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821B1 -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 Google Patents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821B1
KR101810821B1 KR1020177005937A KR20177005937A KR101810821B1 KR 101810821 B1 KR101810821 B1 KR 101810821B1 KR 1020177005937 A KR1020177005937 A KR 1020177005937A KR 20177005937 A KR20177005937 A KR 20177005937A KR 101810821 B1 KR101810821 B1 KR 101810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ribbon
splice
splice member
gap
ribb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642A (ko
Inventor
숀 매튜 가너
게리 에드워드 메르즈
존 얼 토쉬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29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8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 B65H19/1842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standing splicing, i.e. the expiring web being stationary during splicing contact
    • B65H19/1852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standing splicing, i.e. the expiring web being stationary during splicing contact taking place at a distance from the replacement rol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35Rib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7Cutting armoured, multi-layered, coated or laminated, glass products
    • C03B33/074Glass products comprising an outer layer or surface coating of non-glas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2Form of splice
    • B65H2301/4621Overlapping article or web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2Form of splice
    • B65H2301/4622Abutting article or web portions, i.e. edge to edge
    • B65H2301/46222Abutting article or web portions, i.e. edge to edge involving double butt splice, i.e. adhesive tape applied on both sides of the article or web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3Splicing splicing means, i.e. means by which a web end is bound to another web end
    • B65H2301/4631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3Modifying electric properties
    • B65H2301/5132Bringing electrostatic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8Longitudinally sectional layer of three or more s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405With preparatory or simultaneous ancillary treatment of wor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유리 리본(10)은 갭(40)에 의해 서로 분리된 제1유리 리본 부분(12) 및 제2유리 리본 부분(22)과,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에 제2유리 리본 부분을 연결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3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20 kg의 힘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20%의 신장도를 제공하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 스플라이스 부재(31)를 포함한다. 필러 재료(80)는 갭에 배치된다. 또한,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고, 스플라이싱을 위한 코팅된 유리 리본을 준비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는 유리 리본에 테이프(70)를 부착하는 단계, 및 유리 리본에 자유단을 생성하기 위해 테이프와 함께 유리 리본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전에, 파단선(75, 77)이 유리 리본에 형성되며, 상기 파단선을 가로질러 테이프가 배치된다. 코팅된 유리 리본을 준비할 때, 파단선을 생성하거나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전에 각각의 분리된 테이프 부재가 적용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METHOD FOR CUTTING COATED GLASS RIBBON, METHOD FOR SPLICING GLASS RIBBON AND ASSOCIATED SPLICED GLASS RIBBON}
본 출원은 그 내용의 전체가 참조로 본원에 반영되는 35 USC §119 하의 2010년 11월 30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418,094호의 우선권의 이점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유리 리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 리본의 일부분들을 서로에 대해 또는 선도재/후미재(leader/trailer material)에 스플라이싱(splicing)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연한 전자 장치 또는 다른 장치들의 롤-투-롤(roll-to-roll) 제조에 유리의 사용이 주목되고 있다. 유리는 전자 장치의 제조 또는 성능과 관련된 몇가지 유효한 특성들을 갖고 있다. 현재 이러한 장치들은 유연한 유리의 사용에 대한 완전한 해결책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폴리머 필름 또는 금속 포일(foil)로 제조되고 있다. 폴리머 또는 금속 기판의 사용은 최종적인 장치의 성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비용을 증가시킨다. 롤-투-롤 프로세스에서의 유연한 유리의 사용을 위한 좀더 완전한 해결책은 본 출원에 대한 채용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롤-투-롤 프로세스에서의 스풀된(spooled) 유연한 유리의 사용에 있어 한가지 빠진 요소는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스하기(어느 하나의 유리의 일부분을 다른 하나의 유리의 일부분에, 또는 유리의 일부분을 선도재/후미재에 스플라이스하기) 위한 실용적인 방법이다. 롤-투-롤 제조 상황에 있어서, 웹(web) 재료들을 함께 스플라이스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공통의 요구조건이 있다. 폴리머, 페이퍼, 금속, 및 그 외의 다른 웹들과 같은 공통의 웹 재료들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해결책들은 특히 유리의 깨짐 특성을 포함한 각기 다른 재료 특성들로 인해 유리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유리 리본의 일부분들을 서로에 대해 또는 다른 웹 재료들, 예컨대 선도재/후미재에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실용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유리 리본의 일부분들을 서로에 대해 또는 선도재/후미재에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에는 유리 리본의 일부분을 서로에 대해 스플라이싱할 뿐만 아니라 다른 웹 재료들, 예컨대 선도재/후미재에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본원에 걸쳐 개시된 용어 "유리"는 편의를 위해 사용되었으나, 다른 유사한 깨지는 재료들, 예로서 약 0.3 mm 이하(≤ 0.3 mm)의 두께, 예컨대 0.3 mm, 0.25 mm, 0.20 mm, 0.15 mm, 0.10 mm, 0.05 mm, 0.025 mm, 0.020 mm, 0.015 mm, 및 0.010 mm 두께의 유연한 리본으로 형성되는 유리 세라믹 및 세라믹들을 대표한다. 본원에 개시된 구조 및 방법은 제조에 있어 폴리머, 페이퍼, 및 금속 웹 재료계들에 익숙한 것들과 유사한 기능을 유리로 달성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는 고객의 전환 비용을 감소시키고, 기판 스풀(substrate spool)의 한계로 인해 프로세스 개시의 수를 감소시켜 유연한 유리 기판을 이용한 프로세스의 수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스풀된 유리 기판에 대한 사용의 비용을 저하시킨다. 또한, 이러한 구조 및 방법은 보다 높은 정렬 및 조절 정확도를 갖는 스플라이스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향상된 품질 및 신뢰도를 갖는 각기 다른 프로세스를 통해 유리 리본을 전달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유리 생산자에게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본원에 개시된 구조 및 방법은 유리 제조자가 보다 짧은 길이의 유리 리본을 스크랩하는 대신 몇몇의 보다 짧은 길이의 유리 리본을 함께 결합하고 스풀(spool)에 그것들을 롤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율을 증가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본원에 개시된 구조 및 방법은 유리 제조자가 결함을 갖는 유연한 유리 리본의 섹션들을 절단하고 유용한 섹션들을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자들은 스플라이스 조인트 자체의 다양한 특징들 뿐만 아니라, 스플라이스 조인트로부터 야기되는 손상 및 오정렬의 위험을 감소시킨 롤-투-롤 프로세싱을 통해 확실하게 이송될 수 있는 좀더 높은 내구성을 이끄는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준비하는 방식의 다양한 특징들을 발견했다.
스플라이스 조인트 자체와 관련하여, 예컨대 발명자들은 유리 리본의 일부분들(즉, 조각들)이 서로 떨어지도록 갭(gap)을 둠으로써, 그 유리 리본의 일부분들이 서로 문질러거나 비벼지지 않게 하는 것을 발견했는데, 그러한 서로간 문지름이나 비벼짐은 유리 리본의 크랙 또는 유리 리본에서의 크랙의 전파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유리 리본의 일부분들의 단부들은 그 유리 리본의 전체 처리 공정에 걸쳐 떨어져 갭을 유지한다. 즉,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그러한 유리 리본의 일부분들이 이송되는 동안 정렬을 유지하도록 확고하게 안정화시킬 것이다. 상기 유리 리본의 일부분들의 단부들은, 20 kg의 힘(즉, 20 kgf = 200 N)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20%의 신장도를 갖도록 스플라이스 부재가 영률 및 단면적을 가지면, 그 스플라이스 부재에 의해 확고하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는 20 kg의 힘(즉, 20 kgf = 200 N)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10%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는 20 kg의 힘(즉, 20 kgf = 200 N)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5%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다. 예컨대,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는 ≥ 1 GPa, ≥ 2GPa, ≥ 5GPa, ≥ 10GPa의 영률을 가질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신뢰성 및 내구성은 그러한 갭에 재료, 예컨대 스플라이스 부재의 일부분 자체 또는 필러 재료(즉, 충진재; filler material)를 배치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그러한 갭에서의 재료는 유리 리본의 단부들이 서로 문질러지거나 비벼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리본을 처리하는 동안 갭에 함유되는 습식 처리 재료의 양을 제한하는 것을 돕는데, 만약 그러한 습식 처리 재료를 제한하지 않으면 추후 하류 프로세스에서 오염을 야기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갭을 충진시키는 것은 처리 유체가 유리 리본의 단부들 상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처리에 따라 그러한 처리 유체가 유리 리본의 크랙을 전파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또 유리 리본의 섹션들을 분리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준비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발명자들은 유리 리본의 일부분들에서의 크랙의 전파를 제한하는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절단에 따른 유리 리본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정의 단계들이 취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특히, 보강 부재가 유리 리본의 의도된 절단선의 영역에 적용되거나, 또는 구조가 유리 자체 내에 생성될 것이다. 예컨대, 유리 리본이 절단됨에 따라 소정의 크랙이 더 전파되고 그리고/또 미립자 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러한 의도된 절단선에 걸쳐 접착 테이프가 제공될 것이다. 유리에 생성된 그러한 구조는 예컨대 절단 공정 동안 유리 리본의 절단에 의해 유도되거나, 또는 절단 공정시 시작되고 이후 유리 리본이 이송 및/또는 처리됨에 따라 나중에 전파되는 소정의 크랙을 정지시키는 의도적인 파단이 될 것이다.
