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896A -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896A
KR20180068896A KR1020177032202A KR20177032202A KR20180068896A KR 20180068896 A KR20180068896 A KR 20180068896A KR 1020177032202 A KR1020177032202 A KR 1020177032202A KR 20177032202 A KR20177032202 A KR 20177032202A KR 20180068896 A KR20180068896 A KR 20180068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film
flow path
container
tube
pun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835B1 (ko
Inventor
타쿠미 세키구치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8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24Apparatu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보관 시의 액 누출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유로(流路)의 개구(開口) 불량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제공한다. 수용부(11)와 개구부(12)를 구비한 용기 본체(10)와, 개구부(12)에 장착된 캡(20)으로 이루어지고, 이 캡(20)이 용기 내의 펑크 수리액(L)을 방출하기 위한 제2 유로(40)를 구비하고 있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제2 유로(40)에 용기 본체(1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튜브(60)를 장착하고, 이 튜브(60)가 제2 유로(40)로의 펑크 수리액(L)의 유입을 차단하는 봉지막(61)을 구비하도록 하고, 이 봉지막(61)이 제2 유로(40)를 차단한 폐지(閉止) 상태를 용기 내압에 의하여 봉지막(61)이 파단되어 제2 유로(40)가 개방된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본 발명은,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고, 한층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유로(流路)를 폐지(閉止)하여, 보관 시의 액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이하게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년(近年),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 타이어 밸브를 통하여 타이어 내에 펑크 수리액을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펑크를 응급적으로 수리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응급적인 수리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펑크 수리 킷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펑크 수리 킷을 이용한 경우, 차량에 스페어 타이어를 탑재할 필요가 없어지고, 자원 절약화나 차량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탑재 스페이스를 다른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펑크 수리 킷으로서는, 예를 들어,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내에 수용된 펑크 수리액을 에어 컴프레서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타이어 내에 주입하는 소위 압송식(壓送式)의 펑크 수리 킷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압송식의 펑크 수리 킷에 이용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는,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開口部)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캡에는, 용기 외(外)로부터 압축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제1 유로와, 용기 내의 펑크 수리액을 방출하기 위한 제2 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유로에는, 용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튜브가 취부(取付)되어 있다. 이 때, 보관 시에 유로로부터 펑크 수리액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은, 제2 유로(에 취부된 튜브)에 폐지 부재를 장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 특허 문헌 1이 제안하는 폐지 부재는, 튜브의 선단(先端)에 장착되어 있고, 주로 펑크 수리 시에 용기 내로 보내지는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유로를 개방하는 폐지 마개와, 폐지 상태에 있어서 이 폐지 마개가 감합(嵌合)하는 바깥 테두리와, 테두리로부터 벗어난 폐지 마개가 유로 내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확실히, 이와 같은 폐지 부재라면, 보관 시에 제2 유로로부터 펑크 수리액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기 내로 보내지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제2 유로를 개방할 수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폐지 마개와 바깥 테두리의 치수를 엄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즉, 폐지 마개가 바깥 테두리에 대하여 느슨하면 충분히 누출을 방지하지 못하고, 폐지 마개가 바깥 테두리에 대하여 꽉 끼면 압력에 의한 열림 마개가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며, 펑크 수리 작업 시에 확실하게 또한 용이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유로의 폐지 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7854242호 명세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유로를 폐지하여, 보관 시의 액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이하게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는,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이루어지고, 당해 캡이 용기 외로부터 압축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제1 유로와 용기 내의 펑크 수리액을 방출하기 위한 제2 유로를 구비하고 있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튜브가 장착되어 있고, 당해 튜브가 상기 제2 유로로의 펑크 수리액의 유입을 차단하는 봉지막(封止膜)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봉지막이 상기 제2 유로를 차단한 폐지 상태를 용기 내압에 의하여 상기 봉지막이 파단되어 상기 제2 유로가 개방된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유로에 장착된 튜브에 봉지막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폐지 상태에 있어서 확실하게 제2 유로를 폐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봉지막은 