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358B1 -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 이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 이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6358B1 KR101946358B1 KR1020160148047A KR20160148047A KR101946358B1 KR 101946358 B1 KR101946358 B1 KR 101946358B1 KR 1020160148047 A KR1020160148047 A KR 1020160148047A KR 20160148047 A KR20160148047 A KR 20160148047A KR 101946358 B1 KR101946358 B1 KR 1019463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ting
- drain
- drain hole
- hol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F16S3/08—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forming framework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금속 판재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지지부가 되고 테두리 내측에 다수 개의 배수구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비용접 방식 또는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고, 기존 그레이팅의 베어링 바와 크로스 바를 갖지 않고 비용접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므로 그레이팅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성이 높다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금속 판재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지지부가 되고 테두리 내측에 다수 개의 배수구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고, 기존 그레이팅의 베어링 바와 크로스 바를 갖지 않고 비용접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므로 그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는 그레이팅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그레이팅에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 및 그레이팅 제작 방법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등에 설치되는 빗물 집배수로(集排水路)의 덮개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대개 복수 개의 직사각형 격자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1)은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갖는 엔드 바(2)와, 엔드 바(2)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베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포함한다.
베이링 바(3)는 그레이팅(1)에 인가되는 하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베어링 바(3)의 양쪽 단부는 엔드 바(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크로스 바(4)는 베어링 바(3)와 수직이 되도록 베어링 바(3)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어링 바(3)와 엔드 바(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크로스 바(4)는 베어링 바(3)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그레이팅(1)은 엔드 바(2), 베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각각 제조하고 이를 용접하는 데에 많은 작업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아울러, 베어링 바(3)가 용접에 의해서 엔드 바(2)에 결합되고 크로스 바(4)가 용접에 의해서 베어링 바(3)와 엔드 바(2)에 결합되므로, 그레이팅(1)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용접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용접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 편차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레이팅(1)은 엔드 바(2)가 형성하는 직사각형 공간의 내측에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설치된 구조이므로, 그 형상 및/또는 넓이를 쉽게 변경시킬 수가 없고, 동일한 넓이와 형상의 그레이팅을 반복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그레이팅(1)의 형상 및/또는 넓이를 변경시키려면 엔드 바(2)를 새로 제작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한편, 그레이팅(1)은 크로스 바(4)와 베어링 바(3)에 의해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직사각형 구멍을 갖는데, 이러한 구멍을 통해서 악취가 올라온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직사각형 구멍은 우수(雨水)가 아래쪽, 예를 들어 집배수로(集排水路)로 이동되는 통로이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과, 악취 차단을 위해서는 직사각형 구멍을 밀폐해야 한다는 점이 서로 충돌되기 때문에 악취 차단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용접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그레이팅 구성품의 폭(W)과 길이(L), 지지부의 높이(H), 금속 판재의 두께를 알맞게 조절(선택)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雨水)를 아래쪽으로 잘 배출하면서도 악취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그레이팅에 구비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그레이팅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그레이팅과, 이러한 그레이팅의 제조에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 및, 그 제작방법에 대한 것이다(본 발명에서는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으로 서로 결합되어 그레이팅을 이룬다.).
상기 그레이팅 구성품은, 평평한 금속 판재(P)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만들어지는 제1,2 지지부(21)(25)와, 제1,2 지지부(21)(25)의 내측에 형성된 본체부(10)를 포함한다. 본체부(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지지하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기존 그레이팅의 베어링 바(3) 및, 베어링 바(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크로스 바(4)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체부(10)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네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며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된다.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틈(29)이 형성된다. 상기 틈(29)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서로 연결 및 보강하는 보강 바(110)가 삽입되어 설치된 후 제1,2 지지부(21)(25)와 체결부재(115) 또는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다.
본체부(10)에는 복수 개의 배수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7)에는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경사부(18)가 구비되고, 배수구(17)에는 배수구(17)를 덮는 배수구 마개(130)(140)(150)가 설치될 수도 있다.
