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765B1 -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765B1
KR101525765B1 KR1020140023012A KR20140023012A KR101525765B1 KR 101525765 B1 KR101525765 B1 KR 101525765B1 KR 1020140023012 A KR1020140023012 A KR 1020140023012A KR 20140023012 A KR20140023012 A KR 20140023012A KR 101525765 B1 KR101525765 B1 KR 101525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ssenger
foam pad
cover plat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규진
진형준
성윤경
김경현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주)광진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윈텍 filed Critical (주)광진윈텍
Priority to KR102014002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sucked from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폼패드(10)에 직접 유로(12)가 형성되고, 유로(12)를 커버링하는 커버플레이트(20)와 커버플레이트(20)에 결합된 저항돌기(30)가 이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저항돌기(30)를 이용해서 송풍홀(13)이 형성된 유로(12)의 내부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켜서 승객의 착좌감과 승차감 향상 및 통풍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VENTILATION SEAT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 착좌시 딱딱한 이물감을 없애서 착좌감을 개선하고, 통풍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통풍시트를 적용한 기술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바, 종래의 통풍시트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설치홈(1a)이 형성된 폼패드(1), 상기 덕트설치홈(1a)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덕트구멍(2a)과 공기구멍(2b)이 형성된 에어덕트(2), 상기 덕트설치홈(1a)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폼패드(1)에 결합되는 것으로 공기가 통풍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패드커버(3), 상기 덕트구멍(2a)에 연결되는 송풍기덕트(4a)를 구비한 송풍기(4)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풍시트 장치는 승객의 착좌면에 딱딱한 경질의 에어덕트(2)가 승객의 신체와 접촉하게 설치된 구조인 바, 이로 인해 승객 착좌시 경질의 에어덕트(2)로 인해 이물감을 느끼게 됨으로써 착좌감이 나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구조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에어덕트(2)를 별도로 구성해서 폼패드(1)에 설치한 구조로, 에어덕트(2)에 의한 부품수 증가와 중량 증가 및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종래 구조는 에어덕트(2)내의 압력이 덕트구멍(2a)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증가하는 구조로, 즉 송풍기덕트(4a)가 연결된 덕트구멍(2a) 주변은 압력이 낮기 때문에 덕트구멍(2a)의 주변에 있는 공기구멍(2b)으로 토출되는 풍량은 적고, 상대적으로 덕트구멍(2a)과 멀리 떨어진 부위는 압력이 높기 때문에 이 부위의 공기구멍(2b)으로 토출되는 풍량은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는 바, 따라서 토출되는 풍량이 공기구멍(2b)마다 균일하지 못함에 따라 통풍성능 감소 및 승차감을 감소시키는 단점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미국특허공보 US 6,786,541 B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바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승객 착좌시 딱딱한 이물감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착좌감 및 승차감을 개선하고, 폼패드에 직접 유로를 형성함에 따라 에어덕트를 사용하지 않게 됨으로써 부품수 감축과 중량 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폼패드에 형성된 유로에서 승객을 향해 공기가 토출되는 모든 부위의 풍량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통풍성능 향상 및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는, 승객 착좌면의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와 상기 승객 착좌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송풍홀이 형성된 폼패드; 상기 폼패드에 결합되어서 상기 유로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관통한 부위가 상기 유로내에 위치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발생시켜서 상기 유로의 내부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저항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가 형성되지 않은 폼패드 부위에서 승객 착좌면과 상기 착좌면의 반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개의 흡입홀; 상기 승객 착좌면의 반대측에서 상기 흡입홀과 이격되게 설치된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와 상기 유로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유로와 연결된 일단이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승객 착좌시 시트 서스펜션과의 접촉에 의해 외형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질의 사출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돌기는 승객 착좌시 승객이 딱딱한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돌기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저항돌기를 끼움결합하기 위한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저항돌기에는 상기 결합구멍을 관통한 후 상기 결합구멍의 테두리에 걸려지는 탄성걸림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돌기에서 상기 유로로 돌출된 부위의 선단은 