펑크 수리 작업 시에 보내진 압축 공기에 의하여 승압한 용기 내압에 의하여 파단되기 때문에, 펑크 수리 작업 시에는 용이하게 제2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튜브의 내부에 봉지막을 찢기 위한 천공(穿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천공 기구를 구비하는 것으로, 펑크 수리 작업 시에는, 봉지막을 확실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봉지막이 일 방향으로 연신(延伸) 처리가 행하여진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연신 처리가 행하여진 수지 필름의 특성에 의하여, 봉지막에 찢어지기 쉬운 한편으로 끊기어 떨어지기 어려운 특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펑크 수리 작업 시에 봉지막을 찢어지기 쉽게 하는 것과 함께, 봉지막이 찢어졌을 때에 파편이 생기기 어려워져, 봉지막의 파편에 의하여 펑크 수리액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봉지막의 파단 신장이 10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봉지막은, 보관 시의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내압의 변화 정도에서는 파손되지 않고, 펑크 수리 작업 시의 압력 상승에 의하여 파단되기 때문에,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있어서의 유로의 개방 용이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보관 시의 펑크 수리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파단 신장이란, JIS-K625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a) ~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의 튜브의 선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 ~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의 튜브의 선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 ~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의 튜브의 선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 ~ (e)는, 본 발명의 천공 기구의 형태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이하, 「용기(1)」라고 한다. )는 용기 본체(10)와 캡(20)으로 구성된다. 덧붙여, 도 1, 2에서는, 용기(1)를 고압 공기 압송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호스(H1)와, 용기(1)를 타이어와 접속하기 위한 호스(H2)가 그려져 있지만, 이것들 호스(H1, H2)의 구조는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기 본체(10)는,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펑크 수리액(L)(이하, 「수리액(L)」이라고 한다. )을 수용하는 원통상(圓筒狀)의 수용부(11)와, 용기 본체(10)를 정립(正立)하였을 때 수용부(11)의 상부 측에 위치하고, 사용 시에 수리액(L)이 토출(吐出)되는 원통상의 개구부(12)를 가진다. 수용 용기(1)를 정립하였을 때, 수용부(11)의 바닥면은, 개구부(12)의 반대 측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2)의 외주면(外周面)에 나사 절삭이 행하여지고, 후술의 캡(20) 측의 나사와 나합(螺合)하도록 되어 있다. 수용부(11) 및 개구부(12)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덧붙여, 개구부(12)는, 후술의 캡(20)이 취부되기 전에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는 필름에 의하여 밀봉하여, 용기 내의 수리액(L)이 열화(劣化)하거나, 개구부(12)로부터 수리액(L)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캡(20)은, 도 1 ~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상의 기부(基部)(21)와, 이 기부(21)와 같은 외경(外徑)의 대략 원통상을 이루고, 그 내주면(內周面)에 전술의 개구부(12) 측의 나사와 나합하는 나사 절삭이 행하여진 장착부(22)로 구성된다. 기부(21)에는, 용기 외로부터 압축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제1 유로(30)와, 용기 내의 펑크 수리액을 방출하기 위한 제2 유로(40)가, 각각 기부(21) 내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제1 유로(30)는, 도시의 예에서는, 용기(1)의 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진부(31)와, 이 직진부(31)의 중복(中腹)에서 분기(分岐)하여 용기(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기부(32)로 구성되고, 직진부(31)에는, 이 직진부(31)를 막는 대략 원주상(圓柱狀)(중복에 잘록부를 가진 원주상)으로 엘라스토머(elastomer)제의 폐지 마개(50)가 접동(摺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직진부(31)의 용기 외에 개구하는 단부는, 기부(21)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용기(1)를 압송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호스(H1)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분기부(32)의 용기 본체(10)의 내부를 향하여 개구하는 단부도, 기부(21)로부터 용기 본체(10)의 내부 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폐지 마개(50)의 직진부(31) 내의 위치에 의하여, 폐지 상태(폐지 마개(50)가 분기부(32) 상에 위치하는지, 또는 분기부(32)보다도 직진부(31)의 개구단에 위치하는 상태)와 개방 상태(폐지 마개(50)가 분기부(32)보다도 직진부(31)의 폐지단 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전환하도록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후술의 제2 유로(40)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제1 유로(30)에 관한 구조는 상술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유로(40)는, 도 1 ~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1)의 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구멍부(41)와 용기(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구멍부(42)로 이루어지는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가로 구멍부(41)의 일방(一方) 측의 단부(개구단(41a))는, 용기 외에 개구하고, 그 개구단(41a)은 기부(21)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가로 구멍부(41)의 타방(他方) 측의 단부는 세로 구멍부(42)와 연결하여 굴곡부를 형성하고 있다. 세로 구멍부(42)의 일단(一端) 측의 단부(개구단(42a))는, 용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여 개구하고, 그 개구단(42a)은 용기 본체(1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세로 구멍부(42)의 타방 측의 단부는 가로 구멍부(41)와 연결하여 굴곡부를 형성하고 있다.
