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978A -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및 펑크 수리 킷 - Google Patents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및 펑크 수리 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978A
KR20180062978A KR1020177031389A KR20177031389A KR20180062978A KR 20180062978 A KR20180062978 A KR 20180062978A KR 1020177031389 A KR1020177031389 A KR 1020177031389A KR 20177031389 A KR20177031389 A KR 20177031389A KR 20180062978 A KR20180062978 A KR 20180062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ture
container
reinforcing member
puncture repair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829B1 (ko
Inventor
타쿠미 세키구치
다이스케 카네나리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29C73/025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fe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24Apparatu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4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8Reinforcements of dissimilar materials, e.g. metal frames in p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81Bottles of non-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압성을 유지하면서, 용기의 수납성을 높이는 한편으로, 용기의 박육화(薄肉化)에 의한 경량화나 자원 절약화를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및 펑크 수리 킷을 제공한다. 펑크 수리액(L)이 수용되는 수용부(2a)와 개구부(開口部)(2b)를 구비한 용기 본체(2)와, 개구부(2b)에 장착된 캡(3)으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에 있어서, 수용부(2a)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非眞圓)이며,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부(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된 금속제의 보강 부재(4)를 구비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및 펑크 수리 킷
본 발명은,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및 펑크 수리 킷에 관한 것이고, 한층 더 상세하게는, 내압성을 유지하면서, 용기의 수납성을 높이는 한편으로, 용기의 박육화(薄肉化)에 의한 경량화나 자원 절약화를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및 펑크 수리 킷에 관한 것이다.
근년(近年),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 타이어 밸브를 통하여 타이어 내에 펑크 수리액을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펑크를 응급적으로 수리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응급적인 수리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펑크 수리 킷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펑크 수리 킷을 이용한 경우, 차량에 스페어 타이어를 탑재할 필요가 없어져, 자원 절약화나 차량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탑재 스페이스를 다른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펑크 수리 킷으로서는, 예를 들어,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내에 수용된 펑크 수리액을 에어 컴프레서(compressor)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타이어 내에 주입하는 소위(所謂) 압송식(壓送式)의 펑크 수리 킷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을 참조). 이와 같은 압송식의 펑크 수리 킷에 이용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는, 주로 수지 재료로 구성되지만, 에어 컴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압송식의 펑크 수리 킷에 이용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는 기본적으로 단면 형상이 내압성에 뛰어나는 진원(眞圓)으로 되도록 원통상(圓筒狀)을 이루고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원통상의 용기(단면 형상이 진원)는, 같은 체적의 예를 들어 사각 통상(筒狀)의 용기(단면 형상이 비(非)진원)에 비하여 차량에 탑재할 때에 차지하는 스페이스가 커져, 수납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재(車載) 시에 차지하는 스페이스에 대한 용기의 수용량(즉, 수용 효율)을 생각하면, 원통상의 용기(단면 형상이 진원)보다도 예를 들어 사각 통상의 용기(단면 형상이 비진원)의 쪽이 뛰어나다고 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납성이나 수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용기의 단면 형상을 대략 사각형이나 타원형 등의 비진원으로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지만, 단면 형상이 비진원이라면, 용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단면에 있어서 다른 부위에 비하여 곡률(曲率)이 작은 원호상(圓弧狀)으로 되는 부위나 직선상의 부위가 포함되기 때문에, 이 부위가 구조적으로 약해져, 단면 형상이 진원인 경우에 비하여 내압성이 현저하게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 내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용기의 두께를 크게 하여도, 용기의 체적이 증가하여 수납성이 저해되거나, 용기의 용적이 감소하여 수납 효율이 나빠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두께의 증가에 수반하여 용기의 중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펑크 수리 킷의 경량화는 곤란하고, 또한, 충분한 두께를 얻는 필요로부터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구성하는 재료의 사용량을 저감하여 자원 절약화를 도모하는 일도 곤란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1218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내압성을 유지하면서, 용기의 수납성을 높이는 한편으로, 용기의 박육화에 의한 경량화나 자원 절약화를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및 펑크 수리 킷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는,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開口部)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이며,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수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된 금속제의 보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펑크 수리 킷은,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와 압축 공기 공급원을 구비하고, 상기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가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구성되어 있는 펑크 수리 킷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이며,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수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된 금속제의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보강 부재가 상기 압축 공기 공급원에 대한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펑크 수리 킷은,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와 압축 공기 공급원과 