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713B1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713B1
KR101799713B1 KR1020167017106A KR20167017106A KR101799713B1 KR 101799713 B1 KR101799713 B1 KR 101799713B1 KR 1020167017106 A KR1020167017106 A KR 1020167017106A KR 20167017106 A KR20167017106 A KR 20167017106A KR 101799713 B1 KR101799713 B1 KR 10179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stent
shape
axial direction
parallel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965A (ko
Inventor
신이치로 하가
마사무네 사카이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1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17Angular shapes
    • A61F2230/0026Angular shapes trapezoid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선재 W를 파형으로 굴곡시키면서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진행시키고, 파형의 굴곡부끼리의 걸림 결합부를 형성하여 통형의 그물눈 패턴으로 한 스텐트이며,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평행사변 형상의 제1 그물눈(10)이, 평행사변형의 짧은 변을 공유하면서 복수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제1 그물눈 연결부(10C)와, 제1 그물눈(10)의 형상인 평행사변형의 긴 변을, 그 저변으로서 공유하는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제2 그물눈(20)이, 저변에 인접하는 사다리꼴의 다리를 공유하면서 복수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제2 그물눈 연결부(20C)가 교대로 배열된 전개 그물눈 패턴을 갖고 있으며, 3개를 초과하는 걸림 결합부가 동일한 축 방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텐트이다. 이 스텐트에 의하면, 외피에 삽입할 때, 복수의 걸림 결합부가 서로 중첩되는 일이 없어 충분히 직경 축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텐트{STENT}
본 발명은, 체내의 관상기관에 유치함으로써, 당해 관상기관의 협착 및 폐색 등을 방지하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소화관이나 혈관 등의 생체내의 관상기관이 협착·폐색되었을 경우에, 당해 부위에 스텐트를 유치하여 관강을 확장·보유 지지하는 스텐트 유치술이 알려져 있다.
스텐트의 유치술에서는, 직경 축소 상태의 스텐트가 삽입된 외피를 관상기관에 도입하여 목적 부위(환부)에 도달시킨 후, 외피만을 제거함으로써, 목적 부위에 있어서 스텐트를 확장시켜서 유치한다.
여기서, 관상기관에 유치되는 스텐트는, 선재를 파형으로 굴곡시키면서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진행시키고, 파형의 굴곡부끼리 걸려 결합된 걸림 결합부를 형성하여 그물눈 형상으로 엮음으로써 형성된 통형상체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60708호 공보
(1)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텐트에 있어서는, 파형의 굴곡부끼리를 걸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걸림 결합부가, 당해 스텐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축 방향 위치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이 스텐트를 직경 축소시킬 때,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걸림 결합부가 서로 간섭해서(중첩되어), 당해 축 방향 위치에 있어서의 스텐트 직경을 충분히 축소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2)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텐트에 있어서는, 복수의 걸림 결합부가, 당해 스텐트의 전체 원주에 걸쳐, 동일한 원주 방향 위치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체내의 관상기관의 형상을 따라서 이 스텐트를 구부리려고 하면, 구부러졌을 때,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걸림 결합부가 서로 간섭하여 굴곡 강성이 증대되고(구부러지기 어려워지고), 또한 복원력에 의해 직선형으로 되돌아가기 쉬워져, 그 때, 관상기관의 내벽에 손상을 끼칠 우려가 있다.