세로 구멍부(42)의 개구단(42a)에는, 용기 본체(1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튜브(60)가 장착되어 있다. 펑크 수리 작업 시에는, 이 튜브(60)를 통하여 수리액(L)을 제2 유로(40)에 보내진다. 그 때문에, 용기(1) 내에 수리액(L)이 잔존하지 않도록, 튜브(60)의 선단(60a)은 용기 본체(10)(수용부(11))의 바닥면 근방까지 이르고 있다. 튜브(6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연질(軟質) 폴리에틸렌을 이용할 수 있다.
이 튜브(60)는, 제2 유로(40)를 차단하는 봉지막(61)을 구비하고 있고, 보관 시에는 이 봉지막(61)에 의하여 제2 유로(40)에 펑크 수리액이 유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봉지막(61)은, 펑크 수리 작업 시에는, 고압 공기 압송 장치로부터 보내지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승압한 용기 내압에 의하여 파단되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제2 유로(40)가 개방된다. 따라서, 봉지막(61)이 제2 유로를 차단한 폐지 상태에 있어서는 확실히 제2 유로를 폐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봉지막은 펑크 수리 작업 시에 보내진 압축 공기에 의하여 승압한 용기 내압에 의하여 파단되기 때문에, 펑크 수리 작업 시에는, 봉지막(61)을 찢기 위한 공정을 거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제2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봉지막(61)은, 전술과 같이, 펑크 수리 작업 시에, 고압 공기 압송 장치로부터 보내지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승압한 용기 내압에 의하여 파단되는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일 방향으로 연신 처리가 행하여진 수지 필름은, 찢어지기 쉬운 한편으로 끊기어 떨어지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방향으로 연신된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것으로, 펑크 수리 작업 시에 봉지막을 찢어지기 쉽게 하는 것과 함께, 봉지막이 찢어졌을 때에 파편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봉지막의 파편에 의하여 펑크 수리액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도 가능하게 된다.
봉지막(61)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mm ~ 1.0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지막(61)의 두께가 0.1mm보다도 작으면, 봉지막(61)이 너무 얇아지기 때문에, 제2 유로를 확실하게 봉지(封止)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특히, 보관 중의 온도 변화 등에 기인하는 용기 내압의 승압 정도에서 찢어질 우려가 있다. 봉지막(61)의 두께가 1.0mm보다도 크면, 봉지막(61)이 너무 두꺼워져,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찢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봉지막(61)이 찢어질 때까지 용기 내압이 너무 상승하여 용기(1) 자체에 고장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봉지막(61)으로서는, 파단 신장이 100% 이상 300%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봉지막(61)은, 보관 시의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내압의 변화 정도에서는 파손되지 않고, 펑크 수리 작업 시의 압력 상승에 의하여 파단되기 때문에,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있어서의 유로의 개방 용이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보관 시의 펑크 수리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봉지막(61)의 파단 신장이 100% 미만이라면, 보관 시의 온도 변화 등에 기인하는 용기 내압의 상승 정도에서, 봉지막(61)이 파단될 우려가 있어, 제2 유로(40)의 보관 중의 봉지가 어려워진다. 봉지막(61)의 파단 신장이 300%를 넘으면, 봉지막(61)이 찢어지기 어렵게 되어, 봉지막(61)이 찢어질 때까지 용기 내압이 너무 상승하여 용기(1) 자체에 고장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봉지막(61)은, 용기 내압이 200kPa ~ 350kPa로 되면 찢어져 제2 유로(40)를 개방하는 사양(仕樣)으로 하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보관 시는 확실하게 제2 유로(40)를 폐지하는 한편으로,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기(1) 내로 보내지는 압축 공기의 압력 정도에서 봉지막(61)이 확실하게 파단되게 되기 때문에, 펑크 작업 시에는 용이하게 유로를 개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봉지막(61)은, 제2 유로(40)를 차단할 수 있으면, 튜브(60) 내의 어디에 설치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튜브(60)의 선단(60a)에 설치하면 된다. 