경사부(18)는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 마개 중(130)(140)(150)에서 마개(130)는 투수 콘크리트가 배수구(17)에 타설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18)가 투수 콘크리트의 몰드 역할을 하여 마개(130)가 경사부(18)에 일체로 결합되고,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아서 마개(130)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100)(200)(300)은 다수 개의 상기 그레이팅 구성품(30)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그레이팅 제작방법은, (a) 금속 판재(P)의 테두리 부분을 수직으로 벤딩하여 직사각 형상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 둘레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1,2 지지부(21)(25)를 만들되,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네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되며,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 틈(29)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는 단계; (b)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하되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제1 지지부(21)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틈(29)에 보강 바(110)를 삽입하는 단계; 및, (c) 보강 바(110)와 제1,2 지지부(21)(25)를 결합시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작 방법은 배수구(17)를 형성하기 위해서, (a1) 상기 금속 판재(P)를 1차로 펀칭하여 본체부(10)에 다수 개의 작은 구멍(16)을 형성하는 단계; 및, (a2) 작은 구멍(16)을 2차로 펀칭하여 작은 구멍(16)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배수구(17)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2차 펀칭은 작은 구멍(16) 보다 큰 직경의 펀치를 작은 구멍(16)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배수구(17)의 아래로 연장되는 경사부(18)가 형성되고, 경사부(18)는 그레이팅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보강 바에 의해서 수평으로 결합되어 그레이팅을 이루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의 그레이팅을 쉽게 만들 수 있다.
2. 비용접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4.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그레이팅 구성품의 폭(W)과 길이(L), 지지부의 높이(H), 금속 판재의 두께를 알맞게 조절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5. 우수(雨水)를 아래쪽으로 잘 배출하면서도 악취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6. 위와 같은 그레이팅에 구비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공한다.
7. 위와 같은 그레이팅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그레이팅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평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a는 도 4의 금속평판에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V-V' 단면도.
도 6a는 도 5a의 금속평판을 벤딩하여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VI-VI' 단면도.
도 7a는 도 6a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VII-VII' 단면도.
도 7c는 도 7a의 그레이팅에 구비되는 보강 바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a는 도 7a의 그레이팅에 마개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VIII-VIII'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도 9a의 그레이팅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b는 도 11a의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a의 그레이팅을 구성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금속평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a는 도 12의 금속평판으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b는 도 13a의 XIII-XIII' 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
도 14c는 도 14a의 XIV-XIV' 단면도.
도 15a는 도 14a의 배수구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b는 도 15a의 배수구 마개가 개방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6b는 도 16a의 XVI-XVI' 단면도.
도 17은 도 16a의 배수구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은 도 16a의 배수구 마개를 배수구에 형성하기 위하여 몰드가 그레이팅 구성품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그레이팅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평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a는 도 4의 금속평판에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V-V' 단면도.
도 6a는 도 5a의 금속평판을 벤딩하여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VI-VI' 단면도.
도 7a는 도 6a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VII-VII' 단면도.
도 7c는 도 7a의 그레이팅에 구비되는 보강 바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a는 도 7a의 그레이팅에 마개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VIII-VIII'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도 9a의 그레이팅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b는 도 11a의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a의 그레이팅을 구성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금속평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a는 도 12의 금속평판으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b는 도 13a의 XIII-XIII' 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
도 14c는 도 14a의 XIV-XIV' 단면도.
도 15a는 도 14a의 배수구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b는 도 15a의 배수구 마개가 개방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6b는 도 16a의 XVI-XVI' 단면도.
도 17은 도 16a의 배수구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은 도 16a의 배수구 마개를 배수구에 형성하기 위하여 몰드가 그레이팅 구성품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그레이팅을 이루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그레이팅(100)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과,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키는 보강 바(110)를 포함한다. 그레이팅 구성품(30)과 보강 바(110)는 철판,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합성수지, 플라스틱, FRP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레이팅 구성품(30)은 평평한 금속판재(P)가 벤딩되어 형성되는데, 금속판재(P)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제1,2 지지부(21)(25)가 되고, 제1,2 지지부(21)(25)의 내측인 직사각형 부분은 본체부(10)가 된다.
구체적으로, 금속판재(P)의 테두리 부분이 점선(11)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벤딩되어 제1 지지부(21)가 되고, 점선(15)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벤딩되어 제2 지지부(25)가 된다. 그리고, 점선(11)(15)의 내측 부분이 본체부(10)가 된다.
