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491B1 -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491B1
KR101787491B1 KR1020157032452A KR20157032452A KR101787491B1 KR 101787491 B1 KR101787491 B1 KR 101787491B1 KR 1020157032452 A KR1020157032452 A KR 1020157032452A KR 20157032452 A KR20157032452 A KR 20157032452A KR 101787491 B1 KR101787491 B1 KR 101787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se member
work space
substrat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3688A (ko
Inventor
토시아키 쿠로기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43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베이스 부재(3)와, 베이스 부재(3)에 지지된 기판 반송로(12) 및 작업장치 본체(13)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3)와 함께 작업장치 본체(13, 74)가 작업을 행하는 작업 공간(6)을 규정하는 커버 부재(5)와, 커버 부재(5)의 기판 반입구(15) 및 기판 반출구(16)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3) 또는 커버 부재(5)에 설치된 공기 입구(52)와, 공기 입구(52)로부터 작업 공간(6)에 외부 공기를 보내 작업 공간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게 하는 송풍장치(8)와, 필터(9)를 구비한다. 공기 입구(52)는 베이스 부재(3)의 상방으로부터 보아 기판 반송로(12)와 겹치지 않는 영역 내, 또는 커버 부재(5)의 상방으로부터 보아 기판 반송로(12)와 겹치지 않는 영역 중 기판 반송로(12)보다 높은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다. 작업 공간(6)을 정압으로 가압하는 송풍장치(8)를 사용해서 먼지의 침입 방지를 도모하면서 작업 공간(6)을 환기할 수 있다. 바람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프린트 기판(11)에 작업을 바르게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WORK DEVICE FOR PRINTED SUBSTRATE}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에 도포액의 도포나 전자부품의 실장 등을 행하는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린트 기판을 작업의 대상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 실장장치나 디스펜서, 또는 크림 땜납을 도포하기 위한 스크린 인쇄기 등이 있다. 이들의 장치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에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공간은 커버 부재 중에 형성되어 있다. 작업 공간에는 프린트 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장치나, 도포장치나 전자부품 이동장치 등이 수용되어 있다. 도포장치는 프린트 기판에 접착제나 땜납 페이스트 등의 도포액을 도포하는 것이다.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프린트 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것이다. 도포장치나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고속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발열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나 디스펜서 등은 작업 공간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배기장치를 장비하는 경우가 있다.
작업 공간이 커버 부재 중에 형성된 작업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작업장치는 작업 공간에 공기를 보내 작업 공간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게 하는 필터 부착 송풍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송풍장치는 커버 부재의 천정 부분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작업 공간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공기를 보낸다. 이것에 의해 작업 공간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은 정압으로 하면서 작업 공간의 환기를 행한다.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나 디스펜서 등에 상술한 배기장치를 부착하면 작업 공간이 부압이 된다. 작업 공간이 부압이 되면 외부의 먼지가 커버 부재의 개구부나 간극으로부터 공기와 함께 작업 공간에 들어간다. 전자기기에 먼지가 부착되면 접점이 접촉 불량을 일으키거나, 전극 사이가 단락될 우려가 있다. 또한, 맞스치는 기계부품끼리의 사이에 먼지가 끼이면 이 기계부품이 동작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허분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 공간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은 정압으로 함으로써 어느 정도는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필터 부착 송풍장치는 작업 공간의 중앙부에 하향의 강한 공기류(바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 송풍장치를 전자부품 실장장치나 디스펜서에 사용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에 작업을 바르게 실시하는 것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있어서는 프린트 기판에 실장된 작은 전자부품이 바람에 날아가거나, 전자부품의 실장 위치가 바뀔 우려가 있다. 디스펜서에 있어서는 도포 헤드의 하단에 형성된 액적이 바람에 옆으로 밀려 도포액을 바른 위치에 도포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0-3867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작업 공간 내를 정압으로 가압하는 송풍장치를 사용하여 먼지의 침입 방지를 도포하면서 작업 공간을 환기함에도 불구하고 바람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프린트 기판에 작업을 바르게 실시할 수 있는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는 지지면이 상단부에 형성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되어 프린트 기판이 반송되는 기판 반송로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기판 반송로에 유지된 프린트 기판에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치 본체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와 함께 상기 작업장치 본체가 작업을 행하는 작업 공간을 규정하는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의 일측부에 개구되는 기판 반입구와, 상기 커버 부재의 타측부 개구되는 기판 반출구와, 상기 베이스 부재 또는 커버 부재에 설치된 공기 입구와, 상기 공기 입구로부터 상기 작업 공간에 외부의 공기를 보내 상기작업 공간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게 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에 설치된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입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방으로부터 보아 상기 기판 반송로와 겹치지 않는 영역 내, 또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방에서 보아 상기 기판 반송로와 겹치지 않는 영역 중 상기 기판 반송로보다 높은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에 의해 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송풍장치에 의해 작업 공간에 보내어진다. 이 때문에 작업 공간에 외부로부터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막으면서 작업 공간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은 정압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결과, 기판 반송로 상의 프린트 기판이나 작업장치 본체의 기계부품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장치는 프린트 기판이나 기계부품에 먼지가 부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작업 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고장나는 일 없이 바르게 동작하는 것이 된다.
작업 공간의 공기 입구를 통과한 공기는 기판 반송로를 피해 흐른다. 이 때문에 기판 반송로 상에 위치하는 프린트 기판에 바람을 쐬는 일은 없어 프린트 기판에 대하여 행하는 작업이 바람에 의해 방해되는 경우가 없다.
작업 공간의 공기는 주로 기판 반입구 및 기판 반출구를 통과하여 커버 부재 밖으로 유출된다. 이 때문에 작업 공간이 환기되어 작업 공간에 고온의 공기가 체류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작업 공간을 항상 낮은 온도의 공기로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 공간을 정압으로 가압하는 송풍장치를 사용하여 먼지의 침입 방지를 도모하면서 작업 공간을 환기함에도 불구하고 바람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프린트 기판에 작업을 바르게 실시할 수 있는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펜서의 평면도이다. 도 1은 커버 부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 그려져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펜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커버 부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 그려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버 부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 그려져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송풍장치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펜서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풍속과 필터의 클로깅 레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펜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커버 부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 그려져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커버 부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 그려져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송풍장치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의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커버 부재의 일부를 파단함과 아울러 디스펜서의 하부를 생락한 상태에서 그려져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커버 부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 그려져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커버 부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 그려져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베이스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베이스 부재와 커버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베이스 부재의 일부와 커버 부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 그려져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베이스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베이스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베이스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베이스 부재와 커버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베이스 부재의 일부와 커버 부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 그려져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의한 베이스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의한 베이스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베이스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베이스 부재와 커버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베이스 부재의 일부와 커버 부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 그려져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의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베이스 부재와 커버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커버 부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 그려져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의한 베이스 부재의 평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도 1~6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디스펜서에 적용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스펜서란 프린트 기판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포액은 크림 땜납이나 접착제 등이다. 크림 땜납은 전자부품의 단자를 프린트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것이다. 접착제는 전자부품의 패키지 부분을 프린트 기판에 접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1)로서의 디스펜서(2)는 기대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3)에 후술하는 각종 장치를 탑재해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의 상단부에는 수평인 지지면(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단부(지지면(3a))는 판상의 구획 부재(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는 도 1에 있어서 좌우방향을 X방향이라고 하고, 이 X방향과는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Y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하측(Y방향의 일단측)을 장치 전측이라고 하고, 도 1에 있어서 상측(Y방향의 타단측)을 장치 후측이라고 한다.
