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320B1 -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를 위한 증발기 버너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를 위한 증발기 버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320B1
KR101922320B1 KR1020167029091A KR20167029091A KR101922320B1 KR 101922320 B1 KR101922320 B1 KR 101922320B1 KR 1020167029091 A KR1020167029091 A KR 1020167029091A KR 20167029091 A KR20167029091 A KR 20167029091A KR 101922320 B1 KR101922320 B1 KR 101922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preparation
fuel
region
zone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812A (ko
Inventor
볼로디미르 일첸코
마르틴 조스케
미첼 푀네르
비탈리 델
클라우스 모슬
스테판 소메레
토마스 커셔
Original Assignee
베바스토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바스토 에스이 filed Critical 베바스토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60134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5/00Burners in which liquid fuel evaporates in the combustion space, with or without chemical conversion of evaporated fuel
    • F23D5/12Details
    • F23D5/123Inserts promotin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23C7/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the air being submitted to a rotary or spinning motion
    • F23C7/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the air being submitted to a rotary or spinning motion using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C9/006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recirculation taking place in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4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the capillary action taking place in one or more rigid porous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5/00Burners in which liquid fuel evaporates in the combustion space, with or without chemical conversion of evaporated fuel
    • F23D5/02Burners in which liquid fuel evaporates in the combustion space, with or without chemical conversion of evaporated fuel the liquid forming a pool, e.g. bowl-type evaporators, dish-type evaporators
    • F23D5/04Pot-type evaporators, i.e. using a partially-enclosed combustion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5/00Burners in which liquid fuel evaporates in the combustion space, with or without chemical conversion of evaporated fuel
    • F23D5/1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1Heat exchangers, burners,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05002Use of porous members to convert liquid fuel into vap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 F23D2900/14241Post-mixing with swir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21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 F23D2900/21002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for use in ca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5/00Burners in which liquid fuel evaporates in the combustion space, with or without chemical conversion of evaporate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pray-Type Burners (AREA)
  • Wick-Type Burners And Burners With Porous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연료에 의해서 작동되는 이동형 가열 장치를 위한 증발기 버너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공기 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물 준비 영역(2); 액체 연료를 증발시키도록 혼합물 준비 영역(2) 내에 배치된 연료 증발 표면(8); 연소 공기를 혼합물 준비 영역(2)에 공급하는 연소 공기 공급부(B); 연료 증발 표면(8)에 액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 연료-공기 혼합물을 반응시켜 열을 방출하도록 혼합물 준비 영역(2)의 하류에 유체 연통하게 배치되는 반응 영역(3); 및 열 전도에 의해서 반응 영역(3)으로부터 혼합물 준비 영역(2)으로 열을 피드백하도록,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측벽(25)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혼합물 준비 영역(2)을 통과해 반응 영역(3)까지 연장되는 열 전도 요소(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를 위한 증발기 버너 장치{EVAPORATOR BURNER ASSEMBLY FOR A MOBILE HEATING DEVICE OPERATED BY MEANS OF LIQUID FUEL}
본 발명은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를 위한 증발기 버너 장치에 관한 것이고, 그러한 증발기 버너 장치를 가지는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에 관한 것이다.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에서, 내부에서 액체 연료가 증발되는 증발기 버너가 종종 이용되고, 증발된 연료가 공급되는 연소 공기와 혼합되어 연료-공기 혼합물이 되고 후속하여 변환되며 그에 의해서 열을 방출한다.
본 문맥에서, "이동형 히터"는, 이동 적용예에서 이용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구성되는 히터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특히, 건물 난방의 경우와 같이, 영구적으로 정지식(stationary) 사용을 위해서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히터가 운반 가능하다는 것(경우에 따라, 차량 내에 고정적으로 장착되거나 운반을 위해서 단지 내부에 배치된다)을 의미한다. 이동형 히터가 또한 차량(육상 차량, 선박, 등) 내에, 특히 육상 차량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이동형 히터는 예를 들어 육상 차량, 보트, 또는 항공기와 같은 차량 내부(vehicle interior), 또는, 보트, 특히 요트에서 찾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공간을 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형 히터가 또한, 예를 들어, 대형 텐트, 컨테이너(예를 들어, 건설 장소용 컨테이너), 등에서와 같이, 정지식 방식으로 임시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이동형 히터가, 예를 들어, 카라반, 캠퍼 밴, 버스, 승용차 등과 같은, 육상 차량을 위한 주차용 히터 또는 보조 히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의 환경적 측면 및 상응하는 법률에 비추어 볼 때, 이동형 히터의 배기 가스 배출물을 최소화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이동형 히터용 증발기 버너의 경우에, 상이한 환경적 조건들 및 상이한 난방 파워 레벨들(heating power levels) 하에서의 작동이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그리고 적은 배기 가스 배출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물이 감소된 상태로 연료-공기 혼합물을 안정적으로 변환할 수 있는, 개선된 증발기 버너 장치 및 증발기 버너 장치를 가지는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개선된 이동형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제1항에 따른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를 위한 증발기 버너 장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추가적인 유리한 개선이 종속항에서 구체화된다.
증발기 버너 장치는, 연료-공기 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물 준비 영역; 액체 연료를 증발시키도록 혼합물 준비 영역 내에 배치된 연료 증발 표면; 연소 공기를 혼합물 준비 영역에 공급하는 연소 공기 공급부; 연료 증발 표면으로 액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연료-공기 혼합물을 변환하여 열을 방출하도록 혼합물 준비 영역의 하류에 유체 연통하게 배치된 변환 영역, 및 열 전도에 의해서 변환 영역으로부터 혼합물 준비 영역으로 열을 피드백(feeding-back)하도록, 혼합물 준비 영역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혼합물 준비 영역을 통과해 변환 영역으로 연장되는 열 전도체 바디를 포함한다.
혼합물 준비 영역은, 증발기 버너 장치의 정상 가열 작동 중에 증발된 연료와 연소 공기의 혼합이 내부에서 발생되지만 열의 방출 하에서의 연료-공기 혼합물의 변환이 발생되지 않는, 특히 불꽃이 형성되지 않는, 증발기 버너 장치의 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혼합물 준비 영역 내에서, 변환 영역 내에서의 연료-공기 혼합물의 변환에 앞서서, 연료-공기 혼합물의 유리한 컨디셔닝(condition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변환 영역은, 증발기 버너 장치의 작동 중에, 특히 불꽃형성 연소로 발생될 수 있는, 연료-공기 혼합물의 변환, 및 그에 의한 열 방출이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발기 버너 장치의 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또한 무-불꽃 촉매 프로세스(flame-less catalytic process)의 변환이 또한 가능하다.
혼합물 준비 영역 및 변환 영역의 공간적 및 기능적 분리에 의해서, 양호하게-혼합된 연료-공기 혼합물이 변환 영역 내의 변환 프로세스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 달성되고, 이는 배출물이 적은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 혼합물 준비 영역 및 변환 영역이 특히 증발기 버너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서로 앞뒤로 배치될 수 있다. 열 전도체 바디를 통해서, 변환 영역 내의 변환 프로세스로부터의 열이 혼합물 준비 영역 내에서의 증발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체계적으로 피드백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혼합물 준비 영역 내에서의 균질한 연료-공기 혼합물의 신뢰 가능한 형성이 가능해진다. 열의 피드백이 열 전도체 바디를 통해서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드백되는 열의 양이 열 전도체 바디의 치수결정에 의해서 편리하게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열 전도체 바디가, 연소 챔버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방향 바디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열 전도체 바디가 변환 영역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추가적인 개선에 따라서, 열 전도체 바디가 혼합물 준비 영역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막대-형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경우에, 연료-공기 혼합물을 위한 흐름의 안내(conduction)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열 전도체 바디가 부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개선에 따라서, 혼합물 준비 영역이 변환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협소화되는(tapering) 협소화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변환 영역으로부터 혼합물 준비 영역 내로의 불꽃의 역화(逆火)가 방지되는 범위까지, 유동 속도가 혼합물 준비 영역 내에서 신뢰 가능하게 증가될 수 있다. 특별하게 용이한 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특별하게 유리한 흐름의 안내를 달성하기 위해서, 협소화 부분이 특히 원뿔형으로 협소화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형상이 또한 가능하다.
