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302B1 - 고체 전해질 기반 리튬 황 전지 - Google Patents

고체 전해질 기반 리튬 황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302B1
KR101835302B1 KR1020137016919A KR20137016919A KR101835302B1 KR 101835302 B1 KR101835302 B1 KR 101835302B1 KR 1020137016919 A KR1020137016919 A KR 1020137016919A KR 20137016919 A KR20137016919 A KR 20137016919A KR 101835302 B1 KR101835302 B1 KR 101835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sulfur battery
solid electrolyte
electron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3621A (ko
Inventor
울리히 아이젤레
안드레 목
알란 로게아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4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8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 H01M6/185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with oxides, hydroxides or oxysalts as solid electrolytes
    • H01M6/186Only oxysalts-containing 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9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working at high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온 또는 더 높은 온도에서 작동 가능한 리튬 황 전지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전지의 애노드(1) 및 캐소드(2)는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3)에 의해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리튬 황 전지의 작동 방법 및 이러한 리튬 황 전지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체 전해질 기반 리튬 황 전지{LITHIUM-SULPHUR CELL BASED ON A SOLID ELECTROLYTE}
본 발명은 리튬 황 전지, 리튬 황 전지의 작동 방법 및 리튬 황 전지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는 오늘날 이동 및 고정 적용 분야에서 중요하다. 소형 리튬 황 전지는 2500 Wh/kg의 높은 이론적인 비 에너지 밀도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관심이 높다.
본 발명의 과제는 액체 및 경우에 따라서 가연성 전해질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고체 기반의 리튬 황 전지, 상기 전지의 작동 방법 및 상기 전지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 상기 전지의 작동 방법 및 상기 전지의 용도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대상은 애노드(마이너스 전극)와 캐소드(플러스 전극)를 포함하는리튬 황 전지이고, 이 경우 애노드는 리튬을 포함하고 캐소드는 황을 포함한다. 애노드와 캐소드는 적어도 하나의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에 의해 분리된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특히 25 ℃에서 ≥ 1·10-6 S/cm의 리튬 이온 전도성을 갖는 물질은 리튬 이온 전도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25 ℃에서 < 1·10-8 S/cm전자 전도성을 갖는 물질은 전자 비전도성이라고 할 수 있다.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에 의한 애노드와 캐소드의 분리는, 이로 인해 예컨대 115 ℃보다 낮은 저온에서는 물론 115 ℃ 이상의 고온에서도 단락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 분리막은, 특히 고체 전해질만을 포함하고 따라서 액체 및 경우에 따라서 가연성 전해질 없이 작동될 수 있는, 고체 전해질 기반 리튬 황 전지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와 관련해서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은 가넷 구조를 갖는다. 가넷 구조를 갖는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에 바람직하게 황이 전혀 또는 거의 용해되지 않는다. 또한, 가넷 구조를 갖는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은 난연성 및 무독성이다. 가넷 구조를 갖는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은 특히 고온에서 작동시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은 하기 일반식의 가넷 구조를 갖는다:
LixA3B2O12
상기 식에서, 3 ≤ x ≤ 7이고, A는 칼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이트륨, 란타늄;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유로퓸,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테르븀 및/또는 루테튬이고, B는 지르코늄, 하프늄, 니오븀, 탄탈륨, 텅스텐, 인듐, 주석, 안티모니, 비스무트 및/또는 텔루륨이다.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은 식 Li7La3Zr2O12의 가넷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애노드는 금속 리튬 또는 리튬 합금, 특히 금속 리튬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높은 최대 전압이 달성될 수 있다. 리튬은 189 ℃의 용융점을 갖고, 리튬 황 전지는 저온 및 고온에서, 특히 189 ℃ 초과시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리튬 애노드는 작동 온도에 따라 고체 및 액체일 수 있다.
