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763B1 -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763B1
KR101525763B1 KR1020130134895A KR20130134895A KR101525763B1 KR 101525763 B1 KR101525763 B1 KR 101525763B1 KR 1020130134895 A KR1020130134895 A KR 1020130134895A KR 20130134895 A KR20130134895 A KR 20130134895A KR 101525763 B1 KR101525763 B1 KR 101525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hole
branch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306A (ko
Inventor
김경현
박상훈
신규진
성윤경
진형준
Original Assignee
(주)광진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윈텍 filed Critical (주)광진윈텍
Priority to KR102013013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763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42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with circulation of air through a layer inside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객 착좌시 승객의 신체와 경질로 된 에어덕트(20)와의 접촉을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승객의 착좌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폼패드(10)에 의한 에어유로의 막힘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통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VENTILATION SEAT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좌시 딱딱한 이물감을 없애서 착좌감을 개선하고, 공기유로의 막힘 현상을 개선해서 통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통풍시트를 적용한 기술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바, 종래의 통풍시트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설치홈(1a)이 형성된 폼패드(1), 상기 덕트설치홈(1a)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덕트구멍(2a)과 공기구멍(2b)이 형성된 에어덕트(2), 상기 덕트설치홈(1a)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폼패드(1)에 결합되는 것으로 공기가 통풍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패드커버(3), 상기 덕트구멍(2a)에 연결되는 송풍기덕트(4a)를 구비한 송풍기(4)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풍시트 장치는 덕트설치홈(1a)이 승객과 대면하는 윗면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 에어덕트(2)가 승객과 대면하는 윗방향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구조가 되는 바, 따라서 승객 착좌시 딱딱한 경질의 에어덕트(2)가 승객의 신체와 접촉함에 따라 이물감에 의한 착좌감이 나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구조는 승객 착좌시 패드커버(3)가 에어덕트(2)의 공기구멍(2b)을 직접 막게 되는 구조로, 이로 인해 통풍성능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4)에서 에어덕트(2)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화살표 M1)과 상기 에어덕트(2)내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화살표 M2)이 직각을 이루는 구조인 바, 상기와 같은 직각구조는 공기흐름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통풍성능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송풍기(4)에서 에어덕트(2)로 공기가 이동할 때에(화살표 M1) 에어덕트(2)의 넓은 면적(P1, 상부면)에 공기가 직접 부딪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는 에어덕트(2)내의 압력이 덕트구멍(2a)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증가하는 구조로, 즉 송풍기덕트(4a)가 연결된 덕트구멍(3a) 주변은 압력이 낮기 때문에 덕트구멍(2a)의 주변에 있는 공기구멍(2b)으로 토출되는 풍량은 적고, 상대적으로 덕트구멍(2a)과 멀리 떨어진 부위는 압력이 높기 때문에 이 부위의 공기구멍(2b)으로 토출되는 풍량은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는 바, 따라서 토출되는 풍량이 공기구멍(2b)마다 균일하지 못함에 따라 통풍성능 감소 및 승차감을 감소시키는 단점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미국특허공보 US 6,786,541 B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바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승객 착좌시 에어덕트에 의한 딱딱한 이물감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착좌감 및 승차감을 개선하고, 승객 착좌시 패드커버에 의한 에어덕트의 유로 막힘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통풍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덕트내에서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함과 더불어 소음발생을 억제하고, 공기가 토출되는 모든 부위의 풍량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통풍성능 향상 및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는, 하측으로 개구된 덕트설치홈이 밑면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설치홈과 윗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공기구멍이 형성된 폼패드; 상기 덕트설치홈에 삽입되게 설치된 에어덕트; 및 상기 에어덕트와 송풍기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덕트는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서 양측으로 분기된 제1분기관과 제2분기관 및 상기 제1,2분기관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덕트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덕트는 상기 제1,2분기관과 연결되되 상기 제1,2분기관과는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분기관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기 연결관과 대면에는 부위에는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제1,2분기관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의 접촉면적을 선접촉으로 유도해서 소음을 줄이도록 하는 분기돌기가 상기 연결관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분기관은 상기 연결관에서 양측으로 분기되는 분기부 및 상기 분기부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부와 상기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공기의 원활한 흐름유도 및 소음방지를 위해 원호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분기관의 연장부에는 공기 토출을 위한 다수개의 