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727B1 -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 Google Patents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727B1
KR101822727B1 KR1020157034235A KR20157034235A KR101822727B1 KR 101822727 B1 KR101822727 B1 KR 101822727B1 KR 1020157034235 A KR1020157034235 A KR 1020157034235A KR 20157034235 A KR20157034235 A KR 20157034235A KR 101822727 B1 KR101822727 B1 KR 101822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cellulose
coloring
immuno
chromato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240A (ko
Inventor
아츠시 호리이
요시유키 시오미
다카유키 오가와
다케시 마츠세
마키 스기노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01N33/532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고, 분석 감도가 높으며, 또한 검사 결과의 재현성도 우수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평균 입자경이 100∼1000 nm이고, 발색 강도가 1.0∼10.0이며, 입자 중량의 10∼90 중량%가 셀룰로오스 유래이고, 또한 90∼10 중량%가 착색 성분 유래인 발색 입자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를 함유하는 컨쥬게이트 패드와, 단위 중량이 10∼150 g/m2이고, 또한 두께가 0.07∼1.00 mm인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체외 진단약용 샘플 패드를 포함하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IMMUNOCHROMATOGRAPHIC DIAGNOSIS KIT}
본 발명은, 체외 진단약용 샘플 패드를 포함하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보다 상세하게는, 래터럴 플로우형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병원체 감염의 유무, 임신의 유무, 암 마커의 유무, 식품 중의 특정 원재료나 잔류 농약 등의 유해 물질의 유무 등의 여러가지 검사를 단시간에 행하는 간이 검사 시약이나 진단약, 진단 키트가 개발되고 있다. 이들은 각각의 검사 대상 물질과, 검사 대상 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에 의한 특이적 반응이 이용된다. 특히, 항원과 항체에 의한 항원 항체 반응을 이용하는 면역학적 측정법은, 이뮤노크로마토 측정법, 비탁 면역 측정법, 효소 면역 측정법, 화학 발광 측정법, 방사 면역 측정법,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하는 측정법 등, 많은 측정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측정법은 병원, 진료소 등에서의 병 등의 검사나, 식품 회사 등에서의 음식물 검사 등에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이뮤노크로마토 측정법은, 특별한 설비, 기기,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작도 간편하며 저렴하고,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다는 특징으로부터 매우 많은 검사가 실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임신 검사약이나 HIV 검사약 등은 일반 약국에서 시판되어 일반 소비자도 측정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서는 검사 대상 물질의 유무를 검사하는 정성 검사뿐만 아니라 양을 측정하는 정량 검사 등도 할 수 있도록 되어 오고 있다.
이뮤노크로마토 측정법의 측정 원리로는, 샌드위치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이나 경합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이 있다. 또한, 측정 형식으로는, 플로우 스루형이나 래터럴 플로우형이라고 불리는 방법이 있다. 검체 중의 검사 대상 물질로는 여러가지 물질을 검출할 수 있지만, 전형적인 예로는 샌드위치법에 의해 항원을 검출하는 측정이 있으며, 이하와 같은 조작이 순차 실행된다.
(1) 검사 대상 물질인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니트로셀룰로오스막 등의 크로마토그래프 매체의 소정의 부위에 고정화하여, 크로마토그래프 매체의 임의의 위치에 테스트 라인(이하 「TL」이라고 함)이라고 불리는 반응 부위를 형성한다.
(2) 효소, 발색 입자, 형광 발색 입자, 자성 입자 등의 표지 물질에, 검사 대상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담지시킨 검출 시약을 조제하고, 컨쥬게이트 패드 등에 검출 시약을 도포 건조하여, 검출 시약 함유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크로마토그래프 매체와 조합하여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형성한다.
(3) 항원을 포함하는 검체 자체, 또는 그것을 임의의 액체로 희석한 용액을 상기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소정의 위치에, 예컨대, 샘플 패드에 적하하여, 항원과 검출 시약을 크로마토그래프 매체 상에 전개시킨다.
이들 조작에 의해, 반응 부위에 있어서 크로마토그래프 매체 상에 고정화된 항체에, 항원을 통해 표지 물질이 포착되고, 표지 물질의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의한 진단을 행한다. 일반적인 진단은 항원의 유무만을 검사하는 정성 진단이지만, 최근에는 그 신호의 강도를 육안 혹은 기계로 검출함으로써 정량 진단을 행할 수도 있다.
이뮤노크로마토 측정법에는 진단 시간의 신속화라는 요구가 있다. 이것은 검사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일반적인 수법으로는, 크로마토그래프 매체의 구멍 직경을 조정하여 검체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이하의 특허문헌 1에는, 검사 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검체 시료를 적하하는 부분인 샘플 패드에 특정한 셀룰로오스계 섬유 부직포를 이용함으로써, 진단 시간의 신속화가 가능한 것이 보고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흡액 속도나 전개성에 관해서도 언급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진단 시간의 데이터는 없고, 본원발명과 같은 특정한 발색 입자와의 조합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샘플 패드와 컨쥬게이트 패드의 배치의 고안에 관해서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하의 특허문헌 2에는, 진단 키트의 구조 등을 고안함으로써, 진단 시간의 신속화가 가능한 것이 보고되어 있고, 예컨대, hCG 어세이에 있어서 최단 2분 35초로 판정을 행하고 있다.
또한, 이뮤노크로마토 측정법의 다른 요구로서 분석 감도의 향상이 있다. 이것은, 보다 적은 검사 대상 물질로도 검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발명자들은, 이하의 특허문헌 3에 있어서, 발색 입자로서 색이 짙고 입자경이 큰 셀룰로오스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분석 감도의 향상이 가능한 것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색이 짙고 입자경이 큰 발색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신속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는 있지만, 구체적인 진단 시간의 데이터는 없고, 본원발명과 같은 특정한 샘플 패드와의 조합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진단 시간의 신속화와 분석 감도의 향상은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어, 이들을 양립시키는 것이 매우 크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하의 특허문헌 4에는, 이뮤노크로마토를 이용한 반정량의 시험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어느 범위의 항원 농도에 있어서, 항원 농도와 검사 결과 신호의 강도를 비례시킬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뮤노크로마토에서의 정량은, 어느 범위의 항원 농도에 있어서, 항원 농도와 검사 결과 신호의 강도가 비례하는 것에 더하여, 결과의 재현성, 즉 동일한 농도의 항원을 측정했을 때에 동일한 강도의 신호가 얻어지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이러한 재현성은 아직 충분하지 않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하의 특허문헌 5에는, 형광 입자를 발색 입자로서 이용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가 개시되어 있고, 발색 입자의 소재로서 셀룰로오스 입자가, 샘플 패드의 소재로서 셀룰로오스 부직포가 각각 일례로서 거론되어 있지만, 모두 구체적으로는 아무것도 서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샘플 패드와 컨쥬게이트 패드의 배치에 관한 고안도 이루어져 있지 않다. 당연히, 본원발명과 같은 샘플 패드와 발색 입자의 조합에 의한 효과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08031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7-55809호 공보 특허문헌 3 : 국제 공개 WO2011/062157호 명세서 특허문헌 4 : 국제 공개 WO2006/080438호 명세서 특허문헌 5 : 국제 공개 WO2013/151066호 명세서
이러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고, 분석 감도가 높으며, 또한, 검사 결과의 재현성도 우수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고, 실험을 거듭한 결과, 발색 입자로서 색이 짙고 입자경이 큰 입자를 이용하고, 특정한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샘플 패드에 이용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예상외로 놀라운, 진단의 신속화와 분석 감도의 향상이 가능하고, 또한 검사 결과의 재현성도 우수한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평균 입자경이 100∼1000 nm이고, 발색 강도가 1.0∼10.0이며, 입자 중량의 10∼90 중량%가 셀룰로오스 유래이고, 또한 90∼10 중량%가 착색 성분 유래인 발색 입자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를 함유하는 컨쥬게이트 패드와, 단위 중량이 10∼150 g/m2이고, 또한 두께가 0.07∼1.00 mm인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체외 진단약용 샘플 패드를 포함하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2]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큐프라 암모늄 레이온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인, 상기 [1]에 기재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3]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연속 장섬유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4]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탈락 섬유수가 5000개/m2 미만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5] 상기 착색 성분이 반응성 염료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6]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상기 체외 진단약용 샘플 패드의 피복률이 50∼100%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본 발명에 관련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는, 소정의 발색 입자를 표지 물질로서 포함하며, 또한, 소정의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샘플 패드로서 이용함으로써, 진단의 신속화와 분석 감도의 향상이 이루어지고, 또한 검사 결과의 재현성도 우수한 것이 되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들이, 소정의 발색 입자와 소정의 샘플 패드를 조합함으로써, 예상외로 놀라운 진단 시간의 신속화, 분석 감도의 향상, 검사의 재현성 향상이 가능한 것을 알아내고, 이것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발명이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입자경이 크고 발색 강도가 높은 발색 입자는, 단독 사용으로도 분석 감도는 높아지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높은 분석 감도에 의해 진단 시간의 단축도 어느 정도는 가능하다. 그러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는 크로마토그래프 매체 등의 여러가지 다공 구조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입자경이 큰 발색 입자는 다공 구조체의 구멍과 간섭하여 흐르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흐름이 느린 입자가 발생한 경우, 진단 시간이 느려질 우려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입자경이 큰 발색 입자를 보다 흐르기 쉽게 함으로써, 진단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이러한 가설하에, 실험을 거듭한 결과,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며, 부피 밀도가 낮고, 두께가 얇은 부직포를 샘플 패드에 이용하는 것으로, 발색 입자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 패드에 공급되는 단위 시간당 유량을 증대시켜, 컨쥬게이트 패드에 포함되는 발색 입자를 흐르기 쉽게 함으로써, 진단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샘플 패드에는 발색 입자를 흐르기 쉽게 하기 위해 계면 활성제 등의 약제를 첨가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원발명의 샘플 패드는 적하된 검체를 순간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컨쥬게이트 패드나 크로마토그래프 매체에 발색 입자를 흐르기 쉽게 하기 위한 약제를 항상 일정 농도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발색 입자가 다공 구조체의 구멍에 간섭하지 않고 흐르기 쉬워진다. 일반적인 샘플 패드에서는, 발색 입자를 흐르기 쉽게 하기 위한 약제의 농도가 일정하게 되지 않아, 입자의 막힘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들 효과에 의해 모든 발색 입자가 검사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결과, 분석 감도도 향상되고, 또한 검사의 재현성도 향상시키는 것에 성공하였고, 더욱 샘플 패드와 컨쥬게이트 패드의 배치를 고안함으로써, 이들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할 수 있는 것도 알아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단면도로서,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샘플 패드의 피복률이 100%일 때의, 샘플 패드의 최하류 부분(h)을 가리키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단면도로서,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샘플 패드의 피복률이 50%일 때의, 샘플 패드의 최하류 부분(i)을 가리키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단면도로서,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샘플 패드의 피복률이 100%이며, 케이스(j) 중에 세트한 상태를 가리키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일정 농도의 양성 검체를 검사했을 때의 검사 결과의 신호 강도(TL의 발색 강도)와 그 시간 경과적 변화(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발색 입자」란, 물, 완충액 등에 불용성이고, 색소나 염료 등이 담지된 입자형 물질을 가리킨다. 입자를 구성하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러한 발색 입자로는, 예컨대, 금 콜로이드, 백금 콜로이드, 은 콜로이드, 셀렌 콜로이드 등의 금속 콜로이드 입자, 폴리스티렌 라텍스 등의 스티렌계 라텍스나 아크릴산계 라텍스 등을 착색한 착색 라텍스 입자, 규소원자 및 산소원자로 이루어지는 3차원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실리카를 착색한 착색 실리카 입자, 셀룰로오스를 착색한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 카본 블랙 등의 착색 성분을 그대로 입자화한 발색 입자, 자성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색 입자는 형광 발광성 입자여도 상관없다. 입자경의 조정, 색 농도의 조정, 색 종류의 조정, 입자 표면 상태의 조정 등의 입자 특징 조정의 용이성 면에서,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는 대량의 수산기를 갖기 때문에, 친수성이 높고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고, 착색 성분을 대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발색 입자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입자를 우선 성형하고, 색소, 염료 등의 착색 성분을 담지시키는 방법, 입자를 성형하고, 금속 콜로이드나 안료 등의 보다 작은 발색 입자를 담지시키는 방법, 입자의 성형시에 색소, 염료, 안료, 금속 콜로이드 등의 착색 성분도 함께 첨가하여 성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입자경의 조정, 색 농도의 조정, 색 종류의 조정, 입자 표면 상태의 조정 등의 입자 특징 조정의 용이성 면에서, 입자를 우선 성형하고, 색소, 염료 등의 착색 성분을 담지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담지시키는 착색 성분으로는, 담지의 용이성 면에서 염료가 바람직하다.