추가적인 개선에 따라서, 횡단면의 급격한 확장부가 혼합물 준비 영역으로부터 변환 영역으로의 전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특별하게 유리한 불꽃 고정(anchoring)이 변환 영역 내에서 가능해지고, 재순환 영역이 변환 영역의 길이방향 축에 위치되는 영역 내에 형성되고, 그러한 재순환 영역 내에서, 가스가 혼합물 준비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주 유동 방향에 반대로 유동한다. 연소 공기가 강한 소용돌이로 혼합물 준비 영역에 공급되고, 유동하는 연료-공기 혼합물이 이용할 수 있는 횡단면이 변환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협소해지는 협소화 부분을 혼합물 준비 영역이 포함하는 경우에, 이러한 유리한 효과가 특별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혼합물 준비 영역과 변환 영역의 신뢰 가능한 구조적 및 기능적 분리가 이러한 경우에 제공된다.
추가적인 개선에 따라서, 연소 공기 공급부가 소용돌이 바디를 포함하고, 그러한 소용돌이 바디에 의해서 소용돌이 유동이 공급 연소 공기 상으로 가해진다. 이러한 경우에, 변환 영역 내의 불꽃의 고정이 특별히 신뢰 가능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액체 연료의 증발이 부가적으로 지원되고 연료-공기 혼합물의 준비가 개선되도록, 공급된 연소 공기가 연료 증발 표면 위에서 신뢰 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이 달성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연료 증발 표면에서의 연료 분포가 개선되기 시작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혼합물 준비 영역의 측벽이 변환 영역에 대하여 단열된다. 이러한 경우에, 침착물(deposit) 형성 경향이 억제되도록 혼합물 준비 영역의 측벽이 비교적 낮은 온도 레벨에서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혼합물 준비 영역 내의 증발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변환 영역으로부터의 열 피드백이 열 전도체 바디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명확하게(well-defined) 발생되고, 그에 따라 열 피드백 범위가 열 전도체 바디의 치수결정에 의해서 매우 체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개선에 따라서, 혼합물 준비 영역의 노출된 측벽에 의해서 연료 증발 표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문맥에서, 노출은, 측벽이 부가적인 증발기 바디에 의해서 다공질의 흡수성 재료로부터 커버되는 것이 아니라 측벽의 표면 자체가 연료 증발 표면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혼합물 준비 영역의 측벽이 변환 영역으로부터 단열되고 변환 영역으로부터 혼합물 준비 영역 내로의 열 피드백이 열 전도체 바디를 통해서 주로 발생된다면, 침착물의 형성이 특히 신뢰 가능하게 억제될 수 있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연료 증발이 열 전도체 바디로부터 연료 증발 표면으로의 열 복사에 의해서 체계적으로 지원될 수 있고 동시적으로 연료 증발 표면을 제공하는 측벽의 온도 레벨이 비교적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특별히 잔류물이 없는 증발이 발생된다.
추가적인 개선에 따라서, 연료 증발 표면이 협소화 부분의 영역 내의 노출 측벽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연료 막이 실질적으로 전체 연료 증발 표면에 걸쳐 엷게 발라지는 것 그리고 공급된 연소 공기가 연료 증발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는 것이 신뢰 가능하게 보장될 수 있다. 특히, 설명된 연소 공기의 공급과 강한 소용돌이의 조합에서, 배출물이 적은 특별하게 안정적인 연소 프로세스가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추가적인 개선에 따라서, 연료 증발 표면이 흡수성의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진 증발기 바디에 의해서 형성된다. 증발기 바디가 특히 금속 부직포(metal non-woven fabric), 금속 직물 및/또는 금속 또는 세라믹 소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의 다공질 재료로부터의 증발기 바디가 증발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큰 연료 증발 표면을 제공하고, 부가적으로 특정 범위까지 저장 기능 및 분배 기능을 한다.
추가적인 개선에 따라서, 증발기 바디가 열 전도체 바디의 외부 둘레 표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경우에, 열 전도체 바디가, 증발기 버너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축방향 바디로서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 바디를 열 전도체 바디의 외부 둘레 표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연료 증발 표면 주위의 연소 공기의 신뢰 가능한 순환이 보장되고 증발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열이 열 전도체 바디를 통해서 증발기 바디로 매우 체계적으로 역공급될 수 있다.
추가적인 개선에 따라서, 커버가, 변환 영역에 대면(facing)하는 증발기 바디의 단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증발기 바디의 그러한 페이스측 단부(face-side end)에서의 연료의 제어되지 않는 유출이 신뢰 가능하게 방지될 수 있고, 변환 영역 내로의 진입부에서의 유동이 체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개선에 따라서, 혼합물 준비 영역이 변환 영역으로 전이되는 전이 부분에는 연소 공기의 일부를 공급하는 지원 공기 공급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경우에, 변환 영역 내로의 진입부에서의 유동 속도의 부가적인 증가 및 특별히 안정적인 혼합물 준비가 달성된다.
추가적인 개선에 따라서, 혼합물 준비 영역이 변환 영역으로 전이되는 전이 부분은 유출-유동 프로파일(flow-off profile)을 개선하도록 횡단면에서의 변화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지 못한 외부 조건하에서도, 특별하게 안정적인 유동 조건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러한 목적은 제15항에 따른 증발기 버너 장치를 가지는,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에 의해서 또한 해결된다.
바람직하게, 히터가 주차용 히터 또는 보조 히터를 위한 차량 히터로서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추가적인 장점 및 추가적인 개선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버너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버너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버너 장치의 수정예의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증발기 버너 장치의 작동을 개선하기 위한 지원 공기 공급부의 다른 실현예의 개략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전이 부분의 다른 추가적인 개선의 개략도이다.
도 6a 내지 도 6i는 도 3에 도시된 수정예의 추가적인 개선의 개략도이다.
제1 실시예
증발기 버너 장치의 제1 실시예가 도 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버너 장치(100)가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를 위해서 구성된다. 증발기 버너 장치(100)가 차량 히터를 위해서, 특히 모터 차량의 주차용 히터 또는 보조 히터를 위해서 특별하게 구성된다.
증발기 버너 장치(100)가 길이방향 축(Z)을 따라서 연장된다. 증발기 버너 장치(100)가 혼합물 준비 영역(2)을 포함하고, 그러한 혼합물 준비 영역(2)은 주 챔버(21), 주 챔버(21) 위로 이어지는 협소화 부분(22), 및 협소화 부분(22) 위로 이어지는 전이 부분(23)을 포함한다. 협소화 부분(22) 내에서, 혼합물 준비 영역(2)의 횡단면이, 길이방향 축(Z)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주 유동 방향(H)으로 협소해진다. 협소화 부분(22)의 원뿔형 구현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형상도 또한 가능하다. 전이 부분(23)이 혼합물 준비 영역(2)으로부터 위쪽으로 이어지는 변환 영역(3)으로의 전이부를 형성하고, 그러한 변환 영역(3)은 실시예에서 연소 챔버로서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상세하게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변환 영역(3)이 혼합물 준비 영역(2)의 하류에 유체 연통하게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전이 부분(23)이 적어도 대부분이 일정한 횡단면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전이 부분(23)으로부터 변환 영역(3)으로의 전이부에서, 횡단면의 급격한 확장부가 형성된다. 그에 따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증발기 버너 장치(100) 내에서 유동하는 가스가 이용할 수 있는 유동 횡단면이 혼합물 준비 영역(2)으로부터 변환 영역(3)으로의 전이부에서 급격하게 확장된다.
