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997B1 - 신선품의 보관 장치 및 보관 방법 - Google Patents

신선품의 보관 장치 및 보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997B1
KR101980997B1 KR1020177033537A KR20177033537A KR101980997B1 KR 101980997 B1 KR101980997 B1 KR 101980997B1 KR 1020177033537 A KR1020177033537 A KR 1020177033537A KR 20177033537 A KR20177033537 A KR 20177033537A KR 101980997 B1 KR101980997 B1 KR 101980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h
fresh product
ozone
irradiati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7920A (ko
Inventor
나오야 히루마
사토루 가나이
다카코 이쿠타
준타로 이치무라
노부유키 히시누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마에가와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마에가와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마에가와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70137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0Preserving against micro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신선품의 보관 장치는, 신선품을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 가능한 신선품 보관고와, 상기 신선품 보관고의 고 내 온도를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로 조정 가능한 온도 조정부와, 상기 신선품 보관고의 고 내에서 공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류 발생부와, 자외선을 상기 공기류에 조사하여 오존 또는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조사부와, 상기 자외선을 단속적으로 상기 공기류에 조사시키도록 상기 조사부를 제어 가능한 단속 조사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신선품의 보관 장치 및 보관 방법
본 발명은, 진공 자외선을 이용하여 신선품의 보관, 냉장 또는 해동시의 살균을 행하기 위한 신선품의 보관 장치 및 보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신선품의 곰팡이나 세균의 번식을 막기 위해서, 자외선 램프를 냉장고 내에 설치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를 살균하거나, 가습기의 수조나 배관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해, 가습 용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등의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그 밖에, 플라즈마식 오존 발생기를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켜, 냉장고 내에서 오존수를 살포하거나, 혹은 냉장고 내에 차아염소산을 살포하여 살균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광전자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발생시킨 산소 이온 라디칼과 수분을 포함한 공기에 저장 식품을 폭로하도록 한 살균 저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해, 가습 용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거나, 또는 도입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오존을 공기 분출구로부터 방출하도록 한 가습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식품을 수납한 수납고 내에서 자외선 램프를 점등시켜 식품의 살균을 행함과 더불어, 고 내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10-193829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2013-155995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2014-25613호 공보
자외선을 조사하여 발생한 오존이나 라디칼에 의해 보관 식품의 살균 효과를 얻는 방법에서는, 오존 또는 라디칼의 산화 작용으로 인해 보관 식품이 산화 장해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예를 들면, 단락 [0042]에, 파장 240nm 이하의 자외선을 컷 한 자외선 램프를 사용함으로써, 오존에 의한 보관 식품의 산화를 방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오존의 발생 효율이 저하됨과 더불어, 오존 발생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은 특허 문헌 2 및 3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 수은등을 사용한 자외선 램프는, 10℃ 이하의 저온에서는 점등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한번 승온시켜 점등시킬 필요가 있어, 조작이 번잡해진다. 플라즈마식 오존 발생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공기중의 질소와 산소가 화학 결합한 질소산화물을 생성하고, 냉장고를 구성하는 기재나 보관된 청과물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며, 또한 환경 및 작업자에게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보관고 내에 보관되는 신선품을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오존 또는 라디칼로 손상시킬 우려가 없고, 또한 신선품 전체를 효율적으로 살균 가능하게 함으로써, 장기간 선도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신선품의 보관 장치는,
신선품을 칠드(chilled) 상태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 가능한 신선품 보관고와,
상기 신선품 보관고의 고 내 온도를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로 조정 가능한 온도 조정부와,
상기 신선품 보관고의 고 내에 공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류 발생부와,
자외선을 상기 공기류에 조사하여 오존 또는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조사부와,
상기 자외선을 단속(斷續)적으로 상기 공기류에 조사시키도록 상기 조사부를 제어 가능한 단속 조사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로부터 상기 공기류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신선품의 주위에 오존이나 OH 라디칼 등의 라디칼이 생성된다. 생성된 오존이나 라디칼은 상기 공기류에 의해 신선품 보관고의 내부 전역에 확산된다. 확산된 오존 또는 라디칼에 의해 고 내 전역이 살균되어, 곰팡이 등의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해, 보관된 신선품의 부패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선품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단속 조사 제어부에 의해서 자외선을 단속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신선품의 주위에 발생하는 오존 또는 라디칼의 농도 제어가 용이해진다. 단속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 또는 라디칼의 농도 제어를 행함으로써, 신선품의 살균 효과를 유지하면서, 오존 또는 라디칼로 인해 발생하는 신선품의 산화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정부에 의해서, 신선품을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하므로, 신선품의 세포중에 빙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빙결정의 형성으로 인한 세포막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신선품을 선도 좋게 보관할 수 있다.
또, 상기 온도 조정부에 의해서 신선품 보관고의 내부를 냉장, 보온 또는 해동을 행할 수 있는 신선품의 적정 온도로 조정함으로써, 신선품 보관고를 동결고, 냉장고, 보온고 및 해동고 등에 이용 가능하게 된다.
(2)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단속 조사 제어부는,
상기 신선품이 상기 오존 또는 라디칼에 노출되는 시간과 상기 오존 또는 라디칼의 농도의 곱으로 구해지는 적산 농도에 의거해 상기 자외선을 단속 조사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신선품에 살균 효과를 가져오는 오존 또는 라디칼의 산화 작용의 정도는, 상기 적산 농도에 따라서 정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신선품이 오존 또는 라디칼에 노출되는 시간은, 실질적으로 상기 조사부에 의해서 자외선이 조사되는 시간으로 치환할 수 있다.
자외선의 조사 방법으로서, 연속 조사와 단속 조사가 있으며, 연속 조사는 적은 적산 농도로 산화 작용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신선품의 보관 기간이 길어지면, 산화 작용이 너무 강해져서 신선품의 표면에 산화 장해가 나타날 우려가 있다. 한편, 단속 조사는, 오존 또는 라디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신선품의 보관 기간이 길어져도, 신선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살균할 수 있다.
상기 (2)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적산 농도에 의거해 자외선을 단속 조사함으로써, 오존 또는 라디칼의 발생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신선품에 대한 산화 작용의 정도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신선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살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3)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단속 조사 제어부는,
상기 신선품 보관고에 있어서의 상기 신선품의 보관중에 상기 자외선을 단속 조사시키고,
상기 신선품의 주위의 상기 적산 농도가, 상기 신선품의 살균 효과가 나타나는 하한치와 상기 신선품의 표면에 산화 장해가 나타나는 상한치 사이의 값이 되도록 제어시키는 것이다.
