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747B1 -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및 조작 풀리 - Google Patents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및 조작 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747B1
KR101851747B1 KR1020127029244A KR20127029244A KR101851747B1 KR 101851747 B1 KR101851747 B1 KR 101851747B1 KR 1020127029244 A KR1020127029244 A KR 1020127029244A KR 20127029244 A KR20127029244 A KR 20127029244A KR 101851747 B1 KR101851747 B1 KR 10185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shaft
ball chain
torque
head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855A (ko
Inventor
에이지 카와이
하지메 나카무라
요시유키 하다노
타다시 오카무라
Original Assignee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3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06B9/304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with tilting bar and separate raising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4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lowerabl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a roller situated at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1Screens joined one below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5Pleated screens, e.g. concertina- or accordion-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E06B2009/3265Emergency release to prevent strangulation or excessive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페일세이프 기능을 구비하여 거주자 등의 거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통상의 조작시에는, 페일세이프 기능의 쓸데없는 작동을 방지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를 제공한다. 헤드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풀리로부터 무단형의 조작 코드가 수하되며, 조작 코드의 조작에 근거하여 풀리를 통하여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여, 차폐재를 구동하는 일사차폐 장치에 있어서, 조작 코드(16)는, 미리 설정된 제1인장력으로 이탈되는 연결부에서 연결되어 무단형으로 형성되어 풀리(15)와 구동축(11,12)의 사이에, 제1인장력이 상기 풀리에 주는 제1회전 토크보다 작은 제2회전 토크로 헛 도는 토크 리미터(18)를 개재시킨다.

Description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및 조작 풀리{OPERATION DEVICE FOR SOLAR SHADING DEVICE, LIFTING DEVICE FOR ROLL-UP SHADE, AND OPERATING PULLEY}
본 발명은, 페일세이프 (Fail safe) 기능을 가지는 조작 장치 및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1) 풀리에 걸려있는 무단형의 조작 코드를 조작하여 일사차폐재의 승강 조작 혹은 이송 조작을 행하는 일사차폐(日射遮蔽) 장치의 조작 장치, 2) 대향하는 벽면 사이에 헤드 박스를 지지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3) 승강 코드로 스크린의 하부 가장자리를 웨이트 막대기에 말아서 권취하며, 혹은 권취 해제함으로써 스크린을 승강 가능하게 하는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1) 페일세이프 기능을 구비한 조작 장치에 관하여
횡형 블라인드의 조작장치의 한 종류로서, 헤드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풀리에 무단형의 조작 코드가 걸려 있으며, 상기 조작 코드의 조작에 의하여 슬랫의 승강 조작 및 각도 조절 조작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횡형 블라인드에서, 헤드 박스의 한측 앞면(前面)에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풀리는 풀리 케이스에 덮어져 있다. 풀리에 매달려 지지된 조작 코드를 조작하면 풀리가 회전되며, 상기 풀리의 회전에 근거하여 헤드 박스내의 기어 박스를 통해 구동축이 회전된다.
또한, 구동축이 회전되면, 승강 코드를 통하여 저부 레일이 끌어 올려지며, 혹은 하강되어 슬랫이 승강된다. 또한, 래더 코드를 통하여 슬랫이 회동된다.
상기와 같이 횡형 블라인드에서는, 조작 코드의 무단연(無端緣)이 실내를 이동하는 거주자나 그 외의 가정용 도구에 걸려, 그것들의 거동을 불필요하게 제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작 코드가 통상의 조작시에 작용하는 조작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끌어당겨 졌을 때에는, 헤드 박스로부터 풀리를 탈락시켜, 거주자 등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조작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는, 조작 코드에 아래 쪽으로의 과대한 인장력(引張力)이 작용되면, 풀리 및 풀리 케이스를 낙하시켜서, 조작 코드에 걸림으로 인한 거주자 등의 거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 페일세이프 기능을 갖춘 조작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2) 욕실에 횡형 블라인드를 설치할 경우
종래에 욕실에 횡형 블라인드를 설치할 경우에, 헤드 박스를 지지하는 설치 브래킷을 벽면에 나사로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헤드 박스를 대향하는 벽면 사이에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가 실용화 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헤드 박스의 단부에 이동 축을 출몰(出沒) 가능하게 설치하며, 다이얼의 회동 조작에 의하여 헤드 박스 단부로부터의 이동 축의 돌출 길이를 조정하여 헤드 박스를 벽면 사이에 임시 유지(假保持)하며, 또한 조작 레버의 회동 조작에 의해 이동축을 벽면에 가압 접합시켜, 헤드 박스를 벽면 사이에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가 공개된다.
이러한 횡형 블라인드에서는, 대향하는 벽면 사이에 지지되는 헤드 박스의 일단으로부터 수하되는 볼 체인(조작 코드)을 조작함으로써, 슬랫의 승강 조작 및 각도 조절 조작이 가능해 진다.
3) 롤 업 블라인드에 있어서
롤 업 블라인드는, 헤드 박스에 스크린의 상단이 장착되며, 스크린의 하단은 둥근 막대 형상의 웨이트 바에 장착 되어 있다. 스크린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코드는, 그 일단이 헤드 박스의 배면에 장착되며, 타단부는 웨이트 바의 아래 쪽을 경과하여 헤드 박스내의 권취축에 궈취 가능하게 장착 되어 있다. 웨이트 바는 그 아래쪽으로 권취되어 승강 코드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장치에 의해 권취축을 회전시켜서, 승강 코드를 권취축에 권취할 때, 웨이트 바는 스크린을 권취하면서 상승시킨다. 또한, 권취축을 회전시켜서 승강 코드를 권취축으로부터 감아 되돌리면, 웨이트 바는 스크린을 감아 되돌리면서 하강한다.
특허문헌3에는, 경목 발(簾)을 스크린으로서 사용한 롤 업 블라인드가 공개되어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6116325호 일본 공개특허2001-207754호 일본 공개특허2006-283320호 공보 미국 등록특허 제6845803호
1) 페일 세이프 기능을 구비한 조작 장치
특허문헌1에 공개된 조작 장치에서는, 통상의 조작시에도 구동축의 부하가 증대되어 조작 코드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증대될 때, 풀리 및 풀리 케이스가 탈락되는 우려가 있다.
그리고, 풀리 및 풀리 케이스가 탈락되면, 풀리에 조작 코드를 다시 걸고, 상기 풀리 및 풀리 케이스를 헤드 박스에 장착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작업이 번잡해 진다.
본 발명의 제1관점의 목적은, 페일 세이프 기능을 구비한 거주자 등의 거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통상의 조작시에는, 페일 세이프 기능이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2) 욕실에 횡형 블라인드를 설치할 경우
또한, 상기와 같은 횡형 블라인드에서는, 예를 들면 슬랫이 상한까지 끌어 올려진 상태에서 볼 체인을 슬랫 인상 방향으로 더욱 조작하면, 볼 체인에 아래쪽으로 과대한 인장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헤드 박스가 낙하되거나, 헤드 박스내의 슬랫 조작 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관점의 목적은, 조작 코드의 조작에 의한 헤드 박스의 낙하 또는 조작 장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3) 롤 업 블라인드
또한, 상기와 같은 롤 업 블라인드에서는, 헤드 박스로부터 웨이트 바에 권취된 승강 코드가 실내를 이동하는 거주자나 그 외의 이동 물체에 걸려, 그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특허문헌4에는, 헤드 박스에 대하여 조인트 장치를 통하여 승강 코드를 장착한 블라인드가 공개된다. 상기 조인트 장치는, 승강 코드에 과대한 인장력이 작용할 때, 승강 코드와 헤드 박스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게끔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블라인드의 인상 조작시에 승강 코드에 과대한 인장력이 작용하면, 조인트 장치가 분단(分斷)되어, 저부 레일이 낙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3관점의 목적은, 승강 코드에 걸림으로 인한 거주자 등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스크린의 승강 조작시에는 승강 코드의 분단을 방지할 수 있는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작 코드 또는 승강 코드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거주자 등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조작장치 또는 승강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작장치 또는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아래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 제4의 관점중의 적어도 임의의 하나의 관점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아래의 제1~제4의 관점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은, 서로 조합할 수 있으며, 조합에 의해 보다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관점의 내용에 의해 제1관점의 목적 및 효과가 달성되며, 본 발명의 제2관점의 내용에 의해 제2관점의 목적 및 효과가 달성되며, 본 발명의 제3관점의 내용에 의해 제3관점의 목적 및 효과가 달성된다. 제4관점은, 본 발명의 제1~제3관점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조작 풀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의하면, 헤드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풀리로부터 무단형의 조작 코드가 수하되며, 상기 조작 코드의 조작에 근거하여 풀리를 통하여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며, 차폐재를 구동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코드는, 미리 설정된 제1인장력으로 이탈되는 연결부에서 연결되어 무단형으로 되며, 상기 풀리와 상기 구동축의 사이에는, 상기 제1인장력이 상기 풀리에 주는 제1회전 토크보다 작은 제2회전 토크로 헛 도는 토크 리미터(limiter)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크 리미터는, 상기 구동축에 상기 풀리의 회전 토크를 전달하는 전달축과, 상기 풀리와 상기 전달축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풀리의 회전 토크를 마찰력에 근거하여 상기 전달축에 전달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제2회전 토크로 인하여 상기 전달축에 대하여 헛 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수단과 상기 전달축의 사이에는, 상기 전달축에 대하여 헛 돌 때에 토크 리플을 발생시키는 토크 리플 발생 수단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달축과, 상기 구동축의 사이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 방향을 선택하는 클러치 장치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수단은 비틀림 스프링(torsion coil spring)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의하면, 헤드 박스의 양단부에 고정 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고정 장치로부터 대향되는 벽면에 향하여 돌출되는 샤프트의 버팀력으로 상기 헤드 박스를 상기 벽면 사이에 고정시키며, 상기 헤드 박스에 설치된 조작 유닛(조작 장치)으로부터 무단형의 조작 코드가 수하되며, 상기 조작 코드의 조작에 의해 상기 헤드 박스에 지지되는 일사차폐재를 구동하는 일사차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닛에는, 상기 조작 코드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헤드 박스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상기 헤드 박스에 작용하는 상기 일사차폐 장치의 중량의 총합을, 상기 고정 장치의 버팀력에 의한 유지력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제한하는 토크 리미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 코드는, 연결부를 통하여 무단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헤드 박스를 낙하시키는 인장력보다 작은 인장력으로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 해제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크 리미터는, 상기 조작 코드의 조작에 근거하여 회전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의 회전에 근거하여 회전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풀리와 구동 기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풀리에 작용하는 회전 토크를 제한하는 토크 흡수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크 흡수 수단은, 상기 풀리와 일체로 회전하는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와 상기 구동 기어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결합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의 결합을 탄성적으로 보유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헤드 박스의 양단부에는 고정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장치로부터 대향하는 벽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샤프트의 버팀력으로 상기 헤드 박스를 상기 벽면 사이에 고정시키며, 상기 헤드 박스에 설치된 조작 유닛으로부터 연결부에서 무단형으로 형성된 조작 코드가 수하되며, 상기 조작 코드의 조작에 의해 상기 헤드 박스에 지지되는 일사차폐재를 구동하는 일사차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조작 코드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헤드 박스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상기 헤드 박스에 작용하는 상기 일사차폐 장치의 중량의 총합을, 상기 고정 장치의 버팀력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제한하는 연결 해제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장치에는, 상기 샤프트에 상기 버팀력으로서 일정한 가압력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가압력을 상기 샤프트에 가압하는 상태와, 가압하지 않는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캠 기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 코드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헤드 박스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상기 헤드 박스에 작용하는 상기 일사차폐 장치의 중량과, 상기 조작 코드의 연결부의 연결이 해제되는 인장력중의 적어도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안전율을 예상하여 설정한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의하면, 헤드 박스로부터 스크린을 매달아 지지하며,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는 웨이트 바를 매달아 지지하며, 상기 웨이트 바의 아래 쪽을 권취한 승강 코드의 일단을 상기 헤드 박스에 고정시키며, 상기 승강 코드의 타단부를 상기 헤드 박스내의 권취 장치로 승강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스크린을 웨이트 바에 권취 혹은 권취 해제하여 승강 가능하게 하며, 상기 헤드 박스에는 조작 코드의 조작에 의해 상기 권취 장치의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는 조작 장치를 설치한 롤 업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승강 코드에는, 보통 조작시에 작용되는 인장력을 초과하는 인장력으로 상기 승강 코드를 분단 가능하게 하는 코드 조인트를 연결하며, 상기 조작 장치에는 상기 조작 코드의 조작시에 상기 코드 조인트를 분단하기 앞서 상기 구동축에의 조작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전달 토크 제한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 장치에는 상기 조작 코드를 걸어 설치하는 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풀리와 상기 구동축의 사이에는, 상기 조작 코드의 조작에 의한 상기 코드 조인트의 분단을 저지하는 토크 리미터를 상기 전달 토크 제한 장치로서 