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252B1 - 방사선 촬영장치,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장치,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252B1
KR101958252B1 KR1020160011107A KR20160011107A KR101958252B1 KR 101958252 B1 KR101958252 B1 KR 101958252B1 KR 1020160011107 A KR1020160011107 A KR 1020160011107A KR 20160011107 A KR20160011107 A KR 20160011107A KR 101958252 B1 KR101958252 B1 KR 101958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radiographic
image
radiation ima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324A (ko
Inventor
다이스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58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detection or reduction of artifacts or no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66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0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3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 A61B6/524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combining overlapping images of the same imaging modality, e.g.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removing objects from field of view, e.g. removing patient table from a CT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6T3/009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8Image warping, e.g. rearranging pixels individ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8Image mosaicing, e.g. composing plane images from plane sub-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를 사용하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근거해 지정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취득된 방사선 화상 또는 방사선 화상들을,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근거해 지정된 보정 데이터에 근거해서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방사선 촬영장치,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RADIOGRAPHING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를 사용한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필름 카세트, 컴퓨터 X선 촬영(CR) 방식의 이미징 플레이트, 혹은 디지털 방사선 검출 기 등의 방사선 촬영부를 사용한 촬영 방법의 하나로서, 단일의 방사선 촬영부가 방사선을 검출하는 영역보다도 큰 피사체를 촬영하는 스티치(stitch) 촬영이 있다.
스티치 촬영을 실현하는 방법은, 단일의 방사선 촬영부를 이동시키면서 복수 숏의 방사선을 피사체에 조사하는 방법 외에,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를 배치하고 단일 숏의 방사선을 피사체에 조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들의 어느 하나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방사선 화상을 적절하게 배열하고 스티치 함으로써, 단일의 방사선 촬영부가 방사선을 검출하는 영역보다도 큰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를 사용한 스티치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로부터 취득될 수 있는 방사선 화상에서 일부의 영역이 서로 중복하는 방식으로 방사선 촬영부를 배치하는 경우에, 이 중복 영역에 관련되는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로부터의 방사선 화상에는, 거기에 다른 방사선 촬영부의 구조가 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출현은, 거기에 그 구조가 보이지 않고 방사선 화상을 위해 이용된 보정으로부터 그 구조가 보이는 방사선 화상에 대한 다른 보정의 이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를 사용한 스티치 촬영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 및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근거해 지정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취득된 방사선 화상 또는 방사선 화상들을,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근거해 지정된 보정 데이터에 근거해서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구비하는 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 촬영에 관련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 촬영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 촬영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보정 데이터의 취득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 촬영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2는 화상간의 배치 상태를 변경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3은 화상간의 배치 상태를 변경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다.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예인, 방사선으로서 X선을 사용한 스티치 촬영 시스템을 구비하는 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정보 시스템은, 예를 들면,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방사선 정보 시스템(RIS)(151)과, 워크스테이션(WS)(152)과,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PACS)(153)과, 뷰어(154)와, 프린터(155)를 구비한다. RIS(151)는 방사선 촬영의 오더(order)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방사선 촬영의 오더를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송신한다. 그 WS(152)는 화상처리 단말이며, 방사선 촬영 시스템으로 촬영된 방사선 화상을 처리하여, 진단용 화상을 취득한다. PACS(153)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및 기타의 모달리티(의료용 촬영 시스템 또는 의료용 촬영 장치)로부터 제공된 의료용 화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PACS(153)는 의료용 화상과 이들 의료용 화상에 적용된 화상 촬영 조건 등의 부대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이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관리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한다. 뷰어(154)는, 화상진단용의 단말이며, PACS(153)등에 기억된 화상을 판독하여, 진단을 위해 표시한다. 프린터(155)는, 예를 들면 필름 프린터이며, PACS(153)에 기억된 화상을 필름에 출력한다.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예인 스티치 촬영 시스템은, 방사선 발생부(100)와, 가대(platform)(101)와,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혹은, 카세트A, 카세트B, 카세트C)와, 중계기(103)와, 제어장치(104)와, 표시부 및 조작부를 겸하는 터치패널 모니터(108)를 구비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서로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방사선 발생부(100)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에 대하여 방사선을 방출하여 동시에 조사한다.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에 방사선이 방출되어 조사될 경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는 방사선 화상을 취득하고, 이 복수의 방사선 화상은 중계기(103)를 통해 제어장치(104)에 송신된다.
제어장치(104)는, 예를 들면, 원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인스톨된 전자계산기(Personal Computer(PC))이며, 이 복수의 방사선 화상에 대하여 스티치 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화상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스티치 화상(stitched image)을 생성한다. 또, 제어장치(104)는 이 스티치 화상을 터치패널 모니터(108)에 표시시킨다. 이렇게 하여, 스티치 촬영 시스템은,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에 대하여 방사선을 방출하여 동시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스티치 촬영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장치(104)는 이 스티치 화상과 해당 스티치 화상에 적용된 촬영 조건등의 부대 정보에 근거해서 디지털 의료 영상 전송장치(DICOM) 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4)는 이 DICOM화상을 WS(152) 혹은 PACS(153)에 송신한다.
스티치 촬영의 촬영 오더는, 예를 들면, RIS(151)로부터 제어장치(104)에 송신된다. 이 경우, 제어장치(104)는, RIS(151)로부터는, 스티치 촬영을 나타내는 촬영 정보 식별번호(ID)나, 전체 하지나 전체 척추등의 스티치 촬영에 의해 촬영된 촬영 부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제어장치(104)의 기억부로부터 판독한다. 혹은, 제어장치(104)는, 터치패널 모니터(108)를 통하여 조작 입력으로부터 촬영 부위, 촬영 방법 및 촬영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터치패널 모니터(108)이외에,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조작부를 제어장치(104)에 접속해도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및 102c)는, 연속적인 촬영 영역을 확립하도록 방사선 촬영부 102a가 촬영하는 촬영 영역과 방사선 촬영부 102b가 촬영하는 촬영 영역이 서로 일부 중복하도록 배치된다. 이 배치는, 방사선 촬영부(102b)가 취득한 방사선 화상에는, 소정의 구조물의 외관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대(101)에서는, 순번으로 배치된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및 102c) 중 가운데에 배치된 방사선 촬영부(102)만, 다른 방사선 촬영부(102)보다도 방사선 발생부(10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되고, 촬영 영역이 다른 방사선 촬영부(102)의 촬영 영역과 일부 중복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및 102c)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그 구조물이 나타내는 방사선 화상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조물이 나타내는 방사선 화상은, 별도로 취득되는 구조물 보정용의 보정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어장치(104)나 방사선 촬영부(102)에 의해 보정되어, 방사선 화상(들)에 나타나는 구조물의 수는 감소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방사선 발생부(100)는, 방사선의 조사 범위를 설정하는 조리개와,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방사선원을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부(100a)와, 방사선 조사부(100a)의 방사선의 조사를 제어하는 발생 제어부(100b)를 구비한다. 발생 제어부(100b)에는 한층 더 조사 스위치가 접속되어, 조사 시작 타이밍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 제어부(100b)에 입력한다. 방사선 발생부(100)는,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203)를 더 구비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방사선 발생부(100)와 가대(101)는, 이더넷(등록상표) 케이블 등의 네트워크 케이블(205e)을 거쳐 서로 통신가능하게 접속된다. 제어장치(104)는 가대(101)와 네트워크 케이블(205d)을 거쳐 서로 통신가능하게 접속된다.
가대(101)는, 스티치 촬영을 행하기 위해서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를 고정하는 홀더부다. 일 실시예에서는, 가대(101)는,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를 고정하는 위치가 3군데 있고, 각 고정 위치에는 방사선 촬영부(102)를 수납하는 수납부(201)와, 가대 커넥터(206)를 구비한다. 방사선 촬영부(102)를 수납부(201)에 고정할 때, 가대 커넥터(206)와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가 서로 끼워 맞추도록, 각 커넥터(206)의 위치가 결정된다.
가대(101)는,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를 각각 수납하는 수납부(201a, 201b, 201c)와, 그 수납부(201a, 201b, 201c)의 측벽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와 유선접속하기 위한 가대 커넥터(206a, 206b, 206c)와, 중계기(103)(네트워크 스위치)를 구비한다.
가대 커넥터206a, 206b 및 206c는, 각각, 중계기(103)에 네트워크 케이블205a, 205b, 205c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가대 커넥터206a, 206b 및 206c는, 각각,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와 접속된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방사선 촬영부102b의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b가 가대 커넥터206a에 접속되고, 방사선 촬영부102c의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c가 가대 커넥터206b에 접속되고, 방사선 촬영부102a의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a가 가대 커넥터206c에 접속된다.
중계기(103)는 네트워크 스위치이며, 이 복수의 물리 포트 중 하나는 제어장치(104)에 접속할 수 있게, 가대(101)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이 포트는, 가대(101)와 제어장치(104)를 유저의 사용 환경에 설치할 때에, 제어장치(104)의 통신 포트와 접속되도록, 고정적으로 배선된다. 나머지의 포트는, 카세트 고정 위치의 가대 커넥터(206a, 206b 및 206c)에 접속되도록 배선된다. 이 배선은, 가대(101)가 제조시에 고정적으로 배선되어서, 유저의 사용중에 가대 커넥터(206a, 206b 및 206c)와 중계기(103)간의 대응 관계가 변화되지 않는다.
가대(101)는,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207)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이 구성으로, 가대 커넥터206a, 206b, 206c 각각에는, 네트워크 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의 2계통의 케이블이 접속되게 된다. 전원(207) 대신에, 전원부 202a, 202b, 202c가 수납부201a, 201b, 201c의 각각에 대해서 설치되어도 된다. 이 구성으로, 가대 커넥터(206)와 전원부(202)간에 통신 케이블 및 전원케이블의 2계통 접속이 되고, 전원부(202)와 중계기(103)간에 통신 케이블이 접속되게 된다.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로부터 제공된 방사선 화상은,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a, 107b, 107c), 가대 커넥터(206a, 206b, 206c), 및 중계기(103)를 통해 제어장치(104)에 송신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대(101)는,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 및 가대 커넥터(206) 대신에 TransferJet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하는 방사선 촬영부 접속부 및 가대 접속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혹은, 방사선 촬영부(102)는, 가대 커넥터(206)등을 통해 통신하지 않고, 직접 중계기(103)와 무선통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으로, 방사선 촬영부(102)가 가대(101) 및 중계기(103)와 무선으로 통신하게 되고, 방사선 촬영부(102)와 제어장치(104)간의 통신 경로를 일부 무선화 한다.
