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548B1 - 연료 전지용 배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연료 전지 차량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용 배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연료 전지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548B1
KR101854548B1 KR1020167008572A KR20167008572A KR101854548B1 KR 101854548 B1 KR101854548 B1 KR 101854548B1 KR 1020167008572 A KR1020167008572 A KR 1020167008572A KR 20167008572 A KR20167008572 A KR 20167008572A KR 101854548 B1 KR101854548 B1 KR 101854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vehicle
moving body
curved
cel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065A (ko
Inventor
료타 아카보시
야스키 오타케
?이치 시바사키
šœ이치 시바사키
야스히코 오하시
시게유키 데라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9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60L11/1888
    • B60L11/189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1Arrangement of fuel cells with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76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mounting around heat sources, e.g. exhaust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8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01M8/0417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by purging or increasing flow or pressure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1Arrangements for managing water in solid electrolyte fuel cel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B60L223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6Temperature of vehicle components o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4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연료 전지를 탑재하는 이동체에 사용되고, 연료 전지의 배수에 기인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배관 부재를 제공한다. 연료 전지 차량(1)은 연료 전지(10)의 배수 및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 부재인 배출구 파이프(100)를 구비한다. 배출구 파이프(100)는, 연신부(111)와, 만곡부(112)와, 개구 단부(113)를 갖고, 연료 전지 차량(1)의 후방측에 있어서 하방을 향해 개구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출구 파이프(100)는, 연료 전지 차량(1)에 장착되었을 때,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는 개구 단부(113)의 벽부(113f)의 내벽면(121)이, 연료 전지 차량(1)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개구부(101)에 이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연료 전지용 배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연료 전지 차량 {PIPING MEMBER FOR FUEL CELL, AND FUEL CELL VEHICLE PROVIDED WITH SAME}
본 발명은, 연료 전지용 배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연료 전지 차량에 관한 것이다.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이하, 단순히 「연료 전지」라고 칭함)에서는, 통상 그 발전시에 다량의 수분이 생성된다. 그로 인해, 연료 전지를 구동력원으로서 탑재하는 연료 전지 차량은, 연료 전지로부터의 배수를 차량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배관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12-91782호 공보)이나 특허문헌 2(일본 특허 공개 제2012-91783호 공보)에는, 연료 전지 차량으로부터의 배수가 주행풍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비산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배수 배관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일본 특허 공개 제2009-135006호 공보)에는, 연료 전지의 생성수를 무상으로 하여 배출하는 차량에 있어서, 그 배수 방향을 자차량이나 후속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변경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연료 전지 차량에서는, 그 정차 중에도, 연료 전지의 아이들링이나 소기 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배수가 배출된다. 연료 전지 차량의 정차 중에 있어서의 배수에 기인하는 물 고임부나 물보라는, 차량으로부터 내린 탑승자나 차량의 주위에 있는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저온 환경 하에 있어서는, 배수와 함께 증기로서 배출되는 수분이 연료 전지 차량의 브레이크 패드에 부착되어, 당해 브레이크 패드를 동결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1, 2의 기술에 의하면, 주행풍 등의 공기의 흐름을 적극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연료 전지 차량의 주행시에 있어서의 배수의 비산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에 의하면, 배수의 압력이나 배수 방향이 적절하게 제어됨으로써 후속 차량에 대한 물 튀김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3은 모두, 어디까지나 연료 전지 차량의 주행시에 있어서의 배수의 비산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고, 상술한 연료 전지 차량의 정차 중에 있어서의 배수나 증기에 의한 문제에 대해서는 특별한 고려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연료 전지 차량에 있어서의 연료 전지의 배수를 위한 배관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그 밖에, 종래의 연료 전지 차량에 있어서는, 배수 효율의 향상이나, 배수시의 정음화, 배수 배관의 소형화, 경량화, 간소화, 저비용화, 자원 절약화, 제조의 용이화, 사용 편의성의 향상 등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연료 전지의 배수를 위한 배관의 개선은, 연료 전지 차량에 한정되지 않고, 연료 전지를 탑재하는 이동체에 공통되는 과제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연료 전지를 탑재하는 이동체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 전지의 배기 가스와 배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 부재가 제공된다. 이 배관 부재는, 개구 단부와, 만곡 배관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개구 단부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이동체의 하방을 향해 상기 개구부가 개구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만곡 배관부는, 상기 개구 단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에 대해 상류측이 상기 이동체의 전후 방향 또는 횡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개구 단부의 내벽면 중, 상기 만곡 배관부의 만곡 내주측의 내벽면은, 상기 만곡 배관부의 상류측의 방향으로 하강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의 배관 부재에 의하면, 만곡 배관부로부터 개구 단부로 흘러 온 배수를, 만곡 배관부의 만곡 내주측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체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의 이동체 주위로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가스가, 당해 내벽면을 따라 이동체의 중앙측으로 유출되므로, 배수에 의해 형성된 물 고임부를 그 배기 가스의 흐름에 의해, 이동체의 중앙측으로 유도할 수 있어, 물 고임부가 이동체의 하방 영역으로부터 이동체의 외측으로 넓어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형태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는 이동체에 장착되어 있을 때의 배관 부재의 배치 상태는, 적어도, 이동체의 정지 중에 있어서의 배수시에 그 배치 상태로 되어 있으면 되고, 그 이외의 때에는 다른 배치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2] 상기 형태의 배관 부재는, 상기 개구 단부가 상기 이동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만곡 배관부는, 상류측이 상기 이동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체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 단부의 내벽면 중, 상기 만곡 배관부의 만곡 내주측의 내벽면은, 상기 이동체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하강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형태의 배관 부재에 의하면, 배수가 이동체의 후방으로 비산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수의 물 고임부가 이동체 하방의 영역으로부터 후방으로 유도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형태의 배관 부재는, 상기 개구 단부의 내벽면 중, 상기 만곡 배관부의 만곡 내종측의 내벽면이고, 상기 이동체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내벽면인 제1 내벽면에 추가하여, 상기 이동체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상기 개구 단부의 내벽면인 제2 내벽면을 구비해도 되고, 제2 내벽면은, 상기 이동체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하강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형태의 배관 부재에 의하면, 배수와 함께 배출되는 증기가 제2 내벽면을 따라 이동체의 후방으로 유도되므로, 배관 부재보다 전방측의 부위에 증기가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상기 형태의 배관 부재는, 상기한 제2 내벽면 대신에, 상기 이동체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하강 경사져 있는 제2 내벽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형태의 배관 부재에 의하면, 배기 가스의 흐름을 차량 전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집약할 수 있으므로, 배수에 의해 형성된 물 고임부를 더욱 확실하게 이동체의 전방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5] 상기 형태의 배관 부재에 있어서, 상기 개구 단부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구 단부면을 갖고 있고, 상기 개구 단부면은, 상기 이동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이동체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형태의 배관 부재에 의하면, 배관 부재의 개구 단부의 후방측의 부위가 이동체 하방의 지면과 간섭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6]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배관 부재가 장착되는 이동체로서의 연료 전지 차량이 제공된다. 이 연료 전지 차량에 의하면, 정차 중에 배출된 연료 전지의 배수가 차량의 주위로 비산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차량의 하방에 형성된 배수의 물 고임부가 차량 중앙측의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로 유도된다.