이것들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및 압축 공기 공급원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가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구성되어 있는 펑크 수리 킷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이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보강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수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된 금속제의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수용부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이어도,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로서 충분한 내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충분한 내압성을 확보하면서, 비진원의 단면 형상에 의한 뛰어난 수납성이나 수용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단면 형상이 비진원인 수용부는, 단면 형상이 진원인 경우에 비하여 구조적에 약하기 때문에, 종래는 후육(厚肉)한 것이 요구되었지만, 상술의 보강 부재에 의하여 충분히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를 크게 할 필요가 없어지고, 전술의 뛰어난 수납성이나 수용 효율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내압성을 유지한 채로 수용부의 두께를 종래보다도 얇게 하여 경량화나 자원 절약화를 도모하는 일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펑크 수리 킷도, 마찬가지로,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된 금속제의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수용부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이어도,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로서 충분한 내압성을 확보할 수 있어, 내압성과 수납성이나 수용 효율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내압성을 유지한 채로 수용부의 두께를 종래보다도 얇게 하여 경량화나 자원 절약화를 도모하는 일도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1 펑크 수리 킷에서는, 보강 부재가 압축 공기 공급원에 대한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펑크 수리 작업 시에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압축 공기 공급원에 고정하여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전도(轉倒)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수용부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인 것으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와 압축 공기 공급원과의 조합의 안정성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2 펑크 수리 킷에서는, 수용부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인 것으로, 케이스 내에 큰 잉여 공간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압축 공기 공급원과 함께 케이스 내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서는, 보강 부재가 대상(帶狀) 또는 선상(線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보강 부재가 부피가 커져 보강 부재의 중량이 증대하거나 보강 부재를 포함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전체의 수납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서는, 보강 부재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引張) 탄성률이 수용부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의 1.2배 ~ 10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탄성률로 설정하는 것으로, 보강 부재에 의하여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효과적으로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충분한 내압성을 얻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펑크 수리 킷에서는, 케이스가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착탈(着脫)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하고, 이 수납부의 주위에 보강 부재가 짜 넣어져 있는 사양으로 할 수도 있다. 혹은, 케이스가 보강 부재를 수용부의 주위에 구비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는 사양으로 할 수도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란,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용기 본체(수용부)의 높이 방향(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형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일부를 노치(notch)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X-X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펑크 수리 킷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펑크 수리 킷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펑크 수리 킷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펑크 수리 킷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는, 용기 본체(2)와 캡(3)과 보강 부재(4)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2)는,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펑크 수리액(L)을 수용하는 대략 사각 통상의 수용부(2a)와, 용기 본체(2)를 정립(正立)하였을 때 수용부(2a)의 상부 측에 위치하고, 사용 시에 수리액(L)이 토출(吐出)되는 원통상의 개구부(2b)를 가진다. 용기 본체(2a)를 정립하였을 때, 수용부(2a)의 바닥면은, 개구부(2b)의 반대 측에 위치한다. 개구부(2b)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는 필름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고, 미사용 시에 용기 내의 펑크 수리액(L)이 열화(劣化)하거나, 용기로부터 펑크 수리액(L)이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구부(6)의 외주면(外周面)에 나사 절삭이 행하여지고, 후술의 캡(3) 측의 나사와 나합(螺合)하도록 되어 있다. 수용부(2a) 및 개구부(2b)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덧붙여, 도 1, 2에 도시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의 수용부(2a)는 대략 사각 통상을 가지기 때문에, 그 단면 형상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사각형의 4개의 정점(頂點)이 각각 둥글게 된 형상)이다. 본 발명의 수용부(2a)는, 후술과 같이 보강 부재(4)로 보강되기 때문에, 단면 형상을 이와 같은 대략 사각형을 포함하는 비진원으로 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비진원이란,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다른 부위에 비하여 곡률이 작은 원호상으로 되는 부위나 직선상의 부위가 포함되어 있는 형상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도 3과 같이 정점이 둥글게 된 형상이나, 정점이 직선적으로 모따기된 형상을 포함한다)이나 타원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2a)가 비진원의 단면 형상을 가지면, 같은 체적의 원통상의 용기(단면 형상이 진원)에 비하여 차량에 탑재할 때에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억제할 수 있어, 뛰어난 수납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차재 시에 차지하는 스페이스에 대한 용기의 수용량(즉, 수용 효율)의 관점으로부터도, 원통상의 용기(단면 형상이 진원)보다도 뛰어난 수용 효율을 발휘할 수 있다.