상기 (3)의 구성에 의하면, 신선품의 보관 기간중, 적산 농도를 상기 하한치와 상기 상한치 사이의 값이 되도록, 자외선을 단속 조사함으로써, 보관 기간중의 전기간에 걸쳐 신선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살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4)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200nm 미만의 단일 파장의 진공 자외선을 방사 가능한 엑시머 램프 또는 희가스 형광 램프로 구성된다.
상기 엑시머 램프 또는 상기 희가스 형광 램프를 이용해, 상기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공기중의 산소에 강하게 흡수되는 200nm 미만의 단일 파장의 진공 자외선을 공기에 조사함으로써, 공기중의 산소로부터 오존 또는 라디칼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장의 진공 자외선은 공기중의 N2에는 흡수되지 않아, N2를 괴리시키기 않으므로, NOX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신선품 보관고의 보관 공간을 구성하는 기재나 보관되는 신선품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또, 파장 200nm 미만의 진공 자외선을 방사하는 상기 엑시머 램프 또는 희가스 형광 램프는,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점등 의존성이 적고, 농산물의 보관 온도인 5℃ 이하의 저온도대에서 신속하게 점등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고습도 환경에서도 오존 또는 라디칼을 고효율로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신선품 보관고가 해동고로서 이용되는 경우, 고습도의 고 내 공간을 신속하게 살균할 수 있다.
또, 전력 공급과 동시에 신속하게 점등시켜 오존 또는 라디칼을 발생시키고, 전력 정지와 동시에 이들의 발생이 정지하므로, 오존 또는 라디칼의 농도 컨트롤이 용이하다.
(5)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정부는,
상기 신선품이 단백질 응고점 이하의 온도역으로 가온할 수 있는 가온부로서 구성된다.
상기 (5)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온도 조정부에 의해서, 신선품 보관고 내의 신선품을 단백질 응고점(예를 들면 72℃) 이하의 온도역으로 가온함으로써, 신선품 보관고를 해동고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가온하는 온도의 상한을 단백질 응고점 이하로 함으로써, 신선품(f)을 변질시킬 우려는 없다.
(6)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정부는,
상기 신선품이 냉장 상태로 혹은 칠드 상태로 보존할 수 있는 냉기 발생부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냉장 상태」란 2, 3~10℃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말하며, 「칠드 상태」란 -2, -3~5℃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6)의 구성에 의하면, 신선품을 냉장 상태 또는 칠드 상태로 보존함으로써, 신선품 보관고를 냉장고, 보온고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7)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신선품의 주위의 상기 공기류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신선품이 예를 들면 식육, 생선, 청과물 등인 경우, 이들을 저온 상태로 보존하면 건조하여 열화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가습부를 설치함으로써, 보관된 신선품의 건조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형태로서, 프리저와 같은 연속식 냉동 장치를 이용하여 신선품을 동결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연속식 냉동 장치를 신선품 보관고 내가 살균된 분위기에 설치함으로써, 프리저의 가동 종료 후, 신선품 잔사로 인한 기재(機材)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8)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보관 방법은,
보관고 내에서 신선품을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하는 신선품 보관 공정과,
상기 신선품의 주위에 공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류 형성 공정과,
상기 공기류에 자외선을 단속적으로 조사하여 오존 또는 라디칼을 생성함과 더불어, 상기 오존이나 라디칼을 상기 공기류에 의해 상기 보관고의 고 내 전역에 확산시키는 자외선 조사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조사 공정에 있어서, 상기 보관고 내에서 자외선을 공기류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신선품의 주위에 오존이나 OH 라디칼 등의 라디칼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오존이나 라디칼은 상기 공기류에 의해 신선품 보관고의 내부 전역에 확산된다. 확산된 오존 또는 라디칼에 의해 고 내 전역이 살균되어, 곰팡이 등의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해, 보관된 신선품의 부패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신선품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자외선 조사 공정에 있어서, 자외선을 단속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신선품의 주위에 발생하는 오존 또는 라디칼의 농도 제어가 용이해진다. 단속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 또는 라디칼의 농도 제어를 행함으로써, 신선품의 살균 효과를 유지하면서, 오존 또는 라디칼로 인해 발생하는 신선품의 산화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신선품 보관 공정에서는, 신선품을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하므로, 신선품의 세포중에 빙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이에 따라서, 빙결정의 형성으로 인한 세포막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신선품을 선도 좋게 보관할 수 있다.
(9)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8)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 공정은,
상기 자외선의 조사 시간과 상기 오존 또는 라디칼의 농도의 곱으로 구해지는 적산 농도에 의거해, 상기 자외선을 단속 조사하는 것이다.
상기 (9)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적산 농도에 의거해 자외선을 단속 조사함으로써, 신선품에 대한 오존 또는 라디칼의 발생량을, 신선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살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정량으로 제어할 수 있다.
(10)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9)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 공정은,
상기 신선품 보관 공정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을 단속 조사시키고, 상기 신선품의 주위의 상기 적산 농도가, 상기 신선품의 살균 효과가 나타나는 하한치와, 상기 신선품의 표면에 산화 장해가 나타나는 상한치 사이의 값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10) 방법에 의하면, 적산 농도를 상기 하한치와 상기 상한치 사이의 값이 되도록, 자외선을 단속 조사함으로써, 보관 기간중 전기간에 있어서 신선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살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11)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8) 내지 (10) 중 어느 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200nm 미만의 파장역을 갖는 진공 자외선이다.
상기 (11) 방법에 의하면, 공기중의 산소에 강하게 흡수되는 200nm 미만의 단일 파장의 진공 자외선을 공기에 조사함으로써, 오존 또는 라디칼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장의 진공 자외선은 공기중의 N2에는 흡수되지 않아, N2를 괴리시키기 않으므로, NOX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신선품 보관고의 보관 공간을 구성하는 기재나 보관되는 신선품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또한, 보관고에 보관되는 신선품은, 예를 들면, 수확 후 조리되어 있지 않은 생 청과물, 고기, 어류이며, 혹은 이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단된 토막이다. 절단면(단면)이 있는 토막은, 특히 오존 또는 라디칼에 의해 산화 장해를 받기 쉽다.
