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085B1 - 루프 드레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루프 드레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085B1
KR100899085B1 KR1020080124452A KR20080124452A KR100899085B1 KR 100899085 B1 KR100899085 B1 KR 100899085B1 KR 1020080124452 A KR1020080124452 A KR 1020080124452A KR 20080124452 A KR20080124452 A KR 20080124452A KR 100899085 B1 KR100899085 B1 KR 100899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flange
lower body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진
Original Assignee
이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진 filed Critical 이우진
Priority to KR102008012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04D2013/0413Strainers for drainag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 옥상, 베란다, 물이 유입되는 슬라브 배수로 등에 설치되어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과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걸름망부재 하단 테두리 양측에 하향으로 돌출된 탄성부재의 걸림편과, 상단은 중앙부에 배수공이 형성된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된 패널부재와, 상기 패널부재 중앙의 배수공 내주면은 절곡되어 단턱과 내벽을 형성하되 내벽에는 다수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망부재의 걸림편이 체결되도록 하고, 패널부재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 저면에는 중공된 볼트관이 용착되어 연결된 높이조절 플랜지와, 중앙부에 배수공을 갖는 너트관이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 플랜지의 볼트관이 결합되며, 상기 너트관 외주변에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 플랜지와, 깔대기 형태의 상과 하협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직경이 작은 제1단턱과 제2 단턱이 형성되며, 제1단턱 상면에는 다수의 체결편을 형성하고, 제1 단턱 외주면은 상부에서 하부 내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플랜지로 이루어진 하부몸체를 갖는 루프 드레인을 구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부몸체의 제2 단턱 저면에는 배수관 끼움부가 다수 형성된 배수 연결관이 용착되어 루프 드레인을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은 설치작업의 용이성과 취급의 간편성, 설치시 수명의 연장성 등의 효과를 갖는 루프 드레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걸름망부재, 높이조절플랜지, 고정플랜지, 루프드레인, 배수연결관,

Description

루프 드레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Roof drain and method making the roof drain}
본 발명은 지붕 옥상, 베란다, 물이 유입되는 슬라브 배수로 등에 설치되어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루프 드레인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갖도록 하는 동시에 루프드레인의 배출관을 이중으로 절곡하여 일체형의 배출관을 형성함으로 결합공정을 간소화하고, 다양한 규격의 배수관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루프 드레인에 관련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루프드 레인은 지붕 슬래브층 또는 베란다 바닥에 매립되어 상부로 집수된 물을 배수관을 통하여 배수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우수시의 배수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배수관에 침착되는 미세입자를 걸러낼 수 있도록 하고, 제조시 각부품마다 간단용이하게 결합하고 루프드레인 배출관을 용접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이중절곡 성형하여 사용시 용접부가 부식되어 제품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시공시 결합이 용이한 루프 드레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루프드레인 제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재질은 주철제를 주조하여 사용 함이 대부분이었으며, 이에 따라 운반, 보관, 설치 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한 폐단이 따르게 되며, 더불어 주물 제품은 복작한 구조를 한번에 성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주물성형틀을 제작하는데도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텐레스의 재질로 루프 드레인을 성형할 경 우 여려 개의 형상 을 별도로 프레스작업한 후 용접하여 결합함으로서 이 역시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많소요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형상마다 별도 제작하여 용접함으로 사용시 용접 부위가 쉽게 녹이 발생하여 벌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분야의 선행기 술을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제0411287호(이하"선행기술"이라한다) "플랜지형 