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804B1 -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시스템, 및 정착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시스템, 및 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804B1
KR102023804B1 KR1020160081913A KR20160081913A KR102023804B1 KR 102023804 B1 KR102023804 B1 KR 102023804B1 KR 1020160081913 A KR1020160081913 A KR 1020160081913A KR 20160081913 A KR20160081913 A KR 20160081913A KR 102023804 B1 KR102023804 B1 KR 102023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unit
unit
image forming
cpu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461A (ko
Inventor
가츠야 나카마
사토루 야마모토
마사히로 츠지바야시
야스하루 치요다
노부히로 기쿠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32171A external-priority patent/JP61926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32173A external-priority patent/JP61132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32170A external-priority patent/JP6192684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5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special means for lubricating and/or cleaning the fixing unit, e.g. applying offset preventing flui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03G15/2035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for maintenance purposes, e.g. for removing a jammed shee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03G15/2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specially for the mode of operation, e.g. standby, warming-up, e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03G15/502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relat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menu, e.g. pop-up menus, help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시트에 미정착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시트의 화상 담지면에 접촉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정착부; 상기 정착부에서의 잼을 검지하는 잼 검지부; 상기 잼의 해소 후에 상기 회전체에 대한 클리닝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정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 및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행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기 정착부의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표시부가 그 상태를 표시하기 전에 상기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시스템, 및 정착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시스템, 및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상을 기록재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정착부)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고품질의 성과물을 얻기 위해서, 기록재의 사이즈 및/또는 종류에 따라 정착기를 바꿔 넣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1-56945호 공보에서는, 정착기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고, 당해 정착기가 수행하려는 인쇄 작업의 사양에 대해서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유저에게 알리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정착기에 대해 잼이 발생했을 경우, 정착기의 정착 부재(회전체)에 미정착 토너가 부착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유저에 의해 정착기에 체류한 기록재를 제거하는 잼 처리를 한 후, 정착 부재의 클리닝을 한다.
그렇지만, 복수의 정착기를 바꿔 넣어 사용하는 시스템을 채용했을 경우, 정착기에 대해 잼 처리 후의 클리닝이 실행되기 전에, 다른 정착기와 교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클리닝이 실행되지 않고 떼어내진 정착기가 재차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었을 경우, 클리닝이 실행되지 않은 채 인쇄가 개시되어 버린다. 그 결과, 정착 부재에 부착한 미정착 토너에 의해 출력물인 기록재가 오염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착기를 교환가능한 경우에도 화질이 유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시스템, 및 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로서, 본체; 기록재에 미정착 토너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정착부로서,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미정착 토너상을 상기 기록재에 정착 처리할 때 상기 기록재의 미정착 토너상이 형성된 표면에 접촉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정착부; 상기 정착부에서의 잼(jam)을 검지하도록 구성된 잼 검지부; 상기 잼 검지부가 검지한 잼의 해소 후에 상기 회전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된 실행부; 상기 정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행부에 의해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부;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기록재에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임을 조작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기 정착부의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통지부가 통지를 행하기 전에 상기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시스템으로서, 본체; 기록재에 미정착 토너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부; 다른 정착부와 교환가능한 정착부로서, 미정착 토너상이 형성된 기록재의 표면에 접촉가능한 회전체와, 상기 다른 정착부와의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식별부를 포함하는 정착부; 상기 정착부에서의 잼을 검지하도록 구성된 잼 검지부; 상기 잼 검지부가 검지한 잼의 해소 후에 상기 회전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된 실행부;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기록재에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임을 조작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기억 장치로서, 상기 실행부에 의해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클리닝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정착부의 상기 식별 정보와 대응지어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기 정착부의 상기 식별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식별 정보와 대응지어져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클리닝 정보가,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통지부가 통지를 행하기 전에 상기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화상 형성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정착 장치로서, 화상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미정착 토너상을 기록재에 정착 처리할 때 상기 기록재의 미정착 토너상이 형성된 표면에 접촉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클리닝하도록 구성된 클리닝부; 상기 정착 장치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상기 클리닝부의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부를 포함하는 하는, 정착 장치가 제공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명확하게 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어계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정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flow chart)이다.
도 5는 프론트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정착기에서의 시트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의 (a)는 클리닝 처리의 실행 전에 정착기의 메모리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클리닝 처리의 실행 후에 정착기의 메모리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 2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정착기에서의 시트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프론트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은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어계의 블럭도이다.
도 15는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은 프론트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은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 3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은 정착기에서의 시트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9는 메모리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 4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은 정착기에서의 시트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2는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3은 프론트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4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제어계의 블럭도이다.
도 26은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7은 프론트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8은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 5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9는 정착기에서의 시트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0의 (a)는 본체 메모리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정착기의 메모리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정착기의 메모리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의 (a)는 본체 메모리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정착기의 메모리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 6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33은 정착기의 메모리에 보관된 정보에 근거하는 시퀀스 동작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34는 본체 메모리에 보관된 정보에 근거하는 시퀀스 동작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35는 정착부에서의 시트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6은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7은 프론트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8은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9는 프론트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0은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 7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41은 정착부에서의 시트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2는 정착부에서의 시트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다만,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조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재된 것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기록재 수납부(103)로부터 기록재(102)를 화상 형성부(309)(도 2)로 반송하고, 기록재(102) 상에 토너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부(309)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그 후, 화상 형성 장치(100)는 형성된 토너상을 담지하고 있는 기록재(102)를 정착부(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로 반송하고, 정착부에서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상이 기록재(102) 상에 정착된다. 정착부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편면 인쇄 처리의 경우, 정착된 화상을 갖는 기록재(102)가 플래퍼(flapper)(132)에 의해서 배출 경로(139)로 안내되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양면 인쇄 처리의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편면에 화상을 갖는 기록재(102)를 반전시키고 재차 화상 형성부(309)로 반송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착기를 떠난 기록재(102)를 플래퍼(132)가 반송 경로(134)로 안내하고 나서, 반전부(136)로 안내한다. 반전 센서(135)가 기록재(102)의 후단을 검출하면, 플래퍼(133)가 기록재 반송 방향을 반송 경로(137)로 전환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반전시킨 기록재(102)를 반송 경로(137)를 거쳐 다시 화상 형성부(309)와 정착부로 반송한다.
양면에 화상 형성 처리를 거친 기록재(102)는, 플래퍼(132)에 의해 배출 경로(139)로 안내되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플래퍼(132)는, 화상 형성부(309)와 정착부를 통과한 기록재(102)의 반송을, 반송 경로(134)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측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부재이다.
기록재(102)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종이나 OHP용 시트 등일 수 있다.
통지부 및/또는 선택부로서 기능하는 조작부(180)는, 표시 화면과 선택 키를 구비한다. 조작부(180)는, 표시 화면 상에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고, 선택 키에 의해 조작자로부터의 지시를 받아들인다.
메인 스위치(101)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기동하는 기동 스위치이다.
개폐부로서의 프론트 도어(140)가, 정착기(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를 장착부(제1 장착부(141), 제2 장착부(142))에 장착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상태인 것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개폐 센서(광학 센서)(305)(도 2)를 구비한다. 개폐 센서(305)와 CPU(301)(도 2)는 개폐 검지부로서 기능한다. 프론트 도어(140)에는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고, 이 돌기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짐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의 수용부(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된다. CPU(301)는, 돌기가 수용부에 삽입됨에 따라 개폐 센서(305)가 발생하는 신호를 바탕으로,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한다. 한편,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가 발생되고 있지 않을 때는,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가 열려 있는 것을 검지한다. 대안의 구성에 있어서,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가 열린 것에 따라 개폐 센서(305)가 발생하는 신호를 바탕으로 프론트 도어(140)가 열린 것을 검지하는 한편,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가 검지되고 있지 않을 때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 있는 것을 검지한다.
(제어계의 구성)
도 2는 제어계의 블럭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도 1)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CPU(301), RAM(302), ROM(30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CPU(301)는, ROM(3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의 기본 제어를 실시한다. 후술하는 플로우 차트의 동작은, ROM(3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PU(301)에 의해 실행된다. CPU(301)는,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워크 에리어로서 RAM(302)을 사용한다.
CPU(301)는 RAM(302), ROM(303), 그리고 제어 대상이 되는 여러 기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I/F부(304)는 네트워크(LAN 및/또는 WAN)를 거쳐 접속되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이다. 외부 장치는, PC 또는 다른 화상 형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PU(301)는, 개폐 센서(305)에 접속되어 있어서,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상태인지 아닌지를 검지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센서(153, 155, 173, 175)를 포함하는 센서군(306)은 반송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 이 센서군에 의해 CPU(301)가 기록재의 유무나 통과를 검지한다.
또한, CPU(301)는 조작부(180)에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조작부(180)의 선택 키를 통해 조작자에 의해 주어지는, 표시 화면 상의 표시 내용의 전환 및 다른 동작의 지시를 수신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 상태, 선택 키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 등을, 조작부(180)의 표시 화면 상에 표시시킨다.
CPU(301)는 타이머(307)에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307)는 시간을 측정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것은 잼의 검지나 클리닝 시간의 계측에 이용된다.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 접속되어 있다. 본체 메모리(312)는 재기입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RAM(302)과 일체이어도 좋다.
CPU(301)는, 반송부(308)에 접속되어 있어서, 기록재(102)의 반송을 제어한다. 반송부(308)는, 기록재 수납부(103)로부터 반송 경로로 기록재(102)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반송 경로에 대한 플래퍼(도 1에 나타내는 플래퍼(131, 132, 133))를 포함한다.
CPU(301)는 후술하는 화상 형성부(309)에 접속되어 있어서, 화상 형성부 (309)의 제어를 실시한다.
정착기 메모리(31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에 제공된 메모리(154)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정착기(170)에 제공된 메모리(174)를 포함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의 메모리(154, 174)에 접속되어 있어서, 메모리(154, 174)에의 기입이나 판독을 실시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의 기구군 X에 접속되어 있어서, 제1 정착기(150)에 대한 온도 조정 제어 및 클리닝 제어를 실시한다. 기구군 X는 온도 센서(320), 히터(321), 이동 기구(322), 모터(323), 솔레노이드(324) 및 웹(web) 착탈 기구(325)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320)는, 제1 정착기(150)에 제공되는 복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서미스터(162)(도 3)와 가압 벨트(152)의 서미스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히터(321)는, 제1 정착기(150)에 제공되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며, 할로겐 히터(161)(도 3)와 가열 롤러(163)에 제공되는 할로겐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정착기(170)의 기구군 X에 접속되어 있어서, 제2 정착기(170)에 대한 온도 조정 제어 및 클리닝 제어를 실시한다. 제2 정착기(170)의 기구군 X에 대해서는, 제1 정착기(150)의 기구군 X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응하는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정착기(150)에 있어서의 기구군 X에 관한 설명에서, 제1 정착기(150), 가압 벨트(152), 가열 롤러(163)는, 각각, 제2 정착기(170), 가압 롤러(172), 가압 롤러(172)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기구를 CPU(301)가 제어한다. 그렇지만, 대안으로서, 각각의 기구를 제어하는 복수의 CPU 회로부와 복수의 CPU 회로부 각각에 접속되어 전체를 제어하는 메인 CPU 회로부로 구성해도 된다.
(화상 형성부)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부(309)(도 2)로서의 스테이션(120, 121, 122, 123)과,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115)와, 전사부로서의 전사 롤러(116)를 포함한다.
스테이션(120, 121, 122, 123)은,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토너상을 형성하고,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115)로 전사한다.
스테이션(1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110)은, 도 1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대전부로서의 1차 대전기(111)는 감광 드럼(110)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노광부로서의 레이저 유닛(112)은,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광원(113)을 포함하여 감광 드럼(110) 상에 원고 화상에 따른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부로서의 현상기(114)는, 토너를 이용하여 감광 드럼(110)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상을 형성한다. 스테이션(121, 122, 123)의 구성은 스테이션(120)의 구성과 같으므로, 간단함을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테이션(120, 121, 122, 123)이 형성한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115) 상에 전사된다. 전사 롤러(116)는, 중간 전사 벨트(115) 상에 겹쳐진 토너상을 기록재 수납부(103)로부터 반송되는 기록재(102) 상에 전사한다.
(정착부)
(탠덤 정착)
정착부로서의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는, 기록재(102)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기록재(102) 상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킨다.
제2 정착기(170)는, 제1 정착기(150)보다 기록재(102)의 반송 방향에 대해서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정착기(170)는, 제1 정착기(150)가 정착시킨 기록재(102) 상의 토너상에 광택의 부여 및/또는 정착 처리에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는 평량이 큰 기록재(예를 들어 두꺼운 시트 등)에 대한 열량의 보충을 행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제1 정착기(150)에 의한 열이 상을 정착시키기에 충분한 경우에는 제2 정착기(170)를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에너지 소비량 저감의 목적으로, 기록재(102)는 제2 정착기(170)를 경유하지 않고 반송 경로(130)로 반송된다. 예를 들면, 기록재(102)가 보통지 또는 얇은 시트인 경우이며, 높은 광택도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이다. 제2 정착기(170)에 기록재(102)를 반송하는가, 제2 정착기(170)를 우회하여 기록재(102)를 반송하는(바이패스 루트)가는, CPU(301)가 플래퍼(131)를 전환함으로써 제어한다.
(정착기의 구성)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는, 각각,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1 장착부(141) 및 제2 장착부(142)(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는, 각각, 이하의 구성을 갖는 정착기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정착기(150)에는, 기억부로서의 메모리(15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정착기(170)에는, 기억부로서의 메모리(174)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잼 검지부로서, 제1 정착기(150)에는 센서(153, 155)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정착기(170)에는 센서(173, 175)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정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정착기(15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정착기(150)는 정착 롤러(151)(정착 부재)와 가압 벨트(152)(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이들이 서로 협동하여 기록재(102) 상의 토너상을 정착 처리하기 위한 닙(nip)부를 형성한다.
정착 롤러(151)는, 중공 롤러이며, 그 내부에 가열원으로서 할로겐 히터(161)를 내장하고 있다. 온도 검지부로서의 서미스터(162)는 정착 롤러(151)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CPU(301)는 서미스터(162)에 의해 검출된 온도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할로겐 히터(161)의 ON/OFF를 제어한다. 이것은, 정착 롤러(151)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조정 및 유지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또한, 소정 온도는 오차를 포함한다.
가압 벨트(152)는, 3개의 롤러 둘레에 걸쳐치는 무단상의 벨트이다. 가압 벨트(152)의 내주면에는, 가압 패드(164)가 접촉되어 가압 벨트(152)를 정착 롤러(151)를 향해 가압한다. 3개의 롤러 가운데 하나인 가열 롤러(163)는 중공 롤러이며, 그 내부에 가열원으로서의 할로겐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있다. 가압 벨트(152)에 대해서도, 정착 롤러(151)와 유사하게, 온도를 측정하는 서미스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검출 온도 정보를 바탕으로 가열 롤러(163)의 할로겐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CPU(301)가 제어한다. 그 결과, 가압 벨트(152)의 온도가 소정 온도로 유지된다.
정착 롤러(151)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323)(도 2)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도 3의 화살표 A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기록재(102)를 반송한다. 가압 벨트(152)는 정착 롤러(151)에 의해 회전된다.
제1 정착기(150)는, 정착 롤러(151)와 가압 벨트(152)가 서로 접촉하여 닙부를 형성하는 접촉 상태와, 이들이 서로 떨어지는 이간 상태를 제공하도록 가압 벨트(152)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322)(도 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기구(322)가 가압 벨트(152)를 이동시키지만, 가압 벨트(152) 대신에 정착 롤러(151)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정착 롤러(151)와 가압 벨트(152)의 양방 모두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한편, 제2 정착기(170)는, 가압 부재로서 가압 벨트는 아니고 가압 롤러(172)를 포함하며, 정착 롤러(171)(정착 부재)와 가압 롤러(172)(가압 부재)가 기록재(102) 상의 토너상을 정착 처리하기 위한 닙부를 형성한다. 가압 롤러(172)는, 중공 롤러이며, 내부에 가열원으로서의 할로겐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있다. 가압 롤러(172)는 온도 센서로서 서미스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CPU(301)가 서미스터 및 할로겐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함으로써, 가압 롤러(172)의 온도가 소정 온도로 유지된다.
제2 정착기(170)의 그 외의 구성은 제1 정착기(150)와 유사하므로, 제2 정착기(17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간단함을 위해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정착기(150)를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특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이하의 설명은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적용된다(제1 정착기(150)의 구성은 제2 정착기(170)의 구성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의 가압측의 구성이 다르지만,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의 양방 모두의 가압측의 구성이, 가압 벨트를 사용해도 되고 또는 가압 롤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1 정착기(150)의 가압측의 구성이 가압 롤러를 사용하고, 제2 정착기(170)의 가압측의 구성이 가압 벨트를 사용해도 된다.
(웹 클리너의 구성)
정착 부재를 클리닝하는 웹 클리너에 대해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설명은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적용되므로, 제2 정착기(170)에 대한 설명은 간단함을 위해 생략한다.
웹 클리너는, 귄취 롤러(157), 가압 롤러(158), 공급 롤러(159), 웹(160) 및 회수 롤러(156)를 포함하고 있으며, 정착 롤러(151)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로서 기능한다.
회수 회전체로서의 회수 롤러(156)(예를 들면, SUS제의 롤러)는, 정착 롤러(151)에 종동 회전하고 있어서, 정착 롤러(151)의 표면에 부착된 토너를 회수한다.
웹(160)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웹이다. 미사용의 웹(160)을 스택하고 있는 공급 롤러(159)는, 권취 롤러(157)에 종동하여 웹(160)을 공급한다. 가압 롤러(158)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웹(160)을 회수 롤러(156)에 소정의 닙 폭으로 가압한다. 또한, 웹 착탈 기구(325)(도 2)는, 가압 롤러(158)를 이동시킴으로써, 웹(160)이 회수 롤러(156)에 접촉하는 접촉 상태(온 상태)와 이들이 서로 떨어진 이간 상태(오프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권취 롤러(157)는, 구동원으로서의 솔레노이드(324)(도 2)를 포함하여, 공급 롤러(159)로부터 공급되는 웹(160)을 단속적으로 권취하고, 따라서 회수 롤러(156)에 웹을 문지른다. 이 제어는 CPU(301)가 실시한다. 예를 들면, 1회당 길이 0.1mm의 웹(160)의 권취를 1초 사이에 2회 실시된다. 이에 의해, 회수 롤러(156)가 정착 롤러(151)로부터 회수한 토너를 웹(160)이 제거한다. 정착 롤러(151)에 종동 회전하는 회수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웹(160)이 정착 롤러(151)의 표면을 직접 슬라이딩하여 손상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정착 롤러(151)의 표면 거칠기로 인한 인쇄물의 광택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수 회전체를 이용했지만, 웹(160)이 정착 롤러(151)의 표면을 직접 문지름으로써, 정착 롤러(151)를 클리닝할 수 있다.
(잼 해소 동작)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서 시트 잼이 발생했을 때의 대응에 대해 설명한다.
정착부에서의 잼이란,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서의 잼의 발생에 수반하여, 제1 정착기(150) 및/또는 제2 정착기(170)에 있어서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제1 정착기(150)에서 잼이 발생했을 경우,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 내의 제1 정착기(150) 이외의 부분에서의 다른 시트의 잼으로 인해서 제1 정착기(150) 내에 기록재(102)가 체류했을 경우이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정착기(150)에서의 정착 처리 중에, 조작자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의 도어(예를 들면, 프론트 도어(140))의 개방으로 인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이 정지하고, 제1 정착기(150) 내에 기록재(102)가 체류했을 경우이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설명은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적용되므로, 제2 정착기(170)에 대한 설명은 간단함을 위해 생략한다. (제1 정착기(150)의 구성은 제2 정착기(170)의 구성에 적용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100) 내의 센서(153, 155)를 포함하는 센서군(306)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서의 잼의 발생을 검지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때, 제1 정착기(150)에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으면, 정착부에서의 잼이 된다. 따라서, 잼의 발생 개소는 제1 정착기(150) 이외의 부분에서 있더라도, 정착부에서의 잼이 된다. 그후, CPU(301)는, 조작부(180)에 기록재(102)의 체류 개소를 표시함으로써, 조작자에게 체류하고 있는 시트를 제거하도록 재촉한다. 제1 정착기(150)에 있어서의 정착부에서의 잼을 제1 정착기(150)에서의 잼(또는, 정착기에서의 잼)으로 간단히 칭한다.
잼 검지부로서의 센서(153, 155)는, 제1 정착기(150)에서의 기록재(102)의 유무를 검지한다. 예를 들면, 광학 센서가 이용된다. CPU(301)는, 센서(153) 및/또는 센서(155)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재(102)가 제1 정착기(150)에 체류하고 있는 것(정착부에서의 잼)을 검지한다. 예를 들면, 기록재(102)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센서(155)가 기록재(102)의 통과를 검출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도 하류측의 센서(153)가 기록재(102)의 통과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CPU(301)는 센서(155)와 센서(153) 사이에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시간의 경과는 타이머(307)가 계측한다.
제1 정착기(150)에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었을 경우, 조작자는 프론트 도어(140)를 열고, 제1 정착기(150)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외측으로 꺼내고 나서 기록재(102)를 제거한다. 그리고, 조작자는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를 제거한 후, 제1 정착기(150)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로 되돌려 놓고, 프론트 도어(140)를 닫는다.
CPU(301)는,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한다.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한 후에,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에 대해 액세스한다. 이에 의해,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CPU(301)는 메모리(154)에 대해 액세스할 수 없게 되면,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 또는 확인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0)와 제1 정착기(150) 사이의 도통 상태 혹은 비도통 상태에 기초하여 그 장착을 체크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CPU(301)는, 센서(153, 15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정착기(150)에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의 유무를 체크한다. 이때, CPU(301)는, 제1 정착기(150)에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지 않으면 잼 처리가 완료하였다고 판정한다.
따라서, 제1 정착기(150)에서의 잼이 발생하면, 즉, 제1 정착기(150)에 기록재(102)가 체류한 상태가 되면, 체류한 기록재(102)의 미정착 토너에 의해서, 정착 롤러(151)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재(102)가 정착 롤러(151) 둘레에 권취되는 동안에 체류했을 경우나, 조작자가 체류한 기록재(102)를 제거할 때 기록재(102)가 정착 롤러(151)를 문질러 버리는 경우 등에 그러한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잼 해소 처리의 완료를 확인한 후, 후술한 제1 정착기(150)의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잼 해소 후 클리닝 처리)
정착부로부터 잼 시트의 제거 후에 실행부로서의 CPU(301)가 실행시키는 정착부의 클리닝 처리에 대해,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설명은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적용되므로, 제2 정착기(170)에 대한 설명은 간단함을 위해 생략한다. (제1 정착기(150)의 구성은 제2 정착기(170)의 구성에 적용된다.)
클리닝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정착 롤러(151)의 회전을 정지시킨 채로 정착 롤러(151)의 온도를 약 165℃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즉, CPU(301)는, 서미스터(162)에 의해 제공되는 검출 온도 정보에 근거하여, 할로겐 히터(161)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이때, 가압 벨트(152)는 회전을 정지한 상태로 정착 롤러(151)로부터 이간하여 있다. 즉, CPU(301)는, 가압 벨트(152)가 정착 롤러(151)로부터 이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동 기구(322)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의 정착 롤러(151)의 목표 온도(본 예에서는 약 165℃)는 토너가 굳어지지 않는 정도의 온도이며, 미리 설정되어 ROM(303)에 저장되어 있다. 이 온도는 장치나 토너의 구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당하게 설정된다.
정착 롤러(151)가 약 165℃까지 가열되면, 클리닝 처리를 개시한다. CPU(301)는, 서미스터(162)에 의한 검출 온도가 약 165℃가 되었음에 응답하여, 모터(323)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정착 롤러(151)는 회전을 개시하여, 회수 롤러(156)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회수 롤러(156)가 정착 롤러(151) 상의 토너를 회수한다. 또한, CPU(301)는, 솔레노이드(324)를 동작시킴으로써, 상술한 권취 롤러(157)에 의한 단속적인 권취를 100초간 실행시킨다. 예를 들면, 1회당 길이 0.1mm의 웹(160)의 권취를 1초 사이에 2회의 실시하게 한다. 이때, CPU(301)는, 웹(160)이 회수 롤러(156)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웹 착탈 기구(325)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웹(160)은, 정착 롤러(151)로부터 회수한 토너를 회수 롤러(156)로부터 제거한다. 시간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타이머(307)가 계측한다. 또한, 이때, CPU(301)는, 정착 롤러(151)의 온도가 약 165℃를 유지하도록, 서미스터(162)에 의한 검출 온도 정보에 근거하여, 할로겐 히터(161)에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정착 롤러(151)로부터 가압 벨트(152)에의 토너의 전이를 막기 위해, CPU(301)는, 정착 롤러(151)와 가압 벨트(152)는 이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동 기구(322)의 동작을 제어한다.
웹의 권취 시간(본 실시예에서는 100초)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타이머(307)가 계측한다.
정착 롤러(151)로부터 토너를 제거하는데 적합한 웹의 권취 시간(본 실시예에서는 100초)은 미리 설정되어 ROM(303)에 저장되어 있다. 이 특정의 시간은 100초에 한정되지 않으며, 장치의 구성에 따라 당업자가 적당히 설정하면 된다.