(3)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것 같은 종래의 스텐트에 있어서는, 그물눈 형상이, 그 대각선이 축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름모꼴이기 때문에, 이 스텐트를 외피에 삽입하여 직경 축소시킬 때, 마름모꼴의 그물눈이 폐쇄됨(당해 그물눈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었던 걸림 결합부끼리 접촉됨)에 따라, 스텐트의 길이가 크게 변화된다. 이로 인해, 직경 축소 상태의 스텐트가 삽입되어 있는 외피를 목적 부위에 도달시킨 후, 이 외피를 발거하여 스텐트를 확장시켰을 때, 확장 후의 스텐트의 길이가 예상 외로 짧아져(소위 쇼트닝이 현저하게 일어나), 당해 스텐트를 정확하게 유치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외피에 삽입할 때, 복수의 걸림 결합부가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이, 충분히 직경 축소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체내의 관상기관의 형상에 추종하여 충분히 구부려 변형시킬 수 있고, 관상기관의 내벽에 손상을 끼치지 않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직경 축소 및 직경 확장에 수반하는 길이의 변화가 작고, 외피에 삽입된 직경 축소 상태로부터, 외피를 발거하여 확장시켜도, 그 길이가 극단적으로 짧아지는 일이 없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본 발명의 스텐트는, 선재를 파형으로 굴곡시키면서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진행시키고, 파형의 굴곡부끼리 걸려 결합된 걸림 결합부를 형성하여 통형의 그물눈 패턴을 형성한 스텐트이며,
통형의 그물눈 패턴을 전개했을 때,
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사각 형상의 그물눈이, 상기 정점을 공유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3개 이상 배열 형성되고,
공유된 상기 정점에 관한 상기 걸림 결합부가 2개 이상의 축 방향 위치에 분할 배치되고, 동일한 축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걸림 결합부가 3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스텐트에 의하면, 이것을 외피에 삽입하여 직경 축소시킬 때, 동일한 축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 결합부가 3개 이하로 적기 때문에, 이것들이 서로 간섭하여 직경 축소를 방해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스텐트 직경을 충분히 축소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스텐트에 있어서, 통형의 그물눈 패턴을 전개했을 때,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열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사각 형상의 그물눈이, 상기 정점을 공유하면서 축 방향으로 2N개 또는 2N-1개(단, N은 정수임) 배열 형성되고,
대향하는 2개의 원주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공유된 상기 정점에 관한 2N-1개 또는 2N개의 상기 걸림 결합부가 2개 이상의 원주 방향 위치에 분할 배치되고, 동일한 원주 방향 위치에 N개를 초과하는 걸림 결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텐트에 의하면, 대향하는 2개의 원주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 결합부를 제외하고, 동일한 열에 있어서의 2N-1개 또는 2N개의 걸림 결합부가 모두 동일한 원주 방향 위치에 배치되지 않고, 서로 원주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배치되며, 동일한 원주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 결합부가 N개 이하이므로, 그 굴곡 강성을 충분히 낮출 수 있다. 이에 의해, 체내의 관상기관의 형상에 추종하여 충분히 구부려 변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부러진 부분이 직선형으로 되돌아가려고 하여 관상기관의 내벽에 손상을 끼치는 일도 없다.
(3) 본 발명의 스텐트에 있어서, 통형의 그물눈 패턴을 전개했을 때,
상기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평행사변형(마름모꼴을 제외함) 형상의 그물눈이며 상기 평행사변형의 2개의 대각선이 모두 스텐트의 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도 수직도 아닌 제1 그물눈이, 상기 평행사변형의 짧은 변 및 긴 변의 한쪽을 공유하면서 복수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제1 그물눈 연결부와,
상기 제1 그물눈의 형상인 상기 평행사변형의 짧은 변 및 긴 변의 다른 쪽을, 그 저변으로서 공유하는 상기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제2 그물눈이, 상기 저변에 인접하는 상기 사다리꼴의 다리를 공유하면서 복수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제2 그물눈 연결부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텐트에 의하면, 제1 그물눈의 형상(근사 형상)인 평행사변형의 2개의 대각선 모두가 스텐트의 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도 수직도 아니므로, 당해 평행사변형의 4개의 정점(걸림 결합부)은, 서로 축 방향 위치 및 원주 방향 위치가 상이하게 된다. 이에 의해, 원주 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걸림 결합부를 축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축 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걸림 결합부를 원주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1 그물눈의 근사 형상인 평행사변형의 4개의 정점(걸림 결합부)이, 서로 축 방향 위치 및 원주 방향 위치가 상이함으로써, 제1 그물눈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제1 그물눈 연결부에 관한 복수의 걸림 결합부(이것들은, 제2 그물눈 연결부에 관한 걸림 결합부이기도 함)는, 서로 축 방향 위치 및 원주 방향 위치가 상이하게 된다.
또한, 제1 그물눈 연결부와 제2 그물눈 연결부를 교대로 배열시킴(제2 그물눈 연결부를 개재시킴)으로써, 제1 그물눈의 형상인 평행사변형의 4개의 정점을, 서로 축 방향 위치 및 원주 방향 위치가 상이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스텐트를 직경 축소시킬 때, 평행사변형(마름모꼴을 제외함) 형상이나 사다리꼴 형상의 그물눈이 폐쇄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정점(걸림 결합부)끼리 접촉될 일은 없으므로, 이들 형상의 그물눈에 의해 형성되는 스텐트의 직경 축소가, 걸림 결합부의 겹침(간섭)에 의해 방해되는 일도 없다.
또한, 스텐트를 직경 축소시킬 때, 변을 공유하여 연결되어 있는 제1 그물눈 및 제2 그물눈의 양쪽을, 마찬가지로 연결되어 있는 마름모꼴의 그물눈처럼 완전히 폐쇄할 수는 없으므로, 직경 축소 및 직경 확장에 수반되는 길이 변화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4) 상기 (3)의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물눈 연결부는, 축 방향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半周)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연 형상의 제3 그물눈을 사이에 두며, 또한 축 방향의 타단부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그물눈 연결부는, 축 방향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연 형상의 제4 그물눈을 사이에 두며, 또한 축 방향의 타단부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텐트에 의하면, 축 방향 위치 및 원주 방향 위치에 의해, 스텐트의 강성 등이 변화되는 일은 없다.