루프드레인"의 상부면에 2개 또는 그이상의 고정판 체결용 볼트구멍(6)을 갖고 측면 외주면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지지용 볼트구멍(7)을 가지며 밑면에 2개 이상의 관용플랜지(11) 연결용 볼트구멍(8)과 내주면에 배수관 파이프(13) 삽입용 내주면(9)를 가지는 하부(5)위에, 방수층(17) 고정용 고정판(3)을 체결볼트(4)를 이용하여 하부에 고정시키고 몰탈층(18)의 마감높이에 따라 높이조절플랜지(2)를 고정판(3) 위에 설치한 후 높이조절플랜지(2) 위에 배수공(1)을 설치하며, 배수관파이프(13)와 하부(5)를 관용플랜지(11)와 체결용 볼트(12)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루프드레인 장치(도1참조)가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루프 드레인의 구성은 배수공(1)과 높이조절 플랜지(2), 고정 판(3), 하부(5)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 즉, 고정판(3)과 하부(5)의 상부플랜지에 볼트구멍(6)과 저면에 볼트 구멍(8)을 형성하여 결합시 볼트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작업자가 일일이 다수의 볼트로 경합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시공시 루프 드레인을 거푸집에 설치시 루프 드레인의 하부(5)를 거푸집과 결합시 3개의 볼트를 거푸집상면에 밀착 결합하여야 하나 작업자가 실수로 일부의 볼트를 느슨하게 조립하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시 콘크리트의 하중과 압력에 의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루프 드레인 하부(5)와 고정판(3)을 결합시 볼트로 체결해야 함으로 볼트를 조립하는 작업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건물시공시 콘크리트 슬래브층과 슬래브층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하고 몰타르층의 형성은 별도로 시공됨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형성시 콘크리트물이 하부(5) 상면에 다수 형성된 볼트 구멍(6)에 유입되어 경화되는 경우가 종종발생됨으로 차후 몰타르층 형성시 고정판을 결합할 때 체결용 볼트가 삽입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체결용 볼트가 끼워지는 볼트구멍에만 체결용 볼트를 결합하고 나머지 볼트구멍은 체결용 볼트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몰타르 시공을 하는 경우가 발생되나 공사가 끝난 후에는 이를 확인할 수 없어 차후 사용시에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높이조절플랜지(2)와 루프 드레인 하부(5)를 주물로 성형함으로 별도의 주물용 성형틀을 제품별로 제작하여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루프드레인의 걸름망 부재과 높이조절부재의 결합을 걸림편과 걸림돌기의 결합방식에 의해 작업자가 간단한 회전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높이조절플랜지와 고정플랜지의 결합을 볼트관과 너트관을 이용하여 결합하며, 고정플랜지와 하부몸체를 체결편과 체결공의 결합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시공시 간편 용이하게 분해조립을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 작업의 편리성을 추구하는 목적과, 또한 하부몸체에 연결되는 배수 연결관을 다수의 끼움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함으로서 설치되는 배수관의 직경 크기에 반드시 한정하지 않고 배수관 직경의 선택폭을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또한 하부몸체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배수연결관과의 연결부 한곳만 용착함으로서 하부몸체를 성형시 용접부위를 최소화하여 용접부위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길게 하는 목적을 갖는 루프 드레인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붕 옥상, 베란다, 물이 유입되는 슬라브 배수로 등에 설치되어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루프 드레인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갖도록 하는 동시에 루프드레인의 배출관을 이중으로 절곡하여 일체형의 배출관을 형성함으로 결합공정을 간소화하고, 다양한 규격의 배수관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면과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걸름망 부재 하단 테두리 양측에 하향으로 돌출된 탄성부재의 걸림편을 구성하고,
상단은 중앙부에 배수공이 형성된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패널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부재 중앙의 배수공 내주면은 절곡되어 단턱과 내벽을 형성하되 내벽에는 다수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망부재의 걸림편이 체결되도록 하고, 패널부재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 저면에는 중공된 볼트관이 용착되어 연결된 높이조절 플랜지를 구성하며,
중앙부에 배수공을 갖는 너트관이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 플랜지의 볼트관이 결합되며, 상기 너트관 외주변에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 플랜지를 구성하고,
