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출 처리에 있어서 바이어싱 모터(53A)가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바이어싱함으로써 제 2 스프로킷(51D)으로부터 분리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바이어싱 모터(53A)에 의해 피더(50)의 후방으로부터 피더(5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출 처리에 있어서 사람의 손을 통하지 않고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전체를 피더(5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부품 교환 작업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출 처리에 있어서 바이어싱 모터(53A)가 구동된 후에, 제 1 테이프 통로(55A) 상에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없는 것을 제 3 센서(58C)가 검출하고, 또한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함으로써 후방으로 송출 중인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선단부(60P1)가 배출 위치(55A1)를 통과한(바이어싱 모터(53A)로부터 떨어진) 것으로 가정하고, 바이어싱 모터(53A)를 상승시켜서 바이어싱 모터(53A)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 때문에, 바이어싱 모터(53A)가 쓸모없이 회전 구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해서 실시형태 2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의한 피더형 공급장치는, 피더(150)의 구성의 일부가 실시형태 1의 것과 다르다. 피더형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그 밖의 구성, 및 표면실장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의 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송출 처리에 대해서는 각 실시형태에서 공통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피더(150)의 본체부(150A)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피더(50)의 본체부(50A)의 구성에 추가해, 가이드 부재(경로 형성부의 일례)(172)를 더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172)는 본체부(150A) 내에 있어서의 제 1 테이프 통로(55A)와 제 2 테이프 통로(55B)의 합류점에 배치되고 있고,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상을 이룸으로써 그 상면이 앞측에서 뒤측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72)는 상기 합류점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72)의 승강은 피더 제어부(59)에 의해 제어된다. 가이드 부재(172)는 피더 제어부(59)에 의해 상승됨으로써 제 2 테이프 통로(55B)와 합류 테이프 통로(55C)의 경계부를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경사면에 의해 합류 테이프 통로(55C)와 제 1 테이프 통로(55A)의 사이에 연결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 1 상태(도 12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172)는 피더 제어부(59)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상기 경계부를 차단하지 않는 제 2 상태(도 14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더 제어부(59) 내에 배출 처리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172)를 상승시켜야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승 플래그(도면에 나타내지 않음)가 설정되어 있다. 상승 플래그는 온 상태와 오프 상태의 사이에서 천이된다. 상승 플래그의 상태는 배출 처리부(87A)에 의해 판단된다.
(배출 방법)
이어서, 실시형태 2의 피더형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처리의 배출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제 1 테이프 통로(55A)를 통과해서 합류 테이프 통로(55C)에 도달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는 점, 및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에 의한 전자부품(E1)의 공급 중에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의 선단부를 미리 제 3 스프로킷(52C)과 맞물림시켜 두는 점에 대해서는, 각 실시형태에서 공통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제로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종단부(60P2)가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에 위치하고 있고, 가이드 부재(172)는 하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배출 처리에서는 앞측 모터(51A)를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과 아울러 가이드 부재(172)를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후방으로 송출되고,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종단부(60P2)가 가이드 부재(172)에 도달하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종단부(60P2)가 가이드 부재(172)의 경사면에 의해 제 1 테이프 통로(55A) 위까지 유도된다. 제 1 테이프 통로(55A) 위까지 유도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종단부(60P2)는 후방으로 더욱 송출됨으로써 제 1 테이프 통로(55A) 상의 배출 위치(55A1)를 통과한다.
이어서, 바이어싱 모터(53A)를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에 바이어싱시켜 바이어싱 모터(53A)를 회전 구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바이어싱 모터(53A)에 의해 더욱 후방으로 송출되고,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후단부가 피더(15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선단부가 바이어싱 모터(53A)에 의해 더욱 후방으로 송출됨으로써,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전체가 피더(15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의 순서에 의해 배출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피더(150)의 외부로 배출시켜서 바이어싱 모터(53A)를 정지한 후에 가이드 부재(172)를 하강시킨다(도 14 참조). 이것에 의해, 배출 처리의 뒤에 계속해서 송출 처리를 실행했을 때에, 전방으로 송출되는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의 선단부가 가이드 부재(172)에 충돌하지 않고,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를 부품 공급 위치(S1)를 향해서 송출할 수 있다.
(배출 처리)
이어서, 제어부(80)의 배출 처리부(87A)가 실행하는 실시형태 2의 배출 처리에 대해서, 도 15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배출 처리에서는, 배출 처리부(87A)는 우선, 피더(150)의 본체부(150A) 내의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131).