본 발명은, 배관 부재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차량 이외의 연료 전지를 구비한 이동체나, 정치형 연료 전지 시스템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 부재의 제조 방법이나 제조 장치, 그들의 장치나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당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등의 형태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연료 전지 차량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배출구 파이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배출구 파이프로부터 배출되는 배수 및 증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는 배출구 파이프로부터 배출된 배수에 의해 형성된 물 고임부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비교예의 연료 전지 차량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연료 전지 차량에 탑재되고, 배출구 파이프가 사용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제3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9는 제4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은 제5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1은 제6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A.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의 연료 전지 차량(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에는, 수평한 지면(GD)에 배치되어 있는 연료 전지 차량(1)이, 그 외형의 윤곽선을 나타내는 일점 쇄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연료 전지 차량(1)의 전후 방향(이하, 「차량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함)을 나타내는 화살표 LD와, 연료 전지 차량(1)의 상하 방향(이하, 「차량 상하 방향」이라고도 칭함)을 나타내는 화살표 VD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 전후 방향과 차량 상하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또한, 연료 전지 차량(1)이 수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 전후 방향은 당해 수평면과 평행하게 되고, 차량 상하 방향은 중력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또한, 차량 전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LD와 차량 상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VD는, 도 1 이외의 각 도면에도 적절히 도시되어 있다.
연료 전지 차량(1)은, 연료 전지(10)와, 배출구 파이프(100)를 구비한다. 연료 전지(10)는, 반응 가스로서 수소와 산소의 공급을 받아 발전하는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이다. 연료 전지 차량(1)은, 연료 전지(10)가 발전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주행한다. 연료 전지 차량(1)에서는, 연료 전지(10)의 애노드측의 배수 및 캐소드측의 배수는 모두 공통의 배관으로부터 배기 가스와 함께 배출된다. 연료 전지 차량(1)에 있어서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배관 구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배출구 파이프(100)는, 소위 테일 파이프에 상당하고, 상기한 연료 전지(10)의 배수 및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관의 하류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배관 부재이다. 배출구 파이프(100)는, 연료 전지 차량(1)에 있어서, 지면(GD)을 향해 개구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연료 전지(10)의 배기 가스 및 배수를 지면(GD)을 향해 배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에서는, 배출구 파이프(100)는, 그 개구부(101)가 후륜(RT)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범퍼(RB)의 저면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출구 파이프(100)를 연료 전지 차량(1)의 후방측에 장착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난류나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배관 경로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전지 차량(1)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배출구 파이프(100)의 장착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배출구 파이프(100)는, 연료 전지 차량(1) 중 어느 한쪽의 측면측에 가까운 위치에 장착되어 있어도 되고, 연료 전지 차량(1)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는, 배수가 연료 전지 차량(1)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유도됨과 함께, 배수와 함께 배출되는 증기가 연료 전지 차량(1)의 후방으로 유도되도록 그 형상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료 전지 차량(1)이 정차하고 있을 때에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배출되는 배수나 증기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문제가 억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도 2는, 배출구 파이프(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는, 배출구 파이프(100)의 개구부(101)의 중심을 통과하여, 연신부(111)의 연신 방향과 평행한 절단면에 있어서의 배출구 파이프(100)의 개략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배출구 파이프(100)는, 만곡되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배관 부재이며, 연신부(111)와, 만곡부(112)와, 개구 단부(113)를 갖는다. 연신부(111)는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부위이다.
만곡부(112)는, 연신부(111)의 하류에 있어서 만곡되어 있는 부위이며, 만곡 배관부에 상당한다. 개구 단부(113)는, 만곡부(112)의 하류의 단부 부위이며, 개구부(101)를 갖고 있다. 배출구 파이프(100)는 연신부(111)가 차량 전후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됨과 함께, 만곡부(112)가 하방을 향해 만곡되도록 연료 전지 차량(1)에 장착된다.