개재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 장치에는 조작 코드를 걸어 설치하는 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조작 코드에는 이 조작 코드를 무단형으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조작 코드의 조작시에 상기 코드 조인트의 분단에 앞서 분단하는 유지력을 구비하여 상기 전달 토크 제한 장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의 유지력을, 상기 토크 리미터의 유지력보다 큰 값으로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드 조인트는, 상기 승강 코드의 단부를 장착하는 한쌍의 조인트 본체와, 상기 조인트 본체에 설치된 감합 돌기부와, 상기 조인트 본체의 감합 돌기부를 탄성적으로 감합하여, 상기 조인트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의하면,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에 삽입 가능한 조작 풀리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풀리와, 상기 풀리에 걸리는 볼 체인과, 상기 풀리에 결합되는 기어축 또는 전달축을 구비하며, 상기 볼 체인은, 미리 설정된 제1인장력으로 이탈되는 연결부에서 연결되어 무단형으로 되며, 상기 풀리는, 상기 볼 체인의 볼을 결합하는 요부를 외주면에 다수 구비하며, 입력측의 단면의 내부 직경방향으로 프렌지를 외주면과 일체로 설치하는 동시에 출력측을 향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출력측 개구에 상기 기어축 또는 상기 전달축과 마찰을 가지고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풀리와 상기 기어축 또는 상기 전달축과의 미끄럼 토크가, 제1인장력이 상기 풀리에 주는 제1회전 토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풀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어축 또는 상기 전달축은, 풀리측을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주면의 선단에 오목홈 또는 스냅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프렌지에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풀리측의 원통 형상부에 비틀림 스프링을 설치하여 마찰력을 얻고, 비틀림 스프링의 단부를 외부 직경 방향으로 돌출시켜 풀리 내부 직경에 결합 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의 캠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캠 부재와 상기 풀리의 사이에 접시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을 설치 가압하여 마찰력을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코드 또는 승강 코드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거주자 등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거나, 조작장치 또는 승강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작장치 또는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1~제3관점에 의해, 아래에 나타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의하면, 페일세이프 기능을 구비하여 거주자 등의 거동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통상의 조작시에는, 페일세이프 기능의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의하면, 조작 코드의 조작에 의한 헤드 박스의 낙하 또는 조작 장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의하면, 승강 코드에 걸림으로 인한 거주자 등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스크린의 승강 조작시에는 승강 코드의 분단을 방지할 수 있는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관점에서의 제1실시 형태에 관한 플리츠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서의 제1실시 형태에 관한 플리츠 스크린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관점에서의 제1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서의 제1실시 형태에 관한 토크 리미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서의 제1실시 형태에 관한 토크 리미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관점에서의 제1실시 형태에 관한 볼 체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관점에서의 제1실시 형태에 관한 볼 체인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1관점에서의 제2실시 형태의 토크 리미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서의 제2실시 형태의 토크 리미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0은,본 발명의 제2관점에 관련되는 제1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관점에 관련되는 제1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2는,본 발명의 제2관점에 관련되는 제1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관점에 관련되는 제1실시 형태의 조작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관점에 관련되는 제1실시 형태의 토크 리미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2관점에 관련되는 제1실시 형태의 토크 리미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2관점에 관련되는 제1실시 형태의 토크 리미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2관점에 관련되는 제1실시 형태의 볼 체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2관점에 관련되는 제1실시 형태의 볼 체인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2관점에 관련되는 제2실시 형태의 볼 체인의 연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롤 업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롤 업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스크린을 끌어 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코드 조인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코드 조인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조인트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감합 돌기부의 기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29는,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도27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도27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이다.
도31은,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도29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이다.
도32는,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와 감합 돌기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3은,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4는,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토크 리미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5는,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볼 체인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제3관점에 의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1~ 제3관점의 특징을 2개이상 포함하는 실시 형태라도 가능하다. 따라서, 아래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제3관점에 의한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요소에 첨부되는 부호에 대해서는,서로 다른 실시 형태에서 다른 요소에 동일한 번호를 첨부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서의 제1실시 형태)
아래에, 본 발명의 제1관점에서의 제1실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플리츠 스크린은, 헤드 박스(1)로부터 상부 스크린(2)이 매달려 지지되며, 상부 스크린(2)의 하단에는 중간 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 레일(3)로부터 하부 스크린(4)이 매달려 지지되며, 하부 스크린(4)의 하단에는 저부 레일(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스크린(2)은 레이스 생지(生地) 등의 반투과성의 생지를 지그재그 형태로 접을 수 있으며, 하부 스크린(4)은 차광성을 가지는 생지를 지그재그 형태로 접을 수 있다.
상기 상부 스크린(2)의 폭방향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승강 코드(6,7)가 삽입 되며, 제1승강 코드(6)의 하단은 상기 중간 레일(3)에 장착 되어 있다. 제2승강 코드(7)는, 중간 레일(3)을 관통하며, 또한 하부 스크린(4)에 삽입 되며, 하단은 상기 저부 레일(5)에 장착 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승강 코드(6,7)의 상단부는, 상기 헤드 박스(1)안에서 지지 부재(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및 제2권취축(9,10)에 각각 권취되어 있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권취축(9,10)은 헤드 박스(1)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승강 코드(6,7)의 윗쪽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병렬되는 상태로 지지 부재(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승강 코드(6)의 상단부가 제1권취축(9)에 권취되며, 제2승강 코드(7)의 상단부가 제2권취축(10)에 권취되며, 제1 및 제2승강 코드(6,7)는, 제1 및 제2권취축(9,10)에 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승강 코드(6,7)는, 제1 및 제2권취축(9,10)의 회전에 따라, 나선 형상으로 권취되거나, 혹은 권취 해제 되게끔 되어 있다.
상기 제1권취축(9)에는 육각 막대 형상의 제1구동축(11)이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삽입 되며, 제2권취축(10)에도 육각 막대 형상의 제2구동축(12)이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삽입 되어 있다. 또한, 제1구동축(11)이 상기 제1승강 코드(6)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권취축(9)에 제1승강 코드(6)가 권취되며, 제2구동축(12)이 상기 제2승강 코드(7)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2권취축(10)에 제2승강 코드(7)가 권취되게끔 되어 있다.
상기 헤드 박스(1)의 한쪽의 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12)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조작 장치(13)가 장착 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장치(13)의 케이스(14)내의 기단(基端)측에는 풀리(1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풀리(15)에는 무단형의 볼 체인(16)이 걸려 아랫쪽으로 수하되어 있다. 그리고, 볼 체인(16)의 조작에 의해 풀리(15)가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풀리(15)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축(17)과,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리미트 스프링(18)을 구비하며, 토크 리미터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즉, 상기 기어축(17)은 케이스(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기어축(17)의 외주면에 상기 리미트 스프링(18)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기어축(17)이 원통 형상의 풀리(15)내에 삽입되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 스프링(18)의 양단부가 풀리(15)의 내주면에 형성된 계지부(15a)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통상의 경우, 리미트 스프링(18)과 기어축(17)의 마찰력에 근거하여 풀리(15)와 기어축(17)이 일체로 회전된다. 또한, 기어축(17)에 작용되는 부하가 증대되어 그 회전이 저해되는 상태에서, 리미트 스프링(18)이 기어축(17)에 대하여 헛 돌게 되어 있다.
상기 기어축(17)에는 기어(17a)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기어(17a)에는 상기 케이스(14)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전달 기어(19)가 맞물려져 있다. 따라서, 풀리(15)가 회전되면, 전달 기어(19)가 회전된다.
상기 전달 기어(19)에는, 그 전달 기어(19)의 지름 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케이스(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제1 및 제2클러치 기어(20,21)가 맞물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 기어(19)가 회전될 때, 제1 및 제2클러치 기어(20,21)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케이스(14)의 선단측에는, 동일하게 구성된 제1 및 제2전달 클러치(클러치 장치) (22,23)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전달 클러치(22,23)의 입력축(24)이 상기 제1 및 제2클러치 기어(20,21)의 중심부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클러치 기어(20,21)가 회전될 때, 제1 및 제2전달 클러치(22,23)의 입력축(24)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 및 제2전달 클러치(22,23)는, 입력축(24)의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만을 각 출력축(25)에 전달하는 공지(公知)의 기능을 가지며, 전달되는 회전 방향은 서로 역방향이다. 그리고, 제1전달 클러치(22)의 출력축(25)에 상기 제1구동축(11)의 단부가 끼워져 장착되며, 제2전달 클러치(23)의 출력축(25)에 상기 제2구동축(12)의 단부가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볼 체인(16)을 한쪽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2구동축(12)만이 회전되며, 제2권취축(10)이 제2승강 코드(7)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볼 체인(16)을 다른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1구동축(11)만이 회전되며, 제1권취축(9)이 제1승강 코드(6)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12)은, 상기 헤드 박스(1)의 중간부에서 스토퍼 장치(26)에 삽입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장치(26)는, 상기 중간 레일(3) 또는 저부 레일(5)의 인상 조작 후에 볼 체인(16)을 손에서 놓았을 때, 중간 레일(3) 및 저부 레일(5)의 자중 강하(降下)를 방지하는 상태와, 중간 레일(3)과 저부 레일을 각각 자중 강하시키는 상태를 선택하는 공지의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장치(26)의 측방(側方)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12)은 거버너(governor) 장치(27,28)에 각각 삽입 되어 있다. 각 거버너 장치(27,28)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12)의 회전속도를 소정값 이하가 되게 억제하며, 중간 레일(3) 및 저부 레일(5)의 자중 강하시의 하강 속도를 소정 속도 이하로 억제한다.
상기 헤드 박스(1)의 다른쪽의 단부에는, 상기 제2권취축(10)으로부터의 제2승강 코드(7)가 권취되는 최대량을 설정하여, 상기 저부 레일(5)의 하한 위치를 설정하는 하한 리미트 장치(29)가 설치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볼 체인(16)의 구체적 구성을 도6 및 도7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체인(16)은 폴리에스테르의 코드(30)위에 동일한 간격으로 합성 수지 볼(31)을 형성한다. 각 볼(31)은 코드(30)의 표면위에 성형기(成形機)에 의하여 장구(長球) 형상의 충실체로 성형된 것이며, 각 볼(31)이 코드(30)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상기 코드(30)의 양단부는, 연결부(32)로 연결되어 무단형의 볼 체인(16)이 구성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2)는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 2개의 제1연결 부재(33)를 원통 형상의 제2연결 부재(34)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 부재(33)는, 상기 코드(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 코드(35)의 일단에 상기 볼(31)의 절반(半分)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반구부(36)를 아웃서트(Outsert) 성형하며, 타단에 제1감합부(37)를 형성한다. 상기 반구부(36)와 제1감합부(37) 사이에는 상기 볼(3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볼(38)이 고착되며, 상기 제1감합부(37)와 볼(38)의 간격 및 볼(38)과 반구부(36)의 간격은, 상기 볼(31)의 간격과 동일하다.
상기 반구부(36) 및 제1감합부(37)는, 상기 볼(31)과 동일한 합성 수지로 상기 연결 코드(35)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감합부(37)의 기단부는, 상기 볼(31)의 단부와 동일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감합부(37)의 선단부에는, 둥근축(丸軸) 형상의 감합 돌기부(39)가 아웃서트 성형되어 있다.