상기 (1)의 스텐트에 의하면, 이것을 외피에 삽입할 때, 복수의 걸림 결합부가 서로 간섭하는(집중하여 중첩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충분히 직경 축소할 수 있다.
상기 (2)의 스텐트에 의하면, 또한 체내의 관상기관의 형상에 추종하여 충분히 구부려 변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관상기관의 내벽에 손상을 끼치는 일도 없다.
상기 (3) 및 (4)의 스텐트에 의하면, 또한, 직경 축소 및 직경 확장에 수반하는 길이 변화가 작고, 외피에 삽입된 직경 축소 상태로부터, 외피를 발거하여 확장시켜도, 그 길이가 극단적으로 짧아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유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배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서 도시한 스텐트의 전개도이다.
도 4b는 도 1에서 도시한 스텐트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마름모꼴 형상의 그물눈이 신장되어 닫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평행사변 형상의 그물눈이 신장되어 닫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4(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형상의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는, 예를 들어 장 등의 소화관에 유치되는 스텐트이며, 1개의 선재 W를 파형으로 굴곡시키면서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진행시켜, 파형의 굴곡부끼리 걸려 결합된(서로 걸리도록 하여 짜여진) 걸림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통형의 그물눈 패턴을 형성한 스텐트이다.
또한, 도 4(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전개된 그물눈 패턴은, 직경 축소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확장 상태)에서의 스텐트(100)를 전개한 것이다.
스텐트(100)는, 1개의 선재 W를 엮음으로써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텐트(100)를 구성하는 선재 W로서는, 종래 공지된 스텐트를 구성하는 선재를 사용할 수 있고,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선재가 바람직하며, 형상 기억 합금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재료로서는, 스테인리스, 탄탈륨, 티타늄, 백금, 금, 텅스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형상 기억 합금의 구체예로서는, Ni-Ti계, Cu-Al-Ni계, Cu-Zn-Al계 등의 합금을 들 수 있다.
선재 W의 직경으로서는, 스텐트(100)의 용도 등에 따라 상이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0.05 내지 1.0㎜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30㎜가 된다.
스텐트(100)의 외경 및 길이로서는, 모두 확장 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외경 5 내지 40㎜, 길이 3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외경 22㎜, 길이 120㎜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의 그물눈 패턴은, 대략 평행사변 형상의 제1 그물눈(10)과,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제2 그물눈(20)과, 대략 연 형상의 제3 그물눈(30)과, 대략 연 형상의 제4 그물눈(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3 그물눈(30) 및 제4 그물눈(40)에 있어서의 「그물눈」이란, 엮어진 선재 W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뿐만 아니라, 당해 공간을 둘러싸는 선재 W를 포함한 개념(구조)이다.
또한,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3 그물눈(30) 및 제4 그물눈(40)의 근사 형상인 사각형의 정점은, 다른 굴곡부와 걸려 결합될 수 없는 일단부측 또는 타단부측의 굴곡부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 굴곡부끼리를 걸림 결합하여, 즉, 서로 걸리도록 하여 짜여진 걸림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의 그물눈 패턴의 단부(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의 각각)에 있어서, 다른 굴곡부와 걸림 결합하고 있지 않은 5개의 굴곡부(볼록부)는, 축 방향으로 분할 배치되어 있고, 동일한 축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굴곡부는 2개 이하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의 단부를 직경 축소하여 체내의 관상기관에 삽입할 때, 굴곡부끼리 서로 간섭하여 단부의 직경 축소를 방해하는 일이 없으므로, 미세한 관상기관에 대해서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4(도 4a)에 도시하는 그물눈 패턴에 있어서, 걸림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정점을 공유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5개의 사각 형상의 그물눈에 의해, 하나의 「단」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그물눈 패턴의 제1단에는, 제3 그물눈(3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1 그물눈(10) 및 제2 그물눈(20)이, 각각의 근사 형상인 사각형의 정점(걸림 결합부)을 공유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2단에는,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4 그물눈(40), 제1 그물눈(10) 및 제2 그물눈(20)이, 각각의 근사 형상인 사각형의 정점(걸림 결합부)을 공유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3단에는, 제4 