캐소드는 전자 전도성을 높이기 위해 예컨대 흑연, 탄소나노튜브, 카본 블랙,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 구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리튬 황 전지는 특히 캐소드측에 적어도 하나의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을 포함한다. 특히 캐소드측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에 의해 바람직하게 전해질, 황 및 전기 전도성 구조 사이의 다른 3상 반응 영역은 한편으로는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과 다른 한편으로는 황 사이의 2상 반응 영역으로 감소할 수 있고, 따라서 반응 속도는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리튬 이온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의, 캐소드를 향한 측면은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 층으로 커버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특히 전해질, 황 및 전기 전도성 구조 사이의 3상 반응 영역은 한편으로는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과 다른 한편으로는 황 사이의 2상 반응 영역으로 감소할 수 있고, 따라서 반응 속도는 증가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캐소드는 적어도 하나의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튬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에 황이 침투된다. 이는, 황이 고체로서 존재하는, 특히 115 ℃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캐소드가 리튬 전도성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액체 및 경우에 따라서 가연성 전해질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고체 기반의 리튬 황 전지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리튬 황 전지는 따라서 고체 전해질 기반 또는 고체 기판 리튬 황 전지이다. 특히 이 경우 리튬 황 전지는 실온(25 ℃)에서 액체 전해질을 포함할 수 없고, 예를 들어 - 경우에 따라서 용융된 황 및/또는 폴리설파이드를 제외하고 - 고체 전해질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튬 황 전지들은 바람직하게 ≥ 115 ℃, 예컨대 ≥ 200 ℃, 경우에 따라서 ≥ 300 ℃의 온도에서뿐만 아니라 < 115 ℃의 온도에서 작동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리튬 황 전지들에서는 액체 및 경우에 따라서 가연성 전해질의 추가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안전성 및 사이클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은 동시에 전도체로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전도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 첨가제가 필요 없고, 전지의 전체 에너지 밀도는 최적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캐소드는 리튬 이온 및 전극 전도성 고체 전해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전도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도 부재를 통해 바람직하게 리튬 이온 및 전자가 황 반응 파트너로 전달될 수 있다. 전도 부재는 예를 들어 다공성, 예컨대 스폰지 같은 바디의 형태로 및/또는 예컨대 나노와이어 또는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와이어 매쉬 또는 섬유 매쉬의 형태로 및/또는 나노튜브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나노와이어, 나노섬유 또는 나노튜브란 특히 ≤ 500 nm, 예를 들어 ≤ 100 nm의 평균 직경을 갖는 와이어, 섬유 또는 튜브일 수 있다. 그러나 캐소드는 예컨대 바, 플레이트 또는 격자 형태의 다수의 전도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전도 부재(들)의 하나의 섹션은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과 접촉하고, 전도 부재(들)의 다른 섹션은 캐소드 전류 집전체와 접촉한다. 이로 인해 양호한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가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 바디 또는 와이어- 또는 섬유 매쉬 형태로 형성된 전도 부재의 하나의 섹션은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과 접촉하고, 다공성 바디 또는 와이어- 또는 섬유 매쉬 형태로 형성된 전도 부재의 다른 섹션은 캐소드 전류 집전체와 접촉할 수 있다.
특히 캐소드는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전도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도 부재들의 하나의 섹션은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과 접촉하고, 다른 섹션은 캐소드 전류 집전체와 접촉한다. 이로 인해 특히 양호한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가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는 평평한 또는 아치형의 서로 이격된 플레이트 형태 또는 격자 형태의 다수의 전도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도 부재들은 한편으로는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과 접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캐소드 전류 집전체와 접촉한다. 전도 부재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 부재들은 서로에 대해 슬랫(slat)과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 및 캐소드 전류 집전체에 대해서 전도 부재들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로 이루어진 구조들이 전도 부재(들) 위에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바람직하게 전도 부재의 표면 및 리튬 황 산화환원 반응 영역에 이용되는 면이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구조는 예를 들어 수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의 구조일 수 있다.