착색 성분으로서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 「염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반응 염료, 직접 염료, 함금 염료, 산성 염료, 염기성 염료, 분산 염료, 황화 염료, 식물 염료, 나프톨 염료, 형광 염료 등의 염료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임의의 염료를 조합해도 상관없다. 그 중에서도 입자에 셀룰로오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와 공유 결합으로 결합하는 반응성 염료가, 대량으로 염료를 유지할 수 있는 점이나 안정성의 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입자를 우선 성형하고 그 후 착색 성분을 담지시키는 경우, 「셀룰로오스 입자의 성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천연의 셀룰로오스를 볼밀이나 고압 호모게나이저로 물리적으로 미세화하는 방법, 산이나 알칼리 등으로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미세화하는 방법, 셀룰로오스를 그 양용매에 한번 용해시키고 입자형으로 성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도체화된 셀룰로오스를 용해, 입자형으로 성형하고, 유도체화된 치환기를 수산기에 복귀시켜 셀룰로오스 입자를 조제해도 좋다. 또한 이들 성형 방법을 조합해도 좋다. 또한 「셀룰로오스의 종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재생 셀룰로오스, 정제 셀룰로오스, 천연 셀룰로오스, 상기가 유도체화된 셀룰로오스, 유도체화된 치환기를 수산기에 복귀시킨 셀룰로오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입자경의 조정, 입자 형상의 조정 등의 면에서 양용매에 한번 용해시키고 입자형으로 성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셀룰로오스의 종류로는 재생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를 그 양용매에 한번 용해시키고 입자형으로 성형하는 경우, 「셀룰로오스를 용해시키는 양용매의 종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리 암모니아 용액, 비스코스 용액, N-메틸모르폴린, 각종 이온성 액체 등 셀룰로오스를 용해시킬 수 있는 다양한 양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입자경의 조정, 입자 형상의 조정 등의 면에서 구리 암모니아 용액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해시킨 셀룰로오스를 입자로 성형하는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분리에 의한 방법을 선택했다.
발색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란, 동적 광산란법으로 측정한 경우의 체적 평균 메디안 직경을 가리키며, 체적 평균 메디안 직경이 100∼1000 nm의 범위에 있다. 평균 입자경이 이 범위에 있으면, 입자의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TL이 보다 짙어진다, 즉 분석 감도가 높아진다. 평균 입자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표면적이 작아져 분석 감도가 낮아지거나, 입자의 응집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의 면에서 입자경은 200 nm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nm 이상이다. 입자경이 지나치게 크면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크로마토그래프 매체의 구멍에 막힘으로써 본래 검사 후에는 하얗게 될 부분이 착색되어 검사 결과의 판단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검출 한계가 나빠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의 면에서 입자경은 800 nm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nm 이하이다. 또, 여기서 서술하고 있는 평균 입자경은 어디까지나 평균치로, 입자경 분포의 일부가 상기 범위에서 벗어나 있어도 상관없다.
입자경의 평가에 체적 평균을 이용하는 이유로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있어서 지나치게 큰 입자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크로마토그래프 매체에 막혀 버리는데, 체적 평균이면 큰 입자일수록 영향이 커지기 때문에 큰 입자가 약간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그 영향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입자경의 평가 방법으로는 체적 평균 이외에도, 수 평균, 면적 평균 등 여러가지 표시 방법이 있다. 당연히 표시 방법이 상이하면 입자경의 값도 달라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체적 평균을 채용한다.
「발색 강도」란, 입자의 색의 농도를 정의한 값이다. 그 값의 측정 방법은, 농도가 이미 알려진 발색 입자의 순수 분산액을 조제하고, 광로 길이 10 mm로 하여, 400∼800 nm의 범위에서 적분구를 이용한 가시 흡광도 측정을 행하고, 얻어진 흡광도 곡선의 피크값(ABS)을 측정하고, 얻어진 값을 발색 입자의 중량 퍼센트로 나누고, 발색 입자 0.01 중량%당 흡광도로 환산한 값으로서 정의한다. 예컨대, 조제한 발색 입자의 농도가 0.0045%이고, 흡광도 곡선의 피크값이 1.0인 경우, 그 발색 강도는 (1×0.01)÷0.0045=2.2가 된다.
입자의 색 농도의 측정에 적분구를 이용한 가시 흡광도 측정을 행하는 이유로서, 액체에 분산된 상태의 입자의 색의 농도를 가장 정확히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입자의 색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입자를 건조시켜 얻어진 고체를 측색계 등으로 측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는 입자의 색의 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예컨대, 금속 콜로이드 등은 입자경에 따라 색조나 최대 파장이 상이하고, 건조된 응집 상태는 액체에 분산된 상태의 색의 농도를 정확히 반영할 수 없다. 또한, 액체 중에 동일한 입자 농도로 분산시켜도 응집이 발생하면 색의 농도는 옅어진다. 또한, 가시 흡광도 측정을 행할 때에 적분구를 이용하는 이유는, 입자 자체의 산란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통상의 가시 흡광도 측정은 투과광을 측정하는 방법이고, 입사광에 대하여 착색 성분에 의한 흡수뿐만 아니라 입자 자체의 산란에 의한 영향도 반영되어 버린다. 예컨대, 이뮤노크로마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 콜로이드는, 입자경이 40 nm∼60 nm, 때로는 100 nm인 것이 이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어느것이나 입자경이 작기 때문에 산란광의 영향은 거의 없다. 그에 대하여 폴리스티렌 라텍스 입자는 입자경이 커서 분명히 산란광의 영향이 크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부터, 입자경이나 입자 소재가 상이한 경우에 입자 자체의 색의 농도를 보다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 적분구를 이용한 가시 흡광도 측정을 본 발명에서는 채용한다.