승객이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유로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객 착좌시에도 상기 폼패드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돌기에서 상기 유로로 돌출된 부위의 선단은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주면서 동시에 공기가 상기 유로를 따라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삼각 단면 모양이나 또는 라운드 단면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기는 송풍기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송풍기브라켓은 상기 송풍기가 상기 폼패드와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시트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은 승객 착좌시 상기 폼패드의 유동을 흡수할 있도록 플렉시블(flexible) 기능을 구비한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는 상기 폼패드의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폼패드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제2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에 상기 다수개의 송풍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개의 송풍홀은 상기 제2연장부에서 상기 제1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쪽에 밀집된 후방홀들과 상기 제2연장부의 끝부분쪽에 밀집된 전방홀들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돌기에서 상기 유로로 돌출된 부위는 상기 후방홀들 중에서 최전방 후방홀의 전방에 위치하고 동시에 상기 최전방 후방홀의 전방쪽 테두리에 겹쳐지는 구조가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홀은 착좌 승객에 의한 상기 폼패드의 눌림 변형이 최대한 적게 발생하는 부위로 상기 폼패드의 후방쪽 가운데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풍시트 장치는, 유로 형성을 위한 에어덕트를 사용하지 않고 폼패드에 직접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부품수 감축과 중량 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로를 커버링하는 커버플레이트와 커버플레이트에 결합된 저항돌기를 이종재질로 형성해서, 승객 착좌시 경질재질의 커버플레이트에 의한 유로의 막힘현상을 예방함으로써 통풍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탄성을 구비한 저항돌기를 통해 승객 착좌시 승객이 딱딱한 이물감을 느끼지 않게 됨으로써 승객의 착좌감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송풍홀을 구성하는 후방홀과 전방홀사이에 저항돌기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저항돌기를 통해 송풍홀이 형성된 유로의 내부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송풍홀마다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통풍성능 향상 및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통풍시트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의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4의 저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를 설명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항돌기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 착좌면(11)의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유로(12)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2)와 상기 승객 착좌면(11)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송풍홀(13)이 형성된 폼패드(10); 상기 폼패드(10)에 결합되어서 상기 유로(12)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커버플레이트(20);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20)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20)를 관통한 부위가 상기 유로(12)내에 위치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유로(1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발생시켜서 상기 유로(12)의 내부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저항돌기(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풍시트 장치는 상기 유로(12)가 형성되지 않은 폼패드(10) 부위에서 승객 착좌면(11)과 상기 착좌면(11)의 반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개의 흡입홀(14); 상기 승객 착좌면(11)의 반대측에서 상기 흡입홀(11)과 이격되게 설치된 송풍기(40); 및 상기 송풍기(40)와 상기 유로(12)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유로(12)와 연결된 일단이 상기 커버플레이트(20)를 관통하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연결관(5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풍시트 장치는 폼패드(10)에 직접 유로(12)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2)가 커버플레이트(20)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로, 이를 통해 종래와 같은 에어덕트를 사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부품수 감축과 중량 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로(12)내에 저항돌기(30)가 위치하는 구조로, 상기 저항돌기(30)를 통해 유로(12)내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모든 송풍홀(13)들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바, 상기 저항돌기(30)에 대해서는 이하의 서술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0)는 승객 착좌시 상기 폼패드(10)의 저면에 배치되는 시트 서스펜션(스프링)과의 접촉에 의해 외형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질의 사출물(플라스틱)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 이외에도 시트의 중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경질의 재질로도 형성이 가능할 것이다.
