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513B1 -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513B1
KR101871513B1 KR1020120034854A KR20120034854A KR101871513B1 KR 101871513 B1 KR101871513 B1 KR 101871513B1 KR 1020120034854 A KR1020120034854 A KR 1020120034854A KR 20120034854 A KR20120034854 A KR 20120034854A KR 101871513 B1 KR101871513 B1 KR 101871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electrode
region
touch
sl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006A (ko
Inventor
코지 이시자키
코지 노구치
마사노부 이케다
야스유키 마츠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2012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검출 전극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을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은 병설된 복수의 표시 요소를 포함하는 표시층과, 제 1의 방향에 따라서 제 1의 영역과 제 2의 영역으로 교대로 구분됨과 함께, 제 2의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병설된 복수의 제 1의 슬릿과, 상기 제 2의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제 1의 슬릿 사이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제 2의 슬릿을 갖는 전극층을 구비한 다.

Description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전자 기기{DISPLAY PANEL WITH TOUCH DETECTOR, TOUCH PANEL, AND ELECTRONIC UNIT}
본 발명은,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거하여 외부 근접 물체에 의한 터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이른바 터치 패널이라고 불리는 접촉 검출 장치를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상에 장착하고, 또는 터치 패널과 표시 장치를 일체화하고, 그 표시 장치에 각종의 버튼 화상 등을 표시시킴에 의해, 통상의 기계식 버튼의 대용으로서 정보 입력을 가능하게 한 표시 패널이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을 갖는 표시 패널은, 키보드나 마우스, 키패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 외에,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 정보 단말 등에서도, 사용이 확대하는 경향에 있다.
터치 패널의 방식으로서는, 광학식이나 저항식 등 몇 가지의 방식이 존재하지만,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또한 저소비 전력을 실현할 수 있는, 정전용량식의 터치 패널이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복수의 대향 전극(구동 전극)과, 이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검출 전극(터치 검출 전극)을 구비하고, 그들의 교차부에 형성된 정전용량이 외부 근접 물체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터치 검출 전극을, 화소의 배치 피치의 자연수배(自然數倍)의 피치로 배치함에 의해, 그 터치 검출 전극이 보이기 어렵게 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개2010-197576호 공보
이와 같은 터치 패널에서는, 이 터치 검출 전극이 거의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 터치 검출 전극을 보이기 어렵게 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터치 검출 전극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은, 표시층과 전극층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층은, 병설된 복수의 표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전극층은, 제 1의 방향에 따라서 제 1의 영역과 제 2의 영역으로 교대로 구분됨과 함께, 제 2의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병설된 복수의 제 1의 슬릿과, 제 2의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제 1의 슬릿 사이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제 2의 슬릿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은, 전극층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전극층은, 제 1의 방향에 따라서 제 1의 영역과 제 2의 영역으로 교대로 구분됨과 함께, 제 2의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병설된 복수의 제 1의 슬릿과, 제 2의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제 1의 슬릿 사이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제 2의 슬릿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텔레비전 장치, 디지털 카메라, 퍼스널 컴퓨터, 비디오 카메라 또는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 장치 등이 해당한다.
본 발명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전자 기기에서는, 전극층의 제 1의 영역 및 제 2의 영역에서, 제 2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제 1의 슬릿이 병설된다. 그리고, 제 2의 영역에서, 인접하는 제 1의 슬릿은, 제 2의 슬릿에 의해 연통된다.
본 발명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전자 기기에 의하면, 전극층의 제 1의 영역 및 제 2의 영역에서, 제 1의 슬릿을 병설함과 함께, 제 2의 영역에서, 인접하는 제 1의 슬릿을, 제 2의 슬릿에 의해 연통하였기 때문에, 터치 검출 전극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에서의 터치 검출 방식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손가락이 접촉 또는 근접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에서의 터치 검출 방식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손가락이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에서의 터치 검출 방식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구동 신호 및 터치 검출 신호의 파형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의 개략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도 4에 도시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에서의 화소 배열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에서의 구동 전극 및 터치 검출 전극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터치 검출 전극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 및 더미 전극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C는 도 9에 도시한 각 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 및 더미 전극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다른 변형례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 및 더미 전극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의 A 내지 도 13의 C는 도 12에 도시한 각 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 및 더미 전극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 및 더미 전극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다른 변형례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 및 더미 전극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은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 및 더미 전극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의 A 및 도 18의 B는 도 17에 도시한 각 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 및 더미 전극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제 4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 및 더미 전극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의 A 내지 도 21의 B는 도 20에 도시한 각 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제 5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 및 더미 전극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3은 제 5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 및 더미 전극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실시의 형태를 적용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중, 적용례 1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5의 A 및 도 25의 B는 적용례 2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6은 적용례 3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7은 적용례 4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8의 A 내지 도 28의 G는 적용례 5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측면도, 상면도 및 하면도.
도 29는 변형례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의 개략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정전용량식 터치 검출의 기본 원리
2. 제 1의 실시의 형태
3. 제 2의 실시의 형태
4. 제 3의 실시의 형태
5. 제 4의 실시의 형태
6. 제 5의 실시의 형태
7. 적용례
[1.정전용량식 터치 검출의 기본 원리]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장치에서의 터치 검출의 기본 원리에 관해 설명한다. 이 터치 검출 방식은, 정전용량식의 터치 센서로서 구현화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체(D)를 끼우고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전극(구동 전극(E1) 및 터치 검출 전극(E2))을 이용하여, 용량 소자를 구성한다. 이 구조는, 도 1의 (B)에 도시한 등가 회로로서 도시된다. 구동 전극(E1), 터치 검출 전극(E2) 및 유전체(D)에 의해, 용량 소자(C1)가 구성된다. 용량 소자(C1)는, 그 일단이 교류 신호원(구동 신호원)(S)에 접속되고, 타단(P)은 저항기(R)를 통하여 접지됨과 함께, 전압 검출기(터치 검출부)(DET)에 접속된다. 교류 신호원(S)으로부터 구동 전극(E1)(용량 소자(C1)의 일단)에 소정의 주파수(예를 들면 수kHz 내지 수십kHz 정도)의 교류 구형파(Sg)(도 3(B))를 인가하면, 터치 검출 전극(E2)(용량 소자(C1)의 타단(P))에,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출력 파형(터치 검출 신호(Vdet))가 나타난다. 그리고, 이 교류 구형파(Sg)는, 후술하는 구동 신호(Vcom)에 상당하는 것이다.
손가락이 접촉(또는 근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량 소자(C1)에 대한 충방전에 수반하여, 용량 소자(C1)의 용량치에 응한 전류(I0)가 흐른다. 이때의 용량 소자(C1)의 타단(P)의 전위 파형은, 예를 들면 도 3의 (A)의 파형(V0)과 같이 되고, 이것이 전압 검출기(DET)에 의해 검출된다.
한편, 손가락이 접촉(또는 근접)한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에 의해 형성되는 용량 소자(C2)가 용량 소자(C1)에 직렬로 추가된 형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용량 소자(C1, C2)에 대한 충방전에 수반하여, 각각 전류(I1, I2)가 흐른다. 이 때의 용량 소자(C1)의 타단(P)의 전위 파형은, 예를 들면 도 3(A)의 파형(V1)과 같이 되고, 이것이 전압 검출기(DET)에 의해 검출된다. 이 때, 점(P)의 전위는, 용량 소자(C1, C2)를 흐르는 전류(I1, I2)의 값에 의해 정해지는 분압 전위가 된다. 이 때문에, 파형(V1)은, 비접촉 상태에서의 파형(V0)보다도 작은 값이 된다. 전압 검출기(DET)는, 검출한 전압을 소정의 임계치 전압(Vth)과 비교하고, 이 임계치 전압 이상이면 비접촉 상태라고 판단하는 한편, 임계치 전압 미만이면 접촉 상태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터치 검출이 가능해진다.