전도 부재들 및 구조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전도 부재들 및 구조들은 동일한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구조들은 예를 들어 니들 형태의,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 결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들은 예를 들어 수열 합성에 의해 전도 부재 상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전도 부재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은 적어도 하나의 리튬티탄산화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리튬티탄산화물이다. 리튬티탄산화물이란 본 발명과 관련해서 순수 리튬이온산화물이거나 하나 이상의 불순물 원자(리튬 및 티타늄이 아닌 금속 양이온), 특히 산화물 불순물 원자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산화물-혼합산화물 또는 도핑된 리튬이온산화물일 수 있고, 이 경우 불순물 원자의 개수는 티타늄 원자의 개수에 대해서 총 > 0% 내지 ≤ 10%, 예컨대 > 0% 내지 ≤ 1%이다.
리튬티탄산화물-혼합산화물 또는 도핑된 리튬티탄산화물의 경우에 바람직하게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은 불순물 원자의 종류와 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특히 리튬티탄산화물은 리튬티탄산화물-혼합 산화물, 예컨대 0 ≤ x ≤ 2 또는 0 ≤ x ≤ 1인 Li4 - xMgxTi5O12 및/또는 0 ≤ x ≤ 2 또는 0 ≤ x ≤ 1 및 0 ≤ y ≤ 0.1 또는 0 ≤ y ≤ 0.05인 Li4 - xMgxTi5 -y(Nb, Ta)yO12 및/또는 는 0 ≤ x ≤ 1 또는 0 ≤ x ≤ 0.5 및 0 ≤ y ≤ 0.03인 Li2 - xMgxTi3 -y(Nb, Ta)yO7 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캐소드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전도성(및 리튬 이온 비전도성) 고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는 특히 흑연,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황 전지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용도 및 실시예 설명과 관련한 설명이 참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대상은 애노드와 캐소드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의 작동 방법이고, 이 경우 애노드는 리튬을 포함하고 캐소드는 황을 포함하고, 애노드와 캐소드는 적어도 하나의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에 의해 분리되고, 리튬 황 전지는 115 ℃보다 높거나 같은 온도에서 작동된다. 특히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황 전지의 작동에 적합하다.
115 ℃의 온도에서 황은 용융되어 액체가 되고, 이로 인해 바람직하게 예컨대 흑연 등 및/또는 캐소드 전류 집전체의 전기 전도성 구조의 개선된 전기 접촉 및 황에 용해된 폴리설파이드의 대류에 의한 개선된 전하 이동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튬 이온 전도성 물질을 캐소드 물질에 추가하는 것이 필요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는 황 외에 흑연과 같은 전기 전도성을 개선하기 위한 첨가제만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재료 비용이 바람직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115 ℃보다 높은 온도로 작동 온도의 상승에 의해 고체 전해질의 리튬 이온 전도성이 증가할 수 있다.
115 ℃ 내지 189 ℃의 온도에서 리튬 애노드는 바람직하게 고체이고, 따라서 이렇게 작동되는 리튬 황 전지에 의해 유사한 나트륨 황 전지(나트륨의 융점 = 98 ℃)에 의한 작동보다 높은 안전성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리튬 황 전지는 ≥ 115 ℃ 내지 ≤ 189 ℃의 온도에서 작동된다.
다른 추가 실시예와 관련해서 리튬 황 전지는 200 ℃보다 높거나 같은 온도에서, 경우에 따라서 300 ℃보다 높거나 같은 온도에서 작동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리튬 이온 전도성 고체 전해질 및 황의 리튬 이온 전도성은 더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황 전지, 그 용도 및 실시예 설명과 관련한 설명이 참조된다.
또한, 본 발명은 115 ℃보다 높거나 같은, 특히 200 ℃보다 높거나 같은, 예를 들어 300 ℃보다 높거나 같은 온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황 전지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황 전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실시예 설명과 관련한 설명이 참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들의 다른 장점들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에서 설명된다. 이 경우 도면은 전술한 특징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고, 본 발명을 어떠한 형태로도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황 전지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황 전지의 제 2 실시예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2b는 도 2a에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황 전지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기 전지는 애노드(1)와 캐소드(2)를 포함하고, 이 경우 애노드(1)와 캐소드(2)는 예컨대 가넷 구조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리튬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3)에 의해 분리된다. 애노드(1)는 예를 들어 금속 리튬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캐소드(2)가 황 외에 전자 전도성 고체(G), 예컨대 흑연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리튬 황 전지는 특히 115 ℃보다 높거나 같은 온도에서 작동에 적합하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리튬 황 전지는 고온 리튬 황 전지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은 리튬 황 전지가 캐소드측에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4), 예를 들어 리튬티탄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 경우 특히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3)의, 캐소드(2)를 향한 측면은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4) 층(4)으로 커버된다.