배출 처리부(87A)는 S131에서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131:YES), S132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131에서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131:NO), 배출 처리를 종료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132에서는 제 2 센서(58B)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132에서 제 2 센서(58B)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132:YES), S34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132에서 제 2 센서(58B)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132:NO),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종단부(60P2)가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상승 플래그를 온 상태라고 하여(S133), S34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34에서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앞측 모터(51A)를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S135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135에서는 상승 플래그가 온 상태인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135에서 상승 플래그가 온 상태라고 판단했을 경우(S135:YES), 가이드 부재(172)를 상승시키고, S36으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가이드 부재(172)에 의해 제 1 테이프 통로(55A) 위까지 유도된다. 배출 처리부(87A)는 S135에서 상승 플래그가 온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했을 경우(S135:NO), S36으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36으로 이행하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S36으로부터 S56까지의 각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56의 처리가 종료하면 S157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157에서는 상승 플래그가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157에서 상승 플래그가 온 상태라고 판단했을 경우(S157:YES), 가이드 부재(172)를 하강시키고(S158), 상승 플래그를 오프 상태로 하고(S159), S56으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 배출 처리의 뒤에 계속해서 송출 처리를 실행했을 때에 전방으로 송출되는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의 선단부가 가이드 부재(172)에 충돌하는 것이 회피된다. 배출 처리부(87A)는 S157에서 상승 플래그가 온 상태가 아니다고 판단했을 경우(S157:NO), S56으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56으로 이행하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S56과 S58의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고, 배출 처리를 종료한다.
(실시형태 2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더형 공급장치에서는, 배출 처리의 실행시에 가이드 부재(172)가 상승된다(제 1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종단부(60P2)가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에 있을 경우이여도, 배출 처리에 있어서 후방으로 송출되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종단부(60P2)가 가이드 부재(172)의 경사면에 의해 합류 테이프 통로(55C)와 제 1 테이프 통로(55A)의 사이에 연결되는 경로에 의해서 제 1 테이프 통로(55A) 상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배출 처리가 종료하면 가이드 부재(172)가 하강되어서(제 2 상태로 변경되어서) 제 2 테이프 통로(55B)와 합류 테이프 통로(55C)의 경계부를 차단하지 않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배출 처리의 종료 후 제 3 스프로킷(52C)과 미리 맞물려 있는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를, 송출 처리에 있어서 신속하게 부품 공급 위치(S1)를 향해서 송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종단부(60P2)가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에 있을 경우이여도, 부품 교환 작업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고, 부품 교환 작업의 한층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해서 실시형태 3을 설명한다. 실시형태 3에 의한 피더형 공급장치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더(250)가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피더(50)로부터 배출부(53) 및 제 3 센서(58C)를 제외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피더형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그 밖의 구성, 및 표면실장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의 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280)의 연산 처리부(281)에 내장된 지연 타이머(81A)에는, 테이프 통로(55) 상을 전방으로 송출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종단부가,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의 제 1 센서(58A)가 설치된 위치를 떠나고나서 제 1 스프로킷(51C)과 맞물리는 위치를 통과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280)의 연산 처리부(281)에 소정의 시간이 설정된 감시 타이머(281B)가 내장되어 있다. 이 감시 타이머(281B)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배출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본체부(250A) 내의 각 센서(58A, 58B)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이 계속해서 검출될 경우, 부품 공급 테이프(60), 제어부(280), 및 피더(250) 등에 어떠한 에러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배출 처리를 정지하기 위한 타이머이다.
(배출 방법)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실시형태 3의 피더형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처리의 배출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서 공통되는 전제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제로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에 의한 전자부품(E1)의 공급 중에, 기종 교체 전의 전자부품(E1)의 공급에 필요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길이를 확보하고,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피더(250)의 뒤측에서 미리 컷팅한다(도 16에 나타내는 릴(R1) 상방의 파선 참조)(컷 공정).
본 실시형태의 배출 처리에서는,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와 달리,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전방으로 강제 배출한다. 즉, 배출 처리에서는 앞측 모터(51A)를 정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도 16에 있어서 제 1 스프로킷(51C) 및 제 2 스프로킷(51D)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전방으로 송출되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상기 컷팅된 종단부(60P2)가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까지 도달한다.
그리고,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더욱 전방으로 송출됨으로써,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상기 컷팅된 종단부(60P2)가 제 1 스프로킷(51C)으로부터 분리되고,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는 그 자체 중량에 의해 피더(250)의 전방으로부터 피더(25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배출 처리에서는 전자부품(E1)을 공급할 때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전방으로 송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의 순서에 의해 배출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배출 처리에서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전방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노출부(56)를 통과해서 피더(250)의 외부로 배출되지만, 배출 처리에서 배출되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 중 전자부품(E1)이 남아있는 부분은, 노출부(56)에서 톱 테이프(64)가 컷팅되어서 전자부품(E1)이 노출되지만 노출된 전자부품(E1)은 부품 공급 위치(S1)로 공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배출 처리에 있어서도 전자부품(E1)이 유지된 상태에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피더(250)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 처리)
이어서, 제어부(280)의 배출 처리부(87A)가 실행하는 실시형태 3의 배출 처리에 대해서 도 20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배출 처리에서는, 배출 처리부(87A)는 우선, 피더(250)의 본체부(250A) 내의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232).
배출 처리부(87A)는 S232에서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232:YES), S234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232에서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232:NO), 배출 처리를 종료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234에서는 앞측 모터(51A)를 정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S236으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송출 위치(55C1)에 있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전방으로 송출된다.