개구 단부(113)에 있어서, 개구부(101)의 주위의 벽부는, 그 단부면이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개구부(101)의 주위의 벽부의 단부면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을 「개구 단부면(114)」이라고 칭한다. 개구 단부면(114)은, 배출구 파이프(100)가 연료 전지 차량(1)에 장착되었을 때에 차량 후방을 향하도록, 차량 전후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차량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면(HS)에 대해 각도 φ(φ>0°)를 갖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연료 전지 차량(1)이 급한 상향 구배의 언덕길에 다다른 경우 등에 배출구 파이프(100)의 후방측의 단부가 지면에 간섭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게다가, 개구 단부(113)에서는, 적어도, 연료 전지 차량(1)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만곡 내주측의 제1 벽부(113f)와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만곡 외주측의 제2 벽부(113r)가 각각, 서로의 사이의 거리가 하방일수록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개구 단부(113)에 있어서, 제1 벽부(113f)는 연신부(111)의 방측(만곡부(112)의 상류측)을 향해 만곡, 즉 후방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됨과 함께, 제2 벽부(113r)는 그 반대측을 향해 만곡, 즉 전방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개구 단부(113)에서는, 하방일수록 개구 직경이 커지도록 벽부가 전체 주위에 걸쳐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배출구 파이프(100)가 연료 전지 차량(1)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제1 벽부(113f)의 내벽면(121)은 차량 후방으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해 경사지고, 제2 벽부(113r)의 내벽면(122)은 차량 후방으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해 경사진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의 단면에 있어서, 제1 벽부(113f)의 내벽면(121)의 단부(115)에 있어서의 접선 TLf가 차량 상하 방향에 평행한 직선 VL에 대해 차량 전방으로 경사각 θff>0°)를 갖는다. 또한, 도 2의 단면에 있어서, 제2 벽부(113r)의 내벽면(122)의 단부(116)에 있어서의 접선 TLr이 차량 상하 방향과 평행한 직선 VL에 대해 차량 후방으로 경사각 θrr>0°)을 갖는다.
도 3은, 연료 전지 차량(1)이 정차하고 있을 때에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배출되는 배수(DW) 및 증기(ST)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에는, 연료 전지 차량(1)에 장착된 상태의 배출구 파이프(100)가 도 2와 마찬가지의 개략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음과 함께,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흘러나오고 있는 배수(DW)와 증기(ST)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차량 상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VD 및 차량 전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LD와 함께, 배수(DW)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AW와,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AG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 파이프(100)에서는, 개구 단부(113)에 있어서의 만곡 내주측의 제1 벽부(113f)의 내벽면(121)이 연료 전지 차량(1)의 전방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연료 전지(10)로부터의 배수는, 그 점성력에 따라서 그 내벽면(121)을 따라 흘러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흘러 떨어진다. 이때, 배수는,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이격될 때의 관성력에 의해, 차량 중앙에 더욱 가까운 차량 전방측의 위치를 향해 흘러 떨어지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소기 처리 등과 같이 대량의 배기 가스가 흘러 나오고 있는 경우에는, 내벽면(121)을 따라 흐르는 배기 가스의 영향을 받아, 또한 차량 전방측의 위치를 향해 흘러 떨어진다. 따라서, 연료 전지 차량(1)의 정차 중에 있어서, 배수가 차량 후방으로 비산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정차 중인 연료 전지 차량(1)의 후방에 있는 사람이나 물건에 연료 전지(10)의 배수가 튀기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배출구 파이프(100)에서는, 만곡 외주측의 제2 벽부(113r)의 내벽면(122)이 연료 전지 차량(1)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그로 인해,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대부분은, 만곡 내주측의 제1 벽부(113f)의 내벽면(121)을 따른 방향으로 흐른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에서는, 개구 단부면(114)이 차량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더 많은 배기 가스가 만곡 내주측의 제1 벽부(113f)의 내벽면(121)을 따른 방향으로 흐른다. 따라서,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ST)의 대부분은 배기 가스에 의해 차량 후방으로 유도되어, 증기(ST)가 배출구 파이프(100)의 전방에 있는 연료 전지 차량(1)의 후륜(RT)의 브레이크 패드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저온 환경 하에 있어서 브레이크 패드가 부착된 증기(ST)에 의해 동결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도 4는,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배출된 배수(DW)에 의해 형성된 물 고임부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에는, 연료 전지 차량(1)에 장착된 상태의 배출구 파이프(100)가 도 3과 마찬가지의 개략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음과 함께,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배출된 배수(DW)에 의해 지면(GD)에 형성된 물 고임부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차량 상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VD 및 차량 전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LD와 함께,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AG가 도 3과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에서는,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배출된 배수(DW)에 의해 형성되는 물 고임부는, 배출구 파이프(100)의 제1 벽부(113f)의 하방에 형성된다(도 3). 그로 인해, 당해 물 고임부는, 제1 벽부(113f)의 내벽면(121)을 따른 배기 가스의 흐름에 의해, 더욱 차량 중앙측을 향해 유도되게 된다(도 4). 따라서, 배수(DW)의 물 고임부가 연료 전지 차량(1)의 하방으로부터 밀려나와 형성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되고, 연료 전지 차량(1)으로부터 내린 탑승자나 연료 전지 차량(1)의 후방에 있는 다른 사람의 시계에 배수(DW)의 물 고임부가 들어가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그들에게 당해 물 고임부에 의한 불쾌감을 발생시키는 것이 억제된다.
도 5는, 비교예로서의 연료 전지 차량(1a)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에는, 비교예의 연료 전지 차량(1a)의 후방측의 외형 윤곽선이 일점 쇄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음과 함께, 비교예의 배출구 파이프(100a)가 실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비교예의 연료 전지 차량(1a)은, 비교예로서의 배출구 파이프(100a)를 구비하고 있는 점 이외에는, 본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비교예의 배출구 파이프(100a)의 구성은, 그 개구 단부(113a)의 벽부가 대략 동일 개구 직경인 채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 이외에는, 본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와 거의 동일하다.
