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079B1 - 도어 또는 플랩용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또는 플랩용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079B1
KR101832079B1 KR1020167014648A KR20167014648A KR101832079B1 KR 101832079 B1 KR101832079 B1 KR 101832079B1 KR 1020167014648 A KR1020167014648 A KR 1020167014648A KR 20167014648 A KR20167014648 A KR 20167014648A KR 101832079 B1 KR101832079 B1 KR 101832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ylinder
bow member
locking device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957A (ko
Inventor
윌커 디키시
안드레아스 스쿱
죄르크 하페만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08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4Mounting of lock casings to the vehicle, e.g.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6Lock cylinder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05B9/082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with concealed 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05B9/084Fastening of lock cylinders, plugs or co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의 도어(1) 또는 플랩용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 부시(7)와 실린더 부시(7)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실린더 코어(8)를 가진 실린더 록(6), 도어(1) 또는 플랩에 고정 가능하거나 고정되며 실린더 록(6)을 위한 수용부(5)를 가진 베어링 브래킷(3) 및 도어(1) 또는 플랩을 위한 트림 부재(26)에 대한 실린더 부시(7)의 기계적 연결을 형성하는 스크루(10)를 포함한다. 또한 실린더 부시(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방향으로 둘러싸는 보우 부재(9)가 제공되고, 상기 보우 부재는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베어링 브래킷(3)에 배치되고, 실린더 부시(7)의 공동부(22)에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수단(20"')을 포함하며, 스크루(10)는 보우 부재(9)의 이동을 위해 보우 부재(9)의 나사산 보어와 함께 작용하고, 이 경우 실린더 부시(7)는 방사방향 리세스(18)를 갖고, 상기 리세스는 가압면(17)을 형성하고, 이 경우 스크루(10)는 실린더 부시(7)를 향한 단부에 가압팁(13)을 갖고, 스크루(10)의 축방향 및 방사방향 지지를 위해 상기 가압팁은 방사방향 리세스(18)에 삽입되어 가압면(17)과 함께 작용한다.

Description

도어 또는 플랩용 록킹 장치{LOCKING DEVICE FOR A DOOR OR FLAP}
본 발명은 실린더 부시와 실린더 부시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실린더 코어를 가진 실린더 록, 도어 또는 플랩에 고정 가능하거나 고정되며 실린더 록을 위한 수용부를 가진 베어링 브래킷 및 도어 또는 플랩을 위한 트림 부재에 대한 실린더 부시의 기계적 연결을 형성하는 스크루를 포함하는, 특히 차량의,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용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방식의 록킹 장치는 선행기술, 예를 들어 DE 10 2004 012 456 A1호에 공개되어 있다. 자동차의 발전 과정에서 차량의 도난 또는 파괴 개방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의 개발도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와 같은 전자 장치들 외에 기계적 장치들도 이용된다. 기계적 안전장치로서 차량의 도어 또는 플랩 내에 배치된 실린더 록을 포함하는 록킹 장치들이 통상적이다. 실린더 록은 주요 부품으로서 특히 고정형 실린더 부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부시는 베어링 브래킷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 부시 내에서 실린더 코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코어에 삽입되는 대응하는 키에 의해서만 야기되는 실린더 코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 운동이 록킹 장치의 록킹 메커니즘에 전달되고, 이로써 결국 도어 또는 플랩의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진다. 실린더 록은 이 경우 일반적으로 베어링 브래킷 내에서 지지되고, 상기 베어링 브래킷은 도어 또는 플랩의 내부에 또는 도어 또는 플랩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DE 10 2004 012 456 A1호에 또한, 도어 또는 플랩의 트림 패널에 대한 실린더 부시의 기계적 연결을 형성하는 스크루를 제공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스크루는 외부에서부터 트림 패널을 통해 그리고 베어링 브래킷을 통해 실린더 부시의 방사방향 리세스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방사방향 리세스에 삽입되는 스크루의 팁은, 상기 실린더 부시의 고정부의 강제 파괴 시 실린더 부시가 트림 패널에 후크 고정되어 빼내질 수 없게 한다.
