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200B1 -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200B1
KR101784200B1 KR1020167018015A KR20167018015A KR101784200B1 KR 101784200 B1 KR101784200 B1 KR 101784200B1 KR 1020167018015 A KR1020167018015 A KR 1020167018015A KR 20167018015 A KR20167018015 A KR 20167018015A KR 101784200 B1 KR101784200 B1 KR 101784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losure cap
flow path
punctur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5086A (ko
Inventor
마사히로 나루세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3Sealing compositions or agents, e.g. combined with propellant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1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4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보관 시(時)의 액(液) 누출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유로(流路)의 개구(開口) 불량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제공한다. 비(非) 엘라스토머(elastomer) 재료로 이루어지고 유로(23) 내(內)를 접동(摺動) 가능한 폐지(閉止) 마개(25)와,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지고 유로(23)의 내벽면을 따라 환상(環狀)으로 배치되고 폐지 마개(25)와 유로(23)와의 간극(間隙)을 막는 것과 함께 폐지 마개(25)를 소정의 위치에 보지(保持)하는 실(seal) 부재(26)를 설치하고, 보관 시에 폐지 마개(25)와 실 부재(26)를 계합(係合)시켜 유로(23)를 폐지하고,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기 내 압력에 의하여 폐지 마개(25)를 실 부재(26)로부터 눌러 빼내어 유로(23)의 수용 용기 외측(外側)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로(23)를 개구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FLAT TIRE REPAIR 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고, 한층 더 상세하게는, 보관 시(時)의 액(液) 누출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유로(流路)의 개구(開口) 불량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년(近年),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 타이어 밸브를 통하여 타이어 내(內)에 펑크 수리액을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펑크를 응급적으로 수리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펑크 수리액의 주입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내에 수용된 펑크 수리액을 튜브를 통하여 타이어 내에 보내도록 한 펑크 수리 킷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펑크 수리 킷을 이용한 경우, 차량에 스페어 타이어를 탑재할 필요가 없어지고, 자원 절약화나 차량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탑재 스페이스를 다른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는, 예를 들어, 펑크 수리액을 수용하는 용기 몸통부와 개구부(開口部)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펑크 수리 작업 시에 개구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펑크 수리액을 용기 외(外)에 토출(吐出)하는 토출부와 장착부와 토출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가지는 캡으로 구성되지만, 보관 시에 유로로부터 펑크 수리액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로에 고무제(製)의 폐지(閉止) 마개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을 참조).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의 제안에 있어서의 폐지 마개는, 펑크 수리 시에 용기 내에 보내지는 에어(air)의 압력에 의하여 유로 내를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유로의 용기 외측(外側) 방향 단(端))에 들어가는 것으로 유로를 개구하는 것이지만, 고무제이기 때문에 변형하기 쉽고, 유로 내를 이동할 때에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변형하고, 유로의 중도(中途)에 막혀 유로를 막아 버려, 유로를 올바르게 개구할 수 없다(즉, 개구 불량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고무제의 폐지 마개는, 성형 시에 있어서의 치수의 불균일이 생기기 쉽고, 소망한 치수보다도 너무 대경(大徑)이면 유로 내를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개구 불량이 생기고, 너무 소경(小徑)이면 펑크 수리액의 누출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06716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 시의 액 누출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유로의 개구 불량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는, 펑크 수리액을 수용하는 용기 몸통부와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펑크 수리액을 용기 외에 토출하는 토출부와 당해 장착부와 당해 토출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가지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비(非) 엘라스토머(elastomer)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 내를 접동(摺動) 가능한 폐지 마개와,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의 내벽면을 따라 환상(環狀)으로 배치되고 상기 폐지 마개와 상기 유로와의 간극(間隙)을 막는 것과 함께 상기 폐지 마개를 소정의 위치에 보지(保持)하는 실(seal) 부재를 설치하고, 보관 시에 상기 폐지 마개와 