비교예의 연료 전지 차량(1a)에서는, 연료 전지(10)의 배수(DW)는, 배출구 파이프(100a)의 개구 단부(113a)를 구성하는 벽부의 연신 방향을 따라 배출된다(파선 화살표로 도시). 따라서, 비교예의 연료 전지 차량(1a)에서는, 배수(DW)는, 차량 후방으로 비산되기 쉽다. 또한, 후술하는 소기 처리와 같이, 배수(DW)에 의해 물 고임부가 형성된 후에 다량의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그 배기 가스에 의해 당해 물 고임부가 차량 후방으로 유도되어, 연료 전지 차량(1)의 하방으로부터 밀려 나온 위치까지 넓어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연료 전지 차량(1)으로부터 내린 탑승자나 연료 전지 차량(1)의 후방에 있는 다른 사람에게, 배수(DW)의 물 고임부에 의한 불쾌감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도 6은, 연료 전지 차량(1)에 탑재되고, 상술한 배출구 파이프(100)가 사용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2)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연료 전지 시스템(2)은, 연료 전지(10)에 대한 반응 가스의 공급 및 배출을 실행한다. 연료 전지 시스템(2)은, 전술한 연료 전지(10)와, 캐소드 가스 공급부(20)와, 애노드 가스 공급부(30)와, 배기 배수 처리부(40)를 구비한다. 또한, 연료 전지 시스템(2)의 각 구성부(20, 30, 40)는, 연료 전지 차량(1)에 탑재되어 있는 제어부(도시는 생략)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는 주 기억 장치와 중앙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캐소드 가스 공급부(20)는, 외기를 도입하고, 캐소드 가스 배관(21)을 통해 연료 전지(10)의 캐소드(11)에 캐소드 가스로서 공급한다. 캐소드 가스 배관(21)에는, 에어 콤프레서(23)와, 개폐 밸브(25)가 상류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에어 콤프레서(23)는, 제어부의 지령에 따라서 외기를 도입함과 함께 소정의 압력까지 압축하여 하류측으로 송출한다. 개폐 밸브(25)는, 캐소드(11)에 대한 캐소드 가스의 출입을 제어한다. 개폐 밸브(25)는, 통상은 폐쇄된 상태이며, 상류측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의 캐소드 가스가 유입되었을 때에 개방된다.
애노드 가스 공급부(30)는, 수소 탱크(31)에 충전된 고압 수소를, 애노드 가스 배관(33)을 통해 애노드 가스로서 연료 전지(10)의 애노드(12)에 공급한다. 애노드 가스 배관(33)에는 상류측으로부터, 레귤레이터(35)와, 개폐 밸브(37)와, 수소 공급 장치(39)가 설치되어 있다. 레귤레이터(35)와 개폐 밸브(37)는, 수소 공급 장치(39)의 상류측에 있어서의 수소의 압력을 제어한다. 수소 공급 장치(39)는, 예를 들어 인젝터에 의해 구성되고, 제어부의 지령에 따른 유량의 수소를 애노드(12)에 공급한다.
배기 배수 처리부(40)는, 연료 전지(10)의 캐소드(11)로부터의 배기 가스 및 배수를 연료 전지 차량(1)의 외부로 배출하고, 애노드(12)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애노드(12)에 재순환시킴과 함께 애노드(12)로부터의 배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 배수 처리부(40)는, 캐소드 계통(41)과, 애노드 계통(42)과, 합류 배출부(43)를 구비한다.
캐소드 계통(41)은, 캐소드 배기 가스 배관(411)과, 압력 조절 밸브(412)를 구비한다. 캐소드 배기 가스 배관(411)은, 연료 전지(10)의 캐소드(11)의 출구와 합류 배출부(43)의 합류 배관(431)을 접속하고, 캐소드(11)측의 배수 및 배기 가스를 합류 배출부(43)의 합류 배관(431)에 유입시킨다. 압력 조절 밸브(412)는, 캐소드 배기 가스 배관(411)의 캐소드(11)의 출구 근방에 장착되어 있고, 캐소드(11)의 배압 조정에 사용된다.
애노드 계통(42)은, 애노드 배기 가스 배관(421)과, 압력 조절 밸브(422)와, 기액 분리부(423)와, 배수 배관(424)과, 배수 밸브(425)와, 수소 순환 배관(426)과, 수소 순환 펌프(427)를 구비한다. 애노드 배기 가스 배관(421)은, 연료 전지(10)의 애노드(12)의 출구와 기액 분리부(423)의 입구를 접속한다. 압력 조절 밸브(422)는, 애노드 배기 가스 배관(421)의 애노드(12)의 출구 근방에 장착되어 있고, 애노드(12)의 배압의 조정에 사용된다.
기액 분리부(423)는, 애노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기체(수소)와 수분을 분리하고, 기체에 대해서는, 수소 순환 배관(426)으로 유도하고, 수분에 대해서는 배수 배관(424)으로 유도한다. 수소 순환 배관(426)은, 애노드 가스 공급부(30)의 애노드 가스 배관(33)에 접속되어 있고, 수소 순환 배관(426)의 도중에는 수소 순환 펌프(427)가 장착되어 있다. 기액 분리부(423)에 있어서 분리된 수소는, 수소 순환 펌프(427)의 구동력에 의해, 수소 순환 배관(426)을 통해 애노드 가스 공급부(30)의 애노드 가스 배관(33)으로 송출된다.
배수 배관(424)은, 캐소드 계통(41)의 캐소드 배기 가스 배관(411)과 함께, 합류 배출부(43)의 합류 배관(431)에 접속되어 있고, 기액 분리부(423)에 있어서 분리된 애노드(12)측의 배수를 합류 배출부(43)의 합류 배관(431)으로 유입시킨다. 배수 밸브(425)는, 배수 배관(424)에 장착되어 있고, 소정의 배수 타이밍에 개방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합류 배출부(43)는, 합류 배관(431)과, 머플러(432)와, 배출구 파이프(100)를 구비한다. 합류 배관(4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캐소드 계통(41)의 캐소드 배기 가스 배관(411)과, 애노드 계통(42)의 배수 배관(424)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합류 배관(431)에는, 캐소드(11)측과 배수와, 캐소드 배기 가스와, 애노드(12)측의 배수가 유입된다.