배출 처리부(87A)는, S236에서는 연산 처리부(281)에 내장된 감시 타이머(281B)을 셋팅하고(감시 타이머(281B)에 의한 카운트를 개시하고), S238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238에서는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238에서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238:YES), S240으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238에서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238:NO), S242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240에서는 감시 타이머(281B)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타임업했는지의 여부(감시 타이머(281B)의 나머지 시간이 제로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240에서 감시 타이머(281B)가 타임업했다고 판단했을 경우(S240:YES),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미리 컷팅되어 있지 않는 등, 어떠한 에러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가정하고, 표시부(78)에 에러 표시를 표시시키고(S244), S248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240에서 감시 타이머(281B)가 타임업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S240:NO), S238로 돌아간다.
배출 처리부(87A)는, S242에서는 지연 타이머(81A)를 셋팅하고(지연 타이머(81A)에 의한 카운트를 개시하고), S246으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246에서는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했는지의 여부(지연 타이머(81A)의 나머지 시간이 제로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246에서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했다고 판단했을 경우(S246:YES), 전방으로 송출 중인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종단부가 제 1 스프로킷(51C)과 맞물리는 위치를 통과한(제 1 스프로킷(51C)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가정하고, S248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246에서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S246:NO),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할 때까지 S246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248에서는 앞측 모터(51A)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어서, 배출 처리부(87A)는 지연 타이머(81A)를 리셋한다(S250). 다음에 배출 처리부(87A)는 감시 타이머(281B)를 리셋하고(S252), 배출 처리를 종료한다.
(실시형태 3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더형 공급장치에서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전자부품(E1)의 공급 작업에 필요한 길이만큼 확보해서 피더(250)의 후방측에서 미리 잘라 두기 때문에, 배출 처리에 있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전방을 향해서 송출함으로써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피더(25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피더(250)의 뒤측에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배출부(53) 등을 제 1 테이프 통로(55A) 상에 형성하지 않고, 배출 처리에 있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자동적으로 피더(25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간단한 구성으로 부품 교환 작업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고, 부품 교환 작업의 한층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출 처리에 있어서 합류 테이프 통로(55C) 상 중 부품 공급 위치(S1)보다 전방의 위치에 있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없는 것을 제 1 센서(58A)가 검출하고, 또한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함으로써 전방으로 송출 중인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피더(250)의 전방으로부터 피더(250)의 외부로 배출된 것으로 가정하고, 앞측 모터(51A)의 회전 구동을 정지한다. 이 때문에, 앞측 모터(51A)가 쓸모없이 회전 구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미리 컷팅되어 있지 않을 경우 등, 어떠한 에러가 생겼을 경우, 배출 처리에 있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계속해서 피더(250)의 전방으로 계속해서 송출될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감시 타이머(281B)를 구비하고 있고, 감시 타이머(281B)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 어떠한 에러가 발생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해서, 표시부(88)의 표시 화면에 에러 표시가 표시된다. 이 때문에, 앞측 모터(51A)가 쓸모없이 회전 구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해서 실시형태 4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4에 의한 피더형 공급장치는, 피더(350)의 뒤측 부분의 구성이 실시형태 1의 것과 다르다. 피더(350)의 앞측 부분의 구성, 피더형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그 밖의 구성, 및 표면실장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의 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피더(350)의 본체부(350A)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통로(355)에 있어서 제 1 테이프 통로(355A)가 합류 테이프 통로(355C)으로부터 연결되는 형태로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본체부(350A)의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는 후방으로 송출됨으로써 그 선단부가 제 2 스프로킷(51D)으로부터 분리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그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 가능한 구배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스프로킷(51D)으로부터 상기 경사에 이르기까지의 거리는, 제 2 스프로킷(51D)으로부터 분리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낙하하기 쉽도록 짧게 되어 있다.
본체부(350A)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테이프 통로(355A)의 상기 경사를 향하는 형태로 제 2 센서(58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350A)에 제 3 센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체부(350A)에서는 뒤측 송출부(352)의 제 3 스프로킷(352C)은 그 톱니의 일부가 하방으로 노출 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50A)의 후단부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측 송출부(352)를 구성하는 뒤측 모터(352A), 뒤측 드리븐 기어(352B), 제 3 스프로킷(352C)이 각각 실시형태 1의 피더(50)와는 상하 반대의 배열 방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50A)의 후단부에는 제 1 테이프 통로(355A)의 상기 경사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서 송출 유닛(370)이 부착되어 있다. 송출 유닛(370)은 그 상면이 수평면으로 됨과 아울러 제 3 스프로킷(352C)의 상기 노출된 톱니와의 사이에 부품 공급 테이프(60)를 송출 가능한 약간의 간극을 두고서 대향하고 있고, 이 간극이 제 2 테이프 통로(355B)로 되어 있다.
(배출 방법)
이어서, 실시형태 4의 피더형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처리의 배출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서 공통되는 전제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권회된 릴(R1)이 제 1 테이프 통로(355A)의 상기 개방된 부위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제 1 테이프 통로(355A)를 통해서 합류 테이프 통로(355C)에 도달시킬 수 있다.
