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488B1 -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488B1
KR102040488B1 KR1020190001790A KR20190001790A KR102040488B1 KR 102040488 B1 KR102040488 B1 KR 102040488B1 KR 1020190001790 A KR1020190001790 A KR 1020190001790A KR 20190001790 A KR20190001790 A KR 20190001790A KR 102040488 B1 KR102040488 B1 KR 10204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drain
hole
metal plate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001A (ko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전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나래 filed Critical 전나래
Publication of KR20190014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F16S3/08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forming framework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금속 판재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지지부가 되고 테두리 내측에 다수 개의 배수구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비용접 방식 또는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고, 기존 그레이팅의 베어링 바와 크로스 바를 갖지 않고 비용접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므로 그레이팅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성이 높다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Grating having grating component made from metal plate}
본 발명은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금속 판재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지지부가 되고 테두리 내측에 다수 개의 배수구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고, 기존 그레이팅의 베어링 바와 크로스 바를 갖지 않고 비용접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므로 그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는 그레이팅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48047호(이하, '원출원'이라 함)로부터 분할출원된 것이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48047호(원출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157036호(2015. 11. 10. 이하, '기초출원'이라 함)를 기초로 국내 우선권 주장을 하면서 출원된 것으로서 우선권의 이익을 향유한다.
본 출원은 원출원으로부터 분할된 것으로서, 상기 기초출원을 기초로 국내우선권을 주장하면서 출원된다. 따라서, 본 출원에 대한 신규성, 진보성 등의 판단시점을 2015. 11. 10을 기준으로 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등에 설치되는 빗물 집배수로(集排水路)의 덮개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대개 복수 개의 직사각형 격자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1)은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갖는 엔드 바(2)와, 엔드 바(2)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베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포함한다.
베이링 바(3)는 그레이팅(1)에 인가되는 하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베어링 바(3)의 양쪽 단부는 엔드 바(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크로스 바(4)는 베어링 바(3)와 수직이 되도록 베어링 바(3)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어링 바(3)와 엔드 바(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크로스 바(4)는 베어링 바(3)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그레이팅(1)은 엔드 바(2), 베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각각 제조하고 이를 용접하는 데에 많은 작업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아울러, 베어링 바(3)가 용접에 의해서 엔드 바(2)에 결합되고 크로스 바(4)가 용접에 의해서 베어링 바(3)와 엔드 바(2)에 결합되므로, 그레이팅(1)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용접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용접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 편차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레이팅(1)은 엔드 바(2)가 형성하는 직사각형 공간의 내측에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설치된 구조이므로, 그 형상 및/또는 넓이를 쉽게 변경시킬 수가 없고, 동일한 넓이와 형상의 그레이팅을 반복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그레이팅(1)의 형상 및/또는 넓이를 변경시키려면 엔드 바(2)를 새로 제작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한편, 그레이팅(1)은 크로스 바(4)와 베어링 바(3)에 의해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직사각형 구멍을 갖는데, 이러한 구멍을 통해서 악취가 올라온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직사각형 구멍은 우수(雨水)가 아래쪽, 예를 들어 집배수로(集排水路)로 이동되는 통로이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과, 악취 차단을 위해서는 직사각형 구멍을 밀폐해야 한다는 점이 서로 충돌되기 때문에 악취 차단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용접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그레이팅 구성품의 폭(W)과 길이(L), 지지부의 높이(H), 금속 판재의 두께를 알맞게 조절(선택)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雨水)를 아래쪽으로 잘 배출하면서도 악취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그레이팅과, 이러한 그레이팅의 제조에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 및, 그 제작방법에 대한 것이다(본 발명에서는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으로 서로 결합되어 그레이팅을 이룬다.).
상기 그레이팅 구성품은, 평평한 금속 판재(P)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만들어지는 제1,2 지지부(21)(25)와, 제1,2 지지부(21)(25)의 내측에 형성된 본체부(10)를 포함한다. 본체부(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지지하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기존 그레이팅의 베어링 바(3) 및, 베어링 바(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크로스 바(4)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체부(10)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네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며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된다.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틈(29)이 형성된다. 상기 틈(29)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서로 연결 및 보강하는 보강 바(110)가 삽입되어 설치된 후 제1,2 지지부(21)(25)와 체결부재(115) 또는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다.
