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590B1 - 체인 블록 - Google Patents
체인 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4590B1 KR101814590B1 KR1020167033659A KR20167033659A KR101814590B1 KR 101814590 B1 KR101814590 B1 KR 101814590B1 KR 1020167033659 A KR1020167033659 A KR 1020167033659A KR 20167033659 A KR20167033659 A KR 20167033659A KR 101814590 B1 KR101814590 B1 KR 1018145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peripheral wall
- outer peripheral
- rib
- wal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6—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operated by an endless chain passing over a pulley or a sprock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66D5/1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embodying dis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7—Brakes with axial thrust for winches, hoists or simila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체인 블록(10)은, 본체 프레임(20)과, 이 본체 프레임(20)에 고정 수단(SB2)를 개재시켜 고정되고, 이 본체 프레임(20)과의 사이에 외부로부터 실링되는 내부 공간(S2)을 형성함과 동시에, 감속 기어 부재(71)의 일단측을 자재로 회전하게 지지하는 기어 커버(40)를 구비하고, 기어측 프레임부(23)에는, 바닥부(23a)와, 이 바닥부(23a)의 외주둘레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외주벽부(23b)가 설치되어 있고, 기어측 프레임(23) 중의 삽입구멍(24) 및 연결축(111)이 설치되는 상부측이며 외주벽부(23b)보다 내부 공간(S2)에 있어서의 중심측에는, 양단이 외주벽부(23b)에 연결된 상부 리브(261)가 설치되고, 이 상부 리브(261)는, 삽입 구멍(24) 및 연결축(111)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짐을 부리는 작업에 이용되는 체인 블록(chain block)에 관한 것이다.
짐을 연직 방향(鉛直方向)으로 이동시키는 체인 블록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계 금속을 이용한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aluminum diecasting)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 2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는, 본체 프레임(2)의 감속측 프레임(2b)에는, 감속 기어 커버(4)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감속 기어를 수납하는 기어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 문헌 1, 2에 나타내는 구성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본체 프레임(2)에 작용하는 하중이 커지면, 본체 프레임(2)가 변형하게 되고, 그것에 의해 감속 기어의 위치가 바라는 위치로부터 변동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감속 기어의 맞물림 상태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기계적인 손실이 증가하여, 체인 블록의 효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체인 블록의 정격 하중(定格荷重)을 크게 하고자 할 경우, 본체 프레임(2)의 변형에 의한 감속 기어의 맞물림 상태의 변화가 비교적 커지고, 이에 따라 기계적인 손실도 커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감속 기어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체인 블록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핸드 휠의 구동력을 구동축 및 감속 기어 부재를 개재시켜 로드쉬브 부재에 전달하고, 이 로드쉬브 부재에 감긴 로드 체인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내리는 것에 의해, 짐을 연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체인 블록에 있어서,
감속 기어 부재를 수납하는 기어측 프레임부를 가짐과 동시에, 감속 기어 부재의 일단측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회전 자재(自在)인 상태에서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에 고정 수단을 개재시켜 고정되고, 이 본체 프레임과의 사이에 외부로부터 실링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감속 기어 부재의 일단측을 자재로 회전하게 지지하는 기어 커버와,
기어측 프레임부에 접속 수단을 개재시켜 연결되고 본체 프레임을 현가하기 위한 상측 훅을 구비하고,
기어측 프레임부에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의 외주둘레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외주벽부가 설치되어 있고,
기어측 프레임 중, 접속 수단이 설치되는 상부측이며 외주벽부보다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중심측에는, 양단이 외주벽부에 연결된 상부 리브가 설치되고, 이 상부 리브는, 접속 수단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블록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기어 커버는, 현가 상태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의 상부측에서 적어도 2개의 고정 수단을 개재시켜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고정 수단 중 2개는, 상부 리브의 양단측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기어측 프레임 중의 현가 방향에 있어서 접속 수단으로부터 이격한 연직 방향의 하부측이며 외주벽부보다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중심측에는, 양단이 외주벽부에 연결된 하부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리브, 하부 리브,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벽부에 의해 구성되는 내주벽부는, 평면시(平面視)한 경우에 타원 형상 또는 장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내주벽부를 구성하는 상부 리브, 하부 리브,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벽부 중 기어 커버측의 단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단면으로부터는, 기어 커버 측을 향해 플랜지부가 돌출하고 있는 것과 동시에, 이 플랜지부는, 평면시한 경우에 타원 형상 또는 장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기어 커버에는, 상부 리브와 당접하는 덮개측 상부 리브, 외주벽부와 당접하는 덮개측 외주벽부 및 하부 리브와 당접하는 덮개측 하부 리브가 설치됨과 동시에, 플랜지부는, 덮개측 상부 리브, 덮개측 하부 리브,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덮개측 외주벽부에 의해 구성되는 덮개측 내주벽부의 내벽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플랜지부의 외주측에는, 링 모양의 실링 부재가 배치되고, 실링 부재는, 플랜지부와 덮개측 내주벽의 내벽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감속 기어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블록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체인 블록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체인 블록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선을 따라 체인 블록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체인 블록 중의 기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본체 프레임 중의 기어측 프레임부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본체 프레임 중의 기어측 프레임부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반단면도(半斷面圖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기어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A-A 선을 따라 체인 블록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A-A 선을 따라 체인 블록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체인 블록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체인 블록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선을 따라 체인 블록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체인 블록 중의 기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본체 프레임 중의 기어측 프레임부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본체 프레임 중의 기어측 프레임부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반단면도(半斷面圖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기어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A-A 선을 따라 체인 블록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A-A 선을 따라 체인 블록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블록(chain block)(10)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체인 블록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블록(1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斜視圖)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블록(10)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체인 블록(10)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선을 따라 체인 블록(10)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비롯한 각 도면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블록(10)의 외관이나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러한 외관이나 구성은, 후술하는 다른 형태(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블록(10)에서도 그 대부분이 공통된다. 이 때문에, 도 1 및 도 2를 비롯한 각 도면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블록(10)과 다른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공통 도면이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XYZ 직교 좌표계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그 중에서, X 방향은 구동축(60)의 축선 방향으로 하고, X1 측은 후술하는 휠 커버(wheel cover)(30)가 설치되는 측으로 하고, X2 측은 X1 측과는 반대이며 기어 커버(gear cover)(40)가 설치되는 측으로 한다. 또한, Z 방향은 체인 블록(10)이 현가(suspension) 상태(懸吊狀態)에 있을 때의 연직 방향(현가 방향; 감아 올리거나 풀어내리는 방향)으로 하고, Z1 측은 현가 상태에 있어서의 상측으로 하고, Z2 측은 현가 상태에 있어서의 하측으로 한다.