중계기(103)는, 가대(101)의 내부에 배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대(101)의 외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 중계기(103)와 방사선 발생부(100)는 무선통신로를 거쳐 서로 접속되어도 되고, 중계기(103)와 제어장치(104)는 무선통신로를 거쳐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스티치 촬영을 실시하기 위해서, 먼저,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는 스티치 촬영용 가대(101)의 각 고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이렇게 장착함으로써, 가대 커넥터(206a, 206b, 206c)와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a, 107b, 107c)가 각각 서로 끼워 맞춰진다. 이렇게 끼워 맞춤으로써, 각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내부의 각각의 주 제어 회로는,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a, 107b, 107c), 가대 커넥터(206a, 206b, 206c) 및 네트워크 케이블(205a, 205b, 205c)을 통하여, 각각, 중계기(103)와 접속된다. 그 결과, 각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와 제어장치(104)를 포함하는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와 중계기(103)는,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a, 107b, 107c)와 가대 커넥터(206a, 206b, 206c)간의 상기 끼워 맞춰진 부착에 의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각 카세트A, B, C와 제어장치(104)가 서로 통신 가능해져서, 제어장치(104)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각 카세트A, B, C와의 제어 통신이 시작된다. 이 제어 통신에 의해, 가대(101)에 각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제어장치(104)의 소프트웨어로부터 인식되고, 또 홀더상의 각 카세트A, B, C의 장착 위치도 인식된다. 위치 인식의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유저가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를 장착하는 조작을 완료하고,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가 정상으로 장착된 것을 상기 소프트웨어가 확인할 수 있으면, 소프트웨어는 제어장치(104)에 접속된 터치패널 모니터(108)에, 준비 완료의 표시를 한다. 유저는 준비 완료의 표시를 확인하고, 촬영을 실시한다. 그 촬영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대(101) 앞에 피검자를 배치하고,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에 걸쳐 있는 광범위의 피사체를, 1회의 방사선으로 조사하여서 촬영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촬영을 실시한 후, 각 카세트A, B, C의 주 제어 회로(150)는, 2차원 촬상 소자(120)의 주사를 행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제어장치(104)에 전송된다. 이 경우, 그 화상 데이터는, 방사선 촬영부(102)에 내장된 유선통신 회로(180)와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 가대 커넥터(206) 등을 통한 통신로를 사용해서 전송되어도 된다. 혹은, 화상 데이터는, 방사선 촬영부(102)에 내장된 무선통신 회로(160)와, 제어장치(104)에 접속된 미도시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전송되어도 된다.
제어장치(104)는, 각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카세트A, B, C의 장착 위치의 인식 정보를 참조해서 재배열하여 연결하여 합성하는 화상처리를 행한다. 합성된 화상은, 광범위의 피사체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치 촬영 화상으로서 유저에게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부(방사선 촬영 장치)(102)의 구성을 설명한다. 방사선 촬영부(102)는, 방사선 센서(110)와, 구동회로(130)와, 판독회로(170)와, 주 제어 회로(150)와, 무선통신 회로(160)와, 유선통신 회로(180)와,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와, 전원회로(190)를 구비한다. 방사선 센서(110)는, 2차원 촬상 소자(120)를 구비한다. 2차원 촬상 소자(120)는, 복수의 화소가 행렬 형으로 배치된 화소 어레이와, 행방향으로 줄을 이룬 화소들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구동회로(130)로부터 내려진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행 선택 선과, 열방향으로 줄을 이룬 화소들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화상신호를 판독회로(170)에 전달하는 열 신호선을 구비한다. 2차원 촬상 소자(120)의 각 화소에는 바이어스 전원(140)이 접속된다. 화소들 각각은 일단이 바이어스 전원(140)에 접속된 광전변환 소자와, 해당 광전변환 소자의 타단과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다.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 전극은 행 선택 선에 접속되고, 콜렉터 및 에미터에, 광전변환 소자와 열 신호선이 접속된다. 2차원 촬상 소자(120)는 해당 촬상 소자(120)에 입사한 방사선의 강도분포를 바탕으로, 화상을 생성한다.
방사선 센서(110)는 이밖에, 복수의 화소를 서로 접속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화상신호를 합성하는 비닝 회로를 구비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스위칭 소자는, 인접하는 종 2화소, 횡 2화소의 4화소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방사선 센서(110)가 화상신호를 디지털화 하기 전에 합성할 수 있다.
구동회로(130)는 구동신호를 출력하여서 스위칭 소자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제어한다. 스위칭 소자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면, 광전변환 소자의 기생 용량 등에 화상신호가 축적된다.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로 제어되면, 그 축적된 화상신호가 열 신호선을 통해 출력된다. 판독회로(170)는 방사선 센서(110)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그 화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대 디지털(A/D)변환기를 구비한다. 그 화상신호는, 이것들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서 판독된다.
구동회로(130)는, 화소 어레이의 각 행에 대응하는 행 선택 선에, 일괄적으로 오프 상태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와, 순차로 온 상태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를 행한다. 그 오프 상태 전압에 의해 방사선 센서(110)는 축적 상태에 이행된다. 순차로 온 상태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에 의해, 화소 어레이의 신호가 순차로 판독회로(170)에 출력된다. 이들의 제어 수순에 의해, 방사선 촬영부(102)는, 방사선 센서(110)가 축적 상태에 이행시키기 전의 화소 어레이의 초기화 동작과, 축적으로부터 취득된 화상신호의 판독 동작이 행해진다.
구동회로(130)는, 2n행, 즉 짝수행에 순차로 온 상태 전압을 인가한 후, 2n-1행, 즉 그 후의 홀수행에 순차로 온 상태 전압을 인가하는 인터레이스 구동을 실행해도 된다. 이러한 구동에 의해, 구동회로(130)는, 화상신호를 선별하면서 그 화상신호의 판독을 실현한다. 그 선별 구동은, 상기한 대로 1행 간격을 두고 그 구동을 실행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2행 혹은 m-1행 간격을 두고 실행하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이렇게 화상신호가 선별되는 비율로 원하는 값이 채용된다. 구동회로(130)는, 화상신호를 선별하는 비율로서 m-1을 설정할 때, mn행, mn+1행, mn+2행, ... 및 mn+(m-1)행에 순차로 온 상태 전압을 인가하는 것처럼, 온 상태 전압을 순차로 인가하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혹은, 구동회로(130)는, 화소 어레이의 중앙부근의 화소들로부터 취득된 화상신호를 그 밖의 화상신호 이전에 출력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화상신호의 부분 판독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화소 어레이가 M행 N열로 구성되면, M/4+1행 내지 3M/4행, N/4+1열 내지 3N/4열의, M/2×N/2의 화상신호를 출력한다. 구동회로(130)에 의해 행해진 상술한 동작은, 주 제어 회로(15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행해진다.
주 제어 회로(150)는 방사선 촬영부(102)를 통합적으로 제어한다. 또, 주 제어 회로(150)는,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156)에 의해 구현된 처리 회로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방사선 화상의 생성, 화상처리를 행한다. FPGA(156)에서는, 디지털 방사선 화상을 취득할 때에, 예를 들면, 인접하는 2×2의 화소값을 합산하는 비닝처리, 부분적으로 화소를 선별하는 선별해서 부분적으로 화소를 추출하는 선별 처리, 또는 연속하는 영역을 추출하는 처리에 의해, 데이터량이 작은 화상을 취득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 FPGA(156)로 행해질 수도 있는 화상처리의 예들은, 방사선 화상의 암전류 성분을 감소하는 다크 보정, 화소의 입/출력 특성의 변동을 보정하는 게인 보정, 결함화소의 보정, 선 노이즈 등의 노이즈를 감소하는 처리가 있다.
무선통신 회로(160) 및 유선통신 회로(180)는, 제어장치(104)와 방사선 발생부(100)로부터의 신호 등의 제어 명령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 회로(160)는 방사선 촬영부(102)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와, 방사선 화상을 송신한다. 무선통신 회로(160)는 안테나를 구비하고, 주로 유선 케이블(205)이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에 접속되지 않을 경우에 무선 통신한다. 유선통신 회로(180)에는 방사선 촬영부 커넥터(107)가 접속되고, 유선통신 회로(180)는 유선통신을 제어한다. 커넥터(107)는 통신과 전력공급을 위해 설치되어 있고, 통신 정보는 유선통신 회로(180)에 송신되고, 전력은 전원회로(190)에 송신된다. 전원회로(190)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방사선 촬영부(102)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생성하여, 각 부에 공급한다. 주 제어 회로(150)는, 무선통신 방식 또는 유선통신 방식 중 어떤 통신방식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지정한다. 예를 들면, 커넥터(107)에 유선 케이블(205)이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유선통신이 지정되고, 유선 케이블(205)이 접속되지 않지만, 무선통신을 통한 접속이 확립되어 있을 경우에는 무선통신이 지정된다. 유선 케이블(205)이 접속되어 있지 않고 무선통신을 통한 접속도 확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어느 쪽의 통신 방식도 지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방사선 화상은, 송신되지 않고, 주 제어 회로(150)에 접속된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다.
통신 방식이 지정된 방사선 화상을 송신할 경우, 주 제어 회로(150)는, 방사선 센서(110)에 의해 취득된 방사선 화상보다도 데이터량이 작은 프리뷰 화상을, 해당 방사선 화상에 선행해서 전송한다. 그리고, 주 제어 회로(150)는, 해당 프리뷰 화상의 송신이 완료한 후, 프리뷰 화상에는 포함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을 송신한다.
