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222B1 -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222B1
KR101974222B1 KR1020120097667A KR20120097667A KR101974222B1 KR 101974222 B1 KR101974222 B1 KR 101974222B1 KR 1020120097667 A KR1020120097667 A KR 1020120097667A KR 20120097667 A KR20120097667 A KR 20120097667A KR 101974222 B1 KR101974222 B1 KR 101974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frame
wheel
transverse
link member
rea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622A (ko
Inventor
다까유끼 오오노
히로아끼 야마모또
다께시 가와노
신 히라따
스에조우 우에다
마사끼 미쯔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30096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65Multi-track vehicles, i.e. more than two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크롤러 주행 장치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기체의 최고 지상 높이를 높게 하는 데 있다.
구동륜(36)과, 구동륜(36)보다도 기체 후방측에서, 트랙 프레임(32)에 있어서 앞에서 순서대로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륜(33) 및 유도륜(34)에 걸쳐 크롤러 벨트(37)가 팽팽하게 권회되고, 기체측에 대하여 횡축 코어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전후 한 쌍의 요동 아암(41, 42)에 트랙 프레임(32)이 연결되고, 각 아암(41, 42)이 요동함으로써 트랙 프레임(32)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전방측 요동 아암(41)에는 링크 부재(47)가 전후 요동 가능하게 하향 자세로 지지되고, 링크 부재(47)의 하부에는 트랙 프레임(32)의 전방부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측 요동 아암(42)에는 트랙 프레임(32)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CRAWLER TRAVELING DEVICE OF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콤바인 등의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등의 작업기에 있어서, 크롤러 주행 장치를 구성하는 데, 기체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순서대로 구동륜과, 복수의 하부 회전륜과, 유도륜을 구비하고, 하부 회전륜 및 유도륜을 트랙 프레임에 지지하고, 구동륜, 하부 회전륜 및 유도륜에 걸쳐 크롤러 벨트를 팽팽하게 권회한 것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에 지지한 전후 한 쌍의 요동 아암에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고, 전후 한 쌍의 요동 아암을 로드 부재로 연결해서 동시에 상하 요동시킴으로써, 트랙 프레임과 함께 하부 회전륜 및 유도륜을 승강시키도록 구성하고, 주행 기체를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전후 한 쌍의 요동 아암 등과 같은 트랙 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의 구성 부품의 제작 오차나 조립 오차에 기인하는 뒤틀림 등을 방지하는 요동 링크(이하, 캔슬 링크라고 칭함)를, 후방측 요동 아암과 트랙 프레임에 걸쳐 연결하고 있는 것이 있다.
상기의 경우, 전방측 요동 아암에는 캔슬 링크를 부착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캔슬 링크를 후방측 요동 아암에 부착한 경우, 크롤러 주행 장치에 의해 작업기가 전진할 경우에, 크롤러 벨트의 장력에 의해 유도륜이 전방측 방향으로 눌리는 것에 기인하여, 상기 로드 부재에 압축이 가해져 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구성의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후방측 요동 아암이 아닌 전방측 요동 아암에 상기 캔슬 링크를 부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고 평7-108671호 공보
상기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트랙 프레임의 승강에 의해, 주행 기체를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는 작업기에 있어서, 깊은 논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 주행 기체의 최고 지상 높이를 높게 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기체의 최고 지상 높이를 높게 하는 데 있다.
