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749B1 - 차량 측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측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749B1
KR101766749B1 KR1020167006627A KR20167006627A KR101766749B1 KR 101766749 B1 KR101766749 B1 KR 101766749B1 KR 1020167006627 A KR1020167006627 A KR 1020167006627A KR 20167006627 A KR20167006627 A KR 20167006627A KR 101766749 B1 KR101766749 B1 KR 101766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vehicle
rocker
reinforcing member
gus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3061A (ko
Inventor
요헤이 야마모토
고이 하타
유지로 가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6004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차량(10)에 있어서, 거싯(60)은 프론트 필러(40)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거싯(60)의 본체벽부(60A)는 프론트 필러(40)에 접합되며,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필러(40)가 후방으로 붕괴되려고 하면, 상기 상벽부(22B)는 상기 차량 하방으로부터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를 지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붕괴가 억제된다. 또한, 상기 로커 외측 RF(22)는 그 표면에서 상기 거싯(60)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받는다. 그러므로, 상기 로커 외측 RF(22)에 입력되는 하중이 분산되어, 상기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측부 구조{VEHICLE SIDE STRUCTURE}
본 발명은 로커(rocker)의 전단부 주위의 차량 측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차폭 방향으로 전방측 부재 외측 영역에서 충돌체와 정면 충돌(소위 미소 오버랩(small overlap) 충돌)을 겪는 경우에는,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이동한 전륜이 프론트 필러(front pillar) 및 로커의 전단부에 부딪치므로, 상기 프론트 필러가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붕괴(collapse)되려고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일본특허출원공보 제2013-001226호(JP-2013-001226 A)에 기재된 차량의 측부 차체 구조에 의하면, 제1보강부재(거싯(gusset))가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프론트 필러가 미소 오버랩 충돌 시 붕괴되는 것을 억제한다. 첨언하면, 관련된 차량 측부 구조들은, 예컨대 일본특허출원공보 제11-342869호(JP-11-342869 A) 및 일본특허출원공보 제10-059218호(JP-10-059218 A)에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된 차량의 측부 차체 구조에 의하면, 상기 프론트 필러가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붕괴되는 경우, 상기 제1보강부재에 모멘트가 발생되고, 또한 상기 차량에 대한 하방 하중(downward load)이 상기 제1보강부재의 후단부에 있는 하단부로부터 로커에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보강부재로부터 상기 로커에 입력되는 하중이 집중되고, 상기 로커가 굴곡(bend)될 수도 있다(그 단면이 붕괴될 수도 있음).
본 발명은 미소 오버랩 충돌 시 프론트 필러의 붕괴를 억제하면서, 로커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 측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차량 측부 구조는 로커, 프론트 필러, 및 거싯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커는 차폭 방향으로 차량 하부의 양측 각각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로커는 로커 외측 보강부(rocker outer reinforcement) 및 로커 내측 패널(rocker inner panel)로 구성되는 폐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는 측벽부, 상벽부 및 하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필러는, 상기 로커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거싯은 상기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거싯은 본체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폭 방향은 상기 본체벽부 c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본체벽부는 상기 프론트 필러에 접합되며, 상기 거싯은 상기 본체벽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굴곡되는 저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벽부는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기 상벽부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로커는 상기 차폭 방향으로 상기 차량 하부의 양측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커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커는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 및 상기 로커 내측 패널로 구성되는 폐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는 상기 측벽부, 상기 상벽부, 및 상기 하벽부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프론트 필러는 상기 로커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차량의 미소 오버랩 충돌 시에는, 전륜이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로커의 전단부 및 상기 프론트 필러에 부딪친다. 그리고, 상기 전륜이 상기 프론트 필러에 부딪치면, 상기 프론트 필러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붕괴되려고 한다. 따라서, 상기 차량의 좌측에서 미소 오버랩 충돌이 발생하면, 상기 차량의 좌측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의 모멘트(차량의 우측에서 미소 오버랩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우측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가 상기 프론트 필러에 발생된다.