[2. 제 1의 실시의 형태]
[구성례]
(전체 구성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장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 장치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해 구현화되기 때문에, 아울러서 설명한다. 이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로서 액정 표시 소자를 이용하고 있고, 그 액정 표시 소자에 의해 구성되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와 정전용량식의 터치 검출 디바이스를 일체화한, 이른바 인-셀 타입의 장치이다.
이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장치(1)는, 제어부(11)과, 게이트 드라이버(12)와, 소스 드라이버(13)와, 구동 전극 드라이버(14)와,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와, 터치 검출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1)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영상 신호(Vdisp)에 의거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 소스 드라이버(13), 구동 전극 드라이버(14) 및 터치 검출부(40)에 대해 각각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이들이 서로 동기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회로이다.
게이트 드라이버(12)는, 제어부(1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의 표시 구동의 대상이 되는 1수평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게이트 드라이버(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사 신호(Vscan)를, 주사 신호선(GCL)을 통하여, 화소(Pix)의 TFT 소자(Tr)의 게이트에 인가함에 의해,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의 액정 표시 디바이스(20)에 매트릭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화소(Pix)중의 1행(1수평라인)을 표시 구동의 대상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소스 드라이버(13)는, 제어부(1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의 각 화소(Pix)(후술)에 화소 신호(Vpix)를 공급하는 회로이다. 구체적으로는, 소스 드라이버(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소 신호(Vpix)를, 화소 신호선(SGL)을 통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1수평라인을 구성하는 각 화소(Pix)에 각각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화소(Pix)에서는, 공급되는 화소 신호(Vpix)에 응하여, 1수평라인의 표시가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구동 전극 드라이버(14)는, 제어부(1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의 구동 전극(COML)(후술)에 구동 신호(Vcom)를 공급하는 회로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전극 드라이버(14)는, 구동 전극(COML)에 대해, 구동 신호(Vcom)를 시분할적으로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그리고, 터치 검출 디바이스(30)는, 복수의 터치 검출 전극(TDL)(후술)으로부터, 그 구동 신호(Vcom)에 의거한 터치 검출 신호(Vdet)를 출력하고, 터치 검출부(40)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는, 터치 검출 기능을 내장한 표시 디바이스이다.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20)와, 터치 검출 디바이스(30)를 갖는다. 액정 표시 디바이스(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12)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신호(Vscan)에 따라, 1수평라인씩 순차적으로 주사하여 표시를 행하는 디바이스이다. 터치 검출 디바이스(30)는, 상술한 정전용량식 터치 검출의 기본 원리에 의거하여 동작하고, 터치 검출 신호(Vdet)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 터치 검출 디바이스(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전극 드라이버(14)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Vcom)에 따라 순차적으로 주사를 행하여, 터치 검출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터치 검출부(40)는, 제어부(1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와,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의 터치 검출 디바이스(30)로부터 공급되는 터치 검출 신호(Vdet)에 의거하여, 터치 검출 디바이스(30)에 대한 터치의 유무를 검출하고, 터치가 있는 경우에 터치 검출 영역에서의 그 좌표 등을 구하여, 출력 신호(Out)로서 출력하는 회로이다.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
다음에,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의 구성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의 주요부 단면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는, 화소 기판(2)과, 이 화소 기판(2)에 대향하여 배치된 대향 기판(3)과, 화소 기판(2)과 대향 기판(3)의 사이에 삽설된 액정층(6)을 구비하고 있다.
화소 기판(2)은, 회로 기판으로서의 TFT 기판(21)과, 구동 전극(COML)과, 화소 전극(22)을 갖고 있다. TFT 기판(21)은, 각종 전극이나 배선, 박막 트랜지스터(TFT ; Thin Film Transistor) 등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으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유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 TFT 기판(21)의 위에는, 구동 전극(COML)이 형성된다. 구동 전극(COML)은, 복수의 화소(Pix)(후술)에 공통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극이다. 이 구동 전극(COML)은, 액정 표시 동작을 위한 공통 구동 전극으로서 기능함과 함께, 터치 검출 동작을 위한 구동 전극으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다. 또한, 이 예에서는 구동 전극을 표시와 터치 검출에서 공용하도록 하였지만, 별체로 하여 각각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구동 전극(COML)의 위에는 절연층(23)이 형성되고, 그 위에 화소 전극(22)이 형성된다. 화소 전극(22)은, 표시를 행하기 위한 화소 신호가 공급되는 전극이고, 투광성을 갖는 것이다. 구동 전극(COML) 및 화소 전극(22)은,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에 의해 구성된다.
대향 기판(3)은, 유리 기판(31)과, 컬러 필터(32)와, 터치 검출 전극(TDL)을 갖고 있다. 컬러 필터(32)는, 유리 기판(31)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컬러 필터(32)는, 예를 들면 적(R), 녹(G), 청(B)의 3색의 컬러 필터층을 주기적으로 배열하여 구성한 것으로, 각 표시 화소에 R, G, B의 3색이 1조(組)로서 대응지여져 있다. 또한, 컬러 필터(32)는, RGB의 3색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다른 색의 컬러 필터층을 포함하여 구성하여도 좋고, 2색 이하 또는 4색 이상의 컬러 필터층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유리 기판(31)의 다른 쪽의 면에는, 투광층(33)이 형성되고, 그 위에 터치 검출 디바이스(30)의 검출 전극인 터치 검출 전극(TDL)이 복수 병설되어 있다. 이들의 터치 검출 전극(TDL)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터치 검출 전극(TDL)을 보이기 어렵게 하기 위한 더미 전극(37)이 마련되어 있다. 터치 검출 전극(TDL) 및 더미 전극(37)은, 예를 들면 ITO, IZO, SnO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고, 투광성이 있는 전극이다. 투광층(33)은, 예를 들면 SiN, SiC 등 절연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고, 투광층(33)의 굴절율은, 시감도(視感度)가 높은 파장 550nm 부근에서, 유리 기판(31)의 굴절율(예를 들면 1.5 정도)과 터치 검출 전극(TDL)의 굴절율(예를 들면 1.8 정도) 사이의 값(예를 들면 SiN에서는 1.75 정도, SiC에서는 1.6 정도)으로 되어 있다. 이 투광층(33)은, 유리 기판(31)과 터치 검출 전극(TDL)의 사이에서 반사를 저감하기 위한 인덱스 매칭층으로서 마련되는 것이다. 이 터치 검출 전극(TDL)의 위에는, 편광판(35)이 배설되고, 그 위에는 커버 유리(3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투광층(33)을 마련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투광층(33)을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액정층(6)은, 표시 기능층으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전계의 상태에 응하여 그곳을 통과하는 광을 변조하는 것이다. 이 전계는, 구동 전극(COML)의 전압과 화소 전극(22)의 전압의 전위차에 의해 형성된다. 액정층(6)에는, FFS(Fringe Field Switching)나 IPS(In-Plane Switching) 등의 횡전계 모드의 액정이 사용된다.