상기 실 부재를 계합(係合)시켜 상기 유로를 폐지하고,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기 내 압력에 의하여 상기 폐지 마개를 상기 실 부재로부터 눌러 빼내어 상기 유로의 수용 용기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유로를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과 같이, 액 누출 방지를 위하여 보관 시에 유로를 폐지하는 수단으로서 비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폐지 마개를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실 부재와 조합하여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폐지 마개가 비 엘라스토머 재료로 구성되는 것으로, 폐지 마개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기 쉬워지고, 또한, 성형 시에 있어서의 폐지 마개의 치수의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보관 시의 액 누출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유로의 개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폐지 마개가 비 엘라스토머 재료로 구성되는 것으로, 유로 내를 이동할 때에 받는 압력에 의한 폐지 마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폐지 마개가 유로의 중도에 막히는 일이 없이, 유로를 확실하게 개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폐지 마개가 실 부재와 계합하는 잘록부를 가지고, 잘록부에 있어서의 직경 RA가 폐지 마개의 수용 용기 외측단(外側端)의 직경 RB 및 폐지 마개의 수용 용기 내측단(內側端)의 직경 RC보다도 작은 한편으로, 실 부재의 내경 r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폐지 마개를 이와 같은 잘록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보관 시에 폐지 마개를 실 부재에 확실하게 계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액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로가 폐지 마개의 접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구멍부와 이 세로 구멍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구멍부로 이루어지고, 펑크 수리 작업 시에 폐지 마개의 수용 용기 내측단이 가로 구멍부의 중심보다도 수용 용기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는 것으로, 개구 시에 펑크 수리액이 흐르는 유로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세로 구멍부의 수용 용기 외측단에 펑크 수리 작업 시에 폐지 마개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는 사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보다 확실하게 충분한 유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폐지 마개를 유로에 대하여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폐지 마개의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함께, 폐지 마개가 이동 시에 유로 내에서 기울어 유로 내에 막히는 것과 같은 고장(故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 내 압력이 150kPa 이상이 되면 폐지 마개가 실 부재로부터 눌러 빠져 유로의 수용 용기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보관 시는 확실하게 유로를 폐지하는 한편으로, 펑크 작업 시에는 용이하게 유로를 개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이용한 펑크 수리액의 주입 방법은,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컴프레서를 접속하여 용기 내에 150kPa 이상의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실 부재로부터 폐지 마개를 눌러 빼내어 폐지 마개를 유로의 수용 용기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로를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일부를 노치(notch)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포함되는 캡(닫힘 밸브 시)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포함되는 캡(열림 밸브 시)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폐지 마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가이드의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가이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가이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사용 시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이하, 「용기(1)」라고 한다.)는 용기 본체(10)와 캡(20)으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10)는, 예를 들어 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펑크 수리액(L)(이하, 「수리액(L)」이라고 한다.)을 수용하는 원통상(圓筒狀)의 용기 몸통부(11)와, 용기 본체(10)를 도립(倒立)하였을 때 용기 몸통부(11)의 하부(下部) 측에 위치하고, 사용 시에 수리액(L)이 토출되는 원통상의 개구부(12)를 가진다. 수용 용기(1)를 도립하였을 때, 용기 몸통부(11)의 저부(底部)(13)는, 개구부(12)의 반대 측에 위치한다. 개구부(12)는, 도시하지 않는 필름에 의하여 밀봉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2)의 외면(外面)에는 나사 절삭이 행하여지고, 후술의 캡(20) 측의 나사와 나합(螺合)하도록 되어 있다. 용기 몸통부(11), 개구부(12), 및 저부(13)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캡(20)은, 도 2, 3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기 본체(10)의 개구부(12)에 장착되는 장착부(21)와, 수리액(L)을 용기 외에 토출하는 토출부(22)와, 장착부(21)와 토출부(22)를 연결하는 유로(23)를 가진다. 장착부(21)는, 내주면(內周面)에 용기 본체(10)의 개구부(12) 측의 나사와 나합하는 나사 절삭이 행하여진 원통(圓筒) 형상을 가진다.