베어링 브래킷 내에 실린더 부시의 실질적인 고정을 위해 추가로 스크루가 제공되고, 상기 스크루는 강제적인 파괴 개방의 경우에야 기능을 수행한다. 다수의 개별 부품들로 인해 비교적 큰 조립 공간이 요구되고, 또한 상응하게 높은 제조- 및 조립 비용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더 저렴하게 그리고 조립 공간이 절약되도록 형성되며, 파괴 개방에 대한 안전성을 잃지 않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록킹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록킹 장치는, 베어링 브래킷 내에 실린더 부시의 고정을 위해 그리고 트림 부재에 체결을 위해 고정 기능과 체결 기능을 하는 하나의 스크루만 제공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부품 비용이 절약될 수 있고, 조립 시간이 단축되어 조립이 간단해질 수 있고, 조립 공간이 절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강제 파괴 개방에 대한 록킹 장치의 안전성은 적어도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트림 부재는 트림 패널, 특히 바람직하게 도어 또는 플랩의 내부 패널이다. 트림 부재는 이 경우 록킹 장치의 구성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는, 실린더 부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방향으로 둘러싸는 보우(bow)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보우 부재는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베어링 브래킷에 배치되고, 실린더 부시의 공동부에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스크루는 보우 부재의 이동을 위해 보우 부재의 나사산 보어와 함께 작용하고, 이 경우 실린더 부시는 방사방향 리세스를 갖고, 상기 리세스는 가압면을 형성하고, 이 경우 스크루는 실린더 부시를 향한 단부에 가압팁(pressure tip)을 갖고, 스크루의 축방향 및 방사방향 지지를 위해 상기 가압팁은 방사방향 리세스에 삽입되어 가압면과 함께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록킹 장치는 따라서 실린더 록 또는 실린더 부시의 고정 및 체결을 위한 하나의 스크루만을 포함한다. 스크루는 보우 부재의 나사산을 통해 또는 나사산 보어를 통해 안내된다.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루는 보어 부재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크루의 가압팁이 방사방향 리세스에 또는 방사방향 리세스의 가압면에 부딪힐 정도로 멀리 스크루가 나사산 보어 내로 조여지면, 축방향 힘이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 힘은 나사산 보어를 포함하는 보우 부재의 섹션을 실린더 부시로부터 밀어낸다. 따라서 스크루가 조여짐으로써 보우 부재가 스핀들처럼 이동되어 적어도 하나의 결합 수단에 의해 실린더 부시의 공동부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실린더 부시는 베어링 브래킷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스크루는 동시에 트림 부재에 대한 기계적 연결을 형성하기 때문에, 스크루는 전술한 2개의 기능을 수행한다. 고정을 위해 스크루는, 보우 부재가 이동될 수 있도록 실린더 부시에 지지되는 동시에, 록킹 장치의 강제 파괴 개방 시 전술한 후크 고정이 보장될 수 있도록 트림 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스크루는 즉, 록킹 장치 또는 실린더 록의 고정 및 체결을 위한 유일한 스크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보우 부재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링형으로 형성되고, 실린더 부시를 방사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싼다. 보우 부재는 이로써 실린더 부시를 완전히 둘러싸고, 연속하는 링 형상으로 인해 기계적 파괴 개방에 대해 특히 높은 견고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도어 또는 플랩의 강제 개방에 대한 안전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바람직하게, 보우 부재는 나사산 보어에 대향 배치된 측면에 결합 수단으로서 크로스바를 갖는다. 크로스바는 보우 부재의 평행하게 서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레그의 자유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고, 이로써 폐쇄된 링 형상이 형성되어 높은 도난 안전성이 보장된다. 크로스바 자체가 결합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보우 부재에 예를 들어 방사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돌출부와 같은 다른 예비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보우 부재는 특히 저렴하고 간단하게 제조 가능하다. 그러나 물론 다른 실시예에 따라, 크로스바에 방사방향 내측으로 또는 실린더 부시를 향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응하는 수용부에 결합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실린더 부시는 방사방향 리세스에 대향 배치된 측면에 결합 수단(들)의 수용을 위한 공동부를 갖는다. 따라서 실린더 부시의 공동부는 나사산 보어에 대향 배치된 측면에 위치한 보우 부재의 결합 수단에 할당된다. 