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439B1 - 적층형 전자부품 - Google Patents

적층형 전자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439B1
KR101866439B1 KR1020130039401A KR20130039401A KR101866439B1 KR 101866439 B1 KR101866439 B1 KR 101866439B1 KR 1020130039401 A KR1020130039401 A KR 1020130039401A KR 20130039401 A KR20130039401 A KR 20130039401A KR 101866439 B1 KR101866439 B1 KR 10186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terial
conductive pattern
material layer
magnetic
electron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024A (ko
Inventor
유타카 노구치
마코토 야마모토
사토루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11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33Printed inductances with the coil helically wound around a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01F3/14Constrictions; Gaps, e.g. air-gaps

Abstract

적층형 전자부품은, 복수의 자기 재료 층; 복수의 전도성 패턴; 상기 복수의 자기 재료 층과 상기 복수의 전도성 패턴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는 적층된 계층 본체; 상기 자기 재료 층 간에 상기 전도성 패턴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적층된 계층 본체에 형성되는 코일; 및 상기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갭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 갭은 Ni와 Cu의 화합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적층형 전자부품{LAMINATED-TYPE ELECTRONIC COMPONENT}
본 출원은 2012년 4월 13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No. 2012-91657 및 2012년 11월 30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No. 2012-262071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상기 문헌들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되어 포함된다.
본 발명은 자기 재료 층 및 전도성 패턴이 적층되어 있는 적층형 전자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자기 재료 층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패턴은 연결되어, 적층된 계층 본체(laminated layer body) 내에 코일을 형성하고, 이 적층 계층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갭도 형성된다.
종래의 적층형 전자부품 중 하나는 자기 재료 층과 전도성 패턴을 적층하고, 자기 재료 층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패턴을 나선형으로 연결하여 그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코일을 형성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유형의 적층형 전자부품이 큰 전류가 흐르는 전원공급회로나 DC-DC 컨버터 회로 등에서 점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적층형 전자부품은 소형화 및 큰 DC 중첩 허용 전류값을 가지는 것이 요망된다. DC 중첩 허용 전류값을 높이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패턴의 선 폭을 증가시켜 코일의 DC 저항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자기 재료 층 및 전도성 패턴 61A 내지 61E를 적층시켜 적층 계층 본체를 형성하고,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자기 갭(62)을 형성하여 적층 계층 본체에서 사용되는 자기 재료의 자기 포화를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일본특허공개공보 No. 02-165607).
니켈 기반 페라이트의 자기 재료 층을 가지는 이러한 종래의 적층형 전자부품에서는, 자기 재료 층과 자기 갭 간의 바람직한 접합을 확보하기 위해, 자기 갭에 아연 기반 또는 구리-아연 기반 페라이트가 사용된다. 적층형 전자부품에서는, 자기 재료 층의 요소 및 자기 갭의 요소는 적층 계층 본체를 소성하는 동안 상호 확산되며, 자기 재료 층과 자기 갭 간의 접합에는 요소의 조성(composition)이 반대인 페라이트 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페라이트 층에는 조성이 불균일하고 자기 특성이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니켈 페라이트는 자기 재료 층에서 자기 갭 쪽으로 확산하며, 이에 의해 아연 페라이트와 소량의 니켈 페라이트의 혼합 조성을 형성한다. 이러한 조성은 실내온도(25℃) 근처에서 큐리 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높아지면, 그 자기 특성을 급속하게 잃어버린다.