배출 처리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앞측 모터(51A)를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후방으로 송출된다. 그리고,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선단부(60P1)가 제 1 송출 위치(355C1)에 있어서 제 2 스프로킷(51D)으로부터 분리되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자체 중량에 의해 제 1 테이프 통로(355A)의 경사를 따라서 낙하하고, 제 1 테이프 통로(355A)의 상기 개방된 부위로부터 피더(350)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의 순서에 의해 배출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출 처리의 뒤에 계속해서 송출 처리를 실행했을 때, 전방으로 송출되는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는 그 선단부(60F1)가 제 1 테이프 통로(355A)의 상기 개방된 부위의 상방을 통과하고, 제 1 테이프 통로(355A)의 경사에 도달한다. 그리고,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는 더욱 전방으로 송출됨으로써 제 1 테이프 통로(355A)의 경사를 따라서 상승하고, 제 1 송출 위치(355C1)에 도달한다.
(배출 처리)
이어서, 제어부(80)의 배출 처리부(87A)가 실행하는 실시형태 4의 배출 처리에 대해서 도 24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배출 처리에서는, 배출 처리부(87A)는 우선, 피더(350)의 본체부(350A) 내의 제 1 센서(58A) 및 제 2 센서(58B)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332).
배출 처리부(87A)는 S332에서 제 1 센서(58A) 및 제 2 센서(58B)의 양 센서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332:YES), S334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332에서 제 1 센서(58A) 및 제 2 센서(58B) 중 적어도 한쪽의 센서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332:NO), 배출 처리를 종료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334에서는 앞측 모터(51A)를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S336으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송출 위치(55C1)에 있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후방으로 송출된다. 배출 처리부(87A)는, S336에서는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336에서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336:YES), S336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336에서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336:NO),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선단부가 제 2 스프로킷(51D)으로부터 분리되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제 1 테이프 통로(355A)의 경사에 의해 낙하한 것으로 가정하고, 앞측 모터(51A)의 구동을 정지하여(S338) 배출 처리를 종료한다.
(실시형태 4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더형 공급장치에서는, 배출 처리에 있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후방으로 송출됨으로써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그 자체 중량에 의해 제 1 테이프 통로(355A)의 경사를 따라서 낙하하고,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전체를 피더(35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후방으로 송출하기 위한 상기 배출부(53) 등의 기구를 제 1 테이프 통로(355A) 상에 형성하지 않고, 배출 처리에 있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자동적으로 피더(35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간단한 구성으로 부품 교환 작업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고, 부품 교환 작업의 한층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해서 실시형태 5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5에 의한 피더형 공급장치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더(450)가 실시형태 1의 피더(50)의 본체부(50A)로부터 배출부(53) 및 제 3 센서(58C)를 제외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피더형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그 밖의 구성, 및 표면실장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의 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배출 방법)
이어서, 실시형태 5의 피더형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처리의 배출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서 공통되는 전제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배출 처리에서는 앞측 모터(51A)를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후방으로 송출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50A)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송출되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릴(R1)로 권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 때문에,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후방으로 송출됨으로써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선단부(60P1)가 제 2 스프로킷(51D)으로부터 분리되면,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일부가 피더(450)의 본체부(450A)의 뒤측에서 후방으로 휜 상태로 된다(도 26에 있어서 피더(450)의 뒤측의 2점 쇄선은, 후방으로 휘기 전의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어서,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 중 상기 후방으로 휜 부위를 피더(450)의 뒤측에서 작업자(M1) 등이 쥐고, 후방으로 인발한다(도 27에 있어서의 2점 쇄선은, 후방으로 인발되기 전의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M1) 등에 의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전체를 피더(45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의 순서에 의해 배출 처리가 실행된다.
(배출 처리)
이어서, 제어부(80)의 배출 처리부(87A)가 실행하는 실시형태 5의 배출 처리에 대해서 도 28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배출 처리에서는, 배출 처리부(87A)는 우선, 피더(450)의 본체부(450A) 내의 제 1 센서(58A) 및 제 2 센서(58B)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432).
배출 처리부(87A)는 S432에서 제 1 센서(58A) 및 제 2 센서(58B)의 양 센서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432:YES), S434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32에서 제 1 센서(58A) 및 제 2 센서(58B) 중 적어도 한쪽의 센서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432:NO), 배출 처리를 종료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34에서는 앞측 모터(51A)를 역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S436으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송출 위치(55C1)에 있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후방으로 송출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36에서는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36에서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436:YES), S436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36에서 제 1 센서(58A)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436:NO), 지연 타이머(81A)를 셋팅하고(지연 타이머(81A)에 의한 카운트를 개시하고), S440으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40에서는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했는지의 여부(지연 타이머(81A)의 나머지 시간이 제로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40에서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했다고 판단했을 경우(S440:YES), 후방으로 송출 중인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선단부가 제 1 송출 위치(55C1)을 통과해서(제 2 스프로킷(51D)로부터 분리되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일부가 피더(450)의 본체부(450A)의 뒤측에서 후방으로 휜 상태가 된 것으로 가정하고, S442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40에서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S440:NO),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할 때까지 S440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42에서는 앞측 모터(51A)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어서, 배출 처리부(87A)는 지연 타이머를 리셋하고(S444), S446으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는, S446에서는 제 1 센서(58A) 및 제 2 센서(58B)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446).