(웜업 처리)
정착부의 클리닝 처리가 완료하면, CPU(301)는 정착 처리를 개시하기 위한 준비로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 웜업 처리는, 상술한 클리닝 처리 후의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인 스위치(101)가 ON으로 되었을 때도 실행된다.
이하,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더욱 설명한다.
본 설명은,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적용되므로, 제2 정착기(170)에 대한 설명은 간단함을 위해 생략한다. (제1 정착기(150)의 구성은 제2 정착기(170)의 구성에 적용된다.)
CPU(301)는, 상술한 클리닝 처리의 완료에 수반하여, 우선 할로겐 히터(161)를 제어하여 정착 롤러(151)의 온도를 약 165℃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이때, 정착 롤러(151)의 회전은 정지시킨 상태이다. 즉, CPU(301)는 모터(323)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또한, CPU(301)는 가열 롤러(163)의 내부의 히터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또한, CPU(301)는, 가압 벨트(152)가 정착 롤러(151)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동 기구(322)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것은 정착 롤러(151)의 열을 이용하여 가압 패드(164)를 가열하는 것이 목적이다.
CPU(301)는, 정착 롤러(151)가 약 165℃까지 가열되면, 정착 롤러(151)를 회전시키면서, 가열 롤러(163) 내부의 히터를 제어하여 가압 벨트(152)를 약 100℃까지 가열시킨다. 즉, CPU(301)는, 서미스터(162)에 의한 검출 온도가 약 165℃가 되었음에 응답하여, 모터(323)와 가열 롤러(163) 내부의 히터를 동작시킨다. 이때, CPU(301)는, 정착 롤러(151)에 가압 벨트(152)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동 기구(322)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가압 벨트(152)는 종동 회전한다. 이때, 인쇄 중에 정착 롤러(151)에 부착된 약간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해서, 웹(160)을 회수 롤러(156)에 접촉시킨 상태로 하고, 권취 롤러(157)에 의한 단속적인 권취를 실행시켜도 된다.
CPU(301)는, 가압 벨트(152)가 약 100℃까지 가열되면, 이동 기구(322)를 제어하여 정착 롤러(151)와 가압 벨트(152)를 이간시킨다. CPU(301)는, 서미스터(162)에 의한 검출 온도 정보에 근거하여, 할로겐 히터(161)에의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정착 롤러(151)를 약 170℃로 가열한다. 이때, CPU(301)는, 가압 벨트(152)가 약 100℃를 유지하도록, 가압 벨트(152)의 온도를 검지하는 서미스터에 의한 검출 온도 정보에 근거하여, 할로겐 히터(161)에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조작부(180)에의 조작자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웜업 후에 인쇄하는 기록재(102)의 종류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인쇄 작업이 예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착 롤러(151)의 목표 온도를 예약되어 있는 기록재(102)의 정착 처리에 필요한 온도로 해도 된다.
웜업 처리에 있어서의 정착 롤러(151) 및/또는 가압 벨트(152)의 목표 온도(본 예에서는 약 165℃, 약 100℃, 약 170℃)는 미리 설정되어 ROM(303)에 저장되어 있다. 이 온도는 장치의 구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다.
제1 정착기(150)의 웜업 처리가 완료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 가능한 상태가 된다.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 화상 형성부(309) 등의 다른 부분의 스타트-업 처리도 병행하여 실시하는데, 이들 스타트-업 처리들은 제1 정착기(150)의 웜업 처리가 완료하기 전에 완료하고 있다. 제1 정착기(150)의 웜업 처리는 길게는 7분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제2 정착기(170)에 있어서의 웜업 처리도 마찬가지이며, 제1 정착기(150)에서의 웜업 처리의 완료와 대체로 같은 시간에 웜업 처리가 완료한다.
(작업의 재개)
제1 정착기(150)의 웜업 처리가 완료한 후 화상 형성 장치(1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 후에, CPU(301)는 잼의 발생에 의해 중단하고 있던 인쇄를 재개시킨다. CPU(301)는 조작부(통지부)(180)에 「인쇄 중 입니다」의 표시를 실시한다.
제1 정착기(150)의 웜업 처리가 완료하여도 화상 형성부(309) 등의 제1 정착기(150) 이외의 부분의 스타트-업 처리가 완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CPU(301)는 제1 정착기(150) 이외의 부분의 준비가 완료하는 것을 기다리고 나서 인쇄를 재개시킨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스탠바이 모드)
스탠바이 모드란, 화상 형성 장치(1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이며, 조작자로부터의 인쇄 명령(인쇄 작업)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인 기간을 가리킨다. 상술한 웜업 처리의 완료 후에 재개하려는 작업이 없는 경우나, 인쇄 동작의 완료 후 등에 장치는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CPU(301)는, 조작부(통지부)(180)에 「인쇄할 수 있습니다」의 표시를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탠바이 모드가 되어 있을 때,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나서 곧바로 인쇄 동작을 개시할 수 있도록,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에 대한 온도 조정(예를 들면, 정착 롤러(151) 및 가압 벨트(152)의 온도 조정)을 계속시키고 있다.
웜업 처리 중에 인쇄 예약이 들어갔을 경우에는,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시키는 일없이 예약된 인쇄 작업을 개시시킨다. 즉, 이러한 경우,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의 웜업 처리가 완료한 후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 가능하게 되면,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하지 않고서 인쇄 작업을 즉시 개시시킨다.
만약,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의 웜업 처리가 완료하였더라도 화상 형성부(309) 등의 제1 정착기(150) 또는 제2 정착기(170)가 아닌 부분의 스타트-업 처리가 완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CPU(301)는 다른 부분의 준비가 완료하는 것을 기다리고 나서 인쇄 동작을 재개시킨다.
(정착기의 교환)
정착기의 교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여러 가지 종류나 사이즈의 기록재(102)에 인쇄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보다 고품질의 인쇄물을 제공하기 위해서, 기록재(102)의 종류나, 조작자의 취향에 따라 정착기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재(102)로서 봉투를 사용할 경우에는 봉투 전용의 정착기를 이용한다. 봉투는 정착 처리 중에 부여되는 압력에 의해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므로, 정착 롤러(151)와 가압 벨트(152) 사이의 압력(닙압이라고도 부른다)을 봉투에 맞추어 조정시킨 봉투 전용의 정착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특정 폭 사이즈 전용의 정착기가 있다. 같은 폭의 기록재(102)가 연속하여 닙부를 통과하면, 기록재(102)의 폭 방향의 에지부에서 정착 롤러(151)의 표면이 손상된다. 정착 롤러(151)의 손상이 무시할 수 없는 레벨이 되어 버리면, 이보다 폭이 넓은 기록재(102)가 처리될 때, 이 손상에 기인하여 화상의 광택이 불균일하여질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같은 구성의 정착기를 기록재(102)의 개별 사이즈마다 구분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폭이란 기록재(102)의 반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정착 롤러(151)의 길이 방향)으로 측정되는 치수이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 따르면, 조작자는, 기록재(102)의 종류나 조작자의 기호에 따라 정착기를 교환할 수가 있다.
정착기를 교환할 경우, 조작자는 프론트 도어(140)를 열어,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를 꺼낸다. 그리고나서 조작자는 다른 정착기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하고, 프론트 도어(140)를 닫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상과 같이 교환 가능한 정착기는, 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의 쌍방이 되고 있다.
(정착기의 메모리)
본 실시예에서는, 정착기를 교환 가능하며, 따라서, 제1 정착기(150)에 기억부로서의 메모리(154)를 마련하고 있고 제2 정착기(170)에 기억부로서의 메모리(174)를 마련하고 있다. 메모리(154, 174)는, EEPROM, 플래쉬 메모리 등으로 대표되는 재기입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기억부)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 바깥에 준비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는 제1 정착기(150) 또는 제2 정착기(170)가 아닌) 정착기에도 메모리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를 포함하는 정착기군에 메모리를 설치한 이유는, 이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정착부에서의 잼의 해소 후 클리닝 처리를 하지 않은 채, 정착기가 일단 장치로부터 꺼내져 버리고, 그리고나서 이 꺼내진 정착기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재차 장착되었을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설명은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교환 대상이 제1 정착기(150)인 경우이다.
예를 들어, 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가 봉투 전용이 아니며, 인쇄 완료까지 1시간 이상 걸리는 인쇄 작업(예를 들면, 보통지에의 인쇄 작업)을 개시한다. 또한, 이 인쇄 작업의 개시 15분 후 등(초기 단계)에서 정착기 A에서의 잼이 발생해 버렸다고 하자. 그러면 조작자는 조작부(180)의 표시에 따라 잼 해소 처리를 실시한다. 그렇지만, 급거 봉투의 인쇄가 필요하게 되었을 경우, 조작자가 정착기 A에 의한 이전의 인쇄 작업을 중단하고, 봉투에 대한 새로운 인쇄에 착수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 경우 조작자는, 클리닝 처리를 빠뜨리고 정착기 A를 봉투 전용의 정착기 B로 교환할 수 있다.
종래, CPU는 정착부에서의 잼이 발생한 것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메모리에 기억해 둠으로써, 잼 해소 처리 후에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고 있다. 이 경우에, 잼 해소 처리 후에 정착기 A가 정착기 B로 교환되어 버리면, CPU는, 새로운 정착기 B에 대해서만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게 된다. 따라서, CPU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 후에 행해져야 할 클리닝 처리를 완료했다고 판정해 버리게 된다.
후일, 조작자가 봉투 이외의 기록재(예를 들면, 보통지)의 인쇄를 하려고 하는 경우, 조작자는 재차 정착기 A를 장착하게 된다.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정착기 A의 정착 롤러는 토너로 오염되어진 상태이다. 이 상태로 인쇄 처리가 실시되면, 화상 품질이 현저히 저하 되게 된다.
이 상황하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154)를 제1 정착기(150)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 후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메모리에 기억될 수 있다. 이 정보는 메모리(154)에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이력 있음”또는“이력 없음”이라고 하는 잼 이력 정보가 보관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정착기(150)에서의 잼 발생에 따라, CPU(301)는, 메모리(154)에 잼 이력(“이력 있음”)을 기억시킨다.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 후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면, CPU(301)는, 메모리(154)의 잼 이력을 리셋한다(“이력 없음”). 잼 이력“이력 있음”은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며, “이력 없음”은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진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조작자에 의해 제1 정착기(150)가 재장착됨에 따라, CPU(301)는 메모리(154)로부터 클리닝 처리의 실행 완료 또는 미실행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정보가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CPU(301)는 잼 해소 처리 후에 행해졌어야 할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메모리(154)에서 잼 이력 정보가 리셋되어 있는 경우, CPU(301)는, 잼 이력 없음으로 판정한다.
메모리(154)에의 정보의 기입(기록)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경우에 데이터 있음, 클리닝 처리가 실행 완료인 경우에 데이터 없음이 되도록 메모리(154)에 기입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클리닝 처리 미실행(데이터 있음)”과“클리닝 처리 실행이 완료된 상태(데이터 있음)”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억시키도록 해도 좋다.
메모리(154)는, 잼 이력 이외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이 정보는, (예를 들면, 봉투용, A4 사이즈용 등) 제1 정착기(150)의 용도나 종류를 포함한다.
(제어 플로우)
이상을, 도 4~도 7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플로우 차트는, 실행부(기록부, 기입부)로서 기능하는 CPU(301)가, ROM(3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관련된 기구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메인 스위치 온 시 및 프론트 도어 닫힘시의 시퀀스)
도 4는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메인 스위치(101)가 온 됨에 따라, CPU(301)는 기동한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S101). 판정의 결과가 긍정이면, CPU(301)는 메모리(154)에 액세스 할 수 있게 된다. S101에서의 판정의 결과가 부정이라면, 동작은 S101로 복귀한다.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되어 있으면, S102로 이행한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에 대해서 도 6에 나타내는 스타트-업 시퀀스를 실시하게 한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정착기(150)의 스타트-업이 완료하면, CPU(301)는 조작부(180)에 「인쇄할 수 있습니다」의 표시를 실시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가 화상을 형성할 수 있음을 조작자에게 통지한다(S103). 그리고나서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한다.
도 5는 프론트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프론트 도어(140)의 개폐 상태는, CPU(301)가 프론트 도어(140)의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검지한다. 프론트 도어(140)가 열려있는 경우,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힘 상태가 되는 것을 기다린다(S201). 프론트 도어(140)가 열려있는 경우,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를 닫도록 재촉하는 표시를 하여도 좋다.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하면(S201), S202로 이행한다. S202~S204는, 도 4의 S101~S103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S204 후에,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한다.
(스타트-업 시퀀스)
도 6은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의 플로우 차트는, S102, S203, 그리고 후술하는 S410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가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를 읽어낸다(S301).
메모리(154)에 잼 이력이 보관되어 있었을 경우, S303으로 이행한다(S302).
CPU(301)는 클리닝부 등을 제어하여 전술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S303).
클리닝 처리가 완료한 후, CPU(301)는 메모리(154)에 보관되어 있던 잼 이력을 리셋(클리어)한다(S304).
S302에 있어서, 메모리(154)에 잼 이력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S305로 이행한다. 메모리(154)에 잼 이력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미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음을 의미한다. 클리닝 처리가 불필요한 경우에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음으로써, 메인 스위치(101)를 온으로 하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화상 형성을 개시 가능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상술한 클리닝 처리에 의해 요구되는 시간(100초)만큼) 단축할 수가 있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를 제어하여 전술한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S305).
S304에서 메모리(154)에 보관되어 있던 잼 이력의 클리어 타이밍은, 상술한 타이밍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웜업 처리(S305)가 완료됨에 따라 메모리(154)에 보관되어 있던 잼 이력을 클리어하도록 해도 된다.
S304에 있어서의 메모리(154)에 보관되어 있던 잼 이력의 클리어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 완료된 상태로,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프론트 도어(140)의 개방을 검지함에 따라 클리어 하도록 해도 된다. 또 다르게는, S304에 있어서의 메모리(154)에 보관되어 있던 잼 이력의 클리어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 완료된 상태에서, 메인 스위치(101)가 오프됨에 따라 클리어 하도록 해도 된다. 제1 정착기(150)의 교환에는, 프론트 도어(140)의 개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잼 발생시의 시퀀스)
도 7은, 정착부에서의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인쇄 작업 실행시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동작이 가능한 스탠바이 모드에 있어서, 조작부(180)나, 외부 I/F부(304)를 거친 외부의 PC 등으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한다. 그러면, CPU(301)는 스테이션(120~123), 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여러 가지 기구를 제어하고,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시킨다(S401). 이때, 화상 형성 장치(100)는, 조작부(180)나 외부 PC의 표시 화면 상에, 기록재(102)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제공하고, 조작자의 지시를 수신한다.
CPU(301)는 인쇄 작업이 완료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를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시킨다(S402).
CPU(301)는, 인쇄 작업이 완료하고 있지 않은 단계(S402)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서의 시트 잼의 발생을 검지하면(S403),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정지, 즉, 인쇄 작업을 중단시킨다(S404). CPU(301)는, 센서군(306)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서의 잼의 발생을 검지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서의 잼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 CPU(301)는 인쇄 작업이 끝날 때까지 인쇄 작업을 지속시킨다(S402, S403).
잼에 수반하여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는 개소가 제1 정착기(150)(제2 정착기(170)) 외부인 경우에는, CPU(301)는, S406로 이행한다(S405). CPU(301)는, 센서군(306)으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가 제거될 때까지 대기한다(S406). CPU(301)는, 센서군(306)으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의 제거를 검지하면, 전술한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S407).
한편, CPU(301)는,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는 개소가 제1 정착기(150)(제2 정착기(170)) 내에 있다고 판정하였을 경우(정착부에서의 잼)에는, S408로 이행한다(S405).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에 잼 이력을 기억시킨다(S408).
CPU(301)에 의한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에의 잼 이력의 저장은, 프론트 도어(140)가 개방되는 것에 따라 실행해도 좋다. 프론트 도어(140)가 개방되어도, 제1 정착기(15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로부터 탈거되지 않는 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되어 있어서 CPU(301)는 메모리(154)에 잼 이력을 기록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정착기(150)는 잼 해소 처리에서 교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제1 정착기(150)에서의 잼을 검지한 후, 잼 해소 처리를 위해서 조작자에 의해 제1 정착기(150)가 탈거되기까지 메모리(154)에 잼 이력을 기록하여 둔다.
CPU(301)는, 센서(153, 155)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제1 정착기(150)에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가 제거될 때까지 대기한다(S409). CPU(301)는, 제1 정착기(150)에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가 제거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면, 스타트-업 시퀀스 S410으로 이행한다(S409). 이때, CPU(301)는,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하고, 제1 정착기(150) 내의 기록재(102)의 유무를 확인한다.
스타트-업 시퀀스 S410는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우에 대응하고 있다. 이 스타트-업 시퀀스 S410에서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의 데이터를 읽어낸다(S301). 여기서, 잼 이력 정보의 판독을 실시하는 이유는, 잼 해소 처리를 위해서 프론트 도어(140)를 개방한 타이밍에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제1 정착기(150)의 스타트-업 시퀀스 S410 혹은 웜업 처리 S407가 완료하면,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재개, 즉, 중단하고 있던 인쇄 작업을 재개시킨다(S411).
또한, CPU(301)는, 조작부(180)에 「인쇄 중입니다」등의 표시를 실시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가 인쇄를 실행하고 있음을 조작자에게 통지한다(S412).
그 후, S402로 복귀하여, CPU(301)는 인쇄 작업이 끝날 때까지 인쇄 작업을 속행시킨다(S402, S403).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자에 의한 제1 정착기(150)의 교환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론트 도어(140)의 개폐를 필요로 한다. 즉, 조작자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론트 도어(140)가 열렸을 경우에는,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메인 스위치(101)가 오프인 동안에도,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인 스위치(101)가 온이 된 것이나,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에 응답하여,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로부터 정보를 읽어내어, 메모리(154)의 잼 이력 정보를 취득한다. 이에 의해, 잼의 해소 후에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재장착되어도,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므로,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정착기의 메모리에 보관시키고 있다. 그리고, CPU(301)가 이 정보에 근거하여, 재장착된 정착기에 대해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지 아닌지의 판정을 하고 있다.
실시예 2에서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어 버렸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설명에서,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간단함을 위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클리닝 처리의 실행 중에 조작자가 프론트 도어(140)를 개방했을 경우, CPU(301)는 클리닝 처리를 중단시킨다. CPU(301)는,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프론트 도어(140)가 열린 것을 검지한다.
실시예 1에서는, 클리닝 처리가 완료한 후에 메모리(154)의 잼 이력을 클리어한다. 그러므로, 클리닝 처리의 실행 도중에 조작자가 프론트 도어(140)를 열어 제1 정착기(150)를 꺼내 버릴 경우, 메모리(154)의 잼 이력은 클리어되지 않는다. 조작자에 의해 재차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었을 때에는, CPU(301)에 의해 클리닝 처리가 최초부터 실행되어 버린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중단된 시점에서 클리닝 처리가 100초분 중 80초분에 대해서는 이미 실행되어 있던 것 같은 경우에는, 토너에 의한 정착 롤러(151)의 오염은 상당히 큰 정도로 제거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리닝 처리를 100초 동안 실행시켜 버리면 조작자의 대기 시간이 소모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이 상황하에서, 클리닝 처리가 중단된 제1 정착기(150)가 재차 장착되었을 경우, (실시예 1의 클리닝 처리보다 짧은)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 후에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본 실시예에서는 100초)에 대해, “실행이 끝난 상태”, “처리 중단” 및 “이력 없음”을 포함하는 3종류의 정보를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에 보관시킬 수 있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로부터 취득하는 정보가“이력 없음”인(클리닝 이력의 데이터가 클리어되어 있는)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이다라고 판정하고, 따라서 상술한 클리닝 처리(100초간)를 실행시킨다. 한편,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로부터 취득하는 정보가“처리 중단”인 경우에는, 상술한 클리닝 처리(100초)보다 단시간 동안의 단기간 클리닝 처리(본 실시예에서는 50초)를 실행시킨다. 또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로부터 취득하는 정보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 또는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는다.
(제어 플로우)
도 9~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플로우 차트의 처리는, 실행부(기록부, 기입부)로서 기능하는 CPU(301)가, ROM(3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관련된 기구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스타트-업 시퀀스)
실시예 2에서의 스타트-업 시퀀스 플로우는, 실시예 1에서의 스타트-업 시퀀스 플로우와 상이하다. 도 9는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 2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9의 플로우 차트는, 도 10의 S610, 도 11의 S702, 도 12의 S803의 스타트-업 시퀀스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CPU(301)는 제1 장착부(141)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가 기억하고 있는 클리닝 이력 데이터를 읽어낸다.
메모리(154)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는 S509로 이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S503으로 이행한다(S502).
CPU(301)는, 메모리(154)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이외로서,“처리 중단”이 아닌 경우(미실행인 경우)는 S504로 이행하고(S503), 클리닝부를 제어하여 전술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S504).
CPU(301)는, 메모리(154)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이외로서,“처리 중단”인 경우는 S505로 이행하고(S503), 전술한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S505).
CPU(301)는 클리닝 처리 또는 단기간 클리닝 처리가 실행 중에 중단되었을 경우는 S507로 이행하고(S506), 메모리(154)에“처리 중단”을 나타내는 클리닝 이력을 기입한다(S507). 프론트 도어(140)가 개방되어도, 화상 형성 장치(100) 및 제1 정착기(150)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므로, CPU(301)는 메모리(154)에“처리 중단”의 클리닝 이력을 기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착기(150)에의 스타트-업 시퀀스는 중단이 된다.
CPU(301)는, 클리닝 처리 또는 단기간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지 않았던, 즉, 완료한 경우는 S508로 이행하고(S506), 메모리(154)에“실행이 끝난 상태”의 클리닝 이력을 기입시킨다(S508). 그 후, CPU(301)는 제1 정착기(150)를 제어하여 전술한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S509).
클리닝 처리가 불필요한 경우에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음으로써, 메인 스위치(101)가 온으로 되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 가능해질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을 100초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단기간 클리닝 처리로 충분한 경우에,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에 의해, 메인 스위치(101)가 온으로 되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화상 형성을 개시 가능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50초분) 단축할 수 있다.
단기간 클리닝 처리의 실행 시간은, 클리닝 처리가 중단될 때까지 실행된 클리닝 시간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이 경우, 클리닝 처리가 중단될 때까지 실행된 클리닝 시간을 타이머(307)가 계측한다. CPU(301)는 클리닝 이력과 아울러 메모리(154)에 처리가 중단될 때까지의 클리닝 처리의 실행 시간 또는 단기간 클리닝 처리의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시킨다(S507). CPU(301)는 클리닝 이력의 정보와 아울러 이 클리닝의 시간에 대응하는 정보를 읽어내고(S501), 이 읽어내어진 클리닝의 시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시간 동안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S505).
이때, 단기간 클리닝 처리의 실행 시간에 대해서는, 반드시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지 않았던 경우의 시간과 클리닝 처리가 중단될 때까지 실행된 클리닝의 시간과의 차분으로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100초의 클리닝 처리가 50초 미만의 타이밍에서 중단되었을 경우는 80초간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고, 50초 이상 100초 미만으로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었을 경우는 30초간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실행된 클리닝 처리가 미리 설정된 레벨 미만일 경우에는, S507에 있어서 CPU(301)는 클리닝 이력을 클리어한 채로 함으로써, 클리닝 처리가 최초부터 완전하게 실행될 수 있다.
클리닝 처리가 중단된 제1 정착기(150)가 재차 장착되었을 경우에,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행할지 어떨지는, 조작자가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즉, 실시예 1과 같이 클리닝 처리를 최초부터 실행시키는 모드 또는 실시예 2와 같이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모드를 조작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조작부(180)는 이러한 모드를 선택 화면에 표시하여, 조작자가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허용한다. 선택된 모드가 전자(前者)의 모드인 경우,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었을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를 최초부터 다시 하기 위해서, S507에 있어서 CPU(301)는 클리닝 이력을 클리어 한 채로 한다.
(잼 발생시의 시퀀스)
도 10은, 정착부에서의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인쇄 작업 실행 중의 플로우 차트이다.
S601~S607과 관련하여, 이들은 도 7의 S401~S407과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S608에 있어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의 클리닝 이력을 클리어한다. 이에 의해, 클리닝 이력은“이력 없음”이 되어, 상술한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된다.
S609는 도 7의 S409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S610에 있어서, CPU(301)는 도 9의 스타트-업 시퀀스 2를 실행한다.
S611~S612와 관련하여, 이들은 도 7의 S411~S412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메인 스위치 온시 및 프론트 도어 폐쇄시의 시퀀스)
도 11은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S701 및 S703은 각각 도 4의 S101 및 S103과 같다. S702에 있어서, CPU(301)는 도 9의 스타트-업 시퀀스 2를 실행한다.
도 12는 프론트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S801, S802, S804는 각각 도 5의 S201, S202, S204와 같다. S802에 있어서, CPU(301)는 도 9의 스타트-업 시퀀스 2를 실행한다.
