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419B1 -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및 재박리성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및 재박리성 점착 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0419B1 KR101880419B1 KR1020137025113A KR20137025113A KR101880419B1 KR 101880419 B1 KR101880419 B1 KR 101880419B1 KR 1020137025113 A KR1020137025113 A KR 1020137025113A KR 20137025113 A KR20137025113 A KR 20137025113A KR 101880419 B1 KR101880419 B1 KR 1018804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itive adhesive
- pressure
- mass
- resin
- emul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3—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trialcohols, e.g.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4—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label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과 다관능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에 대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70 ∼ 97 질량%, 메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1 ∼ 15 질량% 및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함유량이 0.1 ∼ 15 질량% 인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과, 다관능 단량체를 유화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 그리고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를 함유하는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로서,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의 첨가량이, 전체 단량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1 ∼ 9 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그리고 이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타이어의 표시 라벨 등을 제조할 때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및 당해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품 표시 라벨은 상품명이나 그 밖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상품 등에 붙여지는 것이다. 종래, 이러한 상품 표시 라벨로서, 기재 상에 점착제층 등을 갖는 점착 시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착 시트에는, 상품의 유통시에 있어서는 높은 점착력이 요구되지만, 최종적으로는 비교적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점착제 잔여물이 생기지 않는다는 특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들 특성이 요구되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는,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제나 접착제 등에 대해서 지금까지도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져 오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특정 아크릴계 유화 중합체, 음이온 유화제 및 비이온 유화제로 구성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특정 아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및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을 아니온성 반응성 유화제의 존재 하에서 유화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 에멀션을 함유하는 아크릴 에멀션형 감압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도 점착제나 점착 시트의 성능 향상이 도모되어 오고 있지만, 피착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점착력이 충분하지는 않은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타이어의 표시 라벨은 메이커명, 브랜드명, 사이즈 등이 기재되어 타이어의 트레드면에 첩부 (貼付) 되는데, 타이어의 트레드면에는 매우 큰 요철이 있는 것과, 게다가 타이어의 트레드면에는 타이어 성형시에 사용되는 금형의 공기 배출구가 원인으로 형성되는 「스퓨」라고 불리는 수염상 돌기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접착 면적은 상당히 작아진다. 이와 같은 타이어 특유의 형상은, 점착 시트의 점착력을 크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상기 문헌에 기재된 접착제를 사용하는 점착 시트를 타이어의 트레드면에 첩부한 경우, 점착력이 충분하지 않아 떼어지기 쉬워진다. 특히, 겨울철 등의 저온시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점착제의 점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저온시에 점착 시트가 떼어지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타이어 첩부용 점착 시트에 있어서는, 고무 용제계 점착제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무 용제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점착 시트는, 유기 용제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환경에 부하를 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타이어에 대한 점착력을 높이기 위해 점착제를 다량으로 사용하여,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낮춘 것이기 때문에, 박리 후에 있어서 점착제 잔여물의 문제도 있었다. 나아가서는, 점착 시트에 라벨 가공을 실시할 때, 절단기의 커터나 인쇄기의 가이드 등에 점착제가 부착되어, 점착 시트 등을 오염시킨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 오염의 문제는 전체면 도포 방법에서 부분 도포 방법 (절단 예정 지점에는 점착제가 존재하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도포하는 방법) 으로 대신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생산 효율이 크게 저하되게 된다.
또, 최근에 있어서는, 고무 용제계 점착제를 대신하는 새로운 점착제를 사용하는 타이어 첩부용 점착 시트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에는, 특정 아크릴계 수지에 액상 점착 부여 수지를 배합하고,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점착 시트도 점착제층도 조면 (粗面) 에 대한 점착력을 높이기 위해 응집력을 낮춘 것으로, 점착제 잔여물의 문제를 갖는 것이었다.
타이어의 트레드면과 같은 조면에 대한 점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허문헌 3 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낮추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점착 시트는 박리 후의 점착제 잔여물의 문제나 제조시에 있어서의 오염의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낮추지 않고, 조면에 대해서도 높은 점착력을 갖는 점착 시트나, 이와 같은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면에 대한 높은 점착력과 충분한 응집력을 갖고, 또한 저온시에 있어서도 우수한 점착 성능이 유지되는 점착제 조성물과, 이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특정 비율로 함유하는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과 다관능 단량체를 유화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를 함유하는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은 조면에 대한 높은 점착력과 충분한 응집력을 갖고, 또한 저온시에 있어서도 우수한 점착 성능이 유지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제 1 에 의하면, 하기 (1) ∼ (4) 의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1)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과, 다관능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에 대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70 ∼ 97 질량%, 메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1 ∼ 15 질량% 및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함유량이 0.1 ∼ 15 질량% 인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과, 다관능 단량체를 유화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 그리고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를 함유하는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로서,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의 첨가량이, 전체 단량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1 ∼ 9 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2) 상기 다관능 단량체의 함유량이 전체 단량체 혼합물에 대해 0.05 ∼ 0.5 질량% 인 (1) 에 기재된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3) 추가로, 연화점이 25 ℃ 이하인 점착 부여 수지 (C)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를 제외한다) 를 함유하는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로서,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와 연화점이 25 ℃ 이하인 점착 부여 수지 (C) 의 질량비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연화점이 25 ℃ 이하인 점착 부여 수지 (C)) 가 1:2 ∼ 3:1 인 (1) 에 기재된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4) 추가로, 연화점이 100 ∼ 140 ℃ 인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D) 를 함유하는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로서,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와 연화점이 100 ∼ 140 ℃ 인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D) 의 질량비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연화점이 100 ∼ 140 ℃ 인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D)) 가 1:3 ∼ 3:1 인 (1) 에 기재된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제 2 에 의하면, 하기 (5) ∼ (7) 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가 제공된다.