또한, 액정층(6)과 화소 기판(2)과의 사이 및 액정층(6)과 대향 기판(3)과의 사이에는, 각각 배향막이 마련되고, 또한, 화소 기판(2)의 하면측에는 입사측 편광판이 배치되지만, 여기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편광판(35) 및 이 입사측 편광판(도시 생략)은, 원편광판 또는 타원편광판이 사용된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20)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의 A는 회로도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화소 배열을 나타낸다. 액정 표시 디바이스(20)는,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한 복수의 화소(Pix)를 갖고 있다. 각 화소(Pix)는, 3개의 서브 화소(SPix)에 의해 구성된다. 이 3개의 서브 화소(SPix)는, 도 5에 도시한 컬러 필터(32)의 3색(RGB)에 각각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서브 화소(SPix)는, TFT 소자(Tr) 및 액정 소자(LC)를 갖고 있다. TFT 소자(Tr)는,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고, 이 예에서는, n채널의 MOS(Metal Oxide Semiconductor)형의 TFT로 구성되어 있다. TFT 소자(Tr)의 소스는 화소 신호선(SGL)에 접속되고, 게이트는 주사 신호선(GCL)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액정 소자(LC)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액정 소자(LC)는, 일단이 TFT 소자(Tr)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타단이 구동 전극(COML)에 접속되어 있다.
서브 화소(SPix)는, 주사 신호선(GCL)에 의해, 액정 표시 디바이스(20)의 같은 행에 속하는 다른 서브 화소(SPix)와 서로 접속되어 있다. 주사 신호선(GCL)은, 게이트 드라이버(12)와 접속되고, 게이트 드라이버(12)로부터 주사 신호(Vscan)가 공급된다. 또한, 서브 화소(SPix)는, 화소 신호선(SGL)에 의해, 액정 표시 디바이스(20)의 같은 열에 속하는 다른 서브 화소(SPix)와 서로 접속되어 있다. 화소 신호선(SGL)은, 소스 드라이버(13)와 접속되고, 소스 드라이버(13)로부터 화소 신호(Vpix)가 공급된다.
화소 신호선(SGL) 및 주사 신호선(GCL)은,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기판(2)에서, 서로 인접하는 서브 화소(SPix)의 사이의 경계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소 신호선(SGL)은, 횡방향(x방향)으로 인접하는 서브 화소(SPix)의 사이의 경계에 배치되고, 주사 신호선(GCL)은, 종방향(y방향)으로 인접하는 서브 화소(SPix)의 사이의 경계에 배치되어 있다. 화소 신호선(SGL) 및 주사 신호선(GCL)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몰리브덴, 티탄 등의 단층 또는 다층막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화소 신호선(SGL) 및 주사 신호선(GCL)의 부분에서는 광이 통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서브 화소(SPix)는, 구동 전극(COML)에 의해, 액정 표시 디바이스(20)의 같은 행에 속하는 다른 서브 화소(SPix)와 서로 접속되어 있다. 구동 전극(COML)은, 구동 전극 드라이버(14)와 접속되고, 구동 전극 드라이버(14)로부터 구동 신호(Vcom)가 공급된다.
이 구성에 의해, 액정 표시 디바이스(20)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12)가 주사 신호선(GCL)을 시분할적으로 선순차 주사하도록 구동함에 의해, 1수평라인이 순차적으로 선택되고, 그 1수평라인에 속하는 화소(Pix)에 대해, 소스 드라이버(13)가 화소 신호(Vpix)를 공급함에 의해, 1수평라인씩 표시가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터치 검출 디바이스(30)의 한 구성례를 사시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다. 터치 검출 디바이스(30)는, 화소 기판(2)에 마련된 구동 전극(COML) 및 대향 기판(3)에 마련된 터치 검출 전극(TDL)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동 전극(COML)은,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재되는 복수의 스트라이프형상의 전극 패턴으로 분할되어 있다. 터치 검출 동작을 행할 때는, 각 전극 패턴에는, 구동 전극 드라이버(14)에 의해 구동 신호(Vcom)가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시분할적으로 순차적으로 주사 구동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터치 검출 전극(TDL)은, 구동 전극(COML)의 전극 패턴의 연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전극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터치 검출 전극(TDL)의 각 전극 패턴은, 터치 검출부(40)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구동 전극(COML)과 터치 검출 전극(TDL)에 의해 서로 교차하는 전극 패턴은, 그 교차 부분에 정전용량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터치 검출 디바이스(30)에서는, 구동 전극 드라이버(14)가 구동 전극(COML)에 대해 구동 신호(Vcom)를 인가함에 의해, 터치 검출 전극(TDL)으로부터 터치 검출 신호(Vdet)를 출력하고, 터치 검출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즉, 구동 전극(COML)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터치 검출의 기본 원리에서의 구동 전극(E1)에 대응하고, 터치 검출 전극(TDL)은, 터치 검출 전극(E2)에 대응하는 것이고, 터치 검출 디바이스(30)는 이 기본 원리에 따라 터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한 전극 패턴은,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를 매트릭스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터치 검출 디바이스(30)의 터치 검출면 전체에 걸쳐서 주사함에 의해, 외부 근접 물체의 접촉 또는 근접이 생긴 위치의 검출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은, 터치 검출 전극(TDL)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8에서, 터치 검출 전극(TDL)(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은, 표시 영역(Sd)을 종단하여 y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표시 영역(Sd)의 외측의 액자 영역(Sf)으로부터, 예를 들면 배선 등을 통하여 터치 검출부(40)에 접속되어 있다. 터치 검출 전극(TDL)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개구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의 영역 및 인접하는 터치 검출 전극(TDL) 사이의 영역에는, 더미 전극 영역(RD)이 마련되고, 더미 전극(37)(후술)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 및 더미 전극 영역(RD)에서는, 각 화소(Pix)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가 같게 되어 있다.
도 9는,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 및 더미 전극 영역(RD)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부분(P)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서는, 도 9에서 종방향(y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릿(SL)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전극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복수의 전극 패턴은, 도 8에 도시한 액자 영역(Sf)에서 묶여져서, 1개의 터치 검출 전극(TDL)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슬릿(SL)은,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마찬가지로, 더미 전극 영역(RD)에도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슬릿(SL)은, 도 9의 횡방향(x방향)에서 소정수(이 예에서는 3개)의 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되어 있다. 이 슬릿(SL)의 피치는, 인간의 눈으로 인식할 수 없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미 전극 영역(RD)에는, 도 9에서 횡방향으로 늘어나고, 인접하는 슬릿(SL)을 서로 접속하는 슬릿(SLD)도 마련되어 있다. 이 슬릿(SLD)은, 화소 기판(2)에서 주사 신호선(GCL)이 형성된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즉, 이 슬릿(SLD)은, 광을 통과시키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슬릿(SLD)은, 도 9의 종방향에서 소정수(이 예에서는 8개)의 화소(Pix)(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되어 있다. 이 슬릿(SLD)의 피치는, 슬릿(SL)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눈으로 인식할 수 없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더미 전극 영역(RD)에는, 슬릿(SL, SLD)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더미 전극(37)이 형성된다. 더미 전극(37)의 각각은, 전기적으로 다른 부분과 접속되어 있지 않고, 플로팅 상태로 되어 있다.