배출 처리부(87A)는 S432에서 제 1 센서(58A) 및 제 2 센서(58B)의 양 센서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446:YES),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작업자(M1) 등에 의해 후방으로 인발되었거나, 또는 후방으로 인발되고 있는 도중이라고 가정하고, S448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46에서 제 1 센서(58A) 및 제 2 센서(58B) 중 적어도 한쪽의 센서에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S446:NO), S446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48에서는 지연 타이머(81A)를 다시 셋팅하고(지연 타이머(81A)에 의한 카운트를 개시하고), S450으로 이행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50에서는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했는지의 여부(지연 타이머(81A)의 나머지 시간이 제로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50에서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했다고 판단했을 경우(S450:YES), 본체부(450A)의 뒤측에서 본체부(450A)의 외부로 신장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가 작업자(M1) 등에 의해 후방으로 인발되어서 피더(450)의 외부로 배출된 것으로 가정하고, 지연 타이머를 리셋해서(S452) 배출 처리를 종료한다. 배출 처리부(87A)는 S450에서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S450:NO),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할 때까지 S450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한, 송출 처리부(87B)는, 배출 처리부(87A)가 S450에서 지연 타이머(81A)가 타임업했다고 판단함으로써 배출 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단하고, 즉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작업자(M1) 등에 의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가 인발되었다고 판단하고, 배출 처리에 계속해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상기 송출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기종 교체 후의 전자부품(E1)이 유지된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60F)를 부품 공급 위치(S1)까지 송출할 수 있다.
(실시형태 5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더형 공급장치에서는, 배출 공정에 있어서 작업자(M1)에 의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인발 작업을 조합시킴으로써 제어부(80)측에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전체가 피더(450)로부터 배출되도록 제어하지 않더라도, 배출 공정을 완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80)측에 의한 제어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피더형 공급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출 처리가 실행되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일부가 피더(450)의 본체부(450A)의 뒤측에서 후방으로 휜 상태로 됨으로써 피더형 공급장치에 부착된 복수의 피더(450) 중 배출 처리가 실행된 특정의 피더(450)를 작업자(M1) 등이 찾기 쉬워지므로, 상기 특정한 피더(450)에 있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를 연속해서 신속하게 인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60P)의 배출 작업의 일부가 작업자를 통해서 행하여질 경우이여도,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부품 교환 처리에 있어서의 부품 공급 테이프(60)의 교체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고, 부품 교환 작업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다음에 실시형태 6을 설명한다. 실시형태 6에 의한 피더형 공급장치는, 입력부의 기종 교체 버튼이 눌렸을 경우, 제어부가 배출 처리만을 실행한다. 피더형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그 밖의 구성, 및 표면실장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의 것과 같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종 교체 버튼이 작업자 등에 의해 눌리면, 제어부는 복수의 피더 중 상기 특정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피더에 있어서 상기 배출 처리만을 일괄해서 실행하고, 상기 송출 처리까지는 실행하지 않는다.
(실시형태 6의 효과)
본 실시형태의 피더형 공급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가 상기 특정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피더에 있어서 배출 처리만을 일괄해서 실행하는 구성이여도, 복수의 피더 중 특정된 피더마다 배출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있는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부품 교환 작업의 한층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각 실시형태도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각 피더의 본체부 앞측에 2개의 스프로킷이 설치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본체부 앞측에 1개의 스프로킷이 설치된 구성이라도 된다. 이 경우, 앞측의 스프로킷의 약간 전방에 노출부를 형성하고, 노출부의 약간 전방에 부품 공급 위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각 피더의 본체부 내에 제 1 테이프 통로와 제 2 테이프 통로와 합류 테이프 통로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통로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본체부 내에 본체부를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는 하나의 테이프 통로만이 형성되고,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의 선단부가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와 같은 통로 상에 미리 배치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3)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입력부의 기종 교체 버튼이 피더형 부품 공급장치의 외부에 설치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기종 교체 버튼이 피더형 부품 공급장치에 설치되어도 좋고, 기종 교체 버튼이 각 피더에 설치되어도 좋다.
(4)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기종 교체 버튼이 작업자 등에 의해 눌렸을 경우에 기종 교체 처리가 실행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실장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제어부로부터 기종 교체 처리를 실행하는 지시(소정의 지시)가 자동적으로 입력부에 입력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5)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특정 데이터에 있어서 실장 프로그램에 따른 프린트 기판의 기종의 교체에 대응하는 형태로 피더가 특정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특정 데이터에 있어서 피더가 특정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종 교체 후의 프린트 기판을 입력부에 있어서 작업자 등이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프린트 기판에 대응해서 부품 교환이 필요한 피더가 특정되어도 좋다.