그러므로 종래의 적층형 전자부품에서는, 온도가 큐리 점보다 높거나 같으면 자기 재료 층과 자기 갭 간의 경계면에서 그 자기 특성을 잃어버린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적층형 전자부품은 부정적인 온도 속성을 가지며, 이로 인해 코일의 온도 특성의 저하와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원공급회로 또는 DC/DC 컨버터 회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적층형 전자부품은 높은 온도를 가지는 사용 환경에 배치되며, 그 코일은 큰 전류가 코일에 흐르므로 열을 발생하며, 이에 따라 적층형 전자부품은 동작 동안 온도 변화가 크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적층형 전자부품에서는, 온도의 상승으로 인해 인덕턴스 값의 갑작스런 저하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 갭을 SiO2와 산화물의 혼합 재료를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고려되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솔루션은 자기 갭에 사용되는 SiO2가 자기 재료 층에 배치되면, 자기 재료 층에 포함되어 있는 페라이트의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부정적인 온도 특성을 자기 재료 층의 페라이트의 온도 특성으로 상쇄하는 솔루션을 사용해 볼 수 있다. 유감스럽게도, 이 솔루션도 인덕턴스 값의 변화 범위가 자기 재료 층과 자기 갭 간의 경계 영역에 따라 달라, 구조 설계상의 유연성이 낮거나, 그 구조에 따라 온도 특성이 다른 페라이트를 제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특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큰 DC 중첩 허용 전류 값을 획득할 수 있는 소형의 적층형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층형 전자부품을 제공하며, 상기 적층형 전자부품은, 복수의 자기 재료 층 및 복수의 전도성 패턴; 상기 복수의 자기 재료 층과 상기 복수의 전도성 패턴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는 적층된 계층 본체; 상기 자기 재료 층 간에 상기 전도성 패턴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적층된 계층 본체에 형성되는 코일; 및 상기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갭을 포함하며, 이러한 적층형 전자부품에서, 자기 갭은 Ni와 Cu의 화합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은, 복수의 자기 재료 층; 복수의 전도성 패턴; 상기 복수의 자기 재료 층과 상기 복수의 전도성 패턴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는 적층된 계층 본체; 상기 자기 재료 층 간에 상기 전도성 패턴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적층된 계층 본체에 형성되는 코일; 및 상기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갭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 갭은 Ni와 Cu의 화합물로 형성되며, 따라서, 적층형 전자부품을 소형화하여도 온도 특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DC 중첩 허용 전류 값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특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3 실시예에 대한 특성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적층형 전자부품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은 Ni를 함유하는 페라이트로 형성된 자기 재료 층과 전도체로 이루어진 전도성 패턴이 적층되어 적층된 계층 본체를 형성하며, 자기 재료 층 간에 배치된 전도성 패턴은 나선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코일을 형성한다. Ni와 Cu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되 Zn을 함유하지 않는 자기 갭이 상기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은 자기 갭 내에 Zn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실내온도 근처에서 큐리 점을 가지는 조성이 자기 재료 층과 자기 갭 간의 경계에서 생기지 않으며, 이에 의해 온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층된 계층 본체는 자기 속성이 온도에 따라 상당히 변하는 부분을 가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구조 설계와 제품의 속성 간의 상관관계가 더 좋게 되어, 설계상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의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1A 내지 11E는 전도성 패턴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12A 및 12B는 자기 갭을 나타낸다.
자기 재료 층은 Ni-Cu-Zn 기반의 페라이트로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은 페이스트 형태의 은, 은 기반, 금, 금 기반 또는 백금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전도성 페이스트로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11A)은 비자기 재료 층(12A)의 표면 위에 형성되고, 비자기 재료 층(12A)은 자기 재료 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자기 갭을 구성한다. 전도성 패턴(11A)의 한 단부는 자기 재료 층의 단부 표면으로 연장한다.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 층(12A)은 Ni와 Cu의 화합물로 형성되고 자기 재료 층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11B)은 전도성 패턴(11A) 위에 적층되어 있는 자기 재료 층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11B)의 한 단부는 전도성 패턴(11A)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도성 패턴(11C)은 전도성 패턴(11B) 위에 적층되어 있는 자기 재료 층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11C)의 한 단부는 전도성 패턴(11B)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도성 패턴(11D)은 전도성 패턴(11C) 위에 적층되어 있는 자기 재료 층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11D)의 한 단부는 전도성 패턴(11C)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도성 패턴(11E)은 전도성 패턴(11D) 위에 적층되어 있는 자기 재료 층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11E)의 한 단부는 전도성 패턴(11D)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도성 패턴(11E)의 다른 단부는 자기 재료 층의 단부 표면으로 연장한다. 또한, 자기 재료 층은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 층(12B)을 통해 전도성 패턴(11E) 위에 적층된다.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 층(12B)은 Ni와 Cu의 화합물로 형성되고 자기 재료 층보다 크기 작게 형성된다.