(실시예 3)
정착기 교환가능 시스템에 의하여, 조작자는, 사용되는 기록재(102)의 종류나 조작자의 기호에 따라 정착기를 다른 정착기로 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조작자가 기록재(102)에 적합한 정착기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교환가능 정착기의 이점(즉, 고품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음)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조작자가 선호하는 기록재(102)와 정착기의 용도가 서로 적절히 일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조작자에게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정착기의 용도와 화상이 인쇄되는 기록재(102)의 종류를 대응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 1(도 6 및 도 7)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으므로, 공통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단함을 위해 생략한다.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메모리(154)에는 제1 정착기(150)의 식별 정보로서 (예를 들어, 봉투용 등의) 종류 및/또는 용도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한편, 본체 메모리(312)에는, 식별 정보에 조합(상관)시켜, 정착기에 의해 처리되는 기록재의 종류를 제한하기 위해 기록재(102)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제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도 6의 S301에 있어서,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가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를 읽어냄과 아울러,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의 식별 정보를 읽어낸다. CPU(301)는, 이 식별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는 기록재(102)의 종류에 근거하여, 제1 정착기(150)에 대해서 정착 처리를 제한해야 하는 기록재(102)의 종류를 결정한다.
도 7의 S401에 있어서, CPU(301)는, 조작자로부터 인쇄 작업을 받아들일 때에, 선택 화면상에서, 제1 정착기(150)에 대해서 적합하지 않은 기록재(102)의 종류를 선택 불가로 한다.
따라서, 부적합한 제1 정착기(150)를 사용한 인쇄 처리를 방지할 수 있어서 고품질의 인쇄물을 보장한다.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102)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보는, 본체 메모리(312)는 아니고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에 기억하게 해도 좋다. 이 경우, CPU(301)는 S301에서의 메모리(154)로부터의 데이터의 읽어냄과 아울러,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로부터,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102)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보를 읽어낸다(S301). CPU(301)는, 이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102)의 종류에 근거하여, 제1 정착기(150)에 의한 정착 처리를 제한해야 하는 기록재(102)의 종류를 파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 포함되는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 2에 포함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가 실시예 2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전술한 설명이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4)
이상의 설명에서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가 아닌가의 정보가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 및 제2 정착기(170)의 메모리(174)에 보관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메모리(154, 174)에의 정보의 기입과 병행하여, 백업으로서, 본체 메모리(312)에도 같은 정보를 보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실시예 5)
이상의 설명에서는, 정착부에서의 잼의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고 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은 예외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정착부에서의 잼의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라고 하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예외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정착부에서의 잼의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이미 실행이 끝난 상태여도, 예외적으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여러 차례의 정착 처리를 거쳐 축적된 토너 오염을 제거할 목적으로, CPU(301)는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의 누적 실행 회수 100회에 1회의 비율로, 그러한 예외적인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 경우, CPU(301)는, 제1 정착기(150)에서의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의 누적 실행 회수를 메모리(154)에 기록하고, 이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의 누적 실행 회수에 근거하여 예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CPU(301)는, 어떠한 이유로 메모리(154)로부터의 정보의 읽어내기에 실패했을 경우,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에 의해, 읽어내기에 실패한 정보가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였을 경우에, 인쇄물의 화질이 열화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면, 메인 스위치(101)를 온으로 하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화상 형성을 개시가능한 상태로 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예외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실시예 6)
이상의 설명에서는, 조작부(180)는 표시 화면과 선택 키를 구비하지만, 표시 화면이 선택부로서도 기능하는 터치 패널이어도 된다.
(실시예 7)
회수 회전체는, 정착 롤러(151, 171)의 외측으로부터 정착 롤러(151, 171)를 가열하기 위해서 내부에 히터를 포함하는 중공 롤러(외부 가열 부재)여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클리닝부를 정착 롤러(151) 측에 마련하고 있지만, 가압 벨트(152)(회전체) 측에 마련하고, 정착 롤러(151) 표면의 토너를 가압 벨트(152)로 전이시키고 나서 제거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에 있어서, 정착 롤러(151) 표면의 토너를 가압 벨트(152)로 전이시키기 위해서, 정착 롤러(151)와 가압 벨트(152)를 접촉시킨다. 상술한 예와 유사하게, 클리닝 처리를 시작하기 전에 우선 가압 벨트(152)를 토너가 굳어지지 않는 정도로 가열시키고, 그 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예에서는, 웹 클리너(156~160)를 이용하여 정착부(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에서의 잼의 해소 후에 실행되는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은 이러한 특정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착 롤러(151, 171)에 의해 구동되는 스펀지 상의 롤러를 채용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실시예 8)
이상의 예에서는, 정착부(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에 대한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실행되는 클리닝 처리를 웹 클리너(156~160)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록재(102)를 이용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여도 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웹 클리너와 같은 클리닝 기구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정착부에서의 잼의 발생에 수반하는 정착 롤러(151) 및/또는 정착 롤러(171)의 토너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려면, 복수매의 기록재(102)를 정착부(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에 강제적으로 통과시키고, 토너 오염을 기록재(102)에 전이시키는 것이다. 그 후, 토너가 전이된 기록재(102)는, 화상 형성 장치(100) 바깥으로 배출된다.
이 경우, CPU(301)는, 메모리(154)가 기억하는 정보가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반송부(308)를 제어하여 소정 매수의 기록재(102)를 제1 정착기(150)(제2 정착기(170))에 통과시키고, 기기 밖으로 배출시킨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반송하는 기록재(102)의 매수는, 미리 설정해 두면 좋고, 본 실시예에서는 10매이다.
(실시예 9)
전술한 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의 양방을 포함하고 있다(탠덤 정착). 그러나, 본 발명은 제1 정착기(150)만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10)
전술한 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상 형성부(스테이션(120~123))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단색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랙으로만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흑백의 화상 형성 장치 등이 있다.
(실시예 11)
전술한 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115)를 포함하는 구성(중간 전사 방식)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직접 전사 방식의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형성부(309)는 상 형성부(스테이션(120~123))와 전사부로서 기능하는 전사 반송 벨트를 포함한다. 상 형성부(120~123)는, 전사 반송 벨트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기록재(102)를, 기록재 수납부(103)로부터 전사 반송 벨트로 반송한다. 전사 반송 벨트는, 기록재(102)를 정전 흡착하면서 기록재(102)를 반송하는 벨트이며, 기록재(102)를 상 형성부와 대향하는 위치로 운반하며, 벨트의 내주측에 전사 롤러를 구비한다. 전사 롤러는,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전사 반송 벨트 상에서 반송되는 기록재(102)에 전사한다. 이에 의해, 기록재(102)에 토너상(미정착)을 형성한다.
(실시예 12)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도 13은, 실시예 12~2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300)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실시예 1과 상응하는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간단함을 위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계의 구성)
도 14는, 실시예 12~23의 제어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간단함을 위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CPU(301), RAM(302), ROM(303)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CPU(301)는, ROM(3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300)의 기본 제어를 실시한다. 후술하는 플로우 차트의 동작은, ROM(3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PU(301)에 의해 실행된다. CPU(301)는,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워크 에리어로서 RAM(302)을 사용한다.
CPU(301)는, RAM(302)과 ROM(303), 그리고 제어 대상이 되는 여러 가지 기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I/F부(304)는 네트워크(LAN 및/또는 WAN)를 거쳐 접속되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이다. 외부 장치는 기억 장치(200)나 퍼스널 컴퓨터(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억 장치(200)는, 외부 I/F부(304)에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는 외부 장치의 일례이다. 상세는 실시예 14에서 설명한다.
CPU(301)는 개폐 센서(305)와 접속되어 있어서,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상태인가 아닌가를 검지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센서(153, 155, 173, 175)를 포함하는 센서군(306)은, 반송 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CPU(301)가 기록재의 유무나 통과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CPU(301)는 타이머(307)에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307)는 시간을 측정한다. 타이머는, 잼의 검지 및 클리닝 처리에 있어 시간의 계측에 이용된다.
CPU(301)는 시계(313)에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조작부(180)에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조작부(180)의 선택 키를 통해 조작자로부터 주어지는,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의 전환이나 다른 동작에 대한 지시를 수신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동작 상황이나 선택 키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 등의 정보를, 조작부(180)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킨다.
CPU(301)는, 반송부(308)에 접속되어 있어서, 기록재(102)의 반송을 제어한다. 반송부(308)는, 기록재 수납부(103)로부터 반송 경로로 기록재(102)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반송 경로의 각 플래퍼(도 13에 나타내는 플래퍼(131, 132, 133)) 등이다.
CPU(301)는 후술하는 화상 형성부(309)에 접속되어 있어서, 화상 형성부(309)의 제어를 실시한다.
CPU(301)는, 후술하는 제1 저항 검출부(1310)에 접속되어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를 식별한다.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면, 제1 저항 검출부(1310)는, 제1 정착기(150)가 갖는 저항체(115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CPU(301)는, 제2 저항 검출부(1311)에 접속되어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정착기(170)를 식별한다. 제2 정착기(170)가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면, 제2 저항 검출부(1311)는, 제2 정착기(170)가 갖는 저항체(117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 접속되어 있다. 본체 메모리(312)는 재기입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RAM(302)과 일체이어도 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가 갖는 기구군 X에 접속되어 있어서, 제1 정착기(150)의 온도 조정 제어 및 클리닝의 제어를 실시한다. 기구군 X는, 온도 센서(320), 히터(321), 이동 기구(322), 모터(323), 솔레노이드(324), 웹 착탈 기구(325)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320)는, 제1 정착기(150)에 설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서미스터(162)(도 3)와 가압 벨트(152)의 서미스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히터(321)는, 제1 정착기(150)에 설치된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며, 할로겐 히터(161)(도 3)와 가열 롤러(163)에 설치된 할로겐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정착기(170)의 기구군 X에 접속되어 있어서, 제2 정착기(170)의 온도 조정 제어 및 클리닝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2 정착기(170)의 기구군 X에 대해서는, 제1 정착기(150)의 기구군 X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므로, 상응하는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정착기(150)에서의 기구군 X에 대한 설명에서, 제1 정착기(150), 가압 벨트(152), 가열 롤러(163)는, 각각, 제2 정착기(170), 가압 롤러(172), 가압 롤러(172)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기구를 CPU(301)가 제어한다. 그렇지만, 대안으로서, 각각의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CPU 회로부와 복수의 CPU 회로부에 접속되어 전체를 제어하는 메인 CPU 회로부로 구성해도 된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화상 형성부(309)(도 14)로서 스테이션(120, 121, 122, 123)과,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115)와, 전사부로서의 전사 롤러(116)를 포함한다.
(정착부)
(탠덤 정착)
정착부로서의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는, 기록재(102)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기록재(102)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킨다.
제2 정착기(170)는, 제1 정착기(150)보다 기록재(102)의 반송 방향에 대해서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정착기(170)는, 제1 정착기(150)가 정착시킨 기록재(102) 상의 토너상에 원하는 광택을 부여하거나, 정착 처리에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는 평량이 큰 기록재(예를 들어, 두꺼운 시트)에 대해서 열량을 보충하거나 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제1 정착기(150)만으로 정착이 가능한 경우에는 제2 정착기(170)를 이용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량 저감의 목적으로 기록재(102)는 제2 정착기(170)를 경유하지 않고 반송 경로(130)로 반송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기록재(102)가 보통지나 얇은 시트인 경우이며, 고광택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일어난다. 제2 정착기(170)에 기록재(102)를 반송하는(탠덤 정착 루트)가, 제2 정착기(170)를 우회하여 기록재(102)를 반송하는(바이패스 루트)가는, CPU(301)가 플래퍼(131)를 전환함으로써 제어한다.
(정착기의 구성)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는, 각각,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1 장착부(141) 및 제2 장착부(142)(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는, 각각, 이하의 구성을 갖는 정착기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정착기(150)에는, 식별부로서의 저항체(115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정착기(170)에는, 식별부로서의 저항체(1174)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는 후술한다.
도 3은 정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본 실시예에서 상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간단함을 위해 생략한다.
(잼 해소 처리)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300) 내에서 시트 잼이 발생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착부에서의 잼이란, 시트(들)의 잼 발생에 수반하여, 제1 정착기(150) 및/또는 제2 정착기(170)에 있어서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제1 정착기(150)에 있어서 잼이 발생했을 경우나, 화상 형성 장치(300) 내의 제1 정착기(150) 이외의 장소에서 발생한 다른 시트의 잼으로 인해서 제1 정착기(150) 내에 기록재(102)가 체류했을 경우이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정착기(150)에서 정착 처리 중에, 조작자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300) 본체의 도어(예를 들면, 프론트 도어(140))의 개방으로 인하여, 화상 형성 장치(300)의 동작이 정지한 결과로, 제1 정착기(150)내에 기록재(102)가 체류했을 경우이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하,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므로, 간단함을 위해서 제2 정착기(170)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정착기(150)의 구성은 제2 정착기(170)의 구성에도 적용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300) 내의 센서(153, 155)를 포함하는 센서군(306)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300) 내에서의 시트 잼의 발생을 검지하면, 화상 형성 장치(300)의 화상 형성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때, 제1 정착기(150)에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으면, 정착부에서의 잼이 된다. 따라서, 잼의 발생 개소는 제1 정착기(150) 이외이더라도, 정착부에서의 잼이 된다. 그 후, CPU(301)는, 조작부(180)에 기록재(102)의 체류 개소를 표시함으로써, 조작자에게 체류하고 있는 시트를 제거하도록 재촉한다. 이하에서는, 제1 정착기(150)에 있어서의 정착부에서의 잼을 제1 정착기(150)에서의 잼(또는, 정착기에서의 잼)으로 간단히 칭하는 일이 있다.
잼 검지부로서의 센서(153, 155)는, 제1 정착기(150)에서의 기록재(102)의 유무를 검지한다. 이들은 예를 들면 광학 센서이다. CPU(301)는, 센서(153) 및/또는 센서(155)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재(102)가 제1 정착기(150)에 체류하고 있는 것(정착부에서의 잼)을 검지한다. 예를 들면, 기록재(102)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센서(155)가 기록재(102)의 통과를 검출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여도 하류측의 센서(153)가 기록재(102)의 통과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CPU(301)는 센서(155)와 센서(153) 사이에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여기서, 시간의 경과는 타이머(307)가 계측한다.
제1 정착기(150)에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었을 경우, 조작자는 프론트 도어(140)을 열어 제1 정착기(150)를 화상 형성 장치(300)로부터 외측으로 꺼내고 나서 기록재(102)를 제거한다. 그리고, 조작자는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를 제거한 후, 제1 정착기(150)를 화상 형성 장치(300)의 내부로 되돌리고, 프론트 도어(140)를 닫는다.
CPU(301)는,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한다.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한 후, 화상 형성 장치(300)와 제1 정착기(150) 사이의 도통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 전류계를 마련하고 CPU(301)가 전류계의 출력을 모니터함으로써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것을 검지한다.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면, 전류계와 제1 정착기(150)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전류계는 제1 정착기(150)에 규정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제1 정착기(150)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할 수 있다. 제1 정착기(150)에 규정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전류계에 전류가 흐르면, 제1 정착기(150)와 화상 형성 장치(3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따라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가 본체에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한편, 제1 정착기(150)에 규정 전압을 인가하였음에도 전류계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300)와 제1 정착기(150)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하고, 따라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전류계에 의한 전류의 계측은, 후술하는 저항체(1154)의 저항값의 검출을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1 정착기(150)가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확인)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CPU(301)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예를 들면, 메모리나 CPU 등)를 제1 정착기(150)에 마련한다.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한 후, 신호 출력부에 신호를 입력한다. CPU(301)는, 신호 출력부에의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여도 된다. CPU(301)는, 신호 출력부에의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할 수 없으면,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또 다르게는,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화상 형성 장치(300)에 마련하고, CPU(301)는 그러한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CPU(301)는, 센서(153, 15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정착기(150)에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의 유무를 확인한다. 이때, CPU(301)는, 제1 정착기(150)에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지 않으면 잼 처리가 완료했다고 판정한다.
제1 정착기(150)에서의 잼이 발생하면, 즉, 제1 정착기(150)에 기록재(102)가 체류한 상태가 되면, 체류한 기록재(102) 상의 미정착 토너가 부착되어, 정착 롤러(151)가 오염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재(102)가 정착 롤러(151) 둘레에 감겨진 상태로 체류했을 경우나, 조작자가 체류한 기록재(102)를 제거할 때 기록재(102)가 정착 롤러(151)에 스쳐 버리는 경우 등에 그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잼 해소 처리의 완료를 확인한 후, 후술하는 제1 정착기(150)의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잼 해소 후의 클리닝 처리)
정착부에서의 시트 잼의 해소 후에 실행부로서의 CPU(301)가 실행시키는 정착부의 클리닝 처리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웹(160)의 권취 시간의 계측은, CPU(301)가 시계(313)의 클럭 신호를 카운트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웜업 처리)
정착부의 클리닝 처리가 완료하면, CPU(301)는 정착 처리를 개시하기 위한 준비로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 웜업 처리는, 상술한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화상 형성 장치(300)의 메인 스위치(101)가 ON 되었을 때 등에 실행된다. 웜업 처리의 상세는 실시예 1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작업의 재개)
제1 정착기(150)의 웜업 처리가 완료한 후 화상 형성 장치(3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됨에 수반하여, CPU(301)는 잼의 발생에 의해 중단하고 있던 인쇄 동작을 재개시킨다. CPU(301)는 조작부(통지부)(180)에 「인쇄 중입니다」의 표시를 실시한다.
만약, 제1 정착기(150)의 웜업 처리 동작이 완료하였더라도 화상 형성부(309) 등의 제1 정착기(150) 이외의 부분(들)의 스타트-업 처리가 완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CPU(301)는 제1 정착기(150) 이외의 부분(들)의 준비가 완료하는 것을 기다리고 나서 인쇄 동작을 재개시킨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하여도 마찬가지가 적용된다.
(스탠바이 모드)
스탠바이 모드란, 화상 형성 장치(3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이며, 조작자로부터의 인쇄 명령(인쇄 작업)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인 기간을 가리킨다. 상술한 웜업 처리의 완료 후에 재개하는 작업이 없는 경우나, 인쇄 동작의 완료 후 등에 화상 형성 장치는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3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CPU(301)는, 조작부(통지부)(180)에「인쇄할 수 있습니다」의 표시를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탠바이 모드가 되어 있을 때,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나서 곧바로 인쇄 동작을 개시할 수 있도록,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에 대한 온도 제어(예를 들면 정착 롤러(151) 및 가압 벨트(152)의 온도 제어)를 계속시키고 있다.
웜업 처리 동작 중에 인쇄 동작이 예약되었을 경우에는,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시키는 일없이 예약된 인쇄 작업을 개시시킨다. 즉, 이러한 경우,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의 웜업 처리 동작이 완료한 후 화상 형성 장치(3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 가능한 상태가 되면,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시키는 일없이 예약된 인쇄 작업을 즉시 개시시킨다.
만약,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의 웜업 처리 동작이 완료하여도 화상 형성부(309) 등의, 제1 정착기(150) 또는 제2 정착기(170)가 아닌 다른 부분(들)의 스타트-업 처리가 완료하여 있지 않은 경우에는, CPU(301)는 다른 부분(들)의 준비가 완료하는 것을 기다리고 나서 인쇄 동작을 재개시킨다.
(정착기의 교환)
정착기의 교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여러 가지 종류 및 사이즈의 기록재(102)에 인쇄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는, 고품질의 인쇄물을 제공하기 위해서, 기록재(102)의 종류나 조작자의 취향에 따라 정착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재(102)로서 봉투를 사용할 경우에는 봉투 전용의 정착기를 이용한다. 봉투는 정착 처리시에 부여되는 압력에 의해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므로, 정착 롤러(151)와 가압 벨트(152) 사이의 압력(닙압이라고도 함)이 봉투에 맞추어 조정된 정착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특정한 폭 사이즈 전용의 정착기를 예로 들 수 있다. 동일한 폭의 기록재(102)가 연속하여 닙부를 통과하면, 정착 롤러(151)의 표면이 기록재(102)의 폭방향 에지부에서 손상된다. 정착 롤러(151)의 손상이 무시할 수 없는 레벨이 되면, 이보다 폭이 넓은 기록재(102)가 처리될 때, 그러한 손상에 의하여 화상의 광택이 불균일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 같은 구성의 정착기를 기록재(102)의 사이즈마다 전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폭이란 기록재(102)의 반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정착 롤러(151)의 길이 방향)으로 측정되는 치수이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300)에 따르면, 조작자는, 기록재(102)의 종류나 기호에 따라 정착기를 교환할 수 있다.
정착기를 교환하는 경우, 조작자는 프론트 도어(140)를 열어,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를 장치 밖으로 꺼낸다. 그리고나서 조작자는 꺼낸 정착기와는 다른 정착기를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하고, 프론트 도어(140)를 닫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를 각각 교환가능하다.
(정착기의 식별부와 본체 메모리)
본 실시예에서는, 정착기가 교환가능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정착기(150)에 식별부로서의 저항체(1154)를 설치하고 있고 제2 정착기(170)에 식별부로서의 저항체(1174)를 설치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에 이미 장착된 상태에 있는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뿐만이 아니라, 교환용 정착기로서 화상 형성 장치(300) 외측에 준비되어 있는 정착기에서도 식별부로서의 저항체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 교환용 정착기에 설치되어 있는 저항체는, 식별을 위해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저항체(1154)에 규정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저항체(1154)에 흐르는 전류치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저항 검출부(1310)로서 저항체(1154)에 규정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와 저항체(1154)에 흐르는 전류를 계측하는 전류계를 가지고 있다. CPU(301)는 이 전류계의 출력을 모니터한다.
오옴의 법칙에 의해 규정 전압을 인가할 때 저항값과 전류치는 일대일로 대응한다. CPU(301)는, 전류계의 출력을 취득함으로써, 저항체(1154)의 저항값을 구할 수 있다. 제1 정착기(150)와 교환용 정착기는 서로 다른 저항값의 저항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CPU(301)는, 전류계의 출력의 차이로부터 정착기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저항값이 식별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CPU(301)가 저항체(1154)의 저항값에 근거하여 제1 정착기(150)를 식별하는 것을, 이하에서는 「제1 정착기(150)(정착기)의 ID를 식별한다(취득한다)」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제2 저항 검출부(1311)의 구성은 제1 저항 검출부(1310)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2 정착기(170)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화상 형성 장치(300)에는 기억부로서의 본체 메모리(312)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메모리(312)는, EEPROM,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여기서,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를 포함한 정착기군에 저항체를 설치한 이유는, 이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정착부에서의 잼의 해소 후에 클리닝 처리를 하지 않은 채, 정착기가 일단 장치로부터 꺼내져 버리고나서, 이 꺼내진 정착기가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재차 장착되었을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교환 대상의 정착기가 제1 정착기(150)인 케이스이다.
예를 들어, 장치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가 봉투 전용이 아니며, 인쇄 완료까지 1시간 이상 걸리는 (예를 들면, 보통지에의) 인쇄 작업을 개시한다. 이 인쇄 작업의 개시 15분 후 등(초기 단계)에서 정착기 A에서의 시트 잼이 발생해 버렸다고 하자. 그러면 조작자는 조작부(180)의 표시에 따라 잼 해소 처리를 실시한다. 그렇지만, 급거 봉투의 인쇄가 필요하게 되었을 경우, 조작자가 정착기 A에 의한 이전의 인쇄 작업을 중단하고, 봉투의 인쇄에 착수하는 것이 상정된다. 조작자는, 클리닝 처리를 빠뜨리고 정착기 A를 봉투 전용의 정착기 B로 교환할 수 있다.
종래, CPU는 정착부에서의 잼이 발생한 것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메모리에 기억해 둠으로써, 잼 해소 처리 후에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고 있다. 이 경우에, 잼 해소 처리 후에 정착기 A가 정착기 B로 교환되어 버리면, CPU는, 바꾸고 난 후의 새로운 정착기 B에 대해서만 클리닝 처리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CPU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 후에 행해져야 할 클리닝 처리를 완료하였다고 판정하여 버리게 된다.
후일, 조작자가 봉투 이외의 기록재(예를 들면, 보통지) 상에 인쇄를 하려고 할 경우, 조작자는 재차 정착기 A를 장착하게 된다. 클리닝 처리를 거치지 않은 정착기 A의 정착 롤러는 토너로 오염된 채인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인쇄 동작이 실시되어 버리면, 화상 품질이 현저히 저하 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저항체(1154)를 제1 정착기(150)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정착부에 있어서의 잼 해소 처리 후에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정착기의 ID와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키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상황의 경우, 정착기 A에 저항값 R1의 저항체를 설치하고 정착기 B에는 저항값 R1과는 다른 저항값 R2의 저항체를 설치해 둔다. 그리고, 본체 메모리(312)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이력 있음”또는“이력 없음”이라고 하는 잼 이력 정보를 정착기의 ID와 대응(상관)지어서 보관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정착기(150)에서의 시트 잼이 발생했다면, 본체 메모리(312)에 정착기의 ID와 대응지어서 잼 이력(“이력 있음”)을 기억시킨다.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 후에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면,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 정착기의 ID와 상관지어져 기억되어 있는 잼 이력을 클리어한다. “이력 있음”은,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고, “이력 없음”은,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조작자에 의해 제1 정착기(150)가 재장착되면, CPU(301)는 재장착된 제1 정착기(150)로부터 정착기 ID를 취득한다. 그리고나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로부터 취득한 정착기 ID에 대응하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클리닝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취득한다.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취득한 정보가,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CPU(301)가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졌어야 할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도록 한다.
한편, 본체 메모리(312)가 보관하는 정보가 달리 나타내고 있는 경우, CPU(301)는, "이력 없음"으로 판정한다.