본체부(10)에는 복수 개의 배수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7)에는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경사부(18)가 구비되고, 배수구(17)에는 배수구(17)를 덮는 배수구 마개(130)(140)(150)가 설치될 수도 있다.
경사부(18)는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 마개 중(130)(140)(150)에서 마개(130)는 투수 콘크리트가 배수구(17)에 타설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18)가 투수 콘크리트의 몰드 역할을 하여 마개(130)가 경사부(18)에 일체로 결합되고,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아서 마개(130)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100)(200)(300)은 다수 개의 상기 그레이팅 구성품(30)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그레이팅 제작방법은, (a) 금속 판재(P)의 테두리 부분을 수직으로 벤딩하여 직사각 형상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 둘레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1,2 지지부(21)(25)를 만들되,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네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되며,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 틈(29)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는 단계; (b)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하되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제1 지지부(21)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틈(29)에 보강 바(110)를 삽입하는 단계; 및, (c) 보강 바(110)와 제1,2 지지부(21)(25)를 결합시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작 방법은 배수구(17)를 형성하기 위해서, (a1) 상기 금속 판재(P)를 1차로 펀칭하여 본체부(10)에 다수 개의 작은 구멍(16)을 형성하는 단계; 및, (a2) 작은 구멍(16)을 2차로 펀칭하여 작은 구멍(16)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배수구(17)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2차 펀칭은 작은 구멍(16) 보다 큰 직경의 펀치를 작은 구멍(16)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배수구(17)의 아래로 연장되는 경사부(18)가 형성되고, 경사부(18)는 그레이팅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보강 바에 의해서 수평으로 결합되어 그레이팅을 이루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의 그레이팅을 쉽게 만들 수 있다.
2. 비용접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4.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그레이팅 구성품의 폭(W)과 길이(L), 지지부의 높이(H), 금속 판재의 두께를 알맞게 조절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5. 우수(雨水)를 아래쪽으로 잘 배출하면서도 악취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그레이팅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평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a는 도 4의 금속평판에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V-V' 단면도.
도 6a는 도 5a의 금속평판을 벤딩하여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VI-VI' 단면도.
도 7a는 도 6a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VII-VII' 단면도.
도 7c는 도 7a의 그레이팅에 구비되는 보강 바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a는 도 7a의 그레이팅에 마개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VIII-VIII'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도 9a의 그레이팅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b는 도 11a의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a의 그레이팅을 구성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금속평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a는 도 12의 금속평판으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b는 도 13a의 XIII-XIII' 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
도 14c는 도 14a의 XIV-XIV' 단면도.
도 15a는 도 14a의 배수구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b는 도 15a의 배수구 마개가 개방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6b는 도 16a의 XVI-XVI' 단면도.
도 17은 도 16a의 배수구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은 도 16a의 배수구 마개를 배수구에 형성하기 위하여 몰드가 그레이팅 구성품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그레이팅을 이루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그레이팅(100)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과,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키는 보강 바(110)를 포함한다. 그레이팅 구성품(30)과 보강 바(110)는 철판,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합성수지, 플라스틱, FRP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레이팅 구성품(30)은 평평한 금속판재(P)가 벤딩되어 형성되는데, 금속판재(P)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제1,2 지지부(21)(25)가 되고, 제1,2 지지부(21)(25)의 내측인 직사각형 부분은 본체부(10)가 된다.
구체적으로, 금속판재(P)의 테두리 부분이 점선(11)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벤딩되어 제1 지지부(21)가 되고, 점선(15)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벤딩되어 제2 지지부(25)가 된다. 그리고, 점선(11)(15)의 내측 부분이 본체부(10)가 된다.
즉,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4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된다.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긴 변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짧은 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후, 보강 바(110)를 상기 짧은 변(15)에 설치하면 상기 긴 변(11)의 폭(S)을 갖는 그레이팅(100)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은 점선(22)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벤딩되고, 직각으로 벤딩된 상기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는 서로 마주보게 되며, 상기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는 틈(29)이 형성된다. 상기 틈(29)은 보강 바(110)가 삽입되어 설치된 후, 체결부재(115)가 체결공(24)(26)(112)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다.
보강 바(110)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띠 형상의 막대로서, 틈(29)에 삽입되어 두 개 이상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킨다. 보강 바(110)는 만들고자 하는 그레이팅(100)의 길이(LT)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바(110)는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그레이팅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보강)시키는 역할도 한다.