이 방법에서, 자기 재료 층과 전도성 패턴(11A 내지 11E)이 적층되고, 자기 재료 층 간의 전도성 패턴(11A 내지 11E)은 나선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코일을 형성하며,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는 자기 갭도 형성된다. 이 적층된 계층 본체의 단부 표면에 외부 단자가 형성되고, 적층된 계층 본체의 단부 표면으로 연장하는 전도성 패턴이 외부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에서, 자기 재료 층은 NiO: 19 mol%, ZnO: 25 mol%, CuO: 9 mol%, 및 Fe2O3: 47 mol%를 함유하는 Ni-Cu-Zn 기반의 페라이트로 형성되었고, 자기 갭은 8:2 비율의 Ni와 Cu의 화합물로 형성되었으며, 그 결과, 도 2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에 대한 인덕턴스의 값의 변화율은 거의 0으로 되었다.
구체적으로, 자기 재료 층이 NiO: 19 mol%, ZnO: 25 mol%, CuO: 9 mol%, 및 Fe2O3: 47 mol%를 함유하는 Ni-Cu-Zn 기반의 페라이트로 형성되고, 자기 갭은 Cu-Zn 기반의 페라이트로 형성된 종래의 적층형 전자부품은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에 대한 인덕턴스의 변화율이 최대 8%이므로, 이러한 종래의 전자부품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전자부품은 온도 특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 구성부품에서는, 자기 갭에 사용되는 Ni와 Cu의 비는 다양하게 변하고; 그 결과, Ni의 비가 1 이하인 자기 갭과 접촉하는 전도성 패턴에서 개방 회로가 생성되며; 대조적으로, 900℃의 온도에서 소성된 후 Ni의 비가 9 이상인 자기 갭에서는 소결(sintering)이 생기지 않는다.
2:8, 5:5, 8:2의 다양한 Ni 내지 Cu의 비를 사용하는 적층된 계층 본체는 각각 1MHz에서 118, 119, 및 120의 투자율을 획득하였다. 적층형 계층 본체의 투자율의 증가에 기여하는 Ni의 비가 증가하면,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형성된 코일의 인덕턴스 값이 증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 자기 재료 층은 Ni-Cu-Zn 기반의 페라이트로 형성된다. 자기 재료 층은 Ni-Cu-Zn 기반의 페라이트로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은 페이스트 형태의 은, 은 기반, 금, 금 기반 또는 백금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전도성 페이스트로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31A)은 자기 재료 층의 표면 위에 형성되고, 전도성 패턴(31A)의 한 단부는 자기 재료 층의 단부 표면으로 연장한다.
전도성 패턴(31B)은 전도성 패턴(31A) 위에 적층되어 있는 자기 재료 층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31B)의 한 단부는 전도성 패턴(31A)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도성 패턴(31C)은 전도성 패턴(31B) 위에 적층되어 있는 자기 재료 층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31C)의 내주에는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 층(32)이 형성된다.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 층(32)은 Ni와 Cu의 화합물로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31C)의 한 단부는 전도성 패턴(31B)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도성 패턴(31D)은 전도성 패턴(31C) 위에 적층되어 있는 자기 재료 층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31D)의 한 단부는 전도성 패턴(31C)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도성 패턴(31E)은 전도성 패턴(31D) 위에 적층되어 있는 자기 재료 층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31E)의 한 단부는 전도성 패턴(31D)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도성 패턴(31E)의 다른 단부는 자기 재료 층의 단부 표면으로 연장한다.
