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267B1 -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 및 흡기구멍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 및 흡기구멍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267B1
KR101922267B1 KR1020137016840A KR20137016840A KR101922267B1 KR 101922267 B1 KR101922267 B1 KR 101922267B1 KR 1020137016840 A KR1020137016840 A KR 1020137016840A KR 20137016840 A KR20137016840 A KR 20137016840A KR 101922267 B1 KR101922267 B1 KR 101922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layer
blade
punch cutter
cylindrical blade
intak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928A (ko
Inventor
히사오 미야지마
미쓰히로 소토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40052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2210/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09Cutting out
    • B29C2793/0018Cutting out for making a 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9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after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86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 B29C2949/3094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preform having at least partially loose components, e.g. at least partially loo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1Layered products the layers being lo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딜라미네이션병에 관한 것으로, 첫 번째로 펀치 커터의 칼날 끝에 의한 칼날 흔적을 내층에 남기지 않고 흡기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을 창출하는 것, 두 번째로 흡기구멍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 근방에서 외층과 내층의 박리가 원활하게, 또한 확실히 진행 가능한 흡기구멍의 형상을 창출하는 것에 있고,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수단은,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펀치 커터는 선단부에 통 형상 날을 가지고, 이 통 형상 날의 내주면에 통 형상 날의 외층으로부터의 후퇴시에, 외층으로부터의 빠짐 방지 기능을 발휘하는 걸어멈춤부를 배치한 것을 사용하고, 통 형상 날을 칼날 끝이 외층의 내표면의 바로 옆 위치가 될 때까지 압입 전진시켜, 외층을 완전히 잘라내지 않고 선단에 말단 절단부를 둘레 형상으로 잔존시킨 상태로 하고, 다음에, 통 형상 날의 후퇴에 수반하여 걸어멈춤부의 빠짐 방지 기능에 의해, 통 형상 날내에 잔류하는, 말단 절단부를 남기고 잘라낸 절단편을 후퇴시키고, 이 후퇴에 의해 말단 절단부를 파단하여 절단편을 완전히 잘라낸 상태로 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 및 흡기구멍의 형성방법{MULTI-LAYERED-BLOW-MOLDED CONTAINER AND METHOD FOR FORMING AIR INLET HOLE}
본 발명은, 일정 형태의 외각(外殼)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의 외층과, 이 외층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하여 내대(內袋)를 형성하는 내층으로 이루어지고, 입구통부에, 외층과 내층과의 사이에 외기(外氣)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구멍을 천공(穿孔)한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와, 이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정 형태의 외각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의 외층과, 이 외층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하여 내대를 형성하는 내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 소위, 딜라미네이션병(delamination bottle)이 알려져 있고, 특허문헌 1에는 입구통부의 외층 부분에, 외기 도입용의 흡기구멍을 천공,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도 9는, 특허문헌 1의 도 2에 상당하는 것으로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1)에 천공장치(30)를 배치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용기(1)는 입구통부(2), 어깨부(3), 몸통부(4)를 가지고, 외층(11)과 내층(12)을 적층한 딜라미네이션병이다.
또한, 천공장치(30)는 주로 받이부재(31)와 해칭(hatching)하여 종단면으로 나타나는 커터 부재(40)로 구성되어 있다.
받이부재(31)는, 지지부재(32)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낙하하는 지지봉(34)과, 이 지지봉(34)의 선단에 배치된 커터 받침대(36)로 이루어져 있다.
커터 부재(40)는, 지지부재(32)에 수평 형상으로 배치되는 지지축(33)에 좌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딩 부재(41)와, 이 슬라이딩 부재(41)에 하방으로 수직 낙하하는 지지봉(42)과, 이 지지봉(42)의 선단에 받이부재(31)의 커터 받침대(36)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펀치 커터(43)로 이루어져 있다.
펀치 커터(43)는 선단부에 통 형상 날(44)을 가지고, 그 내부에 절단편(11a)을 도출(導出)하는 투과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축(33)을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41)를 도면 중, 좌측(X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펀치 커터(43)는, 볼트(37)의 선단이 지지봉(34)에 부딪칠 때까지 이동하지만, 그 때, 우선 통 형상 날(44)이 용기(1)의 입구통부(2)의 내층(12)을 커터 받침대(36)의 받이면(36a)에 누르고, 이어서 용기(1)의 입구통부(2)의 외층(11)에 눌러 넣어져, 내층(2)을 남기고 외층(11)을 절단하여, 내층(12)과 외층(11)의 사이에 대기를 도입하는 흡기구멍을 천공한다.