보강 바(110)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체결공(112)은 체결공(24)(2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리벳,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15)가 체결공(24)(26)(112)에 설치됨으로써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제1,2 지지부(21)(25)의 내측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평평한 부분이다. 본체부(10)에는 다수 개의 배수구(17)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원형의 배수구(17)가 도시되어 있으나, 우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의 배수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그레이팅(100) 위를 지나가는 보행자, 차량 등의 하중을 받아서 제1,2 지지부(21)(25)에 전달한다. 따라서,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 구성품(30)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 경우, 본체부(10)의 폭(W)과 길이(S)가 작을수록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즉, 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음), 제1,2 지지부(21)(25)의 높이(H)가 클수록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금속판재(P)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폭(W), 길이(S), 높이(H) 및 금속판재(P)의 두께는 그레이팅(100)이 받을 하중의 크기를 고려하여 알맞게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폭(W)은 50mm 이상 1500mm 이하이고, 상기 길이(S)는 50mm 이상 10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H)는 10mm 이상인데, 바람직하게는 30mm 이상 100mm 이하이다.
한편, 그레이팅 구성품(30)은 금속판재(P)를 펀칭 및 벤딩시켜 만들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판재(P)는 직사각형 판재의 4개 꼭지점 부분이 절취(제거)되어 만들어진 것으로서, 다수 개의 체결공(24)(26)과 작은 구멍(16)을 갖는다.
작은 구멍(16)은 금속판재(P)가 1차로 펀칭되어 만들어진 구멍으로서,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작은 구멍(16)이 본체부(10)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5a와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은 구멍(16)은 2차 펀칭에 의해서 배수구(17)가 된다.
상기 2차 펀칭은 작은 구멍(16) 보다 큰 직경의 펀치를 작은 구멍(16)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배수구(17)의 아래로 연장되는 경사부(18)가 형성되고, 경사부(18)는 그레이팅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경사부(18)는 아래쪽을 향한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고, 이러한 구조로 인해서 배수구 마개(도 8a, 8b의 130)가 아래쪽으로 이탈하는 것(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2차 펀칭이 완료되면, 금속판재(P)의 테두리를 직각으로 벤딩시켜 제1,2 지지부(21)(25)를 만든다. 한편, 1,2차 펀칭과 상기 벤딩은 순서를 변경시켜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벤딩으로 제1,2 지지부(21)(25)를 만든 후 1,2차 펀칭을 해도 되고, 1차 펀칭 후 벤딩으로 제1,2 지지부(21)(25)를 만든 다음, 2차 펀칭을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그레이팅 구성품(30)은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실시한 후, 서로 결합된다. 물론,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킨 후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실시할 수도 있다.
도 7a는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만들어진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VII-VII' 단면도이며, 도 7c는 보강 바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30)의 제1 지지부(21)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보강 바(110)를 상기 틈(29)에 삽입하고 체결부재(115)로 체결하면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결합되어 그레이팅(100)이 완성된다. 도면에서는 체결부재(115)로서 리벳이 사용되었으나, 볼트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그레이팅(100)은 벤딩과 체결부재(115, 리벳 또는 볼트 등)만으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용접이 필요하지 않고,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균일하고 신뢰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접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좌우되기 때문에 기존 그레이팅(1)은 품질 편차가 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체결부재(115)를 대신하여 또는 체결부재(115)와 함께 용접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3 실시예는, 체결부재를 대신하여, 용접으로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를 결합시키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그레이팅(100)은 지지부(21)(25)가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기존 그레이팅(1)의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다. 기존에는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의 제작 및 결합(용접)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100)은 이러한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 단가와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배수구(17)에는 배수구 마개(13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a는 배수구 마개(130)가 배수구(17)에 설치된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VIII-VIII' 단면도이다.
배수구 마개(130)는 경사부(18)에 형합하는 측면을 갖는다. 그리고, 배수구 마개(130)의 상면은 본체부(110)의 윗면 보다 약간 위로 돌출되는 것이 미끄럼 방지와 지압 효과 등을 위해 바람직하다.