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장착부(21)와 동(同) 직경의 원주상(圓柱狀)의 기부(基部)(24)가 장착부(2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기부(24)의 측면(側面)으로부터 토출부(22)가 돌출하는 것과 함께, 이 기부(24)의 내부에 유로(23)가 뚫려 있다. 유로(23)는, 기부(24)의 장착부(21) 측의 면으로부터 캡(20)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구멍부(23A)와, 이 세로 구멍부(23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토출부(22)에 연결하는 가로 구멍부(23B)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유로(23)의 특히 세로 구멍부(23A)에는, 폐지 마개(25)와 실 부재(26)로 이루어지는 폐지 기구가 설치된다. 폐지 마개(25)는, 비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지고, 유로(23)(세로 구멍부(23A)) 내를 접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폐지 시에는 후술의 환상의 실 부재(26)의 구멍부 내에 계합한다. 비 엘라스토머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 금속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 부재(26)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지고 유로(23)(세로 구멍부(23A))의 내벽면을 따라 환상으로 배치되고, 보관 시에 폐지 마개(25)와 유로(23)(세로 구멍부(23A))와의 간극을 막는 것과 함께, 폐지 마개(25)를 소정의 위치에 보지한다. 엘라스토머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고무, 열경화성(熱硬化性) 수지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유로(23)(세로 구멍부(23A))의 용기 내측단에, 기부(24)로부터 용기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과 함께 유로(23)(세로 구멍부(23A))의 다른 부분보다도 내경이 큰 확경부(擴徑部)(23C)가 설치되고, 이 확경부(23C) 내에 실 부재(26)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 폐지 마개(25)와 실 부재(26)로 이루어지는 폐지 기구는, 보관 시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지 마개(25)와 실 부재(26)를 계합시켜 유로(23)(세로 구멍부(23A))를 폐지하는 한편으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컴프레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용기 내에 보내지는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폐지 마개(25)가 실 부재(26)로부터 눌러 빼내져 유로(23)(세로 구멍부(23A))의 용기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로(23)를 개구한다.
이와 같이, 액 누출 방지를 위하여 보관 시에 유로(23)를 폐지하는 수단으로서 비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폐지 마개(25)와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실 부재(26)로 이루어지는 폐지 기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폐지 마개(25)가 비 엘라스토머 재료로 구성되는 것으로, 폐지 마개(25)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기 쉬워지고, 또한, 성형 시에 있어서의 폐지 마개(25)의 치수의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보관 시의 액 누출을 효과적으로 막는 것과 함께, 유로(23)의 개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폐지 마개(25)가 비 엘라스토머 재료로 구성되는 것으로, 유로(23) 내를 이동할 때에 받는 압력에 의한 폐지 마개(2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폐지 마개(25)가 유로(23)의 중도에 막히는 일이 없이, 유로(23)를 확실하게 개구할 수 있다.
폐지 마개(25)로서는, 도 4(a) ~ (g)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여러 형상을 채용할 수 있지만, 도 4(a) ~ (g)의 모든 예에서 공통하는 바와 같이, 실 부재(26)와 계합하는 잘록부(25A)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잘록부(25A)에 있어서의 직경 RA가, 잘록부(25A)에 대하여 용기 외측의 부분(이하, 외측 부분(25B))의 직경 RB 및 잘록부(25A)에 대하여 용기 내측의 부분(이하, 내측 부분(25C))의 직경 RC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잘록부(25A)를 설치하는 경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잘록부(25A)에 있어서의 직경 RA를, 실 부재(26)의 내경 r보다도 크게 하면 된다. 즉, 각 부의 직경 RA, RB, RC, r을, RB, RC>RA>r의 관계를 충족하도록 설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폐지 마개(25)에 잘록부(25A)를 설치하고, 각 부의 직경을 설정하는 것으로, 보관 시에 폐지 마개(25)를 실 부재(26)에 확실하게 계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액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a)는, 단면(斷面)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원호상(圓弧狀)의 잘록부(25A)가 형성되고, 외측 부분(25B)과 내측 부분(25C)이 동 직경인 것과 함께, 외측 부분(25B)의 두께와 내측 부분(25C)의 두께가 대략 같은 예이다. 도 4(b)는,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원호상의 잘록부(25A)가 형성되고, 외측 부분(25B)과 내측 부분(25C)이 동 직경인 한편으로, 외측 부분(25B)의 두께가 내측 부분(25C)의 두께보다도 큰 예이다. 도 4(c)는,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원호상의 잘록부(25A)가 형성되고, 외측 부분(25B)과 내측 부분(25C)이 동 직경인 한편으로, 외측 부분(25B)의 두께와 내측 부분(25C)의 두께가 대략 0의(즉, 폐지 마개(25)의 측면 전체가 잘록하다) 예이다. 도 4(d)는, 도 4(a)의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원호상의 잘록부(25A)에 대신하여,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잘록부(25A)를 형성한 예이다.