추가의 특징 및 장점들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며, 그 일부는 통상의 기술자가 그러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거나 또는 기술된 설명 및 수반되는 도면들로 예시화된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들은 단지 발명의 예시일 뿐이며, 청구된 바와 같은 발명의 성질 및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 또는 뼈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수반되는 도면들이 발명의 원리를 좀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되며,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일부를 구성한다. 그러한 도면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를 기술하며, 그러한 설명과 함께 예로서 발명의 원리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이 소정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 모두의 조합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한정하진 않지만 예시의 방식으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이 이하와 같이 다양한 형태들로 서로 조합될 것이다:
제1형태에 따르면, 제1유리 리본 부분; 제2유리 리본 부분; 및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을 상기 제2유리 리본 부분에 결합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포함하는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20 kg의 힘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20%, 바람직하게 ≤ 10%, 보다 바람직하게 ≤ 5%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 스플라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제2형태에 따르면, 제1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과 제2유리 리본 부분간 갭을 갖는 버트 조인트(butt joint)이다.
제3형태에 따르면, 제2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은 길이 축 및 폭을 포함하며, 상기 갭은 상기 폭을 가로질러 상기 길이 축에 거의 수직이다.
제4형태에 따르면, 제2 또는 제3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각각의 제1 및 제2유리 리본 부분들은 제1주면 및 제2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는 2개의 섹션에 배치되며, 그 2개의 섹션 중 제1섹션은 상기 제1 및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 상에 배치되고, 제2섹션은 상기 제1 및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제2주면 상에 배치된다.
제5형태에 따르면, 제4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은 상기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제2주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의 제2주면은 상기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제6형태에 따르면, 제2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각각의 제1 및 제2유리 리본 부분들은 제1주면 및 제2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주면들은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상기 제2주면들은 동일 평면 상에 있으며, 스플라이스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유리 리본 부분들의 제1주면들을 접촉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유리 리본 부분들의 제2주면들을 접촉시키도록 배치된다.
제7형태에 따르면, 제3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스플라이스 부재의 제1 및 제2섹션들은 갭 내에서 서로 접촉한다.
제8형태에 따르면, 제1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제1유리 리본 부분은 제1 및 제2주면들 및 에지들을 갖추고,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은 그 주면들의 에지들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접합된 에지 탭을 포함한다.
제9형태에 따르면, 제8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스플라이스 부재는 에지 탭을 오버랩하지 않는다.
제10형태에 따르면, 제9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는 제1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 이상의 두께를 갖고,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의 두께는 상기 에지 탭 두께보다 작거나 같다(즉, ≤ 에지 탭 두께).
제11형태에 따르면, 제2형태 내지 제10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그 유리 리본은 갭 내에 배치된 필러 재료를 더 포함한다.
제12형태에 따르면, 제11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상기 필러 재료는 폴리머 또는 실리콘 재료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3형태에 따르면, 제11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상기 필러 재료는 경화성 폴리머이다.
제14형태에 따르면, 제2형태 내지 제13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갭은 ≥ 100 ㎛인 폭을 갖는다.
제15형태에 따르면, 제1형태 내지 제14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상기 유리 리본의 두께는 50 ㎛ 내지 300 ㎛이다.
제16형태에 따르면, 제1형태 내지 제15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제1유리 리본 부분은 제1길이 축을 포함하고, 제2유리 리본 부분은 제2길이 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길이 축은 상기 제1길이 축과 동축으로 배치된다.
제17형태에 따르면, 제1형태 내지 제16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제1유리 리본 부분은 제1길이 축을 포함하고, 스플라이스 부재는 길이 축을 포함하며, 스플라이스 부재 길이 축은 상기 제1길이 축에 거의 수직으로 배치된다.
제18형태에 따르면, 제1형태 내지 제16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제1유리 리본 부분은 제1길이 축을 포함하고, 스플라이스 부재는 길이 축을 포함하며, 스플라이스 부재 길이축은 상기 제1길이 축과 거의 동축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은 폭을 포함하고,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는 폭을 포함하며,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의 폭은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제19형태에 따르면, 제1형태 내지 제18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는 ≥ 1 GPa의 영률을 갖는다.
제20형태에 따르면, 제1유리 리본 부분; 유리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선도부 또는 후미부를 포함하는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상기 선도부 또는 후미부는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에 정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1형태에 따르면, 제1형태 내지 제20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상기 유리 리본은 롤로 형성된다.
제22형태에 따르면, 제1유리 리본 부분을 제2유리 리본 부분에 스플라이싱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유리 리본 부분과 제2유리 리본 부분간 갭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인접하여 분리된 제1유리 리본 부분 및 제2유리 리본 부분을 배치하는 단계;
적어도 갭의 일부분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과 제2유리 리본 부분을 연결하기 위해 스플라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는 20 kg의 힘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20%, 바람직하게 ≤ 10%, 보다 바람직하게 ≤ 5%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다.
제23형태에 따르면, 제22형태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각각의 제1유리 리본 부분 및 제2유리 리본 부분은 제1주면 및 제2주면을 포함하고, 스플라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과 제2유리 리본 부분 모두의 제1주면 및 제2주면에 스플라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4형태에 따르면, 제22형태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각각의 제1유리 리본 부분 및 제2유리 리본 부분은 제1주면 및 제2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주면에 제1스플라이스 부재를 제공하고 상기 제2주면에 제2스플라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5형태에 따르면, 제23형태 또는 제24형태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갭에 폴리머 또는 실리콘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 배치하는 단계는 제1유리 리본 부분과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에 스플라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과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제2주면에 스플라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사이에 수행된다.
제26형태에 따르면, 제25형태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 및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은 거의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제27형태에 따르면, 제22형태 내지 제26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며, 스플라이스 부재는 유리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고, 스플라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는 정전력에 의해 제1유리 리본 부분 및 제2유리 리본 부분에 스플라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8형태에 따르면, 제21형태 내지 제26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며, 스플라이스 부재는 ≥ 1 GPa의 영률을 갖는다.
제29형태에 따르면, 제1유리 리본 부분을 제2부재에 스플라이싱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과 제2부재를 서로 인접하여 배치하는 단계;
스플라이스 부재를 정전력에 의해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 및 제2부재 모두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0형태에 따르면, 제29형태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제2부재는 제2유리 리본 부분이다.
제31형태에 따르면, 제29형태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제2부재는 유리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선도부 또는 후미부이다.
제32형태에 따르면, 제29형태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배치하는 단계는 서로 인접하여 갭에 의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 및 제2부재를 배치한다.
제33형태에 따르면, 제22형태, 제23형태, 제24형태, 제25형태 또는 제32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폴리머 또는 실리콘 재료를 갭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34형태에 따르면, 제22형태 내지 제33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며, 스플라이스 부재는 테이프이다.
제35형태에 따르면, 테이프를 유리 리본에 부착하는 단계; 및 유리 리본에 자유단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테이프와 함께 유리 리본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36형태에 따르면, 제35형태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유리 리본에 파단선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는 상기 파단선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제37형태에 따르면, 제36형태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파단선은 유리 리본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확장한다.
제38형태에 따르면, 제36형태 또는 제37형태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파단선은 유리 리본에 굽힘 응력(bending stress)을 인가함으로써 생성된다.
제39형태에 따르면, 제35형태 내지 제38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절단은 상기 유리 리본의 두께에 걸쳐 블레이드 또는 회전 절단기를 확대함으로써 수행된다.
제40형태에 따르면, 제33형태 내지 제39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유리 리본은 제1주면 및 제2주면을 포함하고,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는 절단 단계 이전에 상기 유리 리본의 양 주면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1형태에 따르면, 제35형태 내지 제40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유리 리본에 제2파단선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테이프는 상기 제2파단선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절단 단계는 파단선과 제2파단선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2형태에 따르면, 스플라이싱을 위한 코팅된 유리 리본을 준비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코팅된 유리 리본이 절단되는 의도된 절단선을 결정하는 단계;
코팅을 완전히 절단하지 않고 유리 리본에 파단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의도된 절단선을 따라 상기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단선은 상기 의도된 절단선과 절단된 후 사용될 리본의 일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제43형태에 따르면, 제41형태 또는 제42형태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유리 리본의 절단 단부를 선도부 또는 후미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44형태에 따르면, 자유단, 이 자유단에 인접하여 유리 리본 상에 배치된 코팅 또는 폴리머 테이프, 및 상기 자유단의 안쪽이고 상기 코팅 또는 폴리머 테이프가 위에 배치되는 상기 유리 리본의 일부분에 파단선을 포함하는 유리 리본을 제공하며, 상기 파단선은 상기 유리 리본의 폭을 가로질러 확장한다.
본 발명은 유리 리본의 일부분들을 서로에 대해 또는 선도재/후미재에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포함하는 유리 리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갖춘 유리 리본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3의 방향을 따라 본 유리 리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라인 4-4를 따라 취해진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갖춘 유리 리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라인 6-6을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갖춘 유리 리본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갖춘 유리 리본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화살표 3의 방향을 따라 본 유리 리본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4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갖춘 유리 리본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화살표 3의 방향을 따라 본 유리 리본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라인 11-11을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제5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싱을 위한 유리 리본의 상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유리 리본에 적용된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제6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갖춘 유리 리본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절단 준비를 위한 유리 리본의 상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화살표 3의 방향을 따라 본 유리 리본의 측면도이다.
도 18 내지 23은 필러 재료를 갖춘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여러 단계를 나타내며, 도 18, 20 및 22는 유리 리본의 측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라인 19-19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라인 21-21을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라인 23-23을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다.