이 방법에서, 자기 재료 층과 전도성 패턴(31A 내지 31E)이 적층되고, 자기 재료 층 간의 전도성 패턴(31A 내지 31E)은 나선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코일을 형성하며,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는 자기 갭도 형성된다. 이 적층된 계층 본체의 단부 표면에 외부 단자가 형성되고, 적층된 계층 본체의 단부 표면으로 연장하는 전도성 패턴이 외부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 자기 재료 층은 Ni-Cu-Zn 기반의 페라이트로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은 페이스트 형태의 은, 은 기반, 금, 금 기반 또는 백금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전도성 페이스트로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41A)은 비자기 재료 층(42A)의 표면 위에 형성되고, 비자기 재료 층(12A)은 자기 재료 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자기 갭을 구성한다. 전도성 패턴(41A)의 한 단부는 자기 재료 층의 단부 표면으로 연장한다.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 층(42A)은 Ni와 Cu의 화합물로 형성되고 자기 재료 층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41B)은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부(43A)의 표면 위에 형성되고, 전도성 패턴(41A) 위에 적층되어 있는 자기 재료 층을 통해 수직으로 연장한다. 전도성 패턴(41B)의 한 단부는 전도성 패턴(41A)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도성 패턴(41C)은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부(43B)의 표면 위에 형성되고, 전도성 패턴(41B) 위에 적층되어 있는 자기 재료 층을 통해 수직으로 연장한다. 전도성 패턴(41C)의 한 단부는 전도성 패턴(41B)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도성 패턴(41D)은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부(43C)의 표면 위에 형성되고, 전도성 패턴(41C) 위에 적층되어 있는 자기 재료 층을 통해 수직으로 연장한다. 전도성 패턴(41D)의 한 단부는 전도성 패턴(41C)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도성 패턴(41E)은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부(43D)의 표면 위에 형성되고, 전도성 패턴(41D) 위에 적층되어 있는 자기 재료 층을 통해 수직으로 연장한다. 전도성 패턴(41E)의 한 단부는 전도성 패턴(41D)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도성 패턴(41E)의 다른 단부는 자기 재료 층의 단부 표면으로 연장한다. 자기 재료 층은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 층(42B)을 통해 전도성 패턴(41E) 위에 추가로 적층된다.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 층(42B)은 Ni와 Cu의 화합물로 형성되고 자기 재료 층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 방법에서, 자기 재료 층과 전도성 패턴(41A 내지 41E)이 적층되고, 자기 재료 층 간의 전도성 패턴(41A 내지 41E)은 나선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코일을 형성하며,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는 자기 갭도 형성된다. 이 적층된 계층 본체의 단부 표면에 외부 단자가 형성되고, 적층된 계층 본체의 단부 표면으로 연장하는 전도성 패턴이 외부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에서, 자기 재료 층은, NiO: 19 내지 45 mol%, ZnO: 1 내지 25 mol%, CuO: 6 내지 10 mol%, 및 Fe2O3: 47 내지 49 mol%를 함유하는 페라이트 재료에 0.6 내지 1.5 wt%의 SnO2를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진 Ni-Cu-Zn 기반의 페라이트로 형성되었으며, 자기 갭은 0:10 내지 10:0 비율의 Ni와 Cu의 화합물로 형성되었으며, 그 결과, 인덕턴스의 값의 변화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었다. 도 5의 표에서 별표(*)로 표시된 각각의 견본 번호는 이 견본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유도된 것임을 나타낸다.
(비교 예)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에서 사용된 모든 조성에서 인덕턴스 값의 변화율은, 자기 갭에서 Cu-Zn 기반의 페라이트를 사용하는 종래의 적층형 전자부품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율보다 작았다.
NiO: 19 mol%, ZnO: 25 mol%, CuO: 9 mol%, 및 Fe2O3: 47 mol%를 함유하는 페라이트 재료에 1.5wt%의 SnO2를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진 Ni-Cu-Zn 기반의 페라이트로 형성된 자기 재료 층에서, Ni 내지 Cu의 비가 2:8 내지 8:2 비율이 아닌 자기 갭은 균열이 생기거나, 이 자기 갭과 접촉하는 전도성 패턴에 개방 회로가 생성되었다.
