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927B1 - 차량 도어 록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927B1
KR102017927B1 KR1020147028072A KR20147028072A KR102017927B1 KR 102017927 B1 KR102017927 B1 KR 102017927B1 KR 1020147028072 A KR1020147028072 A KR 1020147028072A KR 20147028072 A KR20147028072 A KR 20147028072A KR 102017927 B1 KR102017927 B1 KR 102017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nt
lever
spring
door lock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9542A (ko
Inventor
토르스텐 벤델
클라우스 퇴페르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139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53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means providing a stable, i.e. indexed, position of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53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means providing a stable, i.e. indexed, position of lock parts
    • E05B2015/0066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means providing a stable, i.e. indexed, position of lock parts axially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68Spring arrangements in locks made of one piece with a lock par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레버(1)와 제 2 레버(2)를 갖는 작동/록킹 레버 메커니즘(1, 2)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에 관한 것으로서, 양 레버(1, 2)는 적어도 2개의 다른 상대 위치에서 서로 결합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레버(1)는 다른 제 2 레버(2) 상의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윤곽부(6)와의 협력을 위하여 제 1 레버에 연결된 디텐트 스프링(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록{Motor vehicle door lock}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다른 상대적인 위치에서 서로 결합 가능한 제 1 레버와 제 2 레버를 구비한 작동/록킹 레버 메커니즘을 갖는 차량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DE 23 55 556 A에 개시된 선행 기술은 2개의 통 아암(tong arms)을 구비한 통 케이스를 포함한 록킹 메커니즘을 갖는 차량 도어 록을 설명한다. 2개의 통 아암은 볼트 상에 각각 장착된다. 또한, 통 아암의 2개의 볼트에 의하여 지지된 스프링이 제공된다.
DE 89 16 180 U1에 따른 기술의 일반적인 상태는 다른 상대적인 위치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레버, 결합 레버 그리고 작동 레버를 개시한다. 하나의 상대적인 위치는 결합된 상태에 대응하며, 반면에 다른 상대적인 위치는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 대응한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그러나 공지된 해결책은 운동역학적으로 복잡한 설계를 필요로 하며, 결합 위치 변화가 이중 스트로크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다른 적용에는 거의 적합하지 않다.
소위 신속 해제(quick release) 기능을 구비한 더욱 현대적인 차량 도어 록 형태에서, 이 신속 해제 기능은 예를 들어, 소위 "키리스 엔트리(keyless entry)"의 기능의 부분으로써 모터에 의하여 수행된 실질적인 언록킹 작동이 단축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다양한 작동 동작이 요구되며, 이 작동 동작의 도움으로 작동 레버 체인이 언록킹 상태로 직접적으로 이동되거나 릴리즈 레버에 대한 이전에 중단된 기계적인 연결이 생성된다 (DE 10 2005 043 227 B3 참조). 그러나,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것이나, 신속 해제 유니트 내에 통합된 레버들 사이에 사용된 결합과 관련하여 개선될 수 있다. 실제로, 이 장치에 있어 이 과정 동안에 결합된 2개의 레버가 상대적인 위치에서 정확하게 서로 일치하지 않는 일반적인 가능성 또는 위험이 있으며, 이는 오작동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2개의 레버 기능의 결합 그리고 특히 취해진 상대적인 위치가 안전하게 그리고 재현 가능하게 얻어질 수 있고 유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의 이러한 차량 도어 록의 개발의 기술적인 문제점에 기초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포괄적인 차량 도어 록은 제 2 레버 상의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윤곽부와의 협력을 위하여 적어도 제 1 레버가 연결된 디텐트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텐트 스프링은 제 1 레버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디텐트 스프링과 제 1 레버가 단일 요소를 형성하고 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그러나 어떠한 가능한 방식으로 디텐트 스프링은 또한 제 1 레버에 연결될 수 있다. 