깔대기 형태의 상과 하협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직경이 작은 제1단턱과 제2 단턱이 형성되며, 제1단턱 상면에는 다수의 체결편을 형성하고, 제1 단턱 외주면은 상부에서 하부 내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플랜지로 이루어진 하부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하부몸체의 제2 단턱 저면에는 배수관 끼움부가 다수 형성된 배수 연결관이 용착되어 루프 드레인을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은 설치작업의 용이성과 취급의 간편성, 설치시 수명의 연장성 등의 효과를 갖는 루프 드레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루프 드레인을, 걸름망부재과 높이조절부재의 결합을 걸림편과 걸림돌기의 결합방식에 의하고, 높이조절플랜지와 고정플랜지의 결합을 볼트관과 너 트관을 이용하여 결합하며, 고절플랜지와 하부몸체를 체결편과 체결공의 결합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시공시 간편 용이하게 분해조립을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하부몸체에 연결되는 배수연결관을 다수의 끼움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함으로서 설치되는 배수관의 직경 크기에 반드시 한정하지 않고 선택폭을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하부몸체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배수연결관과의 연결부 한곳만 용착함으로서 하부몸체를 성형시 용접부위를 최소화하여 용접부위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길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스틸제로 제조함으로써 경량화와 더불어 고유의 금속광택과 내부식성으로 인한 상품성 증대, 그리고 내구성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걸름망부재(10)와 높이조절플랜지(20), 고정플랜지(30), 하부몸체(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루프 드레인에 있어서,
상면과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공(11)이 형성된 걸름망부재(10) 하단 테두리 양측에 하향으로 돌출된 탄성부재의 걸림편(12)과;
상단은 중앙부에 배수공(70)이 형성된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패널부재(21)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부재(21) 중앙의 배수공(70) 내주면은 절곡되어 단턱(22)과 내벽(23)을 형성하되 내벽(23)에는 다수의 걸림돌기(24)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망부재(10)의 걸림편(12)이 체결되도록 하고, 패널부재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22) 저면에는 중공된 볼트관(25)이 용착되어 연결된 높이조절 플랜지(20)와;
중앙부에 배수공(70)을 갖는 너트관(32)이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 플랜지(20)의 볼트관(25)이 결합되며, 상기 너트관(32) 외주변에 다수의 체결공(31)이 형성된 고정 플랜지(30)와;
깔대기 형태의 상과 하협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직경이 작은 제1단턱(41)과 제2 단턱(42)이 형성되며, 제1단턱(41) 상면에는 다수의 체결편(43)을 형성하고, 제1 단턱(41) 외주면은 상부에서 하부 내측으로 경사면(44)이 형성된 플랜지로 이루어진 하부몸체(40)와;
상기 하부몸체(40)의 제2 단턱(42) 저면에는 배수관(60) 끼움부(51)가 다수 형성된 배수 연결관(50)이 용착되어 루프 드레인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 연결관(50)은 일체형으로 절곡되어 끼움부(51)가 제1 끼움부(51a), 제2 끼움부(51b), 제3 끼움부(51c)로 일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루프 드레인의 하부몸체(40)의 크기에 대응되는 스텐레스 플레이트를 절단한 후 하부 몸체(40)를 정해진 형틀에 의해 하부몸체(40)를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
상기 프레스 성형된 하부몸체(40)의 제1 단턱(41) 상면에 머리부를 갖는 체결편(43)이 세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프레스 금형으로 가압하여 일면이 절결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원통형의 관으로 된 배수연결관(50)을 형성할 수 있도록 스텐레스 플레이트 부재를 재단한 후 프레스로 "U"자 형의 홈이 형성되도록 1차 성형하는 단계;
상기 1차 성형된 "U"자 형의 홈을 2차 절곡하여 일측 단면이 "
Figure 112008084604015-pat00001
"(원통형의 배수연결관(50) 우측단면으로써 좌측단면은 대칭임)형으로 성형되도록 절곡하여 다수의 끼움부(51)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차 절곡 형성되어 다수의 끼움부(51)를 갖는 배수연결관(50) 상단부를 루프 드레인 하부몸체(40)의 제2 단턱(42) 저면에 용착하는 단계;
상기 배수연결관(50)을 갖는 루프 드레인 하부몸체(40) 제1 단턱(41) 면에 입설된 체결편(43)이 고정플랜지(30)의 체결공(31)에 끼워지도록 한 후 고정플랜지 체결공(31)과 교차방향으로 체결편(43) 머리부를 비틀어 고정 플랜지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고정플랜지(30)의 중앙 너트관(32)에 높이조절플랜지(20)의 볼트관(25)이 나사 결합되도록 결합하는 단계;
상기 높이조절플랜지(20)의 중앙 배수공(70) 단턱(22) 내벽(23)에 형성된 걸림돌기(24)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망부재(10) 하단 걸림편(12)을 체결하는 단계로 루프 드레인을 제조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루프드레인의 제조 방법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루프 드레인 하부몸체 성형
본 발명에서 루프 드레인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스텐레스 플레이트를 준비하여 각 구성품별로 재단을 한다.