[I]
(구성)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
구동 회전 가능한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보다도 기체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륜과, 상기 회전륜보다도 기체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유도륜과, 상기 회전륜 및 상기 유도륜이 지지되어 있는 트랙 프레임과, 상기 구동륜, 상기 회전륜 및 상기 유도륜에 걸쳐 팽팽하게 권회되어 있는 크롤러 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트랙 프레임은, 기체 프레임에 제1 횡축 코어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전방측의 요동 아암과, 상기 기체 프레임에 제2 횡축 코어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후방측의 요동 아암에 연결되고,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 요동 아암이 상기 제1 및 제2 횡축 코어 주위로 상하 요동됨으로써, 상기 트랙 프레임과 함께 상기 회전륜 및 상기 유도륜이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요동 아암의 자유단부에는 링크 부재가 제3 횡축 코어 주위로 전후 요동 가능하게 하향 자세로 지지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트랙 프레임의 전방부가 제4 횡축 코어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후방측 요동 아암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트랙 프레임이 제5 횡축 코어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횡축 코어와 상기 제2 횡축 코어와 상기 제3 횡축 코어와 상기 제5 횡축 코어 각각이 상기 회전륜의 상단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4 횡축 코어가 상기 회전륜의 회전 중심보다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의 요동 아암이 상승 요동하여 상기 트랙 프레임이 상기 기체 프레임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횡축 코어와 상기 제2 횡축 코어와 상기 제3 횡축 코어와 상기 제5 횡축 코어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크롤러 주행 장치는, 전방측 및 후방측 요동 아암의 상하 요동에 의해, 트랙 프레임, 회전륜 및 유도륜을 모두 승강시킴으로써, 크롤러 주행 장치의 상하 방향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어, 그에 의해 기체를 트랙 프레임과는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측 요동 아암에는 링크 부재가 전후 요동 가능하게 하향 자세로 지지되고, 링크 부재의 하부에는 트랙 프레임의 전방부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링크 부재가 하향 자세로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트랙 프레임을 기체에 대하여 더욱 낮게 하강시킬 수 있다. 즉, 링크 부재가 하향 자세로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지면에 대한 기체의 최고 지상 높이를 높게 할 수 있으므로, 깊은 논 등에도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링크 부재는 전후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전방측 요동 아암 및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링크 부재가 하향 자세이면서 전후 요동함으로써, 트랙 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의 구성 부품으로서의 전방측 및 후방측 요동 아암의 제작 오차나 조립 오차 등에 기인하는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링크 부재는, 상기 캔슬 링크를 겸하고 있으므로, 부품 개수 및 제조 비용을 늘리는 일 없이 기체의 최고 지상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Ⅱ]
(구성)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
상기 트랙 프레임의 후방부에는 브래킷 부재가 상향 자세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후방측 요동 아암이 상기 브래킷 부재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트랙 프레임의 후방부에 상향 자세로 부착되어 있는 브래킷 부재에 후방측 요동 아암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전방측 요동 아암 및 링크 부재의 연결 위치의 트랙 프레임에 대한 높이와, 후방측 요동 아암 및 브래킷 부재의 연결 위치의 트랙 프레임에 대한 높이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즉, 기체측과, 전방측 및 후방측 요동 아암과, 트랙 프레임으로 평행 링크 기구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트랙 프레임을 기체측에 대하여 균형있게 평행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방측 요동 아암의 트랙 프레임에 대한 연결 위치가 트랙 프레임보다 상측에 있게 되므로, 후방측 요동 아암을 조립할 경우에, 트랙 프레임에 지지하고 있는 회전륜에 간섭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다.
[Ⅲ]
(구성)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 또는 제2 특징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
상기 링크 부재에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트랙 프레임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상기 링크 부재가 상기 트랙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링크 부재와 트랙 프레임과의 연결 부분에는 기체의 중량에 의한 부하가 걸리지만,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두 갈래 형상의 부분에서 트랙 프레임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링크 부재가 트랙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링크 부재 및 트랙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상기 부하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구비시킬 수 있다.
[Ⅳ]
(구성)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 내지 제3 특징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
상기 트랙 프레임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회전륜 사이의 부분에 상기 링크 부재가 연결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링크 부재 및 트랙 프레임의 연결 위치가, 인접하는 회전륜 사이의 스페이스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링크 부재를 트랙 프레임에 부착하기 쉽고, 또한 링크 부재가 요동할 경우에 회전륜에 간섭하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콤바인 전체를 도시한 좌측면도다.
도 2는 트랙 프레임이 최근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를 도시한 좌측면도다.
도 3은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를 도시한 주요부 평면도다.
도 4는 트랙 프레임이 최이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를 도시한 좌측면도다.
도 5는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의 전방측 요동 아암을 도시한 종단 배면도다.
도 6은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방측 요동 아암을 도시한 종단 배면도다.
도 7은 그레인 탱크와 언로더를 도시한 종단 좌측면도다.
도 8은 제1 판상체를 도시한 좌측면도다.
도 9는 제1 판상체를 도시한 배면도다.
도 10은 전달 기구와 배출 클러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전달 기구와 배출 클러치를 도시한 정면도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의 중간 반송 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작업기의 전체 구성)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농작업기인 자탈형의 콤바인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예취부(3)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또한, 콤바인은 예취부(3)로 예취된 예취 곡물대가 공급되는 탈곡 장치(4)와, 탈곡 장치(4)로부터 이송되는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5)를, 주행 기체(2)의 기체 프레임(7) 위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탑재하고 있다.
그리고 콤바인은,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6)를 그레인 탱크(5)에 구비하고, 또한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있어서 그레인 탱크(5)의 전방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운전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콤바인은 자탈형이지만, 보통형인 것이라도 좋다.