배수구 마개(130)는 고무, 합성 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배수구 마개(130)는 우수 등과 같은 물을 아래로 잘 배출하면서도 아래쪽의 악취는 올라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배수구 마개(130)는 투수 콘크리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투수 콘크리트는 다수의 내부 공극으로 인해 물을 아래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수 콘크리트에는 야광 안료 또는 컬러 안료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야광 안료가 첨가된 투수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배수구 마개(130)는 야간에 그레이팅(10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배수구 마개(130)는 공장에서 별도로 미리 만들어진 후 배수구(17)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경사부(1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투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즉, 경사부(18)의 하단에 평판(도면에 미도시)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투수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경사부(18)가 몰드 역할을 하여 배수구 마개(130)가 경사부(18)에 일체로 결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투수 콘크리트의 타설은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제작한 후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하기 이전에 이루어지거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제작하고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한 후에 그레이팅 표면에 필름(도면에 미도시)을 부착한 다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9b는 상기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상기 그레이팅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a ~ 도 10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도 8b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그레이팅(200)은, 상술한 그레이팅(100)과 비교하여, 용접으로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5) 및 보강 바(110)를 결합시킨다는 차이점이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1,2 지지부(21)(25)에는 체결공(24)(26)이 필요하지 않고 보강 바(110)에는 체결공(112)이 필요하지 않다.
도면에서 붉은 원(○)은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접은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를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30)의 제1 지지부(21)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 등에서 이루어진다.
제3 실시예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1b는 상기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1a, 11b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도 10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그레이팅(300)은 제1 지지부(21)의 구조가 그레이팅(200)과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그레이팅(200)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레이팅 구성품(30)은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판재(P)는 직사각형 판재의 꼭지점 부분이 절취(제거)된 것이다. 금속판재(P)의 테두리가 점선(11)을 따라 직각으로 벤딩되어 제1 지지부(21)가 되고 점선(15)을 따라 직각으로 벤딩되어 제2 지지부(25)가 된다. 따라서, 본체부(10)의 네 변 중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제1 지지부(21)가 형성되고 나머지 두 변에 제2 지지부(25)가 형성된다.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는 틈(29)이 형성된다. 틈(29)에는 보강 바(110)가 삽입된다. 틈(29)에 삽입된 보강 바(110)는 용접에 의해서 제1,2 지지부(21)(25)에 결합된다. 도면에서 붉은 원(○)은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5) 및 보강 바(110)의 결합이 용접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2 지지부(21)(25)에는 체결공(24)(26)이 필요하지 않고 보강 바(110)에는 체결공(112)이 필요하지 않다.
배수구 마개의 변형예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상기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며, 도 14c는 도 14a의 XIV-XIV' 단면도이다.
배수구 마개(140)는 우수가 아래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악취가 위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수구 마개(140)는 몸체부와, 몸체부에 대해 회동이 가능한 덮개부(145) 및, 덮개부(145)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몸체부와 덮개부(145)를 연결하고 덮개부(145)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연결부(147)를 포함한다.
배수구 마개(140)는 고무, 연질 플라스틱, 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재에는 야광 안료가 첨가될 수도 있다. 야광 안료가 첨가된 배수구 마개(140)는 야간에 그레이팅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몸체부는 상부면(141)과, 상부면(141)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측면(143)을 갖는다.
상부면(141)에는 관통공(141a)이 형성되어 우수가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측면(143)은 경사부(18)와 형합하도록 형성된 제1 부분(143a)과, 제1 부분(143a)의 아래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2 부분(143b)을 포함한다.
제1 부분(143a)은 경사부(18)와 동일한 경사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배수구 마개(140)가 경사부(18)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부분(143b)에는 관통공(144)이 형성된다. 관통공(144)은 측면(143)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관통공(144)을 통해서 우수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부분(143a)(143b)의 사이에는 턱(143c)이 형성된다. 턱(143c)은 경사부(18)의 하단에 걸리도록 설치됨으로써 배수구 마개(140)가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덮개부(145)는 평상시에는 배수구(17)를 막고 있다(도 15a)가 그 상부에 우수(도면에 미도시)의 하중이 작용하면 아래로 회동되어 배수구(17)를 개방한다(도 15b). 그리고, 우수의 하중이 제거되면 연결부(14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하여 배수구(17)를 막는다(도 15a).