본 발명에서 재질을 스텐레스 스틸로 하는 것은 사용시 물과 공기의 접촉에 의해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오래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루프 드레인의 재질은 반드시 스텐레스 스틸가 아닌 녹을 방지하고 중량이 가벼운 재질이면 어느 것이나 족하다.
상기와 같이 루프 드레인의 각 구성품을 성형할 스텐레스 플레이트가 준비되면 각 구성품 별로 재단하여 프레스 또는 이에 준하는 성형틀을 이용하여 걸림방지부재(10), 높이조절 플랜지(20), 고정플랜지(30), 깔대기 형상의 상광하협의 하부몸체(40)를 성형한다.
본 발명에서 성형되는 걸림방지부재(10), 높이조절플랜지(20), 고정플랜지(30)는 성형 방법이 기존의 성형방법과 유사하게 제작될 수 있으나, 루프 드레인의 하부몸체(40)와 배수연결관(50)의 성형방법은 기존에 실시되지 않은 새로운 방법에 의해 실시되며, 이렇게 성형된 하부 몸체(40)에 결합되는 고정플랜지(30)와 높이조절 플랜지(20), 걸림망 부재(10)의 결합 역시 기존의 결합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결합방법으로 실시된다.
따라서, 루프드레인의 하부몸체(40)를 성형하기 위한 제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한다. 먼저, 제작하고자 하는 하부몸체(40)의 크기에 대응되는 스텐레스 스틸 플레이트를 절단한 후 하부 몸체(40)를 정해진 형틀에 의해 프레스 성형한다.
이때, 성형된 하부몸체(40)는 깔대기 형상의 상광하협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1 단턱(41)과 제2단턱(42)이 형성되도록하고, 상기 제1 단턱(41)은 상부에 위치하며, 제2 단턱(42)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되 제1 단턱(41)은 하부의 제2 단턱(42)보다 직경이 더 크게 성형한다.
또한 제1 단턱(41)의 상부 테두리면을 이루는 플랜지는 상부에서 하부 내측으로 경사면(44)이 이루어져 하부몸체(40)의 전체적인 형상 모양이 깔대기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어 흘러들어오는 빗 물 또는 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하부몸체(40)의 크기는 제작시 여러 규격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장소의 빗물 배수량 또는 흘러들어오는 물의 배수량과 면적을 계산하여 적합한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단계: 하부몸체에 체결편 형성
상기 프레스 성형된 하부몸체(40)의 제1 단턱(41) 상면에 머리부를 갖는 체결편(43)이 세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프레스 금형으로 가압하여 3면은 절결선이 형성되고 입설되는 일면은 절결되지 않도록 가압 성형한다.
즉, 하부몸체(40)의 제1 단턱(41) 면에 체결편(43)을 형성하여 차후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플랜지(30)를 간편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체결편(43)은 제1 단턱(41)면에 2개 이상으로 형성하되 길쭉한 직사각형 형상에 상부에 체결편(43)의 폭보다 더 큰 머리부를 형성하여 고정플랜지(30의 체결공(31)에 끼워진 후 상부에서 체결편(43)의 머리부를 교차방향으로 비틀어 하부몸체(40)에 고정 플랜지(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편의 머리부는 체결공에 끼워지는 범위의 크기로 형성된다.
제3 단계: 배수연결관 1차 성형
상기 하부몸체(40)의 제2 단턱(42) 저면부에 배수연결관(50) 상단부를 용착하여 배수관(6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연결관(50)은 스텐레스 스틸의 플레이트는 배수 연결관(50)을 성형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한다. 이때 중앙부에 배수공(70)이 형성되도록 재단한다.
