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127B1 - 액체 수용 용기, 액체 분사 시스템, 액체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수용 용기, 액체 분사 시스템, 액체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127B1
KR101946127B1 KR1020167018371A KR20167018371A KR101946127B1 KR 101946127 B1 KR101946127 B1 KR 101946127B1 KR 1020167018371 A KR1020167018371 A KR 1020167018371A KR 20167018371 A KR20167018371 A KR 20167018371A KR 101946127 B1 KR101946127 B1 KR 101946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mmunication
atmospheric
tank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6168A (ko
Inventor
다쿠미 고바야시
쇼마 쿠도
나오미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Landscapes

  • Ink Je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종래의 액체 수용 용기에서는, 액체의 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액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68)와, 수용부(68)에 개구되고, 수용부(68) 내에 주입되는 액체를 수용 가능한 주입구와, 수용부(68)의 외부로부터 수용부(68)의 내부에의 대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수용부(68)의 내부로부터 수용부(68)의 외부에의 대기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대기 도입 밸브(6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 수용 용기, 액체 분사 시스템, 액체 분사 장치{LIQUID-HOLDING CONTAINER, LIQUID-JETTING SYSTEM, AND LIQUID-JE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 수용 용기, 액체 분사 시스템, 액체 분사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체 분사 장치의 일례로서 잉크젯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인쇄 용지 등의 인쇄 매체에, 분사 헤드로부터 액체의 일례인 잉크를 토출시키는 것에 의해서, 인쇄 매체에의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종래, 액체 수용 용기의 일례인 탱크에 저장된 잉크를 분사 헤드에 공급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 탱크에는, 잉크 주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용자는 잉크 주입구로부터 잉크를 탱크에 보충할 수 있다. 이러한 탱크에 있어서, 종래, 잉크가 수용되는 액체 수용실과, 대기가 도입되는 공기 수용실이, 연통부에 의해서 서로 연통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20495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탱크에서는, 연통부의 액체 수용실측의 개구가 액체 수용실 내의 잉크 내에 몰입 가능하기 때문에, 액체 수용실 내의 잉크가 연통부 내에 유입하기 쉽다. 그리고, 연통부 내에 잉크가 유입한 상태로 진동 등의 외력이 작용하면, 연통부 내의 잉크가 공기 수용실 내에 유입하기 쉬워진다. 공기 수용실 내에 잉크가 유입하기 쉬워지면, 대기 개방구로부터 잉크가 탱크 외부로 누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체 수용 용기에서는, 액체의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뤄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될 수 있다.
[적용예 1]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에 개구되고, 상기 액체 수용부 내에 주입되는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주입구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부에의 대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에의 대기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대기 도입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이 적용예의 액체 수용 용기에서는, 예를 들면,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가 소비되고, 액체 수용부의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졌을 때에, 액체 수용부의 외부로부터 대기 도입 밸브를 거쳐서 대기가 액체 수용의 내부에 유입 가능하므로, 액체 수용부의 내부의 압력 저하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도입 밸브는 액체 수용부의 내부로부터 액체 수용부의 외부에의 대기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도, 대기 도입 밸브에 의해서 액체 수용부의 내부로부터 액체 수용부의 외부에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액체 수용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에 누설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2] 상기의 액체 수용 용기이며,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에의 대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부에의 대기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대기 개방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이 적용예에서는, 예를 들면, 액체 수용부의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졌을 때에, 대기 개방 밸브를 거쳐서 액체 수용부의 내부의 기체가 액체 수용부의 외부에 유출 가능하므로, 액체 수용부의 내부의 압력 상승을 완화할 수 있다.
[적용예 3] 상기의 액체 수용 용기이며, 대기 도입 개구와, 상기 대기 도입 개구와 상기 액체 수용부와의 사이에서 대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대기 연통부와, 상기 제 1 대기 연통부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에 대기를 도입 가능한 제 2 대기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 도입 밸브는, 상기 제 1 대기 연통부와 상기 제 2 대기 연통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대기 개방 밸브는, 상기 제 1 대기 연통부와 상기 제 2 대기 연통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이 적용예에서는, 제 1 대기 연통부와 제 2 대기 연통부와의 사이에서 대기 도입 밸브와 대기 개방 밸브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 1 대기 연통부 및 제 2 대기 연통부를 거쳐서, 액체 수용부의 외부에서 내부로 대기를 도입하거나, 액체 수용부의 내부에서 외부로 기체를 배출하거나 할 수 있다.
[적용예 4] 상기의 액체 수용 용기이며,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부와의 사이에서 대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대기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 도입 밸브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대기 연통부에 대기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대기 개방 밸브는, 상기 대기 연통부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에 대기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이 적용예에서는, 대기 연통부를 거쳐서, 액체 수용부의 외부에서 내부로 대기를 도입하거나 액체 수용부의 내부에서 외부로 기체를 배출하거나 할 수 있다.
[적용예 5] 상기의 액체 수용 용기이며, 상기 제 1 대기 연통부와 상기 제 2 대기 연통부를 구획하는 제 1 구획 벽과, 상기 제 1 구획 벽의 제 1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대기 연통부와 상기 제 2 대기 연통부를 구획하는 제 2 구획 벽과, 상기 제 1 구획 벽의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의 제 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대기 연통부와 상기 제 2 대기 연통부를 구획하는 제 3 구획 벽을 구비하고, 상기 대기 도입 밸브와 상기 대기 개방 밸브는, 상기 제 1 구획 벽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면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면측으로 향하여 대기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이 적용예에서는, 대기 도입 밸브와 대기 개방 밸브와, 대기가 이동 가능한 방향을 정렬할 수 있다.
[적용예 6] 상기의 액체 수용 용기이며, 상기 대기 연통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가 형성되는 오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오목부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 내의 벽 중, 상기 밀봉 부재에 대향하는 벽에, 상기 대기 도입 밸브와 상기 대기 개방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이 적용예에서는, 밀봉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대기 도입 밸브와 대기 개방 밸브를 배치할 수 있다.
[적용예 7]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에 의해 덮이고, 인쇄 동작을 실행 가능한 기구 부분인 기구 유닛과, 상기 제 1 케이스에 결합하는 제 2 케이스와, 복수의, 상기의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액체 수용 용기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의해 덮이고, 공급 튜브를 거쳐서 상기 액체를 상기 기구 유닛의 인쇄부에 공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시스템.
이 적용예의 액체 분사 시스템에서는, 액체 수용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에 누설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8]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의해 덮이고, 인쇄 동작을 실행 가능한 기구 부분인 기구 유닛과, 복수의, 상기의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액체 수용 용기는, 상기 케이스에 의해 덮이고, 공급 튜브를 거쳐서 상기 액체를 상기 기구 유닛의 인쇄부에 공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이 적용예의 액체 분사 장치에서는, 액체 수용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에 누설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분사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분사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분사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의 기구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탱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탱크를 시트 부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잉크 주입부, 공급구, 대기 연통구, 및 연통실을 XZ 평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탱크를 시트 부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 중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탱크를 시트 부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탱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탱크를 시트 부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탱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탱크를 시트 부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대기 도입 밸브 및 관통 구멍을 XZ 평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탱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탱크를 시트 부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탱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탱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탱크를 시트 부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 중의 B부의 확대도이다.
도 26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탱크를 시트 부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실시예 5에 있어서의 탱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실시예 5에 있어서의 탱크를 시트 부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실시예 5에 있어서의 탱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실시예 6에 있어서의 탱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실시예 6에 있어서의 탱크를 시트 부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33은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실시예 6에 있어서의 탱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실시예 7에 있어서의 탱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은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실시예 7에 있어서의 탱크를 시트 부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38은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케이스의 연통실에 있어서의 오목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9는 실시예 8에 있어서의 탱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0은 실시예 8에 있어서의 탱크를 시트 부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41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4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의 기구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액체 분사 장치의 일례인 잉크젯 프린터(이하, "프린터"라고 한다)를 포함한 액체 분사 시스템을 예로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을 인식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하기 위해서, 구성이나 부재의 축척이 차이가 상이하게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분사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분사 장치의 일례인 프린터(3)와, 탱크 유닛(5)을 갖고 있다. 프린터(3)는 제 1 케이스(6)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케이스(6)가, 프린터(3)의 외곽을 구성하고 있다. 탱크 유닛(5)은 제 2 케이스(7)와, 복수(2개 이상)의 탱크(9)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케이스(6)와 제 2 케이스(7)가, 액체 분사 시스템(1)의 외곽을 구성하고 있다. 탱크(9)는 액체 수용 용기의 일례이다. 액체 분사 시스템(1)은, 액체의 일례인 잉크에 의해서, 인쇄 용지 등의 인쇄 매체 P에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서로 직교하는 좌표축인 XYZ축이 부여되어 있다. 이 이후에 나타내는 도면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서 XYZ축이 부여되고 있다. XYZ축의 각각에 있어서, 화살표의 방향이 +방향(정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의 방향과는 역 방향이 -방향(부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액체 분사 시스템(1)이 사용되는 상태에 있어서, 액체 분사 시스템(1)은, X축과 Y축에 의해서 규정되는 수평인 평면에 배치된다. 액체 분사 시스템(1)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Z축은, 수평인 평면에 직교하는 축이며, -Z축 방향이 연직 하방향이 된다.
제 1 케이스(6)에는, 프린터(3)의 기구 유닛(10)(도 4))이 수용되어 있다. 기구 유닛(10)은, 프린터(3)에 있어서, 인쇄 동작을 실행하는 기구 부분이다. 기구 유닛(10)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복수의 탱크(9)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7) 내에 수용되어 있고, 각각, 인쇄에 제공하는 잉크를 수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탱크(9)가 설치되어 있다. 4개의 탱크(9)에서는, 잉크의 종류가 탱크(9)마다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의 종류로서 블랙,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4종류가 채용되어 있다. 그리고, 블랙의 잉크를 수용하는 탱크(9)와, 옐로우의 잉크를 수용하는 탱크(9)와, 마젠타의 잉크를 수용하는 탱크(9)와, 시안의 잉크를 수용하는 탱크(9)가 1개씩 설치되어 있다. 액체 분사 시스템(1)에서는, 복수의 탱크(9)가 제 1 케이스(6)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체 분사 시스템(1)에서는, 복수의 탱크(9)는 기구 유닛(10)을 덮는 제 1 케이스(6)에 내장되어 있지 않다.
또한, 프린터(3)에는, 배지부(11)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3)에서는, 배지부(11)로부터 인쇄 매체 P가 배출된다. 프린터(3)에 있어서, 배지부(11)가 설치되어 있는 면이 정면(13)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3)는 정면(13)에 교차하는 상면(15)에 조작 패널(17)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 패널(17)에는, 전원 버튼(18A)이나, 그 외의 조작 버튼(18B) 등이 설치되어 있다. 탱크 유닛(5)은, 제 1 케이스(6)에 있어서, 정면(13)과 상면(15)에 교차하는 측부(19)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7)에는, 창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창부(21)는, 제 2 케이스(7)에 있어서, 정면(23)과 상면(25)에 교차하는 측부(27)에 설치되어 있다. 창부(21)는 광투과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창부(21)와 겹쳐지는 위치에, 상술한 4개의 탱크(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체 분사 시스템(1)을 사용하는 작업자는 창부(21)를 거쳐서 4개의 탱크(9)를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탱크(9)의 창부(21)에 대면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가 광투과성을 갖고 있다. 각 탱크(9)의 광투과성을 갖는 부위로부터, 탱크(9) 내의 잉크가 시인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창부(21)를 거쳐서 4개의 탱크(9)를 시인하는 것에 의해서, 각 탱크(9)에 있어서의 잉크의 양을 시인할 수 있다. 즉, 탱크(9)에서는, 창부(21)에 대면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잉크의 양을 시인 가능한 시인부로서 활용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6)와 제 2 케이스(7)는 서로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7)를 제 1 케이스(6)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 2 케이스(7)는 부착 나사(31)에 의해서 제 1 케이스(6)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7)는, 4개의 탱크(9)의 예를 들면 정면, 상면, 측면과 같이,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또한, 각 탱크(9)에는, 창부(21)에 대면하는 부위에, 잉크의 양의 상한을 나타내는 상한 마크(28)와, 잉크의 양의 하한을 나타내는 하한 마크(29)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는, 상한 마크(28) 및 하한 마크(29)를 기준으로 해서 각 탱크(9)에 있어서의 잉크의 양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탱크 유닛(5)은 지지 프레임(32)을 구비하고 있다. 4개의 탱크(9)는 지지 프레임(32)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32)은 제 1 케이스(6)와는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2)을 제 1 케이스(6)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2)은 부착 나사(33)에 의해서 제 1 케이스(6)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유닛(5)(도 1)은 제 1 케이스(6)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다.
프린터(3)는, 기구 유닛(10)을 도시하는 사시도인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부(41)와, 공급 튜브(43)를 구비하고 있다. 인쇄부(41)는 캐리지(45)와, 인쇄 헤드(47)와, 4개의 중계 유닛(49)을 구비하고 있다. 인쇄 헤드(47)와 4개의 중계 유닛(49)은 캐리지(45)에 탑재되어 있다. 공급 튜브(43)는 가요성을 갖고 있고, 탱크(9)와 중계 유닛(49)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9) 내의 잉크는 공급 튜브(43)를 거쳐서 중계 유닛(49)에 보내진다. 중계 유닛(49)은, 탱크(9)로부터 공급 튜브(43)를 거쳐서 공급된 잉크를 인쇄 헤드(47)에 중계한다. 인쇄 헤드(47)는 공급된 잉크를 잉크 방울로서 토출한다.
또한, 프린터(3)는 매체 반송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헤드 반송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매체 반송 기구는, 도시하지 않는 모터로부터의 동력에 의해서 반송 롤러(51)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인쇄 매체 P를 Y축 방향에 따라서 반송한다. 헤드 반송 기구는, 모터(53)로부터의 동력을 타이밍 벨트(55)를 거쳐서 캐리지(45)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서, 캐리지(45)를 X축 방향에 따라서 반송한다. 인쇄 헤드(47)는 캐리지(45)에 탑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쇄 헤드(47)는, 헤드 반송 기구에 의해서, 캐리지(45)를 거쳐서 X축 방향으로 반송될 수 있다. 또한, 인쇄 헤드(47)는 인쇄 매체 P에 대면한 상태로 캐리지(45)에 지지되어 있다. 매체 반송 기구 및 헤드 반송 기구에 의해서, 인쇄 매체 P에 대한 인쇄 헤드(47)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인쇄 헤드(47)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것에 의해서 인쇄 매체 P에 인쇄가 실시된다.
탱크(9)에 대해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탱크(9)를 실시예마다 식별하기 위해서, 탱크(9)의 도면부호에 실시예마다 상이한 알파벳 문자를 부기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탱크(9A)에 대해 설명한다. 탱크(9A)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의 일례인 케이스(61A)와, 시트 부재(63)와, 시트 부재(64)와, 대기 도입 밸브(65)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61A)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63)는 합성 수지(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에 의해 필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63)는 광투과성을 갖고 있다. 또한, 시트 부재(64)는 합성 수지(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에 의해 필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예를 들면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후술하는 연통실(77) 내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61A)에는, 접합부(67)와, 접합부(66)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서는, 구성을 알기 쉽게 나타내 보이기 위해서, 접합부(67) 및 접합부(66)에 해칭이 실시되어 있다. 접합부(67)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접합부(66)에 시트 부재(64)가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착에 의해서 케이스(61A)와 시트 부재(63)가 접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케이스(61A)와 시트 부재(64)가 용착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탱크(9A)는, 케이스(61A)와 시트 부재(63)를 접합하고, 또한 케이스(61A)와 시트 부재(64)를 접합한 구성을 갖고 있다.
