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395B1 - 고정된 하부 지지체에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 레일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고정된 하부 지지체에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 레일 체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3395B1 KR101783395B1 KR1020127010003A KR20127010003A KR101783395B1 KR 101783395 B1 KR101783395 B1 KR 101783395B1 KR 1020127010003 A KR1020127010003 A KR 1020127010003A KR 20127010003 A KR20127010003 A KR 20127010003A KR 101783395 B1 KR101783395 B1 KR 1017833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late
- sleeves
- sleeve
- rail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0—Tie-plates for flat-bottom rails
- E01B9/42—Tie-plates for flat-bottom rails of two or mor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4—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Sheet Holders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중량이 최소화되고 강성이 최적화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탄성 중간층 위에 설치되기에 적합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체결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고정된 하부 지지체(2)에 레일(S)을 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3)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며, 그 저면(U)에 형성(또는 성형)되는 리브(3t)와, 리브들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3u)으로 구성되는 보강 구조체(3s)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U)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3)의 저면(U)은 고정된 하부 지지체(2)에 결합되고, 보강 구조체(3s)의 요홈(3u)에는 충전 재료(T)가 덮여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정된 하부 지지체(bottom support)에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에 관한 것으로서, 이 베이스 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고정된 하부 지지체에 저면이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또는 성형)되는 리브(rib) 및 이 리브들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depression)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구조체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제작한 레일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으로 만든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면에 레일을 설치하는, "ECF"라고 부르는 레일 체결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정위치에 체결해야 할 레일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레일 체결 장치의 세로면에는, 각 리브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지지면이 있는데, 설치 완료 상태에서 레일의 하부(rail foot)가 이 지지면에 의해 횡방향으로 안내된다. 리브는 또한 클램핑 볼트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때 클램핑 볼트의 머리는 리브에 형성(또는 성형)되어 있는 리셉터클(receptacle)에 억지 끼워맞춤(positive-fit) 방식에 의해 안착 결합되고, 클램핑 볼트의 몸통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W자형 클램핑 클립의 중앙 고리부를 통과한다. 그 다음에 클램핑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이용하여, 클램핑 클립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죄어지되, 클램핑 클립의 탄성 아암(arm)의 자유단에 의해서 레일 하부의 해당 면에 충분히 높은 하방 지지력(hold-down force)이 가해지도록 죄어진다.
이 경우에 ECF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레일 체결 장치는, 철도 차량이 레일 위를 운행할 때에 탄성 중간층에 의해 적절한 항복능력을 갖게 되고, 이 탄성 중간층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캐리어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데, 캐리어 플레이트는 임의의 견고한 지지체에 안착된다.
이 경우에 어떤 트랙게이지(선로 측정기)를 쓰든지 간에 레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ECF 장치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면 위에 측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영역에 각 슬리브용 개구부가 형성(또는 성형)된다. 이들 슬리브용 개구부는 해당 영역의 상면에서 부터 저면으로 관통되며, 하방 지지형(hold-down)으로 설계된 편심 슬리브가 이 슬리브용 개구부에 안착 삽입된다. 이 경우에, 설치된 위치에서 놓고 볼 때 편심 슬리브 상부의 끝단에는 칼라(collar) 형태의 돌출부가 있는데, 이 돌출부는 이 슬리브의 원주면 주위를 따라 돌출되며, 설치된 위치에서 볼 때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이 돌출부가 걸리게 된다. 동시에, 설치된 위치에서 볼 때 돌출 칼라의 저면과 편심 슬리브 하단 사이의 거리(높이)는, 설치 완료 상태에서 캐리어 플레이트 위에 슬리브가 올려질 수 있도록 정해진다. 이 경우에 편심 슬리브용 개구부를 통해 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된 하부 지지체에 매설된 앵커에 나사결합되고 여기에 슬리브의 회전축이 형성된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서, 한편으로는, 하방 지지형 장치로서 작용하는 편심 슬리브에 의해 설정되는 하방 지지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고정된 하부 지지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그 위에 올려지는 레일의 위치를 편심 슬리브를 돌림으로써 레일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움직일 수 있어서, 레일의 위치를 트랙게이지에 맞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레일을 정위치에 체결하는 ECF 장치의 단점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무겁고 제작시에 강재를 사용해야 하므로 설계 및 조립의 자유도가 제한된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강재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한 베이스 플레이트는 유럽 공개 특허 공보 제EP 1 950 347 A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지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이 고정된 하부 지지체에 결합되는데,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다수의 리브가 교차하고 이들 리브 사이에 오목부(recess)가 만들어지는 보강 구조체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에는 충전 재료가 채워져 있지 않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관통공이 형성(또는 성형)되어 있는데, 이 관통공을 통해서 기존의 육각 머리 볼트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위로 삽입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클램핑 클립을 결합하기 위한 클램핑 볼트로서 사용한다. 이 경우에 클램핑 볼트의 머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또는 성형)된 리셉터클에 끼워진다. 이 리셉터클은 대략 육각형으로 형성되며, 설치 완료 상태에서 클램핑 볼트의 머리가 리셉터클 내에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안착 결합된다.