리벳팅, 볼팅 등에 의하여 각 디텐트 스프링을 제 1 레버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든 경우에서, 연결된 디텐트 스프링을 갖는 제 1 레버는 제 2 다른 레버가 디텐트 스프링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런 이유로, 디텐트 스프링을 갖는 레버는 대부분의 경우에 고정 레버로서 설계된다. 한편, 디텐트 윤곽부를 갖는 제 2 레버는 고정 레버에 대하여 다른 디텐트 위치에 배치 가능한 디텐트 레버이다. 이는 고정 레버가 그 위치를 규칙적으로 유지하는 반면에 디텐트 레버는 고정 레버에 대하여 그리고 디텐트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다른 디텐트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적어도 2개의 디텐트 위치가 실현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3개 이상이 디텐트 위치도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세부적으로 이루기 위하여, 디텐트 스프링과 디텐트 레버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텐트 스프링에 의하여 가해진 스프링력은 디텐트 스프링에 의하여 작용되는 디텐트 레버의 평면의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디텐트 스프링과 디텐트 레버가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실현 가능하다. 이 경우, 디텐트 스프링과 디텐트 레버는 따라서 다른 평면을 형성하며 규칙적으로 각도를 갖고 서로에 대하여 배치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 상황에서 디텐트 스프링과 디텐트 레버가 서로 직교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이는 이 상황에서 디텐트 스프링이 디텐트 레버에 의하여 형성된 평면에 스프링력을 직교적으로 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별하게 비용 면에서 효과적이고 잘 작용하는 해결책은 디텐트 레버가 회전축 내에서 고정 레버 상에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특징지워진다. 디텐트 스프링은 회전축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이 상황에서, 디텐트 스프링은 디텐트 스프링과 디텐트 레버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경우에 디텐트 스프링이 회전축의 축 방향에 관하여 직교적인 힘으로 디텐트 레버에 작용하는 것을 보장한다. 반대로, 다른 평면 상에서의 디텐트 스프링과 디텐트 레버의 배치, 특히 서로에 대하여 직교적인 배치는 디텐트 스프링이 축 방향 힘으로 디텐트 레버에 작용하게 한다. 이 경우, 디텐트 스프링에 의하여 가해지는 스프링력은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축 방향 힘 그리고 회전축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힘은 동시에 디텐트 레버에 가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텐트 스프링은 리프(leaf) 스프링이다. 본 경우에서, 제 1 레버 또는 고정 레버는 L-형 횡단면을 가지며, 디텐트 스프링은 L-레그 상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제 1 레버 또는 고정 레버 그리고 디텐트 스프링은 동시에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비용 효율이 높다.
디텐트 윤곽부는 리프 스프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디텐트 요부일 수 있다. 디텐트 요부는 또한 대부분의 경우에 멈춤부를 제공한다. 이 멈춤부는 제 1 디텐트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적어도 다른 제 2 멈춤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멈춤부는 고정 레버에 관한 디텐트 레버의 다른 디텐트 위치와 대응한다.
대안적인 방법의 한 부분으로서, 디텐트 스프링은 또한 스프링 와셔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수의 이러한 스프링 와셔를 포함하는 코일 스프링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텐트 윤곽부(detent contour)는 전형적으로 디텐트 레버 상의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는 멈춤 에지(stop edge)로서 설계된다. 멈춤 에지는 고정 레버 상에 위치하는 반면에, 디텐트 레버 상의 돌출부는 고정된 레버 상의 이 멈춤 에지와 상호 작용한다. 고정 레버의 멈춤 에지에 맞선 디텐트 레버 상의 돌출부의 접촉은 제 1 디텐트 위치에 대응한다. 다른 멈춤 에지가 고정 레버 상에서 사용 중일 때 디텐트 레버는 다른 제 2 디텐트 위치를 취할 수 있다. 