증발기 버너 장치(100)의 작동 시에, 불꽃형성 연소에서의 연료-공기 혼합물의 변환 및 그에 의한 열 방출이 변환 영역(3) 내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변환으로부터 발생된 연소 배기 가스(A)가, 변환 영역(3)에 후속하는 버너 파이프(4)를 통해서 열 교환기(5) 내로 유동하고, 그러한 열 교환기(5) 내에서 방출 열의 적어도 일부가 피가열 매체(M)로 전달된다.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열 교환기(5)가 컵-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온 연소 배기 가스(A)가 열 교환기(5)의 하단에 위치되는 버너 파이프(4)의 단부에서 편향된다. 편향 이후에, 연소 배기 가스(A)가 버너 파이프(4)의 외부측과 열 교환기(5)의 내부 자켓 사이에 형성된 유동 공간 내의 배기 가스 배출구(6)로 배출 유동된다.
도 1에서 화살표에 의해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열 매체(M)가 열 교환기(5)의 내부 자켓과 열 교환기(5)의 외부 자켓 사이에 형성된 유동 공간 내에서 유동한다. 실시예에서, 가능한 한 양호한 열 교환을 달성하기 위해서, 피가열 매체(M)가 열 교환기(5) 내의 연소 배기 가스(A)의 유동 방향에 대해 반대로 유동한다. 피가열 매체(M)는 특히, 예를 들어, 피가열 공기에 의해서 또는 피가열 액체, 특히 차량의 냉각제 회로 내의 냉각 액체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고온 연소 배기 가스(A)로부터 피가열 매체(M)로의 양호한 열 교환을 보장하기 위해서, 열 교환기(5)의 내부 자켓이 큰 열 전도도의 재료로 제조된다.
이하에서, 제1 실시예에서의 혼합물 준비 영역(2)의 구현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증발기 버너(100)가 액체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부(1)를 포함한다. 액체 연료는 특히 벤진, 디젤, 또는 에탄올 등과 같은 자동차 연료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그러한 자동차 연료는 또한 차량의 연소 엔진의 작동을 위해서 이용된다. 연료 공급부(1)가 연료 공급 라인 및 화살표에 의해서 도 1에서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 연료 공급부(1)가 또한, 특히 예를 들어 연료 투입(dosing) 펌프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 연료 급송 장치를 포함한다. 연료 공급부(1)가 명확한 방식으로 연료를 급송하고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연료 공급부(1)가 혼합물 준비 영역(2) 내에서 개방된다.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료 공급부(1)는, 혼합물 준비 영역(2)을 후방측에서 폐쇄하는 혼합물 준비 영역(2)의 후방 벽에서 개방된다. 측방향으로, 혼합물 준비 영역(2)은 측벽(25)에 의해서 한정되고, 그러한 측벽은 주 챔버(21), 협소화 부분(22), 및 전이 부분(23)의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도 1에서 화살표에 의해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연소 공기 공급부(B)가 제공된다. 연소 공기 공급부(B)는 연소 공기를 혼합물 준비 영역(2)으로 이송하기 위한 연소 공기 송풍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주 챔버(21)의 영역 내에서, 혼합물 준비 영역(2)이 복수의 연소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그러한 연소 공기 유입구를 통해서 연소 공기가 혼합물 준비 영역(2) 내로 진입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연소 공기가 큰 소용돌이로, 즉 큰 접선방향 유동 성분으로 혼합물 준비 영역(2) 내로 도입된다. 예를 들어 상응하게 배향된 안내 베인(guide vane) 등에 의해서, 소용돌이가 연소 공기 상으로 가해질 수 있다. 도 1에서, 큰 소용돌이를 공급 연소 공기로 가하는 안내 베인을 구비하는 소용돌이 바디(24)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비록 연소 공기를 혼합물 준비 영역(2)에 측방향으로 공급하는 소용돌이 바디(24)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장치가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소 공기가 또한 혼합물 준비 영역(2)에 대한 후방 벽의 반경방향 외부 영역 내의 혼합물 준비 영역(2)에 공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열 전도체 바디(7)가 혼합물 준비 영역(2) 내에 배치되고, 그러한 열 전도체 바디(7)는 혼합물 준비 영역(2)의 후방 벽으로부터 시작하여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측벽(25)으로부터 이격되어 길이방향 축(Z)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1 실시예에서, 열 전도체 바디(7)가 막대-형상으로 그리고 비-다공질 재료로 부터 형성된다. 열 전도체 바디(7)가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의 축방향 바디로서 형성되고, 주 챔버(21), 협소화 부분(22), 및 전이 부분(23)을 통해서 연장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현예에서, 열 전도체 바디(7)가 짧은 거리로 변환 영역(3) 내로 또한 돌출한다. 열 전도체 바디(7)가 혼합물 준비 영역(2) 내에서 그 반경방향 배치와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중앙에 배치된다. 열 전도체 바디(7)가 외부 둘레 표면을 포함하고, 제1 실시예에서 다공질의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증발기 바디(9)가 그러한 외부 둘레 표면 상에 배치된다. 증발기 바디(9)가 특히 금속 부직포(금속 플리스(fleece)), 금속 직물, 또는 금속 또는 세라믹 소결 본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증발기 바디(9)가 열 전도체 바디(7)의 전체 외부 둘레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증발기 바디(9)가 연료 증발 표면(8)을 제공하고, 그러한 연료 증발 표면으로부터 시작하여 그리고 그 부피의 외부로 공급 액체 연료가 증발된다.
증발기 바디(9)가 열 전도체 바디(7)의 전체 축방향 길이의 거의 전부에 걸쳐서 연장되는 구현예가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증발기 바디(9)가 또한 열 전도체 바디(7)의 부분적인 영역에 걸쳐서만 연장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에 따라, 설명된 구현예로 인해서, 증발기 바디(9)가 혼합물 준비 영역(2) 내로 탑-형상으로 연장된다. 증발기 바디(9)가 혼합물 준비 영역(2)의 후방 벽으로부터 시작하여 길이방향 축(Z)을 따라서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측벽(25)으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된다. 실시예에서, 증발기 바디(9)가 실질적으로 중공형의-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열 전도체 바디(7)에 대해서 확실하게 놓여진다.
혼합물 준비 영역(2)의 후방 벽에서, 공급된 액체 유체가 연료 공급부(1)로부터 증발기 바디(9)로 전달되고, 그러한 증발기 바디 내에서 액체 연료의 분배가 이루어진다. 연료 공급부(1)가 증발기 바디(9)에 직접적으로 대향하여 개방된다. 증발기 바디(9)의 다공질의 흡수성 구현예로 인해서, 액체 연료가 증발기 바디(9)의 원주 방향 및 증발기 바디(9)의 축방향 모두로 분배된다. 증발기 바디(9)의 연료 증발 표면(8)으로부터 시작하여, 공급된 액체 연료가 증발되고, 혼합물 준비 영역(2) 내에서, 연료 증발 표면(8)을 따라서 유동하는 공급 연소 공기와 혼합된다. 강한 소용돌이로 연소 공기가 공급되는 것으로 인해서, 증발된 연료와 연소 공기의 연료-공기 혼합물로의 양호한 혼합이 이미 발생된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연소 공기가 접선방향 유동 성분을 가지고 연료 증발 표면(8) 주위로 유동한다. 축방향을 따른 증발기 바디(9)의 길이(L)가 축방향에 수직인 반경방향으로 증발기 바디(9)의 폭(B)보다 실질적으로 더 길다. 여기에서, 폭(B)은 반경방향을 따른 최대 연장거리를 의미한다. 특히, 길이(L) 대 폭(B)의 관계가 L/B > 1.5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L/B > 2이다.