이 때, 봉지막(61)은, 초음파용착이나, 코킹(caulking) 등의 수단에 의하여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튜브(60) 자체에 직접 봉지막(61)을 고정하는 것으로, 복잡한 부재를 추가하는 일 없이, 간단한 구조로 제2 유로(40)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봉지막(6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튜브(60)의 선단(60a)에, 일단에 봉지막(61)이 취부되어 튜브(60)에 감합하는 내경(內徑)을 가진 통상(筒狀) 부재(62)를 취부하는 것으로, 장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도, 일단에 봉지막(61)을 구비한 통상 부재(62)라고 하는 간단한 구조의 추가 요소만으로, 제2 유로(40)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상 부재(62)를 취부하는 경우, 통상 부재(62)를 튜브(60)에 끼워 넣는 것뿐만 아니라, 통상 부재(62)를 접착, 용착 등의 수단에 의하여 튜브(60)에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도 3(a)는, 튜브(60)의 긴쪽 방향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의 X-X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어느 경우도, 도 4,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튜브(60)의 내부에 봉지막(61)을 찢기 위한 천공 기구(6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예에서는, 튜브(60)의 내면에 직접 천공 기구(63)가 설치되고, 도 5의 예에서는, 전술의 통상 부재(62)가 채용되어, 이 통상 부재(62)의 내면에 천공 기구(6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천공 기구(63)를 구비하는 것으로, 펑크 수리 작업 시에는, 승압한 용기 내압뿐만 아니라 천공 기구(63)에 의하여 봉지막(61)이 파단되기 때문에, 제2 유로(40)를 개방하는 확실을 높일 수 있다. 덧붙여, 도 4, 5는, 튜브(60)의 긴쪽 방향의 단면과, X-X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를 조합하여 도시한 것이다.
천공 기구(63)로서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튜브(60)(또는 통상 부재(62))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a)의 예에서는, 튜브(60)의 내벽면의 1개소로부터 튜브(60)의 중심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도 4(b)의 예에서는, 튜브(60)의 선단(60a)에 감합된 통상 부재(62)의 내벽면의 1개소로부터 튜브(60)의 중심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돌출하는 돌기(6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천공 기구(63)(돌기(63a))는, 보관 시에는 봉지막(61)에 접촉하지 않지만,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기 내압이 상승하여 봉지막(61)이 튜브(60)의 내부를 향하여 불룩해졌을 때에, 봉지막(61)에 접촉하여, 이 봉지막(61)을 찢도록 되어 있다. 이 천공 기구(63)(돌기(63a))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원형상,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반원형상,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사각형상 등을 채용할 수 있지만, 특히, 도 6(d)나 도 6(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지막(61) 측에 각부(角部)를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천공 기구(63)로서의 봉지막(61)을 찢는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덧붙여, 도 6(a) ~ (e)는, 튜브(60)의 선단(60a)의 일부를 노치하여 도시한 설명도이며, 천공 기구(63)(돌기(63a))가 튜브(60)에 직접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천공 기구(63)(돌기(63a))가 통상 부재(62)에 설치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천공 기구(63)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튜브(60)(또는 통상 부재(62))의 중심에 위치하여 봉지막을 향하여 돌출하는 천공부(63b)와, 이 천공부를 지지하는 완부(腕部)(63c)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5(a)의 예에서는, 튜브(60)의 중심에 위치하여 봉지막(61)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정점이 봉지막(61)에 대향하도록 배향된 사각뿔상의 천공부(63b)와, 튜브(60)의 내벽면으로부터 연재(延在)하여 천공부(63b)를 지지하는 4개의 완부(63c)로 이루어지는 천공 기구(63)가 설치되어 있다. 도 5(b)의 예에서는, 튜브(60)의 중심에 위치하여 봉지막(61)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정점이 봉지막(61)에 대향하도록 배향된 사각뿔상의 천공부(63b)와, 튜브(60)의 선단(60a)에 감합된 통상 부재(62)의 내벽면으로부터 연재하여 천공부(63b)를 지지하는 4개의 완부(63c)로 이루어지는 천공 기구(6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천공 기구(63)도, 보관 시에는 봉지막(61)에 접촉하지 않지만,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기 내압이 상승하여 봉지막(61)이 튜브(60) 내를 향하여 불룩해졌을 때에, 천공부(63b)가 봉지막(61)에 접촉하여, 이 봉지막(61)을 찢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천공 기구(63)는 튜브(60) 내에 직접 설치하는 것보다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62)에 설치하도록 한 쪽이, 여러 가지의 형상의 천공 기구(63)를 설치하기 쉽기 때문에, 천공 기구(63)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통상 부재(62)를 채용하는 쪽이 유리하다.
