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471B1 - 전동 릴 - Google Patents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471B1
KR101836471B1 KR1020110093669A KR20110093669A KR101836471B1 KR 101836471 B1 KR101836471 B1 KR 101836471B1 KR 1020110093669 A KR1020110093669 A KR 1020110093669A KR 20110093669 A KR20110093669 A KR 20110093669A KR 101836471 B1 KR101836471 B1 KR 101836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witch operating
reel
operating por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027A (ko
Inventor
아츠시 카와마타
케이고 키타지마
마사카즈 노무라
요스케 카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20030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전동 릴에 있어서, 릴을 대형화하는 것 없이, 스위치 조작부의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를 동시 누르는 것에 의하여, 릴 본체(1) 우측부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릴 본체(1) 좌측부에 배치된 제2 스위치 조작부(5)에 할당된 촌동(寸動)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를 반대로 전환한다. 여기에서는,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를 동시 누르는 것에 의하여, 제1 스위치 조작부(4)에 촌동 스위치 모드가 할당되고 제2 스위치 조작부(5)에 연속 스위치 모드가 할당된 상태와, 제1 스위치 조작부(4)에 연속 스위치 모드가 할당되고 제2 스위치 조작부(5)에 촌동 스위치 모드가 할당된 상태를 전환한다.

Description

전동 릴{Electric Motor Drive Fishing Reel}
본 발명은, 전동 릴, 특히, 낚싯줄을 감는 전동 릴에 관한 것이다.
전동 릴은, 예를 들어, 빙결(氷結)한 호상(湖上)이나 돔 선상으로부터 빙어 등의 작은 물고기를 낚을 때에 사용되는 소형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동 릴은, 팁(tip)으로 불리는 비교적 짧고, 탄력성이 있는 낚싯대가 장착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배치되어 낚싯줄을 감는 스풀과, 스풀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릴 본체의 측부(側部)에 배치되어 모터의 구동을 온, 오프하는 스위치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 릴에서는, 스위치 조작부를 온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스풀을 회전시킴으로써 낚싯줄을 감는다.
또한, 이와 같은 전동 릴에 있어서 낚싯줄을 감아올리는 스위치 조작부에는, 스위치 조작부가 1회 온 조작되었을 때에 모터를 회전시키고, 스위치 조작부가 재차 1회 온 조작되었을 때에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낚싯줄의 감아올림을 하는 연속 스위치와, 스위치 조작부가 온 조작되고 있을 때만 모터를 회전시키고, 스위치 조작부가 온 조작되어 있지 않을 때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작 스위치를 소정의 시간 온 조작하고 있는 동안 낚싯줄의 감아올림을 하는 촌동(寸動) 스위치가 있다. 예를 들어, 연속 스위치를 가지는 전동 릴로서, 릴 본체의 우측부에 1개의 스위치(오른쪽 스위치, 오토 오른쪽 스위치)가 배치된 것이나, 릴 본체의 좌측부에 1개의 스위치(왼쪽 스위치, 오토 왼쪽 스위치)가 배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비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촌동 스위치를 가지는 전동 릴로서, 릴 본체의 우측부에 1개의 스위치(스탠다드 오른쪽 스위치)가 배치된 것이나, 릴 본체의 좌측부에 1개의 스위치(스탠다드 왼쪽 스위치)가 배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연속 스위치와 촌동 스위치를 가지는 전동 릴로서, 릴 본체의 상부에 1개의 연속 스위치와 2개의 촌동 스위치가 배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일본국 특허공보 제439262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40273호
인터넷<URL:http://www.yety.jp/index.html>
상기 종래의 연속 스위치 또는 촌동 스위치를 가지는 전동 릴은, 릴 본체의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1개의 연속 스위치 또는 촌동 스위치밖에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속 스위치 또는 촌동 스위치의 일방(一方)밖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낚시꾼은 릴 본체의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연속 스위치를 가지는 전동 릴과, 릴 본체의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촌동 스위치를 가지는 전동 릴을 각각 별도 준비할 필요가 있어, 복수의 전동 릴을 준비하는 것은 낚시꾼에게 있어서 부담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릴 본체의 상부에 1개의 연속 스위치와 2개의 촌동 스위치가 배치된 전동 릴은, 복수의 전동릴을 준비할 필요가 없이 연속 스위치 또는 촌동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릴 본체의 상부의 소정의 위치에 연속 스위치와 촌동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릴 본체의 측부를 파지(把持)하는 손가락과 다른 손가락으로 조작할 필요가 있어, 이 때문에, 스위치 조작부의 조작성이 저하할 우려가 생긴다. 또한, 이 전동 릴에서는, 같은 기능의 촌동 스위치가 2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나 스위치를 배치할 스페이스가 별도 필요하게 되어, 이 때문에 릴이 대형화하거나, 릴 제조 코스트가 증대하거나 할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동 릴에 있어서, 릴을 대형화하는 것 없이, 스위치 조작부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전동 릴은, 낚싯줄을 감는 전동 릴이고, 릴 본체와 스풀과 모터와 릴 제어부와 제1 스위치 조작부와 제2 스위치 조작부, 스위치 모드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줄 감기용의 것이다. 모터는, 스풀을 회전시킨다. 릴 제어부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가진다. 제1 스위치 조작부는, 릴 본체의 우측부에 배치된다. 제2 스위치 조작부는, 릴 본체의 좌측부에 배치된다. 스위치 모드 전환 수단은,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제2 스위치 조작부에 할당된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를 반대로 전환한다. 촌동 스위치 모드는, 제1 스위치 조작부 또는 제2 스위치 조작부가 온 조작되어 있을 때만 모터를 회전시키고, 제1 스위치 조작부 또는 제2 스위치 조작부가 온 조작되어 있지 않을 때 모터를 정지시키는 스위치모드이다. 연속 스위치 모드는, 제1 스위치 조작부 또는 제2 스위치 조작부가 1회 온 조작되었을 때에 모터를 회전시키고, 제1 스위치 조작부 또는 제2 스위치 조작부가 재차 1회 온 조작되었을 때에 모터를 정지시키는 스위치 모드이다.