도 24는 선도부에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의 측면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 그리고 한정하지 않기 위해, 특정 상세한 설명을 개시하는 예시의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다양한 원리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제공될 것이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그러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 개시의 이점을 갖는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본원에 개시된 특정 상세한 설명 이외의 다른 실시예들에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공지의 장치, 방법 및 재료들의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원리의 설명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적용되는 곳 어디에든 실시예 전체에 걸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표기될 것이다.
본원에서는 범위들이 "약"과 같이 어느 한 특정치에서 또 다른 특정치로 표현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범위가 표시될 경우, 또 다른 실시예는 어느 한 특정치에서 또 다른 측정치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값이 상기한 약의 사용에 의해 근사치로서 표현될 경우, 그러한 특정치는 또 다른 실시예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그러한 각 범위의 종료점이 또 다른 종료점과 연관되거나 또 다른 종료점과 독립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여기에 사용된 직접적인 용어들, 예컨대 상, 하, 좌, 우, 전면, 후면, 상부, 하부는 단지 도시된 도면들에서 참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절대적인 방위를 암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여기에 기술된 소정의 방법들은 그러한 단계들이 특정의 순서로 수행되는 것과 같이 요구되는 구성을 의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방법 청구항은 사실상 단계들이 연이어 뒤따르는 순서로 인용하지 않거나 또는 그러한 단계들이 특정 순서로 한정되는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으로 달리 특정하게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이는 순서를 소정의 관점으로 나타내지 않기 위함이다. 이는 해석을 위한 소정 가능한 비표현의 기준을 위해 유지되며, 그러한 기준은 단계들 또는 동작 흐름의 배열과 관련된 논리의 대상; 문법적인 구성 또는 구두점으로부터 유도된 명확한 의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의 수 또는 타입을 포함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일의 형태 "하나", "한" 및 "그"는 문맥을 명확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다수의 관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컨대 "구성요소"에 대한 관점에서는 문맥을 명확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2개 또는 그 이상의 그와 같은 구성요소들 갖춘 형태들을 포함한다.
스플라이스 조인트 자체에 대한 다양한 각기 다른 실시예들이 있을 수 있다. 스플라이스 조인트에 있어서, 유리 리본의 일부분들이 서로 떨어지도록 갭을 둠으로써, 그 유리 리본의 일부분들의 단부가 서로 문질러거나 비벼지지 않게 하는데, 이는 그러한 서로간 문지름이나 비벼짐이 유리 리본의 크랙 또는 유리 리본에서의 크랙의 전파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유리 리본 일부분들의 단부들은 유리 리본의 전체 처리동안 떨어져 갭을 유지한다. 상기 유리 리본 일부분들의 단부들은 20 kg의 힘(즉, 20 kgf = 200 N)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20%의 신장도를 갖도록 스플라이스 부재가 영률 및 단면적을 가지면 스플라이스 부재에 의해 확고하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떨어져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는 20 kg의 힘(즉, 20 kgf = 200 N)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10%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는 20 kg의 힘(즉, 20 kgf = 200 N)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10%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는 20 kg의 힘(즉, 20 kgf = 200 N)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5%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다. 예컨대,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는 ≥ 1 GPa, ≥ 2GPa, ≥ 5 GPa, 또는 ≥ 10 GPa의 영률을 갖는다. 추가로,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신뢰성 및 내구성은 갭에 재료를, 예컨대 스플라이스 부재의 일부분 자체 또는 필러 재료를 배치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스플라이스 조인트(30)의 제1실시예가 도 1 내지 4와 연관되어 기술될 것이다. 유리 리본(10)의 롤(2)은 그 유리 리본의 제1부분(12; 즉, 제1유리 리본 부분)을 제2부분(22)에 연결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30)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 리본(10)은 에지(13), 길이 축(14), 폭(16), 및 두께(18)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12)은 단부 15를 포함하고, 유사하게 상기 제2부분(22)은 단부 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12)은 제1주면(17) 및 제2주면(19)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2부분(22)은 제1주면(27) 및 제2주면(29)을 포함한다. 상기 제2부분(22)은 유리 리본(10)의 제2부분이 되거나, 또는 유리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선도부 또는 후미부가 될 것이다. 전체 설명에 걸쳐, 설명의 편의성 및 일관성을 위해, 상기 제2부분(22)을 유리 리본의 제2부분(즉, 제2유리 리본 부분)이라 부른다. 상기 에지(13)는 형태화된 에지가 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유리 리본(10)의 중심부분이 두꺼워진 부분 또는 "비드(bead)"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지(13)는 절단 에지, 즉 비드가 예컨대 레이저 절단에 의해 제거되는 에지가 될 수 있다. 상기 폭(16)은 소정의 적절한 폭이 되며, 상기 두께(18)는 ≤ 0.3 mm의 두께, 예컨대 0.3 mm, 0.25 mm, 0.20 mm, 0.15 mm, 0.10 mm, 0.05 mm, 0.025 mm, 0.020 mm, 0.015 mm, 및 0.010 mm의 두께가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리본(10)은 롤(2)에 감겨져 있지 않고 하류 프로세스로 화살표 5의 방향을 따라 공급되고 있으며, 상기 하류 프로세스는 예컨대 한정하진 않지만 그라인딩, 폴리싱, 클리닝, 유리 상에 추가 층 및/또는 요소(예컨대, 폴리머 보호층, 전기/전자 요소들 또는 그 일부)의 적층, 유리 상에 박막소자(예컨대, 트랜지스터, 전계발광층 등)의 형성, 절단(시트에 포함 또는 폭 조절), 스플라이싱, 또 다른 롤에 롤링(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물이 있든 없든), 습식 또는 플라즈마 에칭 처리, 또는 다른 필름이나 구조에 대한 적층을 포함한 유리의 형성 이후의 소정의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하류 프로세스는 유리 리본(10)을 생성하는 일부가 되거나, 또는 그 유리 리본을 처리하는 일부가 될 것이다(롤-투-롤 프로세스 방법을 포함한).
스플라이스 조인트(30)는 제1유리 리본 부분(12)이 제2유리 리본 부분(22)에 대해 확고하게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제1 및 제2유리 리본 부분(12, 22)의 길이 축이 거의 일직선 상에 정렬되도록 제1 및 제2유리 리본 부분(12, 22)을 서로에 대해 확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국 스플라이스 조인트(30)에 가까운 보다 높은 조절 정밀도를 이끌고, 따라서 향상된 품질을 갖는 유리 리본(10)을 각각의 하류 프로세스로 이송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스플라이스 조인트(30)의 확고한 단단함은 갭(40)을 가로질러 서로 떨어진 단부 15, 25를 유지함으로써 서로 문질러지거나 비벼지지 않게 하는데, 그러한 문질러짐 또는 비벼짐은 유리 리본(12, 22)에서의 크랙의 시작 및/또는 전파를 야기하기 쉽고 또 상기 단부(15, 25)에서 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30)는 길이 축(34), 폭(36), 및 두께(38)를 갖는 스플라이스 부재(31)를 포함한다. 서로에 대해 확고하게 제1 및 제2유리 리본 부분(12, 22)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는 낮은 신장도를 가지며, 이에 따라 축(14)을 따라 확장되지 않거나, 또는 자신의 길이 축(34) 및 축(14) 모두에 수직인 축에 대해 트위스트(twist)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스플라이스 부재는 20 kg의 힘(즉, 20 kgf = 200 N)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20%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 단면적은 갭(40)에 인접하여 배치된 것과 같이 스플라이스 부재의 단면적이며, 그 스플라이스 부재의 초기 길이는 갭(40)의 폭(46)과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는 20 kg의 힘(즉, 20 kgf = 200 N)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10%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는 20 kg의 힘(즉, 20 kgf = 200 N)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5%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다. 예컨대,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는 ≥ 1 GPa의 영률을 가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는 폴리이미드 테이프(예컨대, DuPont에 의해 제조된 Kapton®),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테이프, 또는 3M으로부터 이용가능한 다양한 스플라이스 테이프들로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한 재료의 선택은 온도, 화학 제품(탈가스를 포함한), 기계적인 강도, 파라미터에 따른 유리 리본(10)의 고려된 하류 프로세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는 자기-접착 테이프, 즉 접착제가 제공된 테이프 또는 유리 리본(10) 상의 접착제 상에 놓여진 테이프가 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는 유리 리본(10)에 정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정전전하가 인가되는 비금속 부재가 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편의성을 위해,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 및 제2스플라이스 부재(32))는 그러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그들이 마치 자기 접착 테이프인 것처럼 기술된다.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30)에 있어서, 상기 단부(15, 25)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지만, 폭(46)을 갖는 갭(40)에 의해 이격된다. 상기 갭(40)은 길이 축(14)에 거의 수직인 길이 축(44)을 따라 확장한다. 상기 단부(15, 25)들은 상기 길이 축(14)에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는데, 이는 이러한 두께의 리본에 대한 에지(13)로서 동일한 강도 조건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즉, 상기 단부(15, 25)들이 축(14)에 거의 수직이기 때문에, 그것들에는, 상기 에지(13)와 같이, 하류 프로세스에서의 처리 장비로부터 유리 리본(10)에 가해진 굽힘 응력(유리 리본(10)이 롤러 둘레에 감길 때와 같이)이 미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단부(15, 25)는 에지(13)와 같은 동일한 강도를 가질 필요가 없으며, 덜 엄격한 절단/분리 방법에 의해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길이 축 34는 길이 축 44와 나란하게 정렬된 것으로 나타냈는데, 즉 상기 길이 축 34는 상기 길이 축 44 바로 위(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에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예컨대, 상기 길이 축 34는 상기 축 14 및/또는 축 44에 비스듬히 기울어질 수 있다. 폭(46)은 예컨대 유리 리본(10)이 이송되는 하류 프로세스에서 롤러 둘레를 감을 때와 같이 제1 및 제2유리 리본 부분(12, 22)이 상기 축(44; 또는 폭(46) 내에서 함께 평행한 축)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 단부(15, 25)들이 서로 문질러지지 않는 크기가 된다. 만약 상기 단부(15, 25)들이 서로 문질러지면, 유리 리본(10)에 수행되는 소정의 프로세스를 오염되게 하거나, 또는 유리 리본(10)에 바람직하지 않게 크랙을 생성하거나 전파하는 유리 미립자들이 생성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부(15, 25)들에 대한 서로간의 그러한 반복된 문질러짐 및/또는 비벼짐은 제1 및 제2유리 리본 부분(12, 22)에 크랙을 형성 및/또는 전파시킬 것이다. 그러한 단부(15, 25)들 서로간의 문지름/비벼짐을 피하기 위해, 폭(46)이 ≥ 100 ㎛가 될 것이다. 예컨대, 그러한 폭(46)은 ≥ 100 ㎛, ≥ 200 ㎛, ≥ 500 ㎛, ≥ 1000 ㎛가 될 것이다. 또한, 그와 같은 폭은 저비용의 기계적인 분리 방법, 예컨대 블레이드, 회전 절단기에 의해 스크라이브(scribe)하여 절단하는 방법이나, 또는 전단(shearing)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단부(15, 25)들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갭(40)은 상기 단부들이 서로 완전히 평행하지 않고, 그리고/또 길이 축(14)에 완전히 수직하지 않을 지라도 상기 단부(15, 25)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는 제1주면(17, 27)들에 연결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는 대신 제2주면(19, 29)들에 연결될 것이다.