또한, 도 1은 애노드(1)가 애노드 전류 집전체(6)를 포함하고, 캐소드(2)는 캐소드 전류 집전체(5)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 2 실시예는, 리튬 황 전지가 분리막(3)을 커버하는 리튬 및 전자 전도성 층(4)을 포함하지 않고, 캐소드(2)는 - 전자 전도성 고체(G) 대신에 -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4a), 예컨대 리튬티탄산화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전도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 부재의 하나의 섹션은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3)과 접촉하고, 다른 섹션은 캐소드 전류 집전체(5)와 접촉하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구분된다.
도 2b는, 전도 부재(L) 위에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4b)로 이루어진 구조(S)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 경우 예컨대 니들 형태의,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 결정, 예컨대 리튬티탄산화물 결정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전도 부재(L) 상에 수열 합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튬 황 전지는 115 ℃보다 높거나 같은 온도에서 작동 및 115 ℃보다 낮은 온도에서 작동에 적합하다. 따라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리튬 황 전지는 고온 리튬 황 전지 및 저온 리튬 황 전지라고도 할 수 있다.
1 애노드
2 캐소드
3 고체 전해질

Claims (15)

  1. 리튬 황 전지로서,
    - 애노드(1) 및
    - 캐소드(2)를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1)는 리튬을 포함하며, 상기 캐소드(2)는 황을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1)와 상기 캐소드(2)는 적어도 하나의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3)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리튬 황 전지는 적어도 하나의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4, 4a, 4b)을 포함하는, 상기 리튬 황 전지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3)의, 상기 캐소드(2)를 향한 측면은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 층(4)으로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황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3)은 가넷 구조를 갖는, 리튬 황 전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3)은 하기 일반 식의 가넷 구조를 갖고,
    LixA3B2O12
    상기 식에서, 3 ≤ x ≤ 7이고, A는 칼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이트륨, 란타늄,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유로퓸,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테르븀 및 루테튬 중 적어도 하나이고, B는 지르코늄, 하프늄, 니오븀, 탄탈륨, 텅스텐, 인듐, 주석, 안티모니, 비스무트 및 텔루륨 중 적어도 하나인, 리튬 황 전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1)는 금속 리튬 또는 리튬 합금으로 형성되는, 리튬 황 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2)는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4a)의 적어도 하나의 전도 부재(L)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부재(L)의 하나의 섹션은 상기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비전도성 고체 전해질(3)과 접촉하고, 상기 전도 부재(L)의 다른 섹션은 캐소드 전류 집전체(5)와 접촉하는, 리튬 황 전지.
  7. 제 1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도성 고체 전해질(4, 4a, 4b)은 리튬 티탄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
  8.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황 전지는 고체 전해질(3, 4, 4a, 4b) 기반 리튬 황 전지인, 리튬 황 전지.
  9.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전도성 고체(G)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
  10.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튬 황 전지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리튬 황 전지는 115 ℃보다 높거나 같은 온도에서 작동되는, 작동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황 전지는 115 ℃보다 높거나 같고 189 ℃보다 낮거나 같은 온도 범위에서 작동되는, 작동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황 전지는 200 ℃보다 높거나 같은 온도에서 작동되는, 작동 방법.
  13.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황 전지는 115 ℃보다 높거나 같은 온도에서 작동되는, 리튬 황 전지.