또한, Y 방향은 X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폭 방향)으로 하고, Y1 측은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하고, Y2 측은 Y1 측과는 반대인 우측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 블록(10)은, 본체 프레임(20)과, 휠 커버(30)와 기어 커버(40)와, 로드쉬브 중공축(load sheave hollow shaft)(50)과, 구동축(60)과, 감속 기구(70)와, 브레이크 기구(90)와, 핸드 휠(hand wheel) 기구(100)와, 상측 훅(110)과, 하측 훅(12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재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후에, 본체 프레임(20)의 기어측 프레임(23) 측의 구성 및 기어 커버(40)의 구성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0)은,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원형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계 금속을 이용한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aluminum diecasting)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본체 프레임(20)은, 하중(荷重)에 대한 강성(剛性)을 가지는 것이면, 알루미늄계 금속 이외의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체 프레임(20)은, 다이 캐스팅(diecasting)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일부가 절삭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다른 부재를 용접 등의 다른 고정 수법에 의해 고정하는 것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0)에는, 휠측 프레임부(21)와, 연결 프레임부(22)와, 기어측 프레임부(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휠측 프레임부(21)에는, 휠 커버(30)가 볼트(SB1)를 개재시켜 고정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기어측 프레임부(23)에는, 기어 커버(40)가 볼트(SB2)(고정 수단에 대응함)를 개재시켜 고정되어 있다. 로드쉬브(load sheave)(51)가 수납된 연결 프레임(22)의 현가 방향(懸吊方向) 상측에는, 상측 훅(110)이 그 양단을 휠측 프레임(21)과 기어측 프레임부(23)에 지지된 연결축(111)(도 5 참조)에 의해 본체 프레임(20)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이 연결축(111)의 양단은 휠측 프레임(21)과 기어측 프레임부(23)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휠 커버(30) 및 기어 커버(40)가 본체 프레임(20)에 각각 장착되는 것에 의해, 내부 공간(S1, S2)이 각각 형성되고, 이 내부 공간(S1, S2)에는 각종 부재가 수납되고, 나아가서는, 내부 공간(S2)은, 윤활유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또한, 분진(粉塵)이나 빗물 등이 침입하지 않도록 외부로부터 폐색(閉塞)되어 있다.
또한, 휠측 프레임부(21)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공간(S1)은, 베어링 플레이트(bearing plate)(P1)를 개재시켜 연결 프레임부(22)의 내부측과 칸막이가 되어 있다. 또한, 기어측 프레임부(23)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공간(S2)는, 베어링 플레이트(P2)를 개재시켜 연결 프레임부(22)의 내부측과 칸막이가 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 플레이트(P1, P2)에는, 로드쉬브 중공축(5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pivotally support)되어 있다. 로드쉬브 중공축(50)은, 로드쉬브(51)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52)를 가지고 있고, 또한, 한 쌍의 플랜지부(52)의 사이에는, 로드쉬브(51)를 구성하는 체인 포켓(chain pocket)(5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드쉬브 중공축(50)에는 중공구멍(54)이 설치되고, 이 중공구멍(54)에는, 구동축(60)이 삽입된다. 또한, 구동축(60) 중의 중공구멍(54)으로부터 X2 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위에는, 구동축(60)이 X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플랜지부(6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구동축(60)의 일단측(X1 측)에는, 스냅 링(snap ring)(R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냅 링(R1)은 X2 측의 링 부재(R2)와 인접하고 있다. 그리고, 이 링 부재(R2)에 의해, 후술하는 암나사 부재(102)가 X1 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구동축(60) 중의 플랜지부(61)보다 X2 측의 단부에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62)가 설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62)는, 감속 기구(70)를 구성하는 한 쌍의 감속 기어 부재(71)의 대경(大徑) 기어(72)와 서로 맞물리고 있다.
또한, 각각의 감속 기어 부재(71)의 일단측(X1 측)은, 상술한 베어링 플레이트(P2)의 축구멍(shaft hole)(P2a)(도 4 참조)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단측은, 상술한 기어 커버(4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기어 커버(40)에는 우묵한 모양의 베어링 고정구멍(41)이 설치되어 있고, 이 베어링 고정구멍(41)에는 베어링(B1)이 끼워 넣어지고, 이 베어링(B1)을 개재시켜 감속 기어 부재(71)의 타단측(X2 측)이 기어 커버(4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감속 기어 부재(71) 중의 대경 기어(72)보다 X1 측에는, 소경(小徑) 기어(73)가 설치되어 있다. 소경 기어(73)는, 로드 기어(load gear)(74)와 서로 맞물리고 있다. 로드 기어(74)는, 로드쉬브 중공축(50)의 타단측(X2 측)에 있어서, 예를 들어 키(key) 결합 또는 스플라인(spline) 결합의 상태에서 로드쉬브 중공축(50)에 토크(torque)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60) 중의 베어링 플레이트(P1)보다 일단측(X1쪽)의 부위에는, 브레이크 기구(90)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브레이크 기구(90)보다 일단측(X1쪽)의 부위에는, 핸드 휠 기구(10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60) 중의 핸드 휠 기구(100) 측에는, 스플라인(spline)부(63)가 설치되어 있다. 스플라인부(63)은, 후술하는 브레이크 받이(91)의 스플라인부(91 b3)과 감합(嵌合)되는 부분이다. 또한, 스플라인부(63)의 X2 측의 단부에는, 단차부(段部)(64)가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브레이크 받이(91)가 이 단차부(64)에 계지(locking)된다.
브레이크 기구(90)는, 브레이크 받이(91), 브레이크 플레이트(brake plate)(92), 래칫 휠(93), 클로우 부재(94), 부시(bush)(95) 등을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브레이크 받이(91)는, 플랜지부(91a)와 중공 보스(hollow boss)부(91b)와, 선단 통 모양부(91c)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91a)는, 중공 보스부(91b)보다 직경이 크게 설치되어 있는 부분이며, 후술하는 브레이크 플레이트(92)를 받는 것이 가능하다.
중공 보스부(91b)는, 플랜지부(91a)보다 핸드 휠 기구(100)측(X1 측)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부시(95)를 개재시켜 래칫 휠(9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브레이크 받이(91)는, 단차가 형성된 삽통구멍(揷通孔)(91b1)을 가지고 있다. 이 삽통구멍(91b1) 중의 단차부(91b2)보다 일단측(X1 측)에는, 이 단차부(91b2)보다 직경이 작은 스플라인부(91b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플라인부(91b3)는 상술한 스플라인부(63)과 감합(嵌合)한다.
또한, 선단 통모양부(91c)는, 중공 보스부(91b)보다 일단측(X1 측)에 위치하고 있다. 선단 통모양부(91c)의 외주측에는, 다조(多條)의 수나사부(91c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91c1)는, 핸드 휠 기구(100)의 암나사 부재(102)의 다조의 암나사부(102d)에 나사 삽입된다.