고정 레버가 길이 방향의 스트립 형(strip-like) 레버인 경우, 레버의 2개의 길이 방향 에지는 각각 제 1 및 제 2 디텐트 위치를 위한 멈춤 에지로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3개의 다른 디텐트 위치를 취하도록 디텐트 레버는 설계된다. 이 상황에서, 디텐트 스프링과 디텐트 레버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이는 고정 레버의 하나의 L-레그 상에 형성된 리프 스프링 또는 디텐트 스프링이 디텐트 레버의 종단에서의 하나의 다각형 윤곽부와 협력하는 옵션을 허용한다. 이 다각형 윤곽부 또는 다각형 구조의 에지의 개수에 따라, 디텐트 레버와 고정된 레버 사이의 어떠한 수의 디텐트 위치가 이론상으로는 제공될 수 있다. 각 디텐트 위치는 다각형 구조체에 인접해 있는 리프 스프링의 한 에지에 대응한다. 원칙적으로, 이 다각형 구조체는 또한 디텐트 스프링으로서의 스프링 와셔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프링 와셔가 다각형 구조체에 걸친 축 방향 웹을 포함하는 것 그리고 각 디텐트 위치가 이를 테면 핑거형 걸침 축방향 웹(finger-like spanning axial webs)에 관하여 회전되는 다각형 구조체에 대응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위치가 단독으로 그리고 배타적으로 디텐트 스프링으로 고정될 수 있다면, 고정 레버와 비교하여 디텐트 레버가 2개 이상의 디텐트 위치를 취하는 경우가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이는 이 경우에 디텐트 위치가 -부가적인 멈춤부 없이- 디텐트 스프링과 디텐트 윤곽부 간의 협력에 의해서만 한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으로는, 다수의 디텐트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디텐트 스프링의 도움뿐만 아니라 멈춤부의 도움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는 한편으로는 디텐트 스프링과 멈춤 윤곽부 간의 협력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체로서 디텐트 레버가 각 디텐트 위치를 취하는 것을 보장하는 멈춤부와 디텐트 레버 간의 협력이다. 일반적으로, 물론 디텐트 레버의 모든 디텐트 위치가 디텐트 스프링에 의하여 고정 레버에 관하여 단지 고정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실현 가능하다. 또한 디텐트 스프링 그리고 각 관련된 멈춤부가 디텐트 레버가 고정 레버에 관하여 그의 원하는 디텐트 위치를 취하는 것을 보장한다는 사실로 인하여 모든 디텐트 위치가 한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텐트 레버는 언록킹 레버이며, 특히 신속 해제 레버이다. 이 경우에, 디텐트 레버는 언록킹 레버 체인의 부품일 수 있다. 반대로, 고정 레버는 일반적으로 작동 레버 메커니즘의 부품이다. 신속 해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 1 디텐트 위치 또는 기본 위치와 비교하여, 디텐트 레버는 이동된 위치로 또는 제 2 디텐트 위치로 선회된다. 이 작동은 모터 구동 작동 또는 수동 작동일 수 있다. 이 옮겨진 위치를 취한 신속 해제 레버 또는 디텐트 레버의 결과로서, 록킹 메커니즘에 작용하는 릴리즈 레버는 예를 들어, 작동 레버 체인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이동될 수 있어 거의 어떠한 지체도 없이 록킹 메커니즘은 열릴 수 있다. 전체 작동은 신속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작업이고 기본 위치로서 재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디텐트 스프링과의 협력의 결과로서 디텐트 레버의 또는 신속 해제 레버의 옮겨진 위치는 정확하게 그리고 재현 가능하게 취해질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주요 이점이다.
이하, 본 발명이 단지 하나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록의 제 1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대상물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변형된 실시예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록의 제 2 형태의 길이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형태의 차량 도어 록의 평면도.
도면들은 작동 레버 메커니즘(1) 그리고 언록킹 레버 메커니즘(2)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을 도시한다. 이 예는 단지 작동 레버 메커니즘(1)의 제 1 레버 또는 고정 레버(1)를 도시하는 반면에, 언록킹 레버 메커니즘(2)은 또한 제 2 레버(2)로 나타낸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실제 설치된 상황에서, 작동 레버 메커니즘(1)과 록킹 레버 메커니즘(2)은 또한 더 식별되지 않는 그리고 본 경우에서는 중요하지 않은 다른 레버를 포함한다.
종전과 같이, 작동 레버 메커니즘(1)은 전형적으로 핸들, 예를 들어 내부 도어 핸들 및/또는 외부 도어 핸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차량 도어 록에 속하는 차량 도어를 열기 위한 핸들의 작동은 제 1 레버 또는 고정 레버(1)가, 화살표에 의하여 지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 회전축(3)을 중심으로 선회되게 한다. 이 선회 운동 동안에, 회전축(3)에서 고정 레버(1) 상에 장착된 디텐트 레버(2; detent lever)는 지시된 릴리즈 레버(4)에 도달하지 않는다.