(6) 상기 실시형태 6에서는, 기종 교체 버튼이 작업자 등에 의해 눌렸을 경우, 부착부에 부착된 모든 피더에 있어서 배출 처리가 실행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이 경우, 특정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피더에 대해서 배출 처리를 실행하는 기종 교체 버튼과는 별도로, 상기 모든 피더에 있어서의 모든 부품 공급 테이프에 대해서 일괄해서 배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전체 테이프 배출 버튼 등의 조작 버튼을 입력부에 형성해도 된다.
(7)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가 표면실장기의 구성의 일부로서 포함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제어부가 설치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부가 피더형 공급장치의 구성의 일부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8)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테이프 통로와 제 2 테이프 통로가 본체부와는 별도의 부재인 송출 유닛에 의해 칸막이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제 1 테이프 통로와 제 2 테이프 통로가 본체부의 일부에 의해 칸막이된 구성이라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것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여러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1 : 표면실장기 10 : 기대
20 : 반송 컨베이어 30 : 부품 실장장치
32 : 헤드 유닛
40 : 피더형 공급장치(부품 공급장치) 42 : 피더 부착부(부착부)
50, 150, 250, 350, 450 : 피더
50A, 150A, 250A, 350A, 450A : 본체부 51 : 앞측 송출부(제 1 송출부)
51A : 앞측 모터 51C : 제 1 스프로킷
51D : 제 2 스프로킷
52, 352 : 뒤측 송출부(제 2 송출부)
52A, 352A : 뒤측 모터 52C, 352C : 제 3 스프로킷
53 : 배출부(제 3 송출부)
53A : 바이어싱 모터(바이어싱부의 일례) 53B : 승강부
55 : 테이프 통로 55A, 355A : 제 1 테이프 통로
55B, 355B : 제 2 테이프 통로 55B1, 355B1 : 제 2 송출 위치
55C, 355C : 합류 테이프 통로 55C1, 355C1 : 제 1 송출 위치
56 : 노출부 58A : 제 1 센서(제 2 검출부)
58B : 제 2 센서 58C : 제 3 센서(제 1 검출부)
59 : 피더 제어부 60 : 부품 공급 테이프
60P :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제 1 부품 공급 테이프)
60F : 후속의 부품 공급 테이프(제 2 부품 공급 테이프)
70 : 송출 유닛 80, 280 : 제어부
81A : 지연 타이머 87A : 배출 처리부
87B : 송출 처리부 172 : 가이드 부재(경로 형성부)
281B : 감시 타이머 E1 : 전자부품(부품)
M1 : 작업자 P1 : 프린트 기판
R1, R2 : 릴 S1 : 부품 공급 위치

Claims (15)

  1. 복수의 부품이 유지된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해서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장치로서,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위치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가 송출되는 테이프 통로와,
    상기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부품 공급 위치보다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1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하는 제 1 송출부와,
    상기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제 1 송출 위치보다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2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제 2 송출부와,
    상기 제 1 송출부와 상기 제 2 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부품 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제 1 송출 위치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신장되는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으로 송출해서 상기 제 1 송출 위치로부터 이간시킴으로써, 상기 테이프 통로 상에 있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부품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처리를 실행하는 배출 처리부와, 상기 제 2 송출 위치에 있는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2 송출부에 의해 상기 제 1 송출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고, 상기 제 1 송출 위치에 도달한 상기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부품 공급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송출 처리를 실행하는 송출 처리부를 갖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입력부에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배출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송출 처리부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배출 처리부가 상기 배출 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배출 처리에 계속해서 상기 송출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테이프 통로는, 상기 부품 공급 위치보다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1 테이프 통로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보다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와 칸막이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송출 위치를 포함하는 제 2 테이프 통로와,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와 상기 제 2 테이프 통로가 합류해서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서 신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송출 위치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를 포함하는 합류 테이프 통로를 갖고,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 상에 형성된 제 3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부를 갖고, 상기 제 3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바이어싱부가 바이어싱함으로써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해서 송출하는 제 3 송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송출부를 또한 제어하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적어도 상기 제 1 송출 위치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와 상기 제 3 송출 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신장되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해서 송출하고, 상기 제 3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바이어싱부에 의해 바이어싱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송출 위치로부터 이간한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3 송출부에 의해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부품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본체부가 부착되는 부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부착부에 부착된 복수의 상기 본체부 중 상기 배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필요한 상기 본체부를 특정하는 특정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부를 갖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부착부에 부착된 복수의 상기 본체부 중 상기 특정 데이터에 의거한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 상기 배출 처리를 일괄해서 실행하는 부품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와 상기 제 2 테이프 통로의 합류 점에 상기 제 2 테이프 통로와 상기 합류 테이프 통로의 경계부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합류 테이프 통로와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의 사이에 연결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경계부를 차단하지 않는 제 2 상태의 사이에서 변경 가능하게 배치되는 경로 형성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 형성부를 또한 제어하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상기 경로 형성부를 상기 제 1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배출 처리가 종료하면 상기 경로 형성부를 상기 제 2 상태로 변경하는 부품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 1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적어도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없는 것을 상기 제 1 검출부가 검출할 때까지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하는 부품 공급장치.