  14. 삭제
  15. 삭제
KR1020137016919A 2010-12-29 2011-11-07 고체 전해질 기반 리튬 황 전지 KR101835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64302.5 2010-12-29
DE102010064302A DE102010064302A1 (de) 2010-12-29 2010-12-29 Lithium-Schwefel-Zelle auf Festkörperelektrolytbasis
PCT/EP2011/069502 WO2012089383A1 (de) 2010-12-29 2011-11-07 Lithium-schwefel-zelle auf festkörperelektrolytba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621A KR20130143621A (ko) 2013-12-31
KR101835302B1 true KR101835302B1 (ko) 2018-03-08

Family

ID=4494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919A KR101835302B1 (ko) 2010-12-29 2011-11-07 고체 전해질 기반 리튬 황 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337293A1 (ko)
EP (1) EP2659541B1 (ko)
JP (1) JP5762562B2 (ko)
KR (1) KR101835302B1 (ko)
CN (1) CN103270641B (ko)
DE (1) DE102010064302A1 (ko)
WO (1) WO2012089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2243B2 (en) * 2013-09-26 2018-01-30 Eaglepicher Technologies, Llc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s of reducing insoluble solid lithium-polysulfide depositions
DE102013219606A1 (de) * 2013-09-27 2015-04-02 Robert Bosch Gmbh Elektrodenmaterial mit Lithium-Argyrodit
US9774058B2 (en) 2014-04-18 2017-09-26 Seeo, Inc. Polymer composition with electrophilic groups for stabilization of lithium sulfur batteries
US10044064B2 (en) 2014-04-18 2018-08-07 Seeo, Inc. Long cycle-life lithium sulfur solid state electrochemical cell
JP6567649B2 (ja) * 2014-04-18 2019-08-28 シーオ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Seeo,Inc. 長いサイクル寿命のリチウム硫黄固体電気化学セル
JP6721586B2 (ja) * 2014-12-01 2020-07-15 イーシー パワー,エルエルシー 全固体リチウム電池
KR101704186B1 (ko) * 2015-04-16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황 전고체 전지 양극
US11133522B2 (en) 2015-12-14 2021-09-28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Lithium-sulfur battery, a dual blocking layer,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312515B2 (en) * 2016-03-07 2019-06-04 Robert Bosch Gmbh Lithium sulfur cell with dopant
JP6313491B2 (ja) * 2016-03-11 2018-04-18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全固体リチウム硫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950889B2 (en) * 2016-06-30 2021-03-16 Robert Bosch Gmbh Electrolyte
JP6481989B1 (ja) * 2018-03-30 2019-03-13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リチウム硫黄固体電池
JP6485574B1 (ja) * 2018-03-30 2019-03-20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リチウム硫黄固体電池
JP6535917B1 (ja) * 2018-03-30 2019-07-03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リチウム硫黄固体電池
CN108736063A (zh) * 2018-06-04 2018-11-02 北京化工大学常州先进材料研究院 锡基掺铋石榴石型固体电解质材料的制备方法
EP3903374A4 (en) * 2018-12-28 2022-11-02 Yi Cui HIGH ENERGY DENSITY SOLID ELECTROLYTE FUSED LITHIUM-SULFUR AND LITHIUM-SELENIUM BATTERIES
CN110247107B (zh) * 2019-07-08 2021-07-30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2582669B (zh) * 2020-12-11 2022-01-25 天津巴莫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空气稳定的多元稀土氧化物掺杂锂硫磷固体电解质材料及其制备方法
JP2024507170A (ja) * 2021-02-11 2024-02-16 アンプセ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ルコゲナイドベースのイオン伝導性構造、特にスルフィドベースのイオン伝導性構造を備える固体電解質材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2499A (ja) * 2009-02-04 2010-09-16 Toyota Central R&D Labs Inc ガーネット型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酸化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4036A (en) * 1965-10-22 1968-10-01 Ford Motor Co Energy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solid crystalline electrolyte and a solid reaction zone separator
US3953231A (en) * 1975-04-25 1976-04-27 General Electric Company Sealed lithium-solid sulfur cell
CA1093150A (en) * 1977-03-09 1981-01-06 Johan Coetzer Cathode, the formation of a cathode, and a cell incorporating such a cathode
ZA771433B (en) * 1977-03-09 1978-10-25 South African Inventions Cathode and cell incorporating such a cathode
US4397924A (en) * 1981-06-15 1983-08-09 Duracell Inc. High temperature solid state storage cell