상기 감합 돌기부(39)의 선단부의 외주면 위에는, 둥근축의 중심에 대하여 선대칭(線對稱) 형상으로 직경 증대부(40)가 형성되며, 그 직경 증대부(40)의 중간에는 단면 반원 형상의 요조(凹條,groove)(4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합 돌기부(39)의 기단부에는, 둥근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동 규제부(規制部)(42)가 중심에 대하여 선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 회동 규제부(42)는, 상기 감합 돌기부(39)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요조(41)로부터 둘레방향(周方向)으로 45도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 부재(34)는, 상기 제1감합부(37) 및 볼(31,38)과 동일한 합성 수지로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며, 양측의 개구부(43)는 상기 감합 돌기부(39)의 직경 증대부(40)를 포함하는 선단부를 삽입 가능하게 한 쌀가마니 형상(俵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측의 개구부(43)는, 쌀가마니 형상의 방향이 원통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90도 회전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 부재(33)와 제2연결 부재(34)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1감합부(37)의 감합 돌기부(39)를 제2연결 부재(34)의 한쪽의 개구부(43)에 삽입하며, 제1감합부(37)를 제2연결 부재(34)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90도 회동 시킨다.
또한, 제2연결 부재(34)의 다른 쪽의 개구부(43)에도 동일하게 제1연결 부재(33)의 감합 돌기부(39)를 삽입하여 90도 회동 시켜서 위치 결정시킨다. 그리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 부재(34)를 통하여 제1연결 부재(33)가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는, 각 제1연결 부재의 감합 돌기부(39)의 직경 증대부(40)가 제2연결 부재(34)내에 유지된다. 상기 유지력은, 통상의 스크린 승강 조작시에, 상기 풀리(15)로부터 수하되는 볼 체인(16)의 한쪽을 아랫쪽으로 당길 때에 작용하는 통상의 인장력으로는, 감합 돌기부(39)가 제2연결 부재(34)로부터 이탈될 수 없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통상의 조작시에 상기 제1구동축(11) 또는 제2구동축(12)의 회전이 저해되며, 볼 체인(16)을 조작하는 인장력이 증가되며, 상기 인장력이 풀리(15)에 전달되는 회전 토크가, 상기 풀리(15)에 삽입된 토크 리미터의 미끄럼 토크를 초과하였을 경우에, 상기 토크 리미터가 작동된다. 이로 인하여, 풀리(15)와 기어축(17)이 헛 돌며, 볼 체인(16)에는 큰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하나의 례에서, 토크 리미터의 미끄럼 토크의 최대치를 65N*cm로 하며, 풀리(15)의 반경을 10.2mm로 하며, 볼 체인의 분단력 (제1인장력에 상당)의 최소값을 65N로 한다. 이 경우, 볼 체인(16)으로부터 풀리(15)에 작용하는 토크는 제일 작아서 66.3N*cm이며, 토크 리미터의 미끄럼 토크의 최대치(65N*cm)를 초과하기에, 연결부(32)에 대한 볼 체인(16)의 과대한 인장력의 작용을 방지하며, 통상 조작시에 연결부(32)의 불필요한 탈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볼 체인(16)이 거주자 등에 걸려, 풀리(15)로부터 수하되는 볼 체인(16)의 쌍방에 통상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큰 인장력 (제1인장력: 본 실시 형태에서는 65N~95N)이 작용되었을 때, 제2연결 부재(34)의 합성 수지의 탄성에 의해, 감합 돌기부(39)의 직경 증대부(40)에서 개구부(43)를 눌러 펴 넓힐 수 있다. 그리고, 감합 돌기부(39)가 제2연결 부재(34)에서 이탈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연결 부재(34)의 양측에 제1감합부(37)를 감합시킨 상태에서 외형의 형상은, 상기 볼(31)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33)의 반구부(36)는, 상기 코드(30)의 양단에 아웃서트 성형된 반구부(31a)에 용착 고정되어, 상기 볼(31)과 동일한 형상의 볼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 부재(33)를 제2연결 부재(34)로 연결하면, 무단형의 볼 체인(1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볼 체인(16)에서는, 상기 볼 체인(16)의 코드(30) 및 상기 연결부(32)의 연결 코드(35)의 전체 길이에서 동일한 형상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 체인(16)은 풀리(15)에 대하여 제한 없이 주회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리츠 스크린의 동작을 설명한다. 볼 체인(16)의 한쪽 방향을 당기면, 제2구동축(12)만이 회전되어 제2권취축(10)에 제2승강 코드(7)가 권취되며, 저부 레일(5)을 끌어 올릴 수 있다.
그리고, 저부 레일(5)을 원하는 높이까지 끌어 올린 후 볼 체인(16)을 손에서 놓으면, 스토퍼 장치(26)의 자중 강하 방지 동작에 의하여, 저부 레일(5)이 원하는 높이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볼 체인(16)을 한쪽으로 당긴 후에 손을 놓으면, 스토퍼 장치(26)의 자중 강하 방지 동작이 해제되며, 저부 레일(5)이 자중 강하된다. 볼 체인(16)의 다른 쪽을 당기면, 제1구동축(11)만이 회전되어 제1권취축(9)에 제1승강 코드(6)가 권취됨으로써, 중간 레일(3)을 끌어 올릴 수 있다. 그리고, 중간 레일(3)을 원하는 높이까지 끌어 올린 후 볼 체인(16)을 손에서 놓으면, 스토퍼 장치(26)의 자중 강하 방지 동작에 의해, 중간 레일(3)이 원하는 높이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볼 체인(16)을 다른쪽으로 당긴 후에 손을 놓으면, 스토퍼 장치(26)의 자중 강하 방지 동작이 해제되어, 중간 레일(3)이 자중 강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리츠 스크린은, 아래에 나타내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볼 체인(16)에 거주자 등이 걸렸을 경우에, 연결부(32)에서 제1연결 부재(33)와 제2연결 부재(34)가 이탈된다. 따라서, 볼 체인(16)이 페일 세이프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2) 통상의 조작에 있어서, 제1구동축(11) 또는 제2구동축(12)의 부하가 증대되어 상기 회전이 저해될 경우에, 풀리(15)가 기어축(17)에 대하여 헛 돌며, 연결부(32)에 대한 볼 체인(16)의 과대한 인장력의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 조작시에 연결부(32)의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3) 통상 조작시에 연결부(32)의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결부(32)가 이탈되는 인장력을 작게 설정하며, 볼 체인(16)에 거주자 등이 걸렸을 경우에, 연결부(32)가 확실하게 이탈될 수 있게 설정할 수 있다.
4) 풀리(15)가 토크 리미터의 기능을 구비하기에, 볼 체인(16)에 과대한 인장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인장력은 토크 리미터에서 흡수되어 조작 장치(13)내의 기구에 전달될 수 없다. 따라서, 과대한 조작 토크에 의한 조작 장치(13)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서의 제2실시 형태)
도8 및 도9는, 토크 리미터의 제2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토크 리미터는, 제1실시 형태의 리미트 스프링(18) 대신에, 접시 스프링을 사용한 것이다. 도8에 있어서, 좌측(풀리(55)측)이 입력측이며, 우측(기어축(51)측)이 출력측이다. 풀리(55)는, 상기 볼 체인(16)의 볼을 결합하는 요부(67)를 외주면에 여러개 구비한다. 풀리(55)의 입력측의 단면 내경방향으로 프렌지(61)가 외주면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풀리(55)는, 출력측에 향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풀리(55)의 출력측 개구에 기어축(51)을 마찰하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기어축(51)의 풀리측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주면의 선단에는 오목홈(65)이 형성되어 있다. 프렌지(61)에는, 돌기부(6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목홈(65)과 돌기부(63)가 결합되며, 기어축(51)은 풀리(5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어축(51)은 상기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케이스(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기어(51a)는 상기 전달 기어(19)에 맞물려져 있다. 상기 기어축(51)의 선단측에는 캠 부재(52)가 회전 가능하게 또한 기어축(5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캠 부재(52)와 기어축(51)의 프렌지부(53)의 대향하는 측면에는, 기어축(51)의 축방향으로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요철부(54a,54b)가 주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축(51)의 선단부에는 상기 캠 부재(52)를 가리울 수 있게끔 원통 형상의 풀리(55)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캠 부재(52)의 외주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돌기부(56)가 풀리(55)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부(57)에 결합되며, 캠 부재(52)는 풀리(55)와 일체로 회전되는 동시에, 풀리(5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캠 부재(52)와 풀리(55)의 사이에는 접시 스프링(58)이 설치되며, 풀리(55)를 지점(支点)으로 하는 접시 스프링(58)에 의하여, 캠 부재(52)가 프렌지부(53)를 향하여 기어축(51)의 축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항상 캠 부재(52)와 프렌지부(53)의 요철부(54a,54b)가 접시 스프링(58)의 부세력에 의해 결합되며, 풀리(55)의 회전이 캠 부재(52)를 통하여 기어축(51)에 전달되게 끔 되어 있다.
또한, 기어축(51)의 회전이 저해되면, 캠 부재(52)의 요철부(54a)가 프렌지부(53)의 요철부(54b)를 타고 넘으면서(hurdling), 캠 부재(52)가 기어축(51)에 대하여 헛 돈다. 따라서, 풀리(55)에 과대한 조작 토크가 작용되어도, 그 조작 토크는 캠 부재(52)의 헛 돎에 의해 흡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토크 리미터에서는, 제1실시 형태의 토크 리미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아래에 나타내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기어축(51)에 대하여 캠 부재(52)가 헛 돌때, 캠 부재(52)의 요철부(54a)가 프렌지부(53)의 요철부(54b)를 타고 넘으면서 헛 돈다 (토크 리플 발생 수단). 따라서, 조작자는 풀리(15)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력의 변동(變動)과, 요철부(54a)가 요철부(54b)를 타고 넘을 때에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충돌 소리에 의해, 풀리(15)의 헛 돎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아래와 같이 실시해도 좋다.
*볼 체인 대신에, 페일 세이프 기능을 갖춘 조작 코드로 해도 좋다.
*플리츠 스크린외에, 횡형 블라인드, 플리츠 커튼, 걷어 올림식 커튼, 종형 블라인드 등에 실시할 수도 있다.
*토크 리미터는, 리미트 스프링이나 접시 스프링외에, 코일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료 등을 사용해도 좋다.
*풀리와 기어축의 사이에 점도가 높은 오일을 충전시켜 마찰력을 얻어도 좋다.
한편, 아동 안전 기능(Child Safety)을 실현하는 값의 예로서 제1관점의 실시 형태는 아래와 같이 행해도 좋다.
*풀리(15)의 반경: 30mm
*토크 리미터 작동 회전 토크(미끄럼 토크) 최대치: 40N*cm
볼 체인(16)의 연결부(32)의 분단력: 15N (체인에서 풀리에 작용하는 최대 토크는 45N*cm)
상기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청구항외의 기술사상을 아래에 기재한다.
(부기(1))
헤드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풀리에서 무단형의 조작 코드가 수하되며, 상기 조작 코드의 조작에 근거하여 풀리를 통하여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며, 차폐재를 구동하는 일사차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풀리에 토크 리미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본 발명의 제2관점에서의 제1실시 형태)
아래에, 본 발명의 제2관점에서의 제1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0~도12에 나타내는 횡형 블라인드는, 헤드 박스(1)로부터 매달려 지지되는 래더 코드(2)에 다수단의 슬랫(일사 차폐재)(3)이 지지되며, 상기 래더 코드(2)의 하단에는 저부 레일(4)이 장착 되어 있다.
상기 슬랫(3)에는 상기 래더 코드(2)의 지지 위치 근방에서 승강 코드(5)가 삽입되며, 상기 승강 코드(5)의 하단에는 상기 저부 레일(4)이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승강 코드(5)의 상단은 상기 헤드 박스(1)안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권취축(7)에 권취되어 있다.
상기 권취축(7)에는 육각막대 형상의 승강축(8)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 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축(8)이 회전하면 권취축(7)이 회전되며, 권취축(7)이 승강 코드(5)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 코드(5)가 권취축(7)에 나선 형상으로 권취되어, 저부 레일(4) 및 슬랫(3)을 끌어 올릴 수 있다. 또한, 권취축(7)이 승강 코드(5)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면, 승강 코드(5)가 권취 해제되어, 저부 레일(4) 및 슬랫(3)이 하강한다.
