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888B1 -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888B1
KR101797888B1 KR1020167037018A KR20167037018A KR101797888B1 KR 101797888 B1 KR101797888 B1 KR 101797888B1 KR 1020167037018 A KR1020167037018 A KR 1020167037018A KR 20167037018 A KR20167037018 A KR 20167037018A KR 101797888 B1 KR101797888 B1 KR 101797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command
processing
work machine
command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165A (ko
Inventor
가오리 사에구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0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18Central base unlocks or authorises un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Remotely operated machines, e.g. unmanne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8Industrial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4Fleet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로서, 상기 장치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요구 지령을 상기 작업 기계의 외부의 지령원으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 완료 통지를 상기 지령원에 회신하며, 또한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상기 요구 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상기 처리를 실행한 경우에는, 상기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처리 완료 통지를 상기 지령원에 송신하는 통신 단말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

Description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WORK MACHINE, MANAGEMENT SYSTEM OF WORK MACHINE, AND METHOD OF MANAGING WORK MACHINE}
본 발명은,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유압 셔블 또는 덤프 트럭 등의 작업 기계의 가동 정보 또는 시큐리티 등에 관한 정보를 관리 장치가 취득하여 관리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서버를 통해 건설 기계에 시큐리티 데이터를 등록하거나 할 때, 휴대 입력 장치로부터 서버에 신규 시큐리티 데이터를 송신하여 서버에 등록한 후, 등록 데이터를 휴대 입력 장치에 송신하여 휴대 입력 장치에 기억시키고, 관리자 또는 오퍼레이터가 건설 기계에서 휴대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신규 시큐리티 데이터를 건설 기계에 송신하고, 건설 기계는 휴대 입력 장치로부터 송신된 시큐리티 데이터와 건설 기계의 컨트롤러에 기억되어 있는 시큐리티 데이터를 대조하여 불일치가 발생한 경우, 다시 서버와 원격 통신하여 새로운 시큐리티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22685호
건설 기계의 시큐리티 데이터를 신규로 등록하려면, 당해 건설 기계까지 가서 등록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워질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시큐리티 데이터의 신규 등록 등을 위해서, 외부의 관리 장치로부터 원격 조작에 의해 작업 기계의 전자 기기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시키는 것에 대한 요망이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관리 장치로부터 원격 조작에 의해 작업 기계가 구비하는 전자 기기 등의 장치에 처리를 요구하는 경우, 작업 기계의 전자 기기 등이 기동하고 있지 않으면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구를 작업 기계 (1) 의 전자 기기 등이 실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관리 장치는, 요구의 송신을 불필요하게 반복하여 불필요한 통신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관리 장치로부터 원격 조작에 의해 작업 기계가 구비하는 장치에 처리를 요구하는 경우, 불필요한 통신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이고, 상기 장치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요구 지령을 상기 작업 기계의 외부의 지령원으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 완료 통지를 상기 지령원에 회신하며, 또한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상기 요구 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상기 처리를 실행한 경우에는, 상기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처리 완료 통지를 상기 지령원에 송신하는 통신 단말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이다.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요구 지령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고,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요구 지령을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출력하기 전에 상기 요구 지령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출력 가능한 타이밍에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상기 요구 지령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 가능한 타이밍은,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기동한 후이고, 상기 요구 지령이 입력된 상기 장치는 상기 처리를 실행하고, 실행 후에 처리를 실행한 통지를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는, 상기 작업 기계의 조작이 가능한 오퍼레이터를 설정하는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이고, 상기 장치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요구 지령을 상기 작업 기계의 외부의 지령원으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 완료 통지를 상기 지령원에 회신하며, 또한 상기 요구 지령을 기억부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키고, 상기 장치가 기동한 후에,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상기 요구 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상기 처리를 실행한 경우에는, 상기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처리 완료 통지를 상기 지령원에 송신하는 통신 단말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이다.
본 발명은,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와, 상기 장치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요구 지령을 송신하는 관리 장치와, 상기 작업 기계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요구 지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 완료 통지를 상기 관리 장치에 회신하며, 또한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상기 요구 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상기 처리를 실행한 경우에는, 상기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처리 완료 통지를 상기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단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수신 완료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요구 지령이 상기 작업 기계에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이다.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요구 지령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고, 상기 요구 지령을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출력하기 전에 상기 요구 지령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출력 가능한 타이밍에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상기 요구 지령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 가능한 타이밍은,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기동한 후이고, 상기 요구 지령을 입력한 상기 장치는 상기 처리를 실행하고, 실행 후에 처리를 실행한 통지를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는, 상기 작업 기계의 조작이 가능한 오퍼레이터를 설정하는 처리이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기계의 조작이 가능한 오퍼레이터가 등록된 리스트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고, 상기 처리 완료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리스트를 재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작업 기계가 구비하는 장치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요구 지령을 상기 작업 기계의 외부의 지령원으로부터 송신하고, 상기 요구 지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 완료 통지를 상기 지령원에 회신하며, 또한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상기 요구 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상기 처리를 실행한 경우에는, 상기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처리 완료 통지를 상기 지령원에 송신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이다.