탱크(9A)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68)와, 연통부(69)를 구비하고 있다. 연통부(69)는,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와, 연통실(77)을 구비하고 있다. 탱크(9A)에서는, 연통부(69)는, 대기 도입 밸브(65)를 경계로, 제 1 연통부(78)와 제 2 연통부(79)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연통부(78)에는,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가 포함된다. 제 2 연통부(79)에는, 연통실(77)과, 제 3 연통로(76)가 포함된다. 탱크(9A)에서는, 수용부(68) 내에 잉크가 수용된다. 또한, 도 6에서는,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탱크(9A)를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시트 부재(63) 넘어로 케이스(61A)가 도시되어 있다. 수용부(68)와,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는 접합부(67)에 의해서 서로 분할되어 있다.
케이스(61A)는 제 1 벽(91)과,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 제 4 벽(94)과, 제 5 벽(95)과, 제 6 벽(96)과, 제 7 벽(97)과, 제 8 벽(98)을 구비하고 있다. 제 5 벽(95)의 수용부(68)측과는 반대측에,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가 배치되어 있다. 연통실(77)은 제 8 벽(98)의 제 5 벽(95)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벽(92)의 수용부(68)측과는 반대측에, 제 3 연통로(76)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벽(91)을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수용부(68)는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 제 4 벽(94)과, 제 5 벽(95)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또한, 제 1 벽(91)을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이 제 5 벽(95)과, 제 6 벽(96)과, 제 7 벽(97)과, 제 8 벽(98)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또한, 수용부(68)의 제 1 벽(91)과, 제 1 대기실(71), 제 2 대기실(72) 및 제 3 대기실(74)의 제 1 벽(91)은 서로 동일한 벽이다. 즉, 탱크(9A)에서는, 수용부(68)와,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3 대기실(74)이 서로 제 1 벽(91)을 공유하고 있다.
제 2 벽(92), 제 3 벽(93), 제 4 벽(94), 및 제 5 벽(95)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제 1 벽(91)에 교차하고 있다. 제 2 벽(92)과 제 3 벽(93)은 제 1 벽(91)을 X축으로 따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4 벽(94)과 제 5 벽(95)은 제 1 벽(91)을 Z축으로 따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벽(92)은 제 4 벽(94) 및 제 5 벽(95)의 각각에 교차하고 있다. 제 3 벽(93)도 제 4 벽(94) 및 제 5 벽(95)의 각각에 교차하고 있다.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 제 4 벽(94)과, 제 5 벽(95)은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벽(91)을 주벽으로 해서, 주벽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 제 4 벽(94)과, 제 5 벽(95)에 의해서 오목부(101)가 구성된다. 오목부(101)는 Y축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되는 배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목부(101)는 -Y축 방향을 향하고, 즉 시트 부재(63)(도 5)측으로 향해 개구되어 있다. 환언하면, 오목부(101)는 Y축 방향을 향해서, 즉 시트 부재(63)(도 5)측과는 반대측으로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배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61A)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면, 오목부(101)가 시트 부재(63)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고, 수용부(68)가 구성된다. 또한, 제 1 벽(91) 내지 제 8 벽(98)은, 각각, 평탄한 벽에 한정되지 않고, 요철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제 6 벽(96)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5 벽(95)으로부터, 제 5 벽(95)의 제 4 벽(94)측과는 반대측, 즉 제 5 벽(95)의 Z축 방향측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제 7 벽(97)은, 제 5 벽(95)으로부터, 제 5 벽(95)의 제 4 벽(94)측과는 반대측, 즉 제 5 벽(95)의 Z축 방향측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제 6 벽(96)과 제 7 벽(97)은,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을 X축으로 따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8 벽(98)은,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을 Z축으로 따라 사이에 두고 제 5 벽(95)에 대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6 벽(96)은 제 5 벽(95) 및 제 8 벽(98)의 각각에 교차하고 있다. 제 7 벽(97)도 제 5 벽(95) 및 제 8 벽(98)의 각각에 교차하고 있다.
제 5 벽(95)과 제 8 벽(98)과의 사이에는,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을 분할하는 제 9 벽(10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6 벽(96)과 제 7 벽(97)과의 사이에는, 제 10 벽(104)과 제 11 벽(105)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대기실(71) 및 제 2 대기실(72)과 제 3 대기실(74)과의 사이는, 제 10 벽(104) 및 제 11 벽(105)에 의해서 X축으로 따라 분리되어 있다. 제 10 벽(104)은 제 6 벽(96)보다 제 7 벽(97)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 6 벽(96)에 대향하고 있다. 제 11 벽(105)은 제 7 벽(97)보다 제 6 벽(96)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 7 벽(97)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제 11 벽(105)은 제 10 벽(104)보다 제 7 벽(97)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 6 벽(96)과, 제 7 벽(97)과, 제 8 벽(98)과, 제 9 벽(103)과, 제 10 벽(104)과, 제 11 벽(105)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6 벽(96)과, 제 9 벽(103)과, 제 10 벽(104)과, 제 8 벽(98)에 의해서 오목부(109)가 구성된다. 또한,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6 벽(96)과, 제 5 벽(95)과, 제 10 벽(104)과, 제 9 벽(103)에 의해서 오목부(111)가 구성된다. 또한,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5 벽(95)과, 제 7 벽(97)과, 제 8 벽(98)과, 제 11 벽(105)에 의해서 오목부(113)가 구성된다.
오목부(109), 오목부(111), 및 오목부(113)는, 각각, -Y축 방향을 향하고, 즉 시트 부재(63)(도 5)측으로 향해 개구되어 있다. 환언하면, 오목부(109), 오목부(111), 및 오목부(113)는, 각각, Y축 방향을 향하고, 즉 시트 부재(63)(도 5)측과는 반대측을 향해 오목하게 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61A)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면, 오목부(109)가 시트 부재(63)에 의해서 폐쇄되어서, 제 1 대기실(71)이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케이스(61)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면, 오목부(111)가 시트 부재(63)에 의해서 폐쇄되어서 제 2 대기실(72)이 구성되고, 오목부(113)가 시트 부재(63)에 의해서 폐쇄되어서 제 3 대기실(74)이 구성된다. 또한, 제 2 벽(92) 내지 제 8 벽(98), 제 9 벽(103) 내지 제 11 벽(105)의 제 1 벽(91)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서로 동일한 돌출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 2 벽(92)과 제 6 벽(96)은 X축으로 따라서 단차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벽(92)은, 제 6 벽(96)보다 제 3 벽(93)측, 즉 제 6 벽(96)보다 X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3 벽(93)과 제 7 벽(97)은 X축으로 따라서 단차를 구비하고 있다. 제 7 벽(97)은, 제 3 벽(93)보다 제 2 벽(92)측, 즉 제 3 벽(93)보다 -X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벽(91)을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본 상태로, 제 3 벽(93)과 제 7 벽(97)과의 사이에 잉크 주입부(115)가 설치되어 있다. 잉크 주입부(115)는 제 5 벽(95)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연통로(73)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0 벽(104)과 제 11 벽(105)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제 2 대기실(72)과 제 3 대기실(74)을 연통시키고 있다. 제 2 연통로(75)는 수용부(68) 및 제 3 대기실(74)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연통로(76)는 수용부(68), 제 1 대기실(71), 제 2 대기실(72), 및 제 1 연통로(73)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대기실(74)과 수용부(68)는 제 2 연통로(75), 연통실(77), 및 제 3 연통로(76)를 거쳐서 서로 연통한다. 제 9 벽(103)에는, 연통구(117)가 설치되어 있다. 연통구(117)를 거쳐서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이 연통하고 있다. 제 2 대기실(72)은 연통구(119)를 거쳐서 제 1 연통로(73)에 통하고 있다. 또한, 제 3 대기실(74)은 연통구(121)를 거쳐서 제 1 연통로(73)에 통하고 있다. 제 1 연통로(73)는 사행하고 있다. 제 2 대기실(72)은 제 1 연통로(73)를 거쳐서 사행하고 나서 제 3 대기실(74)에 통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1A)에는, 연장부(123)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연통로(75) 및 제 3 연통로(76)는 연장부(123)에 설치되어 있다. 연장부(123)는 제 5 벽(95) 중 제 7 벽(97)보다 X축 방향측의 영역에 있고, 오목부(101)의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 5 벽(95)에서 Z축 방향측을 향해서 연장된 부위(123A)를 구비한다. 부위(123A)는, 제 7 벽(97)에 있어서, 오목부(113)의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 7 벽(97)으로부터 X축 방향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123)는 제 8 벽(98)에서 Z축 방향측을 향해서 연장된 부위(123B)를 구비한다.
또한, 연장부(123)는, 제 6 벽(96)에 있어서, 오목부(171) 및 오목부(111)의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 6 벽(96)으로부터 -X축 방향측을 향해서 연장된 부위(123C)를 구비한다. 또한, 연장부(123)는, 제 2 벽(92)에 있어서, 오목부(101)의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 2 벽(92)으로부터 -X축 방향측을 향해서 연장된 부위(123D)를 구비한다. 제 2 연통로(75)는, 연장부(123)에, 시트 부재(63)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홈(127)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연통로(76)는, 연장부(123)에, 시트 부재(63)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홈(129)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홈(127)과 홈(129)은, 부위(123B)에 있어서, 구획 벽(145)에 의해서 분할되어 있다.
제 2 연통로(75)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구(141)를 구비하고 있다. 연통구(141)는 제 3 대기실(74)의 내측으로 향해서 개구하는 개구부이다. 제 3 대기실(74)은 연통구(141)를 거쳐서 제 2 연통로(75)에 통하고 있다. 또한, 제 3 연통로(76)는 연통구(143)를 구비하고 있다. 연통구(143)는 수용부(68)의 내측으로 향해서 개구하는 개구부이다. 제 3 연통로(76)는 연통구(143)를 거쳐서 수용부(68)에 통하고 있다. 또한,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는 연통실(77)을 거쳐서 서로 연통하고 있다.
연통실(77)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8 벽(98)에 설치되어 있다. 제 8 벽(98)에는, 제 8 벽(98)보다 Z축 방향으로 연장된 벽(147)이 설치되어 있다. 벽(147)에는, 연통실(77)을 둘러싸는 주위 벽(149)이 설치되어 있다. 주위 벽(149)은 벽(147)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위 벽(149)과 벽(147)에 의해서 오목부(151)가 형성된다. 오목부(151)는 Z축 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있다. 환언하면, 오목부(151)는 -Z축 방향으로 향해서, 즉 제 5 벽(95)측으로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위 벽(149)의 Z축 방향측의 단부가 전술한 접합부(66)로서 설정되어 있다. 오목부(151)(연통실(77)) 내에는, 벽(147)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53)과, 관통 구멍(155)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153)은 홈(127)(제 2 연통로(75))에 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155)은 홈(129)(제 3 연통로(76))에 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가 연통실(77)을 거쳐서 서로 연통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01) 내에는, 오목부(171)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171)는 제 4 벽(94)보다 제 5 벽(95)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즉 제 4 벽(94)보다 -Z축 방향측을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171)에 있어서, 제 3 벽(93)과 제 2 벽(92)에 대면하는 벽(173)에, 접속부(17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벽(91)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서, 제 3 벽(93)과 제 2 벽(92)과의 사이에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175)에는, 공급 튜브(43)가 삽입된다. 접속부(175)는 벽(173)에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175)는 벽(173)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속부(175)의 -X축 방향측의 단부에는, 공급구(177)(도 6)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구(177)는 접속부(175)에 형성된 개구이며, 접속부(175)로부터 탱크(9A)의 외측으로 향해 개구되어 있다. 잉크 주입부(115)와 공급구(177)는, 각각, 케이스(61A)의 외측과 오목부(101)의 내측을 연통시킨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8 벽(98)에는, 대기 연통부(179)가 설치되어 있다. 대기 연통부(179)에는, 대기 연통구(181)가 형성되어 있다. 대기 연통구(181)는 대기 연통부(179)에 형성된 개구이며, 대기 연통부(179)로부터 탱크(9A)의 외측으로 향해 개구되어 있다. 대기 연통부(179)는, 제 8 벽(98)으로부터, 제 8 벽(98)의 제 5 벽(95)측과는 반대측, 즉 제 8 벽(98)의 Z축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대기 연통구(181)는, 제 8 벽(98)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즉 제 8 벽(98)을 XY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오목부(171)와 겹쳐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대기 연통구(181)는 케이스(61)의 외측과 오목부(171)의 내측을 연통시킨다. 대기 연통구(181) 및 대기 연통부(179)는, 케이스(61A)의 외측의 대기를 오목부(171)의 내측에 도입하기 위한 대기의 개구이다. 또한, 케이스(61A)에 있어서, 접합부(67)는 오목부(101), 오목부(109), 오목부(111), 오목부(113), 오목부(171), 제 1 연통로(73), 제 2 연통로(75), 및 제 3 연통로(76)의 각각의 윤곽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63)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벽(92) 내지 제 8 벽(98)을 사이에 두고 제 1 벽(91)에 대면하고 있다. 시트 부재(63)는, 평면에서 보아서, 오목부(101), 오목부(109), 오목부(111), 오목부(113), 오목부(171) 및 연장부(123)를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시트 부재(63)는, 제 1 벽(91)과의 사이에 틈새를 가진 상태로, 접합부(67)에 용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101), 오목부(109), 오목부(111), 오목부(113), 오목부(171), 제 1 연통로(73), 제 2 연통로(75), 및 제 3 연통로(76)가 시트 부재(63)에 의해서 밀봉된다. 이 때문에, 시트 부재(63)는 케이스(61A)에 대한 덮개로서도 보일 수 있다.
상기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수용부(68)는, 제 3 연통로(76), 연통실(77), 제 2 연통로(75), 제 3 대기실(74), 제 1 연통로(73), 제 2 대기실(72), 제 1 대기실(71), 및 대기 연통구(181)를 거쳐서 탱크(9A)의 외부에 통하고 있다. 즉, 연통부(69)는 대기 연통구(181)와 수용부(68)와의 사이를 연통시키고 있다.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제 1 대기실(71) 내에 유입한 대기는 연통구(117)를 거쳐서 제 2 대기실(72)에 유입한다. 제 2 대기실(72)에 유입한 대기는 제 1 연통로(73)를 거쳐서 제 3 대기실(74)에 유입한다. 제 3 대기실(74)에 유입한 대기는 제 2 연통로(75)를 거쳐서 연통실(77)에 유입한다. 그리고, 연통실(77)에 유입한 대기는 제 3 연통로(76)를 거쳐서 수용부(68) 내에 유입한다.
