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963A - 자동차 로킹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로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963A
KR20190008963A KR1020187038003A KR20187038003A KR20190008963A KR 20190008963 A KR20190008963 A KR 20190008963A KR 1020187038003 A KR1020187038003 A KR 1020187038003A KR 20187038003 A KR20187038003 A KR 20187038003A KR 20190008963 A KR20190008963 A KR 20190008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ushing element
bearing bushing
lever
d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772B1 (ko
Inventor
루드거 그라우테
로만 요슈코
판 렌
안드레아스 호프만
Original Assignee
브로제 슐리스지스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슐리스지스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브로제 슐리스지스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0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 E05B2015/0406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 E05B2015/041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loaded perpendicular to cylinder axis

Abstract

본 발명은 로킹 기구를 포함하고, 이 로킹 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로킹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로킹 기구는 기하학적 레버 축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레버를 갖고, 이 작동 레버가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 부싱 요소가 제공되며, 작동 레버는 베어링 부싱 요소 상에 축 방향으로 양 측에 장착되고, 이를 위해 베이어닛 클로저를 통해 베어링 부싱 요소에 결합되며, 자동차 로킹 장치의 조립 시에, 작동 레버 및 베어링 부싱 요소는 베이어닛 클로저의 생성을 통해 별도의 유닛을 형성하도록 사전 조립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로킹 장치
본 발명은 본원의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자동차 로킹 장치 및 본원의 청구범위 제 13 항에 따른 이러한 자동차 로킹 장치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논의되는 자동차 로킹 장치는 자동차의 모든 유형의 클로저 요소와 관련될 수 있다. 여기에는 도어, 특히 사이드 도어 또는 후방 도어, 트렁크 커버, 트렁크 리드, 엔진 후드, 트렁크 바닥 등이 포함된다.
논의되는 자동차 로킹 장치의 소형화가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자동차 로킹 장치는 복수의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레버가 각각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 돔을 구비하고 있다. 형성되는 레버 패키지는 종종 하우징 부품의 스페이서 슬리브에 의해 지지된다.
하나의 도전 과제는 레버 패키지의 레버의 정의된 축 방향 위치를 준수하는 것인데, 왜냐하면 항상 관련된 부품의 기하학적 공차가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낮은 제조 기술적 비용으로 기하학적 레버 축 상에 특히 복수의 레버의 공차에 비-민감한 장착을 허용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원의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자동차 로킹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제안에 따른 자동차 로킹 장치는 로킹 기구 및 로킹 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로킹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로킹 기구는 기하학적 레버 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레버를 포함하며, 이 경우 작동 레버가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 부싱 요소가 제공된다.
작동 레버는 베어링 부싱 요소 상에 반경 방향으로 장착될 뿐만 아니라, 축 방향으로도 장착된다. 이 경우 작동 레버는 축 방향 양 측의 장착을 위해 베이어닛 클로저를 통해 베어링 부싱 요소와 결합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더 중요한 것은, 자동차 로킹 장치의 조립 시에 작동 레버는 베어링 부싱 요소와 함께 베이어닛 클로저의 생성을 통해 별도의 유닛을 형성하도록 사전 조립될 수 있어야 한다.
제안에 따른 해결 방안의 흥미로운 특징은, 한편으로는 위에서 언급된 의미에서 스페이서로서 사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 레버에 대한 축 방향 양 측의 베어링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베어링 부싱 요소가 제공된다는 사실이다. 베어링 부싱 요소의 이러한 이중 사용을 통해 베어링 구성 요소가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사전 조립 과정에서 베이어닛 클로저의 생성을 통해 기본적으로 조립 공정의 병렬화 가능성이 가능하게 된다.
베이어닛 클로저로서 작동 레버와 베어링 부싱 요소 사이의 축 방향 클로저의 설계는 특히 자동화된 간단한 조립 이동으로 베이어닛 클로저의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고, 베이어닛 클로저를 사용하여 작동 레버의 안전한, 축 방향으로의 양 측의 장착이 큰 기계적 부담 없이 안전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청구범위 제 2 항 내지 제 5 항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베이어닛 클로저의 생성을 위한 바람직한 변형예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청구항 제 5 항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사전 조립 시에 적절한 설계로 정확하고 이에 따라 고비용인 조립 이동이 필요 없다는 점에서, 작동 레버 및 베어링 부싱 요소의 간단한 사전 조립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청구항 제 5 항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자동차 로킹 장치의 설치 상태에서 작동 레버 및 베어링 부싱 요소의 이동 제한에 의해서만, 베이어닛 잠금의 잠금 해제가 차단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베이어닛 잠금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잠금 요소가 필요하지 않다.