유럽 공개 특허 공보 제EP 1 950 347 A2호에 개시된 베이스 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며 고정된 하부 지지체가 무엇이든 그 위에 직접 올려지도록 설계된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를 충분히 확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좁은 측 각각에 세 개의 관통공을 형성하며, 이 관통공을 통해서 체결 볼트를 삽입하여 견고한 하부 지지체에 체결시킨다. 그러나 여기에 트랙게이지 측정에 관한 수단이나 레일을 탄성적으로 설치하는 것에 관한 수단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위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배경 설명에 반해,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중량을 최소화하고 강성을 최적화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탄성 중간층 위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에 덧붙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의 편의성 및 사용면에서 최적화된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에 관해서 상기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청구항 1에 규정된 방식으로 설계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유리한 실시예는 청구항 1을 인용하는 청구항들에서 특정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체결 장치와 관련하여, 상기 목적은 청구항 12에서 특정된 체결 장치에 의해서 달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장치의 유리한 실시예는 청구항 12를 인용하는 청구항들에서 특정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된 하부 지지체에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플라스틱제 베이스 플레이트에 있어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또는 성형)된 보강 구조체의 요홈(depression)의 적어도 일부를(바람직하게는 전체를) 충전 재료로 덮는다. 요홈에 충전재료를 덮어 넣음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를 탄성 중간층에 설치할 때에 탄성 중간층 속에서 보강 구조체가 하중을 받게되어, 탄성 중간층이 지속적으로 손상되는 위험이 제거된다. 여기서 "덮는다(closed off)"라는 것은, 요홈에 충전 재료를 채워넣는 데 있어서, 본 장치를 설치 완료한 후에, 본 장치에 의한 체결 지점 위를 운행하는 철도 차량의 하중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있는 리브가 탄성 중간층 속에서 최대로 압력을 받더라도 영구적인 손상을 받지 않을 정도의 작은 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어떠한 방식을 이용해서라도 요홈을 채워넣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탄성층의 감도와 하중 지지 능력에 따라서는, 일부 요홈에만 충전재를 채워넣을 수도 있다. 이 때에는, 하중에 의해서 단위 면적당 설정된 허용 하중이 탄성 중간층의 영구적인 탄성작용을 보장하는 설정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한해서, 충전재료를 채운 두 요홈 사이에 있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요홈에 충전재를 채우지 않을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보강 구조체에 있는 모든 요홈에 충전재를 채우는 것이, 생산이 더 쉬워지며, 안전하고 신뢰성있는 동작을 담보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에, 충전재의 하중 지지 능력(load-bearing capacity)에 따라, 마치 뚜껑을 씌우듯이, 저면에 형성된 특정 요홈을 얇은 층과 같은 형태로 덮는 것으로 충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특정 요홈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막, 포일, 판, 시트 등을 충전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요홈에 충전재를 채워야 할 경우, 또는 안정된 완충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또는 그 밖의 부가적 기능을 위해서 충전재가 필요할 경우에는, 요홈에 충전재를 완전하게 채우거나 요홈을 형성하고 있는 리브 위로 충전재가 올라오도록 각 요홈 속에 충분한 양의 충전재를 채우는 것이 역시 유용할 수 있다. 실제 동작시에는 후자의 경우가, 리브가 탄성 중간층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되므로 특히 신뢰적인 보장 수단이 된다.
충전재료의 형태로서 해당 요홈을 채우는 것은 별도의 작업 과정(가령,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작한 이후)에서 항시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충전재는 유동 상태로 요홈에 주입될 수도 있고, 사전에 제조된 형상의 부재로서 요홈에 삽입될 수도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작에 필요한 플라스틱 소재로서 고려해볼 수 있는 것은, 예를 들어 유리섬유로 보강된 폴리아미드이다. 한편, 충전재료로 적합한 재료는 보강하지 않은 폴리아미드이다.
정위치에 체결해야 할 레일의 측방향 안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공지의 방식으로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지지면의 길이 방향(정위치에 체결할 레일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의 양 측단은 각 지지 쇼울더(supporting shoulder)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그 다음에, 정위치에 체결할 레일을 아래로 눌러 고정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죄기 위한 클램핑 부재로써 상기 지지 쇼울더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하도록 관통공을 해당 지지 쇼울더에 형성(또는 성형)할 수 있는데, 이 방법도 역시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한편으로는 탄성 부재를 죄는 과정 중에 체결 볼트의 고정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트 머리가 탄성 중간층을 누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관통공의 주위 영역에 리셉터클을 형성(또는 성형)할 수 있다. 이 리셉터클은 다각형, 구체적으로는 육각형이며, 설치 완료 상태에서 여기에 클램핑 볼트의 머리가 끼워진다.
리셉터클에 머리가 삽입된 클램핑 볼트가, 플라스틱제 베이스 플레이트에 끼워넣어야 하는 별도의 금속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소정의 탄성 부재를 죌 때에 발생할 수 있는 높은 토크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무적 측면에서 중요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는 볼트 머리의 각 측면이 리셉터클의 원주벽에 형성된 접촉면에 접촉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이 경우에, 이 접촉면은, 볼트 머리의 접촉되어 있는 측면의 길이 중의 일부 만큼만 접촉되게 하여, 설치 상태에서 볼트 머리의 각 해당 측면이, 여기에 각각 접촉하고 있는 접촉면에 대해 평면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주벽 상의 접촉면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로써, 리셉터클의 원주벽에는, 각 인접한 접촉면 쌍 사이에, 설치 완료 상태에서 볼트 머리와 리셉터클 원주벽 간에 접촉하지 않는 영역의 오목부가 형성(또는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리셉터클을 설계함으로써, 토크 부하가 인가되더라도 부하를 받는 리셉터클의 일부분에서 평면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평면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부하가 리셉터클 주위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당히 큰 영역에 걸쳐서 전달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볼트 머리의 형상과 아주 가까운 형상을 갖는 리셉터클을 설계할 때에 일어나는, 최대 부하가 인가되는 것이 방지된다. 볼트 머리가 해당 리셉터클에 끼워질 때에 생기는 피할 수 없는 간극이 있기 때문에, 볼트 머리의 측면들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전체 부하가 집중되는, 좁고 일직선의 접촉 영역이 생기는 것이 보통이다. 여기에 집중되는 힘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면 볼트 머리가 리셉터클 주위 재료 속으로 파고 들어가게 되며 더 이상 볼트 머리가 확실하게 고정될 수 없게 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는 볼트 머리 측면의 평면적 지지 개념에 의해서, 이러한 위험성은 없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량을 보다 더 최소화하기 위하여,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면 영역을 좁게 만든다. 이 실시예에서는, 설치 완료 위치에서 레일을 넘어 측방향으로 튀어나온 부분의 베이스 플레이트 폭이 레일의 하부(레일풋)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의 베이스 플레이트 폭보다 크게 만든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이라 함은,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측정한 거리를 의미한다. 이로써, 중량 과잉이 줄어들며, 양측의 넓은 부분에 의해서 레일 위를 차량이 지나갈 때에 인가되는 횡방향 힘을 극복하고 레일을 최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하중이 인가될 때에 탄성 중간층의 과도한 압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이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돌출부는 멈치(stop)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 장치의 설치가 완료되어 철도 차량이 레일 위를 지날 때에 탄성 중간층의 탄성에 의해서 베이스 플레이트가 움직여 내려앉는 것을 저지한다. 이 경우에, 상기 돌출부는, 고정된 하부 지지체를 향해서 돌출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주위를 따라 에이프런(apron)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특정 경우에 일어나는 움직임에 상관 없이 모든 곳에서 베이스 플레이트가 내려앉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의 둘레 돌출부는 오염물 및 수분으로부터 탄성 중간층을 보호하는 추가적 장점을 제공해준다. 