상기 배수 연결관(50)을 성형하기 위한 스텐레스 스틸의 플레이트가 준비되면, 원통형의 관으로된 배수연결관(50)을 측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도록 프레스로 가압하여 성형한다.
제4단계: 배수연결관의 2차 성형
상기 1차 성형된 "U"자 형의 홈을 프레스를 이용 하여 2차 절곡하여 일측 단면이 "
Figure 112008084604015-pat00002
"(원통형의 배수연결관 우측단면으로써 좌측단면은 대칭임)형으로 성형되도록 절곡하여 다수의 끼움부(51)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배수 연결관을 2차 절곡 형성하여 제1 끼움부(51a)와 제2 끼움부(51b), 제3 끼움부(51c)로 구성된 끼움부(51)를 갖는 배수연결관(50) 상단부를 루프 드레인 하부몸체(40)의 제2 단턱(42) 저면에 용착시켜 중앙부에 배수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5단계: 루프드레인 하부몸체에 고정 플랜지 결합
상기 배수연결관(50)과 루프 드레인 하부몸체(40)를 용착 연결한 후에는 하 부몸체(40)의 상부 제1 단턱(41) 면에 입설된 다수의 체결편(43)이 고정플랜지(30)의 체결공(31)에 끼워지도록 한 후 고정플랜지(30) 체결공(31)과 교차방향으로 체결편(43) 머리부를 비틀어 고정 플랜지(30)를 결합한다.
제6단계: 고정 플랜지에 높이조절 플랜지 결합
상기 루프 드레인의 하부몸체(40)에 고정플랜지(30)를 결합한 후에는 고정플랜지(30)의 중앙 너트관(32)에 높이조절플랜지(20)의 볼트관(25)이 나사 결합되도록 결합한다. 상기 높이조절플랜지(20)의 볼트관(25)은 차후 루프드레인을 설치시 콘크리트 슬래브층(S)와 몰타르층(M)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다.
제7단계: 걸림망부재 설치
상기 높이조절 플랜지를 고정 플랜지에 결합한 후에는 높이 조절플랜지의 패널부재(21) 내벽(23)에 형성된 걸림돌기(24)에 걸름망부재(10)의 하단 걸림편(12) 걸려 고정되도록 체결한다. 상기 걸름망부재(10) 하단 걸림편(12)은 탄발력을 갖도록 하여 체결시 걸림편(12)이 걸림돌기(24)에 걸려 고정될 때, 걸림돌기의 돌출 크기만큼 내측으로 수축된 상태이므로 걸림편은 외향으로 벌어지려는 탄발력에 의해 걸림돌기와 걸림편은 체결되어 걸름망부재(10)를 높이 조절플랜지(20)의 배수공(70) 상부에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빗물 또는 물만 유입공(11)을 통하여 배수공(7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걸름망부재(10)를 높이조절 플랜지(20)에 결합시, 걸름망부재(10)의 저면 걸림편(12)이 걸림돌기(24) 일측에 위치하도록 한 후 일측으로 돌리면 걸림 편(12)이 걸림돌기(24)의 볼록한 부분 정점에 위치하면 걸림편(12)이 걸림돌기(24)에 의해 수축된 상태이므로 걸름망부재(10)는 높이조절플랜지(2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조 및 결합된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루프드레인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 하부 몸체 제조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드레인은 건축물의 슬래브층(S) 또는 베란다 바닥에 걸름망부재(10)만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은 건축물을 신축 또는 보수 공사시 배수관 상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설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의 실시 예가 있을 수 있으나, 루프드레인의 기본 설치구조는 동일하다.
따라서, 신축 건물 공사의 실시 예를 들면 건축물의 골조와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먼저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골조와 전기배관, 수도배관 배수배관을 설치한다.
상기 배수관이 설치되는 건물지붕의 배수관 또는 슬래브의 배수관, 베란다의 배수관(60) 상단부에 루프 드레인 하부몸체(40)의 배수연결관(50)을 끼운다.
이때, 설치되는 배수관(60)의 직경에 따라서 배수연결관(50)의 끼움부(51)을 구성하는 제1 끼움부(51a), 제2 끼움부(51b), 제3 끼움부(51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끼운다.