청구항 제 6 항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부싱 요소는 축 방향으로 양 측에서 지지되고, 이 점에서 스페이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 부싱 요소의 가능한 이중 기능, 즉 한편으로는 스페이서로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 레버에 대한 베어링으로서의 이중 기능이 나타난다.
청구항 제 8 항 및 제 9 항에 따른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베어링 부싱 요소와 자동차 로킹 장치의 베어링 돔과의 바람직한 상호 작용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 돔의 숄더 상에 베어링 부싱 요소를 축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작동 레버의 위치는 베어링 돔의 기하학적 공차에 의해서만 결정되고, 만일의 추가 레버의 기하학적 공차에 의해서는 결정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청구항 제 9 항).
그러한 추가 레버는 청구항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의 주제이다. 이 경우, 베어링 부싱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버에 대한 축 방향 지지, 즉 축 방향 베어링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돔 상에 장착되는 베어링 부싱 요소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버에 대한 축 방향 베어링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레버로부터 다른 레버로의 바람직하지 않은 공차 체인의 형성이 신뢰성 있게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별도의 중요성을 갖는 청구항 제 13 항에 따른 또 다른 교시에 따르면, 제 1 언급된 교시에 따른 자동차 로킹 장치의 조립 방법이 청구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언급된 교시에 대한 모든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추가의 교시에 따르면, 사전 조립 단계에서 작동 레버 및 베어링 부싱 요소는 베이어닛 클로저의 형성 하에 사전 조립된 유닛을 형성하고, 이 경우 사전 조립된 유닛은 그 후 자동차 로킹 장치 상에 추가로 조립되는 것이 중요하다.
작동 레버와 베어링 부싱 요소의 사전 조립은 공정 단계의 병렬화를 허용하며, 이 경우 베어링 부싱 요소의 제안에 따른 구조는 미리 설정된 공차의 준수를 보장한다. 특히, 청구항 제 14 항에 따르면, 제 1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버가 자동차 로킹 장치의 베어링 돔 상에 플러깅되고, 제 2 단계에서 위에서 언급된 사전 조립된 유닛이 베어링 돔 상에 플러깅되는 것이 제안된다. 두 방법 단계 모두 공통의 기하학적 레버 축을 따른 조립체 이동이 필요하므로, 특히 자동화된 조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단지 실시예만을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내부로부터 본 제안에 따른 자동차 로킹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도어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구성 요소를 갖는 분해도로, 도 1에 따른 자동차 로킹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작동 레버 및 베어링 부싱 요소의 사전 조립 후에 자동차 로킹 장치 조립 시의 도 2에 따른 자동차 로킹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사전 조립된 유닛을 자동차 로킹 장치에 추가로 조립한 후의 도 3에 따른 자동차 로킹 장치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자동차 로킹 장치(1)는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1a)와 관련된다. 자동차 로킹 장치(1)는 기본적으로 자동차의 모든 유형의 클로저 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의 도입 부분을 참조할 수 있다.
자동차 로킹 장치(1)의 기본적인 구조는 종래의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폐쇄 요소 폴링 래치(2) 및 폴(pawl)(3)을 포함한다. 폴링 래치(2)는 폐쇄 요소(4), 특히 폐쇄 웨지 또는 스트라이커와 결합 유지 상태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 위치로 될 수 있다. 폴링 래치(2)는 폴(3)에 의해 그 폐쇄 위치에서 유지된다. 폴(3)의 리프팅은 그 개방 위치에서 폴링 래치(2)의 해제와 관련되고, 이는 폐쇄 요소(4)의 해제를 수반한다.
사이드 도어(1a)는 도시된 이와 관련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동차 로킹 장치(1)를 수용하고, 폐쇄 요소(4)는 자동차 차체에 배치된다. 이것은 또한 반대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은 또한 보우덴 케이블(5a, 6a)을 통해 자동차 로킹 장치(1)에 각각 결합되는 도어 외부 핸들(5) 및 도어 내부 핸들(6)이 제공되는 것을 또한 도시한다. 자동차 로킹 장치(1)의 폐쇄 상태에 따라, 폴(3)은 도어 외부 핸들(5) 또는 도어 내부 핸들(6)을 작동시킴으로써 리프팅될 수 있다.