송풍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덕트에는 공기 흡입을 위한 다수개의 흡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제1,2분기관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상기 연장부를 따라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은 공기의 원활한 흐름유도 및 소음방지를 위해 평행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에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주어서 상기 연장부의 내부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저항돌기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저항돌기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 형성된 송풍구를 제외한 나머지의 송풍구들 후단에 선택적으로 구비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설치홈은 상기 제1,2분기관이 삽입 설치되는 분기관홈 및 상기 중간덕트가 삽입 설치되는 중간덕트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구멍은 상기 분기관홈에 형성된 송풍구멍 및 상기 중간덕트홈에 형성된 흡입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구멍에는 상기 송풍구가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멍에는 상기 흡입구가 삽입되게 설치되되; 상기 송풍구와 상기 흡입구의 길이는 승객 착좌시 승객 신체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송풍구멍 및 상기 흡입구멍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구와 상기 흡입구의 길이는 승객 신체와의 접촉 방지 및 막힘방지를 위해 상기 송풍구멍 및 상기 흡입구멍의 길이에 대해 50%를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구멍과 상기 흡입구멍은 양단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형 단면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와 상기 흡입구는 조립의 용이성 및 승객 착좌시 폼패드와의 마찰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형 단면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구멍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폼패드의 표면에 결합되는 에어메쉬; 및 상기 에어메쉬를 감싸는 통기성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풍시트 장치는, 승객 착좌시 승객의 신체가 경질로 된 에어덕트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승객의 착좌감 및 승차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승객 착좌시 폼패드의 눌림에 의한 송풍구 및 흡입구의 막힘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통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송풍구마다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통풍성능 향상 및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풍장치가 설치된 차량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통풍시트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장치가 설치된 차량 시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시트 장치를 분해한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덕트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항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구와 흡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개구된 덕트설치홈(11)이 밑면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설치홈(11)과 윗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공기구멍(12)이 형성된 폼패드(10); 상기 덕트설치홈(11)에 삽입되게 설치된 에어덕트(20); 및 상기 에어덕트(20)와 송풍기(30)를 연결하는 연결관(4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통풍장치는 딱딱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 에어덕트(20)가 폼패드(10)의 밑면에서부터 폼패드(1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설치된 구조로, 이를 통해 승객 착좌시 승객의 신체가 경질로 된 에어덕트(2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승객의 착좌감 및 승차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송풍기(40)는 에어덕트(20)의 하측에서 별도의 브라켓(미도시)를 매개로 시트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또한 에어덕트(20)와는 이격되게 설치된 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40)은 승객 착좌시 에어덕트(20)의 유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flexible) 기능을 구비한 주름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에어덕트(20)는 상기 연결관(40)의 일단에서 양측으로 분기된 제1분기관(21)과 제2분기관(22) 및 상기 제1,2분기관(21,22)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덕트(23)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분기관(21)과 제2분기관(22)은 상기 연결관(40)을 통해 공기가 이동하는 덕트이며, 상기 중간덕트(23)는 상기 제1,2분기관(21,22)과 연결되게 구성되되 상기 제1,2분기관(21,22)과는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된 구성이다.
상기 중간덕트(23)는 후술하는 흡입구(26)를 통해 송풍기(30)로 공기를 흡입하는 덕트가 된다.
상기 제1,2분기관(21,22)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기 연결관(40)과 대면에는 부위에는 상기 연결관(40)에서 상기 제1,2분기관(21,22)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의 접촉면적을 선접촉으로 유도해서 소음을 줄이도록 하는 분기돌기(24)가 상기 연결관(40)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즉, 분기돌기(24)가 없으면 연결관(40)에서 에어덕트(20)로 유입되는 공기(화살표 M3)는 연결관(40)과 대면하는 에어덕트(20)의 평면부에 부딪치게 됨으로써 공기접촉에 의한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연결관(40)에서 에어덕트(20)로 공기가 유입되는 부위에 선단이 뾰족한 모양을 갖는 분기돌기(24)를 형성하게 되면, 연결관(40)에서 에어덕트(20)로 유입되는 공기(화살표 M3)가 뾰족한 분기돌기(24)와 선접촉을 하게 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종기가 평면에 부딪칠때보다 공기접촉에 의한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분기관(21,22)은 상기 연결관(40)에서 양측으로 분기되는 분기부(21a,22a) 및 상기 분기부(21a,22a)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21b,22b)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부(21a,22a)와 상기 연장부(21b,22b)를 연결하는 연결부(21c,22c)는 공기의 원활한 흐름유도 및 소음방지를 위해 원호곡면으로 형성된 구조가 된다.