상기 래더 코드(2)의 상단은, 후크(9)를 통하여 틸트 드럼(10)에 장착되며, 상기 틸트 드럼(10)은 상기 지지 부재(6)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틸트 드럼(10)의 일측에는 평평한 기어의 피동 기어(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6)의 측쪽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박스(1)에는 서포트 캡(12)이 고정되며, 상기 서포트 캡(12)에는 상기 승강축(8)이 삽입 되어 있다. 상기 승강축(8)의 경사진 아래쪽 위치 즉 헤드 박스(1)내의 아래쪽 모서리부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캡(12)에는 육각막대 형상의 틸트축(1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틸트축(13)에는 상기 피동기어(11)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14)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감합된다. 그리고, 틸트축(13)이 회전하면, 구동 기어(14) 및 피동 기어(11)를 통하여 틸트 드럼(10)이 회동 되게 되어 있다.
상기 승강축(8)의 일단은 상기 헤드 박스(1)의 일단부에 장착된 조작 유닛(15)의 제1출력축에 연결되며, 상기 틸트축(13)의 일단은 틸트 유닛(16)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틸트 유닛(16)의 입력축은 상기 조작 유닛(15)의 제2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작 유닛(15)의 단부에는 풀리(1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풀리(17)에는 볼 체인(18)이 걸려 있다. 그리고, 볼 체인(18)을 조작하여 풀리(17)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축(8) 및 틸트축(13)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조작 유닛(15)은, 풀리(17)의 회전을 감속(減速)시켜 상기 승강축(8) 및 틸트 유닛(16)에 전달하는 감속 기능과, 상기 슬랫(3) 및 저부 레일(4)의 자중 강하를 저지하는 상태와 허용하는 상태중의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는 클러치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틸트 유닛(16)을 통하여 상기 틸트축(13)이 회전될 때에는, 승강축(8)을 회전시키지 않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틸트 유닛(16)은, 상기 조작 유닛(15)의 제2출력축의 회전에 근거하여 틸트축(13)을 회전시키며, 틸트축(13)이 소정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즉 슬랫(3)이 완전 폐쇄 상태 혹은 역방향으로의 완전 폐쇄 상태까지 회동 되었을 때, 제2출력축의 회전을 틸트축(13)에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조작 유닛(15) 및 틸트 유닛(16)을 구비한 횡형 블라인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측에 수하되는 볼 체인(18)을 아래 쪽(화살표A방향)으로 당기면, 조작 유닛(15) 및 틸트 유닛(16)을 통하여 틸트축(13)이 회전된다.
그러면, 틸트축(13)의 회전에 따라 틸트 드럼(10)이 회동되며, 래더 코드(2)를 통하여 슬랫(3)이 회동 된다. 이 때, 슬랫(3)은 그 볼록면이 실내측으로 되게 끔 회동 된다.
그리고, 틸트축(13)이 소정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즉 슬랫(3)이 거의 수직방향으로 되는 완전 폐쇄 상태까지 회동 되었을 때, 틸트 유닛(16)의 동작에 의해, 볼 체인(18)이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조작을 행하여도 틸트축(13)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슬랫(3)이 완전 폐쇄 상태가 될 때까지, 조작 유닛(15)의 동작에 의해 승강축(8)은 회전되지 않는다. 슬랫(3)이 완전 폐쇄 상태까지 회동 된 후, 볼 체인(18)이 화살표A방향으로 더욱 조작되면, 승강축(8)이 회전되어 권취축(7)이 승강 코드(5)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승강 코드(5)가 권취축(7)에 권취되어 저부 레일(4)을 끌어 올릴 수 있으며, 상기 저부 레일(4)에 의해 슬랫(3)이 순차적으로 끌어 올려 진다.
저부 레일(4) 및 슬랫(3)을 원하는 높이까지 끌어 올린 상태에서 볼 체인(18)을 손에서 놓으면, 조작 유닛(15)의 동작에 의해 승강축(8)의 승강 코드를 권취 해제하는 방향의 회전이 저지되며, 저부 레일(4) 및 슬랫(3)의 자중 강하가 저지되어, 원하는 높이에 유지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 쪽에 수하되는 볼 체인(18)을 아래 쪽(화살표 B방향)으로 당기면, 조작 유닛(15) 및 틸트 유닛(16)를 통하여 틸트축(13)이 회전된다.
그러면, 틸트축(13)의 회전에 따라 틸트 드럼(10)이 회동되며, 래더 코드(2)를 통하여 슬랫(3)이 회동 된다. 이 때, 슬랫(3)은 그 볼록면이 실외측이 되게끔 회동 된다.
그리고, 틸트축(13)이 소정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즉, 슬랫(3)이 거의 수직방향이되는 역방향으로 완전 폐쇄 상태까지 회동 되었을 때, 틸트 유닛(16)의 동작에 의해, 볼 체인(18)이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조작되어 틸트축(13)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때, 슬랫(3)이 역방향으로 완전 폐쇄 상태가 될때까지, 조작 유닛(15)의 동작에 의해 승강축(8)이 회전되지 않는다. 슬랫(3)이 역방향으로 완전 폐쇄 상태까지 회동 된 후, 볼 체인(18)을 화살표B방향으로 더 당기면, 조작 유닛(15)의 동작에 의해 승강축(8)의 승강 코드 권취방향으로 회전이 허용되며, 저부 레일(4) 및 슬랫(3)이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그리고, 저부 레일(4) 및 슬랫(3)이 원하는 높이까지 하강된 상태로 볼 체인(18)을 화살표A방향으로 끌어 올려 슬랫(3)을 완전 폐쇄하여, 볼 체인(18)을 동일한 방향으로 더 당긴후에 손을 놓으면, 조작 유닛(15)은 승강축(8)의 승강 코드 권취방향으로 회전을 저지하는 상태로 되며, 저부 레일(4) 및 슬랫(3)이 원하는 높이에 유지된다.
상기 헤드 박스(1)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고정 장치(19a,19b)가 장착되며, 헤드 박스(1)는 제1 및 제2고정 장치(19a,19b)를 통하여 대향하는 벽면(20)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헤드 박스(1)의 좌단부에 장착되는 제1고정 장치(19a)는 거의 공지된 구성이며, 조정 다이얼(21)을 정역방향으로 회전되게 조작하면, 버팀 샤프트(22)가 헤드 박스(1)에 대하여 출몰되어 있다.
그리고, 버팀 샤프트(2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23)를 도12에 나타내는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 기구에 의해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이 버팀 샤프트(22)에 작용하며, 버팀 샤프트(22)는 대향하는 벽면(20)을 향하여 가압된다.
상기 제2고정 장치(19b)는, 상기 조작 유닛(15)의 케이스로부터 벽면(20)을 향하여 출몰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절 샤프트(24)와, 그 조절 샤프트(24)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스페이서(25)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페이서(25)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조작 유닛(15)의 케이스로부터의 조절 샤프트(24)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박스(1)가 설치된 벽면(20)에는, 베어링부(26)가 양면 테이프 등으로 접착되며, 헤드 박스(1)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장치(19a,19b)에서 베어링부(26)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고정 장치(19a,19b)에서 헤드 박스(1)를 벽면(20)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헤드 박스(1)를 베어링부(26) 사이에 보유한 상태로 조정 다이얼(21) 및 조절 샤프트(24)의 조작에 의해, 슬랫(3)의 단부와 벽면(20)의 간극이 거의 동일하게 되게끔 조정하며, 헤드 박스(1)를 베어링부(26) 사이에 임시 유지한다.
그 다음에, 조작 레버(23)를 도12에 나타내는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버팀 샤프트(22)가 베어링부(26)에 압접(壓接)되며, 그 반작용으로 조절 샤프트(24)가 베어링부(26)에 압접된다. 그 결과, 헤드 박스(1)가 벽면(20) 사이에 유지된다.
또한, 제품 중량에 의해 버팀 샤프트(22)와 조절 샤프트(24) 및 베어링부(26)의 압접면에 30N(뉴턴)의 힘이 아래쪽으로 작용된 경우에는, 버팀 샤프트(22) 및 조절 샤프트(24)가 각각 약 60N의 일정한 힘으로 베어링부(26)에 압접되게 설정되어 있다. 한편, 버팀 샤프트(22)와 조절 샤프트(24) 및 베어링부(26)의 압접면에 작용되는 30N의 힘은, 상기 제품으로 가리울 수 있는 창문 면적 즉 각 슬랫(3)의 길이와 단수(段數)를 최대치로 설정했을 경우에 작용하는 힘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리(17)의 회전은, 상기 풀리(17)와 동일한 회전축으로 회전되는 구동 기어(27)에 전달되며, 상기 구동 기어(27)로부터 상기 감속 기구 및 클러치 기구를 경과하여, 조작 유닛(15)의 출력축에 전달된다.
상기 풀리(17)와 구동 기어(27) 사이에는, 풀리(17)로부터 구동 기어(27)에 전달되는 회전 토크를 일정값 이하로 하는 토크 리미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토크 리미터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하면, 도14에 나타내는 풀리(17) 및 구동 기어(27)는, 상기 조작 유닛(15)의 케이스에 동일한 회전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는 동시에, 회전축 중심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 기어(27)의 풀리(17)측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면의 선단에는 스냅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스냅부(91)의 주방향의 양측에는 슬릿(9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냅부(91)가 풀리(17)의 프렌지에 설치된 돌기부와 결합되며, 구동 기어(27)는 풀리(1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 기어(27)의 기단측에는 원통 형상의 캠 부재(28)가 회전 가능하게끔 또한 구동 기어(27)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끔 지지되며, 구동 기어(27)의 프렌지부(29)와 캠 부재(28)의 대향하는 측면에는, 구동 기어(27)의 축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는 요철부(30b,30a)와, 요철부(30d,30c)가 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회동축심에 대하여 60도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풀리(17)는, 상기 캠 부재(28)를 수용 가능하게 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풀리(17)의 내주면과 캠 부재(28)의 외주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부(31a,31b)가 둘레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철부(31a,31b)의 감합에 의해, 캠 부재(28)는 풀리(17)에 대하여 구동 기어(27)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캠 부재(28)내에는 코일 스프링(32)이 배설 되며,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2)의 일단은 풀리(17)에 당접하며, 타단은 캠 부재(28)에 당접하고 있다. 그리고, 캠 부재(28)는 풀리(17)를 지점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의해, 구동 기어(27)의 프렌지부(29)를 향하여 가압되어, 요철부(30b,30a)와 요철부(30d,30c)가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풀리(17)와 구동 기어(27)가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또한, 구동 기어(27)의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풀리(17)에 일정값 이상의 회전 토크가 작용하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28)가 코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풀리(17)측으로 이동하며, 요철부(30a~30d)의 맞물림이 이탈되어 캠 부재(28)가 구동 기어(27)에 대하여 헛 돈다. 그리고, 캠 부재(28)가 60도 회전할 때마다, 요철부(30a~30d)의 맞물림과 맞물림의 이탈이 반복되어, 캠 부재(28)가 구동 기어(27)에 대하여 헛 돈다.
요철부(30a~30d)의 맞물림의 이탈은, 토크 리미터의 공차(公差)를 고려하여, 상기 볼 체인(18)을 아래쪽으로 약 60N~70N을 초과하는 힘으로 당겼을 때에 발생하게 끔 설정되어 있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체인(18)은, 폴리에스테르의 코드(33)위에 동일한 간격으로 합성 수지 볼(34)를 형성한다. 각 볼(34)은 코드(33)의 표면위에 성형기로 장구 형상의 충실체를 형성한 것이며, 각 볼(34)이 코드(33)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상기 코드(33)의 양단부는, 연결부(35)로 연결되어 무단형의 볼 체인(18)이 구성된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5)는 제1연결 부재(36)와 제2연결 부재(3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36)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드(33)와 동일한 재질의 연결 코드(38)의 일단에 상기 볼(34)의 절반보다 조금 큰 형상의 반구부(39)가 아웃서트 성형되며, 타단에는 제1감합부(40)가 그 선단까지 충실체로 되게끔 아웃서트 성형되어 있다. 반구부(39)와 제1감합부(40)의 간격은, 상기 볼(34)의 간격과 동일하다.
상기 제1감합부(40)의 기단부는, 상기 볼(34)의 단부와 동일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감합부(40)의 선단부에는, 둥근축 형상의 감합 돌기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합 돌기부(41)는, 선단부에 프렌지 형상의 직경 증대부(41a)가 형성되며, 상기 직경 증대부(41a)의 외형은 반구 형상의 기단부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또한, 직경 증대부(41a)의 선단측 모서리부에는 면취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 부재(37)는, 상기 코드(33)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 코드(42)의 일단에 상기 볼(34)의 절반 형상으로 형성된 반구부(43)를 형성하며, 타단에 제2감합부(44)를 형성한다. 반구부(43)와 제2감합부(44)의 간격은 상기 볼(34)의 간격과 동일하다.