베이스 부재(3) 상에는 이 베이스 부재(3)의 상방을 수평방향(X방향과 Y방향) 및 상방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5)는 베이스 부재(3) 상에 외부와는 구획된 작업 공간(6)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커버 부재(5)는 X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측벽(5a) 및 제 2 측벽(5b)과, 장치 전측에 위치하는 전면벽(5c)과, 장치 후측에 위치하는 후면벽(5d)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천정벽(5e)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벽(5c)의 일부와 천정벽(5e)의 일부는 개폐가능한 하나의 개폐문(7)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개폐문(7)은 천정벽 부분의 후단부를 중심으로 해서 상하방향으로 요동하여 개폐된다.
커버 부재(5)의 제 1 측벽(5a)에는 후술하는 송풍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장치(8)는 후술하는 필터(9)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3) 상에는 프린트 기판(11)을 반송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기판 반송로(12)와, 프린트 기판(11)에 도포액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도포장치(13)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작업장치 본체」에 상당한다.
기판 반송로(12)는 베이스 부재(3)에 지지된 한 쌍의 컨베이어(14)와, 이 컨베이어(14)의 근방에 설치된 기판 유지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14)는 프린트 기판(11)을 베이스 부재(3)의 X방향의 일단측(도 1에 있어서는 우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보내는 것이다. 컨베이어(14)에 있어서의 반송방향의 상류측의 단부는 커버 부재(5)의 제 2 측벽(5b)에 형성된 기판 반입구(15)를 통해 작업 공간(6)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컨베이어(14)에 있어서의 반송방향의 하류측의 단부는 커버 부재(5)의 제 1 측벽(5a)에 형성된 기판 반출구(16)를 통해 작업 공간(6)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기판 유지장치는 컨베이어(14)에 의해 X방향의 중앙부에 반송된 프린트 기판(11)을 컨베이어(14)로부터 상승시켜 유지한다. 이 기판 유지장치와 컨베이어(14)의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장치(17)(도 5 참조)에 의해 제어된다.
이어서, 도포장치(13)의 구성을 도 1 및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도포장치(13)는 작업 공간(6)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헤드 유닛(21)과, 이 헤드 유닛(21)에 지지된 2개의 도포 헤드(2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우선 헤드 유닛(21)을 지지하면서 구동하는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 부재(3)의 X방향의 양단부에는 컨베이어(14)의 상방에서 Y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레일(2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고정 레일(23)에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 지지 부재(24)가 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일방의 고정 레일(23)에는 헤드 지지 부재(24)를 구동하기 위한 Y방향 구동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Y방향 구동장치(25)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스크류축(26)과, 이 볼 스크류축(26)을 구동하는 Y축 서보모터(27)와, 볼 스크류축(26)에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헤드 지지 부재(24)에 고정된 볼 스크류 너트(28) 등을 구비하고 있다. Y축 서보모터(27)의 동작은 제어장치(17)에 의해 제어된다.
헤드 지지 부재(24)는 후술하는 2개의 도포 헤드(22)를 갖는 헤드 유닛(21)과, 이 헤드 유닛(21)을 구동하기 위한 X방향 구동장치(31)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유닛(21)은 상술한 헤드 지지 부재(24)의 장치 전측의 측면에 설치된 X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24a, 24b)을 따라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헤드 지지 부재(24)에 지지된 프레임(21a)과, 이 프레임(21a)에 설치된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헤드 유닛(21)을 구동하는 X방향 구동장치(31)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스크류축(32)과, 이 볼 스크류축(32)을 구동하는 X축 서보모터(33)와, 볼 스크류축(32)에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프레임(21a)에 고정된 볼 스크류 너트(34) 등을 구비하고 있다. X축 서보모터(33)의 동작은 제어장치(17)에 의해 제어된다.
즉, 헤드 유닛(21)은 X방향 구동장치(31)에 의한 구동에 의해 X방향으로 이동하고, Y방향 구동장치(25)에 의한 구동에 의해 헤드 지지 부재(24)와 함께 Y방향으로 이동한다.
헤드 유닛(21)의 프레임(21a)에 지지된 복수의 부품이란 2개의 도포 헤드(22)와, 도포 헤드(22)마다의 승강장치(35) 및 회전장치(36) 등이다.
도포 헤드(2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시린지(37)와, 하단부에 위치하는 도포 노즐(38)을 구비하고 있다. 시린지(37)는 도포액(39)(도 5 참조)을 저류하는 것이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원(40)에 스위칭 밸브(41)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포 노즐(38)은 도포액(39)이 하방을 향해 유출되는 것이다. 도포액(39)은 에어 공급원(40)으로부터 시린지(37)에 가압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시린지(37)로부터 압출되어 도포 노즐(38)로부터 토출된다.
승강장치(35)는 이들의 도포 헤드(22)를 프레임(21a)에 대하여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승강장치(35)의 동력원은 Z축 서보모터(42)(도 5 참조)이다.
회전장치(36)는 이들의 도포 헤드(22)를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키는 것이다. 회전장치(36)의 동력원은 R축 서보모터(43)(도 5 참조)이다. Z축 서보모터(42)와 R축 서보모터(43)의 동작은 제어장치(17)에 의해 제어된다.
이 도포장치(13)에 있어서는 헤드 유닛(21)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 결정된 후에 도포 헤드(22)가 하강하고, 이 하강 동작의 정지 전후로부터 시린지(37)에 가압 공기가 공급되어 도포 노즐(38)로부터 유출된 도포액(39)이 프린트 기판(11)에 도포된다. 이어서, 소정 시간 후, 다음의 제 1 동작과 제 2 동작 중 어느 한쪽 독작이 실시된다. 가압 공기의 공급이 정지되어 도포 헤드(22)가 상승한다(제 1 동작). 도포액(39)이 프린트 기판(11)에 도포되면서 헤드 유닛(21)이 소망의 위치까지 소망의 궤적을 취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후 가압 공기의 공급이 정지되어 도포 헤드(22)가 상승한다(제 2 동작).
또한, 도포 헤드(22)는 복수의 토출구(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도포 노즐(38)을 사용하는 경우는 회전장치(36)에 의한 구동에 의해 필요에 따라 회전 위치 결정된다.
커버 부재(5)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장치(8)는 작업 공간(6)을 포함하는 공기통로(51)(도 1 및 도 2 참조)에 공기를 보내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 통로(51)는 베이스 부재(3)와 커버 부재(5)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 부재(5)의 제 1 측벽(5a)에 형성된 공기 입구(52)(도 4 참조)로부터 커버 부재(5)의 공기 출구까지의 작업 공간(6) 그 자체가 공기 통로(51)로 되어 있다.
공기 출구는 기판 반입구(15) 및 기판 반출구(16)와, 개폐문(7)의 간극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공기 입구(52)는 커버 부재(5)에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입구(52)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기판 반송로(12)와 겹치지 않는 영역이며, 기판 반송로(12)보다 높은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 입구(52)의 위치는 제 2 측벽의 상부이며, 장치 전측의 단부이다. 그 결과, 공기 입구(52)는 기판 반송로(1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향(X방향)을 지향하고 있다.