여기서는, 상기 거싯이 상기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거싯은, 본체벽부의 두께 방향이 차폭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본체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싯은 상기 본체벽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굴곡되는 저벽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벽부는 상기 프론트 필러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저벽부는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기 상벽부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프론트 필러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붕괴되려고 하면,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 하중(모멘트 하중)은, 상술된 모멘트로 인하여, 상기 거싯의 저벽부로부터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에 작용한다. 이 때,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는 상기 차량 하부로부터 상기 거싯의 저벽부를 지지하므로, 상기 프론트 필러(40)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붕괴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는, 그 표면에서, 상기 거싯의 저벽부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받는다. 그러므로,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에 입력되는 하중이 분산되고, 상기 하중이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에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가 굴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그 단면이 붕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
나아가, 상기 거싯의 저벽부는 상기 본체벽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굴곡된다. 그러므로, 상기 저벽부와 상기 본체벽부 사이의 경계 영역의 능선(ridgeline)이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상기 프론트 필러에 입력되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 충돌 하중이 상기 능선을 통해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상기 로커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버클링(buckling)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량의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프론트 필러가 붕괴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상기 로커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프론트 필러가 붕괴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상기 로커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싯의 저벽부는, 상기 차량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차폭 방향의 외측으로,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거싯의 저벽부는, 상기 저벽부가 상기 차량의 정면에서 볼때 상기 차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그러므로, 상기 거싯의 본체벽부와 상기 저벽부로 이루어진 각도가 예각으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거싯의 저벽부로부터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로 입력되는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 하중이 상기 거싯의 저벽부의 경사 방향으로도 작용한다. 즉, 이러한 하중은 또한 상기 거싯의 저벽부와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의 중첩 영역을 상기 거싯의 저벽부의 경사 방향으로 전단(shear)하는 방향으로도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거싯의 저벽부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경우보다 상기 로커가 굴곡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그 단면이 붕괴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음).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거싯의 본체벽부와 상기 저벽부로 이루어진 각도는 예각으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벽부와 상기 저벽부 사이의 경계 영역의 능선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본체벽부와 상기 저벽부로 이루어진 각도가 직각으로 설정되는 경우보다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싯(프론트 필러)에 입력되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의 후방 충돌 하중이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로커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버클링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따르면, 상기 로커가 변형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차량 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거싯의 본체벽부의 외측면과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측벽부의 외측면은 동일 평면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거싯으로부터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로 입력되는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 하중이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측벽부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상기 하중은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측벽부를 통해 상기 하벽부에도 전달되므로, 상기 프론트 필러가 붕괴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측벽부는 정면에서 볼때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하중은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 하중에 대하여 높은 굴곡 강성(bending rigidity)을 나타내는 상기 측벽부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가 굴곡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 필러가 붕괴되는 것을 더욱 억제하면서, 상기 로커가 변형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차량 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를 보강하는 전방 보강 부재는 상기 로커의 전단부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전방 보강 부재는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와 함께 상기 거싯의 저벽부의 후단부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전방 보강 부재는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와 함께 상기 거싯의 저벽부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가 그 전단부에서 굴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프론트 필러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붕괴되려고 하면, 상기 차량의 좌측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의 모멘트(차량의 우측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가 상기 거싯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거싯의 저벽부로부터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로 작용하는 하중(모멘트 