(5) 기재와 점착제층을 갖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1) 에 기재된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
(6) 타이어 첩부용인 (5) 에 기재된 재박리성 점착 시트.
(7) 타이어의 트레드부 첩부용인 (5) 에 기재된 재박리성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점착제층을 갖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는 조면에 대해서도 높은 점착력을 갖기 때문에, 타이어와 같은 잘 점착되지 않는 조면을 갖는 피착체에 대해서도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다. 특히, 이 점착 시트는 저온 조건 하에서도 그 점착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겨울철이나 한랭지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층은 충분한 응집력을 갖기 때문에, 점착 시트를 박리한 후에 점착제 잔여물이 잘 생기지 않는다.
또한, 전체면 도포방법에 의해 재박리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절단기의 커터나 인쇄기의 가이드 등에 점착제 조성물이 부착되어, 점착 시트 등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없다.
도 1 은 실시예 (비어져 나옴 시험) 에서 사용한 시험편의 형상이다.
이하, 본 발명을 1)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및 2) 재박리성 점착 시트로 항을 나누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높은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높은 점착력을 갖는 접착제 조성물」, 「높은 응집력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높은 응집력을 갖는 접착제 조성물」과 같이 생략하여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 다른 특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생략하여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1)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과, 다관능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 (이하, 「전체 단량체 혼합물」이라고 한다) 에 대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70 ∼ 97 질량%, 메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1 ∼ 15 질량% 및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함유량이 0.1 ∼ 15 질량% 인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과, 다관능 단량체를 유화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 그리고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의 첨가량이, 전체 단량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1 ∼ 9 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 점착 부여 수지 (B) 가 후술하는 수계 용매 중에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분산액이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 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특정 비율로 함유하는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과 다관능 단량체를 유화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은 1 분자 중에 적어도 1 개의 카르복실기와 1 개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은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입수 용이성, 중합성의 관점에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특정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점착력, 응집력 및 재박리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 중의 각 단량체의 함유량은 전체 단량체 혼합물에 대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70 ∼ 97 질량%, 메틸아크릴레이트가 1 ∼ 15 질량%,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0.1 ∼ 15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75 ∼ 95 질량%, 3 ∼ 13 질량%, 0.2 ∼ 10 질량% 이다.
단관능 단량체를 이와 같은 비율로 함유하는 단관능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점착력이 우수하고, 또한 양호한 기계적 안정성 및 도포성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을 부여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 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에 더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이들 단량체 이외의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하이드록시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실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이들의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함유량은 전체 단량체 혼합물에 대해 0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0 ∼ 15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관능 단량체는 분자 내에 2 이상의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로, 2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기 (탄소-탄소 이중 결합) 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다관능 단량체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응집력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지는 점에서,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다관능 단량체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 단량체의 함유량은 전체 단량체 혼합물에 대해 0.01 ∼ 2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5 ∼ 0.5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0.01 질량% 이상임으로써 응집력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지고, 2 질량% 이하임으로써 점착력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진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과 다관능 단량체를 유화 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아, 통상적인 유화 중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계 용매 중, 계면 활성제 및 중합 개시제의 존재 하에, 상기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과 다관능 단량체를 유화 중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사용하는 계면 활성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니온계 유화제, 논이온계 유화제, 반응성 유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아니온계 유화제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논이온계 유화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유화제로는, 프로페닐기나 아크릴로일기 등의 반응성기를 갖는 유화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니온형 반응성 유화제나 논이온형 반응성 유화제를 들 수 있다.