혼합물 준비 영역(2)의 협소화 부분(22)에서, 연료-공기 혼합물의 축방향 유동 속도 성분이 횡단면의 감소로 인해서 증가된다. 혼합물 준비 영역(2)으로부터 변환 영역(3)으로의 전이부에서, 단면적의 급격한 확장으로 인해서 연료-공기 혼합물의 소용돌이 유동의 확장이 발생되고, 그에 의해서 축방향 유동 속도 성분이 감소되고 축방향 역류 영역 또는 재순환 영역이 길이방향 축(Z)에 근접한 변환 영역(3)의 중심에서 형성되고, 그러한 재순환 영역 내에서, 가스가 주 유동 방향(H)에 반대로 유동하고, 그에 따라 증발기 버너 장치(100)의 작동 중에, 변환 영역(3) 내에서의 불꽃의 고정(anchoring)이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실시예에서, 혼합물 준비 영역(2) 및 변환 영역(3)이 공간적 및 기능적 모두에서 분리되어 형성된다.
정상 가열 작동 중에 변환 영역(3)으로부터 혼합물 준비 영역(2) 내로의 불꽃의 역화가 신뢰 가능하게 방지되도록, 협소화 부분(22), 전이 부분(23), 및 변환 영역(3)으로의 전이부의 치수가, 연료-공기 혼합물의 소용돌이 유동에 대해서 조정된다. 특히,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충분히 큰 소용돌이로 연소 공기가 혼합물 준비 영역(2)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전이 부분(23) 내의 유동 속도가 빨라서 그러한 전이 부분에서 안정적인 불꽃이 형성될 수 없게 보장한다. 이는 특히 열 전도체 바디(7)의 축방향 배치에 의해서 부가적으로 지원되는데, 이는, 연료-공기 혼합물을 위한 링-형상의 배출구 슬릿이 그것의 중앙 배치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열 전도체 바디(7)가 큰 열 전도도를 가지며, 증발기 버너 장치(100)의 작동시에, 변환 영역(3) 내에서 발생되는 연소 프로세스로부터의 열이 열 전도체 바디(7)를 통해서 열 전도에 의해서 혼합물 준비 영역(2)으로 역 공급되어 증발 표면(8)에서의 액체 연료의 유리한 증발 프로세스를 달성하도록, 형성된다.
수정예
도 1의 증발기 버너 장치의 수정예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지, 열 전도체 바디(7)가, 변환 영역(3)과 대면하는 그 자유 단부에서 부가적인 커버(71)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부가적인 지원 공기 공급부(12)가 전이 부분(23)의 영역 내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그러한 수정예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다른 구성요소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상이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수정예에 대해서 사용하였고,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증발기 버너 장치(100)의 완전한 구성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비록, 부가적인 커버(71) 및 부가적인 지원 공기 공급부(12) 모두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수정예에서 구현되지만, 추가적인 수정예에 따라서, 예를 들어, 커버(71) 만을 또는 지원 공기 공급부(12) 만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액체 연료 그리고 또한 과다한 연료 증기가 열 전도체 바디(7)의 페이스측에서 축방향을 따라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반경방향을 따라 증발기 바디(9)로부터 빠져나가게 강제되도록, 커버(71)가 열 전도체 바디(7)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전도체 바디(7)의 자유 페이스측에서, 반경방향을 따라서 열 전도체 바디(7)의 나머지의 외부 둘레로부터 돌출하고 증발기 바디(9)의 자유 페이스측을 커버하는 커버(71)가 제공된다. 액체 연료 및 연료 증기가 커버(71)를 통과할 수 없도록, 커버(71)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조밀한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커버(71)가 금속으로, 특히 내온도성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될 수 있다. 커버(71)가, 예를 들어, 열 전도체 바디(7)의 페이스측 단부에 해제 불가능하게 또는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분리된 커버 디스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또한, 동일한 재료로 열 전도체 바디(7)와 일체형으로 커버(71)를 생산할 수 있다.
커버(71)에 의해서, 열 전도체 바디(7)의 자유 단부에서 특히 증가된 양으로 연료 또는 연료 증기가 증발기 바디(9)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료가 연료-공기 혼합물의 형성을 위한 혼합물 준비 영역(2) 내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완전히 공급되는 것이 달성된다. 그에 따라, 혼합물 준비 영역(2) 내에서의 혼합물 준비가 추가적으로 개선된다. 또한, 변환 영역(3) 내의 불꽃 고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방지된다.
도 6a 내지 도 6i에서, 커버(71)의 다른 추가적인 수정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커버(71)의 추가적인 수정예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중실형인(solid) 열 전도체 바디(7)의 경우뿐만 아니라, 도 6g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동을 가지는 열 전도체 바디(7)의 경우에도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i에서 도시된 커버(71)의 추가적인 수정예에 따라서, 커버(71)가 각각의 경우에 증발기 바디(9)의 외부 둘레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열 전도체 바디(7)의 그리고 증발기 바디(9)의 외부 둘레를 따라서 흐르는 흐름에 대한 적어도 실질적으로 날카로운 흐름 분리 연부를 제공한다. 도 6a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커버(71)의 영역이 길이방향 축(Z)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대해서 각도(α)를 이루어 연장된다. 그러한 각도(α)가 흐름의 원하는 안내에 따라서 0°내지 9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6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수정예에서, 증발기 바디(9)의 외부 둘레에서 흐르는 가스가 반경방향 외향으로 비교적 강하게 편향되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커버(71)의 영역이 예를 들어 35° 내지 45° 범위의 각도(α)로 연장된다. 또한, 이러한 수정예에서, 돌출 영역이, 반경방향 및 축방향 모두로 돌출하는, 반경방향으로 협소화되는 립(lip)으로서 형성된다. 돌출 영역이 커버(71)의 나머지에 대해 주 유동 방향(H)의 방향으로 약간 각도를 이루는 것으로 형성된다.
도 6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수정예에서, 증발기 바디(9)의 외부 둘레에서 흐르는 가스의 실질적으로 적은 반경방향 편향이 발생되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커버(71)의 영역이 160° 내지 170° 범위의 실질적으로 더 큰 각도(α)로 연장된다.
도 6c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수정예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커버의 영역이 예를 들어 약 40° 내지 50°의 각도로 연장된다. 또한, 이러한 수정예에서, 유동 붕괴(disruption)에 체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커버(71)의 돌출 영역이 증발기 바디(9)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대면하는 측면에서, 각각, 비스듬하거나 경사진다.