슬릿(SL)은, 이 예에서는, 화소(Pix)중의, 청색(B)의 서브 화소(SPix)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은, 터치 검출 전극(TDL) 및 더미 전극(37)에서 광투과율이, 적(R), 녹(G), 청(B)중, 청(B)에서 가장 낮은 것에 대응하고 있다. 즉, 슬릿(SL)을 청색(B)의 서브 화소(SPix)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함에 의해, 청색의 광의 강도가 이들의 전극에서 저하되고, 백색의 색도가 황변화(黃變化)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서브 화소(SPix)는, 본 개시에서의 "표시 요소"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액정층(6)은, 본 개시에서의 "표시층"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은, 본 개시에서의 "제 1의 영역"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더미 전극 영역(RD)은, 본 개시에서의 "제 2의 영역"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슬릿(SL)은, 본 개시에서의 "제 1의 슬릿"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슬릿(SLD)은, 본 개시에서의 "제 2의 슬릿"」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주사 신호선(GCL)은, 본 개시에서의 "신호 배선"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작용 및 효과]
계속해서, 본 실시의 형태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전체 동작 개요)
제어부(11)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영상 신호(Vdisp)에 의거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 소스 드라이버(13), 구동 전극 드라이버(14), 및 터치 검출부(40)에 대해 각각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이들이 서로 동기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20)에 주사 신호(Vscan)를 공급하고, 표시 구동의 대상이 되는 1수평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소스 드라이버(13)는, 게이트 드라이버(12)에 의해 선택된 1수평라인을 구성하는 각 화소(Pix)에, 화소 신호(Vpix)를 공급한다. 구동 전극 드라이버(14)는, 구동 전극(COML)에 대해 구동 신호(Vcom)를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는, 표시 동작을 행함과 함께, 구동 신호(Vcom)에 의거하여 터치 검출 동작을 행하여, 터치 검출 전극(TDL)으로부터 터치 검출 신호(Vdet)를 출력한다. 터치 검출부(40)는, 터치 검출 디바이스(30)에 대한 터치의 유무 및 터치 좌표를 구하고, 그 결과를 출력 신호(Out)로서 출력한다.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에서는,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화소(Pix)에서의 광을 통과시키는 영역(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가 같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서 광의 투과량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광의 투과량이 동등하게 되기 때문에, 터치 검출 전극(TDL)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하에, 그 상세를 설명한다.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C는,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0의 A는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서의 전극 배치를 나타내고, 도 10의 B 및 도 10의 C는 더미 전극 영역(RD)에서의 전극 배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0의 B는, 도 9에 도시한 화소(PixD)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를 나타내고, 도 10의 C는, 화소(PixD2)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를 나타낸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 관한 화소(PixT)에서의 전극 배치와, 더미 전극 영역(RD)에 관한 화소(PixD)에서의 전극 배치는, 같다. 이에 의해, 화소(PixT)의 유효 화소 영역(주사 신호선(GCL) 및 화소 신호선(SGL)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와, 화소(PixD)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는 같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화소(PixT)의 유효 화소 영역중, 적색(R) 및 녹색(G)에 관한 서브 화소(SPix)의 영역에는, 그 영역 전체를 덮도록 전극(터치 검출 전극(TDL))이 마련되고, 청색(B)에 관한 서브 화소(SPix)의 영역에는, 그 영역의 일부에 전극(터치 검출 전극(TDL))이 마련되어 있다(도 10의 A의 사선부). 마찬가지로, 화소(PixD)의 유효 화소 영역중, 적색(R) 및 녹색(G)에 관한 서브 화소(SPix)의 영역에는, 그 영역 전체를 덮도록 전극(더미 전극(37))이 마련되고, 청색(B)에 관한 서브 화소(SPix)의 영역에는, 그 영역의 일부에 전극(더미 전극(37))이 마련되어 있다(도 10의 B의 사선부).
한편,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미 전극 영역(RD)에 관한 화소(PixD2)에서의 전극 배치(도 10의 C)는, 화소(PixT)에 관한 전극 배치(도 10의 A) 및 화소(PixD)에 관한 전극 배치(도 10의 B)와 약간 다르다. 그러나, 화소(PixD2)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는, 화소(PixT, PixD)의 것과 같다. 즉, 화소(PixD2)의 유효 화소 영역중, 적색(R) 및 녹색(G)에 관한 서브 화소(SPix)의 영역에는, 그 영역 전체를 덮도록 전극(더미 전극(37))이 마련되고, 청색(B)에 관한 서브 화소(SPix)의 영역에는, 그 영역의 일부에 전극(더미 전극(37))이 마련되어 있다(도 10의 C의 사선부).
이와 같이,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에서는,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 패턴이 같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의 액정 표시 디바이스(20)에서, 예를 들면, 각 화소(Pix)가 같은 색의 표시를 행함에 의해, 화면 한 면에 걸쳐서 균일한 표시가 행하여진 경우에도,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서의 광의 투과량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의 광의 투과량이 동등하게 되기 때문에, 터치 검출 전극(TDL)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검출 전극(TDL)과 컬러 필터(31)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기 때문에, 관찰자가 표시 화면을 정면에서 본 경우에는, 슬릿(SL)이 청색(B)의 서브 화소(SPix)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도, 관찰자가 비스듬한 방향에서 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슬릿(SL)이 녹색(G)의 서브 화소(SPix)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고, 색도(色度) 어긋남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에서는, 화소(PixT, PixD, PixD2)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 패턴이 같기 때문에,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이 색도 어긋남도 같게 되기 때문에, 터치 검출 전극(TDL)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에서는,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슬릿(SLD)을, 도 9의 종방향(y방향)에서 8개의 화소(Pix)(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더미 전극 영역(RD)에서의 전극 배치 패턴은,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각 화소(Pix)마다 슬릿(SLD)을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횡방향(x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릿이 마련되지 않은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서의 전극 배치 패턴와 보다 닮은 것이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입사한 광이 이들의 전극에서 반사된 경우에도, 더미 전극 영역(RD)과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서 전극 배치 패턴이 비슷하기 때문에,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의 터치 검출 전극(TDL)이 보여져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터치 검출 전극 영역과 더미 전극 영역에서, 각 화소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율을 동등하게 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영역에서의 광의 투과량이 동등하게 되기 때문에, 터치 검출 전극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터치 검출 전극 영역과 더미 전극 영역에서, 각 화소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 패턴을 같게게 하였기 때문에, 같은 색의 서브 화소에서 광의 투과량이 서로 동등하게 되기 때문에, 터치 검출 전극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더미 전극 영역에서, 슬릿(SLD)을 복수의 화소마다 마련하였기 때문에, 터치 검출 전극 영역과 더미 전극 영역에서 전극 배치 패턴이 서로 닮은 것으로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입사한 광이 이들의 전극에서 반사된 경우에도, 터치 검출 전극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변형례 1-1]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릿(SL)을 3개의 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고, 슬릿(SLD)을 8개의 화소(Pix)(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슬릿(SL)을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여도 좋고, 슬릿(SLD)을 7개 이하 또는 9개 이상의 화소(Pix)(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여도 좋다. 도 11에, 슬릿(SL)을 각 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함과 함께, 슬릿(SLD)을 4개의 화소(Pix)(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터치 검출 전극(TDL)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변형례 1-2]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서브 화소(SPix)를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사변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도 13의 A 내지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PixT)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도 13의 A의 사선부)는, 화소(PixD, PixD2)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도 13의 B 및 도 13의 C의 사선부)와 같게 되기 때문에,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터치 검출 전극(TDL)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3. 제 2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도, 슬릿(SL)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릿을 마련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 및 더미 전극 영역(RD)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주사 신호선(GCL)을 굵게 그리고 있다.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는, 도 14에서 횡방향(x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릿(SLT)을 갖고 있다. 이 슬릿(SLT)은, 더미 전극 영역(RD)에 마련된 슬릿(SLD)과 마찬가지로, 주사 신호선(GCL)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이 예에서는, 슬릿(SLT, SLD)은, 도 14의 종방향(y방향)에서 각 화소(Pix)(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되어 있다. 슬릿(SLT)은, 슬릿(SL)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릿(SLT)의 길이는, 도 14의 횡방향에서의 화소(Pix)의 폭과 같고, 슬릿(SLT)의 폭은, 슬릿(SLD)의 폭과 같다. 