제2실시예가 도 1 및 5 내지 7과 연관되어 기술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주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이 기술되며,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1실시예와 연관되어 기술된 것들과 유사하며, 실시예에 걸쳐 동일한 참조부호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표기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스플라이스 부재(31)는 제1주면(17, 27)들에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제2스플라이스 부재(32)는 제2주면(19, 29)들에 연결된다. 제2스플라이스 부재(32)는 제1실시예의 스플라이스 부재(31)와 연관되어 상기 기술한 동일한 특성들을 갖는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러한 스플라이스 부재(31, 32)들은 유리 리본(10)의 전체 폭(16)을 가로질러 확장되나, 몇몇 상황에 따라서는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 32)들이 서로 동일한 폭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역시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더욱이,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 32)들은 통상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확장하고 갭(40) 밖에 유지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서로 접촉하는 지점(37)까지 갭(40) 내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갭(40) 내로 확장하는 스플라이스 부재(31, 32)들을 갖는 것은 단부(15, 25)들이 서로에 대해 문질러지는 것에 대한 추가적인 방지를 제공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갭(4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폭을 가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가된 확고한 단단함(제1유리 리본 부분(12)과 제2유리 리본 부분(22)이 서로에 대해 축 정렬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능력) 뿐만 아니라 제1실시예를 미루어 보건대 제2스플라이스 부재(32)의 존재로 인해 축(44)에 대한 증가된 내회전성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는 처리 유체가 갭(40)으로 들어가는 제1실시예에서 보다 덜 영향을 받는다. 만약 처리 유체가 갭(40)으로 들어가 액체 상태로 그곳에 유지되면, 그것들은 하류 프로세스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오염을 야기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제2주면(19, 29)들 상에 제2스플라이스 부재(32)의 존재로 인해, 상기 단부(15, 25)들은 유리 리본(10)이 이송될 때 갭(40)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처리 장치에서 덜 영향을 미치게 할 것이다. 변형으로서, 스플라이스 부재(31, 32)들은 한 측면 또는 각각의 측면 상에 제1 및 제2유리 리본 부분(12, 22)들의 에지(13)에 걸칠 수 있다. 이후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 32)들은 서로 에지(13)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서로 접착될 것이다.
몇몇 상황에서,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 32)들은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힘이 인가될 때 서로 균형을 유지하여 휘어지거나 트위스트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양 스플라이스 재료는 동일한 영률 및 단면적을 가지며, 예컨대 ≥ 1 GPa의 영률을 갖는다. 그러나, 스플라이스 부재(31, 32)는 동일한 영률 및 단면적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20 kg의 힘(즉, 20 kgf = 200 N)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20%의 신장도를 갖도록 등가의 영률 및 단면적을 함께 취해야 한다. 그러한 단면적은 갭(40)에 인접하여 배치된 것과 같은 스플라이스 부재의 단면적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는 20 kg의 힘(즉, 20 kgf = 200 N)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10%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는 20 kg의 힘(즉, 20 kgf = 200 N)을 인가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가 ≤ 5%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다.
제3실시예가 도 1 및 8 내지 9와 연관되어 기술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주로 다른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이 기술되며,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연관되어 기술된 것들과 유사하며, 실시예에 걸쳐 동일한 참조부호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표기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스플라이스 부재(31)는 제1주면(17) 및 제2주면(29)에 연결된다. 제2스플라이스 부재(32)는 제1주면(27) 및 제2주면(19)에 연결된다. 스플라이스 부재(31, 32)는 폭(16)을 가로질러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나, 몇몇 상황에서는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대신, 제2스플라이스 부재(32)는 그 중간 부분에 걸쳐 구멍을 포함하고 제1스플라이스 부재(31)가 그것을 통해 삽입되며(또는 그 반대), 이에 의해 제2스플라이스 부재(32)가 양 에지(13)들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1스플라이스 부재(31)가 길이 축(14)을 따라 좀더 중심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들은 전체 폭(16) 이하로 가로질러 배치된다. 더욱이, 단지 2개의 스플라이스 부재를 나타냈을 지라도, 소정의 적절한 수가 사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와 유사하게, 적어도 스플라이스 부재(31, 32)들의 일부분이 단부(15, 25)들간 갭(40)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는 단부(15, 25)들이 서로에 대해 문질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양호한 성능을 제공한다.
제4실시예가 도 1 및 10 내지 12와 연관되어 기술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주로 다른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이 기술되며,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연관되어 기술된 것들과 유사하며, 실시예에 걸쳐 동일한 참조부호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표기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스플라이스 부재(31)는 단부(33)를 갖추며, 제1주면(17, 27)에 연결되고 또한 제2주면(19, 29)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31)는 또 다른 에지(13)에 가깝게 위치한 단부(33)와 함께 어느 한 에지(13) 둘레를 감싸는 것을 나타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31)는 각각의 제1주면(17, 27) 및 제2주면(19, 29) 상의 전체 폭(16)에 걸쳐 확장한다. 그러나, 몇몇 상황에서(유리 리본(10)이 습식 처리 공정에 들어가는 것으로 기대하지 않을 때와 같이),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31)는 그 전체 폭(16) 이하에 걸쳐 확장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31)는 양 에지(13) 둘레를 감쌀 것이다. 이러한 후자의 경우에, 단부(33)들은 제1주면(17, 27)에 인접하거나 또는 제2주면(19, 29)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서로 접하거나 또는 갭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소정의 상황에 있어서, 유리 리본(10)에 수행되는 처리 공정은 유체의 적용 또는 분사를 포함하며, 서로 접하는 단부(33)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그것은 그러한 유리 리본(10)에 수행된 처리 공정이 유체를 분배하는 측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단부(33)들을 갖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유리 리본(10)에 수행된 처리 공정으로부터의 유체가 갭(40)으로 강제로 들어가도록 하면, 단부(15, 25)에 걸쳐 크랙 전파를 야기하고 심지어 유리 리본(10)의 조각 분리를 야기할 것이다. 더욱이, 만약 갭(40)이 충분한 폭(46)을 가지면, 이는 제2실시예의 스플라이스 부재와 관련하여 기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갭(40)의 일부(심지어 자체 접촉 지점에)에 제1스플라이스 부재(31)를 배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31)는 좀 떨어져 에지(13) 위에 걸친 그 단부(33)를 가지며 그 자체에 접착될 것이다.