도 6d 및 도 6e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수정예에서, 각각의 경우에 커버(71)가 전체적으로 다소 쐐기-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에 따라 커버(71)의 돌출 영역이 - 도 6a 및 도 6b에 따른 수정예와 달리 - 커버(71)의 나머지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어 형성되지 않는다. 도 6a 및 도 6b에 따른 수정예와 도 6d, 도 6e 및 도 6i에 따른 수정예의 비교에 의해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71)의 반경방향 돌출 영역의 쐐기 각도가 이러한 방식으로 체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도 6f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수정예에서, 커버(71)가 열 전도체 바디(7)의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환형 디스크로서 형성되고, 그에 따라 커버의 돌출 영역이 약 0°의 각도(α)로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6g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수정예에서, 열 전도체 바디(7)는, 변환 영역(3)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내부 공동을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변환 영역(3)으로부터의 가스가 열 전도체 바디(7)의 내부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부가적인 특징이 또한 다른 수정예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6h에서, 열 전도체 바디(7)의 외부 둘레의 표면 구조화(surface structuring)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표면 구조화는 바람직하게 또한 도 6a 내지 도 6g 및 도 6i에 따른 다른 예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6h의 수정예에서, 커버(71)는 또한 반경방향 내측 영역에서 증발기 바디(9)의 페이스측에에 직접 맞대지고 약 0°의 각도(α)로 연장된다. 그러나, 더 외측에 위치되는 커버(71)의 영역은 더 큰 각도(α)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다시 반경방향 돌출 협소화 립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커버(71)는 증발기 바디(9)의 반경방향 외부 영역에서 증발기 바디(9)와 직접적으로 맞대지지 않는다. 또한, 도 6h에 따른 수정예의 이러한 부가적인 특징이 또한 다른 수정예에서 추가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i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수정예에서, 중앙 돌출 스터드(stud)로 열 전도체 바디(7)의 페이스측 함몰부 내에 셋팅되는 삽입체로서 커버(71)가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추가적인 특징부가 각각의 경우에 다른 수정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변환 영역(3) 내로의 진입부에서 유동이 보다 더 안정화된다는 점에서, 설명된 파열 연부를 가지는 커버(71)의 구현예가 더 유리하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방식으로, 맥동(pulsation)의 형성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혼합물 준비 영역(2) 내로의 불꽃의 역화가 보다 더 신뢰 가능하게 방지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연료-공기 혼합물의 유동을 위한 상기한 분리 연부를 가지는 커버(71)의 수정예에 의해서, 특히 변환 영역(3) 내의 재순환 영역의 형성이 또한 부가적으로 더 안정화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수정예에서의 공급된 연소 공기는 분할되어, 공급된 연소 공기의 일부가 소용돌이 바디(24)를 통해서가 아니라 주 유동 방향(H)에 대해 더 하류에서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주 챔버(21) 내로 공급되게 한다. 연소 공기를 위한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공급된 연소 공기를 분할하는 것이 구조적인 측면에서 단순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예에서, 지원 공기 공급부(12)가 제공되고, 그러한 지원 공기 공급부를 통해서 연소 공기의 일부가, 전이 부분(23) 이후에, 혼합물 준비 영역(2)에 공급된다. 연소 공기의 우세한 부분은 소용돌이 바디(24)를 통해서 주 챔버(21) 내로 공급되도록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 연소 공기의 총량의 10 퍼센트 미만일 수 있는, 연소 공기의 작은 부분만이 지원 공기 공급부(12)를 통해서 공급되도록, 구현예가 선택된다. 지원 공기 공급부(12)는, 혼합물 준비 영역(2)이 변환 영역(3) 내로 전이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지원 공기 공급부(12)는 증발기 버너 장치(100) 내의 유동 조건의 부가적인 안정화를 가능하게 한다.
지원 공기 공급부(12)는 변환 영역(3) 내로 유동하는 연료-공기 혼합물을 부가적으로 가속시키고, 바람직하지 못한 요동 및 부차적인 효과의 경우에도 혼합물의 준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도시된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지원 공기 공급부(12)는, 연료-공기 혼합물의 주 유동이 전이 부분(23) 내에서 열 전도체 바디(7)를 따라서 연장하고 그에 따라 열 전도체 바디(7)로부터 흐름이 너무 빨리 분리되는 것(coming-off)을 방지하는 효과를 추가적으로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변환 영역(3)으로부터 혼합물 준비 영역(2) 내로의 불꽃의 역화 또는 역-연소가 수정예에서 보다 더 신뢰 가능하게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동 조건이 부가적으로 안정화되기 때문에, 혼합물 준비 영역(2) 내의 보다 더 균일한 온도 분포가 달성되며, 이는 구성요소 상의 부하 및 그 수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비록 지원 공기 공급부(12)의 매우 단순한 구조적 구현예가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기하형태적 구현예도 가능하다. 특히, 지원 공기 공급부(12)를 통해서 공급되는 연소 공기의 희망하는 유동 조건 및 희망하는 비율을 조정하기 위해서, 기하형태적 구현예가 단순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 지원 공기 공급부(12)의 상이한 가능한 구현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d의 개략적인 도면에서, 증발기 바디(9)가 열 전도체 바디(7)의 외부 둘레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각각의 경우에,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증발기 바디(9)가 또한 열 전도체 바디(7)의 외부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영역 내의 증발기 버너 장치(100)의 일부 만이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d의 지원 공기 공급부(12)의 상이한 구현예들은, 지원 공기를 위한 배출구 개구부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상이하다. 도 4a에서, 지원 공기가 반경방향 및 축방향 모두에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적으로 공급되는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는 반면, 지원 공기가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공급되는 구현예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지원 공기가 또한 접선방향 유동 성분을 부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지원 공기를 위한 배출구 개구부가, 예를 들어, 전이 부분(23)의 벽 내의 연속적인 슬릿으로서 또는 복수의 관통-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4c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지원 공기의 중앙에서 벗어난(off-centered) 공급을 구현하기 위해서, 변환 영역(3)에 인접하는 전이 영역(23)의 영역이 또한 전이 영역(23)의 나머지에 대해 약간 오프셋되는 것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d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의 안내에 체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변환 영역(3)에 인접하는 전이 부분(23)의 영역이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또한 추가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흐름의 안내를 부가적으로 변조하기 위해서 지원 공기 공급부를 회전 대칭이게 하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으로 비대칭적이게 형성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추가적인 변환 영역(3) 내의 변환의 안정화 및 진동의 억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 증발기 버너 장치의 제2 실시예가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버너 장치(200)가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를 위해서 형성된다. 증발기 버너 장치(200)가 차량 히터를 위해서, 특히 모터 차량의 주차용 히터 또는 보조 히터를 위해서 역시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버너 장치(200)는, 혼합물 준비 영역(2)의 구현예에서만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상이하고, 그에 따라 동일한 참조 부호가 상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사용되었고,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수정이 없는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혼합물 준비 영역(2)은 주 챔버(21) 및 주 유동 방향(H)으로 주 챔버에 후속하는 협소화 부분(22)을 가지며, 그러한 협소화 부분(22)은 변환 영역(3)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더 협소화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협소화 부분(22)과 변환 영역(3) 사이에 추가적인 전이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수정예에 따라서, 전이 부분을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횡단면의 급격한 확장이 혼합물 준비 영역(2)으로부터 변환 영역(3)으로의 전이부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유동 가스가 이용할 수 있는 유동 횡단면이 급격하게 확장된다.
제2 실시예에서, 소용돌이 바디(24)를 가지는 연소 공기 공급부(B)가 제공되고, 그러한 소용돌이 바디를 통해서 연소 공기가 강력한 소용돌이로 혼합물 준비 영역(2)에 공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소 공기가 혼합물 준비 영역(2) 내로 측방향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수정예에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혼합물 준비 영역(2)의 후방 벽의 반경방향 외부 영역 내에서 연소 공기를 또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열 전도체 바디(7)가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측벽(25)으로부터 이격되어 혼합물 준비 영역(2) 내에 배치되고 협소화 부분(22)을 통해서 변환 영역(3) 내로 연장되어 변환 영역(3) 내의 변환 프로세스로부터의 열을 열 전도에 의해서 혼합물 준비 영역(2)으로 체계적으로 역 공급한다.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시된 가능한 수정예 및 구현예와 관련하여 포함되는 열 전도체 바디(7)에 관한 모든 설명이 또한 제2 실시예의 열 전도체 바디(7)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에서 다공질 재료로 제조된 증발기 바디가 열 전도체 바디(7)의 외부 둘레 표면에 제공되지 않고, 연료 증발 표면(8)이 협소화 부분(22) 내의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측벽(25)에 의해서 형성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연료 공급부(1)가, 연료 증발 표면(8)을 제공하는 측벽(25)의 영역에서 개방된다. 연료 공급부(1)의 배출구가 주 유동 방향(H)에 대해 연료 증발 표면(8)의 상류 단부에 위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버너 장치(200)에서 또한,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측벽(25)이 변환 영역(3)으로부터 단열되고, 그에 따라 혼합물 준비 영역(2)으로의 열 전도에 의한 열 피드백이, 제2 실시예에서 또한 축방향 바디로서 형성되는 열 전도체 바디(7)를 통해서 주로 이루어진다.