여기서, 펀치 커터(43)의 통 형상 날(44)의 칼날 끝과 커터 받이면(36a)과의 간극(t)를, 볼트(37)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내층(12)의 두께로 조절하면, 외층(11)에만 흡기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천공한 흡기구멍(14)의 근방에 있어서의 외층(11)과 내층(12)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블로우 성형 후, 이런 종류의 딜라미네이션병에서는 외층(11)과 내층(12)이 박리 가능하기는 하지만 밀착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이런 종류의 딜라미네이션병을 이용한 주출용기 제품에서는, 내용액을 주출했을 때에 있어서의 병 내부의 감압에 의해, 흡기구멍(14)을 통하여 외층(11)과 내층(12)의 사이에 자연스럽게 외기를 원활하게 도입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어, 많은 경우, 흡기구멍(14)을 형성 후, 입구통부(2)를 통하여 병 내부를 진공펌프 등으로 강제적으로 감압 상태로 하고 외층(11)과 내층(12)을 병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박리하여 외층(11)과 내층(12)과의 밀착을 일단 해소한 상태로 하고, 그 후, 입구통부로부터 공기를 불어넣어, 다시 외층(11)과 내층(12)을 적층한 상태로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 8-244102호
여기서, 블로우 성형에 있어서는 패리손(parison)의 두께에 종종 편차가 생기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의하면, 도 9중에 나타나는 간극(t)를 내층(12)의 최소의 두께로 해 두면, 두께의 편차가 있어도 외층(11)에만 도입구멍을 천공할 수 있지만, 원리적으로는, 펀치 커터의 칼날 끝을 내층(12)의 외주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외층(11)을 완전히 잘라내는 방법이며, 내층(12)에 칼날 흔적이 남게 되어 내층(12)의 파괴로 연결되는 요인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펀치 커터에 의한 외층(11)의 천공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빠진 칩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고, 이 칩이 남아 흡기구멍이 개구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강제적으로 외층(11)과 내층(12)을 병의 대략 전체 영역에 걸쳐서 박리하고, 외층(11)과 내층(12)의 밀착을 일단 해소하고 다시 적층한 상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입구통부(2)에 있어서의 내층(12)은, 그 두께가 클수록, 강성이 높고, 박리 후의 탄성 복귀력이 커서, 박리 후에 부분적으로 다시 밀착 상태로 복귀해 버려 외층(11)으로부터 내층(12)의 재박리가 원활하게, 또한 확실히 진행되지 않을 우려가 여전히 남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딜라미네이션병에 관한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에 있고, 첫 번째로 펀치 커터의 칼날 끝에 의한 칼날 흔적을 내층에 남기지 않고 흡기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을 창출하는 것, 두 번째로 흡기구멍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 근방에서 외층과 내층의 박리가 원활하게, 또한 확실히 진행 가능한 흡기구멍의 형상을 창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딜라미네이션병 타입의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와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먼저 적층 용기에의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으로 대해서, 그리고 그 다음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 중,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관한 주된 구성은, 일정 형태의 외각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의 외층과, 외층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하는 합성수지제의 내층으로 이루어지고, 입구통부의 소정 위치에서 펀치 커터에 의해 외층에 흡기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펀치 커터는 선단부에 통 형상 날을 가지고, 이 통 형상 날의 내주면에 통 형상 날의 외층으로부터의 후퇴시에, 외층으로부터의 빠짐 방지 기능을 발휘하는 걸어멈춤부를 배치한 것을 사용하고,
통 형상 날을 칼날 끝이 외층의 내표면의 바로 옆 위치가 될 때까지 압입 전진시켜, 외층을 완전히 잘라내지 않고 선단에 말단 절단부를 둘레 형상으로 잔존시킨 상태로 하고,
다음에, 통 형상 날의 후퇴에 수반하여 걸어멈춤부의 빠짐 방지 기능에 의해, 통 형상 날내에 잔류하는, 말단 절단부를 남기고 잘라낸 절단편을 후퇴시켜, 이 후퇴에 의해 말단 절단부를 파단(破斷)하고 절단편을 완전히 잘라낸 상태로 하고 흡기구멍을 천공한다고 하는 것이다.
상기한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의하면, 펀치 커터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통 형상 날의 칼날 끝은, 외층 내부에 머물러 내층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종래의 형성방법과 같이 펀치 커터의 칼날 끝에 의한 칼날 흔적을 내층에 남기지 않고 흡기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걸어멈춤부의 빠짐 방지 기능에 의해, 통 형상 날내에 잔류하는 말단 절단부를 남기고 잘라낸 절단편을 후퇴시켜, 이 후퇴에 의해 말단 절단부를 파단하고 절단편을 완전히 잘라낸 상태로 하여 통 형상 날내에 잔존시킨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절단편을 흡기구멍내로부터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절단된 칩이 남아 흡기구멍이 개구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관한 다른 구성은 상기 주된 구성에 있어서, 펀치 커터의 통 형상 날의 내주면에 지름축소 단차부를 둘레 형성하고, 이 지름축소 단차부를 걸어멈춤부로 한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형성방법은, 통 형상 날의 내주면에 걸어멈춤부를 배치한 펀치 커터를 사용하고, 이 걸어멈춤부의 빠짐 방지 기능을 이용하여 통 형상 날내에 잔류하는 절단편의 말단 절단부를 파단하는 점이 특징적이지만, 걸어멈춤부를 포함한 통 형상 날의 형상은, 통 형상 날 외층에의 압입 전진성, 외층의 절단성, 빠짐 방지 기능에 의한 말단 절단부의 파단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걸어멈춤부의 구체적인 예의 하나이며, 지름축소 단차부에 의해 빠짐 방지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어, 통 형상 날내에 잔류하는 절단편을 이 지름축소 단차부에 의해 걸도록 하여 말단 절단부를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다.