이 송신에 의해, 제어장치(104)측이 촬영이 적절했는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프리뷰 화상과 그 프리뷰 화상에는 포함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은, 판독 회로(170)에 의한 화상신호의 판독 및 주 제어 회로(150)에 의한 프리뷰 화상의 생성에 따라 송신되어도 된다. 혹은, 주 제어 회로(150)는, 이들 화상을 제어장치(10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송신하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이렇게, 제어장치(104)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와의 통신을 제어함에 의해,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로부터 동시에 대용량의 데이터 송신으로 인한 영향을 감소시켜서, 효율적인 화상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부(102)가 제어장치(104)에 유선통신을 통해 접속되어 있거나 통신 용량이 충분히 클 경우 등, 일부의 경우에는 그 통신에의 영향이 일어날 가능성이 보다 적을 수 있기 때문에, 주 제어 회로(150)는, 제어장치(104)와 방사선 촬영부(102) 사이의 통신 방식에 따라 화상들을 송신하는 방식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방사선 촬영부(102)의 상태 중 하나는, 무선통신 회로(160) 및 유선통신 회로(180)에만 전력이 공급되고, 바이어스 전원(140)으로부터 2차원 촬상 소자(12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제1 상태(소위, 슬립(sleep) 상태)다. 또한, 방사선 촬영부(102)의 다른 상태는, 바이어스 전원(140)으로부터 2차원 촬상 소자(120)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2 상태다. 제2 상태에서는, 초기화동작이 확정적으로 행해지고, 방사선 촬영부(102)는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축적 상태에 이행하여서 화상의 생성이 가능하다. 방사선 촬영부(102)는, 외부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따라 상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한다.
방사선 발생부(100)에 인터페이스부(203)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방사선 발생부(100)와 방사선 촬영부(102) 사이에서 동기 통신이 행해진다. 조사 스위치의 누름에 응답해서, 인터페이스부(203)는,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각각에 제1 신호를 송신한다. 이 제1 신호에 따라,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각각의 구동회로(130)는 2차원 촬상 소자(120)에 대해 초기화동작을 행하게 하고, 축적 상태에 이행시킨다. 초기화의 완료 및 축적 상태에의 이행시에,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은 제2 신호를 인터페이스부(203)에 송신한다. 인터페이스부(203)는, 특정 스티치 촬영에 사용되는 모든 방사선 촬영부(102)로부터 제2 신호가 수신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인터페이스부(203)가 제2 신호를 그들 모두로부터 수신하였다고 판정하였을 경우에는 발생 제어부(100b)에 대하여 조사 허가 신호를 입력한다. 이것에 따라, 방사선은, 방사선 조사부(100a)로부터 방출되어 조사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부들을 제어하는 것은,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가 축적 상태에 이행하기 전의 방사선 조사가 행해지지 않게 하여서, 불필요한 피폭을 감소할 수 있다.
방사선 발생부(100)에는 인터페이스부(20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방사선 발생부(100)는 조사 스위치의 누름에 응답해서 방사선을 피검자에 조사한다.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은 이 방사선의 조사 시작을 검지하고, 축적 상태에 이행한다.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는, 2차원 촬상 소자(120)에 의해 취득된 신호에 근거해 조사의 시작을 각각 검지하여도 되거나, 방사선 센서(110)와는 별도로 설치된 조사 시작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조사의 시작을 검지하여도 된다.
주 제어 회로(150)는, 동기 통신을 행하는 제1 촬영 모드와, 방사선의 검지를 행하는 제2 촬영 모드 중 어느 모드가 이용되어야 하는지를 외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지정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4)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어장치(104)는, 중앙처리장치(CPU)(401)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402)와, 기억부(403)와, 판독 전용 메모리(ROM)(404)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s)405(405a, 405b)와, 그래픽 처리장치(GPU)(406)와, 범용 직렬버스(USB) 인터페이스(407)와, 통신 인터페이스(I/F)(408)를 구비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내부 버스를 거쳐 서로 통신가능하게 접속된다. CPU(401)는 제어장치(104) 및 이 제어장치(104)에 접속된 각 부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회로이며, 복수의 CPU를 구비하여도 된다. RAM(402)은, 예를 들면, 기억부(403)등에 기억된, 후술하는 도 6에 나타내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각 종 파라미터를 로딩하는데 사용된 메모리다. 해당 RAM(402)에 로딩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을 CPU(401)가 순차로 실행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가 실현된다. 기억부(403)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의 메모리이며, 상술한 프로그램, 촬영에 의해 취득된 스티치 화상 등의 방사선 화상, 촬영 오더, 촬영 정보, 및 이와 아울러 각종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NIC(405)들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의 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4)는, 제1 NIC(405a)와, 제2 NIC(405b)를 구비한다. 제1 NIC(405a)는 원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원내 액세스 포인트(AP)(410)에 접속되고, 제2 NIC(405b)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103)에 접속된다. GPU(406)는 화상처리 유닛이며, CPU(4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화상처리를 행한다. 화상처리의 결과로서 취득된 화상은 터치패널 모니터(108)에 출력되어, 표시된다. USB I/F(407)는 터치패널 모니터(108)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부이며, CPU(401)에 의해 조작 입력으로서 해석된다. 통신I/F(408)는, 예를 들면 권고 표준 232버전 C(RS232C)이나 이더넷(등록상표), USB등의 통신부이며, 선량계(선량 측정장치)(409)와 통신하여 방사선 선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기억부(4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평판 검출기(FPD)(방사선 촬영부) 배치 취득 모듈(431)과, 통신 제어 모듈(432)과, 표시 제어 모듈(433)과, 촬영 제어 모듈(434)과, 스티치 화상 생성 모듈(435)과, 보정 모듈(436)을 구비한다.
FPD배치 취득 모듈(431)은, 1회의 스티치 촬영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그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가 이 순서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나, 방사선 촬영부(102b)가 그들의 가운데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다. 그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면 제2 NIC(405b)에 의해 수신된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통신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와, 기억부(403)에 기억된, 통신 경로와 배치 위치간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대응정보에 근거해서 CPU(401)에 의해 취득된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가대 커넥터(206a, 206b, 206c)가 수납부(201a, 201b, 201c)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통신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배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계기(103)가 층2 네트워크 스위치일 경우에, 중계기(103)는 물리 포트들과 매체 액세스 제어(MAC) 어드레스간의 학습 관계의 동작을 행하고,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와 물리 포트들간의 대응관계는 이 동작을 사용하여 통신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취득된다.
이렇게 하여 취득된 해당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기억부(403)에 기억된다. 혹은, 제2 NIC(405b)는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중계기(103)나 가대(101)는 통신 경로의 정보 등에 근거해서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고 한다.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스티치 화상 생성 모듈(435)의 실행 과정동안 참조되고, 복수의 방사선 화상을 스티치하는 처리에 사용된다. 이 경우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방사선 화상이 방사선 화상 사이의 중복 영역을 포함할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다. 또,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보정 모듈(436)의 실행 과정 동안에, 어느 쪽의 방사선 화상이, 내부에 보이는 구조물을 제거하는 보정처리를 실행할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CPU(401)에 의해 참조된다. 이 경우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중 어느 한쪽의 방사선 촬영부가 내부에 구조물이 보이면서 화상을 출력하는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며, 도 1에 나타내는 촬영계에서는,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중 어느 한쪽의 방사선 촬영부가 중앙에 위치되는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해당한다.
통신 제어 모듈(432)은, 제1 NIC(405a)와 제2 NIC(405b)에 의한 통신을 제어한다. 통신 제어 모듈(432)이 실행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터치패널 모니터(108) 등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라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상태를 제2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신호를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에 송신시킨다. 이 조작 입력은, 예를 들면, 촬영 오더에 포함된 복수의 촬영 조건 중 1개를 선택하는 조작 입력과, CPU(401)가 해당 촬영 조건을 지정하는 것에 따라서, 실시된다. 이러한 조작 입력에 응답하여, 제2 NIC(405b)는, 상태를 천이시키기 위한 신호를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에 송신한다. 그리고, 제2 NIC(405b)는, 이것에 대한 응답신호들을 수신한다.
또한, 통신 제어 모듈(432)이 실행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으로부터 방사선 화상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104)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으로부터는, 우선 데이터량이 작은 프리뷰 화상(제1 화상)을 수신하고, 그 후에 나머지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제2 화상)을 수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장치(104)는,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102)로부터 프리뷰 화상(제1 화상)을 수신할 때에, 다른 방사선 촬영부(102)로부터 제1 또는 제2 화상의 수신을 제한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문에,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은, 제어장치(10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화상의 송신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하고, 제어장치(104)는 예를 들면 모든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로부터의 프리뷰 화상(제1 화상)의 수신이 완료하는 것에 따라서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102)에 대하여 제2 화상의 송신을 지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 제어에 의해,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로부터 동시에 대용량의 데이터가 중계기(103)에 송신되지 않도록 하여서, 통신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방사선 촬영부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시 신호에 응답해서 화상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제2 송신 방식) 이외에, 화상신호의 판독에 응답해서 방사선 화상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제1 송신 방식)도 행할 수 있다. 행해지는 송신 방식은, 예를 들면 제어장치(10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지정된다. 예를 들면, 방사선 촬영부(102)가 유선통신을 행할 경우에는, 제1 송신 방식이 지정되고, 방사선 촬영부(102)가 무선통신을 행할 경우에는, 제2 송신 방식이 지정된다. 이렇게 통신 구성에 따라 송신 방식을 지정할 경우에는, 방사선 촬영부(102)는 외부로부터의 신호에 상관없이 송신 방식을 지정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 제어 모듈(432)을 실행함으로써, CPU(401)는 제1 NIC(405a)를 통하여, 방사선 촬영 혹은 스티치 촬영에 의해 취득된 방사선 화상을 포함하는 DICOM화상 파일을 PACS(153)에 송신시킨다.