여기서, 연통실(77)(오목부(151)) 내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157)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157)는 벽(147)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축부(157)의 벽(147)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주위 벽(149)의 벽(147)으로부터의 돌출량보다 작다. 이 때문에, 축부(157)는 오목부(151) 내에 수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부(157)의 주위에 관통 구멍(15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기 도입 밸브(65)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159)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51)(도 8) 내의 축부(157)에는, 대기 도입 밸브(65)(도 5)의 관통 구멍(159)이 삽입된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관통 구멍(153)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대기 도입 밸브(65)의 관통 구멍(159)을 축부(157)에 삽입하면,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관통 구멍(153)이 폐쇄된다.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 대기 연통구(181)와 수용부(68)와의 사이에 연통 상태가 차단된다. 탱크(9A)에서는, 대기 도입 밸브(65)가 제 2 연통로(75)와 연통실(77)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9A)에서는, 연통부(69)는,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제 1 연통부(78)(도 6)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에서 폐쇄된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연통실(77) 내에 설치되어 있다. 연통실(77)은 제 1 연통부(78)에 포함된다. 이 때문에, 제 1 연통부(78)(도 6)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는,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제 1 연통부(78)측으로부터 폐쇄되어 있다.
잉크 주입부(115)는 제 5 벽(95)에 설치되어 있다. 잉크 주입부(115)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7 벽(97)과 연장부(123)와 제 3 벽(93)과 제 1 벽(91)에 의해서 둘러싸인 오목부(183)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123)는 제 5 벽(95)보다 제 8 벽(98)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 7 벽(97)도, 제 5 벽(95)보다 제 8 벽(98)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케이스(61A)에서는, 제 1 벽(91) 및 제 3 벽(93)도, 각각, 제 5 벽(95)보다 제 8 벽(98)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부(123)는 제 7 벽(97) 및 제 3 벽(93)의 쌍방에 교차하고 있다. 또한, 제 1 벽(91)은 제 3 벽(93) 및 제 7 벽(97)의 쌍방에 교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5 벽(95) 중 제 7 벽(97)보다 제 3 벽(93)측의 영역은, 제 7 벽(97)과 연장부(123)와 제 3 벽(93)과 제 1 벽(91)에 의해서 둘러싸인 오목부(183)를 구성하고 있다. 오목부(183)는 제 5 벽(95)측으로부터 제 4 벽(94)측을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잉크 주입부(115)는, 제 7 벽(97)과 연장부(123)와 제 3 벽(93)과 제 1 벽(91)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환언하면, 제 5 벽(95) 중 제 7 벽(97)과 연장부(123)와 제 3 벽(93)과 제 1 벽(91)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잉크 주입부(1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183)는 잉크 수납부의 기능을 가진다. 잉크 수납부는, 예를 들면, 잉크 주입부(115)로부터 흘러 넘친 잉크나, 주입시에 흘러 떨어진 잉크를 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183)는 잉크를 수납하는 잉크 수납부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잉크 주입부(115)는, 잉크 주입부(115), 공급구(177), 대기 연통구(181), 및 연통실(77)을 XZ 평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인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191)와, 측벽(193)을 구비하고 있다. 개구(191)는 제 5 벽(95)에 설치된 관통 구멍이다. 개구(191)는 잉크 주입부(115)와 오목부(101)(수용부(68))의 교차하는 교차부이기도 하다. 잉크 주입부(115)의 구성으로서는, 측벽(193)이 수용부(68)의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측벽(193)이 수용부(68)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도, 잉크 주입부(115)와 수용부(68)의 교차하는 교차부를 개구(191)로 정의한다. 오목부(101)는 관통 구멍인 개구(191)를 거쳐서 오목부(101)의 외측에 통하고 있다. 측벽(193)은 제 5 벽(95)의 제 4 벽(94)측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고, 개구(191)의 주위를 둘러싸고, 잉크 주입로를 형성하고 있다. 측벽(193)은 제 5 벽(95)으로부터 제 4 벽(94)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61A)에서는, 측벽(193)은 제 1 벽(91) 및 제 3 벽(93)의 각각보다 제 4 벽(94)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측벽(193)에 의해서, 오목부(183)에 모인 잉크가 개구(191)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탱크(9A)에서는, 탱크(9A)를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인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68)의 내부에 잉크(195)가 수용된다. 도 10에서는, 구성을 알기 쉽게 나타내 보이기 위해서, 시트 부재(63)의 도시가 생략되고, 또한 접합부(67)에 해칭이 실시되어 있다. 수용부(68) 내의 잉크(195)는 공급구(177)로부터 인쇄 헤드(47)에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린터(3)를 인쇄에 사용하는 상태에 있어서, 접속부(175)에 공급 튜브(43)가 접속되고, 잉크 주입부(115)에 캡(197)이 된다. 오목부(101)(수용부(68)) 내의 잉크(195)는, 중계 유닛(49)을 거쳐서 공급 튜브(43) 내를 흡인하는 것에 의해서, 공급구(177)로부터 인쇄 헤드(47)에 도달한다.
인쇄 헤드(47)에 의한 인쇄에 따라 수용부(68) 내의 잉크(195)가 인쇄 헤드(47)측으로 보내진다. 이 때문에, 인쇄 헤드(47)에 의한 인쇄에 따라서,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진다.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 도 9 중의 A부의 확대도인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기 도입 밸브(65)가,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와의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서, 제 2 연통로(75)측으로부터 제 3 연통로(76)측으로 향해서 튄다. 이것에 의해, 관통 구멍(153)이 개방되고, 제 2 연통로(75)와 연통실(77)과의 사이가 연통한다. 이 결과, 제 2 연통부(79)와 제 1 연통부(78)와의 사이가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제 3 대기실(74) 내의 대기가 제 2 연통로(75), 연통실(77), 및 제 3 연통로(76)를 통해서 수용부(68) 내에 보내진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워지면, 대기 도입 밸브(65)는 탄성에 의해서 변형이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워지면, 제 2 연통부(79)와 제 1 연통부(78)와의 사이가 폐쇄된다. 또한, 제 3 대기실(74)에는,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제 1 대기실(71), 제 2 대기실(72), 및 제 1 연통로(73)를 이 순서를 거쳐서 대기가 유입한다. 상기에 의해, 탱크(9A) 내의 잉크(195)가 인쇄 헤드(47)에 공급된다. 탱크(9A)에 있어서의 수용부(68) 내의 잉크(195)가 소비되고, 잉크(195)의 잔량이 적게 되면, 작업자는 잉크 주입부(115)로부터 새로운 잉크를 수용부(68) 내에 보충할 수 있다.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통로(201)와, 제 2 통로(202)와, 제 3 통로(203)와, 제 4 통로(204)와, 제 5 통로(205)와, 제 6 통로(206)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통로(201)는 연통구(141)를 기점으로 해서 제 5 벽(95)에 따라서, 즉 X축으로 따라 제 3 벽(93)을 향하고 있다. 제 1 통로(201)는 연통구(141)로부터 반전부(211)에 이르고 있다. 반전부(211)는 제 2 연통로(75)에 있어서의 유로의 방향이 반전하는 부위이다. 반전부(211)에서는, 유로의 방향이 X축 방향에서 -X축 방향으로 반전한다. 또한,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수용부(68)에 이르는 대기의 경로에 있어서, 대기 연통구(181)측을 상류측으로 하고, 연통구(143)측을 하류측으로 한다.
제 2 통로(202)는 반전부(211)로부터 제 1 통로(201)의 연재 방향에 따라서, 즉 X축으로 따라 제 7 벽(97)을 향하고 있다. 제 2 통로(202)는 반전부(211)로부터 굴곡부(212)에 이르고 있다. 굴곡부(212)는 제 2 연통로(75)에 있어서의 유로의 방향이 굴곡하는 부위이다. 굴곡부(212)에서는, 유로의 방향이 -X축 방향에서 Z축 방향으로 굴곡한다. 제 3 통로(203)는 굴곡부(212)로부터 제 7 벽(97)에 따라서, 즉 Z축으로 따라 제 8 벽(98)을 향하고 있다. 제 3 통로(203)는 굴곡부(212)로부터 굴곡부(213)에 이르고 있다. 굴곡부(213)는 제 2 연통로(75)에 있어서의 유로의 방향이 굴곡하는 부위이다. 굴곡부(213)에서는, 유로의 방향이 Z축 방향에서 -X축 방향으로 굴곡한다.
제 4 통로(204)는, 굴곡부(213)로부터 제 8 벽(98)에 따라서, 즉 X축에 따라 제 6 벽(96)을 향하고 있다. Z축 방향에 있어서, 제 4 통로(204)는 제 3 대기실(74)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통로(204)는 굴곡부(213)로부터 굴곡부(214)에 이르고 있다. 또한, 탱크(9A)에서는, 제 4 통로(204)는 굴곡부(213)로부터 연통실(77)을 경유하고 나서 굴곡부(214)에 이르고 있다. 굴곡부(214)는 제 3 연통로(76)에 있어서의 유로의 방향이 굴곡하는 부위이다. 굴곡부(214)에서는, 유로의 방향이 X축 방향에서 -Z축 방향으로 굴곡한다. 제 5 통로(205)는, 굴곡부(214)로부터 제 6 벽(96)에 따라서, 즉 Z축으로 따라 제 4 벽(94)을 향하고 있다. 제 5 통로(205)는 굴곡부(214)로부터 반전부(215)에 이르고 있다. 반전부(215)는 제 3 연통로(76)에 있어서의 유로의 방향이 반전하는 부위이다. 반전부(215)에서는, 유로의 방향이 -Z축 방향에서 Z축 방향으로 반전한다. 제 6 통로(206)는, 반전부(215)로부터 제 2 벽(92)에 따라서, 즉 Z축으로 따라 제 5 벽(95)을 향하고 있다. 제 6 통로(206)는 반전부(215)로부터 굴곡부(216)에 이르고 있다. 굴곡부(216)는 제 3 연통로(76)에 있어서의 유로의 방향이 굴곡하는 부위이다. 굴곡부(216)에서는, 유로의 방향이 Z축 방향에서 X축 방향으로 굴곡한다. 제 3 연통로(76)는, 굴곡부(216)로 굴곡하고 나서 연통구(143)를 거쳐서 수용부(68)에 통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Z축 방향에 있어서, 제 4 통로(204)가 제 3 대기실(74)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 3 연통로(76)의 일부가 제 3 대기실(74)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68)로부터 제 3 연통로(76) 내에 유입한 잉크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 제 3 대기실(74)보다 상방으로 상승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수용부(68)로부터 제 3 연통로(76) 내에 유입한 잉크가 제 3 대기실(74)에 도달하기 어렵다. 이 결과, 수용부(68)로부터 제 3 연통로(76) 내에 유입한 잉크가 탱크(9A)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또한, 탱크(9A)에서는, 제 3 통로(203)와 제 5 통로(205)가 제 3 대기실(74)을 X축에 따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3 대기실(74)의 주변의 공간을 이용하여, 제 3 대기실(7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제 2 연통로(75)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 2 연통로(75)의 경로를 길게 할 수 있다. 제 2 연통로(75)의 경로를 길게 하는 것은, 수용부(68) 내의 잉크의 액체 성분을 증발시키기 어렵게 한다고 하는 관점 등에서 바람직하다.
반전부(215)는 제 3 연통로(76)에 있어서의 유로의 방향이 반전하는 부위이다. 반전부(215)에서는, 유로의 방향이 -Z축 방향에서 Z축 방향으로 반전한다. 제 6 통로(206)는, 반전부(215)로부터 제 2 벽(92)에 따라서, 즉 Z축으로 따라 제 5 벽(95)을 향하고 있다. 제 6 통로(206)는 반전부(215)로부터 굴곡부(216)를 거쳐서 연통구(143)에 이르고 있다. 굴곡부(216)는 제 3 연통로(76)에 있어서의 유로의 방향이 굴곡하는 부위이다. 제 3 연통로(76)는 굴곡부(216)에 있어서 유로의 방향이 Z축 방향에서 X축 방향으로 굴곡하고 나서, 연통구(143)를 거쳐서 수용부(68) 내에 통하고 있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케이스(61A)가 하우징에 대응하고, 시트 부재(63)가 밀봉 부재에 대응하고, 수용부(68)가 액체 수용부에 대응하고, 잉크 주입부(115)의 개구(191)가 주입구에 대응하고, 대기 연통구(181)가 대기 도입 개구에 대응하고, 연통부(69)가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1 연통부(78)가 제 1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2 연통부(79)가 제 2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수용부(68)와 대기 연통구(181)와의 사이에 대기 도입 밸브(6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대기 연통구(181)측을 향해 역류해도, 역류한 잉크가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막힐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대기 연통구(181)에 이르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이 결과,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탱크(9A)의 외측으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탱크(9B)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탱크(9B)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의 일례인 케이스(61B)와, 시트 부재(63)와, 시트 부재(64)와, 대기 도입 밸브(65)와, 대기 개방 밸브(22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61B)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63), 시트 부재(64), 및 대기 도입 밸브(65)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대기 개방 밸브(221)는, 예를 들면,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대기 개방 밸브(221)는 연통실(77)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대기 도입 밸브(65)가 수용부(68) 내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61B)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접합부(67)와, 접합부(66)가 설치되어 있다. 접합부(67)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고, 접합부(66)에 시트 부재(64)가 접합되어 있다. 탱크(9B)는 케이스(61B)와 시트 부재(63)를 접합하고, 또한 케이스(61B)와 시트 부재(64)를 접합한 구성을 갖고 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탱크(9B)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68)와, 연통부(69)를 구비하고 있다. 연통부(69)는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와, 연통실(77)을 구비하고 있다. 탱크(9B)에 있어서도, 연통부(69)는 제 1 연통부(78)와, 제 2 연통부(79)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탱크(9B)에서는, 연통실(77)이 제 1 연통부(78)에 포함되는 것이 실시예 1의 탱크(9A)와는 상이하다. 즉, 탱크(9B)에서는, 제 1 연통부(78)에는,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와, 연통실(77)이 포함된다. 그리고, 제 2 연통부(79)에는, 제 3 연통로(76)가 포함된다. 탱크(9B)에 있어서도, 수용부(68) 내에 잉크가 수용된다. 또한, 도 14에서는,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탱크(9B)를 본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시트 부재(63) 넘어로 케이스(61B)가 도시되어 있다. 수용부(68)와,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는 접합부(67)에 의해서 서로 나누어지고 있다.
케이스(61B)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 1 벽(91)과,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 제 4 벽(94)과, 제 5 벽(95)과, 제 6 벽(96)과, 제 7 벽(97)과, 제 8 벽(98)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61B)에 있어서, 제 1 벽(91) 내지 제 8 벽(98)의 각각의 배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한, 탱크(9B)에 있어서, 수용부(68)와,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와, 연통실(77)의 배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2에서는, 대기 도입 밸브(65)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68)(오목부(101)) 내에 있어서 제 5 벽(95)에 설치된다. 제 5 벽(95)에는, 제 5 벽(95)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22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23)은, 제 5 벽(95)을 관통하고, 수용부(68)(오목부(101)) 내로부터 오목부(183) 내(도 13)에 이르고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68)(오목부(101))는 관통 구멍(223)을 거쳐서 오목부(183)에 통하고 있다. 또한, 수용부(68)(오목부(101))는 관통 구멍(223)을 거쳐서 탱크(9B)의 외측에 통하고 있다.