송풍장치(8)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 팬(53)과 보호용 팬 가드(54)를 구비하고 있다. 송풍 팬(53)과 팬 가드(54) 사이에는 필터(9)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 팬(53)은 커버 부재(5)의 제 1 측벽(5a)의 상부이며, 장치 전측에 공기가 커버 부재(5) 밖으로부터 안을 향해 흐르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송풍 팬(53)의 수량이나 송풍 팬(53)을 부착하는 위치는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수, 위치에 한정되는 일은 없어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송풍 팬(53)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우근을 갖는 팬 모터(53a)와, 이 팬 모터(53a)를 지지하는 덕트 부재(53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덕트 부재(53b)에는 풍속 센서(55)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 팬(53)은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1)에 전원 투입되고 있는 동안은 항상 회전한다. 이 송풍 팬(53)의 동작은 제어장치(17)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이 송풍 팬(53)은 팬 모터(53a)가 적정한 회전수로 회전함으로써 작업 공간(6)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즉, 송풍장치(8)가 운전됨으로써 커버 부재(5) 밖의 공기가 송풍 팬(53)에 의해 작업 공간(6)으로 보내지고, 이 공기가 커버 부재(5)의 공기 출구로부터 유출된다.
풍속 센서(55)는 송풍 팬(53)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계측하여 데이터로서 제어장치(17)에 보낸다.
필터(9)는 작업 공간(6)에 보내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 필터(9)는 송풍 팬(53)의 흡입구를 덮은 상태로 송풍 팬(53)에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필터(9)는 덕트 부재(53b)와 팬 가드(54)에 끼워져 유지되어 있다.
필터(9)는 입경 5~10㎛ 정도의 먼지(JIS15종 더스트)를 포착할 수 있는 것이다.
팬 가드(54)는 필터(9)의 외면을 덮는 성긴 그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덕트 부재(54b)와 함께 제 1 측벽(5a)에 부착되어 있다.
필터(9)는 장기간에 걸쳐 사용함으로써 클로깅을 일으킨다. 필터(9)가 클로깅을 일으키면 송풍 팬(53)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저하함과 아울러 공기의 유량이 감소하여 작업 공간(6)의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워진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장치(17)는 경보장치(56)(도 5 참조)가 접속되어 있고, 송풍장치(8)의 풍속 센서(55)에 의해 계측된 풍속이 미리 정한 풍속을 하회했을 ?에 경보를 발생시킨다. 즉, 이 디스펜서(2)는 클로깅이 생긴 필터(9)의 교환 또는 청소를 운전자에게 재촉할 수 있는 것이다.
경보를 발생시킬 때의 풍속은 이 이상의 풍속이면 작업 공간(6)의 압력을 정압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면 필터(9)의 클로깅의 정도가 50%~75%에 도달했을 때의 풍속으로 할 수 있다. 필터(9)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속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9)의 클로깅의 정도가 50%를 상회하는 것에 의해 급속히 감소한다. 이 때문에 필터(9)의 클로깅의 정도를 50%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풍속의 저하를 방지하여 작업 공간(6)의 정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디스펜서(2)에 의하면 필터(9)에 의해 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송풍장치(8)에 의해 작업 공간(6)으로 보내진다. 이 때문에, 작업 공간(6)에 외부로부터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막으면서 작업 공간(6)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은 정압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결과, 기판 반송로(12) 상의 프린트 기판(11)이나, 도포장치(13) 또는 컨베이어(14) 등의 기계부품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펜서(2)는 프린트 기판(11)이나 기계부품에 먼지가 부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작업 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고장나는 일 없이 바르게 동작하는 것이 된다.
작업 공간(6)의 공기 입구(52)를 통과한 공기는 작업 공간(6)을 X방향의 타단측을 향해 흐른다. 바꿔 말하면, 이 공기는 작업 공간(6)을 기판 반송로(12)를 피해 흐른다. 이 때문에 기판 반송로(12) 상에 위치하는 프린트 기판(11)에 바람을 쐬는 일은 없어 바람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프린트 기판(11)에 도포 작업을 바르게 실시할 수 있다.
필터(9)는 매우 미세한 먼지를 포착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 미세한 먼지는 공기와 함께 필터(9)를 투과해서 작업 공간(6)에 들어간다. 한편, 송풍장치(8)에 의해 작업 공간(6)으로 보내진 공기의 유속은 공기가 공기 입구(52)를 통해 작업 공간(6) 내에 유입함으로써 저하한다. 이 때문에 필터(9)를 투과해서 공기에 밀려 작업 공간(6)에 혼입한 미세한 먼지는 작업 공간(6)으로 들어가 공기의 유속이 저하됨으로써 공기와 분리되어 낙하한다. 이 때문에 필터(9)를 투과한 먼지이어도 프린트 기판(11)에 도달하는 일은 없다.
작업 공간(6)의 공기는 주로 기판 반입구(15) 및 기판 반출구(16)를 통과하여 커버 부재(5) 밖으로 유출된다. 이 때문에 작업 공간(6)이 환기되어 작업 공간(6)에 고온의 공기가 체류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작업 공간(6)을 항상 낮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 공간(6)을 정압으로 가압하는 송풍장치(8)를 사용해서 먼지의 침입 방지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송풍장치(8)를 사용하여 작업 공간(6)을 환기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송풍장치(8)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람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프린트 기판(11)에 도포 작업을 바르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공간(6) 내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공기류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방향에 압력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이 압력 검지값이 소정의 정압 이상이 되도록 팬 모터(53a)를 제어함과 아울러 팬 모터(53a)의 회전수가 소정값 이상이 될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켜 필터(9)의 교환 또는 청소를 운전자에게 재촉하도록 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송풍장치는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7~도 10에 있어서 도 1~도 6에 의해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송풍장치(8)와 필터(9)는 커버 부재(5)의 전면벽(5c)에 있어서의 X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가 실장 라인에 편입된 상태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전측에 위치하는 통로로부터 송풍장치(8)의 점검 보수 및 필터(9)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커버 부재(5) 전면벽(5c)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입구(52)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후술하는 공기 가이드(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송풍장치(8) 및 필터(9)와 공기 가이드(61)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커버 부재(5)의 후면벽(5d)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가 실장 라인에 편입된 상태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후측에 위치하는 통로로부터 송풍장치(8)의 점검 보수 및 필터(9)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 입구(52)는 커버 부재(5)에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입구(52)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기판 반송로(12)와 겹치지 않는 영역이며, 상기기판 반송로(12)보다 높은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장치 후측을 지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면벽(5c)에는 상술한 공기 가이드(61)를 설치하여 송풍장치(8)에 의해 작업 공간(6)에 보내진 공기의 흐름 방향을 공기 입구(52)로부터 기판 반송로(12)를 향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경하고 있다.
공기 가이드(61)는 공기가 흐르는 홈을 구성함으로써 이 홈의 저부가 되는 1매의 굴곡된 저판(62)과, 이 홈의 양측벽이 되는 한 쌍의 측판(63, 64)을 구비하고 있다. 저판(62)은 주면이 상하방향을 지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기부(62a)와, 주면이 장치 전측과 장치 후측을 지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선단부(62b)와, 기부(62a)와 선단부(62b)를 접속하는 굴곡부(62c)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공기 가이드(61)는 송풍장치(8)에 의해 작업 공간(6)에 보내진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판 반송로(12)의 측방에서 수평방향으로부터 상방으로 변경시킨다.
