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933B1 -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 Google Patents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933B1
KR101896933B1 KR1020130024487A KR20130024487A KR101896933B1 KR 101896933 B1 KR101896933 B1 KR 101896933B1 KR 1020130024487 A KR1020130024487 A KR 1020130024487A KR 20130024487 A KR20130024487 A KR 20130024487A KR 101896933 B1 KR101896933 B1 KR 101896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otor
spool
fishing lin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059A (ko
Inventor
히로카즈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3014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풀의 전방(前方)에 모터가 배치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에 있어서, 낚싯줄이 모터의 수납부에 접촉하지 않게 한다.
[해결 수단] 레벨 와인드 기구(22)는, 릴 본체(1)에 수납되는 모터(12)가 스풀(10)의 전방에 배치되는 기구이다. 레벨 와인드 기구(22)는, 낚싯줄 가이드(23)와 트래버스 캠축(24)을 구비하고 있다. 낚싯줄 가이드(23)는, 모터(12)의 상방(上方)에 모터(12)의 중심(MC)을 사이에 두고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낚싯줄을 안내하는 통상(筒狀)의 가이드부(25a)를 가진다. 트래버스 캠축(24)은, 외주면(外周面)에 교차하는 나선상(螺旋狀) 홈(24a)이 형성되고, 적어도 스풀(10)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낚싯줄 가이드를 왕복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LEVEL WINDING MECHANISM FOR AN ELECTRIC FISHING REEL}
본 발명은 레벨 와인드 기구, 특히, 릴 본체에 장착되는 모터가 스풀의 전방(前方)에 배치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동 릴에 있어서, 스풀을 구동하는 모터가 스풀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종래 알려져 있다. 모터는 스풀의 전방에 배치된 통상(筒狀)의 모터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다. 모터가 스풀의 전방에 배치되는 릴에서는, 레벨 와인드 기구의 낚싯줄 가이드를 모터의 전방에 배치하면 스풀까지의 거리가 길어져, 줄 감기 형상이 불균일하여 안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모터와 스풀과의 사이에 낚싯줄 가이드를 배치한 전동 릴이 종래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의 도 9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090645호
종래의 레벨 와인드 기구에서는, 낚싯줄 가이드가 모터와 스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 가이드로부터 나온 낚싯줄이 모터의 수납부의 외주면(外周面)에 접촉할 우려가 있고, 모터의 수납부에 낚싯줄이 접촉하면, 낚싯줄의 방출 속도가 저하하기 쉽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풀의 전방에 모터가 배치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에 있어서, 낚싯줄이 모터의 수납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는, 릴 본체에 수납되는 모터가 스풀의 전방에 배치되는 기구이다. 레벨 와인드 기구는, 낚싯줄 가이드와, 트래버스 캠축을 구비하고 있다. 낚싯줄 가이드는, 모터의 상방(上方)에 모터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낚싯줄을 안내하는 통상의 가이드부를 가진다. 트래버스 캠축은, 외주면에 교차하는 나선상(螺旋狀) 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스풀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낚싯줄 가이드를 왕복 이동시킨다. 가이드부는, 전단부(前端部)가 후단부보다도 모터로부터 이반(離反)하도록 앞쪽으로 올라가도록 경사한다.
이 레벨 와인드 기구에서는, 트래버스 캠축의 회전에 의하여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통상의 가이드부가 모터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터의 바로 위를 통과하는 낚싯줄이 통상의 가이드부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이 모터의 수납부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가이드부가 앞쪽으로 올라가도록 경사하기 때문에, 젖은 낚싯줄로부터의 물이 가이드부 내에 부착하여도, 부착한 물이 경사에 의하여 가이드부로부터 빠지기 쉬워진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는, 발명 1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트래버스 캠축은, 모터의 중심보다도 전방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모터의 중심보다 트래버스 캠축이 전방에 배치되어도, 가이드부의 후단부(後端部)가 스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줄 감기 형상이 안정된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트래버스 캠축은, 모터의 중심보다도 상방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트래버스 캠축이 모터의 중심보다도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이드부와 트래버스 캠축과의 거리가 짧아지고, 트래버스 캠축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하는 낚싯줄 가이드가 덜걱거리기 어려워져, 낚싯줄을 안정하여 안내할 수 있다.
삭제
발명 4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내부를 낚싯줄이 통과 가능하고, 모터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통상의 통과부와, 통과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1개의 경질(硬質) 링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낚싯줄이 경질 링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낚싯줄이 접촉하여도 가이드부가 마모되기 어렵다. 또한, 경질 링부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것으로, 낚싯줄이 접촉하여도 방출 속도가 저하하기 어렵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는, 가이드 본체와 계합(係合, 걸어 맞춤) 부재를 가진다. 가이드 본체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납부를 가지고, 트래버스 캠축이 관통한다. 계합 부재는, 수납부에 수납되고 나선상 홈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는, 계합 부재가 트래버스 캠축의 교차하는 나선상 홈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 가이드가 왕복 이동한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는, 발명 5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모터는, 릴 본체에 설치되는 통상의 모터 수납부에 수납된다. 가이드 본체는, 가이드부로부터 수납부를 향하여 모터 수납부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彎曲)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부로부터 계합 부재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모터 수납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 본체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는, 발명 5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1 가이드축과 제2 가이드축을 더 구비한다. 제1 가이드축은, 가이드부의 스풀 측의 단부(端部)에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트래버스 캠축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제2 가이드축은, 가이드부와 수납부와의 사이에서 가이드 본체를 관통하여 트래버스 캠축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종래 설치되는 제2 가이드축에 더하여 줄 방출 시에 낚싯줄이 안내되는 입구 부근에 제1 가이드축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이 얽히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2 가이드축에 의하여, 전후 방향 길이가 긴 가이드부의 보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 가이드가 안정되어 안내되고, 낚싯줄 가이드의 왕복 이동이 부드럽게 된다.