콤바인은 운전부(10)의 하측에 엔진(E)(도 10에 도시함)이 구비되어 있고, 수확 작업 시에는 엔진(E)의 구동력으로 예취부(3)와 탈곡 장치(4)를 구동하는 동시에, 크롤러 주행 장치(1)를 구동해서 주행 기체(2)를 주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콤바인은, 예취부(3)로 곡물대의 밑동을 절단해서 곡물대의 예취를 행하고, 예취 곡물대를 탈곡 장치(4)로 반송해서 탈곡 처리를 행하고, 이 탈곡 처리에 의해 얻게 된 처리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해서 그레인 탱크(5)에 저류하는 작동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운전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0)에는 운전 좌석(11)과, 주행 기체(2)를 조향 가능 및 선회 가능, 또한 예취부(3)를 승강 가능한 조작 레버(12)와, 주변속 레버(13), 부변속 레버(도시하지 않음)와, 배출 레버(15)(도 11에 도시함)가 구비되어 있다.
배출 레버(15)는 요동 조작됨으로써 배출 클러치(C)(도 10 및 도 11에 도시함)를 조작하는 동시에, 그레인 탱크(5)의 저부에 구비되어 있는 후술하는 저(底)반송 컨베이어(61)(도 7 및 도 10에 도시함) 및 언로더(6)에 엔진(E)의 동력을 전달하여, 그레인 탱크(5)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언로더(6)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롤러 주행 장치)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는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우측 크롤러 주행 장치(1)의 설명은 생략하고,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1)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6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2,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1)는 주행 기체(2)의 기체 프레임(7)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전후 한 쌍의 요동 아암(41, 42)과, 전후 한 쌍의 요동 아암(41, 42)에 연결되어 있는 트랙 프레임(32)과, 복수의 하부 회전륜(33)과, 유도륜(34)과, 상부 회전륜(35)과, 구동륜(36)과, 크롤러 벨트(3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의 요동 아암(41, 42)이 요동함으로써 트랙 프레임(3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행 기체(2)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최근방 위치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행 기체(2)에 대하여 가장 이격된 최이격 위치에 걸쳐, 기체 프레임(7)의 기체 전후 방향의 좌측 횡측부(7A)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동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7)의 좌측 횡측부(7A) 중, 전단부의 하부에는 제1 프레임 부재(8A)가 전방 방향으로 연장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 프레임(7)의 전단부측에는, 엔진(E)(도 2 내지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고 있는 미션 케이스(9)(도 3에 도시함)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미션 케이스(9)로부터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1 프레임 부재(8A)의 전단부에 형성된 보스부에 상통되고 있는 차축(9A)(도 3에 도시함)의 선단부에, 구동륜(36)이 지지되어 있다.
즉, 구동륜(36)은 미션 케이스(9) 및 차축(9A)을 거쳐 엔진(E)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기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구동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부 회전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하부 회전륜(33)(청구항 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복수의 회전륜」에 상당)은 기체 전후 방향의 트랙 프레임(32)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기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회전륜(33)은 구동륜(36)보다도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가장 전방의 하부 회전륜(33)은 트랙 프레임(32)의 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회전륜(33)은 6개 지지되어 있지만, 이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도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뒤에 위치하는 하부 회전륜(33)의 기체 후방측, 즉 트랙 프레임(32)의 후단부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바퀴에 권회된 크롤러 벨트(37)의 장력을 조정 가능한 장력 조정용 기구(34A)를 거쳐 유도륜(34)이 기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장력 조정용 기구(34A)를 조작함으로써, 유도륜(34)의 위치가 전후로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회전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7)의 상기 좌측 횡측부(7A) 중, 기체 전후 방향의 후반부에는 제2 프레임 부재(8B)가 하향으로 연장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 부재(8B)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전방부에, 상부 회전륜(35)이 기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크롤러 벨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롤러 벨트(37)는 고무로 된 무단부 띠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크롤러 벨트(37)는 구동륜(36), 모든 하부 회전륜(33), 유도륜(34) 및 상부 회전륜(35)에 걸쳐 팽팽하게 권회되어 있다.