덮개부(145)와 상부면(14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관통공(141a)을 통해서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물은 관통공(144)을 통해서 측방향으로 배출되지만, 상기 배출량이 유입량 보다 작아서 상기 공간에 수용된 물의 무게가 소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덮개부(145)가 아래로 회동하여 물을 아래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평상시 및 강우량이 작은 때에는 덮개부(145)가 밀폐된 상태로 있게 되어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물을 잘 배출할 수 있고, 강우량이 많은 때에는 덮개부(145)가 아래로 회동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XVI-XVI'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배수구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배수구 마개(150)는 제1 부분(153)과, 제2 부분(155) 및, 마개를 관통하는 관통공(152)을 포함한다.
제1 부분(153)의 외주면은 경사부(18)와 형합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부분(155)은 제1 부분(153)에서 아래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1,2 부분(153)(155)의 사이에는 턱(156)이 형성된다. 턱(156)은 경사부(18)의 하단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마개(15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배수구 마개(150)는 별도로 미리 제작한 후 배수구(17)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지만, 소정의 배합물을 배수구(17)에 타설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타설시, 관통공(152)을 형성하기 위한 막대를 배수구(17)에 설치한 후 배합물을 타설하면 관통공(15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은 배수구 마개를 배수구에 형성하기 위하여 몰드가 그레이팅 구성품에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상기 몰드(50, 빗금친 부분)는 경사부(18)의 아래에 설치되고, 관통공(152)을 형성하기 위한 막대부(52)를 포함한다.
상기 배합물 타설시, 배수구 마개(150)의 윗면이 그레이팅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거나 약간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로 볼록하게 돌출된 구성은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합물은 직경 10mm 이하의 자갈, 바인더 및, 소정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로는 시멘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투수 콘크리트, 접착용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은 10mm 이하의 고무칩, 우레탄칩, 플라스틱칩 및, 제강 슬래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2종류 이상의 조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합물에는 야광 안료 또는 칼러 안료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배합물의 타설은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제작한 후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하기 이전에 이루어지거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제작하고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한 후에 그레이팅 표면에 필름(도면에 미도시)을 부착한 다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1, 100, 200, 300 : 그레이팅 10 : 본체부
17 : 배수구 18 : 경사부
21 : 제1 지지부 25 : 제2 지지부
24, 26, 112 : 체결공
29 :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의 틈
30 : 그레이팅 구성품 50 : 몰드
110 : 보강용 바 115 : 체결부재
130, 140, 150 : 배수구 마개
P : 금속 판재

Claims (4)

  1. 서로 밀착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두 개 이상의 그레이팅 구성품; 및,
    상기 두 개 이상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시키는 보강 바;를 포함하고,
    그레이팅 구성품은 사각형 금속 판재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Figure 112019035427218-pat00032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상기 벤딩된 테두리 부분이 서로 밀착되게 접하 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보강 바가 사각형 금속 판재의 상기 두 개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두 개의 테두리 부분에 각각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두 개 이상의 그레이팅 구성품들을 결합시키고,
    서로 밀착되게 접하도록 배치된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상기 벤딩된 테두리 부분과 보강 바(110)가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테두리 내측 부분의 본체부(10)에 다수 개의 배수구(17)가 형성되며, 배수구(17)에는 배수구 마개(140)가 설치되고,
    배수구(17)에는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경사부(18)가 구비되며, 이에 따라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고,
    배수구 마개(140)는,
    상부면(141)과, 상부면(141)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측면(143)을 갖고, 배수구(17)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몸체부;
    몸체부에 대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몸체부의 하단을 덮는 덮개부(145); 및,
    덮개부(145)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몸체부와 덮개부(145)를 연결하고, 몸체부 및 덮개부(145)와 일체로 형성되며, 덮개부(145)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연결부(147);를 포함하고,
    상부면(141)에는 관통공(141a)이 형성되고, 관통공(141a)을 통해서 우수가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며,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의 무게로 인해 덮개부(145)가 회동하면 우수가 배출되고, 우수가 배출되어 제거되면 덮개부(145)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2. 제1항에 있어서,
    측면(143)은,
    경사부(18)와 형합하는 제1 부분(143a); 및,