상기 연결부(21c,22c)의 곡률은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 다양한 곡률로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2분기관(21,22)의 연장부(21b,22b)에는 공기 토출을 위한 다수개의 송풍구(25)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덕트(23)에는 공기 흡입을 위한 다수개의 흡입구(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송풍기(30)의 작동에 의해 송풍기(30)로 흡입된 공기는 연결관(40)을 통해 제1,2분기관(21,22)으로 분기된 후 송풍구(25)를 통해 토출되고, 상기 송풍구(25)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다시 흡입구(26)를 통해 중간덕트(23)로 흡입된 후 송풍기(30)와 연결관(40)의 순환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송풍기(30)는 에어덕트(20)의 하부에 에어덕트(2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기(30)가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흡입구(26)를 통해 중간덕트(23)로 흡입된 공기만 흡입하는 것이 아니라 시트 주변의 외부공기도 함께 흡입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공기의 흡입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통풍 성능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연결관(40)에서 상기 제1,2분기관(21,22)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화살표 M3)과 상기 연장부(21b,22b)를 따라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화살표 M4)은 공기의 원활한 흐름유도 및 소음방지를 위해 평행하게 된 구성이 된다.
즉, 종래에는 송풍기에서 에어덕트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화살표 M1)과 에어덕트를 따라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화살표 M2)이 서로 직각인 구조로, 이로 인해 공기흐름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고, 이 결과 통풍성능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연결관(40)을 통해 에어덕트(20)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화살표 M3)과 에어덕트(20)의 연장부(21b,22b)를 따라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화살표 M4)이 서로 평행한 구조로, 이를 통해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원활히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음방지 및 통풍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연장부(21b,22b)에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주어서 상기 연장부(21b,22b)의 내부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저항돌기(27)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저항돌기(27)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부(21b,22b)의 말단에 형성된 송풍구(25)를 제외한 나머지의 송풍구들 후단에 선택적으로 구비되게 형성된 구조이다.
즉, 연결관(40)을 통해 에어덕트(20)로 유입된 공기는 분기부(21a,22a)와 연결부(21c,22c)를 통해 연장부(21b,22b)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공기의 흐름방향을 따라 연결부(21c,22c)와 인접한 첫 번째 송풍구(25) 부위의 압력은 낮은 압력이 되고, 연장부(21b,22b)의 말단에 위치한 송풍구(25) 부위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된다.
연결부(21c,22c)와 인접한 첫 번째 송풍구(25)는 낮은 내부압력으로 인해 토출되는 풍량이 작고, 첫 번째 송풍구(25)에서 연장부(21b,22b)의 말단으로 갈수록 내부압력이 점차 높아지므로 이에 비례해서 연장부(21b,22b)의 말단으로 갈수록 두 번째 송풍구(25)부터는 토출되는 풍량이 많아지게 되는 바, 이 결과 송풍구(25)를 통해 토출되는 풍량이 균일하지 못함에 따라 통풍성능 감소 및 승차감을 감소시키는 단점도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연장부(21b,22b)의 말단에 형성된 송풍구(25)를 제외한 나머지의 송풍구들 후단에 선택적으로 저항돌기(27)를 형성하게 되면, 즉 본 발명의 도면에서와 같이 공기의 흐름방향을 따라 두 번째의 송풍구(25) 후단과 세 번째의 송풍구(25) 후단에 각각 저항돌기(27)를 형성하게 되면, 공기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내부압력이 국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또한 튜닝을 통해 저항돌기(27)의 개수와 크기 등을 조절해주면 연장부(21b,22b) 전체의 내부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송풍구(25)마다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통풍성능 향상 및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폼패드(10)에 형성된 덕트설치홈(11)은 상기 제1,2분기관(21,22)이 삽입 설치되는 분기관홈(11a) 및 상기 중간덕트(23)가 삽입 설치되는 중간덕트홈(11b)으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구멍(12)은 상기 분기관홈(11a)에 형성된 송풍구멍(12a) 및 상기 중간덕트홈(11b)에 형성된 흡입구멍(12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구멍(12a)에는 상기 송풍구(25)가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멍(12b)에는 상기 흡입구(26)가 삽입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송풍구(25)와 상기 흡입구(26)의 길이(L1)는 승객 착좌시 승객 신체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송풍구멍(12a) 및 상기 흡입구멍(12b)의 길이(L2)보다 작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승객 착좌시의 상황을 고려해서 승객 신체와의 접촉 방지 및 폼패드(10)의 눌림에 의한 막힘방지를 위해 상기 송풍구(25)와 상기 흡입구(26)의 길이(L1)는 상기 송풍구멍(12a) 및 상기 흡입구멍(12b)의 길이(L2)에 대해 50%를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송풍구멍(12a)과 상기 흡입구멍(12b)은 양단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형 단면으로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송풍구(25)와 상기 흡입구(26)는 조립의 용이성 및 승객 착좌시 폼패드(10)와의 마찰면적을 줄임으로써 마찰에 의한 소음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형 단면으로 형성된 구조가 된다.