인접하는 슬릿(SL)에 관한 슬릿(SLT)은, 도 14의 종방향에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슬릿(SLT)은, 본 개시에서의 "제 3의 슬릿"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이 구성에 의해,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에서는,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과 마찬가지로,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각 화소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를 같게 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영역에서의 광의 투과량이 동등하게 되기 때문에, 터치 검출 전극(TDL2)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에서는,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 슬릿(SLT)을 마련함에 의해,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단위 면적당의 전극 배치율을 같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전극 배치 패턴을 서로 닮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에서는,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도 14의 종방향(y방향)으로 병설된 화소(Pix)(서브 화소(SPix))마다 슬릿(SLD)을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서도, 도 14의 종방향으로 병설된 화소(Pix)(서브 화소(SPix))마다 슬릿(SLT)을 형성함에 의해,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도시하 바와 같은,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 슬릿(SLT)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전극 배치 패턴을 서로 닮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에서는,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입사한 광이 이들의 전극에서 반사된 경우에도, 터치 검출 전극(TDL2)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은, 더미 전극 영역(RD)의 슬릿(SLD)을 적게 함에 의해,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 슬릿(SLT)을 마련하지 않아도,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서로 닮은 전극 배치 패턴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은,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서도, 더미 전극 영역(RD)의 슬릿(SLD)과 마찬가지로 슬릿(SLT)을 마련함에 의해,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단위 면적당의 전극 배치율을 같게 함과 함께, 서로 닮은 전극 배치 패턴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슬릿(SLD)이 많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 마찬가지로 슬릿(SLT)을 마련함에 의해, 터치 검출 전극(TDL2)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터치 검출 전극 영역에 슬릿(SLT)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더미 전극 영역에서 슬릿(SLD)이 많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터치 검출 전극 영역과 더미 전극 영역에서, 단위 면적당의 전극 배치율 같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전극 배치 패턴을 서로 닮은 것으로 할 수가 있어서, 터치 검출 전극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효과는,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변형례 2-1]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릿(SL)을 3개의 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슬릿(SL)을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여도 좋다. 도 15는, 슬릿(SL)을 각 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한 경우에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터치 검출 전극(TDL2A)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변형례 2-2]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릿(SLD, SLT)을 각 화소(Pix)(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슬릿(SLD, SLT)을 2개 이상의 화소(Pix)(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여도 좋다. 도 16은, 슬릿(SLD, SLT)을 2개의 화소(Pix)(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터치 검출 전극(TDL2B)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례]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서브 화소(SPix)를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1-2와 마찬가지로, 각 서브 화소(SPix)를 평행사변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4. 제 3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30)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에서, 더미 전극 영역(RD)의 슬릿(SLD)을,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의 슬릿(SLT)과 마찬가지로, 엇갈리게 배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30)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 및 더미 전극 영역(RD)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도 1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주사 신호선(GCL)을 굵게 그리고 있다.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30)에서는,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도 17의 횡방향(x방향)으로 인접하는 슬릿(SLD)이,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서 슬릿(SLT)과 마찬가지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30)에서는,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의 경우에 비하여,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전극 배치 패턴을 서로에 보다 닮은 것으로 할 수가 있어서,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입사한 광이 이들의 전극에서 반사된 경우에도, 터치 검출 전극(TDL2)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더미 전극 영역의 슬릿(SLD)을, 터치 검출 전극 영역의 슬릿(SLT)과 마찬가지로 엇갈리게 배치하였기 때문에, 터치 검출 전극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효과는,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변형례 3-1]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릿(SLT, SLD)은, 모두 주사 신호선(GCL)이 형성된 영역에서 엇갈리게 마련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주사 신호선(GCL)이 형성된 영역을 끼우고 엇갈리게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PixT)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 패턴(도 18의 A의 사선부)은, 화소(PixD)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 패턴(도 18의 B의 사선부)과는 약간 다른 것이지만, 각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율은 같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터치 검출 전극(TDL2)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변형례 3-2]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릿(SL)을 3개의 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슬릿(SL)을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여도 좋다. 도 19는, 슬릿(SL)을 각 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한 경우에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터치 검출 전극(TDL2A)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례]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서브 화소(SPix)를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1-2와 마찬가지로, 각 서브 화소(SPix)를 평행사변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5. 제 4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제 4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40)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에서,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의 슬릿(SLT) 및 더미 전극 영역(RD)의 슬릿(SLD)의 연신 방향을 기울여서 배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은,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40)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 및 더미 전극 영역(RD)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40)에서는, 각 서브 화소(SPix)를 평행사변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그에 응하여,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의 슬릿(SLT) 및 더미 전극 영역(RD)의 슬릿(SLD)은, 주사 신호선(GCL)이 형성된 영역에서, 그 연신 방향을 기울여서 마련되어 있다.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에서, 인접하는 슬릿(SL)에 관한 슬릿(SLT)은,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경우(도 17)와는 달리, 도 20의 종방향의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40)에서는,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전극 배치 패턴을 서로 닮은 것으로 할 수가 있어서,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입사한 광이 이들의 전극에서 반사된 경우에도, 터치 검출 전극(TDL4)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릿(SLT, SLD)을 경사 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엇갈리게 형성하는 일 없이, 터치 검출 전극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효과는,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변형례 4-1]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릿(SLT, SLD)은, 모두 주사 신호선(GCL)이 형성된 영역에 마련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주사 신호선(GCL)이 형성된 영역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21의 A 및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PixT)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 패턴(도 21의 A의 사선부)은, 화소(PixD)의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 패턴(도 21의 B의 사선부)과 약간 다른 것이지만, 각 유효 화소 영역에서의 전극 배치율은 거의 같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 4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터치 검출 전극(TDL4)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례]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릿(SL)을 3개의 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슬릿(SL)을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릿(SLD, SLT)을 각 화소(Pix)(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슬릿(SLD, SLT)을 2개 이상의 화소(Pix)(서브 화소(SPix))마다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서브 화소(SPix)를 평행사변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 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6. 