도 10에 나타내는 송풍장치(8)와 필터(9)는 커버 부재(5)의 천정벽(5e)에 있어서의 장치 후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천정벽(5e)에 송풍장치(8)를 설치하는 경우는 바람이 프린트 기판(11)에 닿는 것을 방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송풍장치(8)와 필터(9)는 기판 반송로(12)의 바로 위를 피해 배치할 필요가 있다. 즉, 송풍장치(8)와 필터(9)는 장치 전측의 단부에 배치하거나, 장치 후측의 단부와 장치 전측의 단부 양쪽에 배치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공기가 송풍장치(8)에 의해 커버 부재(5)의 최상부 내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도포장치(13)의 열로 따뜻해진 공기가 이 최상부 내에 모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를 채용함으로써 작업 공간(6)을 가압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커버 부재(5) 내를 효율적으로 환기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송풍장치(8)와 필터(9)를 커버 부재(5)의 하나의 벽에만 설치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송풍장치(8)와 필터(9)는 커버 부재(5)의 복수의 벽에 설치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도 1~도 10에 의해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전자부품 실장장치(71)는 베이스 부재(3) 상에 설치된 기판 반송로(12)와, 후술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72)와, 복수의 흡착 헤드(73)를 갖는 부품 이동장치(7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기판 반송로(12)와, 전자부품 공급장치(72)의 부품 공급부(72a)와, 부품 이동장치(74)는 커버 부재(5)의 내부(작업 공간(6))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자부품 공급장치(72)와 부품 이동장치(74)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작업장치 본체」에 상당한다.
전자부품 공급장치(72)는 후술하는 흡착 헤드(73)의 이동가능한 범위 내에 전자부품(75)(도 12 참조)을 공급한다. 이 전자부품 공급장치(72)는 예를 들면 복수의 테이프 피더(76)로 구성할 수 있다.
부품 이동장치(74)는 작업 공간(6)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헤드 유닛(77)과, 이 헤드 유닛(77)에 지지된 복수의 흡착 헤드(73) 등을 구비하고 있다. 헤드 유닛(77)을 지지하면서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 구동하는 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도포장치(13)의 헤드 유닛(21)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 구동하는 기구와 동등한 것이다. 이 때문에 헤드 유닛(77)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 구동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기구와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흡착 헤드(73)는 각각 헤드 유닛(21)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흡착 헤드(73)의 하단부에는 전자부품(75)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 노즐(78)이 설치되어 있다.
흡착 헤드(73)는 부품 이동장치(74)에 의한 구동에 의해 전자부품 공급장치(72)의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후 승강하여 전자부품(75)을 흡착한다. 그리고, 이 흡착 헤드(73)는 부품 이동장치(74)에 의한 구동에 의해 프린트 기판(11)의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후 승강하여 전자부품(75)을 프린트 기판(11)에 실장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송풍장치(8)와 필터(9)는 제 2 실시형태(도 7~도 10 참조)와 마찬가지로 커버 부재(5)의 전면벽(5c)에 설치되어 있다. 전면벽(5c)에는 도 9에 나타낸 공기 가이드와 동등한 공기 가이드(61)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자부품 실장장치(71)가 실장 라인에 편입된 상태에 있어서 전자부품 실장장치(71)의 전측에 위치하는 통로로부터 송풍장치(8)의 점검 보수 및 필터(9)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송풍장치(8)와 필터(9)는 도 11 및 도 12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5)의 제 1 측벽(5a)이나 천정벽(5e)에 설치할 수 있고,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커버 부재(5)의 후면벽(5d), 제 2 측벽(5b), 또는 커버 부재(5)의 복수의 벽에 설치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전자부품 실장장치(71)에 있어서는 필터(9)에서 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송풍장치(8)가 커버 부재(5) 내에 보내기 때문에 작업 공간(6)이 정압이 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 공간(6)을 정압으로 가압하는 송풍장치(8)를 사용해서 먼지의 침입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송풍장치(8)를 사용하여 작업 공간(6)을 환기할 수 있다. 또한, 송풍장치(8)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람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프린트 기판(11)에 실장작업을 바르게 실시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도 10에 나타내는 디스펜서의 베이스 부재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베이스 부재는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도 1~도 12에 의해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3)는 내부에 수납 공간(81)을 갖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베이스 부재(3)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판(82)과, 장치 전측에서 기립하는 전면벽(83)과, 장치 후측에서 기립하는 후면벽(84)과, X방향의 일단부에서 기립하는 제 1 측벽(85)과, X방향의 타단부에서 기립하는 제 2 측벽(86)에 의해 상방을 향해 개구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획 부재(4)는 수납 공간(81)의 상단의 개구를 덮어 수납 공간(81)과 작업 공간(6)을 구획하고 있다.
구획 부재(4)에는 수납 공간(81)과 작업 공간(6)을 연통하는 제 1 연통 구멍(87)과 제 2 연통 구멍(88)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연통 구멍(87)은 장치 전측에 위치 부여되고, 제 2 연통 구멍(88)은 장치 후측에 위치 부여되어 있다. 제 1 연통 구멍(87)과 제 2 연통 구멍(88)은 X방향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3)의 제 1 측벽(5a)에 근접하는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연통 구멍(87)과 제 2 연통 구멍(88) 중에는 작업 공간으로부터 수납 공간에 이물이 낙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물 부재(87a, 88a)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 중에는 수납 공간(81) 내에서 X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칸막이 판(89) 및 제 2 칸막이 판(90)과, 이들의 제 1, 제 2 칸막이 판(89, 90) 사이에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칸막이 판(91)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제 2 칸막이 판(89, 90)은 베이스 부재(3)의 X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1 칸막이 판(89)과 베이스 부재(3)의 전면벽(83) 사이에는 제 1 기실(92)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칸막이 판(90)과 베이스 부재(3)의 후면벽(84) 사이에는 제 2 기실(93)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연통 구멍(87)은 제 1 기실(92)에 개구되어 있다. 제 2 연통 구멍(88)은 제 2 기실(93)에 개구되어 있다.
제 1, 제 2 칸막이 판(89, 90)에는 각각 관통 구멍(9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94)은 제 3 칸막이 판(91)보다 X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각각 형성된다.
제 3 칸막이 판(91)은 제 1 기실(92)과 제 2 기실(93) 사이의 공간을 X방향으로 나란한 제 3 기실(95)과 제 4 기실(96)로 구획하고 있다. 이들의 제 3 기실(95)과 제 4 기실(96)은 각각 제 1, 제 2 칸막이 판(89, 90)의 관통 구멍(94)을 통해 제 1 기실(93)과 제 2 기실(93)에 접속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의 제 1 측벽(85)과, 베이스 부재(3)의 제 2 측벽(86)에는 공기 출구가 되는 관통 구멍(9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의 수납 공간(81)에는 상세는 후술하지만 열을 발생하는 복수의 전기기기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전기기기는 제 1~제 3 칸막이 판(89~91)에 의해 형성된 각 기실(제 1 기실(92), 제 2 기실(93), 제 3 기실(95) 및 제 4 기실(96))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 3 기실(95)에는 작업장치 본체(도포장치(13)나 부품 이동장치(74))나 컨베이어(14) 등의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7)가 배치되어 있다.