천공 기구(63)는, 전술과 같이, 보관 시에는 봉지막(61)에 접촉되지 않고,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기 내압이 상승하여 봉지막(61)이 불룩해졌을 때에 봉지막(61)에 접촉하여, 이 봉지막(61)을 찢는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봉지막(61)에서 1.0mm ~ 2.5mm 이간한 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이와 같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으로, 보관 시의 온도 변화 등으로 용기 내압이 변화하여 봉지막(61)이 튜브 내를 향하여 팽창하였다고 하여도, 보관 시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한 내압 변화에 기인하는 팽창 정도에서는, 가장 팽창하는 부분이어도 천공 기구(63)에 도달하지 않게 되어, 보관 중에 봉지막(61)이 잘못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천공 기구(63)의 봉지막(61)으로부터의 이간 거리 L이 1.0mm보다도 작으면, 보관 시의 온도 변화 등에 기인하는 승압에 의하여 봉지막(61)이 팽창한 정도에서, 천공 기구(63)가 봉지막(61)에 접촉할 우려가 있어, 보관 중에 봉지막(61)이 잘못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천공 기구(63)의 봉지막(61)으로부터의 이간 거리 L이 2.5mm보다도 크면,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용기(1) 내로 보내진 압축 공기에 의하여 용기 내압이 상승한 때여도, 천공 기구(63)가 봉지막(61)에 충분히 접촉하지 않게 되어, 천공 기구(63)가 충분히 기능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1: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10: 용기 본체
11: 수용부
12: 개구부
20: 캡
21: 기부
22: 장착부
30: 제1 유로
31: 직진부
32: 분기부
40: 제2 유로
41: 가로 구멍부
42: 세로 구멍부
50: 폐지 마개
51: 잘록부
60: 튜브
61: 봉지막
62: 통상 부재
63: 천공 기구
63a: 돌기
63b: 천공부
63c: 완부
L: 펑크 수리액
H1, H2: 호스

Claims (4)

  1.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開口部)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이루어지고, 당해 캡이 용기 외(外)로부터 압축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제1 유로(流路)와 용기 내의 펑크 수리액을 방출하기 위한 제2 유로를 구비하고 있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튜브가 장착되어 있고, 당해 튜브가 상기 제2 유로로의 펑크 수리액의 유입을 차단하는 봉지막(封止膜)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봉지막이 상기 제2 유로를 차단한 폐지(閉止) 상태를 용기 내압에 의하여 상기 봉지막이 파단되어 상기 제2 유로가 개방된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내부에 상기 봉지막을 찢기 위한 천공(穿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막이 일 방향으로 연신(延伸) 처리가 행하여진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막의 파단 신장이 100% 이상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1020177032202A 2015-10-07 2016-09-12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102434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9599 2015-10-07
JP2015199599A JP2017071128A (ja) 2015-10-07 2015-10-07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PCT/JP2016/076843 WO2017061238A1 (ja) 2015-10-07 2016-09-12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896A true KR20180068896A (ko) 2018-06-22
KR102434835B1 KR102434835B1 (ko) 2022-08-23

Family

ID=5848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202A KR102434835B1 (ko) 2015-10-07 2016-09-12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07733B2 (ko)
JP (1) JP2017071128A (ko)
KR (1) KR102434835B1 (ko)
CN (1) CN108136700A (ko)
DE (1) DE112016004610T5 (ko)
WO (1) WO2017061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19940A (ja) * 2019-04-01 2022-03-25 クリ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非通気性体液サンプル最適化装置及び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56243A (zh) * 2000-12-05 2002-07-03 吴振东 一种推压开启式管状容器
KR20070080563A (ko) * 2006-02-07 2007-08-10 스테흘 마이클 용기에서 타이어 밀봉재를 꺼내는 장치
KR20140069000A (ko) * 2011-09-20 2014-06-09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펑크 수리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9277A (en) * 1963-09-13 1966-05-03 Honeywell Inc Electrical apparatus
US3294277A (en) * 1964-10-26 1966-12-27 Black Sivalls & Bryson Inc Safety device for pressure vessels
US3834580A (en) * 1972-09-25 1974-09-10 Black Sivalls & Bryson Inc Safety pressure relief device
US4301938A (en) * 1978-08-25 1981-11-24 Bs&B Safety Systems, Inc. Safety pressure relief device
US4269214A (en) * 1979-01-19 1981-05-26 Bs & B Safety Systems, Inc. Safety pressure relief device
US4236648A (en) * 1979-03-05 1980-12-02 Black, Sivalls & Bryson Safety pressure relief apparatus
US4394926A (en) * 1982-02-18 1983-07-26 Bs & B Safety Systems, Inc. Reverse buckling rupture disk apparatus
