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442Y1 -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 - Google Patents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442Y1
KR200435442Y1 KR2020060025434U KR20060025434U KR200435442Y1 KR 200435442 Y1 KR200435442 Y1 KR 200435442Y1 KR 2020060025434 U KR2020060025434 U KR 2020060025434U KR 20060025434 U KR20060025434 U KR 20060025434U KR 200435442 Y1 KR200435442 Y1 KR 200435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decorative cover
decorative
dra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구
Original Assignee
전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구 filed Critical 전병구
Priority to KR2020060025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4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4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 트렌치에 의해 형성된 배수로를 덮는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에 탈착식으로 조립하여 그레이팅을 장식하는 장식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1)는, 프레임(2A)에 일정 간격으로 격자살(2B)이 연결되어 격자형 배수공(2C)이 형성된 배수 트렌치용 그레이팅(2)에 탈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그레이팅(2)의 일부 표면을 덮어 장식면을 제공하는 장식판(10), 및 상기 장식판(10)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A)과 상기 격자살(2B)에 의해 형성된 상기 배수공(2C)에 끼워져 상기 장식판(10)을 상기 배수공(2C)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는 고정편(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1)는 상기 격자살(2B)들을 가로질러 형성된 보강대(2D)에 끼워져 상기 장식판(10)을 상기 보강대(2D)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는 고정클립부(30)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Decorative Cover for Drainage Trench Grating}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장식 커버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장식 커버의 다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장식 커버의 조립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장식 커버의 측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장식 커버의 다양한 조립 배치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장식 커버의 사용상태도,
도7은 일반적인 그레이팅이 적용된 배수 트렌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장식 커버 2: 그레이팅 2A: 프레임
2B: 격자살 2a, 2b: 비후부 2C: 배수공
2D: 보강대 10: 장식판 11: 디자인
12: 양단부 13: 측면부 20: 고정편
21: 걸림턱 30: 고정클립부 31: 돌출편
31A: 걸림턱
(기술분야)
본 고안은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 트렌치에 의해 형성된 배수로를 덮는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에 탈착식으로 조립하여 그레이팅을 장식하는 장식 커버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바닥의 빗물이나 오수를 배수하기 위한 시설로서 배수 트렌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런 배수 트렌치는 그 적용 장소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소재(예, 금속재, 콘크리트블록,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로 여러 가지 구조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배수 트렌치는 작업 현장에서 직접 벽돌 등을 쌓아서 구축하기도 하지만,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시공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금속, 콘크리트,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으로 규격화된 배수 트렌치 유닛을 미리 공장에서 대량 생산하고, 공사현장에서는 이를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식으로 배수 트렌치를 구축하는 것이 널리 일반화 되어 있다.
또한, 배수 트렌치에는 덮개가 없는 개방형도 있지만, 배수로로의 이물 유입을 차단하고 실족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해 그레이팅과 같은 덮개를 덮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런 그레이팅은 집수정에도 사용된다.
도7은 일반적인 그레이팅이 적용된 배수 트렌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101)를 형성하는 배수 트렌치(110)의 개방된 상부는 일반적으로 강재로 제작된 그레이팅(120)으로 덮는다. 그레이팅(120)은 외부 골격을 이루는 사각의 프레임(121), 프레임(121)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어 격자를 형성하는 격자살(122), 및 격자살(122)을 가로질러 프레임(121)에 결합시킴으로써 격자살(122)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대(12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바닥을 흐르는 물은 프레임(121)과 격자살(122)에 의해 형성된 배수공(124)을 통해 유입되어 배수 트렌치(110)의 배수로(101)로 배수된다.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은 배수로로의 이물 유입 차단과 실족사고방지 등에는 유용하지만, 단지 격자 형상의 외관을 가지기 때문에 그레이팅이 적용된 주변 경관과 어울리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미관의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경향이 있었으며, 또한 그레이팅(120)의 격자살(122)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 트렌치에 사용되는 그레이팅에 탈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그레이팅을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장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격자살이 연결되어 격자형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 트렌치용 그레이팅에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는, 상기 그레이팅의 일부 표면을 덮어 장식면을 제공하는 장식판, 및 상기 장식판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격자살에 의해 형성된 상기 배수공에 끼워져 상기 장식판을 상기 배수공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는 고정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에는 다수의 상기 격자살을 가로질러 형성된 보강대에 끼워져 상기 장식판을 상기 보강대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는 고정클립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장식 커버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장식 커버의 다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장식 커버의 조립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장식 커버의 측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장식 커버의 다양한 조립 배치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장식 커버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1)는,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트렌치의 배수로 덮개로 사용되는 그레이팅(2)에 탈착식으로 장착하여 그레이팅(2)을 장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보행자와 같은 외부 하중에서도 쉽게 파손되지 아니하는 고강도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제작되며, 금속재 등 다른 소재로 형성하는 것도 배제되지 아니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그레이팅(2)은, 가로세로 4각의 프레임(2A)에 격자살(2B)이 일정간격으로 연결되어 격자살(2B) 사이에 배수공(2C)이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일반적인 그레이팅이다.