수용부(68)(오목부(101)) 내의 제 5 벽(95)에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225)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225)는 제 5 벽(95)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축부(225)의 주위에 관통 구멍(223)이 설치되어 있다. 축부(225)에 대기 도입 밸브(65)의 관통 구멍(159)이 삽입된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관통 구멍(223)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대기 도입 밸브(65)의 관통 구멍(159)을 축부(225)에 삽입하면,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관통 구멍(223)이 폐쇄된다.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 탱크(9B)의 외부와 수용부(68)와의 사이에 연통 상태가 차단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연통실(77)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8 벽(98)에 설치되어 있다. 제 8 벽(98)에는, 제 8 벽(98)보다 Z축 방향으로 연장된 벽(147)이 설치되어 있다. 벽(147)에는, 연통실(77)을 둘러싸는 주위 벽(149)이 설치되어 있다. 주위 벽(149)은 벽(147)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위 벽(149)과 벽(147)에 의해서 오목부(151)가 형성된다. 주위 벽(149)의 Z축 방향측의 단부가, 전술한 접합부(66)로서 설정되어 있다. 오목부(151)(연통실(77)) 내에는, 벽(147)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227)과, 관통 구멍(229)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227)은 홈(127)(제 2 연통로(75))에 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229)은 홈(129)(제 3 연통로(76))에 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가 연통실(77)을 거쳐서 서로 연통한다.
연통실(77)(오목부(151)) 내에는, 축부(231)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231)는 벽(147)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축부(231)의 벽(147)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주위 벽(149)의 벽(147)으로부터의 돌출량보다 작다. 이 때문에, 축부(231)는 오목부(151) 내에 수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부(231)의 주위에 관통 구멍(22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기 개방 밸브(221)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233)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51)(도 16) 내의 축부(231)에는, 대기 개방 밸브(221)(도 13)의 관통 구멍(233)이 삽입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는 관통 구멍(229)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대기 개방 밸브(221)의 관통 구멍(233)을 축부(231)에 삽입하면,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관통 구멍(229)이 폐쇄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 대기 연통구(181)와 수용부(68)와의 사이에 연통 상태가 차단된다. 탱크(9B)에서는, 대기 개방 밸브(221)가 연통실(77)과 제 3 연통로(7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9B)에서는, 연통부(69)는,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제 1 연통부(78)(도 14)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에서 폐쇄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는 연통실(77) 내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9B)에서는, 연통실(77)이 제 2 연통부(79)에 포함된다. 이 때문에, 제 1 연통부(78)(도 14)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는,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제 2 연통부(79)측에서 폐쇄되어 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탱크(9B)에 있어서도, 탱크(9B)를 시트 부재(63)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인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68) 내의 잉크(195)는 공급구(177)로부터 인쇄 헤드(47)에 공급된다. 인쇄 헤드(47)에 의한 인쇄에 따라 수용부(68) 내의 잉크(195)가 인쇄 헤드(47)측으로 보내진다. 이 때문에, 인쇄 헤드(47)에 의한 인쇄에 따라서,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진다.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 대기 도입 밸브(65) 및 관통 구멍(223)을 XZ 평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인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기 도입 밸브(65)가, 수용부(68) 내의 압력과 대기압과의 차이에 의해서, 제 5 벽(95)측으로부터 수용부(68)의 내측을 향해서 튄다. 이것에 의해, 관통 구멍(223)이 개방되고, 탱크(9B)의 외부와 수용부(68)의 내부와의 사이가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탱크(9B)의 외부의 대기가 관통 구멍(223)을 통해서 수용부(68) 내에 보내진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워지면, 대기 도입 밸브(65)는 탄성에 의해서 변형이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워지면, 관통 구멍(223)이 폐쇄된다.
실시예 2에서는,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져도, 연통실(77)(도 16) 내의 압력이 제 3 연통로(76) 내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대기 개방 밸브(221)(도 13)에는, 제 3 연통로(76)측을 향해서, 즉 벽(147)측을 향해서 압압되는(인장되는) 힘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탱크(9B)에서는,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져도, 관통 구멍(229)이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가 유지된다.
반대로,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면, 연통실(77) 내의 압력이 제 3 연통로(76) 내의 압력보다 낮기 때문에, 대기 개방 밸브(221)는,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와의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서, 제 3 연통로(76)측으로부터 제 2 연통로(75)측을 향해서 튄다. 이것에 의해, 관통 구멍(229)이 개방되고, 제 3 연통로(76)와 연통실(77)과의 사이가 연통한다. 이 결과, 제 2 연통부(79)와 제 1 연통부(78)와의 사이가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대기가 관통 구멍(229)으로부터 제 1 연통부(78)를 통해서 탱크(9B)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워지면, 대기 개방 밸브(221)는 탄성에 의해서 변형이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워지면, 관통 구멍(229)이 폐쇄된다. 또한,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환경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환경 온도가 상승하면, 수용부(68) 내의 대기나 잉크가 팽창하는 일이 있으므로,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높아지는 일이 있다.
실시예 2에 있어서, 케이스(61B)가 하우징에 대응하고, 시트 부재(63)가 밀봉 부재에 대응하고, 수용부(68)가 액체 수용부에 대응하고, 잉크 주입부(115)의 개구(191)가 주입구에 대응하고, 대기 연통구(181)가 대기 도입 개구에 대응하고, 연통부(69)가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1 연통부(78)가 제 1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2 연통부(79)가 제 2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에서는, 수용부(68)와 탱크(9B)의 외부와의 사이에 대기 도입 밸브(65)가 설치되어 있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수용부(68) 내로부터 관통 구멍(223)을 거쳐서 탱크(9B)의 외부에 대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문에, 대기 도입 밸브(65)는 수용부(68) 내로부터 관통 구멍(223)을 거쳐서 탱크(9B)의 외부에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이동하는 것도 방지한다. 즉, 예를 들면,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관통 구멍(223)으로부터 탱크(9B)의 외부로 누출될 것 같게 되어도 관통 구멍(223)으로부터 탱크(9B)의 외부로 누출될 것 같게 된 잉크가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탱크(9B)의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수용부(68)와 대기 연통구(181)와의 사이에 대기 개방 밸브(2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졌을 경우에, 수용부(68) 내의 대기를 연통부(69)를 거쳐서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탱크(9C)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3은, 대기 도입 밸브(65)의 위치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3에 있어서,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탱크(9C)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의 일례인 케이스(61C)와, 시트 부재(63)와, 시트 부재(64)와, 대기 도입 밸브(65)와, 대기 개방 밸브(22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61C)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63), 시트 부재(64), 대기 도입 밸브(65), 및 대기 개방 밸브(221)는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스(61C)에는,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접합부(67)와, 접합부(66)가 설치되어 있다. 접합부(67)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고, 접합부(66)에 시트 부재(64)가 접합되어 있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수용부(68) 내에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3에서는, 대기 도입 밸브(65)는 제 5 벽(95) 중 Z축으로 따라 제 3 대기실(74)과 겹쳐지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탱크(9C)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68)와, 연통부(69)를 구비하고 있다. 연통부(69)는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와, 연통실(77)을 구비하고 있다. 탱크(9C)에 있어서도, 연통부(69)는 제 1 연통부(78)와, 제 2 연통부(79)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탱크(9C)에서는, 제 1 연통부(78)에,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와, 연통실(77)이 포함된다. 그리고, 제 2 연통부(79)에는, 제 3 연통로(76)가 포함된다. 탱크(9C)에 있어서도, 수용부(68) 내에 잉크가 수용된다. 또한, 도 20에서는,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탱크(9C)를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케이스(61C)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 1 벽(91)과,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 제 4 벽(94)과, 제 5 벽(95)과, 제 6 벽(96)과, 제 7 벽(97)과, 제 8 벽(98)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61C)에 있어서, 제 1 벽(91) 내지 제 8 벽(98)의 각각의 배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한, 탱크(9C)에 있어서, 수용부(68)와,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와, 연통실(77)과의 배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에서는, 대기 도입 밸브(65)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68)(오목부(101)) 내에 있어서 제 5 벽(95)에 설치된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제 5 벽(95) 중 Z축에 따라 제 3 대기실(74)과 겹쳐지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제 5 벽(95) 중 Z축에 따라 제 3 대기실(74)과 겹쳐지는 영역에는, 제 5 벽(95)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23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35)은 제 5 벽(95)을 관통하고, 수용부(68)(오목부(101)) 내로부터 제 3 대기실(74) 내에 이르고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68)(오목부(101))는 관통 구멍(235)을 거쳐서 제 3 대기실(74)에 통하고 있다. 또한, 수용부(68)(오목부(101))는 관통 구멍(235)을 거쳐서 제 1 연통부(78)(도 20)에 통하고 있다. 제 1 연통부(78)는 대기 연통구(181)(도 19)를 거쳐서 탱크(9C)의 외부에 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68)(오목부(101))는 관통 구멍(235)으로부터 제 1 연통부(78) 및 대기 연통구(181)를 거쳐서 탱크(9C)의 외부에 통한다.
수용부(68)(오목부(101)) 내의 제 5 벽(95)에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237)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237)는 제 5 벽(95)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축부(237)의 주위에 관통 구멍(235)이 설치되어 있다. 축부(237)에 대기 도입 밸브(65)의 관통 구멍(159)이 삽입된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관통 구멍(235)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대기 도입 밸브(65)의 관통 구멍(159)을 축부(237)에 삽입하면,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관통 구멍(235)이 폐쇄된다.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 제 1 연통부(78)와 수용부(68)와의 사이에 연통 상태가 차단된다.
연통실(77)의 구성은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연통실(77) 내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관통 구멍(227)과, 관통 구멍(22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3에 있어서도,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가 연통실(77)을 거쳐서 서로 연통한다.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연통실(77)(오목부(151)) 내에, 축부(231)(도 19)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231)에, 대기 개방 밸브(221)(도 19)의 관통 구멍(233)이 삽입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의 관통 구멍(233)을 축부(231)에 삽입하면,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관통 구멍(229)이 폐쇄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 대기 연통구(181)와 수용부(68)와의 사이에 연통 상태가 차단된다. 탱크(9C)에서는, 대기 개방 밸브(221)가 연통실(77)과 제 3 연통로(7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9C)에서는, 연통부(69)는,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제 1 연통부(78)(도 20)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에서 폐쇄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는 연통실(77) 내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9C)에서는, 연통실(77)이 제 2 연통부(79)에 포함된다. 이 때문에, 제 1 연통부(78)(도 20)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는,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제 2 연통부(79)측으로부터 폐쇄되어 있다.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 도 21에 도시하는 대기 도입 밸브(65)는, 수용부(68) 내의 압력과 대기압과의 차이에 의해서, 제 5 벽(95)측으로부터 수용부(68)의 내측을 향해서 튄다. 이것에 의해, 관통 구멍(223)이 개방되고, 제 3 대기실(74)과 수용부(68)의 내부와의 사이가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제 3 대기실(74) 내의 대기가 관통 구멍(223)을 통해서 수용부(68) 내에 보내진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워지면, 대기 도입 밸브(65)는 탄성에 의해서 변형이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워지면, 관통 구멍(223)이 폐쇄된다.
실시예 3에 있어서, 케이스(61C)가 하우징에 대응하고, 시트 부재(63)가 밀봉 부재에 대응하고, 수용부(68)가 액체 수용부에 대응하고, 잉크 주입부(115)의 개구(191)가 주입구에 대응하고, 대기 연통구(181)가 대기 도입 개구에 대응하고, 연통부(69)가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1 연통부(78)가 제 1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2 연통부(79)가 제 2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 3에 있어서도,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탱크(9D)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4에 있어서,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탱크(9D)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1D)와, 시트 부재(63)와, 대기 도입 밸브(65)와, 대기 개방 밸브(22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61D)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탱크(9D)는 케이스(61D)와, 시트 부재(63)를 접합한 구성을 갖고 있다. 케이스(61D)에는, 접합부(67)가 설치되어 있다. 도 22에서는, 구성을 알기 쉽게 나타내 보이기 위해서, 접합부(67)에 해칭이 실시되어 있다. 케이스(61D)의 접합부(67)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착에 의해서 케이스(61D)와 시트 부재(63)가 접합되어 있다.
탱크(9D)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68)와, 연통부(69)를 구비하고 있다. 연통부(69)는 제 1 대기실(251)과, 제 1 연통로(253)와, 제 2 대기실(255)과, 제 3 대기실(257)과, 제 2 연통로(25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3에서는,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탱크(9D)를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시트 부재(63) 넘어로 케이스(61D)가 도시되어 있다. 수용부(68)와, 제 1 대기실(251)과, 제 1 연통로(253)와, 제 2 대기실(255)과, 제 3 대기실(257)과, 제 2 연통로(259)는, 접합부(67)에 의해서 서로 나누어지고 있다. 탱크(9D)에 있어서도, 연통부(69)는 제 1 연통부(78)와, 제 2 연통부(79)로 구분될 수 있다. 탱크(9D)에서는, 제 1 연통부(78)에는, 제 1 대기실(251)과, 제 1 연통로(253)와, 제 2 대기실(255)이 포함된다. 제 2 연통부(79)에는, 제 3 대기실(257)과, 제 2 연통로(259)가 포함된다.
케이스(61D)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 1 벽(91) 내지 제 8 벽(98)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벽(91) 내지 제 8 벽(98)의 배치 개소는, 각각,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또한, 케이스(61D)는 제 9 벽(261)과, 제 10 벽(262)과, 제 11 벽(263)과, 제 12 벽(264)과, 제 13 벽(265)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대기실(251)과, 제 1 연통로(253)와, 제 2 대기실(255)과, 제 3 대기실(257)은 제 5 벽(95)보다 수용부(68)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벽(91)을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수용부(68)는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 제 4 벽(94)과, 제 5 벽(95)과, 제 9 벽(261)과, 제 10 벽(262)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또한, 제 1 벽(91)을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제 1 대기실(251)과, 제 1 연통로(253)와, 제 2 대기실(255)과, 제 3 대기실(257)이, 제 5 벽(95)과, 제 6 벽(96)과, 제 7 벽(97)과, 제 8 벽(98)과, 제 9 벽(261)과, 제 10 벽(262)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또한, 수용부(68)의 제 1 벽(91)과, 제 1 대기실(251), 제 2 대기실(255) 및 제 3 대기실(257)의 제 1 벽(91)은 서로 동일한 벽이다. 즉, 수용부(68)와, 제 1 대기실(251)과, 제 2 대기실(255)과, 제 3 대기실(257)이 서로 제 1 벽(91)을 공유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61D)에는, 잉크 주입부(115), 공급구(177), 및 대기 연통구(181)가 설치되어 있다. 잉크 주입부(115), 공급구(177), 및 대기 연통구(181)의 배치 개소는, 각각,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제 9 벽(261)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5 벽(95)보다 수용부(68)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 9 벽(261)은 제 5 벽(95)보다 Z축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제 9 벽(261)은 제 4 벽(94)에 대치하고 있다. 제 2 벽(92)은 제 4 벽(94) 및 제 9 벽(261)의 각각에 교차하고 있다. 제 10 벽(262)은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0 벽(262)은 제 2 벽(92)에 대치하고 있다. 제 10 벽(262)은 제 5 벽(95) 및 제 9 벽(261)의 각각에 교차하고 있다.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 제 4 벽(94)과, 제 5 벽(95)과, 제 9 벽(261)과, 제 10 벽(262)은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벽(91)을 주벽으로 해서, 주벽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 제 4 벽(94)과, 제 5 벽(95)과, 제 9 벽(261)과, 제 10 벽(262)에 의해서 오목부(271)가 구성된다. 오목부(271)는 Y축 방향을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목부(271)는 -Y축 방향을 향해서, 즉 시트 부재(63)(도 22)측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환언하면, 오목부(271)는 Y축 방향을 향해서, 즉 시트 부재(63)(도 22)측과는 반대측에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61D)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면, 오목부(271)가 시트 부재(63)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고, 수용부(68)가 구성된다. 또한, 제 1 벽(91) 내지 제 8 벽(98), 제 9 벽(261) 및 제 10 벽(262)은, 각각, 평탄한 벽에 한정되지 않고, 요철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제 6 벽(96)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9 벽(261)으로부터, 제 9 벽(261)의 제 4 벽(94)측과는 반대측, 즉 제 9 벽(261)의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7 벽(97)은, 제 5 벽(95)으로부터, 제 5 벽(95)의 제 4 벽(94)측과는 반대측, 즉 제 5 벽(95)의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6 벽(96)과, 제 7 벽(97)은, 제 1 대기실(251)과, 제 1 연통로(253)와, 제 2 대기실(255)과, 제 3 대기실(257)을 X축으로 따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8 벽(98)은, 제 1 대기실(251)과, 제 1 연통로(253)와, 제 2 대기실(255)과, 제 3 대기실(257)을 Z축으로 따라 사이에 두고 제 5 벽(95) 및 제 9 벽(261)에 대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6 벽(96)은 제 9 벽(261) 및 제 8 벽(98)의 각각에 교차하고 있다. 제 7 벽(97)은 제 5 벽(95) 및 제 8 벽(98)의 각각에 교차하고 있다.
