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702B1 - 화물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702B1
KR101939702B1 KR1020177009282A KR20177009282A KR101939702B1 KR 101939702 B1 KR101939702 B1 KR 101939702B1 KR 1020177009282 A KR1020177009282 A KR 1020177009282A KR 20177009282 A KR20177009282 A KR 20177009282A KR 101939702 B1 KR101939702 B1 KR 101939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surface
cargo
stationary
fix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572A (ko
Inventor
롤랜드 리델
요하네스 메르크
니크 그로스코프
데니스 슈미트
티-투이-린 래
우도 게타
필리프 프란츠 블룸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17004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76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using restraining net or tarpaulin in contact with the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60P7/04Covering of load by tarpaulins or like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05Nets or elastic pockets tensioned against walls or ba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 표면(L)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G1 ∼ G3)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외부 동력에 의해 적어도 적재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절될 수 있는 고정 요소(1)를 갖는다. 적재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G1 ∼ G3)은 화물 표면(L)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고정 요소(1)가 고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G1 ∼ G3)과 접촉하고 또한 화물 표면(L)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고정 위치의 고정 요소(1)에 가해지므로써, 고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G1 ∼ G3)이 고정 요소(1)에 의해 화물 표면(L) 상의 위치에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장치는 특히, 구동기(5)에 의해 전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적인 조절부(3L, 3R)를 더 포함하, 고정 요소(1)는 외부 동력에 의해 조절부를 통해 적어도 적재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절될 수 있고, 가요적인 조절부(3L, 3R)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 부분 요소(31) 또는 조절부(3L, 3R)의 형상에 의해 고정 요소(1)를 적재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강성적으로 된다.

Description

화물 고정 장치{LOAD SECUR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일반적인 종류의 장치가 차량 상에 또는 그 안에 있는 화물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화물 표면은 예컨대 대상물이 배치될 수 있는 자동차의 후방 화물 공간에 있는 화물 표면인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대상물이 이러한 종류의 화물 표면 상에 느슨하게 배치되면, 운전 중에, 특히 가속, 제동, 또는 곡선 주행시 상기 대상물의 위치가 바람직하지 않게 변하는 위험이 있다. 이때, 대상물 및/또는 차량 내부에 대한 손상과 차량 탑승자에 대한 부상이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화물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을 확실하게 고정하고 또한 다루기가 가능한 한 간단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기다란 배리어의 형태로 되어 있는 고정 요소를 갖는 장치가 DE 10 2012 200 928 A1에 알려져 있다. 여기서 그 고정 요소는, 화물 표면에 의해 규정되는 화물 공간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적합하게 하기 위해 또한 특히 화물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이 운전 중에 발생하는 가속력에 의해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도록 화물 표면에 배치된다.
또한, 가요적인 안전 네트의 형태로 설계되어 있는 평평한 고정 요소를 갖는 장치가 DE 197 22 501 A1에 알려져 있는데, 후방 화물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이 그 안전 네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네트의 형태로 되어 있는 상기 고정 요소는 케이블 당김 시스템에 의해 적재 위치(이 위치에서 안전 네트는 실질적으로 수직을 따라 연장되어 있음)로부터 고정 위치로 전환될 수 있고, 이 고정 위치에서 안전 네트는 화물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그 대상물을 팽팽하게 덮게 된다. 이를 위해 자유 단부에 의해 감긴 롤로부터 풀릴 수 있는 안전 네트는 화물 표면 위쪽에서 연장되어 있는 2개의 게이트형 가이드를 따라 안내되며, 안전 네트가 적재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절되고 있을 때 그 안전 네트의 자유 단부는 상기 게이트형 가이드에 의해 지붕측 길이 방향 레일을 따라 안내되고 계속해서 차량의 상호 반대편 C-필러(pillar)들을 따라 안내되어 아래로 화물 표면의 후방 영역으로 가게 된다.
공지되어 있는 상기 해결 방안의 경우, 고정 요소를 다루는 것은, 비교적 지루하고 또한 차량의 내부 설계에 대한 큰 간섭과 관련되어 있다. 더욱이, DE 10 2012 200 928 A1의 해결 방안의 경우에, 고정 요소로 되어 있는 상기 개시된 배리어는 화물의 미끄러짐에 대한 적절한 보호를 거의 주지 못한다. DE 197 22 501 A1의 해결 방안의 경우에는, 거기서 설명되어 있는 장치로 인해, 설명된 게이트형 가이드는 화물 표면 위쪽에 제공되어야 하므로 차량의 내부 설계는 심하게 간섭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전술한 단점들을 감안하여 차량용 화물 고정 장치를 더 개선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청구항 1의 장치 및 청구항 15의 장치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차량의 화물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 바,
상기 장치는, 외부 동력에 의해 적어도 적재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절될 수 있는 고정 요소를 가지며, 상기 적재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은 상기 화물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고정 요소가 상기 고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과 접촉하고 또한 화물 표면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고정 위치의 고정 요소에 가해지므로써,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이 상기 고정 요소에 의해 화물 표면 상의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장치는, 구동기에 의해 전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적인 조절부를 추가로 가지며, 고정 요소는 외부 동력에 의해 상기 조절부를 통해 적어도 상기 적재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절될 수 있고, 상기 가요적인 조절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 부분 요소 또는 상기 조절부의 형상에 의해 고정 요소를 적재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강성적으로 되며, 그리고/또는
상기 장치는, 구동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부, 및 상기 고정 요소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장 요소를 가지며, 고정 요소는 외부 동력에 의해 상기 조절부를 통해 적재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인장 요소는, 화물 표면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상기 고정 요소에 가하도록 상기 조절부와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요소가 적어도 일 부분으로 대상물에 작용하고 그 대상물을 화물 표면의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게 되며 그래서 통상적인 주행 조건 하에서 대상물의 고유의 움직임이 방지되고 또한 비교적 큰 가속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대상물의 통제되지 않은 재위치가 억제되므로써, 화물 표면 상에 위치되는 대상물은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요소에 의해 적재 위치에 안전하게 유지된다.
본래 가요적이고 전개된 상태에서는 고정 요소를 적재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자동적으로 강성적으로 되는 전개 가능한 조절부를 갖는 일 변형예에서, 고정 요소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기구는 비교적 컴팩트하게 설계될 수 없고, 화물 표면 위쪽에 가이드 없이 설계될 수 있는데, 그 가이드는 화물 표면의 영역에서의 내부 설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외력에 의해 고정 요소를 조절하기 위해 구동될 수 있는 조절부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적으로, 고정 요소에 연결되는 인장 요소가 제공될 수 있으며, 고정 위치에서 힘이 상기 인장 요소에 의해 고정 요소에 가해져, 고정 요소와 접촉하는 화물 표면 상의 대상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적재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고정 요소를 조절하고 또한 화물을 최종적으로 고정하는 기능들은, 장치의 서로 다른 부품들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고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인장 요소를 조절부와는 독립적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조절부가 이미 쟘재적인 최종 위치에 도달하고 더 이상 변위되지 않으면, 고정 요소가 (더 세게) 인장될 수 있다.
조절부는 예컨대 체인 또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체인이 사용되는 경우, 전개된 상태에 있는 체인의 링크들은 형상 끼워맞춤 및/또는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자동적으로 서로에 고정될 수 있고, 전개되지 않은 상태의 체인이 그의 개별 링크에 의해 가요적으로 유지되는 동안에도, 체인의 전개된 부분은 자기(self) 지지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링크를 서로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견인 수단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체인의 전개된 상태에 있는 링크들이 체인의 전개된 부분에서 서로에 고정되고 또한 전개 방향에 대해 횡으로 있고 강성적인 체인 부분에 의해 고정 요소가 원하는 적재 위치에 유지되도록, 체인의 링크는 적어도 하나의 견인 수단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에 의해, 바람직하게 서로 예인장된다. 동시에, 조절부를 휴지(resting) 위치로 조절하거나 후퇴시킬 때 링크들의 서로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어 이전에 전개된 강성적인 체인 부분이 다시 가요적으로 되도록 체인의 링크가 서로 예인장된다. 이러한 종류의 체인은 바람직하게 스러스트 (링크) 체인으로 되어 있다.
예컨대 금속 또는 폴리머 재료로 된 벨트를 사용하는 경우, 그 벨트는 따라서 성형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벨트의 세로 연장 방향에 대해 횡으로 있는 각각의 벌지(bulge)를 가지며, 그래서, 예컨대 스프링 강으로 된 줄자의 경우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벨트는 예인장되며 전개된 상태에서 자기 지지적으로 된다.
일 변형예에서, 적재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고정 요소를 조절하는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인장 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을 물리적으로 안내한다. 예컨대, 인장 요소는 기다랗게 되어 있고 안내 덕트를 통과하며, 그 안내 덕트는 인장 요소를 위한 규정된 안내 궤도가 미리 규정되도록 조절부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여기서 인장 요소는 가요적인 견인 수단으로 되어 있고, 그 견인 수단은 조절부의 링크 체인의 코어로서 그 링크 체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한다. 이러한 종류의 실시 형에서, 고정 요소는, 전개 중에 강성적으로 되는 링크 체인에 의해 적재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동시에, 인장 요소가 링크 체인과는 독립적으로 그 링크 체인에 대해 변위되므로, 링크 체인을 통해 안내되고 고정 요소에 연결되어 있는 인장 요소에 의해 화물 고정을 위한 (더 높은) 인장력이 고정 위치의 고정 요소에 목표한 대로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바람직하게 안내부를 포함하고, 후퇴된 상태(휴지 상태)의 상기 전개 가능한 조절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안내부 안에 수용되며, 상기 조절부는 전개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안내부를 따라 물리적으로 안내된다. 그래서 안내부는 조절부를 위한 안내 궤도를 미리 규정한다.