본 고안의 그레이팅 장식 커버(1)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한 전체적으로는 단일 물품이지만, 도1과 도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적으로 그레이팅(2)의 일부 표면을 덮어 장식적인 기능을 하는 장식판(10)과, 장식판(10)을 그레이팅(2)에 탈착식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고정편(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장식판(10)은 그레이팅(2)의 일부 표면을 덮어서 장식판(10)의 상면이 시야에 노출됨으로써 소정의 장식적 기능을 발휘하는 장식면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그 형상과 크기는 그레이팅(2)에 적용할 수 있는 정도라면 특히 제한이 없다.
장식판(10)의 표면에는 각종 디자인(11)을 일체로 성형하거나 별도로 부착함으로써 그 장식적 기능을 배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장식판(10)의 표면은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예, 요철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3 등의 첨부 도면에는 장식판(10)이 격자살(2B)에 의해 형성된 배수공(2C)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장식판(10)의 길이는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2A: 예, 가로 프레임)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정되어서, 그레이팅(2)에 장식 커버(1)를 장착하면 장식판(10)의 양단부(12) 가 프레임(2: 가로 프레임)에 걸쳐져 지지를 받게 된다.
아울러 도시된 구체예는 장식판(10)의 폭을 인접한 격자살(2B) 사이의 폭 보다 약간 큰 폭으로 설정하여서 그레이팅(2)에 장식 커버(1)를 장착하면 장식판(10)의 측면부(13)가 격자살(2B)에 걸쳐져 지지를 받게 된다.
도3 등에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장식판(10)의 폭을 인접한 격자살(2B) 사이의 간격 폭 보다 약간 크게 하여 본 고안의 장식 커버(1)를 인접한 배수공(2C)에 나란하게 인접 장착할 수 없고, 적어도 배수공(2C)을 하나씩 걸러서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장식 커버(1)가 장착되지 않은 배수공(2C)을 통해 물이 배수될 수 있다.
그러나 장식판(10)의 폭을 인접한 격자살(2B)의 폭에 일치시키거나 약간 작게 하여 장식 커버(1)를 인접한 모든 배수공(2C)에 장착할 수 있는 형상이나, 장식판(10)의 폭을 배수공(2C)의 폭보다 훨씬 크게 하여 하나의 장식판(10)이 여러 개의 배수공(2C)에 걸쳐 장착되도록 하는 형상(예, 하나의 장식판이 3-5개의 배수공에 걸쳐 장착되는 형상)도 배제되지 아니한다.
상기 고정편(20)은 장식판(1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2A)과 격자살(2B)에 의해 형성된 배수공(2C)에 타이트하게 끼워짐으로써 장식판(10)을 배수공(2C)에 탈착식으로 고정한다. 고정편(20)의 구조는 장식판(10)을 배수공(2C)에 탈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배수공(2C)을 형성하고 있는 격자살(2B)과 프레임(2A)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6개)의 고정편(20)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6개의 고정편(20)은 배수공(2C)에 삽입된 상태에서 격자살(2B)과 프레임(2A) 사이에 타이트하게 끼워지게 됨으로써 장식 커버(1)가 배수공(2C)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고정편(20)의 형성 위치와 개수는 장식 커버(1)를 배수공(2C)에 분리 가능하게 견고히 조립할 수 있다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의 장식 커버(1)는 예를 들어 고강도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성형되므로, 본 고안의 장식 커버(1)를 예시된 구조의 고정편(20)에 의해 배수공(2C)에 끼워 조립하면, 소재 자체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고정편(20)이 그레이팅(2)에 분리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조립되고, 탄성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가하면 장식 커버(1)를 그레이팅(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그레이팅(2)의 격자살(2B)과 프레임(2A: 프레임에는 앵글 강재가 사용되기도 한다)에는 구조적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I자 강재가 사용되고 이런 I자 강재의 단부에는 비후부(2a, 2b)가 형성되어 있는바,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편(20)의 하단에는 걸림턱(21)을 형성하여, 이 걸림턱(21)이 상기 비후부(2a, 2b)에 걸리도록 하여 조립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레이팅(2)에는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격자살(2B)들을 가로질러 보강대(2D: 일반적으로 환봉이 사용됨)를 연결한 경우가 일반적인바, 본 고안의 장식 커버(1)에는 상기 보강대(2D)에 타이트하게 끼워져 장식판(10)을 보강대(2D)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는 고정클립부(30)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장식 커버(1)가 그레이팅(2)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2와 도4 등에 도시된 장식 커버(1)는 보강대(2D)가 1개인 그레이팅(2)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강대(2D)에 대응하는 위치에 1개의 고정클립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클립부(30)는 보강대(2D)가 타이트하게 끼워질 수 있는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돌출편(31)으로 되어 있고, 돌출편(31)의 끝단에는 걸림턱(3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레이팅(2)은 그 종류와 사이즈에 따라 보강대(2D)가 전혀 없거나 2개 이상인 경우도 있으므로, 이런 다양한 그레이팅(2)의 구조에 부합하게 고정클립부(30)의 위치와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식 커버(1)는, 배수공(2C)에 하나씩 걸러 장착하거나(도5의 A 참조), 2개 이상씩 걸러 장착하는 등(도5의 B 참조), 여러 가지 다양한 패턴으로 장착함으로써 