머플러(432)는, 합류 배관(431)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고, 합류 배관(431) 내나 배출구 파이프(100)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의 흐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난류나 노이즈를 저감한다. 배출구 파이프(100)는, 합류 배관(431)의 하류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 및 배기 가스를 연료 전지 차량(1)의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연료 전지 시스템(2)은, 연료 전지 차량(1)의 정차시에, 연료 전지(10) 내부의 소기 처리를 실행한다. 소기 처리에서는, 수소 탱크(31)로부터의 수소의 공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수소 순환 펌프(427)를 구동하고, 연료 전지(10)의 애노드(12)의 가스를 수소 순환 배관(426)을 통해 순환시킴과 함께, 배수를 기액 분리부(423)를 통해 합류 배관(431)으로 배출한다. 또한, 소기 처리에서는, 에어 콤프레서(23)가 출력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캐소드(11)측의 배수를 합류 배관(431)으로 배출한다.
이 소기 처리에서는, 처리 개시 후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다량의 배수가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한 번에 배출된 후에, 잠시 동안(십∼수십 초 정도),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퍼지 가스가 배기 가스로서 배출된다. 이 소기 처리에서는, 연료 전지 차량(1)의 하방에 배수(DW)에 의한 물 고임부가 형성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이면,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러한 물 고임부를 연료 전지 차량(1)의 하방에 있어서, 더욱 차량 중앙측으로 유도시킬 수 있으므로, 소기 처리에 수반되는 배수(DW)의 물 고임부에 의한 문제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이면, 연료 전지(10)의 배수가 연료 전지 차량(1)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유도됨과 함께, 배수와 함께 배출되는 증기가 연료 전지 차량(1)의 후방으로 유도되도록 그 형상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구 파이프(100)를 구비하는 본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에 의하면, 그 정차 중의 배수나, 그 배수에 수반되는 증기에 의한 문제의 발생이 억제된다.
B. 제2 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의 연료 전지 차량(1A)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에는, 연료 전지 차량(1A)이 도 1과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음과 함께, 배수(DW)에 의해 형성된 물 고임부와, 배기 가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화살표 AG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A)은, 배출구 파이프(100)의 장착 위치가 다른 점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배출구 파이프(100)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도 2).
제2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A)에서는, 배출구 파이프(100)는, 연료 전지 차량(1)의 후방측이며, 후륜(RT)보다 전방측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배출된 배수(DW)가 연료 전지 차량(1A)의 후방측으로 비산되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억제된다. 또한, 배수(DW)에 의한 물 고임부는, 연료 전지 차량(1A)의 하방의 깊숙한 위치에 형성되므로, 당해 물 고임부에 기인하는 문제의 발생이 더욱 확실하게 억제된다.
C. 제3 실시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로서의 연료 전지 차량에 사용되는 배출구 파이프(100A)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개구 단부(113A)에 있어서의 만곡 외주측의 제2 벽부(113r)의 구성이 다른 점 이외에는 도 2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은, 배출구 파이프(100) 대신에, 도 8의 배출구 파이프(100A)를 구비하고 있는 점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도 1).
제3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A)에서는, 개구 단부(113A)에 있어서의 만곡 외주측의 제2 벽부(113r)의 내벽면(122A)은, 만곡 내주측의 제1 벽부(113f)의 내벽면(121)과 마찬가지로, 연신부(111)를 향하는 방향(만곡부(112)의 상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 즉 후방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출구 파이프(100A)가 연료 전지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만곡 외주측의 제2 벽부(113r)의 내벽면(122A)은, 차량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된다. 그리고, 도 8의 단면에 있어서, 제2 벽부(113r)의 내벽면(122A)의 단부(116)에 있어서의 접선 TLr은 차량 상하 방향과 평행한 직선 VL에 대해 차량 전방으로 경사각 θr(θr>0°)을 갖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3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A)에서는,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이 연료 전지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규정된다. 따라서, 배출구 파이프(100A)로부터 배출되는 배수(DW)가 당해 배기 가스의 흐름에 의해 연료 전지 차량의 전방으로 유도되고, 배수(DW)의 연료 전지 차량 후방으로의 비산이나, 배수(DW)의 물 고임부의 연료 전지 차량 후방으로의 확산·이동이 억제된다.
D. 제4 실시 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로서의 연료 전지 차량(1B)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에는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의 연료 전지 차량(1B)의 외주 윤곽선과 타이어의 위치가 일점 쇄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제4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B)가 그 장착 위치에 실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차량 전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LD에 추가로, 연료 전지 차량(1)의 좌우 방향(이하, 「차량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함)을 나타내는 화살표 HD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 좌우 방향은, 연료 전지 차량(1)의 횡 방향에 상당하고, 차량 전후 방향과 차량 상하 방향에 직행한다.