만약, 폼패드(10)에 승객 착좌시 커버플레이트(20)가 시트 서스펜션(스프링)과의 접촉에 의해 외형이 변하게 되면, 상기 커버플레이트(20)의 변형에 의해 유로(12)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럴 경우 송풍홀(13)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감소됨에 따라 통풍성능이 감소할 우려가 있는 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상기 커버플레이트(20)는 경질의 사출물(플라스틱)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저항돌기(30)는 승객 착좌시 승객이 딱딱한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승객의 착좌감 및 승차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저항돌기(30)는 상기 커버플레이트(20)에 끼움결합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커버플레이트(20)에는 상기 저항돌기(30)를 끼움결합하기 위한 결합구멍(21)이 형성되고, 상기 저항돌기(30)에는 상기 결합구멍(21)을 관통한 후 상기 결합구멍(21)의 테두리에 걸려지는 탄성걸림리브(31)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커버플레이트(20)와 저항돌기(30)가 서로 분리 가능한 이중 구조로 구성되면, 시트의 종류에 따라 폼패드(10)의 유로(12)형상이 변경될 경우 변경된 유로의 형상에 맞도록 저항돌기(3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저항돌기(30)에서 상기 유로(12)로 돌출된 부위의 선단은 승객이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유로(12)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객 착좌시에도 상기 폼패드(10)와 접촉하지 않는 구조가 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항돌기(30)에서 상기 유로(12)로 돌출된 부위의 선단은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주면서 동시에 공기가 상기 유로(12)를 따라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삼각 단면 모양이나 또는 라운드 단면 모양으로 형성된 구조가 된다.
즉, 도 8과 같이 유로(12)를 따라 이동하던 공기가 유로(12)내로 돌출된 저항돌기(30)의 선단과 부딪치게 되면, 일부의 공기는 저항돌기(30)의 선단의 형상에 의해 위로 상승한 후 송풍홀(13)로 토출되고(화살표 M1), 나머지 공기는 저항돌기(30)의 선단을 타고 넘은 후 계속해서 유로(1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화살표 M1)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40)는 송풍기브라켓(60)과 결합된 구조이고, 상기 송풍기브라켓(60)은 상기 송풍기(40)가 상기 폼패드(10)와 이격된 상태이면서 상기 흡입홀(14)의 저부에 위치한 상태가 되도록 시트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게 설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와 같이 송풍기(40)가 흡입홀(14)의 저부에서 폼패드(1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면, 송풍기(40)가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흡입홀(14)을 통해 흡입된 공기뿐만 아니라 폼패드(10) 주변의 외부공기도 함께 흡입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공기의 흡입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통풍성능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관(50)은 승객 착좌시 폼패드(10)의 유동을 흡수할 있도록 플렉시블(flexible) 기능을 구비한 주름관인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통해 연결관(50)의 빠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로(12)는 상기 폼패드(10)의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2a)와 상기 제1연장부(12a)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폼패드(1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제2연장부(12b)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12b)에 상기 다수개의 송풍홀(13)이 형성된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송풍홀(13)은 상기 제2연장부(12b)에서 상기 제1연장부(12a)와 연결된 부분쪽에 밀집된 후방홀(13a)들과 상기 제2연장부(12b)의 끝부분쪽에 밀집된 전방홀(13b)들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돌기(30)에서 상기 유로(12)로 돌출된 부위는 상기 후방홀(13a)들 중에서 최전방 후방홀(13a)의 전방에 위치하고 동시에 상기 최전방 후방홀(13a)의 전방쪽 테두리에 겹쳐지는 구조가 되도록 설치된 구조가 된다.
즉, 연결관(50)을 통해 유로(12)로 유입된 공기는 제1연장부(12a)를 지나서 제2연장부(12b)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2연장부(12b)에서 후방홀(13a)들이 형성된 부위의 압력은 낮은 압력이 되고, 제2연장부(12b)에서 전방홀(13b)들이 형성된 끝단부위의 압력은 상기 후방홀(13a)들이 형성된 부위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된다.