이 전동 릴에서는, 스위치 모드 전환 수단은, 릴 본체의 우측부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릴 본체의 좌측부에 배치된 제2 스위치 조작부에 할당된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를 반대로 전환한다. 여기에서는, 스위치 모드 전환 수단에 의하여, 제1 스위치 조작부에 촌동 스위치 모드가 할당되고 제2 스위치 조작부에 연속 스위치 모드가 할당된 상태와, 제1 스위치 조작부에 연속 스위치 모드가 할당되고 제2 스위치 조작부에 촌동 스위치 모드가 할당된 상태를 전환한다. 여기에서는, 제1 스위치 조작부와 제2 스위치 조작부의 2개의 스위치 조작부만으로,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와 연속 스위치 모드 및 촌동 스위치 모드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같은 기능의 스위치를 별도 배치할 필요가 없어져, 이 때문에, 릴을 대형화하는 것이 없어진다. 또한, 제1 스위치 조작부는 릴 본체의 우측부에 배치되고, 제2 스위치 조작부는 릴 본체의 좌측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릴 본체의 측부를 파지하는 손가락과 같은 손가락으로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제2 스위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조작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전동 릴은, 발명 1의 전동 릴에 있어서, 릴 본체에 배치된 전환 스위치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모드 전환 수단은, 전환 스위치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릴 제어부가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제2 스위치 조작부에 할당된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를 반대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낚시꾼에 의한 전환 스위치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제2 스위치 조작부에 할당된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를 반대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전동 릴은, 발명 1 또는 2의 전동 릴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제2 스위치 조작부는, 각각 릴 본체의 좌우 측부의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제2 스위치 조작부는 릴 본체의 좌우 측부의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꾼의 오른손 또는 왼손의 같은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전동 릴에서는, 발명 1 또는 2의 전동 릴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제2 스위치 조작부는, 릴 본체가 한 손으로 파지된 경우에 그 한 손의 엄지 또는 검지로 각각 조작 가능하게 릴 본체의 좌우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릴 본체를 낚시용의 받침대나 뱃전 등에 재치(載置, 물건의 위에 다른 것을 올리는 것)한 상태에서, 낚시꾼이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릴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한 오른손 또는 왼손의 엄지 또는 검지로,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제2 스위치 조작부를 각각 조작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전동 릴은, 발명 1 또는 2의 전동 릴에 있어서, 릴 본체에 설치된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릴 제어부는, 적어도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제2 스위치 조작부에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의 어느 쪽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 표시부에 적어도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제2 스위치 조작부에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의 어느 쪽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꾼은 현재의 스위치 모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릴에 있어서, 스위치 모드 전환 수단에 의하여, 릴 본체의 우측부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릴 본체의 좌측부에 배치된 제2 스위치 조작부에 할당된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를 반대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릴을 대형화하는 것 없이, 스위치 조작부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전동 릴의 평면도.
도 2는 상기 전동 릴의 우측면도.
도 3은 상기 전동 릴을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릴 본체에 스토퍼 가이드를 장착하였을 때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상기 스토퍼 가이드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상기 릴 본체의 상기 스토퍼 가이드 장착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상기 릴 본체의 스풀을 떼어냈을 때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제1 스위치 조작부가 촌동 스위치 모드일 때의 표시부의 확대 평면도.
도 9는 제2 스위치 조작부가 촌동 스위치 모드일 때의 상기 표시부의 확대 평면도.
도 10은 상기 전동 릴의 제어 블록도.
도 11은 상기 스풀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상기 스풀의 낚싯줄 계지부 장착부의 확대 단면도.
도 13은 상기 스풀의 손잡이 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14는 모터 및 모터 케이스의 확대 사시도.
도 15는 상기 모터 및 상기 모터 케이스 취부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6은 채비를 내리고 있을 때의 상기 전동 릴에 낚싯대를 장착하였을 때의 우측면도.