또한, NiO: 27 mol%, ZnO: 14 mol%, CuO: 10 mol%, 및 Fe2O3: 49 mol%를 함유하는 페라이트 재료에 1.5wt%의 SnO2를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진 Ni-Cu-Zn 기반의 페라이트로 형성된 자기 재료 층에서, Ni 내지 Cu의 비가 8:2인 Ni 및 Cu의 화합물로 형성된 자기 갭은, SnO2를 함유하지 않는 Ni-Cu-Zn 기반의 페라이트로 형성된 자기 재료 층을 가지되 자기 갭을 가지지 않는 종래의 적층형 전자부품과 비교해서, 인덕턴스 값의 변화율이 더 작았다. 본 발명의 전자부품에서는 또한 인덕턴스 값의 변화율이, NiO: 27 mol%, ZnO: 14 mol%, CuO: 10 mol%, 및 Fe2O3: 49 mol%를 함유하는 페라이트 재료에 1.5wt%의 SnO2를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진 Ni-Cu-Zn 기반의 페라이트로 형성된 자기 재료 층을 가지되 자기 갭을 가지지 않는 종래의 적층형 전자부품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율보다 작았다.
본 발명의 적층형 전자부품의 실시예에 대해 위에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기 재료 층은 Ni-Zn 기반의 페라이트 또는 Ni 페라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자기 재료 층을 구성하는 페라이트는 MnO2, SiO2와 같이 그 재료에서 유도되는 소량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갭에 포함되는 Ni와 Cu의 화합물은 그 재료에서 유도되는 소량의 요소를 함유할 수 있거나, 자기 재료 층을 구성하는 페라이트에 함유되어 있는 SnO2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SnO2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 층은 자기 재료 층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패턴에 금속 호일(foil)을 사용할 수 있다.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 층은 3층 또는 그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자기 갭을 구성하는 비자기 재료부는 전도성 패턴 간에 배치될 수 있다.

Claims (5)

  1. 자기 재료 층과 전도성 패턴이 적층되고, 상기 자기 재료 층과 상기 전도성 패턴을 연결함으로써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코일이 형성되며, 상기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자기 갭이 형성된 적층형 전자부품으로서,
    상기 자기 재료 층은, NiO: 19 내지 45 mol%, ZnO: 1 내지 25 mol%, CuO: 6 내지 10 mol%, 및 Fe2O3: 47 내지 49 mol%를 함유하는 페라이트 재료에 0.6 내지 1.5 wt%의 SnO2를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진 Ni-Cu-Zn 기반의 페라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자기 갭은 Ni와 Cu만의 화합물로 형성되며, 상기 Ni와 Cu의 비율이 2:8 내지 8:2이고,
    상기 자기 갭은 상기 자기 재료 층과 상기 전도성 패턴에 접촉하고 있는,
    적층형 전자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계층 본체 내에 복수의 자기 갭이 형성되는, 적층형 전자부품.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39401A 2012-04-13 2013-04-10 적층형 전자부품 KR101866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1657 2012-04-13
JP2012091657 2012-04-13
JP2012262071A JP6149386B2 (ja) 2012-04-13 2012-11-30 積層型電子部品
JPJP-P-2012-262071 2012-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024A KR20130116024A (ko) 2013-10-22
KR101866439B1 true KR101866439B1 (ko) 2018-06-11

Family

ID=4932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401A KR101866439B1 (ko) 2012-04-13 2013-04-10 적층형 전자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90646B2 (ko)
JP (1) JP6149386B2 (ko)
KR (1) KR101866439B1 (ko)
CN (1) CN1033778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9440S1 (en) * 2014-05-30 2016-02-16 Yepzon Oy Locating and tracking device
KR101843260B1 (ko) * 2016-05-30 2018-03-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인덕터 및 그의 제조 방법
JP6520880B2 (ja) 2016-09-26 2019-05-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JP6896430B2 (ja) 2017-01-06 2021-06-30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装飾物の製造方法
JP6729422B2 (ja) 2017-01-27 2020-07-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電子部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4037A (ja) * 1999-08-03 2001-02-16 Taiyo Yuden Co Ltd 積層インダクタ
US6914513B1 (en) * 2001-11-08 2005-07-05 Electro-Science Laboratories, Inc. Materials system for low cost, non wire-wound, miniature, multilayer magnetic circuit components
JP2006216916A (ja) * 2005-02-07 2006-08-17 Neomax Co Ltd 積層インダクタ及び積層基板
WO2009136661A1 (ja) * 2008-05-09 2009-11-12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インダ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5607A (ja) * 1988-12-20 1990-06-26 Toko Inc 積層インダクタ