상기 몇 가지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들 신선품을 오존 또는 라디칼에 의한 산화 장해를 입지 않고, 또한 선도를 유지한 채로 장기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관된 신선품 전체를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어, 이에 따라,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신선품의 부패를 억제해, 신선품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신선품의 표면에 산화 장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관 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도 6은 신선품의 보관 기간과 적정 적산 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관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8은 하나의 살균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전 램프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한 오존 가스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한 오존 가스의 오존 농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곰팡이의 감소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3(A)는 수확 후 살균 시험 전의 양배추의 외관을 나타내고, (B) 및 (C)는, 살균 시험 후 산화 장해가 발현한 후의 양배추의 외관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로서 기재되어 있거나 또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서」,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 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갖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동일」, 「동일하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일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사각형상이나 원통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형상이나 원통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면취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한편, 하나의 구성 요소를 「갖다」, 「갖추다」, 「구비하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라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신선품의 보관 장치(10(10A, 10B, 10C, 10D))는, 각각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선품 보관고(12)를 구비하고, 신선품 보관고(12)의 내부에서 신선품(f)이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된다. 신선품 보관고(12)의 내부에, 고 내 온도를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는 온도 조정부(14)와, 고 내에 공기류(a)를 발생시키는 공기류 발생부(16)가 설치된다.
또, 고 내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조사부(18)가 설치되고, 조사부(18)로부터 자외선이 공기류(a)에 대해 조사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부(18)는 단속 조사 제어부(20)를 구비한다. 조사부(18)는, 단속 조사 제어부(20)에 의해서 자외선을 단속적으로 조사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조사부(18)로부터 공기류(a)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신선품(f)의 주위에 오존이나 OH 라디칼 등의 라디칼이 생성된다. 생성된 오존 또는 라디칼(이하 「오존 등」이라고도 한다.)은 공기류(a)에 의해 신선품 보관고(12)의 내부 전역에 확산된다. 확산된 오존 등에 의해서 고 내 전역이 살균되어, 곰팡이 등의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해, 보관된 신선품의 부패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신선품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 조사부(18)가 단속 조사 제어부(20)에 의해서 자외선을 단속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신선품(f)의 주위에 발생하는 오존 등의 농도 제어가 용이해진다. 단속 조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오존 등의 농도 제어를 행함으로써, 신선품(f)의 살균 효과를 유지하면서, 오존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선품(f)의 산화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온도 조정부(14)에 의해서, 신선품(f)을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므로, 신선품(f)의 세포중에 빙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빙결정의 형성으로 인한 세포막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신선품(f)을 선도 좋게 보관할 수 있다.
또, 온도 조정부(14)에 의해서 신선품 보관고(12)의 내부를 냉장, 보온 또는 해동을 행할 수 있는 신선품(f)의 적정 온도로 조정함으로써, 신선품 보관고(12)를 냉장고, 보온고 및 해동고 등으로서 이용 가능하게 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 조정부(14)는 각 기기가 케이싱(24)의 내부에 내장된 공조 유닛으로 구성된다. 공기류 발생부(16)는, 케이싱(24)의 내부에 설치된 팬으로 구성된다. 조사부(18)는, 자외선 광원을 내장한 램프 유닛으로 구성된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단속 조사 제어부(20)는, 신선품(f)이 오존 등에 노출되는 시간과 오존 등의 농도의 곱으로 구해지는 적산 농도(이하 「CT값」이라고도 한다.)에 의거해 자외선을 단속 조사하도록 조사부(18)를 제어하는 것이다.
신선품(f)은, 오존 등의 농도 컨트롤을 하지 않으면, 오존 등의 산화 작용에 의해서 장해를 받는다. 예를 들면, 농산물이 받는 데미지는 주로 변색으로서 나타난다. 이것은 산화로 인한 세포의 괴사가 원인이다. 데미지는 작물에 따라서 상이하며, 엽채류는 오존 또는 라디칼에 의해 산화 장해를 입기 쉽고, 또한, 과채류는 산화 장해를 입기 어렵다.
본 발명자들은, 오존 등의 산화 작용의 정도는, CT값에 따라서 정해지는 것을 찾아냈다. 바꿔 말하면, 오존 등의 산화 작용의 정도는 CT값에 비례한다고도 할 수 있다. 신선품이 오존 등에 노출되는 시간은, 실질적으로 조사부(18)에 의해서 자외선이 조사되는 시간으로 치환할 수 있다.
자외선의 조사 방법으로서, 연속 조사와 단속 조사가 있다.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대해, 연속 조사가 적은 CT값으로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이유는, 살균이 불충분해 곰팡이 등의 미생물이 살아 있었던 경우, 단속 조사에서는 오존 등이 생성되지 않는 시간대에서 미생물의 증식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신선품을 신선품 보관고(12)에 보관하는 경우, 목표로 하는 기간 부패를 억제하고, 또한 색이나 식감 등을 변하지 않는 상태로 할 필요가 있는 한편, 오존 등으로 인한 산화 장해가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CT값에 의거해 자외선을 단속 조사함으로써, 오존 등의 발생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신선품에 대한 산화 작용의 정도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신선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살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속 조사 제어부(20)에 의해서, 목표로 하는 보관 기간중에 신선품(f)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고, 또한 살균이 가능한 CT값의 하한치와, 신선품(f)의 표면에 산화 장해가 나타나는 CT값의 상한치 사이로 오존 등의 농도를 조정한다.
연속 조사의 경우, 보관 기간에 따라서는 오존 등이 저농도이더라도, CT 상한치를 초과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신선품(f)이 농산물인 경우, 농산물의 대다수는 1개월에서 수개월의 긴 보관 기간이 요구된다. 오존 등의 농도가 0.1ppm이더라도 30일이면 CT값은 4320ppm·min을 초과하므로, 양배추나 양상추는 산화 장해가 나타난다. 한편, 단속 조사로 함으로써, 보관 장치의 전역에 걸쳐 CT 하한치와 CT 상한치 사이로 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신선품의 보관 기간의 전기간에서, 신선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살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부(18)는 200nm 미만의 단일 파장의 진공 자외선을 방사 가능한 엑시머 램프 또는 희가스 형광 램프로 구성된다.
엑시머 램프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에 의해서 200nm 미만의 단일 파장의 진공 자외선을 방사한다. 엑시머 램프 중, 예를 들면, 크세논 엑시머 램프는 파장 172nm의 진공 자외선을 방사 가능하고, ArF 엑시머 레이저는 파장 193nm의 진공 자외선을 방사 가능하다.