제 5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제 5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50)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에서,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의 슬릿(SLT)을 엇갈리게 배치하는 대신에, 굵게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50)에 관한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 및 더미 전극 영역(RD)에서의 전극 배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의 슬릿(SLT)은, 그 길이가 도 22의 횡방향(x방향)에서의 화소(Pix)의 폭보다도 짧게 형성됨과 함께, 그 폭이 더미 전극 영역(RD)의 슬릿(SLD)에 비하여 굵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단위 면적당의 전극 배치률을 같게 할 수 있다. 인접하는 슬릿(SL)에 관한 슬릿(SLT)은, 도 22의 종방향(y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150)에서는,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전극 배치 패턴을 서로 닮은 것으로 할 수가 있어서,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입사한 광이 이들의 전극에서 반사된 경우에도, 터치 검출 전극(TDL5)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릿(SLT)을 굵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엇갈리게 형성하는 일 없이, 터치 검출 전극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효과는,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변형례 5-1]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릿(SLT)은, 슬릿(SL)으로부터 좌우로 늘어나도록 형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SL)과 분리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터치 검출 전극 영역(RT)과 더미 전극 영역(RD)에서, 전극 배치 패턴을 서로 닮은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5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터치 검출 전극(TDL5A)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7. 적용례]
다음에, 도 24 내지 도 28의 G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의 형태 및 변형례에서 설명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의 적용례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의 형태 등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은, 텔레비전 장치, 디지털 카메라,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 장치 또는 비디오 카메라 등의 모든 분야의 전자 기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환언하면, 상기 실시의 형태 등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또는 내부에서 생성한 영상 신호를, 화상 또는 영상으로서 표시하는 모든 분야의 전자 기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례 1)
도 24는, 상기 실시의 형태 등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이 적용되는 텔레비전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텔레비전 장치는, 예를 들면, 프런트 패널(511) 및 필터 유리(512)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화면부(510)를 갖고 있고, 이 영상 표시 화면부(510)는, 상기 실시의 형태 등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적용례 2)
도 25의 A 및 도 25의 B는, 상기 실시의 형태 등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이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디지털 카메라는, 예를 들면, 플래시용의 발광부(521), 표시부(522), 메뉴 스위치(523) 및 셔터 버튼(524)을 갖고 있고, 그 표시부(522)는, 상기 실시의 형태 등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적용례 3)
도 26은, 상기 실시의 형태 등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이 적용되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는, 예를 들면, 본체(531), 문자 등의 입력 조작을 위한 키보드(532) 및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533)를 갖고 있고, 그 표시부(533)는, 상기 실시의 형태 등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적용례 4)
도 27은, 상기 실시의 형태 등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이 적용되는 비디오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비디오 카메라는, 예를 들면, 본체부(541), 이 본체부(541)의 전방 측면에 마련된 피사체 촬영용의 렌즈(542), 촬영시의 스타트/스톱 스위치(543) 및 표시부(544)를 갖고 있다. 그리고, 그 표시부(544)는, 상기 실시의 형태 등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적용례 5)
도 28의 A 내지 도 28의 G는, 상기 실시의 형태 등의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이 적용되는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휴대 전화기는, 예를 들면, 상측 몸체(710)와 하측 몸체(720)를 연결부(힌지부)(730)로 연결한 것이고, 디스플레이(740), 서브 디스플레이(750), 픽처 라이트(760) 및 카메라(770)를 갖고 있다. 그 디스플레이(740)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750)는, 상기 실시의 형태 등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의 형태 및 변형례, 및 전자 기기에의 적용례를 들어 본 기술을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이들의 실시의 형태 등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의 형태 등에서는, TFT 기판(21)의 위에 구동 전극(COML)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절연막(23)을 통하여 화소 전극(22)을 형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TFT 기판(21)의 위에 화소 전극(22)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절연막(23)을 통하여 구동 전극(COML)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의 형태 등에서는, FFS나 IPS 등의 횡전계 모드의 액정을 이용한 액정 표시 디바이스와 터치 검출 디바이스를 일체화하였지만, 이에 대신하여, TN(트위스트 네마틱), VA(수직 배향), ECB(전계 제어 복굴절) 등의 각종 모드의 액정을 이용한 액정 표시 디바이스와 터치 검출 디바이스를 일체화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액정을 이용한 경우에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를,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 가능하다. 도 29는, 본 변형례에 관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10B)의 주요부 단면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화소 기판(2B)과 대향 기판(3B)과의 사이에 액정층(6B)을 협지(挾持)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 밖의 각 부분의 명칭이나 기능 등은 도 5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예에서는, 도 5의 경우와는 달리, 표시용과 터치 검출용의 쌍방에 겸용되는 구동 전극(COML)은, 대향 기판(3B)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와 정전용량식의 터치 검출 디바이스를 일체화한 이른바 인-셀 타입으로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액정 표시 디바이스의 표면에 정전용량식의 터치 검출 디바이스를 형성한, 이른바 온-셀 타입이라도 좋고, 정전용량식의 터치 검출 디바이스를 표시 디바이스와는 별체로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표시 소자는 액정 소자로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EL(Electro Luminescence) 소자라도 좋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1) 병설된 복수의 표시 요소를 포함하는 표시층과,
제 1의 방향에 따라서 제 1의 영역과 제 2의 영역으로 교대로 구분됨과 함께, 제 2의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병설된 복수의 제 1의 슬릿과, 상기 제 2의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제 1의 슬릿 사이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제 2의 슬릿을 갖는 전극층을 구비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2) 상기 제 2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표시 요소 사이에서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신호 배선을 복수 갖는 배선층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슬릿은, 상기 신호 배선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패널.
(3) 상기 제 2의 슬릿은, 소정수의 상기 신호 배선마다 마련되어 있는 상기 (2)에 기재된 표시 패널.
(4) 상기 전극층은, 상기 제 1의 영역에서, 한 쌍의 인접하는 제 1의 슬릿 사이를 연통시키지 않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 3의 슬릿을 갖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표시 패널.
(5) 상기 제 2의 슬릿 및 상기 제 3의 슬릿은, 모두 같은 상기 신호 배선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4)에 기재된 표시 패널.
(6)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 3의 슬릿은, 상기 제 2의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표시 패널.
(7)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 2의 슬릿은, 상기 제 2의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6)에 기재된 표시 패널.
(8)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 2의 슬릿은, 상기 제 2의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6)에 기재된 표시 패널.
(9) 상기 제 2의 슬릿 및 상기 제 3의 슬릿은,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연신하고,
상기 제 2의 슬릿의 폭과 상기 제 3의 슬릿의 폭은, 서로와 동등한 상기 (6)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패널.
(10)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 3의 슬릿은, 상기 제 2의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 2의 슬릿은, 상기 제 2의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표시 패널.
(11) 상기 제 2의 슬릿 및 상기 제 3의 슬릿은, 상기 제 1의 방향과는 다른 제 3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표시 패널.
(12) 상기 제 2의 슬릿 및 상기 제 3의 슬릿은,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연신하고,
상기 제 3의 슬릿의 폭은, 상기 제 2의 슬릿의 폭보다도 굵은 상기 (10)에 기재된 표시 패널.
(13) 상기 제 1의 슬릿은, 상기 제 1의 방향에서 소정수의 상기 표시 요소마다 마련된 상기 (1) 내지 (12)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14) 상기 표시 요소는, 적색 표시 요소, 녹색 표시 요소 및 청색 표시 요소를 포함하는 표시 화소를 구성하고,
상기 제 1의 슬릿은, 상기 청색 표시 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13)에 기재된 표시 패널.
(15) 상기 전극층은, 상기 제 1의 슬릿 및 상기 제 2의 슬릿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더미 전극을 가지며,
각 더미 전극은,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인 상기 (1) 내지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패널.
(16) 상기 제 2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되는 구동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제 1의 영역에서, 상기 제 1의 슬릿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전극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검출 전극을 가지며,
상기 검출 전극과 상기 구동 전극과의 교차 부분에는 정전용량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패널.