여기서, 지름축소 단차부를 칼날 끝으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배치하거나, 지름축소를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를 포함한, 지름축소 단차부의 형상은 상기한 외층에의 압입 전진성, 외층의 절단성, 빠짐 방지 기능에 의한 말단 절단부의 파단성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관한 또 다른 구성은 상기 걸어멈춤부를 지름축소 단차부로 하는 구성에 있어서, 통 형상 날의 내주면을, 지름축소 단차부의 내주단으로부터 테이퍼 형상으로 지름 확대시켜 칼날 끝에 이르는 구성으로 한다는 것이다.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관한 또 다른 구성은 상기 걸어멈춤부를 지름축소 단차부로 하는 구성에 있어서, 지름축소 단차부를 둘레방향으로 간헐 상태로 둘레 형성한다는 것이다.
통 형상 날의 내주면에 지름축소 단차부를 둘레 형성하면, 통 형상 날의 외층에의 압입 전진성 혹은 외층의 절단성이 저하할 염려가 있지만, 상기와 같이 지름축소 단차부의 내주단으로부터 테이퍼 형상으로 지름 확대시켜 칼날 끝에 이르는 구성으로 하거나 지름축소 단차부를 둘레방향으로 간헐 상태로 둘레 형성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외층에의 압입 전진성 혹은 외층의 절단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관한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주된 구성에 있어서, 펀치 커터의 통 형상 날의 내주면에, 칼날 끝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지름 축소시킨 테이퍼 형상 지름 축소부를 형성하고, 이 테이퍼 형상 지름 축소부를 걸어멈춤부로 한다는 것이다.
상기 구성도 걸어멈춤부의 구체적인 예의 하나이며, 걸어멈춤부를 테이퍼 형상 지름 축소부로 하는 것에 의해, 단차부를 형성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외층에의 통 형상 날의 압입 전진성이나 외층의 절단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테이퍼 형상 지름 축소부의 테이퍼면에서 빠짐 방지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는 상술한 본 발명의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의해 실현 가능한 것이지만, 이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에 관한 주된 구성은, 일정 형태의 외각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의 외층과, 이 외층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하는 합성수지제의 내층으로 이루어지고, 입구통부의 소정 위치에서 펀치 커터에 의해 외층에 흡기구멍을 천공한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 외층의 내표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흡기구멍의 형상을 나팔 형상으로 지름 확대한 형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흡기구멍의 근방에서는, 내층은 외층에 적층함과 함께 흡기구멍을 가교 형상으로 피복하지만,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층의 내표면측 단부에서 흡기구멍이 나팔 형상으로 지름 확대된 형상이 되어 있는 것에 의해, 흡기구멍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에서는, 외층과 내층의 사이에 노치(notch) 형상으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노치 형상으로 형성된 간극을 기점으로 하여 적층하는 외층과 내층과의 박리를 원활하게 개시, 진전시킬 수 있어, 외층과 내층의 사이에의 외기의 도입을, 흡기구멍을 통하여 용이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에 관한 다른 구성은, 상기 주된 구성에 있어서, 외층의 내표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흡기구멍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에 펀치 커터에 의한 천공 공정에서 발생하는 버(burr)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외층의 내표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흡기구멍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에 버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해당 요철이 형성된 흡기구멍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에서는 외층과 내층의 밀착을 회피할 수 있어, 상술한 노치 형상의 간극의 작용 효과와 더불어, 외층과 내층의 박리를 원활하게, 또한 확실히 개시, 진전시킬 수 있어, 외층과 내층의 사이에의 외기의 도입을, 흡기구멍을 통하여 용이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술한 걸어멈춤부의 빠짐 방지 기능에 의해, 통 형상 날내에 잔류하는 말단 절단부를 남기고 잘라낸 절단편을 후퇴시켜, 이 후퇴에 의해 말단 절단부를 파단하고 절단편을 완전히 잘라낸 상태로 하여 통 형상 날내에 잔존시킨 상태로 한다는 본 발명의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의하면, 흡기구멍의 형상을, 외층의 내표면측 단부로 나팔 형상으로 지름 확대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말단 절단부를 억지로 파단하는 것에 의해, 이 파단에 수반하여 흡기구멍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에 버가 발생하고, 이 버에 의해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의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있어서는, 펀치 커터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통 형상 날의 칼날 끝은, 외층 내부에 머물러 내층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과 같이 펀치 커터의 칼날 끝에 의한 칼날 흔적을 내층에 남기지 않고 흡기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걸어멈춤부의 빠짐 방지 기능에 의해, 통 형상 날내에 잔류하는 말단 절단부를 남기고 잘라낸 절단편을 후퇴시켜, 이 후퇴에 의해 말단 절단부를 파단하고 절단편을 완전히 잘라낸 상태로 하고 통 형상 날내에 잔존시킨 상태로 하여 절단편을 흡기구멍내로부터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절단된 칩이 남아 흡기구멍이 개구되기 어렵다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는, 외층의 내표면측 단부에서 흡기구멍이 나팔 형상으로 지름 확대된 형상이 되어 있는 것에 의해, 흡기구멍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에서는 외층과 내층의 사이에 노치 형상으로 간극이 형성되므로, 이 간극을 기점으로서, 적층하는 외층과 내층과의 박리를 부드럽게 개시, 진전시킬 수 있고, 외층과 내층의 사이에의 외기의 도입을, 흡기구멍을 통하여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층의 내표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흡기구멍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에 버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해당 요철이 형성된 흡기구멍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에서는 외층과 내층의 밀착을 회피할 수 있어, 상술한 노치 형상의 간극의 작용 효과와 더불어, 적층하는 외층과 내층과의 박리를 보다 부드럽게, 또한 확실히 개시, 진전시킬 수 있어, 외층과 내층의 사이에의 외기의 도입을, 흡기구멍을 통하여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의 일실시예를 용기 본체로서 이용한 펌프부착 주출용기를 부분적으로 종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의 흡기구멍 근방을 요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a)는 종단면도, (b)는 (a) 중의 굵은 화살표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중의 흡기구멍을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펀치 커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종단면도, (b)는 통 형상 날 근방의 확대도, (c)는 칼날 끝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5는 (a)는 도 4의 펀치 커터의 바닥면도, (b)는 (a) 중의 칼날 끝의 확대도이다.