본 발명에서의 「발색 강도」는 1.0∼10.0이다. 이 값이 클수록 입자의 색의 농도가 짙고,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분석 감도가 높다. 물론 값이 크면 클수록 좋으며, 색이 짙은 염료를 이용하는 것, 염색 횟수를 늘리는 것, 스페이서로서 어떠한 화합물을 통해 연결시키는 것, 입자의 비결정 영역을 늘려 염료가 들어가기 쉽게 하는 것, 입자를 다공성으로 하여 염료가 들어가기 쉽게 하는 것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경제성을 고려하면 상한은 7.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또한, 값이 작을수록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로서 이용한 경우에 분석 감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하한은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발색 입자의 착색 성분의 비율」이란, 발색 입자의 전중량에서의 착색 성분의 비율을 가리킨다. 예컨대, 발색 입자 1.0 g이 0.2 g의 셀룰로오스와 0.8 g의 착색 성분으로 구성되는 경우, 그 착색 성분의 비율은 80 중량%이다. 발색 입자의 착색 성분의 비율은 10∼90 중량%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으면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분석 감도가 높다. 또한, 발색 입자로서 셀룰로오스를 염료로 염색한 입자를 이용하는 경우, 셀룰로오스에 이 범위의 염료를 유지시킴으로써 셀룰로오스에 적절한 소수성을 부여할 수 있고, 항체 등의 피검출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흡착에 의해 유지할 수 있다. 물론 흡착에 의한 유지뿐만 아니라,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에 카르복실기나 아미노기 등을 도입하고, 공유 결합에 의해 피검출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착색 성분의 비율이 적은 경우에는, 충분한 발색 강도를 가질 수 없어,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분석 감도가 낮아진다. 또한, 발색 입자로서 셀룰로오스를 염료로 염색한 입자를 이용하는 경우, 착색 성분의 비율을 늘림으로써 피검출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도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이 관점에서 하한은 2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이다. 착색 성분의 비율이 90 중량%를 초과해도 특별히 문제는 없지만, 경제적인 면에서 생각하면 85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하이다. 또한, 지나치게 소수성이 강하면 응집이나 비특이 반응 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발색 입자의 착색 성분의 비율의 산출 방법」으로는, 착색 전후의 중량 변화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중량 변화로부터의 산출이 곤란한 경우에는, 착색 성분을 입자로부터 분리하는 조작을 행하여 착색 성분 또는 입자를 단리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셀룰로오스 입자를 반응성 염료로 염색한 경우, 산이나 알칼리 등으로 셀룰로오스와 염료의 공유 결합을 절단하고, 원심 분리에 의해 셀룰로오스 입자를 회수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셀룰라아제를 이용하여 셀룰로오스만을 분해함으로써 산출할 수도 있다.
「발색 입자의 셀룰로오스 유래 성분의 산출 방법」은, 상기한 발색 입자의 착색 성분의 비율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즉, 「발색 입자의 셀룰로오스 유래 성분의 비율」=100%-(발색 입자의 착색 성분의 비율)의 계산식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발색 입자의 셀룰로오스 유래 성분의 비율은 90∼10 중량%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으면, 셀룰로오스 입자의 분산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 성분의 비율로 기재한 이유에 의해, 발색 입자의 셀룰로오스 유래 성분의 하한으로는 15 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이고, 상한은 80 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하이다.
「입자」란, 장직경(L)과 단직경(D)의 길이가 가깝고 형상이 구에 가까운 구조체를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L÷D로 표시되는 L/D 비가 1.0∼3.0인 구조체를 가리킨다. L/D 비가 이 범위에 있으면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눈막힘을 잘 일으키지 않게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5,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3이다. 측정 방법으로는 입자의 전자 현미경 화상을 촬영하여, 100개 입자의 장직경(L)과 단직경(D)을 측정하고, 그 100개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란, 주로 재생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가리킨다. 재생 셀룰로오스로는, 큐프라, 리오셀, 레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섬유를 형성할 때의 배향이나 표면의 분자 상태의 영향으로 매우 친수성이 높고, 흡액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샘플 패드를 구성하는 소재로서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큐프라, 리오셀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큐프라이다. 이들 특정한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100%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란,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가리킨다. 부직포로 함으로써 구조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고, 롤형으로 권취할 수 있는 등의 핸들링도 우수하다. 부직포의 형태로는 단섬유 부직포, 장섬유 부직포의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연속 장섬유 부직포는 흡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탈락 섬유도 적은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형태 안정성이나 흡액 속도를 컨트롤하기 위해, 친수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합성 섬유를 혼합해도 좋지만, 그 경우에는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량이 면적률로 5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로는, 샘플 패드의 원하는 물성을 만족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아크릴계의 합성 섬유를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해도 좋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바인더의 사용이나, 교락 처리 등을 행해도 좋다.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10∼150 g/m2이다. 단위 중량은, 샘플 패드의 크기나 검체액량, 검사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단위 중량이 이 범위에 있으면 검체액의 흡수와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전개의 밸런스가 양호해지고, 검체를 신속히 흡수한 후에, 검체를 신속히 컨쥬게이트 패드에 공급할 수 있다. 단위 중량이 지나치게 낮은 부직포는, 두께가 얇거나 또는 공극률이 높고, 검체액의 샘플 패드 내부의 이동과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전개성이 나빠진다. 이 관점에서 단위 중량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5 g/m2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g/m2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g/m2 이상이다. 또한, 단위 중량이 지나치게 높은 부직포는, 두께가 두껍거나 또는 공극률이 낮고, 검체액이 샘플 패드에 잘 침투하지 못하고 샘플 패드 상에서 액이 미끄러진다. 이 관점에서 단위 중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20 g/m2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g/m2 이하이다.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두께」는, 0.07∼1.00 mm이다. 두께는, 샘플 패드의 크기나 검체액량, 검사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수 있지만, 두께가 이 범위에 있으면 검체액의 흡수와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전개의 밸런스가 양호해지고, 검체를 신속히 흡수한 후에, 검체를 신속히 컨쥬게이트 패드에 공급할 수 있다.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검체액을 충분히 수취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진단 키트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취급이 어려워진다. 이 관점에서 두께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10 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mm이다. 또한,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검체액을 지나치게 유지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관점에서 두께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80 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0 mm 이하이다.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부피 밀도」는 0.06∼1.00 g/cm3가 바람직하다. 부피 밀도는, 샘플 패드의 크기나 검체액량, 검사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부피 밀도가 이 범위에 있으면, 검체액의 흡수와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전개의 밸런스가 양호해지고, 검체를 신속히 흡수한 후에, 검체를 신속히 컨쥬게이트 패드에 공급할 수 있다. 부피 밀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섬유 내의 공극이 높아지기 때문에, 검체액의 샘플 패드 내부의 이동과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전개성이 나빠진다. 이 관점에서 부피 밀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07 g/cm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g/cm3이다. 또한, 부피 밀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섬유가 지나치게 밀집하여, 검체액이 샘플 패드에 잘 침투하지 못하고, 샘플 패드 상에서 액이 미끄러진다. 이 관점에서 부피 밀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70 g/cm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 g/cm3 이하이다.
「탈락 섬유수」는, 순수 300 ml에 25 cm×25 cm의 샘플을 넣고, 2분간 정치 후, 샘플을 꺼낸 나머지의 액을 흑색 여과지(ADVANTEC NO131)로 여과하고, 여과 후의 여과지를 항온실(20℃, 65% RH)에 12시간 넣어 건조한 후, 비디오 마이크로스코프로 카운트하여, 측정한 단위 평방미터당, 크기 100 ㎛ 이상의 탈락 섬유의 수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탈락 섬유수는, 바람직하게는 5000개/m2 미만이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개/m2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개/m2 미만이다. 탈락 섬유수가 10,000개/m2를 초과하면 섬유가 탈락되기 쉬워지고, 검사액의 종류에 따라서는 샘플 패드와 컨쥬게이트 패드의 계면에 탈락 섬유가 모여, 전개성을 저해시키고, 또한, 제조시에 생산 라인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에 의한 수율의 악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탈락 섬유수는 작은 쪽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하한으로는 1개/m2 이상이다.
도 1 중의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샘플 패드」란, 이뮤노크로마토에 있어서 측정 대상인 검체를 처음으로 수취하는 부분이다. 일반적인 샘플 패드로는, 셀룰로오스 여과지, 종이, 유리 섬유, 글라스 파이버, 아크릴 섬유, 나일론 섬유, 각종 직물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샘플 패드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이용한다.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는 흡액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검체를 신속히 흡수하여 컨쥬게이트 패드에 검체를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구조를 전술한 구조로 함으로써, 컨쥬게이트 패드에 공급되는 단위 시간당 유량이 증대되고, 컨쥬게이트 패드에 포함되어 있는 발색 입자가 보다 초기에 릴리스되기 쉬워져 진단 시간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또한, 발색 입자를 흐르기 쉽게 하기 위한 약제를 항상 일정 농도로 공급할 수 있어, 발색 입자가 막히지 않고 흐르기 쉬워진다. 더구나 그 결과, 거의 모든 입자가 검사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분석 감도도 향상되고, 검사의 재현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컨쥬게이트 패드에 포함되어 있는 발색 입자가 초기에 릴리스되지 않는 경우, 진단 시간이 느려진다. 또한 컨쥬게이트 패드로부터, 거의 모든 발색 입자가 릴리스되지 않는 경우, 분석 감도가 저하되고, 검사의 재현성도 나빠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샘플 패드의 친수성/발수성, 흡수 배율의 컨트롤을 위해, 상기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항원 항체 반응이나 항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이면,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에 각종 약제나 분체를 함유시키거나, 셀룰로오스의 일부를 유도체화하거나 해도 좋다. 함침시키는 약제의 일례로는, 계면 활성제, 단백질, 항체, 수지, 수용성 고분자, 항균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의 유도체화의 일례로는, 카르복시메틸화, 카르복시에틸화, 1급 아미노화, 2급 아미노화, 3급 아미노화, 4급 아미노화, 옥시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샘플 패드는, 필요에 따라 전처리를 행해도 상관없다. 예컨대, 완충액, 계면 활성제, 단백, 검체 시료 중의 협잡물을 트랩하는 시약, 방부제, 항균제, 산화 방지제, 흡습제 등을 미리 포함시키는 등의 처리를 행해도 상관없다. 또한, 샘플 패드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샘플 패드의 사이즈로서, 길이(액이 흐르는 길이)는, 검체액으로부터의 결합성이나 진단 시간을 고려하면 10∼25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폭(액의 흐름에 대하여 수직)은, 컨쥬게이트 패드의 폭보다 크면 문제는 없다. 폭이 지나치게 좁으면 샘플 패드의 단부로부터 검사액이 돌아들어가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란, 여러가지 검체 중의 검사 대상 물질의 유무를 간편히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 진단 키트의 종류로는, 래터럴 플로우식이나 플로우 스루식이 있다. 발색 입자나 샘플 패드를 이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래터럴 플로우식이다. 또한, 래터럴 플로우식 중에서도, 딥스틱 타입과 카세트 타입이 있지만, 이들 타입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진단 키트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구성이면 어느것이든 상관없다. 항체 감작 발색 입자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 패드(b)와 샘플 패드(a) 이외의 부재의 종류는, 상기 분야에서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e) 크로마토그래프 매체, (f) 흡수 패드, 및 (g) 대지(臺紙)를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들 부재를 일부 생략해도 상관없다. 구조의 예로는 특허문헌 1의 도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조를 들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 첨부하는 도 1은 어디까지나 예이고, 본원발명을 전혀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컨쥬게이트 패드」란, 발색 입자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를 함유하는 패드이고, 예컨대, 검사 대상 물질에 결합하는 항체와 결합한 발색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다. 컨쥬게이트 패드의 소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인 유리 섬유 또는 수지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지 섬유로는,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아크릴계 등의 수지 섬유, 및 이들 수지 섬유의 복합 섬유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 환경 면에서 생각하면 수지 섬유제가 바람직하다. 수지 섬유제 중에서도, 발색 입자의 릴리스 용이성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어느 정도 소수성의 소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수성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계면 활성제 등으로 전처리하여 이용해도 상관없다. 폴리에틸렌 섬유제의 컨쥬게이트 패드를 계면 활성제로 전처리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하여, 샘플 패드의 피복률이 5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피복률이란, 컨쥬게이트 패드의 상부 면적에 대하여, 샘플 패드가 어느 정도의 비율로 피복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예컨대, 컨쥬게이트 패드의 상부에 샘플 패드가 전혀 중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0%가 되고, 완전히 피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100%가 된다. 산출 방법은, 컨쥬게이트 패드와 샘플 패드가 중복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A)과, 컨쥬게이트 패드 전체의 면적(B)을 구하고,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한다.