캡(3)은, 예를 들어,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반상(圓盤狀)의 두정부(頭頂部)(3a)와, 이 두정부(3a)의 외주(外周)를 통상으로 둘러싸는 측벽(3b)으로 이루어진다. 측벽(3b)은, 두정부(3a)의 일방(一方) 측의 면에만 설치되고, 그 내면에는 전술의 개구부(2b)의 외면(外面)에 형성된 나사에 나합하는 나사가 설치되어 있다. 캡(3)의 두정부(3a) 및 측벽(3b)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덧붙여, 본 발명은, 후술과 같이 용기 본체(2)의 수용부(2a)와 그 주위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4)에 관한 것이며, 캡(3)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도 1, 2에서는 간단한 구조의 캡(3)을 도시하였다. 이 캡(3)은, 미사용 시에 용기 본체(2)의 개구부(2b)를 보호하기 위한 캡(3)이며, 펑크 수리 작업을 행하는 때에는, 예를 들어 펑크 수리액을 도출(導出)하기 위한 유로(流路) 등을 가지는 캡(도시하지 않음)으로 교환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펑크 수리 작업을 행할 때에 압축 공기가 내보내져 내압이 높아지는 용기 본체(2)가 비진원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구조적으로 내압성이 나쁜 경우에, 이것을 보강하기 위하여, 후술과 같이 용기 본체(2)(수용부(2a))의 주위에 보강 부재(4)를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기본 구조는, 수용부(2a)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이라면, 상술의 태양(態樣)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는, 상술의 기본 구조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2)와 캡(3) 외에, 금속제의 보강 부재(4)를 구비한다. 이 보강 부재(4)는, 도 1, 2의 실시예에서는,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의 일부에 수용부(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금속제의 보강 부재(4)가 수용부(2a)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기 내로 내보내진 압축 공기에 의하여 내압이 높아져도, 보강 부재(4)에 의하여 수용부(2a)를 주위로부터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수용부(2a)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인 경우,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다른 부위에 비하여 곡률이 작은 원호상으로 되는 부위나 직선상의 부위가 포함되기 때문에, 이 부위가 구조적에 약해져, 단면 형상이 진원인 수용부(2a)에 비하여 내압성이 현저하게 저하하지만, 상술과 같이 금속제의 보강 부재(4)에 의하여 수용부(2a)가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단면 형상이 비진원이어도 뛰어난 내압성을 발휘할 수 있다. 즉, 내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단면 형상이 비진원인 것에 의한 전술의 효과(수납성이나 수용 효율)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면 형상이 비진원인 수용부(2a)를 채용한 종래의 용기(보강 부재(4)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서는, 실용에 견디는 내압성을 얻기 위하여 수용부(2a)를 후육화할 필요가 있었지만, 보강 부재(4)에 의하여 뛰어난 내압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로서 충분한 내압성을 유지하면서, 수용부(2a)의 두께를 종래보다도 얇게 하여 경량화나 자원 절약화를 도모하는 일도 가능하게 된다.
보강 부재(4)는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지만, 수용부(2a)가 도시와 같이 대략 사각 통상을 이루고 있는 경우, 수용부(2a)의 바닥면의 근방이나 개구부(2b)의 근방(개구부(2b)로 연결되는 경사면의 근방)과 비교하여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의 중심 위치(P)의 근방이 구조상 약하고, 파괴하기 쉬운 부분으로 되기 때문에, 보강 부재(4)는,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의 중심 위치(P)로부터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으로 수용부(2a)의 높이(H)의 50% 이상의 범위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것으로, 수용부(2a)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어, 내압성을 유지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이 범위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보강 부재(4)가 배치되면, 수용부(2a)의 구조상 가장 약한 부분을 충분히 보강하지 못하고, 내압성을 고도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보강 부재(4)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강 부재(4)는 금속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부피가 큰 구조물이면, 용기 본체(2)를 박육화되었다고 하여도 보강 부재(4)의 중량이 커져 경량화를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보강 부재(4)는,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상, 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보강 부재(4)가 부피가 커져 보강 부재(4)의 중량이 증대하거나, 보강 부재(4)를 포함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전체의 수납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 부재(4)로서는, 예를 들어, 미리 수용부(2a)를 둘러싸는 것과 같은 환상(環狀)으로 성형한 것이나, 와이어 밴드, 자재(自在) 밴드 등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보강 부재(4)를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4)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은, 수용부(2a)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의 1.2배 ~ 25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배 ~ 250배라면 좋다. 이와 같이, 보강 부재(4)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을, 수용부(2a)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에 대하여 충분히 크게 하는 것으로, 보강 부재(4)에 의한 뛰어난 내압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내압성을 얻으면서 수용부(2a)의 두께를 저감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보강 부재(4)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 자체가 충분한 탄성률을 가지기 때문에, 보강 부재(4)가 부피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경량화나 수납성의 개선에는 유리하게 된다. 이 때, 보강 부재(4)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이, 수용부(2a)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의 1.2배보다도 작으면, 보강 부재(4)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이, 수용부(2a)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과 실질적으로 같게 되기 때문에, 충분한 내압성을 얻을 수 없다. 보강 부재(4)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이, 수용부(2a)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의 250배보다도 크면, 대폭적인 코스트 업(cost-up)으로 되어, 채용이 어렵다.