따라서, 후방홀(13a)들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은 낮은 내부압력으로 인해 풍략이 작고, 전방홀(13b)들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은 높은 내부압력으로 인해 풍량이 많아지게 되는 바, 이 결과 송풍홀(13)들을 통해 토출되는 풍량이 균일하지 못함에 따라 통풍성능 감소 및 승차감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후방홀(13a)들 중에서 최전방 후방홀(13a)의 전방에 저항돌기(30)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후방홀(13a)을 통과한 공기가 저항돌기(30)에 부딪히게 됨에 따라 저항돌기(30)부근이 내부압력이 상승해서 높아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전방홀(13b)들이 형성된 제2연장부(12b)의 끝단부위 내부압력은 하강해서 낮아지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제2연장부(12b)에서 후방홀(13a)들이 형성된 부위와 전방홀(13b)들이 형성된 부위의 내부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송풍홀(13)마다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통풍성능 향상 및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홀(14)은 착좌 승객에 의한 상기 폼패드(10)의 눌림 변형이 최대한 적게 발생하는 부위로 상기 폼패드(10)의 후방쪽 가운데 부위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풍시트 장치는, 폼패드(10)에 직접 유로(12)가 형성됨으로써 유로 형성을 위한 에어덕트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부품수 감축과 중량 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로(12)를 커버링하는 커버플레이트(20)를 경질의 사출물(플라스틱)로 형성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20)에 결합된 저항돌기(30)를 고무와 같은 탄성돌기로 형성한 구조로, 즉 커버플레이트(20)와 저항돌기(30)를 이종재질로 형성한 구조로, 승객 착좌시 커버플레이트(20)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커버플레이트(20)에 의한 유로(12)의 막힘현상을 예방해서 통풍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탄성을 구비한 저항돌기(30)를 통해 승객 착좌시 승객이 딱딱한 이물감을 느끼지 않게 됨으로써 승객의 착좌감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플레이트(20)와 저항돌기(30)가 서로 분리 가능한 이중 구조로서, 이를 통해 시트의 종류에 따라 폼패드(10)의 유로(12)형상이 변경될 경우 변경된 유로의 형상에 맞도록 저항돌기(3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항돌기(30)에서 유로(12)로 돌출된 부위의 선단이 승객 착좌시에도 상기 폼패드(10)와 접촉하지 않는 구조가 됨으로써 승객이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저항돌기(30)에 의한 유로(12)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기(40)가 흡입홀(14)의 저부에서 폼패드(1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송풍기(40)가 공기를 흡입할 때에 흡입홀(14)을 통해 흡입된 공기뿐만 아니라 폼패드(10) 주변의 외부공기도 함께 흡입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공기의 흡입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통풍성능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홀(13a)과 전방홀(13b)사이에 저항돌기(30)가 돌출되게 설치된 구조로, 상기 저항돌기(30)를 통해 송풍홀(13)이 형성된 제2연장부(12b)의 내부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송풍홀(13)마다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통풍성능 향상 및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폼패드 11 - 승객 착좌면
12 - 유로 12a - 제1연장부
12b - 제2연장부 13 - 송풍홀
13a - 후방홀 13b - 전방홀
14 - 흡입홀 20 - 커버플레이트
30 - 저항돌기 40 - 송풍기
50 - 연결관

Claims (13)

  1. 승객 착좌면의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와 상기 승객 착좌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송풍홀이 형성된 폼패드;
    상기 폼패드에 결합되어서 상기 유로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관통한 부위가 상기 유로내에 위치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발생시켜서 상기 유로의 내부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저항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폼패드의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폼패드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제2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에 상기 다수개의 송풍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송풍홀은 상기 제2연장부에서 상기 제1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쪽에 밀집된 후방홀들과 상기 제2연장부의 끝부분쪽에 밀집된 전방홀들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돌기에서 상기 유로로 돌출된 부위는 상기 후방홀들 중에서 최전방 후방홀의 전방에 위치하고 동시에 상기 최전방 후방홀의 전방쪽 테두리에 겹쳐지는 구조가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 형성되지 않은 폼패드 부위에서 승객 착좌면과 상기 착좌면의 반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개의 흡입홀;