그물눈(4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2 그물눈(20) 및 제1 그물눈(10)이, 각각의 근사 형상인 사각형의 정점(걸림 결합부)을 공유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4단에는,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3 그물눈(30), 제2 그물눈(20) 및 제1 그물눈(10)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그물눈 패턴의 제5단, 제9단, 제13단 및 제17단은, 제1단과 마찬가지이고, 제6단, 제10단, 제14단 및 제18단은, 제2단과 마찬가지이고, 제7단, 제11단, 제15단 및 제19단은, 제3단과 마찬가지이며, 제8단, 제12단 및 제16단은, 제4단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1단 내지 제4단의 패턴을 반복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도 4a)에 도시하는 그물눈 패턴에 있어서, 걸림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정점을 공유하면서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10개 또는 9개의 사각 형상의 그물눈에 의해 하나의 「열」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그물눈 패턴의 제1열에는 10개의 그물눈(제3 그물눈(30), 제4 그물눈(40), 제3 그물눈(30), 제4 그물눈(40), 제3 그물눈(30), 제4 그물눈(40), 제3 그물눈(30), 제4 그물눈(40), 제3 그물눈(30) 및 제4 그물눈(40))이, 각각의 근사 형상인 사각형의 정점(걸림 결합부)을 공유하면서(공유되고 있는 걸림 결합부는 9개임)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2열 및 제10열에는, 각각 9개(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및 제2 그물눈(20))가, 각각의 근사 형상인 사각형의 정점(걸림 결합부)을 공유하면서(공유되고 있는 걸림 결합부는 10개임)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3열 및 제9열에는, 각각 10개의 그물눈(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및 제1 그물눈(10))이, 각각의 근사 형상인 사각형의 정점(걸림 결합부)을 공유하면서(공유되고 있는 걸림 결합부는 9개임)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4열 및 제8열에는, 각각 9개의 그물눈(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및 제1 그물눈(10))이, 각각의 근사 형상인 사각형의 정점(걸림 결합부)을 공유하면서(공유되고 있는 걸림 결합부는 10개임)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5열 및 제7열에는, 각각 10개의 그물눈(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제2 그물눈(20), 제1 그물눈(10) 및 제2 그물눈(20))이, 각각의 근사 형상인 사각형의 정점(걸림 결합부)을 공유하면서(공유되고 있는 걸림 결합부는 9개임)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6열에는 9개의 그물눈(제4 그물눈(40), 제3 그물눈(30), 제4 그물눈(40), 제3 그물눈(30), 제4 그물눈(40), 제3 그물눈(30), 제4 그물눈(40), 제3 그물눈(30) 및 제4 그물눈(40))이, 각각의 근사 형상인 사각형의 정점(걸림 결합부)을 공유하면서(공유되고 있는 걸림 결합부는 10개임)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도 4(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전개된 그물눈 패턴에 있어서, 대략 평행사변 형상의 제1 그물눈(10)이, 이 평행사변형의 짧은 변을 공유하면서 4개(단, 축 방향의 타단부측에 있어서 3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제1 그물눈 연결부(10C)와, 제1 그물눈(10)의 근사 형상인 평행사변형의 긴 변을, 그 저변으로서 공유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제2 그물눈(20)이, 그 저변에 인접하는 사다리꼴의 다리를 공유하면서 4개(단, 축 방향의 일단부측에 있어서 2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제2 그물눈 연결부(20C)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제1 그물눈 연결부(10C)는, 축 방향의 일단부측(도면의 상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연 형상의 제3 그물눈(30)을 사이에 두며, 또한 축 방향의 타단부측(도면의 하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그물눈 연결부(20C)는, 축 방향의 일단부측(도면의 상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연 형상의 제4 그물눈(40)을 사이에 두며, 또한 축 방향의 타단부측(도면의 하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형」은, 인접하는 2변의 길이가 동등한 조가 2조 있는 도형(사각형)이며, 그 대각선은 직교한다.
스텐트(100)의 그물눈 패턴을 구성하는 제1 그물눈(10)은, 전개 형상으로서 대략 평행사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제1 그물눈(10)은, 대략 평행사변형이지만, 마름모꼴이 아니며, 짧은 변과 긴 변이 존재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상의 그물눈(5)이 신장되어 닫힐 때에는, 대향하는 2개의 정점(51, 52)이 접촉된다. 이로 인해, 제1 그물눈(10)을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하면, 이것을 축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걸림 결합부가 접촉되어, 스텐트의 직경 축소가 방해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사변 형상의 그물눈(6)이 신장되어 닫힐 때에는, 대향하는 2개의 정점(61, 62)이 접촉되는 일은 없다. 이로 인해, 제1 그물눈(10)을 평행사변 형상으로 형성하면, 이 제1 그물눈(10)을 신장시켜도 걸림 결합부끼리 접촉될 일은 없고, 따라서, 걸림 결합부의 겹침(간섭)에 의해 스텐트(100)의 직경 축소가 방해되는 경우는 없다.