도 4(e)는, 도 1 ~ 3의 실시예에 이용된 폐지 마개(25)를 확대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외측 부분(25B)의 직경 RB가 내측 부분(25C)의 직경 RC보다도 커지고 있다. 즉, 직경 RB와 RC가 RB>RC의 관계를 충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측 부분(25C)의 측면은 용기 외측 방향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하고, 또한, 내측 부분(25C)의 단면(端面)의 원주부(圓周部)에는 각(角) 모따기가 행하여져 있다. 이와 같이 외측 부분의 직경 RB보다도 내측 부분의 직경 RC를 작게 하는 것으로,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폐지 마개(25)의 개구 시에 수리액(L)이 접촉하는 측이 소경으로 되기 때문에, 유로(23)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덧붙여, 전술의 각 부의 직경의 대소 관계의 식과, 상기 대소 관계를 조합하면, 본 발명에서는, 각 부의 직경 RA, RB, RC, r이, RB≥RC>RA>r의 관계를 충족하도록 설정하면 좋게 된다.
도 4(f)는, 도 4(e)의 폐지 마개(25)에 있어서, 내측 부분(25C)의 단면을 용기 외측을 향하게 하여 오목하게 한 예이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폐지 마개(25)가 에어를 받아들이기 쉬워지고, 에어의 압력을 효율 좋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폐지 마개(25)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도 4(g)는, 도 4(f)의 폐지 마개(25)에 있어서, 나아가, 외측 부분(25B)의 단면을 용기 외측을 향하게 하여 볼록상(狀)으로 돌출시킨 예이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유로(23)(세로 구멍부(23A))에 잔존하는 에어를 효과적으로 빼주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폐지 마개(25)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폐지 마개(25)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펑크 수리 작업 시에 폐지 마개(25)의 내측 부분(25C)의 단면이 가로 구멍부(23B)의 중심보다도 용기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는 것으로, 개구 시에 수리액(L)이 흐르는 유로(23)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 폐지 마개(25) 자체의 두께가 너무 작아지면, 폐지 마개(25)로서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세로 구멍부(23A)의 용기 외측단에 펑크 수리 작업 시에 폐지 마개(25)를 수납하는 수납부(23D)를 가지는 사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폐지 마개(25)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충분한 유로(23)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5 ~ 7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폐지 마개(25)를 유로(23)(세로 구멍부(23A))에 대하여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27)(27A ~ 27D)를 설치한 사양으로 할 수도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폐지 마개(25)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봉상부(棒狀部)(27A)와 스토퍼(stopper)(27B)로 이루어지는 가이드(27)를 설치하고 있다. 도 5에서는, 유로(23)에 있어서의 폐지 마개(25), 실 부재(26), 가이드(27)(봉상부(27A) 및 스토퍼(27B))의 조합 구조가 명확하게 되도록, 폐지 마개(25) 및 가이드(27)(봉상부(27A) 및 스토퍼(27B))를 실선으로 도시하는 한편, 유로(23) 및 실 부재(26)를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봉상부(27A)는, 폐지 마개(25)의 내측 부분(25C)의 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용기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27B)는, 실 부재(26)의 용기 내측에 설치되고, 실 부재(26)의 탈락 방지를 위한 스토퍼도 겸하고 있다. 이 스토퍼(27B)의 중심부에는 봉상부(27A)가 지나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봉상부(27A)가 이 구멍을 지나는 것으로, 폐지 마개(25)가 유로(23)(세로 구멍부(23A))에 대하여 경사하려고 하여도, 봉상부(27A)가 스토퍼(27B)의 구멍의 내면에 당접(當接)하기 때문에, 폐지 마개(25)의 기욺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스토퍼(27B)를 이용하지 않아도, 봉상부(27A)가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있으면, 폐지 마개(25)가 유로(23)(세로 구멍부(23A))에 대하여 경사하려고 하여도, 이 봉상부(27A)가 유로(23)(세로 구멍부(23A))의 내벽면에 당접하기 때문에 폐지 마개(25)의 극단적인 기욺은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의 예에서는, 폐지 마개(25)의 내측 부분(25C)의 단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호상의 판상부(板狀部)(27C)로 이루어지는 가이드(27)가 설치되어 있다. 판상부(27C)는, 폐지 마개(25)의 내측 부분(25C)의 단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복수 매(枚)가 설치된다. 이 판상부(27C)도, 폐지 마개(25)가 유로(23)(세로 구멍부(23A))에 대하여 경사하려고 하였을 때에, 실 부재(26) 또는 유로(23)(세로 구멍부(23A))의 내벽면에 당접하는 것으로 폐지 마개(25)의 기욺을 방지한다.