여기서, 연료 전지 차량(1B)의 차량 전후 방향의 중심이고, 차량 좌우 방향이 중심인 점을 「차량 중심점 CP」라고 칭한다. 도 9에는, 차량 중심점 CP와, 배출구 파이프(100B)의 개구부(101)의 중심 OC를 연결하는 파선이 도시되어 있고, 당해 중심 OC로부터 차량 중심점 CP를 향하는 방향(이하, 「배수 유도 방향」이라고도 칭함)을 나타내는 화살표 CD가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B)는, 연료 전지 차량(1B)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와 마찬가지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B)는, 후륜(RT)보다 후방의 위치에 있어서 개구부가 리어 범퍼(RB)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개구되도록, 연료 전지 차량(1B)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B)는, 차량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B)는 개구 단부(113)의 벽부 형상이 다른 점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제4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B)에서는, 개구 단부(113B)의 만곡 내주측의 제1 벽부(113f)가 배수 유도 방향으로 만곡됨과 함께 만곡 외주측의 제2 벽부(113r)가 그 반대의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개구부(101)의 형상은 대략 타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장축 방향은 배수 유도 방향과 거의 일치한다.
이에 의해, 제4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B)에서는, 차량 중심점 CP와 개구부(101)의 중심 OC를 포함하고, 차량 상하 방향과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개구 단부(113)에 있어서의 제1과 제2 벽부(113f, 113r)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당해 단면에 있어서, 만곡 내주측의 제1 벽부(113f)의 내벽면(121)의 단부(117)에 있어서의 접선 TLA는, 차량 상하 방향과 평행한 직선 VL에 대해 차량 중심 방향으로 각도 θAA>0°)를 갖고 있다. 또한, 당해 절단면에 있어서, 제2 벽부(113r)의 내벽면(122)의 단부(118)에 있어서의 접선 TLB는, 차량 상하 방향과 평행한 직선 VL에 대해 차량 중심 방향으로 각도 θBB>0°)를 갖고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4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B)에서는, 배수를 차량 중심점 CP를 향하는 배수 유도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음과 함께, 배수와 함께 배출되는 증기를 그 반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B)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차량(1B)에 의하면, 정차시의 배수에 기인하는 문제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E. 제5 실시 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로서의 연료 전지 차량(1C)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에는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의 연료 전지 차량(1C)의 외주 윤곽선이 일점 쇄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배출구 파이프(100)가 실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도 9와 마찬가지로 차량 중심점 CP가 도시되어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C)은, 배출구 파이프(100)의 장착 위치 및 장착 방향이 다른 점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배출구 파이프(100)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고, 제1과 제2 벽부(113f, 113r)가 하방을 향해 서로의 사이의 거리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
제5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C)에서는, 배출구 파이프(100)는 차량 중심점 CP보다 전방측의 위치에 있어서, 차량 후방측이 상류측으로 되고, 차량 전방측이 하류측으로 되는 방향에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5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C)에서는, 배출구 파이프(100)의 제1 벽부(113f)의 내벽면(121)은 차량 후방측을 향해 하강 경사하고, 제2 벽부(113r)의 내벽면(122)은 차량 전방을 향해 하강 경사져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C)에 의하면,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배출되는 배수가 차량 하방에 있어서 차량 중앙측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배출된 배수가 차량 전방으로 비산해 버리거나, 당해 배수의 물 고임부가 연료 전지 차량(1C)의 하방의 영역으로부터 밀려나와 형성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C)에 있어서, 배출구 파이프(100)를 전륜(FT)보다도 전방의 위치에 장착함으로써, 전륜(FT)의 브레이크 패드에의 증기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F. 제6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로서의 연료 전지 차량(1D)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0)과 마찬가지의 개략도이다. 제6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D)은, 배출구 파이프(100)의 장착 위치 및 장착 방향이 다른 점 이외에는, 제5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C)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제6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D)에서는, 배출구 파이프(100)는, 제1 벽부(113f)가 차량 좌우 방향에 있어서 차량 중심점 CP측에 위치하고, 제2 벽부(113r)가 차량 좌우 방향에 있어서 차량 중심점 CP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배출되는 배수가 차량 중심점 CP측으로 유도되어, 당해 배수가 차량 측방으로 비산되어 버리는 것이나, 당해 배수의 물 고임부가 차량 하방의 영역으로부터 밀려나와 형성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의 연료 전지 차량(1D)에서는,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배출구 파이프(100)의 장착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배출구 파이프(100)는, 전륜(FT) 및 후륜(RT)과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배출구 파이프(10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전륜(FT) 또는 후륜(RT)의 브레이크 패드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G. 변형예:
G1. 변형예 1: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는 연료 전지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대해, 각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는, 연료 전지 차량 이외의 이동체에 장착되어도 된다. 각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는, 연료 전지를 탑재하고,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호버크래프트 등)에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각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는, 이동체에 한정되지 않고, 정치형의 연료 전지에 있어서 배수의 이동 방향을 규정하기 위한 배수구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각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는, 정치형의 연료 전지에 있어서, 연료 전지 본체의 하방에 있어서의 중앙측의 위치에 배수를 유도하도록 장착되어도 된다.
G2. 변형예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구 파이프(100)는, 연료 전지(10)의 캐소드(11)측과 애노드(12)측의 양쪽의 배수를 배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배출구 파이프(100)는, 연료 전지(10)의 캐소드(11)측과 애노드(12)측 중 적어도 한쪽만의 배수를 배출해도 된다.
G3. 변형예 3: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는, 연신부(111)가 차량 전후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연료 전지 차량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는, 연신부(111)가 차량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연료 전지 차량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는, 만곡부(112)의 상류측이 차량 전후 방향 또는 차량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연신부(111)가 차량 전후 방향에 대해 상하 방향이나 수평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G4. 변형예 4: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 단부(113)의 제1과 제2 벽부(113f, 113r)의 내벽면(121, 122)은, 차량 전방 또는 차량 후방을 향해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각 내벽면(121, 122)은, 차량 전방 또는 차량 후방을 향해 만곡되는 일 없이 직선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G5. 변형예 5: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의 개구 단부면(114)은, 차량 후방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각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의 개구 단부면(114)은, 차량 전후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각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의 개구 단부면(114)은, 차량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차량의 측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G6. 변형예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는, 연료 전지 차량에 대해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에 대해, 각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는, 예를 들어 배치 각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연료 전지 차량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는, 액추에이터 등의 구동 기구에 의해 구부러지는 가요성의 배관 조인트를 관절부로서 사용함으로써, 그 배치 각도가 변경되도록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각 배출구 파이프(100, 100A, 100B)는, 적어도, 연료 전지 차량의 정차 중의 배수시에,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장착 상태로 되어 있으면 된다.