일 실시예에서는, 방사선 촬영부(102)의 FPGA(156)에 의해, 방사선 화상에 보이는 구조물의 보정처리가 행해진다. 이 경우, 통신 제어 모듈(432)이 실행되는 과정동안에, CPU(401)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중 상기 구조물을 보정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지시되는 방사선 촬영부를 지정한다. 그 일례로서,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해서 도 1에 나타낸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가운데에 위치된 방사선 촬영부(102b)가 지정된다. 그리고, CPU(401)는, 제2 NIC(405b)에, 방사선 촬영부(102b)에 대하여 구조물의 보정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지시 신호를 송신시킨다.
표시 제어 모듈(433)은 터치패널 모니터(108)에 표시된 표시 화면의 내용을 제어하는 처리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이 처리는, 표시 화면에, 스티치 촬영에 대응한 촬영 조건을 표시시키는 처리와, 생성된 스티치 화상을 표시시키는 처리다. 또한, 이 모듈에 의해, CPU(401)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중 어느 하나가 제1 상태에 있거나,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모두가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CPU(401)는, 이 판정에 따라 터치패널 모니터(108)의 표시를 제어한다. 제2 NIC(405b)는, 방사선 촬영부(102)가,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에 대해서, 방사선 화상의 취득을 위해 준비된 상태가 아닌 제1 상태인지 또는 방사선 화상의 취득을 위해 준비된 상태인 제2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CPU(401)는,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상태에 있거나,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모두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이렇게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각각의 상태를 개별로 나타내는 표시가 아니고, 모든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가 촬영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표시를 제어장치(104)에 대해 표시시켜서, 유저에 스티치 촬영이 실시가능한가 아닌가를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장치(104)는, 모든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가 촬영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표시와 함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각각의 상태를 개별로 나타내는 표시도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에러로 인해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102)가 촬영을 실시할 수 없을 경우에, 이러한 표시에 의해 유저는 쉽게 대책을 취할 수 있다.
촬영 제어 모듈(434)은, CPU(401)에 스티치 촬영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의 실행을 통합적으로 제어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촬영 제어 모듈(434)에 의해, 예를 들면, CPU(401)는, 조작 입력에 따른 촬영 조건을 지정하고, 방사선 촬영부(102)의 각 부의 상태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방사선 화상의 수신을 제어한다.
스티치 화상 생성 모듈(435)은, CPU(401)와 GPU(406)를 사용해서 복수의 방사선 화상으로부터 스티치 화상을 생성한다. 스티치 화상은, 복수의 방사선 화상간의 위치 관계를 정의하는 위치결정 처리에 의해 생성된다. 그 위치결정 처리는, 화상간에 대략적인 배치를 결정하는 대략 조정 처리와, 수 화소의 정밀도 혹은 1화소이하의 정밀도로 화상간의 위치를 조정하는 미세 조정 처리를 포함한다.
대략 조정 처리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해서 개개의 방사선 화상의 단부간에 어느 단부가 서로 대응하는지를 결정하는 처리다. 이 처리는, FPD배치 취득 모듈(431)에 의해 행해진 처리로부터 취득된 배치 정보를 사용해서 행해진다. 미세 조정 처리는, 예를 들면 복수의 방사선 화상간에 중복하는 영역의 화상정보를 사용한 패턴 매칭 처리에 의해 행해진다. 이 처리는, 보정 모듈(436)에 의한 처리 후에 행해져도 된다.
보정 모듈(436)은, CPU(401)와 GPU(406)를 사용해서 센서의 특성에 의한 영향을 보정하는 처리와, 방사선 화상(들)에 보이는 구조물의 수를 감소하는 보정처리를 행한다. 센서의 특성의 보정처리는, 예를 들면, 각 화소의 입/출력 특성의 변동과, 결함화소 등의 영향을 보정하는 처리를 포함하고, 이 처리는 미리 취득된 게인 보정용 데이터와 결함 맵 등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방사선 화상(들)에 보이는 구조물의 수를 감소하는 보정처리는, 구조물의 수를 감소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행해진다. 이 보정 데이터는, 이 방사선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계와 동일한 촬영계를 사용하고 피사체의 존재 없이 촬영해서 취득된 데이터를, 게인 보정용 데이터로 제산 혹은 로그 변환 후에 감산함으로써 취득된다. 이 보정 데이터는, 공장출시시 등에 미리 방사선 촬영부(102)에 기억되어도 되거나, 각 병원에서 스티치 촬영을 행하기 전에 취득되어도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중계기(103)의 기능을 제어장치(104)에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스티치 촬영 시스템은, 제어장치(104)가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와 통신하는 제2 NIC(405b)을 3개 구비하고,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에 접속된 케이블이 직접 제어장치(104)에 접속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을 설명한다. 표시 화면(500)은, 방사선 화상이 표시되는 화상영역(501)과, 피검자의 정보가 표시되는 피검자 영역(502)과, 촬영 정보가 표시되는 촬영 정보영역(503)과, 종료 버튼(504)과,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는 상태영역(507)을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낸 예는, 복수회 스티치 촬영이 실행될 경우에, 이미 한번 스티치 촬영이 실행된 후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화상영역(501)에는 스티치 화상(508)이 표시되어 있다. 피검자영역(502)에는 피검자A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촬영 정보영역(503)에는, 촬영 정보 505로서, 전체 하지인 촬영 부위에 대한 촬영 정보 505a와, 전체 척추인 촬영 부위에 대한 촬영 정보 505b가 표시되어 있다. 촬영 정보 505로서는, 촬영 부위에 대한 정보와, 해당 스티치 촬영에 사용되거나 될 방사선 촬영부(102)의 수가, 나란히 표시되어 있다. 촬영 정보(505a)는 이미 실시된 촬영 정보이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로부터의 방사선 화상의 섬네일이, 방사선 촬영부(102)의 배치 관계에 따른 배치로 배열되면서 표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방사선 촬영부102b로부터의 방사선 화상의 섬네일506b와, 방사선 촬영부102c로부터의 방사선 화상의 섬네일506c와, 방사선 촬영부102a로부터의 방사선 화상의 섬네일506a가 이 순서로 배열되면서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 정보에 근거해서 섬네일이 배치됨으로써, 스티치 촬영이 적절히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유저가 확인하기 쉽다. 한편, 만일 배치 정보에 오류가 있을 경우에는, 섬네일이 적절하게 배치되지 않게 됨으로써, 배치 정보가 적절한가 아닌가를 유저에게 이해하기 쉽게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촬영 정보(505b)는, 아직 실시되지 않은 촬영에 대한 촬영 정보이며, 섬네일 대신에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표시가 표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방사선 촬영부102b에 대응하는 표시("FPD B") 507b와, 방사선 촬영부102c에 대응하는 표시("FPD C") 507c와, 방사선 촬영부102a에 대응하는 표시("FPD A") 507a가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간의 배치 관계에 따른 표시 위치에서 위치되도록 배열되면서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촬영 전에,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가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을 것인가 아닌가를 제어장치(104)의 터치패널 모니터(108)로 유저가 확인할 수 있다. 제어장치(104)는, 상기 표시 507a, 507b, 507c에 의해,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상태를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태영역 507에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는 방사선 촬영부(102)는, 현재 지정되어 있는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방사선 촬영부(102)이여도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치 촬영에 대응한 촬영 조건이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된다. 상태영역 507에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간의 배치 상태에 따른 표시 위치에 해당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 화면(500)에 배열하면서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된 표시 화면으로, 방사선 촬영부102b와 방사선 촬영부102c를 교환하면, 이 교환에 의해, 상태영역(507)에는, 방사선 촬영부102c, 102b, 102a의 각 상태의 순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표시를 표시함으로써,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간의 배치 관계를 유저가 확인하기 쉽다.
종료 버튼(504)은, 표시 화면(500)에 표시된 복수의 촬영 정보에 관한 검사를 종료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해당 검사에 포함된 모든 촬영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동작의 종료 후에 종료 버튼(504)이 눌렸을 경우에는, 해당 검사는 종료된다. 이 경우, CPU(401)는, 해당 검사에 관한 방사선 화상의 DICOM화상 파일을 작성하고, 해당 파일을 제1 NIC(405a)에 의해 PACS(153)에 송신시킨다. 한편, 해당 검사에 포함된 촬영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동작의 종료 전에 종료 버튼(504)이 눌렸을 경우에는, 해당 검사는 보류 상태가 되고, 보류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와 함께 기억부(403)에 기억된다.
제어장치(104)는, 개별의 방사선 촬영부(102)의 상태를 표시 507a, 507b, 507c에 표시시키고, 상태영역(507)에는 스티치 촬영이 실시가능한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표시로서, 촬영의 가부를 명확히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상태영역(507)은,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의 어느 하나라도 제1 상태, 즉 방사선 화상의 취득을 위해 준비된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상태영역(507)의 색을 예를 들면 회색이 되는 방식으로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이것에 더해서 "NOT READY"의 문자를 표시시킨다. 이러한 표시로 스티치 촬영의 금지를 명확히 나타낸다. 한편,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의 모두가 방사선 화상의 취득을 위해 준비된 제2 상태일 경우에는, 상태영역(507)의 색을 예를 들면 녹색으로 하고, 이것에 더해서 "READY"의 문자를 표시시킨다. 이러한 표시로 스티치 촬영의 허가를 명확히 나타낸다. 이렇게,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의 어느 하나가 제1 상태인지,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의 모두가 제2 상태인지에 따라 터치패널 모니터(108)의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촬영의 가부를 명확히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 촬영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특별히 달리 언급이 없으면, 하기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의 주체는 제어장치(104)의 CPU(401)다. 단계S601 내지 S612의 처리의 흐름은, 촬영 제어 모듈(434)에 의해 제어된다.