    제1 부분(143a)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제2 부분(143b);을 포함하며,
    제2 부분(143b)에는 측방향으로 측면(143)을 관통하는 관통공(144)이 형성되고,
    관통공(141a)을 통해서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관통공(144)을 통해서 측방향으로 배출되되, 배출량이 유입량 보다 작아서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물의 무게가 소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덮개부(145)가 아래로 회동하여 물을 아래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3. 제2항에 있어서,
    제1,2 부분(143a)(143b) 사이에는 턱(143c)이 형성되고, 턱(143c)은 경사부(18)의 하단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마개(140)가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수구 마개(140)는 고무, 연질 플라스틱, 우레탄,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일체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KR1020190001790A 2015-11-10 2019-01-07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KR102040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57036 2015-11-10
KR1020150157036 2015-11-1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047A Division KR101946358B1 (ko) 2015-11-10 2016-11-08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 이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001A KR20190014001A (ko) 2019-02-11
KR102040488B1 true KR102040488B1 (ko) 2019-12-05

Family

ID=590490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047A KR101946358B1 (ko) 2015-11-10 2016-11-08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 이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제작 방법
KR1020190001790A KR102040488B1 (ko) 2015-11-10 2019-01-07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047A KR101946358B1 (ko) 2015-11-10 2016-11-08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 이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946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487B1 (ko) * 2019-02-13 2019-11-05 전나래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이 그레이팅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조립체
KR102349396B1 (ko) * 2020-02-12 2022-01-07 전나래 다양한 규격의 그레이팅을 하나의 프레스 금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레이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673B2 (ja) * 1999-04-23 2001-03-07 工業技術院長 非担持硫化ニッケル−タングステン触媒及びその製法、並びに炭化水素の水素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64083D1 (en) * 1981-03-19 1984-07-19 Twb Presswerk Gmbh Grating for gutters
JP3154008B2 (ja) * 1991-10-29 2001-04-0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摩擦材料の製造方法
KR100620969B1 (ko) * 2003-10-14 2006-09-08 김진환 가변 개폐구조를 갖는 평면 설치용 덮개
KR200403783Y1 (ko) * 2005-09-16 2005-12-14 오웅배 배수로 덮개
KR20080016712A (ko) * 2008-01-29 2008-02-21 전용태 주철 그레이팅 및 맨홀설비용 배수캡
JP3143673U (ja) * 2008-05-21 2008-07-31 光明 新井 Frpグレーチングの固定具
KR101015623B1 (ko) * 2008-06-25 2011-02-25 김동현 친환경 다공패널 그레이팅
KR200446077Y1 (ko) * 2009-05-19 2009-09-25 김종득 미끄럼방지용 강판 그레이팅
KR101484524B1 (ko) * 2013-06-24 2015-01-28 이윤성 스틸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673B2 (ja) * 1999-04-23 2001-03-07 工業技術院長 非担持硫化ニッケル−タングステン触媒及びその製法、並びに炭化水素の水素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358B1 (ko) 2019-02-11
KR20170054998A (ko) 2017-05-18
KR20190014001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488B1 (ko)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US7172368B2 (en)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a trench of a predetermined shape
KR100952605B1 (ko) 우수 저류조
CN101346521A (zh) 模板
US54781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rench
KR101641050B1 (ko) 바닥용 배수판
KR20090006127U (ko) 슬래브의 개구부용 거푸집
KR200449706Y1 (ko) 배수용 그레이팅
US763204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rming drainage and trench forming systems
KR20200126489A (ko)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JP2011174352A (ja) 上面スリット付暗渠側溝
KR100899085B1 (ko) 루프 드레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196304B1 (ko) 금속기와
EP1847662A2 (en) Plate for the passage of a pipe through structured roofing material
JP3189586U (ja) 曲線側溝、及び側溝構造体
JP3181930U (ja) 道路などの側溝蓋及び水抜き金具
KR100953989B1 (ko) 슬래브의 개구부용 거푸집
KR101078782B1 (ko) 트러스 신축이음 지지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209227830U (zh) 预制剪力墙体及装配式建筑结构体系
KR100696278B1 (ko) 평판형 스페이서
JP3213548U (ja) 側溝蓋および既設開渠の暗渠化構造
JP2005264561A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透水舗装の排水構造
KR200371613Y1 (ko) 와이어로 체결된 콘크리트 벽체패널을 이용한 하천 배수로
KR101795869B1 (ko) 바닥용 배수판
KR200416890Y1 (ko) 트랜치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