또한, 크롤러 벨트(37)가 권회된 상태에서, 장력 조정용 기구(34A)를 조작해서 유도륜(34)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면, 크롤러 벨트(37)를 긴장 상태 및 느슨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요동 아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요동 아암(41)은 제1 프레임 부재(8A) 중 구동륜(36)보다 기체 후방측에 있어서, 기체 좌우 방향의 횡축 코어(제1 횡축 코어, P1)주위로 기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부재(8A)에 축지지되어 있는 기체 좌우 방향의 제1 샤프트 부재(41B) 중, 기체 외측의 선단부에 기체 전방측 요동 아암(41)은 지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 요동 아암(42)은 제2 프레임 부재(8B) 중 상부 회전륜(35)보다 기체 후방측에 있어서 기체 좌우 방향의 횡축 코어(제2 횡축 코어, P2) 주위로 기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 부재(8B)에 축지지되어 있는 기체 좌우 방향의 제2 샤프트 부재(42B) 중, 기체 외측의 선단부에 기체 후방측 요동 아암(42)은 지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 부재(41B) 및 제2 샤프트 부재(42B)의 기체 내측의 타단부에는 아암 부재인 전방측 및 후방측 서브 아암(43, 44)이 고정되어 있다. 즉, 전방측 및 후방측 서브 아암(43, 44)은 제1 샤프트 부재(41B) 및 제2 샤프트 부재(42B)를 거쳐, 전방측 및 후방측 요동 아암(41, 42)과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요동 아암(41, 42)이 대략 후방 자세인 상태에 있어서, 각 서브 아암(43, 44)은 대략 상향 자세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로드 부재)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조정 가능한 로드 부재(45)의 전후 단부가, 각 서브 아암(43, 44)에 대하여 기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전방측 및 후방측 서브 아암(43, 44)은 로드 부재(4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 장치)
그리고 도 2 내지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2)의 기체 프레임(7)에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유압식의 실린더 장치(46)가 배치되어 있고, 실린더 장치(46)의 피스톤 로드부(46A)가 후방측 서브 아암(44)에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구성에 따르면, 실린더 장치(46)의 피스톤 로드부(46A)를 구동시키면, 로드 부재(45)를 거쳐, 전방측 및 후방측 서브 아암(43, 44)을 동시에 요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전방측 및 후방측 요동 아암(41, 42)을 동시에 요동시킬 수 있다.
(전방측 요동 아암, 링크 부재)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요동 아암(41)의 자유단부는 좌우의 측부를 구비하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이하, 전방측 요동 아암(41)의 두 갈래 형상의 자유단부를 전방 아암용 두 갈래부(41A)라고 칭함].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아암용 두 갈래부(41A)에는 링크 부재(47)가, 기체 좌우 방향의 축심(제3 횡축 코어, P3) 주위로 전후 요동 가능하게 하향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 즉,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47)는 전방 아암용 두 갈래부(41A)에 끼이도록 해서 양팔보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47)의 자유단부는 좌우의 측부를 구비하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이하, 링크 부재(47)의 두 갈래 형상의 자유단부를 링크용 두 갈래부(47A)라고 칭함].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용 두 갈래부(47A)에는 트랙 프레임(32)의 전방부가 기체 좌우 방향의 축심(제4 횡축 코어, P4) 주위로 기체 전후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47)는 링크용 두 갈래부(47A)에서 트랙 프레임(32)을 기체 상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하여, 트랙 프레임(32)의 전방부를 양팔보식으로 지지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47)는 트랙 프레임(32)의 전방부 중, 인접하는 하부 회전륜(33) 사이의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트랙 프레임(32)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부터 두 번째 하부 회전륜(33) 및 세 번째의 하부 회전륜(33) 사이의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트랙 프레임(32)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최근방 위치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최이격 위치와, 최근방 위치 및 최이격 위치 사이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링크 부재(47)는 대략 하향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방측 요동 아암, 지지용 브래킷)
도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 요동 아암(42)의 자유단부는 좌우의 측부를 구비하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이하, 후방측 요동 아암(42)의 두 갈래 형상의 자유단부를 후방 아암용 두 갈래부(42A)라고 칭함].
그리고 도 2 내지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프레임(32)의 후방부에는 좌우의 측부를 구비하는 지지용 브래킷(32A)(특허청구 범위의 청구항 2에 기재된「브래킷 부재」에 상당함)이 기체 상향 자세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그 지지용 브래킷(32A)에는, 요동 아암(42)의 후방 아암용 두 갈래부(42A)가 기체 좌우 방향의 축심(제5 횡축 코어, P5) 주위로 기체 전후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도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 요동 아암(42)은 후방 아암용 두 갈래부(42A)에서 지지용 브래킷(32A)의 좌우의 측부를 상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하여, 지지용 브래킷(32A)[트랙 프레임(32)의 후방부]을 양팔보식으로 지지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용 브래킷(32A)은, 가장 후방측에 위치하는 하부 회전륜(33)의 상방에서 트랙 프레임(32)에 고정되어 있다.