피복률(%) = 중복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A)/전체의 면적(B)×100
일반적인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있어서, 이 피복률은 50% 이하의 것이 많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서는, 컨쥬게이트 패드의 길이 15 mm에 대하여 샘플 패드의 중복이 5 mm로, 피복률은 33%가 된다. 또한, 특허문헌 5에 이르러서는 피복률은 0%이다. 통상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있어서, 샘플 패드에 공급된 검체는 컨쥬게이트 패드에 이행되고, 더욱 크로마토그래프 매체에 이행된다. 여기서 피복률이 낮으면 샘플 패드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컨쥬게이트 패드의 하류측에 검체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채로 크로마토그래프 매체에 검체가 이행되어 버리고, 그 결과 본원발명과 같은 입자경이 큰 발색 입자의 경우에는 컨쥬게이트 패드로부터의 릴리스가 느려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원발명에서는 피복률을 50%∼100%로 함으로써, 컨쥬게이트 패드의 하류측에도 신속히 검체를 공급하여, 발색 입자의 릴리스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릴리스성을 높이기 위해 바람직한 피복률의 하한은 6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이다.
한편, 본원발명과 같이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샘플 패드의 피복률을 높게 한 경우,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구성에 따라서는 샘플 패드의 하류측이 컨쥬게이트 패드로부터 부유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대지에 접착된 샘플 패드가, 컨쥬게이트 패드의 형태에 추종하지 못하고, 튀어 올라 버리는 것이 원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샘플 패드의 최하류 부분을 억제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이뮤노크로마토 키트를 케이스에 넣고 케이스의 일부에서 억제하는 방법이나, 접착면을 구비한 투명한 시트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최적의 억제 정도에 관해서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구조에 의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예컨대, 하나의 기준으로서 샘플 패드의 최하류 부분을, 각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부재의 두께 총합의 -5∼+2 mm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샘플 패드의 최하류 부분이란, 샘플 패드의 피복률에 따라 위치는 변한다. 예컨대, 피복률 100%의 경우의 최하류 부분(h)을 도 2에, 피복률 50%의 경우의 최하류 부분(i)을 도 3에 나타낸다. 도 2, 3은 어디까지나 예이고, 본원발명을 전혀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각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부재의 두께의 총합이란, 예컨대, 도 2에서의 샘플 패드의 최하류 부분에는, 샘플 패드, 컨쥬게이트 패드, 크로마토그래프 매체, 및 대지가 중복되어 있고, 이들 부재의 두께의 합을 의미한다. 샘플 패드의 최하류 부분의 두께의 총합이,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부재의 두께의 총합+2 mm를 초과하면, 샘플 패드가 컨쥬게이트 패드로부터 부유해 버리고, 컨쥬게이트 패드 중의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가 충분히 릴리스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두께의 총합+1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두께의 총합+0 mm 이하이다. 한편, 샘플 패드의 최하류 부분의 두께의 총합이,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부재의 두께 총합의 -5 mm 이하가 되어 버리면, 컨쥬게이트 패드나 크로마토그래프 매체를 지나치게 압축해 버리기 때문에, 발색 입자가 전개시에 눈막힘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부재의 두께 총합-3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이다. 도 4에는 케이스(j)를 이용하여 두께 조정을 행한 경우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케이스는 상부와 하부로 이루어지고, 이 클리어런스를 조정함으로써 두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도 4는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본원발명을 전혀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사용하는 「진단 방법」이란,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여러가지 진단을 가리킨다. 진단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람용, 동물용, 식품용, 식물용, 기타 환경 검사 등 여러가지 진단 대상의 검사에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진단의 순서로는, 검사 대상으로부터 검체 시료를 채취하고, 필요하다면 그것을 추출이나 여과 등의 전처리를 행하여, 샘플 패드에 적하하고, 검사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대기하여, 검사 대상 물질의 유무에 따라 상이한 발색으로부터 진단 결과를 판단한다. 물론 이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유사한 순서, 원리의 진단에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검체 시료를 미리 여과해 둠으로써 여분의 이물이나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한층 더 진단의 신속화나, 진단 정밀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검체를 직접 샘플 패드에 적하하는 방법 이외에, 미리 소정의 조성으로 조정해 둔 검체 처리액에 의해 검체를 임의의 배율로 희석 처리한 것을 적하해도 상관없다. 검체 처리액을 사용하는 목적으로는, 검체 중의 항원을 반응하기 쉽게 하기 위한 성분, 검체 중의 협잡물을 분해하는 성분, 검체 중의 협잡물을 트랩하는 성분, 비특이적인 반응을 억제하는 성분, 발색 입자를 흐르기 쉽게 하는 성분, 발색 입자를 적절히 응집시켜 테스트 라인에 포착되었을 때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성분 등의 첨가를 들 수 있다. 일례로는, 완충액, 계면 활성제, 단백질, 무기염, 수용성 고분자, 환원제, 킬레이트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특히 본원발명과 같은 발색 입자를 이용하는 경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나, 각종 수용성 아미노산, 단백질, 무기염, 수용성 고분자 등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성분의 종류나 첨가량은 검사 대상이나 이용하는 항체의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일례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아미노산의 일례로는,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알라닌, 아르기닌, 이소류신, 글리신, 글루타민, 글루탐산, 시스테인, 세린, 티로신, 트립토판, 트레오닌, 발린, 히스티딘, 프롤린,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리신, 류신 등을 들 수 있다. 단백질의 일례로는, 카제인, 스킴 밀크, 카제인 분해물, 소혈청 알부민, 피시 젤라틴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 이온을 발생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분자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기타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성분은 검체 처리액에 첨가해 둘 뿐만 아니라, 샘플 패드, 컨쥬게이트 패드, 크로마토그래프 매체(니트로셀룰로오스막) 등에 미리 첨가해 두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로 진단할 수 있는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예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암 마커, 호르몬, 감염증, 자기 면역, 혈장 단백, TDM, 응고·선용(線溶), 아미노산, 펩티드, 단백, 유전자, 세포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EA, AFP, 페리틴, β2 마이크로, PSA, CA19-9, CA125, BFP, 엘라스타아제 1, 펩시노겐 1·2, 변잠혈, 뇨중 β2 마이크로, PIVKA-2, 뇨중 BTA, 인슐린, E3, HCG, HPL, LH, HCV 항원, HBs 항원, HBs 항체, HBc 항체, HBe 항원, HBe 항체, HTLV-1 항체, HIV 항체, HIV 항원, HIV 바이러스 유전자, 톡소플라즈마 항체, 매독, ASO, A형 인플루엔자 항원, A형 인플루엔자 항체, B형 인플루엔자 항원, B형 인플루엔자 항체, 로타 항원, 아데노바이러스 항원, 로타·아데노바이러스 항원, A군 렌사구균, B군 렌사구균, 칸디다 항원, CD균, 크립토코커스 항원, 콜레라균, 수막염균 항원, 과립균 엘라스타아제, 헬리코박터 피로리 항체, O157 항체, O157 항원, 렙토스피라 항체, 아스페르길루스 항원, MRSA, RF, 총 IgE, LE 테스트, CRP, IgG, A, M, IgD, 트랜스페린, 뇨중 알부민, 뇨중 트랜스페린, 미오글로빈, C3·C4, SAA, LP(a), α1-AC, α1-M, 합토글로빈, 마이크로트랜스페린, APR 스코어, FDP, D 다이머, 플라스미노겐, AT3, α2PI, PIC, PAI-1, 프로테인 C, 응고 제X3 인자, IV형 콜라겐, 히알루론산, GHbA1c, 그 밖의 각종 항원, 각종 항체, 각종 바이러스, 각종 균, 각종 아미노산, 각종 펩티드, 각종 단백질, 각종 DNA, 각종 세포, 각종 알레르겐, 각종 잔류 농약, 각종 유해물.
본 발명에 있어서, 발색 입자는, 항체 등의 피검출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담지할 필요가 있는데, 그 담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물리적인 흡착에 의한 담지, 공유 결합에 의한 담지, 이들의 조합에 의한 담지 등을 들 수 있다. 담지하는 물질의 종류나 양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담지하는 물질의 종류로는 항체가 가장 일반적이고 바람직하다. 또한, 담지하는 방법으로는,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물리적인 흡착에 의한 담지가, 안정성이나 성능 등의 관점에서는 공유 결합에 의한 담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이용되는 크로마토그래프 매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여러가지 크로마토그래프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을 들 수 있다. 시판품의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은 플로우 레이트라고 불리는 일정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에 의해 분류되는데, 이 플로우 레이트가 빠른 막일수록 구멍 직경이 크다. 본 발명에서는 구멍 직경이 큰 막 쪽이 검체의 이동이 빠르고 발색 입자도 잘 막히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플로우 레이트로는 120 sec/4 cm보다 빠른 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sec/4 cm보다 빠른 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sec/4 cm보다 빠른 막이다.