한편, -실선에 의하여 도시된- 제 1 디텐트 위치 또는 기본 위치에 비해 디텐트 레버(2)가 옮겨진 위치 또는 제 2 위치를 취할 때, -파선에 의하여 도시된- 고정 레버(1)에 비해 핸들에 의하여 트리거된 고정 레버(1)의 이미 논의된 선회 운동은 릴리즈 레버(4)를 작동하게 한다. 그 결과, 핸들은 이제 릴리즈 레버(4)에 의하여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록킹 메커니즘을 열 수 있다. 트리거 레버(4)는 실제로 -도시되지 않은- 포올 상에 작용하여 로터리 래치로부터 포올을 들어 올린다. 로터리 래치는 스프링의 도움으로 이미 유지된 록킹 핀을 열고 해제한다. 그 결과, 차량 도어는 직접적으로 열릴 수 있다.
설명된 과정은 예를 들어 -실선에 의하여 도시된- 기본 위치에서 -파선에 의하여 도시된- 전환된 위치로 이동하는 디텐트 레버(2)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그리고/또는 모터의 도움으로 이루어진 신속 해제에 대응한다. 실제로 양 레버(1, 2)는 설명된 적어도 2개의 다른 상대적인 위치, 기본 위치 및 전환된 위치에서 서로 결합된다. 제 1 레버 또는 고정 레버(1)가 연결된 디텐트 스프링(5)을 포함함에 따라 이 결합은 디텐트 결합이다. 다른 제 2 레버 또는 디텐트 레버(2)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윤곽부(6)와 협동하도록 디텐트 스프링(5)이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텐트 스프링(5)은 제 1 레버 또는 고정 레버(1) 상에 형성된다. 디텐트 스프링(5)과 제 1 레버(1)는 실질적으로 단일 부품 요소를 형성한다.
단일 부재 디텐트 스프링(5)과 함께 고정 레버(1)가 횡단면이 전체적으로 L-형인 레버(1, 5)를 형성하는 것이 또한 도 2의 단면도로부터 명백하다. 고정 레버(1)는 보다 긴 L-레그를 한정하는 반면에, 디텐트 스프링(5)은 보다 짧은 L-레그 상에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고정 레버(1)와 디텐트 스프링(5)은 비용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단일 작동 그리고 동일 작동에서 생산될 수 있다. 디텐트 스프링(5)은 또한 리프 스프링(5)으로 설계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디텐트 스프링(5)과 디텐트 레버(2)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것이 명백하다. 이는 디텐트 스프링(5)에 의하여 가해진 스프링 력(F)이 디텐트 레버(2)에 의하여 한정된 평면의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디텐트 스프링(5)에 의하여 가해진 스프링 력(F)을 위한 각 힘 화살표(F)에 의하여 도 1에서 지시된다.
디텐트 레버(2) 상의 앞서 언급된 디텐트 윤곽부(6)는 디텐트 스프링 또는 리프 스프링(5)에 대응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텐트 스프링(5) 또는 리프 스프링(5)은 사각 횡단면을 가지며 따라서 윤곽부(6) 또한 사각 형상을 갖는다. 그 결과, 디텐트 윤곽부(6)는 또한 리프 스프링(5)의 선단을 위한 멈춤부(7)를 형성한다.