발명 8에 관련되는 전동 릴은,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레벨 와인드 기구와, 모터와,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전동 릴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의 바로 위를 통과하는 낚싯줄이 통상의 가이드부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이 모터의 수납부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동 릴의 평면도.
도 2는 그 정면도.
도 3은 그 우측면도.
도 4는 그 좌측면도.
도 5는 그 저면도.
도 6은 제2 측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전동 릴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3의 절단선 VII-VII에 의한 단면도.
도 8은 도 3의 절단선 VIII-VIII에 의한 단면도.
도 9는 도 2의 절단선 IX-IX에 의한 단면도.
도 10은 제1 측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전동 릴의 좌측면도.
도 11은 히트 싱크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전동 릴의 좌측면도.
도 12는 도 6의 후부의 측면 부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동 릴의 도 9에 상당하는 도면.
<제1 실시예>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인 전동 릴(100)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과 함께, 수동 릴로서 사용할 때의 전원을 내부에 가지는 릴이다. 또한, 전동 릴은, 줄 방출 길이 또는 줄 감기 길이에 따라 채비의 수심을 표시하는 수심 표시 기능을 가지는 릴이다. 덧붙여, 이후의 설명에서는, 낚싯줄이 방출되는 전후 방향을 제1 방향(X)이라고 하고, 그것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을 제2 방향(Y)이라고 한다.
전동 릴(100)은,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릴 본체(1)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2)과, 핸들(2)의 내측에 배치된 드래그(drag)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3)와, 릴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된 줄 감기용의 스풀(10)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7)과, 제1 측 커버(8a)와, 제2 측 커버(8b)와, 전(前) 커버(9)와, 카운터 케이스(4)를 구비한다. 프레임(7)은, 일체 형성된 제1 측판(7a)과, 제1 측판(7a)과 제2 방향(Y)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측판(7b)과,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7c) 및 제2 연결 부재(7d)를 가지고 있다. 제1 측 커버(8a)는, 프레임(7)의 핸들(2)의 장착 측과 반대쪽을 덮는다. 제2 측 커버(8b)는, 프레임(7)의 핸들(2) 장착 측을 덮는다. 전 커버(9)는, 프레임(7)의 전부(前部)를 덮는다.
제1 측판(7a)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0)이 통과 가능한 원형 개구(開口)(7e)가 형성되어 있다. 원형 개구(7e)에는, 스풀(10)의 스풀축(14)의 제1 단(端)(도 7 우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 지지부(17)가 심출(芯出)되어 장착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7)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체로 원형의 부재이다. 스풀 지지부(17)는, 제1 측판(7a)의 외측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소(예를 들어 3개소)에서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7)는, 스풀축(14)의 제1 단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18a)을 수납하는 베어링 수납부(17a)와, 제1 측 커버(8a)의 후술하는 방열 커버(8d)를 고정하기 위한 2개의 보스부(17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풀 지지부(17)는, 스풀(10)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스풀 센서(63)가 배치되는 센서 배치부(17c)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 수납부(17a)는, 스풀 지지부(17)의 외측면으로 돌출하여 바닥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된다. 보스부(17b)는, 스풀 지지부(17)의 외측면으로부터 축 방향 외방(外方)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센서 배치부(17c)는, 주위를 둘러싸는 벽부(壁部, 17d)를 가지고 있다. 센서 배치부(17c)는, 스풀 센서(63)가 탑재된 기판에의 전기 배선이 끝나면 벽부(17d) 내가 합성 수지제의 봉지제(封止劑)에 의하여 봉지(封止, 개구를 폐쇄하는 것)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센서(63)가 절연된다.
스풀 센서(63)는, 예를 들어, 스풀(10)의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놓아져 배치된 자력을 검출 가능한 2개의 자력 센서(예를 들어, 리드 스위치 또는 홀 소자)(63a, 63b)를 가지고 있다. 스풀(10)은, 스풀 센서(63)에 대향 가능한 위치에 자석(10a)을 가지고 있다. 이 자석(10a)을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1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자력 센서(63a) 및 자력 센서(63b)의 어느 하나가 먼저 자석(10a)을 검출하였는지에 의하여, 스풀(10)의 회전 방향(줄 감기 방향 또는 줄 방출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7b)은, 각종 기구를 장착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 측판(7b)과 제2 측 커버(8b)와의 사이에는, 스풀 구동 기구(13)와, 후술하는 클러치 기구(16)를 제어하는 클러치 제어 기구(20)와, 캐스팅 컨트롤 기구(2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과의 사이에는, 스풀(10)과, 클러치 기구(16)와, 스풀(10)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벨 와인드 기구(22)가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16)는, 스풀(1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온)와 동력을 차단하는 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오프)로 전환한다. 릴 본체(1)의 후부(後部)에 있어서,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과의 사이에는, 클러치 기구(16)를 온 오프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 부재(11)가 요동(搖動, 흔들려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도 12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클러치 오프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릴 본체(1)는, 제2 측판(7b)의 외측면에 제2 측판(7b)과 제2 방향(Y)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2 측 커버(8b)와의 사이의 공간에 상기의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기구 장착판(19)을 더 구비하고 있다. 기구 장착판(19)은, 제2 측판(7b)의 외측면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7c)는,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하부(下部)를 전후 2개소에서 연결한다. 제2 연결 부재(7d)는 스풀(10)의 전부를 연결한다. 제1 연결 부재(7c)는, 판상(板狀)의 부분이며, 그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낚싯대에 취부하기 위한 장대 취부 다리(7f)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7d)는, 스풀(10)의 전방에 배치되는 대체로 원통상(圓筒狀)의 부분이며, 그 내부에 스풀(10) 구동용의 모터(12, 도 7 및 도 9 참조)가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2)는, 스풀(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2 연결 부재(7d)의 제1 측판(7a) 측의 개구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모터 보지부(保持部)(15)에 의하여 막혀 있다.