이와 같은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는 압축 공기 공급원(5)과 함께 펑크 수리 킷(K)으로서 다루어지는 것이 많지만, 그 경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 부재(4)에 나아가 압축 공기 공급원(5)에 대한 고정 기구를 설치하고, 펑크 수리 작업 시에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를 압축 공기 공급원(5)에 고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도 5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가 고정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압축 공기 공급원(5)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전술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로서의 효과를 얻는 것과 함께, 펑크 수리 킷(K)으로서, 펑크 수리 작업 시에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를 압축 공기 공급원(5)에 고정하여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a)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인 것으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와 압축 공기 공급원(5)과의 조합의 안정성도 높일 수 있다.
고정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보강 부재(4)의 외면에 압축 공기 공급원(5)에 대하여 계지(係止) 가능한 훅을 설치하는 한편으로, 압축 공기 공급원(5)의 외면에 이 훅을 계지 가능한 홈 등을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4)의 외면과 압축 공기 공급원(5)의 외면에 면(面)파스너(fastener)의 쌍을 설치할 수도 있다. 혹은, 보강 부재(4)를 압축 공기 공급원(5)에 미리 고정하여 두고, 이 보강 부재(4)에 대하여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수용부(2a))를 삽입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이와 같은 펑크 수리 킷(K)의 다른 예로서, 도 6의 태양을 예시할 수도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와 압축 공기 공급원(5)은, 케이스(6) 내에 수납되어 있고, 펑크 수리 킷(K)으로서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도, 단면 형상이 비진원인 수용부(2a)를 가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가,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부(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된 금속제의 보강 부재(4)를 구비하는 것으로, 전술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수용부(2a)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인 것으로, 케이스(6) 내에 큰 잉여 공간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를 압축 공기 공급원(5)과 함께 케이스(6) 내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이와 같은 펑크 수리 킷(K)에서는, 케이스(6) 내에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와 압축 공기 공급원(5)을 접속하는 기구나, 펑크 수리액(L)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기구(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와 타이어를 연결하는 호스를 접속하는 기구) 등을 구비하고, 나아가,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의 캡(3)이 압축 공기 공급원(5) 등과 접속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지만, 본 발명은,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가 비진원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구조적으로 내압성이 나쁜 경우에, 이것을 보강하기 위하여, 후술과 같이 용기 본체(2)(수용부(2a))의 주위에 보강 부재(4)를 설치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도 6에서는 이것들 기구에 관하여는 생략하고 있다.
이와 같은 펑크 수리 킷(K)에서는, 압축 공기 공급원(5) 등은 통상(通常) 반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는 수용한 펑크 수리액(L)을 다 사용하면 사용 불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도 7,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에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를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6a)를 설치하여,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를 교환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부(6a)를, 보강 부재(4)를 구비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를 착탈 가능하게 수능(收能)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부(6a) 자체의 주위에 보강 부재(4)를 짜 넣어,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가 수납부(6a)에 수납되었을 때에 보강 부재(4)가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부(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도 8의 구조에서는, 보강 부재(4)도 재이용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가일층의 자원 절약화가 도모된다. 덧붙여, 도 7, 8에서는, 수납부(6a)의 구조가 명확하게 되도록, 케이스(6)에 수납되는 압축 공기 공급원(5) 등의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생략하고 있다.