그러나 이와 동일한 목적을 위해, 특정 지점마다 각각 별도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도 물론 동일하게 생각해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하방 지지형 슬리브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또는 성형)될 수 있는데, 이 슬리브 개구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며, 이 개구부 속에 하방 지지형 슬리브를 미끄럼 방식으로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 하방 지지형 슬리브의 높이는, 이 슬리브가 결합되는 슬리브용 개구부 영역에서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크다. 또한, 하방 지지형 슬리브는 그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 완료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지지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이 슬리브용 개구부는, 하방 지지형 슬리브를 삽입한 후에 체결 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앞에서 설명한 종래기술과 비교할 때, 슬리브용 개구부에 삽입된 하방 지지형 슬리브가 하는 역할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최대 부하 설정치만이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플라스틱제 베이스 플레이트가 설치시의 오류로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이다. 동시에, 상기 슬리브는, 탄성 중간층을 확실하고 신뢰성있게 체결하기에 필요로 한, 탄성 중간층이 체결 부재에 의해서만 압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탄성 중간층의 탄성력이 설치 완료 상태에서도 신뢰성있게 작용한다. 이 경우에, 베이스 플레이트에 있는 슬리브용 개구부에 슬리브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가 레일 위에 차량이 운행시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서 일어나는 중간층의 압축 또는 인장을 따를 때에 방해를 받지 않는다.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하방 지지형 슬리브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슬리브용 개구부)가 형성(또는 성형)될 수 있는데, 이 슬리브용 개구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며, 이 안에 하방 지지형 슬리브를 미끄럼 방식으로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하방 지지형 슬리브는 그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 완료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는 편심 슬리브를 이용하여 트랙게이지를 조정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방 지지형 슬리브 형태를 편심 슬리브로 만든다. 특정 경우에 실시하는 조정(특히 단순하고 특별한 경우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대략적인 조건에 적응됨)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슬리브용 개구부에 위치조정 표지(marker)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표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편심 슬리브의 회전축이 슬리브용 개구부 중심 장축으로부터 얼마나 편심되는지의 편심성을 고려한 것이다. 슬리브용 개구부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 슬리브의 회전을 조정할 경우에 이 표지는 편심 슬리브의 회전 위치를 정해주는데, 이 회전 위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위치를 일정한 양만큼씩 단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된다. 하방 지지형 슬리브는 아울러 슬리브용 개구부에 있는 위치조정 표지와 상응하는 형상의 부재를 갖기 때문에(이 부재를 이용하여 하방 지지형 슬리브가 슬리브용 개구부에 삽입되어, 슬리브용 개구부에 있는 위치조정 표지 중 하나와 억지 끼워맞춤 결합됨), 설치자는 귀찮게 측정을 하지 않고도 트랙게이지를 최적의 정확한 크기로 조정할 수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위치를 아무런 문제없이 조정할 수 있다.
레일을 고정된 하부 지지체에 체결하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제작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베이스 플레이트와 고정된 하부 지지체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중간층 위에 올려놓는다.
본 발명에 따라 슬리브용 개구부에 위치조정 표지가 형성되는 경우, 하방 지지형 슬리브를 제 위치에 고정하는 것은 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슬리브용 개구부에 있는 위치조정 표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부재를 하방 지지형 슬리브에 형성하고, 하방 지지형 슬리브가 결합되는 슬리브용 개구부에 하방 지지형 슬리브를 삽입할 때 이 상응 형상 부재를 슬리브용 개구부에 있는 위치조정 표지 중 하나에 결합함으로써 위치조정을 행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레일이 고정되는 고정된 하부 지지체 위의 지지면을 가능한한 수평으로 하기 위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탄성 중간층 표면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장치에서는 중간층과 고정된 하부 지지체 사이에 캐리어 플레이트를 배치한다. 필요시, 캐리어 플레이트는 비교적 얇은 강 시트나 판 또는 강성이 충분한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캐리어 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인접하고 있는 상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고정된 하부 지지체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앞에서 설명했음)와 유사한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돌출부는 철도 차량이 레일 위를 운행할 때에 베이스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캐리어 플레이트에 형성된 돌출부는, 적절하게 형성한 경우에는 탄성 중간층에 대한 리셉터클의 역할을 한다. 이 역할은 특히, 해당 돌출부가 중간층의 연면을 따라서 충분한 거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또는 중간층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적정한 개수의 별도 돌출부가 캐리어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실현된다.
설치를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 그 아래에 있는 중간층, 중간층 아래에 있는 캐리어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묶음을 사전 조립 위치에 함께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립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장치의 설치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레일을 정위치에 체결하는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는 설치가 완료된 위치에서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설치가 완료된 위치에서 레일의 일측면을 길이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설치 완료된 위치에서의 레일 일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이에 결합되는 편심 슬리브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된 편심 슬리브 모습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편심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확대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확대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은 레일을 정위치에 체결하는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는 설치가 완료된 위치에서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설치가 완료된 위치에서 레일의 일측면을 길이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설치 완료된 위치에서의 레일 일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이에 결합되는 편심 슬리브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된 편심 슬리브 모습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편심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확대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확대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고정된 하부 지지체(2)(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침목(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됨)에 레일(S)을 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1)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베이스 플레이트(3), 탄성 소재로 만들며 베이스 플레이트(3) 아래에 위치하는 중간층(4), 중간층(4) 아래 및 고정된 하부 지지체(2) 위에 배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5), 체결 역할을 하는 체결볼트(7a, 7b, 7c, 7d)와 각각 결합되는 네 개의 편심 슬리브(6a, 6b, 6c, 6d), 두 개의 탄성부재(8a, 8b), 두 개의 어댑터 피스(9a, 9b), 두 개의 클램핑 볼트(10a, 10b)로 구성된다.
위에서 보면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베이스 플레이트(3)는 길쭉한 뼈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좁은 측의 각 영역과 연결되는 외측 영역(3a, 3b)은, 정위치에 체결되어야 하는 레일(S)의 길이 방향(L)으로 측정할 때, 그 중앙 영역보다 상당히 큰 폭 B를 갖는다. 여기서, 좁은 중앙 영역으로부터 넓은 외측 영역(3a, 3b)에 이르기까지 폭 B는 연속적으로 단차없는 경로를 따라 변화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O)의 중앙 영역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의 좁은 중앙 영역의 폭 B가 무엇이든간에 중앙 영역을 가로질러서 길이 방향(L)으로 뻗어 있는 지지면(3c)이 형성(또는 성형)되어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3)의 좁은 면에 대해서 양단 경계에는 각각 쇼울더(3d, 3e)가 있다.