모터 보지부(15)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체로 원판상의 부재이다. 모터 보지부(15)는, 제1 측판(7a)에 복수 개소에서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모터 보지부(15)는, 모터(12)를 나사 멈춤 고정한다. 모터 보지부(15)는, 모터(12)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기 위한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를 가지는 역전(逆轉) 금지부(44)가 배치되는 클러치 수납부(15a)와, 모터(12)의 접속 단자를 배치하기 위한 단자 배치 구멍(15b)과, 2개의 위치 결정 돌기(15c)를 가지고 있다. 또한, 모터 보지부(15)는, 1개의 취부 보스(15d)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수납부(15a)는 외측면으로 돌출하도록 바닥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된다. 단자 배치 구멍(15b)은, 전기 배선이 접속된 후에 봉지제에 의하여 봉지된다. 모터 보지부(15)와 제2 연결 부재(7d)와의 사이에는 O링 등의 실(seal) 부재가 장착된다. 이것들에 의하여, 제2 연결 부재(7d) 내로의 액체의 침입이 방지된다. 취부 보스(15d)는, 모터 보지부(15)의 외측면으로부터 축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취부 보스(15d)에는, 모터(12)를 냉각하기 위한 방열 핀(41)이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방열 핀(41)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방열 핀(41)은, 표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복수의 선상(線狀)의 볼록부(41a)를 외측면에 가지고 있다. 방열 핀(41)은, 위치 결정 돌기(15c)에 위치 결정되는 2개의 위치 결정 오목부(41b)를 내측면에 가지고 있다. 또한, 방열 핀(41)은, 취부 보스(15d)를 향하여 연장되는 취부 다리(41c)를 가지고 있다. 이 취부 다리(41c)가 모터 보지부(15)의 취부 보스(15d)에 나사 멈춤 고정된다.
제1 측 커버(8a)는, 제1 측판(7a)의 외연부(外緣部)에 예를 들어 나사 멈춤되어 있다. 제1 측 커버(8a)의 전부 하면(下面)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 접속용의 커넥터(43)가 하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제1 측 커버(8a)는, 전동 릴(100)의 측부(側部)의 뒤쪽을 커버하는 커버 본체(8c)와, 전동 릴(100)의 측부의 앞쪽을 커버하는 방열 커버(8d)를 가지고 있다. 커버 본체(8c)는, 제1 측판(7a)에 나사 멈춤된다.
방열 커버(8d)는, 방열 핀(41)을 덮는다. 방열 커버(8d)는, 방열 핀(41)의 방열 성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복수의 슬릿(slit, 8e)을 가지고 있다. 슬릿(8e)으로부터 방열 핀(41)을 들여다 볼 수 있다. 방열 커버(8d)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본체(8c)가 아니라, 후부가 스풀 지지부(17)에 복수 개소(예를 들어 2개소)에서 나사 멈춤되고, 전부가 제1 측판(7a)의 전부에 1개소에서 나사 멈춤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측 커버(8a) 전체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방열 핀(41)을 덮는 제1 측 커버(8a)의 조립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복수의 슬릿(8e)이 형성되는 방열 커버(8d)에 우그러짐이 생겨도 커버 본체(8c)와의 형체 맞춤을 행하기 쉽다. 나아가, 제1 측 커버(8a)가 커버 본체(8c)와 방열 커버(8d)로 분할되기 때문에, 모터(12) 등에의 배선을 행하기 쉬워진다.
제2 측 커버(8b)에는, 핸들(2)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 보스부(8f)가 외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스부(8f)의 후방(後方)에는, 스풀축(14)의 제2 단을 지지하는 제2 보스부(8g)가 외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측 커버(8b)의 제1 보스부(8f)의 상방에는, 모터(12)를 복수의 단수(段數)(예를 들어 31의 단수)로 제어하기 위한 조정 레버(5, 도 3 참조)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정 레버(5)에는, 도시하지 않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가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 커버(8b)와, 제2 측판(7b)의 하부의 각각에는, 단차(8h)와 단차(7g)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 간극(間隙)이 릴 본체(1)의 내부에 침입한 물을 빼기 위한 물 빼기 구멍(56)으로서 기능한다.
전 커버(9)는,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전부 외측면의 상하 2개소에서, 예를 들어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전 커버(9)에는, 낚싯줄 통과용의 가로로 긴 개구(9a, 도 3)가 형성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의 구성>
카운터 케이스(4)는, 도 1,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상부에 재치(載置, 물건의 위에 다른 것을 올려 놓음)되고,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외측면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4)의 내부에는, 수심 표시용의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기(61)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 케이스(4)의 내부에는, 모터(12) 및 표시기(61)를 제어하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릴 제어부(60, 도 13)가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4)의 상면(上面)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기(61)가 노출하는 직사각형의 개구(4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4a)는, 합성 수지제의 투명한 커버 부재(4b)에 의하여 커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4a)의 후방(도 1 하방(下方))에는, 조작 키부(62)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 키부(62)는, 좌우로 나란히 놓아 배치된 모터 제어 선택 스위치(SW1)와, 0 세트 스위치(SW2)와, 줄 끊어짐 스위치(SW3)를 가지고 있다. 모터 제어 선택 스위치(SW1)는, 모터(12)를 장력 일정 모드로 제어하는 장력 모드와, 속도 일정 모드로 제어하는 속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0 세트 스위치(SW2)는, 낚시를 행하기 전에, 채비를 수면에 배치하여 수심 표시값을 0으로 세트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줄 끊어짐 스위치(SW3)는, 낚싯줄이 도중에 끊어졌을 때, 채비를 수면에 배치하여 수심 표시값을 0으로 세트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카운터 케이스(4)는, 하면에 제2 방향(Y)을 따라 형성된 홈부(4c)를 가지고 있다.