제1 그물눈(10)의 근사 형상인 평행사변형의 짧은 변과 긴 변과의 길이의 비율로서는, 1:1.2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그물눈(10)의 근사 형상인 평행사변형의 2개의 대각선은, 모두 스텐트(100)의 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도 아니며 수직도 아니다.
따라서, 당해 평행사변형의 4개의 정점(걸림 결합부)은, 서로 축 방향 위치 및 원주 방향 위치가 상이하게 된다.
이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걸림 결합부를 축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걸림 결합부를 원주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1 그물눈(10)의 근사 형상인 평행사변형에 있어서,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과, 스텐트의 축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θ11)로서는, 통상 10 내지 80°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가 된다.
또한, 이 평행사변형의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과, 스텐트의 축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θ12)로서는, 통상 10 내지 80°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가 된다.
또한, 제1 그물눈(10)을 형성할 때의 선재 W의 굴곡 각도(θ11112)는, 통상 20 내지 160°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30°가 된다.
이 굴곡 각도(θ1)가 너무 좁은 스텐트는, 복수의 걸림 결합부가 축 방향으로 배열되기 쉬워지고, 이것들을 서로 상이한 원주 방향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스텐트 직경의 변화율이 과소해져, 이 스텐트를 외피에 삽입할 때, 충분히 직경 축소시킬 수 없거나, 직경 축소 상태의 스텐트를 충분히 확장시킬 수 없거나 한다. 한편, 이 굴곡 각도(θ1)가 너무 넓은 스텐트는, 복수의 걸림 결합부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기 쉬워져, 이것들을 서로 상이한 축 방향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스텐트 길이의 변화율이 과대해져, 현저한 쇼트닝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전개된 그물눈 패턴에는 38개의 제1 그물눈(10)이 형성되어 있고, 4개(단, 축 방향의 타단부에 있어서는 3개)의 제1 그물눈(10)이, 그 근사 형상인 평행 4변형의 짧은 변을 공유하면서 연결되어 1개의 제1 그물눈 연결부(10C)를 구성함으로써, 38개의 제1 그물눈(10)으로부터 10개의 제1 그물눈 연결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그물눈(10)의 근사 형상인 평행사변형의 4개의 정점(걸림 결합부)은, 서로 축 방향 위치 및 원주 방향 위치가 상이하므로, 각각의 제1 그물눈 연결부(10C)에 관한 복수의 걸림 결합부, 즉, 4개의 제1 그물눈(10)이 연결된 제1 그물눈 연결부(10C)에 관한 10개의 걸림 결합부 및, 3개의 제1 그물눈(10)이 연결된 제1 그물눈 연결부(10C)에 관한 7개의 걸림 결합부는, 서로 축 방향 위치 및 원주 방향 위치가 상이하게 된다.
그물눈 패턴을 구성하는 제2 그물눈(20)은, 전개 형상으로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그물눈(20)의 근사 형상인 사다리꼴은, 그 저변으로서, 제1 그물눈(10)의 근사 형상인 평행사변형의 긴 변을 공유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2 그물눈(20)의 근사 형상인 당해 사다리꼴의 정점(걸림 결합부)은, 제1 그물눈(10)의 근사 형상인 평행사변형의 정점(걸림 결합부)과 일치하게 된다.
또한, 제2 그물눈(20)의 근사 형상인 사다리꼴은 모두 동일한 형상이 아니며, 또한 그 일부가 평행사변형이어도 된다.
제2 그물눈(20)의 근사 형상인 사다리꼴에 있어서, 그 저변이 연장되는 방향과, 스텐트의 축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θ21)는, 평행사변형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과, 스텐트의 축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θ11)와 일치한다.
또한, 이 사다리꼴의 다리(평행이 아닌 대변)가 연장되는 방향과, 스텐트의 축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θ22)로서는, 통상 20 내지 60°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가 된다.
또한, 제2 그물눈(20)을 형성할 때의 선재 W의 굴곡 각도(θ22122)는, 통상 30 내지 140°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10°가 된다.
