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998B1 -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998B1
KR102011998B1 KR1020190034834A KR20190034834A KR102011998B1 KR 102011998 B1 KR102011998 B1 KR 102011998B1 KR 1020190034834 A KR1020190034834 A KR 1020190034834A KR 20190034834 A KR20190034834 A KR 20190034834A KR 102011998 B1 KR102011998 B1 KR 102011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hicken
cordyceps
br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봉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봉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봉식품
Priority to KR1020190034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23L13/55Treatment of original pieces or parts
    • A23L13/57Coating with a layer or stuff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not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닭을 손질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손질한 닭에 보리차를 가하고 가열하는 단계(단계 2); 상기 가열된 닭의 속에 재료를 채우는 단계(단계 3); 동충하초를 가공하는 단계(단계 4);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포장지에 넣고 실링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포장지에 있는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살균하는 단계(단계 7);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동충하초 영양성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팔체질 중 삼계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hicken Broth using Cordyceps Militaris}
본 발명은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충하초 영양성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팔체질 중 삼계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닭고기 특히 삼계탕(일명 계삼탕)은 한국의 전통적인 여름철 보양음식으로 유명하다. 이는 삼계탕이 풍부한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의 보고인 닭고기와 예로부터 만병통치의 영약으로 알려진 인삼을 주된 재료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계탕은 이러한 인삼의 약리작용 외에도 찹쌀, 밤, 대추 등의 유효성분이 잘 어우러져 영양의 균형을 이루는 훌륭한 스태미너식이다.
닭고기는 수육에 비해 연하고 맛과 풍미가 담백하며, 조리하기 쉽고 영양가도 높아 전 세계적으로 폭넓게 요리에 사용되고 있다. 닭고기는 100g 중 20.7g으로 쇠고기보다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며, 지방질은 4.8g이고, 126kcal의 열량을 낸다. 또한, 닭고기에는 비타민 B2가 특히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밖에 칼슘 4㎎, 인 302㎎, 비타민 A 40I.U., 비타민 B1 0.09㎎, 비타민 B2 0.15㎎ 등을 함유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삼계탕은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의 어린 닭을 손질해서 배를 가르고 내장을 빼낸 다음, 그 안에 인삼 등을 넣고, 재료가 밖으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실로 묶은 후, 적당량의 물에 넣어 서서히 끓여 제조한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식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한방재를 이용하여 삼계탕을 제조하거나, 해산물을 첨가하여 삼계탕을 제조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한편, 사람의 체질은 유전적, 후천적으로 형성되며, 동서고금을 통하여 체질에 관한 견해는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도 이제마의 사상체질의학은 가장 성공적인 체질론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제마(李濟馬;1937-1900)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은 "사상구조론"을 바탕으로 태양인(太陽人), 소양인(少陽人),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의 네 가지 체질을 설정하고 각 체질에 대한 생리, 병리, 진단, 변증, 치료와 약물에 이르기까지 서로 연계를 갖고서 임상에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우수한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각 체질에 따라 처방하는 약재를 달리하거나 하여, 환자를 치료할 때 정확한 체질 판단 하에서 약이 처방되면 병을 빨리 낫게 하고 환자가 기력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체질 판단이 부정확하여 그릇된 처방이 적용되면 병을 낫게 하지도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환자의 병세를 악화시킬 수도 있다.
이제마가 제시한 체질 진단의 요점은 체형기상 (體形氣像), 용모사기 (容貌詞氣), 성질재간 (性質材幹), 병증약리 (病證藥理)의 4가지이다. 이제마는 이러한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다양한 체질을 진단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에는 체질분류를 더욱 세분화한 팔체질 분류가 연구되어 오고 있는바, 팔체질의학(八體質醫學)은 사람의 체질을 오장육부의 크기에 따라 목양(陽陽), 목음(木陰), 수양(水陽), 수음(水陰), 토양(土陽), 토음(土陰), 금양(金陽), 금음(金陰)의 8가지로 구분하는 체질의학론이다. 1965년 10월 24일 대한민국의 한의사 권도원이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제1회 국제 침구학회(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Acupuncture)에서 최초로 발표하였다.
