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881A - 낚시용 전동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881A
KR20220163881A KR1020220065929A KR20220065929A KR20220163881A KR 20220163881 A KR20220163881 A KR 20220163881A KR 1020220065929 A KR1020220065929 A KR 1020220065929A KR 20220065929 A KR20220065929 A KR 20220065929A KR 20220163881 A KR20220163881 A KR 20220163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lutch
fishing
spool
ope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타 가노오
모토히로 노노가키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다기능화의 실현을 도모하면서, 그에 수반되는 릴의 대형화 및 설계 자유도의 제한을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양호한 낚시 조작성 및 그립 홀딩성에도 기여할 수 있는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은, 구동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조작 부재(50)와, 조작 부재(50)의 회동각을 검출하는 제1 센서와, 클러치 기구의 ON/OFF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수용하는 수용부(70)를 구비하고, 수용부(70)는,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가, 각각 상기 조작 부재(50)의 회동각 및 상기 클러치 기구의 전환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클러치 작동부(20b)의 이동을 검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전동 릴{ELECTRIC 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조작 부재에 의해 구동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낚시용 전동 릴에 관한 것이다.
배낚시 등, 수심이 깊은 곳의 어층을 대상으로 한 낚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낚시용 전동 릴이 다용되고 있으며, 그 경우, 구동 모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스풀을 회전시켜 낚싯줄을 권취하여, 수심이 깊은 곳으로부터 채비 및 걸린 물고기를 회수한다. 구동 모터의 출력은, 릴 본체에 마련된 조작 부재를 손가락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증감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실제 낚시 시의 상황에 대응하여 권취 구동 제어를 행하고 있다.
근년, 실제 낚시 시의 다양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전동 릴도 다기능화되고 있으며, 스풀을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의 ON/OFF 상태의 검출에 기초하여 모터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클러치 자동 전환 기능, 줄 풀기 기능, 유영층 자동 정지 기능 등)을 구비하는 것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전동 릴에서는, 릴 본체의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 내에 스풀 회전용 구동 모터가 배치되고, 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조작 패널 위의 모터 제어용 스위치(누름 버튼식 오토 스위치, 매뉴얼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구동 모터의 구동 상태가 제어된다.
또한, 이 특허문헌 1의 전동 릴에 있어서, 스풀을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의 ON/OFF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는, 클러치 기구의 전환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클러치 작동체에 매설된 자석과, 이 자석에 대향하여 배치됨과 함께 조작 패널의 연장 설치부 내에 리드선을 통해 접속되는 리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검출 장치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가 구동 또는 정지 제어된다.
일본 특허 공개 평4-304834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전동 릴에서는, 검출 장치를 구성하는 리드 스위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조작 패널에 연장 설치부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그 연장 설치분만큼 릴 본체 내에 새롭게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릴 전체가 대형화 및 중량화될 뿐만 아니라,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박스 내에 있어서의 내부 구동 기구의 설계의 자유도도 제한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전동 릴은, 조작 패널 위에 배치된 누름 버튼식의 각종 스위치에 의해 모터 구동의 단속 운전 및 자동 운전을 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실제 낚시 시의 상황에 따른 모터의 출력 증감 조절을 유연하게 행하는 것이 어려운 동시에, 검출 장치의 연장 설치 구성에 기인하는 릴 전체의 대형화의 영향에 의해, 양호한 그립 홀딩성을 유지하면서의 낚시 조작성도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기능화의 실현을 도모하면서, 그에 수반되는 릴의 대형화 및 설계 자유도의 제한을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양호한 낚시 조작성 및 그립 홀딩성에도 기여할 수 있는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은, 릴 본체의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에 동력이 전달되는 동력 전달 상태와 상기 스풀에 대한 동력의 전달이 차단되는 동력 차단 상태를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와, 상기 릴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릴 본체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회동각을 검출하는 제1 센서와, 상기 클러치 기구의 상기 동력 전달 상태인 ON 위치와, 상기 클러치 기구의 상기 동력 차단 상태인 OFF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가, 각각 상기 조작 부재의 회동각 및 상기 클러치 기구의 전환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클러치 작동부의 이동을 검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조작 부재의 회동각 검출용의 제1 센서와 클러치 기구의 ON/OFF 검출용의 제2 센서를 구비하는 대형화되기 쉬운 다기능화된 릴 구조에 있어서, 이들 2개의 센서를 통합해서 수용부 내에 수용하여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를,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가, 각각 상기 조작 부재의 회동각 및 상기 클러치 기구의 전환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클러치 작동부의 이동을 검지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릴 본체 내에 있어서, 2개의 센서가 콤팩트하게 집약된 배치 형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구동 기구가 배치되는 릴 본체의 한정된 스페이스(기존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릴 본체 내에 2개의 센서를 위한 각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성을 배제하여, 공간 절약화에 의한 릴 본체의 소형화가 실현된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박스 내에 있어서의 내부 구동 기구의 설계의 자유도가 제한된다고 하는 사태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릴 본체가 소형화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조작 부재의 동작 형태와도 어울려, 조작성 및 그립 홀딩성을 종래에 비해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조작 부재는, 스풀의 상방에서 측판 사이의 대략 중앙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와 같은 조작 부재의 배치 형태에 의하면, 조작성 및 그립 홀딩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 부재와 클러치 기구가, 설계 구조상, 조작 부재의 회동축의 축선 방향에서 대향하기 쉬워져, 2개의 센서의 동일 개소에서의 검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센서를 1개소에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으면, 센서로부터 연장되는 배선도 콤팩트하게 집약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기적 및 기계적인 부품의 내장성의 향상, 방수성의 향상, 제조 공정의 간략화, 나아가서는, 비용 저감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수용부에 의한 센서의 수용 및 수용부의 배치 형태는 표준화하기 쉬워, 많은 기종의 릴에 2개의 센서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클러치 작동부는, 클러치 기구의 전환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것이면, 그 부재에 대하여 한정되지는 않고, 회동 이동이나 슬라이드 이동 등 그 이동 방법에 대하여 한정되지는 않으며, 또한 조작 부재에 대해서는, 회동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다이얼식, 레버식 등 그 조작 휴대에 대하여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수용부는,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수용한 구조,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각각 수용하고, 이것을 일체화한 구조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기능화의 실현을 도모하면서, 그에 수반되는 릴의 대형화 및 설계 자유도의 제한을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양호한 낚시 조작성 및 그립 홀딩성에도 기여할 수 있는 낚시용 전동 릴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낚시용 전동 릴을 우측판의 측에서 본 도면이며,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따르는 측면도.