제5실시예가 도 1 및 13 내지 14와 연관되어 기술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주로 다른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이 기술되며,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연관되어 기술된 것들과 유사하며, 실시예에 걸쳐 동일한 참조부호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표기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 리본(10)은 섹션(52), 웹 부분(54), 및 두께(58)를 갖는 에지 탭(50)을 포함한다. 상기 섹션(52)은 접착제에 의해 적어도 제1주면(17, 27) 및/또는 제2주면(19, 29)의 일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에지 탭(50)은 상기 웹 부분(54)이 손상 없이 유리 리본(10)의 인도 및/또는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에지(13)로부터 확장되도록 유리 리본(10)에 배치된다. 상기 웹 부분(54)은 유연한(그러나 확고한)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 리본(10)의 안쪽 비-코팅부와 직접 접촉할 필요없이 제조 단계에서 처리하기 위한 유리 리본을 유지 및/또는 이송 및/또는 정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웹 부분(54)은 유리 자체를 물리적으로 접촉할 필요없이 롤러와 같은 인도 장비에 의해 접촉될 수 있는 핸들링 면(handling surface)을 제공하며, 또 정렬 보조물이 원하는 처리 장비와 정렬될 때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에지 탭(50)의 웹 부분(54)은 롤러에 의해 그립(grip)되고, 스프로켓(sprocket)과 체결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코팅의 확장된 부분을 고정하는 다른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4에는 유리 리본(10)의 횡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두께(58)는 유리 리본 부분(12, 22)의 제1주면(17, 27) 상을 확장한다. 선택적으로, 그러한 두께는 스플라이스 부재가 제2주면(19, 29) 상에 배치될 때와 같이 유리 리본 부분(12, 22)의 제2주면(19, 29) 상을 확장한다. 비록 에지 탭(50)이 각각의 에지(13)들 상에 나타나 있을 지라도,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대신 에지의 어느 하나에만 에지 탭(50)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4실시예 및 도 12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에지 탭(50)을 갖지 않은 에지(13) 둘레를 확장하는 스플라이스 부재(3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비록 좀더 얇게 나타냈을 지라도, 웹 부분(54)에서의 에지 탭 두께는 상기 두께(58)에 거의 2배가 될 수 있다.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는 제1주면(17, 27) 상을 확장하는 두께(38)를 갖는다. 그 두께(38)는 롤(2)에 배치될 때 유리 리본(10)의 또 다른 층에 의해 스플라이스 부재(31)가 눌려지지 않도록 두께(58)와 같거나 작으며(즉, ≤두께(58)), 이에 따라 유리 리본(10) 상에 과도한 힘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가 제1주면(17, 27)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을 지라도, 대신 제2주면(19, 29)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상기 두께 38, 58은 제2주면(19, 29)으로부터 측정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단지 하나의 스플라이스 부재(31)만을 나타냈을 지라도,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기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2스플라이스 부재(32)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 상기 제2스플라이스 부재(32)는 단지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만을 연관지어 기술한 것과 유사한 두께를 가질 것이다. 더욱이, 비록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가 갭에 의해 에지 탭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을 지라도, 몇몇 상황에서는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대신 단부(33)들이 그 에지 탭(50)에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스플라이스 부재(31)는 에지 탭(50)의 두께(58)가 그 두께(38)를 오버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두께(38, 58)가 오버랩되면, 두꺼운 지점이 롤(2)에서 발생되고, 과도한 힘이 그 롤(2) 내에 유리 리본(10)에 인가될 것이다. 몇몇 적용에 있어서, 이는 스플라이스 부재(31)가 한 측면 또는 양 측면 상에 에지 탭과 오버랩될 경우 수용가능하다. 또한, 에지 탭(50)이 유리 요소 12 및 22 상에 모두 존재하거나 또는 이들 유리 요소 중 단지 어느 하나 상에만 존재할 수 있다. 만약 에지 탭(50)이 유리 요소 12 및 22 상에 모두 존재하면, 그것은 연속으로 동일한 요소가 되지 않으나, 갭이 유리 요소(12) 상의 에지 탭과 유리 요소(22) 상의 에지 탭 사이에 존재할 것이다. 예컨대, 그러한 에지 탭이 소정의 스플라이싱 기능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거나 주지 않을 것이다.
제6실시예가 도 1 및 15와 연관되어 기술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주로 다른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이 기술되며,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연관되어 기술된 것들과 유사하며, 실시예에 걸쳐 동일한 참조부호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표기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31)는 폭(36) 및 길이 축(34)을 가지며, 상기 길이 축(34)은 길이 축(14)에 평행하게 또는 동축으로 배치된다.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31)가 제1주면(17, 27)에 연결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대신 제2주면(19, 29)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폭 36은 폭 16과 거의 동일하나, 어떤 상황(유리 리본(10)이 습식 처리 공정에 들어가는 것으로 기대하지 않을 때와 같이)에서는 상기 폭 36이 상기 폭 16보다 다소 더 작아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비록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스플라이스 부재의 제2섹션(32; 단지 본 실시예의 스플라이스 부재(31)만을 연관지어 기술한 것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이 제2주면(19, 29)에 연결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31, 3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에지(13) 둘레를 감싼 하나의 연속하는 스플라이스 부재의 섹션이 되거나(제4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또는 분리된 부재가 될 것이다(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조인트 파라미터의 몇몇 예언적인 예들이 이하 기술되며, 그러한 예들은 유리 리본 부분들이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그 유리 리본 부분(12, 22)들이 확고하면서 신뢰성 있게 떨어져 있도록, 그리고 단부(15, 25)들이 서로 문질러지거나 비벼지지 않도록 수용가능한 범위 내에서 신장도를 계속해서 유지하기 위해 어떻게 단면적 및 영률을 변경하는지를 기술하고 있다.
예 1
50 ㎛의 두께, 250 mm의 폭, 그리고 1 GPa의 영률을 갖는 스플라이스 부재(31)가 주면(17, 27)에 적용되며, 여기서 갭(40)은 100 ㎛이다(스플라이스 길이에 대응하는). 10 kgf(100 N)는 8 MPa의 응력, 및 산출된 0.8%의 스트레인(strain)을 생성한다(0.8 ㎛의 스플라이스 길이의 변경에 대응하는).
예 2
스플라이스 부재(31) 및 갭(40)은 스플라이스 부재(31)가 절반의 두께(즉, 25 ㎛)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예 1에서와 동일하다.
특히: 25 ㎛의 두께; 250 mm의 폭; 1GPa의 영률; 및 100 ㎛의 갭.
이러한 예에 있어서, 10 kgf는 16 MPa의 응력, 및 산출된 1.6%의 스트레인을 생성한다(1.6 ㎛의 스플라이스 길이의 변경에 대응하는).
예 3
스플라이스 부재(31) 및 갭(40)은 스플라이스 부재(31)가 보다 낮은 영률(즉, 0.5 GPa)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예 1에서와 동일하다.
특히: 50 ㎛의 두께; 250 mm의 폭; 0.5 GPa의 영률; 및 100 ㎛의 갭.
이러한 예에 있어서, 10 kgf는 8 MPa의 응력, 및 산출된 1.6%의 스트레인을 생성한다(1.6 ㎛의 스플라이스 길이의 변경에 대응하는).
예 4
예 3에 따른 특성을 각각 갖는 상기 제2실시예에 따라 배치된 2개의 스플라이스 부재(31, 32)가 사용된다(즉, 100 ㎛의 총 스플라이스 부재 두께). 갭(40)은 100 ㎛를 유지한다.
특히, 각각의 스플라이스 부재는 50 ㎛의 두께; 250 mm의 폭; 및 0.5 GPa의 영률을 갖는다.
10 kgf는 4 MPa의 응력, 및 산출된 0.8%의 스트레인을 생성한다(0.8 ㎛의 스플라이스 길이의 변경에 대응하는).
예 5
스플라이스 부재(31) 및 갭(40)은 스플라이스 부재의 폭이 보다 좁은(즉, 100 mm) 것을 제외하고는 예 1에서와 동일하다.
특히: 50 ㎛의 두께; 100 mm의 폭; 1 GPa의 영률; 및 100 ㎛의 갭.
10 kgf는 20Pa의 응력, 및 산출된 2%의 스트레인을 생성한다(2 ㎛의 스플라이스 길이의 변경에 대응하는).
예 6
25 ㎛의 두께, 100 mm의 폭, 그리고 0.5 GPa의 영률을 갖는 스플라이스 부재(31)가 주면(17, 27)에 적용되고, 여기서 갭(40)은 5000 ㎛이다(스플라이스 길이에 대응하는). 20 kgf(200 N)는 80 MPa의 응력, 및 산출된 16%의 스트레인을 생성한다(800 ㎛의 스플라이스 길이의 변경에 대응하는).
상기 예들로부터 다수의 관계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예 1과 예 2의 비교로부터, 스플라이스 부재의 두께의 감소는 양쪽 모두 스트레인의 증가 및 스플라이스 길이의 변경을 야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 1과 예 3의 비교로부터, 영률의 감소는 양쪽 모두 스트레인의 증가 및 스플라이스 길이의 변경을 야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 4와 예3의 비교로부터, 하나의 스플라이스 부재 대신 2개의 스플라이스 부재(동일한 특성을 갖는)를 사용하는 것은 양쪽 모두 스트레인의 감소 및 스플라이스 길이의 변경을 야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 4와 예 1의 비교로부터, 각각 동일한 두께를 갖지만 절반의 영률을 갖는 2개의 스플라이스 부재를 배치하는 것은, 하나의 스플라이스 부재가 유사한 확고한 단단함을 갖는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생성함에 따라, 즉 동일한 힘이 인가될 때 동일한 스트레인 및 스플라이스 길이의 변경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 1과 예 5의 비교로부터, 스플라이스 부재의 폭의 감소는 양쪽 모두 스트레인의 증가 및 스플라이스 길이의 변경을 야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 1과 예 6의 비교로부터, 스플라이스의 확고한 단단함의 상당한 감소(감소된 폭, 감소된 두께, 및 감소된 영률을 통해)는 스트레인의 상당한 증가(그리고 스플라이스 길이의 변경에 대응한), 심지어 모든 다른 것들은 동일하고 10 kgf에서 20 kgf의 증가로 기대했던 것보다 더 많은 증가를 야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모든 다른 것들은 동일하고 힘의 배가에 의한 신장도의 증가는 두 배로 예상될 것이다. 그러나, 이후 스플라이스 부재의 폭, 두께, 및 영률의 상당한 변경은 신장도의 상당한 증가를 야기한다.