비둘기 꼬리처럼 생긴 돌출부(3f)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쇼울더(3d, 3e)의 각 접촉면 상에 형성되어 쇼울더(3d, 3e)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데, 각 접촉면은 지지면(3c)과 연결된다. 어댑터 피스(9a, 9b)의 오목부 형상이 상보적이기 때문에, 각 어댑터 피스가 상기 돌출부(3f)에 제대로 들어맞게 되며, 필요시에는, 지지면(3c)에 위치하게 되는 레일 하부(F) 및 레일(S) 뒷부분 사이의 간극을 연결하게 된다. 이로써, 레일(S)의 측면을 확실하고 신뢰성있게 안내(guide)할 수 있게 된다.
쇼울더(3d, 3e)에는 길이 방향(L)으로의 중심 위치 및 지지면(3c)에 가까운 쪽에 각각 관통공(3g, 3h)이 형성(또는 성형)되어 있다. 이 관통공은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O)에서 저면(U)까지 관통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의 관통공(3g, 3h)을 통해서 저면(U)으로부터 각각 클램핑 볼트(10a, 10b)가 삽입되는데, 이들 볼트는 종래의 육각 머리 볼트와 같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클램핑 볼트(10a, 10b)의 머리(10c)는 각 리셉터클(3i, 3j)에 끼워진다. 이들 리셉터클은 베이스 플레이트(3)의 저면(U)에 형성(또는 성형)되며 각 관통공(3g, 3h)이 뚫려있는 부분에 위치한다.
리셉터클(3i, 3j)은 각각 원주벽(3k)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원주벽은 베이스 플레이트(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3i, 3j)과 연결된 각 원주면에는, 원주벽(3k) 위에 6개의 접촉면(3l)이 각 리셉터클(3i, 3j)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거리를 두고 배치 형성된다. 이때, 각 접촉면의, 각 리셉터클(3i, 3j)의 원주방향으로의 길이 "La"는, 볼트 머리(10c)의 측면(10d)의 길이 "Ls"의 절반보다 짧다. 특정 원주벽(3k)에서, 인접하고 있는 한 쌍의 접촉면(3l) 사이에는 오목부(3m)가 형성(또는 성형)된다. 이 오목부는 원주벽(3k) 속으로 함입되어 접촉면(3l)보다 더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원주벽(3k)에는, 각 오목부(3m)를 이루는 접촉면(3l) 중 하나에 인접하여 부하경감홈(load-relieving recess)(3n)이 형성(또는 성형)된다. 여기서, 오목부(3m)는 비교적 얕은 각도를 이루며, 다른 접촉면 속으로 결합된다.
각 리셉터클(3i, 3j)에 포함되어 있는 접촉면(3l), 오목부(3m), 부하경감홈(3n)의 배치 및 그 위치와 크기는, 설치 완료된 위치(도 8 참조)에서, 볼트 머리(10c)의 측면(10d)이 각 접촉면(3l)에 접촉하고, 한 쌍의 볼트 머리(10c) 측면(10d) 사이의 모서리(10e)는 해당 원주벽(3k)에 닿지 않고 부하경감홈(3n)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오목부(3m) 영역 내에서는, 볼트 머리(10c)와 해당 원주벽(3k)이 접촉하지 않는다. 이것은 설치시 및 실제 동작시에 볼트 머리(10c)에 작용하는 토크가 접촉면(3l)에만 가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볼트 머리(10c)의 모서리(10e)가 원주벽(3k) 소재를 파고들지 못하도록 하며, 과도한 부하에 의해 원주벽이 손상되거나 파괴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3)는, 종래의 ω형 클램핑 클립의 형태를 취하는 탄성부재(8a, 8b)가 죄어질 때에 발생하는 토크를 아무 문제없이 견딜 수 있다. 탄성부재(8a, 8b)를 베이스 플레이트(3) 위에서 결합할 때에는, 탄성부재와 결합되는 각 클램핑 볼트(10a, 10b)의 나사산 몸통부가 탄성부재(8a, 8b)의 중앙부 고리를 통과하도록 하고, 탄성부재(8a, 8b)의 자유 탄성(free resilient) 작용을 하는 아암은 레일풋, 즉, 레일 하부(F) 위에 오도록 결합한다. 그 다음에,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12)를 이용하여 탄성부재(8a, 8b)의 중앙부 고리를 베이스 플레이트(3) 쪽으로 밀어서 적정한 하방 지지력이 레일 하부(F)에 가해지도록 죈다.
베이스 플레이트(3)의 각 모서리 영역에는 슬리브용 개구부(3o)이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O)에서 저면(U)으로 관통 형성(또는 성형)되어 있다.
네 개의 슬리브용 개구부(3o) 각각에는 강성이 양호한 재료로 만든 편심 슬리브(6a~6d)가 각각 삽입되는데, 편심 슬리브는 슬리브용 개구부에서 잘 미끄러질 수 있도록 삽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와 결합된다. 이들 편심 슬리브(6a~6d)의 중심축 "Me"와 상대적으로 중심이 어긋나 있는 위치에 관통공(6e)이 형성되어 있다. 각 편심 슬리브(6a~6d)의 외측 원주면에는 위치조정 돌기(6f)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위치조정 돌기의 축은 각 편심 슬리브(6a~6d)의 중심축 "Me"에 평행하며 슬리브의 전체 높이 "He"에 걸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편심 슬리브(6a~6d)는 위에서 아래로 작용하는(하방 지지형) 슬리브 형태로 설계되는데, 이를 위해서,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O)에 결합되는 부분에, 칼라(collar) 형태로서 원주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6g)가 있다.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편심 슬리브(6a~6d)의 돌출부(6g)는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O)에서 지지된다.