즉, 송풍구(25) 및 흡입구(26)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형 단면으로 형성되면, 송풍구(25) 상측부와 송풍구멍(12a)사이 또는 흡입구(26 상측부와 흡입구멍(12b)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갭(G1)이 발생하게 되는 바, 상기 갭(G1)에 의해 폼패드(10)와 송풍구(25)의 마찰면적 또는 폼패드(10)와 흡입구(26)의 마찰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승객 착좌시 마찰에 의한 소음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폼패드(10)의 공기구멍(12)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폼패드(10)의 표면에 결합되는 에어메쉬(50); 및 상기 에어메쉬(50)를 감싸는 통기성 커버(6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풍시트 장치는, 딱딱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 에어덕트(20)가 폼패드(10)의 밑면에서부터 폼패드(1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설치됨에 따라, 승객 착좌시 승객의 신체가 경질로 된 에어덕트(2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승객의 착좌감 및 승차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객 착좌시 폼패드(10)의 눌림에 의한 송풍구(25) 및 흡입구(26)의 막힘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통풍성능 향상 및 이를 통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관(40)을 통해 에어덕트(20)로 공기가 유입되는 부위에 분기돌기(24)를 형성해서 공기의 선접촉을 유도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공기접촉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고, 특히 에어덕트(20)내에서 공기의 흐름이 바뀌는 연결부(21c,22c)를 원호곡면으로 형성함에 따라 공기의 원활한 흐름유도 및 공기 흐름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관(40)에서 에어덕트(20)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상기 에어덕트(20)의 연장부(21b,22b)를 따라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이 서로 평행한 구조가 됨으로써 공기의 원활한 흐름유도 및 공기 흐름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부(21b,22b)에 형성된 저항돌기(27)를 통해 연장부(21b,22b) 전체의 내부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송풍구(25)마다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통풍성능 향상 및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폼패드 11 - 덕트설치홈
12 - 공기구멍 20 - 에어덕트
21 - 제1분기관 22 - 제2분기관
23 - 중간덕트 24 - 분기돌기
25 - 송풍구 26 - 흡입구
27 - 저항돌기 30 - 송풍기
40 - 연결관

Claims (12)

  1. 하측으로 개구된 덕트설치홈이 밑면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설치홈과 윗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공기구멍이 형성된 폼패드;
    상기 덕트설치홈에 삽입되게 설치된 에어덕트; 및
    상기 에어덕트와 송풍기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덕트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폼패드의 공기구멍 하부에 삽입되는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덕트에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덕트의 말단에 형성된 송풍구를 제외한 나머지 송풍구들의 하류측에서 송풍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에어덕트의 상단 내측면에서 하방으로 저항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구멍은 상단과 하단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형 단면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는 조립의 용이성 및 승객 착좌시 폼패드와의 마찰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형 단면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구멍의 하단과 송풍구의 하단은 외경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송풍구는 공기구멍과 면접촉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조립위치가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는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서 양측으로 분기된 제1분기관과 제2분기관 및 상기 제1,2분기관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덕트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덕트는 상기 제1,2분기관과 연결되되 상기 제1,2분기관과는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분기관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기 연결관과 대면에는 부위에는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제1,2분기관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의 