이 굴곡 각도(θ2)가 너무 좁은 스텐트는, 복수의 걸림 결합부가 축 방향으로 배열되기 쉬워지고, 이것들을 서로 상이한 원주 방향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스텐트 직경의 변화율이 과소해져, 이 스텐트를 외피에 삽입할 때, 충분히 직경 축소시킬 수 없거나, 직경 축소 상태의 스텐트를 충분히 확장시킬 수 없거나 한다. 한편, 이 굴곡 각도(θ2)가 너무 넓은 스텐트는, 복수의 걸림 결합부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기 쉬워지고, 이것들을 서로 상이한 축 방향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스텐트 길이의 변화율이 과대해질 우려가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전개된 그물눈 패턴에는 38개의 제2 그물눈(20)이 형성되어 있고, 4개(단, 축 방향의 일단부에 있어서는 2개)의 제2 그물눈(20)이, 그 근사 형상인 사다리꼴의 다리를 공유하면서 연결되어 1개의 제2 그물눈 연결부(20C)를 구성함으로써, 38개의 제2 그물눈(20)으로부터 10개의 제2 그물눈 연결부(20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2 그물눈 연결부(20C)에 관한 복수의 걸림 결합부, 즉, 4개의 제2 그물눈(20)이 연결된 제2 그물눈 연결부(20C)에 관한 10개의 걸림 결합부 및, 2개의 제2 그물눈(20)이 연결된 제2 그물눈 연결부(20C)에 관한 5개의 걸림 결합부는, 서로 축 방향 위치 및 원주 방향 위치가 상이하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4(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5개의 제1 그물눈 연결부(10C)의 각각이, 축 방향의 일단부측(도면의 상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 형상의 제3 그물눈(30)을 사이에 두며, 또한 5개의 제1 그물눈 연결부(10C)의 각각이 축 방향의 타단부측(도면의 하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5개의 제2 그물눈 연결부(20C)의 각각이, 축 방향의 일단부측(도면의 상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략 연 형상의 제4 그물눈(40)을 사이에 두며, 또한 5개의 제2 그물눈 연결부(20C)의 각각이, 축 방향의 타단부측(도면의 하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텐트(100)에 의하면, 축 방향 위치 또는 원주 방향 위치에 의해, 제1 그물눈(10) 또는 제2 그물눈(20)이 편재되는 일이 없으므로, 축 방향 및 원주 방향을 따라 강성 등이 변화되는 경우는 없다.
스텐트(100)의 그물눈 패턴을 구성하는 제3 그물눈(30) 및 제4 그물눈(40)은, 모두 전개 형상에 있어서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연 형상의 그물눈이다.
제3 그물눈(30) 및 제4 그물눈(40)의 근사 형상인 연형의 대각선은, 스텐트(100)의 축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그물눈(30)의 양측에는, 제1 그물눈 연결부(10C)(제1 그물눈(10))가, 제3 그물눈(30)의 근사 형상인 연형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2변(축 방향의 타단부측의 2변)과, 제1 그물눈(10)의 근사 형상인 평행사변형의 짧은 변을 공유하면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그물눈(30)을 개재시킴으로써, 제1 그물눈 연결부(10C)의 연결 방향을, 축 방향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그물눈(30)의 양측에는, 제2 그물눈(20)이 서로의 정점(걸림 결합부)을 공유하면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3 그물눈(30)의 양측에는, 제2 그물눈(20)이, 제3 그물눈(30)의 근사 형상인 연형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2변(축 방향의 일단부측의 2변)과, 제2 그물눈(20)의 근사 형상인 사다리꼴의 저변을 공유하면서 연결되어 있다.
제4 그물눈(40)의 양측에는, 제2 그물눈 연결부(20C)(제2 그물눈(20))가, 제4 그물눈(40)의 근사 형상인 연형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2변(축 방향의 타단부측의 2변)과, 제2 그물눈(20)의 근사 형상인 사다리꼴의 다리를 공유하면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4 그물눈(40)을 개재시킴으로써, 제2 그물눈 연결부(20C)의 연결 방향을, 축 방향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그물눈(40)의 양측에는, 제1 그물눈(10)이 서로의 정점(걸림 결합부)을 공유하면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4 그물눈(40)의 양측에는, 제1 그물눈(10)이, 제4 그물눈(40)의 근사 형상인 연형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2변(축 방향의 일단부측의 2변)과, 제1 그물눈(10)의 근사 형상인 평행사변형의 긴 변을 공유하면서 연결되어 있다.
제3 그물눈(30) 및 제4 그물눈(40)은, 대향하는 2개의 원주 방향 영역(50)에 있어서, 각각의 정점(걸림 결합부)을 공유하면서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제3 그물눈(30) 및 제4 그물눈(4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스텐트(100)에는, 동일한 축 방향 위치에 있어서 2개의 걸림 결합부(제3 그물눈(30) 또는 제4 그물눈(40)의 근사 형상인 연형의 정점)가 불가피하게 배치된다.
또한, 대향하는 2개의 원주 방향 위치에 있어서, 9개 또는 10개의 걸림 결합부(제3 그물눈(30) 및 제4 그물눈(40)의 근사 형상인 연형의 정점)가 불가피하게 배치된다.