즉,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4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된다.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긴 변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짧은 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후, 보강 바(110)를 상기 짧은 변(15)에 설치하면 상기 긴 변(11)의 폭(S)을 갖는 그레이팅(100)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은 점선(22)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벤딩되고, 직각으로 벤딩된 상기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는 서로 마주보게 되며, 상기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는 틈(29)이 형성된다. 상기 틈(29)은 보강 바(110)가 삽입되어 설치된 후, 체결부재(115)가 체결공(24)(26)(112)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다.
보강 바(110)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띠 형상의 막대로서, 틈(29)에 삽입되어 두 개 이상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킨다. 보강 바(110)는 만들고자 하는 그레이팅(100)의 길이(LT)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바(110)는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그레이팅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보강)시키는 역할도 한다.
보강 바(110)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체결공(112)은 체결공(24)(2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리벳,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15)가 체결공(24)(26)(112)에 설치됨으로써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제1,2 지지부(21)(25)의 내측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평평한 부분이다. 본체부(10)에는 다수 개의 배수구(17)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원형의 배수구(17)가 도시되어 있으나, 우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의 배수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그레이팅(100) 위를 지나가는 보행자, 차량 등의 하중을 받아서 제1,2 지지부(21)(25)에 전달한다. 따라서,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 구성품(30)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 경우, 본체부(10)의 폭(W)과 길이(S)가 작을수록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즉, 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음), 제1,2 지지부(21)(25)의 높이(H)가 클수록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금속판재(P)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폭(W), 길이(S), 높이(H) 및 금속판재(P)의 두께는 그레이팅(100)이 받을 하중의 크기를 고려하여 알맞게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폭(W)은 50mm 이상 1500mm 이하이고, 상기 길이(S)는 50mm 이상 10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H)는 10mm 이상인데, 바람직하게는 30mm 이상 100mm 이하이다.
한편, 그레이팅 구성품(30)은 금속판재(P)를 펀칭 및 벤딩시켜 만들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판재(P)는 직사각형 판재의 4개 꼭지점 부분이 절취(제거)되어 만들어진 것으로서, 다수 개의 체결공(24)(26)과 작은 구멍(16)을 갖는다.
작은 구멍(16)은 금속판재(P)가 1차로 펀칭되어 만들어진 구멍으로서,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작은 구멍(16)이 본체부(10)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5a와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은 구멍(16)은 2차 펀칭에 의해서 배수구(17)가 된다.
상기 2차 펀칭은 작은 구멍(16) 보다 큰 직경의 펀치를 작은 구멍(16)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배수구(17)의 아래로 연장되는 경사부(18)가 형성되고, 경사부(18)는 그레이팅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경사부(18)는 아래쪽을 향한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고, 이러한 구조로 인해서 배수구 마개(도 8a, 8b의 130)가 아래쪽으로 이탈하는 것(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2차 펀칭이 완료되면, 금속판재(P)의 테두리를 직각으로 벤딩시켜 제1,2 지지부(21)(25)를 만든다. 한편, 1,2차 펀칭과 상기 벤딩은 순서를 변경시켜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벤딩으로 제1,2 지지부(21)(25)를 만든 후 1,2차 펀칭을 해도 되고, 1차 펀칭 후 벤딩으로 제1,2 지지부(21)(25)를 만든 다음, 2차 펀칭을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그레이팅 구성품(30)은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실시한 후, 서로 결합된다. 물론,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킨 후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실시할 수도 있다.
도 7a는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만들어진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VII-VII' 단면도이며, 도 7c는 보강 바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30)의 제1 지지부(21)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보강 바(110)를 상기 틈(29)에 삽입하고 체결부재(115)로 체결하면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결합되어 그레이팅(100)이 완성된다. 도면에서는 체결부재(115)로서 리벳이 사용되었으나, 볼트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그레이팅(100)은 벤딩과 체결부재(115, 리벳 또는 볼트 등)만으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용접이 필요하지 않고,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균일하고 신뢰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접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좌우되기 때문에 기존 그레이팅(1)은 품질 편차가 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체결부재(115)를 대신하여 또는 체결부재(115)와 함께 용접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3 실시예는, 체결부재를 대신하여, 용접으로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를 결합시키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그레이팅(100)은 지지부(21)(25)가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기존 그레이팅(1)의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다. 기존에는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의 제작 및 결합(용접)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100)은 이러한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 단가와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배수구(17)에는 배수구 마개(13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a는 배수구 마개(130)가 배수구(17)에 설치된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VIII-VIII' 단면도이다.