도 6은 흡기구멍의 형성 과정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7은 펀치 커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a)는 종단면도, (b)는 통 형상 날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8은 펀치 커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a)는 종단면도, (b)는 통 형상 날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흡기구멍의 근방에 있어서의 외층과 내층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그 작용 효과를 실시예에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의 일실시예를 용기 본체로서 이용한 펌프부착 주출용기를 부분적으로 종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딜라미네이션병인 용기(1)는, 일정 형태의 외각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의 외층(11)과, 이 외층(11)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하여, 내대를 형성하는 합성수지제 내층(12)과의 적층벽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몸통부(4)의 상단에, 상방으로 지름 축소된 테이퍼 통 형상의 어깨부(3)를 통하여, 외주면에 나사조를 돌출 형성하고, 이 나사조의 하위의 외층(11) 부분에, 펀치 커터에 의해 흡기구멍(14)을 천공, 형성한 입구통부(2)를 연달아 설치한 구성이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용기(1)에서는 외층(11)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수지제, 내층(12)은 나일론 수지제이다. 또한 전후에 한 쌍(도 1중에서는 좌우에 한 쌍)의 흡기구멍(14)을 천공하고 있다.
용기(1)에 대한, 노즐 헤드(26)를 가지는 주출펌프(25)의 조립 부착은, 주출펌프(25)의 본체부를 용기(1)내에 삽입한 상태로, 주출펌프(25)의 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외측 날밑 형상의 조립 부착 플랜지(27)를, 패킹편(28)을 사이에 두고 입구통부(2)의 상단면상에 얹어놓고, 이 조립 부착 플랜지(27)를, 입구통부(2)에 그 나사 맞춤통벽(22)에서 외장 끼워 나사 맞춤하는 캡(21)의 내측 날밑 형상의 정상벽(23)에서 입구통부(2)의 상단면에 밀어붙여 달성된다. 한편, 도 1중에는 흡기구멍(14)의 근방에서 외층(11)과 내층(12)이 박리되고, 박리 공간(S)이 형성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2는, 도 1의 용기의 흡기구멍(14) 근방을 요부 확대한 것으로, (a)는 종단면도, (b)는 (a) 중의 굵은 화살표의 방향에서 흡기구멍(14)을 본 도면이다.
도 2(a), (b) 중, 나팔 형상 부분(14a)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멍(14)은 외층(11)의 내표면측 단부에서 나팔 형상으로 지름 확대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a), (b) 중, 크로스 해칭하여 나타낸 외층(11)의 내표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흡기구멍(14)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에는, 펀치 커터를 사용한 천공 공정에서 발생하는 버에 의한 요철(1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나팔 형상 부분(14a)이나 버에 의한 요철(11c)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의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서 사용하는 펀치 커터(43)의 통 형상 날(44)의 형상이나 압입 위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나팔 형상 부분(14a)이나 요철(11c)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나팔 형상 부분(14a)이나 요철(11c)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로 할 수도 있다.