엑시머 램프 또는 희가스 형광 램프를 이용해, 상기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공기중의 산소에 강하게 흡수되는 200nm 미만의 단일 파장의 진공 자외선을, 공기에 조사함으로써, 오존 또는 라디칼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장역의 진공 자외선은 공기중의 N2에는 흡수되지 않아, N2를 괴리시키기 않으므로, NOX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신선품 보관고(12)의 보관 공간을 구성하는 기재나 보관되는 신선품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또, 파장 200nm 미만의 단일 파장의 진공 자외선을 방사하는 엑시머 램프 또는 희가스 형광 램프는,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점등 의존성이 없고, 농산물의 보관 온도인 5℃ 이하의 저온도대에서 신속하게 점등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고습도 환경에서도 오존 또는 라디칼을 고효율로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신선품 보관고(12)가 해동고로서 이용되는 경우, 고습도의 고 내 공간을 신속하게 살균할 수 있다.
또, 전력 공급과 동시에 신속하게 점등시켜 오존 등을 발생시키고, 전력 정지와 동시에 이들의 발생이 정지하기 때문에, 오존 등의 농도 컨트롤이 용이하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조정부(14)는, 신선품(f)이 단백질 응고점 이하의 온도역으로 가온할 수 있는 가온부로서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온도 조정부(14)에 의해서, 신선품 보관고(12)에 보관된 신선품(f)을 단백질 응고점(예를 들면 72℃) 이하의 온도역으로 가온함으로써, 신선품 보관고(12)를 해동고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가온하는 온도의 상한을 단백질 응고점 이하로 함으로써 신선품(f)을 변질시킬 우려는 없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조정부(14)는, 신선품(f)이 냉장 상태로 혹은 칠드 상태로 보존할 수 있는 냉기 발생부로서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선품(f)을 냉장 상태 또는 칠드 상태로 보존함으로써, 신선품 보관고(12)를 냉장고 또는 보온고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선품(f)의 주위의 공기류(a)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부(22)를 더 구비한다.
신선품이 예를 들면 식육, 생선, 청과물 등인 경우, 이들을 저온 상태로 보존하면 건조해 열화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가습부(22)를 설치함으로써, 보관된 신선품(f)의 건조를 억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부(22)는, 케이싱(24)의 바닥부에 설치된 저수조(32)와, 저수조(32)로부터 가습 용수(w)를 퍼 올려, 케이싱(24)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유로(b)에 가습 용수(w)를 살포하는 살수 장치(34)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 조정부(14)는, 공기류(a)의 입구 및 출구를 갖는 케이싱(24)의 내부에, 팬으로 구성된 공기류 발생부(16), 디프로스트 및 온도 조정용 히터(26), 및 고 외부에 설치된 냉동기(28)로부터 냉매가 공급되는 열교환기(30)를 갖는다. 케이싱(24)의 내부에 공기 유로(b)가 형성되고, 공기 유로(b)에 공기류(a)가 형성된다. 공기류(a)는 히터(26)에 의해서 가온되거나, 혹은 열교환기(30)에 의해서 냉각됨으로써, 온도 조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24)은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케이싱(24)의 내부에서 공기류(a)는 횡방향으로 흐른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24)은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케이싱(24)의 내부에서 공기류(a)는 종방향으로 흐른다.
냉동기(28)는, 예를 들면, 신선품 보관고(12)의 외부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선품 보관고(12) 상벽에 설치되거나, 혹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선품 보관고(12)의 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부(18)는, 크세논 엑시머 램프 또는 희가스 형광 램프로 구성된 방전 램프(35)로 구성된다. 방전 램프(35)는, 예를 들면, 파장 200nm 미만의 진공 자외선을 방사하는 방전 램프 광원(36)과, 방전 램프 광원(36)으로부터 방사되는 진공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오존 등을 확산시키는 팬(38)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팬(38)의 배치는 생략해도 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방전 램프(35)는 신선품 보관고(12)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류(a)에 면하여 배치되고, 방전 램프(35)는 자외선 조사창(40)을 갖는다.
방전 램프 광원(36)으로부터 진공 자외선을 공기류(a)를 향해 조사함으로써, 공기류(a) 중에 오존 등이 발생하고, 발생한 오존 등은 공기류(a)를 타고 고 내 전반으로 확산되어, 신선품(f)을 살균한다.
상기 방전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의 파장은, 그 방전실에 봉입된 방전 가스에 의해서 정해진다. 예를 들면, 방전 가스가 아르곤(Ar)일 때 126nm가 되고, 방전 가스가 크립톤(Kr)일 때 146nm이 되고, 방전 가스가 크세논(Xe)일 때, 172nm이 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조사부(18)로서의 방전 램프는 신선품(f)의 상방에 배치되고, 자외선 조사창(40)은 공기류(a)를 통해 신선품(f)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방전 램프(35)는 연속 반송식 프리저(44)의 상방에 배치되고, 자외선 조사창(40)은 공기류(a)를 통해 연속 반송식 프리저(44)를 향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방전 램프(35)는 신선품(f)의 상방 모서리에 배치되고, 자외선 조사창(40)은 공기류(a)를 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조사창(40)이 공기류(a)를 향해 배치되므로, 생성된 오존 등을 공기류(a)에 실어 고 내 전역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고 내 전역을 살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창(40)이 신선품(f)을 향해 배치되므로, 자외선이 신선품(f)에 직접 조사되어, 신선품(f)의 조사면에 대해 강한 살균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전 램프(35)로부터 방사되는 진공 자외선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서, 보관된 신선품 전체의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전 램프(35)는, 온도 조정부(14)의 케이싱(24)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b)를 흐르는 공기류(a)를 향해 진공 자외선을 조사하므로, 발생한 오존 등을 공기류(a)를 타고 고 내 전역으로 효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고 내 공기 전체를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 온도 조정부(14)는 가습부(22)를 갖고, 가습부(22)에서 온도 조정부(14)에 도입되는 공기류(a)를 가습하므로, 고 내 분위기를 고습도로 유지할 수 있어, 신선품(f)의 건조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신선품(f)의 수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선품(f)은 청과물 또는 그 토막이며, 신선품 보관고(12)의 내부에서 겹쳐 쌓인 바구니(42)에 수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선품 보관고(12)의 내부에 연속 반송식 프리저(44)가 설치된다. 연속 반송식 프리저(44)는, 컨베이어(46)를 구비하고, 신선품(f)은 컨베이어(46)로 반송중에 연속적으로 동결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오존 등의 존재에 의해서 살균 효과를 갖는 신선품 보관고(12)의 내부에서 신선품(f)을 동결하기 때문에, 연속 반송식 프리저(44)의 가동이 종료된 후에도, 연속 반송식 프리저(44)를 구성하는 기재가 신선품 잔사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선품 보관고(12)의 내부에 오존 등의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 센서(48)가 설치되고, 오존 농도 센서(48)의 검출치는 단속 조사 제어부(20)에 입력된다. 단속 조사 제어부(20)는 상기 검출치에 의거해 방전 램프(35)의 동작을 제어한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보관 방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선품 보관 공정(S10)과, 공기류 형성 공정(S12)과, 자외선 조사 공정(S14)을 포함한다.