본 발명은, 관리 장치로부터 원격 조작에 의해 작업 기계가 구비하는 장치에 처리를 요구하는 경우, 불필요한 통신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현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실시형태) 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관리 시스템 (100) 의 개요>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100) 이 적용되는 현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이하, 적절히 관리 시스템이라고 한다) (100) 은, 관리 장치 (40) 에 통신 회선 (101) 을 통해 작업 기계 (1) 의 가동 정보를 수집시키거나,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에 제어되는 기기 등 (이하, 적절히 전자 기기 등이라고 한다) 에 어떠한 처리를 실행시키거나, 전자 기기 등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하여 작업 기계 (1) 를 관리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관리 시스템 (100) 은, 덤프 트럭 (MCD) 및 유압 셔블 (MCS) 의 가동 정보를 수집하거나, 이들 전자 기기 등에 어떠한 처리를 실행시키거나 하는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기계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리 시스템 (100) 은, 휠 로더, 불도저 또는 포크리프트 등을 관리해도 된다. 이하에 있어서, 덤프 트럭 (MCD) 및 유압 셔블 (MCS) 을 적절히 작업 기계 (1) 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관리 시스템 (100) 은, 예를 들어, 관리 장치 (40) 와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 (20) 가, 휴대 전화 등의 이동체 통신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LAN (Local Area Network) 또는 위성 통신을 통해 통신한다. 관리 장치 (40) 는, 예를 들어, 관리 시설 (3) 내에 설치되어 있다. 관리 시설 (3) 은, 작업 기계 (1) 가 가동되는 현장 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작업 기계 (1) 가 가동되는 현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 예를 들어 작업 기계 (1) 의 예방 보전 등을 실행하는 서비스 맨 또는 현장의 관리자가 체재하는 장소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관리 장치 (40) 는 소정의 장소에 설치된 것이어도 되고,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과 같이, 임의의 장소로 이동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리 장치 (40) 는 통신 장치 (103) 를 통해 통신 회선 (101) 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회선 (101) 에는 기지국 (6) 이 접속되어 있다. 기지국 (6) 은,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정보를 중계하여 관리 장치 (40) 에 송신한다.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 (20) 는, 관리 장치 (40) 로부터의 처리 요구 지령을 수신하거나, 작업 기계 (1) 의 가동 정보 및 전술한 처리 요구 지령에 응답하는 각종 정보 또는 신호를 관리 장치 (40) 에 송신하거나 한다.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안테나 (34A) 로부터 정보를 외부에 송신한다. 관리 장치 (40) 는, 작업 기계 (1) 의 통신 단말 장치 (20) 로부터 송신된 각종 정보를 기지국 (6), 통신 회선 (101) 및 통신 장치 (103) 를 통해 수신 (취득) 한다.
관리 장치 (40) 는,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전자 기기 등에 처리를 요구하거나, 전자 기기 등의 기능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한다. 이 경우, 관리 장치 (40) 는, 작업 기계 (1) 에 송신하는 명령 또는 정보를, 통신 장치 (103) 를 통해 통신 회선 (101) 에 송신한다. 이 명령 또는 정보는 기지국 (6) 으로부터 전파 형태로 송신된다. 기지국 (6) 으로부터 송신된, 전술한 명령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는, 작업 기계 (1) 의 안테나 (34A) 가 수신한다.
작업 기계 (1) 의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안테나 (34A) 가 수신한 전파를, 후술하는 통신 단말 장치 (20) 의 처리부 (20C) 가 해독할 수 있는 원 (元) 정보가 되도록 복조 및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작업 기계 (1),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단말 장치 (20) 와 관리 장치 (40) 는 무선 통신에 의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 기계 (1), 관리 장치 (40) 및 관리 시스템 (100) 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관리 시스템 (100)>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100)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100) 은,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차재 시스템 (1S) 과, 관리 시설에 구비되는 관리 장치 (40) 를 포함한다. 차재 시스템 (1S) 과 관리 장치 (40) 는 통신 회선 (101), 통신 장치 (103) 및 기지국 (6) 을 통해 정보를 교환한다.
관리 시스템 (100) 에 있어서, 차재 시스템 (1S) 의 통신 단말 장치 (20) 는, 통신 회선 (101) 을 통해 관리 장치 (40) 로부터 송신되어 온 명령 또는 정보를 수신 (취득) 한다.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수신한 명령 또는 정보를 차재 시스템 (1S) 이 구비하는 신호선 (30) 을 통해 작업 기계 (1) 의 전자 기기 등에 송신하고, 전술한 명령을 실행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1 개의 작업 기계 (1) 및 1 개의 차재 시스템 (1S) 과 1 개 관리 장치 (40) 가 통신 회선 (101) 을 통해 접속되지만, 작업 기계 (1) 및 관리 장치 (40) 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차재 시스템 (1S) 에 대해 설명한다.
(차재 시스템 (1S))
차재 시스템 (1S) 은, 통신 단말 장치 (20) 와 모니터 (22) 를 갖는다. 이들 전자 기기류는,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신호선 (30)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선 (30) 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 기기류는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신호선 (30) 을 적절히 차내 신호선 (30) 이라고 한다. 작업 기계 (1) 에 구비되고, 차내 신호선 (30) 에 접속되는 전자 기기류는 전술한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키 스위치 (32) 는, 운전석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키 스위치 (32) 는, 축전기 (24) 와, 통신 단말 장치 (20) 및 모니터 (22) 등의 전자 기기류 사이에 형성된다.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전원으로서의 축전기 (24) 로부터의 전력은, 키 스위치 (32) 를 통해 전자 기기류에 공급된다. 키 스위치 (32) 가 ON 으로 되면, 축전기 (24) 로부터 전자 기기류에 전력이 공급된다. 키 스위치 (32) 가 OFF 로 되면, 축전기 (24) 로부터 전자 기기류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다.