아니온형 반응성 유화제로는, 「아데카 리어소프 SE-20N」, 「아데카 리어소프 SE-10N」, 「아데카 리어소프 PP-70」, 「아데카 리어소프 PP-710」, 「아데카 리어소프 SR-10」, 「아데카 리어소프 SR-20」〔이상, 아사히 전화 공업사 제조〕, 「엘레미놀 JS-2」, 「엘레미놀 RS-30」〔이상, 산요 화성 공업사 제조〕, 「라테물 E-118B」, 「라테물 S-180A」, 「라테물 S-180」, 「라테물 PD-104」〔이상, 카오사 제조〕, 「아쿠아론 BC-05」, 「아쿠아론 BC-10」, 「아쿠아론 BC-20」, 「아쿠아론 HS-05」, 「아쿠아론 HS-10」, 「아쿠아론 HS-20」, 「뉴프론티어 S-510」, 「아쿠아론 KH-05」, 「아쿠아론 KH-10」〔이상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 제조〕, 「포스피놀 TX」〔토호 화학 공업사 제조〕등의 시판품을 들 수 있다.
논이온형 반응성 유화제로는, 「아데카 리어소프 NE-10」, 「아데카 리어소프 NE-20」, 「아데카 리어소프 NE-30」, 「아데카 리어소프 NE-40」, 「아데카 리어소프 ER-10」, 「아데카 리어소프 ER-20」, 「아데카 리어소프 ER-30」, 「아데카 리어소프 ER-40」〔이상, 아사히 전화 공업사 제조〕, 「아쿠아론 RN-10」, 「아쿠아론 RN-20」, 「아쿠아론 RN-30」, 「아쿠아론 RN-50」〔이상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 제조〕등의 시판품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 활성제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의 첨가량은 단량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0.4 ∼ 1.2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4 ∼ 1.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0.4 질량부 이상임으로써, 점착력이 우수하고, 또한 양호한 기계적 안정성 및 도포성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1.2 질량부 이하임으로써, 기계적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하고, 또한 충분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로는, 아조계 중합 개시제, 과황산염계 중합 개시제,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 레독스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아조계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염산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과황산염계 중합 개시제로는,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레독스계 중합 개시제로는, 과황산염과 아황산수소나트륨의 조합이나,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첨가량은 전체 단량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1 ∼ 3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계 용매는 물, 또는 물 및 물과 혼화성의 유기 용매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매이다. 물과 혼화성의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탄소수 1 ∼ 3 의 알코올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계 용매의 사용량은 단량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50 ∼ 20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50 ∼ 15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유화 중합은 점착 부여 수지의 존재 하에서 실시해도 된다. 이 점착 부여 수지는 본 발명의 (B) ∼ (D) 성분의 점착 부여 수지이어도 되고, 또 이들 이외의 점착 부여 수지이어도 된다. 중합계 내에 점착 부여 수지가 존재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점착력 향상에 기여함과 함께, 중합 반응의 제어에도 도움이 된다. 이들 점착 부여 수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중합 반응계 내에는, 다른 각종 첨가제가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연쇄 이동제, 방부제, 방미제 (防黴劑), 증점제, 습윤제, 소포제, 가소제, pH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첨가제는 유화 중합 종료 후에 첨가할 수도 있다.
연쇄 이동제로는, 예를 들어 티오글리콜산, 부틸메르캅탄, 옥틸메르캅탄, 도데실메르캅탄, 라우릴메르캅탄, 2-에틸헥실티오글리콜레이트, 2-메르캅토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화 중합은, 통상적으로, 반응기 내를 불활성 가스로 치환한 후, 전체 용량을 교반하면서 소정 온도까지 승온시켜 실시한다. 중합 온도는 40 ∼ 100 ℃ 정도가 바람직하고, 50 ∼ 8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통상적으로, 승온 개시 후 1 ∼ 8 시간 정도, 바람직하게는 2 ∼ 5 시간이다.
반응 종료 후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반응액에 암모니아수 등을 첨가하여 반응액의 pH 조정 (예를 들어, 반응액의 pH 를 8 정도로 조정함) 함으로써, 아크릴계 공중합체 (A) 를 함유하는 에멀션을 얻을 수 있다.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본 발명에 사용하는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는 바람직하게는 80 ∼ 17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 170 ℃ 의 연화점을 갖는 것이다.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를 함유시킴으로써, 타이어의 트레드부와 같은 피착체에 대해서도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는 로진 또는 로진 유도체이다. 로진으로는, 예를 들어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로진 등을 들 수 있다. 로진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중합 로진, 불균화 로진, 수소화 로진, 강화 로진, 로진 에스테르, 중합 로진 에스테르, 로진 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스테르화에 사용하는 다가 알코올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의 첨가량은, 전체 단량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1 ∼ 9 질량부이고, 3 ∼ 7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4 ∼ 6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1 질량부 미만일 때에는, 얻어지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이 타이어의 트레드부와 같은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한편, 9 질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안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에 더하여, 추가로 연화점이 25 ℃ 이하인 점착 부여 수지 (C) (단,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를 제외한다) (이하, 「점착 부여 수지 (C)」라고 한다) 나, 연화점이 100 ∼ 140 ℃ 인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D) (이하, 「점착 부여 수지 (D)」라고 한다)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 (C) 로는, 연화점이 25 ℃ 이하인 것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점착 부여 수지 (C) 를 함유함으로써, 저온시에 있어서도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진다.