신선품 보관 공정(S10)에서는 신선품 보관고(12)의 내부에서 신선품(f)을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한다. 공기류 형성 공정(S12)에서는, 신선품 보관고(12)에 보관된 신선품(f)의 주위에 공기류(a)를 형성한다. 자외선 조사 공정(S14)에서는, 공기류(a)에 자외선을 단속적으로 조사하여 오존 또는 OH 라디칼 등의 라디칼을 생성함과 더불어, 오존 등을 공기류(a)에 실어 고 내 전역으로 확산시킨다.
이에 의해서, 고 내 전역으로 확산된 오존 등에 의해서 고 내 전역이 살균되기 때문에, 곰팡이 등의 미생물의 번식이 억제되어, 보관된 신선품(f)의 부패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신선품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 자외선 조사 공정(S14)에 있어서, 자외선을 단속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신선품(f)의 주위에 발생하는 오존 또는 라디칼의 농도 제어가 용이해진다. 단속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 등의 농도 제어를 행함으로써, 신선품(f)의 살균 효과를 유지하면서, 오존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선품(f)의 산화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신선품 보관 공정(S10)에서는, 신선품(f)을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하므로, 신선품(f)의 세포중에 빙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빙결정의 형성으로 인한 세포막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신선품(f)을 선도 좋게 보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자외선 조사 공정(S14)에 있어서, 자외선의 조사 시간과 오존 등의 농도의 곱으로 구해지는 적산 농도에 의거해, 자외선을 단속 조사한다.
적산 농도에 의거해 진공 자외선을 단속 조사함으로써, 신선품(f)에 대한 오존 등의 발생량을, 신선품(f)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살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정량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자외선 조사 공정(S14)에 있어서, 자외선을 단속 조사시켜, 신선품(f)의 주위의 적산 농도가, 신선품(f)의 살균 효과가 나타나는 하한치와 신선품(f)의 표면에 산화 장해가 나타나는 상한치 사이의 값이 되도록 제어한다.
적산 농도를 CT 하한치와 CT 상한치 사이의 값이 되도록, 자외선을 단속 조사함으로써, 보관 기간중 전기간에 있어서 신선품(f)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살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자외선 조사 공정(S14)에 있어서, 200nm 미만의 파장역을 갖는 진공 자외선을 조사한다.
공기중의 산소에 강하게 흡수되는 200nm 미만의 단일 파장의 진공 자외선을 공기에 조사함으로써, 오존 등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장의 진공 자외선은 공기중의 N2에는 흡수되지 않아, N2를 괴리시키기 않으므로, NOX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신선품 보관고(12)의 보관 공간을 구성하는 기재나 보관되는 신선품(f)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신선품(f)이 청과물이며, 신선품 보관고 내에서 청과물을 0℃ 이상 5℃ 이하로 냉각하고, 오존 농도를 0.1ppm 이상 0.5ppm 이하로 조정한다. 이에 의해서, 신선품(f)의 보관 기간중 신선품(f)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오존 등에 의한 산화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신선품 보관고 내를 가습하여 상대 습도를 90% 이상으로 조정한다. 이에 의해서, 보관 기간중 신선품(f)의 건조를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청과물 중, 양상추, 양배추와 같이 표피 세포가 얇은 엽채류, 화훼류 또는 버섯류는, 오존 등에 의한 산화 장해를 입기 쉽다. 그래서, 보관 기간중 상기 엽채류는, 토마토, 레몬과 같이 표피체로 전체가 포피되어 있는 과실류에 비해, CT값이 CT 하한치보다 높고 CT 하한치에 가까운 값이 되도록 상기 파장의 진공 자외선을 단속 조사한다.
이에 의해서, 보관 기간중, 엽채류, 화훼류, 버섯류 중 특히 단면 및 그 주변의 산화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신선품(f)이 날 어육, 또는 날 계육, 칠면조 등의 수육(獸肉) 중 어느 하나이며, 이들의 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포막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된 토막인 경우, 오존 등의 산화 장해를 입기 쉽다. 그래서, 상기 토막의 경우, 보관 기간중 세포막을 따라서 절단된 토막의 경우에 비해 CT값이 CT 하한치보다 높고 CT 하한치에 가까운 값이 되도록 상기 파장의 진공 자외선을 단속 조사한다.
이에 의해서, 보관 기간중, 오존 등의 산화 장해를 입기 쉬운 토막의 산화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신선품(f)이 날 어육, 또는 날 계육, 칠면조 등의 수육 중 어느 하나이며, 이들의 몸을 부분적으로 세포막을 따르는 방향으로 절단된 토막인 경우, 세포막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된 토막에 비해 오존 등의 산화 장해를 입기 어렵다. 그래서, 상기 토막의 경우, CT값이 CT 상한치보다 낮고 CT 상한치에 가까운 값이 되도록 상기 파장의 진공 자외선을 단속 조사한다.
이에 의해서, 보관 기간중, 상기 토막의 산화 장해를 억제하면서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고 내 살균 시험
보관 장치로서, 도 4에 나타낸 보관 장치(10(10D))를 이용했다. 보관 장치(10(10D))는, 가습부(22)를 갖는 온도 조정부(14)를 구비한 신선품 보관고(12)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부(18)로서의 방전 램프(35)는 신선품(f)의 상방 모서리에 배치되고, 그 자외선 조사창(40)은 공기류(a)를 향해 배치되어 있다.
자외선 조사창(40)으로부터 파장 200nm 미만의 진공 자외선이 방사되고, 고 내를 온도 2℃, 상대 습도 95% 이상으로 유지하여 고 내 공기의 살균 시험을 실시했다.
또, 고 내의 오존 농도가 0.3ppm이 되도록, 단속 조사 제어부(20)에 의해서 방전 램프(35)를 점등 1초, 소등 10초로 반복하여 30분간 단속 점등시켰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전 램프(35)의 하방에 겹쳐 쌓인 바구니(42) 안에, 상단에 위치하는 A점, B점, 및 중단에 위치하는 C점에 PDA 배지(포테이토 덱스트로오스 한천배지)를 30분간 개방하여 곰팡이의 양을 계측했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살균 운전 후에 균수의 감소를 확인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수은등을 사용하고, 파장 185nm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실시한 시험에서는, 수은등이 저온이기 때문에 점등시키지 않았다.