도 3은 제어 케이스를 제외하고 제1 및 제2 센서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그 주변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수용부가 제어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과 마찬가지의 사시도.
도 5는 클러치 기구의 측에서 본 수용부 및 그 내부 구성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조작 부재의 측에서 본 수용부 및 그 내부 구성의 개략 사시도.
도 7은 수용부를 그 하면 개구측에서 본 평면도.
도 8은 제어 케이스와 배선으로 연결된 수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도 2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0은 제1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각 검출부의 검지 신호에 수반되는 제어부에 의한 각 구동부의 제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모식도.
도 14는 수용부, 수용부 내에 수용된 제1 센서와 제2 센서 및 클러치 작동부의 배치 양태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6은 배치 양태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7은 배치 양태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8은 배치 양태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은, 낚시용 전동 릴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낚시용 전동 릴을 우측판의 측에서 본 도면이며,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따르는 측면도, 도 3은, 제어 케이스를 제외하고 제1 및 제2 센서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그 주변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수용부가 제어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과 마찬가지의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은 도 1 및 도 2에 화살표로 기재된 방향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1)은, 좌우의 프레임(3a, 3b)에 좌우 커버(4a, 4b)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좌우 측판(5A, 5B)을 구비한 릴 본체(5)를 갖고 있다. 릴 본체(5)를 구성하는 한쪽의 측판(우측판(5B))측에는, 권취 조작되는 수동 핸들(6)이 마련되어 있고, 좌우 측판(5A, 5B) 사이에는,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7)이 스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7)은, 낚싯줄이 권회되는 낚싯줄 권회 동체부(7a)와, 낚싯줄 권회 동체부(7a)에 권회되는 낚싯줄을 양측에서 규제하는 플랜지(7b)(도 3 및 도 4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7)의 전방측에 있어서의 좌우 측판(5A, 5B) 사이에 구동 모터(8)를 보유 지지하고 있으며, 스풀(7)은, 수동 핸들(6)의 권취 조작 및 구동 모터(8)의 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기구(핸들(6)의 회전 구동력을 스풀에 전달하는 핸들측 동력 전달 기구(10A) 및 구동 모터(8)의 회전 구동을 스풀에 전달하는 모터측 동력 전달 기구(10B))를 통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구동 모터(8)에 대해서는, 스풀(7)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스풀(7)의 전방에 설치함으로써, 스풀(7)의 줄 권취량을 확보하면서, 릴 본체(5)를 가급적 콤팩트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동력 전달 기구(10A, 10B)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생략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핸들측 동력 전달 기구(10A)는, 공지된 바와 같이, 수동 핸들(6)의 핸들축(6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드라이브 기어(12), 드라이브 기어(12)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피니언)(13), 핸들축(6a)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전 방지 기구(래칫이나 일방향 클러치 등으로 구성된다; 도시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모터측 동력 전달 기구(10B)는, 구동 모터(8)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해서 스풀(7)측에 전달하는 유성 기어 기구 등을 구비한 감속 기구(15), 구동 모터(8)의 구동력을 스풀 축에 전달하는 기어 트레인(동력 전달 벨트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됨)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구동 모터(8)가 회전 구동해도 수동 핸들(6)을 동반 회전시키지 않는 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모터측 동력 전달 기구(10B)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판(5A)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우측판(5B)측에 배치되어도 되며, 혹은 좌우 측판 각각에 배분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동력 전달 기구(10A, 10B)의 구성은, 릴 본체(5)의 크기, 구동 모터(8)의 사양, 대상 어종 등에 따라 적절히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구성에 대하여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핸들축(6a)에는, 낚시 시에 스풀(7)로부터 낚싯줄이 조출되었을 때에 스풀(7)의 회전에 드래그력을 부여하는 공지된 드래그 기구가 배치되어 있고, 릴 본체(5)와 핸들(6) 사이에는, 드래그 기구에 의한 드래그력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별 모양의 드래그 조정 노브(스타 드래그라고도 칭해짐)(1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풀(7)의 전방의 좌우 측판(5A, 5B) 사이에는, 스풀(7)에 대하여 균등하게 낚싯줄을 권회하는 기능을 구비한 공지된 레벨 와인드 기구(도시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5) 내에는, 피니언 기어(13)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7)을 낚싯줄 권취 상태(스풀(7)에 동력이 전달되는 동력 전달 상태)와 프리 회전 상태(스풀로의 동력의 전달이 차단되는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공지된 클러치 기구(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 기구(20)는,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 개재되어 수동 핸들(6) 및 구동 모터(8)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연결하거나 끊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판(5B)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기구(20)는, 동력 전달을 ON 상태(동력 전달 상태)로부터 OFF 상태(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OFF 전환 부재(21)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력 전달을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ON 전환 부재(22)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OFF 전환 부재(21) 및 클러치 ON 전환 부재(22)는, 우측판 내에 배치되고, 클러치 기구(20)를 구성하는 클러치 플레이트(20a)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클러치 OFF 전환 부재(21)는, 스풀(7)을 서밍하면서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스풀(7)의 후방측의 좌우 측판(5A, 5B)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 엄지손가락을 올려서 하방으로 압하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기구(20)를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클러치 OFF 전환 부재(21)를 압하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플레이트(20a)가 이동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13)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요크(20b)를 구동하여, 피니언 기어(13)를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켜 스풀 축과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클러치 OFF 상태).