점착 부여 수지 (C) 로는, 예를 들어 석유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알킬페놀 수지, 쿠마론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스티렌 수지, 자일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석유계 수지로는, C5 계 석유 수지, C9 계 석유 수지, C5-C9 공중합계 석유 수지, 퓨어 모노머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 수지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테르펜계 수지로는, 테르펜 중합체, β-피넨 중합체, 테르펜 페놀 수지 및 방향족 변성 테르펜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 (C) 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 (C) 의 첨가량은, 전체 단량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1 ∼ 7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2 ∼ 5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 (C) 를 1 질량부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타이어의 트레드부와 같은 피착체에 대해서도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지고, 또 7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 시트를 피착체에 첩부했을 때의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것이 억제된다.
점착 부여 수지 (B) 와 점착 부여 수지 (C) 의 함유 비율은 (점착 부여 수지 (B):점착 부여 수지 (C)) 의 질량비로 1:2 ∼ 3:1 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 2:1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 (B) 와 점착 부여 수지 (C) 의 함유 비율이 이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저온시에 있어서도 우수한 점착력을 갖고, 또한 점착제 잔여물이 잘 생기지 않는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진다.
점착 부여 수지 (D) 는 연화점이 100 ∼ 140 ℃ 인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바람직하게는 110 ∼ 140 ℃ 인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이다. 점착 부여 수지 (D) 를 함유함으로써, 타이어의 트레드부와 같은 피착체에 대해서도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진다. 점착 부여 수지 (D) 의 구체예로는, 점착 부여 수지 (C) 의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로서 앞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 (D) 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 (D) 의 첨가량은, 전체 단량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3 ∼ 7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4 ∼ 6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 (D) 를 3 질량부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타이어의 트레드부와 같은 피착체에 대해서도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을 얻어지고, 7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도포 안정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 (B) 와 점착 부여 수지 (D) 의 함유 비율은 (점착 부여 수지 (B):점착 부여 수지 (D)) 의 질량비로 1:3 ∼ 3:1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 2:1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 (B) 와 점착 부여 수지 (D) 의 함유 비율이 이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저온시에 있어서도 우수한 점착력을 갖고, 또한 점착제 잔여물이 잘 생기지 않는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진다. 또한, 어느 점착 부여 수지에 있어서도, 수지 자체를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미리 유화시킨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방부제, 방미제, 증점제, 습윤제, 소포제, 가소제, pH 조정제, 안료,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 의 유화 중합 반응액에 첨가해도 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A) 를 제조할 때에 유화 중합계 내에 미리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i) 아크릴계 공중합체 (A) 를 유화 중합법에 의해 제조한 중합 반응액에, 유화된 점착 부여 수지 (B) 및 원하는 바에 따라 점착 부여 수지 (C) 또는 (D) 의 소정량을 혼합하여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ii) 아크릴계 공중합체 (A) 를 제조할 때에 유화 중합계 내에 미리 점착 부여 수지 (B) 및 원하는 바에 따라 점착 부여 수지 (C) 또는 (D) 를 존재시키고, 그대로 유화 중합을 실시함으로써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iii) 아크릴계 공중합체 (A) 를 제조할 때에 유화 중합계 내에 미리 점착 부여 수지 (C) 또는 (D) 를 존재하게 하여 유화 중합을 실시하고, 중합 반응 종료 후에, 유화된 점착 부여 수지 (B) 를 혼합하여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중합 반응을 제어할 수 있고, 또 점착 부여 수지 (B) 의 특성이 없어지는 경우도 없다는 점에서, 상기 (iii) 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은 충분한 응집력을 갖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저하시켜 조면에 대한 추종성을 높인 종래의 점착 시트와 달리, 점착 시트의 박리 후에 점착제 잔여물의 문제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 이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은, 저온시에 있어서도 우수한 점착력이 없어지지 않는다.
또, 라벨 가공시에 절단기의 커터나 인쇄기의 가이드 등에 점착제 조성물이 부착되어, 점착 시트 등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없다.
2) 재박리성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는 적어도 기재와 점착제층을 갖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본 발명의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피착체에 점착시킨 후, 피착체로부터 재박리 가능한 점착 시트이다.