본체 메모리(312)에의 정보의 기입 방법은 상술한 바에 한정하지 않고, "yes"는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경우를 나타내고, "no"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 완료된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르게는, “클리닝 처리 미실행”을 나타내는 데이터나 “클리닝 처리가 실행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체 메모리(312)에의 정착기 ID의 기입(기록)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체 메모리(312)내에, 저항체(1154)의 저항값과 정착기의 명칭을 대응시키는 표를 보관하게 하고, 정착기의 명칭(예를 들면, 정착기 A)과 클리닝 정보를 대응지어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CPU(301)는, 전류계의 출력을 취득함으로써, 저항체(1154)의 저항값을 구하지 않고 전류계의 출력을 식별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CPU(301)는 전류계의 출력치를 정착기의 ID로서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 메모리(312)는 잼 이력 이외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이 정보는, 예를 들면, 제1 정착기(150)의 용도나 종류(봉투용, A4 사이즈용 등)를 포함한다. 제1 장착부(141)에 장착할 수 있는 정착기와 제2 장착부(142)에 장착할 수 있는 정착기가 상이한 경우에는, 제1 장착부(141) 또는 제2 장착부(142)에 대한 장착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본체 메모리(312)는, 복수의 정착기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도 19는 2개의 정착기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별부가 저항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식별하는 방법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착기(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 교환용 정착기)에 설치하는 식별부로서 딥(DIP) 스위치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식별 정보로서, 정착기마다 다른위치가 미리 ON된 상태로 되어 있다(정착기에 따라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와 위치의 편성이 상이하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의 딥 스위치와 접속되어 있어서, ON 상태의 스위치는 CPU(301)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CPU(301)에 신호를 출력한다. CPU(301)는 ON 상태의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여(정착기 ID를 취득하여), 정착기를 식별한다. 예를 들면, CPU(301)는 1번과 2번의 스위치에 신호를 입력시켰을 때, 1번의 스위치의 출력 신호를 검출했을 경우는 정착기 A, 2번의 스위치의 출력 신호를 검출했을 경우는 정착기 B, 1번과 2번의 스위치 양쪽 모두의 출력 신호를 검출했을 경우는 정착기 C로 판정한다.
정착기를 교환용의 다른 정착기와 식별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정착기(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 교환용 정착기)에 마련하는 식별부로서 정착기의 식별명(식별 정보)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메모리는 EEPROM, 플래쉬 메모리 등의 재기입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CPU(301)와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의 메모리는 접속되어 있고, CPU(301)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정착기의 식별명을 읽어냄으로써(정착기 ID를 취득함으로써) 정착기를 식별한다.
(제어 플로우)
이상을, 도 15~도 18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플로우 차트는, 실행부(기록부, 기입부)로서 기능하는 CPU(301)가, ROM(3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300)의 관련된 기구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메인 스위치의 온시 및 프론트 도어 폐쇄시의 시퀀스)
도 15는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메인 스위치(101)가 온 됨에 따라, CPU(301)는 기동한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S10101).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으면,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ID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이 단계에서의 판정의 결과가 부정이라면, S10101로 복귀한다.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으면, S10102로 이행한다.
CPU(301)는, 도 17에 나타내는 스타트-업 시퀀스 3을 제1 정착기(150)에 실시하게 한다(S10102). 상세는 후술한다.
제1 정착기(150)의 스타트-업이 완료하면, CPU(301)는 조작부(180)에 「인쇄할 수 있습니다」의 표시를 실시하여, 화상 형성 장치(300)가 화상을 형성할 수 있음을 조작자에게 통지한다(S10103). 그리고나서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한다.
도 16은 프론트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프론트 도어(140)의 개폐 상태는, CPU(301)가 프론트 도어(140)의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검지한다. 프론트 도어(140)가 열려 있는 경우,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힌 상태로 되기를 기다린다(S10201). 또한, 프론트 도어(140)가 열려 있는 경우,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를 닫도록 재촉하는 표시를 해도 좋다.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하면(S10201), S10202로 이행한다. S10202~S10204는, 도 15의 S10101~S10103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S10204 후에,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한다.
(스타트-업 시퀀스)
도 17은,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 3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의 플로우 차트는, S10102, S10203, 그리고 후술하는 S10410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ID를 취득한다(S10301). 구체적인 ID의 취득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의 정보를 취득한다(S10302).
S10301에서 취득한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정보(잼 이력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경우, CPU(301)는 S10304로 이행한다(S10303에서 Yes).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잼 이력이 클리어 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도,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잼 이력 정보(이력 없음)를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S10304로 이행한다(S10303).
S10301에서 취득한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잼 이력이, "이력 있음"으로서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었을 경우, S10305로 이행한다(S10304).
CPU(301)는 클리닝부 등을 제어하여 전술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S10305).
클리닝 처리가 완료하면,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되어 있던 제1 정착기(150)에 대한 잼 이력을 클리어한다(S10306).
S10304에서, 본체 메모리(312)에, S10301에서 취득한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잼 이력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잼 이력이 클리어 되어 있을)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S10307로 이행한다. 본체 메모리(312)에 잼 이력이 없은 경우에는, 이미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임을 의미한다. 클리닝 처리가 불필요할 경우에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음으로써, 메인 스위치(101)를 온으로 하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300)가 화상 형성을 개시 가능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클리닝 처리에 요구되는 시간(100초)만큼 단축할 수 있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를 제어하여 전술한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S10307).
S10301에서 취득한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정보(잼 이력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취득할 수 없는 경우(S10303에서 No), CPU(301)는 S10308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정보가 정착기 A와 정착기 B에 대한 보고인 경우이며, S10301에서 취득한 제1 정착기(150)의 ID가 정착기 C(저항값 R3)인 경우, CPU(301)는 S10308로 이행한다.
S10308에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ID와 잼 이력을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기억시킨다. 이러한 경우, 잼 이력이 "이력 있음"으로 가정하고, CPU(301)는, S10305로 이행한다.
S10303에서 판정의 결과가 "No"인 경우에 S10305에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S10301에서 취득한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잼 이력의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제1 정착기(150)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는 것이 처음인 것이 상정된다. 교환가능 정착기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잼 해소 처리 후에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유저가 2대의 화상 형성 장치(300)(화상 형성 장치 M과 화상 형성 장치 N)를 소유하고 있고, 제1 정착기(150)로서 화상 형성 장치 M, N 중의 어느 쪽의 장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정착기 A를, 일상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 M에서 이용하고 있는 경우이다. 정착기 A는 화상 형성 장치 N에는 장착되었던 적이 없고, 화상 형성 장치 N의 본체 메모리는 정착기 A에 대한 잼 이력 정보는 기억하고 있지 않다. 조작자가, 정착기 A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 M으로부터 정착기 A를 떼어냈다고 하자. 후일, 조작자가 이 정착기 A를, 화상 형성 장치 M이 아니라 화상 형성 장치 N에 설치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라도, 화상 형성 장치 N에 장착된 정착기 A에 대해서 클리닝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는 것이 처음인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었을 경우에, 인쇄물의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S10303에서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CPU(301)는 S10308로 이행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10303에서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CPU(301)는 S10305로 이행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S10306에 있어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ID와 잼 이력(이력 없음, 즉 데이터 없음)을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S10308에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ID와 잼 이력을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제1 정착기(150)의 ID와 잼 이력을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하는 경우에,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되어 있던 이전의 정보를 삭제하는(이전의 정보에 덮어쓰기를 함)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S10306, S10308 또는 S10408에서, CPU(301)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클리닝 정보)를 기입함과 동시에, 시계(313)의 현재 시각을 정착기의 ID에 대응지어서 기록한다.
본체 메모리(312)에 기억시킬 수 있는 영역이 2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체 메모리(312)는 이미 정착기 A(시각은 2015년 1월 1일 14:00)와 정착기 B(시각은 2012년 1월 1일 7:00)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고 하자. S10301에서 취득한 제1 정착기(150)의 ID가 정착기 C를 나타내는 경우, CPU(301)는, S10303으로부터 S10308로 이행한다. CPU(301)는, 2개의 정착기에 대한 정보 가운데, 오래된 편인, 즉 정착기 B에 대한 정보(정착기의 ID, 잼 이력과 시각)를 삭제하고, 정착기 C에 대한 정보(정착기의 ID, 잼 이력과 시각)를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한다(S10308).
이 경우, 본체 메모리(312)에 정착기 C에 대한 정보를 기억시킬 여유가 있는 경우(예를 들면, 기억시킬 수 있는 영역이 2개인 경우)이며, 이미 기억하고 있는 정보가 정착기 A에 관해서만인 경우에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삭제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각으로서 클리닝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에 기입했을 시각을 기록하지만, 다음의 시각을 기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S10308이나 후술의 S10408에서 잼 이력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정착부에서의 잼이 발생했을 때의 시각을 기록하고, S10306에서 잼 이력을 클리어하는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가 완료했을 때의 시각을 기록하는 구성이다.
본체 메모리(312)의 가장 오래된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본체 메모리(312)의 요구되는 영역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S10306에서의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되어 있던 잼 이력의 클리어는, 상술한 타이밍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웜업 처리(S10307)가 완료함에 따라,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되어 있던 잼 이력을 클리어 해도 된다.
또한, S10306에 있어서의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되어 있던 잼 이력의 클리어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 완료인 상태에서, CPU(301)가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프론트 도어(140)의 개방을 검지함으로써 클리어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S10306에서의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되어 있던 잼 이력의 클리어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 완료인 상태에서, 메인 스위치(101)가 오프로 됨에 따라 클리어 하도록 해도 된다. 제1 정착기(150)의 교환에는, 프론트 도어(140)의 개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잼 발생시의 시퀀스)
도 18은, 정착부에서의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인쇄 작업 실행시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의 화상 형성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 스탠바이 모드에 있어서, 조작부(180)나, 외부 I/F부(304)를 거쳐 외부의 PC 등으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한다. 그러면, CPU(301)는, 스테이션(120~123), 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여러 가지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3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시킨다(S10401). 이때, 화상 형성 장치(300)는, 조작부(180)나 외부 PC의 표시 화면에, 인쇄하는 기록재(102)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조작자의 지시를 수신한다.
CPU(301)는, 인쇄 작업이 완료하면, 화상 형성 장치(300)를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시킨다(S10402).
CPU(301)는, 인쇄 작업이 완료하고 있지 않은 단계(S10402)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 내에서의 잼의 발생을 검지하면(S10403), 화상 형성 장치(3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정지, 즉, 인쇄 작업을 중단시킨다. 여기서, CPU(301)는, 센서군(306)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300) 내에서의 잼을 검지한다.
화상 형성 장치(300) 내에서의 잼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 CPU(301)는 인쇄 작업이 끝날 때까지 인쇄 작업을 속행시킨다(S10402, S10403).
잼에 수반하여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는 개소가 제1 정착기(150)(제2 정착기(170)) 외측인 경우에는, CPU(301)는, S10406으로 이행한다(S10405). CPU(301)는, 센서군(306)으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가 제거될 때까지 대기한다. CPU(301)는, 센서군(306)으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의 제거를 검지하면, 전술한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
한편, CPU(301)는,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는 개소가 제1 정착기(150)(제2 정착기(170))였을 경우(정착부에서의 잼)에는, S10408로 이행한다(S10405).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의 ID와 대응지어 잼 이력을 기록한다(S10408).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의 ID는, 메인 스위치의 ON시나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 또는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상술한 스타트-업 시퀀스 3에 있어서 CPU(301)에 의해 이미 취득되어 있다(도 17의 S10301).
CPU(301)에 의한 본체 메모리(312)에의 잼 이력의 기록은, 프론트 도어(140)가 개방됨에 따라 실행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정착기(150)는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조작자에 의해 교환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제1 정착기(150)에서의 잼을 검지한 후에, 잼 해소를 위해서 조작자에 의해 제1 정착기(150)가 떼어내지기까지 본체 메모리(312)에 잼 이력을 기록하여 둔다.
CPU(301)는, 센서(153, 155)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1 정착기(150)에서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가 제거될 때까지 대기한다(S10409). CPU(301)는, 제1 정착기(150)에서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가 제거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면, 스타트-업 시퀀스 3(S10410)로 이행한다(S10409). 이때, CPU(301)는,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하고, 제1 정착기(150) 내의 기록재(102)의 유무를 확인한다.
스타트-업 시퀀스 3(S10410)는 도 17에 나타내는 플로우에 대응하고 있다. 스타트-업 시퀀스 3(S10410)에서는,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ID를 취득하고(S10301), 본체 메모리(312)에서의 그에 대한 정보를 취득함(S10302)에 따라,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잼 이력을 확인한다. 여기서, 잼 이력 정보의 확인을 실시하는 이유는, 잼 해소를 위해서 프론트 도어(140)를 개방한 타이밍에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제1 정착기(150)의 스타트-업 시퀀스 3(S10410) 혹은 웜업 처리 S10407가 완료하면,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재개, 즉, 중단하고 있던 인쇄 작업을 재개시킨다(S10411).
또한, CPU(301)는, 조작부(180)에 「인쇄 중입니다」등의 표시를 실시하여, 화상 형성 장치(300)가 인쇄를 실행하고 있음을 조작자에게 통지한다.
그 후, S10402로 돌아와서, CPU(301)는 인쇄 작업이 끝날 때까지 인쇄 작업을 속행시킨다(S10402, S10403).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자에 의한 제1 정착기(150)의 교환에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프론트 도어(140)의 개폐가 요구된다. 즉, 조작자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의 프론트 도어(140)가 열렸을 경우에는,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메인 스위치(101)가 오프인 동안에도,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300)의 메인 스위치(101)가 온으로 된 것이나,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짐에 응답하여, CPU(301)가 제1 정착기(150)의 ID를 취득하고,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잼 이력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취득한다. 이에 의해,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재차 장착되어도,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게 되기 때문에,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13)
실시예 12에서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키고 있다. CPU(301)가 그 정보에 근거하여, 재장착된 정착기에 대해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있다.
실시예 12에서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어 버렸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본 실시예에서의 상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간단함을 위해 생략한다.
이하,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클리닝 처리의 실행 중에 조작자가 프론트 도어(140)를 개방했을 경우, CPU(301)는 클리닝 처리를 중단시킨다. CPU(301)는,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프론트 도어(140)가 열린 것을 검지한다.
실시예 12에서는, 클리닝 처리가 완료하고 나서 본체 메모리(312)의 잼 이력을 클리어한다. 그러므로, 클리닝 처리의 실행 도중의 어떤 시점에 조작자가 본체로부터 제1 정착기(150)를 꺼내 버릴 경우, 본체 메모리(312)의 잼 이력은 클리어되지 않는다. 조작자에 의해 재차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었을 때에는, CPU(301)에 의해 클리닝 처리가 최초부터 실행되어 버린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클리닝 처리가 중단된 시점에서 클리닝 처리가 100초분 중 80초분에 대해서는 이미 실시되어 있었던 것과 같은 경우에는, 정착 롤러(151)의 토너 오염은 상당히 큰 정도로 제거되어 있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리닝 처리를 100초 동안 실행시켜 버리면 조작자의 대기 시간을 증가시켜 버리게 된다.
그래서, 클리닝 처리가 중단된 제1 정착기(150)가 재차 장착되었을 경우, (실시예 12의 클리닝 처리보다 짧은)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본 실시예에서는 100초간)에 있어서, “실행이 끝난 상태”,“처리 중단” 및 “이력 없음”을 포함하는 3종류의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CPU(301)는, 클리닝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시켜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키고 있다.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취득하는 제1 정착기(150)에 대한 정보가“이력 없음”인(클리닝 이력의 데이터가 클리어되어 있음)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이다고 판별하여 상술한 클리닝 처리(100초간)를 실행시킨다. 한편,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취득하는 제1 정착기(150)에 대한 정보가“처리 중단”인 경우에는, 상술한 클리닝 처리(100초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의 단기간 클리닝 처리(본 실시예에서는 50초간)를 실행시킨다.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취득하는 제1 정착기(150)에 대한 정보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나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는다.
(제어 플로우)
도 20~도 23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플로우 차트의 동작은, 실행부(기록부, 기입부)로서 기능하는 CPU(301)가, ROM(3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300)의 관련된 기구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스타트-업 시퀀스)
실시예 13에서의 스타트-업 시퀀스 플로우는, 실시예 12에서의 스타트-업 시퀀스 플로우와 상이하다. 도 20은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 4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의 플로우 차트는, 도 21의 S10610, 도 22의 S10702, 도 23의 S10803의 스타트-업 시퀀스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CPU(301)는 제1 장착부(141)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ID를 취득하고, 장착된 정착기를 식별한다(S10501). 구체적인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의 정보를 취득한다(S10502).
S10501에서 식별한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정보(클리닝 이력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경우, CPU(301)는 S10504로 이행한다(S10503에서 Yes). 또한,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클리닝 이력이 클리어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도,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해 "이력 없음"의 클리닝 이력을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S10504로 이행한다(S10503).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제1 정착기(150)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는 S10510으로 이행하고,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이외의 경우는 S10505로 이행한다(S10504).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제1 정착기(150)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이외이며“처리 중단”인 경우는 S10506으로 이행하고(S10505), 전술한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S10506).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제1 정착기(150)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이외이며“처리 중단”이 아닌 경우(즉, 미실행인 경우)는 S10507로 이행한다(S10505). CPU(301)는, 클리닝부를 제어하여 전술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S10507).
CPU(301)는, 클리닝 처리 또는 단기간 클리닝 처리가 실행 중에 중단되었을 경우, S10511로 이행한다(S10508).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처리 중단”을 나타내는 클리닝 이력을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의 ID와 대응지어 기록한다(S10511). 여기서 제1 정착기(150)에의 스타트-업 시퀀스 4는 중단으로 된다.
CPU(301)는 클리닝 처리 또는 단기간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지 않았던(완료한) 경우는 S10509로 이행한다(S10508). CPU(301)는,“실행이 끝난 상태”를 나타내는 클리닝 이력을 제1 정착기의 ID와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킨다(S10509). 그 후, CPU(301)는 제1 정착기(150)를 제어하여 전술한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S10510).
클리닝 처리가 불필요한 경우에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음으로써, 메인 스위치(101)가 온으로 되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300)가 화상 형성을 개시 가능해질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을 100초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클리닝 처리가 짧아도 충분한 경우에,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에 의해, 메인 스위치(101)가 온으로 되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300)가 화상 형성을 개시 가능해질 때까지의 시간(50초분)을 단축할 수 있다.
S10503에서, S10501에서 식별한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정보(클리닝 이력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지 않은 경우(S10503에서 No), CPU(301)는 S10512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정보가 정착기 A와 정착기 B만에 대한 것인 경우이며, S10501에서 취득한 제1 정착기(150)의 ID가 정착기 C(저항값 R3)인 경우, CPU(301)는 S10512로 이행한다.
S10512에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ID와 클리닝 이력을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한다. 이 경우, 클리닝 이력은 "이력 없음"(클리닝 이력이 클리어 된 상태)으로 하고, CPU(301)는, S10507로 이행한다.
S10501에서 식별한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클리닝 이력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제1 정착기(150)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는 것이 처음인 것으로 상정된다. 실시예 12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환가능 정착기 시스템에서는, 제1 정착기(150)는,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발생한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실행되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S10501에서 식별한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정보(클리닝 이력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지 않은 경우, CPU(301)는 제1 정착기(150)에 대해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는 것이 처음인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었을 경우에, 인쇄물의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S10503에서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CPU(301)는, S10512로 이행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10503에서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CPU(301)는, S10507로 이행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지 않았던(완료한) 경우,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ID와 클리닝 이력(실행이 끝난 상태)을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한다. 한편, 이 경우에, 클리닝 처리가 실행 중에 중단되었을 경우, S10511에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ID와 클리닝 이력(처리 중단)을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한다.
단기간 클리닝 처리의 실행 시간은, 일정 시간(50초간)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클리닝 처리가 중단될 때까지 실행된 클리닝 시간에 따라 제어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클리닝 처리가 중단될 때까지 실행된 클리닝 시간을 타이머(307)가 계측한다. CPU(301)는, 클리닝 이력과 아울러, 클리닝 처리가 중단될 때까지 실행된 클리닝 처리(혹은 단기간 클리닝 처리)의 클리닝 시간에 관련하는 정보를 제1 정착기의 ID와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한다(S10511). CPU(301)는 클리닝 이력과 아울러 이 클리닝 시간에 관련하는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읽어내고(S10502), 기억되어 있는 클리닝 시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시간 동안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S10506).
이때, 단기간 클리닝 처리의 실행 시간에 대해서는, 반드시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지 않았던 경우의 시간과 클리닝 처리가 중단될 때까지 실행된 클리닝 시간과의 차분으로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100초간의 클리닝 처리가 50초 미만의 타이밍에 중단되었을 경우는 80초간의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고, 50초 이상 100초 미만의 타이밍에 중단되었을 경우는 30초간의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클리닝 처리가, 미리 결정된 소정 시간 이하밖에 실행되지 않고 중단되었을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를 최초부터 다시 하기 위해서, S10511에서 CPU(301)는 클리닝 이력을 클리어 한 상태로 해도 된다.
클리닝 처리가 중단된 제1 정착기(150)가 재차 장착되었을 경우에,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하지 아닐지는, 조작자의 설정으로 결정되도록 해도 좋다. 즉, 이러한 경우에 실시예 13에서와 같이 클리닝 처리를 최초부터 실행시키는 모드와 이러한 경우에 실시예 13에서와 같이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모드를 포함한 선택 사항 중에서, 조작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조작부(180)가 이러한 모드를 선택 화면에 표시하고, 조작자가 그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 선택된 모드가 전자의 모드일 경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지 않고 중단되었을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를 최초부터 다시 하기 위해서, S10511에서 CPU(301)는 클리닝 이력을 클리어 한 상태로 한다.
(잼 발생시의 시퀀스)
도 21은, 정착부에서의 시트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인쇄 작업 실행 중의 플로우 차트이다.
S10601~S10607은 도 18의 S10401~S10407과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S10608에서,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의 ID와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클리닝 이력을 클리어 한다. 이에 의해, 클리닝 이력은“이력 없음”이 되고, 상술한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된다.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의 ID는, 메인 스위치의 ON시,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 또는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상술한 스타트-업 시퀀스 4에서 CPU(301)에 의해 이미 취득되어 있다(도 20의 S10501).
S10609는 도 18의 S10409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S10610에서, CPU(301)는 도 20의 스타트-업 시퀀스 4를 실행한다.
S10611~S10612는, 도 18의 S10411~S10412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 스위치의 온시 및 프론트 도어 폐쇄시의 시퀀스)
도 22는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S10701 및 S10703은 각각 도 15의 S10101 및 S10103과 같다. S10702에서, CPU(301)는 도 20의 스타트-업 시퀀스 4를 실행한다.
도 23은 프론트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S10801, S10802 및 S10804는 각각 도 16의 S10201, S10202 및 S10204와 같다. S10803에서, CPU(301)는 도 20의 스타트-업 시퀀스 4를 실행한다.
(실시예 14)
실시예 12에서는, CPU(301)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클리닝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CPU(301)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클리닝 정보)를 기억 장치(200)에 보관시킨다.
도 14에 나타내는 기억 장치(200)는, 네트워크 케이블을 거쳐 화상 형성 장치(30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기억 장치(200)는, 재기입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외부 IF부(304), 및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서버 컴퓨터이며, 화상 형성 장치(300)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서버로서 기능한다. 기억 장치(200)는, 기억 장치(200)를 제어하는 CPU와, CPU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을 포함한다. 기억 장치(200)의 CPU는, 네트워크를 거쳐 통신 회로가 수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정보를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네트워크를 거쳐 통신 회로가 수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지시에 따라 메모리의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300)에 제공하거나 한다.
기억 장치(200)와 화상 형성 장치(300)는 네트워크 케이블을 거쳐 접속된다고 하였지만,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CPU(301)가 기록부(기입부)로서 기능한다.
CPU(301)는, 네트워크를 거쳐 외부 I/F부에 접속되어 있는 기억 장치(200)의 메모리에, 클리닝 정보를 제1 정착기(150)의 ID와 대응지어 기억시키거나 기억 장치(200)의 메모리가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취득하거나 한다. CPU(301)는, 기억 장치(200)로부터 취득하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클리닝 정보가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상술의 실시예 12와 유사하게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구체적인 동작은, 상술한 실시예 12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 12의 설명에서, 본체 메모리(312)를 기억 장치(200)로 옮겨놓고 읽어내면 된다. 도 15~도 18의 플로우 차트에 있어서도, 「메모리」(예를 들면, 도 17의 S10302)의 기재를, 기억 장치(20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읽으면 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도,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되어도,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게 되므로, 기록재(102)의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기억 장치(200)는, 제1 정착기(150)와 사용가능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은,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300)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경우,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클리닝 처리를 실행 완료한 정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메인 스위치(101)를 온으로 하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3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 가능해질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조작자의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구체적인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교환 대상이 제1 정착기(150)인 케이스이다.
예를 들면, 유저가 2대의 화상 형성 장치(300)(화상 형성 장치 P와 화상 형성 장치 Q)를 소유하고 있다고 하자. 정착기 A는, 제1 정착기(150)로서 화상 형성 장치 P, Q의 어느 쪽의 장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조작자는, 일상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 P에 장착하고 있는 정착기 A를, 일시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 Q의 제1 정착기(150)로서 사용하려 했다고 하자. 조작자는, 정착기 A를 화상 형성 장치 P로부터 떼어내어, 화상 형성 장치 Q에 장착한다. 이때, 정착기 A는 화상 형성 장치 P에서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완료된 상태라고 하자.