제 4 기실(96)에는 제 1 트랜스(98)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기실(92)에는 제 2 트랜스(99)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기실(93)에는 제어계의 전원이 되는 전원장치(10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를 채용하는 경우의 송풍장치(8)는 제 1~제 3 실시형태의 송풍장치(8)와 비교하면 풍량이 많아지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의한 송풍장치(8)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송풍 팬(53)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풍량이 증대함으로써 작업 공간(6)과 수납 공간(81)을 각각 대기압보다 높은 정압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 통로(51)는 작업 공간(6)과,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과, 수납 공간(8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베이스 부재(3)를 구비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1)에 있어서는 송풍장치(8)에 의해 커버 부재(5) 내의 작업 공간(6)에 보내진 공기는 주로 기판 반입구(15)와 기판 반출구(16)를 통해 커버 부재(5)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작업 공간(6)에 보내진 공기의 일부는 작업 공간(6)으로부터 반입구(15) 및 기판 반출구(16)를 흐르는 공기류로부터 분류되고,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을 통해 수납 공간(81)의 제 1 기실(92) 및 제 2 기실(93)에 유입된다. 제 1 기실(92)과 제 2 기실(93)에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제 1, 제 2 칸막이 판(89, 90)의 관통 구멍(94)을 통해 제 3 기실(95)에 유입된다. 제 3 기실(95)에 유입된 공기는 제 3 기실(95)로부터 제 1 측벽(85)의 관통 구멍(97)을 통해 베이스 부재(3) 밖으로 유출된다. 제 3 기실(95)에는 제어장치(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어장치(17)는 제 3 기실(95)을 흐르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제 1 기실(92)에 유입된 공기의 잔부는 제 1 기실(92) 내를 X방향으로 흘러 제 1 칸막이 판(89)에 형성된 관통 구멍(94)을 통해 제 4 기실(96)에 유입된다. 제 1 기실(92)에는 제 2 트랜스(99)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트랜스(99)는 제 1 기실(92)을 흐르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제 2 기실(93)에 유입된 공기의 잔부는 제 2 기실(93) 내를 X방향으로 흘러, 제 2 칸막이 판(90)에 형성된 관통 구멍(94)을 통해 제 4 기실(96)에 유입한다. 제 2 기실(93)에는 전원장치(10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전원장치(100)는 제 2 기실(93)을 흐르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제 4 기실(96)에 유입된 공기는 제 2 측벽(86)에 형성된 관통 구멍(97)으로부터 베이스 부재(3) 밖으로 유출된다. 제 4 기실(96)에는 제 1 트랜스(98)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트랜스(98)는 제 4 기실(96)을 흐르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송풍장치(8)에 의해 작업 공간(6)에 보내진 공기의 일부는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을 통과함으로써 분기되어 수납 공간(81)에 유입되고, 이 수납 공간(81)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의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1)는 커버 부재(5) 내와 베이스 부재(3) 내를 각각 정압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환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먼지가 밖으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막으면서 작업장치 본체와 전기기기 양쪽을 공기에 의해 냉각하는 것이 가능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구획 부재(4)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작업장치 본체 아래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부재(3)를 디스펜서(2)에 사용하는 경우는 도포액(39)이 베이스 부재(3) 안에 낙하하는 것을 구획 부재(4)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3)를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착 노즐(73)에 의한 흡착에 있어서 흡착 불량이 발생한 전자부품(75)이 헤드 유닛(21)의 이동 중에 베이스 부재(3) 안에 낙하하는 것을 구획 부재(4)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한 베이스 부재(3)를 사용함으로써 수납 공간(81)에 수용된 전기기기에 도포액(39)이 적하되거나, 전자부품(75)이 들어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동작의 신뢰성이 높고, 또한 낙하 전자부품(75)을 회수하기 쉬운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3)와 구획 부재(4)는 X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하는 컨베이어(14)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은 상방으로부터 보아 기판 반송로(12)와 겹치지 않는 영역 내에 위치 부여된다.
(제 5 실시형태)
도 1~도 10에 나타내는 디스펜서의 베이스 부재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베이스 부재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있어서 도 1~도 14에 의해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송풍장치(8)에 의해 작업 공간(6)에 보내진 공기의 일부는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을 통과함으로써 분기되어 수납 공간(81)에 유입되고, 이 수납 공간(81)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3)는 수납 공간(81)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장치(1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기장치(111)는 베이스 부재(3)의 제 2 측벽(86)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배기장치(111)는 송풍 팬(112)과, 보호용 팬 가드(113)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측벽(86)에는 관통 구멍(97)이 형성되어 있다. 송풍 팬(112)은 이 관통 구멍(97)과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가 베이스 부재(3) 내로부터 밖을 향해 흐르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송풍 팬(112)은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1)에 전원 투입되고 있는 동안은 항상 회전한다. 이 송풍 팬(112)의 동작은 제어장치(17)에 의해 제어된다. 배기장치(111)의 풍량은 커버 부재에 설치된 송풍장치(8)의 풍량과 비교해서 적고, 작업 공간(6) 및 수납 공간(81)의 압력이 정압으로 유지되는 풍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베이스 부재(3)의 제 1 측벽(85)은 관통 구멍(97)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3 칸막이 판(91)에는 제 3, 제 4 기실(95, 96)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91a)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의 수납 공간(81)에는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으로부터 배기장치(111)에 이르는 공기 통로 하류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통로 하류부(114)는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으로부터 제 1 기실(92) 및 제 2 기실(93)에 이르고, 여기서 2개의 유로로 분기되어 있다.
한쪽 유로는 제 1 기실(92) 및 제 2 기실(93)로부터 제 3 기실(95)을 통과하고 이 제 3 기실(95)로부터 관통 구멍(91a)과 제 4 기실(96)을 거쳐 배기장치(111)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 유로는 제 1 기실(92) 및 제 2 기실(93)로부터 직접 제 4 기실(96)을 거쳐 배기장치(111)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송풍장치(8)에 의해 작업 공간(6)에 보내진 공기로부터 분기되고,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을 통해 수납 공간(81)에 유입된 공기는 공기 통로 하류부(114)를 통해 배기장치(111)에 인도되고, 이 배기장치(111)에 의해 베이스 부재(3) 밖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공기 통로 하류부(114)에는 제어장치(17)와, 제 1, 제 2 트랜스(98, 99)와, 전원장치(10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들의 전기기기가 공기에 의해 강제적으로 냉각되는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3)와 구획 부재(4)는 X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하는 컨베이어(14)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은 상방으로부터 보아 기판 반송로(12)와 겹치지 않는 영역 내에 위치 부여된다. 이 경우, 배기장치(111)는 제 2 측벽(86)과 함께 Y방향 후측에 위치 부여된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의한 베이스 부재(3)를 갖는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가 실장 라인에 편입된 상태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후측에 위치하는 통로로부터 배기장치(111)의 점검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본 발명에 의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는 도 17~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17~도 19에 있어서 도 1~도 14에 의해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1)는 상자 형상을 보이는 베이스 부재(3)와, 이 베이스 부재(3)의 구획 부재(4) 상에 설치된 커버 부재(5)와, 커버 부재(5) 내에 설치된 기판 반송로(12) 및 도포장치(13) 등을 구비한 디스펜서(2)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커버 부재(5)에는 송풍장치(8)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기판 반송로(12)와 도포장치(13)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기판 반송로(12) 및 도포장치(13)와 동등한 것이다. 또한, 이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1)는 도포장치(13) 대신에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부품 이동장치(74)를 장비함으로써 전자부품 실장장치(71)가 된다.