본래 가요적이지만 전개시 강성적으로 되는 상기 조절부는, 설치 공간 면에서 최적화된 컴팩트한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안내부 안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예컨대, 안내부는 적어도 한번, 바람직하게는 대략 90°로 구부러져 있는 안내관으로 되어 있을 수 있고, 링크 체인으로 되어 있거나 링크 체인을 갖는 조절부가 재위치 가능하게 상기 안내관 안에서 안내된다.
원리적으로, 전개 가능한 조절부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정 요소가 고정 위치로부터 적재 위치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전개 가능한 조절부가 안내부의 개구 밖으로 변위될 수 있다. 반대로, 고정 요소가 적재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부는 다시 안내부 안으로 후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가능한 스러스트 링크가 예컨대 조절부의 링크 체인의 제 1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스러스트 링크는 안내부 안에 수용되고 재위치 가능하게 그 안내부 안에서 또는 그 위에서 안내된다.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조절력이 전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요적인 구동 견인 수단이 고정 요소의 조절을 위해 제공되어 있는데, 이 구동 견인 수단은 구동기에 연결되어 있고, 조절부가 그 구동 견인 수단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실시 형태에서는, 조절력이 구동기로부터 조절부에 전달되도록, 케이블 당김 시스템, 특히 바우덴 케이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으며, 조절력은 조절부를 통해 고정부에 전달된다. 여기서, 가요적인 구동 견인 수단은 특히 링크 체인을 갖는 조절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튼튼한 고성능 케이블 당김 시스템이 링크 체인의 구동에 이용된다.
상기 구동 견인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 회전 가능한 구부림(deflection) 및/또는 안내 요소에 의해 구부러지고 그리고/또는 안내된다. 여기서 원리적으로, 구부림 및/또는 안내 요소는 화물 표면의 위쪽에 그리고/또는 옆에 배치될 수 있다. 가용 화물 공간이 가요적인 구동 견인 수단의 사용에 의해 실질적으로 감소되지 않도록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감소되지 않도록, 또한 한편으로 장치의 조립이 간단하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는 장치의 부분이 최소화되도록, 일 실시 형태에서는, 구부림 및/또는 안내 요소는 화물 표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구부림 및/또는 안내 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구동 견인 수단이 모든 구부림 및/또는 안내 요소를 따라 안내되며/안내되거나 구동 견인 수단은 화물 표면 아래에서 상기 구부림 및/또는 안내 요소에 의해 구부러지고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 견인 수단은 조절력을 조절부에 가하는 역할만 하며, 그 자체는, 조절되는 그리고 화물 표면 위쪽에서 조절될 수 있는 고정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 예컨대, 의도된 용도에 따른 장치의 조립 상태에서, 구동 견인 수단은 전체적으로 차량의 후방 화물 공간의 화물 베드 아래에 있게 된다.
상기 견인 수동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요소가 조절력을 조절부에 전달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고, 그 구동 요소는 전개 가능한 조절부의 적어도 일 부분이 수용되어 있는 안내부를 따라 상기 구동 견인 수단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요소는 안내부를 따라 구동 견인 수단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조절부가 안내부 밖으로 전개되고 그 안내부 안으로 후퇴되도록 구동 요소의 조절 운동을 조절부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구동 요소는, 재위치 가능하게 안내부 안에 또는 그 위에서 안내되는 힘 전달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견인 수단에 연결되는 구동 요소는 예컨대 스크류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 요소에 의해, 안내부 안에 수용되어 있는 힘 전달 요소에 연결되고, 이 힘 전달 요소는 링크 체인의 스러스트 링크와 상호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링크 체인의 제 1 단부에 연결되는 스러스트 링크에 대한 힘 전달 요소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예인장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예인장) 코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코어는 링크 체인의 다른 제 2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예컨대 나일론으로 된 견인 케이블로 되어 있다.
구동 요소를 위한 안내 궤도는 바람직하게는, 조절부를 물리적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에 의해 미리 규정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안내부는 예컨대 틈새를 가지고 있는데, 구동 견인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요소는 그 틈새에 의해, 재위치 가능하게 안내부 안에 장착되어 있는 힘 전달 요소에 연결된다. 이러한 종류의 틈새는, 예컨대 안내관으로 된 안내부에서 측면 슬롯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 그래서, 링크 체인을 조절하기 우해, 안내관의 외측을 따라 재위치 되어 있는 구동 요소는, 재위치 가능하게 안내관의 내부에서 안내되는 힘 전달 요소를 동반하게 된다. 결합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는, 힘 전달 요소와 구동 요소가 예컨대 체결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서로 별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 변형예에서, 힘 전달 요소와 구동 요소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어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안내부는 하나의 또는 복수의 홀더에 의해 차량 내의 지지 요소에 고정된다. 그 지지 요소는 예컨대 화물 바닥에 의해 형성되거나 그 화물 바닥에 결합된다. 여기서 안내부는 예컨대 하나의 또는 복수의 홀더에 의해 화물 바닥의 하측에 고정된다.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안내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홀더는, 구동 견인 수단을 구부리고 그리고/또는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부림 및/또는 안내 요소를 장착하는 역할도 동시에 한다. 따라서, 구동 견인 수단은 안내부의 홀더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부러지고 안내된다. 이리하여, 구동 견인 수단, 구동 요소, 안내부 및 조절부를 갖는 조절 기구의 구성이 비교적 컴팩트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조절 기구를 예비 시험이 가능한 조절 모듈로서 설계하는 것도 비교적 간단하게 되며, 장치의 상기 부품들은 구동 견인 수단을 구동하는 바람직하게는 전동기적인 구동기와 함께, 예비 시험이 가능한 기능적 단위체를 형성하게 된다.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화물 고정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조절부를 포함하고, 이 조절부는 고정 요소를 조절하기 위해 외부 동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조절부 각각은, 예컨대 전개 가능하고 본래 가요적이지만, 고정 요소가 각 경우 적재 위치에서 유지되고 지지되도록 조절부의 전개된 부분이 상호 연결 부분 요소 및/또는 조절부의 형상에 의해 강성적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조절부는, 공통 구동기에 의해 동시에 구동될 수 있고, 예컨대 공통의 구동 견인 수단에 의해 바람직하게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단일의 구동기가 단일의 구동 견인 수단에 의해 조절부와 상호 작용하고, 그래서, 구동기가 작동될 때 조절부는 동기적으로 전개되고 후퇴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견인 수단은, 예컨대 재위치 가능하게 안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요소에 의해 조절력을 양 조절부에 대응적으로 전달하도록 대응하는 복수의 방식으로 구부러진다.
이와는 달리, 다른 실시 형태에서, 고정 요소가 조절되도록 적어도 2개의 조절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별개인 구동기가 제공될 수 있는데, 각 구동기는 조절부 중의 하나와 상호 작용한다. 이렇게 해서, 각각의 구동기를 작동시켜 조절부를 비동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고정 요소의 이러한 종류의 조절 운동에 대해 더 큰 가변성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상기 고정 요소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2개의 조절부는 각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다란 안내부 안에 수용되며, 조절부를 위한 적어도 2개의 기다란 안내부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가 의도된 용도에 따라 차량에서 바람직하게는 후방 화물 공간의 영역에 결합될 때, 적어도 2개의 안내부는 예컨대 차량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횡으로 또는 그에 평행하게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예컨대 고정 네트의 형태로 되어 있는 평평한 가요적인 고정 요소를 갖는 화물 고정 장치가 제공되며, 고정 위치에 있는 상기 고정 요소는 화물 표면 상에 있는 대상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또한 화물 표면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대상물을 화물 표면 상의 정해진 위치에 유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치의 조절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가능한 조절부 및/또는 구동 가능한 인장 요소를 가지며,
상기 구동 가능한 조절부 및/또는 구동 가능한 인장 요소는, 적재 위치에 있는 상기 평평한 고정 요소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고,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 요소는 화물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또한 고정 요소는 화물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적재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절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상기 구동 가능한 조절부 및/또는 구동 가능한 인장 요소는, 고정 위치에 있는 상기 고정 요소에 추가 힘을 가하며, 상기 추가 힘은 화물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작용하여,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요소가 화물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 주위에 수축된다.