건축공사시 설치되는 배수관(60)의 직경은 이미 설계도에 표기되므로 루프 드레인은 이에 적합한 것을 준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배수연결관(50)을 제작시 절곡 성형하여 다수의 끼움부(51)를 형성함으로서 배수관 시공자가 설치된 배수관(60)의 직경과 대응되는 제1 끼움부(51a), 제2 끼움부(51b), 제3 끼움부(51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하부몸체(40)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루프 드레인은 건축시공시 1차 콘크리트 슬래브층(S)를 타설할때 배수연결관(50)을 갖는 하부몸체(40)만 설치하고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플랜지(30)와 높이조절플랜지(20), 걸름망 부재(10)는 차후 몰타르층(M)을 타설시 결합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슬래부층(S)를 타설시 설치되는 하부몸체(40) 상부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부를 막는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층(S)이 완성되면 그 상면에 방수액 또는 방수 시트를 설치한 후 상부에 몰타르층(M)를 소정의 두께로 타설한다. 이때 루프 드레인의 하부 몸체(40)의 제1 단턱(41)에 입설된 다수의 체결편(43)이 고정 플랜지(30)의 체결공(31)에 끼워지도록 한 후 고정 플랜지(30) 상부로 돌출된 체결편(43) 머리부를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공(31)의 교차방향으로 비틀면 하부 몸체의 제1 단턱(41)상에 고정플랜지(30)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하 부몸체의 제1 단턱(41) 상에 다수의 체결편(43)이 입설 되도록 한 후 이의 체결편을 이용하여 고정 플랜지를 간단 용이하게 고정 함으로 기존과 같이 볼트를 일일이 체결하지 않고 체결편 머리부를 비틀어 체결함으로 시공자가 간단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 플랜지(30)를 체결한 후에는 고정 플랜지(30)의 중앙부에 배수공(70)을 갖는 너트관(32)에 높이조절플랜지(20)의 배수될 수 있도록 중공된 볼트관(25)을 결합한다.
이때, 높이조절 플랜지(20)는 건물의 콘크리트 슬래브층(S) 상부에 타설되는 몰타르층(M)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조절하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 플랜지(20)를 고정 플랜지(30)에 결합한 후에는 높이조절플랜지(20)의 배수공(70)의 상부가 씌워지도록 걸름망 부재(10)를 결합한다.
상기 걸름망부재(10)는 저면 테두리에 하향으로 형성된 걸림편(12)이 높이조 절플랜지의 내벽(23)에 돌출된 걸림돌기(24)와 체결되도록 결합하여 루프 드레인을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걸름망부재(10)는 상부면과 외주면에 다수의 빗물 또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유입공(11)이 형성되어 이물질은 걸러내고 빗물을 유입시켜 높이조절플랜지(20), 고정플랜지(30)를 연결한 배수공(70)을 통하여 하부몸체(40)와 배수 연결관(50)을 거쳐 배수관(60)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하부몸체(40)의 상부 플랜지의 경사면(44)은 상부에서 하부 내측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6은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 하부 몸체 제조 공정도로서, 먼저 스텐레스 스틸을 하부몸체 제2 단턱 저면에 용착되는 배수연결관(50) 크기로 재단한다. 상기 재단된 스텐레스 스틸의 플레이트를 "U"자 형상으로 1차 절곡 성형한다. 상기 1차 성형된 스텐레스 스틸 플레이트의 "U"자 절곡부를 다시 성형틀을 이용하여 상하에서 서로 어긋나게 가압 성형하여 일측 단면이 "
Figure 112008084604015-pat00003
"형으로 절곡된 원통형의 배수 연결관을 성형한다. 상기 성형된 배수연결관(50)은 하부몸체(40)의 제2 단턱(42) 저면에 용접 고정한다.
상기 하부몸체(40)와 배수연결관(50)의 용접부는 제2 단턱(42)저면과 배수연결관(50) 상단 플랜지가 포개진 상태에서 용접되므로 용접부위가 상부 제2 단턱(42)부에서는 노출되지 않으므로 배수시 물이 접촉되지 않으므로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용접부는 제2단턱(42) 저면에 해당되므로 용접부는 슬래브층 형성시 콘크리트에 밀착 매립되므로 녹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의 하부몸체는 배수연결관이 연결되는 부위의 한곳을 제외하고는 용착부분이 없어 용착으로 인한 녹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성형한 것이다.