도 7의 예는, 폐지 마개(25)의 측면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복수 개의 돌기부(27D)와 세로 구멍부(23A)의 내벽면에 설치한 홈(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27)를 설치하는 예이다. 돌기부(27D)는, 예를 들어, 2개를 설치하는 경우, 도시와 같이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 경우, 이 돌기부(27D)를 홈을 따르게 하여 접동시키는 것으로, 안정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폐지 마개(25)의 기욺을 방지할 수 있다.
용기 내압은, 상온에서는 대기압 정도이지만, 차량의 트렁크 등에서 보관될 때에는 온도 조건 등(고온)에 의하여 용기 내 압력이 증대하는 경향에 있다. 그 때문에, 폐지 마개(25)와 실 부재(26)는, 보관 시에 용기 내 압력이 증대한 조건 하여도 확실하게 계합하고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용기 내 압력이 150kPa 이상이 되어 처음으로 폐지 마개(25)가 실 부재(26)로부터 빠져 유로(23)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보관 시의 온도 변화에 의하여 용기 내압이 변화하였다고 하여도, 확실하게 유로(23)를 폐지하는 것과 함께, 펑크 작업 시에는 컴프레서(compressor)에 의하여 보내지는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유로(23)를 개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이것들 용기 본체(10) 및 캡(20)으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를 이용한 펑크 수리액의 주입 방법(펑크 수리 작업)에 관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도 8에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의 사용 시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펑크 수리 작업 시에는, 용기 본체(10)에 캡(20)이 취부(取付)된다. 덧붙여, 미리 용기 본체(10)의 개구부(12)에 보관용 캡이 취부되어 있는 경우는, 이 보관용 캡을 캡(20)으로 교환하게 된다. 이 때, 개구부(12)를 막는 필름이 있는 경우는 이 필름을 벗기거나 찢는다. 그 한편으로, 캡(20)의 토출부(22)에 호스(H)의 일방(一方)의 단부를 장착하고, 타이어(T)의 밸브(B)에 호스(H)의 타방(他方)의 단부를 장착하여, 타이어(T)의 밸브(B)와 용기(1)를 연결한다. 또한, 용기(1)에 컴프레서(C)를 접속한다(도 8의 경우, 용기 본체(10)에 설치된 밸브(b)에 대하여 호스(h)를 통하여 컴프레서(C)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H)를 통하여 타이어(T)에 연결된 용기(1)를, 개구부(12)를 하측(下側)으로 한 도립 상태로 하고(도 8 상태), 컴프레서(C)에 의하여 용기 본체(10) 내에 에어를 보낸다. 이 보내진 에어에 의하여 용기 내압이 높아지고, 소정의 압력(바람직하게는 150kPa 이상)이 되면, 폐지 마개(25)가 실 부재(26)로부터 빠져, 유로(23)(세로 구멍부(23A))를 용기 외측을 향하게 하여 이동하여 유로(23)가 개구한다(즉, 도 1에 도시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개구한 유로(23)를 통하여 수리액(L)이 용기 본체(10)로부터 내보내지고, 토출부(22) 및 호스(H)를 통과하여 타이어(T)에 주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수용 용기(1)의 내부의 모든 펑크 수리액(L)을 타이어(T) 내에 유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펑크 수리 수용 용기(1)를 이용한 펑크 수리액의 주입 방법(펑크 수리 작업)에서는, 비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폐지 마개(25)와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실 부재(26)로 이루어지는 폐지 기구를 이용한 것에 의한 효과, 즉, 보관 시의 액 누출을 효과적으로 막는 것과 함께, 유로(23)의 개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10: 용기 본체