또한, 플랜지부(91a)와 래칫 휠(93)의 사이, 그리고 암나사 부재(102)와 래칫 휠(93)의 사이에는, 각각 브레이크 플레이트(92, 92)가 중공 보스부(9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래칫 휠(93)에는, 클로우 부재(94)(도 3 참조)의 선단이 맞물리고, 이 맞물림에 의해, 래칫 휠(93)이 풀어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칫(ratchet) 기구가 구성된다.
구동축(60)에 풀어내리는 방향으로의 부하(負荷)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암나사 부재(102)와 브레이크 받이(91)의 나사를 죄는 작용에 의해 암나사 부재(102)가 브레이크 플레이트(92)를 압압(押壓)하는 것에 의해, 풀어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어 있는 래칫 휠(93)에 대하여 브레이크 받이(91)에 브레이크력이 작용하여, 구동축(60)이 풀어내리는 방향으로 회동(回動)하는 것을 제동(制動)한다. 핸드 휠 기구(100)를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래칫 휠(93)은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암나사 부재(102), 브레이크 플레이트(92, 92), 래칫 휠(93), 브레이크 받이(91)는 일체가 되어 구동축(60)을 회동하여, 로드 체인(load chain)(C1)을 감아 올린다. 핸드 휠 기구(100)를 풀어내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암나사 부재(102)와 브레이크 받이(91)의 나사를 죄는 작용이 완화되어 암나사 부재(102)와 래칫 휠(93)의 브레이크력이 핸드 휠 기구(100)의 회전량에 따라 개방되므로, 브레이크 받이(91)와 구동축(60)은 풀어내리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X2 측의 브레이크 플레이트(92)는, 플랜지부(91a)와 후술하는 래칫 휠(93)의 사이에 위치하고, 암나사 부재(102) 측으로부터 압접되는 경우에는, 플랜지부(91a)와 후술하는 래칫 휠(93)의 사이에 큰 마찰력을 주며, 그 큰 마찰력에 의해, 래칫 휠(93)에 대하여 브레이크 받이(91)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래칫 휠(93)과 암나사 부재(102)의 사이에도 브레이크 플레이트(92)가 배치되고, 암나사 부재(102) 측으로부터의 압접에 의해 래칫 휠(93)과 암나사 부재(102)의 사이에 큰 마찰력을 준다. 핸드 휠 기구(100)가 회전될 때에, 이 큰 마찰력에 의해, 핸드 휠 기구(100)와 래칫 휠(93)이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받이(91)의 중공 보스부(91b)의 외주 측에는 부시(95)가 설치되고, 이 부시(95)의 외주측에는 래칫 휠(93)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래칫 휠(93)은 브레이크 받이(91)에 대하여 자재로 회전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래칫 휠(93)에는 클로우 부재(94)(도 3 참조)의 선단이 맞물리고, 이 맞물림에 의해, 래칫 휠(93)의 역회전(감아 올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래칫(ratchet) 기구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핸드 휠 기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핸드 휠 기구(100)는, 핸드 휠(101)과, 암나사 부재(102)와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 기구(103)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또한, 암나사 부재(102)는, 브레이크 기구(90)의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핸드 휠(101)은 링 모양의 부재이며, 이 링 모양의 핸드 휠(101)의 내주구멍(101b)에는 암나사 부재(102) 및 토크 리미터 기구(10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핸드 휠(101)의 외주측에는 체인 포켓(101a)이 설치되어 있다. 체인 포켓(101a)은, 핸드 체인(hand chain)(C2)의 금속고리(C2a)가 끼워 넣어지는 부분이며, 이 금속고리(C2a)가 편평하게 되는 방향이 축선과 평행이 되는 상태에서 금속고리(C2a)가 끼워 넣어지는 가로 포켓(도시 생략)과, 이 가로 포켓보다 깊은 홈(溝) 모양이며 금속고리(C2a)가 편평하게 되는 방향이 축선과 교차하는 상태에서 금속고리(C2a)가 끼워 넣어지는 세로 포켓(도시 생략)을 가지고 있다. 상기 체인 포켓(101a)에 끼워 넣어져 있는 핸드 체인(C2)를 당기면, 핸드 휠(101)이 회전한다.
암나사 부재(102)는, 플랜지부(102a)와, 원통부(102b)와, 선단 돌출부(102c)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102a)는, 원통부(102b)보다 직경이 크게 설치되어 있는 부분이며, 토크 리미터 기구(103)의 가동 클로우(movable nail)(103a)를 받는 부분이 되어 있다. 플랜지부(102a)에는, 가동 클로우(103a)의 철부(凸部)(도시 생략)가 끼워 넣어지는 요부(凹部)(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요부와 철부에는, 모두, 축 방향(X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는 테이퍼(taper) 벽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상은, 철부가 요부에 끼워 넣어지고 있지만, 매우 큰 토크가 핸드 휠(101)에 작용하면, 토크 리미터 기구(103)의 스프링 부재(103b)의 부세력(付勢力; urging force)에 저항하여 가동 클로우(103a)의 철부가 요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에 의해, 토크 리미터 기구(103)가 그 기능을 완수한다.