베이스 부재(3)의 구획 부재(4)에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공간(6)과 수납 공간(81)을 연통하는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은 상기 베이스 부재(3)의 상방으로부터 보아 상기 기판 반송로(12)와 겹치지 않는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에 의해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공기 입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획 부재(4)에는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공기 가이드(115)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 중에는 제 1~제 3 칸막이 판(89~91)이 설치되어 있고, 제 1 기실(92)과, 제 2 기실(93)과, 제 3, 제 4 기실(95, 96)로 이루어지는 수납 공간(81)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기실(95)에는 제어장치(17)가 배치되어 있다. 제 4 기실(96)에는 제 1 트랜스(98)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기실(92)에는 제 2 트랜스(99)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기실(93)에는 전원장치(100)가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의 제 1 측벽(85) 내 제 3 기실(95)에 접하는 부분에는 송풍장치(8)와 필터(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송풍장치(8)는 수납 공간(81)과 작업 공간(6) 양쪽이 대기압보다 높은 정압으로 유지되는 양의 공기를 수납 공간(81)의 제 3 기실(95)로 보낸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송풍장치(8)는 복수(3대)의 송풍 팬(53)과, 송풍 팬(53)마다의 보호용 팬 가드(54)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9)는 송풍 팬(53)마다 설치되어 있다. 각 송풍 팬(53)은 제 1 측벽(85)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97)과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가 관통 구멍(97)을 통해 수납 공간(81)에 보내지는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다.
3대의 송풍 팬(53)은 Y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송풍장치(8)의 풍속 센서(55)는 이들 3대의 송풍 팬(53) 내 중앙에 위치하는 송풍 팬(53)에만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의 제 2 측벽(86)에는 공기 출구의 하나가 되는 관통 구멍(9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 통로(51)는 수납 공간(81)과,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과, 작업 공간(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공기 통로(51)에 있어서 공기는 송풍장치(8)에 의해 수납 공간(81)의 제 3 기실(95)로 보내지고, 이 공기의 반분이 제 3 기실(95)로부터 제 1 기실(92)로 흐르고, 이 중의 일부가 제 1 기실(92)로부터 제 4 기실(96)로 흐른다.
그리고, 제 3 기실(95)에 보내진 공기의 반분이 제 3 기실(95)로부터 제 2 기실(93)로 흐르고, 이 중의 일부가 제 2 기실(93)로부터 제 4 기실(96)로 흐른다. 이들 제 1 기실(92)을 거친 공기와 제 2 기실(93)을 거친 공기가 합류해서 제 2 측벽(86)의 관통 구멍(97)을 통해 유출된다. 한편, 제 3 기실(95)로부터 제 1 기실(92)로 흐른 공기의 일부는 제 1 연통 구멍(87)을 통해 작업 공간(6)에 유입된다. 3 기실(95)로부터 제 2 기실(93)로 흐른 공기의 일부는 제 2 연통 구멍(88)을 통해 작업 공간(6)에 유입된다. 즉,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은 수납 공간(81)을 거친 외부의 공기를 작업 공간(6)에 보내는 본 발명의 공기 입구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 공간(6)에 유입된 공기는 주로 기판 반입구(15)와 기판 반출구(16)를 통해 부재(5) 밖으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의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1)는 커버 부재(5) 내와 베이스 부재(3) 내를 각각 정압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환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먼지가 밖으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막으면서 작업장치 본체와 전기기기 양쪽을 공기에 의해 냉각하는 것이 가능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수납 공간(81)에 직접 유입된 공기에 의해 전기기기를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기기를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3)와 구획 부재(4)는 X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하는 컨베이어(14)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은 상방으로부터 보아 기판 반송로(12)와 겹치지 않는 영역 내에 위치 부여된다. 이 경우, 송풍장치(8)는 제 1 측벽(85)과 함께 Y방향 전측에 위치 부여된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가 실장 라인에 편입된 상태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전측에 위치하는 통로로부터 송풍장치(8)의 점검 보수 및 필터(9)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베이스 부재에 송풍장치와 필터를 설치하는 경우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장치를 장비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있어서 도 1~도 19에 의해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3)는 제 1 측벽(85) 내 제 3 기실(95)에 접하는 부분에 송풍장치(8)와 필터(9)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 2 측벽(86) 내 제 4 기실(96)에 접하는 부분에 수납 공간(81)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장치(1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기장치(111)는 Y방향으로 나란한 복수(2대)의 송풍 팬(112)과, 송풍 팬마다의 보호용 팬 가드(113)를 구비하고 있다. 송풍 팬(112)은 공기가 수납 공간(81)으로부터 베이스 부재(3) 밖을 향해 흐르는 상태에서 제 2 측벽(86)에 부착되어 있다.
이 배기장치(111)의 2기의 풍량은 송풍장치(8)의 3기의 풍량과 비교해서 적고, 작업 공간(6)과 수납 공간(81)의 압력이 정압으로 유지되는 양으로 설정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 내의 수납 공간(81)에는 제 1~제 3 칸막이 판(89~91)에 의해 송풍장치(8)로부터 배기장치(111)에 이르는 공기 통로 주류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장치(17)와, 제 1, 제 2 트랜스(98, 99)와, 전원장치(100)는 이 공기 통로 주류부(116)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제 3 칸막이 판(89~91)에 의해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은 공기 통로 주류부(116)에 개구되어 있다. 때문에 공기 통로 주류부(116)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을 통해 분기되고, 작업 공간(6)에 보내진다. 즉,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은 수납 공간(81)을 거친 외부의 공기를 작업 공간(6)에 보내는 본 발명의 공기 입구로 되어 있다. 분기 후의 잔부의 공기는 공기 통로 주류부(116)를 유하시키고, 배기장치(111)에 의해 베이스 부재(3) 밖으로 배출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기기기가 공기 통로 주류부(116)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수납 공간(81)에 직접 유입된 공기에 의해 전기기기가 강제적으로 냉각된다. 이 결과,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기기기를 한층 더 효율적으로 냉각가능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 부재(5)에 도시하지 않은 배기장치를 추가적으로 더 설치해도 좋다. 이 배기장치의 풍량에 배기장치(111)의 2기의 풍량을 가한 풍량은 송풍장치(8)의 3기의 풍량과 비교해서 적게 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3)와 구획 부재(4)는 X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하는 컨베이어(14)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은 상방으로부터 보아 기판 반송로(12)와 겹치지 않는 영역 내에 위치 부여된다. 이 경우, 송풍장치(8)는 제 1 측벽(85)과 함께 Y방향 전측에 위치 부여되고, 배기장치(111)는 제 2 측벽(86)과 함께 Y방향 후측에 위치 부여된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가 실장 라인에 편입된 상태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전측에 위치하는 통로로부터 송풍장치(8)의 점검 보수 및 필터(9)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후측에 위치하는 통로로부터 배기장치(111)의 점검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
베이스 부재에 송풍장치와 배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에 있어서 도 1~도 19에 의해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송풍장치(8)는 베이스 부재(3)의 후면벽(84)에 설치되어 있다. 배기장치(111)는 베이스 부재(3) 전면벽(83)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납 공간(81)에는 제 2 기실(93)로부터 제 3, 제 4 기실(95, 96)을 거쳐 제 1 기실(92)에 이르는 공기 통로 주류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장치(111)의 2기의 풍량은 송풍장치(8)의 3기의 풍량과 비교해서 적고, 작업 공간(6)과 수납 공간(81)의 압력이 정압으로 유지되는 양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제 1 연통 구멍(87)은 공기 통로 주류부(116)의 하류 영역에 개구되어 있다. 제 2 연통 구멍(88)은 공기 통로 주류부(116)의 상류 영역에 개구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연통 구멍(87)에 의해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하류측 연통 구멍」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연통 구멍(88)에 의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류측 연통 구멍」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납 공간(81)에 유입된 외부 공기의 일부는 제 2 기실(93)로부터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 그대로 제 2 연통 구멍(88)(상류측 연통 구멍)을 통과하고, 공기 통로 주류부(116)로부터 분기되어 작업 공간(6)에 유입된다. 즉, 제 2 연통 구멍(88)은 수납 공간(81)을 거친 외부 공기를 작업 공간(6)에 보내는 본 발명의 공기 입구로 되어 있다. 또한, 작업 공간(6)에서 온도가 상승한 공기의 일부는 제 1 연통 구멍(87)(하류측 연통 구멍)을 통해 수납 공간(81)(공기 통로 주류부(116) 하류 영역)으로 되돌아간다. 공기 통로 주류부(116)의 하류 영역에 인도된 공기는 배기장치(111)에 의해 베이스 부재(3) 밖으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베이스 부재(3)에 송풍장치(8)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업 공간(6)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기를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 에 의하면 수납 공간(81) 내의 전기기기와, 작업 공간(6) 내의 작업장치 본체나 기판 반송로(12)의 컨베이어(14) 등의 장치를 각각 공기로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송풍장치(8)는 베이스 부재(3)의 후면벽(84)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가 실장 라인에 편입된 상태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후측에 위치하는 통로로부터 송풍장치(8)의 점검 보수 및 필터(9)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배기장치(111)는 베이스 부재(3) 전면벽(83)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가 실장 라인에 편입된 상태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전측에 위치하는 통로로부터 배기장치(111)의 점검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 부재(5)에 도시하지 않은 배기장치를 추가적으로 더 설치해도 좋다. 이 배기장치의 풍량은 배기장치(111)의 2기의 풍량과 비교해서 적게 함과 아울러 모든 배기장치의 풍량을 가한 풍량은 송풍장치(8)의 3기의 풍량과 비교해서 적게 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3)와 구획 부재(4)는 X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하는 컨베이어(14)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은 상방으로부터 보아 기판 반송로(12)와 겹치지 않는 영역 내에 위치 부여된다.