도 17은 상기 채비를 감아올렸을 때의 상기 전동 릴에 상기 낚싯대를 장착하였을 때의 우측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전동 릴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빙결한 호상이나 돔 선상으로부터 빙어 등의 작은 물고기를 낚을 때에 사용되는 소형의 전동 릴이다. 이 전동 릴은, 팁으로 불리는 비교적 짧고 탄력성이 있는 낚싯대(R)가 전부(前部)에 장착되는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우상(右上) 전부에 배치되어 낚싯줄(L)을 감는 스풀(2)과, 릴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되어 스풀(2)을 회전시키는 모터(3)(도 10 및 도 14 참조)와, 릴 본체(1)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 배치되어 모터(3)의 구동을 온, 오프하는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제2 스위치 조작부(5)와, 릴 본체(1)의 상면(上面)에 배치되어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6)와, 릴 본체(1)의 상면의 표시부(6)의 후부(後部)에 배치되어 스위치 모드 등의 전환 설정을 행하는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와, 릴 본체(1)의 상면의 표시부(6)의 전부에 배치되어 모터(3)의 스풀(2)로의 회전 전달을 온, 오프하는 클러치 조작부(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릴 본체(1)의 전부에는, 낚싯대(R)가 장착되는 통상(筒狀)에 돌출한 낚싯대 장착부(1a)가 형성되어 있고, 낚싯대 장착부(1a) 및 낚싯대(R)의 기단부(基端部) 외주(外周)에는, 낚싯줄(L)에 설치된 스토퍼(S, stopper)(도 17 참조)가 접촉하여 낚싯줄(L)의 감기를 정지시키는 스토퍼 가이드(10)가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동 릴에서는,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제2 스위치 조작부(5)를 온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3)를 구동하여 스풀(2)을 회전시킴으로써 낚싯줄(L)을 감아낸다. 덧붙여 이 전동 릴에서는, 낚싯줄(L)의 감기는 모터(3)의 구동에만 의하여 스풀(2)을 회전시킴으로써 행하여지며, 스풀(2)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핸들 등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릴 본체(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를 한 손으로 파지 가능한 크기로 되도록 형성되고, 합성 수지제의 복수의 케이스 부재를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는 전후로 긴 상자상(狀) 부재이다. 릴 본체(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하(右下) 전부로부터 전방(前方)으로 돌출하여 낚싯대(R)가 장착되는 원통상(圓筒狀)의 낚싯대 장착부(1a)와, 우상 전부가 다른 부분보다 오목하게 형성되어 스풀(2)이 배치되는 스풀 수납 오목부(1b)를 가지고 있다. 낚싯대 장착부(1a)는, 도 4 및 도 6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스풀 수납 오목부(1b)의 하부(下部)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원통상의 부분이며, 내주(內周)부에 낚싯대(R)가 장착 고정되고, 외주부에, 낚싯줄(L)을 감고 있을 때에 낚싯줄(L)에 설치된 스토퍼(S)(도 17 참조)가 접촉하여 낚싯줄(L)의 감기를 정지시키는 스토퍼 가이드(1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 가이드(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선재(線材) 부재를 접어 구부려 형성된 부재이다. 스토퍼 가이드(1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L)이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통과 가능하고, 또한 스토퍼(S)가 접촉하여 통과 불가능하게 가로로 길게 형성된 접촉 구멍부(10a)와, 접촉 구멍부(10a)의 하부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10b)와, 접촉 구멍부(10a)의 하부 중앙으로부터 비스듬히 전하방(前下方)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10c)와, 제1 연결부(10b)의 하부에 원환상(圓環狀)으로 형성되어 낚싯대 장착부(1a)의 외주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장착부(10d)와, 제2 연결부(10c)의 하부에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낚싯대(R)의 기단측 외주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장착부(10e)를 가지고 있다. 접촉 구멍부(10a), 제1 연결부(10b), 제2 연결부(10c), 제1 장착부(10d) 및 제2 장착부(10e)는, 1개의 금속제의 선재 부재를 접어 구부려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접촉 구멍부(10a)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2)의 줄감기 부분과 같은 정도의 가로폭으로 되도록 가로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의 구멍부이며, 낚싯줄(L)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통과 가능하다. 또한, 접촉 구멍부(10a)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폭이 스토퍼(S)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이 때문에, 스토퍼(S)가 접촉 구멍부(10a)에 접촉하여 접촉 구멍부(10a)를 통과하는 일이 없다. 또한, 제1 장착부(10d)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大徑)의 낚싯대 장착부(1a)의 외주부에 장착되고, 제2 장착부(10e)는, 소경(小徑)의 낚싯대(R)의 기단부 외주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 장착부(10d)의 직경은, 제2 장착부(10e)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낚싯대 장착부(1a)의 하부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팽출하여 팽출부(1c)가 형성되어 있고, 팽출부(1c)의 외주부에는, 낚싯대 장착부(1a)의 외주부를 따른 원호상(圓弧狀)의 제1 홈부(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홈부(1d)에는, 스토퍼 가이드(10)의 제1 장착부(10d)의 하부가 장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스토퍼 가이드(1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스토퍼 가이드(10)가 빠짐 방지된다. 나아가, 낚싯대 장착부(1a)의 상방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전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제1 돌출부(1e) 및 제2 돌출부(1f)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돌출부(1e)와 제2 돌출부(1f)의 사이에는, 스토퍼 가이드(10)의 제1 연결부(10b)의 하부가 삽통(揷通, 구멍에 통하는 것)가능한 제2 홈부(1g)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홈부(1g)에 스토퍼 가이드(10)의 제1 연결부(10b)가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 가이드(1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스토퍼 가이드(10)가 소정의 위치에 회전 멈춤된다.