단계S601에서, CPU(401)는, RIS(151)로부터 입력된 촬영 정보(검사 정보) 중 1개를 검사 대상으로서 설정한다. 이 처리에서, 예를 들면,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된 복수의 검사 정보 중 1개를 유저가 선택하는 조작 입력에 따라, CPU(401)는, 해당 촬영 정보(검사 정보)를 촬영 대상으로서 설정한다. 이때, 예를 들면, CPU(401)는 표시 제어 모듈(433)을 실행하여, 표시 화면(500)을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단계S602에서, CPU(401)는 촬영 정보(검사 정보)에 포함되는 스티치 촬영에 대응한 촬영 조건을 선택하는 조작 입력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때, 촬영 정보(검사 정보)에 복수의 촬영 조건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표시 화면(500)의 촬영 정보영역(503)에 복수의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고, CPU(401)는 유저에 의해 이 중 1개를 선택하는 조작 입력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선택을 위한 조작 입력이 없었을 경우(단계S602에서 NO), 단계S602의 판정 처리가 반복된다. 그 선택을 위한 조작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는(단계S602에서 YES), 다음 처리로 진행된다. 이 처리는, 촬영 정보(검사 정보)에 하나의 촬영 조건만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단계S602의 처리에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단계S603에 진행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단계S603에서, CPU(401)는, 조작 입력에 의해 선택된 스티치 촬영에 대응한 촬영 조건을 지정한다. 그리고, 이 지정에 따라서, CPU(401)는, 제2 NIC(405b)가, 해당 스티치 촬영에 관련된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에 상태를 준비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게 한다. 이것에 응답해서,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각각은, 2차원 촬상 소자(120)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주 제어 회로(150)에 의해 바이어스 전원(140)을 제어하여서 2차원 촬상 소자(120)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그 후,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각각은, 화소에 축적한 암전류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서, 구동회로(130)에 의해 화소 어레이로부터 화상신호를 판독하는 초기화를 실행한다. 초기화의 종료 후,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각각은, 초기화의 완료 후,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 각각이, 방사선 화상의 취득을 위해 준비된 상태인 제2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제어장치(104)에 송신한다.
단계S604에서, CPU(401)는, 스티치 촬영에 사용하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스티치 촬영 시스템이 도 1에 나타낸 것 같은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으로 전제하여 본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CPU(401)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의 통신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중계기(103)로부터 취득한다. 중계기(103)는, 수납부(201a, 201b, 201c)에 각각 설치된 가대 커넥터(206a, 206b, 206c)로부터의 케이블(205a, 205b, 205c)이 접속되는 복수의 물리 포트를 구비한다. 이 중계기(103)는,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로부터의 신호 각각이 어느 쪽의 물리 포트로부터 입력했는지를 특정함으로써, 물리 포트와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간의 대응관계, 즉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의 통신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장치(104)의 CPU(401)는 이 정보를 제2 NIC(405b)로부터 수신한다. CPU(401)는, 이렇게 하여 취득된 통신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이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도 5에 나타낸 표시 화면(500)의 촬영 정보(506b)로 나타낸 것처럼, 해당 촬영 정보(506b)에 대응하는 스티치 촬영에 사용되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표시된다.
단계S605에서, CPU(401)는, 조사 스위치가 눌렸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조사 스위치가 눌렸을 경우에는(단계S605에서 YES), 단계S606의 처리로 진행된다.
조사 스위치가 눌려야 되는가 아닌가는, 예를 들면 표시 화면(500)에 표시된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상태에 근거한 표시를 이용하여 판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지, 또는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모두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지에 따라서 표시 화면(500)의 특정한 영역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것은, 도 5에 나타낸 표시 화면(500)의 설명에서 설명한 대로다.
단계S606에서,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의 구동회로(130)는 피검자에 조사된 방사선을 검출해서 취득된 화상신호를 판독 회로(170)에 의해 판독하여 디지털 방사선 화상을 생성한다.
단계S607에서,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의 유선통신 회로(180) 또는 무선통신 회로(160)는, 생성된 디지털 방사선 화상을 제어장치(104)에 송신한다.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은, 데이터 수가 작은 프리뷰 화상을 송신한 후에, 나머지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을 송신하여서, 촬영으로부터 취득된 방사선 화상의 송신을 완료한다. 이때,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이 유선통신 회로(180)를 거쳐 방사선 화상을 송신할 경우에는,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은, 화상신호의 판독에 응답해서 프리뷰 화상과 나머지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을 순차로 송신하는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이 송신은, 다른 방사선 촬영부와 비동기로 행해진다. 한편,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이 무선통신 회로(160)를 거쳐 화상을 송신할 경우에는,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은, 이 화상 송신이 통신 용량을 짓누르는 문제를 고려하여, 모든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로부터 프리뷰 화상의 송신이 완료할 때까지는, 나머지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의 송신을 제한한다.
단계S608에서, 제어장치(104)의 CPU(401)는, GPU(406)등을 사용해서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로부터 취득된 복수의 방사선 화상에 관해 화상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스티치 화상생성 모듈(435)을 사용한 스티치 화상을 생성하는 처리나, 보정 모듈(436)을 사용한 구조물 화상의 수를 감소하는 처리다. 단계S608의 처리에서는, CPU(401)는, 우선, 복수의 프리뷰 화상으로부터 프리뷰 스티치 화상을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 후에, 이들 프리뷰 화상보다도 데이터량이 큰 복수의 방사선 화상으로부터 스티치 화상을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에는, 단계S604에서 취득된 배치 정보가 이용된다. 구조물 화상의 수를 감소하는 처리는, 배치 정보에 근거해서 지정되는 방사선 화상에 대하여, 배치 정보에 근거해서 지정되는 구조물 화상의 수를 감소하는 처리를 위해 준비된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행해진다.
단계S609에서, CPU(401)는, GPU(406)등에 의해 행해진 처리로부터 취득된 프리뷰 스티치 화상 및 스티치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단계S610에서, CPU(401)는, 미촬영의 촬영 조건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러한 촬영 조건이 있는 경우에는(단계S610에서 YES), 단계S602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리고, CPU(401)는, 새로운 촬영 조건에 근거하는 스티치 촬영을 행한다. 미촬영의 촬영 조건이 없을 경우(단계S610에서 NO), 단계S611에서, CPU(401)는 검사를 종료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401)가 검사를 종료하지 않을 경우에는(단계S611에서 NO), CPU(401)는 미촬영의 촬영 조건의 추가와 검사 종료 지시를 대기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때 검사 종료 버튼(504)이눌린 경우에(단계S611에서 YES), CPU(401)는 검사를 종료한다. 단계S612에서, CPU(401)는, 제1 NIC(405a)에 의해 스티치 화상의 DICOM화상 파일을 PACS(153)에 출력시킨다. 이 출력에 의해, 스티치 촬영을 포함하는 검사가 종료된다.
상술한 예에서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은 단일의 검사시에 복수회 스티치 촬영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렇지만, 그것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의 검사시에 스티치 촬영과 다른 촬영 방법을 사용하여 촬영과 함께 스티치 촬영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렇게, 스티치 촬영이 가능한 촬영 시스템의 경우, 스티치 촬영을 행할 때, 제어장치(104)는, 촬영 조건의 지정에 따라서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통상의 촬영 등 단일의 방사선 촬영부(102)에 의한 촬영을 행할 경우에는, 제어장치(104)는, 촬영 조건의 지정에 따라서 이 단일의 방사선 촬영부(102)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스티치 촬영을 행할 경우에, 제어장치(104)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어느 하나가 제1 상태에 있는지 또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모두가 제2 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표시를 제어한다. 단일의 방사선 촬영부(102)를 사용하는 촬영을 행하는 경우에, 제어장치(104)는, 해당 단일의 방사선 촬영부(102)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킨다.
또한, 스티치 촬영을 행할 경우에는, 제어장치(104)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취득한다. 이 배치 정보에 근거해서 지정된 방사선 촬영부(들) 102의 적어도 1개로부터 취득된 방사선 화상(들)이, 배치 정보에 근거해 지정되는 보정 데이터에 근거해서 보정된다.
또한, 스티치 촬영을 행할 때, 화상 송신이 통신 용량을 짓누르는 문제를 고려해서 다른 방사선 촬영부(102)의 통신에 따라서 화상의 송신을 제한하도록 제어가 행해진다. 한편, 단일의 방사선 촬영부(102)를 사용하는 촬영시에, 이 경우에 될 수 있는 한 조기에 화상을 송신하는 것이 우선되기 때문에, 프리뷰 화상의 송신이 종료하는 것에 따라서 나머지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이 송신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4)에 구비된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장치(104)는, 촬영 제어부(701), 보정 데이터 지정부(702), 생성부(703), 보정 데이터 취득부(704), 및 배치 취득부(705)를 구비한다. 이것들 각 부는, 하드웨어 회로로 구현되어도 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하드웨어와의 협동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각 부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실현되는 경우, 촬영 제어부(701)는 촬영 제어 모듈(434)에, 보정 데이터 지정부(702)는 보정 모듈(436)에, 생성부(703)는 스티치 화상 생성 모듈(435)에, 보정 데이터 배치 취득부(705)는 FPD배치 취득 모듈(431)에, 각각 대응한다. 이하, 보정 데이터 취득부(704)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그 동작 관점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보정 데이터 지정부(702)는, 구조물 보정에 사용하는 보정 데이터를 지정하는 기능에 대응한다.
상기 각 부가 하드웨어 회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이것들 소프트웨어 모듈 각각을 FPGA의 컨피규레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FPGA에 의해 실현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스티치 촬영에 사용하는 방사선 촬영부(102) 사이 또는 간의 배치 상태의 예들을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예는, 2개의 방사선 촬영부(102)를 사용한 스티치 촬영을 행하는 예다. 이 예는, 예를 들면 도 1의 가대(101)의 수납부 201a 및 수납부 201b 각각에 방사선 촬영부 102a 및 102b가 수납되지만, 수납부 201c에는 방사선 촬영부(102)가 수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 대응한다. 이 경우, 방사선 촬영부102b로부터의 방사선 화상의 상단에 방사선 촬영부102a의 하단의 구조물이 보이지만, 도 1의 예와는 달리, 방사선 촬영부102b로부터의 방사선 화상의 하단에는 구조물이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조사를 위해 방사선 발생부(100)로부터 방출된 방사선은, 방사선 촬영부102a 및 102b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에 도달한다. 방사선 발생부(100)의 초점은, 방사선 촬영부102a와 102b의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서 연장되면서 그 검출 영역에 대해 법선인 선 위에 배치된다.