US5219679A (en) * 1991-01-17 1993-06-15 Eic Laboratories, Inc. Solid electrolytes
JPH06275313A (ja) * 1993-03-22 199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電池
JPH11283665A (ja) * 1998-03-31 1999-10-15 Kyocera Corp 電気化学素子
US20020010656A1 (en) * 2000-06-01 2002-01-24 Suib Daniel M. Link engine computer and method
EP1723080B1 (de) * 2004-03-06 2014-06-18 Basf Se Chemisch stabiler fester lithiumionenleiter
EP1786052B1 (en) * 2004-08-18 2012-09-19 Central Research Institute of Electric Power Industry Organic electrolyte battery, and process for producing positive electrode sheet for use therein
JP5153065B2 (ja) * 2005-08-31 2013-02-27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固体電解質
EP1923934A1 (de) * 2006-11-14 2008-05-21 Fortu Intellectual Property AG Wiederaufladbare elektrochemische Batteriezelle
JP2009016918A (ja) * 2007-06-29 2009-01-22 Brother Ind Ltd 通信装置
JP5287499B2 (ja) * 2009-05-21 2013-09-1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全固体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8986895B2 (en) * 2009-02-04 2015-03-24 Kabushiki Kaisha Toyota Chuo Kenkyusho Garnet-type lithium ion-conducting oxide and all-solid-stat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JP5310223B2 (ja) * 2009-04-20 2013-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電池
DE102010001632A1 (de) * 2009-12-23 2011-06-30 Robert Bosch GmbH, 70469 Lithiumzelle mit verbesserter Kathodenstruktur und Herstellungsverfahren hierfü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2499A (ja) * 2009-02-04 2010-09-16 Toyota Central R&D Labs Inc ガーネット型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酸化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9541B1 (de) 2016-07-20
DE102010064302A1 (de) 2012-07-05
EP2659541A1 (de) 2013-11-06
JP5762562B2 (ja) 2015-08-12
JP2014501436A (ja) 2014-01-20
KR20130143621A (ko) 2013-12-31
US20130337293A1 (en) 2013-12-19
CN103270641A (zh) 2013-08-28
WO2012089383A1 (de) 2012-07-05
CN103270641B (zh)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302B1 (ko) 고체 전해질 기반 리튬 황 전지
US4877695A (en)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
US20170093001A1 (en) Composite electrolyte film, 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the composite electrolyte film, and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e electrolyte film
JP5777511B2 (ja) リチウムメディエータを有する鉄−空気蓄電池
JP6570995B2 (ja) 全固体金属−金属電池
KR102010744B1 (ko) 티탄산 나트륨계 나트륨 이온 전도체
KR101512170B1 (ko) 리튬이차전지용 고체 전해질 복합 부직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122650A5 (ko)
JP5864563B2 (ja) マグネシウム系電池
Jhang et al. Stable all-solid-state sodium-sulfur batteries for low-temperature operation enabled by sodium alloy anode and confined sulfur cathode
US20140011096A1 (en) Sodium-chalcogen cell
KR101490024B1 (ko) 산화물 보호층을 갖는 고성능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재
Zhang et al. Au@ rGO modified Ni foam as a stable host for lithium metal anode
US20210218031A1 (en) Modified solid-state electrolyte for li metal solid-state batteries
KR20210090637A (ko) 충전식 배터리를 위한 개선된 애노드 물질 및 애노드, 이의 생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전기 화학 셀
KR20170026574A (ko) 배터리
KR101940405B1 (ko) 음극 활물질 및 그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및 리튬이온 커패시터
JP6411486B2 (ja) 過充電保護用の伝導性部分を備える電気化学エネルギー貯蔵体
CN116314771B (zh) 一种高面容量钾离子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US1193602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ating electrochemical systems
US202401866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ating electrochemical systems
FI129959B (en) A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which comprises metallic electrodes, assembled in the disassembly mode
KR20220120614A (ko) 캐소드
KR101585949B1 (ko) 이온 전도도가 향상된 리튬 이온 전도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JPH11260372A (ja) 非水系二次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