이와 같은 스토퍼 가이드(10)를 전동 릴 및 낚싯대(R)에 취부(取付)하려면, 우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 장착부(1a)로부터 낚싯대(R)를 떼어낸 상태로, 낚싯대 장착부(1a)의 외주부에 스토퍼 가이드(10)의 제1 장착부(10d)를 장착한다. 이 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 가이드(10)의 제1 연결부(10b)가 제1 돌출부(1e)와 제2 돌출부(1f)의 사이의 제2 홈부(1g)에 삽통되도록 위치 결정하고, 스토퍼 가이드(10)의 제1 장착부(10d)를 팽출부(1c)의 제1 홈부(1d)로 밀어 넣어 장착한다. 그리고, 제1 홈부(1d)에 제1 장착부(10d)가 장착된 상태에서, 낚싯대(R)의 기단부를 스토퍼 가이드(10)의 제2 장착부(10e)를 삽통시키고나서 낚싯대 장착부(1a)에 낚싯대(R)를 삽입 고정한다. 스토퍼 가이드(10)를 전동 릴 및 낚싯대(R)로부터 떼어내려면, 취부 작업과 반대의 순서를 행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릴 및 낚싯대(R)에 스토퍼 가이드(10)를 취부한 상태에서, 스풀(2)에 감긴 낚싯줄(L)을 스토퍼 가이드(10)의 접촉 구멍부(10a)를 뒤로부터 전방으로 삽통한 후, 낚싯줄(L)의 선단(先端)측으로부터 스토퍼(S)를 삽통한다. 스토퍼(S)는, 중앙부에 낚싯줄(L)의 직경보다 약간 대경인 낚싯줄 삽통 구멍이 형성된 대략 구상(球狀)의 비즈이고, 스토퍼 가이드(10)의 접촉 구멍부(10a)의 구멍부보다 대경의 부재이다. 이 때문에, 스토퍼(S)가 접촉 구멍부(10a)에 접촉하여 접촉 구멍부(10a)를 통과하는 일이 없다. 또한, 스토퍼(S)는, 낚싯대(R)의 외주부에 취부된 가장 뒤쪽의 가이드 링(G)의 구멍부보다 대경의 부재이다. 이 때문에 스토퍼(S)가 가장 뒤쪽의 가이드 링(G)에 접촉하여 가장 뒤쪽의 가이드 링(G)을 통과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스토퍼(S)는, 스토퍼 가이드(10)와 가장 뒤쪽의 가이드 링(G)의 사이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낚싯줄(L)의 선단을 낚싯대(R)의 외주부에 취부된 복수의 가이드 링(G)을 삽통하여, 낚싯줄(L)의 선단에 채비(H)가 취부된 원줄(M)을 취부한다. 낚싯줄(L)과 원줄(M)의 사이에는, 매듭(K)이 형성되어 있고, 매듭(K)은 스토퍼(S)의 낚싯줄 삽통 구멍을 삽통 불가능하지만, 매듭(K)은 복수의 가이드 링(G)을 삽통 가능하다.
이 상태로 낚싯줄을 감아올려 가면, 매듭(K)이 가장 뒤쪽의 가이드 링(G)을 삽통하여, 매듭(K)이 스토퍼(S)에 접촉한다. 나아가, 낚싯줄을 감아올려 가면, 매듭(K)이 스토퍼(S)를 스토퍼 가이드(10)의 접촉 구멍부(10a)를 향하여 밀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S)가 스토퍼 가이드(10)의 접촉 구멍부(10a)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L)의 감기가 정지된다. 이 때, 채비(H)는 낚싯대(R)의 선단의 가장 앞에서 정지하기 때문에, 채비(H)가 가장 앞쪽의 가이드 링(G)으로 끌려들어가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토퍼 가이드(1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채비(H)를 스풀(2)로 끌어들여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풀(2)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우상 전부가 다른 부분보다 오목하게 형성된 스풀 수납 오목부(1b)의 측부에 장착된 스풀축(11)(도 7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체가 스풀 수납 오목부(1b)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풀 수납 오목부(1b)의 스풀(2)의 하부에는,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2)로부터 스풀 수납 오목부(1b)의 측부쪽으로 낚싯줄(L)이 줄 빠짐하고 낚싯줄(L)이 스풀축(11)에 휘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풀(2)의 외형과 대향하도록 입설(立設, 선 상태로 설치하는 것)된 복수의 주상(柱狀)의 리브(rib)로 이루어지는 벽부(壁部, 1h)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1h)는, 스풀 수납 오목부(1b)의 측부쪽 저부(底部)에 입설된 복수의 주상의 리브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계단상으로 형성한 것이며, 스풀(2)의 하부 외주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2)에 감긴 낚싯줄(L)이 벽부(1h)에 의하여 스풀 수납 오목부(1b)의 측부쪽으로 줄 빠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에서는, 복수의 주상의 리브로 벽부(1h)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벽부(1h)의 육후(肉厚)가 후육화(厚肉化)하고 수지 성형 시의 국부적 수축 등에 의한 벽부(1h)의 변형에 의하여, 벽부(1h)와 스풀(2)의 위치 치수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풀(2)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싯줄(L)이 감기는 통상의 줄 감기 몸통부(2a)와, 줄 감기 몸통부(2a)의 일단(一端)에 직경 방향 외방(外方)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제1 플랜지부(2b)와, 줄 감기 몸통부(2a)의 타단(他端)에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제2 플랜지부(2c)와, 줄 감기 몸통부(2a)의 내주부를 관통하여 스풀축(11)이 삽통되는 관통 구멍(2e)과, 제1 플랜지부(2b)의 직경 방향을 따라 외주부와 관통 구멍(2e)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낚싯줄 계지(係止, 서로 걸려 고정되는 것)부(20)가 장착되는 장착 홈(2d)을 가지고 있다. 줄 감기 몸통부(2a)는, 스풀축(11)보다 약간 대경의 통상 부재이다. 제1 플랜지부(2b)의 스풀 수납 오목부(1b)의 측부 대향면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마그넷(26)이 접착 고정되어 있다. 2개의 마그넷(26)은, 릴 본체(1)의 내부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는 리드 스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스풀(2)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관통 구멍(2e)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계지부(20)의 기단부(20b)를 관통 구멍(2e)에 계지한 후에, 제1 플랜지부(2b)측의 개구(開口)로부터 제1 베어링 부재(21)가 압입(壓入) 고정되고, 제2 플랜지부(2c)측의 개구로부터 칼라(collar) 부재(23)가 장착된 후에, 제2 플랜지부(2c)측의 개구로부터 제2 베어링 부재(22)가 압입 고정되어 있다. 제1 베어링 부재(21) 및 제2 베어링 부재(22)는, 볼 베어링이며, 외주부가 관통 구멍(2e)에 압입 고정되고, 내주부가 스풀축(11)에 고정되어 있다. 칼라 부재(23)는, 제1 베어링 부재(21)와 제2 베어링 부재(22)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spacer)이며, 내주부에 스풀축(11)이 삽통되는 통상 부재이다. 스풀축(11)의 선단부에는, 너트 부재(24)가 틀어 넣어지고, O링(25)에 의하여 느슨함이 방지되어 있다. 너트 부재(24)는, 도 13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1)의 선단부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11a)가 나합((螺合, 나사를 끼워 맞추는 것)하는 나사 구멍(24a)과, 나사 구멍(24a)의 개구측에 나사 구멍(24a)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내주부에 O링(25)이 압축된 상태로 장착되는 관통 구멍(24b)과, 관통 구멍(24b)의 개구측 내주부가 내측으로 약간 돌출한 내 플랜지부(24c)를 가지고 있다. 내플랜지부(24c)와 스풀축(11)의 사이의 극간(隙間)은, O링(25)의 직경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O링(25)을 관통 구멍(24b)의 내주부에 계지한 상태로 스풀축(11)이 삽통된다.