도 9에 나타낸 예는, 도 8과 마찬가지로, 2개의 방사선 촬영부(102)를 사용한 스티치 촬영을 행하는 예다. 이 예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가대(101)의 수납부 201b 및 수납부 201c에 각각 방사선 촬영부102b 및 102c가 수납되지만, 수납부 201a에는 방사선 촬영부(102)가 수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 대응한다. 이 경우, 방사선 촬영부102b로부터의 방사선 화상의 하단에 방사선 촬영부102c의 상단의 구조물이 보이지만, 도 1의 예와는 달리 방사선 촬영부102b로부터의 방사선 화상의 상단에는 구조물이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조사를 위해 방사선 발생부(100)로부터 방출된 방사선은 방사선 촬영부102b 및 102c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에 도달한다. 방사선 발생부(100)의 초점은, 방사선 촬영부102b 및 102c의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서 연장되면서 그 검출 영역에 대해 법선인 선 위에 배치된다.
이것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예들과 비교하여, 도 1에 나타낸 예는, 3개의 방사선 촬영부(102)를 사용한 스티치 촬영을 행하는 예다. 가대(101)의 수납부 201a, 201b 및 201c에는, 각각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및 102c가 수납된다. 이 경우, 방사선 촬영부102b로부터의 방사선 화상의 상단에는 방사선 촬영부102a의 하단의 구조물이 보이고, 방사선 촬영부102b로부터의 방사선 화상의 하단에는 방사선 촬영부102c의 상단의 구조물이 보인다. 그리고, 조사를 위해 방사선 발생부(100)로부터 방출된 방사선은,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및 102c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에 도달한다. 방사선 발생부(100)의 초점은,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및 102c의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서 연장되면서 검출 영역에 대해 법선인 선 위에 배치된다. 달리 말하면, 방사선 발생부(100)의 초점은, 방사선 촬영부102b의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서 연장되면서 검출 영역에 대해 법선인 선 위에 배치된다.
이것들 도 1,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예들에서, 방사선 촬영부(102)와 그 방사선 발생부(100)의 초점과의 배치 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방사선 촬영부(102b)로부터 취득된 방사선 화상에서 구조물 화상이 서로 다르게 된다. 이렇게, 촬영 시스템의 배치 관계에 따라 구조물 화상이 보이는 방법이 달라지므로, 촬영 시스템의 배치마다 구조물 화상을 감소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보유한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시스템의 배치 관계의 차이는, 예를 들어, 이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으면 구조물 화상을 변형하여서 대응 가능한 경우도 있어서, 반드시 촬영 시스템의 배치마다 보정 데이터를 보유할 필요는 없다.
도 10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조물 화상의 수를 감소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이 처리는, 각 방사선 촬영부 102a, 102b, 102c에 대해 행해진다.
단계S1001에서, 촬영 제어부(701)는 촬영 준비를 행한다. 이 처리에서는, 촬영 제어부(701)는, 제2 NIC(405b)에 의해,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 102a, 102b, 102c 각각에 대하여 방사선 촬영을 위해 준비된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해 방사선 촬영부 102a, 102b, 102c 각각에 대하여 지시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시킨다.
단계S1002에서, 방사선 발생부(100)는, 조사 스위치를 누름에 따라서 방사선을 방출하고,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 102a, 102b, 102c는 방사선을 검출하고 방사선 화상신호들을 취득한다. 이때, 소정의 구조물이 방사선 촬영부 102a, 102b, 102c로부터 방사선 화상에 보이지 않도록 이들 방사선 촬영부 102a, 102b, 102c를 배치한 방사선 촬영부 102a, 102b, 102c에 대략 균일한 방사선을 방출하는 것에 의해, 방사선 화상을 취득한다. 이때 취득된 화상은, 소위 화이트 화상이다.
단계S1003에서, 제어장치(104)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 102a, 102b, 102c로부터 방사선 화상을 취득하고, 이들 화상을 예를 들면 터치패널 모니터(108)에 표시시킨다.
단계S1004에서, 보정 데이터 취득부(704)는, 역수를 산출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서 방사선 센서(110)의 각 화소의 입/출력 특성의 변동을 나타내는 제1 보정 데이터인 게인 데이터를 이들 화이트 화상으로부터 취득한다.
단계S1005에서, 그 밖의 방사선 촬영부(102)를 이 보정 데이터의 취득에 이 방사선 촬영부(102)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 관계에 따라 위치되도록 배치한다. 본 예에서, 방사선 촬영부(102)는, 이 보정 데이터를 취득하는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102)와 이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102)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 발생부(100)와의 사이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들)(102)가 이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102)와 일부 중복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도 8 및 도 9의 임의의 도면에 나타낸 배치 관계, 즉 스티치 촬영을 실시할 때의 배치 관계에 따라, 촬영 시스템을 구성한다.
단계S1006에서, 방사선 발생부(100)는, 상술한 배치 관계에 따라 구성된 촬영 시스템에서, 피검체를 방사선 발생부(100)와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와의 사이에 배치하지 않고 방사선을 방출한다.
단계S1007에서, 제어장치(104)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로부터 방사선 화상을 취득하고, 이들 화상을 예를 들면 터치패널 모니터(108)에 표시시킨다.
단계S1008에서, 보정 데이터 취득부(704)는, 단계S1007에서 취득된 복수의 방사선 화상과, 게인 데이터로부터, 제2 보정 데이터인, 방사선 화상으로부터 구조물 화상의 수를 감소하기 위한 구조물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처리에서, 보정 데이터 취득부(704)는, 단계S1007에서 취득된 복수의 방사선 화상으로부터, 예를 들면 역수를 산출하는 등의 처리에 의해 방사선 센서(110)의 각 화소의 입/출력 특성의 변동을 나타내는 그 밖의 게인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렇지만, 이 그 밖의 게인 데이터는, 거기에 보이는 구조물 화상에 근거하는 화상으로 취득된다. 따라서, 그 밖의 게인 데이터를, 단계S1004에서 취득된 게인 데이터로 제산하여서, 그 구조물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구조물 화상의 수를 감소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가 취득된다.
단계S1009에서, 제어장치(104)는, 이들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와, 현재 대상 방사선 촬영부(102)를 관련되게 만든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04)는,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의 파일의 각각에 이 방사선 촬영부(102)의 식별 정보를 부대 정보로서 부가한다. 또는, 제어장치(104)는, 이들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방사선 촬영부(102)에 의해 내부에 기억시키는 것으로 한다.
제1 보정 데이터는 방사선 화상의 게인 보정에 사용되고, 제2 보정 데이터는 구조물 화상의 수를 감소하기 위한 처리에 사용될 것이다.
단계S1005로부터 단계S1008까지의 처리는, 도 1,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예들 등의, 이용되는 것이 가능하거나 이용되는 것이 예상되는 촬영 시스템의 배치마다 행해진다.
도 1,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배치는, 그들 각각에 대한 구조 데이터의 취득과, 합성 화상을 생성할 경우에 중복 부분의 보정을, 필요로 한다. 구조 데이터의 취득 자체는 단계S1001∼S1004에 의해 나타낸 것과 같은 통상의 촬영과 같지만, 이 처리는 도 1,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상태에서 촬영이 실시된 상태와 상기 보정 데이터를 관련지우는 단계S1009의 실행을 포함한다.
도 11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스티치 촬영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S1101에서, 제어장치(104)는, 선택한 프로토콜이 스티치 촬영인지를 판정한다. 선택한 프로토콜이 스티치 촬영이면(단계S1101에서 스티치 촬영), 단계S1102에서, 제어장치(104)는, 촬영에 사용하는 센서를 촬영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게 제어한다. 이후의 단계S1103 및 S1104는 통상의 촬영과 같다. 단계S1105에서, 보정 데이터 지정부(702)는, 상기 프로토콜로부터 스티치 촬영으로 촬영된 화상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사전에 취득하고, 도 1,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취득된 구조 데이터를 선택한다. 단계S1106에서, 상기 생성부(703)는, 취득된 구조 데이터를 사용해서 중복 부분이 보이는 부분의 화상을 보정하여, 스티치 화상을 생성한다.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화상간의 배치를 변경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4는 터치패널 모니터(108)에 표시된 표시 화면(500)의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장치(104)가 촬영 후에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에 의거해 배치 정보를 다시 취득함으로써, 배치 정보를 변경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은, 예를 들면, 롱 스케일 가대(101)에 배치된 방사선 촬영부(102a, 102b, 102c)의 배치 위치를 잘못했을 경우나, 촬영하는 프로토콜의 선택을 잘못했을 경우에 유용하다.
이 경우에, 롱 스케일 섬네일 영역(1001)에는 부정확한 배치에 따라 합성된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스티치 화상(1003)의 표시도 같다. 유저는, 섬네일 영역 1002a, 1002b 및 1002c의 임의의 영역에 축소 표시된 방사선 화상을 임의의 위치에 드래그 앤 드롭함으로써, 배치 순서를 결정한다. 이 조작은, 드래그 조작이 이동하는 시작점에 위치된 섬네일 영역에 대응하는 방사선 화상의 위치와, 드래그 조작이 이동하는 목적지에 위치된 섬네일 영역에 대응하는 방사선 화상의 위치를 교환한다. 이 처리에 의해서, 배치 취득부(705)가 취득한 배치 정보가 변경되게 된다.