권도원에 따르면 체질은 선천적이며 부모가 가진 두 체질 중의 하나를 물려받는 유전의 형태를 가진다. 체질을 알아내는 방법은 손목 요골동맥(radial artery)에서 8체질의 고유한 선천적인 '조우 상을 이루는 8쌍의 맥상(Pulse formations)들'을 찾아 맥의 파형을 세 개의 손가락 끝으로 감지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8체질을 구분하는 8체질의학은 인간의 몸 속 장기를 기준하여 체질을 구분하는 이론을 성립시키고 있다. 사람의 몸에는 내실장기(內實臟器-Solid organ) 5개와 내공장기(內空臟器-Hollow organ) 5개의 모두 10개의 내장이 있는데, 이것들이 나면서부터 그 강약 배열이 다르게 되어 있어 모두 8개의 서로 다른 배열로 나뉘어진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8체질의 원리이며 장부의 강약은 장부의 대소와도 직결되는 것이다. 사상의학과 장부의 배열을 다루는 이론은 비슷한 듯 하지만, 8체질의학에서는 중간장기의 강약배열을 독창적으로 구별하고 있다. 간략하게 8체질의 종류를 보면 다음과 같다.
간이 가장 큰 장기로 선두에 서고 다른 9개 장기가 강약의 순서대로 배열되는 체질을 목양체질(Hepatonia)이라고 하며, 담낭이 선두에 서고 다른 9개 장기가 강약의 순서로 배열된 체질을 목음체질(Cholecystonia)이라고 한다. 이런 식으로 췌장이 선두에 서는 배열을 토양체질(Pancreotonia), 위가 선두에 서는 배열을 토음체질(Gastrotonia), 폐가 선두에 서는 배열을 금양체질(Pulmotonia), 대장이 선두에 서는 배열을 금음체질(Colonotonia), 신장이 선두에 서는 배열을 수양체질(Renotonia), 방광이 선두에 서는 배열을 수음체질(Vesicotonia)이라 부른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408호(2010.09.29.)에는 현미를 이용한 밀리타리스동충하초 균사체와 그를 이용한 건강보양용 밀리타리스동충화초 삼계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건강보양용 밀리타리스동충화초 삼계탕은 밀리타리스동충하초 영양성분이 함유된 장점이 있지만, 팔체질 중 삼계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삼계탕을 섭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KR 10-2010-0104408 A 2010.09.29.
본 발명의 목적은 동충하초 영양성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팔체질 중 삼계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닭을 손질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손질한 닭에 보리차를 가하고 가열하는 단계(단계 2); 상기 가열된 닭의 속에 재료를 채우는 단계(단계 3); 동충하초를 가공하는 단계(단계 4);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포장지에 넣고 실링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포장지에 있는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살균하는 단계(단계 7); 를 포함하는,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손질한 닭 100중량부에 보리차 200~250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10~15분 동안 가열한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가열된 닭 100중량부에 대하여 멥쌀 5~10중량부, 메밀 5~10중량부, 좁쌀 5~10중량부, 녹두 5~10중량부, 완두콩 1~5중량부, 강남콩 1~5중량부 및 팥 1~5중량부를 상기 가열된 닭의 배에 채운다.
상기 단계 4는 동충하초를 염도 0.1%의 소금물에 세척한 다음, 상기 세척한 동충하초를 찜솥에 넣고, 찜솥의 스팀으로 10~15분 동안 찐 후에, 상기 찐 동충하초 100중량부에 연근가루 0.1~1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 단계 5는 함초수 100중량부에 배추 10~20중량부, 미나리 10~20중량부, 감 1~5중량부, 두부 1~5중량부, 고사리 1~5중량부, 오이 1~5중량부, 취나물 1~5중량부 및 호박 1~5중량부를 넣고 100~105℃에서 50~60분 동안 가열하여 육수를 제조한다.