이하, 셀룰로오스 입자의 제작 방법, 셀룰로오스 입자의 착색 방법,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의 제작 방법,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제작 방법 등의 일례를 기재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셀룰로오스 입자의 제작 방법]
셀룰로오스 린터를 셀룰로오스의 양용매에 용해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양용매로서 공지된 방법으로 조제한 구리 암모니아 용액을 이용한다. 그리고 응고액으로는 유기 용매+물+암모니아 혼합계를 주로 이용한다. 이 응고액을 교반하면서, 조제해 둔 구리 암모니아 셀룰로오스 용액을 첨가하여 응고를 행한다. 또한 황산을 첨가하여 중화, 재생을 행함으로써, 목적의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한 슬러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슬러리는 재생에 이용한 산의 잔류에 의해 산성이고, 또한 중화에 의해 발생한 암모늄염 등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셀룰로오스 입자와 매체로 이루어지는 셀룰로오스 분산액으로 정제하는 조작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정제 조작으로서 원심분리-경사분리-분산매 액체에 의한 희석 처리의 반복을 이용한다. 얻어진 셀룰로오스 입자 분산액 중의 셀룰로오스 입자는, 정제 조작의 과정에서 응집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전단 등에 의한 분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단을 부여하는 수단으로는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한다.
[셀룰로오스 입자의 착색 방법]
얻어진 셀룰로오스 입자의 수분산체에 대하여, 황산나트륨, 반응성 염료를 첨가하고, 마그네틱 스터러로 교반하면서 항온조에서 적온으로 승온한다. 승온 후에 알칼리로서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염색을 개시한다.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원하는 염색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한 슬러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슬러리는 알칼리성이고, 또한, 황산나트륨, 미반응의 염료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염색 셀룰로오스 입자와 매체로 이루어지는 염색 셀룰로오스 입자 분산액으로 정제하는 조작이 필요해진다. 상기와 동일하게 원심 분리에 의한 정제를 행하여, 염색 셀룰로오스 입자 분산액을 얻는다. 얻어진 염색 셀룰로오스 입자 분산액 중의 셀룰로오스 입자는, 정제 조작의 과정에서 응집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전단 등에 의한 분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단을 부여하는 수단으로는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한다. 그 후, 얻어진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의 각종 물성을 측정한다.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의 제작]
이물을 제거하고, 중합도를 조정한 코튼 린터를 구리 암모늄 용액에 용해시킨 원액을, 세공(원액 토출 구멍)을 가진 방사 구금(방구(紡口))으로부터 압출하고, 물와 함께 깔때기 내를 낙하시키고, 탈암모니아시킴으로써 원액을 응고시키면서, 연신을 행하고, 네트 상에 흔들어 떨어뜨려 웹 형성시킨다. 이 때, 네트를 진행시키면서 진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네트에 흔들어 떨어지는 섬유는 Sin 커브를 그리게 된다. 방사시의 연신은 100∼500배가 가능하고, 방사 깔때기의 형상과, 그 안을 유하시키는 방사수량을 변경함으로써, 연신 배율의 조정이 임의로 가능하다. 연신 배율을 변경함으로써, 단섬도나 부직포의 강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직포의 웹 형성에 있어서, 섬유 배열의 균일성을 얻는 데에 있어서, 네트에 흔들어 떨어지는 섬유 배열을, Sin 커브의 위상을 층단위로, 3∼10단계로 균등하게 변경하여, 3∼10층의 적층 웹으로 함으로써, 매우 균일한 섬유 배열을 갖는 셀룰로오스계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균일한 섬유 배열을 갖는 다층 구조 부직포는, 섬유 간극이 균일하고, 부직포로서의 평균 구멍 직경이 균일해져 있고, 이러한 균일한 구멍 직경을 갖는 부직포를 치밀화하면, 얇고, 치밀하며 더구나 균일한 구멍 직경을 갖는 부직포가 얻어진다. 또한, 방사수량이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원액 내에 미량 잔류하는 저분자량 셀룰로오스, 소위 헤미셀룰로오스를 컨트롤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네트의 진행 속도, 진동폭을 제어함으로써, 섬유 배열 방향을 제어하고, 부직포로서의 강도나 신도 등을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사 깔때기의 형상으로는, 직사각형의 형이 바람직하고, 유하시키는 방사 깔때기의 길이는 100∼400 mm, 유하 출구의 슬릿폭은 2∼5 mm가 바람직하다. 방구의 원액 토출 구멍의 직경은 0.1∼0.5 mm가 바람직하고, 형상은 둥근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의 균일성을 확보하는 의미에서, 웹을 적층하여 부직포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적층 장수는 3∼10장이 바람직하다. 적층 후의 웹을, 예컨대, 일본 특허 제787914호 공보, 일본 특허 제877579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웹 상태에서 셀룰로오스를 재생시키거나, 정련하거나 한 후, 고압 수류에 의해 섬유 교락시켜 부직포를 제조한다. 이 때에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해 부직포에 구멍이나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고압 수류의 조건이나 부직포의 아래 및/또는 위에 배치되는 네트의 무늬에 의해 가능해진다. 얻어진 부직포는 건조, 권취품으로서 얻을 수 있다. 방사로부터 권취까지가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리고 섬유가 절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속 장섬유 부직포라고 한다. 그 후, 얻어진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의 각종 물성을 측정한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제작 방법]
소정의 농도로 조정한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의 분산액을 준비하고, 완충액, 항체를 첨가하고, 온도 조정을 행하면서 일정 시간 교반하여,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에 항체를 흡착시킨다. 일정 시간 교반 후, 블로킹제를 더 첨가하여 온도 조정을 행하면서 일정 시간 교반함으로써,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의 블로킹을 행한다. 블로킹제로는, 검사 대상 물질이나 검체 또는 그것을 희석하는 용액의 조성 등에 따라 여러가지 블로킹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카제인은,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의 블로킹에 특히 바람직하다. 항체 흡착 & 블로킹 후의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를 세정하기 위해, 원심 분리를 행하여, 잉여의 항체와 블로킹제가 포함된 상청액과 침강한 입자를 분리하고, 상청액을 경사분리로 제거한다. 침강한 입자에 완충액 등의 액체를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초음파 등으로 분산 처리를 행한다. 이 원심 분리에 의한 침강, 상청의 제거, 액체의 첨가라는 일련의 조작에 의한 세정을 필요 횟수 행하여, 항체 흡착 & 블로킹을 행한 입자를 소정 농도 함유한 분산액을 조정한다. 이 분산액에 필요에 따라 단백질, 계면 활성제, 수크로오스나 트레할로오스 등의 당을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폴리에틸렌제의 컨쥬게이트 패드에 일정량 도포하고, 건조시켜, 검출 시약 함유부를 조정한다. 또한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에 필요에 따라 완충액, 계면 활성제, 단백, 검체 시료 중의 협잡물을 트랩하는 시약, 방부제, 항균제, 산화 방지제, 흡습제 등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샘플 패드를 조제한다. 더욱 소정의 위치에 항체를 고정화한 니트로셀룰로오스 다공막제의 크로마토그래프 매체, 검체를 흡수하기 위한 셀룰로오스 여과지제의 흡수 패드를 조제한다. 이들을 배킹 시트라고 불리는 접착 부위를 갖는 대지에 고정화하고, 소정의 사이즈로 재단함으로써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제작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기재가 없는 모든 조작은 온도 23℃, 상대 습도 55% RH의 환경하에서 행했다.
[발색 입자의 평균 입자경 측정]
장치로는 니키소사 제조의 나노트랙 입도 분포 측정 장치 UPA-EX150(동적 광산란식)을 이용했다. 측정 샘플로서, 발색 입자가 0.01 중량%, 순수 99.99 중량%의 샘플을 이용했다. 측정 조건으로는 적산 횟수를 30회, 1측정당 측정 시간을 30초로 하고, 체적 평균의 입자경 분포를 이용하여 그 메디안 직경을 평균 입자경으로 했다. 또한, 30회의 적산에 의해 얻어진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와 평균 입자경을 이용하여 CV 치를 산출했다.
[발색 입자의 발색 강도 측정]
장치로는 니혼 분코사 제조의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JASCO V-650(광학계: 싱글 모노크로미터, 체르니 터너(Czerny Turner) 마운트, 더블빔 방식 광원: 중수소 램프(190∼350 nm), 할로겐 램프(330∼900 nm))에 동사 제조의 적분구 유닛 ISV-722를 부착한 장치를 이용했다. 측정하는 샘플은, 임의 농도의 발색 입자의 수분산액 또는 건조 입자를, 분산매로서 증류수를 이용하여 발색 입자가 0.01 중량%, 순수 99.99 중량%가 되도록 농도를 조정한 것을 사용했다. 이 농도 조정한 수분산액을, 광로 길이 10 mm의 석영셀(용량: 3.5 mL 광로폭: 10 mm)에 2.5 mL 첨가하고, 이 석영셀을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의 샘플 폴더에 세트하고, 그 후, 측정을 실시했다. 얻어진 흡광도 피크 중, 400∼800 nm 가시광 범위에서의 최대치(ABS)를 발색 강도로 했다.
[발색 입자의 착색 성분의 비율의 산출]
소정 횟수의 착색 조작을 행한 후의 발색 입자의 중량과, 착색 전의 입자의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여 산출했다. 예컨대, 1.0 g의 셀룰로오스 입자를 착색하고, 2.5 g의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를 얻은 경우의 착색 성분은 2.5 g-1.0 g=1.5 g으로서 계산했다. 이 경우의 착색 성분의 비율은 1.5 g÷2.5 g×100=60.0 중량%가 된다.