<스풀의 구성>
스풀(10)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4)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10)은, 통상의 줄 감기 몸통부(10b)와, 줄 감기 몸통부(10b)의 양측에 일체 형성된 대경(大徑)의 제1 플랜지부(10c) 및 제2 플랜지부(10d)를 가지고 있다. 스풀(10)은, 줄 감기 몸통부(10b)의 직경이 제1 플랜지부(10c) 및 제2 플랜지부(10d)의 직경보다 상당히 작은(예를 들어 반분(半分) 이하의 직경) 직경을 가지는 심구형(深溝形)의 것이다. 제1 플랜지부(10c)에 전술한 자석(10a)이 고정된다. 스풀축(14)은, 줄 감기 몸통부(10b)의 내주부에 압입(壓入) 등의 적의(適宜)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14)의 제1 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 지지부(17)에서 제1 베어링(18a)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14)의 제2 단(도 7 좌단)은, 제2 측 커버(8b)의 제2 보스부(8g)에 제2 베어링(18b)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14)은, 스풀(10)이 고정된 대경부(14a)와, 대경부(14a)의 제1 단 측의 제1 소경부(小徑部)(14b)와, 대경부(14a)의 제2 단 측의 제2 소경부(14c)를 가지고 있다. 대경부(14a)의 스풀 고정 부분보다 제2 소경부(14c) 측에는, 클러치 기구(16)를 구성하는 클러치 핀(16a)이 직경 방향을 관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 및 클러치 제어 기구의 구성>
클러치 기구(16)는, 클러치 핀(16a)과,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32)의 도 7 우측 단면(端面)에 직경 방향을 따라 십자(十字)로 패여 형성된 클러치 오목부(16b)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클러치 기구(16)를 구성하는 것과 함께 후술하는 제1 회전 전달 기구(45)를 구성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스풀축(14) 방향을 따라, 도 7에 도시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도 3 좌측의 클러치 오프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클러치 온 위치에서는, 클러치 핀(16a)이 클러치 오목부(16b)에 계합하여 피니언 기어(32)의 회전이 스풀축(14)으로 전달되고, 클러치 기구(16)는 클러치 온 상태가 된다. 이 클러치 온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와 스풀축(14)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 오프 위치에서는, 클러치 오목부(16b)가 클러치 핀(16a)으로부터 이반하여 피니언 기어(32)의 회전이 스풀축(14)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클러치 기구(16)는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되고, 스풀(10)은 자유 회전 가능하게 된다.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도 12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 도 12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클러치 오프 위치와의 사이의 요동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를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오프 위치의 이동에 따라 온 위치(도 12 실선)와 오프 위치(도 12 이점쇄선)로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함)하는 클러치 플레이트(20a)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20a)는 예를 들어 스풀축(14) 둘레에 회동한다. 클러치 플레이트(20a)에는, 클러치 기구(16)가 클러치 오프 상태인 것을 검출하는 클러치 센서(64)의 검출자(42)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자(42)는, 클러치 플레이트(20a)와 일체로 이동하는 암부(42a)와, 암부(42a)의 선단(先端)에 설치되는 자석(42b)을 가지고 있다. 클러치 센서(64)는, 제2 측판(7b)에 설치되는 센서 기판(55)에 탑재된다. 클러치 센서(64)는, 자력을 검출 가능한 자력 센서(예를 들어, 홀 소자 또는 리드 스위치)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센서(64)는, 클러치 플레이트(20a)가 온 위치에 있으면 자석(42b)은 클러치 센서(64)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클러치 센서(64)는, 클러치 조작 부재(11)가 온 위치에 있으면 온되고, 온 위치로부터 벗어나면 오프된다. 즉, 클러치 센서(64)는, 클러치 조작 부재(11)가 클러치 온 위치에 없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가 오프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
<레벨 와인드 기구의 구성>
레벨 와인드 기구(22)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대하여 회전하고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하는 스풀(10)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낚싯줄을 제2 방향(Y)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레벨 와인드 기구(22)는, 낚싯줄 가이드(23)와, 트래버스 캠축(24)과, 가이드 센서(65)를 구비하고 있다. 트래버스 캠축(24)은, 외주면에 교차하는 나선상 홈(24a)을 가지고, 낚싯줄 가이드(23)를 제2 방향(Y)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가이드 센서(65)는, 낚싯줄 가이드(23)가 소정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트래버스 캠축(24)은 왕복 이동 기구의 일례이다. 가이드 센서(65)는 낚싯줄 가이드 검출부의 일례이다.
낚싯줄 가이드(23)는, 가이드부(25a)를 가지는 가이드 본체(25)와, 계합 부재(26)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부(25a)는, 통상으로 형성되고, 모터(12)의 상방에 모터(12)의 중심(MC)을 통과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L)을 사이에 두고 대체로 제1 방향(X)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부(25a)는, 이 실시예에서는, 전단부가 후단부보다도 모터(12)로부터 이반하도록 제1 방향(X)을 따라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이것에 의하여, 가이드부(25a)가 앞쪽으로 올라가도록 경사하여 배치되고, 낚싯줄로부터 훑어 내져 가이드부(25a)의 내부에 부착하는 물이 빠지기 쉬워진다.