[기재]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기재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합성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박리시에 있어서의 기재의 파괴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 또는 합성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필름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폴리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지로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와 충전제 및 첨가제를 용융 혼합 후, 압출하여 막형성된 내부에 보이드를 갖는 단층 또는 복층의 합성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기재는 금속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증착층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타이어의 성분인 아민계 노화 방지제나 방향족계 오일 등이, 점착제층을 통과하여 기재까지 이행되고, 그것이 원인이 되어, 기재 표면 (점착제층과 접하는 쪽의 반대면) 이 흑색화되는 경우가 있지만, 금속층을 존재시킴으로써 당해 성분의 이행을 방해하여 기재 표면의 흑색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금속층은 기재의 점착제층과 접하는 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표면에는, 인쇄층을 형성하기 쉽게 하기 위한 접착 용이층이나, 열 전사 기록이나 잉크 제트 기록 등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리층 (受理層) 을 형성해도 되고, 그들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오버코트 혹은 오버라미네이트를 실시해도 된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 150 ㎛ 가 바람직하고, 10 ∼ 12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10 ㎛ 미만이 되면, 취급이 곤란해지거나 첩부시에 주름이 생기거나 박리시에 기재가 파괴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150 ㎛ 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되는 것에 수반하여, 타이어 등의 조면에 대한 추종성이 저하되어, 재박리성 점착 시트가 떼어지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바람직한 기재의 두께는, 금속층, 접착 용이층, 수리층 등을 갖는 경우에는, 이들 층을 포함한 전체 두께이다.
[점착제층]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1 ∼ 50 ㎛, 바람직하게는 5 ∼ 40 ㎛ 이다. 점착제층의 두께를 1 ㎛ 이상으로 함으로써, 필요한 점착력 및 응집력 (유지력) 을 확보할 수 있고, 50 ㎛ 이하로 함으로써, 비용 상승을 방지함과 함께, 점착제층이 단부 (端部)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겔 분율은 40 ∼ 80 질량% 가 바람직하고, 50 ∼ 75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40 질량% 이상임으로써 충분한 응집력이 얻어지고, 80 질량% 이하임으로써 높은 점착력이 얻어진다.
상기 겔 분율은 점착제의 건조 피막의 아세트산에틸에 대한 불용해분의 비율을 나타내고, 후술하는 측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박리재]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의 편면은 박리재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박리재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질지, 글라신지, 라미네이트지 등의 종이 기재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등의 필름 기재를 들 수 있다.
박리재로는, 통상적으로, 상기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을 박리제로 박리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한다.
사용하는 박리제로는,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장사슬 알킬기 함유 카르바메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박리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10 ∼ 250 ㎛, 바람직하게는 20 ∼ 200 ㎛ 이다.
[재박리성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는 (i) 본 발명의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표면에 도포하고, 얻어진 도포막을 건조 후, 이 도포막 상에 박리재를 첩합 (貼合) 시키는 방법, 또는 (ii) 본 발명의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재 표면에 도포하고, 얻어진 도포막을 건조 후, 이 도포막 상에 기재를 첩합시키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기재 또는 박리재 표면에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코트법, 바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스핀 코트법, 롤 코트법, 다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커튼 코트법 등의 종래 공지된 도포 방법을 들 수 있다.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막을 건조시키는 온도는 통상적으로 80 ∼ 120 ℃ 정도, 바람직하게는 90 ∼ 110 ℃ 이고, 건조 시간은 통상적으로 30 초 내지 15 분, 바람직하게는 3 ∼ 7 분 정도이다.
본 발명의 재박리성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은 조면에 대해 높은 점착력을 갖는다. 따라서, 타이어 첩부용 재박리성 점착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특히 타이어의 트레드부 첩부용 재박리성 점착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특히, 이 점착 시트는, 저온 조건 하에서도 그 점착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겨울철이나 한랭지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층은 충분한 응집력을 갖기 때문에, 점착 시트를 박리한 후에 점착제 잔여물이 잘 생기지 않는다.
또한, 라벨 가공을 실시할 때, 절단기의 커터나 인쇄기의 가이드 등에 점착제 조성물이 부착되어, 점착 시트 등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없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시약은 다음과 같다.
ㆍ아크릴산2-에틸헥실: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제 1 표 중, 「2EHA」라고 나타낸다)
ㆍ아크릴산부틸: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제 1 표 중, 「BA」라고 나타낸다)
ㆍ아크릴산: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제 1 표 중, 「AA」라고 나타낸다)
ㆍ아크릴산메틸: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제 1 표 중, 「MA」라고 나타낸다)
ㆍ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다이셀ㆍ사이텍사 제조, 상품명 「PETIA」
ㆍ아니온계 계면 활성제:다이이치 공업 제약사 제조, 상품명 「뉴프론티어 A-229E」
ㆍ점착 부여 수지 (B)-1:하리마 화성사 제조, 상품명 「하리에스터 SK-816E」, 로진계 수지, 연화점 145 ℃
ㆍ점착 부여 수지 (B)-2: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수퍼에스테르 E-720」, 로진계 수지, 연화점 100 ℃
ㆍ점착 부여 수지 (C):야스하라 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마르카클리어 H」, 석유계 수지, 연화점 -23 ℃
ㆍ점착 부여 수지 (D)-1:야스하라 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YS 레진 PX1250」, 테르펜계 수지, 연화점 125 ℃
ㆍ점착 부여 수지 (D)-2:야스하라 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YS 레진 PX1000」, 테르펜계 수지, 연화점 100 ℃
(제조예 1 ∼ 5)
제 1 표에 기재된 질량부로 단량체를 혼합하여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 에서 얻은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 99.7 질량부에,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0.3 질량부, 점착 부여 수지 (C) 3 질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투입하고, 약 30 ℃ 로 유지하면서, 30 분간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어서, 아니온계 계면 활성제 0.6 질량부를 이온 교환수 57 질량부에 분산시킨 분산액을 약 30 ℃ 에서 첨가하고, 전체 용량을 30 분간 교반하여 단량체 혼합물 등을 함유하는 유화물을 조제하였다.