또한, 원통부(102b)는, 플랜지부(102a)보다 일단측(X1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원통부(102b)의 내주측에는 암나사부(102d)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암나사부(102d)에는 상술한 수나사부(91c1)가 나사 삽입된다. 또한, 원통부(102b)보다 일단측(X1 측)에는 선단 돌출부(102c)가 설치되어 있다. 선단 돌출부(102c)의 선단측(X1 측의 단부)는, 휠 커버(30)의 덮개부(31)와 근접 대향하고 있다. 또한, 선단 돌출부(102c)는, 원통부(102b)처럼 원주 방향의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되지는 않으며, 원주 방향에서 간헐적(間欠的)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선단 돌출부(102c)가 설치되지 않고 비어있는 부분(切缺部分)에 링 부재(R2)의 돌출부가 돌출하며, 구동축(60) 및 브레이크 받이(91)에 대한 암나사 부재(102)의 상대 회전을 일정한 범위로 규제하고 있다. 또한, 링 부재(R2)의 내주에는, 구동축(60)의 스플라인부(63)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係合)하는 스플라인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크 리미터 기구(103)는, 가동 클로우(103a)와, 스프링 부재(103b)와, 누름 부재(103c)를 가지고 있다. 이들 중, 가동 클로우(103a)는, 링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동 클로우(103a)의 링 모양 부분 중의 다른 쪽 면(X2 측의 면)이 암나사 부재(102)의 플랜지부(102a)에 당접함과 동시에, 한쪽의 면(X1 측의 면)이 스프링 부재(103b)에 당접하고 있다. 또한, 가동 클로우(103a)의 링 모양의 부분 중의 다른 쪽의 면(X2 측의 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철부(凸部)가 설치되어 있고, 이 철부가 플랜지부(102a)의 요부(凹部)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103b)는, 가동 클로우(103a)와 누름 부재(103c)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이들 가동 클로우(103a)와 누름 부재(103c)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의 부세력을 준다. 또한, 누름 부재(103c)의 다른 쪽의 면(X2 측의 면)은 스프링 부재(103b)에 당접하고 있다. 누름 부재(103c)는, 핸드 휠(101) 또는 암나사 부재(102)에 대하여, 축 방향(X 방향)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누름 부재(103c)는, 스프링 부재(103b)의 부세력을 받아내고, 그것에 의해, 가동 클로우(103a)에 대하여 암나사 부재(102)의 플랜지부(102a)에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을 주고 있다. 그리고, 매우 큰 토크가 핸드 휠(101)에 작용하면, 스프링 부재(103b)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가동 클로우(103a)의 철부가 암나사 부재(102)의 플랜지부(102a)의 요부로부터 벗어난다. 이와 같이 하여, 토크 리미터 기구(103)이 그 기능을 완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어서, 상측 훅(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측 훅(110)은, 체인 블록의 본체를 구조물(構造物)의 계지 부재(locking member)나 크레인(crane)의 트롤리(trolley) 등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매달기 위한 후킹(hooking) 수단이다. 도 5는, 체인 블록(10) 중의 기어 커버(5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훅(110)은, 연결축(111)을 개재시켜 본체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체 프레임(20)에는, 연결축(111)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2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훅(110)은, 이 연결축(11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상측 훅(110)에는, 도시하지 않은 부세수단(付勢手段)에 의해 닫기는 방향으로 부세 되는 훅 래치(hook latch)(1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축(111)은, 접속 수단에 대응하지만, 연결축(111)이 삽입되는 삽입구멍(24)도 접속 수단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하측 훅(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측 훅(120)은, 짐을 거는 부분이며, 이 하측 훅(120)은, 로드 체인(C1) 중의 후술하는 고정축(130)이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단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하측 훅(120)에는, 이 하측 훅(120)에 걸려있는 짐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레버(lever)(121)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121)의 일단측은 상측(Z1 측)에 위치하고, 이 일단측의 회동축(回動軸)(122)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버(121)의 타단측은 하측(Z2 측)에 위치하고, 하측 훅(120)의 선단측의 내주에 당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121)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부세력이 작용하여, 항상 타단측이 하측 훅(120)의 선단측의 내주에 당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레버(12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레버(121)가 닫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레버(121)가 열려서 짐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로드 체인(C1) 중의 하측 훅(120)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고정축(130)을 개재시켜 본체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130)은, 본체 프레임(20)의 축구멍(25)에 삽입되고, 나사 삽입 혹은 그 외의 방법에 의해 본체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축(130)을 개재시켜, 로드 체인(C1)이 본체 프레임(20)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20)의 기어측 프레임부(23) 측의 구성에 대하여>
이어서, 본체 프레임(20) 중의 기어측 프레임부(23) 측의 구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은, 본체 프레임(20) 중의 기어측 프레임부(23)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체 프레임(20) 중의 기어측 프레임부(23)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측 프레임부(23)는, 바닥부(23a)를 가지고 있고, 이 바닥부(23a)는, 연결 프레임부(22) 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바닥부(23a)의 외주둘레부로부터는, 타단측(X2 측)을 향하여 외주 벽부(23b)가 돌출하고 있다. 상기 바닥부(23a)와 원환 모양의 외주벽부(23b)에 의해 둘러싸이고, 또한 기어 커버(40)가 장착되는 것에 의해, 기어측 프레임부(23)에는, 외부로부터 격리된 내부 공간(S2)이 형성된다.
또한, 바닥부(23a)로부터는, 다른 쪽(X2 측)을 향하여 상부 리브(rib)(261) 및 하부 리브(262)가 돌출하고 있다. 상부 리브(261)는, 상방측(Z1 측)의 외주벽부(23b)보다 내주측(하방측; Z2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 리브(262)는, 하방측(Z2 측)의 외주벽부(23b)보다 내주측(상방측; Z1 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부 리브(261)는, 상측을 향하여 불룩하게 되도록 만곡되어 설치되어 있다. 다만, 상부 리브(261)의 곡율(曲率)은, 상방측(Z1 측)의 외주벽부(23b)보다 작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방측(Z1 측)의 외주벽부(23b)와 상부 리브(261)에 의해, 비교적 작은 대략 초승달 모양의 공간부(상측 공간부(S21))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리브(261)는, 삽입구멍(24)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삽입구멍(24)에 연결축(111)이 삽입된 경우, 이 연결축(111)이 상부 리브(261)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삽입구멍(24)은 상측 공간부(S21)내에 삽입 구부(口部)를 가지고 있고, 기어 커버(40)를 제거한 상태에서 연결축(111)을 빼거나 꽂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상부 리브(261)의 상측 공간부(S21) 측의 벽부에 형성된 요부(263)가 삽입구멍(24)의 축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111)은, 요부(263)를 따라 안내되어 삽입구멍(2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 리브(262)는, 아래쪽으로 향해 불룩하게 되도록 만곡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리브(262)의 곡율은, 하방측(Z2 측)의 외주벽부(23b)보다 작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방측(Z2 측)의 외주벽부(23b)와, 하부 리브(262)에 의해, 비교적 작은 대략 초승달 모양의 공간부(아래쪽 공간부(S22))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리브(261)와, 하부 리브(262)와, 옆쪽에 위치하는 외주벽부(23b)(외주벽부(23b1)라고 함)에 의해,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타원 형상이 되는 내주벽부(27)가 형성되고, 이 내주벽부(27)의 내부측이 기어 수납 공간부(S23)가 되어 있다. 즉, 기어 수납 공간부(S23)를 구성하는 내주벽부(27)는,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타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내주벽부(27)의 내벽면(27a)는,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타원 형상인 윤곽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타원 형상으로 하기 위하여, 옆쪽에 위치하는 외주벽부(23b1)는, XY 평면 중의 구동축(60)의 중심축선을 포함한 평면과 교차하는 부위가, 가장 두께가 얇게 설치되어 있고, 그 교차 부위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격함에 따라 외주벽부(23b1)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두께 구성으로 함으로써, 외주벽부(23b1)는 내주벽부(27)를 겸용하는 구성이 되어 있다.