또한, 클러치 OFF 전환 부재(21)는, 클러치 플레이트(20a)에 마련되는 배분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클러치 ON 위치와 클러치 OFF 위치의 사이에서 배분 유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ON 전환 부재(22)는, 우측판(5B)측에 설치되어 있고, 배분 유지 스프링에 의해, 클러치 ON 위치와 클러치 OFF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해지도록 배분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 클러치 ON 전환 부재(22)는, 클러치 ON 상태에서는, 우측판(5B)(우측 커버(4b))의 표면과 대략 편평한 형상으로 되고, 클러치 OFF 상태에서는, 우측판(5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이 구성에 대해서는, 제1 변형예에 관련하여 후술함). 즉, 클러치 OFF 전환 부재(21)에 의해 클러치 기구가 OFF 조작되면, 클러치 ON 전환 부재(22)는, 우측판(5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릴 본체(5)를 보유 지지한 엄지손가락의 압박 조작으로 클러치 ON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ON 전환 부재(22)는, 기계식 이외에도, 전기식(예를 들어,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클러치 OFF 전환 부재(21)와 일체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 ON 전환 부재(22)는 마련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되며, 클러치의 ON으로의 복귀는, 핸들(6)의 권취 조작으로 실현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여기서, 전술한 클러치 기구(20) 및 그 주변 부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피니언 기어(13)는, 스풀(7)에 대하여 동력을 연결하거나 끊는 부재이며, 클러치 기구(20)의 요크(20b)에 의해 스풀(7)측으로 이동되면, 스풀 축의 걸림 결합부에 끼워 맞춤 상태로 걸림 결합되어 클러치 ON 상태로 되어, 핸들(6)의 권취 조작(드라이브 기어(12)의 회전 구동력)을 스풀 축(스풀(7))에 전달한다(낚싯줄 권취 가능한 동력 전달 상태). 또한, 상기 피니언 기어(13)는, 상기 요크(20b)에 의해 핸들(6)측으로 이동되면, 스풀 축의 걸림 결합부로부터 빠져서 클러치 OFF 상태로 되어, 낚싯줄 방출 가능한 동력 차단 상태로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클러치 기구(20)는, 공지된 바와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3)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캠부(후술하는 한 쌍의 캠면)를 구비한 대략 원판상으로 형성된 클러치 플레이트(20a)와, 클러치 플레이트(20a)가 회동 구동했을 때, 상기 캠부에 의해 피니언 축을 따라 피니언 기어(13)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요크(20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요크(20b)는, 피니언 기어(13)의 원주 홈에 대략 180°에 걸쳐서 끼워 맞추어짐과 함께, 직경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한 쌍의 암부(20ba)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요크(20b)는, 우측 프레임(3b)에 돌출 설치된 지지 핀(25)에 의해 각 암부(20ba)가 보유 지지되어 있으며, 각 지지 핀(25)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도시생략)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20a)를 향해 상시 가압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0a)는, 그 외주측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부를 일체로 갖고 있으며, 그 플레이트부로부터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암부(20a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외주측에는, 스풀측을 향해 굴곡되는 절곡부(20ad)(도 1 및 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곡부(20ad)는, 우측 프레임(3b)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 구멍(3ba)(도 4 참조)을 통해 클러치 OFF 전환 부재(21)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클러치 OFF 전환 부재(21)는, 스풀(7)을 낚싯줄 권취 상태(동력 전달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클러치 레버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클러치 플레이트(20a)와 일체로 회동하여, 연결 구멍(3ba)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표면에는, 상기 요크(20b)와 걸림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캠면(20ae)(도 2에서는, 요크(20b)의 한쪽의 암부(20ba)에 대응하여 한쪽의 캠면만이 나타내어짐)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캠면(20ae)은,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회동에 수반하여 요크(20b)의 각 암부(20ba)의 이면에 걸림 분리되어, 요크(20b)를 피니언 기어(13)와 함께 피니언 축을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요크(20b)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지지 핀(25)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도시생략)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20a)를 향해 상시 가압되고 있다는 점에서, 요크(20b)는, 스프링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핸들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우측 프레임(3b)에는 보스(나사의 축부)(60)가 돌출 설치됨과 함께, 클러치 플레이트(20a)에는 보스(60)가 걸림 결합되는 둘레 방향 홈(20ac)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이 둘레 방향 홈(20ac) 및 보스(60)는, 둘레 방향 홈(20ac)의 양단에 보스(60)가 부딪침으로써,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회동 범위를 규정한다.