상기 반구부(43) 및 제2감합부(44)는, 상기 볼(34)과 동일한 재질로 상기 코드(33)의 양단부에 아웃서트 성형된다. 상기 제2감합부(44)의 기단부는 상기 볼(34)의 단부와 동일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감합부(44)의 선단부에는 감합공(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감합공(45)의 안쪽부의 직경이 개구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감합 돌기부(41)의 직경 증대부(41a)를 탄성적으로 감합시키며, 또한 유지 가능하게끔 되어 있다.
또한, 감합공(45)의 깊이는 제2감합부(44)의 길이의 절반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감합 돌기부(41)는 감합공(45)의 깊이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감합 돌기부(41)를 유지하는 감합공(45)의 유지력은, 통상의 슬랫 승강 조작 및 슬랫 각도 조절 조작시에 볼 체인(18)에 작용하는 통상의 인장력은 감합 돌기부(41)와 감합공(45)의 갑합이 이탈될 수 없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볼 체인(18)에 통상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큰 인장력이 작용되었을 때에 한하여, 합성 수지의 탄성에 의해 감합 돌기부(41)와 감합공(45)의 갑합이 이탈되게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약 80N~90N의 범위를 초과하는 인장력으로 감합 돌기부(41)와 감합공(45)의 갑합이 이탈되게 끔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 부재(36,37)의 반구부(39,43)는, 상기 코드(33)의 양단에 형성된 반구부(34a)에 용착 고정되어, 상기 볼(34)과 동일한 형상의 볼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합 돌기부(41)를 감합공(45)에 감합시키면, 무단형의 볼 체인(18)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횡형 블라인드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토크 리미터가 작동하기 시작하는 볼 체인(18)의 인장력을 T, 제1 및 제2고정 장치(19a,19b)에 작용되는 블라인드의 중량을 W, 제1 및 제2고정 장치(19a,19b)의 버팀력에 의해 헤드 박스(1)를 벽면(20) 사이에 유지하는 유지력을 S로 하였을 때, T+W <S가 되게 설정되어 있다. T가 70N, W가 30N일 때, 유지력S는 100N을 초과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볼 체인(18)의 연결부(35)가 분단되는 인장력을 C로 하였을 때, C+W <S가 되게 설정되어 있다. 토크 리미터가 작동하기 시작하는 볼 체인(18)의 인장력T에 안전율을 예상하여, (T×안전율)+W<S로 해도 좋다. 안전율은 예를 들면 [3], 제1 및 제2고정 장치(19a,19b)의 버팀력의 저하를 예상하여 [5], 볼 체인(18)을 급격히 당길 경우를 예상하여 [10]으로 되게 설정한다.
또한, 상기 안전율을 T+W로 예상하여, (T+W)×안전율<S가 되게 설정해도 좋다. T가 70N, W가 30N에 있어서, 안전율이 3일 때, 유지력S를 400N정도로 설정한다.
또한, T(70N)+W(30N)<S(110N), C(90N)+W(30N)<S(140N)가 동시에 만족되게 설정하며, 또한 상기와 같은 안전율을 예상해도 좋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작 유닛(15)의 작용을 설명한다. 볼 체인(18)을 도11에 나타내는 화살표A방향으로 조작하면, 우선 슬랫(3)이 전폐 방향으로 회동되어, 그 후 슬랫(3)을 끌어 올릴 수 있다. 그리고, 슬랫(3)을 원하는 높이까지 끌어 올린 후 볼 체인(18)을 손에서 놓으면, 슬랫(3) 및 저부 레일(4)의 자중 강하가 저지되어, 슬랫(3)이 원하는 높이에 유지된다.
볼 체인(18)을 도11에 나타내는 화살표 B방향으로 조작하면, 슬랫(3)이 반대 전폐 방향으로 회동된다. 슬랫(3)이 역방향으로 완전 폐쇄 상태까지 회동된 후, 볼 체인(18)을 동일한 방향으로 더 조작하면, 슬랫(3)이 자중 강하된다.
슬랫(3)을 상한까지 끌어 올렸을 때, 혹은 임의의 장애물에 의해 슬랫이 상승 불가능한 상태에서, 볼 체인(18)을 슬랫(3)의 인상 방향으로 조작할 때, 볼 체인(18)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70N을 넘으면, 조작 유닛(15)내에서 구동 기어(27)에 대하여 캠 부재(28)가 헛 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횡형 블라인드에서는, 다음에 나타내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볼 체인(18)에 과대한 인장력이 작용하여도, 조작 유닛(15)내의 구동 기어(27)와 캠 부재(28)의 헛 돎에 의해, 조작 유닛(15) 및 슬랫 승강 기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조작 유닛(15)내의 구동 기어(27)와 캠 부재(28)의 헛 돎에 의해, 볼 체인(18)의 조작에 근거하여 헤드 박스(1)에 작용하는 아래 쪽으로의 인장력을, 이 실시 형태에서는 55N이하로 할 수 있다.
3) 헤드 박스(1)에 작용하는 중량과, 볼 체인(18)의 조작에 근거하여 헤드 박스(1)에 작용하는 아래 쪽으로의 인장력의 총합을, 제1 및 제2고정 장치(19a,19b)에서 헤드 박스(1)를 벽면(20) 사이에 지지하는 버팀력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볼 체인(18)의 조작시에, 헤드 박스(1)의 탈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4) 볼 체인(18)의 연결부(35)의 감합이 이탈되는 인장력을, 헤드 박스(1)를 벽면(20) 사이에 지지하는 버팀력보다 작게 함으로써, 볼 체인(18)에 과대한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연결부(35)의 감합을 이탈시켜, 헤드 박스(1)의 탈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서의 제2실시 형태)
도19는, 상기 볼 체인(18)의 연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다. 연결부(51)는, 동일한 구성의 2개의 제1연결 부재(52)를 원통 형상의 제2연결 부재(53)로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52), 상기 코드(33)와 동일한 재질의 연결 코드(54)의 일단에 상기 볼(34)의 절반 형상으로 형성된 반구부(55)를 아웃서트 성형하며, 타단에 제1감합부(56)를 형성한다. 상기 반구부(55)와 제1감합부(56) 사이에는 상기 볼(34)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볼(57)이 고착되며, 상기 제1감합부(56)와 볼(57)의 간격 및 볼(57)과 반구부(55)의 간격은, 상기 볼(34)의 간격과 동일하다.
상기 반구부(55) 및 제1감합부(56)는, 상기 볼(34)과 동일한 합성 수지로 상기 연결 코드(54)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감합부(56)의 기단부는, 상기 볼(34)의 단부와 동일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감합부(56)의 선단부에는, 둥근축 형상의 감합 돌기부(58)가 아웃서트 성형되어 있다.
상기 감합 돌기부(58)의 선단부의 외주면 위에는, 둥근축의 중심에 대하여 선대칭 형상으로 직경 증대부(59)가 형성되며, 그 직경 증대부(59)의 중간에는 단면 반원 형상의 요조(6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합 돌기부(58)의 기단부에는, 둥근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동 규제부(61)가 중심에 대하여 선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회동 규제부(61)는, 상기 감합 돌기부(58)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요조(60)로부터 주방향으로 45도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 부재(53)는, 상기 제1감합부(56) 및 볼(34,57)과 동일한 합성 수지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의 개구부(62)는 상기 감합 돌기부(58)의 직경 증대부(59)를 포함하는 선단부를 삽입 가능하게 한 쌀가마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쪽 개구부(62)는, 상기 쌀가마니 형상의 방향이 원통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90도 회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 부재(52)와 제2연결 부재(53)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1감합부(56)의 감합 돌기부(58)를 제2연결 부재(53)의 한쪽의 개구부(62)에 삽입하고, 제1감합부(56)를 제2연결 부재(53)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동시킨다.
또한, 제2연결 부재(53)의 다른쪽의 개구부(62)에도 동일하게 제1연결 부재(52)의 감합 돌기부(58)를 삽입하여 90도 회동 시켜서 위치 결정한다. 그러면, 제2연결 부재(53)를 통하여 제1연결 부재(52)가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는, 각 제1연결 부재(52)의 감합 돌기부(58)의 직경 증대부(59)가 제2연결 부재(53)안에 유지된다. 상기 유지력은, 통상의 슬랫 승강 조작시에 상기 볼 체인(18)의 한쪽을 아랫쪽으로 당길 때에 작용하는 통상의 인장력에서는, 감합 돌기부(58)가 제2연결 부재(53)로부터 빗나갈 일이 없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52)의 반구부(55)는, 상기 코드(33)의 양단에 아웃서트 성형된 반구부(34a)에 용착 고정되어, 상기 볼(34)과 동일한 형상의 볼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 부재(52)를 제2연결 부재(53)로 연결하면, 무단형의 볼 체인(18)이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볼 체인(18)에서는, 통상의 조작시에 슬랫(3)의 인상 조작이 저해되어, 볼 체인(18)을 조작하는 인장력이 증대될 경우(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60N~70N) 에, 상기 풀리(17)에 삽입된 토크 리미터가 작동한다. 즉, 풀리(17)와 구동 기어(27)가 헛 돌며, 볼 체인(18)에는 큰 인장력이 작용되지 않게 되어 있다.
한편, 볼 체인(18)에 거주자 등이 걸려, 풀리(17)에서 수하되는 볼 체인(18)의 양쪽에 통상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인장력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80N~100N)이 작용하였을 때, 제2연결 부재(53)의 합성 수지의 탄성에 의해, 감합 돌기부(58)의 직경 증대부(59)에서 개구부(62)를 눌러 펴 넓힐 수 있다. 그리고, 감합 돌기부(58)가 제2연결 부재(53)에서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볼 체인(18)에서는, 상기 볼 체인(18)의 코드(33) 및 상기 연결부(51)의 연결 코드(54)의 전체 길이에 동일한 형상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 체인(18)은 풀리(17)에 대하여 제한 없이 주회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는, 아래의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횡형 블라인드외에, 롤 블라인드, 걷어 올리는 커튼, 플리츠 커튼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볼 체인(18) 대신에, 소정 값 이상의 인장력으로 연결부가 분단되는 조작 코드를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서의 일 실시 형태)
아래에, 본 발명의 제3관점에서의 일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20 및 도21에 나타내는 롤 업 블라인드는, 헤드 박스(1)가 장착 브래킷(2)을 통하여 장착면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 박스(1)의 배면에는 경목 발(chip-blind)로 구성되는 스크린(3)의 상단이 설치 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3)의 하단에는 원통 형상의 재료로 형성되는 웨이트 바(4)가 장착 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 바(4)를 승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승강 코드(5)는, 그 일단이 상기 헤드 박스(1)의 배면에 장착 되며, 타단부는 웨이트 바(4)의 아래 쪽을 경과하여 헤드 박스(1)내의 권취축(6)에 나선 형상으로 권취 가능하게 장착 되어 있다. 따라서, 웨이트 바(4)는 그 아래쪽으로 감겨진 복수개의 승강 코드(5)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상기 권취축(6)은, 헤드 박스(1)내에 설치되는 베어링 부재(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권취축(6)에는 상기 승강 코드(5)의 타단이 장착 되는 동시에, 상기 권취축(6)의 중심부에 육각막대 형상의 구동축(8)이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삽입 되어 있다.
상기 헤드 박스(1)의 일단에는 조작 장치(9)가 장착되며, 상기 조작 장치(9)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풀리(10)에는 볼 체인(11)이 걸려 있다. 그리고, 볼 체인(11)을 조작하여 풀리(1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축(8)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축(8)의 회전에 근거하여 상기 권취축(6)이 승강 코드(5)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면, 웨이트 바(4)를 지지하는 승강 코드(5)의 한쪽을 끌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웨이트 바(4)가 회전되어 스크린(3)을 권취하면서 상승하며,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3)이 웨이트 바(4)에 권취된다.
상기 승강 코드(5)는, 그 일단부의 근방에 코드 조인트(12)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코드 조인트(12)는, 도23 및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조인트 본체(13a,13b)와, 그 조인트 본체(13a,13b)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4)로 구성된다.