배수구 마개(130)는 경사부(18)에 형합하는 측면을 갖는다. 그리고, 배수구 마개(130)의 상면은 본체부(110)의 윗면 보다 약간 위로 돌출되는 것이 미끄럼 방지와 지압 효과 등을 위해 바람직하다.
배수구 마개(130)는 고무, 합성 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배수구 마개(130)는 우수 등과 같은 물을 아래로 잘 배출하면서도 아래쪽의 악취는 올라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배수구 마개(130)는 투수 콘크리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투수 콘크리트는 다수의 내부 공극으로 인해 물을 아래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수 콘크리트에는 야광 안료 또는 컬러 안료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야광 안료가 첨가된 투수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배수구 마개(130)는 야간에 그레이팅(10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배수구 마개(130)는 공장에서 별도로 미리 만들어진 후 배수구(17)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경사부(1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투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즉, 경사부(18)의 하단에 평판(도면에 미도시)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투수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경사부(18)가 몰드 역할을 하여 배수구 마개(130)가 경사부(18)에 일체로 결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투수 콘크리트의 타설은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제작한 후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하기 이전에 이루어지거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제작하고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한 후에 그레이팅 표면에 필름(도면에 미도시)을 부착한 다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9b는 상기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상기 그레이팅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a ~ 도 10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도 8b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그레이팅(200)은, 상술한 그레이팅(100)과 비교하여, 용접으로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5) 및 보강 바(110)를 결합시킨다는 차이점이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1,2 지지부(21)(25)에는 체결공(24)(26)이 필요하지 않고 보강 바(110)에는 체결공(112)이 필요하지 않다.
도면에서 붉은 원(○)은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접은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를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30)의 제1 지지부(21)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 등에서 이루어진다.
제3 실시예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1b는 상기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1a, 11b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도 10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그레이팅(300)은 제1 지지부(21)의 구조가 그레이팅(200)과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그레이팅(200)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레이팅 구성품(30)은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판재(P)는 직사각형 판재의 꼭지점 부분이 절취(제거)된 것이다. 금속판재(P)의 테두리가 점선(11)을 따라 직각으로 벤딩되어 제1 지지부(21)가 되고 점선(15)을 따라 직각으로 벤딩되어 제2 지지부(25)가 된다. 따라서, 본체부(10)의 네 변 중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제1 지지부(21)가 형성되고 나머지 두 변에 제2 지지부(25)가 형성된다.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는 틈(29)이 형성된다. 틈(29)에는 보강 바(110)가 삽입된다. 틈(29)에 삽입된 보강 바(110)는 용접에 의해서 제1,2 지지부(21)(25)에 결합된다. 도면에서 붉은 원(○)은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5) 및 보강 바(110)의 결합이 용접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2 지지부(21)(25)에는 체결공(24)(26)이 필요하지 않고 보강 바(110)에는 체결공(112)이 필요하지 않다.
배수구 마개의 변형예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상기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며, 도 14c는 도 14a의 XIV-XIV' 단면도이다.
배수구 마개(140)는 우수가 아래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악취가 위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수구 마개(140)는 몸체부와, 몸체부에 대해 회동이 가능한 덮개부(145) 및, 덮개부(145)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몸체부와 덮개부(145)를 연결하고 덮개부(145)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연결부(147)를 포함한다.
배수구 마개(140)는 고무, 연질 플라스틱, 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재에는 야광 안료가 첨가될 수도 있다. 야광 안료가 첨가된 배수구 마개(140)는 야간에 그레이팅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몸체부는 상부면(141)과, 상부면(141)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측면(143)을 갖는다.
상부면(141)에는 관통공(141a)이 형성되어 우수가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측면(143)은 경사부(18)와 형합하도록 형성된 제1 부분(143a)과, 제1 부분(143a)의 아래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2 부분(143b)을 포함한다.
제1 부분(143a)은 경사부(18)와 동일한 경사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배수구 마개(140)가 경사부(18)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부분(143b)에는 관통공(144)이 형성된다. 관통공(144)은 측면(143)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관통공(144)을 통해서 우수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부분(143a)(143b)의 사이에는 턱(143c)이 형성된다. 턱(143c)은 경사부(18)의 하단에 걸리도록 설치됨으로써 배수구 마개(140)가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덮개부(145)는 평상시에는 배수구(17)를 막고 있다(도 15a)가 그 상부에 우수(도면에 미도시)의 하중이 작용하면 아래로 회동되어 배수구(17)를 개방한다(도 15b). 그리고, 우수의 하중이 제거되면 연결부(14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하여 배수구(17)를 막는다(도 15a).