흡기구멍(14)의 단부를 상기와 같이 나팔 형상 부분(14a)으로 하는 것에 의해, 외층(11)의 흡기구멍(14)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에서는, 외층(11)과 내층(12)의 사이에 노치 형상의 간극(N)(도 2(a) 참조)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노치 형상의 간극(N)에 의해 박리 진행의 기점으로서의 기능이 발휘되고, 도 2(a) 중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하는 외층(11)과 내층(12)과의 박리를 원활하게 개시, 진전시켜 박리 공간(S)을 확대하고, 외기 A를, 흡기구멍(14)을 통하여 외층(11)과 내층(12)의 사이에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외층(11)의 내표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흡기구멍(14)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버에 의한 요철(11c)에 의해,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에서는 외층(11)과 내층(12)의 밀착을 회피할 수 있어, 상기한 노치 형상의 간극(N)의 작용 효과와 더불어, 외층(11)과 내층(12)의 박리를 보다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나타내는 종래의 흡기구멍(14)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외층(11)과 내층(12)을 일단 박리하여 외층(11)과 내층(12)의 밀착을 해소하고 다시 적층한 상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도 2에 있는 노치 형상의 간극(N)과 같은 박리의 기점이 되는 부분이 없고, 또한 부분적으로 다시 밀착 상태가 되는 등의 요인에 의해 외층(11)과 내층(12)의 박리를 개시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주출용기로 내용액의 주출 조작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의 개략 설명도이고, 사용하는 천공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유사하여, 선단부에 커터 받침대(36)를 배치한 지지봉(34)을 용기(1)의 입구통부(2)내에 삽입 배치하고, 이 커터 받침대(36)에 대향하도록 펀치 커터(43)를 배치한다.
한편, 도 1에 나타나는 용기(1)와 같이, 좌우에 한 쌍의 흡기구멍(14)을 형성하는 경우는, 천공장치도 좌우 대칭 형상으로 배치하고, 좌우에 한 쌍의 펀치 커터(43)를 배치하여 천공을 실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의 개략은, 펀치 커터(43)의 통 형상 날(44)을 외층(11)내에 압입 전진시켜, 외층(11)을 완전히 잘라내지 않고 선단에 말단 절단부(11b)를 둘레 형상으로 잔존시킨 상태로 하고, 그 후 펀치 커터(43)를 후퇴시키면서, 후술하는 걸어멈춤부(45)의 빠짐 방지 기능에 의해 말단 절단부(11b)를 파단하고, 흡기구멍(14)을 천공,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에 있어서는, 펀치 커터(43)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통 형상 날(44)의 칼날 끝은, 외층(11) 내부에 머물러 내층(12)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종래의 형성방법과 같이 펀치 커터의 칼날 끝에 의한 칼날 흔적을 내층(12)에 남기지 않고 흡기구멍(14)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5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펀치 커터(43)를 나타내고, 도 4(a)는 종단면도, 도 4(b)는 통 형상 날(44) 근방의 확대도, 도 4(c)는 칼날 끝(44p) 근방을 더욱 확대한 도면, 또한 도 5(a)는 바닥면도, 도 5(b)는 도 5(a) 중의 칼날 끝(44p)의 확대도이다.
이 펀치 커터(43)는, 선단부에 통 형상 날(44)을 가지고, 이 통 형상 날(44)의 내주면에 걸어멈춤부(45)의 일실시형태인 지름축소 단차부(45a)를 간헐 상태로 4개소(도 5(b) 참조)에 둘레 형성하고 있다.
또한, 지름축소 단차부(45a)의 내주단으로부터 칼날 끝(44p)까지의 영역을 테이퍼 형상으로 지름 확대시킨 테이퍼부(45a1)로 하고 있고, 상기와 같이 지름축소 단차부(45a)를 간헐 상태로 둘레 형성하는 것과 더불어, 통 형상 날(44)의 압입 전진 동작과 후퇴 동작을 원활하게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이 펀치 커터(43)의 칼날 끝(44p)의 지름은 4㎜이고, 지름축소 단차부(45a)의 형성 위치와 칼날 끝(44p)의 간격 h(도 4(b) 참조)는 0.8㎜이다.
도 6은, 흡기구멍(14)의 형성 과정의 개략 설명도이고, (a)는 통 형상 날(44)이 압입 전진 한계에 위치하는 상태, (b)는 (a) 중의 칼날 끝(43p) 근방을 확대한 도면, (c)는 통 형상 날(44)이 압입 전진 한계로부터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 형상 날(44)이 압입 전진 한계의 위치에서, 칼날 끝(44p)은 외층(11)의 내주면 직전의 위치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기구멍(14)을 천공하는 입구통부(2)의 하부의 두께는 2.5㎜이지만, 외층(11)의 내주면으로부터 약 0.02㎜의 위치를 압입 전진 한계로 하고 있어, 외층(11)을 완전히 잘라내지 않고 선단에 말단 절단부(11b)를 둘레 형상으로 잔존한 상태로, 절단편(11a)이 통 형상 날(44)내에 잔류하고 있는 것이 된다.
다음에, 도 6(a)의 상태로부터 펀치 커터(43)를 후퇴시키면, 지름축소 단차부(45a)의 빠짐 방지 기능에 의해, 도 6(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 형상 날(44)의 후퇴에 수반하여, 통 형상 날(44)내에 잔류하는, 말단 절단부(11b)를 남기고 잘라낸 절단편(11a)을 지름축소 단차부(45a)에서 걸도록 하여 후퇴시키고, 이 후퇴에 의해 둘레 형상의 말단 절단부(11b)를 파단하여 절단편(11a)을 완전히 꿰뚫은 상태로 하여 흡기구멍(14)이 천공된다.