상기 우측 프레임(3b)과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사이에는, 공지된 배분 스프링(도시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배분 스프링은, 회동하는 클러치 플레이트(20a)를 상기 클러치 OFF 위치와, 클러치 ON 위치로 배분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 2 내지 도 4 중, 참조 부호 98, 99는, 구동 모터(8) 또는 핸들(6)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을 스풀(7)에 전달하기 위한 연결 기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클러치 기구(20)의 클러치 ON 상태에서는, 클러치 OFF 전환 부재(21)는 상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캠면(20ae)은 요크(20b)의 각 암부(20ba)의 이면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요크(20b)와 걸림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13)는 스풀 축과 걸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핸들(6)을 회전 조작하면, 그 조작력은, 드라이브 기어(12) 및 피니언 기어(13)를 통해 스풀 축에 전달되어, 스풀(7)을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이 클러치 ON 상태로부터, 클러치 OFF 전환 부재(21)에 엄지손가락 T를 올려서 압하 조작하면, 이 동작이 클러치 플레이트(20a)에 전달되고, 클러치 플레이트(20a)를 배분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 2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클러치 플레이트(20a)가 도 2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회동하면,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캠면(20ae)은, 요크(20b)의 각 암부(20ba)의 이면에 걸림 결합되고, 각 지지 핀(25)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요크(20b)를 클러치 플레이트(20a)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피니언 축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의해, 요크(20b)와 걸림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13)가 스풀 축으로부터 빠져서, 클러치 OFF 상태로 된다. 이때, 클러치 OFF 전환 부재(21)의 압입 위치에서는, 배분 스프링의 데드 포인트를 넘도록 되어 있으며, 클러치 ON 상태와 클러치 OFF 상태가 완전히 배분되어 클러치 OFF 상태가 기계적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5)를 구성하는 좌우 측판(5A, 5B) 사이의 스풀(7)의 상방에는, 구동 모터(8)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도 10 참조)를 수용한 상자형의 제어 케이스(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어 케이스(30)는, 릴 본체(좌우 측판(5A, 5B))의 표면과 편평한 형상이 되도록 좌우 측판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풀(7)의 상방에서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케이스(30)는, 좌우 측판(5A, 5B)의 각 내면과 제어 케이스(30)의 후단 사이에서, 스풀(7)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스풀(7)에 권회되는 낚싯줄을 엄지손가락으로 서밍 조작 가능한 노출 상태) 개구가 발생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측에 있어서, 구동 모터(8) 및 레벨 와인드 기구를 덮는 크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 모터(8)의 출력의 조절은, 조작 부재(50)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부재(50)는, 릴 본체의 측판(5A, 5B) 사이의 상부의 제어 케이스(30)의 후방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조작 부재(50)는, 제어 케이스(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스풀(7)의 상방측에서 그 조작부(50a)가 측판(5A, 5B) 사이의 대략 중앙 위치가 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 부재(5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지지축(51)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중앙 영역에 360°에 걸쳐서 후육화된 원통 형상의 조작부(50a)가 끼워 맞춤 고정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부(50a)의 외주면에는, 굴림 조작(회전 조작)하기 쉽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요철부(50b)(도 3 및 도 4 참조)를 형성해 두어도 된다. 또한, 조작 부재(50a)는, 지지축(51)과 함께 일체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그 재질에 대해서는, 금속, 경질 수지로 하는 등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조작 부재(50)(조작부(50a))는, 내부의 전부, 혹은 일부가 공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조작부(50a)의 표면에, 구동 모터(8)의 출력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마킹을 부여하거나, 돌기를 형성해 두어도 된다. 이 조작 부재(50)의 조작 각도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모터 출력이 0 내지 Max에 이르기까지, 대략 120°의 범위에서 조작되는(회동 가능하게 조작되는) 등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축(51)에 회동 범위 규제부를 형성함으로써, 조작 부재(50)의 조작 각도(회동 각도)는 대략 120°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조작 부재(50)는, 릴 본체(5)를 파지 보유 지지한 상태의 엄지손가락 T로, 낚싯줄이 권회된 스풀(7)을 서밍 조작하면서 맞닿음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케이스(30)의 후단의 대략 중앙 위치에 형성된 대략 역ㄷ자형의 오목 함몰부(3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축(51)은, 그 일방측(도 1의 좌측)이 제어 케이스(30)의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그 타방측(도 1의 우측)이, 후술하는 2개의 센서를 수용하는 수용부(70)를 형성하는 하우징(70A)의 지지 구멍(70b)(도 3 내지 도 5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부재(50)의 외주부(조작부(50a)의 외주부)는, 좌우 측판(5A, 5B) 사이에서, 스풀(7)을 노출시키는 개구 영역 내에 면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제어 케이스(30)는, 예를 들어 제어 기판이나 각종 전자 부품(도시생략)을 수용하는 방수 구조의 상하 케이스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 케이스(30) 내에 수용되는 제어부(제어 기판)(60)(도 10 참조)는, 구동 모터(8)의 구동을 제어하고, 조작 부재(50)의 회전 조작량에 따라서 구동 모터(8)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부(60)는, 조작 부재(50)를 전방을 향해 회전 조작함으로써, 구동 모터(8)의 출력이 상승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낚싯줄의 권취를 할 때, 서밍하고 있는 엄지손가락 T를 그대로 전방으로 밀어서, 조작 부재(50)를 밀어올리는 조작(그대로 전방으로 굴리는 조작)을 함으로써, 낚싯줄의 권취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이 단순화되고, 일련의 탐색 조작을 할 때의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한, 조작 부재(50)에 대해서는, 후방을 향해 회전 조작했을 때, 구동 모터(8)의 출력이 상승하도록 설정해도 된다.