덮개부(145)와 상부면(14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관통공(141a)을 통해서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물은 관통공(144)을 통해서 측방향으로 배출되지만, 상기 배출량이 유입량 보다 작아서 상기 공간에 수용된 물의 무게가 소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덮개부(145)가 아래로 회동하여 물을 아래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평상시 및 강우량이 작은 때에는 덮개부(145)가 밀폐된 상태로 있게 되어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물을 잘 배출할 수 있고, 강우량이 많은 때에는 덮개부(145)가 아래로 회동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XVI-XVI'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배수구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배수구 마개(150)는 제1 부분(153)과, 제2 부분(155) 및, 마개를 관통하는 관통공(152)을 포함한다.
제1 부분(153)의 외주면은 경사부(18)와 형합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부분(155)은 제1 부분(153)에서 아래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1,2 부분(153)(155)의 사이에는 턱(156)이 형성된다. 턱(156)은 경사부(18)의 하단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마개(15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배수구 마개(150)는 별도로 미리 제작한 후 배수구(17)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지만, 소정의 배합물을 배수구(17)에 타설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타설시, 관통공(152)을 형성하기 위한 막대를 배수구(17)에 설치한 후 배합물을 타설하면 관통공(15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은 배수구 마개를 배수구에 형성하기 위하여 몰드가 그레이팅 구성품에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상기 몰드(50, 빗금친 부분)는 경사부(18)의 아래에 설치되고, 관통공(152)을 형성하기 위한 막대부(52)를 포함한다.
상기 배합물 타설시, 배수구 마개(150)의 윗면이 그레이팅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거나 약간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로 볼록하게 돌출된 구성은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합물은 직경 10mm 이하의 자갈, 바인더 및, 소정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로는 시멘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투수 콘크리트, 접착용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은 10mm 이하의 고무칩, 우레탄칩, 플라스틱칩 및, 제강 슬래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2종류 이상의 조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합물에는 야광 안료 또는 칼러 안료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배합물의 타설은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제작한 후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하기 이전에 이루어지거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제작하고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한 후에 그레이팅 표면에 필름(도면에 미도시)을 부착한 다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1, 100, 200, 300 : 그레이팅 10 : 본체부
17 : 배수구 18 : 경사부
21 : 제1 지지부 25 : 제2 지지부
24, 26, 112 : 체결공
29 :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의 틈
30 : 그레이팅 구성품 50 : 몰드
110 : 보강용 바 115 : 체결부재
130, 140, 150 : 배수구 마개
P : 금속 판재
17 : 배수구 18 : 경사부
21 : 제1 지지부 25 : 제2 지지부
24, 26, 112 : 체결공
29 :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의 틈
30 : 그레이팅 구성품 50 : 몰드
110 : 보강용 바 115 : 체결부재
130, 140, 150 : 배수구 마개
P : 금속 판재
Claims (13)
- 삭제
- 삭제
-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그레이팅 구성품(30)은,
평평한 금속 판재(P)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만들어지는 제1,2 지지부(21)(25)와, 제1,2 지지부(21)(25)의 내측에 형성된 본체부(10)를 포함하고,
본체부(10)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네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며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되고,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틈(29)이 형성되고,
상기 틈(29)에는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 및 보강하는 보강 바(110)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제1,2 지지부(21)(25)는 체결부재(115) 또는 용접에 의하여 보강 바(11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본체부(10)에는 복수 개의 배수구(17)가 형성되며,
본체부(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지지하고,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바(3) 및, 베어링 바(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크로스 바(4)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 제3항에 있어서,
제1 지지부(21)의 길이 또는 변(11)의 길이(L1)는 제2 지지부(25)의 길이 또는 변(15)의 길이(L2)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 제4항에 있어서,
배수구(17)에는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경사부(18)가 구비되고, 배수구(17)에는 배수구(17)를 덮는 마개(130)(140)(15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 제5항에 있어서,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도록 경사부(18)가 형성되고,