작업 기계 (1) 의 오퍼레이터가 키 스위치 (32) 를 조작함으로써, 축전기 (24) 로부터 작업 기계 (1) 의 전자 기기류 및 도시되지 않은 엔진의 스타터 모터에 전력이 공급된다.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처리부 (20C) 와 기억부 (제 1 기억부) (20M) 와 통신부 (34) 를 갖는다. 처리부 (20C) 는, 예를 들어,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이다. 기억부 (20M) 는, 예를 들어, RAM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혹은 플래쉬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다. 기억부 (20M) 는, 통신 단말 장치 (20) 가 실행하는 처리의 명령이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전술한 처리에 필요한 정보 등을 기억하고 있다. 또, 기억부 (20M) 는, 관리 장치 (40) 로부터 송신되어 온 명령 또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관리 장치 (40) 로부터 송신되어 온 명령 또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영역을 기억 영역 (20MSR) 이라고 한다. 기억 영역 (20MSR) 은 정보의 판독 기록이 자유롭다. 통신부 (34) 는, 키 스위치 (32) 가 OFF 일 때에도 전력 절약 모드로 기동하고 있고, 관리 장치 (40) 로부터의 요구 지령을 수신하면, 처리부 (20C) 의 전원을 투입하여 처리부 (20C) 를 기동시킬 수 있다. 키 스위치 (32) 가 OFF 일 때에, 통신부 (34) 가 소정 시간마다 전원 ON 기간과 전원 OFF 기간을 소정의 주기로 반복하는 경우, 통신 회선 (101) 의 제어부는, 통신부 (34) 가 전술한 요구 지령을 수신할 때까지, 전술한 요구 지령을 통신부 (34) 에 소정의 주기로 리트라이하여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부 (34) 는, 통신용 안테나 (34A) 를 구비하고 있고, 기지국 (6) 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통신부 (34) 는, 기지국 (6), 통신 회선 (101) 및 통신 장치 (103) 를 통해 관리 장치 (40) 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차내 신호선 (30) 은, 예를 들어, CAN (Controller Area Network) 이다.
모니터 (22) 는, 작업 기계 (1) 의 각종 정보를 화면 (22P) 에 표시하거나, ID 번호 등을 입력하는 입력 장치로서 기능하거나 하는 표시 장치이다. 모니터 (22) 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이며, 입력 장치로서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입력 장치는, 모니터 (22) 의 표시 장치와 별체여도 된다. 모니터 (22) 는, 모니터 (22) 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 장치 (22CNT) 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 (22CNT) 는, 처리부 (22C) 및 기억부 (22M) 를 구비하고 있다. 처리부 (22C) 는, 예를 들어 CPU 이다. 기억부 (22M) 는, 예를 들어, RAM, ROM 혹은 플래쉬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다. 기억부 (22M) 는, 처리부 (22C) 가 실행하는 처리의 명령이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 전술한 처리에 필요한 정보 및 작업 기계 (1) 의 조작이 가능한 오퍼레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ID 번호 등을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니터 (22) 는, 차내 신호선 (30) 을 통해 통신 단말 장치 (20) 와 통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니터 (22) 에는, 차내 신호선 (30) 과는 상이한 제 2 신호선 (37) 이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선 (37) 은, 예를 들어, CAN (Controller Area Network) 이다. 제 2 신호선 (37) 에는, ID 판독 장치 (23A) 가 접속되어 있다. ID 판독 장치 (23A) 는, 제 2 신호선 (37) 을 통해 모니터 (22) 와 통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ID 번호는, ID 판독 장치 (23A) 를 통해 판독되지만, 모니터 (22) 가 구비하는 키보드 또는 터치 패널에 의해 입력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니터 (22) 는, 각종 정보의 표시 및 입력 외에, 입력된 ID 번호를 식별하거나, 작업 기계 (1) 의 조작이 가능한 오퍼레이터를 관리하거나 한다. 모니터 (22) 는, 예를 들어, 작업 기계 (1) 의 조작이 가능한 오퍼레이터를, 그 오퍼레이터에게 부여된 ID 번호에 의해 인식한다. 이 때문에, 제어 장치 (22CNT) 의 기억부 (22M) 는, 작업 기계 (1) 의 조작이 가능해지는 ID 번호 (이하, 적절히 조작 허가 ID 번호라고 한다) 를 기억하고 있다. ID 판독 장치 (23A) 를 통해 모니터 (22) 의 제어 장치 (22CNT) 에 취득된 ID 번호가, 기억부 (22M) 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허가 ID 번호와 일치한 경우, 처리부 (22C) 는, 작업 기계 (1) 를 조작 가능한 상태 (로크 해제 상태) 로 한다. 제어 장치 (22CNT) 에 취득된 ID 번호가, 기억부 (22M) 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허가 ID 번호와 상이한 경우, 처리부 (22C) 는, 작업 기계 (1) 를 조작 불가능한 상태 (로크 상태) 로 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모니터 (22) 는 작업 기계 (1) 의 조작이 가능한 오퍼레이터를 인증한다.
모니터 (22) 가 오퍼레이터를 인증할 때의 처리의 일례를 설명한다. 작업 기계 (1) 의 키 스위치 (32) 가 ON 으로 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는 자신의 ID 번호를 ID 판독 장치 (23A) 에 판독시키거나 또는 모니터 (22) 의 키보드 등으로부터 입력한다. 취득된 ID 번호는, 모니터 (22),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 (22CNT) 의 처리부 (22C) 에서, 기억부 (22M) 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허가 ID 번호와 비교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ID 판독 장치 (23A) 에 ID 번호를 입력하는 수단은, ID 번호가 등록된 전용 키여도 되고, 휴대 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처리부 (22C) 는, 양자가 일치한 경우, 예를 들어, 키 스위치 (32) 의 조작에 의한 엔진의 시동을 허가한다. 처리부 (22C) 는, 오퍼레이터를 인증, 즉, 작업 기계 (1) 의 조작이 가능하다고 인증하였다는 취지의 정보를 화면 (22P) 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처리부 (22C) 는, 취득한 ID 번호와 조작 허가 ID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키 스위치 (32) 의 조작에 의한 엔진의 시동을 금지한다. 처리부 (22C) 는, 오퍼레이터를 비인증, 즉, 작업 기계 (1) 의 조작이 가능하지 않다는 취지의 정보를 화면 (22P) 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모니터 (22) 의 기억부 (22M) 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허가 ID 번호가 재기록됨으로써, 작업 기계 (1) 의 조작이 가능해지는 ID 번호, 즉, 조작 허가 ID 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니터 (22) 의 제어 장치 (22CNT) 는, 통신 단말 장치 (20) 및 차내 신호선 (30) 을 통해, 새롭게 입력된 조작 허가 ID 번호를 취득하고, 기억부 (22M) 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한다.
