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421B1 -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421B1
KR102037421B1 KR1020177031388A KR20177031388A KR102037421B1 KR 102037421 B1 KR102037421 B1 KR 102037421B1 KR 1020177031388 A KR1020177031388 A KR 1020177031388A KR 20177031388 A KR20177031388 A KR 20177031388A KR 102037421 B1 KR102037421 B1 KR 10203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puncture repair
repair liquid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977A (ko
Inventor
타쿠미 세키구치
다이스케 카네나리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2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24Apparatu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5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and glued or otherwise sealed to the bo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65D23/14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of tags, labels, cards, coupons, decorati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5/36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formed by applying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펑크 수리액의 보관 성능 및 용기의 복원성을 유지하면서, 압착 작업성을 향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 킷을 제공한다.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2a)와 개구부(開口部)(2b)를 구비한 용기 본체(2)와, 개구부(2b)에 장착된 캡(3)으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에 있어서, 수용부(2a)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引張) 탄성률이 큰 재료로 구성된 보강 부재(4)를 설치하고, 이 보강 부재(4)가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부(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본 발명은,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고, 한층 더 상세하게는, 내압성(耐壓性)을 유지하면서, 용기의 두께를 얇게 하여, 경량화 및 자원 절약화를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년(近年),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 타이어 밸브를 통하여 타이어 내(內)에 펑크 수리액을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펑크를 응급적으로 수리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응급적인 수리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펑크 수리 킷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펑크 수리 킷을 이용한 경우, 차량에 스페어 타이어를 탑재할 필요가 없어지고, 자원 절약화나 차량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탑재 스페이스를 다른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펑크 수리 킷으로서는, 예를 들어,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내에 수용된 펑크 수리액을 에어 컴프레서(compressor)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타이어 내에 주입하는 소위(所謂) 압송식(壓送式)의 펑크 수리 킷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을 참조). 이와 같은 압송식의 펑크 수리 킷에 이용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는, 주로 수지 재료로 구성되지만, 에어 컴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는, 실용에 견디기 위해서는, 소정의 두께(압축 공기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고, 이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이용한 펑크 수리 킷이 탑재된 차량의 가일층의 경량화를 위하여,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두께를 얇게 하기에는 곤란했었다. 또한, 충분한 두께를 얻는 필요로부터,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구성하는 재료의 사용량을 저감하여 자원 절약화를 도모하는 일도 곤란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1218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내압성을 유지하면서, 용기의 두께를 얇게 하여, 경량화 및 자원 절약화를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는,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開口部)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引張) 탄성률이 큰 재료로 구성된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보강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수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가 원통상(圓筒狀)을 이루고 있고,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중심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의 높이의 60% 이상의 범위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은 상기 수용부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의 1.8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이 높은 재료로 구성된 보강 부재가,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되는 것으로, 이 보강 부재에 의하여 수용부가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부의 두께를 종래보다도 얇게 하여 경량화나 자원 절약화를 도모하여도, 압송식의 펑크 수리 킷에 이용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로서 충분한 내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용부가 원통상(圓筒狀)을 이루고 있고, 보강 부재가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중심 위치로부터 수용부의 높이 방향으로 수용부의 높이의 60% 이상의 범위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보강 부재가 배치되는 것으로, 수용부가 원통상의 경우에 구조적으로 가장 약해지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어, 내압성을 유지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 부재가 시트(sheet)상(狀)을 이루고, 이 시트상의 보강 부재가 수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감겨져 양(兩) 단부가 서로 겹친 상태에서 점착제(粘着劑)에 의하여 붙여져 있는 사양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양으로는, 보강 부재의 취부(取付)가 용이한 것과 함께, 양 단부가 서로 겹치는 것에 의한 뛰어난 보강 성능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이 사양으로는, 보강 부재가 시트상이기 때문에, 보강 부재를 펑크 수리액의 정보나 사용 방법을 표시한 라벨로서 겸용할 수도 있다.