상기 조인트 본체(13a,13b)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로 거의 원주 형상(円柱形)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중앙부에는 외주면의 일측에 개구(開口)되는 수용 요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 요부(15)는 조인트 본체(13a,13b)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연통 구멍(16)을 통하여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코드(5)의 단부를 조인트 본체(13a,13b)의 일단부에서 연통 구멍(16)에 삽입하여 수용 요부(15)안으로 안내하며, 상기 단부에 매듭(17)을 형성함으로써, 승강 코드(5)의 단부에 조인트 본체(13a,13b)가 장착 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본체(13a,13b)의 타단부에는, 도24 및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축 형상의 감합 돌기부(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합 돌기부(18)의 선단부의 외주면위에는, 둥근축의 중심에 대하여 선대칭 형상으로 직경 증대부(19)가 형성되며, 상기 직경 증대부(19)의 중간에는 단면이 반원 형상인 계지 요부(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직경 증대부(19)의 선단측 및 기단측에는 면취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합 돌기부(18)의 기단부에는,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동 규제부(22)가 중심에 대하여 선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회동 규제부(22)는, 상기 둥근축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계지 요부(20)에서 둘레방향(周方向)으로 45도 각도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 부재(14)는, 상기 조인트 본체(13a,13b)와 동일한 합성 수지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27 및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개구부(24a,24b)는 상기 감합 돌기부(18)의 직경 증대부(19)를 포함하는 선단부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쌀가마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24a,24b)는, 상기 쌀가마니 형상의 방향이 원통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90도 회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재(14)의 내부에는, 상기 감합 돌기부(18)의 선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형 구멍(감합공)(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24a)의 쌀가마니 형상의 단축(短軸)방향의 개구 연부에는, 상기 직경 증대부(19)의 원형 구멍(25)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26a,26b)가 각각 형성되며, 개구부(24b)의 쌀가마니 형상의 단축방향의 개구 연부에는, 상기 직경 증대부(19)의 원형 구멍(25)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26c,26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29~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지부(26a~26d)와 상기 원형 구멍(25)의 경계부에는 면취부(2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감합 돌기부(18)를 원형 구멍(25)으로부터 당겨 뽑을 때, 상기 면취부(21,27)의 작용에 의해, 상기 계지부(26a~26d)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계지부(26a~26d)의 내측에는, 상기 원형 구멍(25)의 내주면에는 상기 계지 요부(20)에 결합되는 계지 돌기부(2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본체(13a,13b)를 연결 부재(14)를 통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조인트 본체(13a)의 감합 돌기부(18)를 연결 부재(14)의 개구부(24a)에 삽입하며, 조인트 본체(13a)를 연결 부재(14)에 대하여, 상기 연결 부재(14)를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동 시킨다. 그러면, 감합 돌기부(18)의 계지 요부(20)가 원형 구멍(25)안의 계지 돌기부(28)에 결합되며, 회동 규제부(22)는 개구부(24a)의 쌀가마니 형상의 모서리부에서 옆의 모서리부까지 이동하여,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연결 부재(14)의 다른 쪽의 개구부(24b)에도 동일하게 조인트 부재(13b)의 감합 돌기부(18)를 삽입하여 90도 회동 시켜서 위치 결정 시킨다. 그러면,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4)를 통하여 조인트 본체(13a,13b)가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는, 각 조인트 본체(13a,13b)의 감합 돌기부(18)의 직경 증대부(19)가 연결 부재(14)의 계지부(26a~26d)에 결합되어, 연결 부재(14)의 원형 구멍(25)내에 유지된다. 이 유지력은, 통상의 스크린 승강 조작시에 웨이트 바(4) 및 스크린(3)의 중량에 근거하여 승강 코드(5)에 작용하는 통상의 인장력일 경우에는, 감합 돌기부(18)가 연결 부재(14)에서 이탈될 수 있게 설정되며, 그 최대치는 예를 들면 85N(뉴턴)으로 설정되며, 최소값은 40N로 설정된다.
그리고, 승강 코드(5)에 통상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큰 인장력이 작용되었을 때에만 한하여, 연결 부재(14)의 합성 수지의 탄성에 의해, 감합 돌기부(18)의 직경 증대부(19)에서 연결 부재(14)의 개구부(24a,24b)를 눌러 펴 넓힐 수 있기에, 감합 돌기부(18)가 연결 부재(14)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각 승강 코드(5)의 코드 조인트(12)의 유지력이 85N일 때, 예를 들면 승강 코드(5)의 개수가 n개일 경우에, 합계 유지력은 (85×n)N로 된다. 그리고, 상기 합계 유지력이, 웨이트 바(4)와 스크린(3)의 총중량에 의한 인장력의 절반보다 크게 되게끔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승강 코드는 2개이다.
상기 조작 장치(9)에서, 상기 볼 체인(11)의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풀리(10)의 회전 토크는, 토크 리미터(29)를 통하여 상기 구동축(8)에 전달된다. 토크 리미터(29)는, 도33 및 도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풀리(10)가 전달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전달축(30)이 케이스에 설치된 지지축(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달축(30)의 풀리(10)측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면의 선단에는 스냅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냅부(91)는 풀리(10)의 프렌지에 설치된 돌기부와 결합되어, 전달축(30)이 풀리(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풀리(10)의 상기 볼 체인(11)이 결합되는 부분의 직경 (여기에서 반경은 10mm)은, 상기 권취축(6)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달축(30)과 풀리(10)의 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리미트 스프링(32)이 배설 되어 있다. 리미트 스프링(32)은, 전달축(30)의 외주면에 끼워져 장착되며, 그 일단부는 풀리(10)의 내주면과 결합되어, 풀리(10)와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항상 리미트 스프링(32)과 전달축(30)의 마찰에 의해 풀리(10)와 전달축(30)이 일체로 회전되며, 전달축(30)의 회전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축(8)이 회전되게 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8)의 회전이 저해된 상태로 풀리(10)가 회전될 때, 소정값 이상의 회전 토크를 구동축(8)에 전달하지 않도록, 리미트 스프링(32)이 전달축(30)에 대하여 헛 돌게 되어 있다. 그리고, 리미트 스프링(32)이 전달축(30)에 대하여 헛 돌기 시작하는 회전 토크는, 2개의 승강 코드(5)의 합계 유지력이 170N (구동축(8)의 토크로서는 170N*cm, 최소값은 80N*cm)인 것에 대하여, 75N*cm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전달축(30)과 상기 구동축(8)의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39)가 배설 되어 있다. 이 원웨이 클러치(39)는, 전달축(30)의 승강 코드 권취방향의 회전을 구동축(8)에 전달하며, 승강 코드 권취방향의 회전은 구동축(8)에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볼 체인(11)은, 코드 위에 다수의 볼(33)이 동일한 간격으로 아웃서트 형성되며, 연결부(34)로 연결되어 무단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4)는,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코드(41)의 일단부에 감합부(42)가 아웃서트 형성되며, 이 감합부(42)에 상기 조인트 본체(13a,13b)와 동일한 감합 돌기부(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코드 조인트(12)와 동일하게, 감합 돌기부(18)를 연결 부재(14)에 감합함으로써, 소정값 이상의 인장력으로 분단되게 형성되며, 그 분단력은 예를 들면 95N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연결 코드(41)의 타단부에 아웃서트 형성된 반구부(43)가 볼 체인(11)의 단부에 형성된 반구부에 용착되어 무단형의 볼 체인(11)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 박스(1)의 전면에는, 도22에 도시된 헤드 박스(1) 및 상한까지 끌어 올린 웨이트 바(4)를 덮어 감추기 위한 전방(前部) 바란스(35)가 장착 되어 있다. 이 바란스(35)는, 스크린(3)과 동일한 경목 발(chip-blind)로 구성된다. 또한, 헤드 박스(1)의 배면에도 동일한 후방 바란스(36)가 장착 되어 있다.
상기 헤드 박스(1)안에는 웨이트 바(4)의 자중 강하를 저지하는 공지된 스토퍼 장치(37)와, 스토퍼 장치(37)의 작동을 해제하여 웨이트 바(4)를 자중 강하시킬 경우에, 구동축(8)의 회전 속도를 제한하여 웨이트 바(4)의 하강 속도를 제한하는 거버너 장치(38)가 배설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볼 체인(11)을 조작하여, 풀리(10), 토크 리미터(29) 및 구동축(8)을 통하여 권취축(6)을 승강 코드(5)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 코드(5)가 권취축(6)에 나선 형상으로 권취된다.
그러면, 웨이트 바(4)가 스크린(3)을 권취하면서 상승한다. 또한, 웨이트 바(4)를 상한까지 끌어 올릴 때,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3)을 권취하여 웨이트 바(4)가 전방 바란스(35)의 후방에 감춰지며, 실내의 시야에서 가리워진다.
웨이트 바(4)를 원하는 높이까지 끌어 올린 상태로 볼 체인(11)을 손에서 놓으면, 스토퍼 장치(37)가 작동하며, 웨이트 바(4)의 자중 강하가 저지된다. 웨이트 바(4)가 원하는 높이에 매달아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볼 체인(11)을 조작하여 구동축(8)을 승강 코드 권취방향으로 간신히 회전시키면, 스토퍼 장치(37)의 작동이 해제되어, 권취축(6)이 승강 코드 권취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해 진다. 그러면, 거버너 장치(38)에 의해 하강 속도가 제한된 상태로 웨이트 바(4)가 스크린(3)을 권취 해제하여 하강된다.
스크린(3)의 인상 조작시에, 어떠한 장애물에 의해 웨이트 바(4)의 상승이 저지되며, 혹은 웨이트 바(4)를 상한까지 끌어 올릴 때, 볼 체인(11)의 조작력은 토크 리미터(29), 구동축(8), 권취축(6)을 통하여 승강 코드(5)에 작용한다. 그리고, 토크 리미터(29)에 75N*cm의 토크가 작용되면, 토크 리미터(29)의 리미트 스프링(32)이 전달축(30)에 대하여 헛 돌기 시작하며, 볼 체인(11)에 작용되는 조작력이 구동축(8)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웨이트 바(4)의 인상 조작시에, 웨이트 바(4)의 상승이 저지되거나, 혹은 상한(上限)위치에서 끌어 올리는 힘을 더 가해도, 승강 코드(5)의 코드 조인트(12)는 분단되지 않는다. 한편, 각 승강 코드(5)의 코드 조인트(12)의 유지력이 85N이면, 실제로서는 승강 코드(5)가 복수개 이기에, 그 개수를 n개로 하였을 경우에 (85×n)N*cm의 토크가 권취축(6)에 작용하지 않으면, 코드 조인트(12)가 분단되지 않는다.
한편, 승강 코드(5)가 실내를 이동하는 거주자나 그 외의 이동 물체에 걸려, 코드 조인트(12)에 85N이상의 인장력이 작용되었을 때, 조인트 부재(13a,13b)의 적어도 임의의 하나와 연결 부재(14)의 감합이 이탈되어 분단된다.
따라서, 승강 코드(5)가 실내를 이동하는 거주자나 그 외의 이동 물체에 걸려, 그 이동에 지장을 초래할 일은 없다. 또한, 볼 체인(11)이 실내를 이동하는 거주자나 그 외의 이동 물체에 걸려, 볼 체인(11)에 95N이상의 인장력이 작용되면, 연결부(34)가 이탈되어 분단된다.
따라서, 볼 체인(11)이 실내를 이동하는 거주자나 그 외의 이동 물체에 걸려도, 그 이동에 지장을 초래할 일은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는, 다음에 나타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승강 코드(5)에 거주자 등이 걸렸을 경우에, 코드 조인트(12)에서 조인트 본체(13a,13b)가 분단된다. 따라서, 승강 코드(5)가 페일 세이프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2) 스크린(3)의 인상 조작시에, 웨이트 바(4)의 상승이 저해되어도, 코드 조인트(12)의 분단에 앞서 토크 리미터(29)가 미끄러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웨이트 바(4)의 인상 조작시에, 코드 조인트(12)의 분단에 의한 웨이트 바(4)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3) 코드 조인트(12)가 분단된 후에는, 조인트 본체(13a,13b)를 연결 부재(14)로 연결하며, 코드 조인트(12)를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4) 볼 체인(11)에 거주자 등이 걸렸을 경우에는, 볼 체인(11)이 연결부(34)로 분단된다. 따라서, 볼 체인(11)이 페일 세이프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아래에 나타내는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볼 체인(11)의 연결부(34)에 상기 토크 리미터(29)의 기능을 가지게 해도 좋다. 즉, 상기 실시 형태의 토크 리미터(29)를 생략하고, 연결부(34)의 유지력을 승강 코드(5)의 코드 조인트(12)의 유지력보다 작게 설정한다. 이런 구성에 의해, 웨이트 바(4)의 인상 조작시에는 코드 조인트(12)의 분단에 앞서 볼 체인(11)의 연결부(34)가 분단되기에, 웨이트 바(4)의 인상 조작시에, 코드 조인트(12)의 분단에 의한 웨이트 바(4)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동 안전 기능이 실현되는 값의 예로서 제3관점에서의 실시 형태는 아래와 같이 해도 좋다.