낚싯줄 계지부(20)는, 도 1 내지 도 3,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20b)가 스풀(2)의 관통 구멍(2e)에 계지되고, 선단부(20c)가 스풀(2)의 제1 플랜지부(2b)의 외주부에 노출하여 배치되어, 선단부(20c)와 스풀(2)의 제1 플랜지부(2b)의 외주부의 사이에서 낚싯줄(L)을 협지(挾持) 가능한 금속제의 선재 부재이다. 낚싯줄 계지부(20)는, 도 2, 도 3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선재 부재를 접어 구부려 2개의 선재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동일 형상의 것을 3개 구비하고 있어, 3개의 낚싯줄 계지부(20)가 등간격(等間隔)으로 배치된 3개소의 장착 홈(2d)에 장착되어 있다. 낚싯줄 계지부(20)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홈(2d)에 장착되는 본체부(20a)와, 본체부(20a)의 기단측에 일체 성형된 기단부(20b)와, 본체부(20a)의 선단측에 일체 성형된 선단부(20c)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20a)는, 장착 홈(2d)에 장착되는 직선상의 부분이고, 장착 홈(2d)에 접착 고정된다. 기단부(20b)는, 제1 플랜지부(2b)의 장착 홈(2d)으로부터 관통 구멍(2e)의 일부가 낚싯줄 계지부(20)의 두께 정도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f)를 따라 접어 구부러지고 있고,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 계지부(20)의 기단부(20b)는, 관통 구멍(2e)에 계지된다. 선단부(20c)는, 제1 플랜지부(2b)의 장착 홈(2d)으로부터 제1 플랜지부(2b)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따라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20c)와 제1 플랜지부(2b)의 외주부의 사이에는 약간의 극간이 생성되어 있어, 이 극간에 낚싯줄(L)을 협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스풀(2) 및 낚싯줄 계지부(20)를 조립하려면, 우선, 1개의 선재 부재를 접어 구부려 2개의 선재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선단부(20c)를 제1 플랜지부(2b)의 장착 홈(2d)로부터 제1 플랜지부(2b)의 바깥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형상이 되도록 접어 구부리고, 기단부(20b)를 제1 플랜지부(2b)의 장착 홈(2d)으로부터 관통 구멍(2e)의 오목부(2f)를 따르는 형상이 되도록 미리 접어 구부린 낚싯줄 계지부(20)를 준비한다. 이 상태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계지부(20)의 기단부(20b) 및 본체부(20a)를 제1 플랜지부(2b)의 장착 홈(2d)에 장착하고, 낚싯줄 계지부(20)의 기단부(20b)를 관통 구멍(2e)에 계지한다. 다음으로, 제1 플랜지부(2b)의 장착 홈(2d)에 장착된 낚싯줄 계지부(20)의 본체부(20a)를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제1 플랜지부(2b) 측의 개구로부터 제1 베어링 부재(21)를 관통 구멍(2e)에 압입 고정하고, 제2 플랜지부(2c) 측의 개구로부터 칼라 부재(23)를 장착한 후에, 제2 플랜지부(2c)측의 개구로부터 제2 베어링 부재(22)를 관통 구멍(2e)에 압입 고정한다. 다음으로, 스풀축(11)을 제2 베어링 부재(22), 칼라 부재(23), 제1 베어링 부재(21)의 순서로 삽통시키고, 스풀축(11)의 선단부의 나사부(11a)에, O링(25)을 관통 구멍(24b)의 내주부에 계지한 상태의 너트 부재(24)의 나사 구멍(24a)을, 나합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2)은 스풀축(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모터(3)는, 릴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3)의 회전을 스풀축(11)에 전달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2)을 회전시킨다. 이 회전 전달 기구 내에는,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 기구를 가지고 있어, 클러치 조작부(9)(도 1 참조)의 온, 오프 조작에 의하여, 회전 전달이 온, 오프된다. 모터(3)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에 의하여 형성된 모터 홀더(40)에 장착되어 있고, 모터 홀더(40)에 장착된 모터(3)를 모터 홀더(40)째 스풀축(11)에 접촉, 이반(離反)시키는 것에 의하여, 클러치의 온, 오프를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모터 홀더(40)에 모터(3)를 취부하려면, 도 15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3)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계합(係合, 걸어 맞춤) 홈(3a)에 모터 홀더(40)의 계합 돌기(40a)를 접어 구부려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모터(3)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계합 홈(3a)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 홀더(40)에 모터(3)를 취부하기 위하여 모터(3)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모터(3)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나 홈부는, 모터 홀더(40)에 모터(3)를 취부하기 전에, 실리콘 본드를 도포하거나, 혹은, 테이프를 붙이는 것에 의하여 막혀있고, 이것에 의하여, 모터(3)를 방수할 수 있다.