상술한 실시예 12와 같이, 본체 메모리(312)에 클리닝 정보를 보관시키는 구성의 경우, 화상 형성 장치 Q의 본체 메모리(312)에 정착기 A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없으면, 화상 형성 장치 Q의 CPU(301)는, 정착기 A에 대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정착기 A가 이전의 화상 형성 장치 P에서 클리닝 처리가 실행 완료된 상태인 경우에도, 화상 형성 장치 Q에서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버린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 P, Q는 네트워크를 거쳐 기억 장치(200)에 접속되어 있어서, 클리닝 정보를 기억 장치(200)에 보관시키는 구성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된다. 실시예 12의 도 17의 플로우 차트를 활용하여 설명한다.
정착기 A가 클리닝 처리를 실행 완료한 상태인 것은 화상 형성 장치 P에 의해 기억 장치(200)의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다(도 17의 S10306).
그리고 이제 조작자는, 화상 형성 장치 P로부터 떼어낸 정착기 A를 화상 형성 장치 Q에 장착한다. 그 후, 조작자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Q의 메인 스위치(101)가 온으로 되면, 화상 형성 장치 Q의 CPU(301)는,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도 15의 S10101), 도 17의 스타트-업 시퀀스 3으로 이행한다(도 15의 S10102).
화상 형성 장치 Q의 CPU(301)는, 도 17의 S10302에서, 정착기 A가 클리닝 처리의 실행을 완료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 장치(200)로부터 취득한다. 따라서, 정착기 A가 화상 형성 장치 P에 의해 클리닝 처리의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 Q에 있어서의 동작은 클리닝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웜업 처리로 이행할 수가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서, 화상 형성 장치 Q의 CPU(301)는, S10303에서 "Yes" 및 S10304에서 "No"를 거쳐 이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Q에 있어서, 조작자의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의 정보(클리닝 정보)를 기억 장치(200)에 보관시키는 구성을 실시예 12에 적용하였지만, 실시예 13에 적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인 동작은, 상술한 실시예 13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한 동작의 설명에 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 13의 설명에 있어서 본체 메모리(312)를 기억 장치(200)로 옮겨놓고 읽으면 된다. 도 20~도 23의 플로우 차트에 대해서도, 「메모리」(예를 들면, 도 20의 S10502)의 기재를, 기억 장치(20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읽으면 된다.
(실시예 15)
이상의 실시예 12 및 13에서는, CPU(301)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의 정보(클리닝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14에서는, CPU(301)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의 정보(클리닝 정보)를 기억 장치(200)에 보관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체 메모리(312)와 백업으로서의 기억 장치(200)의 양방에 상기 정보를 보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실시예 16)
이상의 설명에서는, CPU(301)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완료된 상태인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고 하였지만, 후술한 바와 같은 예외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라고 하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예외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여도, 예외적으로, 드물게,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여러 차례의 정착 처리를 거쳐 축적된 토너 오염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CPU(301)는 스타트-업 시퀀스의 누적 실행 회수 100회에 1회의 비율로,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러한 경우, CPU(301)는, 제1 정착기(150)에서의 스타트-업 시퀀스 동작의 누적 실행 회수를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하고, 이 기록된 누적 실행 회수에 근거하여 예외 처리를 실행한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에서의 스타트-업 시퀀스의 누적 실행 회수를 기억 장치(200)에 기록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러나,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면, 메인 스위치(101)를 온으로 하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300)가 화상 형성을 개시 가능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행은 단지 예외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17)
이상의 설명에서는, 조작부(180)는 표시 화면과 선택 키를 구비하지만, 표시 화면을 터치 패널로 하여 터치 패널이 선택부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실시예 18)
정착기 교환가능 시스템에 의하여, 조작자는, 정착기를, 사용되는 기록재(102)의 종류나 조작자의 기호에 따른 다른 정착기로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조작자가 기록재(102)에 적합한 정착기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보다 고품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교환가능 정착기 채용시의 이점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 점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조작자가 선호하는 기록재(102)와 정착기의 용도가 서로 적절히 일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조작자에게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정착기의 용도와 화상을 인쇄하는 기록재(102) 사이를 대응시키는 방법에 대해, 전술한 실시예 12(도 17 및 도 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2와 같으므로, 공통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단함을 위해 생략한다.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정착기(150)는, 제한 정보부로서 기능하는 저항체를 구비한다. 이 경우, 도 14에 나타내는 저항체(1154)를 제한 정보부로서 기능하는 저항체로서 바꿔 읽으면 된다. 교환용 정착기로서 화상 형성 장치(300) 외부에 준비되어 있는 정착기에도 제한 정보부로서의 저항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저항값은, 제1 정착기(150)에 의한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102)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고, 제1 정착기(150)의 정착 처리에서 사용하는 기록재(102)의 종류를 제한하는 정보로서 기능한다. 제한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전술한 정착기의 ID를 취득하는 방법과 같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 메모리(312)에는, 저항체(제한 정보부)의 저항값(제한 정보)에 대응시켜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102)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저항값이 R4인 경우는 봉투의 정착을 제한하고, 저항값이 R5인 경우는 두꺼운 시트의 정착을 제한하는 등이다.
도 17의 S10301에서,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ID를 취득함과 아울러, 제1 정착기(150)의 저항체(제한 정보부)의 저항값(제한 정보)을 취득한다. CPU(301)는, 이 제한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는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정착기(150)에 대해서 정착 처리를 제한해야 할 기록재(102)의 종류를 결정한다.
도 18의 S10401에서, CPU(301)는, 조작자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할 때에 선택 화면 상에서 제1 정착기(150)에 대해 적합하지 않은 기록재(102)의 종류를 선택 불가로 한다.
따라서, 부적합한 제1 정착기(150)를 사용하는 인쇄를 방지할 수가 있어서 고품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102)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가 제한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구성이 아니라도 좋다. 예를 들면, CPU(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항체(제한 정보부)의 저항값에 따라 기록재(102)의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구성한다. 이러한 경우, 이 프로그램은 ROM(303)에 저장되어 있다.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므로, 제2 정착기(17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한 정보부로서 저항체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정착기(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 교환용 정착기)에 마련하는 제한 정보부로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딥 스위치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제한 정보로서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102)의 종류에 따라 다른 스위치가 미리 ON 된 상태로 되어 있고 CPU(301)는 ON 상태의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정착 처리가 제한되는 기록재(102)의 종류를 결정한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식별부로서의 딥 스위치를 마련하는 구성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정착기(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 교환용 정착기)에 마련하는 제한 정보부는 예를 들면 "봉투용", 또는 정착기의 종류 및/또는 용도(제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모리는 EEPROM, 플래쉬 메모리 등의 재기입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CPU(301)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한 정보를 읽어냄으로써 정착 처리가 제한되는 기록재(102)의 종류를 결정한다. 이 경우,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102)에 대응하는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가 아니라, 정착기에 마련하는 제한 정보부로서의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한 정보부와 식별부를 별체로서 정착기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하나의 저항체나 메모리에 제한 정보부와 식별부의 기능을 갖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2에 적용하는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 13이나 실시예 14에 적용해도 좋다. 실시예 13이나 실시예 14에 적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9)
회수 회전체는, 정착 롤러(151, 171)의 외측으로부터 정착 롤러(151, 171)를 가열하기 위해서 내부에 히터를 포함하는 중공 롤러(외부 가열 부재)여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클리닝부를 정착 롤러(151) 측에 설치하고 있지만, 가압 벨트(152)(회전체) 측에 설치하고, 정착 롤러(151) 표면의 토너를 가압 벨트(152)에 전이시키고 나서 제거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에 있어서, 정착 롤러(151) 표면의 토너를 가압 벨트(152)에 전이시키기 위해서 정착 롤러(151)와 가압 벨트(152)를 접촉시킨다. 또한, 상술한 예와 유사하게, 클리닝 처리를 시작하기 전에 우선 가압 벨트(152)를 토너가 굳어지지 않는 정도로 가열시키고, 그 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웹 클리너(156~160)를 이용하여 정착부(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에서의 잼 해소에 수반하여 실행되는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은 이 특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착 롤러(151, 171)에 의해 구동되는 스펀지 롤러를 채용함으로써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 20)
이상의 설명에서는, 정착부(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실행되는 클리닝 처리를 웹 클리너(156~160)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리닝 처리는 기록재(102)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웹 클리너와 같은 클리닝 기구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정착부에서의 잼의 발생에 수반하는 정착 롤러(151) 및/또는 정착 롤러(171)의 토너 오염을 제거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리닝 처리를 실시할 때, 복수매의 기록재(102)를 정착부(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에 강제적으로 통과시켜서, 토너 오염을 기록재(102)에 전이시키는 것이다. 그 후, 토너가 전이된 기록재(102)는, 화상 형성 장치(300) 밖으로 배출된다.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는 정보가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반송부(308)를 제어하여 소정 매수의 기록재(102)를 제1 정착기(150)(제2 정착기(170))에 통과시키고, 기기 밖으로 배출시킨다.
실시예 14에서는, CPU(301)는, 기억 장치(200)가 기억하는 정보가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반송부(308)를 제어하여 소정 매수의 기록재(102)를 제1 정착기(150)(제2 정착기(170))에 통과시키고, 기기 밖으로 배출시킨다.
이상은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기록재(102)의 매수는, 미리 설정해 두면 좋고, 본 실시예에서는 10매가 되고 있다.
(실시예 21)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의 양방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3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탠덤 정착). 그러나, 본 발명은 하나의 정착기(150)만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 적용하여도 된다.
(실시예 22)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300)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상 형성부(스테이션 120~123)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단색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블랙만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단색의 화상 형성 장치 등이 있다.
(실시예 23)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300)는,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115)를 포함하는 구성(중간 전사 방식)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직접 전사 방식의 장치에 적용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 화상 형성부(309)는 상 형성부(스테이션 120~123)와 전사부로서 기능하는 전사 반송 벨트를 포함한다. 상 형성부(스테이션 120~123)는, 전사 반송 벨트와 접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기록재(102)를, 기록재 수납부(103)로부터 전사 반송 벨트로 반송한다. 전사 반송 벨트는, 기록재(102)를 정전 흡착하면서 기록재(102)를 상 형성부와 면하는 위치로 반송하며, 그 벨트의 내부에 전사 롤러를 구비한다. 전사 롤러는,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전사 반송 벨트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재(102)에 전사한다. 이에 의해, 기록재(102)에 토너상(미정착)을 형성한다.
(실시예 24)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도 24는, 실시예 24~38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화상 형성 장치(400)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실시예 1과 상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계의 구성)
도 25는 제어계의 블럭도이다.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화상 형성 장치(400)(도 24)는, 화상 형성 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CPU(301), RAM(302), ROM(30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CPU(301)는, ROM(3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400)의 기본 제어를 실시한다. 후술하는 플로우 차트의 동작은, ROM(3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PU(301)에 의해 실행된다. CPU(301)는,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워크 에리어로서 RAM(302)을 사용한다.
CPU(301)는 RAM(302), ROM(303), 그리고 제어 대상이 되는 여러 가지 기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I/F부(304)는 네트워크(LAN 및/또는 WAN)를 거쳐 접속되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이다. 외부 장치는, 예를 들면 PC나 다른 화상 형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PU(301)는, 개폐 센서(305)와 접속되어 있어서,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상태인가 아닌가를 검지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센서(153, 155, 173, 175)를 포함하는 센서군(306)은, 반송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 CPU(301)가 기록재의 유무나 통과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CPU(301)는 타이머(307)에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307)는 시간을 측정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이머는 잼의 검지나 클리닝 시간의 계측에 이용된다.
CPU(301)는 시계(313)와 접속되어 있다. 시계(313)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로서 기능한다. CPU(301)는, 시계(313)가 지시하는 시각 정보를 취득한다.
CPU(301)는 카운터(314)에 접속되어 있다. 카운터(314)에 대해서는 실시예 27에 있어서 설명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CPU(301)는 조작부(180)에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조작부(180)의 선택 키를 통해 조작자로부터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의 전환이나 다른 동작의 지시를 수신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400)의 동작 상황, 선택 키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 등의 정보를, 조작부(180)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킨다.
CPU(301)는, 반송부(308)에 접속되어 있어서, 기록재(102)의 반송을 제어한다. 반송부(308)는, 기록재 수납부(103)로부터 반송 경로로 기록재(102)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반송 경로의 플래퍼(도 24에 나타내는 플래퍼(131, 132, 133))를 포함한다.
CPU(301)는 후술하는 화상 형성부(309)에 접속되어 있어서, 화상 형성부(309)의 제어를 실시한다.
정착기 메모리(310)는,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가 갖는 메모리(154)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정착기(170)가 갖는 메모리(174)를 포함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가 갖는 메모리(154, 174)에 접속되어 있어서, 메모리(154, 174)에의 기입이나 읽어내기를 실시한다.
CPU(301)는 식별 부재(311)에 접속되어 있다. 식별 부재(31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 접속되어 있다. 본체 메모리(312)는 재기입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RAM(302)과 일체이어도 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가 갖는 기구군 X에 접속되어 있어서, 제1 정착기(150)의 온도 조정 제어나 클리닝 제어를 실시한다. 기구군 X는 온도 센서(320), 히터(321), 이동 기구(322), 모터(323), 솔레노이드(324) 및 웹 착탈 기구(325)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320)는, 제1 정착기(150)에 제공된 복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서미스터(162)(도 3)와 가압 벨트(152)의 서미스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히터(321)는, 제1 정착기(150)에 제공된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며, 할로겐 히터(161)(도 3)와, 가열 롤러(163)에 제공된 할로겐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정착기(170)의 기구군 X에 접속되어 있어서, 제2 정착기(170)의 온도 조정 제어나 클리닝 제어를 실시한다. 제2 정착기(170)의 기구군 X에 대해서는, 제1 정착기(150)의 기구군 X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응하는 요소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정착기(150)의 기구군 X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제1 정착기(150), 가압 벨트(152), 가열 롤러(163)는, 각각, 제2 정착기(170), 가압 롤러(172), 가압 롤러(172)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기구를 CPU(301)가 제어한다. 그렇지만,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각각의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CPU 회로부와 복수의 CPU 회로부에 접속하여 전체를 제어하는 메인 CPU 회로부로 구성해도 된다.
화상 형성 장치(400)는, 화상 형성부(309)(도 25)로서 스테이션(120, 121, 122, 123)과,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115)와, 전사부로서의 전사 롤러(116)를 포함한다.
스테이션(120, 121, 122, 123)은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토너상을 형성하여 중간 전사 벨트(115)에 전사한다.
(정착부)
(탠덤 정착)
정착부로서의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는, 기록재(102)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재(102)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킨다.
제2 정착기(170)는, 제1 정착기(150)보다 기록재(102)의 반송 방향에 대해서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정착기(170)는, 제1 정착기(150)가 정착시킨 기록재(102) 상의 토너상에 원하는 광택의 부여 및/또는 정착 처리에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는 평량이 큰 기록재(예를 들어, 두꺼운 시트 등)에 대한 열량의 보충을 행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제1 정착기(150)만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제2 정착기(170)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량 저감의 목적으로 기록재(102)는 제2 정착기(170)를 경유하지 않고 반송 경로(130)로 반송된다. 예를 들면, 기록재(102)가 보통지나 얇은 시트인 경우이며, 높은 광택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등이다. 제2 정착기(170)에 기록재(102)를 반송하는 것인가, 제2 정착기(170)를 우회하여 기록재(102)를 반송하는(바이패스 루트) 것인가는, CPU(301)가 플래퍼(131)를 전환함으로써 제어한다.
(정착기의 구성)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는, 각각, 화상 형성 장치(400)의 제1 장착부(141) 및 제2 장착부(142)(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는, 각각, 이하의 구성을 갖는 정착기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정착기(150)에는, 정착기의 기억부(정착 기억부)로서의 메모리(15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정착기(170)에는, 정착기의 기억부(정착 기억부)로서의 메모리(174)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는 후술한다.
도 3은 정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잼 해소 처리)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400) 내에서 시트 잼이 발생했을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정착부에서의 잼이란, 화상 형성 장치(400) 내에서의 시트(들)의 잼 발생에 수반하여, 제1 정착기(150) 및/또는 제2 정착기(170)에 있어서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제1 정착기(150)에 있어서 잼이 발생했을 경우, 또는 화상 형성 장치(400) 내의 제1 정착기(150) 이외의 장소에서의 다른 시트의 잼 발생때문에 제1 정착기(150) 내에 기록재(102)가 체류했을 경우이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정착기(150)에서의 정착 처리 중에, 조작자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400)의 본체에 구비된 도어(예를 들면 프론트 도어(140))의 개방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400)의 동작이 정지하여, 제1 정착기(150) 내에 기록재(102)가 체류했을 경우이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므로, 제2 정착기(17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정착기(150)의 구조는 제2 정착기(170)의 구조에도 적용된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400) 내의 센서(153, 155)를 포함하는 센서군(306)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400) 내에서의 시트 잼의 발생을 검지하면, 화상 형성 장치(400)의 화상 형성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때, 제1 정착기(150)에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으면, 정착부에서의 잼이 된다. 따라서, 정착부에서의 잼은 제1 정착기(150)가 아닌 장소에 있어서의 잼의 결과로 일어난다. 그 후, CPU(301)는, 조작부(180)에 기록재(102)의 체류 개소를 표시함으로써, 조작자에게 체류하고 있는 시트를 제거하도록 재촉한다. 이하에서는, 제1 정착기(150)의 정착부에서의 잼을 간단히 제1 정착기(150)에서의 잼이라고 칭하는 일이 있다.
잼 검지부로서의 센서(153, 155)는, 제1 정착기(150)에서의 기록재(102)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예를 들면 광학 센서가 이용된다. CPU(301)는, 센서(153) 및/또는 센서(155)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재(102)가 제1 정착기(150)에 체류하고 있는 것(정착부에서의 잼)을 검지한다. 예를 들면, 기록재(102)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센서(155)가 기록재(102)의 통과를 검출하고 나서 소정 시간 지나도 하류측의 센서(153)가 기록재(102)의 통과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CPU(301)는 센서(155, 153) 사이에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시간의 경과는 타이머(307)가 계측한다.
제1 정착기(150)에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었을 경우, 조작자는 프론트 도어(140)를 열어서, 제1 정착기(150)를 화상 형성 장치(400)로부터 외측으로 꺼내고 기록재(102)를 제거한다. 그리고, 조작자는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를 제거한 후, 제1 정착기(150)를 화상 형성 장치(400)의 내부로 되돌리고, 프론트 도어(140)를 닫는다.
CPU(301)는,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한다.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한 후,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에 대해 액세스한다. 이에 의해서,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CPU(301)는 메모리(154)에 액세스 할 수 없게 되면,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제1 정착기(150)가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확인)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CPU(301)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제1 정착기(150)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한 후에, 이 신호 출력부에 신호를 입력한다. CPU(301)는, 신호 출력부에의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CPU(301)는, 신호 출력부에의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할 수 없으면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다르게는, 화상 형성 장치(400)와 제1 정착기(150) 사이의 도통 상태 혹은 비도통 상태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다르게는,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화상 형성 장치(400)에 설치하고, CPU(301)는 그러한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CPU(301)는, 센서(153, 15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정착기(150)에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의 유무를 확인한다. 이때, CPU(301)는, 제1 정착기(150)에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지 않으면 잼 해소 처리가 완료하였다고 판정한다.
제1 정착기(150)에서의 잼이 발생하면, 즉 제1 정착기(150)에 기록재(102)가 체류한 상태가 되면, 체류한 기록재(102)의 미정착 토너에 의해 정착 롤러(151)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재(102)가 정착 롤러(151) 둘레에 권취되어 체류했을 경우나, 조작자가 체류한 기록재(102)를 제거할 때 기록재(102)가 정착 롤러(151)를 문질러 버릴 경우에 그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에 대한 잼 해소 처리의 완료를 확인한 후, 후술하는 제1 정착기(150)에 대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잼 해소 후의 클리닝 처리)
정착부로부터 잼 시트가 제거된 후 실행부로서의 CPU(301)가 실행시키는 정착부의 클리닝 처리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웹(160)의 권취 시간의 계측은, CPU(301)가 시계(313)를 카운팅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웜업 처리)
정착부의 클리닝 처리가 완료한 후, CPU(301)는 정착 처리를 개시하기 위한 준비로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 웜업 처리는, 클리닝 처리 후의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400)의 메인 스위치(101)가 ON이 되었을 때도 실행된다. 웜업 처리의 상세는, 실시예 1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작업의 재개)
제1 정착기(150)의 웜업 처리가 완료하여 화상 형성 장치(4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됨에 수반하여, CPU(301)는 잼의 발생으로 인해 중단하고 있던 인쇄 동작을 재개시킨다. CPU(301)는 조작부(통지부)(180)에「인쇄 중입니다」의 표시를 실시한다.
만약, 제1 정착기(150)의 웜업 처리가 완료하여도 화상 형성부(309) 등의 제1 정착기(150) 이외의 부분(들)의 스타트-업 처리가 완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CPU(301)는 제1 정착기(150) 이외의 부분(들)의 준비가 완료하는 것을 기다리고 나서 인쇄 동작을 재개시킨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스탠바이 모드)
스탠바이 모드란, 화상 형성 장치(4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이며, 조작자로부터의 인쇄 명령(인쇄 작업)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인 기간을 가리킨다. 상술한 웜업 처리 후에 재개하는 작업이 없는 경우나, 인쇄 작업의 완료 후 등에 기기는 스탠바이 모드로 된다.
화상 형성 장치(4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CPU(301)는, 조작부(통지부)(180)에 「인쇄할 수 있습니다」의 표시를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탠바이 모드가 되어 있을 때,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나서 곧바로 인쇄를 개시할 수 있도록,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에서의 온도 제어(예를 들면, 정착 롤러(151) 및 가압 벨트(152)에서의 온도 제어)를 계속시키고 있다.
웜업 처리 동작 중에 인쇄 작업이 예약되었을 경우에는,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하는 일 없이 예약된 인쇄 작업을 개시시킨다. 즉, 이러한 경우,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의 웜업 처리 동작이 완료한 후 화상 형성 장치(4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 가능한 상태가 되면,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시키는 일 없이 인쇄 작업을 즉시 개시시킨다.
만약,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의 웜업 처리 동작이 완료하여도 화상 형성부(309) 등의 제1 정착기(150)나 제2 정착기(170)가 아닌 부분(들)의 스타트-업 처리가 완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CPU(301)는 다른 부분(들)의 준비가 완료하는 것을 기다리고 나서 인쇄 동작을 재개한다.
(정착기의 교환)
정착기 교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400)에서는, 보다 고품질의 인쇄물을 얻기 위해서, 기록재(102)의 종류나 조작자의 기호에 따라 정착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재(102)로서 봉투를 사용할 경우에는 봉투 전용의 정착기를 이용한다. 봉투는 정착 처리 중에 부여되는 압력에 의해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므로, 정착 롤러(151)와 가압 벨트(152) 사이의 압력(닙압)을 봉투에 맞추어 조정시킨 봉투 전용의 정착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특정의 폭 사이즈 전용의 정착기가 있다. 동일한 폭의 기록재(102)가 연속하여 닙부를 통과하면, 기록재(102)의 폭 방향의 에지부에서 정착 롤러(151)의 표면이 손상된다. 정착 롤러(151)의 손상이 무시할 수 없는 레벨이 되면, 이보다 폭넓은 기록재(102)가 처리될 때, 상기 손상에 기인하여 화상의 광택이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다. 이를 막기 위해, 같은 구성의 정착기를 기록재(102)의 사이즈마다 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폭이란 기록재(102)의 반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정착 롤러(151)의 길이 방향)에서 측정된 치수이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400)에 따르면, 조작자는, 기록재(102)의 종류나 조작자의 기호에 따라 정착기를 교환할 수 있다.
정착기를 교환하는 경우, 조작자는 프론트 도어(140)을 열고, 이미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를 꺼낸다. 그리고나서 조작자는 꺼낸 정착기와는 다른 정착기를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하고, 프론트 도어(140)를 닫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를 각각 교환가능하다.
(정착기의 메모리)
본 실시예에서는, 정착기를 교환가능하고, 따라서 제1 정착기(150)에 기억부(정착 기억부) 및 식별부로서의 메모리(154)를 설치하고 있다. 유사하게, 제2 정착기(170)에 기억부(정착 기억부) 및 식별부로서의 메모리(174)를 설치하고 있다. 메모리(154, 174)는 전형적으로 EEPROM,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재기입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400)에 이미 장착된 상태에 있는 제1 정착기(150)나 제2 정착기(170)가 아닌) 화상 형성 장치(400) 바깥에 준비되어 있는 정착기에도 메모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메모리(메모리(154), 메모리(174), 교환용 정착기에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는, 식별 정보가 기억되어 있어서 식별부로서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가 기억하고 있는 식별 정보를, "제1 정착기(150)(정착기)의 ID"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제1 정착기(150)와 제2 정착기(170)를 포함하는 정착기군에 메모리를 마련한 이유는, 이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에 수반하여 행해져야 할 클리닝 처리를 하지 않은 채, 정착기가 일단 기기 밖으로 꺼내져 버리고나서, 이 꺼내진 정착기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재차 장착되었을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그 상세에 대하여, 2개의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므로, 제2 정착기(17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첫 번째 상황(상황 1)에 대하여 설명한다. 교환 대상이 제1 정착기(150)인 케이스이다.