멈춤부(7) 그리고 디텐트 스프링(5)과 디텐트 레버(2) 간의 협력은 고정 레버(1)에 관하여 도 1 내의 -실선에 의하여 도시된- 디텐트 레버(2)의 제 1 디텐트 위치 또는 기본 위치를 한정한다. 디텐트 레버(2)가 이 위치에서 벗어나 파선에 의하여 도시된 전환된 위치로 선회될 때, 위에서 이미 설명된 효과를 갖는 다른 멈춤부(8)가 제공되며, 이는 디텐트 스프링(5)과 디텐트 윤곽부(6) 간의 협력으로 디텐트 레버(2)가 한정된 이동 위치를 차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디텐트 스프링(5)과 동일하게- 멈춤부(8)는 고정 레버(1) 상에 형성된다 (단일 요소), 따라서 그 제조 과정은 간단하고 신속하게 진행된다. 실질적인 작용을 위하여, 경사진 디텐트 스프링(5)과 함께 고정 레버(1) 그리고 경사지고 또한 연결된 멈춤부(8)를 한정하는 것 그리고 그후 회전 축(3)의 도움으로 디텐트 레버(2)를 고정 레버(1)에 선회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충분하다.
도 3은 디텐트 레버(2)가 도 1에 도시된 2개의 디텐트 위치, 즉 기본 위치와 옮겨진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되지 않고 2개의 디텐트 위치를 취하기에 적합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디텐트 레버(2)는 또한 3개 이상의 다른 디텐트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형태에서 디텐트 레버(2)는 회전축 부분 상의 그 종단의 영역 내에 다수의 에지(10)를 갖는 하나의 다각형 윤곽부(9)를 갖는다.
다각형 윤곽부(9)의 에지(10)의 개수에 따라, 디텐트 레버(2)의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디텐트 위치가 한정될 수 있으며 또한 고정된 레버(1)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에서, 각 디텐트 위치는 단지 디텐트 스프링(4)으로 고정된 디텐트 레버(2)에 대응한다. 즉, 물론 가능하지만 그리고 본 발명의 부분일지라도 어떠한 부가적인 멈춤부는 사용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의 설명된 형태에서, 디텐트 스프링(5)과 디텐트 레버(2)는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이 설계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 스프링(5)이 회전 축(3)의 축 방향에 직교적으로 연장된 힘 또는 스프링 힘(F)으로 디텐트 레버(2)에 작용한다. 따라서, 디텐트 레버(2)는 전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리고 수동적으로 또는 모터의 도움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실선의- 기본 위치에서 -파선의- 옮겨진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다시 되돌아서 이동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이미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비교하여 주요 차이점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텐트 스프링(5)과 디텐트 레버(2)가 서로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고 배치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서 스프링 와셔(5)로 설계된 디텐트 스프링(5)은 디텐트 레버(2)에 의하여 한정된 평면에 대하여 직교적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힘(F)을 가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형태에서, 디텐트 스프링(5)은 또한 고정 레버(1) 상에 형성되지 않고 즉, 회전축(3)을 통하여 고정 레버(1)에 연결된다. 실제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형태에서 회전축(3)은 고정 레버(1) 상에서의 디텐트 레버(2)의 선회 가능한 장착을 위하여 스프링 와셔(5)에 의하여 작용되는 연결 축으로서 설계된다.
디텐트 스프링 또는 스프링 와셔(5)는 디텐트 레버(2)가 스프링 또는 와셔에 의하여 발생하는 스프링 력(F)으로 회전축(3)의 축 방향으로 작용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경우, 디텐트 스프링(5)은 따라서 도 4에 지시된 방식으로 디텐트 레버(2)에 작용하는 축 방향 힘을 생성한다. 고정 레버(1)와 비교하여, 디텐트 레버(2)의 다른 디텐트 위치의 변화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한 돌출부(11)에 반대되는 종단 상에 작용하는 전환 힘(Fs)에 의하여 디텐트 레버(2)가 작동되는 것을 요구한다. 디텐트 레버(2) 상의 돌출부(11)는 실제로 고정 레버(1) 상의 멈춤 에지(6)와 다시 협력한다.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2개의 반대되는 멈춤 에지(6)를 포함하며, 이 에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레버(1)의 각 길이 방향 에지 상에 한정된다.
디텐트 레버(2)가 도 5에 도시된 그의 실선 위치 또는 그의 제 1 디텐트 위치에서 파선 위치 또는 제 2 디텐트 위치로 이동되기 위하여, 전환력(Fs)이 돌출부(11)의 반대인 디텐트 레버(2)의 종단에 가해져야 하며, 따라서 돌출부(11)는 고정 레버(1) 위로 "들어 올려질(lift)" 수 있다. 이후 돌출부가 다른 반대 멈춤 에지(6)에 놓이거나 또는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2개의 디텐트 위치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될 수 있다. 물론, 2개 이상의 디텐트 위치 또한 실현 가능하다.