여기서, 외주벽부(23b)의 타단측(X2 측)에 위치하는 단면(端面)(23b2)은, 상부 리브(261)의 타단측(X2 측)에 위치하는 단면(261a) 및 하부 리브(262)의 타단 측(X2 측)에 위치하는 단면(262a)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면(261a), 단면(262a) 및 외주벽부(23b1)의 단면(23b2)으로부터는,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타원 형상이 되는 플랜지부(28)가 돌출하고 있다. 이 플랜지부(28)는, 상부 리브(261), 하부 리브(262) 및 외주벽부(23b)보다 두께가 얇게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28)는, 기어 커버(40)의 내주벽부(45)의 내벽면(45a)에 당접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체 프레임(20)에 대한 기어 커버(40)의 회전 방향의 위치가 정해 진다.
<기어 커버(40)의 구성에 대하여>
다음으로, 기어 커버(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기어 커버(4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커버(40)에도, 상술한 상부 리브(261)와 같은 덮개측 바닥부(42)가 존재하고, 또한 덮개측 외주벽부(43)가 존재하고 있다. 다만, 덮개측 바닥부(42)로부터의 덮개측 외주벽부(43)의 높이는, 바닥부(23a)로부터의 외주벽부(23b)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측 바닥부(42)에는, 상술한 베어링(B1)을 끼워넣기 위한 베어링 고정 구멍(4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어 커버(40)에도, 덮개측 상부 리브(431) 및 덮개측 하부 리브(4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측 상부 리브(431)와, 덮개측 하부 리브(432)와, 옆쪽에 위치하는 덮개 측 외주벽부(43)(덮개측 외주벽부(43a)라고 함)에 의해,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타원 형상이 되는 내주벽부(45)가 형성되고, 이 내주벽부(45)의 내부측이 덮개측 공간부(S40)가 된다. 또한, 이 덮개측 공간부(S40)를 구성하는 덮개측 내주벽부(45)도,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타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덮개측 내주벽부(45)의 내벽면(45a)는,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타원 형상인 윤곽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덮개측 내주벽부(45)의 내벽면(45a) 측에는, 상술한 플랜지부(28)가위치한다. 이에 따라, 기어 커버(40)가 본체 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하려고 해도, 덮개측 내주벽부(45)의 내벽면(45a)이 플랜지부(28)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 본체 프레임(20)에 대한 기어 커버(40)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덮개측 내주벽부(45)는, 본체 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및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28)의 외주측에 O링(O-ring) 등의 실링(sealing) 부재를 배치하고, 이 O링이 플랜지부(28)과 덮개측 내주벽부(45)의 사이에 개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내부 공간(S2)이 외부로부터 기밀하게 실링된다.
<체인 블록의 작용에 대하여>
이상과 같은 구성의 체인 블록(10)을 사용하여, 짐을 올리거나 내릴 때의 작용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상술한 체인 블록(10)에 의해 짐을 올리는 경우에는, 하측 훅(120)에 짐을 건 상태에서 핸드 체인(C2)을 감아올리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핸드 휠(101)이 회전하고, 이 때, 토크 리미터 기구(103)의 암나사 부재(102)도 핸드 휠(101)과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암나사 부재(102)의 암나사부(102d)와, 브레이크 받이(91)의 수나사부(91c)의 나사 작용에 의해, 플랜지부(102a)가 브레이크 플레이트(92) 및 래칫 휠(93)을 압접한다. 그리고, 암나사 부재(102)와 브레이크 받이(91)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스플라인부(91b3)와 스플라인부(63)의 스플라인 계합에 의해, 브레이크 받이(91)로부터 구동축(60)에 구동력이 전달되고, 피니언 기어(62), 대경 기어(72) 및 소경 기어(73)를 거쳐 로드 기어(74)에 전달되어 로드쉬브 중공축(60)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로드 체인(C1)이 감아올려져 짐이 상승한다.
이와는 반대로, 매달려 있는 짐을 내리는 경우, 핸드 체인(C2)을 짐을 상승시킬 때와는 역방향으로 조작하도록 한다. 그러면, 핸드 휠(101)이 브레이크 플레이트(92)에 대한 압접이 느슨하게 된다. 이 느슨해진 분만큼 구동축(60)이 짐을 올리는 방향과는 반대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짐을 서서히 내려가게 된다.
또한, 래칫 휠(93)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래칫 휠(93)의 클로우부(도시 생략)에 클로우 부재(94)의 선단이 맞물린다. 또한, 감아올릴 때에 핸드 체인(C2)으로부터 손을 떼고, 짐으로부터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구동축(60)을 역전시키려고 해도, 핸드 휠(101)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핸드 휠(101)에 의해 브레이크 플레이트(92)가 래칫 휠(93)에 눌러지고, 또한 브레이크 플레이트(92)가 래칫 휠(93)에 의해 브레이크 받이(91)의 플랜지부(91a)에 눌러진다. 이에 따라, 짐의 중력에 저항하는 브레이크력이 가해져서 짐이 내려가는 것이 방지된다.
<본체 프레임의 강성의 향상과 기어 부분의 맞물림 정밀도의 향상(효과)에 대하여>
상술한 체인 블록(10)에 있어서, 짐이 매달려 있을 때에는, 본체 프레임(20)에 대하여 큰 하중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바닥부(23a)나 외주벽부(23b)에 변형이 생기고, 이 변형에 의해 각 기어 부분의 맞물림 상태가 변동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감속 기어 부재(71)의 일단측이 기어 커버(40)의 베어링 고정구멍(41)에 끼워넣어진 베어링(B1)에 지지를 받음과 동시에, 타단측이 베어링 플레이트(P2)의 축구멍(P2a)에 지지를 받고 있다. 이 때문에, 바닥부(23a)나 외주벽부(23b)에 변형이 생기면, 감속 기어 부재(71)에 위치적인 변화가 생기고, 그것에 의해 각 기어 부분의 맞물림 상태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감속 기어 부재(71)의 일단측은, 기어 커버(40)의 베어링 고정구멍(41)에 베어링(B1)을 끼워넣어 회전 자재로 지지되고 있고, 이 기어 커버(40)는, 볼트(SB2)에 의해 본체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외주벽부(23b)의 변형이 생기면, 볼트(SB2)의 위치가 본체 프레임(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도, 감속 기어 부재(71)의 일단측의 설치 위치가 변화하여, 각 기어 부분의 맞물림 상태가 변화하게 된다.