예를 들어, 기기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가 봉투 전용이 아니며, 인쇄 완료까지 1시간 이상 요구되는 (예를 들면, 보통지에의) 인쇄 작업을 개시한 것으로 하자. 또한, 이 인쇄 작업의 개시 15분 후 등(초기 단계)에서 정착기 A에서의 시트 잼이 발생해 버렸다고 하자. 그러면 조작자는 조작부(180)의 표시에 따라 잼 해소 처리를 실시한다. 그렇지만, 급거 봉투의 인쇄가 필요하게 되었을 경우, 조작자는 정착기 A에 의한 이전의 인쇄 작업을 중단하고, 봉투의 인쇄에 착수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 경우 조작자는, 클리닝 처리를 빠뜨리고 정착기 A를 봉투 전용의 정착기 B로 교환할 수 있다.
종래, CPU는 정착부에서의 잼이 발생한 것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메모리에 기억해 둠으로써, 잼 해소 처리 후에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고 있다. 이 경우, 잼 해소 처리 후에 정착기 A를 정착기 B로 교환한다면, CPU는, 바꾸어 넣은 새로운 정착기 B에 대해서만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게 된다. 따라서, CPU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 후에 행해져야 할 클리닝 처리를 완료하였다고 판정하여 버리게 된다.
후일, 조작자가 봉투 이외의 기록재(예를 들면, 보통지)에 인쇄를 하려고 할 경우, 조작자는 재차 정착기 A를 장착하게 된다.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채 꺼내져 버린 정착기 A의 정착 롤러는 토너로 오염된 채이다. 이 상태에서 인쇄 동작을 실시해 버리면, 화질이 현저히 열화되어 버리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실시예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메모리에,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 후에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에 관한 정보를, 정착기의 ID와 함께 기억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을 방법 1로 칭한다.
이 방법 1의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메모리는“정착기 A”에 대한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것을 기억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나중에 정착기 A가 재장착되었을 때에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착부를 교환가능한 경우에 대해서도,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또 다른 상황, 즉 상황 2의 경우에도,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황 2에서, 유저가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를 소유하고 있으며,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정착부에서의 잼이 발생한 정착기가,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채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었을 경우이다.
예를 들어, 유저가 2대의 화상 형성 장치(400)(화상 형성 장치 P와 화상 형성 장치 Q)를 소유하고 있고, 정착기 A는, 제1 정착기(150)로서 화상 형성 장치 P, Q의 어느 쪽의 장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교환 대상이 제1 정착기(150)인 케이스이다.
정착기 A는 화상 형성 장치 P에 있어서, 클리닝 처리를 거친 상태라고 하자.
그 다음날, 조작자는, 클리닝 처리를 거친 정착기 A를 화상 형성 장치 P로부터 떼어내어 화상 형성 장치 Q에 장착한다. 정착기 A는 화상 형성 장치 Q의 제1 정착기(150)로서 사용된다고 하자.
그런데, 화상 형성 장치 Q의 화상 형성 동작 중에, 정착부에서의 잼이 발생하고, 상황 1과 유사하게, 조작자는, 잼 해소 처리 후의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채 정착기 A를 화상 형성 장치 Q로부터 꺼냈다고 하자.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정착기 A의 정착 롤러는 토너로 더러워진 채인 상태이다.
그 후, 조작자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채인 정착기 A를 화상 형성 장치 P에 장착하고, 화상 형성 장치 P의 제1 정착기(150)로서 사용하려고 했다고 하자.
상술의 방법 1을 채용했을 경우, 화상 형성 장치 P의 본체의 메모리는, 정착기 A에 대해서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관하고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화상 형성 장치 P에 재장착된 정착기 A는, 화상 형성 장치 Q에 대해 발생한 잼 발생 후 실행되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 P의 CPU가, 화상 형성 장치 P의 본체의 메모리의 정보에 근거하여, 정착기 A에 대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은 채 인쇄 동작을 실행시키면, 화질이 현저히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정착기(150)에 정보를 기억 가능한 정착 기억부로서 메모리(154)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의 양쪽 모두에 클리닝 정보로서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는, 클리닝 정보와 클리닝 정보가 메모리(154)에 기록되었을 때의 시각(날짜) 정보를 보관한다. 또한, 메모리(154)에는, 정착기의 식별 정보로서 정착기의 ID(예를 들면,“정착기 A”)를 보관하고 있어서, 메모리(154)는 식별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정보를 기억 가능한 본체 기억부로서 본체 메모리(312)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 메모리(312)에는, 메모리(154)에 기록하는 것과 같은 내용을 나타내는 클리닝 정보와, 클리닝 정보가 메모리(154)에 기록되었을 시각(날짜) 정보를 제1 정착기(150)의 정착기 ID와 대응지어 보관시킨다.
여기서, 시각의 정보는, 메모리(154)가 기억하고 있는 클리닝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클리닝 정보 가운데 어느 쪽의 클리닝 정보를 사용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클리닝 정보 가운데, 보다 최근의 클리닝 정보에 근거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가 기억하고 있을 시각과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을 시각 중에서, 어느 쪽의 시각이 보다 최근의 시각인지를 확인한다. CPU(301)는, 보다 최근의 정보가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클리닝 정보는“이력 있음”또는“이력 없음”(잼 이력)을 나타내며,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의 양방에 보관시킨다. 제1 정착기(150)에서의 잼이 발생함에 따라,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에 잼 이력을 기록한다. 잼 해소 처리 후의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면,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에 기억되어 있는 잼 이력을 클리어한다. 잼 이력“yes”는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고, “no”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0의 (a)는 본체 메모리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의 (b) 및 도 30의 (c)는, 정착기 메모리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상황 2에서, 클리닝 처리가 실행 완료된 정착기 A가 화상 형성 장치 P로부터 꺼내졌을 경우, 화상 형성 장치 P의 본체 메모리(312)에는 도 30의 (a)의 정보가 보관되게 된다. 한편, 정착기 A의 메모리(154)에는 도 30의 (b)에 나타내는 정보가 보관되게 된다.
그 후, 화상 형성 장치 Q에 장착된 정착기 A에서의 잼이 발생했던 것에 따라, 정착기 A의 메모리(154)에는, 화상 형성 장치 Q의 CPU(301)에 의해, 도 30의 (c)에 나타내는 정보가 보관된다. 잼 해소 처리 후에 실행되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채 화상 형성 장치 Q로부터 꺼내진 정착기 A의 메모리(154)에는“이력 있음”이 시각과 함께 보관되게 된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 P의 본체 메모리(312)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는, 도 30의 (a)에 나타내는 정보인 채이다.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채인 정착기 A를 다시 화상 형성 장치 P에 장착했을 경우, 화상 형성 장치 P의 본체 메모리(312)와 정착기 A의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는, 각각 도 30의 (a)와 도 30의 (c)와 같이 된다. 보다 최근의 시각의 정보를 보관하는 정착기 A의 메모리(154)의 잼 이력이 "yes"를 나타내고(도 30의 (c)),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P의 CPU(301)는, 정착기 A에 대해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400)는 상황 1 하에서도 대응할 수 있다.
도 31의 (a)는 본체 메모리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1의 (b)는 정착기 메모리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황 1에 있어서,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정착기 A가 화상 형성 장치(400)로부터 제거되어진 직후, 본체 메모리(312)에는 도 31의 (a)에 나타내는 정보가, 메모리(154)에는 도 31의 (b)에 나타내는 정보가 보관된다. 정착기 A가 떼어내지기 전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재장착되었을 경우,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는, 각각 도 31의 (a)의 보관 내용(1)과 도 31의 (b)와 같이, 동일한 정보를 보관한다.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 중의 어느 일방의 클리닝 정보에 근거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메모리(154)에서 잼 이력 정보가 클리어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CPU(301)는, 이력 없음으로 판정한다.
메모리(154)에의 정보의 기입 방법은 전술의 특정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경우에 데이터가 기억될 수 있고, 클리닝 처리가 실행 완료한 경우에 데이터가 기억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 다르게는, 클리닝 처리의 미실행을 나타내는 데이터나 클리닝 처리가 실행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억되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154)에 기록하는 클리닝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하는 클리닝 정보는 같지만, 기억되는 정보가 같은 한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의 기록 방법이 서로 상이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는 클리닝 정보로서 메모리(154)에는“클리닝 처리 미실행”을 기록하고, 본체 메모리(312)에는 "이력 없음"을 기록하여도 된다. 시각 정보 및/또는 식별 정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체 메모리(312)는 복수의 정착기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도 30의 (a) 및 도 31의 (a)는 2개의 정착기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일례이다.
메모리(154)는, 잼 이력 이외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이 정보는 (봉투용, A4 사이즈용 등) 제1 정착기(150)의 용도나 종류를 포함한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제어 플로우)
이상을, 도 26~도 29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플로우 차트는, 실행부(기록부, 기입부)로서 기능하는 CPU(301)가, ROM(3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400)의 관련된 기구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메인 스위치의 온시 및 프론트 도어 폐쇄시의 시퀀스)
도 26은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메인 스위치(101)가 온 됨에 따라, CPU(301)는 기동한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S20101).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어 있으면,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에 대해 액세스 할 수 있게 된다. S20101에서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S20101로 돌아온다.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으면, S20102로 이행한다.
CPU(301)는, 도 28에 나타내는 스타트-업 시퀀스 5를 제1 정착기(150)에 대해 실시한다(S20102). 상세는 후술한다.
제1 정착기(150)의 스타트-업이 완료하면, CPU(301)는 조작부(180)에「인쇄할 수 있습니다」의 표시를 실시하여, 화상 형성 장치(400)가 화상을 형성할 수 있음을 조작자에게 통지한다(S20103). 그리고나서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한다.
도 27은 프론트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프론트 도어(140)의 개폐 상태는, CPU(301)가 프론트 도어(140)의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검지한다. 프론트 도어(140)가 열려 있는 경우,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힌 상태가 되기를 기다린다(S20201). 프론트 도어(140)가 열려 있는 경우,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를 닫도록 재촉하는 정보를 표시해도 좋다. CPU(301)는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하면(S20201), S20202로 이행한다.
S20202~S20204는 도 26의 S20101~S20103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S20204 후에,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한다.
(스타트-업 시퀀스)
도 28은 스타트-업 시퀀스 5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8의 플로우 차트는, S20102, S20203, 그리고 후술하는 S20412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가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를 읽어낸다(S20301).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낸다(S20302).
S20303에서, CPU(301)는, S20301에서 읽어낸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가 보관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S20301에서 읽어낸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데이터를 본체 메모리(312)에서 서치한다.
S20301에서 읽어낸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데이터를 본체 메모리(312)가 보관하고 있는 경우, CPU(301)는 S20304로 이행한다(S20303, Yes). 예를 들면,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되어 있는 정보가 도 30의 (a)이며, S20301에서 읽어낸 제1 정착기(150)의 ID가“정착기 A”또는“정착기 B”일 경우가 이에 상당한다.
한편, S20301에서 읽어낸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데이터를 본체 메모리(312)가 보관하고 있지 않은 경우, CPU(301)는 S20305로 이행한다(S20303, No). 예를 들면,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되어 있는 정보가 도 8의 (a)이며, CPU(301)가 S20301에서 읽어낸 제1 정착기(150)의 ID가“정착기 C”일 경우가 이에 상당한다. 이 경우, 본체 메모리(312)는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잼 이력에 관한 정보를 보관하고 있지 않다.
S20303에서의 판별 결과가 Yes인 경우, CPU(301)는 메모리(154)의 잼 이력과 본체 메모리(312)의 잼 이력 중 어느 쪽을 사용하는지를 판별한다(S20304).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기록 시각과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되어 있는 정보 중 어느 쪽이 보다 최근의 것인지를 판정한다.
메모리(154)의 정보 기록의 시각이, 본체 메모리(312)의 정보 기록의 시각보다 최근일 경우, CPU(301)는 S20305로 이행한다(S20304, Yes). 예를 들면,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된 정보가 도 30의 (a)이며, 메모리(154)에 보관된 정보가 도 30의 (c)인 경우가, 이에 상당한다. (도 30의 (a)의 정보(1)의 시각이 도 30의 (c)의 시각보다 오래되었다.)
한편, 메모리(154)의 정보 기록의 시각이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여 본체 메모리(31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기록의 시각보다 최근일 경우, CPU(301)는 S20306으로 이행한다(S20304, No). 이들이 같은 시각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도, CPU(301)는 S20306으로 이행한다(S20304, No). 예를 들면, 본체 메모리(31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도 30의 (a)이며, 메모리(15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도 30의 (b)인 경우, 정보 기록 시각이 동일하므로, CPU(301)는 S20304에서 "No"로 판정한다.
S20303에서의 판정이 "No"였을 경우 및 S20304에서의 판정이 "Yes"였을 경우,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에 기억되어 있는 잼 이력에 근거하여 판정을 행한다. 즉, 메모리(154)에 제1 정착기(150)의 잼 이력이 보관되고 있었을 경우, CPU(301)는 S20307로 이행하고, 메모리(154)에 제1 정착기(150)의 잼 이력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 CPU(301)는 S20308로 이행한다(S20305).
한편, S20304에서의 판정 결과가 "No"였을 경우,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 기억되어 있는 잼 이력에 근거하여 판정을 행한다. 즉, 본체 메모리(312)에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잼 이력이 보관되고 있었을 경우, CPU(301)는 S20307로 이행한다(S20306, Yes).
S20301에서의 메모리(154)의 읽기와 S20302에서의 본체 메모리(312)의 읽기는, 복수의 단계로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면, S20303, S20304, S20305, S20306의 처리마다 CPU(301)가 메모리(154) 및/또는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읽어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S20305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및 S20306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는 상술의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이다. CPU(301)는 클리닝부 등을 제어하여 전술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S20307).
S20305에서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및 S20306에서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는 상술한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이다. 이 경우,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S20308로 이행한다. 클리닝 처리가 불필요한 경우에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음으로써, 메인 스위치(101)를 온으로 하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400)가 화상 형성을 개시 가능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상술한 클리닝 처리에 요구되는 시간(100초)만큼 단축할 수 있다.
S20308에서,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의 잼 이력을 클리어 된 상태로 한다. 이때, CPU(301)가 클리어 상태로 하는 잼 이력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잼 이력이다.
S20309에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의 잼 이력을 클리어 된 상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S20308에서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킨 잼 이력의 데이터를 메모리(154)에 카피한다.
S20310에서,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시각 정보를 기록한다. 본체 메모리(312)에는, 제1 정착기(150)의 ID와 조합시켜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되는 시각 정보는 S20309의 처리를 완료했을 때의 시각이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를 제어하여 전술한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S20311).
S20308에서, 본체 메모리(312)의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잼 이력이 이미 클리어 된 상태인 경우(예를 들면, S20306에서 "No")는, CPU(301)는 변경을 가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S20308에서, 본체 메모리(312)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고 있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S20303에서 "No")는,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ID를 기록한다. 그리고 S20308에서 CPU(301)는, 기록한 ID에 대응지어진 잼 이력을 클리어 상태로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킨다.
S20309에서, 메모리(154)의 잼 이력이 이미 클리어 된 상태인 경우(예를 들면, S20305에서 "No"), CPU(301)는 변경을 가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S20310에서 기록하는 시각은, S20309의 처리를 완료한 시각에 한정되지 않는다. S20307에서 클리닝 처리를 완료한 시각이나, S20309에서 처리를 개시한 시각이어도 된다.
본체 메모리(312)에 잼 이력의 클리어 상태, 시각, 제1 정착기(150)의 ID를 보관시키고, 메모리(154)에 잼 이력의 클리어 상태와 시각을 보관시키기 위한 플로우는 S20308, S20309, S20310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우선 메모리(154)의 잼 이력을 클리어하고, 메모리(154)에 시각을 기록한다. 다음에, 이 2개의 정보를 메모리(154)로부터, 본체 메모리(312)의 제1 정착기(150)의 ID와 대응하는 영역으로 카피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다르게는, S20308과 S20309를 동시에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S20308~S20310의 처리는, 전술한 설명과는 상이한 타이밍에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웜업 처리(S20311)가 완료함에 따라 메모리(154)에 보관되고 있던 잼 이력을 클리어 하도록 해도 된다.
S20308~S20310의 처리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 완료된 상태에서,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프론트 도어(140)의 개방을 검지함에 따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S20308~S20310의 처리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 완료한 상태이더라도, 메인 스위치(101)가 오프됨에 따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제1 정착기(150)의 교환에는, 프론트 도어(140)의 개방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기록 시각과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져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시각이 같은 시각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본체 메모리(312)의 잼 이력에 근거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켰다(도 28의 S20304에서 No). 그렇지만, 그들이 같은 경우, 메모리(154)에 기억되어 있는 잼 이력에 근거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S20304에서 그들이 같다고 판정될 경우, CPU(301)는 S20305로 이행한다.
(잼 발생시의 시퀀스)
도 29는, 정착기에서의 시트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400)의 인쇄 작업 실행시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400)가 화상 인쇄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태인 스탠바이 모드에서, 조작부(180)나, 외부 I/F부(304)를 거쳐서 외부의 PC 등으로부터 인쇄 작업이 수신된다. 그러면, CPU(301)는 스테이션(120~123), 제1 정착기(150) 및 제2 정착기(170)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400)의 여러 가지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4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시킨다(S20401). 이때, 화상 형성 장치(400)는, 조작부(180)나 외부 PC의 표시 화면에, 기록재(102)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조작자의 지시를 수신한다.
CPU(301)는 인쇄 작업이 종료하면, 화상 형성 장치(400)를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시킨다(S20402).
CPU(301)는, 인쇄 작업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단계(S20402)에서, 화상 형성 장치(400)내에서의 시트 잼을 검지하면(S20403), 화상 형성 장치(4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정지, 즉, 인쇄 작업을 중단시킨다. CPU(301)는, 센서군(306)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400) 내에서의 잼의 발생을 검지한다.
화상 형성 장치(400) 내에서의 잼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 CPU(301)는 인쇄 작업이 끝날 때까지 인쇄 작업을 속행시킨다(S20402, S20403).
잼에 수반하여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는 개소가 제1 정착기(150)(제2 정착기(170)) 외부인 경우에는, CPU(301)는 S20406으로 이행한다(S20405). CPU(301)는 센서군(306)으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가 제거될 때까지 대기한다(S20406). CPU(301)는, 센서군(306)으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가 제거된 것을 검지하면, 전술한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S20407).
CPU(301)는, 기록재(102)가 체류하고 있는 개소가 제1 정착기(150)(제2 정착기(170))였을 경우(정착부에서의 잼)에는, S20408로 이행한다(S20405).
S20408에서,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 제1 정착기(150)의 ID와 대응지어 제1 정착기(150)의 잼 이력을 기억시킨다.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의 ID는, 메인 스위치의 ON시, 프론트 도어(140)의 개방,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상술한 스타트-업 시퀀스 5(도 28)에서 CPU(301)에 의해 이미 취득되어 있다(S20301).
S20409에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에 잼 이력을 기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S20408에서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킨 잼 이력의 데이터를 메모리(154)에 카피한다.
S20410에서,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의 양방에, 시각 정보를 기록한다. 본체 메모리(312)에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시켜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각 정보로서 S20409의 처리를 완료한 시각을 기록한다.
기록하는 시각은, S20409의 처리를 완료한 시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S20405에서 정착부에서의 잼을 검지한 시각이나, S20409의 처리를 개시한 시각이어도 된다.
본체 메모리(312)에 잼 이력을 시각과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 보관시키는 순서와, 메모리(154)에 잼 이력과 시각을 보관시키기 위한 순서는, S20408, S20409, S20410의 순서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예를 들면, 우선 메모리(154)에 잼 이력을 기록하고, 메모리(154)에 시각을 기록한다. 다음에, 이 2개의 정보를 메모리(154)로부터 본체 메모리(312)의 제1 정착기(150)의 ID와 대응하는 영역에 카피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S20409, S20410에서의 메모리(154)에의 잼 이력과 시각의 기록은, 프론트 도어(140)가 개방됨에 따라 실행해도 된다. 프론트 도어(140)가 개방되어도, 제1 정착기(150)는 화상 형성 장치(400)의 본체로부터 떼어내지지 않은 한 전원이 공급되고 있어서 CPU(301)는 메모리(154)에 잼 이력을 기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정착기(150)는 잼 해소 처리에서 교환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제1 정착기(150)에서의 잼을 검지하면, 잼 해소를 위해서 조작자에 의해 제1 정착기(150)가 제거될 때까지 메모리(154)에 잼 이력을 기록하여 둔다.
CPU(301)는, 센서(153, 155)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1 정착기(150)에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가 제거될 때까지 대기한다(S20411). CPU(301)는, 제1 정착기(150)에 체류하고 있는 기록재(102)가 제거된 것을 검지하면, S20412의 스타트-업 시퀀스 5로 이행한다(S20411). 이때, CPU(301)는,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진 것을 검지하고, 제1 정착기(150) 내의 기록재(102)의 유무를 확인한다.
S20412의 스타트-업 시퀀스 5는 도 28에 나타내는 플로우에 대응하고 있다. 이 스타트-업 시퀀스 5에서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에서 데이터를 읽어낸다(S20301). 메모리(154)의 정보를 읽어내어, 제1 정착기(150)에 대한 잼 이력 정보를 확인하는 이유는, 잼 해소 처리를 위해서 프론트 도어(140)를 개방한 타이밍에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S20412의 제1 정착기(150)의 스타트-업 시퀀스 5 혹은 S20407의 웜업 처리가 완료하면,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4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재개, 즉, 중단하고 있던 인쇄 작업을 재개시킨다(S20413).
또한 CPU(301)는, 조작부(180)에「인쇄 중입니다」등의 표시를 실시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400)가 인쇄를 실행하고 있음을 조작자에게 통지한다(S20414).
그 후, S20402로 복귀하고, CPU(301)는 인쇄 작업이 끝날 때까지 인쇄 작업을 속행시킨다(S20402, S20403).
전술한 것처럼, 조작자에 의한 제1 정착기(150)의 교환에는, 화상 형성 장치(400)의 프론트 도어(140)의 개폐를 수반한다. 즉, 조작자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400)의 프론트 도어(140)가 열렸을 경우에는,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메인 스위치(101)가 오프인 동안에도,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400)의 메인 스위치(101)가 온으로 된 것이나,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지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 제1 정착기(150)에 대한 잼 이력을 취득한다. 이에 의해,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도,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게 되기 때문에,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에, 잼 이력(클리닝 정보)과 함께 시각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보다 최근의 클리닝 정보에 근거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다른 화상 형성 장치(구성은 화상 형성 장치(400)와 같음)에 있어서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는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된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더라도, 출력되는 기록재(102)의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25)
실시예 24에서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의 정보를 정착기의 메모리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메모리에 보관시키고 있다. 그리고, CPU(301)가 그 정보에 근거하여, 재장착된 정착기에 대해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킬지 아닐지를 판별하고 있다.
실시예 25에서는,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어 버렸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25에서는, 클리닝 처리가 중단된 제1 정착기(150)가 재차 장착되었을 경우, 실시예 24의 클리닝 처리보다 짧은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24와 같으므로,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클리닝 처리의 실행 중에 조작자가 프론트 도어(140)를 개방했을 경우, CPU(301)는 클리닝 처리를 중단시킨다. CPU(301)는, 개폐 센서(305)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프론트 도어(140)가 열린 것을 검지한다.
실시예 24에서는, 클리닝 처리가 완료하고 나서 메모리(154) 및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잼 이력 정보를 클리어 한다. 그러므로, 클리닝 처리의 실행 도중에 조작자가 프론트 도어(140)를 열어 제1 정착기(150)을 꺼내 버리는 경우, 메모리(154) 및 본체 메모리(312)에 기억된 잼 이력 정보는 클리어 되지 않는다. 조작자에 의해 재차 제1 정착기(150)가 장착되었을 때에는, CPU(301)에 의해 클리닝 처리가 최초부터 실행되어 버린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클리닝 처리가 중단된 시점에서 클리닝 처리가 100초분 중 80초분에 대해서는 이미 실시되어 있었던 것 같은 경우에는, 정착 롤러(151)의 토너 오염은, 상당히 적게 되고 있는 것이 상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리닝 처리를 100초 동안 실행시켜 버리면 조작자의 대기 시간을 증가시켜 버리게 된다.
따라서, 클리닝 처리가 중단된 제1 정착기(150)가 재차 장착되었을 경우, (실시예 24의 클리닝 처리보다 짧은)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리닝 정보로서의 클리닝 이력을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킨다. 클리닝 이력은, 정착부에서의 잼 해소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본 실시예에서는 100초간)에 대해, “실행이 완료된 상태”,“처리 중단”및“이력 없음”(3종류)을 포함한다.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의 클리닝 이력 가운데, 가장 최근의 시각에 대응하는 클리닝 이력이“이력 없음(데이터가 클리어)"인 경우,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이다고 판별하여 상술한 클리닝 처리를 100초간 실행시킨다. 한편,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의 클리닝 이력 가운데, 가장 최근의 시각에 대응하는 클리닝 이력이“처리 중단”인 경우에는, 상술한 클리닝 처리(100초간)보다 단시간의 단기간 클리닝 처리(50초간)를 실행시킨다. 또한,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의 클리닝 이력 가운데, 가장 최근의 시각에 대응하는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나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는다.