도시된 자동차 로킹 장치(1)에는 여기서 로킹 기능의 구현에 필요한 모든 기계적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로킹 기구(7)가 구비되어 있다. 로킹 기구(7)는 반드시 폐쇄되도록 설계될 필요가 없는 로킹 하우징(8)에 의해 수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로킹 하우징"이라는 용어는 넓게 이해되어야 한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관점에서, 리어 플레이트 또는 폐쇄 플레이트가 로킹 하우징(8a)의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제안에 따른 해결 방안은 로킹 기구(7)의 레버 패키지(9)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서 로킹 기구(7)가 기하학적 레버 축(10)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레버(11)를 포함하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작동 레버(11)는 보우덴 케이블(11a)을 통해 도어 외부 핸들(5)과 결합되는 외부 작동 레버이다. 도 2는 베어링 부싱 요소(12)가 제공되고, 이 베어링 부싱 요소 상에 작동 레버(11)가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이는 도 2, 도 3 및 도 4의 개요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난다.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이라는 용어는, 각각의 경우에 명시적으로 지적되지 않고, 여기서는 항상 작동 레버(11)의 기하학적 레버 축(10)을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도 4의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레버(11)는 베어링 부싱 요소(12) 상에 축 방향으로 양 측에 장착된다. 이는 양 축 방향으로의 작동 레버(11)의 축 방향 조정 가능성이 축 방향 양 측의 장착에 의해 한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작동 레버(11)는 베이어닛 클로저(13)를 통해 베어링 부싱 요소(12)에 결합된다. 이것은 다시 도 2, 도 3 및 도 4의 개요로부터 나타난다.
제안에 따른 해결 방안에서의 흥미로운 것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로킹 장치(1)의 조립 시에 작동 레버(11) 및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베이어닛 클로저(13)의 생성을 통해 별도의 유닛(14)을 형성하도록 사전 조립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자동차 로킹 장치의 조립"이라는 용어는 자동차 로킹 장치(1)의 제조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어 측면 도어(1a) 등에의 자동차 로킹 장치(1)의 설치와 관련이 없다. "별도의"라는 용어는 작동 레버(11) 및 베어링 부싱 요소(12)로 이루어진 사전 조립된 유닛(14)이 그 자체로서, 자동차 로킹 장치(1)의 다른 구성 요소와 분리되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칙적으로 베어링 부싱 요소(12) 상에는 또한 적어도 2 개의 작동 레버(11), 바람직하게는 2 개 초과의 작동 레버(11)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작동 레버(11)를 장착하는 하나 초과의 베어링 부싱 요소(12), 바람직하게는 2 개 초과의 베어링 부싱 요소(12)가 제공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사전 조립된 유닛(14)을 취급할 때 베이어닛 클로저(13)가 의도하지 않게 느슨해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작동 레버(11)와 베어링 부싱 요소(12)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고정 장치는 베이어닛 클로저(13)의 제조 시 래칭되어야 하는 래칭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베이어닛 클로저(13)의 제조 시 크러쉬 리브(crush rib)가 노크오버(knock over)되어야만 하고, 이는 베이어닛 클로저가 증가된 힘 소비 없이는 느슨해질 수 없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개요는 베어링 부싱 요소(12)가 레버 축(10)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로킹 하우징(8)과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것은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부싱 요소(12)가, 레버 축(10)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로킹 하우징(8)에 대해 지지되는 지지 아암(15)을 포함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를 위해, 지지 아암(15)은 유닛(14)의 조립 시에 베어링 돔(16) 상으로 슬라이딩되는 개구(15a)를 포함한다. 베어링 돔(16)이 레버 축(10)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원하는 지지 효과가 발생한다.
도시되고 이와 관련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어닛 클로저(13)는 한편으로는 베어링 부싱 요소(12) 상의 베이어닛 몰딩(17)을 통해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 레버(11) 상의 베이어닛 카운터 몰딩(18)을 통해 형성된다. 작동 레버(11) 및 베어링 부싱 요소(12)의 구성 요소는 도 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밖으로 축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레버 축(10)을 중심으로 베어링 부싱 요소(12)에 대해 작동 레버(11)를 피벗시킴으로써, 베이어닛 클로저(13)는 도 3에 도시된 잠금 상태가 될 수 있고, 이 잠금 상태에서 베이어닛 몰딩(17) 및 베이어닛 카운터 몰딩(18)은 언더컷을 형성한다. 역으로 피벗되면, 베이어닛 클로저(13)는 잠금 해제 상태를 취하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잠금 상태(도 3)에서만 작동 레버와 베어링 부싱 요소(12) 사이의 축 방향 양 측의 지지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반면, 잠금 해제 상태(도 2)에서는, 작동 레버(11) 및 베어링 부싱 요소(12)의 축 방향 조정이 가능하다.