[발색 입자의 셀룰로오스 유래 성분의 비율 산출]
상기한 바와 같이, 「발색 입자의 셀룰로오스 유래 성분의 비율」=100%-(발색 입자의 착색 성분의 비율)의 계산식에 의해 계산했다.
[발색 입자의 L/D비 측정]
장치로는 니혼 덴시 주식회사 제조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JSM-6700을 이용했다. 발색 입자가 0.01 중량%, 순수 99.99 중량%의 샘플을 운모판에 적하하고, 10초 경과시킴으로써 발색 입자를 운모판 상에 흡착시키고, 김와이프로 여분의 액체를 빨아들여 건조시켰다. 얻어진 운모판을 플래티나로 코팅하여, 전자 현미경 측정용의 샘플을 조제했다. 가속 전압 1.6 kV, 측정 배율 5만배로 관측을 행하고, 입자 화상이 100개 이상이 되도록 필요 장수의 화상을 촬영하여, 각각의 입자의 장직경(L)과 단직경(D)을 측정하고, 입자 100개의 L/D의 평균치를 산출했다.
[부직포의 두께의 측정]
JIS-L1096 준거의 두께 시험으로 하중을 1.96 kPa로 하여 측정했다(단위는 mm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의 측정]
0.5 m2 이상의 면적의 부직포를, 105℃에서 일정 중량이 될 때까지 건조 후, 20℃, 65% RH의 항온실에 16시간 이상 방치하여 그 중량을 측정하고, 부직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측정했다(단위는 g/m2임).
[부직포의 부피 밀도의 측정]
상기한 부직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두께로 나눔으로써 산출했다(단위는 g/cm3임).
[부직포의 탈락 섬유수의 측정]
순수 300 ml에 25 cm×25 cm의 샘플을 넣어 2분간 정치했다. 샘플을 꺼낸 나머지의 액을 흑색 여과지(ADVANTEC NO131)로 여과하고, 여과 후의 여과지를 항온실(20℃, 65% RH)에 12시간 넣어 건조한 후, 비디오 마이크로스코프로 크기 100 ㎛ 이상의 탈락 섬유수의 개수를 측정했다(단위는 개/m2임).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진단 시간의 측정]
5 mm 폭으로 커트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플라스틱의 하우징에 넣었다. 얻어진 하우징에 들어 있는 진단 키트를, 하마마츠 호토닉스사 제조의 이뮤노크로마토 리더 C10066-10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이용하는 입자의 색에 따라 장치의 설정을 행했다. 검사 대상 물질에는 인간 융모성 고나도트로핀(이하 「hCG」라고 함)을 이용하고, hCG를, 1 중량%의 소혈청 알부민(이하 「BSA」라고 함)을 포함하는 66 mM, PH 7.4의 인산 완충액(이하 「PBS」라고 함)으로 희석하여, hCG 농도가 10 mIU/ml인 양성 검체를 조제했다. 이 양성 검체 120 ㎕를 진단 키트의 샘플 적하부에 적하하고, 이후 20초마다 이뮤노크로마토 리더로 측정을 행하여, TL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측정했다. 여기서 20초마다로 한 이유는, 측정 1회에 대하여 20초 약간 미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뮤노크로마토 리더로 얻어지는 TL의 발색 강도(단위는 mABS임)가 20 mABS 이상이 된 시간을 측정했다. 여기서 20 mABS로 한 이유는, 개인차도 있지만 20 mABS 이상이 되면 육안으로도 TL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측정을 5회 행하여, 평균 시간을 진단 시간으로 했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재현성의 측정]
상기와 동일하게 120 ㎕의 양성 검체를 진단 키트의 샘플 적하부에 적하하고, 15분 경과 후의 TL의 발색 강도를 이뮤노크로마토 리더로 측정했다. 이 측정을 20회 행하여, 얻어진 값의 평균치를 TL 강도, 그 표준 편차를 TL 강도 표준 편차로 했다. 재현성을 나타내는 지표 %CV는 하기 식(1)에 의해 산출했다:
%CV=TL 강도 표준 편차/TL 강도×100···식(1)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위양성의 측정]
1 중량% BSA를 포함하는 66 mM, PH 7.4의 PBS를 조정하여 음성 검체를 조제했다. 120 ㎕의 음성 검체를 진단 키트의 샘플 적하부에 적하하고, 15분 경과 후의 TL의 발색 강도를 이뮤노크로마토 리더로 측정했다. 이 측정을 5회 행하여, 얻어진 값의 평균치가 5 mABS 이하이면 위양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 여기서 5 mABS로 한 이유는, 개인차도 있지만 5 mABS 이하이면 육안으로는 TL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검출 한계의 측정]
hCG 농도를 3.20 mIU/ml, 1.60 mIU/ml, 0.80 mIU/ml, 0.40 mIU/ml, 0.20 mIU/ml, 0.10 mIU/ml, 0.05 mIU/ml, 0.025 mIU/ml로 단계적으로 옅게 해나간 양성 검체를 조제했다. 상기와 동일하게 120 ㎕를 진단 키트의 샘플 적하부에 적하하고, 15분 경과 후의 TL의 발색 강도를 이뮤노크로마토 리더로 측정했다. 이 측정을 각 농도에서 5회 행하여, 얻어진 값의 평균치가 음성 검체를 측정했을 때의 값+20 mABS 이상인 경우에는 양성 판정, 이하인 경우에는 검출 한계 이하로 간주했다. 이 양성 판정이 얻어지는 하한의 hCG 농도를 검출 한계로 했다.
[실시예 1]
[항체 감작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의 조제]
이미 알려진 방법으로 조제한 1.0 중량%의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 1(평균 입자경 352 nm, 발색 강도 2.9 ABS, 착색 성분의 비율 49%) 120 ㎕를 15 ml의 원심관에 넣고, 더욱 트리스 완충액(50 mM, PH 7.0)을 240 ㎕, 0.1%의 항hCG-α 마우스 항체(Fitzgerald사 제조, 10-C25C)를 120 ㎕ 첨가하고, 보텍스로 10초 교반했다. 계속해서 37℃로 조정한 건조기 내에 넣어 120분간 정치했다. 계속해서 1.0 중량%의 카제인(와코 준야쿠 공업사 제조, 030-01505)을 함유하는 블로킹액(100 mM 붕산, PH 8.5)을 14.4 ml 첨가하고, 다시 37℃의 건조기 내에서 60분간 정치했다. 계속해서 원심 분리기(구보타 상사사 제조, 6200)와 원심 분리 로터(구보타 상사사 제조, AF-5008C)를 이용하여, 10,000 g의 원심을 15분간 행하여, 감작 입자를 침강시킨 후에 상청을 제거했다. 계속해서 붕산 완충액(50 mM 붕산, PH 10.0)을 14.4 ml 첨가하고, 초음파 분산기(에스엠티사 제조, UH-50)로 10초간 처리했다. 계속해서 10,000 g의 원심을 15분간 행하여, 감작 입자를 침강시킨 후에 상청을 제거했다. 계속해서 수크로오스(와코 준야쿠 공업사 제조, 196-00015)를 0.6 g, 1.0 중량%의 카제인 블로킹액을 0.8 g 첨가하고, 붕산 완충액(50 mM 붕산, PH 10.0)을 이용하여 중량을 4.0 g으로 조정하고, 0.03 중량%의 항체 감작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 분산액을 조정하여, 초음파 분산기로 10초간 처리했다.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항체 감작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의 함침 및 건조]
폴리에틸렌제 컨쥬게이트 패드(Pall사 제조, 6613)를 대과잉의 0.05 중량%의 Tween-20(시그마 알도리치사 제조, T2700)에 침지하고, 여분의 액을 제거한 후에 50℃에서 60분 건조시켰다. 계속해서 높이 10 mm, 길이 300 mm의 형상으로 커트했다. 계속해서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하여 0.03 중량%의 항체 감작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 분산액 1020 ㎕를 균등하게 도포하고, 50℃에서 60분 건조시켰다.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 샘플 패드의 전처리]
이미 알려진 방법으로 조정한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 1(단위 중량 57.2 g/m2, 두께 0.52 mm, 부피 밀도 0.11 g/cm3, 탈락 섬유수 2.0천개)을, 대과잉의 2.0 중량%의 BSA(시그마 알도리치사 제조, A7906)와 2.0 중량%의 Tween-20을 함유하는 PBS 완충액(66 mM, PH 7.4)에 함침하고, 여분의 액을 제거한 후에 50℃에서 60분 건조시켰다. 계속해서 높이 20 mm, 길이 300 mm의 형상으로 커트했다.