접촉면적을 선접촉으로 유도해서 소음을 줄이도록 하는 분기돌기가 상기 연결관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분기관은 상기 연결관에서 양측으로 분기되는 분기부 및 상기 분기부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부와 상기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공기의 원활한 흐름유도 및 소음방지를 위해 원호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2분기관의 연장부에는 공기 토출을 위한 다수개의 송풍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덕트에는 공기 흡입을 위한 다수개의 흡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제1,2분기관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상기 연장부를 따라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은 공기의 원활한 흐름유도 및 소음방지를 위해 평행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7. 삭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덕트설치홈은 상기 제1,2분기관이 삽입 설치되는 분기관홈 및 상기 중간덕트가 삽입 설치되는 중간덕트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구멍은 상기 분기관홈에 형성된 송풍구멍 및 상기 중간덕트홈에 형성된 흡입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멍에는 상기 송풍구가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멍에는 상기 흡입구가 삽입되게 설치되되;
    상기 송풍구와 상기 흡입구의 길이는 승객 착좌시 승객 신체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송풍구멍 및 상기 흡입구멍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와 상기 흡입구의 길이는 승객 신체와의 접촉 방지 및 막힘방지를 위해 상기 송풍구멍 및 상기 흡입구멍의 길이에 대해 50%를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구멍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폼패드의 표면에 결합되는 에어메쉬; 및
    상기 에어메쉬를 감싸는 통기성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KR1020130134895A 2013-11-07 2013-11-07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KR101525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895A KR101525763B1 (ko) 2013-11-07 2013-11-07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895A KR101525763B1 (ko) 2013-11-07 2013-11-07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306A KR20150053306A (ko) 2015-05-18
KR101525763B1 true KR101525763B1 (ko) 2015-06-08

Family

ID=5338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895A KR101525763B1 (ko) 2013-11-07 2013-11-07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807B1 (ko) * 2015-09-10 2016-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워머가 구비된 시트
FR3072621B1 (fr) * 2017-10-20 2020-01-10 Renault S.A.S. Assise de siege ventile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7760A (ja) * 2007-09-25 2009-04-16 Toyota Boshoku Corp 空調シート
KR101180702B1 (ko) * 2012-03-07 2012-09-07 (주)광진윈텍 자동차용 통풍시트
KR101244869B1 (ko) * 2012-12-03 2013-03-19 조동연 차량용 통풍시트의 송풍덕트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7760A (ja) * 2007-09-25 2009-04-16 Toyota Boshoku Corp 空調シート
KR101180702B1 (ko) * 2012-03-07 2012-09-07 (주)광진윈텍 자동차용 통풍시트
KR101244869B1 (ko) * 2012-12-03 2013-03-19 조동연 차량용 통풍시트의 송풍덕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306A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23132B (zh) 风扇
JP2009248928A (ja) 車両用吸気ダクト
CN102171099B (zh) 用于飞机空调系统的侧向供给器空气导向元件
CN105889035A (zh) 风扇
JP2005300146A (ja) 車両の換気装置のための空気案内装置
CN105814367A (zh) 用于排气装置的吸声元件
US9039499B2 (en) Air guiding element having a flow control element
KR101745217B1 (ko) 송풍기 하우징의 냉각 공기 인터페이스
KR101525763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JP2012246933A (ja) 車両用吸気ダクト
JP2008528364A (ja) 換気装置を備えた車両シート
KR101529089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KR101525765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JP5163282B2 (ja) デフロスタノズル構造
JP2005034345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KR101735047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KR101525764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JP5698033B2 (ja) ダクト装置
KR101529090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JP2010059790A (ja) 吸気ダクト
JP7243559B2 (ja) 車両用の空調ダクト
JP2007333308A (ja) 空気調和装置
JP5052453B2 (ja) 通気ダクト
JP2014231263A (ja) 空調ダクト
KR20200139476A (ko) 차량용 수냉통풍시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