*권취축(6)의 반경: 10mm
*풀리(10)의 반경: 20mm
*코드 조인트(12)의 유지력의 최소값: 10N
*승강 코드 개수(코드 조인트 개수): 3
(복수의 권취축(6)에 작용하는 유지 토크 합계의 최소값은 30N*cm)
*토크 리미터 작동 회전 토크 최대치: 20N*cm
볼 체인(11)의 연결부(34)의 분단력: 15N (체인으로 풀리에 작용하는 최대 토크는 30N*cm)
또한, 토크 리미터(29)를 생략하여 볼 체인에 토크 리미터(29)의 기능을 구비하기 위한 설정값의 예로서 제3관점에서의 실시 형태는 아래와 같이 해도 좋다.
*권취축(6)의 반경: 10mm
*풀리(10)의 반경: 10mm
*코드 조인트(12)의 유지력 최소값: 40N
*승강 코드 개수(코드 조인트 개수): 2
(복수의 권취축(6)에 작용하는 유지 토크 합계의 최소값: 80N*cm)
*볼 체인(11)대신에, 페일 세이프 기능을 갖춘 조작 코드를 사용해도 좋다.
*토크 리미터는, 리미트 스프링외에, 접시 스프링, 코일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료 등을 사용해도 좋다.
*풀리와 전달축의 사이에 점도가 높은 오일을 충전시켜 마찰력을 얻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실시 형태에서의 부호)
1...헤드 박스, 2...차폐재(遮蔽材)(상부 스크린), 4...차폐재(하부 스크린), 11,12...구동축, 13...조작 장치, 15...풀리, 16...조작 코드(볼 체인), 17,51...전달축(기어축), 18...토크 리미터(가압 수단, 리미트 스프링), 32...연결부, 58...토크 리미터(가압 수단, 접시 스프링).
(본 발명의 제2관점에서의 실시 형태에서의 부호)
1...헤드 박스, 15...조작 유닛, 17...풀리, 18...조작 코드(볼 체인), 19a ,19b...고정 장치, 20...벽면, 22,24...샤프트, 27...토크 리미터(구동 기어), 28...토크 리미터(캠 부재), 30a ~30d...토크 흡수 수단(요철부), 32...토크 리미터(토크 흡수 수단, 가압 수단, 코일 스프링), 35...연결부, 41...연결 해제 수단(감합 돌기부), 45...연결 해제 수단(감합공).
(본 발명의 제3관점의 실시 형태에서의 부호)
1...헤드 박스, 3...스크린, 4...웨이트 바, 5...승강 코드, 6...권취 장치(권취축), 8...구동축, 9...조작 장치, 10...풀리, 11...조작 코드(볼 체인), 12...코드 조인트, 13a ,13b...조인트 본체, 14...연결 부재, 18...감합 돌기부, 29...전달 토크 제한 장치(토크 리미터), 34...연결부.

Claims (20)

  1.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에 삽입할 수 있는 조작 풀리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풀리와, 상기 풀리에 걸리는 볼 체인과, 상기 풀리에 결합되는 기어축 또는 전달축을 구비하며,
    상기 볼 체인은, 미리 설정된 제1인장력에 의해 이탈되는 연결부에서 연결되어 무단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풀리는, 상기 볼 체인의 볼을 결합하는 요부를 외주면에 다수 구비하며, 입력측의 단면 내경 방향으로 프렌지를 외주면과 일체로 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출력측을 향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며, 출력측 개구에 상기 기어축 또는 상기 전달축을 마찰하며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풀리와 상기 기어축 또는 상기 전달축의 미끄럼 토크가, 제1인장력이 상기 풀리에 작용하는 제1회전 토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축 또는 상기 전달축은, 풀리측을 원통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주면의 선단에 오목홈 또는 스냅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프렌지에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 풀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축은, 풀리측의 원통 형상부에 비틀림 스프링을 설치하여 마찰력을 얻으며, 비틀림 스프링의 단부를 외경 방향으로 돌출시켜 풀리 내경에 결합 시키는 조작 풀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캠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캠 부재와 상기 풀리의 사이에 접시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여 가압함으로써 마찰력을 얻는 조작 풀리.
  5. 청구항 1에 기재된 조작 풀리를 구비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헤드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볼 체인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풀리를 통하여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여, 차폐재를 구동하고,
    상기 풀리와 상기 구동축의 사이에, 상기 제1인장력이 상기 풀리에 주는 제1회전 토크보다 작은 제2회전 토크에 의해 헛 도는 토크 리미터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리미터는,
    상기 구동축에 상기 풀리의 회전 토크를 전달하는 전달축과,
    상기 풀리와 상기 전달축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풀리의 회전 토크를 마찰력에 근거하여 상기 전달축에 전달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제2회전 토크에 의해 상기 전달축에 대하여 헛 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과 상기 전달축의 사이에는, 상기 전달축에 대하여 헛 돌 때에 토크 리플을 발생시키는 토크 리플 발생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축과, 상기 구동축의 사이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 방향을 선택하는 클러치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사차폐 장치는, 헤드 박스의 양단부에 고정 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고정 장치로부터 대향하는 벽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샤프트의 버팀력으로 상기 헤드 박스를 상기 벽면 사이에 고정시키며, 상기 헤드 박스에 설치된 조작장치로부터 무단형의 볼 체인이 수하되며, 상기 볼 체인의 조작에 의해 상기 헤드 박스에 지지되는 일사차폐재를 구동하는 일사차폐 장치이며,
    상기 토크 리미터는, 상기 볼 체인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헤드 박스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상기 헤드 박스에 작용하는 상기 일사차폐 장치의 중량의 총 합을, 상기 고정 장치의 버팀력에 의한 유지력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볼 체인은, 연결부를 통하여 무단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헤드 박스를 낙하시키는 인장력보다 작은 인장력으로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리미터는,
    상기 볼 체인의 조작에 근거하여 회전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의 회전에 근거하여 회전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풀리와 구동 기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풀리에 작용하는 회전 토크를 제한하는 토크 흡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흡수 수단은,
    상기 풀리와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와 상기 구동 기어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결합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의 결합을 탄성적으로 보유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샤프트에 상기 버팀력으로서 일정한 가압력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가압력을 상기 샤프트에 가압하는 상태와, 가압하지 않는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한 캠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볼 체인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헤드 박스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상기 헤드 박스에 작용하는 상기 일사차폐 장치의 중량과, 상기 볼 체인의 연결부의 연결이 해제되는 인장력 중의 적어도 임의의 하나를, 안전율을 예상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16. 상기 일사차폐 장치는, 헤드 박스로부터 스크린을 매달아 지지하고,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웨이트 바를 매달아 지지하며, 상기 웨이트 바의 아래 쪽을 권취한 승강 코드의 일단을 상기 헤드 박스에 고정시키며, 상기 승강 코드 타단부를 상기 헤드 박스내의 권취 장치로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린을 웨이트 바에 권취 혹은 권취 해제하여 승강 가능하게 하며, 상기 헤드 박스에는 볼 체인의 조작에 의해 상기 권취 장치의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는 조작 장치가 설치된 롤 업 블라인드이며,
    상기 조작 장치는, 청구항5에 기재된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이며,
    상기 승강 코드에는, 통상 조작시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초과하는 인장력으로 상기 승강 코드를 분단 가능하게 하는 코드 조인트가 접속되며, 상기 조작 장치에는 상기 볼 체인의 조작시에 상기 코드 조인트의 분단에 앞서 상기 구동축에 전달되는 조작력을 차단하는 전달 토크 제한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에는 상기 볼 체인을 걸어 설치하는 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풀리와 상기 구동축의 사이에는, 상기 볼 체인의 조작에 의한 상기 코드 조인트의 분단을 저지하는 토크 리미터를 상기 전달 토크 제한 장치로서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에는 볼 체인을 걸어 설치하는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볼 체인에는 상기 볼 체인을 무단형으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볼 체인의 조작시에 상기 코드 조인트의 분단에 앞서 분단하는 유지력을 구비하여 상기 전달 토크 제한 장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유지력을, 상기 토크 리미터의 유지력보다 큰 값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조인트는,
    상기 승강 코드의 단부를 장착하는 한쌍의 조인트 본체와,
    상기 조인트 본체에 설치된 감합 돌기부와,
    상기 조인트 본체의 감합 돌기부를 탄성적으로 감합하며, 상기 조인트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KR1020127029244A 2010-04-12 2011-04-12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및 조작 풀리 KR101851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91737 2010-04-12
JPJP-P-2010-091737 2010-04-12
JP2010244700 2010-10-29
JPJP-P-2010-244700 2010-10-29
JP2011011426 2011-01-21
JPJP-P-2011-011426 2011-01-21
PCT/JP2011/059113 WO2011129345A1 (ja) 2010-04-12 2011-04-12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ロールアップ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操作プーリ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855A KR20130038855A (ko) 2013-04-18
KR101851747B1 true KR101851747B1 (ko) 2018-04-24

Family

ID=4479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244A KR101851747B1 (ko) 2010-04-12 2011-04-12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및 조작 풀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151109B2 (ko)
EP (1) EP2559840B1 (ko)
JP (4) JP5877151B2 (ko)
KR (1) KR101851747B1 (ko)
CN (1) CN102844517B (ko)
AU (1) AU2011241577B2 (ko)
BR (1) BR112012026042B1 (ko)
CA (1) CA2832714C (ko)
HK (1) HK1173759A1 (ko)
MY (1) MY157245A (ko)
SG (1) SG184514A1 (ko)
WO (1) WO2011129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7408B (zh) * 2009-11-02 2014-12-17 立川窗饰工业株式会社 遮蔽装置及用于遮蔽装置的离合器
WO2011110544A2 (en) * 2010-03-10 2011-09-15 Jørn Krab Holding APS A flexible venetian blind
JP5877151B2 (ja) * 2010-04-12 2016-03-02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ロールアップ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操作プーリー
JP6038495B2 (ja) * 2012-03-09 2016-12-07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ロール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及び巻取軸のパイプキャップ
JP6133699B2 (ja) * 2013-06-14 2017-05-2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駆動操作装置
TWM467415U (zh) * 2013-07-04 2013-12-11 Cheng Tian Co Ltd 窗簾珠鍊之安全組件結構
WO2015008799A1 (ja) * 2013-07-18 2015-01-22 立川ブラインド工業 株式会社 カーテンアクセサリー
DE102013107990A1 (de) * 2013-07-26 2015-01-29 Gerhard Geiger GmbH & Co. KG Hebewinde für Rolläden, Jalousien und dgl.