베이어닛 클로저(13)를 사용함으로써, 제안에 따른 해결 방안은 베어링 부싱 요소(12) 상에 작동 레버(11)의 특히 안전한 축 방향 양 측의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상세하게는, 작동 레버(11) 및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자동차 로킹 장치(1)의 설치 상태(도 4)에서 베이어닛 클로저(13)에 대해 서로에 대한 잠금 피벗 위치를 차지하므로, 베이어닛 클로저(13)는 위에서 언급된 잠금 상태에 있게 된다. 이 경우, 보다 양호하게는, 작동 레버(11) 및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자동차 로킹 장치(1)의 설치 상태에서 베이어닛 클로저(13)의 잠금 해제가 차단되는 방식으로 이동 제한되도록 준비된다.
도 4에 따른 측면도는 베어링 부싱 요소(12)가 축 방향으로 양 측에서 지지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 경우, 로킹 하우징(8)의 부분, 여기서 도 4에만 도시되는 하우징 커버(8a) 상에 지지점이 위치하게 된다.
도시되고 이와 관련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축 방향 연장부(19)를 포함하고, 이 축 방향 연장부 상에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베이어닛 몰딩(17)이 배치된다. 축 방향 연장부(19)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른 기능, 즉, 로킹 하우징(8), 여기서는 로킹 커버(8a) 상에 베어링 부싱 요소(12)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축 방향 연장부(19)는 도시되고 이와 관련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또 다른 기능, 즉,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 레버(11)에 대한 나사 스프링 요소, 특히 레그 스프링 요소인 스프링 요소(20)를 수용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또한 스프링 요소(20)가 로킹 기구(7)의 다른 구성 요소에 할당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도 4는 작동 레버(11)가 하우징 커버(8a)에 대해 미리 결정된 거리로 유지되게 하는 스페이서의 기능이 베어링 부싱 요소(12)에 부여되는 것을 도시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레버 패키지(9)를 장착하기 위해, 자동차 로킹 장치(1)는 다른 베어링 돔(21)을 포함하며,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베어링 돔(21)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베어링 돔(21) 상으로 플러깅된다. 대안적으로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베어링 돔(21) 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베어링 돔(21)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베어링 돔(21)은 로킹 하우징(8)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트로프(8b)와, 여기서는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싱 요소(12)를 베어링 돔(21) 상으로 플러깅함으로써, 기하학적 레버 축(10) 상으로 베어링 부싱 요소(12)를 특히 양호하게 센터링할 수 있게 된다.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축 방향 연장부(19)에 의해 하우징 커버(8a) 상에 지지된다는 것은 이미 지적되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하우징 커버(8a)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단부에서 베어링 돔(21) 상에,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돔(21)의 반경 방향 숄더(22) 상에 축 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로킹 하우징(8)의 하우징 커버(8a)와 베어링 돔(21) 사이에 고정되는데, 특히 클램핑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추가적인 리벳 연결부 등일 수 있는 베어링 부싱 요소(12)의 부착을 위한 추가적인 수단이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기구(7)는 기하학적 레버 축(10)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버(23, 24),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기하학적 레버 축(10)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는 2 개의 추가 레버(23, 24)를 포함한다. 이 경우, 추가 레버(23, 24)는 여기에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돔(21) 상에 장착된다. 추가 레버(23, 24)의 베어링 지점은 작동 레버(11)의 베어링 지점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추가 레버(23, 24)는 베어링 부싱 요소(12)와 마찬가지로 베어링 돔(21) 상으로 플러깅된다.
추가 레버(23)는 자동차 로킹 장치(1)의 설치 상태에서 보우덴 케이블(6a)을 통해 도어 내부 핸들(6)과 결합되는 내부 작동 레버이다. 추가 레버(24)는 로킹 상태에 따라 외부 작동 레버(11) 및/또는 내부 작동 레버(23)에 의해 작동되어 폴(3)에 작용할 수 있는 소위 트리거 레버이다.