하중)이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증가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전방 보강 부재는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와 함께 상기 저벽부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에 입력되는 큰 하중을 상기 전방 보강 부재에 의해서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가 그 전단부에서 굴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따르면, 상기 로커가 그 전단부에서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차량 측부 구조에 있어서, 도어 개구부(door opening portion)의 모서리부(angle portion)를 구성하는 코너부는 상기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프론트 필러와 상기 로커를 서로 접합하는 접합 영역은 상기 코너부의 종단부(terminal end portion)에 설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를 보강하는 후방 보강 부재는, 상기 전방 보강 부재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측 위치에서, 상기 로커의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후방 보강 부재는 상기 접합 영역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후방 보강 부재가 상기 로커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보강 부재는,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기 도어 개구부의 코너부의 종단부에 설정되는, 상기 프론트 필러와 상기 로커를 서로 접합하는 접합 영역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로커의 굴곡 위치는, 상기 프론트 필러의 코너부의 종단부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상기 프론트 필러의 후퇴량(amount of rearward movement)이 저감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론트 필러 및 상기 로커가 상기 거싯 및 상기 전방 보강 부재에 의해 보강되는 경우에는, 상술된 코너부의 종단부에 큰 모멘트가 발생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후방 보강 부재는,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기 코너부의 종단부에 설정되는, 상기 프론트 필러와 상기 로커가 서로 접합되는 접합 영역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코너부의 종단부가 상기 후방 보강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상술된 모멘트에 기인하는 모멘트 하중을 상기 후방 보강 부재에 의해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가 상기 코너부의 종단부에서 굴곡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로커의 굴곡 위치는 상기 코너부의 종단부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 위치로 설정된다. 그 결과,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상기 프론트 필러의 후퇴량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따르면,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상기 프론트 필러의 후퇴량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커와 상기 프론트 필러가 서로 접합되는 영역은 상기 접합 영역의 접합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상기 후방 보강 부재는 상기 접합부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후방 보강 부재는 상기 접합 영역의 상기 접합부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배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프론트 필러의 코너부의 종단부에 발생하는 모멘트 하중이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도 상기 후방 보강 부재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가 상기 코너부의 종단부에서 굴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따르면, 상기 로커가 상기 코너부의 종단부에서 굴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 하중에 따른 변형의 기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취약부(fragile portion)가 상기 거싯의 본체벽부의 후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 충돌 하중이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거싯에 작용하면, 상기 거싯은 기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상기 취약부와 함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붕괴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 그러므로, 상기 거싯에 입력되는 충돌 하중이 상기 거싯의 변형에 의해 흡수된다. 그러므로,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에 입력되는 모멘트 하중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따르면,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에 입력되는 모멘트 하중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보강 부재는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하벽부와 상기 상벽부를 서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전방 보강 부재는,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하벽부와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를 서로 연결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기 하벽부와 상기 상벽부가 상기 전방 보강 부재에 의해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가 그 전단부에서 변형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따르면, 상기 로커가 그 전단부에서 변형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보강 부재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는 한 쌍의 벌크 부재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거싯의 저벽부의 후단부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한 쌍의 벌크 부재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전방 보강 부재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는 한 쌍의 벌크 부재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거싯의 저벽부의 후단부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한 쌍의 벌크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거싯의 저벽부의 후단부는 상기 한 쌍의 벌크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상기 전방 보강 부재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거싯을 연속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보다 상기 차량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한 쌍의 벌크 부재 사이에 상기 거싯과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의 접합부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접합부를 피하는 방식으로 상기 전방 보강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중량이 저감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한 쌍의 벌크 부재를 배치하는 자유도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합 영역의 접합부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전방 보강 부재와 상기 후방 보강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코너부의 