상기 제어 케이스(30)의 표면에는, 조출된 낚싯줄의 길이(줄 길이 정보), 채비를 투입하고 나서의 시간, 구동 모터(8)의 구동 속도(인디케이터에 의한 표시여도 됨), 나아가, 조작 방법이나 메시지 등, 낚시꾼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액정 표시부)(30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30A)의 주위, 바람직하게는 표시부(30A)와 조작 부재(50) 사이의 영역에는, 각종 정보가 설정 가능한 복수의 조작 버튼(30B)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조작 버튼(30B)은, 각종 모드 설정 정보, 투입한 채비를 원하는 깊이에서 정지시키는 깊이 정보, 구동 모터(8)의 출력의 가변 범위를 변경하는 출력 범위 설정 정보 등 낚시꾼이 설정, 선택하는 각종 정보를 접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풀(7)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의 길이를 계측하는 줄 길이 계측 장치(88)(도 10 참조)는, 각종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풀(7)이 낚싯줄의 조출/권취로 회전 구동되었을 때, 회전 부분에 장착된 마그네트와, 이것을 검지하는 자기 센서에 의해 실제의 회전량이나 회전 방향을 검지하고, 그 검지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표시부(30A)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 케이스(30) 내에는, 스풀(7)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8)를 구동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 모터 구동 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도 10 참조)로부터의 제어 신호(PWM 신호; 펄스폭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8)에 대한 구동 전류 통전 시간율(듀티비)을 가변 제어하고, 구동 모터(8)를 정지 상태(OFF 상태)로부터 고속 회전 상태(Max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증감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부(60)로부터는, 조작 부재(50)의 초기 위치(OFF 위치)로부터 실제의 조작량을 검지하는 각도 센서(38)에 의한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각도마다 설정되어 있는 듀티비에 관한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그에 따라서 구동 모터(8)의 회전 속도가 가변 제어된다.
상기 조작 부재(50)의 측부 영역에는, 조작 부재(50)의 외주부(조작부(50a)의 외주부)보다도 낮은 손가락 올림부(보유 지지면)(40)를 형성해 두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50)를 제어 케이스(30)의 후단에 형성한 오목 함몰부(31) 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손가락 올림부(40)는, 오목 함몰부(31)의 양측의 측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올림부(40)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되지만, 전방 및 측방에, 점차 높아지도록 규제부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가락 올림부(40)는, 릴 본체(5)를 한손으로 파지(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 핸들 타입이기 때문에 왼손으로 좌측판(5A)을 파지)했을 때, 그 엄지손가락 T의 지문 부분에서, 조작 부재(50)의 외주부와 동시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상기 조작 부재(50)의 회동각을 검출하는 제1 센서(38B)와, 클러치 기구(20)의 동력 전달 상태인 ON 위치와 클러치 기구(20)의 동력 차단 상태인 OFF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센서(39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센서(38B, 39B)는, 1개의 수용부(70) 내에 일괄적으로 수용되어 있다(도 3 내지 도 6 참조). 이 수용부(70)는, 상기 제1 센서(38B) 및 상기 제2 센서(39B)가, 각각 조작 부재(50)의 회동각 및 상기 클러치 기구의 전환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클러치 작동부의 이동을 검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용부(70)는, 상기 조작 부재(50)와, 클러치 기구(20)의 전환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클러치 작동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클러치 작동부는, 클러치 기구(20)의 전환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0a)가 해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70)는, 릴 본체(5)에 지지되어 있으며,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케이스(3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보스(30a)에 의해 위치 결정 보유 지지되어 있고, 제1 및 제2 센서(38B, 39B)의 양쪽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S(도 7 참조)를 갖는 1개의 하우징(70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우징(70A)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케이스(30)의 보스(30a)를 받는 삽입 구멍(70a)과, 조작 부재(50)의 지지축(51)을 받아서 지지하는 지지 구멍(70b)을 갖는 지지부(75)와, 상기 2개의 센서(38B, 39B)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S를 형성하는 센서 격납부(76)를 갖고 있으며, 수용 공간 S 내에는 각 센서(38B, 39B)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70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용부(70)(하우징(70A))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작 부재(50)의 지지축(회동축)(51)의 중심축선 O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70A)은, 그 상부측에 위치되는 상기 지지 구멍(70b)의 중심축이, 조작 부재(50)의 회동축의 중심축선 O와 일치(대략 일치도 포함됨)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우징(70A)의 주요부나 중심부 등이, 상기 조작 부재(50)의 회동축의 중심축선 O상에 위치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하우징(70A)은, 제어 케이스(30)와 별체를 이루어 제어 케이스(30)에 설치 고정되지만, 제어 케이스(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조작 부재(50)의 회동각을 검출하는 제1 센서(38B)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 본체(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 부재(50)의 지지축(51)의 단부면에 마련되는 자석(38A)(도 3 및 도 4 참조)의 회전 위상의 변화를 검지하여, 조작 부재(50)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는 공지된 자기 센서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공간 S 내에 있어서, 자석(38A)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지지체(70B)에 지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자석(38A)은, 지지축(51)의 단부면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접착 등에 의해 설치된 하나의 막대 자석으로 구성할 수 있고, 자기 센서(38B)는, 예를 들어 홀 소자, 자기 저항 소자, 리니어 홀 IC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자기 센서(38B)는, 지지축(51)의 회전에 수반하여 자석(38A)이 회전하면, 그 회전 위치에 따라서 자속 밀도의 크기에 비례한 전압을 출력한다.