제 6 벽(96)과 제 7 벽(97)과의 사이에는, 제 11 벽(263)과 제 12 벽(264)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대기실(251)과 제 2 대기실(255)과의 사이는, 제 11 벽(263) 및 제 12 벽(264)에 의해서 X축 방향으로 멀어지고 있다. 제 11 벽(263)은 제 6 벽(96)보다 제 7 벽(97)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 6 벽(96)에 대향하고 있다. 제 12 벽(264)은 제 7 벽(97)보다 제 6 벽(96)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 7 벽(97)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제 12 벽(264)은 제 11 벽(263)보다 제 7 벽(97)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 13 벽(265)은 제 5 벽(95)과 제 8 벽(98)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 2 대기실(255)과 제 3 대기실(257)과의 사이를 분할하고 있다. 또한, 제 13 벽(265)은 제 12 벽(264)과 제 7 벽(97)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 12 벽(264)과 제 7 벽(97)과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제 13 벽(265)은 제 1 벽(91), 제 12 벽(264) 및 제 7 벽(97)의 각각에 교차하고 있다.
제 6 벽(96)과, 제 7 벽(97)과, 제 8 벽(98)과, 제 11 벽(263)과, 제 12 벽(264)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6 벽(96)과, 제 9 벽(261)과, 제 11 벽(263)과, 제 8 벽(98)에 의해서 오목부(272)가 구성된다. 또한,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5 벽(95)과, 제 7 벽(97)과, 제 13 벽(265)과, 제 12 벽(264)에 의해서 오목부(273)가 구성된다. 또한,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13 벽(265)과, 제 7 벽(97)과, 제 8 벽(98)과, 제 12 벽(264)에 의해서 오목부(274)가 구성된다.
오목부(272), 오목부(273) 및 오목부(274)는, 각각, -Y축 방향을 향해서, 즉 시트 부재(63)(도 22)측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환언하면, 오목부(272), 오목부(273) 및 오목부(274)는, 각각, Y축 방향을 향해서, 즉 시트 부재(63)(도 22)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61D)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면, 오목부(272)가 시트 부재(63)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고, 제 1 대기실(251)이 구성된다. 케이스(61D)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면, 오목부(274)가 시트 부재(63)에 의해서 폐쇄되어서 제 2 대기실(255)이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케이스(61D)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면, 오목부(273)가 시트 부재(63)에 의해서 폐쇄되어 제 3 대기실(257)이 구성된다. 또한, 제 2 벽(92) 내지 제 8 벽(98), 제 9 벽(261) 내지 제 13 벽(265)의 제 1 벽(91)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서로 동일한 돌출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 1 연통로(253)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1 벽(263)과 제 12 벽(264)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제 1 대기실(251)과 제 2 대기실(255)을 연통시키고 있다. 제 2 연통로(259)는 수용부(68), 제 1 대기실(251), 제 1 연통로(253), 제 2 대기실(255) 및 제 3 대기실(257)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연통로(259)는 제 3 대기실(257)과 수용부(68)를 연통시키고 있다. 제 11 벽(263)에는, 연통구(277)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대기실(251)은 연통구(277)를 거쳐서 제 1 연통로(253)에 통하고 있다. 또한, 제 12 벽(264)에는, 연통구(279)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대기실(255)은 연통구(279)를 거쳐서 제 1 연통로(253)에 통하고 있다. 제 1 연통로(253)는 사행하고 있다. 제 1 대기실(251)은 제 1 연통로(253)를 거쳐서 사행하고 나서 제 2 대기실(255)에 통한다.
제 13 벽(265)에는, 도 24 중의 B부의 확대도인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281)과, 관통 구멍(283)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281)과, 관통 구멍(283)은, 각각, 제 13 벽(265)을 관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2 대기실(255)과 제 3 대기실(257)이 관통 구멍(281) 및 관통 구멍(283)의 각각을 거쳐서 통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61D)에도,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연장부(123)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61D)에 있어서, 제 2 연통로(259)는 연장부(123)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61D)에 있어서, 연장부(123)는 부위(123A)와, 부위(123B)와, 부위(123C)와, 부위(123D)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연통로(259)는, 연장부(123)에, 시트 부재(63)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홈(127)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 2 연통로(259)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구(141)와, 연통구(143)를 구비하고 있다. 연통구(141)는 제 3 대기실(257)의 내측을 향해서 개구하는 개구부이다. 연통구(143)는 수용부(68)의 내측을 향해서 개구하는 개구부이다. 제 3 대기실(257)은 연통구(141)로부터 제 2 연통로(259)를 거쳐서 연통구(143)를 거쳐 수용부(68)에 통하고 있다. 상기에 의해, 수용부(68)는, 제 2 연통로(259), 제 3 대기실(257), 제 2 대기실(255), 제 1 연통로(253), 제 1 대기실(251), 및 대기 연통구(181)를 거쳐서 탱크(9D)의 외부에 통한다. 또한, 탱크(9D)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제 2 연통로(259)는, 제 1 통로(201)와, 제 2 통로(202)와, 제 3 통로(203)와, 제 4 통로(204)와, 제 5 통로(205)와, 제 6 통로(206)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탱크(9D)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반전부(211) 및 반전부(215)의 각각에 있어서, 유로의 방향이 반전한다. 또한, 굴곡부(212), 굴곡부(213), 및 굴곡부(214)의 각각에 있어서, 유로의 방향이 굴곡한다.
제 13 벽(265)에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285)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285)는 제 2 대기실(255)에 설치되어 있고, 제 13 벽(265)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축부(285)의 주위에 관통 구멍(283)이 설치되어 있다. 축부(285)에 대기 개방 밸브(221)의 관통 구멍(233)(도 22)이 삽입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는 관통 구멍(283)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대기 개방 밸브(221)의 관통 구멍(233)을 축부(285)에 삽입하면,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관통 구멍(283)이 폐쇄된다.
또한, 제 13 벽(265)에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287)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287)는 제 3 대기실(257)에 설치되어 있고, 제 13 벽(265)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축부(287)의 주위에 관통 구멍(281)(도 25)이 설치되어 있다. 축부(287)에 대기 도입 밸브(65)의 관통 구멍(159)(도 22)이 삽입된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관통 구멍(281)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대기 도입 밸브(65)의 관통 구멍(159)을 축부(287)에 삽입하면,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관통 구멍(281)이 폐쇄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 및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 제 2 대기실(255)과 제 3 대기실(257)과의 사이에서 연통 상태가 차단되어 있다. 탱크(9D)에서는, 대기 도입 밸브(65) 및 대기 개방 밸브(221)가 제 2 대기실(255)과 제 3 대기실(257)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9D)에서는, 연통부(69)는, 대기 도입 밸브(65) 및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제 1 연통부(78)(도 23)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에서 폐쇄된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제 3 대기실(257) 내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9D)에서는, 제 3 대기실(257)이 제 2 연통부(79)에 포함된다. 이 때문에, 제 1 연통부(78)(도 23)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는,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제 2 연통부(79)측에서 폐쇄되어 있다. 대기 개방 밸브(221)는 제 2 대기실(255) 내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9D)에서는, 제 2 대기실(255)이 제 1 연통부(78)에 포함된다. 이 때문에, 제 1 연통부(78)(도 23)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는,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제 1 연통부(78)측에서 폐쇄되어 있다. 또한, 대기 도입 밸브(65) 및 대기 개방 밸브(221)의 동작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각각과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 대기 도입 밸브(65)가 개방되고, 탱크(9D)의 외부의 대기가 제 2 대기실(255) 내로부터 관통 구멍(281)을 거쳐서 제 3 대기실(257) 내에 유입한다. 제 3 대기실(257) 내에 유입한 대기는 제 2 연통로(259)를 거쳐서 수용부(68) 내에 유입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또한,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면, 대기 개방 밸브(221)가 개방되고, 수용부(68) 내의 대기가 제 3 대기실(257) 내로부터 관통 구멍(283)을 거쳐서 제 2 대기실(255)에 유출한다. 제 2 대기실(255)에 유출한 대기는 제 1 연통로(253), 및 제 1 대기실(251)을 거쳐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탱크(9D)의 외부에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연통구(143)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한 마크(28)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한 마크(28)는 제 5 벽(95)보다 연직 방향으로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한 마크(28)는 잉크 주입부(115)의 개구(191)보다 연직 방향으로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가 잉크를 잉크 주입부(115)로부터 탱크(9D) 내에 주입할 경우에, 잉크가 상한 마크(28)를 넘어 개구(191)까지 달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잉크를 잉크 주입부(115)로부터 탱크(9D) 내에 주입할 경우에, 잉크가 잉크 주입부(115)로부터 흘러 넘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9 벽(261)은 제 5 벽(95)보다 수용부(68)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 9 벽(261)은, Z축 방향에 있어서, 제 5 벽(95)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연통구(143)는 제 2 벽(92)과 제 9 벽(261)이 교차하는 교차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연통구(143)는, Z축 방향에 있어서, 제 5 벽(95)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잉크 주입부(115)의 개구(191)(도 9)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제 5 벽(95)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연통구(143)는, Z축 방향에 있어서, 개구(191)(도 9)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실시예 4에 있어서, 케이스(61D)가 하우징에 대응하고, 시트 부재(63)가 밀봉 부재에 대응하고, 수용부(68)가 액체 수용부에 대응하고, 잉크 주입부(115)의 개구(191)가 주입구에 대응하고, 대기 연통구(181)가 대기 도입 개구에 대응하고, 연통부(69)가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1 연통부(78)가 제 1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2 연통부(79)가 제 2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 4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각각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에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9 벽(261)이 제 5 벽(95)보다 제 8 벽(98)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관점에서는, 제 9 벽(261)은 제 5 벽(95)보다 연직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 9 벽(261)의 제 4 벽(94)으로부터의 높이는 제 5 벽(95)의 제 4 벽(94)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다. 제 9 벽(261)과 제 5 벽(95)과의 사이에는, 제 10 벽(26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수용부(68)에는, 오목부(289)가 구성된다. 오목부(289)는 제 5 벽(95)보다 제 8 벽(98)측에 향해서, 즉 제 5 벽(95)보다 Z축 방향을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289)에 있어서, 제 10 벽(262)에 대면하는 위치에, 연통구(1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통구(143)는 제 5 벽(95)보다 제 9 벽(261)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관점에서는, 연통구(143)는 제 5 벽(95)보다 연직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 주입부(115)의 개구(191)(도 9)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제 5 벽(95)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통구(143)는, Z축 방향에 있어서, 개구(191)(도 9)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연통구(143)에 도달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제 2 연통로(259) 내에 유입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이 결과,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제 2 대기실(255)에 도달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제 2 대기실(255)로부터 제 1 연통로(253) 및 제 1 대기실(251)을 거쳐서 탱크(9D)의 외부로 누설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주입부(115)로부터의 잉크의 주입에 있어서, 탱크(9D) 내에서의 잉크의 액면이 제 5 벽(95)에 도달해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잉크의 액면이 제 5 벽(95)에 도달하면, 잉크 주입부(115)의 개구(191)에 잉크가 달한다. 탱크(9D)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오목부(289)에 대기의 공간이 유지된다. 그리고, 주입후에 캡(197)을 실시하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높게 되고, 오목부(289)에 있어서 잉크의 액면이 상승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탱크(9D)에서는, 이러한 일이 발생해도, 오목부(289)에 대기의 공간이 있으므로, 상승한 액면이 연통구(143)에 도달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비교하여,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연통구(143)로부터 제 2 연통로(259) 내에 유입하는 것을 한층 억제하기 쉽다. 이 결과,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탱크(9D)의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한층 회피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289)의 용적은 잉크 주입부(115)의 측벽(193)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 중 캡(197)이 끼워맞춰지는 용적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측벽(193)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에 가득 잉크가 채워진 상태로 캡(197)이 장착되어도, 캡(197)에 의해서 수용부(68) 내에 압입된 잉크의 양을 오목부(289)의 용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 이 결과, 측벽(193)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에 가득 잉크가 채워져도,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연통구(143)에 도달하기 어렵다. 따라서,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연통구(143)로부터 제 2 연통로(259) 내에 유입하는 것을 한층 억제하기 쉽다. 이 결과,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탱크(9D)의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한층 회피하기 쉽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 있어서의 탱크(9E)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5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각각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각각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탱크(9E)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1E)와, 시트 부재(63)와, 대기 도입 밸브(65)와, 대기 개방 밸브(22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61E)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탱크(9E)는 케이스(61E)와 시트 부재(63)를 접합한 구성을 갖고 있다. 케이스(61E)에는, 접합부(67)가 설치되어 있다. 도 27에서는, 구성을 알기 쉽게 나타내 보이기 위해, 접합부(67)에 해칭이 실시되어 있다. 케이스(61E)의 접합부(67)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착에 의해서 케이스(61E)와 시트 부재(63)가 접합되어 있다.
탱크(9E)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68)와 연통부(69)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9E)의 연통부(69)에서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탱크(9D)의 대기 연통부(179)와, 대기 연통구(181)와, 제 1 대기실(251)과, 제 1 연통로(253)와, 제 13 벽(265)이 생략되어 있다. 탱크(9E)에서는, 연통부(69)는 대기실(291)과, 제 2 연통로(25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8에서는,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탱크(9E)를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시트 부재(63) 넘어로 케이스(61E)가 도시되어 있다. 수용부(68)와, 대기실(291)과, 제 2 연통로(259)는 접합부(67)에 의해서 서로 분할되어 있다.