네 개의 슬리브용 개구부(3o) 각각은 베이스 플레이트(3)를 이루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원주벽(3p)으로 둘러싸여 있다. 원주벽(3p)에는 위치조정 표지(3q)가 일정하지 않은 각도(α)로 거리를 두고 형성(또는 성형)되어 있는데, 이 위치조정 표지는 그 축이 슬리브용 개구부(3o)의 중심축 "Mh"에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그 형상은 각 편심 슬리브(6a~6d)에 형성된 위치조정 돌기(6f)에 상응하도록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조정 표지(3q)와 슬리브용 개구부(3o)은, 이들과 결합되는 편심 슬리브(6a~6d)의 위치조정 돌기(6f)가 위치조정 표지(3q)에 미끄러져 들어가서 억지 끼워맞춤되도록 설계된다. 이로써, 슬리브용 개구부(3o) 내에 삽입된 편심 슬리브(6a~6d)의 회전상 위치가 고정되지만,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와 해당 슬리브(6a~6d) 사이에서 중심축 "Me" 방향으로는 아무 문제없이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치(1)를 설치할 때에는, 각 체결볼트(7a~7d)를 각 편심 슬리브(6a~6d)에 있는 관통공(6e)에 삽입하여, 고정된 하부 지지체(2)에 매설된 플라스틱 재질의 앵커(11)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각 체결볼트(7a~7d)가 회전축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중심으로 편심 슬리브(6a~6d)의 회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소정 슬리브용 개구부(3o)의 중심축 "Mh"로부터 벗어난 회전축의 편심을 고려할 때, 위치조정 표지(3q) 사이의 각도 "α"는, 베이스 플레이트(3)를 설치 완료한 상태에서, 두 위치조정 표지 사이에서의 회전 조정시에, 레일(S)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항상 동일한 거리만큼 움직이는 베이스 플레이트(3)의 변위가 포함되도록 결정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각도 "α"의 설계시에는, 각 편심 슬리브(6a~6d)의 회전 조정시에 베이스 플레이트(3)를 1 mm 만큼 이동시켜서 트랙게이지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의 연면을 따라 에이프런형 돌출부(3r)가 베이스 플레이트(3)의 저면(U)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또는 성형)된다. 이 에이프런형 돌출부(3r)는, 고정된 하부 지지체(2) 쪽으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철도 차량(도시하지 않음)이 레일(S)을 따라 운행할 때 베이스 플레이트(3)가 하부 지지체(2) 위에 정착되어 있도록 해준다.
베이스 플레이트(3) 저면(U)의, 슬리브용 개구부(3o) 및 그 원주벽(3q) 또는 리셉터클(3i, 3j)이 점유하고 있지 않은 위치에는, 리브(3t)를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 리브와 리브 사이에 요홈(3u)이 만들어지는 보강 구조체체(3s)가 형성(또는 성형)된다. 본 실시예에서, 요홈(3u)에는 가볍지만 공간 안정성이 있는 성형재료(T)를 충전한다. 이때 성형재료 충전재(T)는 리브(3t)의 상단부와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마감하거나, 리브 상단 위로 최소한 2 mm가 더 올라오도록 하여 리브(3t)가 날카롭게 돌출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레일(S)이 베이스 플레이트(3)에 직접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영구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의 탄성층(3v)을 지지면(3c) 위에 도포한다. 다른 방식으로서, 기성품의 탄성패드로 탄성층(3v)을 제작하여 지지면(3c) 위에 접착제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탄성 중간층(4)은 보강 구조체(3s)가 점유하는 영역에 상응한 형상으로 제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1)가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보강 구조체(3s)는 중간층(4)을 완전히 덮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레일(S) 위를 철도 차량이 운행할 때에 저면에 인가되는 하중이 있어도, 보강 구조체(3s)의 요홈(3u)에 채워진 충전재(T)에 의해 보강 구조체(3s)의 리브(3t)가 중간층(4)을 파고 들지 않게 되고, 그 대신에, 베이스 플레이트(3)는 최적의 탄성 작용이 유지될 수 있는 면적에 걸쳐서 장시간 동안 탄성 중간층(4) 위에서 항시 지지된다.
고정된 하부 지지체(2) 위에 있는 얇은 캐리어 플레이트(5)는, 탄성 중간층의 마모와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탄성 중간층이 수평면 위에 올려질 수 있도록 해준다. 탄성 중간층을 캐리어 플레이트(5) 위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탄성층의 형상과 같은 돌출부(5a)를 캐리어 플레이트(5)의 상면에 형성한다.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가 결합되며, 리셉터클에는, 본 발명의 장치(1)를 설치 완료한 때에, 중간층(4)이 억지 끼워맞춤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5a)는 또한, 고정된 하부 지지체(2)로 베이스 플레이트(3)가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며 탄성 중간층(4)의 과도한 압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 중간층(4)은 또한, 편심 슬리브(6a~6d)(하방 지지형 슬리브로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설치 완료 상태에서 캐리어 플레이트(5) 위에 올려짐)의 높이 "He" 결정시에 체결볼트(7a~7d)를 완전히 죄더라도 베이스 플레이트(3)가 탄성 중간층(4)에 의해 한정된 힘만으로 가압되도록 "He"를 결정함으로써, 설치시에 과도한 압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일 이러한 힘이 아주 작아야 한다면, 편심 슬리브의 높이 "He"는 (슬리브용 개구부(3o) 영역에서의 베이스 플레이트(3)의 두께)+(느슨하게 설치한 상태에서의 탄성층의 두께)-(돌출부(6g)의 두께)의 값으로 선택된다.