[포착 항체 도포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의 조제]
니트로셀룰로오스막(Millipore사 제조, SHF0900425)을 높이 25 mm, 길이 300 mm의 형상으로 커트했다. 액체 도포 장치(무사시 엔지니어링사 제조, 300DS)를 이용하여, 0.1 중량% 항hCG-β 마우스 항체(MedixBiochemica사 제조, 6601)를 포함하는 PBS 용액(66 mM, PH 7.4)을 0.1 ㎕/mm의 비율로 높이 7 mm의 부분에 도포했다. 계속해서 0.1 중량%의 항마우스-토끼 항체(Daco사 제조, Z0259)를 포함하는 PBS 용액(66 mM, PH 7.4)을 0.1 ㎕/mm의 비율로 높이 12 mm의 부분에 도포했다. 계속해서 37℃에서 30분 건조시켰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조제]
배킹 카드(Adhesives Reserch사 제조, AR9020)에, 조정한 포착 항체 도포 니트로셀룰로오스막, 흡수 패드(Millipore사 제조, C083), 항체 감작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한 컨쥬게이트 패드,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 샘플 패드를, 도 1과 같은 레이아웃으로 접합하였다. 계속해서 재단기로 5 mm 폭으로 커트하여, 폭 5 mm, 높이 60 mm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얻었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성능 평가]
얻어진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발색 입자가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 2(평균 입자경 588 nm, 발색 강도 2.7 ABS, 착색 성분의 비율 45%)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발색 입자가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 3(평균 입자경 790 nm, 발색 강도 2.6 ABS, 착색 성분의 비율 42%)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발색 입자가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 4(평균 입자경 185 nm, 발색 강도 3.4 ABS, 착색 성분의 비율 61%)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발색 입자가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 5(평균 입자경 394 nm, 발색 강도 4.8 ABS, 착색 성분의 비율 75%)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발색 입자가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 6(평균 입자경 332 nm, 발색 강도 1.5 ABS, 착색 성분의 비율 32%)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샘플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가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 2(단위 중량 72.0 g/m2, 두께 0.08 mm, 부피 밀도 0.90 g/cm3, 탈락 섬유수 1.1천개)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샘플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가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 3(단위 중량 50.3 g/m2, 두께 0.75 mm, 부피 밀도 0.07 g/cm3, 탈락 섬유수 2.1천개)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샘플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가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 4(단위 중량 17.9 g/m2, 두께 0.13 mm, 부피 밀도 0.14 g/cm3, 탈락 섬유수 1.5천개)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샘플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가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단위 중량 61.5 g/m2)와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단위 중량 32.0 g/m2)를 워터젯으로 수류 교락시킨 복합 부직포(단위 중량 92.5 g/m2, 두께 0.30 mm, 부피 밀도 0.31 g/cm3, 탈락 섬유수 0.9천개)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큐프라 암모늄 섬유를 섬유 길이 30 mm로 커트하고, 공기중에 친수성 바인더와 함께 분산시켜 적층시키는, 건식 에어레이드 부직포의 제법 중 하나인 키노클로스법으로, 재생 셀룰로오스 단섬유 부직포 1(단위 중량 49.2 g/m2, 두께 0.24 mm, 부피 밀도 0.21 g/cm3, 탈락 섬유수 10.5천개)을 조제하여, 그것을 샘플 패드에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이용하는 섬유로서 리오셀 섬유를 이용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생 셀룰로오스 단섬유 부직포 2(단위 중량 61.3 g/m2, 두께 0.50 mm, 부피 밀도 0.12 g/cm3, 탈락 섬유수 8.9천개)를 조제하여, 그것을 샘플 패드에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이용하는 섬유로서 레이온 섬유를 이용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생 셀룰로오스 단섬유 부직포 3(단위 중량 31.7 g/m2, 두께 0.19 mm, 부피 밀도 0.17 g/cm3, 탈락 섬유수 10.0천개)을 조제하여, 그것을 샘플 패드에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13의 설명]
실시예 1∼13에 있어서는 어느것이나, 입자경이 크고 발색 강도가 높은 소정의 발색 입자와, 부피 밀도가 낮고 두께가 얇은 소정의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샘플 패드를 병용함으로써,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색이 빨라, 1분 이내에 선이 발색되어, 진단 시간이 짧고, 분석 감도가 높으며, 결과의 재현성이 우수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발색 입자가 입자경이 작은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 7(평균 입자경 69 nm, 발색 강도 2.8 ABS, 착색 성분의 비율 48%)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발색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작은 경우, 1분을 초과하여 선이 발색되어, 진단 시간이 느리고, 분석 감도도 낮았다.
[비교예 2]
발색 입자가 입자경이 큰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 8(평균 입자경 1017 nm, 발색 강도 2.4 ABS, 착색 성분의 비율 41%)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발색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큰 경우에는 입자가 막히기 때문인지, 진단 시간이 얼마쯤 느리고, 결과의 재현성이 나쁘며, 위양성도 발생했다. 또한 컨쥬게이트 패드나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이 착색되어 있었다.
[비교예 3]
발색 입자가 착색 라텍스 입자(평균 입자경 351 nm, 발색 강도 0.4 ABS, 착색 성분의 비율은 불명)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발색 입자가 라텍스인 경우에는 입자의 발색 강도가 낮고, 진단 시간이 느리며, 분석 감도도 낮았다.
[비교예 4]
발색 입자가 금 콜로이드(평균 입자경 63 nm, 발색 강도 2.3 ABS)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발색 입자가 금 콜로이드인 경우에는 입자경이 작고, 진단 시간이 느리며, 분석 감도도 낮고, 결과의 재현성도 나빴다.
[비교예 1∼4의 설명]
실시예 1∼13과 비교예 1∼4 사이의 비교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발색 입자의 입자경이 최적 범위에 없는 경우나, 발색 강도가 낮은 경우인 비교예 1∼4에 있어서는, 검사 시간, 분석 감도, 결과의 재현성, 위양성의 유무 등을 전부 겸비하는 진단 키트를 제공할 수는 없었다.
[비교예 5]
샘플 패드가 단위 중량이 낮은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 5(단위 중량 9.1 g/m2, 두께 0.12 mm, 부피 밀도 0.08 g/cm3, 탈락 섬유수 2.9천개)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샘플 패드에 이용하는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단위 중량이 낮은 경우, 몇개의 진단 키트는 검체액의 일부가 진단 키트 상에서 새어, 컨쥬게이트 패드에 충분한 액량이 공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입자의 릴리스가 나빴다. 그 때문에 몇개의 진단 키트는 진단 시간이 느리고, 분석 감도가 낮으며, 그 영향으로 결과의 재현성도 나빴다. 또한, 샘플 패드의 전처리 단계에서 습윤시의 핸들링이 나빠 취급하기 어려웠다.
[비교예 6]
샘플 패드가, 단위 중량이 크고, 두께가 두꺼운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 6(단위 중량 170 g/m2, 두께 1.09 mm, 부피 밀도 0.16 g/cm3, 탈락 섬유수 2.9천개)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샘플 패드에 이용하는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단위 중량이 크고, 두께가 두꺼운 경우, 샘플 패드 자체가 어느 정도의 액량을 유지해 버리기 때문인지 컨쥬게이트 패드로부터의 입자의 릴리스가 나쁘고, 진단 시간이 느려지며, 결과의 재현성도 나빴다. 또한 컨쥬게이트 패드나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이 착색되어 있었다.
[비교예 7]
샘플 패드가 두께가 얇은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 7(단위 중량 57.2 g/m2, 두께 0.05 mm, 부피 밀도 1.14 g/cm3, 탈락 섬유수 1.0천개)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샘플 패드에 이용하는 재생 셀룰로오스계로 이루어지는 섬유 부직포의 두께가 얇은 경우, 부피 밀도가 높고 흡액 속도가 나빠져 단위 시간당 유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인지 컨쥬게이트 패드로부터의 입자의 릴리스가 나쁘고, 진단 시간이 느려지며, 결과의 재현성도 나빴다. 또한 컨쥬게이트 패드나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이 착색되어 있었다.
[비교예 8]
샘플 패드가 펄프 단섬유 부직포 1(단위 중량 68.0 g/m2, 두께 0.16 mm, 부피 밀도 0.43 g/cm3, 탈락 섬유수 9.2천개)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샘플 패드에 펄프 단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경우, 섬유 자체의 친수성이 낮고 단위 시간당 유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인지 컨쥬게이트 패드로부터의 입자의 릴리스가 나쁘고, 진단 시간이 느려지며, 결과의 재현성도 나빴다. 또한 컨쥬게이트 패드나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이 착색되어 있었다.
[비교예 9]
샘플 패드가 펄프 단섬유 부직포 2(시판되는 이뮤노크로마토용 샘플 패드, 단위 중량 179.0 g/m2, 두께 0.48 mm, 부피 밀도 0.37 g/cm3, 탈락 섬유수 11.1천개)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샘플 패드에 펄프 단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경우, 섬유 자체의 친수성이 낮고 단위 시간당 유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인지 컨쥬게이트 패드로부터의 입자의 릴리스가 나쁘고, 진단 시간이 느려지며, 결과의 재현성도 나빴다. 또한 컨쥬게이트 패드나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이 착색되어 있었다.
[비교예 5∼9의 설명]
실시예 1∼13과 비교예 5∼9 사이의 비교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샘플 패드에 이용하는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단위 중량이나 두께가 소정 범위 밖인 경우나,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 이외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단 시간, 분석 감도, 결과의 재현성, 위양성의 유무 등을 전부 겸비하는 진단 키트를 제공할 수는 없었다.
[비교예 10]
발색 입자가 비교예 4에서 이용한 금 콜로이드, 샘플 패드가 비교예 9에서 이용한 펄프 단섬유 부직포 2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이 조합의 경우, 진단 시간은 매우 느리고, 분석 감도는 낮으며, 결과의 재현성도 나빴다.
[비교예 11]
발색 입자가 비교예 3에서 이용한 착색 라텍스 입자, 샘플 패드가 비교예 9에서 이용한 펄프 단섬유 부직포 2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이 조합의 경우, 진단 시간은 매우 느리고, 분석 감도는 낮으며, 결과의 재현성도 나빴다.