(17) 상기 표시 요소는,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 및 상기 구동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고, 또는 상기 구동 전극을 끼우고 상기 액정층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16)에 기재된 표시 패널.
(18) 상기 표시 요소는,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을 끼우고 상기 구동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16)에 기재된 표시 패널.
(19) 제 1의 방향에 따라서 제 1의 영역과 제 2의 영역으로 교대로 구분됨과 함께, 제 2의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병설된 복수의 제 1의 슬릿과, 상기 제 2의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제 1의 슬릿 사이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제 2의 슬릿을 갖는 전극층을 구비한 터치 패널.
(20)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과,
상기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을 이용한 동작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은,
병설된 복수의 표시 요소를 포함하는 표시층과,
제 1의 방향에 따라서 제 1의 영역과 제 2의 영역으로 교대로 구분됨과 함께, 제 2의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병설된 복수의 제 1의 슬릿과, 상기 제 2의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제 1의 슬릿 사이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제 2의 슬릿을 갖는 전극층을 갖는 전자 기기.
본 발명은 공개된 일본 특허청에 2011년 4월 22일에 출원되어 우선권 주장된 일본 특허 출원 JP2011-96021과 관계된 주제를 포함하며, 이는 참조로서 전체 내용에 포함된다.
다양한 수정, 조합, 하위 조합 및 변경은 관련 기술분야의 기술자의 설계의 요구 및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 범위 내에 있는 다른 요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1, 120, 130, 140, 150 :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2 : 화소 기판
3 : 대향 기판
6 : 액정층
10 :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디바이스
11 : 제어부
12 : 게이트 드라이버
13 : 소스 드라이버
14 : 구동 전극 드라이버
20 : 액정 표시 디바이스
21 : TFT 기판
22 : 화소 전극
23 : 절연층
30 : 터치 검출 디바이스
31 : 유리 기판
32 : 컬러 필터
33 : 투광층
35 : 편광판
36 : 커버 유리
37 : 더미 전극
40 : 터치 검출부
COML : 구동 전극
GCL : 주사 신호선
LC : 액정 소자
Out : 출력 신호
Pix, PixD, PixD2, PixT : 화소
RD : 더미 전극 영역
RT : 터치 검출 전극 영역
SL, SLD, SLT : 슬릿
SGL : 화소 신호선
SPix : 서브 화소
TDL, TDL2, TDL2A, TDL2B, TDL4, TDL5, TDL5A : 터치 검출 전극
Tr : TFT 소자
Vcom : 구동 신호
Vdet : 터치 검출 신호
Vdisp : 영상 신호
VPix : 화소 신호
Vscan : 주사 신호

Claims (20)

  1. 병설된 복수의 표시 요소를 포함하는 표시층과,
    제1의 방향에 따라 제1의 영역과 제2의 영역으로 교대로 구분됨과 함께, 제2의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병설된 복수의 제1의 슬릿과, 상기 제2의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제1의 슬릿 사이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제2의 슬릿을 갖는 전극층과,
    상기 제2의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표시 요소 사이에서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신호 배선을 복수 갖는 배선층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제1의 영역에서, 인접하는 제1의 슬릿 사이를 연통시키지 않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3의 슬릿을 가지며,
    상기 제2의 슬릿 및 상기 제3의 슬릿은, 함께 같은 상기 신호 배선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1의 영역에서, 상기 제1의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3의 슬릿은, 상기 신호 배선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제2의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슬릿은, 복수의 상기 신호 배선마다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역에서, 상기 제1의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2의 슬릿은, 상기 신호 배선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제2의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역에서, 상기 제1의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2의 슬릿은, 상기 신호 배선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제2의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슬릿 및 상기 제3의 슬릿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연신하고,
    상기 제2의 슬릿의 폭과 상기 제3의 슬릿의 폭은, 서로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6. 병설된 복수의 표시 요소를 포함하는 표시층과,
    제1의 방향에 따라 제1의 영역과 제2의 영역으로 교대로 구분됨과 함께, 제2의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병설된 복수의 제1의 슬릿과, 상기 제2의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제1의 슬릿 사이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제2의 슬릿을 갖는 전극층과,
    상기 제2의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표시 요소 사이에서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신호 배선을 복수 갖는 배선층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제1의 영역에서, 인접하는 제1의 슬릿 사이를 연통시키지 않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3의 슬릿을 가지며,
    상기 제2의 슬릿 및 상기 제3의 슬릿은, 함께 같은 상기 신호 배선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1의 영역에서, 상기 제1의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3의 슬릿은, 상기 신호 배선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제2의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의 영역에서, 상기 제1의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2의 슬릿은, 상기 신호 배선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제2의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의 슬릿 및 상기 제3의 슬릿은, 상기 제1의 방향과는 다른 제3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7. 병설된 복수의 표시 요소를 포함하는 표시층과,
    제1의 방향에 따라 제1의 영역과 제2의 영역으로 교대로 구분됨과 함께, 제2의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병설된 복수의 제1의 슬릿과, 상기 제2의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제1의 슬릿 사이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제2의 슬릿을 갖는 전극층과,
    상기 제2의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표시 요소 사이에서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신호 배선을 복수 갖는 배선층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제1의 영역에서, 인접하는 제1의 슬릿 사이를 연통시키지 않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3의 슬릿을 가지며,
    상기 제2의 슬릿 및 상기 제3의 슬릿은, 함께 같은 상기 신호 배선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1의 영역에서, 상기 제1의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3의 슬릿은, 상기 신호 배선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제2의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의 영역에서, 상기 제1의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2의 슬릿은, 상기 신호 배선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제2의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의 슬릿 및 상기 제3의 슬릿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연신하고,
    상기 제3의 슬릿의 폭은, 상기 제2의 슬릿의 폭보다도 굵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8.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슬릿은, 상기 제1의 방향에서의 소정 수의 상기 표시 요소마다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요소는, 적색 표시 요소, 녹색 표시 요소, 및 청색 표시 요소를 포함하는 표시 화소를 구성하고,
    상기 제1의 슬릿은, 상기 청색 표시 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10.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상기 제2의 영역에서, 상기 제1의 슬릿 및 상기 제2의 슬릿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더미 전극을 가지며,
    각 더미 전극은, 전기적에 플로팅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11.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구동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제1의 영역에서, 상기 제1의 슬릿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전극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검출 전극을 가지며,
    상기 검출 전극과 상기 구동 전극과의 교차 부분에는 정전용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요소는,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 및 상기 구동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고, 또는 상기 구동 전극을 끼우고 상기 액정층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요소는,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을 끼우고 상기 구동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034854A 2011-04-22 2012-04-04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전자 기기 KR101871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6021 2011-04-22
JP2011096021A JP5659073B2 (ja) 2011-04-22 2011-04-22 タッチ検出器付き表示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006A KR20120120006A (ko) 2012-11-01
KR101871513B1 true KR101871513B1 (ko) 2018-06-26

Family

ID=4702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854A KR101871513B1 (ko) 2011-04-22 2012-04-04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8) US9036094B2 (ko)
JP (1) JP5659073B2 (ko)
KR (1) KR101871513B1 (ko)
CN (2) CN102750031B (ko)
TW (1) TWI5647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6051B2 (ja) * 2009-04-20 2013-12-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情報入力装置、表示装置
WO2011075608A2 (en) 2009-12-18 2011-06-23 Synaptics Incorporated Transcapacitive sensor devices with ohmic seams
JP5659073B2 (ja) * 2011-04-22 2015-01-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器付き表示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US9075481B2 (en) * 2012-09-10 2015-07-07 Apple Inc. ESD detection on a touch input device
KR101533815B1 (ko) * 2012-11-15 2015-07-09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센서