(관리 장치 (40))
관리 장치 (40) 는, 작업 기계 (1) 의 조작이 가능해지는 ID 번호 등을 관리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리 장치 (40) 는 복수의 작업 기계 (1) 를 관리하지만, 관리 장치 (40) 에 관리되는 작업 기계 (1) 의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 장치 (40) 는, 처리부 (41) 와 기억부 (제 2 기억부) (42) 와 입출력부 (43) 를 포함한다. 처리부 (41) 는, 예를 들어 CPU 이다. 기억부 (42) 는, 예를 들어, RAM, ROM, 플래쉬 메모리 혹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다. 입출력부 (43) 는, 관리 장치 (40) 에 접속되는 통신 장치 (제 2 통신 장치) (103) 와 처리부 (41) 사이에 있어서의 정보의 입출력을 실시한다.
관리 장치 (40) 는, 입출력부 (43) 에 통신 장치 (103)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 장치 (103) 는, 통신 회선 (101)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관리 장치 (40) 는, 통신 장치 (103) 를 통해 통신 회선 (101) 에 접속된다. 관리 장치 (40),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리 장치 (40) 의 처리부 (41) 는, 작업 기계 (1) 의 통신 단말 장치 (20) 로부터 송신되어 온 각종 정보를, 통신 회선 (101) 및 통신 장치 (103) 를 통해 수신 (취득) 한다. 또, 처리부 (41) 는, 통신 장치 (103) 및 통신 회선 (101) 을 통해 명령 또는 정보 등을 작업 기계 (1) 에 송신한다.
관리 장치 (40) 의 기억부 (42) 에는, 작업 기계 (1) 의 조작 허가 ID 번호의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조작 허가 ID 번호는, 예를 들어, 관리 장치 (40) 가 관리하는 작업 기계 (1) 마다 작성된 ID 번호 데이터베이스 (ID_DB) 에 기술되어 있다. ID 번호 데이터베이스 (ID_DB) 는, 작업 기계 (1) 의 조작이 가능한 오퍼레이터가 등록된 리스트에 상당한다. 관리 장치 (40) 는, 입출력부 (43)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입출력 장치 (44) 로부터, 특정한 작업 기계 (1) 의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요구를 입력한다. 또, 통신 회선 (101) 에 접속된, 관리 장치 (40) 이외의 단말 장치 (105) 로부터, 통신 회선 (101) 및 통신 장치 (103) 를 통해, 특정한 작업 기계 (1) 의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요구를 입력해도 된다.
관리 장치 (40) 의 처리부 (41) 는, 작업 기계 (1) 의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경우, 대응하는 작업 기계 (1) 에,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지령 (이하, 적절히 재기록 지령이라고 한다) 과 새로운 조작 허가 ID 번호를 송신한다. 재기록 지령 및 새로운 조작 허가 ID 번호를 수신 (취득) 한, 작업 기계 (1) 의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수신한 재기록 지령 및 새로운 조작 허가 ID 번호를 차내 신호선 (30) 을 통해 모니터 (22) 에 송신한다. 재기록 지령 및 새로운 조작 허가 ID 번호를 수신한 모니터 (22) 의 제어 장치 (22CNT) 는, 기억부 (22M) 의 조작 허가 ID 번호를, 수신한 조작 허가 ID 번호로 재기록한다. 그리고,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조작 허가 ID 번호가 재기록되면, 그러한 취지의 통지를 관리 장치 (40) 에 송신한다. 처리부 (41) 는 작업 기계 (1) 로부터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였다는 취지의 통지를 수신하면, ID 번호 데이터베이스 (ID_DB) 의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 허가 ID 번호의 재기록은, 상이한 조작 허가 ID 번호로 재기록하는 것, 기존의 조작 허가 ID 번호를 삭제하는 것 및 새로운 조작 허가 ID 번호를 추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조작 허가 ID 번호가 삭제되는 경우, 삭제의 재기록 지령 및 삭제 대상의 조작 허가 ID 번호가 송신된다.
관리 장치 (40) 가 통신 회선 (101) 을 통해 작업 기계 (1) 의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재기록 지령을 송신하였을 때, 작업 기계 (1) 의 키 스위치 (32) 가 OFF 로 되어 있는 결과,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전자 기기류의 전원도 OFF 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전자 기기류로서의 모니터 (22) 의 전원도 OFF 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니터 (22) 는, 통신 단말 장치 (20) 가 수신한 재기록 지령 및 새로운 조작 허가 ID 번호를 취득하고,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없다. 그러면, 통신 단말 장치 (20) 로부터,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처리를 실행하였다는 취지의 정보가 관리 장치 (40) 에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관리 장치 (40) 는, 작업 기계 (1) 로부터 송신되는, 처리를 실행하였다는 취지의 통지를 수신할 때까지, 재기록 지령 등을 계속 송신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재기록 지령 등을 송신한 횟수가 소정의 횟수에 도달하면, 관리 장치 (40) 는, 처리의 요구는 실패하였다고 판정할 가능성도 있다. 또, 작업 기계 (1) 로부터 송신되는, 처리를 실행하였다는 취지의 통지를 관리 장치 (40) 가 수신할 때까지, 관리 장치 (40) 는, 작업 기계 (1) 의 조작 허가 ID 번호가 재기록된 것을 인식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조작 허가 ID 번호의 재기록 대상인 작업 기계 (1) 가 작업을 하는 현지에 오퍼레이터를 파견하여, 직접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할 필요도 있으므로, 작업에 수고를 필요로 한다. 또, 현지에 있어서 재기록을 하는 경우, 재기록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어, 작업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장치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요구 지령 및 처리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작업 기계 (1) 의 외부의 지령원으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전술한 요구 지령의 수신 완료 통지를 지령원에 회신한다.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장치가 기동한 것을 확인한 후,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요구 지령 및 처리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 장치가 처리를 실행한 경우에는,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처리 완료 통지를 지령원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모니터 (22) 에 조작 허가 ID 번호의 재기록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요구 지령인 재기록 지령 및 재기록 처리의 실행에 필요한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작업 기계 (1) 의 외부의 관리 장치 (40) 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전술한 요구 지령의 수신 완료 통지를 관리 장치 (40) 에 출력한다. 통신 단말 장치 (20) 는, 모니터 (22) 가 기동한 것을 확인한 후, 재기록 지령 및 재기록 처리의 실행에 필요한 조작 허가 ID 번호를 모니터 (22) 에 송신한다. 통신 단말 장치 (20) 는, 모니터 (22) 가 조작 허가 ID 번호의 재기록 처리를 실행한 경우,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처리 완료 통지를 관리 장치 (40) 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작업 기계 (1) 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관리 장치 (40) 로부터의 요구 지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전술한 요구 지령의 수신 완료 통지를 관리 장치 (40) 에 송신한다. 관리 장치 (40) 는, 이 수신 완료 통지를 수신함으로써, 요구 지령이 통신 단말 장치 (20) 에 받아들여졌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요구 지령의 송신을 반복할 필요는 없다. 결과적으로, 통신 단말 장치 (20) 는, 관리 장치 (40) 로부터 원격 조작에 의해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장치에 처리를 요구하는 경우에 있어서, 불필요한 통신을 저감시킬 수 있다.