본 발명의 이 추가 양태의 제 1 대안예에 따르면, 평평한 고정 요소는 세워진 상태에 있고, 이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 요소는 화물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 내에 연장되어 있고, 또한 화물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적재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 위치에 있는 세워진 고정 요소는 화물 표면 위쪽에서 천정 처럼 연장되어 있어, 대상물 및/또는 복수의 대상물이 그 고정 요소 아래에서 화물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요소를 내리면, 대상물(들)은 그 고정 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히고, 고정 요소를 (더 타이트하게) 인장시키고 화물 표면의 방향으로 당기면 고정 요소에 고정된다. 비적재 상태(화물 표면 상에 대상물이 없음)에서, 고정 위치의 고정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화물 표면을 따라 평평하게 연장된다. 고정 요소는 이러한 비적재 상태에서 평평하게 화물 표면 상에 지지될 수 있고, 예컨대 적재 위치에 있기 위해 조절 기구에 의해 비적재 상태로부터 위로 단순히 들리게 되지만, 감긴 롤로부터 풀리거나 인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의 제 2 대안예에 따르면, 고정 요소는 화물 표면 상에 있는 대상물 주위를 "둘러쌀" 수 있도록 조절 기구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장 요소 및/또는 조절부는 평평한 고정 요소에 연결되어 있는 가요적인 견인 수단을 포함하고, 이 견인 수단을 당기면 화물 표면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힘이 고정 요소에 가해져 이 고정 요소가 수축되도록 상기 견인 수단은 고정 요소를 따라 안내된다. 여기서 견인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또한 그의 주변을 따라 있어, 견인 수단을 당기면, 이들 주변 사이에서 덮혀 있는 대상물이 측면에서도 고정될 수 있고 고정 요소는 더욱 타이트하게 지지한다. 고정 요소를 묶으면(이는 견인 수단을 이용하여 할 수 있음), 그 고정 요소는 위쪽 뿐만 아니라,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3개의 측면으로부터 화물 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그래서 고정 요소는 복수의 공간 방향에서 화물을 팽팽하게 덮고 또한 타이트하게 지지하는 방식으로 그 화물을 보호한다.
원리적으로, 추가 힘을 가하는 가요적인 견인 수단이 화물 표면의 위쪽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부림 요소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추가 힘은 화물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작용하여, 고정 위치에 있는 평평한 고정 요소를 수축시킨다.
일 변형예에서, 고정 위치에 있는 평평한 고정 요소가 견인 수단의 도움으로 화물 표면 상의 대상물 주위에 수축될 수 있도록, 가요성 견인 수단은 실질적으로 U 형으로 상기 평평한 고정 요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있다. 실질적으로 U 형으로 상기 평평한 고정 요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있는 두 견인 수단의 경우, 두 견인 수단의 부분들은 고정 요소에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인 면을 함께 규정하도록 서로 정렬되어 있다.
가요적인 견인 요소는 예컨대 인장 요소의 코어로 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특히 예컨대 연결 고리 형태의 연결편에 의해 인장 요소의 코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적어도 2개의 인장 요소 및/또는 조절부가 제공되고,
상기 화물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이 고정 위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고정 요소에 의해 화물 표면을 따라 재위치되도록, 고정 요소는 제 1 인장 요소 및/또는 제 1 조절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화물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작용하는 추가 힘이 제 2 인장 요소 및/또는 제 2 조절부에 의해 가해질 수 있어, 고정 요소가 재위치된 대상물 주위에 수축될 수 있다.
이 변형예에서, 따라서, 2개의 인장 요소 및/또는 조절부를 사용하여 고정 요소를 순차적으로 인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화물 표면 상의 대상물을 특정 방향으로, 예컨대 화물 표면에 인접해 있는 차량의 후방 시트의 등받이의 방향으로 재위치시키기 위해 처음에 제 1 인장 요소 및/또는 제 1 조절부가 변위된다. 그런 다음에, 고정 요소를 화물 표면의 방향으로 인장시키고 또한 화물을 따라 옆으로 인장시켜 수축시킴으로써, 이전에 재위치 된 화물이 제 2 인장 요소 및/또는 제 2 조절부에 의해 최종적으로 고정된다.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4개의 인장 요소 및/또는 조절부가 제공되고, 그로부터 가요적인 견인 수단이 고정 요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어, 각각의 견인 수단을 당기면, 화물 표면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힘이 고정 요소에 가해질 수 있다. 고정 요소를 따라 있고 그에 배치되어 유지되는 견인 수단 부분들 중의 2개는 바람직하게 서로 대칭적으로 있다. 일 개량예에서, 견인 수단 부분들은 서로 대칭적으로 되어 있어, 제 1 (외부) 및 제 3 (내부) 견인 수단의 부분들은 고정 요소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있고, 제 2 (외부) 및 제 4 (내부) 견인 수단의 부분들도 마찬가지로 고정 요소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 U 형으로 있다.
원리적으로, 본 발명의 추가 양태의 상기한 변형예들은,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변형예와 조합가능하다. 예컨대, 가요적인 평평한 다각형 고정 요소가 제공될 수 있고, 링크 체인을 갖는 전개 가능한 조절부는 고정 요소를 적어도 하나의 코어에서 조절한다. 이와는 달리, 고정 요소가 적재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조절되고 또한 고정 요소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케이블 당김 시스템의 견인 수단은 2개의 추가 코너에 결합해 있다. 동시에, 견인 수단의 부분들은 고정 위치에 있는 평평한 고정 요소를 수축시킬 수 있도록 U 형으로 그 고정 요소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개별적으로 언급한 양태와 특징의 추가적인 다른 조합도 가능하다.
일 개량예에서, 예컨대 광섬유의 형태로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광 요소가 상기 조절부 상에 그리고/또는 안에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전개된 상태의 조절부는 야간 또는 황혼에서도 사용자에게 뚜렷히 보일 수 있도록 예컨대 조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장치는 전자 제어 유닛을 가질 수 있는데, 이 전자 제어 유닛은, 전기적 수단 및/또는 센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작동 상황에 따라 고정 요소를 조절하도록 구성 및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 상황은, 예컨대 화물 표면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차량의 후미 게이트 또는 트렁크 뚜껑의 열림 또는 닫힘일 수 있다. 일 작동 상황은 예컨대 화물 표면 위쪽에서 연장될 수 있는 화물 공간 덮개의 조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과 특징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a ∼ 1d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예시적인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장치는 고정 네트의 형태로 되어 있는 평평한 가요적인 고정 요소를 가지며, 그 고정 네트는 화물 표면 위쪽의 케이블 당김 시스템에 의해 인장된 상태에서 적재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후퇴된 상태와 전개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 장치의 예시적인 제 2 실시 형태의 조절부를 차량의 후방 화물 공간의 화물 표면 상으로 본 것을 나타낸다.
도 3a 및 3b는 예시적인 제 2 실시 형태의 조절 기구를, 화물 표면을 규정하는 화물 바닥의 하측 상으로 본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4a ∼ 4d는 예시적인 제 2 실시 형태의 조절 기구의 다양한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 5d는 후퇴된 상태와 부분적으로 전개된 상태에 있는 조절부로서 기능하는 링크 체인을, 예시적인 제 2 실시 형태의 안내관의 형태로 되어 있는 안내부의 일 단부 상으로 본 것을 나타낸다.
도 6a 및 6b는 링크 체인의 상세 사시도 및 상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a 및 7b는 링크 체인의 링크를 비연결 상태와 연결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교차하는 2개의 견인 수단을 갖는 평평한 고정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견인 수단은 각 경우 U 형으로 고정 요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있으며 또한 각 경우 예시적인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의 인장 요소 또는 조절부로서 작용한다.
도 8b는 도 8a에 따른 예시적인 제 3 실시 형태의 개량예를 나타낸다.
도 9a 및 9b는 화물 표면 상에 위치되어 있고 예시적인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 요소를 사용하여 타이트하게 감겨 있는 대상물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a, 1b, 1c 및 1d는 화물 표면(L)을 규정하는 화물 바닥을 갖는 후방 화물 공간을 차량의 후방 시트(HS)의 후방 측 상으로 본 것을 나타낸다. 화물 공간은 측면에서 측벽(SL, SR)(도면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음)에 의해 경계져 있다. 고정 네트(1)의 형태로 되어 있는 평평한 고정 요소를 포함하는 화물 고정 장치가, 화물 표면(L)에 배치되는 화물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이 고정 네트는 외부 동력에 의해 케이블 당김 시스템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d는 다양한 위치에 있는 고정 네트(1)를 보여주는데, 상기 고정 네트(1)에 의해 고정되는 대상물(G1)의 형태로 되어 있는 화물이 있다.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비적재 상태에서,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네트(1)는 실질적으로 화물 표면(L) 상에서 이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 네트(1)는 펼져진 상태로 화물 표면(L)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고정 네트(1)는 그의 모두 4개의 코너(1a ∼ 1d)에서 케이블 당김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고 그 시스템에 의해 세워지게 된다.
케이블 당김 시스템은 현재 2개의 케이블 당김 요소(2L, 2R)를 포함하는데, 이들 케이블 당김 요소 각각은 고정 네트(1)에 조절력을 전달하기 위해 복수의 구부림(deflection) 요소(예컨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블 풀리 또는 강성적인 구부림 요소의 형태로 되어 있음)에 의해 구부러진다. 이를 위해, 케이블 당김 요소(2L, 2R)는 하나의 또는 복수의 바람직하게는 전동적인 구동기(도 1a 내지 1d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이러한 구동기는 바람직하게는 측벽(SL 또는 SR) 뒤에 또는 화물 표면(L) 아래에 수용된다. 여기서 케이블 당김 요소(2L, 2R)는 한편으로 조절부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케이블 당김 요소에 의해 고정 네트(1)가 화물 표면(L)에 대해 들리고 다시 내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케이블 당김 요소(2L, 2R)는 동시에 인장 요소로의 역할도 하게 되는데, 한편으로, 화물 공간에 화물을 배치하기 위해 고정 네트가 들릴 때 상기 인장요소에 의해 세워진 위치에 유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 네트(1)가 화물 표면(L)의 방향으로 조절될 때, 화물 표면(L) 상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G1) 위에 상기 고정 네트가 인장 요소에 의해 팽팽하게 인장되어 있게 된다.