(트랙 프레임의 승강)
상기와 같이 크롤러 주행 장치(1)가 구성됨으로써, 전방측 및 후방측 요동 아암(41, 42), 기체 프레임(7)의 좌측 횡측부(7A), 트랙 프레임(32)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도 2,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장치(46)의 피스톤 로드부(46A)를 구동시켜서 전방측 및 후방측 요동 아암(41, 42)을 동시에 요동시킴으로써, 전방측 및 후방측 요동 아암(41, 42)에 링크 부재(47) 및 지지용 브래킷(32A)을 거쳐 연결되어 있는 트랙 프레임(32)을, 기체 프레임(7)의 좌측 횡측부(7A)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승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장치(46)가 한계까지 단축될 경우, 트랙 프레임(32)은 후퇴하는 동시에, 최근방 위치까지 주행 기체(2)에 대하여 상승된다. 즉, 주행 기체(2)는 상대적으로 내려오게 됨으로써, 크롤러 벨트(32)의 접지면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장치(46)가 한계까지 신장될 경우, 트랙 프레임(32)은 전진하는 동시에, 최이격 위치까지 주행 기체(2)에 대하여 하강된다. 즉, 주행 기체(2)는 상대적으로 올라가게 됨으로써, 크롤러 벨트(32)의 접지면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가 된다.
(작용 효과 등)
상기와 같이 트랙 프레임(32)은, 전후 한 쌍의 요동 아암(41, 42)의 요동에 의해 승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링크 부재(47)는, 트랙 프레임(32)과 전방측 요동 아암(42)을, 전후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들의 것으로부터, 트랙 프레임(32)을 승강시키기 위한 평행 링크 기구의 구성 부품인 전후 한 쌍의 요동 아암(41, 42)의, 제작 오차나 조립 오차 등에 기인하는 뒤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캔슬 링크로서의 효과를, 링크 부재(47)는 발휘한다.
또한, 우측 크롤러 주행 장치(1)도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지면의 요철에 의해 주행 기체(2)가 좌우 방향 중 어느 쪽으로 경사지는 경우가 있어도, 좌측 및 우측 크롤러 주행 장치(1)가 구비하는 트랙 프레임(32)의, 주행 기체(2)에 대한 승강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주행 기체(2)의 우측 및 좌측 지면에 대한 높이를 조정하고, 그에 의해 주행 기체(2)를 좌우 방향에 있어서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다.
(언로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의 저부에는 그레인 탱크(5)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언로더(6)로 송출하는 저반송 스크류(61B)가, 저반송 컨베이어(61)로서 저축 코어(X)와 동일축 코어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로더(6)는 저스크류(61B)로부터 송출되는 곡립을 상방으로 안내하는 엘보 형상의 반출 케이스(62A)와, 반출 케이스(62A)로부터 이송되는 곡립을 상방으로 반송하는 세로 반송 컨베이어(63)와, 세로 반송 컨베이어(63)로부터 이송되는 곡립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중간 반송 컨베이어(64)와, 중간 반송 컨베이어(64)로부터 이송되는 곡립을 반송해서 배출부(66)(도 1에 도시함)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65)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반송 컨베이어(63)는 세로 방향의 통 위의 세로 반송 케이스(63A)의 내부에, 종축 코어(Y)와 동일축 코어 위에 배치되어 있는 세로 반송 스크류(63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출 케이스(62A)의 내부에, 세로 반송 스크류(63B)의 하단부 및 저반송 스크류(61B)의 반출측 단부가 위치되어 있고, 반출 케이스(62A)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1 베벨 기어 기구(G1)에 의해, 세로 반송 스크류(63B)와 저반송 스크류(61B)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저반송 스크류(61B), 상기 세로 반송 스크류(63B), 후술하는 중간 반송 스크류(64B) 및, 후술하는 배출 스크류(65B)의 회전 방향 중, 곡립을 배출측으로 반송하는 회전 방향을 이하에서는 정회전이라 칭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반송 스크류(61B)의 상기 배출측의 단부에는, 저반송 스크류(61B)와 일체적으로 정회전함으로써 곡립을 세로 반송 스크류(63B)를 향해 긁어 올리는 복수의 제1 판상체(61C)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판상체(61C)는 배출측을 향할수록 정회전 방향의 하부측을 향하도록 X축 코어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판상체(61C)가 X축 코어에 대하여 평행하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곡립이 다시 세로 반송 스크류(63B)를 향해 압출되면서 긁어 올릴 수 있게 되므로, 곡립의 반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반송 컨베이어(64)는 양단부가 엘보 형상으로 형성된 중간 반송 케이스(64A)의 내부에 수평축 코어(Z)와 동일축 코어 위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 반송 스크류(64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반송 케이스(64A)의 단부(엘보 형상)의 내부에, 중간 반송 스크류(64B)의 배출측과는 