상기 함초수는 함초 80중량%, 새우 10중량%, 조개 5중량% 및 복어 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500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한다.
상기 단계 6은 상기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100중량부에 가공된 동충하초 1~5중량부 및 육수 200~220중량부를 포장지에 넣고 실링한다.
상기 단계 7은 상기 포장지에 있는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121℃에서 60분 동안 살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은 동충하초 영양성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팔체질 중 삼계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은,
닭을 손질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손질한 닭에 보리차를 가하고 가열하는 단계(단계 2);
상기 가열된 닭의 속에 재료를 채우는 단계(단계 3);
동충하초를 가공하는 단계(단계 4);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포장지에 넣고 실링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포장지에 있는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살균하는 단계(단계 7);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닭의 불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손질한 닭 100중량부에 보리차 200~250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10~15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는 닭에 있는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 수행된다.
상기 손질한 닭에 보리차를 가하는 이유는 팔체질 중 삼계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가열된 닭 100중량부에 대하여 멥쌀 5~10중량부, 메밀 5~10중량부, 좁쌀 5~10중량부, 녹두 5~10중량부, 완두콩 1~5중량부, 강남콩 1~5중량부 및 팥 1~5중량부를 상기 가열된 닭의 속에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멥쌀, 메밀, 좁쌀, 녹두, 완두콩, 강남콩 및 팥을 닭의 속에 채우는 이유는 팔체질 중 삼계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단계 4는 동충하초를 염도 0.1%의 소금물에 세척한 다음, 상기 세척한 동충하초를 찜솥에 넣고, 찜솥의 스팀으로 10~15분 동안 찐 후에, 상기 찐 동충하초 100중량부에 연근가루 0.1~1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충하초는 곰팡이의 일종인 동충하초균이 주로 온도, 습도가 높아지는 시기에 살아 있는 곤충의 몸속으로 들어가 발육 증식하면서 기주 곤충을 죽이고 얼마 후 자실체를 곤충의 표피에 형성하는 일종의 약용 버섯이다. 원래 동충하초는 박쥐나방과(Hepialidae)의 유충에서 나온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를 지칭하는 것이지만, 오늘날에는 곤충 외에도 거미, 균류 등에서 나오는 버섯을 모두 총칭하여 부른다. 항암작용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동충하초의 지표성분인 코디세핀(Cordycepin)은 천연 항생물질이면서 면역증강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상기 동충하초를 스팀으로 찜으로써 코디세핀 성분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연근(Nelumbo nucifera Gaern)은 연못이나 깊은 논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수련과 연속의 다년생 초본이다. 이러한 연근의 주성분은 탄수화물로 식물성 섬유가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 이 식물성섬유는 장벽을 더 자극하여 장내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주며 아스파라긴 약 2%를 비롯하여 알기닌, 티로신, 트리코네린 등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인지질인 레시틴이 풍부하다. 상기 레시틴은 물과 기름이 잘 섞이게 하는 유화력이 있기 때문에 혈과 벽에 콜레스트롤이 침착하는 것을 예방하며 혈관 벽을 강화시킨다. 특히, 연근의 내부에는 실과 같은 끈끈한 뮤신이라는 물질이 있어 당질과 결합된 복합 단백질로 콜리스테롤 저하 작용과 위벽보호, 해독작용 등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동충하초에 연근가루를 혼합함으로써 동충하초의 비린 맛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단계 5는 함초수 100중량부에 배추 10~20중량부, 미나리 10~20중량부, 감 1~5중량부, 두부 1~5중량부, 고사리 1~5중량부, 오이 1~5중량부, 취나물 1~5중량부 및 호박 1~5중량부를 넣고 100~105℃에서 50~60분 동안 가열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추, 미나리, 감, 두부, 고사리, 오이, 취나물 및 호박을 이용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이유는 팔체질 중 삼계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함초수는 함초 80중량%, 새우 10중량%, 조개 5중량% 및 복어 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500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제조한다.