G7. 변형예 7:
상기 제4 실시 형태 내지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구 파이프(100, 100B)의 개구 단부(113, 113B)에 있어서의 만곡부(112)의 만곡 외주측의 내벽면은, 만곡부(112)의 상류측과는 반대 방향으로 하강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배출구 파이프(100, 100B)의 개구 단부(113, 113B)에 있어서의 만곡부(112)의 만곡 외주측의 내벽면은, 제3 실시 형태의 배출구 파이프(100A)와 같이, 만곡부(112)의 상류측의 방향을 향해 하강 경사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나 실시예,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명의 내용의 란에 기재된 각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실시 형태, 실시예, 변형예 중의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혹은 상술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하게 치환이나, 조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인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하게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1A, 1B, 1a : 연료 전지 차량
2 : 연료 전지 시스템
10 : 연료 전지
11 : 캐소드
12 : 애노드
20 : 캐소드 가스 공급부
21 : 캐소드 가스 배관
23 : 에어 콤프레서
25 : 개폐 밸브
30 : 애노드 가스 공급부
31 : 수소 탱크
33 : 애노드 가스 배관
35 : 레귤레이터
37 : 개폐 밸브
39 : 수소 공급 장치
40 : 배기 배수 처리부
41 : 캐소드 계통
411 : 캐소드 배기 가스 배관
412 : 압력 조절 밸브
42 : 애노드 계통
421 : 애노드 배기 가스 배관
422 : 압력 조절 밸브
423 : 기액 분리부
424 : 배수 배관
425 : 배수 밸브
426 : 수소 순환 배관
427 : 수소 순환 펌프
43 : 합류 배출부
431 : 합류 배관
432 : 머플러
100, 100A, 100B, 100a : 배출구 파이프
101 : 개구부
111 : 연신부
112 : 만곡부
113, 113A, 113B, 113a : 개구 단부
113f : 제1 벽부
113r : 제2 벽부
114 : 개구 단부면
121, 122, 122A : 내벽면
115, 116, 117, 118 : 단부
DW : 배수
GD : 지면
RB : 리어 범퍼
RT : 후륜
ST : 증기

Claims (6)

  1. 연료 전지를 탑재하는 이동체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 전지의 배기 가스와 배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 부재이며,
    개구부를 갖고, 상기 이동체의 하방을 향해 상기 개구부가 개구되도록 배치되는 개구 단부와,
    상기 개구 단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는 만곡 배관부이며, 상기 이동체에 대해, 상류측이 상기 이동체의 전후 방향 또는 횡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만곡 배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 단부의 내벽면 중, 상기 만곡 배관부의 만곡 내주측의 내벽면은, 상기 만곡 배관부의 상류측의 방향으로 하강 경사져 있는, 배관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단부는, 상기 이동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만곡 배관부는, 상류측이 상기 이동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체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 단부의 내벽면의 내벽면 중, 상기 만곡 배관부의 만곡 내주측의 내벽면은, 상기 이동체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하강 경사져 있는, 배관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단부의 내벽면 중, 상기 만곡 배관부의 만곡 내주측의 내벽면은, 상기 이동체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1 내벽면이고,
    상기 개구 단부의 제2 내벽면은, 상기 이동체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체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하강 경사져 있는, 배관 부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단부의 내벽면 중, 상기 만곡 배관부의 만곡 내주측의 내벽면은, 상기 이동체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1 내벽면이고,
    상기 개구 단부의 제2 내벽면은, 상기 이동체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체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하강 경사져 있는, 배관 부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단부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구 단부면을 갖고 있고,
    상기 개구 단부면은, 상기 이동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이동체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배관 부재.
  6. 연료 전지를 탑재하는 연료 전지 차량이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관 부재가 장착되는 상기 이동체인, 연료 전지 차량.