(2) 양배추의 보관 시험
도 4에 나타낸 보관 장치(10(10D))를 이용해, 신선품 보관고(12)에 양배추를 그대로 넣고, 온도 2℃, 상대 습도 95% 이상인 상태로 2개월간 보관했다. 38일 보관 후 남은 일수 동안, 방전 램프(35)로부터 파장 200nm 미만의 자외선을 방사해, 고 내의 오존 농도가 0.3ppm이 되도록, 점등 1초, 소등 10초의 간격으로 1시간/일의 단속 조사를 행했다.
비교예로서, 방전 램프(35)를 작동시키지 않고, 그 외에는 동일한 조건으로 양배추를 2개월간 보관했다.
그 결과, 본 실시예는 2개월간 부패가 낮게 억제되었다. 한편, 비교예는 40일까지는 좋은 선도를 유지했으나, 그 이후 곰팡이가 발생해, 급속히 부패했다.
2개월에서의 곰팡이의 발생율은, 본 실시예가 27%, 비교예가 90%로 큰 차이를 볼 수 있고, 또, 중량 수율도 본 실시예가 좋았다.
(3) 양배추의 표면 살균 시험
컨테이너의 내부에 가습부(22)를 구비한 쿨러 유닛(온도 조정부)(14)를 설치해, 쿨러 유닛(14)의 출구에 방전 램프(35)를 배치했다. 그리고, 컨테이너 내의 온도를 5℃, 상대 습도를 90% 이상으로 유지함과 더불어, 오존 농도가 0.35ppm이 되도록, 방전 램프(35)를 점등 1초, 소등 10초로 제어하고, 2시간/일의 조사 시간으로 10일간 파장 200nm 미만의 진공 자외선을 방사했다.
이 결과, 양배추의 표면 및 축 부분의 일반성 균 및 곰팡이의 수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4) 양배추의 색의 변화 시험(비교예)
상기 시험 (3)과 동일한 시험 장치를 이용해, 컨테이너 내의 온도 및 상대 습도를 상기 시험 (3)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고, 신선품인 양배추 주위의 오존 농도가 2ppm이 되도록, 방전 램프(35)를 작동시켰다. 방전 램프(35)의 점등 시간을 점등 1초, 소등 1.5초로 세트하고, 24시간 연속으로 9일간 작동시켰다. 그 결과, 양배추의 표면이 변색되었다.
<발생 가스의 검사>
일 실시형태에 따른 조사부(18)로서의 방전 램프(35)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 있는 방전실(36a)로부터 방사되는 진공 자외선이 공간(c)에 도입된 대기중의 N2 가스에 흡수되지 않아, N2 가스를 괴리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질소산화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방전 가스로서 크세논을 이용하여 파장 172nm의 진공 자외선을 방사하는 방전 램프를 이용하고, 당해 방전 램프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오존 가스를 가스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라인 D는 상기 방전 램프를 이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라인 E는 종래 공지의 방전식 오존 발생기를 이용하여 오존 가스를 발생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 D에서는 질소산화물의 발생이 억제되고 있다.
(5) 곰팡이에 대한 조사 시험
인큐베이터(보육기)의 내부를 온도 20℃, 상대 습도 90%로 유지해, 공시 균주로서 푸른 곰팡이(Penicillium속)를 이용했다. 푸른 곰팡이는, 균사에 멸균수 10ml를 넣고, 포자를 긁어내, 각 희석 배율로 희석한 후, PDA 배지에 100μL씩 도포하고, 인큐베이터 안에 넣고, 방전 램프로부터 200nm 미만의 파장을 갖는 진공 자외선을 점등 시간 1초, 소등 시간 10초의 간격으로 단속 조사했다.
도 11은, 인큐베이터 내의 오존 농도의 추이를 나타낸다. 도 11에 있어서의 오존 농도의 각 산을 도 12에서는 「처리구」라 칭하고 있다. 도 12는, 처리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즉, CT값이 증가함에 따라 곰팡이의 콜로니(괴) 수가 감소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시험 조건으로, 공시 균사로서, 검은 곰팡이(Cladosporium속) 및 대장균(Escherichia속)을 더 추가해 시험했다. CT값을 13.3ppm·min(1일째), 36.8ppm·min(2일째), 42.5ppm·min(3일째)이 되도록 조정했다.
이 결과, 3개의 공시 균사도 감소하고, 특히, 대장균의 감소가 현저했다.
(6) 양배추 보관 시험
2℃의 온도로 유지된 보관고 안에 수확의 양배추를 수납하고, 보관고 내의 양배추에 방전 램프로부터 200nm 미만의 파장을 갖는 진공 자외선을 점등 시간 0.5초, 소등 시간 20초의 간격으로 30분간 단속 조사했다. 목표 오존 농도는 0.35ppm으로 했다. 30분간의 단속 조사로 CT값은 11.1ppm·min이 되고, 이 단속 조사를 1일 2회 행하고, 28일 후의 CT값은 610.5ppm·min가 되었다.
보관 63일 후의 양배추의 상태는, 곰팡이의 발생이 적고 부패가 억제되고, 또한 오존에 의한 산화 장해도 발현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시험에서는, 양배추의 보관 기간중 CT값은 하한치와 상한치 사이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7) 양배추 보관 시험
2℃의 온도로 유지된 보관고 안에 수확 후의 양배추를 보관하고, 보관고 내에서 방전 램프로부터 200nm 미만의 파장을 갖는 진공 자외선을 점등 시간 0.5초, 소등 시간 20초의 간격으로 60분간 단속 조사했다. 목표 오존 농도는 0.35ppm으로 했다. 수확 후 시험 전의 양배추의 외관을 도 13(A)에 나타낸다.
시험 개시부터 29일간 60분의 단속 조사를 1일 2회 행한 바, 29일 후의 CT값은 2919.53ppm·min에 도달해, 모든 양배추에 산화 장해가 발현했다(제1 스테이지). 이 상태의 양배추의 외관을 도 13(B)에 나타낸다. 도 13(B)에 있어서, 양배추의 표면에 산화 장해(o)가 발현했다.
제1 스테이지 후, 단속 조사 시간을 30분/회×1회/일로 변경하고, 추가로 29일간 계속했다(제2 스테이지). 제2 스테이지에 있어서의 CT값은 1011.18ppm·min에 도달해, 그 결과, 시험 개시부터 제2 스테이지까지의 CT값은 3930.72ppm·min에 도달했다. 제2 스테이지 후의 양배추의 외관은,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화 장해(o)는 더욱 심해졌다.