혹은, 본 발명에서는, 보강 부재가 환상(環狀)을 이루고, 이 환상의 보강 부재가 수용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사양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양으로 하는 것으로, 미리 환상(環狀)으로 성형된 구조에 의하여 수용부를 주위로부터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내압에 대한 뛰어난 보강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환상의 보강 부재는, 그 내측(內側)에 수용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수용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삽입 후에는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환상의 보강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수용부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에 걸치도록 붙여진 점착제붙이의 라벨을 구비한 사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사양이라면, 라벨을 붙인 것만의 간단한 구조로 보강 부재를 소정 위치의 위치에 확실하게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사양으로는, 점착제붙이의 라벨을, 펑크 수리액의 정보나 사용 방법을 표시한 라벨로서 겸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 부재가, 적어도 수용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신(延伸) 처리된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지 필름은, 염가로 충분한 강도(보강 성능)를 가지기 때문에, 보강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일부를 노치(notch)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는, 용기 본체(2)와 캡(3)으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2)는,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펑크 수리액(L)을 수용하는 원통상의 수용부(2a)와, 용기 본체(2)를 정립(正立)하였을 때 수용부(2a)의 상부 측에 위치하고, 사용 시에 펑크 수리액(L)이 토출(吐出)되는 원통상의 개구부(2b)를 가진다. 용기 본체(2)를 정립하였을 때, 수용부(2a)의 바닥면은, 개구부(2b)의 반대 측에 위치한다. 개구부(2b)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는 필름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고, 미사용 시에 용기 내의 펑크 수리액(L)이 열화(劣化)하거나, 용기로부터 펑크 수리액(L)이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구부(2b)의 외주면(外周面)에 나사 절삭이 행하여지고, 후술의 캡(3) 측의 나사와 나합(螺合)하도록 되어 있다. 수용부(2a) 및 개구부(2b)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캡(3)은, 예를 들어,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반상(圓盤狀)의 두정부(頭頂部)(3a)와, 이 두정부(3a)의 외주를 통상(筒狀)으로 둘러싸는 측벽(3b)으로 이루어진다. 측벽(3b)은, 두정부(3a)의 일방(一方) 측의 면에만 설치되고, 그 내면에는 전술의 개구부(2b)의 외면(外面)에 형성된 나사에 나합하는 나사가 설치되어 있다. 캡(3)의 두정부(3a) 및 측벽(3b)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덧붙여, 본 발명은, 후술과 같이 용기 본체(2)의 수용부(2a)와 그 주위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4)에 관한 것이며, 캡(3)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도 1, 2에서는 간단한 구조의 캡(3)을 도시하였다. 이 캡(3)은, 미사용 시에 용기 본체(2)의 개구부(2b)를 보호하기 위한 캡(3)이며, 펑크 수리 작업을 행하는 때에는, 예를 들어 펑크 수리액을 토출하기 위한 유로(流路) 등을 가지는 캡(도시하지 않음)으로 교환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펑크 수리 작업을 행할 때에 압축 공기가 보내져 내압이 높아지는 용기 본체(2)를 보강하기 위하여, 후술과 같이 용기 본체(2)(수용부(2a))의 주위에 보강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기본 구조는 상술의 태양(態樣)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는, 상술의 기본 구조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2)와 캡(3) 외에, 수용부(2a)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이 큰 재료로 구성된 보강 부재(4)를 구비한다. 이 보강 부재(4)는, 도 1, 2의 실시예에서는,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의 일부에 수용부(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충분한 인장 탄성률을 가지는 보강 부재(4)가 수용부(2a)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기 내로 보내진 압축 공기에 의하여 내압이 높아져도, 보강 부재(4)에 의하여 수용부(2a)를 주위로부터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 부재(4)에 의하여 수용부(2a)가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부(2a)의 두께를 종래보다도 얇게 하여 경량화나 자원 절약화를 도모하여도, 압송식의 펑크 수리 킷에 이용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로서 충분한 내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서는, 실용에 견디는 충분한 내압성을 얻기 위하여, 수용부(2a)의 두께는 2.5mm 정도로 설정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보강 부재(4)에 의하여 수용부(2a)를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두께를 종래보다도 얇게 할 수 있다.