KR1020167008572A 2013-10-07 2014-10-03 연료 전지용 배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연료 전지 차량 KR101854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10044A JP5811155B2 (ja) 2013-10-07 2013-10-07 燃料電池用の配管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燃料電池車両
JPJP-P-2013-210044 2013-10-07
PCT/JP2014/005065 WO2015052905A1 (ja) 2013-10-07 2014-10-03 燃料電池用の配管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燃料電池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065A KR20160050065A (ko) 2016-05-10
KR101854548B1 true KR101854548B1 (ko) 2018-05-03

Family

ID=5281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572A KR101854548B1 (ko) 2013-10-07 2014-10-03 연료 전지용 배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연료 전지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95967B2 (ko)
JP (1) JP5811155B2 (ko)
KR (1) KR101854548B1 (ko)
CN (1) CN105658460B (ko)
DE (1) DE112014004617T5 (ko)
WO (1) WO2015052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1155B2 (ja) * 2013-10-07 2015-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の配管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燃料電池車両
JP6788216B2 (ja) * 2016-07-07 2020-11-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用の排気管構造体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102383224B1 (ko) * 2016-12-06 2022-04-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료전지 배출 수소 농도 저감구조
JP6699615B2 (ja) * 2017-04-06 2020-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US20180354558A1 (en) 2017-06-08 2018-12-1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cell vehicle
JP6888496B2 (ja) * 2017-06-08 2021-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JP6743769B2 (ja) * 2017-06-16 2020-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FR3073675B1 (fr) * 2017-11-14 2019-10-04 Safran Power Units Systeme de generation d'energie electrique nomade pour un aeronef comprenant une pile a combustible
JP6897578B2 (ja) * 2018-01-11 2021-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CN109204014B (zh) * 2018-08-31 2021-08-3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燃料电池汽车的尾排系统及燃料电池汽车
JP6986047B2 (ja) * 2019-05-31 2021-1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DE102020105583A1 (de) * 2020-03-03 2021-09-09 Audi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Reduzierung der Feinstaubbelastung während der Fahrt eines Kraftfahrzeugs sowie Kraftfahrzeu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8023A (en) 1948-06-22 1951-06-26 William C Walsh Exhaust attachment
JP2006196388A (ja) 2005-01-17 2006-07-27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車両
JP5249029B2 (ja) 2006-07-14 2013-07-31 大塚化学株式会社 ヒドラジン供給装置、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燃料電池システムを搭載した車両、ならびにヒドラジン供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8267A (en) 1963-04-30 1967-02-08 Arthur Joseph Moor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rust producing devices
US3833305A (en) * 1969-09-17 1974-09-03 Commercial Electronics Inc Gas analyzing apparatus
US3685615A (en) * 1970-04-06 1972-08-22 Tenneco Inc Exhaust diffuser
US3788417A (en) 1972-04-26 1974-01-29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Exhaust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s
US3952823A (en) * 1972-07-10 1976-04-27 Hinderks M V Vehicle gas extractor
GB1532746A (en) * 1976-06-17 1978-11-22 Toyo Kogyo Co Exhaust gas recirculation means
US4279223A (en) * 1978-05-15 1981-07-21 Csonka John J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saving and pollution-reducing system
US4402714A (en) * 1982-04-08 1983-09-06 Union Carbide Corporation Method for retarding corrosion in mufflers
DE4202232C1 (ko) 1992-01-28 1993-06-03 Thyssen Industrie Ag, 4300 Essen, De
DE4229541A1 (de) 1992-09-04 1994-03-10 Theodor Schultz Vorrichtung an Kraftfahrzeugen zur Verbesserung der Radhaftung bei Schnee- und Eisglätte
JP2002165309A (ja) * 2000-11-20 2002-06-07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式四輪自動車
DE10262172B4 (de) 2001-01-18 2008-06-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oyota On-Board-Brennstoffzellensystem zum Abgeben von Wasserstoffabgas
JP4470346B2 (ja) 2001-01-18 2010-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用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水素オフガス排出方法
CN101612882B (zh) * 2003-08-26 2012-09-0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移动体
JP4622313B2 (ja) * 2003-08-26 2011-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
RU2333845C2 (ru) 2003-08-26 2008-09-20 Тойота Дзидося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JP4622312B2 (ja) * 2003-08-26 2011-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CA2540326C (en) * 2003-10-03 2011-02-15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system and fuel cell automotive vehicle
JP2005222833A (ja) * 2004-02-06 2005-08-18 Toyota Motor Corp 移動体
JP2006196338A (ja) * 2005-01-14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9026498A (ja) 2007-07-17 2009-02-05 Nippon Soken Inc 燃料電池車両
JP2009135006A (ja) 2007-11-30 2009-06-18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962811B1 (ko) 2008-04-29 2010-06-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테일 트림 제조방법
JP2010218802A (ja) * 2009-03-16 2010-09-30 Toyota Industries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WO2011024234A1 (ja) 2009-08-28 2011-03-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装置
JP5811155B2 (ja) * 2013-10-07 2015-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の配管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燃料電池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8023A (en) 1948-06-22 1951-06-26 William C Walsh Exhaust attachment
JP2006196388A (ja) 2005-01-17 2006-07-27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車両
JP5249029B2 (ja) 2006-07-14 2013-07-31 大塚化学株式会社 ヒドラジン供給装置、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燃料電池システムを搭載した車両、ならびにヒドラジン供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21433A1 (en) 2016-08-04
JP2015074273A (ja) 2015-04-20
US9895967B2 (en) 2018-02-20
CN105658460A (zh) 2016-06-08
DE112014004617T5 (de) 2016-07-21
CN105658460B (zh) 2018-07-17
KR20160050065A (ko) 2016-05-10
WO2015052905A1 (ja) 2015-04-16
JP5811155B2 (ja)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548B1 (ko) 연료 전지용 배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연료 전지 차량
JP6529418B2 (ja) エアインテーク構造体及びこれを備えた燃料電池車
KR101508048B1 (ko)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JP2005153852A (ja) 移動体
KR101684111B1 (ko) 연료전지 차량용 소음기의 드레인 튜브 장치
CO6050062A1 (es) Maquina hidraulica y proceso para prevenir el desgaste de la maquina
TW200726688A (en) Windshield device of automobile with saddle seat
JP2012071633A (ja) 船舶の空気潤滑システム
JP2010001015A (ja) 移動体
EP1806485A3 (en) Muffler and vehicle equipped with muffler
US9878699B2 (en) Throttle disk of a hydraulic assembly of a vehicle brake system
JP2005121019A (ja) 車両の吸気装置
JP2006344476A (ja) 燃料電池の排出ガス希釈装置
JP5920240B2 (ja) 燃料電池用配管、燃料ガスの排出方法および接続管
JP2010196643A (ja) 車両におけるインタクーラへの走行風案内装置
JP2008201230A (ja) 鞍乗型車両
JP7099259B2 (ja) 燃料電池車両
KR101525763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JP2013015075A (ja) 車両用エンジンの冷却装置
JP200805296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21133764A (ja) ダクト構造
ATE392593T1 (de) Akkumulator für eine klimaanlage, insbesondere fahrzeugklimaanlage
JP2020135955A (ja) 燃料電池車両のマフラー
CN209323583U (zh) 挖土机
JP200522863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