상기 시험은, 양배추를 3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고, 제1 스테이지 종료 후 모든 그룹에서 산화 변색이 발생했다.
상기 시험의 결과로부터, CT상한치를 2900ppm·min 이하로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제1 스테이지 후에 있어서, 곰팡이의 발생 상황은, 그룹 X가 20%, 그룹 Y가 10%, 그룹 Z가 10%였다. 또, 제2 스테이지 후의 곰팡이의 발생 상황은, 그룹 X가 100%, 그룹 Y가 57%, 그룹 Z가 74%였다. 이와 같이 곰팡이의 발생이 진행되고 있는 원인은, CT 상한치를 초과하는 오존 등의 조사에 의한 산화 장해의 발현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오존 등은 그다지 침투성이 없기 때문에, 신선품 표면의 곰팡이를 살균할 수 있으나, 잎과 같이 복잡하게 얽힌 조직에 생기는 곰팡이를 완전히 사멸시킬 수 없다. 오존 등에 의한 산화 장해에 의해서 괴사한 잎은 결국 썩어 곰팡이가 생긴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신선품 보관고 내를 0℃ 이상의 온도로 설정했는데, 본 발명은, 신선품 보관고 내를 0℃ 미만의 저온도로 해도 살균 효과 및 산화 장해의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외선을 조사해도 신선품 보관고의 기재나 보관 신선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보관고에 보관된 신선품 전체를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어,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신선품의 부패를 억제해, 신선품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10(10A, 10B, 10C, 10D): 보관 장치 12: 신선품 보관고
14: 온도 조정부 16: 공기류 발생부
18: 조사부 20: 단속 조사 제어부
22: 가습부 24: 케이싱
26: 히터 28: 냉동기
30: 열교환기 32: 저수조
34: 살수 장치 35: 방전 램프
36: 방전 램프 광원 38: 팬
40: 자외선 조사창 42: 바구니
44: 연속 반송식 프리저 46: 컨베이어
48: 오존 농도 센서 a: 공기류
b: 공기 유로 f: 신선품
o: 산화 장해 w: 가습 용수

Claims (13)

  1. 신선품을 칠드(chilled) 상태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 가능한 신선품 보관고와,
    상기 신선품 보관고의 고 내 온도를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로 조정 가능한 온도 조정부와,
    상기 신선품 보관고의 고 내에 공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류 발생부와,
    자외선을 상기 공기류에 조사하여 오존 또는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조사부와,
    상기 자외선을 단속(斷續)적으로 상기 공기류에 조사시키도록 상기 조사부를 제어 가능한 단속 조사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속 조사 제어부는, 상기 신선품의 상기 신선품 보관고 내에서의 보관 기간 중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의 점등 및 소등을 소정 간격으로 반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품의 보관 장치.
  2. 신선품을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 가능한 신선품 보관고와,
    상기 신선품 보관고의 고 내 온도를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로 조정 가능한 온도 조정부와,
    상기 신선품 보관고의 고 내에 공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류 발생부와,
    자외선을 상기 공기류에 조사하여 오존 또는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조사부와,
    상기 신선품 보관고 내에서의 오존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오존 농도 센서와,
    상기 오존 농도 센서의 검출치에 의거하여 상기 조사부로의 전력 공급의 가부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신선품의 상기 신선품 보관고 내에서의 보관 기간 중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을 단속적으로 상기 공기류에 조사시키도록 상기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속 조사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품의 보관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속 조사 제어부는,
    상기 신선품이 상기 오존 또는 라디칼에 노출되는 시간과 상기 오존 또는 라디칼의 농도의 곱으로 구해지는 적산 농도에 의거해 상기 자외선을 단속 조사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품의 보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속 조사 제어부는,
    상기 신선품 보관고에 있어서의 상기 신선품의 보관중에 상기 자외선을 단속 조사시키고,
    상기 신선품의 주위의 상기 적산 농도가, 상기 신선품의 살균 효과가 나타나는 하한치와 상기 신선품의 표면에 산화 장해가 나타나는 상한치 사이의 값이 되도록 제어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품의 보관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200nm 미만의 단일 파장의 진공 자외선을 방사 가능한 엑시머 램프 또는 희가스 형광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품의 보관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정부는,
    상기 신선품을 단백질 응고점 이하의 온도역으로 가온할 수 있는 가온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품의 보관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정부는,
    상기 신선품을 냉장 상태로 혹은 칠드 상태로 보존할 수 있는 냉기 발생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품의 보관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선품의 주위의 상기 공기류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품의 보관 장치.
  9. 보관고 내에서 신선품을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하는 신선품 보관 공정과,
    상기 신선품의 주위에 공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류 형성 공정과,
    상기 공기류에 자외선을 단속적으로 조사하여 오존 또는 라디칼을 생성함과 더불어, 상기 오존이나 라디칼을 상기 공기류에 의해 상기 보관고의 고 내 전역에 확산시키는 자외선 조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 공정에서는, 상기 신선품의 상기 보관고 내에서의 보관 기간 중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의 조사를 소정 간격으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품의 보관 방법.
  10. 보관고 내에서 신선품을 칠드 상태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하는 신선품 보관 공정과,
    상기 신선품의 주위에 공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류 형성 공정과,
    상기 공기류에 자외선을 단속적으로 조사하여 오존 또는 라디칼을 생성함과 더불어, 상기 오존이나 라디칼을 상기 공기류에 의해 상기 보관고의 고 내 전역에 확산시키는 자외선 조사 공정과
    상기 보관고 내에서의 오존 농도를 오존 농도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농도 검출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 공정에서는, 상기 오존 농도 센서에 의한 상기 오존 농도 검출치에 의거하여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조사부로의 전력 공급의 가부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신선품의 상기 보관고 내에서의 보관 기간 중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을 단속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품의 보관 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 공정은,
    상기 자외선의 조사 시간과 상기 오존 또는 라디칼의 농도의 곱으로 구해지는 적산 농도에 의거해, 상기 자외선을 단속 조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품의 보관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 공정은,
    상기 신선품 보관 공정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을 단속 조사시켜, 상기 신선품의 주위의 상기 적산 농도가, 상기 신선품의 살균 효과가 나타나는 하한치와 상기 신선품의 표면에 산화 장해가 나타나는 상한치 사이의 값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품의 보관 방법.
  13.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200nm 미만의 파장역을 갖는 진공 자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품의 보관 방법.