반대측의 단부 및 세로 반송 스크류(63B)의 상단부가 위치되어 있고, 중간 반송 케이스(64A)의 단부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2 베벨 기어 기구(G2)에 의해, 세로 반송 스크류(63B) 및 중간 반송 스크류(64B)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반송 스크류(63B)의 상단부에는 세로 반송 스크류(63B)와 일체적으로 정회전함으로써 곡립을 중간 스크류(64B)를 향해 퍼내는 복수의 제2 판상체(63C)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판상체(63C)는, 배출측을 향할수록 정회전 방향의 하부측을 향하도록 종축 코어(Y)에 대하여 경사지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판상체(63C)가 Y축 코어에 대하여 평행하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곡립이 다시 중간 반송 스크류(64B)를 향해 압출되면서 퍼내지게 되므로, 곡립의 반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컨베이어(65)는 통 위의 배출 케이스(65A)의 내부에, 배출 케이스(65A)의 길이 방향을 따른 W축 코어와 동일축 코어 위에 배치되어 있는 배출 스크류(65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반송 케이스(64A)의 단부(엘보 형상)의 내부에, 배출 스크류(65B)의 배출측과는 반대측의 단부 및 중간 반송 스크류(64B)의 배출측 단부가 위치되어 있고, 중간 반송 케이스(64A)의 단부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3 베벨 기어 기구(G3)에 의해, 배출 스크류(65B) 및 중간 반송 스크류(64B)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반송 스크류(64B)의 배출측 단부에는, 중간 반송 스크류(64B)와 일체적으로 정회전함으로써 곡립을 배출 스크류(65B)를 향해 퍼내는 복수의 제3 판상체(64C)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3 판상체(64C)는, 배출측을 향할수록 정회전 방향의 하부측을 향하도록 수평축 코어(Z)에 대하여 경사지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제3 판상체(64C)가 Z축 코어에 대하여 평행하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곡립이 다시 배출 스크류(65B)를 향해 압출되면서 퍼내지게 되므로, 곡립의 반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연동하는 저반송 스크류(61B), 제1 판상체(61C), 세로 반송 스크류(63B), 제2 판상체(63C), 중간 반송 스크류(64B), 제3 판상체(64C) 및, 배출 스크류(65C)를 거쳐 배출 케이스(65A)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부(66)(도 1에 도시함)까지, 그레인 탱크(5)의 내부에 저축되어 있는 곡립이 반송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달 기구, 배출 클러치)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로더(6)의 구동계는 그레인 탱크(5)의 저반송 컨베이어(61)의 저반송 스크류(61B)에 엔진(E)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구와, 언로더(6)의 구동을 단속 가능하게 하는 배출 클러치(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달 기구의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한 엔진(E)의 출력축(E1)에 구비된 출력 풀리(E2) 및, 엔진(E)의 출력축(E1)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는 기어 박스(71)의 박스용 입력축(71A)에 구비된 박스용 입력 풀리(71B)에 걸쳐, 무단부 벨트로 이루어지는 중간 벨트(72)가 권회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박스(71)에는 박스용 입력축(71A)에 대하여 직교 자세로 구비되어 있는 박스용 출력축(71C)이 구비되어 있고, 기어 박스(71)의 내부에 구비된 박스용 베벨 기어 기구(71E)를 거쳐 박스용 입력축(71A)으로부터 박스용 출력축(71C)으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박스(71)의 박스 출력축(71C)에 구비되어 있는 박스용 출력 풀리(71D)와, 저반송 스크류(61B)의 배출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크류용 입력 풀리(61D)에 걸쳐 무단부 벨트로 이루어지는 배출 벨트(73)가 권회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엔진(E)으로부터의 동력을 저반송 스크류(61B)로 전달하여, 언로더(6)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박스(71)의 박스용 출력 풀리(71D) 및 저반송 스크류(61B)의 스크류용 입력 풀리(61D)는 2단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배출 벨트(73)가 2개 권회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저반송 스크류(61B)의 회전 속도를 바꾸지 않고 저반송 스크류(61B)를 대경화함으로써 필요한 구동 토크가 증대되는 경우라도, 배출 벨트(73)를 2개로 함으로써, 그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출 클러치(C)는 텐션 클러치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0)의 배출 레버(15)를 조작함으로써, 연결 기구(81)를 거쳐 배출 벨트(73)에 대하여 가압한 상태의 가압 자세 및 이격된 상태의 이격 자세로 전환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텐션 풀리(80)에 의해, 배출 클러치(C)는 구성되어 있다.