한편으로는 이로 인해 오조립이 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로 인해 실린더 부시의 가압면에 스크루가 지지됨으로써 공동부 내로 결합 수단(들)의 삽입이 최적으로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 공동부는 수용 그루우브로서 실린더 부시 내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특히 폭이 넓은 결합 수단이 공동부에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형상 끼워 맞춤 방식의 결합이 확장되고, 파괴 개방에 대한 안전성이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바의 수용을 위해 수용 그루우브가 형성되고, 이 경우 수용 그루우브는 바람직하게 실린더 부시의 제한된 원주각에 걸쳐서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바로부터 나사산 보어를 포함하는 보우 부재의 섹션으로 안내되는 레그들은, 실린더 부시가 상기 레그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 록킹 브래킷의 후속 이동에 의해 록킹 브래킷은 리세스와 결합하고, 실린더 부시를 축방향으로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고정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크로스바 및/또는 수용 그루우브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챔퍼를 포함하고, 상기 챔퍼는 실린더 부시의 공동부 내로 보우 부재의 안전한 삽입 및 실린더 부시의 자동 센터링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베어링 브래킷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실린더 부시에 대해 방사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보우 부재의 배치를 위해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한다. 보우 부재가 실질적으로 방사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함으로써, 보우 부재 또는 실린더 부시는 축방향으로 약간의 유격만 갖도록, 바람직하게는 유격을 갖지 않도록 또는 유격 없이 베어링 브래킷에 지지된다. 보우 부재의 축방향 지지는 즉 베어링 브래킷 자체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 방사방향 리세스의 가압면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이 경우 스크루의 가압팁은 가압면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바람직한 힘전달을 위해 방사방향 리세스 내에서 또는 가압면 상에서 가압팁의 평평한 지지가 보장되는 것이 달성된다. 원추형 형성에 의해 또한 스크루 또는 상기 스크루의 가압팁의 자동 센터링이 이루어지고, 이 경우 조여진 또는 방사방향 리세스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루의 가압팁을 통해 스크루에 대해 방사방향으로도 보우 부재로 및 반대로 힘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보우 부재는 실린더 부시를 둘러싸는 제 1 섹션과 나사산 보어를 포함하는 제 2 섹션을 갖고, 이 경우 2개의 섹션들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특히 평판 굽힘부로서 보우 부재의 형성 시 실린더 부시를 둘러싸는 섹션은 비교적 편평하게, 특히 스크루의 직경보다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고, 나사산 보어는 간단하게 이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섹션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평판 굽힘부로서 보우 부재의 전술한 형성도 간단하고 저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트림 부재는 개구를 갖고, 가압팁에 대향 배치된 스크루의 단부가 상기 개구를 통과한다. 이로 인해 간단하게 록킹 장치의 강제 파괴 개방 시 트림 부재에 실린더 부시의 후크 고정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확실한 후크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직경은 스크루의 나사산 샤프트의 직경에 거의 상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스크루는 스크루 헤드를 갖고, 상기 스크루 헤드의 직경은 트림 부재의 개구의 직경보다 크고, 이 경우 스크루 헤드는 보우 부재에 대향 배치된 트림 부재의 측면에 놓이므로, 바람직하게 스크루 헤드에 의해 록킹 장치의 강제 파괴 개방에 대해 추가의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의 체결이 보장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자동차의 도어의 록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록킹 장치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록킹 장치의 실린더 록 및 보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보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의 도어(1)의 부분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상기 도어는 록킹 장치(2)를 포함한다. 도어(1)에 록킹 장치(2)의 베어링 브래킷(3)이 고정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 브래킷은 또한 작동 가능한 도어 핸들을 지지한다. 베어링 브래킷(3)은 또한 수용부(5)를 갖고, 상기 수용부 내에 실린더 록(6)이 배치된다.
실린더 록(6)은 실린더 부시(7) 및 실린더 부시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배치된 실린더 코어(8)를 포함한다. 실린더 코어(8)의 회전은 코어에 삽입되는 대응하는 키에 의해서만 야기될 수 있다. 실린더 록의 기본적인 형성은 선행기술에 공개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실린더 부시(7)는 축방향으로 수용부(5) 내로 삽입되어 적어도 방사방향으로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수용부(5)에 의해 지지된다.
실린더 록(6)에 또한 보우 부재(9)가 할당되고, 상기 부재는 수용부(5) 내에서 또는 베어링 브래킷(3)에서 실린더 부시(7) 및 실린더 록(6)의 축방향 고정에 이용된다. 또한 록킹 장치(2)는 스크루(1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루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우 부재(9)와 함께 작용한다.