여기서, 지름축소 단차부(45a)의 빠짐 방지 기능에 의해 절단편(11a)이 도 6(c)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면, 말단 절단부(11b)에는 도 6(b) 중 Sf로 나타낸 방향으로 전단응력이 작용하여, 이 전단응력에 의해 절단부(11b)가 파단되기 때문에, 흡기구멍(14)의 단부에 도 6(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나팔 형상으로 지름 확대된 나팔 형상 부분(14a)이 형성된다.
또한, 말단 절단부(11b)의 파단시에는, 합성수지(본 실시예에서는 HDPE 수지)가 다소라도 연신변형되기 때문에, 도 6(c) 중의 확대도에서 크로스 해칭해서 나타나는 영역에, 파단에 수반하는 버에 의한 요철(11c)이 형성된다.
여기서, 흡기구멍(14)의 형성에 사용하는 펀치 커터(43)의 형상, 특히 걸어멈춤부(45)의 형상은, 외층(11)에 사용하는 합성수지의 재질을 고려하면서 통 형상 날(44)의 압입 전진성, 외층(11)의 절단성, 그리고 걸어멈춤부(45)에 의한 빠짐 방지 기능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는 것이지만, 도 7, 도 8에는 다른 두 개의 예를 나타냈다.
도 7의 예는, 도 4의 펀치 커터와 같이 지름축소 단차부(45a)를 걸어멈춤부(45)로 한 것이지만, 도 4의 것에 대한 지름축소 단차부(45a)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고, 그 만큼, 압입 전진성과 빠짐 방지 기능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지름축소 단차부(45a)에 의한 지름축소의 정도를 작게 하고, 또한 지름축소 단차부(45a)의 형성 위치와 칼날 끝(44p)의 간격 h를 0.4㎜로 작게 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도 8의 예는, 통 형상 날(44)의 내주면을, 칼날 끝(44p)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지름 축소시켜 테이퍼 형상 지름 축소부(45b)를 형성하고, 이 테이퍼 형상 지름 축소부(45b)의 테이퍼면에서 빠짐 방지 기능을 발휘시키려고 한 것이다. 단차부가 없기 때문에, 특히 경질의 합성수지로 양호한 압입 전진성과 빠짐 방지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 및 그 작용 효과를 실시예에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했지만, 본원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예를 들어, 사용하는 펀치 커터에 대해서는 3개의 예를 설명했지만, 더 적당한 형상의 돌기를 복수 둘레 형상으로 배치하여 걸어멈춤부를 구성하는 등, 압입 전진성과 빠짐 방지 기능을 고려하여 더 다양한 변화(variation)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딜라미네이션병 타입의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는, 펌프부착 주출용기의 용기 본체 외에도, 입구통부에 빗을 끼워 맞추게 한 빗이 부착된 주출용기의 용기 본체나, 스퀴즈 타입의 딜라미네이션 용기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흡기구멍의 형성방법은, 펀치 커터의 칼날 끝에 의한 칼날 흔적을 내층에 남기지 않고 흡기구멍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는 흡기구멍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 근방에서 외층과 내층의 박리를 원활하게, 또한 확실히 개시, 진전시킬 수 있는 것이고, 주출 조작성이 뛰어난 딜라미네이션 용기로서 넓은 분야에서의 이용 전개가 기대된다.
1 : 용기
2 : 입구통부
3 : 어깨부
4 : 몸통부
11 : 외층
11a : 절단편
11b : 말단 절단부
11c : (버에 의한) 요철
12 : 내층
14 : 흡기구멍
14a : 나팔 형상 부분
S : 박리 공간
N : 노치 형상의 간극
A : 외기
21 : 캡
22 : 나사 맞춤통벽
23 : 정상벽
25 : 주출펌프
26 : 노즐 헤드
27 : 조립 부착 플랜지
28 : 패킹편
30 : 천공장치
31 : 받이부재
32 : 지지부재
33 : 지지축
34 : 지지봉
36 : 커터 받침대
36a : 받이면
37 : 볼트
40 : 커터 부재
41 : 슬라이딩 부재
42 : 지지봉
43 : 펀치 커터
44 : 통 형상 날
44p : 칼날 끝
45 : 걸어멈춤부
45a : 지름축소 단차부
45a1 : 테이퍼부
45b : 테이퍼 형상 지름 축소부
46 : 투과구멍
t : 간극

Claims (7)

  1. 일정 형태의 외각(外殼)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의 외층(11)과, 그 외층(11)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하는 합성수지제의 내층(12)으로 이루어지고, 입구통부(2)의 소정 위치에서 펀치 커터에 의해 외층(11)에 흡기구멍(14)을 천공한 블로우 성형용기로서,
    상기 외층(11)의 내표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흡기구멍(14)의 형상이 나팔 형상으로 지름 확대되는 동시에, 상기 흡기구멍(14)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에 펀치 커터의 천공에 의한 버(burr)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11c)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용기.