2 개의 추가 레버(23, 24)는 베어링 돔(21)의 다른 반경 방향 숄더(25)와 베어링 부싱 요소(12)의 주변 칼라(26) 사이에 배치되고, 이를 통해 축 방향으로 양 측에 지지된다. 한편으로는 작동 레버(11)를 다른 한편으로는 추가 레버(23, 24)를 축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서로에 대한 교호식 공차 관련 영향을 갖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내부 작동 레버로서 설계된 추가 레버(23)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고 이 추가 레버(23)를 축 방향으로 일 측에서 지지하는 다른 축 방향 연장부(27)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레버 패키지(9)의 레버(11, 23, 24)는 제안에 따른 해결 방안에 의해 축 방향으로 한정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제조 기술의 관점에서 높은 비용을 초래하지 않는다. 축 방향 연장부(27)는 트리거 레버(24)의 개구(28)를 통해 돌출되고, 이는 구조체의 전체적인 소형화를 추가로 증가시킨다.
독립된 중요성을 갖는 또 다른 교시에 따르면, 제안에 따른 자동차 로킹 장치(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그 자체로 청구된다.
제안에 따른 방법에 따르면, 사전 조립 단계에서 작동 레버(11) 및 베어링 부싱 요소(12)가 베이어닛 클로저(13)의 형성 하에 위에서 언급된 사전 조립된 유닛(14)을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 경우 사전 조립된 유닛(14)은 그 후 자동차 로킹 장치(1) 상에 추가로 장착된다. 사전 조립은 도 2로부터 도 3으로의 전이에 의해 형성된다. 자동차 로킹 장치(1) 상에 사전 조립된 유닛(14)을 추가로 조립하는 것은 도 3으로부터 도 4로의 전이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동차 로킹 장치(1)는 위에서 언급된 베어링 돔(21)을 포함하고, 이 경우 제 1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버(23)가 베어링 돔(21) 상으로 플러깅되고, 이 경우 제 2 단계에서 사전 조립된 유닛은 베어링 돔(21) 상으로 플러깅된다. 이어서, 제 3 단계에서 하우징 커버(8a)가 로킹 하우징(8) 상에 추가로 배치되어, 이를 통해 베어링 부싱 요소(12)가 축 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고 제조하기 쉬운 실시예에서,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베어링 돔(21)은 또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베어링 부싱 요소(12) 및/또는 베어링 돔(21)은 또한 다른 재료, 특히 강철재에 의해 보강될 수도 있다. 특히, 베어링 돔(21)은 기계적 보강을 위해 강철 맨드릴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Claims (15)

  1. 로킹 기구(7) 및 상기 로킹 기구(7)를 수용하기 위한 로킹 하우징(8)을 포함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로서,
    상기 로킹 기구(7)는 기하학적 레버 축(10)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레버(11)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레버(11)가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 부싱 요소(12)가 제공되며, 상기 작동 레버(11)는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 상에 축 방향으로 양 측에 장착되고, 이를 위해 베이어닛 클로저(13)를 통해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와 결합되고, 상기 자동차 로킹 장치(1)의 제조 시에 상기 작동 레버(11) 및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상기 베이어닛 클로저(13)의 생성을 통해 별도의 유닛(14)을 형성하도록 사전 조립될 수 있는, 자동차 로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상기 레버 축(10)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로킹 하우징(8)과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상기 레버 축(10)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로킹 하우징(8)에 대해 지지되는 지지 아암(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어닛 클로저(13)는 한편으로는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 상의 베이어닛 몰딩(17)을 통해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작동 레버(11) 상의 베이어닛 카운터 몰딩(18)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어닛 클로저(13)는 상기 레버 축(10)을 중심으로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에 대해 상기 작동 레버(11)를 피벗시킴으로써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로 될 수 있고, 상기 베이어닛 클로저(13)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만 작동 레버(11)와 베어링 부싱 요소(12) 사이의 축 방향 양 측의 베어링을 제공하고, 상기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작동 레버(11) 및 베어링 부싱 요소(12)의 서로에 대한 축 방향 조정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11) 및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상기 자동차 로킹 장치(1)의 설치 상태에서 상기 베이어닛 클로저(13)에 대해 서로에 대한 잠금 피벗 위치를 차지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 레버(11) 및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상기 자동차 로킹 장치(1)의 설치 상태에서 상기 베이어닛 클로저(13)의 잠금 해제가 차단되도록 이동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축 방향으로 양 측에서 지지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상기 로킹 하우징(8)의 일부분 상에서, 특히 하우징 커버(8a) 상에서 축 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축 방향 연장부(19)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 방향 연장부(19) 상에는 상기 베이어닛 몰딩(17)이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축 방향 연장부(19)는 상기 로킹 하우징(8) 상에서, 특히 상기 하우징 커버(8a) 상에서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데 사용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축 방향 연장부(19)는 상기 작동 레버(11) 또는 상기 로킹 기구(7)의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스프링 