이러한 변경에 따라, 단계S1201에서, 제어장치(104)는, 방사선 촬영부(102)가 촬영한 화상의 수에 따른 구조 데이터를 사용해서, 구조 데이터를 보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단계S1202에서, 제어장치(104)는, 합성 화상을 생성한다.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치 취득부(705) 및 그 처리를 설명한다. 도 13은 화상간의 배치를 변경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5는 터치패널 모니터(108)에 표시된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단계S1301에서, CPU(401)는 재배치를 위한 후보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일람 표시(1501)에 의해 표시시켜도 되고, 그들 중에서 유저가 재배치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일람 표시(1501)에는, 방사선 화상간의 배치 상태에 관한 복수의 후보가 표시된다. 도 15에 나타낸 예에서는, 후보 1501a, 1501b, 1501c, 1501d, 1501e, 1501f의 6개의 후보가 표시된다. 후보 1501a 내지 1501f의 각각은, 방사선 촬영부 102a, 102b 및 102c로부터의 방사선 화상의 섬네일이 이 후보에 관련되는 배치 상태에 따른 배치로 배치되어 있다. 이 후보 1501a 내지 1501f의 표시에 의해, 유저는 그 섬네일로부터 배치 상태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배치 상태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사 등의 유저에 있어서는 일목요연할 경우가 많다고 생각되므로, 이 표시에 의해 배치 상태를 보다 변경하기 쉽다. 또한, 이 표시에 의해,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은 드래그 앤 드롭 조작을 행하지 않고, 유저는 그냥 원 클릭, 즉 한 번의 조작으로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조작 입력을 효율화할 수 있다. 특히, 터치패널 모니터(108)를 사용할 경우에는, 드래그 앤 드롭 등의 조작보다도 클릭 조작쪽이 훨씬 행하기 쉬우므로, 이 표시는 그 관점에서도 편리하다. 이 구성에 의해, 유저가 후보 1501a 내지 1501f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상술한 조작 입력에 따라, 배치 취득부(705)에서 취득된 배치 정보에 관련되는 배치로부터 선택에 관련되는 후보에 대응한 배치로 변경되게 된다.
상술한 것처럼, 유저가 화상간의 배치를 선택한 후 이후의 단계를 행한다. 단계S1302에서, 제어장치(104)는, 방사선 촬영부(102)에 의해 촬영된 화상의 수에 대응한 구조 데이터를 선택하고, 그 구조 데이터를 보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 후, 제어장치(104)는, 합성 화상을 생성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방사선 촬영부 102a, 102b 및 102c 각각은, 상기 촬영으로부터 취득된 방사선 화상보다도 데이터량이 작은 프리뷰 화상을 송신한 후에, 나머지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전체 화상 또는 제2 내지 제4 축소 화상)을 송신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방사선 촬영부 102a, 102b 및 102c 각각은, 프리뷰 화상을 생성하지 않고 방사선 화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의 제어장치(104)는, 단일의 장치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해당 촬영 제어장치(104)의 기능이 실현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정보처리장치는 각각 통신 회로를 구비하고, 해당 통신 회로에 의해 서로 통신가능하다. 복수의 정보처리장치 중 하나는, 스티치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처리부로서 기능하고, 또한 다른 장치는 제어부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복수의 정보처리장치는, 단지 소정의 통신 레이트로 통신가능하기만 하면 되고, 동일한 병원시설내 혹은 동일한 나라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이 제어 시스템도, 예를 들면 화상처리부로서 복수의 제어 시스템간에 공유된 서버 장치 또는 서버 군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을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가 이 공급된 프로그램의 코드를 판독해서 실행하는 실시예도 포함한다.
따라서, 그 실시예에 따른 처리를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해서, 해당 컴퓨터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지령에 근거하여,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운영쳬계(OS)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를 임의로 조합하여 구성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7)

  1. 서로 중복되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를 사용하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취득된 방사선 화상 또는 방사선 화상들로부터 상기 중복된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의 구조물 화상을 감소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 및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근거해 지정 완료된, 상기 방사선 화상 또는 방사선 화상들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고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근거해 지정된 보정 데이터에 근거해서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하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구조물이 상기 방사선 화상(들)에 보이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를 배치한 상태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방사선을 방출하여서 취득된 제1 데이터와, 상기 소정의 구조물이 상기 방사선 화상(들)에 보이도록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를 배치한 상태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방사선을 방출하여서 취득된 제2 데이터에 근거해서, 상기 보정 데이터를 취득하는 보정 데이터 취득부를 더 구비하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촬영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간의 상기 배치 관계에 대응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보정부에 의해 상기 방사선 화상(들)을 상기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보정할 것인가 아닌가를 제어하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에 포함된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와 다른 방사선 촬영부가, 상기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와, 조사를 위해 이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에 방사선을 방출하기 위한 방사선 발생부와의 사이에, 상기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와 일부 중복하게 그 밖의 방사선 촬영부가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이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로부터 취득된 방사선 화상을 보정하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에 포함된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와 다른 방사선 촬영부가, 상기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와, 조사를 위해 이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에 상기 방사선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방사선 발생부와의 사이에, 상기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와 일부 중복하게 그 밖의 방사선 촬영부가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상기 그 밖의 방사선 촬영부로부터 취득된 방사선 화상을 보정하지 않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에 포함된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와 다른 방사선 촬영부가, 상기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와, 조사를 위해 이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에 상기 방사선을 방출하기 위한 방사선 발생부와의 사이에, 그 밖의 방사선 촬영부가 위치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상기 방사선 화상을 보정하지 않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를 촬영을 위해 배치하는 복수의 수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특정의 수납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 중 하나의 방사선 촬영부로부터 취득된 방사선 화상을, 상기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보정하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납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로서의 제1, 제2 및 제3 방사선 촬영부를 이 순서로 배치하도록 수납하고,
    상기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는, 상기 제2 방사선 촬영부와, 조사를 위해 방사선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방사선 발생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3 방사선 촬영부가, 상기 제2 방사선 촬영부와 일부 중복하도록 배치되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의 통신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통신 경로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근거해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를 취득하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부는, 유저가 입력한 조작 입력이나 상기 복수의 방사선 화상간의 중복 영역에 근거해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간의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를 취득하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
  11. 서로 중복되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를 사용하는 스티치 촬영의 제어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간의 배치 관계에 대응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취득된 방사선 화상 또는 방사선 화상들로부터 상기 중복된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의 구조물 화상을 감소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
    상기 배치 관계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지정부; 및
    지정된 이것 또는 이것들의 방사선 촬영부(들)에 있어서의 보정처리의 선택에 사용 가능한 특정의 정보를, 상기 지정된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제어장치.
  12. 서로 중복되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에 의해 실시된 스티치 촬영에 사용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로서,
    방사선을 검출하여서 방사선 화상을 취득하는 방사선 센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
    상기 중복된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의 구조물 화상을 감소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 및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근거해 지정 완료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취득된 상기 방사선 화상 또는 방사선 화상들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고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근거해 지정된 보정 데이터에 근거해서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3. 서로 중복되는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를 사용하는 스티치 촬영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취득된 방사선 화상 또는 방사선 화상들로부터 상기 중복된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의 구조물 화상을 감소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근거해 지정 완료된, 상기 방사선 화상 또는 방사선 화상들을, 상기 기억하는 단계에서 기억되고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근거해 지정된 보정 데이터에 근거해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를 사용하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가 부분적으로 서로 중복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에 방사선을 방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스티치 화상에 나타나는 방사선 촬영부의 구조물 화상을 감소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 및
    상기 보정 데이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방사선 촬영부가 부분적으로 중복하는 중복 영역의 스티치 화상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스티치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하는, 스티치 촬영 시스템.