증발기 버너 장치(200)의 작동 시에, 공급된 액체 연료가 강한 소용돌이로 공급되는 연소 공기에 의해서 연료 증발 표면(8)을 제공하는 측벽(25)에서 분산된다. 연료 증발 표면(8)이 협소화 부분(22)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형성된 연료 막이 측벽(25) 상에 신뢰 가능하게 놓이는 것이 보장된다. 변환 영역(3)으로부터의 열이 열 전도체 바디(7)를 통해서 열 전도에 의해서 혼합물 준비 영역(2) 내로 역 공급된다. 그에 따라, 혼합물 준비 영역(2) 내에 위치되는 열 전도체 바디(7)의 일부가 가열되고, 열은, 열 전도체 바디(7)와 대면하는 측벽(25)에 형성된 연료 막으로 열 복사에 의해서 전달된다. 동시에, 변환 영역(3)으로부터 단열되는 측벽(25)이 비교적 낮은 온도 레벨에서 유지되고, 그에 따라 침착물 형성을 향한 극히 적은 바이어스(bias)가 주어지는 방식으로 연료의 증발이 발생된다.
증발 중에, 증발 연료 및 강한 소용돌이로 공급되는 연소 공기를 연료-공기 혼합물로 양호하게 혼합하는 것이 발생되고, 이러한 연료-공기 혼합물은 매우 균질하게 혼합된 것으로 변환 영역(3) 내로 진입한다. 협소화 부분(22) 및 길이방향 축(Z)을 따라서 연장되는 열 전도체 바디(7)를 가지는 혼합물 준비 영역(2)의 구현예로 인해서,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측벽(25)과 열 전도체 바디(7) 사이에 형성된 링-형상의 유동 공간 내의 연료-공기 혼합물의 유동 속도가 충분히 빠르고, 그에 따라 변환 영역(3)으로부터 혼합물 준비 영역(2) 내로의 불꽃의 역화가 신뢰 가능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연료-공기 혼합물의 강한 소용돌이와 조합된 변환 영역(3) 내로의 진입부에서의 큰 확장에 의해서, 제1 실시예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재순환 영역이 길이방향 축에서 변환 영역(3) 내에 형성된다.
비록 연료 공급부(1)가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측벽(25)에서 직접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혼합물 준비 영역(2)의 후방 벽에서 연료를 공급하는 것 그리고 강한 소용돌이로 공급되는 연소 공기에 의해서 연료를 연료 증발 표면(8)에서 분산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비록 제1 실시예의 수정예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부가적인 지원 공기 공급부가 제2 실시예를 참조하여 제시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 상응하는 구현예에서 그러한 부가적인 지원 공기 공급부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인 개선
도 5a 내지 도 5e에서, 제1 실시예 및 그 수정예에서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 모두 제공될 수 있는,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전이 부분(23)의 다른 추가적인 개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e의 개략적인 도면에서, 다시 증발기 바디(9)가 열 전도체 바디(7)의 외부 둘레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증발기 바디(9)가 열 전도체 바디(7)의 외부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제1 실시예의 수정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부가적인 커버(71)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e에서, 다시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영역 내의 증발기 버너 장치(100)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고, 그러한 도면은 선행하는 도면에 대해 90도 만큼 회전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e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전이 부분(23)의 추가적인 개선은 유동 조건의 추가적인 개선 및 안정화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변환 영역(3)으로의 전이부에서의 이러한 윤곽의 변화에 의해서, 변환 영역(3)으로부터 혼합물 준비 영역(2) 내로의 불꽃의 역화가 보다 더 신뢰 가능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5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1 구현예에 따라서, 개선된 유출-유동 프로파일을 달성하기 위해서, 변환 영역(3)에 직접적으로 인접한 전이 부분(23)의 영역 즉, 전이 부분(23)의 가장 하류의 영역이 약간 확장되는 것으로, 특히, 예를 들어 원뿔형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b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현예에 따라서, 전이 부분(23)의 내부 횡단면이, 변환 영역(3)에 바로 인접하는 영역 내에서 다시 확장되기 전에, 먼저 협소화된다. 이러한 경우에, 유동 속도가 협소화에 의해서 더 증가되고, 그에 따라 불꽃의 역-연소 또는 역화가 보다 더 신뢰 가능하게 방지된다. 도 5c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변환 영역(3)에 바로 인접하는 전이 영역(23)의 영역이 2 단계로, 특히,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에 - 유동 방향으로 - 제1의 작은 원뿔 각도 및 후속되는 큰 원뿔 각도를 가지는 원뿔형으로 확장된다.
도 5d에 도시된 추가적인 개선에서, 유동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전이 영역(23)의 내부 횡단면이 변환 영역(3)에 바로 인접한 영역 내에서 협소화되고, 예를 들어 원뿔형 협소화가 구현될수 있다. 도 5e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현예에서, 전이 부분(23)은, 변환 영역(3)에 바로 인접하여 그리고 협소화 부분에 후속하여, 일정한 횡단면을 가지는 주둥이를 포함한다.
도 5c 및 도 5e에 도시된 추가적인 개선에서, 열 전도체 바디(7)가 약간 단축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그에 따라 열 전도체 바디가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지 않고, 주 유동 방향(H)에 대해 혼합물 준비 영역(2)의 단부의 전방에 못미쳐 미리 종료된다. 그에 따라, 이러한 추가적인 개선에서, 열 전도체 바디(7)가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주둥이 내로 약간 후퇴되는 것으로 형성된다.
달리 설명된 기하형태적 구현예들을 추가적으로 서로 조합하여, 다른 영역의 치수에 따라서, 희망 유동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Claims (16)

  1.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를 위한 증발기 버너 장치(100; 200)로서:
    연료-공기 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물 준비 영역(2);
    액체 연료를 증발시키도록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 내에 배치된 연료 증발 표면(8);
    연소 공기를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에 공급하는 연소 공기 공급부(B);
    상기 연료 증발 표면(8)에 액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
    연료-공기 혼합물을 변환하여 열을 방출시키도록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의 하류에 유체 연통하게 배치되는 변환 영역(3); 및
    열 전도에 의해서 상기 변환 영역(3)으로부터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으로 열을 피드백하도록,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측벽(25)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을 통과해 상기 변환 영역(3)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료 증발 표면(8)의 내부에 위치하는 열 전도체 바디(7)
    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과 상기 변환 영역(3)은 상기 증발기 버너 장치의 길이방향 축(Z)에 대해 축방향으로 서로 앞뒤로 배치되며,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은 상기 변환 영역(3)을 향하는 방향으로 협소화되는 협소화 부분(22)을 가지고,
    횡단면의 급격한 확장부가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으로부터 상기 변환 영역(3)으로의 전이부에 형성되는 것인 증발기 버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체 바디(7)는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의 길이방향 축(Z)을 따라서 막대-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인 증발기 버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공기 공급부(B)는 소용돌이 바디(24)를 포함하고, 상기 소용돌이 바디에 의해서 소용돌이 유동이 상기 공급된 연소 공기 상으로 가해지는 것인 증발기 버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의 측벽(25)이 상기 변환 영역(3)에 대해 단열되는 것인 증발기 버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의 노출된 측벽(25)에 의해서 상기 연료 증발 표면(8)이 형성되는 것인 증발기 버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증발 표면(8)은 협소화 부분(22)의 영역 내에서 상기 노출된 측벽(25)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인 증발기 버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증발 표면(8)은 흡수성의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진 증발기 바디(9)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인 증발기 버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바디(9)는 상기 열 전도체 바디(7)의 외부 둘레 표면에 배치되는 것인 증발기 버너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커버(71)가 상기 변환 영역(3)에 대면하는 증발기 바디(9)의 단부에 제공되는 것인 증발기 버너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이 상기 변환 영역(3)으로 전이되는 전이 부분(23)에는 연소 공기의 일부를 공급하는 지원 공기 공급부(12)가 마련되는 것인 증발기 버너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준비 영역(2)이 상기 변환 영역(3)으로 전이되는 전이 부분(23)은 유출-유동 프로파일을 개선하도록 횡단면에서의 변화를 갖는 것인 증발기 버너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체 바디(7)는 상기 변환 영역(3) 내로 연장되는 것인 증발기 버너 장치.