상기 그물눈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는, 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제1단 내지 제19단)의 각각에 있어서,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사각 형상의 그물눈이, 정점을 공유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5개 배열 형성되고, 공유된 정점에 관한 5개의 걸림 결합부가 2개 이상의 축 방향 위치에 분할 배치되며, 동일한 축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 결합부가 3개 이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에는, 3개를 초과하는 걸림 결합부가 동일한 축 방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스텐트(100)를 외피에 삽입하여 직경 축소시킬 때, 동일한 축 방향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 결합부가 서로 간섭하는(중첩되는) 일이 없어, 이것에 기인하여 직경 축소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스텐트(100)의 외경을 충분히 축소할 수 있고, 예를 들어 8Fr 이하의 외피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열(제1열 내지 제10열)의 각각에 있어서,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사각 형상의 그물눈이, 정점을 공유하면서 축 방향으로 10개(2N개) 또는 9개(2N-1개) 배열 형성되고, 대향하는 2개의 원주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 결합부를 제외하고, 공유된 정점에 관한 9개(2N-1개) 또는 10개(2N개)의 걸림 결합부가 2개의 원주 방향 위치에 분할 배치되고, 동일한 원주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 결합부는 4개 또는 5개이며, 5개(N개)를 초과하는 걸림 결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에는, 대향하는 2개의 원주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 결합부를 제외하고, 공유된 정점에 관한 걸림 결합부가 2개의 원주 방향 위치에 분할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굴곡 강성을 충분히 낮출 수 있다. 이에 의해, 체내의 관상기관의 형상에 추종하여 충분히 구부려 변형시킬 수 있고, 또한 구부러진 부분이 직선형으로 되돌아가려고 하여 관상기관의 내벽에 손상을 끼치는 일도 없다.
또한, 대략 평행사변 형상의 제1 그물눈(10) 및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제2 그물눈(20)의 양쪽을, 마름모꼴의 그물눈처럼 완전히 닫을 수는 없으므로, 직경 축소 및 직경 확장에 수반하는 길이 변화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0Fr의 외피에 삽입하여 직경 축소되어 있는 길이 80㎜의 스텐트(100)를, 당해 외피를 발거해서 22㎜ 정도로 확장시켰을 때, 그 길이를 60㎜(75%)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목적으로 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유치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스텐트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그물눈 연결부(10C)를 구성하는 제1 그물눈(10)의 수, 제2 그물눈 연결부(20C)를 구성하는 제2 그물눈(20)의 수는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2 내지 10개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물눈 연결부(10C) 및 제2 그물눈 연결부(20C)의 수도 10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6 내지 20개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스텐트의 내주 및/또는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그래프트를 갖고 있어도 된다.
100: 스텐트
10: 제1 그물눈
10C: 제1 그물눈 연결부
20: 제2 그물눈
20C: 제2 그물눈 연결부
30: 제3 그물눈
40: 제4 그물눈
50: 원주 방향 영역
W: 선재

Claims (4)

  1. 선재를 파형으로 굴곡시키면서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진행시키고, 파형의 굴곡부끼리 걸려 결합된 걸림 결합부를 형성하여 통형의 그물눈 패턴을 형성한 스텐트이며,
    통형의 그물눈 패턴을 전개했을 때,
    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사각 형상의 그물눈이, 상기 정점을 공유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3개 이상 배열 형성되고,
    공유된 상기 정점에 관한 상기 걸림 결합부가 2개 이상의 축 방향 위치에 분할 배치되고, 동일한 축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걸림 결합부가 3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통형의 그물눈 패턴을 전개했을 때,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열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사각 형상의 그물눈이, 상기 정점을 공유하면서 축 방향으로 2N개 또는 2N-1개(단, N은 정수임) 배열 형성되고,
    대향하는 2개의 원주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 결합부를 제외하고, 공유된 상기 정점에 관한 2N-1개 또는 2N개의 상기 걸림 결합부가 2개 이상의 원주 방향 위치에 분할 배치되고, 동일한 원주 방향 위치에 N개를 초과하는 걸림 결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형의 그물눈 패턴을 전개했을 때,
    상기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평행사변형(마름모꼴을 제외함) 형상의 그물눈이며 상기 평행사변형의 2개의 대각선이 모두 스텐트의 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도 수직도 아닌 제1 그물눈이, 상기 평행사변형의 짧은 변 및 긴 변의 한쪽을 공유하면서 복수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제1 그물눈 연결부와,
    상기 제1 그물눈의 형상인 상기 평행사변형의 짧은 변 및 긴 변의 다른 쪽을, 그 저변으로서 공유하는, 상기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제2 그물눈이, 상기 저변에 인접하는 상기 사다리꼴의 다리를 공유하면서 복수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제2 그물눈 연결부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물눈 연결부는, 축 방향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연 형상의 제3 그물눈을 사이에 두며, 또한 축 방향의 타단부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그물눈 연결부는, 축 방향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 결합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연 형상의 제4 그물눈을 사이에 두며, 또한 축 방향의 타단부측을 향하여 대략 반주에 걸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KR1020167017106A 2014-01-28 2014-09-03 스텐트 KR101799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3702A JP6045036B2 (ja) 2014-01-28 2014-01-28 ステント