마개(130)는 투수 콘크리트가 배수구(17)에 타설되어 이루어지며, 경사부(18)가 투수 콘크리트의 몰드 역할을 하여 마개(130)와 경사부(18)가 일체로 결합되고,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아서 마개(130)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 제5항에 있어서,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도록 경사부(18)가 형성되고,
마개(150)는,
경사부(18)와 형합하는 제1 부분(153);
제1 부분(153)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부분(155);
제1 부분(153)과 제2 부분(155) 사이에 형성된 턱(156); 및,
우수 배출을 위해 마개(1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152);을 포함하고,
턱(156)이 경사부(18)의 하단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마개(150)의 이탈이 방지되며,
마개(150)는 소정의 배합물이 배수구(17)에 타설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배합물은,
직경 10mm 이하의 자갈;
시멘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투수 콘크리트, 접착용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 및,
10mm 이하의 고무칩, 우레탄칩, 플라스틱칩 및, 제강 슬래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포함하고,
배수구(17)에 막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배합물이 배수구(17)에 타설되어 마개(150)에는 관통공(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마개(130)(140)(150)에는 야광 안료 또는 컬러 안료가 포함되고,
마개(130)(140)(150)는 그레이팅의 상부표면 보다 약간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 제5항에 있어서,
배수구 마개(140)는,
상부면(141)과, 상부면(141)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측면(143)을 갖고, 배수구(17)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몸체부;
몸체부에 대해 회동이 가능한 덮개부(145); 및,
덮개부(145)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몸체부와 덮개부(145)를 연결하고, 몸체부 및 덮개부(145)와 일체로 형성되며, 덮개부(145)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연결부(147);를 포함하고,
상부면(141)에는 관통공(141a)이 형성되고,
측면(143)은,
경사부(18)와 형합하는 제1 부분(143a); 및,
제1 부분(143a)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제2 부분(143b);을 포함하며,
제2 부분(143b)에는 측방향으로 측면(143)을 관통하는 관통공(144)이 형성되고, 제1,2 부분(143a)(143b) 사이에는 턱(143c)이 형성되고, 턱(143c)은 경사부(18)의 하단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마개(140)가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덮개부(145)는 상부 우수의 하중에 의해서 아래로 회동되어 배수구(17)를 개방하고, 상기 우수가 제거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 (a) 금속 판재(P)의 테두리 부분을 수직으로 벤딩하여 직사각 형상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 둘레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1,2 지지부(21)(25)를 만들되,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네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되며,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 틈(29)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는 단계;
(b)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하되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제1 지지부(21)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틈(29)에 보강 바(110)를 삽입하여 보강 바(110)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의 틈(29)에 삽입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보강 바(110)와 제1,2 지지부(21)(25)를 결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제작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a1) 상기 금속 판재(P)를 1차로 펀칭하여 본체부(10)에 다수 개의 작은 구멍(16)을 형성하는 단계; 및,
(a2) 작은 구멍(16)을 2차로 펀칭하여 작은 구멍(16)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배수구(17)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 펀칭은 작은 구멍(16) 보다 큰 직경의 펀치를 작은 구멍(16)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배수구(17)의 아래로 연장되는 경사부(18)가 형성되고, 경사부(18)는 그레이팅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제작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도록 경사부(18)가 형성되고,
배수구(17)에는 마개(130)가 설치되며,
마개(130)는 투수 콘크리트가 배수구(17)에 타설되어 만들어지며, 경사부(18)가 투수 콘크리트의 몰드 역할을 하여 마개(130)와 경사부(18)가 일체로 결합되고,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아서 마개(130)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제작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도록 경사부(18)가 형성되고,
마개(150)는 소정의 배합물이 배수구(17)에 타설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배합물은,
직경 10mm 이하의 자갈;
시멘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투수 콘크리트, 접착용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 및,
10mm 이하의 고무칩, 우레탄칩, 플라스틱칩 및, 제강 슬래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포함하고,
배수구(17)에 막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배합물이 배수구(17)에 타설되어 마개(150)에는 관통공(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157036 | 2015-11-10 | ||