또한, 하부몸체(40)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플랜지(30)와 높이조절플랜지(20)는 체결편(43)의 비틀림 결합방식으로 고정하고, 높이 조절부재(20)와 걸름망부재(10)의 결합은 걸림편(12)과 걸림돌기(24)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서, 별도의 볼 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의 하부몸체(40)는 조립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루프드레인은 베란다에 설치시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루프드레인의 상부에 결합되는 걸름망부재(10)는 도면에 컵을 거꾸로 세운 형태의 형상으로 표기하였으나, 이는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걸름망 부재는 컵 형상, 판판한 플레이트 형상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걸림편(12)이 하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높이 조절 플랜지(20)의 패널부재(21) 내벽(23)에 형성된 걸림 돌기(24)와 체결되는 구성이면 족하다.
상기 본 발명을 구성하는 루프 드레인의 재질은 녹이 발생하지 않고 중량이 가벼운 금속재로 제조될 수 있으나, 스테인레스 스틸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텐레스 스틸재는, 종래 주철재로 형성된 루프 드레인에 비하여 중량이 매우 가볍고 광택이 뛰어나며, 운반 및 시공을 비롯한 취급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부식에 강한 재질이므로 부식 진행에 따른 마모 등으로 인한 부품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루프 드레인의 설치작업의 용이성과 취급의 간편성, 설치시 수명의 연장성 등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루프드레인 결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루프드레인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 결합상태 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루프 드레인 하부 몸체 제조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걸름망 부재 11:유입공
12:걸림편 20:높이조절플랜지
21:패널부재 22:단턱
23:내벽 24:걸림돌기
25:볼트관 30:고정플랜지
31:체결공 32:너트관
40:하부몸체 41:제1 단턱
42:제2 단턱 43:체결편
50:배수연결관 51:끼움부
51a:제1 끼움부 51b:제2 끼움부
51c:제3 끼움부 60:배수관
70:배수공 M:몰타르층 S:슬래브층

Claims (3)

  1. 걸름망부재(10)와 높이조절플랜지(20), 고정플랜지(30), 하부몸체(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루프 드레인에 있어서,
    상면과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공(11)이 형성된 걸름망부재(10) 하단 테두리 양측에 하향으로 돌출된 탄성부재의 걸림편(12)과;
    상단은 중앙부에 배수공(70)이 형성된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패널부재(21)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부재(21) 중앙의 배수공(70) 내주면은 절곡되어 단턱(22)과 내벽(23)을 형성하되 내벽(23)에는 다수의 걸림돌기(24)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망부재(10)의 걸림편(12)이 체결되도록 하고, 패널부재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22) 저면에는 중공된 볼트관(25)이 용착되어 연결된 높이조절 플랜지(20)와;
    중앙부에 배수공(70)을 갖는 너트관(32)이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 플랜지(20)의 볼트관(25)이 결합되며, 상기 너트관(32) 외주변에 다수의 체결공(31)이 형성된 고정 플랜지(30)와;
    깔대기 형태의 상과 하협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직경이 작은 제1단턱(41)과 제2 단턱(42)이 형성되며, 제1단턱(41) 상면에는 다수의 체결편(43)을 형성하고, 제1 단턱(41) 외주면은 상부에서 하부 내측으로 경사면(44)이 형성된 플랜지로 이루어진 하부몸체(40)와;
    상기 하부몸체(40)의 제2 단턱(42) 저면에는 배수관(60) 끼움부(51)가 다수 형성된 배수 연결관(50)이 용착되어 루프 드레인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 프 드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배수 연결관(50)은 일체형으로 절곡되어 끼움부(51)가 제1 끼움부(51a), 제2 끼움부(51b), 제3 끼움부(51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드레인.