도 2는 록킹 장치(2)의 확대된 상세도를 다른 단면도에 도시한다. 스크루의 하나의 단부는 스크루 헤드(11)를 갖고, 상기 스크루 헤드에 나사산 샤프트(12)가 연결되고, 상기 스크루의 다른 단부는 가압팁(13)에서 끝난다. 나사산 샤프트(12)는 외부 나사산(14)을 갖고, 상기 외부 나사산은 보우 부재(9)의 나사산 보어(16)의 내부 나사산(15)과 함께 작용한다. 가압팁(13)은 원추형 윤곽을 갖고, 실린더 부시(7)의 방사방향 리세스(18)에 의해 형성된 가압면(17)과 함께 작용하도록 형성된다. 가압면(17)은 이 경우 가압팁(13)에 대해 상보적인 원추도를 가지므로, 가압팁(13)은 가압면(17)에 평평하게 놓이고, 따라서 - 스크루(10)에 대해서 - 축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힘이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보우 부재(9) 및 스크루(10)와 함께 실린더 록(6)을 사시도에 도시한다. 이 경우, 보우 부재(9)는 스크루(10)를 위한 나사산 보어(16)를 포함하는 제 1 섹션(19)과 실린더 록(6)의 실린더 부시(7)를 방사방향으로 둘러싸는 제 2 섹션(20)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스크루(10)와 함께 보우 부재(9)를 다른 사시도에 도시하고, 상기 도면으로부터, 보우 부재(9)는 사각형 윤곽을 갖는 실질적으로 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링 형상에 의해 보우 부재(9)는 섹션(19)으로부터 섹션(20)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2개의 레그(20', 20")를 갖고, 상기 레그들의 자유 단부는 크로스바(2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보우 부재(9)는 하나의 부분으로 형성되고, 특히 바람직하게 평판 굽힘부로서 제조된다. 제 1 섹션(19)은 또한 실질적으로 제 2 섹션(20)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고, 이 경우 스크루(10)의 나사산 샤프트(12)가 안내되는 나사산 보어(16)는 크로스바(20'")의 높이에 위치하므로, 스크루(10)의 회전축은 섹션(20)의 평면에 놓이고, 이 경우 스크루(10)의 가압팁(13)은 크로스바(20'")를 향하도록 정렬된다. 2개의 레그(20', 20")와 크로스바(20'") 및 섹션(19)은 보우 부재의 개구를 형성하면서 각각 서로 이격 배치되므로, 실린더 부시(7)는 도 3의 화살표(2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우 부재(9)의 개구를 통해 경우에 따라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도 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부시(7)는 방사방향 리세스(18)에 대향 배치된 측면에 수용 그루우브(23) 형태의 공동부(22)를 갖는다. 수용 그루우브(23)는 실질적으로 크로스바(20'")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 또는 내측 폭을 가지므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바는 수용 그루우브(23) 내로 바람직하게 유격 없이 삽입 가능하다. 수용 그루우브(23)는 이 경우 바람직하게 실린더 부시(7)의 후면 또는 방사방향 리세스(18)에 대향 배치된 측면에 걸쳐서만 연장된다.
도 5를 참고로, 보우 부재(9)를 이용한, 베어링 브래킷(3)에 실린더 록(6)의 고정이 설명된다. 도 5는 이 경우 도 3에 따른 실린더 록(6), 보우 부재(9) 및 스크루(10)로 이루어진 어셈블리의 평면도를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시한다. 먼저 보우 부재(9)는 베어링 브래킷(3) 내에 위치 설정된다. 이를 위해 베어링 브래킷(3)은 슬라이딩 가이드(24)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의해 보우 부재(9)는 섹션(20)의 평면에서 실린더 부시(7)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후속해서 실린더 록(6)은 화살표 21에 따라, 수용부(5) 내로 및 예비 조립된 보우 부재(9)의 개구를 통해 삽입된다. 이어서 스크루(10)는, 크로스바(20")의 방향으로 조여지도록 작동된다. 가압팁(13)이 후방면(17)과 접촉하는 즉시, 축방향 힘이 가해지고, 상기 힘에 의해 보우 부재(9)는 나사산 샤프트(12) 상에서 스크루 헤드(11)의 방향으로 스핀들처럼 당겨진다. 이로 인해 크로스바(20'")는 실린더 부시(7)의 수용 그루우브(23) 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바(20'")는 스토퍼까지 수용 그루우브(23) 내로 당겨지므로, 상기 크로스바는 실질적으로 수용 그루우브(23)의 공간을 완전히 차지한다. 이로 인해 - 실린더 부시(7)와 관련해서 볼 때 - 축방향으로 보우 부재(9)와 실린더 부시(7) 사이에 형상 끼워 맞춤 방식의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은 베어링 브래킷(3)의 수용부(5)로부터 실린더 록(6)이 간단히 빠져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한다. 이로 인해 실린더 록(6)은 간단하게 베어링 브래킷(3) 또는 도어(1)에 고정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루(10)의 나사산 샤프트(12)는 도어(1)의, 특히 내부 트림으로 형성된 트림 부재(26)의 개구(25)를 통과하므로, 스크루 헤드(11)는 트림 부재(26)의 외부에 위치하는 한편, 나머지 록킹 장치(2)는 트림 부재(26)의 내부에 배치된다. 스크루 헤드(11)는 이 경우 개구(25)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조립 시 스크루(10)는 따라서 외부에서부터 트림 부재(26)의 개구(25)를 통해 보우 부재(9)의 나사산 보어(16)에 안내된다. 록킹 장치(2)는 이 경우, 스크루(10)가 나사산 보어(16) 내로 최대로 조여진 경우에, 또한 스크루 헤드(11)가 트림 부재(26)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베어링 브래킷(3)에 실린더 록(6)의 고정 외에 도어의 강제 개방에 대해 추가 체결이 보장된다. 강제력을 가한 상태에서 실린더 록(6)이 수용부(5)로부터 빠져나갈 경우에, 원추형 가압면(17)을 통해 스크루(10)에 방사방향으로 힘이 전달됨으로써, 트림 부재(26)에 대한 기계적 연결에 의해 실린더 부시(7) 또는 실린더 록(6)이 트림 부재(26)에 후크 고정되는 것이 달성된다. 이로 인해, 실린더 록(6)의 고정부가 파괴되어 개방되었더라도, 베어링 브래킷(3)으로부터 실린더 록(6)이 간단하게 빠져나가는 것이 저지된다.