(제어 플로우)
도 32~도 37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플로우 차트는, 실행부(기록부, 기입부)로서 기능하는 CPU(301)가, ROM(3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400)의 관련된 기구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스타트-업 시퀀스)
실시예 25에서는, 스타트-업 시퀀스의 플로우가 실시예 24와 상이하다. 도 32는 스타트-업 시퀀스 6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32의 플로우 차트는, 후술하는 S20812, 후술하는 S20902, 후술하는 S201003의 스타트-업 시퀀스 6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CPU(301)는 제1 장착부(141)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가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를 읽어낸다(S20501).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낸다(S20502).
S20503에서, CPU(301)는, S20501에서 읽어낸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가 보관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S20501에서 읽어낸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데이터를 본체 메모리(312)에서 서치한다.
S20501에서 읽어낸 제1 정착기(150)의 ID를 본체 메모리(312)가 보관하고 있는 경우, CPU(301)는 S20504로 이행한다(S20503, Yes).
한편, S20501에서 읽어낸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데이터를 본체 메모리(312)가 보관하고 있지 않은 경우, CPU(301)는, S20505로 이행한다(S20503, No). 이 경우, 본체 메모리(312)는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클리닝 이력에 관한 정보를 보관하고 있지 않다.
S20503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CPU(301)는 메모리(154)의 클리닝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의 클리닝 이력 중 어느 쪽의 정보에 근거하는지를 판정한다(S20504).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정보의 기록 시각과 본체 메모리(312)에 기억되어 있는 시각 정보 중 어느 것이 최근의 시각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시각 정보가,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시각 정보보다 최근의 시각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CPU(301)는, S20505로 이행한다(S20504, Yes).
한편,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시각 정보보다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져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시각 정보가 최근의 시각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CPU(301)는, S20506으로 이행한다(S20504, No). 또한,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시각 정보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져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시각 정보가 같은 시각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도, CPU(301)는, S20506으로 이행한다(S20504, No).
S20505는, 도 33에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의 클리닝 이력에 근거하여 판정을 행한다. 상세는 후술한다.
S20506은, 도 34에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CPU(301)는 본체 메모리의 클리닝 이력에 근거하여 판정을 행한다. 상세는 후술한다.
(정착기의 메모리의 정보에 근거하는 시퀀스)
도 33은, 정착기의 메모리 정보에 근거하는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며, 도 32의 S20505에 대응하고 있다.
S20601에서, CPU(301)는, 메모리(154)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는 S20602로 이행한다(S20601, Yes).
S20602에서,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 제1 정착기(150)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인 것을 제1 정착기(150)의 ID 및 시각과 대응지어서 기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154)의 클리닝 이력과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시각(메모리(154)의 클리닝 이력이 메모리(154)에 기입되었던 시각)의 데이터를 본체 메모리(312)에 카피한다.
S20603에서, CPU(301)는 상술한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
메모리(154)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 CPU(301)는,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도 32의 S20505에 나타내는 정착기의 메모리 정보에 근거하는 시퀀스를 완료한다.
한편, S20601에서, CPU(301)는, 메모리(154)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이외의 경우는 S20604로 이행한다(S20601, No).
CPU(301)는, 메모리(154)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이외이며“처리 중단”이 아닌 경우(즉,“이력 없음”(미실행)인 경우)는 S20605로 이행한다(S20604). 그리고, CPU(301)는, 클리닝부를 제어하여 전술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S20605).
CPU(301)는, 메모리(154)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이외이며 “처리 중단”인 경우는 S20606으로 이행하고(S20604), 전술한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S20606).
CPU(301)는 클리닝 처리 또는 단기간 클리닝 처리가 실행 중에 중단되지 않았던(처리가 완료한) 경우는, S20608로 이행한다(S20607).
S20608에서,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 클리닝 이력을“실행이 끝난 상태”로서 기록한다. 이때 CPU(301)가 기록하는 클리닝 이력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클리닝 이력이다.
S20609에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에 클리닝 이력을“실행이 끝난 상태”로서 기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S20608에서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킨 클리닝 이력의 데이터를 메모리(154)에 카피한다.
S20610에서,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 양방에 시각 정보를 기록한다. 본체 메모리(312)에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시켜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각 정보로서 S20609의 처리를 완료한 시각을 기록한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를 제어하여 전술한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S20611). 여기서, 도 32의 S20505에 나타내는 정착기의 메모리 정보에 근거하는 시퀀스는 완료한다.
한편, 클리닝 처리 또는 단기간 클리닝 처리가 실행 중에 중단되었을 경우, CPU(301)는 클리닝 이력으로서“처리 중단”을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에 기록하고, 도 32의 S20505에 나타내는 정착기의 메모리 정보에 근거하는 시퀀스는 중단한다.
CPU(301)는, 클리닝 처리 또는 단기간 클리닝 처리가 실행 중에 중단되었을 경우, S20612로 이행한다(S20607).
S20612에서,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에 클리닝 이력을“처리 중단”으로서 기록한다. 이때 CPU(301)가 기록하는 클리닝 이력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클리닝 이력이다.
S20613에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에 클리닝 이력을 “처리 중단”으로서 기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S20612에서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킨 클리닝 이력의 데이터를 메모리(154)에 카피한다. 프론트 도어(140)가 개방되어도, 화상 형성 장치(400)와 제1 정착기(150)는 전원이 공급되므로, CPU(301)는 메모리(154)에“처리 중단”의 클리닝 이력을 기억시킬 수 있다.
S20614에서,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 양방에 시각 정보를 기록한다. 본체 메모리(312)에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시켜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각으로서 S20613의 처리를 완료한 시각을 기록한다.
S20602, S20608, S20612에서, 본체 메모리(312)의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클리닝 이력이 기록해야 할 클리닝 이력과 같은 내용이었을 경우, 클리닝 이력을 변경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S20602에서는, CPU(301)는 시각만을 재기입한다.
S20602, S20608, S20612에서, 본체 메모리(312)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CPU(301)는, 클리닝 이력과 제1 정착기(150)의 ID를 대응지어 기록한다. 제1 정착기(150)의 ID는 도 32의 S20501에서 CPU(301)가 취득하고 있다.
(본체 메모리의 정보에 근거하는 시퀀스)
도 34는, 본체 메모리의 정보에 근거하는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며, 도 32의 S20506에 대응하고 있다.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는 S20707로 이행하고,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이외의 경우는 S20702로 이행한다(S20701).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이외이며“처리 중단”이 아닌 경우(즉, “이력 없음”(미실행))는 S20703으로 이행한다(S20702, No).
S20703에서, CPU(301)는 상술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의 클리닝 이력이“실행이 끝난 상태”이외이며“처리 중단”인 경우는 S20704로 이행한다(S20702, Yes).
S20704에서, CPU(301)는 상술한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CPU(301)는 클리닝 처리 또는 단기간 클리닝 처리가 실행 중에 중단되지 않았던(처리가 완료한) 경우는, S20706으로 이행한다(S20705).
S20706, S20707, S20708, S20709는, S20608, S20609, S20610, S20611과 각각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S20709의 실행에 의해서, 도 32의 S20506에 나타내는 본체 메모리의 정보에 근거하는 시퀀스는 완료한다.
한편, 클리닝 처리 또는 단기간 클리닝 처리가 실행 중에 중단되었을 경우, CPU(301)는 클리닝 이력으로서“처리 중단”을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에 기록하고, 도 32의 S20506에 나타내는 본체 메모리의 정보에 근거하는 시퀀스는 중단한다.
CPU(301)는, 클리닝 처리 또는 단기간 클리닝 처리가 실행 중에 중단되었을 경우, S20710으로 이행한다(S20705).
S20710, S20711, S20712는, S20612, S20613, S20614와 각각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S20707, S20711에서, 메모리(154)가 기억하고 있는 클리닝 이력이 기록해야 할 클리닝 이력과 같은 내용일 경우, 클리닝 이력을 변경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정착기의 메모리의 정보에 근거하는 시퀀스(도 33)와 본체 메모리 정보에 근거하는 시퀀스(도 34)를 포함한 스타트-업 시퀀스 6(도 32)을 실행시킴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클리닝 처리가 불필요한 경우에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음으로써, 메인 스위치(101)가 온으로 되고 나서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 가능해질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을 100초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단기간 클리닝 처리가 충분한 경우에,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에 의해, 메인 스위치(101)가 온으로 되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4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 가능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50초분) 단축할 수 있다.
단기간 클리닝 처리의 실행 시간은, 클리닝 처리가 중단될 때까지 실행된 클리닝의 시간에 따라서 변경해도 된다. 이 경우, 클리닝 처리가 중단될 때까지 실행된 클리닝의 시간을 타이머(307)가 계측한다. CPU(301)는 클리닝 이력과 조합하여 클리닝 처리가 중단될 때까지 실행된 클리닝의 시간(혹은 단기간 클리닝 처리의 실행 시간)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록한다(도 33의 S20612, S20613, 도 34의 S20710, S20711). 또한, CPU(301)는 클리닝 이력과 아울러 이 클리닝 시간에 대응하는 정보를 메모리(154)로부터 읽어낸다(도 32의 S20501). CPU(301)는, 읽어낸 시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시간 동안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도 33의 S20606, 도 34의 S20704).
이때, 단기간 클리닝 처리의 실행 시간에 대해서는, 반드시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지 않았던 경우의 클리닝 시간과 클리닝 처리가 중단될 때까지 실행된 클리닝의 시간과의 차분으로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100초간의 클리닝 처리가 50초 미만으로 중단되었을 경우는 80초간의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고, 50초 이상 100초 미만으로 중단되었을 경우는 30초간의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켜도 된다.
클리닝 처리가 미리 설정된 레벨 미만밖에 실행되지 않고 중단되었을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를 최초부터 다시 하기 위해서, S20612, S20613, S20710, S20711에서 CPU(301)는 클리닝 이력을 클리어한 채로 해도 된다.
클리닝 처리가 중단된 제1 정착기(150)가 재차 장착되었을 경우에,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할지 어떨지는, 조작자의 설정으로 결정되도록 해도 된다. 즉, 이러한 경우에 실시예 24와 같이 클리닝 처리를 최초부터 실행시키는 모드와 이러한 경우에 실시예 25와 같이 단기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모드를 포함한 선택 사항 중에서, 조작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조작부(180)가, 이러한 모드를 선택 가능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조작자에게 선택하도록 한다. 선택된 모드가 전자의 모드인 경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지 않고 중단되었을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를 최초부터 다시 하기 위해서, S20612, S20613, S20710, S20711에서 CPU(301)는 클리닝 이력을 클리어 한 채로 한다.
(잼 발생시의 시퀀스)
도 35는, 정착기에서의 시트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400)의 인쇄 작업 실행시의 플로우 차트이다.
S20801~S20807은 도 29의 S20401~S20407과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S20808에서,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하는 클리닝 이력을 클리어 한다. 이에 의해, 클리닝 이력은“이력 없음”이 되어, 상술의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된다.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의 ID는, 메인 스위치의 ON시나 프론트 도어(140)의 개방, 잼 처리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상술한 스타트-업 시퀀스 6(도 32)에 있어서 CPU(301)에 의해 이미 취득되어 있다(S20501).
S20809에서,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의 클리닝 이력을 클리어 된 상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S20808에서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킨 클리닝 이력의 데이터(클리어 된 상태)를 메모리(154)에 카피한다.
S20810에서,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 양방에 시각 정보를 기록한다. 본체 메모리(312)에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시켜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각으로서 S20809의 처리를 완료한 시각을 기록한다.
S20811은 도 29의 S20411과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S20812에서, CPU(301)는 도 32의 스타트-업 시퀀스 6을 실행한다.
S20813~S20814는, 도 29의 S20413~S20414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 스위치 온시 및 프론트 도어 폐쇄시의 시퀀스)
도 36은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플로우 차트이다. S20901, S20903은 각각 도 26의 S20101, S20103과 같다. S20902에서, CPU(301)는 도 32의 스타트-업 시퀀스 6을 실행한다.
도 37은 프론트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S201001, S201002, S201004는 각각 도 27의 S20201, S20202, S20204와 같다. S201003에서, CPU(301)는 도 32의 스타트-업 시퀀스 6을 실행한다.
(실시예 26)
실시예 24, 실시예 25에서는, CPU(301)는 메모리(154)의 클리닝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의 클리닝 정보 중 어느 쪽의 정보를 사용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시각 정보를 보관시키고 있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각 정보 대신에, 메모리(154)에의 기록 회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관시킨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24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24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착 기억부로서의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는, 클리닝 정보와 메모리(154)에 클리닝 정보가 기록된 누적 회수를 나타내는 정보(회수 정보)를 보관한다. 또한 메모리(154)에는, 다른 정착기와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서 정착기의 ID(예를 들면,“정착기 A”)를 보관시키고 있어서, 메모리(154)는 식별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본체 기억부로서의 본체 메모리(312)에는, 메모리(154)에 기록한 회수(회수 정보)와 같은 회수와, 클리닝 정보와, 제1 정착기(150)의 정착기 ID를 대지어 보관시키도록 한다.
클리닝 정보로서는, 실시예 24와 유사하게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에“이력 있음”및“이력 없음”이라고 하는 잼 이력의 정보를 보관시킨다.
회수 정보는, 메모리(154)가 기억하고 있는 클리닝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클리닝 정보 가운데, 어느 쪽의 클리닝 정보를 사용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서 기억시키고 있다. CPU(301)는, 클리닝 정보를 메모리(154)에 기록할 때마다, 메모리(154)가 보관하는 회수 정보를 갱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클리닝 정보 가운데, 보다 최근의 클리닝 정보에 근거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가 기억하고 있는 회수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회수 정보를 비교하고, 어느 쪽의 회수 정보의 누적 회수가 많은지를 판정한다. CPU(301)는, 보다 많은 회수의 회수 정보에 대응지어진 클리닝 정보가, 정착부에서의 잼의 해소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수 정보로서 메모리(154)에 클리닝 정보가 기록된 회수의 누적치를 보관시키지만, 클리닝 정보 이외의 정보가 메모리(154)에 기록된 회수를 포함하여 누적 회수를 카운트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1) 클리닝 정보 이외의 정보의 기입, (2) 클리닝 정보의 기입, (3) 클리닝 정보의 기입이라고 하는 순서로 정보가 기록되었다고 하면, 누적 회수는 3회가 된다.
(제어 플로우)
도 38~도 41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플로우 차트는, 실행부(기록부, 기입부)로서 기능하는 CPU(301)가, ROM(3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400)의 관련된 기구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메인 스위치 온시 및 프론트 도어 폐쇄시의 시퀀스)
도 38은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S201101, S201103은 각각 도 26의 S20101, S20103과 같다. S201102에서, CPU(301)는 도 40의 스타트-업 시퀀스 7을 실행한다.
도 39는 프론트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S201201, S201202, S201204는 각각 도 27의 S20201, S20202, S20204와 같다. S201203에서, CPU(301)는 도 40의 스타트-업 시퀀스 7을 실행한다.
(스타트-업 시퀀스)
도 40은, 스타트-업 시퀀스 7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40의 플로우 차트는, S201102, S201203, 후술하는 S201412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S201301, S201302는 각각 도 28의 S20301, S20302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S201303에서, CPU(301)는, S201301에서 읽어낸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가 보관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S201301에서 읽어낸 제1 정착기(150)의 ID의 데이터를 본체 메모리(312)가 보관하고 있는 경우, CPU(301)는 S201304로 이행한다(S201303, Yes). 한편, S201301에서 읽어낸 제1 정착기(150)의 ID의 데이터를 본체 메모리(312)가 보관하고 있지 않은 경우, CPU(301)는, S201305로 이행한다(S201303, No).
S201303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CPU(301)는 메모리(154)의 잼 이력과 본체 메모리(312)의 잼 이력 중 어느 쪽을 사용하는지를 판정한다(S201304).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회수 정보의 회수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져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회수 정보의 회수보다 많은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확인 결과가 긍정이라면, CPU(301)는 S201305로 이행한다(S201304, Yes).
확인 결과가 부정이라면, CPU(301)는 S201306으로 이행한다(S201304, No). 회수가 같다면, CPU(301)는 S201306으로 이행한다(S201304, No).
S201303에서의 판정이 "No"였을 경우 및 S201304에서의 판정이 "Yes"였을 경우,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의 잼 이력에 근거하는 판정을 행한다. 즉, 메모리(154)에 제1 정착기(150)의 잼 이력이 보관되고 있었을 경우, CPU(301)는 S201307로 이행하고, 메모리(154)에 제1 정착기(150)의 잼 이력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 CPU(301)는 S201308로 이행한다(S201305).
한편, S201304에서 "No"였을 경우,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의 잼 이력에 근거하는 판정을 행한다. 즉, 본체 메모리(312)에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한 잼 이력이 보관되고 있었을 경우, CPU(301)는 S201307로 이행한다(S201306, Yes).
S201307~S201309는, 각각 도 28의 S20307~S20309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S201310에서,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회수 정보를 기록한다. 본체 메모리(312)에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시켜 기록한다. S201304에서 비교한 회수(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회수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회수) 중에서 보다 큰 회수를 N으로 할 때, S201310에서 N+1을 기록한다. 여기서, N은 0 이상의 정수라 한다. S201304에서 비교한 회수(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회수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회수)가 같은(N이라 한다) 경우, S201310에서 N+1을 회수 정보로서 기록한다.
S201311은 도 28의 S20311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회수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져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회수가 같은 회수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본체 메모리(312)의 잼 이력에 근거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도 40의 S201304에서 No). 그렇지만, 그들이 같은 경우, 메모리(154)의 잼 이력에 근거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S201304에서,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회수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져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회수가 같은 회수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CPU(301)는, S201305로 이행한다.
(잼 발생시의 시퀀스)
도 41은, 정착부에서의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400)의 인쇄 작업 실행시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S201401~S201409는, 도 29의 S20401~S20409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S201410에서,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회수 정보를 기록한다. 여기서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회수 정보의 회수를 M이라 할 때, 회수 정보가 M+1이 되도록 기록한다. 본체 메모리(312)에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시켜 기록한다.
회수 정보는, 메인 스위치의 ON시나 프론트 도어(140)의 개방, 상술한 스타트-업 시퀀스 7(도 40)의 S201310에 의해, 메모리(154)에 기록되어 있는 회수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회수 정보는 같은 회수가 기록되어 있다.
전술한 것처럼, 제1 정착기(150)는 잼 처리에 수반하여 조작자에 의해 교환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제1 정착기(150)에서의 잼을 검지하면, 잼 처리를 위해서 조작자에 의해 제1 정착기(150)가 떼어내지기까지 메모리(154)에 잼 이력을 기록하여 둔다.
S201411는 도 29의 S20411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S201412의 스타트-업 시퀀스 7은 도 40에 나타내는 플로우에 대응하고 있다. 이 스타트-업 시퀀스 7에서는,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의 데이터를 읽어낸다(S201301). 여기서, 메모리(154)의 정보를 읽어내어, 제1 정착기(150)에 대한 잼 이력 정보를 확인하는 이유는, 잼 해소 처리를 위해서 프론트 도어(140)를 개방한 타이밍에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S201413, S201414는 각각 도 29의 S20413, S20414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 S201402로 복귀하여, CPU(301)는 인쇄 작업이 끝날 때까지 인쇄 작업을 속행시킨다(S201402, S201403).
전술한 것처럼, 조작자에 의한 제1 정착기(150)의 교환에는, 화상 형성 장치(400)의 프론트 도어(140)의 개폐를 수반한다. 즉, 조작자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400)의 프론트 도어(140)가 열렸을 경우에는,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메인 스위치(101)가 오프인 동안에도,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CPU(301)는, 메인 스위치(101)가 온으로 된 것이나,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질 때마다,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정보를 읽어내어, 제1 정착기(150)에 대한 잼 이력을 취득한다. 이에 의해, 잼의 해소에 수반하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더라도,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게 되기 때문에,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에, 잼 이력(클리닝 정보)과 아울러 회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보다 최근의 클리닝 정보에 근거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다른 화상 형성 장치(구성은 화상 형성 장치(400)와 같다)에 있어서의 잼에 수반하는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더라도, 출력되는 기록재(102)의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수 정보는 0 이상의 정수이고, 메모리(154)에 정보를 기록할 때마다 회수 정보의 값이 1씩 증가하도록 기록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회수 정보의 기록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01304에서 비교한 회수(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회수 정보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회수 정보) 중 큰 회수를 X라 한다. S201310에서 CPU(301)는 X+Y를 회수 정보로서 기록한다. 또한, S201410에서, 이미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회수 정보의 회수를 Z라 할 때, CPU(301)는 Z+Y를 회수 정보로서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한다.
이때, 예를 들면, Y는 0.1로 설정될 수 있고(Y=0.1), 메모리(154)에 정보를 기록할 때마다 회수 정보가 0.1씩 증가하는 값을 기록한다고 해도 괜찮다. 이 경우, 회수(X, Y, X+Y, Z+Y)는 비정수를 포함한다.
이때, 예를 들면, Y는 2로 설정되고(Y=2), 메모리(154)에 정보를 기록할 때마다 회수 정보가 2씩 증가하는 값을 기록한다고 해도 괜찮다.
이때, 예를 들면, Y는 -1로 설정될 수 있고(Y=-1), 메모리(154)에 정보를 기록할 때마다 회수 정보가 1씩 줄어드는 값을 기록한다고 해도 괜찮다. 이 경우, 회수 정보가 가리키는 회수(X, Y, X+Y, Z+Y)는 부의 값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메모리(154)의 회수 정보의 회수가 그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져 본체 메모리(312)에 기억된 회수 정보의 회수보다 작은 경우, CPU(301)는 S201305로 이행한다(S201304, Yes). 예를 들면, 메모리(154)의 회수 정보가 가리키는 값이 -4, 본체 메모리(312)의 회수 정보가 가리키는 값이 -2인 경우가 이에 상당한다. 한편, CPU(301)는, 메모리(154)의 회수 정보가 가리키는 값이 그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진 본체 메모리(312)의 회수 정보가 가리키는 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 S201306로 이행한다(S201304, No).
이상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24와의 차이를 설명했지만, 실시예 25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시각 정보 대신에 메모리(154)에의 기록 회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러한 변형에 대한 설명은,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되는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7)
실시예 26에서는, CPU(301)는 메모리(154)의 클리닝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의 클리닝 정보 중 어느 쪽의 정보에 근거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메모리(154)에의 기록 회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관시킨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154)의 클리닝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의 클리닝 정보 중 어느 쪽의 정보에 근거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제1 정착기(150)에 의해 정착 처리한 기록재(102)의 매수의 누적 카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관시킨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26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24 및 26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본 실시예에 있어 상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들에 할당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착 기억부로서의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는, 클리닝 정보와 제1 정착기(150)로 정착 처리한 시트(기록재(102))의 매수의 누적 카운트를 나타내는 정보(매수 정보)를 보관한다. 또한 메모리(154)에는, 다른 정착기와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서 정착기의 ID(예를 들면,“정착기 A”)를 보관하고 있어서 메모리(154)는 식별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본체 기억부로서의 본체 메모리(312)에는, 클리닝 정보와 카운트치와 제1 정착기(150)의 정착기 ID를 대응지어 보관시키도록 한다.
구체적인 클리닝 정보로서는, 실시예 24와 유사하게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에“이력 있음”및“이력 없음”이라고 하는 잼 이력을 보관시킨다.
매수 정보는, 메모리(154)가 기억하고 있는 클리닝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클리닝 정보 중 어느 쪽의 클리닝 정보에 근거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서 기억시키고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카운터(314)는, 제1 정착기(150)에서 정착 처리를 하기 위해서 제1 정착기(150) 내로 반송된 기록재(102)의 매수를 카운트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재(102)의 제1 정착기(150) 내로의 반송에 수반하여, 센서(155)가 기록재(102)의 통과를 검출한다. CPU(301)는, 센서(155)가 기록재(102)의 통과를 검출할 때마다, 카운터(314)에 카운트치를 증가시킨다.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클리닝 정보를 기록할 때에, 카운터(314)가 가리키는 카운트치를 기초로 하여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의 매수 정보를 갱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클리닝 정보 중에서, 보다 최근의 클리닝 정보에 근거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가 기억하고 있는 매수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가 기억하고 있는 매수 정보를 비교하여, 어느 쪽의 매수 정보의 누적 매수가 많은가를 판정한다. CPU(301)는, 보다 많은 매수를 나타내는 매수 정보에 대응지어진 클리닝 정보가 정착부에서의 잼의 해소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전술한 것처럼, 조작자에 의한 제1 정착기(150)의 교환에는, 화상 형성 장치(400)의 프론트 도어(140)의 개폐를 수반한다. 즉, 조작자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400)의 프론트 도어(140)가 열렸을 경우에는,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메인 스위치(101)가 오프인 동안에도, 제1 정착기(150)가 교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400)의 메인 스위치(101)가 온으로 된 것이나, 프론트 도어(140)가 닫혀지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로부터 정보를 읽어내어, 제1 정착기(150)에 대한 잼 이력을 취득한다. 이에 의해, 잼 해소에 수반하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재차 장착되더라도,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게 되기 때문에,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에, 잼 이력(클리닝 정보)과 함께 매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보다 최근의 클리닝 정보에 근거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다른 화상 형성 장치(구성은 화상 형성 장치(400)와 같음)에 있어서의 잼에 수반하는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더라도, 출력되는 기록재(102)의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어 플로우)
이하에서는, 도 38~도 40의 플로우 차트(실시예 26)와 도 4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26과 같으므로, 공통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도 40의 S201304, S201310에서, “회수”의 표기를“매수”라고 읽으면 된다.