  13. 제1항에 따른 증발기 버너 장치(100; 200)를 구비하는,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주차용 히터 또는 보조 히터를 위한 차량 히터로서 형성되는,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
  15. 삭제
  16. 삭제
KR1020167029091A 2014-03-20 2015-03-11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를 위한 증발기 버너 장치 KR101922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03813.4 2014-03-20
DE102014103813.4A DE102014103813A1 (de) 2014-03-20 2014-03-20 Verdampferbrenneranordnung für ein mobiles, mit flüssigem Brennstoff betriebenes Heizgerät
PCT/DE2015/100100 WO2015139684A1 (de) 2014-03-20 2015-03-11 Verdampferbrenneranordnung für ein mobiles, mit flüssigem brennstoff betriebenes heiz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812A KR20160134812A (ko) 2016-11-23
KR101922320B1 true KR101922320B1 (ko) 2018-11-26

Family

ID=5287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091A KR101922320B1 (ko) 2014-03-20 2015-03-11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를 위한 증발기 버너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02298B2 (ko)
EP (1) EP3120075B1 (ko)
KR (1) KR101922320B1 (ko)
CN (1) CN106133443B (ko)
DE (1) DE102014103813A1 (ko)
RU (1) RU2647014C1 (ko)
WO (1) WO2015139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3812A1 (de) * 2014-03-20 2015-09-24 Webasto SE Verdampferbrenner für ein mobiles, mit flüssigem Brennstoff betriebenes Heizgerät
EP3198933B1 (en) 2014-09-26 2020-11-04 Sun Patent Trust Device-to-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DE102016122821B3 (de) * 2016-11-25 2018-02-08 Webasto SE Brennstoffbetriebenes Fahrzeugheiz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nnstoffbetriebenen Fahrzeugheizgerätes
DE102018131253A1 (de) * 2018-12-07 2020-06-10 Eberspächer Climate Control Systems GmbH & Co. KG Brennkammerbaugruppe
DE102020100512A1 (de) * 2020-01-13 2021-07-15 Eberspächer Climate Control Systems GmbH Fahrzeugheizgerät
DE102020106881A1 (de) * 2020-03-13 2021-09-16 Eberspächer Climate Control Systems GmbH Brennkammerbaugruppe für ein brennstoffbetriebenes Fahrzeugheizgerät
RU2737922C1 (ru) * 2020-09-02 2020-12-04 Евсей Аврумович Кордит Теплообменник с обеззараживанием нагреваемого воздух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8965B2 (ja) * 1994-11-10 1999-01-20 ヨット エーバーシュペッヘ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加熱機械用の蒸発式バーナ
KR101278280B1 (ko) * 2010-12-28 2013-06-24 주식회사 수국 저녹스형 버너

Family Cites Families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110A (en) * 1881-10-11 William h
US1341478A (en) 1919-02-12 1920-05-25 Joseph Reid Gas Engine Company Internal-combustion engine
US1604003A (en) * 1925-11-30 1926-10-19 Harley E Ward Liquid-fuel burner
US2373757A (en) * 1944-03-27 1945-04-17 Roy R Hart Cushion stop
US2560074A (en) 1948-12-21 1951-07-10 Lummus Co Method and apparatus for burning fuel
FR1149404A (fr) 1955-05-25 1957-12-26 Daimler Benz Ag Chambre de combustion pour turbines à combustion, générateurs à gaz moteurs, appareils moteurs à jets d'air chaud et analogues
DE1952994U (de) * 1966-08-17 1967-01-05 Waldemar Wirth Muenzbetaetigter kaesetoast-automat.
SE329230B (ko) * 1968-04-18 1970-10-05 Bahco Ab
US3502268A (en) * 1968-05-07 1970-03-24 Martin P Miskulin Automotive heaters
GB1272832A (en) * 1968-10-18 1972-05-03 Eberspaecher J 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carbonisa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s thereof is prevented
US4004875A (en) 1975-01-23 1977-01-25 John Zink Company Low nox burner
US4098567A (en) 1976-10-01 1978-07-04 Gladd Industries, Inc. Recirculating processing oven heater
JPS5364831A (en) 1976-11-19 1978-06-09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Liquid fuel combustion apparatus
US4160526A (en) 1977-03-24 1979-07-10 Flynn Burner Corporation Liquid fuel atomizing nozzle
US4392869A (en) * 1980-07-14 1983-07-12 Texaco Inc. High turndown partial oxidation process
JPS57174607A (en) 1981-04-20 1982-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quid fuel burning device
DE3403972A1 (de) * 1984-02-04 1985-08-08 Webasto-Werk W. Baier GmbH & Co, 8035 Gauting Verdampferbrenner
JPS61188217A (ja) 1985-02-14 1986-08-21 Isuzu Motors Ltd 燃焼器
JPH06104412B2 (ja) * 1985-06-11 1994-12-2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燃焼器のスクリ−ニング装置
DE3837074A1 (de) * 1988-10-31 1990-05-03 Eberspaecher J Heizung fuer kraftfahrzeuge und dergleichen
DE3900438A1 (de) 1989-01-10 1990-07-12 Webasto Ag Fahrzeugtechnik Heizgeraet, insbesondere fahrzeugheizgeraet
DE3923238C2 (de) 1989-07-14 1994-08-04 Electro Oil Gmbh Einrichtung zum Rückführen von Verbrennungsprodukten
JPH0524430A (ja) 1991-07-24 1993-02-02 Calsonic Corp 自動車用の燃焼式ヒータ
US5359966A (en) 1992-06-10 1994-11-01 Jensen Donald C Energy converter using imploding plasma vortex heating
DE4304057A1 (de) 1993-02-11 1994-08-18 Froeling Kessel App Heizkessel zur schadstoffarmen Verbrennung
US5350293A (en) 1993-07-20 1994-09-27 Institute Of Gas Technology Method for two-stage combustion utilizing forced internal recirculation
JPH0749104A (ja) 1993-08-05 1995-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体燃料燃焼装置
DE4447986B4 (de) * 1994-05-13 2006-03-16 J. Eberspächer Gmbh & Co. Brennkammer eines Brenners für ein Fahrzeugheizgerät oder für einen Agbas-Partikelfilter
CZ285196B6 (cs) * 1994-05-13 1999-06-16 J. Eberspächer Gmbh & Co. Spalovací komora hořáku pro topné těleso motorového vozidla nebo pro filtr spalinových částic
DE4447987B4 (de) 1994-05-13 2006-03-16 J. Eberspächer Gmbh & Co. Brennkammer eines Brenners für ein Fahrzeugheizgerät oder für einen Abgas-Partikelfilter
JPH0886411A (ja) 1994-09-19 1996-04-02 Nippon Soken Inc 燃焼式ヒータ
DE19529994C2 (de) * 1994-11-10 2003-06-26 Eberspaecher J Gmbh & Co Verdampferbrenner für ein Heizgerät
DE29511384U1 (de) * 1995-07-14 1995-10-12 Eberspaecher J Verdampfungsbrennkammer für ein mit flüssigem Brennstoff betriebenes Heizgerät
DE19548223B4 (de) 1995-08-16 2005-05-04 J. Eberspächer GmbH & Co. KG Verdampferbrenner
DE19703555B4 (de) 1997-01-31 2004-07-22 J. Eberspächer GmbH & Co. KG Verdampfer-Brennkammer eines Brenners
JPH10246408A (ja) 1997-03-04 1998-09-14 Toto Ltd 液体燃料気化燃焼装置
DE19821672A1 (de) * 1998-05-14 1999-11-18 Walter Swoboda Vormischbrenner für flüssige Brennstoffe
JP2000018520A (ja) 1998-06-23 2000-01-18 Chofu Seisakusho Co Ltd 液体燃料燃焼装置
JP3792116B2 (ja) 2000-04-27 2006-07-05 株式会社デンソー 燃焼式ヒータ