화물 표면(L) 상에 대상물(G1)을 적재할 수 있도록, 고정 네트(1)는 케이블 당김 요소(2L, 2R)에 의해 들려,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적재 위치로 조절된다. 이 조절은 예컨대 차량의 후미 게이트의 열림과 같은 검출된 작업 상황에 응하여 외부 동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케이블 당김 요소(2L, 2R)의 케이블 당김 부분(21, 22, 23, 24)은 고정 네트(1)의 4개의 코너(1a ∼ 1d)에서 그 고정 네트의 우측 및 좌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래서 인장된 상태의 고정 네트(1)는 화물 표면(L)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들릴 수 있다.
도 1c에 따라 대상물(G1)이 고정 네트(1) 아래에 화물 표면(L) 상에 배치될 때, 고정 네트(1)는 마찬가지로 외부 동력에 의해 화물 표면(L)의 방향으로 조절된다. 그런 다음에, 도 1d에서 볼 수 있는 고정 위치에서 고정 네트(1)는 화물 표면(L) 상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G1)을 팽팽하게 덮어, 그 대상물을 화물 표면(L) 상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화물 표면(L)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고정 위치의 고정 네트(1)에 가해져, 대상물(G1)이 안에 있는 고정 네트(1)가 팽팽하게 인장되게 된다. 화물을 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가요적인 평평한 고정 네트(1)는, 고정 위치로 전환될 때, 서로 반대편에 있는 측면 가장자리(10L, 10R) 그리고 전방 가장자리(11F) 및 후방 시트(HS) 쪽을 향하는 후방 가장자리(11H)에 의해 케이블 당김 요소(2L, 2R)에 의해 대상물(G1)을 지나 안내되며, 그래서, 그 대상물은 가장자리(10L, 10K, 11F, 11H) 사이에 배치되며 모든 측에서 고정 네트(1)에 의해 경계지게 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 고정 네트(1)는 화물 표면(L) 상의 화물을 고정시키도록 단순히 세워진 상태에서 케이블 당김 요소(2L, 2R)에 의해 들리고 내려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 네트(1)는 특히 감긴 롤로부터 풀릴 필요가 없고 또는 지붕측 길이 방향 레일을 따라 재위치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해서, 전체 화물 고정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편안하게 다루어질 수 있고 또한 화물 공간의 설계에 대한 큰 개입이 필요 없이 차량의 후방 화물 공간에 비교적 쉽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가 도 2a - 2b, 3a - 3b, 4a - 4b, 5a - 5b, 6a - 6b, 및 7a - 7b에 서로 다른 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 고정 요소(여기서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가요적인 고정 네트(1)의 조절은 전개 가능한 2개의 조절부에 의해 수행되며, 각 조절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강성적으로 되는 링크 체인(3L, 3R)을 가지고 있다.
도 2a 및 2b는 처음에 차량의 후방 화물 공간을 나타내는데, 화물 표면(L)은 후퇴된 상태와 전개된 상태의 링크 체인(3L, 3R)을 가지고 있으며, 작용 모드의 개선된 시각화를 위해, 고정 요소는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 링크 체인(3L, 3R)이 각각 후퇴되어 있을 때, 고정 요소의 고정 위치와 그에 상응하는 링크 체인(3L, 3R)의 안착 위치에서, 관련 조절 기구의 모든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화물 바닥의 아래에 또한 그래서 화물 표면(L)의 아래에 수용된다. 횡방향 축선을 따르는 화물 표면(L)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개구(OL, OR)를 가지고 있는데, 각각의 링크 체인(3L, 3R)의 전개 가능한 단부가 그 개구 밖으로 전개될 수 있다. 개구(OL, OR) 각각은 화물 표면(L)의 후방 단부의 영역에서 각각의 우측벽 또는 좌측벽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링크 체인(3L, 3R)은, 링크 체인(3L 또는 3R)이 전개될 때 서로 연결되는 체인 링크(31) 형태로 되어 있는 복수의 부분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부분 세그먼트 때문에 링크 체인(3L, 3R)의 전개된 부분이 강성적으로 된다. 이렇게 해서, 링크 체인(3L, 3R)의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요소는 전개된 상태의 각 링크 체인(3L, 3R)에 의해 적재 위치로 조절될 수 있고 또한 화물 표면(L) 위에서 이 적재 위치에 지지 및 유지된다. 링크 체인(3L, 3R)을 고정 요소에 연결하기 위해, 각 링크 체인(3L, 3R)은 그의 전개 가능한 자유 단부에서 말단편(30)을 가지고 있다. 링크 체인(3L, 3R) 안에서 안내되는 케이블 당김 요소의 형태로 되어 있는 코어(301)의 연결 고리(300)가 중앙에서 상기 말단편(30)으로부터 나와 있다. 이 코어(301)는 인장 요소를 형성하고, 이 인장 요소에 의해 고정 위치의 고정 요소는 적절한 장력(하나의 관련된 링크 체인(3L, 3R)의 조절된 위치와는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함)에 의해 화물 표면(L)의 방향으로 끌어 당겨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 고리(300)는 코어(301)를 고정 요소에 연결하는 연결부로서 역할한다. 가요적인 고정 요소의 경우에,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요소는 팽팽하게(더 팽팽하게) 인장될 수 있어, 화물 표면(L) 상에 배치되어 있는 화물을 바람직하지 않은 고유한 움직임이 일어나지 않게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2개의 링크 체인(3L, 3R)를 갖는 화물 고정 장치의 조절 기구의 일 부분이 도 도 3a 및 3b에 나타나 있다. 여기서 조절 기구의 그 부분은 전체적으로 화물 표면(L) 아래에, 여기서는 화물 바닥의 하측(U)에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링크 체인(3L, 3R) 각각은 안내관(6.1 또는 6.2)의 형태로 되어 있는 안내부 안에서 재위치 가능하게 안내되며, 그 안내관은 상기 개구(OL, OR) 안으로 열려 있고, 화물 표면(L) 상의 링크 체인(3L, 3R)은 개구(OL, OR)를 통해 전개될 수 있다. 그래서, 후퇴된 상태에서 2개의 링크 체인(3L, 3R)은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화물 표면(L) 아래에 배치된다.
현재 2개의 안내관(6.1, 6.2)은 서로 평행하게 또한 차량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내관(6.1, 6.2) 각각은 실질적으로 90°도 구부러진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링크 체인(3L, 3R)이 각각의 안내관(6.1 또는 6.2) 밖으로 이동할 때 그 단부에 의해 구부러진다. 링크 체인(3L, 3R)이 각각의 안내관(6.1 또는 6.,2)으로부터 전개되고 또한 다시 그 안내관 안으로 후퇴하도록 링크 체인(3L, 3R)을 구동시키기 위해 하나의 전동 구동기(5)가 제공되어 있다. 이 구동기(5)는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화물 바닥의 하측(U)에 고정된다. 구동기(5)는 바우덴(Bowden) 케이블(4) 형태의 가요적인 구동 견인 수단을 구동시키며, 그 바우덴 케이블은 링크 체인(3L, 3R)을 안내관(6.1, 6.2)에 대해 조절하기 위해 양 링크 체인(3L, 3R)에 연결되어 있다. 바우덴 케이블(4)은 여기서 2개의 바우덴 피복부(40)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바우덴 피복부 각각은 구동기(5)로부터 바우덴 지지부(9.1 또는 9.2)까지 연장되어 있고, 구동 케이블이 상기 바우덴 피복부(40) 안에서 변위가능하게 안내된다. 바우덴 지지부(9.1 또는 9.2)로부터 시작하는 그 구동 케이블은 안내관(6.1, 6.2)의 외부에서 또한 그 안내관을 따라 여러번 구부러지며, 그래서, 구동기(5)를 작동시켜 양 조절 링크(3L, 3R)를 구동기(5) 및 바우덴 케이블(4)에 의해 동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바우덴 케이블(4)의 구동 케이블의 구부림 및 안내를 위해 복수의 구부림/안내 요소(7a ∼ 7f)가 안내관(6.1, 6.2)의 영역에 제공되어 있다. 가능한 컴팩트한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 구부림/안내 요소(7a ∼ 7f) 중의 일부는 홀더(H1 ∼ H4)에 배치되고, 이들 홀더에 의해 안내관(6.1, 6.2)이 하측(U)에 설치된다. 그래서, 2개의 구부림 요소(7a, 7b)(각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블 풀리로 되어 있음)가 안내관(6.1, 6.2)의 서로 반대쪽에서 홀더(H4)에 제공되어 있고, 그래서 2개의 안내관(6.1, 6.2)은 서로 평행하게 있는 구동 케이블의 부분들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안내 요소(7c, 7d)인 2개의 케이블 풀리가 서로 반대쪽에서, 홀더(H4)로부터 최대한 이격되어 있는 추가 홀더(H1)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 케이블은 구부러지지 않고 상기 안내 요소(7c, 7d)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단순히 안내된다. 구동 케이블의 일 부분이 한 안내관(6.1)에 평행하게 하고 또한 구동 케이블의 다른 부분은 다른 안내관(6.2)에 평행하게 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블 풀리의 형태로 된 2개의 안내 요소(7e, 7f)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 케이블 풀리에 의해 구동 케이블이 총 180°로 반향 전환된다. 이렇게 해서, 평면도에서 볼 때 구동 케이블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 2개의 안내관(6.1, 6.2)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U형으로 있다.