메인 스위치 온시 및 프론트 도어 폐쇄시의 시퀀스(도 38, 도 39)에 대해서는, 실시예 26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0의 스타트-업 시퀀스 7 및 S201301~S201303에 대해서는, 실시예 26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S201303(도 40)에서 "Yes"인 경우, CPU(301)는 메모리(154)의 잼 이력과 본체 메모리(312)의 잼 이력 중 어느 쪽의 정보에 근거하는지를 판정한다(S201304).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매수 정보의 값이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져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매수 정보의 값보다 큰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가 긍정이라면, CPU(301)는 S201305로 이행한다(S201304, Yes).
한편, 판정의 결과가 부정이라면, CPU(301)는 S201306로 이행한다(S201304, No). 또한,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매수 정보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져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매수 정보가 같은 회수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도, CPU(301)는 S201306으로 이행한다(S201304, No).
S201305~S201309에 대해서는, 실시예 26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S201310에서,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매수 정보를 기록한다. 본체 메모리(312)에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시켜 기록한다. S201304에서 비교한 매수 중 보다 큰 것을 L이라고 할 때, S201310에서 L을 매수 정보로서 기록한다. 여기서, L은 0 이상의 정수이다. 또한, S201304에서 비교한 매수가 같은 경우, 그 매수는 변경하지 않는다. 여기서, CPU(301)는, 카운터(314)의 카운트치를 제로로 설정해 둔다.
S201311~S201309에 대해서는, 실시예 26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2는 정착부에서의 잼 발생시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화상 형성 장치(4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할 수 있는 상태인 스탠바이 모드에서, 조작부(180)나, 외부 I/F부(304)를 거쳐 외부의 PC 등으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한다. 그러면, CPU(301)는 스테이션(120~123), 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400)의 관련된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4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시킨다(S201501). 인쇄 작업이 개시되면, 카운터(314)는 카운트를 개시한다. 카운터(314)는, 정착 처리를 위해서 기록재(102)가 제1 정착기(150) 내에서 반송될 때마다 그 값을 1씩 더한다.
CPU(301)는 인쇄 작업이 종료하면, S201515로 이행한다(S201502). S201515에서,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매수 정보를 기록한다. 매수 정보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매수 정보의 회수를 S20, 카운터(314)의 카운트치를 T로 할 때, 매수 정보가 S20+T가 되도록 기록한다. 여기서, S20, T는 0 이상의 정수이다. 본체 메모리(312)에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시켜 기록한다.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매수 정보를 기록하면, 카운터(314)의 카운트치를 제로로 설정해 둔다.
최신의 매수 정보를 메모리(154)에 기록함으로써, 인쇄 작업 종료 후에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400)로부터 떼어내져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었을 경우라도, 메모리(154)가 가지는 클리닝 정보가 최신의 정보가 된다.
CPU(301)는, 인쇄 작업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단계(S201502)에서, 화상 형성 장치(400) 내에서의 잼을 검지하면(S201503), 화상 형성 장치(4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정지, 즉, 인쇄 작업을 중단시킨다(S201504). 여기서, CPU(301)는, 센서군(306)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400) 내에서의 잼 발생을 검지한다.
화상 형성 장치(400) 내에서의 잼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 CPU(301)는 인쇄 작업이 끝날 때까지 인쇄 작업을 속행시킨다(S201502, S201503).
S201505~S201509는, 도 41의 S201401~S201409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S201510에서,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매수 정보를 기록한다. 매수 정보는, 이미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매수 정보의 회수를 S20, 카운터(314)의 카운트치를 T라 할 때, 매수 정보가 S20+T가 되도록 기록한다. 여기서, S20, T는 0 이상의 정수이다. 본체 메모리(312)에는,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시켜 기록한다. CPU(301)는,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매수 정보를 기록하면, 카운터(314)의 카운트치를 제로로 설정해 둔다.
매수 정보는, 메인 스위치의 ON시나 프론트 도어(140)의 개방시, 상술한 스타트-업 시퀀스 7(도 40)의 S201310에 의해서, 메모리(154)에 기록되어 있는 매수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매수 정보는 같은 매수가 기록되고 있다.
S201511~S201514에 대해서는, S201411~S201414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수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에 기록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다음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가 기록재(102)를 정착 처리할 때마다,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의 매수 정보를 갱신하여 기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본체 메모리(312)와 메모리(154)의 매수 정보는, 제1 정착기(150)가 기록재(102)를 1매 정착 처리할 때마다, 1씩 증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S201310, S201510, S201515에서, 카운터(314)의 값을 제로로 설정했지만, 카운터(314)의 값을 제1 정착기(150)에 대한 매수 정보의 값으로 설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메모리(154)가 보관하고 있는 매수 정보와 제1 정착기(150)의 ID에 대응지어져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되어 있는 매수 정보가 가리키는 매수가 다른 경우는, 보다 큰 매수의 값을 카운터(314)에 세트한다. 메모리(154)의 매수 정보와 본체 메모리(312)의 매수 정보가 같은 매수를 나타내는 경우는, 그 매수의 값을 카운터(314)에 세트한다. 이 경우, S201510, S201515에서 CPU(301)가 메모리(154)와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하는 매수 정보는, 카운터(314)의 카운트치 T가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26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24와의 차이를 설명했지만, 실시예 25의 구성을 기본으로 시각 정보 대신에 제1 정착기(150)에 의해 정착 처리한 기록재의 매수의 누적 카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변형에 대한 상세는,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되는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8)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식별 정보로서의 정착기 ID를 메모리(154, 174)가 각각 기억하고 있어서, 메모리(154, 174)가 식별부로서도 기능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정착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식별부로서의 저항체를, 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 및 교환용 정착기로서 화상 형성 장치(400) 외에 준비되어 있는 정착기에 각각 마련하는 구성이다.
이들 저항체(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 교환용 정착기에 설치되어 있는 저항체)는, 식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서 서로 다른 저항값의 것이 이용되고 있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정착기(150)의 저항체에 미리 결정된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저항체에 흐르는 전류치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400)는, 제1 정착기(150)를 식별하는 수단으로서 저항체에 미리 결정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와 저항체에 흐르는 전류를 계측하는 전류계를 포함하고 있다. CPU(301)는 이 전류계의 출력을 모니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오옴의 법칙에 의해 규정 전압을 인가할 때, 저항값과 전류치는 일대일로 대응한다. CPU(301)는, 전류계의 출력을 취득함으로써, 저항체(1154)의 저항값을 구할 수가 있다. 제1 정착기(150)와 교환용 정착기는 서로 다른 저항값의 저항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CPU(301)는, 전류계의 출력의 차이로부터 정착기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저항값이 식별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CPU(301)는, 제1 정착기(150)의 저항체로부터 취득한 저항값을 정착기 ID로서 클리닝 정보와 시각과 대응지어 본체 메모리(312)에 보관시킨다.
이 경우, CPU(301)는, 도 28의 S20301(실시예 24), 도 32의 S20501(실시예 25), 도 40의 S201301에서,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로부터 정보를 읽어냄과 함께, 이상의 방법으로, 제1 정착기(150)의 저항체의 저항값을 취득한다.
본체 메모리(312)에의 정착기 ID의 기입(기록) 방법은, 저항값을 식별 정보로서 기록하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체 메모리(312)내에, 저항체의 저항값과 정착기의 명칭을 대응시키는 표를 보관하게 하고, 정착기의 명칭(예를 들면, 정착기 A)과 클리닝 정보를 대응지어 기록하여도 된다.
또한, CPU(301)는, 전류계의 출력을 취득함으로써 저항체의 저항값을 구하지 않고, 전류계의 출력치를 식별 정보로서 취득해도 된다. 즉, CPU(301)는 정착기의 ID로서 전류계의 출력치를 기록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2 정착기(170)를 식별하는 수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 도 25에 나타내는 식별 부재(311)는, 제1 정착기(150)를 식별하는 수단으로서의 전압 인가부와 전류계, 및 제2 정착기(170)을 식별하는 수단으로서의 전압 인가부와 전류계를 포함한다. CPU(301)는, 식별 부재(311)에 접속되어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나 제2 정착기(170)를 식별한다. 제1 정착기(150)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면, 식별 부재(311)는 제1 정착기(150)가 구비하는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정착기(170)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면, 식별 부재(311)는, 제2 정착기(170)가 가지는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9)
정착기를 식별하는 방법의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정착기(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 교환용 정착기)에 식별부로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딥 스위치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별 정보로서 정착기마다 다른 스위치가 미리 ON 된 상태로 되어 있다(정착기에 따라 스위치의 ON과 OFF의 조합이 다르다). CPU(301)와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정착기의 딥 스위치는 접속되어 있어서 ON 상태의 스위치는 CPU(301)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CPU(301)에 신호를 출력한다. CPU(301)는 ON 상태의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함(정착기 ID를 취득함)에 따라 정착기를 식별한다.
예를 들면, CPU(301)는 1번과 2번의 스위치의 양쪽 모두에 신호를 공급하였다고 하자. 그 결과, CPU(301)는, 1번의 스위치의 출력 신호를 검출했을 경우는 정착기 A, 2번의 스위치의 출력 신호를 검출했을 경우는 정착기 B, 1번과 2번의 스위치의 양쪽 모두의 출력 신호를 검출했을 경우는 정착기 C로 판정한다.
이 경우, 도 25에 나타내는 식별 부재(311)는, 제1 정착기(150)를 식별하기 위한 딥 스위치와 제2 정착기(170)를 식별하기 위한 딥 스위치를 포함한다. CPU(301)는,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 및/또는 제2 정착기(170)의 딥 스위치(식별 부재(311))와 접속되어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정착기(150) 및/또는 제2 정착기(170)를 식별한다.
(실시예 30)
이상의 설명에서는, CPU(301)는, 정착부에서의 잼의 해소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고 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은 예외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본 예에서는, 이러한 예외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가 있어도, 「정착부에서의 잼의 해소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웜업 처리를 실행시킨다」라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301)는, 정착부에서의 잼의 해소에 수반하여 행해지는 클리닝 처리가 이미 실행이 끝난 상태더라도, 예외적으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여러 차례의 정착 처리를 거쳐 축적된 토너 오염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CPU(301)는 스타트-업 시퀀스의 누적 실행 회수 100회에 1회의 비율로, 그러한 예외적인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 경우, CPU(301)는, 제1 정착기(150)에서의 스타트-업 시퀀스의 누적 실행 회수를 본체 메모리(312)에 기록하고, 이 기록된 누적 실행 회수에 근거하여 예외 처리를 실행한다.
그러나, 클리닝 처리가 이미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면, 메인 스위치(101)를 온으로 하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4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예외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리닝 처리가 실행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는 구성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31)
이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400)가 조합되어 화상 형성 시스템을 구성하여도 된다.
(실시예 32)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80)는 표시 화면과 선택 키를 구비하지만, 표시 화면이 선택부로서도 기능하는 터치 패널이어도 된다.
(실시예 33)
정착기 교환가능 시스템에 의해서, 조작자는, 사용되는 기록재(102)의 종류나 조작자의 기호에 따른 정착기로 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자가 기록재(102)에 적합한 정착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보다 고품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교환가능한 정착기의 이점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400)는, 조작자가 인쇄하고 싶은 기록재(102)와 정착기의 용도가 적절히 서로 일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조작자에게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정착기의 용도와 인쇄하는 기록재(102)의 종류를 대응시키는 방법에 대해, 전술한 실시예 24(도 28, 도 29)에 보충하는 형태로 설명한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24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 정착기(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는, 제1 정착기(150)에 적합하지 않은 기록재(102)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서, 제한 정보부로서 기능한다.
도 28의 S20301에서,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400)에 장착된 제1 정착기(150)의 메모리(154)의 정보를 취득함과 함께, 제한 정보를 취득한다. CPU(301)는, 이 제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한해야 할 기록재(102)의 종류를 식별한다.
도 29의 S20401에서, CPU(301)는, 조작자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할 때에 선택 화면에서 제1 정착기(150)에 대해 적합하지 않은 기록재(102)의 종류를 선택 불가로 한다.
따라서, 부적합한 제1 정착기(150)에 의한 인쇄 처리를 방지할 수 있어서 보다 고품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한 정보부로서 메모리(154, 174)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하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저항체를 이용하는 구성이다. 제1 정착기(150)는 제한 정보부로서 기능하는 저항체를 구비한다. 또한, 교환용 정착기로서 화상 형성 장치(400) 외부에 준비되어 있는 정착기에도 제한 정보부로서의 저항체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저항값은, 제1 정착기(150)에 의한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102)의 종류마다 상이하여, 제1 정착기(150)에 의한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102)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한 정보로서 기능한다. CPU(301)가 제한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정착기의 ID를 저항체로부터 취득하는 방법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 메모리(312)에는, 저항체(제한 정보부)의 저항값(제한 정보)에 대응지어져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102)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저항값이 R4인 경우는 봉투의 정착을 제한하고, 저항값이 R5인 경우는 두꺼운 시트의 정착을 제한하는 등이다.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102)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보를, 본체 메모리(312)가 제한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구성이 아니라도 좋다. 예를 들면, CPU(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항체(제한 정보부)의 저항값에 따라 소정 종류의 기록재(102)의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구성한다. 이 경우, 이 프로그램은 ROM(303)에 저장된다.
예를 들면, 정착기(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 교환용 정착기)에 마련하는 제한 정보부로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딥 스위치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제한 정보로서 정착 처리를 제한하는 기록재(102)의 종류에 따라 다른 스위치가 미리 ON 된 상태로 되어 있어서 CPU(301)는 ON 상태의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정착 처리가 제한되는 기록재(102)의 종류를 결정한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식별부로서 딥 스위치를 설치하는 구성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한 정보부와 식별부를 별체로서 정착기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동일한 저항체나 메모리에 제한 정보부와 식별부의 기능을 갖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24에 보충하는 형태로 설명했지만, 실시예 25~27에 적용해도 된다. 실시예 25~27에 적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4)
회수 회전체는, 정착 롤러(151, 171)의 외측으로부터 정착 롤러(151, 171)를 가열하기 위해서 내부에 히터를 포함하는 중공 롤러(외부 가열 부재)여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클리닝부를 정착 롤러(151) 측에 마련하고 있지만, 가압 벨트(152)(회전체) 측에 마련하고, 정착 롤러(151) 표면의 토너를 가압 벨트(152)에 전이시키고 나서 제거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에서, 정착 롤러(151) 표면의 토너를 가압 벨트(152)로 전이시키기 위해서 정착 롤러(151)와 가압 벨트(152)를 접촉시킨다. 또한 상술한 예와 유사하게, 클리닝 처리를 시작하기 전에 우선 가압 벨트(152)를 토너가 굳어지지 않는 정도로 가열시키고, 그 후,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웹 클리너(156~160)를 이용하여 정착부(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에서의 잼의 해소에 수반하여 실행되는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착 롤러(151, 171)에 스펀지 롤러를 종동 회전시킴으로써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 35)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정착부(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에서의 잼의 해소에 수반하여 실행되는 클리닝 처리를 웹 클리너(156~160)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록재(102)를 이용하여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웹 클리너와 같은 클리닝 기구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서도, 정착부에서의 잼의 발생에 수반하는 정착 롤러(151) 및/또는 정착 롤러(171)의 토너 오염을 제거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려면, 복수매의 기록재(102)를 정착부(제1 정착기(150), 제2 정착기(170))에 강제적으로 통과시켜, 토너 오염을 기록재(102)에 전이시키는 것이다. 그 후, 토너가 전이된 기록재(102)는, 화상 형성 장치(400) 밖으로 배출된다.
CPU(301)는, 메모리(154)가 기억하는 정보가 클리닝 처리가 미실행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반송부(308)를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매수의 기록재(102)를 제1 정착기(150)(제2 정착기(170))로 연속하여 반송하고, 기기 밖으로 배출시킨다.
이상, 제2 정착기(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반송하는 기록재(102)의 매수는, 미리 적당히 설정해 두면 좋고, 본 실시예에서는 10매이다.
(실시예 36)
그러나, 본 발명은 제1 정착기(150)만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4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37)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400)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상 형성부(스테이션(120~123))를 포함하였지만, 본 발명은 단색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블랙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흑백의 화상 형성 장치 등이다.
(실시예 38)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400)는,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115)를 포함하는 구성(중간 전사 방식)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직접 전사 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형성부(309)는 상 형성부(스테이션(120~123))와 전사부로서 기능하는 전사 반송 벨트를 포함한다. 상 형성부(스테이션(120~123))는, 전사 반송 벨트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400)는, 기록재(102)를, 기록재 수납부(103)로부터 전사 반송 벨트로 반송한다. 전사 반송 벨트는, 기록재(102)를 정전 흡착하면서 화상 형성부와 대면하는 위치로 운반하며, 그 벨트의 내부에 전사 롤러를 구비한다. 전사 롤러는, 상 담지체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전사 반송 벨트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재(102)에 전사한다. 이에 의해, 기록재(102)에 토너상(미정착)을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형과 등가의 구조 그리고 기능을 아우르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1)

  1. 화상 형성 장치로서,
    기록재에 미정착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
    (i) 상기 미정착 토너상이 상기 기록재에 정착되는 정착 닙(fixing nip)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회전체, 및 (ⅱ)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를 포함하는 정착부;
    복수의 상기 정착부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착부에서의 잼(jam)을 검지하도록 구성된 잼 검지부;
    상기 잼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잼의 해소 후에 상기 제1 회전체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된 실행부;
    상기 실행부에 의해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입하기 위한 기입부; 및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임을 조작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장착부로부터 일시적으로 탈착된 후에 상기 장착부에 재장착된 상기 정착부의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통지부가 통지를 행하기 전에 상기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재장착된 상기 정착부의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상기 클리닝 처리가 이미 실행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실행부는 상기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상기 통지부로 하여금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임을 통지하도록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었을 경우, 상기 기억부에는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재장착된 상기 정착부의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상기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었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실행부는, 상기 통지부가 통지를 행하기 전에, 상기 클리닝 처리가 중단되지 않았을 때 실행되는 상기 클리닝 처리의 기간보다 짧은 기간 동안 상기 클리닝 처리를 실행하는 단기간 클리닝 처리(short cleaning process)를 실행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기동하도록 구성된 메인 스위치; 및
    상기 클리닝 처리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체를 클리닝하도록 구성된 클리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스위치가 온 되고 나서 상기 통지부가 통지를 행하기 전까지 상기 클리닝부가 상기 제1 회전체를 클리닝하는 기간은, 상기 장착부에 재장착된 상기 정착부의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상기 클리닝 처리가 이미 실행 완료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보다, 상기 장착부에 재장착된 상기 정착부의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가 더 긴,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는 상기 제1 회전체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와 상기 제1 회전체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장착부에 재장착된 상기 정착부의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에 도달하였음을 상기 온도 검지부가 검지하였을 때 상기 클리닝 처리를 개시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i) 상기 제1 회전체에 의해 종동 회전하면서 상기 제1 회전체로부터 토너를 회수하도록 구성된 회수 회전체와, (ⅱ) 상기 회수 회전체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회수 회전체로부터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웹(web)과, (ⅲ)상기 웹이 권취되는 롤러와, (ⅳ)상기 웹을 권취하도록 구성된 권취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 롤러를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시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는, 상기 제1 회전체를 클리닝 하도록 구성된 클리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i)상기 제1 회전체에 의해 종동 회전하면서 상기 제1 회전체로부터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웹과, (ⅱ)상기 웹이 권취되는 롤러와, (ⅲ)상기 웹을 권취하도록 구성된 권취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 롤러를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시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착부는, (i) 미리 결정된 폭 사이즈의 기록재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기록재에 정착 처리가 가능한 제1 정착부와, (ⅱ) 상기 미리 결정된 폭 사이즈의 기록재를 포함하지 않는 미리 결정된 기록재에 정착 처리가 가능한 제2 정착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착부는, (i) 미리 결정된 봉투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기록재에 정착 처리가 가능한 제1 정착부와, (ⅱ)상기 봉투를 포함하지 않는 미리 결정된 기록재에 정착 처리가 가능한 제2 정착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화상 형성 시스템으로서,
    기록재에 미정착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
    정착부로서, (i) 상기 미정착 토너상이 상기 기록재에 정착되는 정착 닙(fixing nip)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회전체, 및 (ⅱ) 다른 정착부와의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부를 포함하는 정착부;
    복수의 상기 정착부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착부에서의 잼(jam)을 검지하기 위한 잼 검지부;
    상기 잼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잼의 해소 후에 상기 제1 회전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된 실행부;
    상기 실행부에 의해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클리닝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 및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임을 조작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장착부로부터 일시적으로 탈착된 후에 상기 장착부에 재장착된 상기 정착부의 상기 식별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식별 정보와 대응지어진 상기 클리닝 정보가, 상기 클리닝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통지부가 통지를 행하기 전에 상기 클리닝 처리를 실행시키는, 화상 형성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60081913A 2015-06-30 2016-06-29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시스템, 및 정착 장치 KR102023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2171A JP6192685B2 (ja) 2015-06-30 2015-06-30 画像形成装置
JP2015132173A JP6113230B2 (ja) 2015-06-30 2015-06-30 画像形成装置及び定着装置
JPJP-P-2015-132170 2015-06-30
JPJP-P-2015-132173 2015-06-30
JP2015132170A JP6192684B2 (ja) 2015-06-30 2015-06-30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JP-P-2015-132171 2015-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61A KR20170003461A (ko) 2017-01-09
KR102023804B1 true KR102023804B1 (ko) 2019-09-20

Family

ID=5629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913A KR102023804B1 (ko) 2015-06-30 2016-06-29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시스템, 및 정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89911B2 (ko)
EP (1) EP3112943B1 (ko)
KR (1) KR102023804B1 (ko)
CN (1) CN1063250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9638B2 (ja) * 2018-08-30 2021-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0310A (ja) * 2006-08-09 2008-02-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8145695A (ja) * 2006-12-08 2008-06-26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2068560A (ja) * 2010-09-27 2012-04-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2189696A (ja) * 2011-03-09 2012-10-0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5438A (ja) * 1994-09-21 1996-04-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016409A (en) * 1997-04-11 2000-01-18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fuser modules in a digital printing apparatus
JP2001324848A (ja) 2000-05-18 2001-11-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異常検出方法
JP2004029592A (ja) * 2002-06-28 2004-01-29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5338195A (ja) 2004-05-24 2005-12-0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060040986A (ko) * 2004-11-08 200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07105879A (ja) 2005-09-16 2007-04-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972305B2 (ja) 2005-11-10 2012-07-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省エネルギ復帰方法
JP4810205B2 (ja) * 2005-11-30 2011-11-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7333845A (ja) 2006-06-13 2007-12-2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交換ユニット、ラベル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7720398B2 (en) * 2006-08-15 2010-05-18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4924051B2 (ja) * 2007-01-18 2012-04-2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185698A (ja) * 2007-01-29 2008-08-1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8203569A (ja) * 2007-02-20 2008-09-0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10175831A (ja) 2009-01-29 2010-08-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寿命判定方法、及び寿命判定制御プログラム
US20110058201A1 (en) * 2009-09-08 2011-03-10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parts in an image production device
JP5393648B2 (ja) 2010-03-30 2014-0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36599B2 (ja) * 2011-01-24 2015-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13403B2 (ja) 2011-05-27 2014-02-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168725B2 (ja) 2012-02-14 2017-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5982997B2 (ja) 2012-04-27 2016-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00151B2 (ja) 2012-05-21 2016-04-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4010393A (ja) 2012-07-02 2014-01-20 Ricoh Co Ltd 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診断システム
JP6235233B2 (ja) 2013-04-30 2017-11-22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02542B2 (ja) 2013-06-14 2017-03-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ジョブ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0310A (ja) * 2006-08-09 2008-02-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8145695A (ja) * 2006-12-08 2008-06-26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2068560A (ja) * 2010-09-27 2012-04-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2189696A (ja) * 2011-03-09 2012-10-0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2943A1 (en) 2017-01-04
KR20170003461A (ko) 2017-01-09
CN106325027A (zh) 2017-01-11
US9989911B2 (en) 2018-06-05
US20170003637A1 (en) 2017-01-05
EP3112943B1 (en)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005B2 (en) 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including a propinquity/separation mechanism for moving a fixing roller cleaner in relation to fixing rollers
JP2010286546A (ja) 画像形成装置
JP5120411B2 (ja) 画像形成装置
KR102023804B1 (ko)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시스템, 및 정착 장치
JP619268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019995A (ja) 画像形成装置
JP7003426B2 (ja) 画像形成装置
JP6570369B2 (ja) 画像形成装置
JP611323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定着装置
US2014004444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539494B2 (ja) 画像形成装置
JP619268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355408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0022102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271343A (ja) 画像形成装置
JP6898752B2 (ja) 画像形成装置
JP691137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130830A (ja) 画像形成装置
JP651662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115614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187503B2 (ja) 画像形成装置
JP7413788B2 (ja) 画像形成装置
JP5074832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35051B2 (ja) 画像形成装置
JP6862117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