가이드부(25a)는, 내부를 낚싯줄이 통과 가능하고, 모터(12)의 중심(MC)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통상의 통과부(25b)와, 통과부(25b)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1개의 경질 링부(25c)를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경질 링부(25c)는, 통과부(25b)의 긴쪽 방향 길이보다 긴 통상의 부재이다. 경질 링부(25c)의 후단은, 통과부(25b)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된다. 경질 링부(25c)는, 예를 들어, 금속제 또는 경질 세라믹제이다. 경질 링부(25c)의 내주면(內周面)의 양단(兩端)은 단면(斷面)이 원호상(圓弧狀)의 필릿(fillet)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과부(25b)는, 카운터 케이스(4)의 홈부(4c)에 계합하도록 배치되도록 돌출하는 검출자 수납부(25d)를 전단 측의 상부에 가지고 있다. 검출자 수납부(25d)에는, 가이드 센서(65)에 의하여 검출되는 검출자로서 기능하는 자석(28)이 수납된다. 자석(28)은, 낚싯줄 가이드(23)가 소정 위치에 배치되면 가이드 센서(65)에 의하여 검출된다. 소정 위치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0)의 제2 방향(Y)의 실질적으로 중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가이드 본체(25)는, 통과부(25b)로부터 제2 연결 부재(7d)를 따라 만곡하여 제2 연결 부재(7d)의 전방에 배치된다. 가이드 본체(25)는, 선단에 계합 부재(26)가 수납되는 수납부(25e)를 가지고 있다. 통과부(25b)의 후부 및 가이드 본체(25)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는, 낚싯줄 가이드(23)를 제2 방향(Y)으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축(27a) 및 제2 가이드축(27b)이 관통하고 있다.
제1 가이드축(27a) 및 제2 가이드축(27b)은, 제2 방향(Y)을 따라 배치되고, 양단이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에 각각 별도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종래 설치되는 제2 가이드축(27b)에 더하여 줄 방출 시에 낚싯줄이 안내되는 입구 부근에 제1 가이드축(27a)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이 얽히기 어려워진다. 또한, 종래의 가이드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 길이가 긴 가이드부(25a)의 보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 가이드(23)가 안정되어 제2 방향(Y)으로 안내되고, 낚싯줄 가이드(23)의 왕복 이동이 부드럽게 되어, 가이드 센서(65)의 위치 검출 정도(精度)가 향상한다.
계합 부재(26)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선단에 나선상 홈(24a)에 계합하는 판상의 계합부(26a)를 가지고 있다. 계합 부재(26)는, 수납부(25e)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트래버스 캠축(24)은, 가이드 본체(25)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트래버스 캠축(24)은, 모터(12)의 중심(MC)보다 상방 또한 전방에 배치된다. 트래버스 캠축(24)은, 외주면의 일부를 덮는 단면이 원호상의 커버부(29)에 의하여 커버된다. 커버부(29)는, 가이드 본체(25)를 관통하고 있고, 낚싯줄 가이드(23)의 제2 방향(Y)의 안내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트래버스 캠축(24)이 회전하면, 낚싯줄 가이드(23)가 제2 방향(Y)으로 왕복 이동한다. 트래버스 캠축(24)은 스풀 구동 기구(13)에 의하여 구동된다. 트래버스 캠축(24)의 핸들 장착 측의 단부에는, 스풀 구동 기구(13)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종동 기어(50, 도 6 및 도 7 참조)가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센서(65)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운터 케이스(4)의 하부에 있어서, 홈부(4c)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센서(65)는, 자석(28)의 자력을 검출 가능한 자력 센서(예를 들어, 홀 소자 또는 리드 스위치)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 센서(65)는, 낚싯줄 가이드(23)의 이동 방향의 중앙 위치(대체로 스풀(10)의 제2 방향(Y)의 중심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 센서(65)는, 소정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자석(28)을 가이드 센서(65)가 검출하면, 낚싯줄 가이드(23)가 소정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스풀 구동 기구의 구성>
스풀 구동 기구(13)는, 스풀(10)을 줄 감기 방향으로 구동한다. 또한, 줄 감기 시에 스풀(10)에 드래그력을 발생시켜 낚싯줄의 절단을 방지한다. 스풀 구동 기구(13)는,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2)와, 모터(12)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역전 금지부(44)와, 제1 회전 전달 기구(45)와, 제2 회전 전달 기구(4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회전 전달 기구(45)는, 모터(12)의 회전을 감속하여 스풀(10)로 전달한다. 제2 회전 전달 기구(46)는, 핸들(2)의 회전을, 제1 회전 전달 기구(45)를 통하여 증속하여 스풀(10)로 전달한다. 덧붙여, 도 6에 있어서, 화살표는 줄 감기 방향의 각 기어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회전 전달 기구(45)는, 모터(12)의 출력축(12a)에 연결된 유성 톱니바퀴 기구(47)를 가지고 있다. 유성 톱니바퀴 기구(47)는, 모터(12)의 회전을 1/20에서 1/30 정도의 범위의 감속비로 감속하여 스풀(10)로 전달한다. 유성 톱니바퀴 기구(47)는, 모터(12)의 출력축(12a)에 연결된 제1 유성 감속 기구(48)와, 제1 유성 감속 기구(48)에 연결된 제2 유성 감속 기구(49)를 가지고 있다. 유성 톱니바퀴 기구(47)는, 제2 측판(7b) 및 기구 장착판(19)에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케이스(51) 내에 수납된다. 케이스(51)의 내주면에는, 제1 유성 감속 기구(48) 및 제2 유성 감속 기구(49)의 내치(內齒) 기어(51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유성 감속 기구(48)의 태양 기어는 출력축(12a)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유성 감속 기구(49)의 태양 기어는, 제1 유성 감속 기구(48)의 캐리어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케이스(51)에 형성된 내치 기어(51a)의 출력이 스풀(10)과 레벨 와인드 기구(22)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1 회전 전달 기구(45)는, 회전 전달 기구의 일례이다. 제1 회전 전달 기구(45)는, 모터(12)의 회전을, 핸들(2)의 구동축(30)을 경유하지 않고 클러치 기구(16)를 경유하여 스풀(10)로 전달하는 것과 함께, 클러치 기구(16)보다도 모터(12) 측에서 레벨 와인드 기구(22)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 경로를 가지고 있다.