도 5는 -점선에 의하여 도시된- 디텐트 레버(2)의 이동된 위치가 다시 릴리즈 레버(4)를 작동시킬 수 있음을 도시한다. 디텐트 레버(2)가 -실선에 의하여 지시된- 기본 위치에 있다면 이는 가능하지 않다. 이렇게 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태를 참고하여 이미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신속한 해제 기능은 다시 제공될 수 있다. 결정적인 요소가 일반적으로 -2개의 레버의 기능과 관계없이- 2개의 레버(1, 2) 사이의 협력임에 따라 본 발명은 물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5)

  1. 제 1 레버(1) 및 제 1 레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 2 레버(2)를 갖는 작동/록킹 레버 메커니즘(1, 2)을 포함하되, 양 레버(1, 2)는 적어도 2개의 다른 상대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회동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레버(1)는 다른 제 2 레버(2) 상의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윤곽부(6)에 힘을 가하도록 제 1 레버와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 디텐트 스프링(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디텐트 스프링(5)을 갖는 제 1 레버(1)는 고정 레버(1)로서 설계되고, 디텐트 외곽부(6)를 갖는 제 2 레버(2)는 고정 레버(1)에 대하여 다른 디텐트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는 디텐트 레버(2)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디텐트 스프링(5)과 디텐트 레버(2)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디텐트 스프링(5)과 디텐트 레버(2)는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6. 제5항에 있어서, 디텐트 스프링(5)과 디텐트 레버(2)는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디텐트 레버(2)는 회전 축(3)에서 고정 레버(1) 상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8. 제7항에 있어서, 디텐트 스프링(5)은 회전 축(3)의 영역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9. 제7항에 있어서, 스프링(5)은 축 방향 힘(F) 및/또는 회전 축(3)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힘(F)으로 디텐트 레버(2)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디텐트 스프링(5)은 리프 스프링(5)으로서 설계되고 그리고 디텐트 윤곽부(6)는 리프 스프링(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디텐트 요부(6)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디텐트 스프링(5)은 스프링 와셔(5)로서 설계되고 그리고 디텐트 윤곽부(6)는 디텐트 레버(2) 상의 돌출부(11)와 상호작용하는 멈춤 에지(6)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디텐트 레버(2)는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디텐트 위치들을 취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디텐트 레버(12)는 디텐트 스프링(5)에 의해서만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위치 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디텐트 레버(2)는 디텐트 스프링(5)에 의하여 그리고 또한 멈춤부(7, 8)의 작용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디텐트 레버(2)는 언록킹 레버 그리고 신속 해제 레버로써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KR1020147028072A 2012-03-20 2013-03-16 차량 도어 록 KR102017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2002853.7 2012-03-20
DE202012002853U DE202012002853U1 (de) 2012-03-20 2012-03-20 Kraftfahrzeugtürverschluss
PCT/DE2013/000151 WO2013139324A1 (de) 2012-03-20 2013-03-16 Kraftfahrzeugtürverschlu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542A KR20140139542A (ko) 2014-12-05
KR102017927B1 true KR102017927B1 (ko) 2019-09-03

Family

ID=4817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072A KR102017927B1 (ko) 2012-03-20 2013-03-16 차량 도어 록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2828456B1 (ko)
JP (1) JP6221102B2 (ko)
KR (1) KR102017927B1 (ko)
CN (1) CN104204386B (ko)
CA (1) CA2865309A1 (ko)
DE (1) DE202012002853U1 (ko)
IN (1) IN2014DN07423A (ko)
MX (1) MX2014011176A (ko)
RU (1) RU2014136067A (ko)
WO (1) WO2013139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002858U1 (de) * 2012-03-20 2013-06-24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CN104912408B (zh) * 2015-05-27 2017-07-28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锁止连杆总成、车门锁及汽车
DE102016116616A1 (de) * 2016-09-06 2018-03-0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7111704A1 (de) * 2017-05-30 2018-12-06 Kiekert Ag Schließsystem mit drehbarem Stellelement und Federelement