별도로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질소 도입관 및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탈이온수 40 질량부를 투입하고, 질소를 유입시키면서, 반응 용기 내의 온도를 80 ℃ 까지 승온시키고, 농도가 5 질량% 가 되도록 과황산칼륨을 주입하여 용해시켰다. 이 안에 상기 단량체 혼합물 등을 함유하는 유화물을 80 ∼ 83 ℃ 로 유지하면서 3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또, 유화물의 적하와 병행하여 농도 5 질량% 의 과황산칼륨 수용액을 적하하고, 반응 용기 내의 온도를 80 ∼ 83 ℃ 로 유지하면서 3 시간 교반하여 유화 중합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과황산칼륨 수용액의 적하 종료 후, 1 시간째 및 2 시간째에 각각 과황산칼륨 1 질량부씩 첨가하여 중합을 완결시키고, 동일 온도에서 3 시간 숙성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액에 25 질량%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pH 가 8.0 이 되도록 조정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 (A) 를 함유하는 에멀션을 얻었다.
상기 에멀션에 점착 부여 수지 (B)-1 을 5 질량부 첨가하여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1 을 얻었다.
(실시예 2 ∼ 5, 비교예 1 ∼ 5)
제 2 표에 기재된 원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2 ∼ 10 을 제조하였다.
[겔 분율의 측정]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1 ∼ 10 각각을 건조 후의 막두께가 0.3 ㎜ 가 되도록 유리판 상에 도포하고, 25 ℃ 에서 24 시간 건조시킨 후,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하고, 추가로 100 ℃ 에서 5 분간 건조시킨 것을 가로세로 50 ㎜ 로 잘라내어 시료로 하였다.
이어서, 상기 시료의 질량 (G1) 을 측정하고, 다음으로, 시료를 아세트산에틸 중에 상온에서 24 시간 침지시키고, 불용해분을 300 메시 철망을 사용해서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110 ℃ 에서 1 시간 건조시킨 후의 잔류물의 질량 (G2) 를 측정하고, 이하의 식에 따라 겔 분율을 산출하였다.
측정 결과를 제 2 표에 나타낸다.
[수학식 1]
겔 분율 = (G2/G1)×100
(실시예 6 ∼ 10, 비교예 6 ∼ 10)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5 에서 얻어진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1 ∼ 10 각각을, 폴리에틸렌을 라미네이트한 상질지의 편면에 박리 처리를 실시한 박리지 (린텍사 제조, 「SP-8EA 아이보리」) 상에, 건조 후에 30 ㎛ 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90 ℃ 에서 2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표면 기재로서 알루미늄 증착층을 구비한 백색 코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백색 코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 및 산화티탄을 함유함)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12 ㎛/알루미늄 증착층] 의 알루미늄 증착층과, 얻어진 점착제층을 첩합시켜 점착 시트 1 ∼ 10 을 얻었다.
(실시예 11)
표면 기재에 두께 60 ㎛ 의 2 축 연신 백색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 11 을 얻었다.
(실제 부착 평가 시험)
실시예 6 ∼ 11 및 비교예 6 ∼ 10 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 1 ∼ 11 로부터 5 ㎝×10 ㎝ 의 소편을 잘라내어 박리지를 박리한 후, 그것을 레이디얼 타이어 (브리지스톤사 제조, Playz) 에 대해 -10 ℃, 0 ℃, 23 ℃ (50 %RH) 및 40 ℃ 의 환경 하에서 각각 첩부하였다. 그대로 72 시간 각각 방치한 후, 타이어로부터 점착 시트를 손으로 떼어내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 박리 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 3 표에 나타낸다.
{박리 강도의 평가}
◎:충분한 접착 강도를 갖는다.
○:약간 접착 강도가 떨어지긴 하지만 실용상 문제없는 레벨이다.
△:접착 강도가 약하여 쉽게 떼어진다.
×:거의 접착 강도가 없다.
(비어져 나옴 평가 시험)
실시예 6 ∼ 11 및 비교예 6 ∼ 10 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 1 ∼ 11 로부터 10 ㎝×10 ㎝ 의 소편을 잘라내고, 추가로 점착제층과 기재를 1 ㎝×10 ㎝ 의 크기로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도 1 에 기재된 형상을 갖는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도 1 에 있어서, (a) 는 시험편을 위에서 본 도면이고, (b) 는 시험편을 옆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중, 1 은 박리 필름, 2 는 점착제층, 3 은 기재를 각각 나타낸다.