보강 부재(4)는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지만, 수용부(2a)가 도시와 같이 원통상을 이루고 있는 경우, 수용부(2a)의 바닥면의 근방이나 개구부(2b)의 근방(개구부(2b)로 연결되는 경사면의 근방)과 비교하여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의 중심 위치(P)의 근방이 구조상 약하고, 파괴하기 쉬운 부분이 되기 때문에, 보강 부재(4)는,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의 중심 위치(P)로부터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으로 수용부(2a)의 높이(H)의 60% 이상의 범위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것으로, 수용부(2a)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어, 내압성을 유지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이 범위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보강 부재(4)가 배치되면, 수용부(2a)의 구조상 가장 약한 부분을 충분히 보강하지 못하고, 내압성을 고도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보강 부재(4)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은, 수용부(2a)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의 1.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8배 이상이면 좋다. 이와 같이, 보강 부재(4)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을, 수용부(2a)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에 대하여 충분히 크게 하는 것으로, 보강 부재(4)에 의한 뛰어난 내압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내압성을 얻으면서 수용부(2a)의 두께를 저감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이 때, 보강 부재(4)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이, 수용부(2a)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의 1.2배보다도 작으면 보강 부재(4)에 의하여 수용부(2a)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충분한 내압성을 얻는 것이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수용부(2a)를 구성하는 재료(폴리에틸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은 1000MPa ~ 1600MPa 정도이기 때문에, 보강 부재(4)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200MPa ~ 2400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MPa ~ 1900MPa의 범위로 설정하면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이 1000MPa인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부(2a)에 대하여, 보강 부재(4)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을 1200MPa(1.2배)로 설정하면, 두께가 2mm 정도이어도 종래(보강 부재 없이 두께 2.5mm)와 동일한 정도의 내압성을 얻을 수 있다. 즉, 보강 부재(4)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을, 수용부(2a)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의 1.2배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종래 이하의 두께로, 종래보다도 뛰어난 내압성을 가지는 용기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보강 부재(4)는, 상술의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으면 임의의 재료로 구성할 수 있지만, 전술과 같이 용기 본체(2)(수용부(2a))가 폴리프로필렌(PP)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구성되는 것이나, 이와 같은 수지에서는 초기의 신장을 억제하는 것이 내압성을 높이기에는 유효한 것으로부터, 보강 부재(4)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실, 포(布), 종이,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들 재료 중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 보강 부재(4)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이라면, 용기 본체(2)를 박육화(薄肉化)할 수 있었다고 하여도 보강 부재(4)의 중량이 크기 때문에 경량화를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 때문에, 보강 부재(4)를 금속으로 구성하는 경우는, 종이나 수지 필름상에 금속을 증착한 금속 증착 필름(예를 들어, 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들 재료 중 실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4)를 수용부(2a)의 주위를 따라 나선상(螺旋狀)으로 복수 둘레 감으면 된다. 또한, 단순하게 실을 감은 것만으로는, 감기 단부로부터 감은 실이 풀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실을 감은 부분의 전체를 덮는 라벨을, 실의 위로부터 붙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라벨에 의한 보강 효과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뛰어난 내압성을 얻을 수 있다.
이것들 재료 중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적어도 수용부(2a)의 둘레 방향으로 연신 처리된 수지 필름을 이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수지 필름은, 염가로 충분한 보강 성능(수용부(2a)보다도 큰 인장 탄성률)을 가지기 때문에, 보강 부재(4)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보강 부재(4)는, 재료의 관점으로부터는 상술의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구조의 관점으로부터는, 시트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시트상의 보강 부재(4)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1 둘레 이상 감겨져 양 단부가 서로 겹친 상태에서 점착제에 의하여 붙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사양으로는, 보강 부재(4)의 설치가 용이한 것과 함께, 양 단부가 서로 겹치는 것에 의한 뛰어난 보강 성능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이 사양으로는, 보강 부재(4)가 시트상이기 때문에, 보강 부재(4)를 펑크 수리액의 정보나 사용 방법을 표시한 라벨로서 겸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의 재료와 아울러 생각하면, 종이, 수지(상술의 수지 필름), 금속(상술의 금속 증착 필름)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감겨져, 그 양 단부가 서로 겹친 상태에서 점착제에 의하여 붙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이 경우, 점착제는 적어도 서로 겹친 양 단부 사이에 칠하여져 있으면 된다. 즉, 이 위치에 점착제가 칠하여져 있으면, 서로 겹친 양 단부끼리가 붙여져, 시트상의 보강 부재(4)가 수용부(2a)의 외주에 적합하는 환상을 이루기 때문에, 보강 부재(4) 자체가 수용부(2a)에 붙지 않아도, 보강 부재(4)를 수용부(2a)의 소정의 위치에 취부할 수 있다. 물론, 시트상의 보강 부재(4)의 전면(全面)에 점착제가 칠하여져 있으면, 보강 부재(4)를 수용부(2a)의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취부할 수 있기 때문에, 소망의 보강 성능(내압성)을 얻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혹은, 보강 부재(4)가 미리 환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이 환상의 보강 부재(4)가 수용부(2a)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사양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양으로 하는 것으로, 미리 환상으로 성형된 구조에 의하여 수용부(2a)를 주위로부터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내압에 대한 뛰어난 보강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술의 재료와 아울러 생각하면, 미리 환상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환상의 보강 부재(4)는, 그 내측에 수용부(2a)가 삽입되는 것으로 수용부(2a)에 장착되기 때문에, 수용부(2a)의 높이 방향(수용부(2a)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쉽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삽입 후에는 환상의 보강 부재(4)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의 보강 부재(4)의 적어도 일부와 수용부(2a)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에 걸치도록 붙여진 점착제붙이의 라벨(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라벨(5)을 이용하는 것으로, 라벨(5)을 붙이는 것만의 간단한 구조로 보강 부재(4)를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사양으로는, 점착제붙이의 라벨(5)을, 펑크 수리액의 정보나 사용 방법을 표시한 라벨로서 겸용할 수도 있다.