제1 스위치 조작부(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우측부에 배치되어, 모터(3)의 구동을 온, 오프하는 스위치이다. 제2 스위치 조작부(5)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좌측부에 배치되어, 모터(3)의 구동을 온, 오프 하는 스위치이다.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제2 스위치 조작부(5)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릴 본체(1)의 좌우 측부의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1)는, 전체를 한 손으로 파지 가능한 크기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제2 스위치 조작부(5)는, 각각 엄지 또는 검지로 조작 가능한 릴 본체의 좌우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왼손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제1 스위치 조작부(4)를 엄지로 조작 가능하고, 제2 스위치 조작부(5)를 검지로 조작 가능하다. 또한, 오른손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제1 스위치 조작부(4)를 검지로 조작 가능하고, 제2 스위치 조작부(5)를 엄지로 조작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제2 스위치 조작부(5)에는, 모터(3)의 구동을 시키는 스위치 모드로서, 촌동 스위치 모드와 연속 스위치 모드의 2개의 스위치 모드가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촌동 스위치 모드는, 제1 스위치 조작부(4) 또는 제2 스위치 조작부(5)가 온 조작되어 있을 때만 모터(3)를 회전시키고, 제1 스위치 조작부(4) 또는 제2 스위치 조작부(5)가 온 조작되어 있지 않을 때 모터(3)를 정지시키는 스위치 모드이다. 또한, 연속 스위치 모드는, 제1 스위치 조작부(4) 또는 제2 스위치 조작부(5)가 1회 온 조작되었을 때에 모터(3)를 회전시키고, 제1 스위치 조작부(4) 또는 제2 스위치 조작부(5)가 재차 1회 온 조작되었을 때에 모터(3)를 정지시키는 스위치 모드이다. 그리고,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를 동시 누르는 것에 의하여, 릴 본체(1) 우측부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릴 본체(1) 좌측부에 배치된 제2 스위치 조작부(5)에 할당된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를 반대로 전환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 모드의 전환은, 후술하는 릴 제어부(30)(도 10 참조)가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를 동시 누르는 것을 검출하면, 릴 제어부(30)가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제2 스위치 조작부(5)에 촌동 스위치 모드 또는 연속 스위치 모드의 기능을 할당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하여, 스위치 모드를 전환하고 있다.
표시부(6)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상면에 배치되어,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세그먼트(segment)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이고, 클러치 조작부(9)와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6)는, 도 8 및 도 9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에 배치되어 채비의 수심을 표시하는 수심 표시부(6a)와, 수심 표시부(6a)의 하부 좌측에 배치되어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부(6b)와, 수심 표시부(6a)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제1 스위치 조작부(4)가 촌동 스위치 모드일 때 R의 도형(도 8 참조)을 표시하고, 제2 스위치 조작부(5)가 촌동 스위치 모드일 때 L의 도형(도 9 참조)을 표시하여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제2 스위치 조작부(5) 상태를 표시하는 스위치 조작부 상태 표시부(6c)와, 수심 표시부(6a)의 하부 우측에 배치되어 스풀(2)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속도 표시부(6d)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조작부 상태 표시부(6c)에 R의 도형이 표시되어 있을 때는, 제1 스위치 조작부(4)가 촌동 스위치 모드이고, 제2 스위치 조작부(5)가 연속 스위치 모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조작부 상태 표시부(6c)에 L의 도형 표시되어 있을 때는, 제2 스위치 조작부(5)가 촌동 스위치 모드이고, 제1 스위치 조작부(4)가 연속 스위치 모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상면에 배치되어 스위치 모드 등의 전환 설정을 행하는 스위치이다.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는, 표시부의 후부에 배치되어, 우측에 제3 스위치 조작부(7)가 위치하고, 좌측에 제4 스위치 조작부(8)가 위치하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를 동시 누르는 것에 의하여, 릴 본체(1) 우측부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릴 본체(1) 좌측부에 배치된 제2 스위치 조작부(5)에 할당된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를 반대로 전환한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CPU, RAM, ROM, I/O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릴 제어부(30)(도 10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릴 제어부(3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스위치 조작부(4), 제2 스위치 조작부(5),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의 각종의 스위치 조작부와, 스풀(2)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회전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스풀 센서(41) 및 스풀 카운터(42)와, 모터(3)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값 검출부(44)와,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모터(3)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모터 제어부(31)와, 표시부(6)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부(32)와,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43)와, 다른 입출력부가 접속되어 있다. 스풀 센서(41)는, 전후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리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리드 스위치는, 스풀(2)에 장착된 2개의 마그넷(26)을 검출한다. 이 검출 펄스를 스풀 카운터(42)로 계수하는 것으로 스풀(2)의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어느 리드 스위치가 먼저 검출 펄스를 발하였는지에 의하여 스풀(2)의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스풀 카운터(42)는, 스풀 센서(41)의 온 오프 횟수를 계수하는 카운터이고, 이 계수값에 의하여 스풀 회전수에 관한 회전 위치 데이터가 얻어진다. 스풀 카운터(42)는, 스풀(2)이 정회전(줄 방출 방향의 회전)하면 계수값이 감소하고, 역회전하면 증가한다. 기억부(43)는 예를 들어 EEPROM 등의 불휘발 메모리로 이루어지고, 학습 결과의 데이터나 줄 길이 산출 시에 사용하는 각종의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전류값 검출부(44)는, 모터(3)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계측 센서이다. 