즉, 텐션 풀리(80)를 가압 자세 및 이격 자세로 함으로써, 배출 벨트(73)를 긴장 상태 및 느슨한 상태로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저반송 스크류(61B) 및 언로더(6)의 동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기체(2)를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크롤러 주행 장치(1)의 전방측 요동 아암(41)에, 요동 링크(47)가 상기 캔슬 링크로서 하향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
한편, 다른 실시 형태로서, 주행 기체(2)를 좌우 방향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에 있어서도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크롤러 주행 장치(1)를 구성하고, 그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요동 링크(47)를 캔슬 링크로서 설치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주행 기체(2)를 좌우 방향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에 있어서도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크롤러 주행 장치(1)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전후 한 쌍의 요동 아암(41, 42)이 동시가 아닌, 독립하여 횡축 코어(P1, P2) 주위로 상하 요동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예를 들어, 로드 부재(45)는 배제하고, 전방측 서브 아암(43)에도 실린더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실린더 장치의 신축에 의해 서브 아암(43)과 일체적으로 전방측 요동 아암(41)을 요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전방측 및 후방측 요동 아암(41, 42)을 독립하여 요동시킴으로써, 트랙 프레임(32)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주행 기체(2)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도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경우, 전후 한 쌍의 요동 아암(41, 42) 중 한쪽에 링크 부재(47)를 하향 자세로 지지하고, 링크 부재(47)의 링크용 두 갈래부(47A)에, 트랙 프레임(32)의 전방부 및 후방부가 대응하는 한쪽을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또는, 상기 구성의 크롤러 주행 장치(1)의 전후 한 쌍의 요동 아암(41, 42)의 양자에 링크 부재(47)를 하향 자세로 지지하고, 각 링크 부재(47)의 링크용 두 갈래부(47A)에 트랙 프레임(32)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2]
본 실시 형태의 언로더(6)의 중간 반송 컨베이어(64)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을 반송하는 중간 반송 스크류(64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반송 스크류(64B)를 배제하고, 제2 베벨 기어 기구(G2) 및 제3 베벨 기어 기구(G3)에 의해, 세로 반송 스크류(63B) 및 배출 스크류(65B)와 수평축 코어(Z) 주위로 연동 회전하는 샤프트 부재(64E)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샤프트 부재(64E)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판상체[판 날개(64F)]에 의해, 반송되는 곡립을 배출 스크류(65B)를 향해 퍼내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의 경우, 판 날개(64F)는 배출측을 향할수록 곡립을 배출측으로 반송하는 경우의 회전 방향(정회전)의 하부측을 향하도록 수평축 코어(Z)에 대하여 경사지게 부착된다.
이에 따르면, 중간 컨베이어(64)에 있어서의 곡립의 반송은, 중간 반송 스크류(64D)가 아닌, 구성이 간이한 판상체인 판 날개(64F)로 행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판상체(61C), 제2 판상체(63C) 및, 제3 판상체(64C)는 X축 코어, Y축 코어 및, Z축 코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X축 코어, Y축 코어 및, Z축 코어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3]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기로서 콤바인을 예시했지만, 본 실시 형태 및 다른 실시 형태의 [1]에 기재된 크롤러 주행 장치(1)의 구성은, 크롤러 주행 장치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 기체를 구비하는 다른 작업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콤바인 등의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 : 크롤러 주행 장치
7 : 기체 프레임
32 : 트랙 프레임
32A : 브래킷 부재(지지용 브래킷)
33 : 회전륜(하부 회전륜)
34 : 유도륜
36 : 구동륜
37 : 크롤러 벨트
41 : 전방측 요동 아암
42 : 후방측 요동 아암
47 : 링크 부재
47A : 링크 부재에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링크용 두 갈래부)
P1 : 제1 횡축 코어
P2 : 제2 횡축 코어
P3 : 제3 횡축 코어
P4 : 제4 횡축 코어
P5 : 제5 횡축 코어

Claims (5)

  1. 구동 회전 가능한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보다도 기체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륜과, 상기 회전륜보다도 기체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유도륜과, 상기 회전륜 및 상기 유도륜이 지지되어 있는 트랙 프레임과, 상기 구동륜, 상기 회전륜 및 상기 유도륜에 걸쳐 팽팽하게 권회되어 있는 크롤러 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트랙 프레임은, 기체 프레임에 제1 횡축 코어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전방측의 요동 아암과, 상기 기체 프레임에 제2 횡축 코어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후방측의 요동 아암에 연결되고,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의 요동 아암이 상기 제1 및 제2 횡축 코어 주위로 상하 요동됨으로써, 상기 트랙 프레임과 함께 상기 회전륜 및 상기 유도륜이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요동 아암의 자유단부에는 링크 부재가 제3 횡축 코어 주위로 전후 요동 가능하게 하향 자세로 지지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트랙 프레임의 전방부가 제4 횡축 코어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후방측의 