이 시험편을 40 ℃, 20 kN/60 ㎠ 의 압력 하에 24 시간 가만히 정지시키고, 이 때의 단부의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 3 표에 나타낸다.
{비어져 나옴의 평가}
◎:비어져 나온 것이 없다.
○:1 ㎜ 이하 비어져 나와 있다.
△:1 ㎜ 초과, 3 ㎜ 이하 비어져 나와 있다.
×:3 ㎜ 초과, 5 ㎜ 이하 비어져 나와 있다.
제 3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6 ∼ 11 의 점착 시트는 -10 ∼ +40 ℃ 까지의 폭넓은 온도 범위에서 박리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비어져 나옴 시험 결과도 양호하여, 비어져 나온 것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6 및 8 ∼ 10 의 점착 시트는 박리 강도가 떨어졌다. 또, 비교예 7 의 점착 시트는 고온시의 점착력이 떨어지고, 게다가 3 ㎜ 를 초과하여 비어져 나온 것이 관찰되었다.
1 : 박리 필름
2 : 점착제층
3 : 기재
2 : 점착제층
3 : 기재
Claims (7)
-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과, 다관능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에 대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70 ∼ 97 질량%, 메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1 ∼ 15 질량% 및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함유량이 0.1 ∼ 15 질량% 인 단관능 단량체 혼합물과,
다관능 단량체로서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를 유화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 그리고
연화점이 80 ∼ 170 ℃ 인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를 함유하는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로서,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의 첨가량이, 전체 단량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1 ∼ 9 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단량체의 함유량이 전체 단량체 혼합물에 대해 0.05 ∼ 0.5 질량% 인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연화점이 25 ℃ 이하인 점착 부여 수지 (C)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를 제외한다) 를 함유하는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로서,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와 연화점이 25 ℃ 이하인 점착 부여 수지 (C) 의 질량비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연화점이 25 ℃ 이하인 점착 부여 수지 (C)) 가 1:2 ∼ 3:1 인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연화점이 100 ∼ 140 ℃ 인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D) 를 함유하는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로서,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 와 연화점이 100 ∼ 140 ℃ 인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D) 의 질량비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B):연화점이 100 ∼ 140 ℃ 인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D)) 가 1:3 ∼ 3:1 인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 기재와 점착제층을 갖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성 점착 시트. - 제 5 항에 있어서,
타이어 첩부용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 - 제 5 항에 있어서,
타이어의 트레드부 첩부용인 재박리성 점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074232 | 2011-03-30 | ||
JP2011074232 | 2011-03-30 | ||
PCT/JP2012/057700 WO2012133273A1 (ja) | 2011-03-30 | 2012-03-26 | エマルション型粘着剤組成物及び再剥離性粘着シー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2686A KR20140012686A (ko) | 2014-02-03 |
KR101880419B1 true KR101880419B1 (ko) | 2018-07-20 |
Family
ID=4693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5113A KR101880419B1 (ko) | 2011-03-30 | 2012-03-26 |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및 재박리성 점착 시트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937571B2 (ko) |
KR (1) | KR101880419B1 (ko) |
CN (1) | CN103502377B (ko) |
WO (1) | WO20121332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89703A (ja) * | 2013-03-28 | 2014-10-06 | Lintec Corp | 粘着シート |
JP6450307B2 (ja) * | 2013-05-16 | 2019-01-09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物品固定用粘着テープ |
WO2015156259A1 (ja) * | 2014-04-07 | 2015-10-15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感圧接着性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感圧接着性積層シート |
CN105386366A (zh) * | 2014-08-21 | 2016-03-09 | 荒川化学工业株式会社 | 松香系乳液施胶剂和纸 |
JP6890931B2 (ja) * | 2016-05-31 | 2021-06-18 |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 ホットメルト組成物 |
JP6887766B2 (ja) * | 2016-07-19 | 2021-06-16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シート |
KR200483611Y1 (ko) | 2016-12-20 | 2017-06-07 | 황준우 | 기능성 등기구 |
KR102268081B1 (ko) | 2017-04-28 | 2021-06-2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양극,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양극의 제조 방법 |
WO2024062954A1 (ja) * | 2022-09-22 | 2024-03-28 | 株式会社レゾナック | 複合粒子、非水系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組成物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電極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7693A (ja) * | 1998-06-26 | 2000-01-11 | Lederle Japan Ltd | クロリン誘導体 |
JP2000319618A (ja) * | 1999-01-26 | 2000-11-21 | Oji Paper Co Ltd | 粘着シート |
KR20070097402A (ko) * | 2004-12-27 | 2007-10-04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타이어용 점착시트 |
JP2008007693A (ja) * | 2006-06-30 | 2008-01-17 | Arakawa Chem Ind Co Ltd | 粘着付与樹脂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水系粘・接着剤組成物 |