그레이팅(2)을 다양하게 장식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식 커버(1)는, 그 사용되는 장소의 특성에 맞는 디자인(11)을 장식판(10)의 표면에 적용함으로써, 주변 경관과 더욱 어울리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치원의 운동장과 같은 장소에 설치된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에 본 고안을 적용하는 경우 장식판(10)의 표면에 아동들이 좋아하는 각종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을 형성하면 그레이팅을 유치원의 분위기에 더욱 어울리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1)를 그레이팅(2)에 장착할 경우에 장식 커버(1)가 그레이팅(2)의 배수공(2C)을 차단하여 배수 트렌치의 배수 성능을 저하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장식 커버(1)는 바닥으로부터의 배수용량이 많지 않은 특성을 가지는 장소의 그레이팅(2)에 사용하는 것이고, 또한 장식 커버(1)를 그레이팅(2)에 장착함에 있어서 그레이팅(2)의 전체 면에 장착하지 아니하고 일부에만 장착하여 어느 정도 배수공을 개방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장식 커버(1)에 의한 배수저항이 크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이므로, 배수성능저하의 문제없이 본 고안의 장식 커버(1)를 그레이팅(2)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1)는, 그레이팅(2)의 프레임(2A)과 격자살(2B)에 의해 형성된 배수공(2C)을 이용하여 그레이팅(2)에 탈착 가능하게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을 그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장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식 커버로 그레이팅이 덮여짐에 따라 그레이팅의 격자살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프레임(2A)에 일정 간격으로 격자살(2B)이 연결되어 격자형 배수공(2C)이 형성된 배수 트렌치용 그레이팅(2)에 탈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그레이팅(2)의 일부 표면을 덮어 장식면을 제공하는 장식판(10), 및 상기 장식판(10)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A)과 상기 격자살(2B)에 의해 형성된 상기 배수공(2C)에 끼워져 상기 장식판(10)을 상기 배수공(2C)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는 고정편(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살(2B)들을 가로질러 형성된 보강대(2D)에 끼워져 상기 장식판(10)을 상기 보강대(2D)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는 고정클립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
KR2020060025434U 2006-09-21 2006-09-21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 KR200435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434U KR200435442Y1 (ko) 2006-09-21 2006-09-21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434U KR200435442Y1 (ko) 2006-09-21 2006-09-21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442Y1 true KR200435442Y1 (ko) 2007-01-22

Family

ID=4156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434U KR200435442Y1 (ko) 2006-09-21 2006-09-21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4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0207A (en) * 2013-04-24 2014-07-30 Andrew Lea Godbold Sign holder for mesh floor grating.
KR102040487B1 (ko) * 2019-02-13 2019-11-05 전나래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이 그레이팅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0207A (en) * 2013-04-24 2014-07-30 Andrew Lea Godbold Sign holder for mesh floor grating.
GB2510207B (en) * 2013-04-24 2015-03-11 Andrew Lea Godbold Sign holder
KR102040487B1 (ko) * 2019-02-13 2019-11-05 전나래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이 그레이팅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5442Y1 (ko)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
KR20160023084A (ko) 격자형 그레이팅의 덮개편 구조
KR200449706Y1 (ko) 배수용 그레이팅
KR100865371B1 (ko) 휀스
KR101946358B1 (ko)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 이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제작 방법
KR101265582B1 (ko) 배수로 구조물
JPH11141196A (ja) 木製フェンス
KR20070053922A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434395Y1 (ko) 접이식 배수 트렌치 덮개 유닛
KR20090003342U (ko) 맨홀
KR101904378B1 (ko) 빗물침투형 연결 소켓, 및 이를 구비하는 보호판 지지틀
KR100885651B1 (ko) 조립형 펜스
KR100776810B1 (ko) 식재공간이 구비된 도로용 난간
KR20100003610A (ko) 맨홀
JP3179693U (ja) 透水性蓋
JPH04213603A (ja) 排水ダクト用のカバー・メンバー
KR200418372Y1 (ko) 휀스
JP3174050U (ja) フェンス
KR200494078Y1 (ko) 무소음 트렌치
JP2010180558A (ja) グレーチング
KR100852086B1 (ko) 그레이팅 어셈블리
KR200409787Y1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KR20060069151A (ko) 배수용 그레이팅 구조
JP2531774Y2 (ja) 床パネル
KR200255675Y1 (ko) 맨홀용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