상기 함초는 우리나라 서해안 개펄에 자라는 한해살이 풀로서 주성분은 효소와 미네랄로서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 인, 망간, 아연, 요오드, 구리, 니켈, 크롬, 코발트, 바나듐, 나트륨, 염소, 우론산 및 천연섬유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일반성분으로는 수분,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탄수화물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B1, B2, 비타민 C, 비타민 E, 나이아신 및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이 중 나트륨은 함초 생초 100g당 1000 내지 1000mg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 이외에도 아미노산(amino acid)으로 글루타민산, 아스파틱산, 티로신, 리신, 타우린, 베타인, 콜린 및 프롤린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또한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각종 미네랄이 골고루 들어 있다. 특히, 함초는 염전이나 갯펄 등의 내륙에서 자생하면서 바닷물이나 개벌 속에 녹아 있는 염분을 비롯하여 여러 성분들을 흡수하며 자라는 염생식물로서,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해초류와 달리 햇볕과 대기를 직접 쐬며 광합성을 통해 나쁜 성분들을 걸러내고 자신의 생육을 위해 좋은 성분만을 간직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바닷물이 가지고 있는 모든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있는 함초의 효과는 다양하다. 함초에 함유되어 있는 콜린(choline)은 식품으로 복용시 체내 아세틸콜린(acetyl choline)의 수치를 높여주고, 체내 부교감신경을 항진시켜 혈당량을 하강시킴으로써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나, 함초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미량원소와 효소는 장내 숙변을 없애고 몸속의 지방질을 분해하여 몸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하여 변비를 개선하고, 비만증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장벽에 달라붙어 있는 숙변을 제거함으로써 심장을 튼튼하게 하고,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질을 제거하여 혈액을 깨끗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고혈압과 저혈압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 외에도 함초는 각종 성인병이나 골다공증의 예방 및 개선의 효과를 지니고 있다.
상기 단계 6은 상기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100중량부에 가공된 동충하초 1~5중량부 및 육수 200~220중량부를 포장지에 넣고 실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100중량부에 가공된 동충하초를 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동충하초의 영양성분이 부족해 지는 문제가 있고, 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동충하초의 향이 너무 강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100중량부에 육수를 200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닭이 육수에 잠기지 않는 문제가 있고, 220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가열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7은 상기 포장지에 있는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121℃에서 60분 동안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지에 있는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121℃ 미만의 온도에서 60분 미만 동안 살균하면 유통기간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고, 121℃ 초과의 온도에서 60분 초과 동안 살균하면 동충하초의 영양성분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을 소비자가 구매한 후에 포장지를 제거하고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100~110℃에서 15~20분 동안 가열하여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은 동충하초 영양성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팔체질 중 삼계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닭의 불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흐르는 물에 세척하였다. 상기 손질한 닭 100중량부에 보리차 200중량부를 가하고 10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된 닭 100중량부에 대하여 멥쌀 10중량부, 메밀 10중량부, 좁쌀 10중량부, 녹두 10중량부, 완두콩 5중량부, 강남콩 5중량부 및 팥 5중량부를 상기 가열된 닭의 속에 채웠다. 