요소(20), 특히 나사 스프링 요소를 수용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어링 돔(21)이 제공되고,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상기 베어링 돔(21)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상기 베어링 돔(21) 상으로 플러깅되거나 또는 상기 베어링 돔(21)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베어링 돔(21) 상에 부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돔(21)은 상기 로킹 하우징(8)의 부분과 특히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상기 베어링 돔(21) 상에서, 특히 상기 베어링 돔(21)의 반경 방향 숄더(22) 상에서 축 방향으로 지지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상기 로킹 하우징(8)의 상기 하우징 커버(8a)와 상기 베어링 돔(21) 사이에 고정되고, 특히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기구(7)는 상기 기하학적 레버 축(10)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버(23, 24),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버 축(10)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2 개의 다른 추가 레버(23, 24)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버(23, 24)는 상기 베어링 돔(21)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버(21)는 축 방향으로 양 측에서 한편으로는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 특히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 상의 반경 방향 숄더(26)를 통해,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베어링 돔(21), 특히 상기 베어링 돔(21) 상의 반경 방향 숄더를 통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상기 베어링 돔(21) 상에 장착된 추가 레버(23, 24)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추가 레버(23, 24)를 축 방향으로 일 측에서 지지하는 축 방향 연장부(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 로킹 장치(1)의 조립 방법으로서,
    사전 조립 단계에서 작동 레버(11) 및 베어링 부싱 요소(12)가 베이어닛 클로저(13)의 형성 하에 사전 조립된 유닛(14)을 형성하고, 상기 사전 조립된 유닛(14)은 그 후 상기 자동차 로킹 장치(1) 상에 추가로 조립되는, 자동차 로킹 장치의 조립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로킹 장치(1)는 베어링 돔(21)을 포함하고, 제 1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버(23, 24)가 상기 베어링 돔(21) 상에 플러깅되고, 제 2 단계에서 상기 사전 조립된 유닛(14)이 상기 베어링 돔(21) 상에 플러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의 조립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제 3 단계에서 하우징 커버(8a)가 로킹 하우징(8) 상에 추가로 배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베어링 부싱 요소(12)는 축 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킹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187038003A 2016-06-02 2017-05-26 자동차 로킹 장치 KR102178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0201.6 2016-06-02
DE102016110201.6A DE102016110201A1 (de) 2016-06-02 2016-06-02 Kraftfahrzeugschloss
PCT/EP2017/062730 WO2017207422A1 (de) 2016-06-02 2017-05-26 Kraftfahrzeugschlo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963A true KR20190008963A (ko) 2019-01-25
KR102178772B1 KR102178772B1 (ko) 2020-11-13

Family

ID=5899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8003A KR102178772B1 (ko) 2016-06-02 2017-05-26 자동차 로킹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71268B2 (ko)
EP (1) EP3464764B1 (ko)
JP (1) JP6824294B2 (ko)
KR (1) KR102178772B1 (ko)
CN (1) CN109328254B (ko)
DE (1) DE102016110201A1 (ko)
WO (1) WO2017207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02451A1 (de) * 2015-02-25 2016-08-25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6110201A1 (de) 2016-06-02 2017-12-0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DE102018116313A1 (de) 2018-04-20 2019-10-24 Kiekert Ag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8116325A1 (de) * 2018-07-05 2020-01-09 Kiekert Ag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CN110872919B (zh) * 2018-09-03 2023-03-10 开开特股份公司 汽车锁
DE102019107229A1 (de) * 2019-03-21 2020-09-24 Kiekert Aktiengesellschaft Tür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9131179A1 (de) * 2019-11-19 2021-05-20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DE102022107657A1 (de) 2022-03-31 2023-10-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Betätigungseinhe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2184A1 (de) * 2002-07-16 2004-02-05 Siemens Ag Übertragungseinheit für Türschlösser von Kraftfahrzeugen
DE102013208652A1 (de) * 2013-05-10 2014-11-13 Kiekert Ag Befestigungselement zur Anbindung von Übertragungsmitteln an ein Hebel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3872A (en) * 1950-03-29 1955-11-15 Schonitzer Remote control apparatus