DE102018109898A1 (de) 2018-04-25 2019-10-31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DE102018114280A1 (de) 2018-06-14 2019-12-19 Kiekert Ag Schließ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7228872B2 (ja) * 2018-10-02 2023-02-27 亘陽テクノ株式会社 台車
DE102019131179A1 (de) * 2019-11-19 2021-05-20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2988A (en) * 1923-09-20 1925-09-08 Augustine Davis Jr Lock for folding-bracket joints
GB820352A (en) * 1957-09-27 1959-09-16 Otto Baier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operating handles for sliding roofs in vehicles
JPS5535385Y2 (ko) * 1974-09-21 1980-08-21
DE2553901C2 (de) * 1975-12-01 1982-12-30 Kiekert GmbH & Co KG, 5628 Heiligenhaus Zentrale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Fahrzeugtüren
DE8916180U1 (de) 1989-03-14 1994-08-18 Kiekert Gmbh Co K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DE9002918U1 (ko) * 1990-03-15 1990-05-17 Bomoro Bocklenberg & Motte Gmbh & Co Kg, 5600 Wuppertal, De
NL9101756A (nl) * 1991-10-21 1993-05-17 Charmag Sa Raamuitzetter.
CN2140413Y (zh) * 1992-11-11 1993-08-18 刘纯禄 一种机动车门锁
DE4318557C2 (de) * 1993-06-04 1999-07-01 Daimler Chrysler Ag Türschloß,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2977427B2 (ja) * 1993-11-24 1999-11-15 株式会社デンソー ドアロック駆動装置
CA2183618A1 (en) * 1996-08-19 1998-02-20 Kris Tomascevzki Double-locking vehicle door latches and a double-locking sub-assembly therefor
US6648380B1 (en) * 1999-02-17 2003-1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Door lock, especially for motor vehicles
US6584645B2 (en) * 2000-09-18 2003-07-01 Agostino Ferrari S.P.A. Breaking device for furniture doors with a horizontal pivotal mounting
KR100622727B1 (ko) * 2004-03-31 2006-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래치어셈블리
DE102005043227B3 (de) 2005-09-09 2007-04-0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4795188B2 (ja) * 2006-10-02 2011-10-1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
DE102008018500A1 (de) * 2007-09-21 2009-04-0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ß
JP5090233B2 (ja) * 2008-03-31 2012-12-05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開閉体の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4011176A (es) 2014-11-14
CN104204386B (zh) 2017-11-14
DE202012002853U1 (de) 2013-06-21
RU2014136067A (ru) 2016-05-10
EP2828456B1 (de) 2019-05-08
CN104204386A (zh) 2014-12-10
JP6221102B2 (ja) 2017-11-01
CA2865309A1 (en) 2013-09-26
WO2013139324A1 (de) 2013-09-26
KR20140139542A (ko) 2014-12-05
EP2828456A1 (de) 2015-01-28
JP2015515560A (ja) 2015-05-28
IN2014DN07423A (ko) 201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927B1 (ko) 차량 도어 록
RU2628928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5469789B2 (ja) 複数の爪部と、バネを備えた爪部とを有するロックユニット
JP6236678B2 (ja) 自動車ドアロック
KR101984344B1 (ko) 패널 또는 도어용 록
JP6586661B2 (ja) 自動車ドア用ラッチ
KR102165338B1 (ko) 플랩 또는 도어용 록
KR102005604B1 (ko) 플랩 또는 도어 용 록
KR102301511B1 (ko)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US10745944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20160265255A1 (en) Lock with accumulator lever for a motor vehicle
US9695618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20140048846A (ko) 플랩 또는 도어를 위한 록킹 장치
KR10163168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US8840154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CN101918662A (zh) 制造机动车门锁的方法
JP4810684B2 (ja) 可動レバーの付勢装置
EA019144B1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KR100694416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의 키 스위치 내장 구조
KR102289096B1 (ko) 도어락 모티스
KR20110053533A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JP2001182408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