KR1020177033537A 2015-05-29 2016-05-30 신선품의 보관 장치 및 보관 방법 KR101980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10929 2015-05-29
JPJP-P-2015-110929 2015-05-29
PCT/JP2016/065932 WO2016194877A1 (ja) 2015-05-29 2016-05-30 生鮮品の保管装置及び保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920A KR20170137920A (ko) 2017-12-13
KR101980997B1 true KR101980997B1 (ko) 2019-05-21

Family

ID=5744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537A KR101980997B1 (ko) 2015-05-29 2016-05-30 신선품의 보관 장치 및 보관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483820B2 (ko)
KR (1) KR101980997B1 (ko)
CN (1) CN107613787B (ko)
RU (1) RU2666747C1 (ko)
WO (1) WO2016194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997B1 (ko) * 2015-05-29 2019-05-21 가부시끼가이샤 마에가와 세이사꾸쇼 신선품의 보관 장치 및 보관 방법
JP6752488B2 (ja) * 2016-12-21 2020-09-09 アクア株式会社 殺菌装置及び殺菌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7145365B2 (ja) * 2018-06-05 2022-10-03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殺菌又は病害虫防除システム及び殺菌又は病害虫防除方法
KR102555716B1 (ko) * 2019-07-01 2023-07-14 한국식품연구원 곡물의 위해 요소를 저감하기 위한 플라즈마 오존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10018248A1 (en) * 2019-07-19 2021-01-21 Lee C. Ditzler System and method to inhibit microbial growth in mass storage of produce
JP7319206B2 (ja) * 2020-01-31 2023-08-01 フクシマガリレイ株式会社 解凍庫
JP2021188757A (ja) * 2020-05-26 2021-12-13 日栄インテック株式会社 鮮度保持装置
CN114793066B (zh) 2021-01-26 2023-12-0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氙灯电源、净化装置及制冷设备
GB202114566D0 (en) * 2021-10-12 2021-11-24 Vitec Microgenix Ltd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fresh produ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054A (ja) * 1998-10-30 2000-05-16 Isuzu Motors Ltd 鮮度保持装置
JP2014055717A (ja) * 2012-09-12 2014-03-27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14169254A (ja) * 2013-03-04 2014-09-18 Nobuko Hagiwara 超微細ガス水を用いた消毒及び鮮度保持装置、消毒及び鮮度保持方法、消毒及び鮮度保持方法を施した生鮮食料品又は植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685U (ja) * 1991-09-04 1993-03-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保鮮装置
JP3775404B2 (ja) * 1997-03-28 2006-05-17 三浦工業株式会社 殺菌手段を備えた食品機械の運転方法
US5901564A (en) * 1997-12-08 1999-05-11 Comeau, Ii; Richard J. System for germicidal disinfecting of food inside of refrigerators using ultraviolet radiation
JPH11206316A (ja) * 1998-01-29 1999-08-03 Mitsubishi Heavy Ind Ltd 貯蔵物の鮮度保持装置及び鮮度保持方法
US6066348A (en) * 1998-09-23 2000-05-23 American Air Liquide Inc. Method of disinfecting a foodstuff using gaseous ozone
JP2005318816A (ja) * 2004-05-07 2005-11-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粉体物殺菌装置
EP2208950B1 (en) * 2007-11-06 2016-05-04 Panasonic Corporation Refrigerator
JP2010193829A (ja) 2009-02-26 2010-09-09 Mitsubishi Electric Air Conditioning & Refrigeration Plant Co Ltd 食品殺菌貯蔵方法および装置
CN101524124B (zh) * 2009-05-05 2011-12-21 刘传林 一种生鲜食品的无害化处理方法
JP2013155995A (ja) 2012-01-31 2013-08-15 Fujitsu General Ltd 加湿装置
JP2014025613A (ja) 2012-07-25 2014-02-06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庫の殺菌装置
CN104522146A (zh) * 2014-12-24 2015-04-22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一种松茸的保鲜方法
KR101980997B1 (ko) * 2015-05-29 2019-05-21 가부시끼가이샤 마에가와 세이사꾸쇼 신선품의 보관 장치 및 보관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054A (ja) * 1998-10-30 2000-05-16 Isuzu Motors Ltd 鮮度保持装置
JP2014055717A (ja) * 2012-09-12 2014-03-27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14169254A (ja) * 2013-03-04 2014-09-18 Nobuko Hagiwara 超微細ガス水を用いた消毒及び鮮度保持装置、消毒及び鮮度保持方法、消毒及び鮮度保持方法を施した生鮮食料品又は植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13787A (zh) 2018-01-19
JP6764925B2 (ja) 2020-10-07
JPWO2016194877A1 (ja) 2018-04-19
JP2019054824A (ja) 2019-04-11
RU2666747C1 (ru) 2018-09-12
KR20170137920A (ko) 2017-12-13
CN107613787B (zh) 2021-03-30
WO2016194877A1 (ja) 2016-12-08
JP6483820B2 (ja)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997B1 (ko) 신선품의 보관 장치 및 보관 방법
US20210112842A1 (en) Ready-to-use mushrooms with enhanced vitamin d content and improved shelf life
CN110411117A (zh) 一种基于气体调节的冰箱保鲜装置
CN105230770A (zh) 一种紫外线保鲜库
JP6934643B2 (ja) 食品の常温乾燥装置
JP6580968B2 (ja) 食品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JP2011058670A (ja) 冷蔵庫
US86327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ed pervaporation in horticultural cellular tissue
US11751580B2 (en) Ingredient freezing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frozen ingredient
CA3087403A1 (en) Sterilizing organic products in a controlled atmosphere to ensure longer shelf-life.
JP2008161153A (ja) 生芋の長期保存方法
US11477987B2 (en) Method for conditioning a food
JP2005192448A (ja) 鮮度保持装置
CN210463718U (zh) 一种基于气体调节的冰箱保鲜装置
JP6931938B2 (ja) 食品の常温乾燥装置
CN113424864A (zh) 一种利用低温二氧化碳消杀冷链食品表面微生物的方法
JP2017108680A (ja) 青果物の保存装置及び保存方法
JP2007139387A (ja) 冷蔵庫
Mansuri Fruits and Vegetables Storage Techniques
DE102013010399B4 (de) Keimfrei betreibbarer temperierbarer Kühlschrank
JPH07246059A (ja) みかん類の貯蔵方法と貯蔵装置
RU2262279C2 (ru) Способ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мясного полуфабриката
Miteluț et al. Innovative preservation technologies for a sustainable food system.
KR20190025167A (ko) 신선도 유지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JP2017083093A (ja) 高湿度食品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