α: 각도
1 : 레일(S)을 정위치에 체결하는 장치
2 : 하부 지지체
3 : 베이스 플레이트
3a, 3b : 베이스 플레이트(3)의 외측 영역
3c : 베이스 플레이트(3)의 지지면
3d, 3e : 베이스 플레이트(3)의 쇼울더
3f : 돌출부
3g, 3h : 관통공
3i, 3j : 베이스 플레이트(3)의 리셉터클
3j : 원주벽
3l : 접촉면
3m : 오목부
3n : 부하경감홈
3o : 슬리브용 개구부
3p : 원주벽
3q : 위치조정 표지
3r : 돌출부
3s : 보강 구조체
3t : 리브
3u : 요홈
3v : 탄성층
4 : 탄성 중간층
5 : 캐리어 플레이트
5a : 돌출부
6a~6d : 편심 슬리브
6e : 슬리브용 개구부
6f : 위치조정 돌기
6g : 돌출부
7a~7d : 체결 볼트
8a, 8b : 탄성 부재
9a, 9b : 어댑터 피스
10a, 10b : 클램핑 볼트
10c : 볼트 머리
10d : 볼트 머리(10c)의 측면
10e : 볼트 머리(10c)의 모서리
11 : 플라스틱제 앵커
12 : 너트
B : 각 지점에서의 베이스 플레이트(3)의 폭
F : 레일 하부
He : 높이
L : 길이 방향
La, Ls : 길이
Me : 특정 편심 슬리브(6a~6d)의 중심축
Mh : 특정 슬리브용 개구부(3o)의 중심축
O :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
S : 레일
T : 성형재료
U : 베이스 플레이트(3)의 저면
1 : 레일(S)을 정위치에 체결하는 장치
2 : 하부 지지체
3 : 베이스 플레이트
3a, 3b : 베이스 플레이트(3)의 외측 영역
3c : 베이스 플레이트(3)의 지지면
3d, 3e : 베이스 플레이트(3)의 쇼울더
3f : 돌출부
3g, 3h : 관통공
3i, 3j : 베이스 플레이트(3)의 리셉터클
3j : 원주벽
3l : 접촉면
3m : 오목부
3n : 부하경감홈
3o : 슬리브용 개구부
3p : 원주벽
3q : 위치조정 표지
3r : 돌출부
3s : 보강 구조체
3t : 리브
3u : 요홈
3v : 탄성층
4 : 탄성 중간층
5 : 캐리어 플레이트
5a : 돌출부
6a~6d : 편심 슬리브
6e : 슬리브용 개구부
6f : 위치조정 돌기
6g : 돌출부
7a~7d : 체결 볼트
8a, 8b : 탄성 부재
9a, 9b : 어댑터 피스
10a, 10b : 클램핑 볼트
10c : 볼트 머리
10d : 볼트 머리(10c)의 측면
10e : 볼트 머리(10c)의 모서리
11 : 플라스틱제 앵커
12 : 너트
B : 각 지점에서의 베이스 플레이트(3)의 폭
F : 레일 하부
He : 높이
L : 길이 방향
La, Ls : 길이
Me : 특정 편심 슬리브(6a~6d)의 중심축
Mh : 특정 슬리브용 개구부(3o)의 중심축
O :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
S : 레일
T : 성형재료
U : 베이스 플레이트(3)의 저면
Claims (15)
- 고정된 하부 지지체(2)에 레일(S)을 체결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며, 베이스 플레이트(3)의 저면(U)에 형성(또는 성형)된 리브(3t)와, 리브(3t)들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3u)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구조체(3s)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의 저면(U)이 상기 고정된 하부 지지체(2)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체(3s)의 요홈은 충전 재료(T)로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재료는 보강 구조체(3s)의 요홈(3u)을 완전히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재료(T)는 안정된 완충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O)에는, 정위치에 체결해야 할 레일(S)을 지지하는 지지면(3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면(3c)의 길이 방향(정위치에 체결할 레일(S)의 길이 방향(L)에 나란한 방향)으로의 양 측단은 각각 지지 쇼울더(3e)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 제4항에 있어서,
정위치에 체결할 레일(S)을 하방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8a, 8b)를 결합시키는 클램핑 부재(10a, 10b)를 지지 쇼울더(3d, 3e)에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10a, 10b)를 정위치에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쇼울더(3d, 3e)에 관통공(3g, 3h)이 형성 또는 성형되되, 이 관통공(3g, 3h)은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O)에서 저면(U)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10a, 10b)는 다각형 머리(10c)를 갖는 클램핑 볼트이고,
베이스 플레이트(3)의 저면(U)에는 각 관통공(3g, 3h)의 입구영역에 리셉터클(3i, 3j)이 형성 또는 성형되되, 상기 리셉터클(3i, 3j)의 원주벽(3p) 위에 상기 볼트 머리(10c)의 측면(10d)이 각각 접촉하는데, 이 때의 접촉면은, 볼트 머리의 측면 길이의 일부 길이(La) 만큼에만 접촉되게 하여, 설치 상태에서 볼트 머리의 관련 측면(10d)은 각각 접촉하고 있는 접촉면에 대해 평면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원주벽(3p) 상의 접촉면(3l)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리셉터클(3i, 3j)의 원주벽(3p)에는 한 쌍의 인접 접촉면(3l) 사이에, 설치 완료 상태에서 볼트 머리(10c)와 리셉터클(3i, 3j)의 원주벽(3p)이 접촉하지 않게 되는 오목부(3m)가 형성 또는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 제4항에 있어서,
지지면(3c)의 영역은 위에서 볼 때 제한된 좁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r)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U)에 형성되되, 저면(U)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멈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그 상면(O)에서 부터 그 저면(U)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3o)를 구비하는데, 이 개구부에는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가 삽입되며, 상기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는 그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6g)를 구비하고,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이 돌출부(6g)가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지지형 슬리브는 편심 슬리브(6a~6d)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슬리브용 개구부(3o)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조정 표지(3q)들이 배치됨으로써, 편심 슬리브(6a~6d)의 회전축이 슬리브용 개구부(3o)의 중심 장축(Mh)으로부터 편심되는 편심성이 허용되고, 이들 위치조정 표지(3q)는 슬리브용 개구부(3o)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 슬리브(6a~6d)의 회전을 조정할 경우에 이 편심 슬리브(6a~6d)의 회전 위치를 정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회전 위치는 베이스 플레이트(3)의 위치를 일정한 양만큼씩 단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 고정된 하부 지지체(2)에 레일(S)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항에 따라 제작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와 상기 고정된 하부 지지체(2)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소재로 된 중간층(4)을 포함하는 레일 체결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는 그 상면(O)에서 부터 그 저면(U)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3o)를 구비하는데, 이 개구부에는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가 삽입되며, 상기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는 그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6g)를 구비하고,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이 돌출부(6g)가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에서 지지되며,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가 제공되되, 이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는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으로부터 삽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에 형성된 슬리브용 개구부(3o)를 통해 미끄럼 방식으로 삽입되며, 이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의 높이(He)는 슬리브용 개구부(3o)가 있는 영역의 베이스 플레이트(3)의 두께보다 크고, 이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는 그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6g)를 구비하며,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이 돌출부(6g)가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에서 지지되고,