  2. 삭제
  3. 일정 형태의 외각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의 외층(11)과, 그 외층(11)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하는 합성수지제의 내층(12)으로 이루어지고, 입구통부(2)의 소정 위치에서 펀치 커터(43)에 의해 외층(11)을 천공하여 흡기구멍(14)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펀치 커터(43)는 선단부에 통 형상 날(44)을 가지고, 그 통 형상 날(44)의 내주면에 그 통 형상 날(44)의 외층(11)으로부터의 후퇴시에, 그 외층(11)으로부터의 빠짐 방지 기능을 발휘하는 걸어멈춤부(45)를 배치한 것을 사용하고, 상기 통 형상 날(44)을 칼날 끝(44p)이 외층(11)의 내표면의 바로 옆 위치가 될 때까지 압입 전진시켜, 상기 외층(11)을 완전히 잘라내지 않고 선단에 말단 절단부(11b)를 둘레 형상으로 잔존시킨 상태로 하고, 다음에, 통 형상 날(44)의 후퇴에 수반하여 상기 걸어멈춤부(45)의 빠짐 방지 기능에 의해, 통 형상 날(44)내에 잔류하는, 말단 절단부(11b)를 남기고 잘라낸 절단편(11a)을 후퇴시키고, 그 후퇴에 의해 상기 말단 절단부(11b)를 파단하여 상기 절단편(11a)을 완전히 잘라낸 상태로 하여 상기 흡기구멍(14)을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구멍의 형성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펀치 커터(43)의 통 형상 날(44)의 내주면에 지름축소 단차부(45a)를 둘레 형성하고, 그 지름축소 단차부(45a)를 걸어멈춤부(45)로 한 흡기구멍의 형성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통 형상 날(44)의 내주면을, 지름축소 단차부(45a)의 내주단으로부터 테이퍼 형상으로 지름 확대시켜 칼날 끝(44p)에 이르는 구성으로 한 흡기구멍의 형성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지름축소 단차부(45a)를 둘레방향으로 간헐 상태로 둘레 형성한 흡기구멍의 형성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펀치 커터(43)의 통 형상 날(44)의 내주면에, 칼날 끝(44p)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지름 축소시킨 테이퍼 형상 지름 축소부(45b)를 형성하고, 그 테이퍼 형상 지름 축소부(45b)를 걸어멈춤부(45)로 한 흡기구멍의 형성방법.

KR1020137016840A 2011-08-31 2012-08-08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 및 흡기구멍의 형성방법 KR101922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88750 2011-08-31
JP2011188750A JP5979467B2 (ja) 2011-08-31 2011-08-31 積層ブロー成形容器及び吸気孔の形成方法
PCT/JP2012/070140 WO2013031494A1 (ja) 2011-08-31 2012-08-08 積層ブロー成形容器及び吸気孔の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928A KR20140052928A (ko) 2014-05-07
KR101922267B1 true KR101922267B1 (ko) 2019-02-13

Family

ID=47755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840A KR101922267B1 (ko) 2011-08-31 2012-08-08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 및 흡기구멍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387951B2 (ko)
EP (2) EP2752370B1 (ko)
JP (1) JP5979467B2 (ko)
KR (1) KR101922267B1 (ko)
CN (1) CN103221313B (ko)
AU (2) AU2012303095B2 (ko)
CA (2) CA3016941C (ko)
WO (1) WO2013031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9467B2 (ja) * 2011-08-31 2016-08-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ブロー成形容器及び吸気孔の形成方法
EP3366598B1 (en) 2013-11-27 2021-01-20 Kyoraku Co., Ltd. Delaminatable container
GB2524843B (en) * 2014-04-04 2018-12-19 Pet Eng & Services S R L Pressurised container with pressure relief valve
JP6561442B2 (ja) * 2014-09-10 2019-08-2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被加工物の加工方法、穴あけドリル
CN106809461A (zh) * 2015-12-01 2017-06-09 威玛精密化学科技股份有限公司 双层容器及其制法
CN109278109B (zh) * 2017-07-22 2020-09-11 广东洛波特机器人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光电探测定位的包装瓶自动打孔机
CN111034354B (zh) * 2017-08-24 2021-08-0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感应加热烹调器
DE102017121702B4 (de) * 2017-09-19 2019-07-11 Inotech Kunststofftechnik Gmbh Spenderbehälter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 Spenderbehälters
WO2019093068A1 (ja) * 2017-11-08 2019-05-16 北海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製多重容器
EP3733539A4 (en) * 2017-12-28 2021-11-03 Yoshino Kogyosho Co., Ltd. RESIN CONTAINER
JP6910735B2 (ja) * 2017-12-28 2021-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プリフォーム、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WO2019173718A1 (en) * 2018-03-09 2019-09-12 Dispenser Packaging, LLC Liquid dispense system
US11559914B2 (en) * 2020-06-02 2023-01-24 Frito-Lay North America, Inc. Cutting apparatus for foodstuffs
DE102021116277A1 (de) * 2021-06-23 2022-12-29 Gaplas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2389A (ja) * 2004-12-27 2006-07-13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ブロー成形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7464A (en) * 1924-03-20 1925-10-13 Walter K Mick Cutter drill
DE3220461C2 (de) * 1982-05-29 1984-10-31 Bielomatik Leuze Gmbh + Co, 7442 Neuffen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Löchern in dicke Papierstapel