제1 회전 전달 기구(45)는, 제1 기어 부재(52)와, 제1 기어 부재(52)에 맞물리는 제2 기어 부재(53)와, 제2 기어 부재(53)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32)를 더 가지고 있다. 제1 기어 부재(52)는, 유성 톱니바퀴 기구(47)의 케이스(51)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기어 부재(52)는 내치 기어와 일체 회전 가능하다. 제1 기어 부재(52)는, 레벨 와인드 기구(22)의 종동 기어(50)에도 맞물려 있다. 제2 기어 부재(53)는, 기구 장착판(19)과 제2 측판(7b)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기어 부재(53)는, 제1 기어 부재(52)의 회전을 피니언 기어(32)에 회전 방향을 정합(整合)시켜 전달하기 위한 중간 기어이다. 제2 기어 부재(53)는, 기구 장착판(1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제2 측판(7b)에 스풀축(14) 둘레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클러치 제어 기구(20)에 의하여 제어되어 축 방향으로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오프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제2 회전 전달 기구(46)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2)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축(30)과, 구동 기어(31)와, 제3 기어 부재(54)와, 드래그 기구(33)를 가지고 있다.
구동축(30)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7b) 및 제2 측 커버(8b)의 제1 보스부(8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30)에는, 드래그 기구(33)의 드래그 와셔(drag washer, 37)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축(30)의 선단에는, 핸들(2)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30)에는, 제1 원웨이 클러치(34)의 래칫 휠(ratchet wheel, 35)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래칫 휠(35)은, 축 방향 내방(內方)(도 8 좌방(左方))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래칫 휠(35)은, 도시하지 않는 래칫 걸림쇠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구동축(30)의 기단(基端)은, 제2 측판(7b)에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30)은, 롤러형의 제2 원웨이 클러치(36)에 의하여 제2 측 커버(8b)의 제1 보스부(8f)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30)은, 제1 원웨이 클러치(34)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구동축(30)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33)가 동작 가능하게 된다. 제2 원웨이 클러치(36)는, 구동축(30)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신속히 금지한다.
구동 기어(31)는, 구동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 기어(31)는, 드래그 기구(33)의 드래그 와셔(37)에 의하여 압압(押壓, 내리누르는 것)된다. 구동 기어(31)는, 드래그 기구(33)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제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0)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제동된다.
제3 기어 부재(54)는, 핸들(2)의 회전을 스풀(10)로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3 기어 부재(54)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유성 감속 기구(49)의 캐리어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3 기어 부재(54)는, 구동 기어(31)에 맞물리고, 핸들(2)의 회전을 제2 유성 감속 기구(49)의 캐리어로 전달한다. 캐리어로 전달된 회전은, 제1 기어 부재(52) 및 제2 기어 부재(53)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32)로 전달된다. 제3 기어 부재(54)로부터 제2 기어 부재(53)까지의 감속비는 대체로 「1」이다.
드래그 기구(33)는, 드래그 와셔(37)와, 드래그력을 조정하기 위한 스타 드래그(3)를 가지고 있다. 드래그 기구(33)는, 스풀(10)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여 낚싯줄의 절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드래그 기구(33)는, 설정된 드래그력 이상의 힘이 스풀(10)에 작용하면 스풀(10)을 줄 방출 방향으로 공전(空轉)시킨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4)의 양단을 압압하여 스풀(10)을 제동하는 기구이다.
상기의 레벨 와인드 기구(22)에서는, 핸들(2) 또는 모터(12)에 의하여 스풀(10)이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레벨 와인드 기구(22)가 동작하여 낚싯줄 가이드(23)가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스풀(10)의 전방에서 낚싯줄을 안내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10)에 가급적으로 균등하게 감긴다.
한편, 클러치 조작 부재(11)가 클러치 오프 위치로 조작되어, 스풀(10)로부터 낚싯줄이 방출되면, 모터(12)가 회전한다. 모터(12)의 회전은, 제1 회전 전달 기구(45)를 통하여 레벨 와인드 기구(22)의 트래버스 캠축(24)으로 전달되고, 낚싯줄 가이드(23)가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낚싯줄 가이드(23)가 소정 위치(예를 들어, 낚싯줄 가이드(23)의 좌우 방향의 이동 범위의 중심의 위치 부근)로 이동하면, 그것이 가이드 센서(65)에 의하여 검출되어, 낚싯줄 가이드(23)가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줄 감기 시에 왕복 이동하는 레벨 와인드 기구(22)에 있어서, 줄 방출 시의 저항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23)가 낚싯줄을 안내할 때, 모터(12)의 바로 위를 통과하는 낚싯줄이 통상의 가이드부(25a)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이 모터(12)의 수납부인 제2 연결 부재(7d)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낚싯줄 가이드(23)의 가이드부(25a)가 모터(12)의 중심(MC)을 크게 넘어 스풀(10)의 근방까지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부는, 모터(12)의 중심(MC)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면 된다.