US20150152681A1 (en) * 2013-12-04 2015-06-04 Tser Wen Chou Curtain cord winder structure
CN203742411U (zh) * 2014-01-24 2014-07-30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百叶帘
CN204126527U (zh) * 2014-08-19 2015-01-28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及其遮蔽结构的升降控制模块
CN205532187U (zh) * 2016-01-29 2016-08-31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升降控制结构
CN205400553U (zh) * 2016-03-04 2016-07-27 关健民 一种窗帘
TWI581740B (zh) * 2016-07-15 2017-05-11 程田有限公司 窗簾控制器之安全裝置
CN206545471U (zh) * 2016-10-20 2017-10-10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卷帘支撑结构
CN106837141B (zh) * 2016-12-31 2019-03-05 重庆大学 基于上下对开结构的单元组合式户外巨型幕墙系统
CN106869743B (zh) * 2016-12-31 2018-11-27 重庆大学 用于户外巨型墙幕系统中的缠绕式自平衡上下开合机构
JP6901282B2 (ja) * 2017-02-28 2021-07-1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ロールアップブラインド
JP6802089B2 (ja) * 2017-02-28 2020-12-16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遮蔽装置および巻取装置
TWI670033B (zh) * 2017-11-02 2019-09-01 Chen Tian Co., Ltd. 窗簾控制器無螺絲組裝結構
TWI640280B (zh) * 2017-11-02 2018-11-11 Chen Tian Co., Ltd. 窗簾安全控制器無螺絲組裝結構
US11643864B2 (en) 2018-01-23 2023-05-09 Pella Corporation Screen edge retention and screen rethreading features for a hidden screen assembly and a fenestration assembly
US10612590B2 (en) * 2018-01-24 2020-04-07 New-Field Energy, LLC Buoyancy-enhanced helical loop drive system
US20190242186A1 (en) * 2018-02-06 2019-08-08 Tser Wen Chou Horizontal blind structure
JP7090457B2 (ja) * 2018-04-05 2022-06-2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遮蔽装置、及び遮蔽材駆動装置
JP7502013B2 (ja) 2019-10-25 2024-06-18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ボールチェーン
WO2020209355A1 (ja) * 2019-04-12 2020-10-15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ボールチェーンおよび遮蔽装置
US12000208B2 (en) 2020-01-31 2024-06-04 Pella Corporation Integrated pleated screen assembly
TWI763561B (zh) * 2021-07-20 2022-05-01 型態同步科技股份有限公司 機械式多段速阻尼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754A (ja) * 2000-01-25 2001-08-03 Tachikawa Blind Mfg Co Ltd 日射遮蔽装置のヘッドボックス固定装置
JP2003184456A (ja) * 2001-12-20 2003-07-03 Yokota:Kk 日除け部材の操作コード
JP2009002121A (ja) * 2007-06-25 2009-01-08 Tachikawa Blind Mfg Co Ltd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方法及び遮蔽材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2076Y2 (ko) * 1980-08-29 1986-09-18
SE8106945L (sv) * 1981-11-23 1983-05-24 Stig Jung Anordning vid rullgardinhiss
FR2519063A1 (fr) * 1981-12-30 1983-07-01 Carpano & Pons Dispositif auxiliaire de commande pour portes ou grilles enroulables, portes selectionnelles ou similaires
JPS60122493U (ja) * 1984-01-26 1985-08-17 エスエム工業株式会社 トルクリミツタ付きスクリ−ン巻取り装置
JPH057433Y2 (ko) * 1986-07-05 1993-02-24
JPH0544479Y2 (ko) * 1988-05-11 1993-11-11
JPH01168696U (ko) * 1988-05-13 1989-11-28
JP2656147B2 (ja) * 1990-10-13 1997-09-2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JPH05295642A (ja) * 1992-04-09 1993-11-09 Yoshida Kogyo Kk <Ykk> 長尺ボールチェーンと継ぎ具
JP2695584B2 (ja) * 1992-11-09 1997-12-24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取付装置
DE4239507C2 (de) * 1992-11-25 1995-03-23 Benthin Management Gmbh Rolloantrieb
US5566741A (en) * 1993-06-02 1996-10-22 Kabushiki Kaisha Nichibei Roll screen apparatus
US5361822A (en) * 1994-01-04 1994-11-08 Nysan Shading Systems Ltd. Shade operator
DE29514535U1 (de) * 1995-09-09 1995-10-26 MHZ Hachtel GmbH + Co, 97996 Niederstetten Verbindungsschloß für Perlketten
US5669432A (en) * 1996-03-28 1997-09-23 Nisenson; Jules Automatic-locking mechanical drive construction
US6116325A (en) * 1997-04-02 2000-09-12 Hunter Douglas Inc. Break away operating cord system for retractable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6123140A (en) * 1997-05-20 2000-09-26 Sunproject S.R.L. Spring device for rolling up a roller curtain
US5875829A (en) * 1997-08-23 1999-03-02 Chou; Tser-Wen Bearing structure for vertical blinds and roller shades
US6138740A (en) * 1997-08-23 2000-10-31 Chou; Tser-Wen Bearing structure for vertical blinds and roller shades
CA2277603C (en) * 1998-07-15 2007-01-09 Konrad Welfonder A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 for blinds and or shades
DE19834082C2 (de) * 1998-07-29 2002-06-20 Trietex Antriebstechnik Gmbh Antriebsvorrichtung für das Verschieben und Wenden der Lamellen einer Jalousie in einer Laufschiene
US6164428A (en) * 1999-08-23 2000-12-26 Joel Berman Associates, Inc. Wrap spring shade operator
US6381903B1 (en) * 2000-01-27 2002-05-07 Eddy Desrochers Auxiliary operating device for normally motor-driven closure
US6250359B1 (en) * 2000-06-06 2001-06-26 Eric W. Lorio Beaded chain for blinds
US6237669B1 (en) * 2000-07-18 2001-05-29 Kuentin Ko Tilt cord controller for venetian blinds
US20030085003A1 (en) * 2001-10-23 2003-05-08 Keng Mu Cheng Rolled-up blind driving mechanism
US6901771B2 (en) * 2002-02-21 2005-06-07 Planet Co. Jewel and personal ornament
US20040163774A1 (en) * 2002-03-07 2004-08-26 Ming Nien Venetian blind having dual-drive mechanism
DE60320913D1 (de) * 2002-03-20 2008-06-26 Rollease Inc Kupplung mit innenliegendem getriebe für einen rollvorhang
US6860312B2 (en) * 2002-09-27 2005-03-01 Ren Judkins Roll-up shade with cord capture
US6739373B1 (en) * 2003-03-10 2004-05-25 Tai-Ping Liu Lift control device for a roller shade
TWM245915U (en) * 2003-07-30 2004-10-11 Nien Made Entpr Co Ltd Safe release device for curtain string
TWM253301U (en) * 2003-10-22 2004-12-21 Nien Made Entpr Co Ltd Magnetic curtain rope safety release device
JP4695910B2 (ja) 2005-03-31 2011-06-08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ロールアップ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US20070119552A1 (en) * 2005-11-29 2007-05-31 Wen-Ren Wang Window curtain rolling device
TWM290529U (en) * 2005-12-02 2006-05-11 Ching Feng Home Fashions Co Structure of bead chain controller for window covering
JP2007177440A (ja) * 2005-12-27 2007-07-12 Tachikawa Blind Mfg Co Ltd 操作コード接続具及び操作コード接続具の製造方法
KR100658640B1 (ko) * 2006-02-06 2006-12-19 곽재석 롤 스크린의 자동 승강 구동장치
DE202006004867U1 (de) * 2006-03-28 2006-06-01 Marion Peplies E.K. Dekoprofiltechnik Getriebe zum Heben und Senken einer Vorhangbahn
TWM301271U (en) * 2006-04-25 2006-11-21 Feng-Chin Liou Beaded-chain wheel for curtain
KR100768403B1 (ko) * 2006-07-05 2007-10-18 김정민 듀얼 롤 블라인드 시스템
CN101512095B (zh) * 2006-09-01 2011-12-07 亨特·道格拉斯私人有限公司 窗帘的操作和安装系统
GB0700706D0 (en) * 2007-01-13 2007-02-21 Mccormick Gregory 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hanging flexible covering
US7632018B2 (en) * 2007-03-08 2009-12-15 Hiwin Technologies Corp. Synchronous chain for a linear guideway
JP2009062778A (ja) * 2007-09-07 2009-03-26 Nanik Japan Inc ブラインド用安全装置及びブラインド
US20080251624A1 (en) * 2007-04-10 2008-10-16 Fraczek Richard R Shade lifting mechanism
EP2231988B1 (en) * 2008-01-04 2017-01-25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Operating unit for architectural coverings
JP5193849B2 (ja) * 2008-12-26 2013-05-08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
AT507095B1 (de) * 2009-01-27 2010-02-15 Kraler Franz Antriebs- und wendevorrichtung für die lamellen einer jalousie
AU2010200306B2 (en) * 2009-02-09 2014-08-28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NZ583118A (en) * 2009-02-09 2010-06-25 Carmelo Joseph Licciardi Di St A winding mechanism for a window blind with open and closed positions for attaching the pull cord
CN102597408B (zh) * 2009-11-02 2014-12-17 立川窗饰工业株式会社 遮蔽装置及用于遮蔽装置的离合器
US20110108215A1 (en) * 2009-11-10 2011-05-12 Levin Steven J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afety cord for window covering systems
US20110108216A1 (en) * 2009-11-10 2011-05-12 Levin Steven J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afety Cord For Window Covering Systems
US20110108205A1 (en) * 2009-11-10 2011-05-12 Levin Steven J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afety Cord For Window Covering Systems
TWM400279U (en) * 2010-02-05 2011-03-21 Vikson Entpr Co Ltd Safety docking components set used for curtain string
JP5877151B2 (ja) * 2010-04-12 2016-03-02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ロールアップ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操作プーリー
JP5548013B2 (ja) * 2010-04-14 2014-07-16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WO2011136255A1 (ja) * 2010-04-30 2011-11-03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操作コード、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
BR112013017280B1 (pt) * 2011-01-06 2021-05-18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rotor bobinado para o funcionamento de uma cobertura retrátil para uma abertura arquitetônica
JP5666965B2 (ja) * 2011-04-08 2015-02-12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
US8336598B1 (en) * 2011-11-10 2012-12-25 Rising Sun Development Co., Ltd. Safety device for a roller blind
TWM440739U (en) * 2012-04-06 2012-11-11 zhe-wen Zhou Controller for roller curtain
TWM442105U (en) * 2012-08-08 2012-12-01 Uni Soleil Ent Co Ltd Improved roller blind controller
US20140130989A1 (en) * 2012-11-12 2014-05-15 Louis Chan Window dressing control device
US20140338847A1 (en) * 2013-05-17 2014-11-20 Uni-Soleil Ent. Co., Ltd. Curtain control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754A (ja) * 2000-01-25 2001-08-03 Tachikawa Blind Mfg Co Ltd 日射遮蔽装置のヘッドボックス固定装置
JP2003184456A (ja) * 2001-12-20 2003-07-03 Yokota:Kk 日除け部材の操作コード
JP2009002121A (ja) * 2007-06-25 2009-01-08 Tachikawa Blind Mfg Co Ltd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方法及び遮蔽材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46162B2 (ja) 2017-12-13
BR112012026042B1 (pt) 2021-03-16
AU2011241577A1 (en) 2012-11-08
CA2832714A1 (en) 2011-10-20
KR20130038855A (ko) 2013-04-18
EP2559840B1 (en) 2018-03-21
JP2016006292A (ja) 2016-01-14
JP5877151B2 (ja) 2016-03-02
JP6073427B2 (ja) 2017-02-01
JP2016006291A (ja) 2016-01-14
HK1173759A1 (zh) 2013-05-24
BR112012026042A2 (pt) 2020-08-18
CA2832714C (en) 2017-10-03
EP2559840A1 (en) 2013-02-20
MY157245A (en) 2016-05-13
AU2011241577B2 (en) 2014-07-17
US20130056164A1 (en) 2013-03-07
JP2017160786A (ja) 2017-09-14
WO2011129345A1 (ja) 2011-10-20
EP2559840A4 (en) 2015-06-03
US9151109B2 (en) 2015-10-06
CN102844517B (zh) 2016-01-20
JP6346352B2 (ja) 2018-06-20
JPWO2011129345A1 (ja) 2013-07-18
SG184514A1 (en) 2012-11-29
CN102844517A (zh)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747B1 (ko)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및 조작 풀리
AU2010312381B2 (en) Shielding device and clutch used therefor
US20130248125A1 (en) Window Covering Having a Lift System Utilizing Conical Spools
JP2009121232A (ja) 建築物の開口部の覆いの昇降機構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ユニット
KR20170105568A (ko) 윈도우 쉐이드 및 그 제어 시스템
JP4704772B2 (ja) ブラインド
JP6077514B2 (ja) 遮蔽装置
JP5417124B2 (ja) 遮蔽装置
JP5650832B2 (ja) 遮蔽装置
JP5859801B2 (ja) 日射遮蔽装置
JP7382374B2 (ja) 電動遮蔽装置
JP5421069B2 (ja) 遮蔽装置
JP6313486B2 (ja) 遮蔽装置
JP7193995B2 (ja) 遮蔽装置
WO2006009033A1 (ja) 日射遮蔽装置及び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RU2433240C1 (ru) Самоподнимающееся оконное закры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JP2019108719A (ja) 遮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