모터 제어부(31)는, 스풀(2)의 회전수에 따른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채비(H)가 낚싯대(R)의 선단부 위치, 즉 뱃전 위치) 자동적으로 모터(3)의 구동을 정지하여 낚싯줄(L)의 감기를 정지시키는 뱃전 정지 기능을 실현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터 제어부(31)는, 스풀 카운터(42)에 의하여 검출된 스풀(2)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모터(3)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풀(2)의 회전수로부터 소정의 범위(예를 들어 뱃전 정지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을 때, 전류값 검출부(44)에 의하여 검출된 모터(3)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모터(3)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어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미리 설정된 뱃전 정지 위치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예를 들어 모터(3)에 큰 전류가 흘렀을 때, 즉, 모터(3)에 큰 부하가 생겼을 때에 모터(3)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토퍼(S)가 스토퍼 가이드(10)로 강하게 끌려 들어가 스토퍼(S) 및 스토퍼 가이드(10)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전동 릴에서는,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를 동시 누르는 것에 의하여, 릴 본체(1) 우측부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릴 본체(1) 좌측부에 배치된 제2 스위치 조작부(5)에 할당된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를 반대로 전환한다. 여기에서는,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를 동시 누르는 것에 의하여, 제1 스위치 조작부(4)에 촌동 스위치 모드가 할당되고 제2 스위치 조작부(5)에 연속 스위치 모드가 할당된 상태와, 제1 스위치 조작부(4)에 연속 스위치 모드가 할당되고 제2 스위치 조작부(5)에 촌동 스위치 모드가 할당된 상태를 전환한다. 여기에서는, 제1 스위치 조작부(4)와 제2 스위치 조작부(5)의 2개의 스위치 조작부만으로,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와 연속 스위치 모드 및 촌동 스위치 모드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같은 기능의 스위치를 별도 배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이 때문에, 릴을 대형화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제1 스위치 조작부(4)는 릴 본체(1)의 우측부에 배치되고, 제2 스위치 조작부(5)는 릴 본체(1)의 좌측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릴 본체(1)의 측부를 파지하는 손가락과 같은 손가락(엄지 및 검지)으로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제2 스위치 조작부(5)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조작부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를 동시 누르는 것에 의하여,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제2 스위치 조작부(5)에 할당된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를 반대로 전환하고 있었지만, 예를 들어 1개의 전환 스위치만을 설치하여, 이 전환 스위치를 압압(押壓, 내리누르는 것) 조작하여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3 스위치 조작부(7) 및 제4 스위치 조작부(8)를 동시 누르는 것 에 의하여, 릴 제어부(30)가 스위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었지만, 예를 들어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제2 스위치 조작부(5)나, 릴 제어부(30)로부터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제2 스위치 조작부(5)로의 배선부를 각각 1개의 유닛으로서 릴 본체(1)로부터 떼어내어, 이들 유닛을 좌우 반대로 하여 취부되도록 하는 등, 하드적으로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를 반대로 전환하는 스위치 모드 전환 수단을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부(6)의 스위치 조작부 상태 표시부(6c)에는, 제1 스위치 조작부(4)가 촌동 스위치 모드일 때 R의 도형을 표시하고, 제2 스위치 조작부(5)가 촌동 스위치 모드일 때 L의 도형을 표시하고 있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 스위치 조작부(4)가 연속 스위치 모드일 때 L의 도형을 표시하고, 제2 스위치 조작부(5)가 연속 스위치 모드일 때 R의 도형을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스위치 조작부(4) 및 제2 스위치 조작부(5)의 양방의 스위치 모드를 촌동 스위치 모드 또는 연속 스위치 모드의 문자에 의하여 표시부(6)의 스위치 조작부 상태 표시부(6c)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1 : 릴 본체
1a : 낚싯대 장착부
1b : 스풀 수납 오목부
1c : 팽출부
1d : 제1 홈부
1e : 제1 돌출부
1f : 제2 돌출부
1g : 제2 홈부
1h : 벽부
2 : 스풀
2a : 줄 감기 몸통부
2b : 제1 플랜지부
2c : 제2 플랜지부
2d : 장착 홈
2e : 관통 구멍
2f : 오목부
3 : 모터
3a : 계합 홈
4 : 제1 스위치 조작부
5 : 제2 스위치 조작부
6 : 표시부
6a : 수심 표시부
6b : 배터리 잔량 표시부
6c : 스위치 조작부 상태 표시부
6d : 속도 표시부
7 : 제3 스위치 조작부
8 : 제4 스위치 조작부
9 : 클러치 조작부
10 : 스토퍼 가이드
10a : 접촉 구멍부
10b : 제1 연결부
10c : 제2 연결부
10d : 제1 장착부
10e : 제2 장착부
11 : 스풀축
11a : 나사부
20 : 낚싯줄 계지부
20a : 본체부
20b : 기단부
20c : 선단부
21 : 제1 베어링 부재
22 : 제2 베어링 부재
23 : 칼라 부재
24 : 너트 부재
24a : 나사 구멍
24b : 관통 구멍
24c : 내 플랜지부
25 : O링
26 : 마그넷
30 : 릴 제어부
31 : 모터 제어부
32 : 표시 제어부
40 : 모터 홀더
40a : 계합 돌기
41 : 스풀 센서
42 : 스풀 카운터
43 : 기억부
44 : 전류값 검출부
G : 가이드 링
H : 채비
K : 매듭
L : 낚싯줄
M : 원줄
R : 낚싯대
S : 스토퍼

Claims (5)

  1. 낚싯줄을 감는 전동 릴이며,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줄 감기용의 스풀과,
    상기 스풀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가지는 릴 제어부와,
    상기 릴 본체의 우측부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조작부와,
    상기 릴 본체의 좌측부에 배치된 제2 스위치 조작부와,
    상기 제 1 스위치 조작부 및 상기 제2 스위치 조작부에 할당된 촌동(寸動) 스위치 모드 및 연속 스위치 모드를 반대로 전환하는 스위치 모드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촌동 스위치 모드는, 상기 제1 스위치 조작부 또는 상기 제2 스위치 조작부가 온 조작되어 있을 때만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치 조작부 또는 상기 제2 스위치 조작부가 온 조작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스위치 모드이고,
    상기 연속 스위치 모드는, 상기 제1 스위치 조작부 또는 상기 제2 스위치 조작부가 1회 온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치 조작부 또는 상기 제 2 스위치 조작부가 재차 1회 온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스위치 모드인, 전동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 배치된 전환 스위치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수단은, 상기 전환 스위치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릴 제어부가 상기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상기 제2 스위치 조작부에 할당된 상기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상기 연속 스위치 모드를 반대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수단인, 전동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상기 제2 스위치 조작부는, 각각 상기 릴 본체의 좌우 측부의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전동 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상기 제2 스위치 조작부는, 상기 릴 본체가 한 손으로 파지(把持)된 경우에 당해 한 손의 엄지 또는 검지로 각각 조작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의 좌우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전동 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릴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제1 스위치 조작부 및 상기 제2 스위치 조작부에 상기 촌동 스위치 모드 및 상기 연속 스위치 모드의 어느 쪽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더 가지고 있는, 전동 릴.