[실시예 1, 비교예 4, 비교예 9, 비교예 10의 TL 시간 경과적 변화의 비교]
실시예 1, 비교예 4, 비교예 9, 비교예 10에서 실시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진단 시간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TL의 발색 강도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비교했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발색 입자에 금 콜로이드를 이용한 비교예 4, 비교예 10은 샘플 패드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다. 또한, 특정한 발색 입자를 이용했지만 샘플 패드에 시판품인 이뮤노크로마토 샘플 패드를 이용한 비교예 9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완만하게 발색 강도가 증대되고 있다. 이것은 샘플 패드의 흡액 속도가 충분하지 않고, 단위 시간당 검체액의 유량이 적기 때문에, 컨쥬게이트 패드로부터 발색 입자가 계속해서 릴리스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발색 강도가 매우 높으며, 또한 발색 강도가 빠르게 안정화되고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이 발휘하는 소정의 발색 입자와 소정의 샘플 패드를 조합한 효과이며, 보다 이른 단계에서 컨쥬게이트 패드로부터 입자가 릴리스되어 있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시예 1, 비교예 4, 비교예 9에 있어서, hCG계를 인플루엔자계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완전히 동일한 조건에서 성능을 평가한 바, 인플루엔자계에서도 hCG계와 동일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샘플 패드의 피복률의 영향]
[실시예 14]
샘플 패드를 길이를 17 mm로 함으로써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샘플 패드의 피복률을 7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정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샘플 패드의 길이를 15 mm로 함으로써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샘플 패드의 피복률을 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정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2]
샘플 패드의 길이를 12 mm로 함으로써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샘플 패드의 피복률을 2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정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샘플 패드의 피복률을 변경하면, 발색 시간은 변하지 않지만, 결과의 재현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Figure 112015117349713-pct00001
Figure 112015117349713-pct00002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련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는,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고, 분석 감도가 높으며, 또한, 검사 결과의 재현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진단약으로서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a) 샘플 패드
(b) 항체 감작 발색 입자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 패드
(c) 검출부 A(TL)
(d) 검출부 B(컨트롤 라인)
(e) 크로마토그래프 매체
(f) 흡수 패드
(g) 대지
(h)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샘플 패드의 피복률이 100%일 때의, 샘플 패드의 최하류 부분
(i)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샘플 패드의 피복률이 50%일 때의, 샘플 패드의 최하류 부분
(j) 케이스

Claims (6)

  1. 평균 입자경이 100∼1000 nm이고, 발색 강도가 1.0∼10.0이며, 입자 중량의 10∼90 중량%가 셀룰로오스 유래이고, 또한 90∼10 중량%가 착색 성분 유래인 발색 입자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를 함유하는 컨쥬게이트 패드와, 단위 중량이 10∼150 g/m2이고, 또한 두께가 0.07∼1.00 mm인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체외 진단약용 샘플 패드를 포함하고, 컨쥬게이트 패드에 대한 샘플 패드의 피복률이 70∼100%인,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큐프라 암모늄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연속 장섬유인,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탈락 섬유수가 5000개/m2 미만인,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성분이 반응성 염료인,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6. 삭제
KR1020157034235A 2013-06-10 2014-06-09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KR101822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21898 2013-06-10
JPJP-P-2013-121898 2013-06-10
PCT/JP2014/065243 WO2014199954A1 (ja) 2013-06-10 2014-06-09 イムノクロマト診断キ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240A KR20160003240A (ko) 2016-01-08
KR101822727B1 true KR101822727B1 (ko) 2018-01-26

Family

ID=52022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235A KR101822727B1 (ko) 2013-06-10 2014-06-09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63944B2 (ko)
EP (1) EP3009840B1 (ko)
JP (1) JP6053927B2 (ko)
KR (1) KR101822727B1 (ko)
CN (1) CN105283761B (ko)
ES (1) ES2695000T3 (ko)
WO (1) WO2014199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411B1 (ko) 2017-02-01 2019-06-28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고감도 체외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분석 방법
ES2909503T3 (es) * 2017-04-06 2022-05-06 Asahi Chemical Ind Micropartículas de celulosa colorantes hidrófilas
WO2019059182A1 (ja) * 2017-09-25 2019-03-28 旭化成株式会社 有機着色微粒子、診断薬キット、及びインビトロ診断方法
CN107765002B (zh) * 2017-11-17 2024-04-05 丹娜(天津)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胶体金免疫层析试纸条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7265315B2 (ja) * 2017-12-28 2023-04-26 日鉄ケミカル&マテリアル株式会社 免疫学的測定用金属ナノ粒子-セルロース複合体、標識物質、免疫学的測定法、免疫学的測定用試薬、アナライトの測定方法、アナライト測定用キット、及び、ラテラルフロー型クロマト用テストストリップ
CN108020666A (zh) * 2018-02-07 2018-05-11 福州大学 一种可同时定量检测血液中cea和ca19-9的磁性免疫层析试纸条及制备方法
JP7128911B2 (ja) * 2019-01-31 2022-08-31 旭化成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診断キット用吸収パッド
CN113614534A (zh) * 2019-03-25 2021-11-05 积水医疗株式会社 呼吸道病毒的免疫测定方法和检测试剂盒
US20220221451A1 (en) * 2019-03-25 2022-07-14 Sekisui Medical Co., Lt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method and test strip for use in said method
JPWO2020196296A1 (ko) * 2019-03-25 2020-10-01
CN109959783B (zh) * 2019-04-01 2022-07-22 宁波大榭开发区综研化学有限公司 一种进样胶带及其制备方法
KR20210107781A (ko) * 2019-05-14 2021-09-01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및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CN111474351B (zh) * 2020-04-28 2024-01-16 上海泰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用于检测冠状病毒的免疫层析试纸条和试剂盒
WO2022004685A1 (ja) * 2020-07-02 2022-01-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機能性部材とこれを備えた化学物質センサー
CN113219169B (zh) * 2021-05-22 2021-12-17 北京金诺百泰生物技术有限公司 生物检测用封闭剂及其制备方法、包被板及应用该包被板的试剂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1145A1 (en) * 2010-11-02 2012-05-31 Kypha, Inc. Lateral flow immunoassay for complement activation and methods of use for point-of-care assessment of complement-associated disorders
JP2012108031A (ja) * 2010-11-18 2012-06-07 Asahi Kasei Fibers Corp 体外診断薬用サンプル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8979A (ja) * 1984-11-26 1986-06-17 旭メデイカル株式会社 血液処理装置
US5266497A (en) * 1990-08-31 1993-11-30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with improved colored latex
JP2955405B2 (ja) 1990-08-31 1999-10-04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法
JPH04329965A (ja) * 1991-05-27 1992-11-18 Asahi Medical Co Ltd 白血球の選択的除去方法
JPH0755809A (ja) 1993-08-20 1995-03-03 Arakusu:Kk 尿中ホルモン検出装置
JPH0787914A (ja) 1993-09-27 1995-04-04 Kubota Corp 飯混合装置
JPH0877579A (ja) 1994-09-08 1996-03-22 Sony Corp フォーカスバイアス調整方法及びフォーカスバイアス調整装置
JPH1048215A (ja) * 1996-07-31 1998-02-20 Sekisui Chem Co Ltd 着色粒子
JPH11170413A (ja) * 1997-12-11 1999-06-29 Asahi Chem Ind Co Ltd 不織布複合低密度織物
JP4988546B2 (ja) 2005-01-28 2012-08-01 持田製薬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用試験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定量方法
JP3965699B2 (ja) 2005-01-31 2007-08-29 横河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ES2458623T3 (es) * 2007-01-12 2014-05-06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Partículas finas de celulosa y dispersión líquida o sólida de las mismas
US9110058B2 (en) * 2008-06-30 2015-08-18 Sekisui Medical Co., Ltd. Porous solid phase for binding assay, and binding assay method using the same
CN101609093B (zh) * 2009-07-17 2013-05-15 田伏洲 快速诊断胰腺创伤和急性胰腺炎的测试卡及其测试方法
EP2503337B1 (en) 2009-11-17 2016-08-24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Organic colored microparticles and diagnostic reagent kit containing the same
CN102183634A (zh) * 2011-03-04 2011-09-14 河北省兽药监察所 快速检测四种硝基呋喃类药物的免疫纳米金试纸条
CN102323262A (zh) * 2011-08-10 2012-01-18 无锡安迪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苯乙醇胺a快速检测卡及其检测方法
CN102411052B (zh) * 2011-11-17 2014-01-29 成都创宜生物科技有限公司 以补体因子d为检测指标的子痫前期快速检测工具与试剂盒及制作方法
US20150079608A1 (en) 2012-04-06 2015-03-19 Adtec, Inc. Method for detecting or quantifying analyte, kit for detecting or quantifying analyte, and test strip for lateral flow type chromatography method for detecting or quantifying analy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1145A1 (en) * 2010-11-02 2012-05-31 Kypha, Inc. Lateral flow immunoassay for complement activation and methods of use for point-of-care assessment of complement-associated disorders
JP2012108031A (ja) * 2010-11-18 2012-06-07 Asahi Kasei Fibers Corp 体外診断薬用サンプルパ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83761B (zh) 2018-02-09
ES2695000T3 (es) 2018-12-28
US9863944B2 (en) 2018-01-09
KR20160003240A (ko) 2016-01-08
JP6053927B2 (ja) 2016-12-27
WO2014199954A1 (ja) 2014-12-18
EP3009840A1 (en) 2016-04-20
CN105283761A (zh) 2016-01-27
EP3009840B1 (en) 2018-09-19
JPWO2014199954A1 (ja) 2017-02-23
US20160123974A1 (en) 2016-05-05
EP3009840A4 (en)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727B1 (ko)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EP3339862A1 (en) Immunological detection method and test strip used therefor
KR102350870B1 (ko) 유기 착색 미립자, 진단약 키트 및 인비트로 진단 방법
JP5936797B1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テストストリップ
CN107389918B (zh) 一种以甲壳素或壳聚糖纤维膜作为胶体标记垫组装的免疫层析法试纸及其制备方法
KR102300483B1 (ko) 친수화 착색 셀룰로오스 미립자
JP2010256309A (ja) コンジュゲートパッドおよび体外診断薬
JP2020056590A (ja) イムノクロマト診断キット
WO2020158750A1 (ja) イムノクロマト診断キット用吸収パッド
JP7358360B2 (ja) 表面プラズモン共鳴を担体粒子を用いて増幅させるイムノクロマト法
WO2022163124A1 (ja) イムノクロマトアッセイ用メンブレン、イムノクロマトアッセイ用テストストリップ、および検査方法
WO2024090518A1 (ja) イムノクロマト試験片
JP2013181935A (ja) クロマトグラフ方法
TW202109044A (zh) 免疫層析診斷套組用吸收墊及免疫層析診斷套組
JP2024011904A (ja) 血球分離フィルター及びイムノクロマト診断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