스크루(10)는 이로써 2개의 기능을 동시에, 즉 한편으로는 실린더 록(6)의 고정과 다른 한편으로는 록킹 장치(2)의 파괴 개방 시 실린더 록(6)의 체결을 수행한다.
이 실시예는 차량 도어와 관련되는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록킹 장치(2)는 차량 플랩, 예를 들어 트렁크 리드 또는 이와 같은 것에 배치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도어(1) 또는 플랩용 록킹 장치(2)로서, 실린더 부시(7)와 상기 실린더 부시(7)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실린더 코어(8)를 가진 실린더 록(6), 상기 도어(1) 또는 플랩에 고정 가능하거나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 록(6)을 위한 수용부(5)를 가진 베어링 브래킷(3) 및 상기 도어(1) 또는 플랩을 위한 트림 부재(26)에 대한 상기 실린더 부시(7)의 기계적 연결을 형성하는 스크루(10)를 포함하는 록킹 장치(2)에 있어서,
    실린더 부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방향으로 둘러싸는 보우 부재(9)가 제공되고, 상기 보우 부재는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베어링 브래킷(3)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 부시(7)의 공동부(22)에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루(10)는 상기 보우 부재(9)의 이동을 위해 상기 보우 부재(9)의 나사산 보어와 함께 작용하고, 상기 실린더 부시(7)는 방사방향 리세스(18)를 갖고, 상기 리세스는 가압면(17)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루(10)는 상기 실린더 부시(7)를 향한 단부에 가압팁(13)을 갖고, 상기 스크루(10)의 축방향 및 방사방향 지지를 위해 상기 가압팁은 상기 방사방향 리세스(18)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면(17)과 함께 작용하고, 상기 방사방향 리세스(18)의 상기 가압면(17)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루(10)의 상기 가압팁(13)은 상기 가압면(17)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트림 부재(26)는 개구(25)를 갖고, 상기 스크루(10)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고, 상기 스크루(10)는 스크루 헤드(11)를 갖고, 상기 스크루 헤드의 직경은 상기 트림 부재(26)의 상기 개구(25)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우 부재(9)는 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부시(7)를 방사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우 부재(9)는 상기 나사산 보어(16)에 대향 배치된 측면에 결합 수단으로서 크로스바(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부시(7)는 상기 방사방향 리세스(18)에 대향 배치된 측면에 공동부(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22)는 수용 그루우브(23)로서 상기 실린더 부시(7)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우 부재(9)는 상기 실린더 부시(7)를 둘러싸는 제 1 섹션(20)과 상기 나사산 보어(16)를 포함하는 제 2 섹션(19)을 갖고, 상기 2개의 섹션(20, 19)은 서로 수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브래킷(3)은 상기 실린더 부시(7)에 대해 방사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보우 부재(9)의 배치를 위해 슬라이딩 가이드(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7014648A 2013-11-06 2014-11-03 도어 또는 플랩용 록킹 장치 KR101832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310222465 DE102013222465A1 (de) 2013-11-06 2013-11-06 Schließeinrichtung für eine Tür oder Klappe
DE102013222465.6 2013-11-06
PCT/EP2014/073583 WO2015067562A1 (de) 2013-11-06 2014-11-03 SCHLIEßEINRICHTUNG FÜR EINE TÜR ODER KLAP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957A KR20160081957A (ko) 2016-07-08
KR101832079B1 true KR101832079B1 (ko) 2018-02-23

Family

ID=5184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648A KR101832079B1 (ko) 2013-11-06 2014-11-03 도어 또는 플랩용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07016B2 (ko)
EP (1) EP3066282B1 (ko)
KR (1) KR101832079B1 (ko)
CN (1) CN105723039B (ko)
DE (1) DE102013222465A1 (ko)