11: 용기 몸통부
12: 개구부
13: 저부
20: 캡
21: 장착부
22: 토출부
23: 유로
23A: 세로 구멍부
23B: 가로 구멍부
23C: 확경부
23D: 수납부
24: 기부
25: 폐지 마개
25A: 잘록부
25B: 외측 부분
25C: 내측 부분
26: 실 부재
27: 가이드
27A: 봉상부
27B: 스토퍼
27C: 판상부
27D: 돌기부
L: 펑크 수리액
T: 타이어
C: 컴프레서
B, b: 밸브
H, h: 호스

Claims (7)

  1. 펑크 수리액을 수용하는 용기 몸통부와 개구부(開口部)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펑크 수리 작업 시(時)에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펑크 수리액을 용기 외(外)에 토출(吐出)하는 토출부와 당해 장착부와 당해 토출부를 연결하는 유로(流路)를 가지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비(非) 엘라스토머(elastomer)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 내(內)를 접동(摺動) 가능한 폐지(閉止) 마개와,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의 내벽면을 따라 환상(環狀)으로 배치되고 상기 폐지 마개와 상기 유로와의 간극(間隙)을 막는 것과 함께 상기 폐지 마개를 소정의 위치에 보지(保持)하는 실(seal) 부재를 설치하고, 보관 시에 상기 폐지 마개와 상기 실 부재를 계합(係合)시켜 상기 유로를 폐지하고,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기 내 압력에 의하여 상기 폐지 마개를 상기 실 부재로부터 눌러 빼내어 상기 유로의 수용 용기 외측(外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유로를 개구(開口)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지 마개가 상기 실 부재와 계합하는 잘록부를 가지고, 당해 잘록부에 있어서의 직경 RA가 상기 폐지 마개의 수용 용기 외측단의 직경 RB 및 상기 폐지 마개의 수용 용기 내측단의 직경 RC보다도 작은 한편으로, 상기 실 부재의 내경 r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 상기 폐지 마개의 접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구멍부와 당해 세로 구멍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구멍부로 이루어지고,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상기 폐지 마개의 수용 용기 내측단이 상기 가로 구멍부의 중심보다도 수용 용기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구멍부의 수용 용기 외측단에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상기 폐지 마개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지 마개를 상기 유로에 대하여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 압력이 150kPa 이상이 되면 상기 폐지 마개가 상기 실 부재로부터 빠져 상기 유로의 수용 용기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이용한 펑크 수리액의 주입 방법이고,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컴프레서를 접속하여 용기 내에 150kPa 이상의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상기 실 부재로부터 상기 폐지 마개를 눌러 빼내어 상기 폐지 마개를 상기 유로의 수용 용기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유로를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의 주입 방법.