동충하초를 염도 0.1%의 소금물에 세척한 다음, 상기 세척한 동충하초를 찜솥에 넣고, 찜솥의 스팀으로 10분 동안 찐 후에, 상기 찐 동충하초 100중량부에 연근가루 0.1중량부를 혼합하였다. 함초수 100중량부에 배추 10중량부, 미나리 10중량부, 감 5중량부, 두부 5중량부, 고사리 5중량부, 오이 5중량부, 취나물 5중량부 및 호박 5중량부를 넣고 105℃에서 60분 동안 가열하여 육수를 제조하였다. 상기 함초수는 함초 80중량%, 새우 10중량%, 조개 5중량% 및 복어 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500중량부를 가하고 105℃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100중량부에 가공된 동충하초 5중량부 및 육수 200중량부를 포장지에 넣고 실링하였다. 상기 포장지에 있는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121℃에서 60분 동안 살균하여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보리차 대신 물을 사용한 것과, 닭의 속에 채우는 재료를 찹쌀 10중량부, 대추 10중량부, 인삼 10중량부 및 마늘 5중량부를 사용한 것과, 동충하초를 단지 세척한 수행한 것과, 육수를 물 100중량부에 당귀 10중량부, 천궁 10중량부, 작약 5중량부, 숙지황 5중량부, 백출 5중량부, 황기 5중량부, 계피 5중량부 및 감초 5중량부를 넣고 105℃에서 60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을 포장지를 제거하고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11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였으며, 조리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에 대하여 토양체질인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이미, 이취, 전체적인 맛 및 소화정도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방법은 7점 채점법으로서, 7점 : 매우 좋다, 6점 : 좋다, 5점 : 조금 좋다, 4점 : 보통이다, 3점 : 조금 나쁘다, 2점 : 나쁘다, 1점 : 매우 나쁘다, 로 나타내었는데, 그 평가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실시예 1 비교예 1
이미 6.6±0.50 5.6±0.68
이취 6.2±0.46 5.4±0.78
전체적인 맛 6.4±0.58 5.5±0.68
소화정도 6.8±0.44 4.7±0.75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이 비교예 1의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에 비해 이미, 이취, 전체적인 맛에 있어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으며, 특히 소화정도에 있어서 실시예 1의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이 비교예 1의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에 비해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은 팔체질 중 삼계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것을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닭을 손질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손질한 닭에 보리차를 가하고 가열하는 단계(단계 2);
    상기 가열된 닭의 속에 재료를 채우는 단계(단계 3);
    동충하초를 가공하는 단계(단계 4);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포장지에 넣고 실링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포장지에 있는 속에 재료가 채워진 닭, 가공된 동충하초 및 육수를 살균하는 단계(단계 7);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4는 동충하초를 염도 0.1%의 소금물에 세척한 다음, 상기 세척한 동충하초를 찜솥에 넣고, 찜솥의 스팀으로 10~15분 동안 찐 후에, 상기 찐 동충하초 100중량부에 연근가루 0.1~1중량부를 혼합하며,
    상기 단계 5는 함초수 100중량부에 배추 10~20중량부, 미나리 10~20중량부, 감 1~5중량부, 두부 1~5중량부, 고사리 1~5중량부, 오이 1~5중량부, 취나물 1~5중량부 및 호박 1~5중량부를 넣고 100~105℃에서 50~60분 동안 가열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34834A 2019-03-27 2019-03-27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2011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34A KR102011998B1 (ko) 2019-03-27 2019-03-27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34A KR102011998B1 (ko) 2019-03-27 2019-03-27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998B1 true KR102011998B1 (ko) 2019-08-19

Family