유리 리본(10)의 연속 부분으로부터 단부(15, 25)를 형성하는 한 방식이 도 16 및 17에 나타나 있다. 이것은 어느 한 롤(2)의 단부를 준비하는데 유용하고 함께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또 다른 롤(2)의 개시에 유용하다. 선택적으로, 단부(15, 25)를 형성하는 이러한 방식은 어떻든 둘 다 롤(2)의 일부인 소정 2개의 리본 부분(12, 22)을 함께 스플라이싱할 때 사용될 것이다.
단부(15, 25)를 형성하는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우선 의도된 절단선(73)을 가로지르도록 테이프(70)가 유리 리본에 연결된다. 상기 테이프(70)는 스플라이스 부재(31, 32)와 관련하여 상기 기술한 동일한 타입이 될 것이다. 상기 테이프(70)는 스플라이스 테이프(31)와 같이 다음의 처리 조건과 호환될 수 있으나, 만약 실제로 함께 스플라이스를 유지하는데 사용되지 않으면 동일한 영률을 가질 필요는 없다. 상기 테이프(70)는 유리 리본(10)의 주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단부(15, 25)들이 상술한 바와 같이 롤-투-롤 제조와 관련된 응력을 견딜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것들은 에지(13)처럼 높은 강도를 가질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이후 예컨대 블레이드, 전단기(shear), 또는 회전 절단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기계적인 절단 방법이 절단선(73)을 따라 유리 리본(10)을 절단하는데 이용되고, 이에 따라 단부(15, 25)들을 형성한다. 덜 엄격한 절단 방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스플라이스 조인트가 좀더 빠르게 만들어질 수 있다. 절단하는 동안, 기계적인 절단요소가 유리 리본(10)의 전체 두께(18)에 걸쳐 확대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프(70)는 절단 공정으로부터 소정의 상당한 미립자를 포함한다. 다음에 상기 테이프(70)는 소정의 또 다른 기술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스플라이싱 전에 유리 리본(10)으로부터 제거될 것이다. 만약 테이프(70)가 제거되면, 유리에 대한 그 접착이 상대적으로 낮아져야 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 다음의 처리 조건을 잘 견딜 필요가 없다. 절단을 위해 허용가능한 임시의 코팅의 예로서 유리에 대한 비교적 낮은 일시적인 접착성을 갖는 실리콘 필름 또는 그 외의 다른 낮은 영률의 재료가 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테이프(70)는 정위치에 두고, 스플라이스 부재(31 및/또는 32; 소정의 또 다른 기술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은)가 그 상부에 걸쳐 위치된다. 상기 테이프(70)를 정위치에 두면, 이 또한 롤러에 대해 구부러질 때와 같이 처리 동안 유리 리본(10)에 응력이 가해질 때 크랙 전파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단부(15, 25)를 형성하는 이러한 방식은 여기에 기술된 소정의 실시예들과 연관지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단부(15, 25)를 형성하는 이러한 방식은, 에지 탭(50)이 제공되는 제5실시예의 스플라이스의 경우에서와 같이, 2개의 다른 재료, 예컨대 유리 및 폴리머에 걸쳐 절단할 필요가 있을 때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테이프(70)는 한쪽 또는 양쪽 주면 상의 에지(50)들간 리본 상에 위치될 것이다. 제5실시예의 상기 기술한 것과 유사하게, 이는 에지 탭(50)을 오버랩하지 않는 테이프(70)를 갖는데 유효하고, 스플라이스 부재의 두께(38)와 함께 에지 탭(50)의 두께(58)보다 작거나 같아지도록 테이프(70)의 두께를 선택하는데 유효하다. 이는 두께의 증가를 야기할 지라도 에지 탭(50)을 오버랩하는 테이프(70)를 갖기 위한 소정의 적용에 수용가능할 것이다. 상기 이외에, 절단선(73)을 따라 절단하기 전에, 폭(16)을 가로질러 의도적인 파단(75, 77; intentional break)이 깔끔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 테이프(70)는 각각의 의도적인 파단(75, 77; 또는 파단선)의 각 측면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절단이 절단선(73)을 따라 행해진 후 함께 유리 리본(10)의 새롭게 형성된 각각의 부분(12, 22)들을 유지한다. 의도적인 파단(75, 77)이 형성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테이프(70)가 적용될 것이다. 이러한 깨끗한 파단(75, 77)이 굽힘 응력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것들은 나타낸 바와 같이 그러한 의도적인 파단(75, 77)들 사이에 형성된 절단선(73)을 따라 기계적인 절단으로 인해 형성된 크랙의 잠재적인 전파를 포함한다. 특히, 초기의 결함이 유리 리본에서 이루어지고, 테이프(70)가 그러한 초기 결함에 걸쳐 적용되고, 이후 유리 리본의 폭을 가로질러 초기 결함을 전파하기 위해 유리 리본에 굽힘 응력이 인가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테이프(70)는 절단 후 정위치에 남겨 두며, 스플라이스 부재(31, 32)가 그 상부에 걸쳐 제공될 것이다. 유리 리본(10)이 이미 그 위에 배치된 코팅 또는 적층을 포함할 경우, 즉 유리 리본(10)이 코팅된 유리 리본인 경우, 테이프(70)를 부착하는 첫번째 단계가 생략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경우에서 조차, 그러한 의도적인 파단(75, 77)은 또한 크랙 전파가 제한되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나타낸 구성에 대한 대안으로, 테이프(70)는 유리 리본(10)의 제1주면 및 제2주면 모두에 적용될 것이다.
상기 기술한 스플라이스 조인트(30)의 소정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갭(40)이 필러 재료(80; 도 20-23 참조)로 충진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충진될 것이다. 어떤 경우, 습식 처리 공정이 유리 리본(10)에 수행될 때와 같이, 갭(40)을 충분히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러 재료(80)는 예컨대 폴리머(경화성 타입을 포함한), 또는 실리콘이 될 것이다. 상기 필러 재료(80)는 단부(15, 25)간 서로 문질러지거나 비벼지는 양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필러 재료는 그러한 양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습식 처리 재료가 유리 리본(10)에 트랩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잠재적으로 하류 프로세스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단부(15, 25) 상에 부딪히는 습식 처리 재료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필러 재료(80)는 각 부분(12, 22)에서의 크랙의 야기 또는 전파나, 또는 심지어 리본의 조각이 떨어져 나가게 하는 처리 재료들의 변경을 감소시킨다.
갭(40)에 필러 재료(80)를 배치하는 한 방식이 이하 도 18 내지 23과 연관시켜 기술될 것이다. 도 18 및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부분(12) 및 제2부분(22)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갭(40)에 의해 분리된다. 제1스플라이스 부재(31)는 갭(40)을 유리 리본의 상부로부터 노출하기 위해 제2주면(19, 29)에 연결된다. 도 20 및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후 필러 재료(80)가 갭(40)에 그리고 스플라이스 부재(21) 상부에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도 22 및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후 제2스플라이스 부재(32)가 필러 재료(80)를 통해 제1주면(17, 27)에 연결된다. 어떤 경우, 습식 처리 공정이 유리 리본(10)에 수행될 때와 같이, 스플라이스 부재(31, 32) 및/또는 필러 재료(80)가 유리 리본(10)의 전체 폭에 걸쳐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경우, 스플라이스 부재(31, 32) 및/또는 필러 재료(80)가 유리 리본(10)의 전체 폭 이하에 걸쳐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2개의 스플라이스 부재(31, 32)가 나타나 있을 지라도, 제1주면(17, 27) 또는 제2주면(19, 29) 상에 그들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도 1 내지 4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또한, 도 10 내지 12에 나타낸 제4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제1주면(17, 27) 및 제2주면(19, 29) 모두에 연결된 하나의 스플라이스 부재(31)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소정 적절한 수의 스플라이스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특히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발명의 다양한 원리들의 완전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단지 실시예일 뿐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사상 및 다양한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많은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와 같은 모든 변형 및 변경들은 이러한 개시 및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본원에 포함됨과 더불어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다.
*예컨대, 비록 유리 리본(10)의 롤(2)이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물 없이 나타나 있지만, 롤(2)의 유리 리본(10)의 층들 사이에 그와 같은 삽입물이 제공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 그러한 삽입물은 유리 리본(10)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고, 스플라이스 조인트가 형성되고, 다시 삽입물이 유리 리본의 표면에 대체될 것이다.