US6729874B2 (en) 2000-07-27 2004-05-04 John Zink Company, Llc Venturi cluster, and burners and methods employing such cluster
FR2817946B1 (fr) * 2000-12-11 2003-03-21 Inst Francais Du Petrole Dispositif de combustion catalytique avec pulverisation de combustible liquide sur parois chaudes
CN100476294C (zh) 2001-06-02 2009-04-08 多孔燃烧器技术销售有限责任公司 液体燃料低排放、非催化燃烧的方法和装置
US6726114B2 (en) * 2001-06-26 2004-04-27 J. Eberspacher Gmbh & Co., Kg Evaporative burner
DE10151617B4 (de) 2001-10-23 2004-04-29 Webasto Thermosysteme International Gmbh Heizbares keramisches Element
DE10200524C5 (de) * 2002-01-09 2008-07-17 J. Eberspächer GmbH & Co. KG Brennkammerbaugruppe,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heizgerät
DE10219633C1 (de) 2002-05-02 2003-12-04 Eberspaecher J Gmbh & Co Verdampferbrenner
RU2213298C1 (ru) 2002-10-10 2003-09-27 Кордит Евсей Аврумович Горе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04038291A1 (de) 2002-10-23 2004-05-06 Swiss E-Technic Ag Verbrennungsverfahren und brennerkopf, sowie brenner mit einem solchen bbrennerkopf und heizkessel mit einem solchen brennerkopf
DE10251438C5 (de) 2002-11-05 2009-06-18 J. Eberspächer GmbH & Co. KG Verdampferbrenner, insbesondere für ein Heizgerät
DE10252888C5 (de) 2002-11-12 2010-03-25 Webasto Ag Verdampfungsbrenner für ein mit flüssigem Brennstoff betriebenes Heizgerät
DE10343282B3 (de) 2003-09-18 2005-04-21 J. Eberspächer GmbH & Co. KG Brenner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heizgerät
DE102004022302A1 (de) 2004-05-04 2005-12-01 Webasto Ag Verdampferelement für flüssige Brennstoffe
DE102004049902B4 (de) 2004-10-13 2006-07-20 Webasto Ag Verdampfungsbrenner für flüssigen Brennstoff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RU48619U1 (ru) 2005-05-23 2005-10-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ШаТл" Горе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070231761A1 (en) 2006-04-03 2007-10-04 Lee Rosen Integration of oxy-fuel and air-fuel combustion
DE102006024221A1 (de) 2006-05-23 2007-11-29 J. Eberspächer GmbH & Co. KG Verdampferbaugruppe,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heizgerät oder eine Reformeranordnung eines Brennstoffzellensystems
DE102006031867A1 (de) 2006-07-10 2008-01-17 Webasto Ag Brennervorrichtung
CN101280922B (zh) 2006-11-07 2010-06-09 河北宏业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燃油加热器的锥盖形燃烧器
CN200989585Y (zh) 2006-11-14 2007-12-12 伍镜清 燃油热流产生器
EP1995515B1 (de) 2007-05-23 2013-10-30 WS-Wärmeprozesstechnik GmbH Unterstützter FLOX-Betrieb und Brenner dafür
CN201129723Y (zh) 2007-11-15 2008-10-08 傅学正 高效液体燃料汽化燃烧装置
DE102008019854A1 (de) 2008-04-23 2009-10-29 J. Eberspächer GmbH & Co. KG Wandstruktur und Brenner sowie System
US7762807B2 (en) 2008-04-24 2010-07-27 Gas Technology Institute Gas-fired radiant tube with internal recuperator
JP5332389B2 (ja) * 2008-08-08 2013-11-06 株式会社Ihi バーナ
US8631647B2 (en) * 2010-01-21 2014-01-21 Westport Power Inc. System and method for regenerating an engine exhaust after-treatment device
DE102010016158B4 (de) 2010-03-26 2012-08-16 Webasto Ag Brennkammeranordnung für einen Verdampferbrenner
CN201636854U (zh) 2010-04-23 2010-11-17 胡永忠 一种生物液体燃料燃烧器
CN201786438U (zh) 2010-08-18 2011-04-06 沧州恒宇机械有限公司 负压全预混式燃气加热器
DE102011004159A1 (de) * 2011-02-15 2012-08-16 J. Eberspächer GmbH & Co. KG Wärmetauscher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brennstoffbetriebenes Fahrzeugheizgerät
DE102011050025A1 (de) 2011-04-30 2012-10-31 Webasto Ag Verdampferbrenner für ein mobiles Heizgerät
DE102011050368A1 (de) 2011-05-15 2012-11-15 Webasto Ag Verdampferanordnung
DE102011104051A1 (de) * 2011-06-11 2012-12-13 Christian Wattenberg Modulierender Wärmeerzeuger (Brenner) für flüssige Brennstoffe
DE102011087971B4 (de) 2011-12-08 2021-03-04 Eberspächer Climate Control Systems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it Kohlenwasserstoff-Brennstoff betreibbaren Heizgeräts
TW201327884A (zh) * 2011-12-16 2013-07-01 Univ Nat Cheng Kung 用於熱光電系統之燃燒器
DE102012100173B4 (de) 2012-01-10 2014-09-04 Webasto Ag Verdampferbrenner für ein mobiles Heizgerät
DE102012101577A1 (de) * 2012-02-27 2013-08-29 Webasto Ag Mobiles, mit flüssigem Brennstoff betriebenes Heizgerät
DE102012101580B4 (de) 2012-02-27 2020-10-29 Webasto Ag Mobiles, mit flüssigem Brennstoff betriebenes Heizgerät
CN202813362U (zh) 2012-05-11 2013-03-20 刘恒孝 自控多燃料气化燃烧器
US20130337388A1 (en) 2012-06-14 2013-12-19 Webasto Ag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heating device
DE102013200016A1 (de) * 2013-01-02 2014-07-03 Eberspächer Climate Control Systems GmbH & Co. KG Katalytischer Brenner, insbesondere für eine Fahrzeugheizung
DE102014004687B4 (de) 2013-08-02 2016-01-21 Jochen Schleef Behälter, der mit einem flüssigen Medium gefüllt ist, und Verfahren zum Zuführen von gasförmigen Stoffen in den Behälter
DE102014103812A1 (de) * 2014-03-20 2015-09-24 Webasto SE Verdampferbrenner für ein mobiles, mit flüssigem Brennstoff betriebenes Heizgerä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8965B2 (ja) * 1994-11-10 1999-01-20 ヨット エーバーシュペッヘ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加熱機械用の蒸発式バーナ
KR101278280B1 (ko) * 2010-12-28 2013-06-24 주식회사 수국 저녹스형 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103813A1 (de) 2015-09-24
WO2015139684A1 (de) 2015-09-24
CN106133443A (zh) 2016-11-16
US10302298B2 (en) 2019-05-28
US20180172268A1 (en) 2018-06-21
EP3120075B1 (de) 2019-05-15
RU2647014C1 (ru) 2018-03-13
EP3120075A1 (de) 2017-01-25
CN106133443B (zh) 2018-04-27
KR20160134812A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320B1 (ko)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형 히터를 위한 증발기 버너 장치
US9759422B2 (en) Evaporator burner for a mobile heating device
KR101934174B1 (ko) 액체 연료로 작동되는 이동식 가열 디바이스를 위한 증발기 버너
KR101944169B1 (ko) 액체 연료를 사용하여 작동되는 이동식 가열 디바이스를 위한 증발기 버너
US10823397B2 (en) Burner arrangement for heater
US9970653B2 (en) Mobile heating unit operated by means of liquid fuel
KR101930608B1 (ko) 증발기 버너
US9759448B2 (en) Mobile heating device operated with liquid fuel
US10359190B2 (en) Catalytic burner, especially for a vehicle heater
US20150008264A1 (en) Mobile heating unit which is operated by way of liquid fuel
JP3531387B2 (ja) 触媒燃焼装置
JP6406426B2 (ja) 薄膜蒸発器バーナ装置
US20130260326A1 (en) Oil premix burner
RU2575499C1 (ru) Работающее на жидком топливе мобильное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