제 5 벽(95)의 수용부(68)측과는 반대측에, 대기실(291)과, 제 2 연통로(259)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벽(91)을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수용부(68)는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 제 4 벽(94)과, 제 5 벽(95)과, 제 9 벽(261)과, 제 10 벽(262)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제 1 벽(91)을 주벽으로 해서, 주벽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 제 4 벽(94)과, 제 5 벽(95)과, 제 9 벽(261)과, 제 10 벽(262)에 의해서 오목부(271)가 구성된다. 케이스(61E)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면, 오목부(271)가 시트 부재(63)에 의해서 폐쇄되어서, 수용부(68)가 구성된다.
제 7 벽(97)과, 제 8 벽(98)과, 제 12 벽(264)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5 벽(95)과, 제 7 벽(97)과, 제 8 벽(98)과, 제 12 벽(264)에 의해서 오목부(293)가 구성된다. 오목부(293)는, -Y축 방향을 향해서, 즉 시트 부재(63)(도 27)측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케이스(61E)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면, 오목부(293)가 시트 부재(63)에 의해서 폐쇄되어 대기실(291)이 구성된다.
대기실(291)(오목부(293)) 내의 제 1 벽(91)에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295)과, 관통 구멍(297)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95)과, 관통 구멍(297)은, 각각, 제 1 벽(91)을 관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기실(291) 내와 탱크(9E)의 외부가 관통 구멍(295) 및 관통 구멍(297)의 각각을 거쳐서 통하고 있다.
제 2 연통로(259)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68), 대기실(291)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연통로(259)는 대기실(291)과 수용부(68)를 연통시키고 있다. 케이스(61E)에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연장부(123)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61E)에 있어서, 제 2 연통로(259)는 연장부(123)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61E)에 있어서도, 연장부(123)는 부위(123A)와, 부위(123B)와, 부위(123C)와, 부위(123D)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연통로(259)는, 연장부(123)에, 시트 부재(63)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홈(127)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 2 연통로(259)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구(141)와, 연통구(143)를 구비하고 있다. 연통구(141)는 대기실(291)의 내측을 향해서 개구하는 개구부이다. 연통구(143)는 수용부(68)의 내측을 향해서 개구하는 개구부이다. 대기실(291)은, 연통구(141)로부터 제 2 연통로(259)를 거쳐서 연통구(143)를 거쳐 수용부(68)에 통하고 있다. 상기에 의해, 수용부(68)는 제 2 연통로(259), 및 대기실(291)을 거쳐서 탱크(9E)의 외부에 통한다. 또한, 탱크(9E)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제 2 연통로(259)는 제 1 통로(201)와, 제 2 통로(202)와, 제 3 통로(203)와, 제 4 통로(204)와, 제 5 통로(205)와, 제 6 통로(206)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탱크(9E)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반전부(211) 및 반전부(215)의 각각에 있어서, 유로의 방향이 반전한다. 또한, 굴곡부(212), 굴곡부(213), 및 굴곡부(214)의 각각에 있어서, 유로의 방향이 굴곡한다.
제 1 벽(91) 중 대기실(291)과 겹쳐지는 영역에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299)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299)는 대기실(291) 내에 설치되어 있고,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즉 제 1 벽(91)으로부터 시트 부재(63)(도 27측에 향해 돌출되어 있다. 축부(299)의 주위에 관통 구멍(295)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295)은 제 1 벽(91)을 관통하고 있다. 축부(299)에 대기 도입 밸브(65)의 관통 구멍(159)(도 27)이 삽입된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관통 구멍(295)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대기 도입 밸브(65)의 관통 구멍(159)을 축부(299)에 삽입하면,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관통 구멍(295)이 폐쇄된다.
또한, 제 1 벽(91)의 대기실(291)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제 1 벽(91) 중 대기실(291)과 겹쳐지는 영역에는,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301)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301)는,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즉 제 1 벽(91)으로부터 시트 부재(63)측과는 반대측에 향해 돌출되어 있다. 축부(301)의 주위에 관통 구멍(297)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297)은 제 1 벽(91)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제 1 벽(91)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297)은 대기실(291)(도 28) 내에 통하고 있다. 또한, 제 1 벽(91)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295)도, 대기실(291)(도 28) 내에 통하고 있다. 축부(301)에 대기 개방 밸브(221)의 관통 구멍(233)이 삽입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는 관통 구멍(297)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대기 개방 밸브(221)의 관통 구멍(233)을 축부(301)에 삽입하면,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관통 구멍(297)이 폐쇄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 및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 탱크(9E)의 외부와 대기실(291)(도 28)과의 사이에서 연통 상태가 차단되어 있다. 또한, 제 1 벽(91)은 오목부(271) 및 오목부(293)를 밀봉하는 시트 부재(63)에 대향하는 벽이다. 이 때문에, 대기 개방 밸브(221) 및 대기 도입 밸브(65)는 시트 부재(63)에 대향하는 제 1 벽(91)에 설치되어 있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대기실(29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9E)의 외부와 대기실(291)과의 사이는,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대기실(291)측에서 폐쇄되어 있다. 대기 개방 밸브(221)는 탱크(9E)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9E)의 외부와 대기실(291)과의 사이는,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탱크(9E)의 외측으로부터 폐쇄되어 있다. 또한, 대기 도입 밸브(65) 및 대기 개방 밸브(221)의 동작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각각과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 대기 도입 밸브(65)가 개방되고, 탱크(9E)의 외부의 대기가 대기실(291) 내에 유입한다. 대기실(291) 내에 유입한 대기는 제 2 연통로(259)를 거쳐서 수용부(68) 내에 유입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또한,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면, 대기 개방 밸브(221)가 개방되고, 수용부(68) 내의 대기가 대기실(291)로부터 관통 구멍(297)을 거쳐서 탱크(9E)의 외부에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실시예 5에 있어서, 케이스(61E)가 하우징에 대응하고, 시트 부재(63)가 밀봉 부재에 대응하고, 수용부(68)가 액체 수용부에 대응하고, 잉크 주입부(115)의 개구(191)가 주입구에 대응하고, 대기 연통구(181)가 대기 도입 개구에 대응하고, 연통부(69)가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1 연통부(78)가 제 1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2 연통부(79)가 제 2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 5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각각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에서는, 대기 개방 밸브(221) 및 대기 도입 밸브(65)가 시트 부재(63)에 대향하는 제 1 벽(91)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케이스(61E)를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하는 경우, 오목부(293)나 오목부(271)는, 금형을 케이스(61E)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Y축으로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295)이나 관통 구멍(297)의 연재 방향이 금형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있는 것이, 성형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실시예 5에서는, 관통 구멍(295)이나 관통 구멍(297)의 연재 방향이 금형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있으므로, 케이스(61E)의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 있어서의 탱크(9F)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6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각각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각각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탱크(9F)는,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1F)와, 시트 부재(63)와, 대기 도입 밸브(65)와, 대기 개방 밸브(22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61F)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탱크(9F)는 케이스(61F)와 시트 부재(63)를 접합한 구성을 갖고 있다. 케이스(61F)에는, 접합부(67)가 설치되어 있다. 도 31에서는, 구성을 알기 쉽게 나타내 보이기 위해, 접합부(67)에 해칭이 실시되어 있다. 케이스(61F)의 접합부(67)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착에 의해서 케이스(61F)와 시트 부재(63)가 접합되어 있다.
탱크(9F)는,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68)와 연통부(69)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9F)의 연통부(69)에서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탱크(9D)의 대기 연통부(179)와, 대기 연통구(181)와, 제 13 벽(265)이 생략되어 있다. 탱크(9F)에서는, 연통부(69)는 제 1 대기실(251)과, 제 1 연통로(253)와, 제 2 대기실(303)과, 제 2 연통로(25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2에서는,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탱크(9F)를 본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시트 부재(63) 넘어로 케이스(61F)가 도시되어 있다. 수용부(68)와, 제 1 대기실(251)과, 제 1 연통로(253)와, 제 2 대기실(303)과, 제 2 연통로(259)는 접합부(67)에 의해서 서로 분할되어 있다.
제 5 벽(95)의 수용부(68)측과는 반대측에, 제 1 대기실(251)과, 제 1 연통로(253)와, 제 2 대기실(303)과, 제 2 연통로(259)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벽(91)을 시트 부재(63)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수용부(68)는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 제 4 벽(94)과, 제 5 벽(95)과, 제 9 벽(261)과, 제 10 벽(262)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제 1 벽(91)을 주벽으로 해서, 주벽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2 벽(92)과, 제 3 벽(93)과, 제 4 벽(94)과, 제 5 벽(95)과, 제 9 벽(261)과, 제 10 벽(262)에 의해서 오목부(271)가 구성된다. 케이스(61F)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면, 오목부(271)가 시트 부재(63)에 의해서 폐쇄되어, 수용부(68)가 구성된다.
제 7 벽(97)과, 제 8 벽(98)과, 제 12 벽(264)은,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5 벽(95)과, 제 7 벽(97)과, 제 8 벽(98)과, 제 12 벽(264)에 의해서 오목부(305)가 구성된다. 오목부(305)는, -Y축 방향을 향해서, 즉 시트 부재(63)(도 31)측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케이스(61F)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면, 오목부(305)가 시트 부재(63)에 의해서 폐쇄되어 제 2 대기실(303)이 구성된다.
제 2 대기실(303)(오목부(305)) 내의 제 1 벽(91)에는,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30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대기실(251)(오목부(272)) 내의 제 1 벽(91)에는, 관통 구멍(309)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07)과, 관통 구멍(309)은, 각각, 제 1 벽(91)을 관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2 대기실(303) 내와 탱크(9F)의 외부가, 관통 구멍(307)을 거쳐서 통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대기실(251) 내와 탱크(9F)의 외부가 관통 구멍(309)을 거쳐서 통하고 있다.
제 1 연통로(253)는 제 11 벽(263)과 제 12 벽(264)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제 1 대기실(251)과 제 2 대기실(303)을 연통시키고 있다. 제 2 연통로(259), 연통구(141), 연통구(143), 연장부(123), 및 홈(127)의 구성이나 배치는,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탱크(9F)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제 2 연통로(259)는,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통로(201)와, 제 2 통로(202)와, 제 3 통로(203)와, 제 4 통로(204)와, 제 5 통로(205)와, 제 6 통로(206)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탱크(9F)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반전부(211) 및 반전부(215)의 각각에 있어서, 유로의 방향이 반전한다. 또한, 굴곡부(212), 굴곡부(213), 및 굴곡부(214)의 각각에 있어서, 유로의 방향이 굴곡한다.
제 1 벽(91) 중 제 2 대기실(303)과 겹쳐지는 영역에는,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311)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311)는 제 2 대기실(303) 내에 설치되어 있고,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즉 제 1 벽(91)으로부터 시트 부재(63)(도 31)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축부(311)의 주위에 관통 구멍(307)이 설치되어 있다. 축부(311)에 대기 도입 밸브(65)의 관통 구멍(159)(도 31)이 삽입된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관통 구멍(307)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대기 도입 밸브(65)의 관통 구멍(159)을 축부(311)에 삽입하면,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관통 구멍(307)이 폐쇄된다.
또한, 제 1 벽(91)의 제 1 대기실(251)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제 1 벽(91) 중 제 1 대기실(251)과 겹쳐지는 영역에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313)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313)는, 제 1 벽(91)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즉 제 1 벽(91)으로부터 시트 부재(63)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축부(313)의 주위에 관통 구멍(309)이 설치되어 있다. 축부(313)에 대기 개방 밸브(221)의 관통 구멍(233)이 삽입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는 관통 구멍(309)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대기 개방 밸브(221)의 관통 구멍(233)을 축부(313)에 삽입하면,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관통 구멍(309)이 폐쇄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 및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 탱크(9F)의 외부와 대기실(291)(도 32)과의 사이에서 연통 상태가 차단되어 있다. 또한, 제 1 벽(91)은 오목부(271), 오목부(272), 및 오목부(305)를 밀봉하는 시트 부재(63)에 대향하는 벽이다. 이 때문에, 대기 개방 밸브(221) 및 대기 도입 밸브(65)는 시트 부재(63)에 대향하는 제 1 벽(91)에 설치되어 있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제 2 대기실(303)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9F)의 외부와 제 2 대기실(303)과의 사이는,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제 2 대기실(303)측에서 폐쇄되어 있다. 대기 개방 밸브(221)는 탱크(9F)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9F)의 외부와 제 1 대기실(251)과의 사이는,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탱크(9F)의 외측으로부터 폐쇄되어 있다. 또한, 대기 도입 밸브(65) 및 대기 개방 밸브(221)의 동작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각각과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 대기 도입 밸브(65)가 개방되고, 탱크(9F)의 외부의 대기가 관통 구멍(307)으로부터 제 2 대기실(303) 내에 유입한다. 제 2 대기실(303) 내에 유입한 대기는 제 2 연통로(259)를 거쳐서 수용부(68) 내에 유입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또한,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면, 대기 개방 밸브(221)가 개방되고, 수용부(68) 내의 대기가 연통부(69)를 거쳐 관통 구멍(309)으로부터 탱크(9F)의 외부에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실시예 6에 있어서, 케이스(61F)가 하우징에 대응하고, 시트 부재(63)가 밀봉 부재에 대응하고, 수용부(68)가 액체 수용부에 대응하고, 잉크 주입부(115)의 개구(191)가 주입구에 대응하고, 대기 연통구(181)가 대기 도입 개구에 대응하고, 연통부(69)가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1 연통부(78)가 제 1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2 연통부(79)가 제 2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 6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각각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에서는, 대기 개방 밸브(221) 및 대기 도입 밸브(65)가 시트 부재(63)에 대향하는 제 1 벽(91)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케이스(61F)를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하는 경우, 오목부(293)나 오목부(271)는, 금형을 케이스(61F)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Y축으로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307)이나 관통 구멍(309)의 연재 방향이 금형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있는 것이, 성형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실시예 6에서는, 관통 구멍(307)이나 관통 구멍(309)의 연재 방향이 금형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있으므로, 케이스(61F)의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 있어서의 탱크(9G)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7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각각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각각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탱크(9G)는,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의 일례인 케이스(61G)로 시트 부재(63)와, 시트 부재(64)와, 대기 도입 밸브(65)와, 대기 개방 밸브(22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61G)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9G)는, 연통실(77)이 제 1 연통실(315)과 제 2 연통실(317)로 분할되고, 또한 제 2 연통실(317) 내에 대기 개방 밸브(22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탱크(9A)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케이스(61G)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접합부(67)와, 접합부(66)가 설치되어 있다. 접합부(67)에 시트 부재(63)가 접합되고, 접합부(66)에 시트 부재(64)가 접합되어 있다. 탱크(9G)는, 케이스(61G)와 시트 부재(63)를 접합하고, 또한 케이스(61G)와 시트 부재(64)를 접합한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제 1 연통실(315)과 제 2 연통실(317)과의 사이는, 접합부(66)에 의해서 서로 분할되어 있다.
연통실(77)은,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8 벽(98)에 설치되어 있다. 제 8 벽(98)에는, 제 8 벽(98)보다 Z축 방향으로 연장된 벽(147)이 설치되어 있다. 벽(147)에는, 연통실(77)을 둘러싸는 주위 벽(149)이 설치되어 있다. 주위 벽(149)은 벽(147)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벽(147)에는, 주위 벽(149)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연통실(77)을 제 1 연통실(315)과 제 2 연통실(317)로 분할하는 칸막이 벽(319)이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벽(319)은 벽(147)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위 벽(149)과 벽(147)과 칸막이 벽(319)에 의해서, 오목부(331)와 오목부(333)가 형성된다.