한편, 클러치 기구(20)의 ON/OFF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센서(39B)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기 센서로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0a)에 자석(39A)(도 3 및 도 4 참조)을 마련해 두고,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이동(회동)에 수반되는 자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자기 센서로서 구성되며,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클러치 ON 위치에서 자석(39A)과 대향하도록 지지체(기판)(70B)에 지지 고정되어 있다. 이 자기 센서(39B)도, 스위칭 타입의 홀 IC 등, 임의의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센서(39B) 및 자석(39A)의 배치 관계에 수반하여,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0a)는, 그 클러치 ON 위치(도 2의 실선으로 나타내어지는 위치; 도 3 및 도 4의 위치)에서, 그것이 보유 지지하는 자석(39A)을 수용부(70) 내의 제2 센서(39B)와 대향시키도록 ,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술한 암부(20aa)를 갖고 있으며, 이 암부(20aa)의 외측 단부에 자석(39A)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20ab)를 갖고 있다.
또한, 각 센서(38B, 39B)로부터는 전기 배선(38C, 39C)이 연장되어 있으며(도 6, 도 7 참조), 이들 전기 배선(38C, 39C)은, 플렉시블 케이블(80)을 통해 제어 케이스(30)의 제어부(60)를 실장하는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도 8도 참조). 또한, 도 8 중, 참조 부호 93, 95는, 릴 본체(5) 내의 다른 전자 부품과 기판을 접속하는 전기 배선(플렉시블 케이블)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38B, 39B)는, 각각 검지 대상이 되는 자석(38A, 39A)끼리가 회동했을 때, 자기적으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자기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그와 같은 배치 형태의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70B)의 한쪽 면(조작 부재(50)와 대향하는 면)에 제1 센서(38B)가 지지되고, 지지체(70B)의 반대측의 면(클러치 기구(20)와 대향하는 면)에 제2 센서(39B)가 지지되어 있으며, 각 센서가 동일축상이 되지 않도록 오프셋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기 간섭 대책은, 2개의 자기 센서가 수용부(70) 내에 통합해서 수용되는 경우에 중요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체(70B)의 한쪽 면에 제1 센서(38B)를 지지함과 함께, 지지체(70B)의 반대측의 면에 제2 센서(39B)를 지지하는 것, 나아가, 센서의 검지 방향이나 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각 자석(38A, 39A)의 자기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안정적으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수용부(70)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조작 부재(50)와 클러치 플레이트(20a) 사이의 축방향 공간에 한정되지 않고(이 배치 양태에 대해서는 후술함), 조작 부재(50)의 회전 조작 및 클러치 기구(20)의 전환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클러치 작동부(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이동 조작을 검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그와 같은 클러치 작동부로서는, 클러치 플레이트(20a) 이외에, 예를 들어 클러치 기구(20)를 OFF 위치로부터 ON 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전술한 클러치 ON 전환 부재(22)를 들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부(70)는, 조작 부재(50)의 회동축의 중심축선 O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수용부(70)는, 적어도 일부가 중심축선상에 존재하고 있으면 된다.
도 9는, 그와 같은 변형예(제1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자석(39A)을 클러치 ON 전환 부재(22)에 마련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클러치 ON 전환 부재(22)는, 그 클러치 ON 위치(도 9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그것이 보유 지지하는 자석(39A)을 수용부(70) 내의 제2 센서(39B)와 대향하도록 연장부(22a)를 갖고 있으며, 이 연장부(22a)의 외측 단부에 자석(39A)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22b)를 갖고 있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참조 부호 28은, 클러치 ON 전환 부재(22)를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움직임과 연동시키기 위한 결합 부재이다.
상기 클러치 ON 전환 부재(22)는,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이동과 연동하고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 ON 상태에서는, 도 9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판(5B)(우측 커버(4b))의 표면과 대략 편평한 형상이 되고, 클러치 OFF 상태에서는, 도 9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판(5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즉, 클러치 OFF 전환 부재(21)에 의해 클러치 기구가 OFF 조작되면, 클러치 ON 전환 부재(22)는, 회동축(29)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우측판(5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릴 본체(5)를 보유 지지한 엄지손가락의 압박 조작으로 클러치 ON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부(70)를, 조작 부재(50)와 클러치 ON 전환 부재(22)의 사이에 배치함과 함께, 전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센서(39B)가 검출하기 위한 자석(39A)을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암부(20aa)의 선단에 마련하지 않고, 자석(39A)을 클러치 ON 전환 부재(22)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클러치 기구(20)의 전환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클러치 작동부로서는, 도 11의 모식도로 나타낸 제2 변형예와 같이, 링크 기구(110)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도 11에 도시한 제2 변형예에서는, 조작 부재(5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조작 부재(100)로서, 공지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쥐고 조작하는 레버 타입의 조작 부재를 스풀(7)의 전방 상측에서 릴 본체(5)의 우측판(5B)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작 부재(100)와 링크 기구(110)의 사이에 위치되어 조작 부재(100)의 회동축(102)의 중심축선 O상에 배치되는 수용부(70)(하우징(70A)) 내의 제2 센서(39B)와 대향하도록, 자석(39A)을 클러치 ON/OFF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링크 기구(110)가, 클러치 기구(20)의 클러치 플레이트(20a)로부터 그 움직임을 전달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도, 조작 부재(100)의 회동축(102)에 마련된 자석(38A)과 대향하기 위해 제1 센서(38B)가 수용부(70) 내에 위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1)에 의하면, 조작 부재[50(100)]의 회동각 검출용 제1 센서(38B)와 클러치 기구의 ON/OFF 검출용 제2 센서(39B)를 구비하는 대형화되기 쉬운 다기능화된 릴 구조에 있어서, 이들 2개의 센서(38B, 39B)를 1개의 수용부(70)(하우징(70A)) 내에 수용하고, 이 수용부를, 각각 관련지어지는 조작 부재[50(100)] 및 클러치 작동부[20a(22, 110)]의 양 부재 사이의 공간에 배치하고, 게다가, 그 수용부(70)를 조작 부재[50(100)]의 회동축[51(102)]의 중심축선 O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한정된 릴 본체내에 있어서, 2개의 센서(38B, 