JPJP-P-2014-013702 2014-01-28
PCT/JP2014/073244 WO2015114869A1 (ja) 2014-01-28 2014-09-03 ステ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965A KR20160091965A (ko) 2016-08-03
KR101799713B1 true KR101799713B1 (ko) 2017-11-20

Family

ID=5375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106A KR101799713B1 (ko) 2014-01-28 2014-09-03 스텐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45036B2 (ko)
KR (1) KR101799713B1 (ko)
CN (1) CN105682614B (ko)
WO (1) WO20151148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767A1 (ko) * 2019-07-29 2021-02-04 주식회사 엔벤트릭 혈전 제거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2059B (zh) * 2014-08-19 2017-02-15 东莞天天向上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可降解药物支架
JP6470219B2 (ja) * 2016-03-25 2019-02-13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CN105997314B (zh) * 2016-06-30 2018-06-08 南京普微森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功能的血栓消除系统
EP3569200A1 (en) * 2018-05-18 2019-11-20 Eucatech AG Tubular knitted stents
WO2020054027A1 (ja) * 2018-09-13 2020-03-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ステン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591A (ja) * 2001-09-19 2003-03-25 Piolax Medical Device:Kk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JP2007196042A (ja) 2007-05-09 2007-08-09 Terumo Corp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6312A (ja) * 1997-04-11 1998-10-27 Ube Ind Ltd ステント
EP0884029B1 (en) * 1997-06-13 2004-12-22 Gary J. Becker Expandable intraluminal endoprosthesis
JP4327548B2 (ja) * 2003-10-03 2009-09-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メディカルデバイス ステント
JP4327573B2 (ja) 2003-12-02 2009-09-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メディカルデバイス ステントグラフト
KR100847432B1 (ko) * 2007-03-14 2008-07-2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내강 확장용 스텐트
WO2009041664A1 (ja) * 2007-09-27 2009-04-02 Terumo Kabushiki Kaisha 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JP5242979B2 (ja) * 2007-09-27 2013-07-24 テルモ株式会社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KR101330825B1 (ko) * 2011-01-14 2013-11-15 신경민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JP5727813B2 (ja) * 2011-02-15 2015-06-03 テルモ株式会社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591A (ja) * 2001-09-19 2003-03-25 Piolax Medical Device:Kk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JP2007196042A (ja) 2007-05-09 2007-08-09 Terumo Corp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767A1 (ko) * 2019-07-29 2021-02-04 주식회사 엔벤트릭 혈전 제거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4869A1 (ja) 2015-08-06
CN105682614A (zh) 2016-06-15
CN105682614B (zh) 2017-06-16
KR20160091965A (ko) 2016-08-03
JP2015139536A (ja) 2015-08-03
JP6045036B2 (ja)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713B1 (ko) 스텐트
JP3708923B2 (ja) 形状記憶合金を用いた可変状態保持型拡張機構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拡張機構製造機
US8313522B2 (en) Self-expandable shape memory alloy st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4797473B2 (ja) 拡張性の優れた柔軟なステント
JP4391963B2 (ja) 柔軟性拡張可能ステント
AU2002304381B2 (en)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US932062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having superior bending characteristics, and stent manufactured thereby
EP1129673A2 (en)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JPWO2006001367A1 (ja) ステント
JP2004344634A (ja) 可変状態維持型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可変状態維持型ステント
JP2001511666A (ja) 半径方向膨張可能で軸方向に収縮しない外科用ステント
JP2011504407A (ja) 円筒形ステント
KR100267019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1507570A (ja) モジュラステント組立体
JP6081948B2 (ja) 柔軟性ステント
KR20170012975A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스텐트
JP6445443B2 (ja) ステント
KR100457629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JP7252671B2 (ja) ステント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5114353B2 (ja) 柔軟性拡張可能ステント
KR101777366B1 (ko) 스텐트
KR101176014B1 (ko) 인체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텐트삽입장치
JP2011156094A (ja) ステント
JP2004267492A (ja) 血管径保持性の優れた柔軟なステント
KR101643230B1 (ko)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