이렇게 본체 프레임(20)의 변형이 생기고, 그것에 의해 각 기어 부분의 맞물림 상태가 변화하면, 기계적인 손실이 증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체인 블록(10)의 효율이 저하하게 된다. 또한, 기계적인 손실의 증대에 의해, 체인 블록(10)의 수명이 짧아진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어측 프레임부(23)의 내부 공간(S2)의 상부측 이며 외주벽부(23b)보다 내부 공간(S2)에 있어서의 중심측에는, 상부 리브(26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 프레임(20)(기어측 프레임부(23))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본체 프레임(20)(기어측 프레임부(23))이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리브(261)와, 이 상부 리브(261)보다 상방측의 외주벽부(23b)에 의해, 내부에 상측 공간부(S21)를 가지는 박스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박스 구조의 형성은, 외주벽부(23b)만으로 둘러싸인 통 모양의 구성보다 대폭적으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20)의 강성이 향상되는 것에 의해, 각 기어 부분의 맞물림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기어 부분의 맞물림 상태가 변화하는 것에 의해 기계적 손실이 증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체인 블록(10)의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계적인 손실이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체인 블록(10)의 장수명화(長壽命化)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리브(261)는, 상부측에 위치하는 연결축(111)이 삽입되는 삽입구멍(24)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이 상부 리브(261)의 양단측이 외주벽부(23b)에 연결 되어 있다. 여기서, 짐이 매달려 있을 때에는, 본체 프레임(20)에 대해서는, 연결축(111) 부근에 큰 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특히, 본체 프레임(20) 중의 연결축(111)을 끼워넣기 위한 삽입구멍(24)는, 둘레길이가 그다지 길게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삽입구멍(24)이 또는 이 삽입구멍(24)의 근처의 바닥부(23a) 등에 있어서 응력 집중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이 삽입구멍(24)에 인접하여 상부 리브(26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응력 집중에 저항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본체 프레임(2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어 커버(40)는, 본체 프레임(20)에 대하여 상부측에서 2개의 볼트(SB2)(고정 수단)를 개재시켜 고정되어 있고, 이 2개의 볼트(SB2)는, 상부 리브(261)의 양단 측에 각각 인접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볼트(SB2)의 고정 부분에 있어서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볼트(SB2)의 위치가 본체 프레임(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어 커버(40) 측의 베어링 고정구멍(41) 및 베어링(B1)의 위치가 기어측 프레임부(23)에 대하여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각 기어 부분의 맞물림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리브(261)의 하부측의 내부 공간(S2) 중의 아래쪽의 외주벽부(23b)보다 중심측에는, 하부 리브(2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 프레임(20)(기어측 프레임부(23))의 강성을 더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리브(261), 하부 리브(262),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벽부(23b1)에 의해 내주벽부(27)가 구성되므로, 기어측 프레임부(23)는 2중의 벽 부분을 가지는 구조가 되어, 강성을 더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내주벽부(27)는, 평면시(平面視)한 경우에 타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주벽부(27)의 내부측은, 기어 수납 공간부(S23)으로서 한 쌍의 감속 기어 부재(71)를 비롯한 각 기어 부분을 수납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내주벽부(27)의 내주측은 매끈한 형상이 되므로, 응력 집중이 생기는 곳이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연결축(111)의 삽입구멍(24)을 상측 공간부(S21)를 향해 개구(開口)하도록 했으므로, 연결축(111)과 삽입구멍(24)의 사이의 조그마한 틈새로부터 분진(粉塵)이나 물방울 등이 외부로부터 침입해 와도, 이들은 상측 공간부(S21)에서 막아내므로, 기어 수납 공간부(S23)에 분진이나 물방울 등이 침입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기어 수납 공간부(S23)는, 기어 수납부로서 매우 적합한 형태이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외주벽부(23b)와 상부 리브(261) 그리고 덮개측 외주벽부(43)와 덮개측 상부 리브(431)에 의해, 빗물 등의 물방울이 침입하기 쉬운 기어측 프레임부(23)의 상측으로부터 물방울 등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리브(262)를 가지는 내주벽부(27)가 설치됨으로써, 그리스(grease)가 밖으로 누출되기 어려워진다. 특히, 체인 블록(10)을 매단 상태에서는, 하방측을 향해 그리스가 서서히 누출되지만, 하부 리브(262)를 가지는 내주벽부(27)가 설치됨으로써, 이러한 그리스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리브(262)와, 이 하부 리브(262)보다 하방측의 외주벽부(23b)에 의해, 내부에 아래쪽 공간부(S22)를 가지는 박스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박스 구조의 형성에 의해, 만일 그리스가 하부 리브(262)보다 하방측으로 누출되어도, 이 박스 구조에 의해 그리스를 막아 낼 수 있어,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더 한층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주벽부(27)를 구성하는 상부 리브(261), 하부 리브(262)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벽부(23b1)의 기어 커버(40) 측의 단면(261a, 262a, 23b2)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어측 프레임부(23)의 단면(261a, 262a, 23b2) 측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특히, 플랜지부(28)가 설치되지 않은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단면(27b)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단면(27b)으로부터는, 기어 커버(40) 측을 향해 플랜지부(28)가 돌출하며, 이 플랜지부(28)는, 평면시한 경우에 타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어 커버(40)에는, 덮개측 상부 리브(431), 덮개측 외주벽부(43) 및 덮개측 하부 리브(432)가 설치되고, 이들은 각각 상부 리브(261), 외주벽부(23b) 및 하부 리브(262)에 당접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28)는, 덮개측 내주벽부(45)의 내벽면(45a)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플랜지부(28)가 내벽면(45a)에 당접함으로써, 본체 프레임(20)에 대한 기어 커버(40)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기어 커버(40)가 본체 프레임(20)에 대해서 회전하려고 해도, 플랜지부(28)가 내벽면(45a)에 충돌함으로써 그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본체 프레임(20)에 대한 기어 커버(40)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되고, 체인 블록(10)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부 리브(261)와 하부 리브(262)가 기어측 프레임부(23)에 설치되고, 또한 덮개측 상부 리브(431)와 덮개측 하부 리브(432)가 기어 커버(40)에 설치됨으로써, 기어측 프레임부(23)와 기어 커버(40)의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도, 기어 커버(40)나 본체 프레임(20)이 변형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28)의 외주측에 O링 등의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내부 공간(S2)이 외부로부터 기밀하게 실링된다. 또한,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한층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형태(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술한 체인 블록(10)의 다른 형태(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체인 블록(10) 및 제3 실시형태의 체인 블록(10)에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부분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체인 블록(10)과 공통으로 되어 있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블록(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A-A 선을 따라 체인 블록(10)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체인 블록(10)에 있어서는, 덮개측 내주벽부(45)의 내벽면(45a)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X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내벽면(45a)과 플랜지부(28)의 외주측의 사이에는, 공간부(S3)가 형성되어 있다(도 3에서도 동일한 구성임). 상기 내벽면(45a)의 테이퍼 형상은, 예를 들어, 덮개측 내주벽부(45)의 내벽면(45a) 측의 코너부를 모따기(chamfering)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지만, 내벽면(45a)는 45도 이외의 원하는 각도로 해도 된다.