(제 9 실시형태)
베이스 부재에 송풍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에 배기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4에 있어서 도 1~도 19에 의해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커버 부재(5)는 배기장치(111)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장치(111)는 복수(2대)의 송풍 팬(112)과, 송풍 팬마다의 보호용 팬 가드(113)를 구비하고, 베이스 부재(3)의 천정벽(5e)에 부착되어 있다. 송풍 팬(112)이 부착되는 위치는 천정벽(5e)에 있어서의 Y방향의 중앙부이다. 배기장치(111)의 풍량은 송풍장치(8)의 풍량과 비교해서 적고, 수납 공간(81)과 작업 공간(6)의 압력이 정압으로 유지되는 양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송풍장치(8)와 필터(9)는 베이스 부재(3)의 제 1 측벽(85)과 제 2 측벽(86)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송풍장치(8)는 1대의 송풍 팬(53)과, 보호용 팬 가드(54)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9)는 송풍 팬(53)과 팬 가드(54)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송풍장치(8) 양쪽에 풍속 센서(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송풍장치(8)로부터 들어간 공기는 수납 공간(81) 내의 공기 통로 상류부(117)를 지나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을 사이에 두고 직렬로 연결되는 작업 공간(6)에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을 통해 유입된다. 즉,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은 수납 공간(81)을 거친 외부 공기를 작업 공간(6)에 보내는 본 발명의 공기 입구로 되어 있다. 이렇게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을 통해 작업 공간(6)에 들어간 공기는 작업 공간(6)을 포함하는 공기 통로 하류부(118)를 거쳐 배기장치(111)에 의해 커버 부재(5) 밖으로 배출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배기장치(111)에 의해 커버 부재(5) 내의 환기가 촉진되기 때문에 작업장치 본체나 기판 반송로(12)의 컨베이어(14) 등의 장치를 공기에 의해 확실히 냉각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와 커버 부재(5) 양쪽에 송풍 팬(송풍 팬(53, 112))이 장비되는 경우는 송풍 팬으로서 정회전과 역회전을 스위칭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정회전과 역회전을 스위칭가능한 송풍 팬을 사용하면 송풍장치(8)가 배기장치(111)를 겸하게 되고, 배기장치(111)가 송풍장치(8)를 겸하게 된다. 즉,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송풍장치(8)와 배기장치(111)의 송풍 팬(53, 112)을 역회전가능한 것으로 구성하면 배기장치(111)의 송풍 팬(112)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커버 부재(5) 내에 배기장치(111)에 의해 외부 공기가 보내진다. 또한, 송풍장치(8)의 송풍 팬(53)을 역회전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3) 내로부터 송풍장치(8)에 의해 공기가 배출된다. 또한, 배기장치(111)의 송풍 팬(112)을 역회전시키는 경우는 배기장치(111)에 필터(9)를 장착할 필요가 있고, 배기장치(111)의 풍량을 송풍장치(8)의 풍량보다 많게 할 필요가 있다. 풍량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송풍 팬의 가동 대수를 변경하거나, 송풍 팬의 회전수를 변경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3)와 구획 부재(4)는 X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하는 컨베이어(14)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은 상방으로부터 보아 기판 반송로(12)와 겹치지 않는 영역 내에 위치 부여된다. 이 경우, 제 1 측벽(85)에 설치된 송풍장치(8)는 Y방향 전측에 위치 부여되고, 제 2 측벽(86)에 설치된 송풍장치(8)는 Y방향 후측에 위치 부여된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가 실장 라인에 편입된 상태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전측에 위치하는 통로와,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후측에 위치하는 통로로부터 각각 송풍장치(8)의 점검 보수 및 필터(9)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10 실시형태)
베이스 부재는 도 25에 나타내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5에 있어서 도 1~도 23에 의해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3)와 구획 부재(4)는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베이스 부재(3) 및 베이스 부재(4)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 1 구성과 제 2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제 1 구성은 베이스 부재(3) 및 구획 부재(4)가 이 구획 부재(4) 상에 탑재되어 있는 장치(컨베이어(14)를 갖는 기판 반송로(12)와 도포장치(13) 등) 및 커버(5)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있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를 채용하는 경우의 커버 부재(5)의 형상은 상방으로부터 보아 베이스 부재(3) 및 구획 부재(4)와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5)의 개폐문(7)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Y방향 전측에 위치 부여되어 있다.
제 2 구성은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의 위치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된 베이스 부재(3)의 전단부 가장자리(도 25에 있어서 하측이 되는 장치 전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근접하고 있는 것이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제 2 연통 구멍(87, 88)은 상방으로부터 보아 기판 반송로(12)와 겹치지 않는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3)와 구획 부재(4)를 90도 회전시키는 이전의 전면벽(83), 후면벽(84), 제 1 측벽(85) 및 제 2 측벽(8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각 제 2 측벽(124), 제 1 측벽(123), 전면벽(121) 및 후면벽(122)이 된다. 이들 전면벽(121)과, 후면벽(122)과, 제 1 측벽(123) 및 제 2 측벽(124)은 각각 베이스 부재(3)에 대하여 분해가능하게 볼트(도시하지 않음)로 조립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1)는 전면벽(121)이 통로(도시하지 않음)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실장 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조립된다.