US4607553A (en) * 1983-05-20 1986-08-26 Hanger Hole Punches, Inc. Self-clearing punch with removable blade
US4589807A (en) * 1983-11-25 1986-05-20 Martin Louis G Hole production tool
CN1005481B (zh) * 1985-04-01 1989-10-18 日精Asb机械公司 具有优良耐热性能和不透气性能的双轴向塑料容器
US5242085A (en) * 1990-12-17 1993-09-07 The Coca-Cola Company Liquid container system
US5344045A (en) * 1990-12-17 1994-09-06 The Coca-Cola Company Liquid container system
US5301838A (en) * 1991-01-23 1994-04-12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ultilayer bottle with separable inner laye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EP0550772B1 (en) * 1991-08-05 1998-12-09 Yoshino Kogyosho Co., Ltd. Bottle of laminat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id bottle
DE69632354T2 (de) * 1995-03-10 2005-05-04 Yoshino Kogyosho Co., Ltd. Behälter aus laminiertem, leicht schälbarem Material
JP3915933B2 (ja) * 1995-05-16 2007-05-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および初期デラミ形成方法
JP3455606B2 (ja) 1995-03-10 2003-10-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ブロー容器における大気導入孔の形成方法および形成装置
US5682804A (en) * 1995-10-20 1997-11-04 Graham Engineer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trimming the neck of blow molded plastic bottles and method
JP3569075B2 (ja) * 1996-05-09 2004-09-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ブロー容器と該容器の大気導入孔形成方法
JP3264847B2 (ja) * 1997-01-17 2002-03-11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パンチ装置
JP2000117697A (ja) * 1998-10-13 2000-04-25 Carl Manufacturing Co Ltd 孔明け装置
US6408729B1 (en) * 1999-08-18 2002-06-25 Michael J. Johnson Steel rule for scrap material ejection die
AU2002343802B2 (en) * 2001-10-31 2007-11-22 Yoshino Kogyosho Co., Ltd. Blow-molded container
DE102004013224B4 (de) * 2004-03-18 2005-12-15 Schütz GmbH & Co.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behältern für Flüssigkeiten
JP4936249B2 (ja) * 2007-02-28 2012-05-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ブロー成形容器
NL1034895C2 (nl) * 2008-01-08 2009-07-13 Dispensing Technologies Bv Samengestelde houder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JP5979467B2 (ja) * 2011-08-31 2016-08-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ブロー成形容器及び吸気孔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2389A (ja) * 2004-12-27 2006-07-13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ブロー成形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31857B2 (en) 2017-08-15
AU2016231643B2 (en) 2018-01-04
AU2012303095B2 (en) 2016-10-20
CN103221313A (zh) 2013-07-24
CA3016941C (en) 2020-03-31
JP2013049470A (ja) 2013-03-14
AU2016231643A1 (en) 2016-10-20
CN103221313B (zh) 2017-02-15
CA2847329A1 (en) 2013-03-07
US20150266199A1 (en) 2015-09-24
EP2752370B1 (en) 2017-10-04
US20140239002A1 (en) 2014-08-28
EP2752370A1 (en) 2014-07-09
EP3147101A1 (en) 2017-03-29
WO2013031494A1 (ja) 2013-03-07
JP5979467B2 (ja) 2016-08-24
AU2012303095A1 (en) 2014-04-17
EP2752370A4 (en) 2015-05-27
EP3147101B1 (en) 2018-06-13
CA2847329C (en) 2020-04-14
KR20140052928A (ko) 2014-05-07
CA3016941A1 (en) 2013-03-07
US9387951B2 (en)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267B1 (ko)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 및 흡기구멍의 형성방법
EP2511191A2 (en) Closing means
EP0231905A2 (en) Scoring arrangement for a tamper-indicating plastic closure
JP6281758B2 (ja) 合成樹脂製蓋部材の製造方法
JP6108243B2 (ja) 積層ブロー成形容器
JP2007076173A (ja) 切目形成方法及び筒状ラベル
TWI603832B (zh) 多層吹塑成形容器及吸氣孔的形成方法
EP0550773B1 (en) Cap seal
JP2011098783A (ja) 耐破袋性及び切取り性に優れた切取り線付きチューブ状シュリンクラベル
JP5027019B2 (ja) 打栓性及び分別廃棄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2007331769A (ja) 注出具
JP6478817B2 (ja) 分別廃棄用キャップ
JP4289995B2 (ja) 筒状フィルム
KR200462213Y1 (ko) 용기 및 커버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
JP5101811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オーバーキャップ
JP4169259B2 (ja) 穿孔用カッター
JP2002166391A (ja) シュリンクフィルムへの切れ目線の穿設方法
JPH09183444A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JP3123041U (ja) 包装容器のキャップ構造
JP2007069989A (ja) 合成樹脂製容器蓋
EP3409609A1 (en) Screw cap for beverage bottle and processing method
JPH0232963A (ja) 座薬等の押出し容器
JP2005138876A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CN101283876A (zh) 一种用于去除菠萝凸头的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