1: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2: 용기 본체
2a: 수용부
2b: 개구부
3: 캡
3a: 두정부
3b: 측벽
4: 보강 부재
5: 압축 공기 공급원
6: 케이스
6a: 수납부
L: 펑크 수리액

Claims (7)

  1.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開口部)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非眞圓)이며,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수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된 금속제의 보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가 대상(帶狀) 또는 선상(線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引張) 탄성률이 수용부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의 1.2배 ~ 25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4.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와 압축 공기 공급원을 구비하고, 상기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가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구성되어 있는 펑크 수리 킷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이며,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수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된 금속제의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보강 부재가 상기 압축 공기 공급원에 대한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5.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와 압축 공기 공급원과 이것들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및 압축 공기 공급원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가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구성되어 있는 펑크 수리 킷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단면 형상이 비진원이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보강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수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하고, 당해 수납부의 주위에 상기 보강 부재가 짜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보강 부재를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구비한 상기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KR1020177031389A 2015-09-29 2016-09-12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및 펑크 수리 킷 KR102147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1788 2015-09-29
JP2015191788A JP6493121B2 (ja) 2015-09-29 2015-09-29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およびパンク修理キット
PCT/JP2016/076844 WO2017056950A1 (ja) 2015-09-29 2016-09-12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およびパンク修理キ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978A true KR20180062978A (ko) 2018-06-11
KR102147829B1 KR102147829B1 (ko) 2020-08-25

Family

ID=5842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389A KR102147829B1 (ko) 2015-09-29 2016-09-12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및 펑크 수리 킷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60618B2 (ko)
JP (1) JP6493121B2 (ko)
KR (1) KR102147829B1 (ko)
CN (1) CN108136698B (ko)
DE (1) DE112016004431B4 (ko)
WO (1) WO201705695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0878A (ja) * 2009-05-25 2010-12-02 Nissan Motor Co Ltd 圧力容器構造
JP2011098458A (ja) * 2009-11-04 2011-05-19 Sumitomo Rubber Ind Ltd パンク修理キット
JP2014121820A (ja) * 2012-12-20 2014-07-03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装置
JP2014121863A (ja) 2013-05-23 2014-07-03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装置
KR20150048750A (ko) * 2012-08-31 2015-05-07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펑크 수리제의 보존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76713A (en) * 1936-08-26 1937-12-14 Wlrner Day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igh-pressure vessels or containers
JPS599426B2 (ja) 1975-07-04 1984-03-02 カンサイチユ−ブ カブシキガイシヤ 容器
CN1281116A (zh) * 2000-08-28 2001-01-24 孙逊 控温器
DE20120169U1 (de) * 2001-12-13 2002-03-28 Schuetz Gmbh & Co Kgaa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WO2005113344A1 (en) * 2004-05-20 2005-12-01 Topchoice Investments Pty Ltd Vessel with handling formation and detachable base portion
JP4133945B2 (ja) * 2004-06-28 2008-08-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パンクシーリング剤送給、抜取り装置
JP2009248982A (ja) 2008-04-02 2009-10-29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用シーリング剤の収納容器
JP4466777B2 (ja) * 2008-10-20 2010-05-26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装置
WO2010123113A1 (ja) * 2009-04-23 2010-10-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US8684046B2 (en) 2009-11-04 2014-04-01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uncture repair kit
JP5568100B2 (ja) * 2012-01-06 2014-08-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一体型のパンク修理キット
JP5929477B2 (ja) * 2012-04-27 2016-06-08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装置を用いたパンク修理方法
DE102012010058A1 (de) * 2012-05-22 2013-11-28 Kautex Textron Gmbh & Co. Kg Kraftstoffbehälter oder Nebenflüssigkeitsbehälter für ein Kfz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0878A (ja) * 2009-05-25 2010-12-02 Nissan Motor Co Ltd 圧力容器構造
JP2011098458A (ja) * 2009-11-04 2011-05-19 Sumitomo Rubber Ind Ltd パンク修理キット
KR20150048750A (ko) * 2012-08-31 2015-05-07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펑크 수리제의 보존 용기
JP2014121820A (ja) * 2012-12-20 2014-07-03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装置
JP2014121863A (ja) 2013-05-23 2014-07-03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65015A (ja) 2017-04-06
US10960618B2 (en) 2021-03-30
US20180194088A1 (en) 2018-07-12
CN108136698A (zh) 2018-06-08
DE112016004431T5 (de) 2018-06-28
KR102147829B1 (ko) 2020-08-25
WO2017056950A1 (ja) 2017-04-06
CN108136698B (zh) 2021-08-20
JP6493121B2 (ja) 2019-04-03
DE112016004431B4 (de)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217B1 (ko) 펑크 수리 킷
US8517063B2 (en) Flat tire sealant storage container and flat tire repair device
US8302636B2 (en) Tire sealant liquid container
US8342215B2 (en) Tire sealant liquid container
JP5682722B1 (ja)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KR20180062978A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및 펑크 수리 킷
US7357279B2 (en) Portable fuel tank
KR101772952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102037421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102182542B1 (ko) 펑크 수리 키트용 용기
JP5374318B2 (ja) パンク修理キット
JP5227354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