관리 장치 (40) 는,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전자 기기류에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요구 지령을 송신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요구 지령을 송신하는 처리가 간이해짐과 함께, 요구 지령을 송신하는 타이밍이 특정 타이밍에 한정될 가능성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 (40) 는, 작업 기계 (1) 가 구비하는 전자 기기류에 전원이 투입될 때까지 불필요하게 요구 지령의 송신을 반복할 필요도 없어진다. 또,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요구 지령을 실행하는 전자 기기류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니터 (22)) 가 요구 지령을 실행한 경우, 처리 완료 통지를 관리 장치 (40) 에 송신하므로, 관리 장치 (40) 는, 요구 지령이 실행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현지에서 작업 기계 (1) 의 모니터 (22) 등을 조작하면서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관리자는, 조작 허가 ID 번호의 재기록 대상인 작업 기계 (1) 가 작업을 하는 현지에 오퍼레이터를 파견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수고를 저감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 관리 장치 (40) 는, 수신 완료 통지에 의해, 요구 지령이 통신 단말 장치 (20) 에 받아들여졌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관리 시스템 (100) 은, 관리 장치 (40) 로부터의 원격 조작에 의해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할 수 있으므로, 오퍼레이터가 현지에서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관리 시스템 (100) 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작업 기계 (1) 의 오너 또는 관리자가 원격 조작으로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의 처리 순서를 설명한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플로우 차트는, 작업 기계 (1) 의 오너 (OW), 관리 장치 (40), 작업 기계 (1) 의 통신 단말 장치 (20) 및 작업 기계 (1) 의 모니터 (22) 가 실행하는 일련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있어서는, 작업 기계 (1) 의 오너 (OW) 의 요구에 따라 조작 허가 ID 번호가 재기록되는 예를 설명하지만, 오너 (OW) 이외에, 예를 들어, 현장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조작 허가 ID 번호가 재기록되어도 된다.
스텝 S101 에 있어서, 오너 (OW) 는,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단말 장치 (105) 로부터, 통신 회선 (101) 을 통해 조작 허가 ID 번호의 재기록 요구를 관리 장치 (40) 에 송신한다. 재기록 요구는, 새로운 조작 허가 ID 번호로의 변경, 새로운 조작 허가 ID 번호의 추가 및 기존의 조작 허가 ID 번호의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재기록 요구를 수신한 관리 장치 (40) 는, 스텝 S201 에 있어서, 기억부 (42) 내의 처리 중 리스트에, 처리 스테이터스가 조작 허가 ID 번호의 재기록 처리 실행 중임을 기록한다. 여기서, 처리 중 리스트는, 관리 장치 (40) 가 현재 실행 중인 처리의 리스트이다. 다음으로, 관리 장치 (40) 는, 스텝 S202 에 있어서, 도 2 에 나타내는 통신 장치 (103), 통신 회선 (101) 및 기지국 (6) 을 통해, 작업 기계 (1) 의 통신 단말 장치 (20) 에 재기록 지령 등을 송신한다.