  3. 루프 드레인의 하부몸체(40)의 크기에 대응되는 스텐레스 플레이트를 절단한 후 하부 몸체(40)를 정해진 형틀에 의해 하부몸체(40)를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
    상기 프레스 성형된 하부몸체(40)의 제1 단턱(41) 상면에 머리부를 갖는 체결편(43)이 세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프레스 금형으로 가압하여 일면이 절결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원통형의 관으로 된 배수연결관(50)을 형성할 수 있도록 스텐레스 플레이트 부재를 재단한 후 프레스로 "U"자 형의 홈이 형성되도록 1차 성형하는 단계;
    상기 1차 성형된 "U"자 형의 홈을 2차 절곡하여 일측 단면이 "
    Figure 112008084604015-pat00004
    "(원통형의 배수연결관(50) 우측단면으로써 좌측단면은 대칭임)형으로 성형되도록 절곡하여 다수의 끼움부(51)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차 절곡 형성되어 다수의 끼움부(51)를 갖는 배수연결관(50) 상단부를 루프 드레인 하부몸체(40)의 제2 단턱(42) 저면에 용착하는 단계;
    상기 배수연결관(50)을 갖는 루프 드레인 하부몸체(40) 제1 단턱(41) 면에 입설된 체결편(43)이 고정플랜지(30)의 체결공(31)에 끼워지도록 한 후 고정플랜지 체결공(31)과 교차방향으로 체결편(43) 머리부를 비틀어 고정 플랜지(30)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고정플랜지(30)의 중앙 너트관(32)에 높이조절플랜지(20)의 볼트관(25)이 나사 결합되도록 결합하는 단계;
    상기 높이조절플랜지(20)의 중앙 배수공(70) 단턱(22) 내벽(23)에 형성된 걸림돌기(24)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망부재(10) 하단 걸림편(12)을 체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드레인 제조방법.
KR1020080124452A 2008-12-09 2008-12-09 루프 드레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899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452A KR100899085B1 (ko) 2008-12-09 2008-12-09 루프 드레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452A KR100899085B1 (ko) 2008-12-09 2008-12-09 루프 드레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085B1 true KR100899085B1 (ko) 2009-05-25

Family

ID=4086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452A KR100899085B1 (ko) 2008-12-09 2008-12-09 루프 드레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0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532B1 (ko) * 2009-06-08 2010-01-06 이승준 스테인레스 루프 드레인 및 그 상부몸체를 제작하는 방법
JP2012132192A (ja) * 2010-12-21 2012-07-12 Panasonic Corp 雨樋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027A (ja) 1999-06-30 2001-01-16 Picoi:Kk ドレ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027A (ja) 1999-06-30 2001-01-16 Picoi:Kk ドレ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532B1 (ko) * 2009-06-08 2010-01-06 이승준 스테인레스 루프 드레인 및 그 상부몸체를 제작하는 방법
JP2012132192A (ja) * 2010-12-21 2012-07-12 Panasonic Corp 雨樋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085B1 (ko) 루프 드레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1987938B2 (en) Drainage device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use
KR101776805B1 (ko)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KR100843175B1 (ko) 집수구
KR20180036815A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누수방지겸용 교량신축 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0461914B1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102040488B1 (ko)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CN207065744U (zh) 一种组合式l型装配空调安装固定架
KR100865293B1 (ko) 코너용 루프드레인
CN208329407U (zh) 一种装配式钢结构屋面天沟落水结构
KR200456961Y1 (ko) 수로관 덮개
JP3325484B2 (ja) スラブ排水口用仮設排水装置
KR101742559B1 (ko) 빗물받이 지지대
KR100556297B1 (ko) 조립형 프레임을 이용한 맨홀 장치
JP2791756B2 (ja) ルーフドレイン
KR10257139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JP3230958U (ja) 中継用ドレンの交換装置
KR200224305Y1 (ko) 물홈통 구조
JPS6318663Y2 (ko)
KR200235659Y1 (ko) 배수전커버
CN215167016U (zh) 一种连接扣件及可拆卸式钢筋桁架楼承板
KR200279364Y1 (ko) 하수관 소음방지기
CN214884750U (zh) 一种包底式的连接组件及钢筋桁架楼承板
JP2018025014A (ja) 排水ホッパー
CN217054537U (zh) 一种泳池用排水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