  5. 복수의 부품이 유지된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해서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장치로서,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위치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가 송출되는 테이프 통로와,
    상기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부품 공급 위치보다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1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하는 제 1 송출부와,
    상기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제 1 송출 위치보다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2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제 2 송출부와,
    상기 제 1 송출부와 상기 제 2 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부품 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제 1 송출 위치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신장되는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으로 송출해서 상기 제 1 송출 위치로부터 이간시킴으로써, 상기 테이프 통로 상에 있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부품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처리를 실행하는 배출 처리부와, 상기 제 2 송출 위치에 있는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2 송출부에 의해 상기 제 1 송출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고, 상기 제 1 송출 위치에 도달한 상기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부품 공급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송출 처리를 실행하는 송출 처리부를 갖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입력부에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배출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송출 처리부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배출 처리부가 상기 배출 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배출 처리에 계속해서 상기 송출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테이프 통로는, 상기 부품 공급 위치보다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1 테이프 통로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보다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와 칸막이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송출 위치를 포함하는 제 2 테이프 통로와,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와 상기 제 2 테이프 통로가 합류해서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서 신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송출 위치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를 포함하는 합류 테이프 통로를 갖고,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는 상기 합류 테이프 통로로부터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의 하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 1 송출 위치로부터 이간한 상기 합류 테이프 통로 상에 있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그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 가능한 구배로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해서 송출하는, 부품 공급장치.
  6. 복수의 부품이 유지된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해서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장치로서,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위치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가 송출되는 테이프 통로와,
    상기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부품 공급 위치보다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1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하는 제 1 송출부와,
    상기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제 1 송출 위치보다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2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제 2 송출부와,
    상기 제 1 송출부와 상기 제 2 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부품 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와,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부와,
    소정의 시간이 미리 설정된 감시 타이머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제 1 송출 위치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신장되는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송출해서 상기 제 1 송출 위치로부터 이간시킴으로써, 상기 테이프 통로 상에 있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부품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처리를 실행하는 배출 처리부와, 상기 제 2 송출 위치에 있는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2 송출부에 의해 상기 제 1 송출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고, 상기 제 1 송출 위치에 도달한 상기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부품 공급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송출 처리를 실행하는 송출 처리부를 갖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입력부에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배출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송출 처리부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소정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배출 처리부가 상기 배출 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배출 처리에 계속해서 상기 송출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테이프 통로는, 상기 부품 공급 위치보다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1 테이프 통로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보다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와 칸막이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송출 위치를 포함하는 제 2 테이프 통로와, 상기 제 1 테이프 통로와 상기 제 2 테이프 통로가 합류해서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서 신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송출 위치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를 포함하는 합류 테이프 통로를 갖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송출하고,
    상기 합류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제 1 송출 위치보다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적어도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없는 것을 상기 제 2 검출부가 검출할 때까지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하고,
    상기 배출 처리부는, 상기 배출 처리에서는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한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송출을 개시한 후에 상기 감시 타이머를 셋팅하고,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가 있는 것을 상기 제 2 검출부가 검출했을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표시부의 상기 표시 화면에 에러 표시를 표시시키는, 부품 공급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부품 공급장치와,
    기대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부품을 상기 기대 상의 부품 실장 위치에서 기판 상에 실장하는 부품 실장장치와,
    상기 기판을 상기 부품 실장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장치를 구비하는 표면실장기.
  8. 복수의 부품이 유지된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하는 부품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 공급장치는,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위치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가 송출되는 테이프 통로와, 상기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부품 공급 위치보다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1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송출하는 제 1 송출부와, 상기 테이프 통로 상 중 상기 제 1 송출 위치보다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된 제 2 송출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제 2 송출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송출 위치와 상기 부품 공급 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신장되는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으로 송출하고, 상기 테이프 통로 상에 있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부품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공정과,