슬라이드(8.1, 8.2) 형태로 되어 있는 2개의 구동 요소가 구동 케이블에 배치되어 있고, 바우덴 케이블(4)의 구동 케이블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구동 케이블이 변위될 때 이들 슬라이드(8.1, 8.2)는 구동기(5)에 의해 동반된다. 여기서 슬라이드(8.1, 8.2) 각각은, 선형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각각의 안내관(6.1 또는 6.2)의 관 축선(R)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할당된 안내관(6.1 또는 6.2)의 외부측에 재위치 가능하게 안내된다. 여기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슬라이드(8.1, 8.2)용 안내 트랙이 각각의 안내관(6.1 또는 6.2)에 있는 측면 안내 슬롯(6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슬롯(60)을 통해 각 슬라이드(8.1, 8.2)는 에컨대 스크류 또는 볼트의 형태로 되어 있는 연결 요소(80)에 의해 스러스트(thrust) 링크(303)에 연결되며, 그 스러스트 링크는 각각의 할당된 안내관(6.1 또는 6,2) 안에 재위치 가능하게 장착된다. 슬라이드(8.1 또는 8.2)와 각각 관련 스러스트 링크(303) 사이의 강성적인 연결에 의해, 바우덴 케이블(4)의 구동 케이블이 변위되자 마자 스러스트 링크(303)가 슬라이드(8.1, 8.2)에 의해 함께 조절된다(또한 도 4b 참조). 구동기(5)가 작동되면, 조절력이 바우덴 케이블(4)에 의해 두 슬라이드(8.1, 8.2)에 전달되며, 그리하여, 그 두 슬라이드는 화물 표면(L)의 하측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을 따라 조절된다. 여기서 슬라이드(8.1, 8.2) 각각은 안내관(6.1 또는 6.2) 안에서 재위치 가능하게 안내되는 스러스트 링크(303)를 동반하게 되며, 그리하여, 링크 체인(3L, 3R)이 안내관(6.1, 6.2) 밖으로 전개되고 다시 그 안내관 안으로 후퇴된다. 전개 중에, 링크 체인(3L, 3R)은 화물 표면(L) 밖으로 상방으로 안내관(6.1, 6.2)을 따라, 본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수직을 따라 구부러져 전개된다.
부분적으로 전개된 링크 체인(3L)이 도 4a에 고정 네트(1)와 함께 부분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링크 체인(3L)의 단부에서 돌출해 있는 연결 고리(300)는 고정 네트(1)의 코너(1a)에 연결되어 있다.
특히, 도 4b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어(301)에 의해 인장력이 링크 체인(3L 또는 3R)의 조절 운동과는 독립적으로 고정 네트(1)에 가해질 수 있다. 그래서 코어(301)는 링크 체인(3L 또는 3R)의 체인 링크(31)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추가적인 그리고 바람직하게 마찬가지로 전동적인 구동기에 의해 링크 체인(3L 또는 3R)과는 독립적으로 변위 가능하고 또한 그 링크 체인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그래서, 특히, 후퇴된 링크 체인(3L 또는 3R)의 경우, 화물 표면(L) 상에 놓여 있는 화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 네트가 팽팽하게 인장되도록 하기 위해, 또한 화물 표면(L)의 방향으로 고정 네트(1)에 힘을 가하기 위해, 링크 체인(3L 또는 3R)의 조절과는 독립적인 인장력이 코어(301)에 의해 고정 네트(1)에 전달될 수 있다. 도 4b의 단면도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장 요소로서 기능하는 코어(301)는, 각각의 안내관(6.1, 6.2) 안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잇는 개별 체인 링크(31) 뿐만 아니라, 압축 스프링(302), 이 압축 스프링(302)을 슬리브형 부분에 안에 장착하는 스러스트 링크(303) 및 이 스러스트 링크(303)에 장착되어 있는 힘 전달 요소(304)를 통과해 연장되어 있다. 이를 위해, 코어(301)를 안내하기 위한 체인 링크(31)는 중앙의 연속적인 덕트(31k)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스러스트 링크(303) 및 힘 전달 요소(304) 각각은 마찬가지로 중앙의 연속적인 덕트(303k 또는 304k)를 가지고 있다.
압축 스프링(302), 스러스트 링크(303), 및 힘 전달 요소(304)는, 항상 안내관(6.1 또는 6.2) 내부에 유지되는 링크 체인(3L 또는 3R)의 후방 단부를 형성한다. 링크 체인(3L 또는 3R)은 상기 단부에 의해 각각의 안내관(6.1 또는 6.2) 밖으로 전개되고 또한 그 안내관 안으로 후퇴된다. 여기서 힘 전달 요소(304)는 스러스트 링크(302)의 슬리브형 부분 안에서 길이 방향으로 재위치 가능하게 장착되고, 길이 방향으로의 어떠한 조절도 압축 스프링(302)에 의해 가해지는 복원력에 대항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스러스트 링크(303)와 힘 전달 요소(304)에 지지되고 조립 중에 압축되는 압축 스프링(302)에 의해, 링크 체인(3L 또는 3R)의 체인 링크(31)는 전개된 상태의 체인 링크(31)가 서로에 고정되도록 서로에 대해 예인장되며, 고정 네트(1)는, 이 고정 네트 때문에 전개 방향에 대해 횡으로 강성적인 체인 부분에 의해, 화물 표면(L) 상방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잇다.
개별 체인 렝크(31)에 대한 예인장이 발생되도록, 복수의 예인장 코어(312a, 312b)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예인장 코어 각각은 체인 링크(31)의 체인 링크 안내 덕트(311)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그 체인 링크 안내 덕트는 코어(301)를 위한 덕트(31k)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그 덕트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체인 링크(31)는, 각기 링크 체인(3L 또는 3R)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예인장 코어(312a, 312b)에 의해 서로에 대해 예인장된다. 바람직하게 2개 또는 4개가 제공되는 예인장 코어(312a, 312b) 각각은 말단편(30) 및 힘 전달 요소(304)에 연결되어 있다.
예인장 코어(312a, 312b)가 힘 전달 요소(304) 및 말단편(30)에 연결되어 있음으로해서, 힘전 전달 요소(304)는 스러스트 링크(303)의 조절시에 함께 조절될 수 있다. 그래서, 링크 체인(3L 또는 3R)이 전개되는 경우에 스러스트 링크(303)의 조절 운동이, 전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체인 링크(31)에 직접 전달된다. 또한, 링크 체인(3L 또는 3R)이 전개될 때, 힘 전달 요소(304) 및 말단편(30)에 연결되어 있는 예인장 코어(312a, 312b)에 의해 힘 전달 요소(304)가 말단편(30)에 의해 동반된다. 힘 전달 요소(304)는 압축 스프링(302)에 의해 스러스트 링크(303)에 대해 말단편(30)으로부터 멀어지게 밀리게 되며, 그래서, 체인 링크가 안내관(6.1, 6.2) 밖으로 전개될 때 힘 전달 요소(304)에 의해 체인 링크(31)의 상호 연결이 강화된다.
이와는 달리, 링크 체인(3L 또는 3R)이 후퇴될 때에는, 스러스트 링크(303)의 조절 운동이 압축 스프링(303)에 의해 힘 전달 요소(304)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힘 전달 요소는 예인장 코어(312a, 312b)를 통해 말단편(30)을 동반하게 되며, 그래서 그 말단편은 최종적으로 안내관(6.1, 6.l2)의 단부에서 또는 그 안에서 이용 가능하게 되고 링크 체인(3L 또는 3R)은 완전히 후퇴된 상태로 된다. 체인 링크(1)의 서로에 대한 예인장은, 각각의 링크 체인(3L 또는 3R)이 안내관(6.1 또는 6.2) 안으로 후퇴될 때 체인 링크(31)들이 서로 해제되고 또한 이전에 강성적인 체인 부분이 다시 가요적으로 되고 안내관(6.1 또는 6.2) 안에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 7a 및 7b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별 체인 링크(31) 각각은 전방측에서 중앙 플러그형 돌출부(310)를 가지며, 후방측에서는 그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313)를 가지고 있으며, 그 주위에는 예인장 코어(312a, 312b)를 위한 체인 링크 안내 덕트(311)(각기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체인 링크(31)는 각 경우 돌출부(310) 및 오목부(313)에 의해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게 되며, 그래서 링크 체인(3L 또는 3R)의 전개된 부분은 고정 네트(1)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고 지지하기에 충분히 강성적이고 또한 안정적으로 된다. 또한, 개별적인 체인 링크(31)의 형상에 따라, 링크 체인(3L 또는 3R)의 전개된 부분은 실질적으로 수직을 따라 연장되지 않고 예컨대 아치형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잇다. 이렇게 해서, 서로 연결되는 부분 세그먼트(여기서는 체인 링크(31)의 형태임)의 형상에 따라, 고정 네트(1)를 위한 서로 다른 조절 트랙들이 정해질 수 있다.