1: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2: 용기 본체
2a: 수용부
2b: 개구부
3: 캡
3a: 두정부
3b: 측벽
4: 보강 부재
5: 라벨
L: 펑크 수리액

Claims (6)

  1.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開口部)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단위 단면적당의 인장(引張) 탄성률이 큰 재료로 구성된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보강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수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가 원통상(圓筒狀)을 이루고 있고,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중심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의 높이의 60% 이상의 범위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은 상기 수용부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위 면적당의 인장 탄성률의 1.8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가 시트(sheet)상(狀)을 이루고, 당해 시트상의 보강 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감겨져 양(兩) 단부가 서로 겹친 상태에서 점착제(粘着劑)에 의하여 붙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가 환상(環狀)을 이루고, 당해 환상의 보강 부재가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의 보강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수용부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와의 사이에 걸치도록 붙여진 점착제붙이의 라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가, 적어도 상기 수용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신(延伸) 처리된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1020177031388A 2015-09-29 2016-09-12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102037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1785 2015-09-29
JP2015191785A JP6657715B2 (ja) 2015-09-29 2015-09-29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PCT/JP2016/076845 WO2017056951A1 (ja) 2015-09-29 2016-09-12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977A KR20180062977A (ko) 2018-06-11
KR102037421B1 true KR102037421B1 (ko) 2019-10-28

Family

ID=5842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388A KR102037421B1 (ko) 2015-09-29 2016-09-12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28854B2 (ko)
JP (1) JP6657715B2 (ko)
KR (1) KR102037421B1 (ko)
CN (1) CN108136697B (ko)
DE (1) DE112016004415B4 (ko)
WO (1) WO201705695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5660A (ja) 2006-08-15 2008-02-28 Toyota Motor Corp 高圧タンク
JP2010094944A (ja) * 2008-10-20 2010-04-30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装置
JP2010270878A (ja) * 2009-05-25 2010-12-02 Nissan Motor Co Ltd 圧力容器構造
JP2014046953A (ja) * 2012-08-31 2014-03-17 Kyoraku Co Ltd パンク修理剤の保存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2018A (en) * 1956-08-03 1959-11-10 Syfonex Pty Ltd Aeration of liquids
US5217307A (en) * 1990-12-07 1993-06-08 Morgan Adhesives Company Container with an easy opening indicator or security break indicator
US6506464B1 (en) * 1999-08-24 2003-01-14 Loctite Corporation Squeezable multilayered container
US20020119221A1 (en) * 2000-12-19 2002-08-29 Humiaki Matsukura Food package and method and device for extrusion of food
CA2483666C (en) * 2002-04-30 2009-03-17 Daiwa Can Company Opening curled portion of metal can and forming method thereof
US20040031802A1 (en) * 2002-08-13 2004-02-19 Parodi Donald E. Container having internal strengthening ribs
WO2004020296A1 (ja) * 2002-08-28 2004-03-11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壜体
EP1752484B1 (en) * 2004-05-26 2013-10-30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of disposing of sealing agent
US20060117909A1 (en) * 2004-12-08 2006-06-08 Ching-Sen Hsu Tire-patching apparatus
GB2424865C (en) * 2005-04-06 2007-12-11 Spear Group Holdings Ltd A label for removable attachment to an article.