KR1020160011107A 2015-01-30 2016-01-29 방사선 촬영장치,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1958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7884A JP6072096B2 (ja) 2015-01-30 2015-01-30 放射線撮影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5-017884 2015-01-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166A Division KR20190026728A (ko) 2015-01-30 2019-03-07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324A KR20160094324A (ko) 2016-08-09
KR101958252B1 true KR101958252B1 (ko) 2019-03-14

Family

ID=553048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107A KR101958252B1 (ko) 2015-01-30 2016-01-29 방사선 촬영장치,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190026166A KR20190026728A (ko) 2015-01-30 2019-03-07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166A KR20190026728A (ko) 2015-01-30 2019-03-07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20524B2 (ko)
EP (1) EP3050511B1 (ko)
JP (1) JP6072096B2 (ko)
KR (2) KR101958252B1 (ko)
CN (2) CN1058528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1680B2 (ja) * 2015-04-07 2018-11-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DE102016205176A1 (de) * 2016-03-30 2017-10-05 Siemens Healthcar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stellung einer Röntgenpanoramaaufnahme
JP7091047B2 (ja) 2017-10-06 202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影方法
JP7026513B2 (ja) * 2018-01-18 2022-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像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撮像装置
JP7050518B2 (ja) * 2018-02-15 2022-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9146679A (ja) * 2018-02-26 2019-09-05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撮影装置
CN112638257A (zh) * 2018-09-19 2021-04-09 深圳帧观德芯科技有限公司 成像方法
JP7271209B2 (ja) * 2019-02-06 2023-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像装置、放射線撮像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11253212B2 (en) * 2020-01-07 2022-02-22 General Electric Company Tileable X-ray detector cassettes
JP2021195698A (ja) * 2020-06-18 2021-12-2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機及び不良検出システム
JP2022092758A (ja) * 2020-12-11 2022-06-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EP4326153A1 (en) * 2021-04-23 2024-02-28 Shenzhen Xpectvision Technology Co., Ltd. Imaging methods using an image sensor with multiple radiation detecto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607A (ja) * 1999-03-29 2000-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X線撮影装置
JP2010259688A (ja) * 2009-05-11 2010-11-18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1004856A (ja) * 2009-06-24 2011-01-13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1227047A (ja) * 2010-03-29 2011-11-10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3226243A (ja) * 2012-04-25 2013-11-07 Konica Minolta Inc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3056A (en) * 1990-02-02 1992-06-16 Siemens Medical Systems, Inc. Whole-leg x-ray image processing and display techniques
JPH07220056A (ja) * 1993-11-26 1995-08-18 Philips Electron Nv 画像合成方法及び同方法を遂行する画像装置
DE69738162T2 (de) * 1996-08-21 2008-06-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Zusammensetzung eines bildes aus teilbildern
US5986279A (en) * 1997-03-21 1999-11-16 Agfa-Gevaert Method of recording and reading a radiation image of an elongate body
JP3459745B2 (ja) * 1997-03-27 2003-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放射線撮影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6273606B1 (en) * 1997-12-01 2001-08-14 Agfa-Gevaert Method and assembly for recording a radiation image of an elongate body
DE69733689T2 (de) * 1997-12-01 2006-05-18 Agfa-Geva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zeichnung eines Strahlungsbildes von einem länglichen Körper
DE69833128T2 (de) * 1997-12-10 2006-08-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ildung eines zusammengesetzten bildes aus aufeinanderfolgenden röntgenbildern
JP4076684B2 (ja) * 1998-12-15 2008-04-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合成システム
US7558438B1 (en) 1998-12-15 2009-07-07 Fujifilm Corporation System for synthesizing divisional images based on information indicating relationship between a series of divisional images
WO2000049572A1 (en) * 1999-02-18 2000-08-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age process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overview image of an elongated scene
JP2000258861A (ja) * 1999-03-08 2000-09-22 Fuji Photo Film Co Ltd 蓄積性蛍光体シート及びこれを収容するカセッテ
US6542575B1 (en) * 1999-08-31 2003-04-01 General Electric Company Correc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gital x-ray imaging
US6463121B1 (en) * 1999-10-13 2002-10-08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ractive x-ray position and exposure control using image data as reference information
DE60106439T2 (de) * 2000-06-02 2006-02-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anordnung zur mischung von bildern
US6459094B1 (en) * 2000-12-20 2002-10-01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stitching partial radiation images to reconstruct a full image
US20020081010A1 (en) * 2000-12-21 2002-06-27 Chang Yun C.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full spine and full leg images using flat panel digital radiography
JP4708559B2 (ja) * 2000-12-28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撮影方法、及び記憶媒体
JP3658324B2 (ja) 2001-01-12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US6895106B2 (en) * 2001-09-11 2005-05-1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stitching partial radiation images to reconstruct a full image
US6744062B2 (en) * 2001-09-11 2004-06-01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radiographically imaging elongated objects
DE10244609A1 (de) * 2002-09-25 2004-04-15 Siemens Ag Bestrahlungsbildaufnahmeeinrichtung
US6793390B2 (en) * 2002-10-10 2004-09-21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automatic arrangement determination of partial radiation images for reconstructing a stitched full image
US7247858B2 (en) * 2003-04-10 2007-07-24 Agfa Healthcare, N.V. Method for creating a contiguous image using multiple X-ray imagers
US6895076B2 (en) * 2003-06-03 2005-05-17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e image acquisition on a digital detector
JP2005257634A (ja) 2004-03-15 2005-09-22 Fuji Photo Film Co Ltd 蓄積性蛍光体パネル、カセッテ及び画像読取装置
DE102004015540B4 (de) * 2004-03-30 2006-12-28 Siemens Ag Strahlungsbildaufnahmeeinrichtung
CN100505842C (zh) * 2004-08-06 2009-06-24 佳能株式会社 摄像装置、摄像系统以及摄像方法
JP2006280576A (ja) * 2005-03-31 2006-10-19 Fuji Photo Film Co Ltd 放射線撮影装置
US7522701B2 (en) * 2005-12-20 2009-04-2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mage composition using position sensors
EP2083694A4 (en) * 2006-11-09 2010-03-10 Canon Kk X-RAY DISPLAY CONTROL UNIT WITH MULTI-RADIATION PRODUCING DEVICE
US7555100B2 (en) * 2006-12-20 2009-06-30 Carestream Health, Inc. Long length imaging using digital radiography
CN101677796B (zh) * 2007-07-11 2011-06-08 株式会社岛津制作所 放射线摄像装置
CN101674775B (zh) * 2007-08-13 2011-08-17 株式会社岛津制作所 放射线摄像装置
JP5027714B2 (ja) * 2008-03-31 2012-09-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X線画像撮影装置及び方法
JP5483832B2 (ja) * 2008-06-10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10017376A (ja) * 2008-07-11 2010-01-28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2010029288A (ja) * 2008-07-25 2010-02-12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2010094209A (ja) * 2008-10-15 2010-04-30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撮影装置
WO2010050032A1 (ja) * 2008-10-30 2010-05-0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放射線撮影装置
JP5590820B2 (ja) * 2009-05-18 2014-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13572B2 (en) * 2009-08-11 2012-07-03 Minnigh Todd R Retrofitable long-length digital radiograph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JP5657224B2 (ja) * 2009-08-31 2015-01-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検出器の撮像面の設置誤差の程度を判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5623817B2 (ja) 2009-09-03 2014-11-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
US8351568B2 (en) * 2009-09-11 2013-01-08 Carestream Health, Inc. Long length multiple detector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US8550709B2 (en) * 2009-11-09 2013-10-08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area specifying apparatus, radiographic system, imaging area specifying method, radiographic apparatus, and imaging table
JP5438493B2 (ja) * 2009-12-22 2014-03-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その補助装置
JP5718576B2 (ja) * 2010-02-23 2015-05-13 株式会社東芝 X線画像診断装置
WO2011118236A1 (ja) * 2010-03-26 2011-09-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放射線画像撮影方法、体動量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80117B2 (ja) 2010-03-29 2014-04-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EP2372397A2 (en) 2010-03-29 2011-10-05 Fujifilm Corporation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system
JP2011224338A (ja) 2010-03-29 2011-11-10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5652474B2 (ja) * 2010-04-20 2015-01-1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撮影装置
JP5642166B2 (ja) 2010-05-18 2014-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5496827B2 (ja) 2010-08-26 2014-05-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放射線画像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62767B2 (ja) * 2010-08-26 2014-07-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撮影方法
JP5460666B2 (ja) * 2011-09-27 2014-04-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長尺撮影方法
CN103826538B (zh) * 2011-09-27 2016-06-22 富士胶片株式会社 放射线成像系统及其操作方法,以及放射线图像检测装置
US8899832B2 (en) * 2011-10-20 2014-12-02 Fujifilm Medical Systems U.S.A., Inc. Mobile patient positioning shield for multiple exposure imaging exams
US9016940B2 (en) * 2011-11-04 2015-04-28 Fujifilm Medical Systems U.S.A., Inc. Mobile patient positioning cart for multiple exposure imaging exams
US8989348B2 (en) * 2011-11-18 2015-03-24 Visuum, Llc Multi-linear X-ray scanning systems and methods for X-ray scanning
US9121809B2 (en) * 2011-11-18 2015-09-01 Visuum, Llc Multi-linear X-ray scanning systems and methods for X-ray scanning
US8767913B2 (en) * 2011-12-06 2014-07-01 Shimadzu Corporation X-ray radiography device
JP2013215273A (ja) * 2012-04-05 2013-10-24 Canon Inc 放射線撮影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431781B1 (ko) * 2012-06-20 2014-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08869B1 (ko) * 2012-09-07 2016-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상체의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에 가상 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의료 영상 획득 장치, 및 가상 자가 표시된 분할 영상 또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JP6102935B2 (ja) * 2012-10-02 2017-03-2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撮影装置
US9861329B2 (en) * 2012-10-11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apparatus and method of capturing X-ray image
KR101390190B1 (ko) * 2012-10-11 201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X선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및 x선 영상 획득 방법
US8908832B2 (en) * 2013-03-11 2014-12-09 Shimadzu Corporation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666943B1 (ko) * 2013-06-11 2016-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상체의 관심 영역(roi)에 대한 x선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US9814435B2 (en) * 2014-08-28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6189772B2 (ja) 2014-03-03 2017-08-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JP6208600B2 (ja) * 2014-03-03 2017-10-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6184916B2 (ja) * 2014-07-31 2017-08-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CN104268846B (zh) * 2014-09-22 2017-08-22 上海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图像拼接方法及装置
US9820703B2 (en) * 2014-11-17 2017-11-21 Carestream Health, Inc. Tiled digital radiography detectors for long-length imaging
EP3023057B1 (en) * 2014-11-19 2021-03-31 Fujifilm Corp RADIATION IMAGING DEVICE
CN110833428B (zh) * 2014-12-04 2024-04-02 佳能株式会社 放射线成像系统
US9626589B1 (en) * 2015-01-19 2017-04-18 Ricoh Co., Ltd. Preview image acquisition user interface for linear panoramic image stitching
US9594980B1 (en) * 2015-01-19 2017-03-14 Ricoh Co., Ltd. Image acquisition user interface for linear panoramic image stitching
JP6072100B2 (ja) * 2015-01-30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832353B (zh) * 2015-01-30 2020-11-06 佳能株式会社 放射线摄像系统
JP6525680B2 (ja) * 2015-03-31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43195B2 (ja) * 2015-04-14 2018-12-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607A (ja) * 1999-03-29 2000-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X線撮影装置
JP2010259688A (ja) * 2009-05-11 2010-11-18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1004856A (ja) * 2009-06-24 2011-01-13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1227047A (ja) * 2010-03-29 2011-11-10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3226243A (ja) * 2012-04-25 2013-11-07 Konica Minolta Inc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50511A1 (en) 2016-08-03
EP3050511B1 (en) 2018-01-24
KR20160094324A (ko) 2016-08-09
CN105852890B (zh) 2018-12-28
US20160220214A1 (en) 2016-08-04
CN109288534A (zh) 2019-02-01
JP6072096B2 (ja) 2017-02-01
US10420524B2 (en) 2019-09-24
KR20190026728A (ko) 2019-03-13
CN105852890A (zh) 2016-08-17
JP2016140509A (ja)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252B1 (ko) 방사선 촬영장치,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1956638B1 (ko) 방사선 촬영 장치, 제어장치, 스티치 촬영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958384B1 (ko) 제어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US10368823B2 (en) Radiographing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900178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用制御装置
JP6072098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装置、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29483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13068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72101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装置、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13070B2 (ja) 放射線撮影装置、制御装置、長尺撮影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72099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86931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装置、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