(스러스트) 링크 체인(3L, 3R) 및 각각의 관련된 안내관(6.1, 6.2)에 대한 추가 상세가 도 4c, 5a, 5b, 6a 및 6b에 상세히 나타나 있다.
예컨대 도 4b에 나타나 있는 도시와의 차이점으로서, 각각의 안내관(6.1 또는 6.2)을 각각의 관련된 개구(OL, OR)의 영역에서 화물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랜지 영역(610*)을 갖는 체결부(61*)가 도시되어 있다. 도 4b의 도시의 경우, 실질적으로 수평 축선을 따라 힘 전달 요소(304)에 전달되는 힘을 실질적으로 수직을 따르는 개구(OL 또는 OR) 밖으로의 각각의 링크 체인(3L 또는 3R)의 조절 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각각의 안내관(6.1, 6.2)의 단부에 굴곡부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관(6.1, 6.2)의 구부러진 단부는 각각의 개구(OL 또는 OR)의 영역에 있는 중공 원통형 체결부(61)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이 체결부(61)는 예컨대 관 커넥터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도 4c, 5a, 5b, 6a 및 6b의 도시의 경우, 체결부(61*)는, 선형적으르 연장되어 있는 안내관(6.1, 6.2)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데, 예컨대 플러그 끼워맞춤되며, 체결부(61*)의 내부는, 90°로 구부러져 있는, 링크 체인(3L, 3R)을 위한 안내 덕트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본 경우에는, 도 4c의 평면도에 대응하여, 각각의 링크 체인(3L 또는 3R)을 위해 상기 체결부(61*)에 형성되어 있는 출구 개구가 그 체결부에 의해 오프셋되어 있으며, 상기 출구 개구는 각도(α)(α ≤ 20°, 바람직하게는 ≤ 10°) 만큼 안내관(6.1, 6.2)의 세로 연장 방향에 대해 횡으로 있다.
체결부(61*)는 별도의 부품으로 되어 있고, 그의 플랜지 영역(610*)에 의해 안내관(3L 또는 3R)의 일 단부에 고정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각각의 안내관(6.1, 6.2)의 제작이 간단하게 되며, 구부림 각도 및 링크 체인(3L 또는 3R)을 위한 안내 트랙에 대한 요건이 서로 다른 체결부(61*)들의 사용을 통해 변할 수 있다.
더욱이, 링크 체인(3L 또는 3R)의 자유 단부에 있는 말단편(30)의 예시적인 설계 실시 형태가 도 6b에 확대도로 나타나 있다. 여기서, 말단편(30)은, 단부측에서 보이는 말단 슬리브(AS) 외에도, 중심부에서 구동되는 세트 스크류(32)를 가지고 있다. 이 세트 스크류(32)는 압축편(DS)을 말단편(30)에 고정시키고, 고정 네트(1)를 인장시키기 위해 연결 고리(300)를 갖는 코어(301)의 출구 개구를 형성한다. 그래서 여기서 세트 스크류(32)는 링크 체인(3L 또는 3R)에 대해 구동될 수 있는 코어(301)를 위한 안내 덕트(K)의 일 단부를 형성하며, 그 안내 덕트(K)는 링크 체인(3L 또는 3R) 및 스러스트 링크(303), 압축 스프링(302) 및 힘 전달 요소(304)를 통과해 연속적으로 되어 있다.
물론, 고정 네트(1)의 형태로 되어 있는 평평한 가요적인 고정 요소만 조절 기구(링크 체인(3L 또는 3R) 또는 복수의 링크 체인(3L, 3R)을 가짐, 도 2a 내지 7b에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대안적인 설계의 고정 요소(화물을 차량의 화물 표면(L)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됨)도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요소는 선택적으로 또한 강성적일 수 있고, 링크 체인(들)에 의해 적재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가 의도된 용도에 따라 차량 내에 결합될 때, 안내관(6.1, 6.2)(링크 체인(3L, 3R)이 차량의 헤드라이너의 방향으로 그 안내관 밖으로 전개될 수 있음)은 서로에 대해서도 각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고/있거나 차량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있을 수 있다. 원리적으로, 더욱이 사실, (스러스트) 링크 체인(3L 또는 3R)을 안내하고/안내하거나 수용하기 위한 상기 안내관(6.1, 6.2)과 같은 위치 고정된 안내 부품은 화물 바닥 면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일 변형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가 옆에서 측벽(SL 또는 SR) 뒤에 배치되거나 그 측벽 상에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더욱이, 복수의 링크 체인(3L, 3R)을 바람직하게 동기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단일의 공통 구동기(5) 대신에, 일 변형예에서, 링크 체인(3L, 3R)은 바람직하게는 전동적인 복수의(적어도 2개의) 구동기에 의해 비동기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일 개량예에서, 또한, 링크 체인(3L 또는 3R)의 전개된 부분이 사용자에게 더 잘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 광 요소가 링크 체인(3L, 3R)과 같은 장치의 조절부 상에 그리고/또는 그 안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광 요소는 예컨대 광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예에서, 개별 체인 링크(31)는 예컨대 광 전달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광 전달 라인이 개별 체인 링크(31) 안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발광 라이트 수단이 특히 그러한 방식으로 링크 체인(3L 또는 3R)의 체인 링크(31) 안에 통합되어 있을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전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 장치의 일 변형예가 도 8a, 8b, 9a 및 9b에 나타나 있고, 이 변형예의 경우, 케이블 당김 요소(2.1, 2.2)의 형태로 되어 있는 가요적인 인장 요소가 고정 네트(1)의 형태로 되어 있는 평평한 고정 요소에 배치되어 있고, 화물 표면(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작용하는 추가적인 힘이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네트(1)에 가해지도록 그 고정 네트(1)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하여, 고정 네트(1)가 화물 표면(L) 상에 있는 대상물(G2, G3) 주위에 수축되고 타이트하게 감기게 된다. 여기서, 각 경우 하나의 케이블 당김 요소 부분에 의해 고정 네트(1)에서 교차하는 케이블 당김 요소(2.1, 2.2)는 U 형으로 고정 네트의 세 가장자리를 따라 있다. 고정 네트(1)에서 U 형으로 있는 두 케이블 당김 요소(2.1, 2.2)의 두 케이블 당김 요소 부분은, (고정 네트(1)의 무응력 상태에서) U 형 기부가 각 경우 서로 반대편에 있고 또한 U 형부의 다리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도록 서로 배치된다. 현재, 한 케이블 당김 요소(2.1)의 일 부분은 측면 가장자리(10L, 10R)의 길이의 대부분을 가로질러 또한 후방 가장자리(11H)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케이블 당김 요소(2.2)는 측면 가장자리(10L, 10R)의 대부분을 가로질러 또한 전방 가장자리(11F)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2개의 케이블 당김 요소(2.1, 2.2)(여기서는 각기 2개의 구부림 요소(70a, 70b 또는 70c, 70d)에서 구부러짐)를 당기면 고정 네트(1)가 수축될 수 있고, 그래서 화물 표면(L) 상에 있는 대상물(G1, G2, 또는 G3)(또는 복수의 대상물)의 형태로 되어 있는 화물 주위에 고정 네트(1)가 타이트하게 감기게 된다.
도 8a에 대응하는 도인 도 8b에는 도 8a의 변형예의 개량예가 나타나 있는데, 이 경우, 2개의 추가적인 케이블 당김 요소(2.3, 2.4)가 케이블 당김 요소(2.1, 2.1)에 추가적으로 제공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고정 네트(1)를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각 경우, 고정 네트(1)를 따라 있고 그 고정 네트에 유지되어 있는 케이블 당김 요소 부분 중의 2개는 서로 대칭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고정 네트(1)의 무게 중심에 대한 제 1 외부 케이블 당김 요소(2.1) 및 제 3 내부 케이블 당김 요소(2.3)의 부분들은 고정 네트(1)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있고, 제 2 외부 케이블 당김 요소(2.2) 및 제 4 내부 케이블 당김 요소(2.4)의 부분들도 마찬가지로 고정 네트(1)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있다. 그래서, 외부 케이블 당김 요소(2.1, 2.2) 및 내부 케이블 당김 요소(2.3, 2.4)는 서로 다른 표면적의 기하학적으로 유사한 외부 및 내부 면(F1, F2)을 규정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나타나 있는 변형예에서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복수의 국소 영역이 고정 네트(1)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이 국소 영역에서 고정 네트(1)는 화물 표면(L) 상에 있는 대상물(G1 - G3) 주위에 팽팽하게 인장되어 수축될 수 있음), 고정 네트(1)에 비해 작은 서로 다른 크기의 대상물, 특히 대상물(G1 - G3)(현재 작은 중심면(F2)의 영역에 있음)을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 8a를 보충적으로 참조하면, 도 8b의 개량예의 경우, 추가 케이블 당김 요소(2.3, 2.4)를 구부리기 위한 추가적인 구부림 요소(70e, 70f, 70g, 70h)가 고정 네트(1)의 외부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도 8a 및 8b의 구부림 요소(70a ∼ 70h)는 화물 표면(L)의 위쪽에 또는 도 3a에 따른 구부림/안내 요소 (7a ∼ 7f)와 유사하게 화물 표면(L)의 아래에 결합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또한, 모든 또는 개별적인 케이블 당김 요소(2.1 ∼ 2.4)의 구부림은 없어도 되며, 그래서 그들 케이블 당김 요소는 예컨대 화물 표면(L)에 있는 개구를 통해 안내되고 그 화물 표면(L) 아래에서 감기게 된다.