WO (1) WO2015067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6842B2 (en) * 2014-06-20 2019-02-05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anufacturing Corp. Retention mechanism for insertion member in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DE102015207475A1 (de) * 2015-04-23 2016-10-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ließeinrichtung für eine Tür oder Klappe
US10233680B2 (en) * 2016-03-01 2019-03-19 Huf Huelsbeck & Fuerst Gmbh & Co. Kg Vehicle door handle arrangement with a securing element having a stop
JP6612686B2 (ja) * 2016-06-21 2019-11-27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DE102017103959A1 (de) * 2017-02-24 2018-08-3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Handhabe mit einer beweglichen Schließzylindereinheit
DE102018220205A1 (de) * 2018-11-23 2020-05-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ließsystem für eine Tür oder Klappe eines Kraftfahrzeugs, Tür oder Klappe eines Kraftfahrzeugs, Kraftfahrzeug
USD902006S1 (en) * 2019-01-03 2020-11-17 Zhejiang Oklead Auto Parts Co., Ltd. Vehicle door lock
DE102019119529A1 (de) * 2019-07-18 2021-01-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Türöffnungseinrichtung und Türöffn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CN110640790B (zh) * 2019-10-11 2024-05-14 南通大学 一种用于光伏组件清扫机器人换行小车的横向锁止装置
US11814883B2 (en) * 2021-03-16 2023-1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nti-theft pass-through pawl for an access do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3751A1 (de) 2011-07-28 2013-01-31 Audi Ag Türgriffanordnung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36364A (en) * 1923-02-17 1927-07-19 Joseph A Hoegger Fixture support
SE329904B (ko) * 1968-02-09 1970-10-26 Grafiset System Ab
US3605242A (en) * 1970-02-16 1971-09-20 Otto E Kuffner Ball bearing pullers
DE3606347C1 (en) 1986-02-27 1987-02-12 Daimler Benz Ag Exterior grip for motor-vehicle doors
GB8701875D0 (en) * 1987-01-28 1987-03-04 Rolls Royce Motor Cars Handle assembly
DE4121770A1 (de) * 1991-07-01 1993-01-07 Wilke Heinrich Hewi Gmbh Anordnung aus zwei teleskopisch miteinander verbundenen bauelementen
DE4126714C1 (en) 1991-08-13 1992-09-17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Car door handle with bearing bracket - on which is mounted slider between follower and lock cylinder openings
DE4415154A1 (de) * 1994-05-02 1995-11-09 Valeo Deutschland Gmbh & Co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Teils, insbesondere eines Türgriffs
JP3723621B2 (ja) * 1996-02-29 2005-12-07 株式会社アルファ 開扉防止用錠装置
FR2789428B1 (fr) * 1999-02-05 2001-04-13 Valeo Securite Habitacle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blocage d'un element externe
FR2789426B1 (fr) 1999-02-05 2001-06-15 Valeo Securite Habitacle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DE10036398A1 (de) 2000-07-26 2002-02-28 Volkswagen Ag Vorrichtung zur Arretierung eines Schließzylindergehäuses
DE20016108U1 (de) 2000-09-16 2001-01-18 Kiekert Ag Türbetätigungsaggregat für insbesondere Kraftfahrzeuge
DE10046717A1 (de) * 2000-09-21 2002-11-21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DE20020996U1 (de) * 2000-12-12 2001-03-08 Fms Foerder Und Montage System Verbindereinrichtung für Profile
ATE350552T1 (de) * 2001-07-20 2007-01-15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Türgriff für ein kraftfahrzeug
DE10146026C1 (de) * 2001-09-18 2002-10-31 Huf Huelsbeck & Fuerst Gmbh Griffbeschlag
JP3919081B2 (ja) * 2002-02-12 2007-05-23 株式会社ダイワロックス 錠装置