KR1020167018015A 2014-04-16 2015-04-10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101784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4523 2014-04-16
JP2014084523A JP5682722B1 (ja) 2014-04-16 2014-04-16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PCT/JP2015/061272 WO2015159828A1 (ja) 2014-04-16 2015-04-10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086A KR20160095086A (ko) 2016-08-10
KR101784200B1 true KR101784200B1 (ko) 2017-10-11

Family

ID=52684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015A KR101784200B1 (ko) 2014-04-16 2015-04-10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34732B2 (ko)
JP (1) JP5682722B1 (ko)
KR (1) KR101784200B1 (ko)
CN (1) CN106232338B (ko)
DE (1) DE112015001840B4 (ko)
WO (1) WO20151598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7637B1 (ja) * 2015-02-23 2016-02-24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JP6464981B2 (ja) 2015-10-07 2019-02-06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JP2017071128A (ja) * 2015-10-07 2017-04-13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JP7430028B2 (ja) * 2017-01-17 2024-02-09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JP7024482B2 (ja) * 2018-02-15 2022-02-24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及びパンク修理キ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7682A (ja) 2005-09-13 2009-02-26 トライデル リサーチ ピーティーワイ エルティーディー 封止装置の改良
JP2010167742A (ja) 2009-01-26 2010-08-05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WO2013047420A1 (ja) 2011-09-30 2013-04-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用のキャップ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64864B (de) 1958-06-20 1964-03-05 Metallwerke Adolf Hopf K G Flaschenverschluss
JP3189236B2 (ja) 1992-07-06 2001-07-16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目地構造
DE19549592C5 (de) * 1995-07-11 2006-12-14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Kobe Vorrichtung zum Abdichten und Aufpumpen von Reifen bei Pannen
DE20115003U1 (de) * 2001-09-11 2003-02-06 Dunlop Gmbh Abdichtsystem
EP1561699B1 (en) * 2004-02-05 2009-12-09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Backflow preventing mouth plug and container fitted with it
JP4519065B2 (ja) * 2005-11-29 2010-08-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CN101244631A (zh) * 2007-02-15 2008-08-20 冠翔(香港)工业有限公司 补胎罐
US20090107578A1 (en) * 2007-10-29 2009-04-30 Saul Trachtenberg Tire sealant dispensing apparatus
DE102008015022B3 (de) 2008-03-19 2009-11-05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Pannenhilfesystem
JP4793418B2 (ja) * 2008-09-22 2011-10-12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補修液収容容器
DE112012003923T5 (de) 2011-09-21 2014-07-17 Top Alliance Technology Ltd. Reifenreparatur-Vorrichtung mit Reifenreparaturmittel
HK1152616A2 (en) * 2011-09-21 2012-03-02 Top Alliance Technology Ltd Sealant bottle
DE202011051522U1 (de) * 2011-10-04 2012-01-31 Wen-San Jhou Vorrichtung zur Abdichtung und zur Befüllung eines befüllbaren Objekts
US8746293B2 (en) * 2011-10-12 2014-06-10 Wen San Chou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TWI456130B (zh) * 2011-11-02 2014-10-11 Wen San Chou 車載用空氣壓縮機之串接軟管的接頭結構
US9193229B2 (en) * 2013-12-03 2015-11-24 Top Alliance Technology Limited Tire repair device
JP3189236U (ja) * 2013-12-19 2014-02-27 トップ アライアンス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タイヤ修理装置
JP5725231B1 (ja) * 2014-04-16 2015-05-27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7682A (ja) 2005-09-13 2009-02-26 トライデル リサーチ ピーティーワイ エルティーディー 封止装置の改良
JP2010167742A (ja) 2009-01-26 2010-08-05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WO2013047420A1 (ja) 2011-09-30 2013-04-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用のキャップ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82722B1 (ja) 2015-03-11
DE112015001840B4 (de) 2022-11-10
WO2015159828A1 (ja) 2015-10-22
CN106232338B (zh) 2018-11-02
JP2015202678A (ja) 2015-11-16
US10434732B2 (en) 2019-10-08
KR20160095086A (ko) 2016-08-10
US20170043545A1 (en) 2017-02-16
CN106232338A (zh) 2016-12-14
DE112015001840T5 (de)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200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US8342215B2 (en) Tire sealant liquid container
US8596310B2 (en) Sealing and pump-up device
KR20140069000A (ko) 펑크 수리 키트
BE1010182A3 (fr) Clapet de securite pour circuit de mise a l'air d'un reservoir a liquide.
US9217342B2 (en) Collecting container for lubricants
KR101929762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101842899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JP2020044473A (ja) カートリッジ吐出装置及び栓構造
CN108136699B (zh) 漏气轮胎修补液容纳容器
TWI564223B (zh) Leakage Tire Repair Solution Containers
CN102022533A (zh) 输送塞
JP2010526263A (ja) Co2圧縮ガス源と超過圧力保護手段とを有する容器
KR102111062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JP4906483B2 (ja) 液体用容器
KR20180068896A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20160080933A (ko) 유로 검사 기능을 구비한 니플
KR20180062978A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및 펑크 수리 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