CN101421166B (zh) * 2006-04-17 2011-06-15 大和制罐株式会社 带螺纹的罐容器
US8517063B2 (en) * 2008-10-20 2013-08-27 The Yokohama Rubber Co., Ltd. Flat tire sealant storage container and flat tire repair device
US20110174769A1 (en) * 2009-03-19 2011-07-21 Jung Ii Kyung Bottle
EP2422960B1 (en) * 2009-04-23 2017-06-28 Bridgestone Corporation Sealing and pump-up device
JP4743325B2 (ja) * 2010-01-15 2011-08-10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の回収方法及び回収装置
US9061787B2 (en) * 2010-09-29 2015-06-23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Three-piece resealable can for acidic liquid
JP5632709B2 (ja) * 2010-10-27 2014-11-26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オーバーモールド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オーバーモールド容器の製造装置
JP2012131169A (ja) * 2010-12-22 2012-07-12 Gunze Ltd 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ラベル
EP2764995B1 (en) * 2011-10-05 2017-12-06 Kuraray Co., Ltd. Composite structure, packaging material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and production method and coating liquid therefor
JP5937337B2 (ja) * 2011-11-18 2016-06-22 大和製罐株式会社 ボトル型缶の製造方法およびボトル型缶
JP5929477B2 (ja) 2012-04-27 2016-06-08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装置を用いたパンク修理方法
CN104582941B (zh) 2012-08-31 2017-03-08 横浜橡胶株式会社 爆胎修补剂的收纳容器
JP5321727B1 (ja) * 2012-12-20 2013-10-23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装置
JP5321726B1 (ja) * 2012-12-20 2013-10-23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装置
AU2014215299B2 (en) * 2013-02-08 2017-03-30 Kuraray Co., Ltd. Product comprising packaging material comprising multilayer structure
JP5376085B1 (ja) 2013-05-23 2013-12-25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装置
US20140373974A1 (en) * 2013-06-24 2014-12-25 Brandon Ragan Pouch-type Sealant Injector
KR20150030582A (ko) * 2013-09-12 2015-03-20 박소연 세로수납을 위한 패키지
US20160279908A1 (en) * 2013-11-22 2016-09-29 Fujiseal International, Inc. Stretch lab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E102013113208A1 (de) 2013-11-29 2015-06-03 Rehau Ag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uckspeichers sowie Druckspeicher
CN106662290B (zh) * 2014-08-04 2019-01-22 日产自动车株式会社 高压罐和高压罐制造方法
AU2015302839B2 (en) * 2014-08-13 2019-07-18 Kuraray Co., Ltd. Multilayer structure, packaging materia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multilayer structure
WO2016031056A1 (ja) * 2014-08-29 2016-03-03 グンゼ株式会社 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ラベル
EP3438011B1 (en) * 2016-03-31 2023-06-21 Fuji Seal International, Inc. Production process for package
IT201800003549A1 (it) * 2018-03-14 2019-09-14 Pet Eng Srl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 contenitore con supporto autoreggen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5660A (ja) 2006-08-15 2008-02-28 Toyota Motor Corp 高圧タンク
JP2010094944A (ja) * 2008-10-20 2010-04-30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装置
JP2010270878A (ja) * 2009-05-25 2010-12-02 Nissan Motor Co Ltd 圧力容器構造
JP2014046953A (ja) * 2012-08-31 2014-03-17 Kyoraku Co Ltd パンク修理剤の保存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977A (ko) 2018-06-11
DE112016004415B4 (de) 2024-05-08
US10828854B2 (en) 2020-11-10
JP2017065014A (ja) 2017-04-06
WO2017056951A1 (ja) 2017-04-06
JP6657715B2 (ja) 2020-03-04
CN108136697A (zh) 2018-06-08
DE112016004415T5 (de) 2018-07-05
US20180281323A1 (en) 2018-10-04
CN108136697B (zh)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410B1 (ko) 펑크 수리제의 보존 용기
US20160076700A1 (en) High pressure tank
MX2014009804A (es) Recipiente de aerosol.
US9463906B2 (en) Tube head having an insert forming a barrier
JP4928374B2 (ja) タイヤパンク応急修理装置に用いるシーリング剤ユニット
KR102037421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JP4989341B2 (ja) シーリング剤容器とシーリング剤ユニットとの組立体
US9902119B2 (en) Puncture repair liquid-holding container
US11453184B2 (en) Puncture repair kit container
US10960618B2 (en) Puncture repair liquid holding container and puncture repair kit
US11007733B2 (en) Puncture repair liquid holding container
US20240116681A1 (en) Adhesive sealant discharge cap for handheld adhesive sealant tubes
CN211817045U (zh) 填缝材料用筒的底盖及填缝材料用筒
US20180319547A1 (en) Double-stracture tube
US20210078269A1 (en) Puncture Repair Fluid Container and Puncture Repair Kit
JP2001180678A (ja) 超薄肉ブロー容器の補強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