이 공간부(S3)에는, O링 등의 실링 부재(29)가 설치되어 있다. O링 등의 실링 부재(29)는, 내벽면(45a)과 플랜지부(28)의 사이에서 압압된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이들 사이로부터 물이나 기름 등의 액체나, 먼지 등이 기어 수납 공간부(S23)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기어 수납 공간부(S23)의 밀폐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환경에 매우 적합한 구성이 된다. 또한,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한층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0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블록(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A-A 선을 따라 체인 블록(10)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체인 블록(10)에 있어서는, 덮개측 내주벽부(45)의 내벽면(45a)은, 도 9에 나타내는 테이퍼 형상을 채용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O링 등의 실링 부재(29)는 배치되지 않았다. 상기한 실링 부재(29)를 배치하는 대신,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덮개측 내주벽부(45)의 내벽면(45a)과 플랜지부(28)의 외주면은 감합(嵌合)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감합은, 러닝 피트(running fit)라도 되고, 트랜지션 피트(transition fit)라도 된다. 또한, 압입 등의 방법을 서용한 인터피어런스 피트(interference fit)라도 된다.
상기 감합을 채용하는 경우, 덮개측 내주벽부(45)의 내벽면(45a)측의 코너부 에서는, 그 모따기(chamfering) 치수가 도 9에 나타내는 구성보다 작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8)의 외주면에, X 방향에 대하여 45도보다 큰 폭으로 작은 각도로 경사지고 있는 테이퍼부를 설치하고, 이 테이퍼부에 있어서 내벽면(45a)의 어느 하나의 부위가 접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내벽면(45a)이 X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를 45도보다 큰 폭으로 작은 각도로 하고, 이 내벽면(45a)의 어느 하나의 부위가 플랜지부(28)와 접촉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체인 블록(10)에서는, 덮개측 내주벽부(45)의 내벽면(45a)과, 플랜지부(28)의 외주면은 감합에 의해 고정하는 것에 의해, 본체 프레임(20)에 대한 기어 커버(40)의 고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감속 기구(70)를 구성하는 각 기어(감속 기어 부재(71), 대경 기어(72) 등)나 피니언 기어(62)의 맞물림을 비롯한 기계적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체인 블록(10)에서는, 두께가 얇은 플랜지부(28)의 비교적 선단측 등의 휘기 쉬운 부위에서 위치 규제를 실시하고 있지만,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체인 블록(10)에서는, 플랜지부(28)의 선단측보다 밑동측(根元側)에서 위치 규제를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치 규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하, 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내주벽부(27)는, 평면시한 경우에 타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내주벽부(27)를 평면시할 때의 형상은, 타원 형상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장원 형상이나, 직사각형 등의 그 외의 형상이라도 된다. 마찬가지로, 플랜지부(28)나 덮개측 내주벽부(45)도, 평면시할 때의 형상이, 예를 들어 장원 형상이나, 직사각형 등의 그 외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볼트(SB2)에 의해 기어 커버(40)가 본체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볼트(SB2)의 개수는 몇개라도 상관없다. 또한, 볼트(SB2)는, 상부 리브(261)의 양단 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부 리브(261)의 양단측으로부터 이격한 부위에 볼트(SB2)가 존재 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10…체인 블록, 20…본체 프레임, 21…본체 프레임, 22…연결 프레임부, 23…기어측 프레임부, 23a…바닥부, 23b, 23b1…외주벽부, 23b2, 261a, 262a…단면, 24…삽입구멍, 25…축구멍, 27…내주벽부, 27a…내벽면, 28…플랜지부, 30…휠 커버, 40…기어 커버, 41…베어링 고정구멍, 42…덮개측 바닥부, 43…덮개측 외주벽부, 45…덮개측 내주벽부, 45a…내벽면, 50…로드쉬브 중공축, 51…로드쉬브, 60…구동축, 62…피니언 기어, 70…감속 기구, 71…감속 기어 부재, 72…대경 기어, 73…소경 기어, 74…로드 기어, 90…브레이크 기구, 100…핸드 휠 기구, 101…핸드 휠, 102…암나사 부재, 110…상측 훅, 111…연결축(접속 수단에 대응), 120…하측 훅, 130…고정축, S1, S2…내부 공간, S21…상측 공간부, S22…아래쪽 공간부, SB1…볼트, SB2…볼트(고정 수단에 대응)
Claims (5)
- 핸드 휠의 구동력을 구동축 및 감속 기어 부재를 개재시켜 로드쉬브(load sheave) 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로드쉬브 부재에 감긴 로드 체인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내리는 것에 의해, 짐을 연직(鉛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체인 블록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어 부재를 수납하는 기어측 프레임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감속 기어 부재의 일단측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회전 자재(自在)인 상태에서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 수단을 개재시켜 장착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과의 사이에 외부로부터 실링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감속 기어 부재의 일단측을 자재로 회전하게 지지하는 기어 커버; 및
상기 기어측 프레임부에 접속 수단을 개재시켜 연결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을 현가하기 위한 상측 훅;
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측 프레임부에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주둘레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외주벽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어측 프레임 중, 상기 접속 수단이 설치되는 상부측이며, 상기 외주벽부보다 상기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중심측에는, 양단(兩端)이 상기 외주벽부에 연결된 상부 리브(rib)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리브는, 상기 접속 수단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체인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커버는, 현가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연직 방향의 상부측에서 적어도 2개의 상기 고정 수단을 개재시켜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 수단 중 2개는, 상기 상부 리브의 양단 측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체인 블록.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측 프레임 중, 현가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으로부터 이격한 상기 연직 방향의 하부측이며, 상기 외주벽부보다 상기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중심 측에는, 양단이 상기 외주벽부에 연결된 하부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리브, 상기 하부 리브,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외주벽부에 의해 구성되는 내주벽부는, 평면시(平面視)한 경우에 타원 형상 또는 장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체인 블록.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부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 리브, 상기 하부 리브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외주벽부 중 상기 기어 커버측의 단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면으로부터는, 상기 기어 커버 측을 향해 플랜지부가 돌출하고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는, 평면시한 경우에 타원 형상 또는 장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어 커버에는, 상기 상부 리브와 당접하는 덮개측 상부 리브, 상기 외주벽부와 당접하는 덮개측 외주벽부, 및 상기 하부 리브와 당접하는 덮개측 하부 리브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덮개측 상부 리브, 상기 덮개측 하부 리브,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덮개측 외주벽부에 의해 구성되는 덮개측 내주벽부의 내벽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체인 블록.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측에는, 링 모양의 실링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덮개측 내주벽의 내벽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체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102822 | 2014-05-16 | ||