비록 제2부재(22)가 유리 리본의 제2부분이 되는 것으로 기술했을 지라도, 상기 제2부재가 유리와 다른 선도재/후미재, 예컨대 페이퍼,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때 여기에 기술한 동일한 스플라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도부/후미부는 유연한 유리보다는 깨지지 않는 보다 저렴한 재료가 될 것이다. 상기 제2부재(22)가 선도부일 때, 유리 리본(10)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기에 스플라이스될 것이다(여기에 기술한 또 다른 배열들 뿐만 아니라). 도 24에 있어서, 선도부(60)가 유리 리본(10)에 스플라이스되고, 그것들은 화살표 5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선도부(60)는 유리 리본을 비벼 벗기지 않는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플라이스 조인트(30)에 있어서, 선도부(60) 및 유리 리본(10)은 서로 오버랩되고, 폭(62)의 영역으로 서로 정전기적으로 끌어 당겨진다. 즉, 그들이 서로 가까워지면 정전력이 서로를 강하게 끌어 당기도록 대향의 정전력이 유리 리본(10) 및 선도부(60)에 인가된다. 유리 리본(10) 및 선도부(60) 모두가 비전도성이기 때문에, 그 정전력은 그들 서로간의 접촉을 충분히 유지하는데, 수개월 정도 저장될 때조차 그들 서로간 접촉을 충분히 유지한다. 후미 부재(trailing member)의 상부에 선도 부재(leading member)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도부(60)가 화살표 5의 방향으로 이송될 때 유리 리본(10)의 상부에 선도부(6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4에 나타낸 것의 대안으로, 만약 부재(60)가 후미부이고, 유리 리본이 화살표 5의 반대 방향으로 이송된다면, 그 부재(60)는 유리 리본(10)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플라이스 부재는 도 24의 설명과 관련하여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전력에 의해 유리 리본에 연결된 부재 또는 테이프(그 위에 자체 접착층을 갖거나 또는 분리된 접착층이 스플라이스 부재에, 유리에, 또는 그 모두에 제공된 테이프를 포함한)가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비록 스플라이스 부재(31, 32)가 몇몇 실시예에서 2개의 분리된 부재인 것으로 기술했지만, 그것들은 하나의 연속하는 스플라이스 부재의 2개의 다른 섹션들일 수 있다.
도 1에 유리 리본(10)이 화살표 5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즉 제2부분이 선단부(leading end)로 나타냈을 지라도, 소정 실시예 전체에 걸쳐, 제1부분이든 또는 제2부분이든 선단부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유리 리본(10)이 또 다른 롤로 이송(화살표 5의 방향으로)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다시 감겨지거나, 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하류 프로세스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문장에서,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은 용어 "하류 프로세스"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 리본 부분(12, 22)들 또는 선택적으로 유리 리본 및 선도재/후미재(즉, 선도부/후미부)는 각기 다른 폭이 될 수 있다. 만약 선도부/후미부가 유리 리본과 다른 폭이면, 그 선도부/후미부는 스플라이스 조인트에서 유리 리본과 더 가깝게 매치되도록 그 폭이 테이퍼(taper)질 것이다.
유리 리본은 그 주면들 중 어느 하나에 또는 그 모두에 제공된 단일의 또는 다수의 코팅을 갖는다. 이들 다수의 코팅은 부분적으로 제조된 또는 전체적으로 제조된 장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유리 리본(10)이 롤(2)에 배치된 것으로 개시되어 있을 지라도,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유리 리본(10)은 전체적으로 확장되거나, 또는 소정 길이의 시트 또는 조각의 형태로 함게 스플라이스될 수 있다. 더욱이, 유리 리본이 제1 및 제2부분을 갖는 것으로 기술했을 지라도, 여기에 기술된 구조 및 방법들에 따라 소정 적절한 수의 부분들이 서로 함께 스플라이스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소정의 적절한 유리 리본의 길이가 롤(2)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도 1에서 유리 리본(10)이 롤(2)에 감겨져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있을 지라도, 여기에 개시된 스플라이싱 방법 및 조인트들은 예컨대 다운-드로우 프로세스, 퓨전 프로세스, 슬롯 드로우 프로세스, 업-드로우 프로세스, 또는 플롯 프로세스와 같은 형성 프로세스로부터 직접 이송된 유리 리본에 적용될 수 있다.
2 : 롤, 10 : 유리 리본,
30 : 스플라이스 조인트, 31,32 : 스플라이스 부재,
50 : 에지 탭, 70 : 테이프,
80 : 필러 재료.

Claims (14)

  1. 제1주면, 제2주면 및 단부를 포함하는 제1유리 리본 부분;
    제1주면, 제2주면 및 단부를 포함하는 제2유리 리본 부분; 및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을 상기 제2유리 리본 부분에 결합하는 버트 조인트(butt joint)를 포함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의 단부는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의 단부와 제2유리 리본 부분의 단부간 위치된 갭의 폭에 의해 상기 제2유리 리본 부분의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에 연결된 제1단부 및 상기 제2유리 리본 부분에 연결된 제2단부를 포함하는 제1스플라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는 20 kg의 힘을 인가할 때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가 ≤ 20%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 유리 리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의 단부와 제2유리 리본 부분의 단부간 갭의 폭은 ≥ 100 ㎛인, 유리 리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갭 내에 배치되는, 유리 리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갭 내에 필러 재료가 배치되는, 유리 리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의 제1단부는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의 제2단부는 상기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에 연결되는, 유리 리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에 연결된 제1단부 및 상기 제2유리 리본 부분에 연결된 제2단부를 포함하는 제2스플라이스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리 리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1스플라이스 부재의 제1단부는 제1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에 연결되고, 제1스플라이스 부재의 제2단부는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에 연결되며,
    제2스플라이스 부재의 제1단부는 제1유리 리본 부분의 제2주면에 연결되고, 제2스플라이스 부재의 제2단부는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제2주면에 연결되는, 유리 리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스플라이스 부재의 일부분 및 제2스플라이스 부재의 일부분은 서로 접촉하도록 갭 내로 확장하는, 유리 리본.
  9. 청구항 6에 있어서,
    제1스플라이스 부재의 제1단부는 제1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에 연결되고, 제1스플라이스 부재의 제2단부는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제2주면에 연결되며,
    제2스플라이스 부재의 제1단부는 제1유리 리본 부분의 제2주면에 연결되고, 제2스플라이스 부재의 제2단부는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의 일부분이 갭 내에 배치되고, 제2스플라이스 부재의 일부분이 갭 내에 배치되는, 유리 리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가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 및 제2주면과 상기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제1주면 및 제2주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는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의 에지 및 상기 제2유리 리본 부분의 에지 둘레를 감싸는, 유리 리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플라이스 부재는 ≥ 1 GPa의 영률을 갖는, 유리 리본.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리본의 두께는 50 ㎛ 내지 300 ㎛인, 유리 리본.
  13. 제1유리 리본 부분의 단부와 제2유리 리본 부분의 단부간 갭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분리된 제1유리 리본 부분의 단부 및 제2유리 리본 부분의 단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스플라이스 부재의 제1단부를 제1유리 리본 부분에 연결하고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의 제2단부를 제2유리 리본 부분에 연결함으로써 적어도 갭의 일부분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유리 리본 부분과 제2유리 리본 부분을 연결하도록 스플라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는 20 kg의 힘을 인가할 때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가 ≤ 20%의 신장도를 갖도록 영률 및 단면적을 갖는, 제1유리 리본 부분을 제2유리 리본 부분에 스플라이싱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는 ≥ 1 GPa의 영률을 갖는, 제1유리 리본 부분을 제2유리 리본 부분에 스플라이싱하는 방법.
KR1020177005937A 2010-11-30 2011-11-29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KR101810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809410P 2010-11-30 2010-11-30
US61/418,094 2010-11-30
PCT/US2011/062327 WO2012074971A2 (en) 2010-11-30 2011-11-29 Structures and methods for splicing glass ribb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203A Division KR101714828B1 (ko) 2010-11-30 2011-11-29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818A Division KR101896208B1 (ko) 2010-11-30 2011-11-29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642A KR20170029642A (ko) 2017-03-15
KR101810821B1 true KR101810821B1 (ko) 2017-12-19

Family

ID=4544617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818A KR101896208B1 (ko) 2010-11-30 2011-11-29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KR1020177005937A KR101810821B1 (ko) 2010-11-30 2011-11-29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KR1020187025135A KR20180100270A (ko) 2010-11-30 2011-11-29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KR1020137017203A KR101714828B1 (ko) 2010-11-30 2011-11-29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818A KR101896208B1 (ko) 2010-11-30 2011-11-29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135A KR20180100270A (ko) 2010-11-30 2011-11-29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KR1020137017203A KR101714828B1 (ko) 2010-11-30 2011-11-29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06066B2 (ko)
JP (3) JP5930550B2 (ko)
KR (4) KR101896208B1 (ko)
CN (2) CN103347829B (ko)
TW (4) TW201902842A (ko)
WO (1) WO201207497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4136B2 (ja) 2012-07-02 2018-04-1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基板を加工する方法およびガラス器具
TW201412658A (zh) * 2012-09-26 2014-04-01 Corning Inc 用於可撓式玻璃帶之邊緣修正管理
US9809483B2 (en) 2012-09-26 2017-11-07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d separating a flexible ribbon configuration
JP6214998B2 (ja) * 2012-10-19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薄ガラス長尺体
TWI591040B (zh) * 2012-10-22 2017-07-11 康寧公司 玻璃纖維網和拼接的方法
JP6033096B2 (ja) * 2013-01-17 2016-11-30 日東電工株式会社 薄ガラス長尺体
JP6299405B2 (ja) * 2014-05-13 2018-03-28 旭硝子株式会社 複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CN106457776B (zh) * 2014-05-14 2018-09-28 Agc株式会社 复合体、层叠体和电子器件以及它们的制造方法
EP3268322A1 (en) * 2015-03-13 2018-01-17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glass ribbons and glass ribbons formed thereby
JPWO2016175126A1 (ja) * 2015-04-27 2017-12-21 京セラ株式会社 光伝送モジュール
IT201600130218A1 (it) 2016-12-22 2018-06-22 Gambini Spa Metodo e apparato per la giunzione del velo di una bobina di carta in esaurimento con il lembo iniziale di una nuova bobina.