종단부에 설정되는 상기 접합 영역의 접합부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전방 보강 부재와 상기 후방 보강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상기 전방 보강 부재와 상기 후방 보강 부재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거싯 및 상기 코너부를 연속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보다 상기 차량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전방 보강 부재와 상기 후방 보강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 등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부재 등을 피하는 방식으로 상기 후방 보강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중량이 저감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전방 보강 부재 및 상기 후방 보강 부재를 배치하는 자유도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는 상기 전방 보강 부재 또는 상기 후방 보강 부재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부 및 상기 하부 플랜지부는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 및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하벽부에 각각 접합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는 상기 전방 보강 부재 또는 상기 후방 보강 부재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저항하는 방식으로 상기 상부 플랜지부 및 상기 하부 플랜지부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로커가 굴곡되는 것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상기 전방 보강 부재 또는 상기 후방 보강 부재의 형상이 유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따르면, 상기 로커가 굴곡되는 것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상기 전방 보강 부재 또는 상기 후방 보강 부재의 형상이 유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보강 부재는 상기 전방 보강 부재와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상부 보강 부재는 상기 후방 보강 부재와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상부 보강 부재는 상기 전방 보강 부재와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보강 부재는 상기 후방 보강 부재와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 사이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상부 보강 부재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보강 부재와 상기 후방 보강 부재는 서로 상기 상부 보강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상벽부는 상기 상부 보강 부재에 의해서도 보강된다. 따라서, 상기 로커의 그 전단부에서의 굴곡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따르면, 상기 로커의 그 전단부에서의 굴곡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강 부재는 그 두께 방향이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과 일치하는 기다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굴곡되는 굴곡부(bend portion)는,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상부 보강 부재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는,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상부 보강 부재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 보강 부재의 굴곡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로커의 그 전단부에서의 굴곡 강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본 차량 측부 구조에 따르면, 상기 로커의 그 전단부에서의 굴곡 강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장점, 그리고 기술적 및 산업적 현저성을, 동일한 부호들이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현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부 구조가 적용되는 차량에 있어서, 로커의 전단부 및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를 도시한, 차폭 방향의 내측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커의 전단부 및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를 차폭 방향의 외측에서 본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커를 차량의 전방측에서 본 확대 단면도(도 2의 3-3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론트 필러를 차량 상방측에서 본 확대 단면도(도 2의 4-4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로커의 전단부 및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를 차폭 방향의 외측에서 본 확대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거싯을 확대하여 도시한, 차폭 방향의 내측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로커 외측 보강부 및 거싯을 차량 후방측에서 본 확대 단면도(도 2의 7-7선을 따라 취한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1벌크부재, 제2벌크부재, 및 제3벌크부재를 확대해서 도시한, 차폭 방향의 내측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
도 9a는 미소 오버랩 충돌 시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 및 로커의 전단부의 상태를 시계열(time-series) 방식으로 도시한 개략도로서, 미소 오버랩 충돌의 초기 단계에서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 및 로커의 전단부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b는 미소 오버랩 충돌 시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 및 로커의 전단부의 상태를 시계열 방식으로 도시한, 차폭 방향의 내측에서 본 개략도로서, 도 9a의 상태로부터 시간이 더 경과한 후에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 및 로커의 전단부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및
도 9c는 미소 오버랩 충돌 시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 및 로커의 전단부의 상태를 시계열 방식으로 도시한, 차폭 방향의 내측에서 본 개략도로서, 도 9b의 상태로부터 시간이 더 경과한 후에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 및 로커의 전단부의 상태를 도시한, 차폭 방향의 내측에서 본 개략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부 구조(S)가 적용되는 차량(자동차)(10)을 도면들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언하면, 도면들에 적절히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 FR은 차량에 대한 전방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LH는 차량에 대한 좌측 방향(차폭 방향의 일측)을 나타내며, 또한 화살표 UP는 차량에 대한 상방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차량 측부 구조(S)는 상기 차량에 대해 상기 차량(10)의 전륜(12)의 뒤쪽 영역에 적용된다. 상기 우측 차량 측부 구조(S) 및 상기 좌측 차량 측부 구조(S)는 서로 차폭 방향에 있어서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10)의 차량 좌측 영역을 설명하기로 하고, 상기 차량(10)의 차량 우측 영역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차량 측부 구조(S)가 적용되는 차량(10)의 차량 좌측 영역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차량(10)은, 차량(10)의 차폭 방향의 양측 각각에 있는 하부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20), 및 상기 로커(20)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필러(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로커(20) 및 프론트 필러(40)는 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폐단면 부재들이다. 