JP2008163127A (ja) * | 2006-12-27 | 2008-07-17 | Lintec Corp | 粘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製造方法、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
JP2016003127A (ja) * | 2014-06-19 | 2016-01-12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乗客コンベアの駆動装置、および当該駆動装置を有する乗客コンベア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26644A (en) * | 1993-02-05 | 1994-07-05 | Avery Dennison Corporation | Repulp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
JPH1171563A (ja) | 1998-06-17 | 1999-03-16 | Avery Dennison Corp | アクリル系乳化重合体を含んだ着脱可能な感圧接着剤組成物 |
JP4422240B2 (ja) | 1998-08-11 | 2010-02-24 | 中央理化工業株式会社 | アクリルエマルジョン型感圧接着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感圧接着剤製品 |
JP5530611B2 (ja) * | 2008-09-22 | 2014-06-25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ラベル形成用粘着シート |
JP5242331B2 (ja) * | 2008-10-16 | 2013-07-24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
JP2010280835A (ja) * | 2009-06-05 | 2010-12-16 | Nitto Denko Corp | 粘着シート |
JP5441504B2 (ja) * | 2009-06-05 | 2014-03-12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シート |
CN101974299B (zh) * | 2010-10-11 | 2012-07-04 | 新丰杰力电工材料有限公司 | 一种耐高温聚丙烯酸酯压敏胶乳液及其制法和应用 |
CN102344522B (zh) * | 2011-06-25 | 2013-07-17 | 百利合化工(中山)有限公司 | 一种环保型印花台板粘合剂乳液及其制备方法 |
-
2012
- 2012-03-26 JP JP2013507546A patent/JP5937571B2/ja active Active
- 2012-03-26 KR KR1020137025113A patent/KR10188041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3-26 CN CN201280016235.9A patent/CN103502377B/zh active Active
- 2012-03-26 WO PCT/JP2012/057700 patent/WO201213327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7693A (ja) * | 1998-06-26 | 2000-01-11 | Lederle Japan Ltd | クロリン誘導体 |
JP2000319618A (ja) * | 1999-01-26 | 2000-11-21 | Oji Paper Co Ltd | 粘着シート |
KR20070097402A (ko) * | 2004-12-27 | 2007-10-04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타이어용 점착시트 |
JP2008007693A (ja) * | 2006-06-30 | 2008-01-17 | Arakawa Chem Ind Co Ltd | 粘着付与樹脂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水系粘・接着剤組成物 |
JP2008163127A (ja) * | 2006-12-27 | 2008-07-17 | Lintec Corp | 粘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製造方法、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
JP2016003127A (ja) * | 2014-06-19 | 2016-01-12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乗客コンベアの駆動装置、および当該駆動装置を有する乗客コンベア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133273A1 (ja) | 2012-10-04 |
KR20140012686A (ko) | 2014-02-03 |
CN103502377B (zh) | 2016-03-30 |
CN103502377A (zh) | 2014-01-08 |
JP5937571B2 (ja) | 2016-06-22 |
JPWO2012133273A1 (ja) | 2014-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0419B1 (ko) |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및 재박리성 점착 시트 | |
KR101880420B1 (ko) |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및 재박리성 점착 시트 | |
EP0784650B1 (en) | Tackified emul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 |
KR100537089B1 (ko) | 아크릴계 공중합체,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 조성물,아크릴계 감압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아크릴계접착제 조성물 | |
KR20140016842A (ko) |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및 광학 필름 | |
JP6073575B2 (ja) |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 |
JP5217071B2 (ja) | 粘着剤組成物 | |
CN106715626B (zh) | 压敏粘合剂 | |
JP3953796B2 (ja) | 粘着付与樹脂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水系感圧性接着剤組成物 | |
KR20180129624A (ko) | 점착 시트 및 그 점착 시트에 이용되는 점착제 조성물 | |
JP5348929B2 (ja) | 炭酸カルシウムの含有紙を表面基材とする粘着シート用エマルジョン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 |
JP5231821B2 (ja) |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
JP2001279208A (ja) |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 |
JP2001131250A (ja) | アクリル系共重合体、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及びアクリル系接着剤組成物 | |
JPH1030078A (ja) | 接着性組成物及び塗工方法 | |
JP4665446B2 (ja) | 水性粘着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686083B2 (ja) | 光重合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
JP5561539B2 (ja) | 粘着テープ | |
EP2855539B1 (en) | Pressure-sensitive adhesives comprising low molecular weight acid-functional acrylic resi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
JP4161649B2 (ja) | 感熱性粘着剤組成物および感熱性粘着シート又はラベル | |
JP4433541B2 (ja) | アクリル系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アクリル系重合体組成物 | |
JP2001200235A (ja) | 感熱性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感熱性粘着シート又はラベル | |
JP4325951B2 (ja) | (メタ)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メタ)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 |
JP6204165B2 (ja) | 粘着シート | |
WO2024116498A1 (ja) | 半導体ウエハ加工用液状表面保護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