CN106977089B (zh) * 2017-05-05 2019-11-08 东旭科技集团有限公司 玻璃压断装置、玻璃压断方法和玻璃切割系统
CN107444951B (zh) * 2017-07-24 2019-03-05 宁夏海力电子有限公司 化成箔接箔方法
JP2020032563A (ja) * 2018-08-28 2020-03-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
KR20210148128A (ko) * 2019-03-29 2021-12-0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필름 복합체 반송 방법
EP3959163A4 (en) * 2019-04-15 2024-05-22 Sonoco Dev Inc TAPE CONNECTION
WO2020257552A1 (en) * 2019-06-20 2020-12-24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lass ribbon
DE102019117180A1 (de) * 2019-06-26 2020-12-31 Hauni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von zwei jeweils von einer Bobine ablaufenden Materialbahn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514A (ja) * 2000-02-23 2001-08-28 Shikoku Kakoki Co Ltd ロールフィルム接続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10132350A (ja) * 2008-10-01 2010-06-1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610A (en) 1912-07-25 1914-08-04 Bicheroux Lambotte And Cie Gmbh Apparatus for cutting plate-glass.
US1731820A (en) 1926-05-10 1929-10-15 Libbey Owens Glass Co Process for cutting laminated glass
US1895779A (en) * 1929-07-10 1933-01-31 Mississippi Glass Co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 cutting wire glass
US2386346A (en) 1944-03-11 1945-10-09 Wood Newspaper Mach Corp Web splicing
US3089801A (en) 1957-05-27 1963-05-14 Minnesota Mining & Mfg Ultra-thin glass sheet
US3233489A (en) 1962-03-29 1966-02-08 Norman J Quarve Method of splicing film and device therefor
US3292477A (en) 1965-02-19 1966-12-20 Potter Instrument Co Inc Tape splicer
US3573146A (en) 1969-08-18 1971-03-30 Norton Co Tape splice construction
US3754884A (en) * 1971-07-15 1973-08-28 Asg Ind Inc Glass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US3892614A (en) * 1973-03-08 1975-07-01 Simco Co Inc Electrostatic la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US3833447A (en) 1973-04-05 1974-09-03 A Gustafson Film splicer
GB1519524A (en) * 1975-11-19 1978-08-02 Agfa Gevaert Butt splicer for butt-joining a fresh web to an expiring web
US4487350A (en) * 1983-04-07 1984-12-11 Ppg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pattern shaped holes in glass sheets
JPS61215767A (ja) * 1985-03-15 1986-09-25 株式会社 有沢製作所 ガラスクロスの連継法
FR2648080B1 (fr) 1989-06-08 1991-10-11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e feuille continue de matiere plastique par coulee a l'etat liquide sur un support mobile comprenant des plaques de verre juxtaposees
JPH04243755A (ja) 1991-01-25 1992-08-31 Konica Corp ウエブの接合方法
US5323981A (en) 1991-12-13 1994-06-28 Sequa Corporation Splicer tape system
JPH05297334A (ja) 1992-04-20 1993-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素子用ガラス基板の切断加工方法
NL9300707A (nl) 1993-04-26 1994-11-16 Knp Papier Bv Werkwijze voor het lassen van een papierbaan en een kleefstrook ten gebruike bij deze werkwijze.
JPH072398A (ja) * 1993-06-15 1995-01-06 Toray Ind Inc シート状物の巻取り方法
US5622540A (en) * 1994-09-19 1997-04-22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breaking a glass sheet
JP3584539B2 (ja) * 1995-05-12 2004-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ガラス付き半導体ウエハの切断方法
JP2847697B2 (ja) * 1996-03-04 1999-01-20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リボン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11323264A (ja) * 1998-05-08 1999-11-26 Nitto Denko Corp スプライステープ
EP1048628A1 (de) * 1999-04-30 2000-11-02 Schott Glas Polymerbeschichtete Dünnglasfoliensubstrate
JP2000337464A (ja) * 1999-05-27 2000-12-05 Fuji Xerox Co Ltd 無端ベル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735982B2 (en) 2001-07-12 2004-05-18 Intel Corporation Processing relatively thin glass sheets
TWI226877B (en) * 2001-07-12 2005-01-21 Mitsuboshi Diamond Ind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dhered brittle material substrates and method of separating adhered brittle material substrates
EP1435341A1 (en) 2001-09-11 2004-07-07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device for joining band-shaped glass panes,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glass frame,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with glass frame
JPWO2003040049A1 (ja) * 2001-11-08 2005-03-03 シャープ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分断方法、ガラス基板の分断装置、液晶パネル、及び液晶パネル製造装置
JP4198601B2 (ja) * 2002-04-01 2008-12-17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脆性材料基板の分断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分断装置
JP3838637B2 (ja) * 2002-06-10 2006-10-25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基板ダイシング用粘着シートおよびガラス基板ダイシング方法
CN100389082C (zh) * 2002-10-04 2008-05-2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切块方法及其产品和该产品的应用
JP4661056B2 (ja) 2004-02-10 2011-03-30 Jsr株式会社 キャリアフィルム及びキャリア部材
JP4781661B2 (ja) * 2004-11-12 2011-09-28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US7161651B2 (en) 2004-11-20 2007-01-09 Luxell Technologies Inc. Method of resizing a liquid crystal display
JP2006250345A (ja) 2005-02-10 2006-09-21 Central Glass Co Ltd 強化ガラス板の接合方法
US7359764B2 (en) * 2005-05-16 2008-04-15 Ppg Industries Ohio, Inc. On-line/off-line scoring bridge
US20060280920A1 (en) * 2005-06-10 2006-12-14 Abbott John S Iii Selective contact with a continuously moving ribbon of brittle material to dampen or reduce propagation or migration of vibrations along the ribbon
JP5119582B2 (ja) * 2005-09-16 2013-01-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および超電導機器
WO2007072758A1 (ja) * 2005-12-20 2007-06-28 Sharp Kabushiki Kaisha 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フィルムロール
DE102006003200A1 (de) 2006-01-24 2007-08-02 Bhs Corrugated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Verfahren zum Splicen von Material-Bahnen und Splice-Vorrichtung
JP4813246B2 (ja) * 2006-04-28 2011-11-09 ユニヴァーシティ オブ サウサンプトン ガラス物品への部材の接合方法
US8168514B2 (en) 2006-08-24 2012-05-01 Corning Incorporated Laser separation of thin laminated glass substrates for flexible display applications
US8188404B2 (en) 2006-09-19 2012-05-29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processing method and laser processing apparatus
DE102007043567B3 (de) * 2007-09-13 2008-10-02 Grenzebach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ennen von Glasplatten
JP5509853B2 (ja) * 2007-10-30 2014-06-04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樹脂複合体の製造方法
TWI369326B (en) * 2008-04-16 2012-08-01 Corning Inc Packing of glass sheets
JP5532506B2 (ja) * 2008-10-01 2014-06-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
JP5691148B2 (ja) * 2008-10-01 2015-04-0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ガラスロール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2010189201A (ja) * 2009-02-16 2010-09-02 Epson Toyocom Corp 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5427434B2 (ja) * 2009-02-26 2014-02-26 日東電工株式会社 シート接続体の製造方法
JP5950078B2 (ja) * 2010-07-16 2016-07-1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シート巻回体
GB2501974B (en) * 2012-04-02 2016-09-07 Oxford Fiber Ltd Profiling of cleaved angled end faces of optical fib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514A (ja) * 2000-02-23 2001-08-28 Shikoku Kakoki Co Ltd ロールフィルム接続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10132350A (ja) * 2008-10-01 2010-06-1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208B1 (ko) 2018-09-07
JP2018100219A (ja) 2018-06-28
CN103347829B (zh) 2017-05-31
TW201627241A (zh) 2016-08-01
TWI551560B (zh) 2016-10-01
WO2012074971A3 (en) 2012-08-30
US20130236675A1 (en) 2013-09-12
TW201638032A (zh) 2016-11-01
TWI626223B (zh) 2018-06-11
KR101714828B1 (ko) 2017-03-09
CN106746568A (zh) 2017-05-31
TWI668194B (zh) 2019-08-11
KR20170029642A (ko) 2017-03-15
WO2012074971A2 (en) 2012-06-07
TW201902842A (zh) 2019-01-16
TW201235317A (en) 2012-09-01
KR20180100270A (ko) 2018-09-07
KR20170141809A (ko) 2017-12-26
JP2013544228A (ja) 2013-12-12
JP2016135739A (ja) 2016-07-28
CN103347829A (zh) 2013-10-09
CN106746568B (zh) 2019-09-06
KR20130136496A (ko) 2013-12-12
US9206066B2 (en) 2015-12-08
JP5930550B2 (ja)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821B1 (ko) 코팅된 유리 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방법, 유리 리본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방법 및 연합의 스플라이스된 유리 리본
TWI733926B (zh) 玻璃輥
US2012025567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 handling tab to continuous glass ribbons
CN104520218A (zh) 用于传送柔性玻璃基板的方法和设备
JP5140788B2 (ja) 液晶表示素子の連続製造システム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連続製造方法
WO2015087883A1 (ja) 接着テープ構造体及び接着テープ収容体
US20170349395A1 (en) Glass webs and methods of splicing
JP6313575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及び接着テープ収容体
EP3950322A1 (en) Method for conveying glass film composite
WO2020045010A1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
CN109072025B (zh) 粘接带构造体
CN113613854B (zh) 上刃辊、切缝装置、切缝方法和层叠带
TWI834929B (zh) 玻璃卷
JP6689135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
JP2009508703A (ja) カバーテープの製作の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