이 때문에 전면벽(121)을 베이스 부재(3)로부터 떼어냄으로써 통로측으로부터 제어장치(17)의 점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뒤의 통로측이 되는 항벽(122)을 베이스 부재(3)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제 1 트랜스(98)의 점검 보수와, 후면벽(122)에 가까운 부위에 배치된 제 2 트랜스(99) 및 전원장치(100)의 점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제 4 실시형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제 5 실시형태, 도 17~도 19에 나타내는 제 6 실시형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제 7 실시형태,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제 8 실시형태 및 도 24에 나타내는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 베이스 부재(3)와 구획 부재(4)는 X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하는 컨베이어(14)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방으로부터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90도의 회전에 의해 Y방향 전측이 되는 제 1 측벽(85)과, Y방향 후측이 되는 제 2 측벽(86)은 각각 베이스 부재(3)에 대하여 분해가능하게 볼트(도시하지 않음)로 조립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경우는 Y방향 전측이 되는 제 1 측벽(85)을 베이스 부재(3)로부터 떼어냄으로써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전측에 위치하는 통로로부터 제어장치(17)의 점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Y방향 후측이 되는 제 2 측벽(86)을 배기장치(111)와 함께 베이스 부재(3)로부터 떼어냄으로써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의 후측에 위치하는 통로로부터 제 1 트랜스(98)의 점검 보수와, 제 2 측벽(86)에 가까운 부위에 배치된 제 2 트랜스(99) 및 전원장치(100)의 점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디스펜서와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에 크림 땜납을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도포하는 스크린 인쇄기에도 적용가능하다.
1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 2 디스펜서
3 베이스 부재 3a 지지면
5 커버 부재 6 작업 공간
8 송풍장치 9 필터
11 프린트 기판 12 기판 반송로
13 도포장치 15 기판 반입구
16 기판 반출구 52 공기 입구
53, 112 송풍 팬 71 전자부품 실장장치
74 부품 이동장치.

Claims (10)

  1. 지지면이 상단부에 형성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되어 프린트 기판이 반송되는 기판 반송로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기판 반송로에 유지된 프린트 기판에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치 본체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와 함께 상기 작업장치 본체가 작업을 행하는 작업 공간을 규정하는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의 일측부에 개구되는 기판 반입구와,
    상기 커버 부재의 타측부에 개구되는 기판 반출구와,
    상기 커버 부재에 설치된 공기 입구와,
    상기 공기 입구로부터 상기 작업 공간에 외부 공기를 보내 상기 작업 공간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게 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에 설치된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입구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방으로부터 보아 상기 기판 반송로와 겹치지 않는 영역 중 상기 기판 반송로보다 높은 영역 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상기 작업 공간에 보내진 공기의 흐름 방향은 상방으로부터 보아 상기 공기 입구로부터 상기 기판 반송로를 향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이고,
    상기 공기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 반송로의 측방에 공기의 흐름 방향을 수평방향으로부터 상방으로 변경하는 공기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갖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수납 공간 내에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기기를 수납하고, 상기 지지면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작업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더 갖고,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작업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갖고,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상기 작업 공간에 보내진 공기가 상기 연통 구멍을 통해 상기 수납 공간에 유입되고, 이 수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장치와,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배기장치에 이르는 공기 통로 하류부를 형성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기기기는 상기 공기 통로 하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7032452A 2013-05-24 2013-05-24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 KR101787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4457 WO2014188580A1 (ja) 2013-05-24 2013-05-24 プリント基板用作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688A KR20150143688A (ko) 2015-12-23
KR101787491B1 true KR101787491B1 (ko) 2017-10-18

Family

ID=5193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452A KR101787491B1 (ko) 2013-05-24 2013-05-24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12861B2 (ko)
KR (1) KR101787491B1 (ko)
CN (1) CN105247656B (ko)
WO (1) WO2014188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4825A (zh) * 2017-07-28 2020-03-3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打印头的受控冷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0778A (ja) * 2003-11-06 2005-06-02 Leica Microsystems Semiconductor Gmbh マクロ欠陥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
JP2006003036A (ja) * 2004-06-18 2006-01-05 Shimada Phys & Chem Ind Co Ltd 乾燥装置
JP2010003867A (ja) 2008-06-20 2010-01-07 Hitachi High-Tech Control Systems Corp 搬送用局所クリーンルーム、およびミニエン装置
JP2010066240A (ja) 2008-09-12 2010-03-25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欠陥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834B2 (ja) * 1991-09-26 2000-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H0729784A (ja) * 1993-07-15 1995-01-31 Kokusai Electric Co Ltd 半導体製造装置
JP3939101B2 (ja) * 2000-12-04 2007-07-0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搬送方法および基板搬送容器
JP2004151458A (ja) * 2002-10-31 2004-05-27 Kyoshin Engineering:Kk 液晶カラーセルの製造方法
DE10359722A1 (de) * 2003-12-19 2005-07-14 Leica Microsystems Semiconductor Gmbh Verfahren zur Inspektion eines Wafers
WO2007138671A1 (ja) * 2006-05-30 2007-12-06 Hirata Corporation ワーク自動作業装置
JP4294716B2 (ja) * 2007-06-27 2009-07-15 株式会社堀場製作所 測定機器用架台
JP5806811B2 (ja) * 2010-10-01 2015-11-1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基板処理装置、基板処理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0778A (ja) * 2003-11-06 2005-06-02 Leica Microsystems Semiconductor Gmbh マクロ欠陥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
JP2006003036A (ja) * 2004-06-18 2006-01-05 Shimada Phys & Chem Ind Co Ltd 乾燥装置
JP2010003867A (ja) 2008-06-20 2010-01-07 Hitachi High-Tech Control Systems Corp 搬送用局所クリーンルーム、およびミニエン装置
JP2010066240A (ja) 2008-09-12 2010-03-25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欠陥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188580A1 (ja) 2017-02-23
CN105247656B (zh) 2017-09-26
JP6012861B2 (ja) 2016-10-25
KR20150143688A (ko) 2015-12-23
WO2014188580A1 (ja) 2014-11-27
CN105247656A (zh)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8930B2 (ja) 塗布方法および装置
JP6971033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11176086A (ja) 塗布装置
JP2009233614A (ja) 自動パレット洗浄装置
US20120317798A1 (en) Component mounting device
KR101787491B1 (ko) 프린트 기판용 작업장치
EP2620283B1 (en) Printer device, temperature adjustment method of printer device, and temperature adjustment system of printer device
JP5173463B2 (ja) 清浄空気循環システム、及び清浄空気循環方法
JP5492108B2 (ja) 部品廃棄ボックスおよび部品実装装置
JP6461519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システム
CN101276772A (zh) 半导体基板用存储装置
JP5601459B2 (ja) 電子回路部品装着機および電子回路部品装着システム
JPH09264575A (ja) 製造装置及び清浄方法
JP2008147705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WO2018198484A1 (ja) 塗装ブース
JP2017152594A (ja) 部品装着機、およびそのエアフィルタ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2008221035A (ja) 除塵装置
JP7240888B2 (ja) 部品実装装置
JP2004111425A (ja) 部品装着装置
JP6571783B2 (ja) 部品実装機
JP2007333300A (ja) 微細部品の製造装置と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液吐出ヘッド
WO2016163029A1 (ja) 部品装着機
JPH10242697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WO2024047760A1 (ja) 基板作業機
JP5172750B2 (ja) ホットエアブロー機構および部品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