스텝 S301 에 있어서, 작업 기계 (1) 의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재기록 지령 등을 수신한다. 스텝 S302 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 (20) 는, 통신부 (34), 기지국 (6), 통신 회선 (101) 및 통신 장치 (103) 를 통해, 기록 지령의 수신 완료 통지를 관리 장치 (40) 에 송신한다. 또, 스텝 S303 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예를 들어, 모니터 (22) 에 전력이 공급된 것을 체크함으로써, 키 스위치 (32) 가 ON 으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관리 장치 (40) 로부터 수신한 재기록 지령 등을, 도 2 에 나타내는 차내 신호선 (30) 을 통해 모니터 (22) 에 출력한다.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재기록 지령 등을 모니터 (22) 에 출력할 때, 재기록 지령 등을 기억부 (20M) 에 일시적으로 기억시켜도 된다. 이 경우, 재기록 지령 등은 기억 영역 (20MSR) 에 기억된다.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출력 가능한 타이밍에, 기억부 (20M) 에 기억시킨 재기록 지령 등을 모니터 (22) 에 출력한다. 출력 가능한 타이밍은, 예를 들어, 모니터 (22) 가 기동한 후, 즉 전원이 투입된 후이다. 이 경우,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키 스위치 (32) 가 ON 으로 된 것을 검출하면, 기억부 (20M) 에 기억시킨 재기록 지령 등을 모니터 (22) 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면, 통신 단말 장치 (20) 는, 모니터 (22) 에 대한 재기록 지령 등의 출력 횟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차내 신호선 (30) 의 통신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출력 가능한 타이밍은, 전술한 타이밍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재기록 지령 등이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것은 통신 단말 장치 (20) 의 기억부 (20M) 이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재기록 지령 등이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기억부는, 통신 단말 장치 (20) 와 모니터 (22)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키 스위치 (32) 가 ON 으로 되면, 모니터 (22) 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축전기 (24) 로부터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전원이 투입되어 모니터 (22) 가 기동한다. 기동한 모니터 (22),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 (22CNT) 에는, 스텝 S401 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 (20) 로부터 출력된 재기록 지령 등이 입력된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 (22CNT) 의 처리부 (22C) 는, 스텝 S402 에 있어서, 재기록 지령 등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부 (22C) 는, 기억부 (22M) 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입력된 재기록 지령 등에 기초하여 재기록한다. 예를 들어, 처리부 (22C) 는, 재기록 지령 및 새로운 조작 허가 ID 번호가 입력된 경우, 새로운 조작 허가 ID 번호를 기억부 (22M) 에 기록하여 기억시킨다. 또, 처리부 (22C) 는, 기존의 조작 허가 ID 번호를 삭제하는 재기록 지령 등이 입력된 경우, 대상이 되는 조작 허가 ID 번호를 기억부 (22M) 로부터 삭제한다. 스텝 S402 의 처리가 실행되면, 모니터 (22) 의 처리부 (22C) 는, 스텝 S403 에 있어서, 조작 허가 ID 번호의 재기록 처리가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처리 완료 통지를, 차내 신호선 (30) 을 통해 통신 단말 장치 (20) 에 출력한다.
모니터 (22) 의 처리부 (22C) 는, 어떠한 원인으로 조작 허가 ID 번호의 재기록 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던 경우, 그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완료 통지를 생성하여 통신 단말 장치 (20) 에 출력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니터 (22) 로부터 출력되는 처리 완료 통지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된 것 또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았던 것 중 어느 일방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
스텝 S304 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 (20) 에는, 모니터 (22) 로부터 출력된 처리 완료 통지가 입력된다. 다음으로, 통신 단말 장치 (20) 는, 스텝 S305 에 있어서, 처리 완료 통지를 통신부 (34), 기지국 (6), 통신 회선 (101) 및 통신 장치 (103) 를 통해, 수신 완료 통지를 관리 장치 (40) 에 송신한다.
관리 장치 (40), 구체적으로는 처리부 (41) 는, 스텝 S202 후, 스텝 S203 에 있어서 일정 기간 내에 전술한 재기록 지령의 수신 완료 통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처리부 (41) 는, 재기록 지령을 수신하였을 때에는 (스텝 S203, 예), 스텝 S204 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204 에 있어서, 처리부 (41) 는, 전술한 재기록 지령의 수신 완료 통지를 수신한 후, 일정 기간 내에 통신 단말 장치 (20) 로부터 처리 완료 통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신 단말 장치 (20) 로부터 처리 완료 통지를 수신한 경우 (스텝 S204, 예), 처리부 (41) 는, 스텝 S205 에 있어서, ID 번호 데이터베이스 (ID_DB) 의 조작 허가 ID 번호를, 스텝 S202 에서 작업 기계 (1) 의 통신 단말 장치 (20) 에 송신한 재기록 지령 등에 대응한 내용의 조작 허가 ID 번호로 재기록한다. 다음으로, 스텝 S206 에 있어서, 관리 장치 (40) 의 처리부 (41) 는, 처리 중 리스트의 처리 스테이터스를 「처리 완료 통지 있음, 요구 성공」으로 기록한다. 이 일련의 처리에 의해, 작업 기계 (1) 및 관리 장치 (40) 의 양방에서 조작 허가 ID 번호가 재기록된다.
일정 기간 내에 전술한 재기록 지령의 수신 완료 통지를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 (스텝 S203, 아니오), 처리부 (41) 는, 스텝 S207 에 있어서 타임 아웃의 판정을 한다. 다음으로 스텝 S206 에 있어서, 처리부 (41) 는, 처리 중 리스트의 처리 스테이터스를 「수신 응답 없음, 요구 실패」로 기록한다.
스텝 S204 에 있어서, 일정 기간 내에 처리 완료 통지를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 (스텝 S204, 아니오), 처리부 (41) 는, 스텝 S208 에 있어서, 재기록 지령 등이 작업 기계 (1) 에 수신되고 나서 일정 기간 내에 아무런 응답도 없었기 때문에, 타임 아웃의 판정을 한다. 다음으로, 처리부 (41) 는, 스텝 S206 에 있어서, 처리 중 리스트의 처리 스테이터스를 「수신 응답 있음, 요구 실패」로 기록한다. 스텝 S206 후, 예를 들어, 오너 (OW) 는 처리 스테이터스를 보고, 다시 재기록 요구를 할지 여부의 판단을 한다. 또한, 스텝 S207 또는 스텝 S208 후, 처리부 (41) 는, 자동적으로 스텝 S201 로 되돌아가 이후의 처리를 다시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타임 아웃의 판정은, 예를 들어, 단말 장치 (105) 또는 관리 장치 (40) 의 입출력 장치 (44) 에 송신되어, 오너 (OW) 또는 관리 장치 (40) 측의 관리자에게 알려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리 장치 (40) 는, 예를 들어, 다음에 나타내는 6 단계의 상태에 의해, 오너 (OW) 또는 관리 장치 (40) 측의 관리자 등에게,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요구의 처리 스테이터스를 알린다.
제 1 단계는, 요구 처리 중 상태이며,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요구를 오너 (OW) 로부터 받아들였지만, 작업 기계 (1) 에는 미송신 상태이다. 스텝 S201 이 제 1 단계에 상당한다.