    상기 승객 착좌면의 반대측에서 상기 흡입홀과 이격되게 설치된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와 상기 유로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유로와 연결된 일단이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승객 착좌시 시트 서스펜션과의 접촉에 의해 외형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질의 사출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돌기는 승객 착좌시 승객이 딱딱한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돌기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저항돌기를 끼움결합하기 위한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저항돌기에는 상기 결합구멍을 관통한 후 상기 결합구멍의 테두리에 걸려지는 탄성걸림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돌기에서 상기 유로로 돌출된 부위의 선단은 승객이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유로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객 착좌시에도 상기 폼패드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돌기에서 상기 유로로 돌출된 부위의 선단은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주면서 동시에 공기가 상기 유로를 따라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삼각 단면 모양이나 또는 라운드 단면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송풍기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송풍기브라켓은 상기 송풍기가 상기 폼패드와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시트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승객 착좌시 상기 폼패드의 유동을 흡수할 있도록 플렉시블(flexible) 기능을 구비한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홀은 착좌 승객에 의한 상기 폼패드의 눌림 변형이 최대한 적게 발생하는 부위로 상기 폼패드의 후방쪽 가운데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KR1020140023012A 2014-02-27 2014-02-27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KR101525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012A KR101525765B1 (ko) 2014-02-27 2014-02-27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012A KR101525765B1 (ko) 2014-02-27 2014-02-27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765B1 true KR101525765B1 (ko) 2015-06-08

Family

ID=5350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012A KR101525765B1 (ko) 2014-02-27 2014-02-27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7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476B1 (ko) 2016-11-11 2017-09-27 (주)광진윈텍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KR20210106097A (ko) 2020-02-20 2021-08-3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백 통풍장치
US20220371486A1 (en) * 2021-05-18 2022-11-24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Vehicle seat assembly and associated assembly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8334A (ja) * 2002-06-04 2004-01-15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
KR101180702B1 (ko) * 2012-03-07 2012-09-07 (주)광진윈텍 자동차용 통풍시트
KR20130056098A (ko) * 2011-11-21 2013-05-29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통풍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8334A (ja) * 2002-06-04 2004-01-15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
KR20130056098A (ko) * 2011-11-21 2013-05-29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통풍시트
KR101180702B1 (ko) * 2012-03-07 2012-09-07 (주)광진윈텍 자동차용 통풍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476B1 (ko) 2016-11-11 2017-09-27 (주)광진윈텍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KR20210106097A (ko) 2020-02-20 2021-08-3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백 통풍장치
US20220371486A1 (en) * 2021-05-18 2022-11-24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Vehicle seat assembly and associated assembly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9243B2 (ja) 通気装置
WO2018079041A1 (ja) 通風シートおよび座席空調装置
KR101525765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JP5419218B2 (ja) ダクト入りシートクッション
ATE425044T1 (de)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mit mitteln zur ablenkung des ventilationsstroms basierend auf dem coanda-effekt
JP2010000273A (ja) 通気装置を備える車両用シート
CN107685608B (zh) 车辆用空调装置
JP5474151B2 (ja) 車両用吸気ダクト
KR101529089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KR101529090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US20190270362A1 (en) Noise-dampening pressure relief assembly
KR101525766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KR101525763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US10625642B2 (en) Ventilation seat of vehicle
KR101565776B1 (ko) 차량용 시트의 통풍장치
KR101525764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US10663084B2 (en) Noise-dampening pressure relief valve
CN108128223A (zh) 车辆座椅和包括符合人体工程学的通风系统的座椅元件
JP5176588B2 (ja) シート送風装置
KR102201521B1 (ko) 차량 통풍시트의 넥벤트 설치구조
KR20190058969A (ko) 통풍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시트
WO2019193914A1 (ja) シート空調装置、および、配風シート
KR101772536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KR102183196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8232892U (zh) 用于交通工具的乘坐系统和交通工具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