도 13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레벨 와인드 기구(122)의 낚싯줄 가이드(123)의 가이드 본체(125)에서는, 가이드부(125a)의 통과부(125b)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제1 실시예의 통과부(25b)보다도 짧다. 제2 실시예의 통과부(125b)의 후단부는, 모터(12)의 중심(MC)을 통과하는 중심선(CL)보다도 약간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경질 링부(125c)의 후단은, 통과부(125b)의 후단부보다도 패여 배치된다. 경질 링부(125c)의 내주면의 양단은 단면이 원호상의 필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123)는 제2 가이드축(27b) 및 커버부(29)에 의하여 제2 방향(Y)으로 안내된다. 제1 가이드축(27a)은, 제2 실시예에서는, 낚싯줄 가이드(123)의 안내 기능을 완수하는 것이 아니라, 스풀(10)로부터 방출되는 낚싯줄이 제2 연결 부재(7d)의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1 가이드축(27a)은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 외의 전동 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25a)의 후단부가 제1 실시예의 가이드부(25a)보다도 전방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줄 방출 시의 저항이 제1 실시예의 레벨 와인드 기구(22)보다도 작아진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22)는, 릴 본체(1)에 수납되는 모터(12)가 스풀(10)의 전방에 배치되는 기구이다. 레벨 와인드 기구(22)는, 낚싯줄 가이드(23)와 트래버스 캠축(24)을 구비하고 있다. 낚싯줄 가이드(23)는, 모터(12)의 상방에 모터(12)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낚싯줄을 안내하는 통상의 가이드부(25a)를 가진다. 트래버스 캠축(24)은, 외주면에 교차하는 나선상 홈(24a)이 형성되고, 적어도 스풀(10)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축(14)과 평행한 방향으로 낚싯줄 가이드(23)를 왕복 이동시킨다.
이 레벨 와인드 기구(22)에서는, 트래버스 캠축(24)의 회전에 의하여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가이드(23)의 통상의 가이드부(25a)가 모터(12)의 중심(MC)을 사이에 두고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터(12)의 바로 위를 통과하는 낚싯줄이 통상의 가이드부(25a)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이 모터(12)의 수납부인 제2 연결 부재(7d)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B) 레벨 와인드 기구(22)에 있어서, 트래버스 캠축(24)은, 모터(12)의 중심(MC)보다도 전방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모터(12)의 중심(MC)보다 트래버스 캠축(24)이 전방에 배치되어도, 가이드부(25a)의 후단부가 스풀(1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줄 감기 형상이 안정된다.
(C) 레벨 와인드 기구(22)에 있어서, 트래버스 캠축(24)은, 모터(12)의 중심(MC)보다도 상방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트래버스 캠축(24)이 모터(12)의 중심(MC)보다도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이드부(25a)와 트래버스 캠축(24)과의 거리가 짧아져, 트래버스 캠축(24)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하는 낚싯줄 가이드(23)가 덜걱거리기 어려워져, 낚싯줄을 안정하여 안내할 수 있다.
(D) 레벨 와인드 기구(22)에 있어서, 가이드부(25a)는, 전단부가 후단부보다도 모터로부터 이반하도록 앞쪽으로 올라가도록 경사한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부(25a)가 앞쪽으로 올라가도록 경사하기 때문에, 젖은 낚싯줄로부터의 물이 가이드부(25a) 내에 부착하여도, 부착한 물이 경사에 의하여 가이드부(25a)로부터 빠지기 쉬워진다.
(E) 레벨 와인드 기구(22)에 있어서, 가이드부(25a)는, 내부를 낚싯줄이 통과 가능하고, 모터(12)의 중심(MC)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통상의 통과부(25b)와, 통과부(25b)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1개의 경질 링부(25c)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낚싯줄이 경질 링부(25c)에 접촉하기 때문에, 낚싯줄이 접촉하여도 가이드부(25a)가 마모되기 어렵다. 또한, 경질 링부(25c)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것으로, 낚싯줄이 접촉하여도 방출 속도가 저하하기 어렵다.
(F) 레벨 와인드 기구(22)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23)는, 가이드 본체(25)와 계합 부재를 가진다. 가이드 본체(25)는, 가이드부(25a)와, 가이드부(25a)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납부(25e)를 가지고, 트래버스 캠축(24)이 관통한다. 계합 부재(26)는, 수납부(25e)에 수납되고 나선상 홈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는, 계합 부재(26)가 트래버스 캠축(24)의 교차하는 나선상 홈(24a)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 가이드(23)가 왕복 이동한다.