상기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서 삽입되어 이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를 상기 고정된 하부 지지체(2)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7a~7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는 그 상면(O)에서 부터 그 저면(U)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3o)를 구비하는데, 이 개구부에는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가 삽입되며, 상기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는 그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6g)를 구비하고,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이 돌출부(6g)가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에서 지지되며,
상기 하방 지지형 슬리브는 편심 슬리브(6a~6d)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슬리브용 개구부(3o)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조정 표지(3q)들이 배치됨으로써, 편심 슬리브(6a~6d)의 회전축이 슬리브용 개구부(3o)의 중심 장축(Mh)으로부터 편심되는 편심성이 허용되고, 이들 위치조정 표지(3q)는 슬리브용 개구부(3o)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 슬리브(6a~6d)의 회전을 조정할 경우에 이 편심 슬리브(6a~6d)의 회전 위치를 정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회전 위치는 베이스 플레이트(3)의 위치를 일정한 양만큼씩 단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되며,
상기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는, 슬리브용 개구부(3o)에 있는 위치조정 표지(3q)에 상응하는 상응 형상 부재(6f)를 구비하고,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가 결합되는 슬리브용 개구부(3o)에 삽입되는 하방 지지형 슬리브(6a~6d)는 상기 상응 형상 부재(6f)에 의해 슬리브용 개구부(3o)에 있는 위치조정 표지(3q) 중 하나에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간층(4)과 상기 고정된 하부 지지체(2) 사이에 캐리어 플레이트(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09041833A DE102009041833B4 (de) | 2009-09-18 | 2009-09-18 | Unterlegplatte für die Befestigung einer Schiene auf einem festen Untergrund und Befestigung einer Schiene |
DE102009041833.4 | 2009-09-18 | ||
PCT/EP2010/063527 WO2011032970A2 (de) | 2009-09-18 | 2010-09-15 | Unterlegplatte für die befestigung einer schiene auf einem festen untergrund und befestigung einer schie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3429A KR20120083429A (ko) | 2012-07-25 |
KR101783395B1 true KR101783395B1 (ko) | 2017-09-29 |
Family
ID=4169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10003A KR101783395B1 (ko) | 2009-09-18 | 2010-09-15 | 고정된 하부 지지체에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 레일 체결장치 |
Country Status (18)
Country | Link |
---|---|
US (1) | US8413910B2 (ko) |
EP (1) | EP2478156B1 (ko) |
JP (1) | JP5699150B2 (ko) |
KR (1) | KR101783395B1 (ko) |
CN (1) | CN102575437B (ko) |
AR (1) | AR078289A1 (ko) |
BR (1) | BR112012005954A2 (ko) |
CA (1) | CA2774309A1 (ko) |
DE (2) | DE102009041833B4 (ko) |
EA (1) | EA026760B1 (ko) |
ES (1) | ES2627959T3 (ko) |
HK (1) | HK1169464A1 (ko) |
IL (1) | IL218546A (ko) |
MX (1) | MX2012003060A (ko) |
PL (1) | PL2478156T3 (ko) |
TW (1) | TWI453322B (ko) |
UY (1) | UY32892A (ko) |
WO (1) | WO2011032970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9912B1 (ko) * | 2021-09-16 | 2022-03-03 | 한화시스템(주) | 항공기용 포드의 지상냉각장치 연결용 어댑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7025708B4 (de) * | 2007-06-01 | 2009-06-18 | Schwihag Ag | Kraftschlüssige elastische Schienenbefestigung für Gleisanlagen |
KR101795676B1 (ko) | 2011-05-25 | 2017-11-09 | 인터캐스트 & 포지 피티와이 리미티드 | 철도 레일 지지 플레이트 |
FR2979642B1 (fr) * | 2011-09-06 | 2013-10-18 | Claudiu Orodel | Systeme de fixation de rail |
US9657445B2 (en) * | 2013-02-12 | 2017-05-23 | Hf Holding Sa | Adjustable rail fastening assembly |
USD756844S1 (en) * | 2013-03-15 | 2016-05-24 | L.B. Foster Company | Curve block |
DE102013007306B4 (de) * | 2013-04-29 | 2017-03-09 | Semperit Ag Holding | Schienenlager |
EP3227494B1 (de) * | 2014-12-02 | 2018-07-25 | Vossloh-Werke GmbH | Leichtbau-unterlegplatte für ein schienenprofil |
US9708776B2 (en) * | 2015-04-09 | 2017-07-18 | Amsted Rail Company Inc. | Track-mounting assembly |
TWD205830S (zh) | 2016-05-31 | 2020-07-11 | 祥偉自動科技股份有限公司 | 支撐腳的連結座 |
TWD207156S (zh) | 2016-05-31 | 2020-09-11 | 祥偉自動科技股份有限公司 | 支撐腳的連結座 |
DE102016111210A1 (de) * | 2016-06-20 | 2017-12-21 | Voestalpine Bwg Gmbh | Anordnung zum Umstellen einer Zungenschiene |
RU176811U1 (ru) * | 2016-09-06 | 2018-01-29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ик-полимер"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ширины рельсовой колеи |
DE102017106422A1 (de) * | 2017-03-24 | 2018-09-27 | Vossloh-Werke Gmbh | Unterlegplatte zum Abstützen einer Schiene für ein Schienenfahrzeug und Befestigungspunkt mit einer solchen Unterlegplatte |
CN107034745A (zh) * | 2017-06-07 | 2017-08-11 | 芜湖中铁科吉富轨道有限公司 | 减振道岔轨距可调结构 |
WO2019241112A1 (en) | 2018-06-12 | 2019-12-19 | Uv Partners, Inc. | Mobile device disinfection |
US11396729B2 (en) | 2019-08-15 | 2022-07-26 | Progress Rail Services Corporation | Direct fixation fastener having interlocking eccentrics for lateral adjustment |
RU210418U1 (ru) * | 2022-02-25 | 2022-04-14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ХНОЛОГИИ-69» | Амортизирующ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узл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073466A1 (de) | 2004-01-29 | 2005-08-11 | Wirthwein Ag | Hochelastischer elektrisch isolierender schienenstützpunkt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630564D0 (en) * | 1986-12-22 | 1987-02-04 | Pandrol Ltd | Base plate |
JPH077361Y2 (ja) * | 1992-05-06 | 1995-02-22 | 興和化成株式会社 | レール締結装置 |
EP0697044A1 (de) * | 1994-02-19 | 1996-02-21 | Phoenix Aktiengesellschaft | Verwendung einer kautschukmischung zur herstellung einer elastischen zwischenlage, insbesondere schienenunterlage |
US6318026B1 (en) * | 1998-09-02 | 2001-11-20 | Terry Ayres | Metal door insert |
JP3401634B2 (ja) * | 1998-10-09 | 2003-04-28 | 株式会社ニッケーコー | アンカーボルトの固定用座金並びにこれを用いたアンカーボルトの固定構造 |
GB9917146D0 (en) * | 1999-07-21 | 1999-09-22 | Pandrol Ltd | Suspended rail fastening assembly |
JP2002138403A (ja) * | 2000-11-07 | 2002-05-14 | Railway Technical Res Inst | 防振タイプレート |