DE2101694A1 (de) 1971-01-15 1972-07-20 Ymos-Metallwerke Wolf & Becker Gmbh & Co, 6055 Hausen Türgriff für Kraftfahrzeuge mit flachbauender Hebelübersetzung
US5067758A (en) * 1990-12-21 1991-11-26 Tong-Lung Metal Industry Co., Ltd. Lock handle assembly with limited angular movement
JP3309267B2 (ja) * 1995-06-09 2002-07-29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複数の回動レバーの支持構造
JP3609217B2 (ja) * 1996-09-30 2005-01-12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ロック装置
TW590137U (en) * 2003-04-09 2004-06-01 Tong Lung Metal Ind Co Ltd Intensifying structure used in horizontal handle
JP4618493B2 (ja) 2005-02-23 2011-01-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AU2006200582B2 (en) * 2005-02-23 2008-09-2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JP4928791B2 (ja) * 2006-01-25 2012-05-0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
DE202007007077U1 (de) * 2007-05-16 2007-08-09 Kiekert Ag Befestigungsmittel für Drehteile einer Schließvorrichtung
JP2011132771A (ja) * 2009-12-25 2011-07-0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
IN2015DN00545A (ko) * 2012-07-31 2015-06-26 Aisin Seiki
JP6331479B2 (ja) 2014-02-28 2018-05-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ロッキングレバー及び車両用ドア開閉装置
DE102014114580A1 (de) * 2014-10-08 2016-04-14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202014105005U1 (de) * 2014-10-20 2016-01-2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Sperrwerk für eine Kraftfahrzeugkomponente
EP3192953B1 (de) * 2016-01-13 2019-10-3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träger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6110201A1 (de) 2016-06-02 2017-12-0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FR3079258B1 (fr) * 2018-03-21 2022-06-17 Mgi Coutier Espana Sl Commande d'ouverture a deverrouillage mecanique de secours
DE102018116313A1 (de) * 2018-04-20 2019-10-24 Kiekert Ag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US11173968B2 (en) * 2018-05-17 2021-11-16 Kiekert Ag Motor vehicle door latch
US11761248B2 (en) * 2018-12-13 2023-09-19 Kiekert Ag Latch for a mot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2184A1 (de) * 2002-07-16 2004-02-05 Siemens Ag Übertragungseinheit für Türschlösser von Kraftfahrzeugen
DE102013208652A1 (de) * 2013-05-10 2014-11-13 Kiekert Ag Befestigungselement zur Anbindung von Übertragungsmitteln an ein Hebel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11588A1 (en) 2019-07-11
EP3464764B1 (de) 2020-10-14
DE102016110201A1 (de) 2017-12-07
JP2019525031A (ja) 2019-09-05
JP6824294B2 (ja) 2021-02-03
US11371268B2 (en) 2022-06-28
CN109328254A (zh) 2019-02-12
WO2017207422A1 (de) 2017-12-07
EP3464764A1 (de) 2019-04-10
KR102178772B1 (ko) 2020-11-13
CN109328254B (zh)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8963A (ko) 자동차 로킹 장치
US9151085B2 (en) Passive entry side door latch release system
US8662545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US8864193B2 (en) Vehicle door inner handle cable connection
EP2578779B1 (en) Vehicle door lock device
KR20120096938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US11173968B2 (en) Motor vehicle door latch
KR20020059606A (ko)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WO2016090279A1 (en) Side door occupant latch with manual release and power lock
KR20110044766A (ko) 도어 장치 및 도어 장치를 위한 조립 방법
US10927572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JP6739220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US20170211299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CN114080484B (zh) 机动车门锁
EP2615228B1 (en) Latch releasing system for vehicle door
US2011004157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otor vehicle door lock
US20220251886A1 (en) Door latch device and actuator
KR20130060869A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US10138657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101984319B1 (ko) 차량용 록킹 모듈
KR10044408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도어 잠금장치
CN210152459U (zh) 车用门锁装置
EP3940178B1 (en) Retainer for long cover handles
JP2008081973A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KR101197454B1 (ko) 도어락킹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도어락킹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