39B)가 콤팩트하게 집약된 배치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즉, 각종 구동 기구가 배치되는 릴 본체(5)의 한정된 스페이스(기존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릴 본체(5) 내에 2개의 센서(38B, 39B)를 위한 새로운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성을 배제하여, 공간 절약화에 의한 릴 본체(5)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박스 내에 있어서의 내부 구동 기구의 설계의 자유도가 제한된다고 하는 사태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센서(38B, 39B)를 1개의 하우징에 수용함으로써, 취급성이 향상됨과 함께, 내장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2개의 센서(38B, 39B)를 이용한 다기능화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클러치 기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어부(60)에 의해 구동 모터(8)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이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0)는, 제2 센서(39B)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클러치 ON 위치가 검출되면, 구동 모터(8)를 구동 가능 상태로 하고, 제2 센서(39B)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클러치 OFF 위치가 검출되면, 구동 모터(8)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이것은, 제2 센서(39B)가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 구동 모터의 구동 상태에서 클러치를 OFF로 하여도 구동 모터가 계속해서 돌아가게 되어, 채비의 낙하 시에는 물고기의 입질에 집중하고 싶은데도, 모터 소리나 진동이 방해가 되어 집중할 수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가 ON이 되었을 때에 구동 모터를 정지 제어함으로써 입질에 집중할 수 있다. 또한, 고속으로 구동 모터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클러치 기구를 ON으로 되돌릴 때, 고속 회전하에서의 강인한 클러치 결합에 의해 클러치 끼워 맞춤 시에 대미지를 입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가 OFF일 때는 구동 모터(8)의 회전이 정지되어 있으므로, 그와 같은 파손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줄 길이 계측 장치(88)로부터의 출력 신호나 센서(38B, 39B)로부터의 검출 신호 등을 받아서 제어부(60)가 스풀 프리 회전 상태(클러치 OFF 위치)인지, 혹은 드래그 인출 상태(클러치 ON 위치에서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인출되어 있음)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드래그 인출 시에만, 드래그 작동을 알리는 전자음을 음성 출력부(89)로부터 발생시켜도 된다. 또는, 스풀 프리 회전 시에만, 수심에 따라서 알람을 음성 출력부(89)로부터 발생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센서(39B)가 자기 센서였지만, 도 12의 제3 변형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센서가 광 센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하우징(70A)에 오목형부를 형성해 두고, 이 오목형부의 대향 위치에 광 센서인 발광부(39Ba)와 수광부(39Bb)를 배치해 두면 된다. 그리고, 이 오목형부 내에,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일부가 통과 가능해지도록 위치 부여함으로써, 발광부(39Ba)로부터 수광부(39Bb)를 향하는 광이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이동에 의해 차단되고, 클러치의 ON/OFF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수용부(70)가 1개의 하우징(70A)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도 13의 제4 변형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70)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하우징(90, 92)을 구비하고, 한쪽의 하우징(90)에 제1 센서(38B)가 수용되며, 다른 쪽의 하우징(92)에 제2 센서(39B)가 수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수용부(70)는,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 부재(50)와 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사이에서, 조작 부재(50)의 지지축(회동축)(51)의 중심축선 O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센서를 개별의 하우징에 수용함으로써, 한쪽의 센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70)(1개의 하우징(70A), 혹은 2개의 하우징(90, 92)) 내에 수용된 제1 센서(38B)와 제2 센서(39B)가, 각각 조작 부재(50)의 회동각 및 클러치 작동부(20)(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이동을 검지 가능하게 배치된 구성이면 된다. 이 때문에, 그 배치 양태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각종 배치 양태예에 대하여, 도 14 내지 도 18의 모식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배치 양태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부(70)는, 조작 부재(50)와 클러치 작동부(클러치 플레이트(20a))의 사이(도 14의 스페이스 S'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지만, 조작 부재(50)와 클러치 작동부의 사이가 아니라, 이들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수용부(70)는, 조작 부재(50)의 지지축(회동축)(51)의 중심축선 O상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각 센서(38B, 39B)가 자석(38A, 39A)의 자기 변화를 검지 가능하면, 도 15의 변형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축선 O로부터 어긋난 위치, 예를 들어 조작 부재(50)의 측면 실루엣(직경 Dj)의 범위에 일부가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센서(38B), 제2 센서(39B)는, 각각 검지 대상이 되는 자석끼리가 자기적으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자기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기판)(70B)의 양면에, 동일축상이 되지 않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도 16의 제3 실시 형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센서(38B), 제2 센서(39B) 및 이들을 수용하는 수용부(70)는, 자석끼리가 자기적으로 간섭하지 않으면, 조작 부재(50)의 중심축선 O상에 배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혹은, 지지체(70B)에 방자성을 갖게 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제1 센서(38B), 제2 센서(39B)는, 검지 대상이 되는 자석을 검지할 수 있으면, 도 17의 제4 실시 형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기판)(70B)에 지지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하우징(70A) 내에 지지 고정되어 있으면 됨), 나아가, 제1 센서(38B), 제2 센서(39B)는, 조작 부재(50)의 중심축선 O상 이외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8의 제5 실시 형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작동부(클러치 플레이트(20a))에 대하여, 조작 부재(50)의 중심축선 O상에 위치하지 않는 배치 양태로 하는 등, 적절히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클러치 기구의 구조 형태, 조작 부재의 조작 형태, 센서의 타입, 수용부의 형태 등은 적절히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낚시용 전동 릴
5: 릴 본체
5A, 5B: 좌우 측판
7: 스풀
8: 구동 모터
13: 피니언 기어(피니언)
20: 클러치 기구
20a: 클러치 플레이트(클러치 작동부)
22: 클러치 ON 전환 부재(클러치 작동부)
38B: 제1 센서
39B: 제2 센서
50: 조작 부재
51: 지지축(회동축)
70: 수용부
70A: 하우징
70B: 지지체
90, 92: 하우징
100: 조작 부재
102: 회동축
110: 링크 기구(클러치 작동부)
O: 중심축선