제 2 단계는, 요구 중 상태이며,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요구를 작업 기계 (1) 에 송신 완료하였지만, 작업 기계 (1) 로부터는 재기록 지령의 수신 완료 통지가 없는 상태이다. 스텝 S202 및 스텝 S301 이 제 2 단계에 상당한다.
제 3 단계는, 수신 응답 있음 상태이며, 관리 장치 (40) 가, 작업 기계 (1) 의 통신 단말 장치 (20) 로부터, 재기록 지령의 수신 완료 통지를 수신한 상태이다. 스텝 S203 이 제 3 단계에 상당한다.
제 4 단계는, 요구 성공 상태이며, 관리 장치 (40) 가, 작업 기계 (1) 의 통신 단말 장치 (20) 로부터,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처리가 성공한 처리 완료 통지를 수신한 상태이다. 스텝 S204 가 제 4 단계에 상당한다.
제 5 단계는, 요구 실패 상태이며, 관리 장치 (40) 가, 작업 기계 (1) 의 통신 단말 장치 (20) 로부터,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처리가 실패한 처리 완료 통지를 수신한 상태이다. 스텝 S204 가 제 5 단계에 상당한다.
제 6 단계는, 타임 아웃 상태이며,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요구를 송신 후, 일정 시간 내에 통신 단말 장치 (20) 로부터도 모니터 (22) 로부터도 처리 완료 통지가 없는 상태이다. 스텝 S208 이 제 6 단계에 상당한다.
관리 장치 (40) 는, 제 1 단계,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 중 어느 상태로써, 예를 들어, 오너 (OW) 로부터 받아들인 요구의 처리를 종료로 한다. 조작 허가 ID 번호의 재기록, 예를 들어, 신규 등록 또는 삭제에 대한 요구에 대해, 관리 장치 (40) 는, 제 4 단계로써 작업 기계 (1) 의 모니터 (22) 에 요구가 반영되었다고 판단하여, ID 번호 데이터베이스 (ID_DB) 의 조작 허가 ID 번호를 모니터 (22) 의 조작 허가 ID 번호와 마찬가지로 재기록한다. 관리 장치 (40) 는, 제 3 단계에서는, 작업 기계 (1) 의 모니터 (22) 에 요구가 반영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ID 번호 데이터베이스 (ID_DB) 의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지 않는다. 오너 (OW) 또는 관리 장치 (40) 측의 관리자는, 조작 허가 ID 번호를 재기록하는 처리에 있어서, 전술한 제 1 단계 내지 제 6 단계를 확인함으로써, 처리의 진행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기계 (1) 의 전자 기기 등이 실행하는 처리는, 조작 허가 ID 번호의 변경, 즉, 작업 기계 (1) 의 조작이 가능한 오퍼레이터를 설정 (신규 등록, 변경, 삭제 및 오퍼레이터를 식별하는 기능의 설정치 변경을 포함한다) 하는 처리로 하였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작업 기계 (1) 의 전자 기기 등이 실행하는 처리는, 예를 들어, 엔진 컨트롤러 또는 펌프 컨트롤러의 제어 파라미터의 변경, 추가 또는 삭제 등이어도 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내용에 의해 본 실시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전술한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이른바 균등 범위의 것이 포함된다. 또한, 전술한 구성 요소는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의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및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할 수 있다.
1 : 작업 기계
1S : 차재 시스템
3 : 관리 시설
20 : 통신 단말 장치
20C : 처리부
20M : 기억부
22 : 모니터
22P : 화면
22CNT : 제어 장치
22C : 처리부
22M : 기억부
23A : ID 판독 장치
30 : 신호선 (차내 신호선)
32 : 키 스위치
34 : 통신부
40 : 관리 장치
41 : 처리부
42 : 기억부
44 : 입출력 장치
100 : 관리 시스템
101 : 통신 회선
103 : 통신 장치
105 : 단말 장치

Claims (10)

  1. 삭제
  2.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와, 외부의 지령원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 단말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로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요구 지령을 상기 작업 기계의 외부의 지령원으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 완료 통지를 상기 지령원에 회신하며, 또한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상기 요구 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상기 처리를 실행했다는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가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처리 완료 통지를 상기 지령원에 송신하고,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요구 지령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고,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요구 지령을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출력하기 전에 상기 요구 지령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출력 가능한 타이밍에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상기 요구 지령을 출력하는, 작업 기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가능한 타이밍은,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기동한 후이고, 상기 요구 지령이 입력된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는 상기 처리를 실행하고, 실행 후에 처리를 실행한 통지를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출력하는, 작업 기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상기 작업 기계의 조작이 가능한 오퍼레이터를 설정하는 처리인, 작업 기계.