(G) 레벨 와인드 기구(22)에 있어서, 모터(12)는, 릴 본체(2)에 설치되는 통상의 제2 연결 부재(7d)에 수납된다. 가이드 본체(25)는, 가이드부(25a)로부터 수납부(25e)를 향하여 제2 연결 부재(7d)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부(25a)로부터 계합 부재(26)가 수납되는 수납부(25e)가 제2 연결 부재(7d)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 본체(25)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H) 레벨 와인드 기구(22)는, 제1 가이드축(27a)과 제2 가이드축(27b)을 더 구비한다. 제1 가이드축(27a)은, 가이드부(25a)의 스풀(10) 측의 단부에 가이드부(25a)를 관통하여 트래버스 캠축(24)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제2 가이드축(27b)은, 가이드부(25a)와 수납부(25e)와의 사이에서 가이드 본체(25)를 관통하여 트래버스 캠축(24)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종래 설치되는 제2 가이드축(27b)에 더하여 줄 방출 시에 낚싯줄이 안내되는 입구 부근에 제1 가이드축(27a)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이 얽히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2 가이드축(27b)에 의하여, 전후 방향 길이가 긴 가이드부(25a)의 보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 가이드(23)가 안정되어 안내되고, 낚싯줄 가이드(23)의 왕복 이동이 부드럽게 된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터(12)의 전방에 트래버스 캠축(24)이 배치된 전동 릴을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모터와 스풀과의 사이에 트래버스 캠축이 배치된 전동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풀과 모터와의 사이에 트래버스 캠축을 배치하여도, 가이드부의 전단부가 모터의 중심보다도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모터의 수납부에 낚싯줄이 접촉하지 않는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과부(25b)와 대체로 같은 길이의 하나의 경질 링부(25c)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과부의 전단과 후단에 2개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25a)의 내부에 부착한 물 빼기를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부(25a)를 앞쪽으로 올라가도록 경사시켰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부를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하여도 무방하고, 가이드부를 앞쪽으로 내려가도록 경사시켜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1 : 릴 본체
7d : 제2 연결 부재(모터 수납부의 일례)
10 : 스풀
12 : 모터
14 : 스풀축(스풀의 회전축의 일례)
22, 122 : 레벨 와인드 기구
23, 123 : 낚싯줄 가이드
24 : 트래버스 캠축
24a : 나선상 홈
25, 125 : 가이드 본체
25a, 125a : 가이드부
25b, 125b : 통과부
25c, 125c : 경질 링부
25e : 수납부
26 : 계합 부재
26a : 계합부
27a : 제1 가이드축
27b : 제2 가이드축

Claims (9)

  1. 릴 본체에 수납되는 모터가 스풀의 전방(前方)에 배치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이고,
    상기 모터의 상방(上方)에 상기 모터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낚싯줄을 안내하는 통상(筒狀)의 가이드부를 가지는 낚싯줄 가이드와,
    외주면(外周面)에 교차하는 나선상(螺旋狀) 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스풀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왕복 이동시키는 트래버스 캠축
    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전단부(前端部)가 후단부(後端部)보다도 상기 모터로부터 이반(離反)하도록 앞쪽으로 올라가도록 경사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캠축은, 상기 모터의 중심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캠축은, 상기 모터의 중심보다도 상방에 배치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내부를 낚싯줄이 통과 가능하고, 상기 모터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통상의 통과부와, 상기 통과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1개의 경질(硬質) 링부를 가지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납부를 가지고, 상기 트래버스 캠축이 관통하는 가이드 본체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나선상 홈에 계합(係合)하는 계합 부재를 가지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는 통상의 모터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수납부를 향하여 상기 모터 수납부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彎曲)하여 형성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스풀 측의 단부(端部)에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트래버스 캠축과 평행으로 배치되는 제1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수납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트래버스 캠축과 평행으로 배치되는 제2 가이드축을 더 구비하는,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레벨 와인드 기구와,
    모터와,
    스풀
    을 구비하는 전동 릴.
  9. 삭제
KR1020130024487A 2012-06-18 2013-03-07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KR101896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36793A JP6046385B2 (ja) 2012-06-18 2012-06-18 電動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JP-P-2012-136793 2012-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059A KR20130142059A (ko) 2013-12-27
KR101896933B1 true KR101896933B1 (ko) 2018-10-22

Family

ID=4988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487A KR101896933B1 (ko) 2012-06-18 2013-03-07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46385B2 (ko)
KR (1) KR101896933B1 (ko)
CN (1) CN103503849B (ko)
TW (1) TWI5554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9392A (ja) * 2014-01-28 2015-08-0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6587950B2 (ja) * 2016-02-02 2019-10-09 Kddi株式会社 スカラ特徴量によって時系列変化点を検出可能な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JP6554059B2 (ja) * 2016-03-31 2019-07-3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6886254B2 (ja) * 2016-08-10 2021-06-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8345A (ja) 2007-01-24 2008-08-07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2080823A (ja) 2010-10-12 2012-04-26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バッテリ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5318B2 (ja) * 1996-06-04 2004-11-0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H10262524A (ja) * 1997-01-23 1998-10-06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駆動装置及び制御装置
JP2003304783A (ja) * 2002-04-18 2003-10-28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リール
JP2010273629A (ja) * 2009-05-29 2010-12-09 Shimano Components Malaysia Sdn Bhd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5746462B2 (ja) * 2009-08-20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連結構造
JP5481228B2 (ja) * 2010-02-26 2014-04-2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8345A (ja) 2007-01-24 2008-08-07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2080823A (ja) 2010-10-12 2012-04-26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バッテリ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03849A (zh) 2014-01-15
TWI555469B (zh) 2016-11-01
TW201400012A (zh) 2014-01-01
JP2014000029A (ja) 2014-01-09
JP6046385B2 (ja) 2016-12-14
CN103503849B (zh) 2017-07-11
KR20130142059A (ko) 201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390B1 (ko)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및 전동 릴
KR101896933B1 (ko)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JP4863891B2 (ja) 両軸受リール
JP2014000030A5 (ko)
TWI583306B (zh) Double bearing type reel
JP2008178315A (ja)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軸支持構造
KR102278086B1 (ko) 양 베어링 릴
JP2008178316A5 (ko)
KR20140064606A (ko) 전동 릴
KR20140115940A (ko) 양 베어링 릴
CN107258719B (zh) 钓鱼用电动卷线器
JP5707074B2 (ja) 電動リール
JP2014000029A5 (ko)
ATE463161T1 (de) Bremsvorrichtung für angelrolle
KR102066467B1 (ko) 스피닝 릴
JP200111238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102638044B1 (ko) 양 베어링 릴
JP2007006782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19092429A5 (ko)
JP6284307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8154522A (ja) 魚釣用リール
JP2015002689A5 (ko)
JP2024078830A (ja) 魚釣用リール及び電池ボックス
KR20240081347A (ko) 낚시용 릴
JP2014042479A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