DE20105698U1 (de) * | 2001-03-31 | 2002-08-01 | Schwarzbich, Jörg, 33615 Bielefeld |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senbahnschienen |
US7080791B2 (en) * | 2002-12-03 | 2006-07-25 | Pandrol Limited | Abrasion assembly for supporting railroad ties |
CN2595854Y (zh) * | 2002-12-25 | 2003-12-31 | 铁道科学研究院金属及化学研究所 | 新型热塑性弹性体垫板 |
CN1317453C (zh) * | 2003-07-26 | 2007-05-23 | 尹学军 | 弹性垫板 |
ATE555252T1 (de) * | 2004-03-01 | 2012-05-15 | Delkor Rail Pty Ltd | Herstellung von oberplatte für ein elastomeres schienenbefestigungssystem |
JP4651498B2 (ja) * | 2005-10-20 | 2011-03-16 |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 鉄道車両用安全レール取り付け装置 |
GB2435285A (en) * | 2006-02-21 | 2007-08-22 | Pandrol Ltd | Fastening railway rails |
JP3122689U (ja) * | 2006-04-10 | 2006-06-29 | 独立行政法人鉄道建設・運輸施設整備支援機構 | レール締結装置 |
ES1064713Y (es) | 2007-01-26 | 2007-07-16 | Mondragon Soluciones S L U | Placa de apoyo para sujeciones flexibles de railes ferroviarios |
CN201151851Y (zh) * | 2007-08-21 | 2008-11-19 | 陈舒 | 铁道混凝土枕钢轨下用垫板 |
DE102009041848A1 (de) * | 2009-09-18 | 2011-03-24 | Vossloh-Werke Gmbh |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m festen Untergrund und Befestigung einer Schiene |
DE102009041817B4 (de) * | 2009-09-18 | 2011-07-28 | Vossloh-Werke GmbH, 58791 | Unterlegplatte für die Besfestigung einer Schiene auf einem festen Untergrund und Befestigung einer Schiene |
DE202009014434U1 (de) * | 2009-09-18 | 2010-02-11 | Vossloh-Werke Gmbh | Unterlegplatte für die Befestigung einer Schiene auf einem festen Untergrund und Befestigung einer Schiene |
-
2009
- 2009-09-18 DE DE102009041833A patent/DE102009041833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9-18 DE DE202009014430U patent/DE202009014430U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9-10-28 US US12/607,623 patent/US841391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9-15 CA CA2774309A patent/CA277430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9-15 PL PL10752829T patent/PL2478156T3/pl unknown
- 2010-09-15 JP JP2012529251A patent/JP569915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9-15 KR KR1020127010003A patent/KR10178339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15 WO PCT/EP2010/063527 patent/WO2011032970A2/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9-15 EP EP10752829.1A patent/EP2478156B1/de active Active
- 2010-09-15 ES ES10752829.1T patent/ES2627959T3/es active Active
- 2010-09-15 TW TW099131187A patent/TWI453322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9-15 MX MX2012003060A patent/MX2012003060A/es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15 EA EA201200309A patent/EA026760B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9-15 CN CN201080041388.XA patent/CN102575437B/zh active Active
- 2010-09-15 BR BR112012005954A patent/BR112012005954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9-17 UY UY0001032892A patent/UY32892A/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9-17 AR ARP100103405A patent/AR078289A1/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
- 2012-03-08 IL IL218546A patent/IL218546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10-12 HK HK12110078.0A patent/HK1169464A1/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073466A1 (de) | 2004-01-29 | 2005-08-11 | Wirthwein Ag | Hochelastischer elektrisch isolierender schienenstützpunk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9912B1 (ko) * | 2021-09-16 | 2022-03-03 | 한화시스템(주) | 항공기용 포드의 지상냉각장치 연결용 어댑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112012005954A2 (pt) | 2016-03-15 |
JP2013505377A (ja) | 2013-02-14 |
EA201200309A1 (ru) | 2012-10-30 |
IL218546A (en) | 2014-04-30 |
CN102575437A (zh) | 2012-07-11 |
ES2627959T3 (es) | 2017-08-01 |
MX2012003060A (es) | 2012-04-10 |
IL218546A0 (en) | 2012-05-31 |
JP5699150B2 (ja) | 2015-04-08 |
CA2774309A1 (en) | 2011-03-24 |
WO2011032970A3 (de) | 2011-06-30 |
TW201114980A (en) | 2011-05-01 |
CN102575437B (zh) | 2016-03-02 |
PL2478156T3 (pl) | 2017-09-29 |
KR20120083429A (ko) | 2012-07-25 |
EA026760B1 (ru) | 2017-05-31 |
US8413910B2 (en) | 2013-04-09 |
DE102009041833A1 (de) | 2011-03-24 |
AR078289A1 (es) | 2011-10-26 |
DE202009014430U1 (de) | 2010-02-18 |
UY32892A (es) | 2011-04-29 |
US20110068182A1 (en) | 2011-03-24 |
HK1169464A1 (zh) | 2013-01-25 |
WO2011032970A2 (de) | 2011-03-24 |
DE102009041833B4 (de) | 2011-06-22 |
EP2478156B1 (de) | 2017-03-22 |
EP2478156A2 (de) | 2012-07-25 |
TWI453322B (zh) | 2014-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3395B1 (ko) | 고정된 하부 지지체에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 레일 체결장치 | |
TWI453323B (zh) | 用以將軌道與已固定底部支撐座緊固之基底板與用於軌道之緊固件(一) | |
US9103073B2 (en) | System for fastening a rail, and fastening of a rail on a substrate | |
US7992798B2 (en) | System for fastening a rail | |
US20110068185A1 (en) | System for Fastening a Rail to a fixed Bottom Support, and Fastener for a Rail | |
AU2009203749B2 (en) | Support for a rail fastening system and rail fastening system | |
JP5346342B2 (ja) | 平らな固い土台上にレールを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 | |
TW201114979A (en) | Base plate for fastening a rail to a fixed bottom support, and fastener for a rail | |
US20160017545A1 (en) | System for Fastening a Rail on a Subsurface | |
CN102803610A (zh) | 用于固定轨道的系统以及这种系统的垫板 | |
EA038080B1 (ru) |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и подкладн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 |
CA2809062A1 (en) | System for fastening a rail and method for renovating a rail fastening point | |
DK2467534T3 (en) | Insulator for a rail attachment clamp and rail rail attachment clamp for use therewith | |
CN116685741A (zh) | 弹性中间板和用于固定轨道车辆的轨道的装置 | |
JP5400868B2 (ja) | 連続的な敷設床を備える固形トラック路 | |
KR100720156B1 (ko) | 철도 레일의 침하량 측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