ID=6780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834A KR102011998B1 (ko) 2019-03-27 2019-03-27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06A (ko) 2021-06-25 2023-01-03 조민철 금화규를 이용한 삼계탕 제조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226A (ko) * 2002-03-22 2003-01-06 이광현 동충하초속균의 탈취 방법 및 탈취 동충하초속균을 이용한제품
KR20050015418A (ko) * 2003-08-05 2005-02-21 염경우 탄산수를 이용한 삼계탕 및 그 조리 방법
KR20100104408A (ko) 2009-03-17 2010-09-29 주식회사머쉬텍 현미를 이용한 밀리타리스동충하초 균사체와 그를 이용한 건강보양용 밀타리스동충하초 삼계탕
KR20120100394A (ko) * 2011-03-04 2012-09-12 이용화 북동충하초가 함유된 북충초 금계탕및 그것으로 제조한 금계죽
KR20120136571A (ko) * 2011-06-09 2012-12-20 주식회사 해솔 삼계탕 제조방법
KR20160107699A (ko) * 2015-03-05 2016-09-19 이채환 통겉보리를 이용한 육류숙성방법 및 그 방법으로 숙성된 육류
KR20160123538A (ko) * 2015-04-16 2016-10-26 정재현 유황동충하초황계탕, 유황땅콩새싹황계탕, 유황삼황계탕 제조방법
KR20160130099A (ko) * 2015-05-01 2016-11-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온누리 생애 주기별 기능성 삼계탕 제조방법
KR101736011B1 (ko) * 2016-07-22 2017-05-24 조갑연 닭백숙의 조리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226A (ko) * 2002-03-22 2003-01-06 이광현 동충하초속균의 탈취 방법 및 탈취 동충하초속균을 이용한제품
KR20050015418A (ko) * 2003-08-05 2005-02-21 염경우 탄산수를 이용한 삼계탕 및 그 조리 방법
KR20100104408A (ko) 2009-03-17 2010-09-29 주식회사머쉬텍 현미를 이용한 밀리타리스동충하초 균사체와 그를 이용한 건강보양용 밀타리스동충하초 삼계탕
KR20120100394A (ko) * 2011-03-04 2012-09-12 이용화 북동충하초가 함유된 북충초 금계탕및 그것으로 제조한 금계죽
KR20120136571A (ko) * 2011-06-09 2012-12-20 주식회사 해솔 삼계탕 제조방법
KR20160107699A (ko) * 2015-03-05 2016-09-19 이채환 통겉보리를 이용한 육류숙성방법 및 그 방법으로 숙성된 육류
KR20160123538A (ko) * 2015-04-16 2016-10-26 정재현 유황동충하초황계탕, 유황땅콩새싹황계탕, 유황삼황계탕 제조방법
KR20160130099A (ko) * 2015-05-01 2016-11-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온누리 생애 주기별 기능성 삼계탕 제조방법
KR101736011B1 (ko) * 2016-07-22 2017-05-24 조갑연 닭백숙의 조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06A (ko) 2021-06-25 2023-01-03 조민철 금화규를 이용한 삼계탕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1799A (zh) 一种竹笋辣椒酱及其制备方法
KR101736011B1 (ko) 닭백숙의 조리방법
KR20150103953A (ko) 홍삼 발효숙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156353B1 (ko) 가시오가피를 이용한 전복 장조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복 장조림
CN101019641B (zh) 含有植物黑色素的黑色食品加工法
KR101383437B1 (ko) 백하수오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840156B1 (ko) 삼계탕 육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0815375B1 (ko) 닭과 한약재를 이용한 닭 대보중탕 및 그 제조방법
KR100980249B1 (ko) 해물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2011998B1 (ko) 동충하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1148006B1 (ko) 인삼 및 해삼을 포함하는 양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그 양삼계탕
CN105475977A (zh) 一种腊肉酱料
CN103549545B (zh) 红糟制板栗休闲食品的加工方法
CN105852079A (zh) 一种风味金针菇的制备方法
KR101479228B1 (ko) 옥수수 감자 백숙의 제조방법 및 그 백숙
KR20120134753A (ko) 대추 된장의 제조방법
KR101164052B1 (ko) 야콘과 점액질염분을 함유하는 흑 마늘 녹차 티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279890B1 (ko) 염지제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CN107509938A (zh) 荞麦马铃薯面条的加工方法
KR101800787B1 (ko) 홍삼 시래기밥의 제조방법
KR101706954B1 (ko) 양념게장의 제조방법
CN102599477A (zh) 菌粒饮料
KR20180024375A (ko) 간장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KR102492196B1 (ko) 산양삼을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CN107581530A (zh) 海鱼罐头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