인장 요소로서 작용하는 케이블 당김 요소(2.1, 2.2, 2.3, 2.4)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고 고정 네트(1)를 따라 설치된 경우에, 연속적인 인장이 또한 제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고정 네트(1)는 하나의 케이블 당김 요소(2.1 및/또는 2.3)에 의해 처음에 후방 시트(HS)의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 때문에 화물 표면(L) 상의 화물은 그 후방 시트(HS)의 방향으로 재위치된다. 이어서, 구동기에 의해 다른 케이블 당김 요소(2.2 및/또는 2.4)가 당겨져 고정 네트(1)가 수축되며, 그래서, 대상물(G1, G2 또는 G3)의 형태인 이전에 재위치되어 있는 화물이 고정 네트(1)로 둘러싸이고 정해진 위치에서 화물 표면(L) 상에 고정된다.
물론, 다른 기다란 가요적인 견인 수단, 예컨대 인장 벨트가 케이블 당김 요소(2.1, 2.2, 2.3 또는 2.4)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평평한 가요적인 고정 요소를 따르는 인장 요소 또는 조절부의 U 형 프로파일은 예컨대 링크 체인(3L 또는3R)에 의한 고정 요소의 조절과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블 당김 요소(2.1 ∼ 2.4)는 링크 체인(3L, 3R)의 코어(301)로 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연결 고리(300)에 의해 그 링크 체인(3L, 3R)의 코어(301)에 연결될 수 있다.
1 고정 매트(고정 요소)
10L, 10R 측면 가장자리
11F 전방 가장자리
11H 후방 가장자리
1a - 1d 코너
2.1 - 2.4 케이블 당김 요소(인장 요소)
21, 22, 23, 24 케이블 당김 부분
2L, 2R 케이블 당김 요소(인장 요소/조절부)
30 말단편
300 연결 고리(연결편)
301 코어(인장 요소)
302 압축 스프링(스프링 요소)
303 스러스트 링크
303k 덕트
304 힘 전달 요소
304k 덕트
31 체인 링크
310 돌출부
311 체인 링크 안내 덕트
312a, 312b 예인장 코어(견인 수단)
313 오목부
31k 덕트
32 세트 스크류
3L, 3R 링크 체인(조절부)
4 바우덴 케이블(구동 견인 수단)
40 바우덴 피복부
5 구동기
6.1, 6.2 안내관(안내부)
60 안내 슬롯
61, 61* 체결부
610* 플랜지 영역
7a - 7f 구부림 요소/안내 요소
70a - 70h 구부림 요소
8.1, 8.2 슬라이드(구동
요소)
80 연결 요소
9.1, 9.2 바우덴 지지부
AS 말단 슬리브
DS 압축편
F1, F2 면
G1, G2, G3 대상물
H1 - H4 홀더
HS 후방 시트
K 안내 덕트
L 화물 표면
OL, OR 개구
R 관 축선
SL, SR 측벽
U 하측
α 각도

Claims (20)

  1. 차량의 화물 표면(L)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G1 ∼ G3)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외부 동력에 의해 적어도 적재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절될 수 있는 고정 요소(1)를 가지며,
    상기 적재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G1 ∼ G3)은 상기 화물 표면(L)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고정 요소(1)가 상기 고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G1 ∼ G3)과 접촉하고 또한 화물 표면(L)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고정 위치의 고정 요소(1)에 가해지므로써,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G1 ∼ G3)이 상기 고정 요소(1)에 의해 화물 표면(L) 상의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장치는, 구동기(5)에 의해 전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요적인 조절부(3L, 3R)를 가지며, 고정 요소(1)는 외부 동력에 의해 상기 조절부를 통해 적어도 상기 적재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절될 수 있고, 상기 가요적인 조절부(3L, 3R)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 부분 요소(31) 또는 상기 조절부(3L, 3R)의 형상에 의해 고정 요소(1)를 적재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강성적으로 되거나, 또는
    상기 장치는, 구동기(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부(3L, 3R), 및 상기 고정 요소(1)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장 요소(301)를 가지며, 고정 요소(1)는 외부 동력에 의해 상기 조절부를 통해 적재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인장 요소는, 화물 표면(L)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상기 고정 요소(1)에 가하도록 상기 조절부(3L, 3R)와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개 가능한 조절부(3L, 3R)을 갖는 장치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인장 요소(301)가 제공되어 있고, 고정 요소(1)의 고정 위치에서, 화물 표면(L)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상기 추가적인 인장 요소에 의해 고정 요소(1)에 가해지게 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체인(3L, 3R) 또는 벨트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가능한 조절부(3L, 3R)의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체인(3L, 3R)의 링크(31)는 형상 끼워맞춤과 마찰 끼워맞춤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의해 자동적으로 서로에 고정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31)를 서로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견인 수단(312a, 312b)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302)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제공되어 있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3L, 3R)는 상기 인장 요소(301)의 적어도 일 부분을 물리적으로 안내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안내부(6.1, 6.2)를 포함하고, 후퇴된 상태의 상기 전개 가능한 조절부(3L, 3R)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안내부 안에 수용되며, 상기 조절부(3L, 3R)는 전개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안내부를 따라 물리적으로 안내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3L, 3R)는 상기 안내부(6.1, 6.2) 안에서 구부러지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구동기(5)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적인 구동 견인 수단(4)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견인 수단은 고정 요소(1)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력을 상기 조절부(3L, 3R)에 전달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구부림(deflection) 및 안내 요소(7a ∼ 7f)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견인 수단(4)이 상기 구부림 또는 안내 요소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안내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복수의 구부림 및 안내 요소(7a ∼ 7f)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구동 견인 수단(4)이 안내되거나 상기 구동 견인 수단(4)이 구부러지는 모든 구부림 및 안내 요소(7a ∼ 7f)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화물 표면(1) 아래에 배치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구동기(5)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적인 구동 견인 수단(4)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견인 수단은 고정 요소(1)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력을 상기 조절부(3L, 3R)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 견인 수단(4)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요소(8.1, 8.2)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구동 요소는 조절부(3L, 3R)에 조절력을 전달하도록 구동 견인 수단(4)에 의해 상기 안내부(6.1, 6.2)를 따라 조절될 수 있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조절부(3L, 3R)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조절부(3L, 3R)는, 고정 요소(1)를 조절하기 위해 공통 구동기(5)에 의해 동시에 구동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고정 요소(1)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2개의 조절부는 각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다란 안내부(6.1, 6.2) 안에 수용되며, 조절부(3L, 3R)를 위한 적어도 2개의 기다란 안내부(6.1, 6.2)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5. 차량의 화물 표면(L)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G1 ∼ G3)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외부 동력에 의해 적어도 적재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절될 수 있는 평평한 가요적인 고정 요소(1)를 가지며,
    상기 적재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G1 ∼ G3)이 상기 화물 표면(L)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고정 요소(1)가 상기 고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G1 ∼ G3)과 접촉하고 또한 화물 표면(L)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고정 위치의 고정 요소(1)에 가해지므로써,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G1 ∼ G3)이 상기 고정 요소(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히고 또한 고정 요소(1)에 의해 화물 표면(L) 상의 위치에 유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 가능한 조절부(2L, 2R; 3L, 3R) 및 구동 가능한 인장 요소(2L, 2R; 2.1, 2.2, 2.3, 2.4)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갖는 조절 기구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가능한 조절부 및 구동 가능한 인장 요소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적재 위치에 있는 상기 평평한 고정 요소(1)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고,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 요소(1)는 화물 표면(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또한 고정 요소(1)는 화물 표면(L)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적재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절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구동 가능한 조절부 및 구동 가능한 인장 요소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고정 위치에 있는 상기 고정 요소(1)에 추가 힘을 가하며, 상기 추가 힘은 화물 표면(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작용하여,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요소(1)가 화물 표면(L) 상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G1 ∼ G3) 주위에 수축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요소 및 조절부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가요적인 견인 수단(2L, 2R; 2.1, 2.2, 2.3, 2.4)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2L, 2R; 2.1, 2.2, 2.3, 2.4)은 상기 화물 표면(L)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부림 요소(7a ∼ 70h)에 의해 구부러지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요소 및 조절부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가요적인 견인 수단(2.1, 2.2, 2.3, 2.4)을 포함하고, 상기 견인 수단(2.1, 2.2, 2.3, 2.4)을 당기면 고정 위치에 있는 평평한 고정 요소(1)가 상기 화물 표면(L) 상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G1 ∼ G3) 주위에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적인 견인 수단은 실질적으로 U 형으로 상기 평평한 고정 요소(1)의 가장자리(10L, 10R, 11F, 11H)를 따라 있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9.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인장 요소(2.1, 2.2; 2.3, 2.4) 및 조절부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화물 표면(L) 상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G1 ∼ G3)이 고정 위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고정 요소(1)에 의해 화물 표면(L)을 따라 재위치되도록, 고정 요소(1)는 제 1 인장 요소(2.1; 2.2; 2.3; 2.4) 및 제 1 조절부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화물 표면(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작용하는 추가 힘이 제 2 인장 요소(2.2; 2.1; 2.4; 2.3) 및 제 2 조절부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의해 가해질 수 있어, 고정 요소(1)가 재위치된 대상물(G1 ∼ G3) 주위에 수축될 수 있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20.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광 요소가, (i) 상기 조절부(2L, 2R; 3L, 3R) 상에 제공되거나, (ii) 상기 조절부(2L, 2R; 3L, 3R) 안에 제공되거나, 또는 (iii) 상기 조절부(2L, 2R; 3L, 3R) 상에 그리고 상기 조절부(2L, 2R; 3L, 3R) 안에 제공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20177009282A 2014-09-11 2015-08-28 화물 고정 장치 KR101939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18256.5A DE102014218256A1 (de) 2014-09-11 2014-09-11 Vorrichtung zur Ladungssicherung