KR1020110093669A 2010-09-17 2011-09-16 전동 릴 KR101836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9842A JP5707074B2 (ja) 2010-09-17 2010-09-17 電動リール
JPJP-P-2010-209842 2010-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027A KR20120030027A (ko) 2012-03-27
KR101836471B1 true KR101836471B1 (ko) 2018-03-09

Family

ID=4590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669A KR101836471B1 (ko) 2010-09-17 2011-09-16 전동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07074B2 (ko)
KR (1) KR101836471B1 (ko)
CN (1) CN102405890B (ko)
TW (1) TWI52615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8602A (ko) 2022-12-13 2024-06-20 김영근 낚시용 전동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9229B2 (ja) 2012-03-16 2016-08-17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サイエンス 集束イオンビーム装置およびイオンビーム光学系の調整方法
JP6994310B2 (ja) * 2017-06-07 2022-01-1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6986864B2 (ja) * 2017-06-07 2021-12-22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JP7040904B2 (ja) * 2017-07-03 2022-03-23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JP7065590B2 (ja) * 2017-10-31 2022-05-12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CN110207890B (zh) * 2019-06-21 2023-12-12 上海铭控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压力记录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350A (ja) 2003-12-01 2005-06-2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8569U (ko) * 1987-12-21 1989-06-30
JP3504751B2 (ja) * 1994-12-09 2004-03-08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及び釣用電動リール
JPH10215737A (ja) * 1997-02-03 1998-08-18 Ryobi Ltd 釣用電動リール
JP3294820B2 (ja) * 1999-07-07 2002-06-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1045933A (ja) * 1999-08-04 2001-02-20 Shimano Inc 電動リール
JP2002027878A (ja) * 2000-07-13 2002-01-29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表示装置
JP2002045096A (ja) * 2000-07-31 2002-02-12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3872286B2 (ja) * 2000-12-11 2007-01-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TW503082B (en) * 2000-12-18 2002-09-21 Shimano Kk Fishing reel and fish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JP2002262735A (ja) * 2001-03-07 2002-09-17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表示装置
JP2002369644A (ja) * 2001-06-14 2002-12-2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表示装置
JP2003111541A (ja) * 2001-10-03 2003-04-15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スイッチ操作部
JP2004081152A (ja) * 2002-08-28 2004-03-18 Shimano Inc 電動リール
JP3793134B2 (ja) * 2002-09-30 2006-07-0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SG112957A1 (en) * 2003-12-04 2005-07-28 Shimano Kk Fishing data display device
JP2007252256A (ja) * 2006-03-22 2007-10-04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9100651A (ja) * 2007-10-19 2009-05-14 Yasuyuki Kosaka 超小型釣竿用電動リール
JP4903177B2 (ja) * 2008-03-31 2012-03-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4392627B1 (ja) * 2009-07-03 2010-01-06 有限会社大館精工 釣り用電動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350A (ja) 2003-12-01 2005-06-2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8602A (ko) 2022-12-13 2024-06-20 김영근 낚시용 전동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12814A (en) 2012-04-01
JP5707074B2 (ja) 2015-04-22
CN102405890A (zh) 2012-04-11
TWI526154B (zh) 2016-03-21
JP2012060961A (ja) 2012-03-29
KR20120030027A (ko) 2012-03-27
CN102405890B (zh)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471B1 (ko) 전동 릴
KR101898461B1 (ko) 양 베어링 릴의 장력 표시 장치
KR101747105B1 (ko) 낚시용 릴
JP6204041B2 (ja) 両軸受リール
TWI583306B (zh) Double bearing type reel
JP2013048594A5 (ko)
JP5826621B2 (ja) 電動リール及び電動リールのスタンド部材取付構造
JP2014000030A (ja) 両軸受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両軸受リールおよび電動リール
JP2014000030A5 (ko)
CN105766835B (zh) 钓鱼用渔线轮
JP2015057076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777867B2 (ja) 釣り用リール
KR101896933B1 (ko)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JP2013022007A (ja) 釣り用リール
JP5748438B2 (ja) 電動リール
JP6679356B2 (ja) 電動リール
KR20190059199A (ko) 양 베어링 릴
JP6284307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6792460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5002689A5 (ko)
JP5992810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20220163881A (ko) 낚시용 전동 릴
JPH10229791A (ja) 魚釣用リ−ル
JP2001238580A (ja) 魚釣用リール
JP2002335829A (ja) 魚釣用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