JP2014102822 | 2014-05-16 | ||
PCT/JP2015/063043 WO2015174293A1 (ja) | 2014-05-16 | 2015-04-30 | チェーンブロック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8002A KR20160148002A (ko) | 2016-12-23 |
KR101814590B1 true KR101814590B1 (ko) | 2018-01-04 |
Family
ID=5447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3659A KR101814590B1 (ko) | 2014-05-16 | 2015-04-30 | 체인 블록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10407287B2 (ko) |
EP (1) | EP3144262B1 (ko) |
JP (1) | JP6467407B2 (ko) |
KR (1) | KR101814590B1 (ko) |
CN (1) | CN106458548B (ko) |
AU (1) | AU2015260436B2 (ko) |
BR (1) | BR112016026476B1 (ko) |
CA (1) | CA2948450C (ko) |
TW (1) | TWI649252B (ko) |
WO (1) | WO201517429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178307A1 (en) * | 2014-12-19 | 2016-06-23 | William Johnson | Hoist device with shooting aid |
CN107150967A (zh) * | 2017-06-27 | 2017-09-12 | 重庆维大力起重设备有限公司 | 一种手动葫芦传动机构 |
CN110510451A (zh) * | 2019-09-03 | 2019-11-29 | 同济大学 | 宽体滑轮 |
DE102021108443A1 (de) | 2021-04-01 | 2022-10-06 | Ketten Wälder GmbH | Manueller Hebezug |
CN116022679A (zh) * | 2023-03-24 | 2023-04-28 | 河北宇雕起重装备科技有限公司 | 一种封闭式带润滑机构的手拉葫芦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12631A (ja) | 2003-09-16 | 2005-04-28 | Kito Corp | 巻上牽引機 |
JP4693506B2 (ja) | 2005-06-03 | 2011-06-01 | 株式会社キトー | 巻上牽引機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23731A (en) * | 1948-04-15 | 1952-12-30 | Badger State Gear Company Inc | Chain hoist |
US2739789A (en) * | 1950-07-01 | 1956-03-27 | Manning Maxwell & Moore Inc | Chain block hoist |
US2642266A (en) * | 1950-11-06 | 1953-06-16 | Lisbon Machine Company Inc | Hoist |
JPS5227808Y2 (ko) * | 1973-05-14 | 1977-06-24 | ||
JP2919810B2 (ja) * | 1997-05-15 | 1999-07-19 |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
CN1852855A (zh) * | 2003-09-16 | 2006-10-25 | 鬼头股份有限公司 | 提升牵引机 |
JP4698266B2 (ja) | 2005-03-29 | 2011-06-08 | 株式会社キトー | 巻上機における過負荷防止装置 |
JP6068857B2 (ja) * | 2012-07-30 | 2017-01-25 | 株式会社キトー | チェーンブロック |
JP6029955B2 (ja) * | 2012-11-30 | 2016-11-24 | 株式会社キトー | チェーンブロック |
JP2014108839A (ja) * | 2012-11-30 | 2014-06-12 | Kito Corp | チェーンブロックおよびロードチェーン |
CN203461748U (zh) | 2013-09-13 | 2014-03-05 | 株式会社开道 | 链式葫芦 |
-
2015
- 2015-04-30 US US15/310,293 patent/US10407287B2/en active Active
- 2015-04-30 AU AU2015260436A patent/AU2015260436B2/en active Active
- 2015-04-30 JP JP2016519211A patent/JP6467407B2/ja active Active
- 2015-04-30 CA CA2948450A patent/CA2948450C/en active Active
- 2015-04-30 CN CN201580024760.9A patent/CN106458548B/zh active Active
- 2015-04-30 KR KR1020167033659A patent/KR10181459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4-30 EP EP15793214.6A patent/EP3144262B1/en active Active
- 2015-04-30 BR BR112016026476-2A patent/BR112016026476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5-04-30 WO PCT/JP2015/063043 patent/WO201517429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5-14 TW TW104115330A patent/TWI649252B/zh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12631A (ja) | 2003-09-16 | 2005-04-28 | Kito Corp | 巻上牽引機 |
JP4693506B2 (ja) | 2005-06-03 | 2011-06-01 | 株式会社キトー | 巻上牽引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144262A4 (en) | 2018-01-10 |
JPWO2015174293A1 (ja) | 2017-07-13 |
TW201600447A (zh) | 2016-01-01 |
EP3144262A1 (en) | 2017-03-22 |
US10407287B2 (en) | 2019-09-10 |
US20170174483A1 (en) | 2017-06-22 |
CN106458548B (zh) | 2018-08-21 |
CA2948450C (en) | 2018-03-13 |
BR112016026476B1 (pt) | 2022-12-27 |
TWI649252B (zh) | 2019-02-01 |
BR112016026476A2 (pt) | 2017-08-15 |
EP3144262B1 (en) | 2019-06-05 |
CA2948450A1 (en) | 2015-11-19 |
JP6467407B2 (ja) | 2019-02-13 |
CN106458548A (zh) | 2017-02-22 |
AU2015260436B2 (en) | 2017-12-14 |
BR112016026476A8 (pt) | 2021-09-28 |
WO2015174293A1 (ja) | 2015-11-19 |
AU2015260436A1 (en) | 2016-12-08 |
KR20160148002A (ko) | 2016-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4590B1 (ko) | 체인 블록 | |
JP6068857B2 (ja) | チェーンブロック | |
EP2703124B1 (en) | Socket assembly | |
WO2014073332A1 (ja) | 内燃機関のオイルパン | |
JP2919809B2 (ja) |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 |
WO2014021254A1 (ja) | チェーンブロック | |
CN103573828B (zh) | 挡油环 | |
JP2010151155A (ja) | アイドラギヤ支持構造 | |
JP4250046B2 (ja) | ロータリーダンパ及びロータリーダンパの製造方法 | |
JP4573855B2 (ja) | ロータリーダンパ及びロータリーダンパの製造方法 | |
US6224166B1 (en) | Bicycle hub | |
JP6645901B2 (ja) | チェーンブロック | |
US10393253B2 (en) | Transmission case | |
JP2006226503A (ja) | 軸受、軸受装置、および気体抜き栓 | |
CN112923059B (zh) | 组合密封结构以及汽车转向节轴承密封结构 | |
JP2005133869A (ja) | 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円錐ころ軸受 | |
AU2023200226B2 (en) | Adapting assembly of a ceiling fan and ceiling fan having the same | |
JP5063414B2 (ja) | ドアキャッチャー構造 | |
JP2009150475A (ja) | 減速装置 | |
EP2436938A1 (en) | Ball joint | |
JP6584287B2 (ja) |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ケースの増強構造 | |
JP2008267409A (ja) | 軸受ユニット | |
JP2008169903A (ja) | 車両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