DE102014218256.5 2014-09-11
PCT/EP2015/069756 WO2016037869A1 (de) 2014-09-11 2015-08-28 Vorrichtung zur ladungssiche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572A KR20170048572A (ko) 2017-05-08
KR101939702B1 true KR101939702B1 (ko) 2019-04-11

Family

ID=5419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282A KR101939702B1 (ko) 2014-09-11 2015-08-28 화물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82945B2 (ko)
JP (1) JP6454005B2 (ko)
KR (1) KR101939702B1 (ko)
CN (1) CN106660476B (ko)
DE (1) DE102014218256A1 (ko)
WO (1) WO20160378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8256A1 (de) 2014-09-11 2016-03-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orrichtung zur Ladungssicherung
DE102015217006A1 (de) 2015-09-04 2017-03-0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orrichtung mit Bodenabdeckung für einen Laderaum
DE102017200529A1 (de) 2017-01-13 2018-07-1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erstell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ausfahrbarer Gliederkette zur Bildung eines Funktionselements für die Halterung und/oder die Aufbewahrung eines Kleidungsstücks
DE102017201626A1 (de) * 2017-02-01 2018-08-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erstellvorrichtung für die Bereitstellung eines Staufaches mit einem Stauraum
DE102017203443A1 (de) 2017-03-02 2018-09-0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DE102017212267A1 (de) 2017-07-18 2019-01-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Netzanordnung für ein Fahrzeug
US10486604B2 (en) * 2017-08-09 2019-1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ggage-retention device
CN109484277B (zh) * 2017-09-10 2021-06-08 南京梅山冶金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大型电机转子汽车运输的安全装置
EP3825183B1 (en) * 2019-11-22 2022-08-03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rrangement and method for securing a load in a vehicle
JP2022167048A (ja) * 2021-04-22 2022-11-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荷室構造
IT202100024857A1 (it) * 2021-09-28 2023-03-28 Polytech S A S Di Pagnin Enrico & C Sistema di protezione contro l'asporto di contenuto da un vano, e veicolo equipaggiato con detto sistem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642A (ja) 2000-10-16 2002-04-23 Kokuho:Kk 荷崩れ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772A1 (de) * 1969-12-24 1971-07-15 Waggon Und Maschb Ag Donauwoer Vorrichtung zum Verzurren einer Ladung
JPS6365538A (ja) 1986-09-05 1988-03-24 Nec Corp マイクロコンピユ−タインサ−キツトエミユレ−タ
JPS6393235A (ja) 1986-10-07 1988-04-2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アドレス変換機能付きバスアダプタ
JPH0352586Y2 (ko) * 1986-10-17 1991-11-14
JPS6393235U (ko) * 1986-12-09 1988-06-16
US4969793A (en) 1988-02-16 1990-11-13 Pawl E Timothy Power trunk lift
US5348259A (en) * 1992-02-10 1994-09-2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Flexible, articulable column
DE4239470C2 (de) 1992-11-24 1996-08-22 Butz Peter Verwaltung Bahnförmige Rückhaltevorrichtung für den Laderaum von Kraftfahrzeugen
FR2714003B1 (fr) 1993-12-22 1996-01-12 Peugeot Dispositif de maintien de bagages dans un coffre de véhicule.
JP3294970B2 (ja) * 1995-07-13 2002-06-24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荷崩れ防止装置
DE19722501B4 (de) 1996-06-08 2011-01-27 Volkswagen Ag Vorrichtung zur Ladegutsicherung an einem Fahrzeug
JP4552256B2 (ja) 2000-03-17 2010-09-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荷室構造
SE516063C2 (sv) * 2000-04-07 2001-11-12 Klippan Safety Ab Säkerhetsnätsarrangemang för en koj i en lastbilshytt
JP2001315581A (ja) 2000-05-09 2001-11-13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荷物保持装置
JP2002012083A (ja) 2000-06-30 2002-01-15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荷室構造
EP1363805A1 (en) 2001-02-20 2003-11-26 Freight Securing Systems Limited Cargo storage system
US7179040B2 (en) 2003-02-17 2007-02-20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Luggage storage structure for automobile and lifter
DE202004005533U1 (de) * 2004-04-01 2005-01-05 Arlt, Thomas Vorrichtung eines Systems zur Sicherung einer Ladung
DE102004057112A1 (de) * 2004-11-26 2006-06-01 Acts Advanced Car Technology Systems Gmbh & Co.Kg Vorrichtung zur Sicherung von Ladegut in einem Kraftfahrzeug
JP2009539685A (ja) 2006-06-16 2009-11-19 リータ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車両トランクルームに荷物棚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
DE102007007747A1 (de) 2007-02-16 2008-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arborn Laderaum für ein Kraftfahrzeug
DE202007015276U1 (de) 2007-10-29 2009-03-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Ausziehbare Abdeckvorrichtung
DE102007057073B4 (de) * 2007-11-23 2011-12-29 Bos Gmbh & Co. Kg Abdecksystem für ein Fahrzeug
US20090304476A1 (en) * 2008-06-05 2009-12-10 Robert Pickens Load-restraining barrier net for use in motor vehicles
DE102010012315A1 (de) * 2010-03-23 2010-10-21 Daimler Ag Vorrichtung zur Ladungssicherung und/oder Ladungsabdeckung für Güter auf einer Ladefläche
DE102012200928A1 (de) 2012-01-23 2013-07-25 Bos Gmbh & Co. Kg Funtkionsanordn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DE202013001149U1 (de) * 2013-02-06 2013-03-26 Meike Kröger Ladungssicherungsnetz für den Schnelleinsatz bei Kleintransportern
CN203391678U (zh) * 2013-07-26 2014-01-15 山东电力建设第二工程公司 车载篷布收放装置
JP6393235B2 (ja) 2014-05-20 2018-09-19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接触分解ガソリン中のアニリン類の吸着除去方法
DE102014218256A1 (de) 2014-09-11 2016-03-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orrichtung zur Ladungssicher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642A (ja) 2000-10-16 2002-04-23 Kokuho:Kk 荷崩れ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54005B2 (ja) 2019-01-16
DE102014218256A1 (de) 2016-03-17
CN106660476B (zh) 2019-05-17
WO2016037869A1 (de) 2016-03-17
CN106660476A (zh) 2017-05-10
JP2017528364A (ja) 2017-09-28
KR20170048572A (ko) 2017-05-08
US20170259727A1 (en) 2017-09-14
US10682945B2 (en)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702B1 (ko) 화물 고정 장치
US7354100B2 (en) Power slide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US6905170B2 (en) Fold down seat lumbar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US7549700B2 (en) Mechanism for thin seat lumbar
US20020195843A1 (en) Shade device for a transparent roof element
JP6701090B2 (ja) 延出可能なベルトガイド要素を備える安全ベルトの調整装置
US10294979B2 (en) Vehicle seat
HU212556B (en) Belt tightener for safety belt system of motor vehicle
CN108137129A (zh) 交通工具的遮蔽装置
US20080272612A1 (en) Covering Device for Glazing in a Vehicle
RU2008104642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крытия для временного покрытия зоны открытой палубы на судах
US9718431B2 (en) Packaging method for an airbag, airbag and a device for folding or rolling an airbag
NL2015327B1 (nl) Bevestigingsinrichting en Scherminstallatie voor een Kas of Warenhuis, alsmede Werkwijze voor het Bevestigen van een Doek of Scherm.
EP1710108A2 (en) Curtain assembly for curtain-sided vehicle
US20070001475A1 (en) Truck bed cover corrugator
EP4309931A1 (en) Cover assembly for truck bed
US20060202526A1 (en) Vehicle seat, especially a motor vehicle seat
GB2340459A (en) Roof arrangement
JP7491968B2 (ja) ボーディングアーケード
CA2293406A1 (en) Device for securing articles in such a way that they can be released
CN111959382B (zh) 具有缆线驱动器的滑出式房间机构
GB2288581A (en) Load covers for long vehicles
US20180221224A1 (en) Dual deployment ramp
JP2020527508A (ja) 車両用のネット組立体
JP2704366B2 (ja) トラック等の荷台用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