KR1020150157036 | 2015-11-10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1790A Division KR102040488B1 (ko) | 2015-11-10 | 2019-01-07 |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4998A KR20170054998A (ko) | 2017-05-18 |
KR101946358B1 true KR101946358B1 (ko) | 2019-02-11 |
Family
ID=590490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8047A KR101946358B1 (ko) | 2015-11-10 | 2016-11-08 |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 이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제작 방법 |
KR1020190001790A KR102040488B1 (ko) | 2015-11-10 | 2019-01-07 |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1790A KR102040488B1 (ko) | 2015-11-10 | 2019-01-07 |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194635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0487B1 (ko) * | 2019-02-13 | 2019-11-05 | 전나래 |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이 그레이팅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조립체 |
KR102349396B1 (ko) * | 2020-02-12 | 2022-01-07 | 전나래 | 다양한 규격의 그레이팅을 하나의 프레스 금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레이팅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54008B2 (ja) * | 1991-10-29 | 2001-04-09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摩擦材料の製造方法 |
KR200403783Y1 (ko) * | 2005-09-16 | 2005-12-14 | 오웅배 | 배수로 덮개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060901B1 (de) * | 1981-03-19 | 1984-06-13 | TWB-Presswerk GmbH | Rost für Entwässerungsrinnen |
JP3143673B2 (ja) * | 1999-04-23 | 2001-03-07 | 工業技術院長 | 非担持硫化ニッケル−タングステン触媒及びその製法、並びに炭化水素の水素化方法 |
KR100620969B1 (ko) * | 2003-10-14 | 2006-09-08 | 김진환 | 가변 개폐구조를 갖는 평면 설치용 덮개 |
KR20080016712A (ko) * | 2008-01-29 | 2008-02-21 | 전용태 | 주철 그레이팅 및 맨홀설비용 배수캡 |
JP3143673U (ja) * | 2008-05-21 | 2008-07-31 | 光明 新井 | Frpグレーチングの固定具 |
KR101015623B1 (ko) * | 2008-06-25 | 2011-02-25 | 김동현 | 친환경 다공패널 그레이팅 |
KR200446077Y1 (ko) * | 2009-05-19 | 2009-09-25 | 김종득 | 미끄럼방지용 강판 그레이팅 |
KR101484524B1 (ko) * | 2013-06-24 | 2015-01-28 | 이윤성 | 스틸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
-
2016
- 2016-11-08 KR KR1020160148047A patent/KR10194635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1-07 KR KR1020190001790A patent/KR1020404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54008B2 (ja) * | 1991-10-29 | 2001-04-09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摩擦材料の製造方法 |
KR200403783Y1 (ko) * | 2005-09-16 | 2005-12-14 | 오웅배 | 배수로 덮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4998A (ko) | 2017-05-18 |
KR20190014001A (ko) | 2019-02-11 |
KR102040488B1 (ko) | 2019-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6358B1 (ko) |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 이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제작 방법 | |
WO2000058583A1 (en) | Demountable modular floor for watertight raised decks | |
EP2268866B1 (en) | Drain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 |
JP4811688B2 (ja) | 路上排水溝装置 | |
DE102004055843A1 (de) | Rinnensystem | |
DE102013104405A1 (de) | Entwässerungsrinnensystem | |
EP2816163A1 (de) | Entwässerungsrinne | |
JP2011174352A (ja) | 上面スリット付暗渠側溝 | |
DE102014119087B3 (de) | Oberteil eines Ablaufes für eine Oberflächenentwässerung | |
EP2505721B1 (de) | Straßenaufsatz | |
KR101366486B1 (ko) |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188618B1 (ko) | 밴딩파이프를 이용한 옥외용차양과 이에 사용되는 마감장치 | |
KR101156980B1 (ko) | 미관 개선형 교면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
JP6914175B2 (ja) | 桝蓋 | |
KR100899085B1 (ko) | 루프 드레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
KR200485651Y1 (ko) | 스틸그레이팅 | |
KR200435442Y1 (ko) |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 | |
KR200420900Y1 (ko) |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 |
KR100755997B1 (ko) |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 |
DE202004001009U1 (de) | Einteiliges Rinnensystem | |
KR101657279B1 (ko) |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 |
KR200299545Y1 (ko) | 도로 보강토 구간의 누수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보강블록설치구조 | |
CN220644904U (zh) | 用于种植坡屋面疏水板的固定防滑移装置和种植坡屋面 | |
JP3760209B2 (ja) | 溝蓋の固定構造 | |
KR100564034B1 (ko) | 도수로용 콘크리트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