JP2001187112A (ja) * 1999-12-27 2001-07-10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開封アダプタ付き液体容器
US6220269B1 (en) * 1999-12-30 2001-04-24 Process Equipment Inc. Bursting disc assembly retaining ring with a clover leaf cutting pattern and projection
AUPQ930900A0 (en) * 2000-08-10 2000-08-31 Wright, James Grant Dispensing device
CZ20022938A3 (cs) * 2001-02-16 2003-02-12 Continental Ag Způsob plnění předmětu a zařízení k jeho provádění
US6955182B2 (en) * 2002-01-16 2005-10-18 Siimes Thomas S Tamper proof relief valve for gas cylinder
US7389800B2 (en) 2005-03-25 2008-06-24 Accessories Marketing, Inc. Orientation-independent fluid delivery apparatus
GB0519834D0 (en) * 2005-09-29 2005-11-09 Elfab Ltd Bursting disc assembly
JP4519065B2 (ja) * 2005-11-29 2010-08-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DE102006059479A1 (de) 2006-02-07 2007-08-09 Michael Stehle Vorrichtung zum Ausbringen von Reifendichtmittel aus einem Behälter
JP2008183796A (ja) * 2007-01-30 2008-08-14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US7748295B2 (en) * 2007-02-23 2010-07-06 Active Tools International (Hk) Ltd. Tire-repair bottle
DE102007026776A1 (de) 2007-06-09 2008-12-11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Reifenabdichtvorrichtung
JP4878336B2 (ja) * 2007-06-18 2012-02-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09208343A (ja) * 2008-03-04 2009-09-17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DE102008015022B3 (de) 2008-03-19 2009-11-05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Pannenhilfesystem
JP2013216329A (ja) 2012-04-04 2013-10-24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液の収容容器
JP5682722B1 (ja) 2014-04-16 2015-03-11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CN204095150U (zh) * 2014-08-22 2015-01-14 大捷达实业(深圳)有限公司 一种轮胎补胎液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56243A (zh) * 2000-12-05 2002-07-03 吴振东 一种推压开启式管状容器
KR20070080563A (ko) * 2006-02-07 2007-08-10 스테흘 마이클 용기에서 타이어 밀봉재를 꺼내는 장치
JP2007210678A (ja) * 2006-02-07 2007-08-23 Michael Stehle 容器からタイヤシーリング材を送出する装置
US7854242B2 (en) 2006-02-07 2010-12-21 Doukas Ag Device for discharging tire sealant from a container
KR20140069000A (ko) * 2011-09-20 2014-06-09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펑크 수리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36700A (zh) 2018-06-08
US11007733B2 (en) 2021-05-18
WO2017061238A1 (ja) 2017-04-13
KR102434835B1 (ko) 2022-08-23
US20180297303A1 (en) 2018-10-18
JP2017071128A (ja) 2017-04-13
DE112016004610T5 (de)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6093B2 (ja) パンク補修液収容容器
WO2013047419A1 (ja) パンク修理用のキャップユニット
JP2006334942A (ja) シーリング剤の保管・注入容器
JP4928374B2 (ja) タイヤパンク応急修理装置に用いるシーリング剤ユニット
KR101784200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JP4989341B2 (ja) シーリング剤容器とシーリング剤ユニットとの組立体
KR20180068896A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CN108136699B (zh) 漏气轮胎修补液容纳容器
EP2974759B1 (en) Assembly for syringe,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assembly for syringe, pre-filled syringe using assembly for syringe, and method for assembling pre-filled syringe
CN107249866B (zh) 漏气轮胎修补液容纳容器
KR101842899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CN109843745B (zh) 漏气轮胎修补液容纳容器
JP2011046112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7494682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キャップユニット組立体及びパンクシールキット
JP2021138058A (ja)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JP5261276B2 (ja) 液剤ユニット及び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10234795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5261272B2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KR102037421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20190094439A (ko) 펑크 수리 키트용 용기
JP2023070531A (ja) ボトルユニット及びパンク修理キット
JP2012158117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19210982A (ja) 止流プラグ
JP2010115830A (ja) パンク修理液の収容容器
KR20040073818A (ko) 타이어 펑크 수리용 봉합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