JP5778119B2 (ja) * 2012-11-30 2015-09-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40080038A (ko) 2012-12-20 2014-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5826165B2 (ja) * 2012-12-28 2015-12-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8890853B2 (en) 2013-01-11 2014-11-1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n-pixel ultrasonic touch sensor for display applications
JP6193757B2 (ja) * 2013-02-22 2017-09-06 三菱製紙株式会社 光透過性電極
JP6131071B2 (ja) * 2013-03-14 2017-05-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内蔵型表示装置
KR102011434B1 (ko) * 2013-03-20 2019-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JP5865285B2 (ja) 2013-03-27 2016-02-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4191660A (ja) * 2013-03-27 2014-10-06 Japan Display Inc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865287B2 (ja) * 2013-03-29 2016-02-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5953258B2 (ja) 2013-03-29 2016-07-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5914403B2 (ja) 2013-03-29 2016-05-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9298300B2 (en) * 2013-05-01 2016-03-29 Apple Inc. Displays with integrated touch and improved image pixel aperture
JP6131123B2 (ja) * 2013-06-25 2017-05-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JP6266263B2 (ja) * 2013-08-09 2018-01-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1641690B1 (ko) * 2013-09-25 2016-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WO2015059995A1 (ja) 2013-10-22 2015-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付き表示装置
US9626048B2 (en) 2014-01-13 2017-04-18 Himax Technologies Limited Touch screen and related touch sensing control circuit
JP6165270B2 (ja) 2014-01-15 2017-07-19 シャープ株式会社 位置入力装置及び表示装置
US20160313828A1 (en) * 2014-01-16 2016-10-27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Optically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US9465471B2 (en) * 2014-01-24 2016-10-11 Innolux Corporation Transparent electrode layer,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9952691B2 (en) * 2014-05-09 2018-04-24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15232819A (ja) * 2014-06-10 2015-12-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付き表示装置
US20170139503A1 (en) * 2014-06-12 2017-05-18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Optically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JP6393529B2 (ja) * 2014-06-18 2018-09-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1449947B1 (ko) * 2014-07-08 2014-10-16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노드 시인성을 개선시킨 터치 센서를 포함한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KR101655410B1 (ko) * 2014-08-26 2016-09-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방식 액정표시장치
US20160062499A1 (en) * 2014-09-02 2016-03-03 Apple Inc. Touch pixel design for reducing visual artifacts
KR101522622B1 (ko) * 2014-10-30 2015-06-25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331205B (zh) * 2014-11-25 2018-10-3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04461209B (zh) * 2015-01-09 2017-12-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KR102318028B1 (ko) * 2015-03-13 2021-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타이저 회로 패터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6489900B2 (ja) * 2015-03-30 2019-03-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入力装置及び表示装置
CN108919541A (zh) * 2015-05-08 2018-11-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阵列基板、液晶显示面板和液晶显示装置
US10108039B2 (en) 2015-05-08 2018-10-23 Xiamen Tianma Micro-Electronics Co., Ltd. Touch array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498765B2 (ja) * 2015-06-24 2019-04-10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CN105404041B (zh) * 2015-12-31 2018-10-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母板及其制造和检测方法以及显示面板母板
WO2017125834A1 (en) * 2016-01-18 2017-07-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put/output device and data processor
CN106020527B (zh) * 2016-05-05 2019-0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极结构及其制作方法、触摸面板和触摸显示装置
JP2017220159A (ja) 2016-06-10 2017-12-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検出装置
US10572080B2 (en) * 2016-06-13 2020-02-25 Samsung Display Co., Ltd. Optical touch film,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5930018B (zh) * 2016-07-01 2018-10-2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06249947B (zh) * 2016-07-22 2019-04-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板及显示装置
JP6658427B2 (ja) * 2016-09-27 2020-03-04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静電容量式タッチスイッチ装置
TWI616791B (zh) * 2017-04-11 2018-03-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與應用於顯示裝置的補償方法
US10718981B2 (en) * 2017-06-09 2020-07-21 Vastview Technology Inc. LCD device with self-compensated electrode patterns
US10845902B2 (en) * 2018-03-30 2020-11-24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sensor for display
JP2019185174A (ja) * 2018-04-03 2019-10-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検出装置
US10990229B2 (en) 2018-08-03 2021-04-27 Apple Inc. Rectangular touch node design for metal mesh on-cell technology
WO2020166882A1 (ko) * 2019-02-14 2020-08-20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US11366558B2 (en) 2019-07-26 2022-06-21 Apple Inc. Metal mesh touch electrodes with visibility mitigations
US11243626B2 (en) * 2020-06-23 2022-02-08 Solomon Systech (Shenzhen) Limited Integrated display system circuitry and a method for driving thereof
TWI759036B (zh) * 2020-12-25 2022-03-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面板
US11592755B2 (en) * 2021-03-31 2023-02-28 Kla Corporation Enhancing performance of overlay metrology
CN116820270B (zh) * 2023-08-30 2023-11-21 长沙惠科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探测单元的封装结构和显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7576A (ja) 2009-02-24 2010-09-09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4818A (ja) * 1992-02-10 1993-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装置
CN101821704B (zh) * 2007-11-29 2013-03-27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WO2009125531A1 (ja) * 2008-04-10 2009-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4720857B2 (ja) * 2008-06-18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JP5216495B2 (ja) * 2008-09-16 2013-06-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接触検出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5484891B2 (ja) * 2009-03-04 2014-05-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9024886B2 (en) * 2009-04-14 2015-05-05 Japan Display Inc. Touch-panel device
JP5486854B2 (ja) * 2009-06-29 2014-05-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情報入力装置、表示装置
US9626045B1 (en) * 2010-09-27 2017-04-18 Atmel Corporation Position-sensing panel and related methods
JP5659073B2 (ja) * 2011-04-22 2015-01-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器付き表示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7576A (ja) 2009-02-24 2010-09-09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96696A1 (en) 2021-04-01
CN102750031B (zh) 2017-03-01
TWI564758B (zh) 2017-01-01
US10698511B2 (en) 2020-06-30
US9626022B2 (en) 2017-04-18
US20220334680A1 (en) 2022-10-20
JP2012226687A (ja) 2012-11-15
US20200285329A1 (en) 2020-09-10
US20150227228A1 (en) 2015-08-13
CN107092382B (zh) 2020-03-31
US9036094B2 (en) 2015-05-19
US11893193B2 (en) 2024-02-06
US11409399B2 (en) 2022-08-09
KR20120120006A (ko) 2012-11-01
US20180364828A1 (en) 2018-12-20
US10088932B2 (en) 2018-10-02
JP5659073B2 (ja) 2015-01-28
CN102750031A (zh) 2012-10-24
US20120268418A1 (en) 2012-10-25
US20170177132A1 (en) 2017-06-22
CN107092382A (zh) 2017-08-25
TW201250545A (en) 2012-12-16
US10895923B2 (en) 2021-01-19
US20240118778A1 (en)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5923B2 (en) Display panel with touch detector, touch panel, and electronic unit
US10386984B2 (en) Display unit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US10365745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touch detection device, and electronic unit
JP5826165B2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20032409A (ko) 터치 검출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5818932B2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