JP4161664B2 (ja) 2002-09-27 2008-10-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DE102004012456B4 (de) 2004-03-10 2019-05-09 Volkswagen Ag Schließ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5042350A1 (de) * 2005-09-07 2007-03-1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zylinder für insbesondere an Fahrzeugen vollziehbare Funktionen
WO2008025418A1 (de) * 2006-08-26 2008-03-0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schlosses in der tür oder klappe eines fahrzeugs
EP1953020B1 (en) * 2007-02-05 2013-12-04 Mazda Motor Corporation Door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ITMI20071748A1 (it) * 2007-09-11 2009-03-12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di sicurezza per veicoli
EP2235384B8 (en) * 2008-01-30 2014-06-11 Boseth Pty Ltd A connector assembly
US9307797B2 (en) * 2009-05-07 2016-04-12 Rosemarie Wysoczki de Sanchez Magnetic lock, magnetic key and combination thereof
CN104620000A (zh) * 2012-07-17 2015-05-13 Pem管理股份有限公司 平头螺钉
JP5932609B2 (ja) * 2012-11-08 2016-06-08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DE102012112520A1 (de) * 2012-12-18 2014-06-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üraußengriffsystem bei einem Kraftfahrzeug
US20150071730A1 (en) * 2013-09-12 2015-03-12 Hanwit Precision Industries Ltd. Floating fastener
US9576507B2 (en) * 2015-07-24 2017-02-21 Purr-Fection By Mjc, Inc. Placard hol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3751A1 (de) 2011-07-28 2013-01-31 Audi Ag Türgriffanordnung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7562A4 (de) 2015-07-09
EP3066282B1 (de) 2020-05-06
US10107016B2 (en) 2018-10-23
KR20160081957A (ko) 2016-07-08
DE102013222465A1 (de) 2015-05-07
CN105723039B (zh) 2020-03-03
WO2015067562A1 (de) 2015-05-14
US20160251878A1 (en) 2016-09-01
EP3066282A1 (de) 2016-09-14
CN105723039A (zh)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079B1 (ko) 도어 또는 플랩용 록킹 장치
US9802552B2 (en) Trim panel mounting system for securing a trim panel to a substrate
US7370501B2 (en) Key unit
US9482257B2 (en) Configuration comprising a component and a fixing system for elastic attachment of the component to a panel-shaped support part
JP5431250B2 (ja) キー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5755880B2 (ja) 強化されたポジションロック機能を有する、ロックを作用させるための枢軸回動可能なキー
KR20190008963A (ko) 자동차 로킹 장치
KR20020059606A (ko)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US11035161B2 (en) Hinge for a hinged opening of a vehicle
KR19990023164A (ko) 일체형 연결 부속구
CN109496247B (zh) 具有转动锁叉支撑结构的机动车锁
CA2641553A1 (en) Mechanism for securing the handle of a door or window
FR2768168A1 (fr) Serrur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EP3199412B1 (en) Bracket for a vehicle antitheft device
JP4084125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EP3516136B1 (en) Compression latch with securing device
KR20190068342A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N110872919B (zh) 汽车锁
KR20050033620A (ko)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품용 보강 부재
KR101387227B1 (ko) 자동차용 회전 잠금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KR200145160Y1 (ko) 자동차의 도어 록 버튼
KR100462684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립구조
KR100328399B1 (ko) 자동차용 키어셈블리의 레버유동방지장치
KR100520369B1 (ko) 자동차용 도어록의 장착구조
CN113167084A (zh) 用于机动车的门或翻转件的锁闭系统、机动车的门或翻转件、机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