오목부(331) 및 오목부(333)는, 각각, Z축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환언하면, 오목부(331) 및 오목부(333)는, 각각,-Z축 방향을 향해서, 즉 제 5 벽(95)측을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위 벽(149) 및 칸막이 벽(319)의 Z축 방향측의 단부가 전술한 접합부(66)로서 설정되어 있다. 케이스(61G)의 접합부(66)에 시트 부재(64)(도 35)가 접합되면, 오목부(331) 및 오목부(333)가 시트 부재(64)에 의해서 폐쇄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연통실(315) 및 제 2 연통실(317)이 구성된다.
오목부(331)(제 1 연통실(315)) 내에는, 벽(147)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335)과, 관통 구멍(337)이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333)(제 2 연통실(317)) 내에는, 벽(147)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339)과, 관통 구멍(341)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335)과 관통 구멍(341)은 홈(127)(제 2 연통로(75))에 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337)과 관통 구멍(339)은 홈(129)(제 3 연통로(76))에 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가 제 1 연통실(315) 및 제 2 연통실(317)의 각각을 거쳐서 서로 연통한다. 즉,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는 제 1 연통실(315)을 거쳐서 서로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는 제 2 연통실(317)을 거쳐서 서로 연통하고 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탱크(9G)는,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68)와,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와, 제 3 연통로(76)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9G)에서는,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와, 제 2 연통실(317)이 제 1 연통부(78)에 포함된다. 제 1 연통실(315)과, 제 3 연통로(76)가 제 2 연통부(79)에 포함된다. 그리고, 제 1 연통부(78)와 제 2 연통부(79)가 연통부(69)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연통실(315)(오목부(331)) 내에는,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343)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343)는 벽(147)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축부(343)의 벽(147)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주위 벽(149) 및 칸막이 벽(319)의 벽(147)으로부터의 돌출량보다 작다. 이 때문에, 축부(343)는 오목부(331) 내에 수납되어 있다. 축부(343)의 주위에 관통 구멍(335)이 설치되어 있다. 축부(343)에 대기 도입 밸브(65)의 관통 구멍(159)(도 35)이 삽입된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관통 구멍(335)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대기 도입 밸브(65)의 관통 구멍(159)을 축부(343)에 삽입하면,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관통 구멍(335)이 폐쇄된다.
제 2 연통실(317)(오목부(333)) 내에는, 축부(345)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345)는 벽(147)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축부(345)의 벽(147)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주위 벽(149) 및 칸막이 벽(319)의 벽(147)으로부터의 돌출량보다 작다. 이 때문에, 축부(345)는 오목부(333) 내에 수납되어 있다. 축부(345)의 주위에 관통 구멍(339)이 설치되어 있다. 축부(345)에 대기 개방 밸브(221)의 관통 구멍(233)(도 35)이 삽입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는 관통 구멍(339)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대기 개방 밸브(221)의 관통 구멍(233)을 축부(345)에 삽입하면,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관통 구멍(339)이 폐쇄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 및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 대기 연통구(181)와 수용부(68)와의 사이에 연통 상태가 차단된다. 탱크(9G)에서는, 대기 도입 밸브(65)가 제 2 연통로(75)와 제 1 연통실(315)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9G)에서는, 연통부(69)는,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제 1 연통부(78)(도 37)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에서 폐쇄된다. 대기 도입 밸브(65)는 제 1 연통실(315)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연통실(315)은 제 2 연통부(79)에 포함된다. 이 때문에, 제 1 연통부(78)(도 37)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는, 대기 도입 밸브(65)에 의해서, 제 1 연통부(78)측에서 폐쇄되어 있다.
또한, 탱크(9G)에서는, 대기 개방 밸브(221)가 제 3 연통로(76)와 제 2 연통실(317)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9G)에서는, 연통부(69)는,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제 1 연통부(78)(도 37)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에서 폐쇄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는 제 2 연통실(317)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연통실(317)은 제 1 연통부(78)에 포함된다. 이 때문에, 제 1 연통부(78)(도 37)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는, 대기 개방 밸브(221)에 의해서, 제 2 연통부(79)측에서 폐쇄되어 있다. 또한, 대기 도입 밸브(65) 및 대기 개방 밸브(221)의 동작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각각과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 대기 도입 밸브(65)가 개방되어, 제 3 대기실(74) 내의 대기가, 제 2 연통로(75), 제 1 연통실(315), 및 제 3 연통로(76)를 통해서 수용부(68) 내에 유입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또한,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면, 대기 개방 밸브(221)가 개방되어, 수용부(68) 내의 대기가 제 3 연통로(76)로부터 제 1 연통부(78)를 통해서 탱크(9G)의 외부에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여기서, 제 1 연통부(78)와 제 2 연통부(79)와의 구획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연통로(75) 및 제 2 연통실(317)은 제 1 연통부(78)에 포함된다. 또한, 제 1 연통실(315) 및 제 3 연통로(76)는 제 2 연통부(79)에 포함된다. 제 1 연통실(315)을 구성하는 오목부(331), 및 제 2 연통실(317)을 구성하는 오목부(333)는,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벽(147)과, 주위 벽(149)과, 칸막이 벽(319)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제 2 연통로(75)의 홈(127), 및 제 3 연통로(76)의 홈(129)은, 각각, 제 8 벽(98)과, 구획 벽(145)과, 벽(147)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벽(147), 칸막이 벽(319), 및 구획 벽(145)은, 각각, 제 1 연통부(78)와 제 2 연통부(79)를 구획하는 벽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그리고, 칸막이 벽(319)은 벽(147)의 제 1 면(347)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면(347)은 벽(147)의 제 8 벽(98)측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또한, 구획 벽(145)은 벽(147)의 제 2 면(349)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면(349)은, 벽(147)의 제 8 벽(98)측의 면, 즉 벽(147)의 제 1 면(347)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구획 벽(145)은 제 8 벽(98)과 벽(147)과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연통로(75)의 홈(127)과, 제 3 연통로(76)의 홈(129)이 구획 벽(145)에 의해서 분할되어 있다.
대기 도입 밸브(65) 및 대기 개방 밸브(221)는,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벽(147)의 제 1 면(347)측에 설치된다. 또한, 대기 도입 밸브(65) 및 대기 개방 밸브(221)는, 각각, 제 1 연통부(78)(도 37)와 제 2 연통부(79)와의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서, Z축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연통로(75)로부터 제 1 연통실(315) 내에 유입하는 대기의 배향과, 제 3 연통로(76)로부터 제 2 연통실(317) 내에 유입하는 대기의 배향을, 제 2 면(349)측으로부터 제 1 면(347)측에 향하는 배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대기 도입 밸브(65)가 폐쇄되었을 때, 대기 도입 밸브(65)의 자중에 의해서 대기 도입 밸브(65)를 확실히 폐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기 개방 밸브(221)가 폐쇄되었을 때, 대기 개방 밸브(221)의 자중에 의해서 대기 개방 밸브(221)를 확실히 폐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실시예 7에 있어서, 케이스(61G)가 하우징에 대응하고, 시트 부재(63)가 밀봉 부재에 대응하고, 수용부(68)가 액체 수용부에 대응하고, 잉크 주입부(115)의 개구(191)가 주입구에 대응하고, 대기 연통구(181)가 대기 도입 개구에 대응하고, 연통부(69)가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1 연통부(78)가 제 1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2 연통부(79)가 제 2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벽(147)이 제 1 구획 벽에 대응하고, 칸막이 벽(319)이 제 2 구획 벽에 대응하고, 구획 벽(145)이 제 3 구획 벽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 7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각각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 있어서의 탱크(9H)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8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각각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각각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탱크(9H)는,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의 일례인 케이스(61H)와, 시트 부재(63)와 시트 부재(64)와, 대기 도입 밸브(65)와, 대기 개방 밸브(22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61H)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9H)에서는, 제 4 연통로(351)가 부가되고 있는 것이 실시예 7과는 상이하다. 또한, 탱크(9H)에서는,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수용부(68)에 이르는 경로가 실시예 7과는 상이하다. 또한, 탱크(9H)에서는, 대기 도입 밸브(65)가 제 2 연통실(317) 내에 설치되고, 대기 개방 밸브(221)가 제 1 연통실(315)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실시예 7과는 상이하다. 이러한 것을 제외하고, 탱크(9H)는 실시예 7에 있어서의 탱크(9G)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탱크(9H)는, 수용부(68)와,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3 연통로(76)와, 제 3 연통로(76)와, 제 4 연통로(351)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9H)에서는, 제 1 대기실(71)과, 제 2 연통로(75)와, 제 1 연통실(315)이 제 1 연통부(78)에 포함된다. 제 2 대기실(72)과, 제 1 연통로(73)와, 제 3 대기실(74)과, 제 2 연통로(75)와, 제 2 연통실(317)이 제 2 연통부(79)에 포함된다. 그리고, 제 1 연통부(78)와 제 2 연통부(79)가 연통부(69)를 구성하고 있다.
탱크(9H)에서는,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의 사이의 제 9 벽(103)이,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과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대기실(71)과 제 2 대기실(72)이 제 9 벽(103)에 의해서 서로 분할되어 있다. 제 3 연통로(76)는 제 1 대기실(71)과 연통실(77)을 연통시킨다. 제 4 연통로(351)는 제 2 대기실(72)과 수용부(68)를 연통시킨다.
여기서,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수용부(68)에 이르는 대기의 경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탱크(9H) 내에 유입한 대기는 제 1 대기실(71)에 유입한다. 제 1 대기실(71)에 유입한 대기는 제 3 연통로(76)를 통해서 연통실(77)에 유입한다. 연통실(77)에 유입한 대기는 제 2 연통로(75)를 통해서 제 3 대기실(74)에 유입한다. 제 3 대기실(74)에 유입한 대기는 제 1 연통로(73)를 통해서 제 2 대기실(72)에 유입한다. 제 2 대기실(72)에 유입한 대기는 제 4 연통로(351)를 통해서 수용부(68)에 이른다.
또한, 상술한 구성 이외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7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상술한 구성 이외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대기 도입 밸브(65) 및 대기 개방 밸브(221)의 동작에 대해서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각각과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 대기 도입 밸브(65)가 개방된다. 대기 도입 밸브(65)가 개방되면,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제 1 대기실(71)에 유입한 대기가, 제 2 연통실(317), 제 2 연통로(75), 제 3 대기실(74), 제 1 연통로(73), 제 2 대기실(72), 및 제 4 연통로(351)를 이 순서로 경유해서 수용부(68) 내에 유입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또한,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면, 대기 개방 밸브(221)가 개방된다. 대기 개방 밸브(221)가 개방되면, 수용부(68) 내의 대기가, 제 4 연통로(351), 제 2 대기실(72), 제 1 연통로(73), 제 3 대기실(74), 제 2 연통로(75), 제 1 연통실(315), 및 제 1 대기실(71)을 이 순서로 경유해서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탱크(9H)의 외부에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68)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기 쉽다.
실시예 8에 있어서, 케이스(61H)가 하우징에 대응하고, 시트 부재(63)가 밀봉 부재에 대응하고, 수용부(68)가 액체 수용부에 대응하고, 잉크 주입부(115)의 개구(191)가 주입구에 대응하고, 대기 연통구(181)가 대기 도입 개구에 대응하고, 연통부(69)가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1 연통부(78)가 제 1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제 2 연통부(79)가 제 2 대기 연통부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벽(147)이 제 1 구획 벽에 대응하고, 칸막이 벽(319)이 제 2 구획 벽에 대응하고, 구획 벽(145)이 제 3 구획 벽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 8에 있어서도, 실시예 7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8에서는, 수용부(68)로부터 연통실(77)에 이르기까지의 경로가,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수용부(68)로부터 연통실(77)에 이르기까지의 경로보다 길다. 이 때문에, 실시예 8에서는, 실시예 7과 비교하여, 수용부(68)로부터 연통부(69)를 역류한 잉크가 연통실(77)에 도달하기 어렵다. 이것에 의해, 실시예 8에서는,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대기 연통구(181)에 이르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이 결과, 수용부(68) 내의 잉크가 대기 연통구(181)로부터 탱크(9H)의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한층 회피하기 쉽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탱크(9)는 기구 유닛(10)을 덮는 제 1 케이스(6)에 내장되어 있지 않다. 즉,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탱크(9)를 제 1 케이스(6)의 외측에 배치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탱크(9)를 제 1 케이스(6)에 내장한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 복수의 탱크(9)를 케이스 내에 내장한 구성에 대해서, 액체 분사 시스템의 일례인 복합기를 예로 제 2 실시형태로 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500)는,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503)와, 스캐너 유닛(505)을 구비하고 있다. 복합기(500)에 있어서, 프린터(503)와 스캐너 유닛(505)은 서로 적층되어 있다. 프린터(503)를 사용하는 상태에 있어서, 스캐너 유닛(505)은 프린터(503)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41에는, 서로 직교하는 좌표축인 XYZ축이 부여되어 있다. 이 이후에 나타내는 도 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서 XYZ축이 부여되어 있다. 도 41에 있어서의 XYZ축, 및 도 41 이후에 있어서의 XYZ축은, 도 1에 있어서의 XYZ축에 준하고 있다. 또한, 복합기(500)에 있어서, 액체 분사 시스템(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액체 분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스캐너 유닛(505)은 플랫베드(flatbed) 타입이며,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와, 원고대와,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스캐너 유닛(505)은 용지 등의 매체에 기록된 화상 등을 촬상 소자를 거쳐서 화상 데이터로서 판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캐너 유닛(505)은 화상 등의 판독 장치로서 기능한다. 스캐너 유닛(505)은,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503)의 케이스(507)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캐너 유닛(505)의 원고대의 프린터(503)측의 면은, 프린터(503)의 케이스(507)를 덮고, 프린터(503)의 덮개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프린터(503)는, 액체의 일례인 잉크에 의해서, 인쇄 용지 등의 인쇄 매체 P에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프린터(503)는,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507)와, 액체 수용 용기의 일례인 복수의 탱크(9)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507)는 프린터(503)의 외곽을 구성하고 있는 일체 성형된 부품이며, 프린터(503)의 기구 유닛(511)을 수용하고 있다. 복수의 탱크(9)는 케이스(507) 내에 수용되어 있고, 각각, 인쇄에 제공하는 잉크를 수용하고 있다. 프린터(503)에서는, 4개의 탱크(9)가 설치되어 있다. 4개의 탱크(9)는 서로 잉크의 종류가 상이하다. 프린터(503)에서는, 잉크의 종류로서 블랙,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4 종류가 채용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잉크의 종류가 상이한 4개의 탱크(9)가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503)는 조작 패널(512)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 패널(512)에는, 전원 버튼(513)이나, 그 외의 조작 버튼(514) 등이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503)를 조작하는 작업자는, 조작 패널(512)에 대면한 상태로, 전원 버튼(513)이나 조작 버튼(514)을 조작할 수 있다. 프린터(503)에서는, 조작 패널(512)이 설치되어 있는 면이 정면으로 되어 있다. 프린터(503)의 정면에는, 케이스(507)에 창부(515)가 설치되어 있다. 창부(515)는 광투과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창부(515)와 중첩되는 위치에, 상술한 4개의 탱크(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창부(515)를 거쳐서 4개의 탱크(9)를 시인할 수 있다.