  5. 삭제
  6. 삭제
  7.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와, 외부의 지령원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 단말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와,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요구 지령을 송신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작업 기계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요구 지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 완료 통지를 상기 관리 장치에 회신하며, 또한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상기 요구 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상기 처리를 실행했다는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가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처리 완료 통지를 상기 관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수신 완료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요구 지령이 상기 작업 기계에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요구 지령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고,
    상기 요구 지령을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출력하기 전에 상기 요구 지령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출력 가능한 타이밍에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상기 요구 지령을 출력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가능한 타이밍은,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기동한 후이고, 상기 요구 지령을 입력한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는 상기 처리를 실행하고, 실행 후에 처리를 실행한 통지를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출력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상기 작업 기계의 조작이 가능한 오퍼레이터를 설정하는 처리이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기계의 조작이 가능한 오퍼레이터가 등록된 리스트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고, 상기 처리 완료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리스트를 재기록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10. 작업 기계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와, 외부의 지령원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 단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작업 기계가 구비하는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요구 지령을 상기 작업 기계의 외부의 지령원으로부터 송신하고,
    상기 요구 지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 완료 통지를 상기 지령원에 회신하며, 또한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상기 요구 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상기 처리를 실행했다는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가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처리 완료 통지를 상기 지령원에 송신하고,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요구 지령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고,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요구 지령을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출력하기 전에 상기 요구 지령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출력 가능한 타이밍에 상기 요구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에 상기 요구 지령을 출력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
KR1020167037018A 2013-12-11 2013-12-11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 KR101797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83264 WO2015040763A1 (ja) 2013-12-11 2013-12-11 作業機械、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管理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434A Division KR20150085507A (ko) 2013-12-11 2013-12-11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165A KR20170005165A (ko) 2017-01-11
KR101797888B1 true KR101797888B1 (ko) 2017-11-14

Family

ID=516178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434A KR20150085507A (ko) 2013-12-11 2013-12-11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
KR1020167037018A KR101797888B1 (ko) 2013-12-11 2013-12-11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434A KR20150085507A (ko) 2013-12-11 2013-12-11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70665B2 (ko)
JP (1) JP5583871B1 (ko)
KR (2) KR20150085507A (ko)
CN (1) CN104837688B (ko)
DE (1) DE112013000233B4 (ko)
IN (1) IN2015DN01970A (ko)
WO (1) WO2015040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5038B2 (ja) * 2014-10-03 2017-05-10 ヤンマー株式会社 通報システム
JPWO2016174754A1 (ja) * 2015-04-28 2018-02-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周辺監視装置及び作業機械の周辺監視方法
US20170151969A1 (en) 2015-12-01 2017-06-01 Laird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afety locking of operator control units for remote control machines
JP6889389B2 (ja) * 2016-09-15 2021-06-1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稼働管理システム及び稼働情報の開示方法
CN112424111B (zh) * 2018-07-25 2023-05-09 株式会社多田野 通知装置、作业机、以及通知方法
CN108894272A (zh) * 2018-07-31 2018-11-27 青岛雷沃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挖掘机自动引导施工系统及施工方法
FR3085811A1 (fr) * 2018-09-10 2020-03-13 Psa Automobiles Sa Systeme automatique d’acces et de demarrag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gestion de l’acces a un vehicule
DE102019207547A1 (de) * 2019-05-23 2020-11-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eleoperieren eines Fahrzeuges
JP7340996B2 (ja) * 2019-09-03 2023-09-08 日立建機株式会社 現場管理システム
JP7331738B2 (ja) * 2020-03-06 2023-08-23 横河電機株式会社 図面管理装置、図面管理システム、図面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837517A (zh) * 2021-01-04 2021-05-25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报警消息处理方法、装置、服务器、客户端及报警系统
US20230186191A1 (en) * 2021-12-13 2023-06-15 Caterpillar Global Mining Equipment Llc Machine Management Based on Battery St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685A (ja) 2001-04-25 2002-11-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4288019A (ja) 2003-03-24 2004-10-14 Idec Izumi Corp 教示装置
US20070067582A1 (en) * 2005-09-20 2007-03-22 Yasuaki Kakizawa Remote management system of dynamic state data of work machine
JP2007083763A (ja) 2005-09-20 2007-04-0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遠隔管理システムの作業機械側動態データ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5772T2 (de) * 2001-04-05 2009-05-1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Diebstahlsicherungssystem für baumaschinen
JP2005018510A (ja) * 2003-06-27 2005-01-20 Hitachi Ltd データセン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3781764B1 (ja) * 2005-04-14 2006-05-31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通信端末の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805116B2 (ja) * 2006-12-11 2011-11-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サービス利用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685A (ja) 2001-04-25 2002-11-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4288019A (ja) 2003-03-24 2004-10-14 Idec Izumi Corp 教示装置
US20070067582A1 (en) * 2005-09-20 2007-03-22 Yasuaki Kakizawa Remote management system of dynamic state data of work machine
JP2007083763A (ja) 2005-09-20 2007-04-0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遠隔管理システムの作業機械側動態データ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70665B2 (en) 2016-02-23
US20150163212A1 (en) 2015-06-11
CN104837688A (zh) 2015-08-12
JPWO2015040763A1 (ja) 2017-03-02
WO2015040763A1 (ja) 2015-03-26
IN2015DN01970A (ko) 2015-08-14
KR20150085507A (ko) 2015-07-23
CN104837688B (zh) 2017-09-22
DE112013000233T5 (de) 2015-05-07
JP5583871B1 (ja) 2014-09-03
DE112013000233B4 (de) 2016-08-04
KR20170005165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888B1 (ko)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
US9354627B2 (en) Control method, control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system for work machine
EP2767446A1 (en) Electronic key registration method and electronic key registration system
CN104866336A (zh) 无声车载软件更新
US8606217B2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transmission of data
CN103973920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终端以及信息设备操作方法
CN104871096A (zh) 用于与不具有物理用户接口的装置交换支持数据的系统和方法
CN108699812B (zh) 工程机械、从工程机械获取工作数据的携带信息终端、工程机械的信息通信系统以及安装在携带信息终端上的程序
WO2015072238A1 (ja) 建設機械及び建設機械の稼働状態管理システム
WO2018057754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quipment monitoring and access control
KR101720440B1 (ko) 작업 기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N109963278B (zh) 车载装置以及车载安全交互方法
CN1940872A (zh) 车载程序的改写控制装置
WO2017150233A1 (ja) 端末装置およびソフトウェア書き換えプログラム
JP2015115063A (ja) 作業機械、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US116628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vehicle, transmis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4252588A (zh) 工作区的访问控制的方法和装置
JP2005160046A (ja) 移動通信端末のための動作環境設定システム
CN113470223A (zh) 一种智能锁用户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系统
US10848966B1 (en) Wireless access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device
JP2007312218A (ja) 端末を制御するため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7917637A (zh) 系统升级的提醒方法和电子设备
JP2008240462A (ja) オペレータ管理システム
CN104753570A (zh) 具有近场通信的人机界面设备
JP2023019048A (ja) センタ、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