Claims (10)

  1. 릴 본체의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에 동력이 전달되는 동력 전달 상태와 상기 스풀에 대한 동력의 전달이 차단되는 동력 차단 상태를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와,
    상기 릴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릴 본체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회동각을 검출하는 제1 센서와,
    상기 클러치 기구의 상기 동력 전달 상태인 ON 위치와, 상기 클러치 기구의 상기 동력 차단 상태인 OFF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를 수용하는 수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가, 각각 상기 조작 부재의 회동각 및 상기 클러치 기구의 전환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클러치 작동부의 이동을 검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클러치 작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조작 부재의 회동축의 중심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조작 부재의 지지축에 마련되는 자석의 회전 위상의 변화를 검지하여, 상기 조작 부재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는 자기 센서이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클러치 작동부에 마련되는 자석에 수반되는 자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자기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는, 각각 검지 대상이 되는 자석끼리가 자기적으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자기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작동부는, 상기 클러치 기구를 상기 OFF 위치로부터 상기 ON 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부재, 또는 상기 스풀에 대하여 동력을 연결하거나 끊는 피니언을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클러치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는 지지체의 한쪽 면에 상기 제1 센서가 지지되고, 상기 지지체의 반대측 면에 상기 제2 센서가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릴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센서의 양쪽을 수용하는 1개의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2개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하우징 중 한쪽에 상기 제1 센서가 수용되고, 상기 2개의 하우징 중 다른 쪽에 상기 제2 센서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스풀의 상방에서 상기 측판 사이의 대략 중앙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KR1020220065929A 2021-06-03 2022-05-30 낚시용 전동 릴 KR202201638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93725A JP7513571B2 (ja) 2021-06-03 2021-06-03 魚釣用電動リール
JPJP-P-2021-093725 2021-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881A true KR20220163881A (ko) 2022-12-12

Family

ID=8424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929A KR20220163881A (ko) 2021-06-03 2022-05-30 낚시용 전동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513571B2 (ko)
KR (1) KR20220163881A (ko)
CN (1) CN115428777B (ko)
TW (1) TWI807637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4834A (ja) 1991-04-02 1992-10-2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3690B2 (ja) * 1992-11-19 1998-10-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H11332436A (ja) * 1998-05-13 1999-12-07 Johnson Worldwide Assoc Inc ベイトキャスティング制御魚釣りリ―ル
JP3546142B2 (ja) * 1998-08-31 2004-07-2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3501691B2 (ja) * 1999-07-15 2004-03-0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4565566B2 (ja) * 2005-11-25 2010-10-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US8602343B2 (en) 2009-04-23 2013-12-10 James R. Strohecker Fishing reel with free spool controller
JP5374483B2 (ja) * 2010-12-01 2013-12-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の制御ケース
JP5961455B2 (ja) 2012-06-18 2016-08-0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両軸受リールおよび電動リール
US9068880B2 (en) * 2013-01-08 2015-06-30 General Electric Company Accommodation of different type of sensors in vibr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external input or daughter board with interchangeable operating hardware
JP6166063B2 (ja) * 2013-03-01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制御装置
JP5998114B2 (ja) * 2013-08-29 2016-09-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CN104770344B (zh) * 2015-03-31 2017-05-17 兰永柱 横轴式鱼线轮
JP6518514B2 (ja) * 2015-05-28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1976690B1 (ko) * 2017-08-17 2019-05-09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JP7123024B2 (ja) 2019-10-30 2022-08-22 太平洋工業株式会社 両軸リール用基板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4834A (ja) 1991-04-02 1992-10-2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85844A (ja) 2022-12-15
TWI807637B (zh) 2023-07-01
CN115428777A (zh) 2022-12-06
TW202247767A (zh) 2022-12-16
CN115428777B (zh) 2024-02-06
JP7513571B2 (ja) 202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3306B (zh) Double bearing type reel
KR102097355B1 (ko) 전동 릴
KR102138735B1 (ko) 전동 릴
KR102099663B1 (ko) 전동 릴
JP2014100079A5 (ko)
KR20220163881A (ko) 낚시용 전동 릴
JP4408378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4113142A5 (ko)
JP6132894B2 (ja) 電動リール
JP7057274B2 (ja) 魚釣用リール
JP6284307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6254806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7260507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20240081347A (ko) 낚시용 릴
JP2015002689A5 (ko)
JP2017123873A (ja) 電動リール
JP2500749Y2 (ja) 魚釣用リ―ル
JP2006115805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511810Y2 (ja) 魚釣用リ―ル
JP285862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1231417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TW202423285A (zh) 釣魚用捲線器
JPH07213203A (ja) 魚釣用リール
JP2002045096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H08112050A (ja) 魚釣用電動リ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