    상기 제 2 송출 위치에 있는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2 송출부에 의해 상기 제 1 송출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고, 상기 제 1 송출 위치에 도달한 상기 제 2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부품 공급 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송출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공정의 뒤에 상기 배출 공정에 계속해서 상기 송출 공정을 실행하고,
    상기 배출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를 상기 제 1 송출부에 의해 상기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해서 송출해서 상기 제 1 송출 위치로부터 이간시킨 후에, 상기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신장되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일부를 인발함으로써, 상기 테이프 통로 상에 있는 상기 제 1 부품 공급 테이프의 전체를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부품의 공급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7031850A 2015-06-02 2015-06-02 부품 공급장치, 표면실장기, 및 부품의 공급 방법 KR102056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5912 WO2016194142A1 (ja) 2015-06-02 2015-06-02 部品供給装置、表面実装機、及び部品の供給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328A KR20170132328A (ko) 2017-12-01
KR102056138B1 true KR102056138B1 (ko) 2019-12-16

Family

ID=5744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850A KR102056138B1 (ko) 2015-06-02 2015-06-02 부품 공급장치, 표면실장기, 및 부품의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83184B2 (ko)
JP (1) JP6663915B2 (ko)
KR (1) KR102056138B1 (ko)
CN (1) CN107615905B (ko)
DE (1) DE112015006584T5 (ko)
WO (1) WO20161941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6558B2 (en) * 2015-03-05 2021-05-11 Fuji Corporation Mounting management device
WO2016203628A1 (ja) * 2015-06-18 2016-12-22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テープ切断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WO2018029753A1 (ja) * 2016-08-08 2018-02-1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6710764B2 (ja) * 2016-08-08 2020-06-1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WO2018134880A1 (ja) * 2017-01-17 2018-07-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補給管理システム及び部品実装システム
US11510350B2 (en) 2017-12-06 2022-11-2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Component mounter, component supply reel driving method
WO2019116416A1 (ja) 2017-12-11 2019-06-2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機
JP7171127B2 (ja) * 2018-04-26 2022-11-1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機、部品特性変更方法
US11653486B2 (en) * 2018-05-30 2023-05-16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Component replenishment management system and component mounting system
US11974402B2 (en) 2018-06-27 2024-04-30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Component supply device
CN112425279B (zh) * 2018-08-29 2022-05-24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元件供应装置以及具备该装置的元件安装机
CN109247007B (zh) * 2018-10-29 2024-02-13 珠海奇川精密设备有限公司 牵引式上料飞达
WO2020161827A1 (ja) * 2019-02-06 2020-08-13 株式会社Fuji 管理装置、移動型作業装置、実装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JP7164922B2 (ja) 2020-02-05 2022-11-02 株式会社Fuji キャリアテープ装填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2912A1 (ja) * 2012-06-29 2014-01-03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JP2014011368A (ja) * 2012-06-29 2014-01-20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リールストッカ及び電子部品供給台車
JP2015065381A (ja) * 2013-09-26 2015-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0151B8 (en) * 2000-08-22 2009-01-07 Panasoni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parts
JP4744689B2 (ja) * 2000-12-11 2011-08-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粘性流体転写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装置
JP2002204096A (ja) * 2000-12-28 2002-07-19 Fuji Mach Mfg Co Ltd 電気部品装着システムおよび電気部品装着方法
US7220095B2 (en) * 2001-05-24 2007-05-22 Lyndaker David W Self-threading component tape feeder
JP3901030B2 (ja) * 2002-06-18 2007-04-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JP5388134B2 (ja) * 2010-08-06 2014-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計算機システム、及び、移動データ決定方法
JP5985275B2 (ja) 2012-06-29 2016-09-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フィーダ制御方法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WO2014025120A1 (en) * 2012-08-06 2014-02-13 Samsung Techwin Co., Ltd Carrier tape feeding device, chip mounting system, and chip mounting method
CN104541595B (zh) * 2012-08-06 2018-02-13 韩华泰科株式会社 载带送进装置、芯片安装系统以及芯片安装方法
KR102025369B1 (ko) * 2012-09-12 2019-09-25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
KR102003870B1 (ko) * 2012-08-06 2019-07-25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부품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2912A1 (ja) * 2012-06-29 2014-01-03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JP2014011368A (ja) * 2012-06-29 2014-01-20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リールストッカ及び電子部品供給台車
JP2015065381A (ja) * 2013-09-26 2015-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194142A1 (ja) 2018-03-15
JP6663915B2 (ja) 2020-03-13
CN107615905B (zh) 2020-01-21
WO2016194142A1 (ja) 2016-12-08
US10683184B2 (en) 2020-06-16
CN107615905A (zh) 2018-01-19
KR20170132328A (ko) 2017-12-01
DE112015006584T5 (de) 2018-05-24
US20180148289A1 (en)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138B1 (ko) 부품 공급장치, 표면실장기, 및 부품의 공급 방법
JP5985275B2 (ja) フィーダ制御方法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KR101647653B1 (ko) 부품 공급 장치 및 표면 실장기
WO2014002911A1 (ja) フィーダ及びフィーダ制御方法並びに電子部品装着装置
JP5980594B2 (ja) リールストッカ及び電子部品供給台車
JPWO2016147339A1 (ja) 部品実装機、および部品実装機のテープ剥離リカバリ方法
JP2011155051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5808160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4303174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6714721B2 (ja) 部品供給装置、表面実装機、及び部品供給方法
JP4812816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JP6918162B2 (ja) 部品供給装置、表面実装機、及び部品の供給方法
JP7109129B2 (ja) 部品実装機およびテープ剥離リカバリ方法
JP6894021B2 (ja) マルチフィーダ装置
JP4378428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6912596B2 (ja) 報知装置、及び、報知方法
JP2007273812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6861299B2 (ja) 部品実装機
JP2020080378A (ja) 部品実装機、部品補給作業支援方法
JP7164922B2 (ja) キャリアテープ装填方法
JP2019067972A (ja) 部品実装機
JP4364293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WO2019087289A1 (ja) 部品切れ検知装置
JP2010165709A (ja) 部品実装機
JP2011009471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