요동 아암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트랙 프레임이 제5 횡축 코어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횡축 코어와 상기 제2 횡축 코어와 상기 제3 횡축 코어와 상기 제5 횡축 코어 각각이 상기 회전륜의 상단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4 횡축 코어가 상기 회전륜의 회전 중심보다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의 요동 아암이 상승 요동하여 상기 트랙 프레임이 상기 기체 프레임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횡축 코어와 상기 제2 횡축 코어와 상기 제3 횡축 코어와 상기 제5 횡축 코어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프레임의 후방부에는 브래킷 부재가 상향 자세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후방측 요동 아암이 상기 브래킷 부재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에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트랙 프레임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상기 링크 부재가 상기 트랙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프레임에 있어서 인접하는 회전륜 사이의 부분에 상기 링크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프레임에 있어서 인접하는 회전륜 사이의 부분에 상기 링크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
KR1020120097667A 2012-02-22 2012-09-04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 KR101974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36443A JP5836153B2 (ja) 2012-02-22 2012-02-22 作業機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JP-P-2012-036443 2012-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622A KR20130096622A (ko) 2013-08-30
KR101974222B1 true KR101974222B1 (ko) 2019-04-30

Family

ID=4807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667A KR101974222B1 (ko) 2012-02-22 2012-09-04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36153B2 (ko)
KR (1) KR101974222B1 (ko)
CN (1) CN20287963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2490A (zh) * 2013-12-19 2015-04-15 柳州美纳机械有限公司 水稻收割机行走装置
CN104691636B (zh) * 2015-04-01 2016-01-06 湖南农业大学 一种用于履带式农田作业车辆的履带越埂变形装置
CN107628136A (zh) * 2016-07-18 2018-01-26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基于平行四杆悬架机构的履带拖拉机横向调平装置
CN108974163A (zh) * 2018-08-13 2018-12-11 张祝 一种离地高度可调节的减振式履带驱动方法
CN108974158A (zh) * 2018-08-13 2018-12-11 张祝 一种采用电液调节履带底盘水平与升降功能的控制方法
CN108974162A (zh) * 2018-08-13 2018-12-11 张祝 一种离地高度可调节的履带行驶方法
CN110329375B (zh) * 2019-07-04 2024-04-30 中国人民解放军陆军装甲兵学院 履带型摆臂悬挂式行走机构及履带车辆
CN111688831A (zh) * 2020-05-19 2020-09-22 江苏大学 多点升降底盘液压自动调控系统及工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2863A (ja) * 2010-01-15 2011-07-28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156975A (ja) * 2010-02-01 2011-08-18 Kubota Corp クローラ走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671B2 (ja) * 1988-06-28 1995-11-2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走行装置
JPH035692U (ko) * 1989-06-07 1991-01-21
JP3211176B2 (ja) 1993-10-12 2001-09-25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冷却ロールの冷却水循環量制御方法
JP2004276671A (ja) * 2003-03-13 2004-10-07 Kubota Corp 作業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2863A (ja) * 2010-01-15 2011-07-28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156975A (ja) * 2010-02-01 2011-08-18 Kubota Corp クローラ走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36153B2 (ja) 2015-12-24
CN202879636U (zh) 2013-04-17
KR20130096622A (ko) 2013-08-30
JP2013169949A (ja) 201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222B1 (ko) 작업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
KR101506520B1 (ko) 콤바인
KR101641529B1 (ko) 주행차량
JP2019004761A (ja) コンバイン
JP3959101B2 (ja) コンバイン
JP5451431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CN220316649U (zh) 一种用于农业机械的装车结构
CN203261777U (zh) 联合收割机的前处理装置
JP2007006774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送装置
JP4084529B2 (ja) 汎用コンバインのセカンドモア
JP7423503B2 (ja) コンバイン
KR101709779B1 (ko) 콤바인
JP3841745B2 (ja) コンバイン
JP7412324B2 (ja) 収穫機
EP4197311B1 (en) Crop unloader drive with tensioner
JP3997007B2 (ja) コンバインの刈刃駆動機構
JP6527283B1 (ja) 苗箱並べ機
JP7423504B2 (ja) コンバイン
JP2003009637A (ja) コンバインの作業機無段変速機
JP6532400B2 (ja) コンバイン
JP2017112971A (ja) コンバイン
JP2009078771A (ja) 作業機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3794495B2 (ja) コンバイン
JP3821770B2 (ja) コンバイン
JP4453277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