JP2694757B2 (ja) * 1989-03-30 1997-12-24 東光株式会社 積層インダクタ
JP3364267B2 (ja) * 1992-07-07 2003-01-08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チップアンテナ
JP3672161B2 (ja) * 1997-07-16 2005-07-13 Tdk株式会社 フェライト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JPH11273979A (ja) * 1998-03-19 1999-10-08 Tdk Corp インダクタンス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2003272912A (ja) * 2002-03-15 2003-09-26 Murata Mfg Co Ltd 酸化物磁性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型電子部品
JP4870913B2 (ja) * 2004-03-31 2012-02-08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4019071B2 (ja) * 2004-07-12 2007-12-05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3971766B2 (ja) * 2004-11-29 2007-09-05 Tdk株式会社 フェライト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JP4556668B2 (ja) * 2004-12-28 2010-10-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ェライト材料及びインダクタ素子
JP4532401B2 (ja) * 2005-12-21 2010-08-25 Tdk株式会社 NiCuZn系フェライ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JP4914448B2 (ja) * 2007-02-07 2012-04-11 日立金属株式会社 低損失フェライト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
JP4893403B2 (ja) * 2007-03-22 2012-03-07 Tdk株式会社 インダクタ装置及びこのインダクタ装置のインダクタンス調整方法
US8436708B2 (en) * 2007-12-25 2013-05-07 Hitachi Metals, Ltd. Multilayer inductor and power converter comprising it
CN102113069B (zh) * 2008-07-30 2013-03-27 太阳诱电株式会社 叠层电感器、其制造方法和叠层扼流线圈
CN102292782B (zh) * 2009-01-22 2013-12-1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叠层电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4037A (ja) * 1999-08-03 2001-02-16 Taiyo Yuden Co Ltd 積層インダクタ
US6914513B1 (en) * 2001-11-08 2005-07-05 Electro-Science Laboratories, Inc. Materials system for low cost, non wire-wound, miniature, multilayer magnetic circuit components
JP2006216916A (ja) * 2005-02-07 2006-08-17 Neomax Co Ltd 積層インダクタ及び積層基板
WO2009136661A1 (ja) * 2008-05-09 2009-11-12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インダ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7817B (zh) 2016-02-10
US8890646B2 (en) 2014-11-18
US20130271254A1 (en) 2013-10-17
KR20130116024A (ko) 2013-10-22
JP2013236050A (ja) 2013-11-21
JP6149386B2 (ja) 2017-06-21
CN103377817A (zh)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749B1 (ko) 적층형 파워 인덕터
KR101866439B1 (ko) 적층형 전자부품
WO2005122192A1 (ja) 積層コイル
US8779884B2 (en) Multilayered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421576B2 (en)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7091539A (ja) 非磁性Znフェライ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複合積層型電子部品
KR20120052817A (ko) 세라믹 전자부품용 비자성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세라믹 전자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8981890B2 (en) Non-magnetic composition for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210616A (ja) コイル内蔵基板
KR101339553B1 (ko) 세라믹 전자부품용 비자성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세라믹 전자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3920A (ko) 세라믹 전자부품용 자성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전자부품
JP2007324554A (ja) 積層インダクタ
KR100770249B1 (ko) 적층코일
CN103903831B (zh) 电感器和用于制造其间隙层的组合物
KR20140064331A (ko) 적층형 코일 부품
KR20150105786A (ko) 적층형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4659463B2 (ja) 積層型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42169A (ko)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JP6574574B2 (ja) 積層インダクタ
JP6428416B2 (ja) 金属磁性材料及び電子部品
KR20150008649A (ko) 적층형 칩 부품
JP2009302380A (ja)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74067A (ja)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