프린터(503)에서는, 각 탱크(9)의 창부(515)에 대면하는 부위가 광투과성을 갖고 있다. 각 탱크(9)의 광투과성을 가지는 부위로부터, 탱크(9) 내의 잉크가 시인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창부(515)를 거쳐서 4개의 탱크(9)를 시인하는 것에 의해서, 각 탱크(9)에 있어서의 잉크의 양을 시인할 수 있다. 프린터(503)에서는, 창부(515)가 프린터(503)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조작 패널(512)에 대면한 상태로, 창부(515)로부터 각 탱크(9)를 시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프린터(503)를 조작하면서, 각 탱크(9)에 있어서의 잉크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
프린터(503)는, 기구 유닛(511)을 도시하는 사시도인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부(41)와, 공급 튜브(43)를 구비하고 있다. 인쇄부(41) 및 공급 튜브(43)는, 각각, 액체 분사 시스템(1)에 있어서의 인쇄부(41) 및 공급 튜브(43)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프린터(503)에 있어서도, 액체 분사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매체 반송 기구가, 도시하지 않는 모터로부터의 동력에 의해서 반송 롤러(51)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인쇄 매체 P를 Y축 방향에 따라서 반송한다. 또한, 프린터(503)에 있어서도, 액체 분사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헤드 반송 기구가, 모터(53)로부터의 동력을 타이밍 벨트(55)를 거쳐서 캐리지(45)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서, 캐리지(45)를 X축 방향에 따라서 반송한다. 인쇄 헤드(47)는 캐리지(45)에 탑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쇄 헤드(47)는, 헤드 반송 기구에 의해서, 캐리지(45)를 거쳐서 X축 방향으로 반송될 수 있다. 매체 반송 기구 및 헤드 반송 기구에 의해서, 인쇄 매체 P에 대한 인쇄 헤드(47)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인쇄 헤드(47)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것에 의해서 인쇄 매체 P에 인쇄가 실시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체 분사 장치는, 잉크 이외의 다른 액체를 분사하거나 토출하거나 도포하거나 해서 소비하는 액체 분사 장치여도 좋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 미소량의 액체방울이 되어 토출되는 액체 상태로서는, 입자형상, 눈물형상, 실형상으로 꼬리를 잇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액체는, 액체 분사 장치로 소비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좋다. 예를 들면, 물질이 액상일 때 상태의 것이면 좋고, 점성이 높은 또는 낮은 액상체, 졸, 겔수, 그 외의 무기 용제, 유기 용제, 용액, 액상 수지, 액상 금속(금속 융액)과 같은 흐름형상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물질의 일 상태로서의 액체 뿐만 아니라, 안료나 금속 입자 등의 고형물로 이뤄지는 기능 재료의 입자가 용매에 용해, 분산 또는 혼합된 것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액체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잉크 이외에, 액정 등도 들 수 있다. 여기서, 잉크는 일반적인 수성 잉크 및 유성 잉크 및 젤 잉크, 핫멜트 잉크 등의 각종 액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액체 분사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 면발광 디스플레이, 칼라 필터의 제조 등에 이용되는 전극재나 색재 등의 재료를 분산 또는 용해의 형태로 포함한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가 있다. 또한, 바이오칩 제조에 이용되는 생체 유기물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정밀 피펫트로서 이용되어 시료가 되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나염 장치나 마이크로 디스펜서 등이어도 좋다. 또한, 시계나 카메라 등의 정밀 기계에 핀 포인트로 윤활유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광통신 소자 등에 이용되는 미소 반구 렌즈(광학 렌즈)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투명 수지액을 기판상에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여도 좋다. 또한, 기판 등을 에칭하기 위해서 산 또는 알칼리 등의 에칭액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여도 좋다.
1: 액체 분사 시스템 3: 프린터
5: 탱크 유닛 6: 제 1 케이스
7: 제 2 케이스 9, 9A, 9B, 9C, 9D, 9E, 9F, 9G, 9H: 탱크
10: 기구 유닛 11: 배지부
13: 정면 15: 상면
17: 조작 패널 18A: 전원 버튼
18B: 조작 버튼 19: 측부
21: 창부 23: 정면
25: 상면 27: 측부
28: 상한 마크 29: 하한 마크
31: 부착 나사 41: 인쇄부
43: 공급 튜브 45: 캐리지
47: 인쇄 헤드 49: 중계 유닛
51: 반송 롤러 53: 모터
55: 타이밍 벨트
61A, 61B, 61C, 61D, 61E, 61F, 61G, 61H: 케이스
63: 시트 부재 64: 시트 부재
65: 대기 도입 밸브 66: 접합부
67: 접합부 68: 수용부
69: 연통부 71: 제 1 대기실
72: 제 2 대기실 73: 제 1 연통로
74: 제 3 대기실 75: 제 2 연통로
76: 제 3 연통로 77: 연통실
78: 제 1 연통부 79: 제 2 연통부
91: 제 1 벽 92: 제 2 벽
93: 제 3 벽 94: 제 4 벽
95: 제 5 벽 96: 제 6 벽
97: 제 7 벽 98: 제 8 벽
101: 오목부 103: 제 9 벽
104: 제 10 벽 105: 제 11 벽
109: 오목부 111: 오목부
113: 오목부 115: 잉크 주입부
117, 119, 121: 연통구 123: 연장부
123A, 123B, 123C, 123D: 부위
127: 홈 129: 홈
141, 143: 연통구 145: 구획 벽
147: 벽 149: 주위 벽
151: 오목부 153: 관통 구멍
155: 관통 구멍 157: 축부
159: 관통 구멍 171: 오목부
173: 벽 175: 접속부
177: 공급구 179: 대기 연통부
181: 대기 연통구 183: 오목부
191: 통로 193: 측벽
195: 잉크 197: 캡
201: 제 1 통로 202: 제 2 통로
203: 제 3 통로 204: 제 4 통로
205: 제 5 통로 206: 제 6 통로
211: 반전부 212: 굴곡부
213: 굴곡부 214: 굴곡부
215: 반전부 216: 굴곡부
221: 대기 개방 밸브 223: 관통 구멍
225: 축부 227: 관통 구멍
229: 관통 구멍 231: 축부
233: 관통 구멍 235: 관통 구멍
237: 축부 251: 제 1 대기실
253: 제 1 연통로 255: 제 2 대기실
257: 제 3 대기실 259: 제 2 연통로
261: 제 9 벽 262: 제 10 벽
263: 제 11 벽 264: 제 12 벽
265: 제 13 벽 271: 오목부
272: 오목부 273: 오목부
274: 오목부 227: 연통구
279: 연통구 281: 관통 구멍
283: 관통 구멍 285: 축부
287: 축부 289: 오목부
291: 대기실 293: 오목부
295: 관통 구멍 297: 관통 구멍
299: 축부 301: 축부
303: 제 2 대기실 305: 오목부
307: 관통 구멍 309: 관통 구멍
311: 축부 313: 축부
315: 제 1 연통실 317: 제 2 연통실
319: 칸막이 벽 331: 오목부
333: 오목부 335: 관통 구멍
337: 관통 구멍 339: 관통 구멍
341: 관통 구멍 343: 축부
345: 축부 347: 제 1 면
349: 제 2 면 351: 제 4 연통로
500: 복합기 503: 프린터
505: 스캐너 유닛 507: 케이스
511: 기구 유닛 512: 조작 패널
513: 전원 버튼 514: 조작 버튼
515: 창부 P: 인쇄 매체

Claims (8)

  1.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에 개구되고, 상기 액체 수용부 내에 주입되는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주입구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부와의 사이에서 대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대기 연통부와,
    상기 대기 연통부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대기 도입 개구와,
    상기 대기 연통부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연통구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부에의 대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에의 대기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대기 도입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부를 둘러싸는 벽의 일부이며, 또한 상기 주입구가 형성되는 벽의 관통 구멍에 상기 대기 도입 밸브가 마련되고,
    상기 대기 연통부는 대기실과, 상기 대기실에 연통하는 연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로는 상기 대기실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사용 상태에 있어서, 일부가 상기 대기실보다 수직 방향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 구멍은,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대기실과 수직 방향으로 겹쳐지는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에의 대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부에의 대기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대기 개방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부는,
    상기 대기 도입 개구와 상기 액체 수용부와의 사이에서 대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대기 연통부와,
    상기 제 1 대기 연통부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에 대기를 도입 가능한 제 2 대기 연통부를 갖고,
    상기 대기 개방 밸브는 상기 제 1 대기 연통부와 상기 제 2 대기 연통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도입 밸브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대기 연통부에 대기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대기 개방 밸브는, 상기 대기 연통부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부에 대기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가 형성되는 오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오목부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 내의 벽 중, 상기 밀봉 부재에 대향하는 벽에, 상기 대기 도입 밸브와 상기 대기 개방 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6.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에 의해 덮이고, 인쇄 동작을 실행 가능한 기구 부분인 기구 유닛과,
    상기 제 1 케이스에 결합하는 제 2 케이스와,
    복수의,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액체 수용 용기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의해 덮이고, 공급 튜브를 거쳐서 상기 액체를 상기 기구 유닛의 인쇄부에 공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시스템.
  7.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의해 덮이고, 인쇄 동작을 실행 가능한 기구 부분인 기구 유닛과,
    복수의,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액체 수용 용기는, 상기 케이스에 의해 덮이고, 공급 튜브를 거쳐서 상기 액체를 상기 기구 유닛의 인쇄부에 공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8. 삭제
KR1020167018371A 2014-01-14 2014-12-09 액체 수용 용기, 액체 분사 시스템, 액체 분사 장치 KR101946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03959A JP6330331B2 (ja) 2014-01-14 2014-01-14 液体収容容器、液体噴射システム、液体噴射装置
JPJP-P-2014-003959 2014-01-14
PCT/JP2014/006150 WO2015107594A1 (ja) 2014-01-14 2014-12-09 液体収容容器、液体噴射システム、液体噴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168A KR20160096168A (ko) 2016-08-12
KR101946127B1 true KR101946127B1 (ko) 2019-02-08

Family

ID=5352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371A KR101946127B1 (ko) 2014-01-14 2014-12-09 액체 수용 용기, 액체 분사 시스템, 액체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11592B2 (ko)
EP (1) EP3095605A4 (ko)
JP (1) JP6330331B2 (ko)
KR (1) KR101946127B1 (ko)
CN (2) CN104772991B (ko)
BR (1) BR112016016210A2 (ko)
TW (1) TWI649214B (ko)
WO (1) WO2015107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0331B2 (ja) * 2014-01-14 2018-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液体噴射システム、液体噴射装置
JP1543768S (ko) * 2015-04-24 2016-02-15
JP1544003S (ko) * 2015-04-24 2016-02-15
JP1544004S (ko) * 2015-04-24 2016-02-15
JP1543767S (ko) * 2015-04-24 2016-02-15
JP1544002S (ko) * 2015-04-24 2016-02-15
JP6790357B2 (ja) * 2015-12-24 2020-11-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ー
JP6696142B2 (ja) * 2015-10-06 2020-05-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システム、通気ユニット、液体供給装置
JP2017077652A (ja) * 2015-10-20 2017-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タンク、タンクユニット、液体噴射システム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6711018B2 (ja) * 2016-02-29 2020-06-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JP6961911B2 (ja) * 2016-03-31 2021-1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消費装置
JP6819070B2 (ja) * 2016-03-31 2021-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
CN109328140B (zh) 2016-06-28 2020-10-0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体容器及液体喷射装置
JP6897098B2 (ja) 2016-12-28 2021-06-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セット、及びシステム
JP7019948B2 (ja) 2016-12-28 2022-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JP6930104B2 (ja) 2016-12-28 2021-09-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JP6922219B2 (ja) 2016-12-28 2021-08-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CA3056740C (en) * 2017-07-31 2021-12-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ing-fluid cartridge, set of printing-fluid cartridges, and system including the printing-fluid cartridge and printing-fluid consuming apparatus
US10421283B2 (en) * 2017-09-06 2019-09-24 Canon Kabushiki Kaisha Ejection material receiving unit, ejection material ejec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member
JP7059591B2 (ja) * 2017-11-28 2022-04-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7164454B2 (ja) * 2019-01-31 2022-11-01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タンク
JP7504665B2 (ja) * 2020-05-28 2024-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5624A (ja) * 2002-01-11 2003-07-22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プリンタ用インクタンク及びインク残量の表示方法
JP2013086487A (ja) * 2011-10-21 2013-05-13 Ricoh Co Ltd 液体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988A (ja) * 2000-04-18 2002-01-08 Canon Aptex Inc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GB2402908B (en) * 2003-06-16 2006-07-12 Inca Digital Printers Ltd Inkjet device and method
JP4461728B2 (ja) * 2003-07-29 2010-05-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供給装置
JP2010023247A (ja) * 2008-07-15 2010-02-04 Seiko Epson Corp 液体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製造方法
JP5552778B2 (ja) * 2009-09-02 2014-07-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方法
JP5431856B2 (ja) * 2009-10-08 2014-03-05 スタンダード・オフィス・サプライ・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101484827B1 (ko) 2010-07-15 2015-01-2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분사 시스템
JP5552931B2 (ja) 2010-07-15 2014-07-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5927918B2 (ja) * 2012-01-12 2016-06-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および液体消費装置
JP6161869B2 (ja) * 2012-03-05 2017-07-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6330331B2 (ja) * 2014-01-14 2018-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液体噴射システム、液体噴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5624A (ja) * 2002-01-11 2003-07-22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プリンタ用インクタンク及びインク残量の表示方法
JP2013086487A (ja) * 2011-10-21 2013-05-13 Ricoh Co Ltd 液体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16210A2 (pt) 2017-08-08
WO2015107594A1 (ja) 2015-07-23
EP3095605A1 (en) 2016-11-23
CN104772991B (zh) 2017-08-04
TW201536579A (zh) 2015-10-01
CN204547345U (zh) 2015-08-12
JP2015131433A (ja) 2015-07-23
KR20160096168A (ko) 2016-08-12
US20150197097A1 (en) 2015-07-16
TWI649214B (zh) 2019-02-01
CN104772991A (zh) 2015-07-15
US9511592B2 (en) 2016-12-06
EP3095605A4 (en) 2018-03-07
JP6330331B2 (ja)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127B1 (ko) 액체 수용 용기, 액체 분사 시스템, 액체 분사 장치
KR101878577B1 (ko)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분사 장치
JP6260196B2 (ja)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装置
US9481180B2 (en) Liquid container, liquid container unit, liquid ejecting system,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US9493010B2 (en) Liquid container
JP6304041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装置
WO2015059927A1 (ja) 液体収容容器、液体噴射装置
CN111098600B (zh) 液体收容体、液体供给装置、液体喷射系统
TW201406559A (zh) 卡匣及密封構件
US8894184B2 (en) Cover and liquid container
CN108724955B (zh) 液体供给单元
JP5896074B2 (ja) 液体噴射装置
JP2015080875A (ja) 液体収容容器、キャップ
JP2014097577A (ja) キャップおよび液体収容容器
JP5822046B2 (ja)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2017043061A (ja) 液体供給ユニット
KR20140148461A (ko) 카트리지 및 밀봉 부재
JP2014019118A (ja) カートリッジ
JP2014046525A (ja) カバー及び液体収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