상기 로커(20) 및 상기 프론트 필러(40)는, 루프 측부 레일(roof side rail)(도시되지 않음) 및 센터 필러(center pillar)(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탑승자가 상기 차량을 승하차하는 도어 개구부(14)를 형성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커(20)에는 로커 외측 보강부(이하, "로커 외측 RF"라고 함)(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로커 외측 RF(22)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과 일치하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세로 방향으로 기다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개방되는 모자 모양의 단면 형상으로 상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커 외측 RF(22)는, 그 두께 방향이 상기 차폭 방향과 일치하는 측벽부(22A), 상기 측벽부(22A)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벽부(22B) 및 하벽부(22C),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상벽부(22B)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플랜지(22D), 및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하벽부(22C)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플랜지(22E)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상벽부(22B)는,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차폭 방향의 외측으로 상기 상벽부(22B)가 연장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로커 외측 RF(22) 내측에는 로커 내측 패널(24)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로커 내측 패널(24)은 그 두께 방향이 상기 차폭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플랜지(22D, 22E)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 외측 RF(22) 및 상기 로커 내측 패널(24)에 의하여 폐단면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외측에는 측부 외측 패널(26)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측부 외측 패널(26)은, 상기 로커(20) 및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외벽들을 구성하는 대형 프레스 부품(pressed part)이다. 그리고, 상기 로커(20)를 구성하는 상기 측부 외측 패널(26)의 그 영역이 로커 외측부(28)이다. 상기 로커 외측부(28)는, 상기 차량의 앞쪽에서 볼 때 반전 L 형상을 전제하는 단면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로커 외측부(28)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측벽부(22A)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는 측벽부(28A), 및 상기 측벽부(28A)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벽부(28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상방으로 굴곡되는 플랜지(28C)는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상벽부(28B)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플랜지(22D)는, 상기 로커 외측부(28)의 플랜지(28C)와 상기 로커 내측 패널(24)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나아가, 내측 로커 보강부(이하, "내측 로커 RF"라고 함)(30)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 로커 RF(30)는, 상기 차량의 앞쪽에서 볼 때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개방되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내측 로커 RF(30)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측벽부(22A)의 내면에 접합되는 측벽부(30A), 및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측벽부(30A)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벽부(30B)와 하벽부(30C)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전단부에는 전벽부(30D)(도 1 참조)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벽부(30D)는, 상기 측벽부(30A)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 외측 패널(26)은,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외측 영역을 구성하는 프론트 필러 외측부(42)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필러 외측부(42)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개방되는 모자 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42A, 42B)가 상기 프론트 필러 외측부(42)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필러 외측부(42)의 후벽부(42C)의 하단부는, 상기 후벽부(42C)의 하단부가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만곡되는 방식으로 기울어져 있고, 또한 상기 로커 외측부(28)의 상벽부(28B)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구부(14)의 하부-전방 모서리부를 구성하는 코너부(44)는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코너부(44)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전방으로 그리고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차량 후방측의 프론트 필러 외측부(42)의 플랜지(42A)는 상기 코너부(44)를 따라 만곡되고,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로커 외측부(28)의 플랜지(28C)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노치부(notch portion; 46)는 상기 플랜지(42A)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치부(46)들 사이의 영역들은 접합 플랜지부(48A 내지 48C)로서의 역할을 한다. 나아가,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코너부(44)의 종단부에는 접합 영역 A(도 5 참조)이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접합 영역 A는,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코너부(44)의 종단(44A)에 대응하는 접합 플랜지부(48B)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접합 플랜지부(48C)(차량 후방측의 접합 플랜지부(48B)에 인접한 접합 플랜지부)의 전단까지의 영역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필러 내측 패널(50)은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프론트 필러 외측부(4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필러 내측 패널(50)은 상기 측부 외측 패널(26)의 플랜지(42A, 42B)들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필러(40)는 폐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필러 내측 패널(50)의 하단부는 상기 로커(20)의 전단부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에서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전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도 1 참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필러 외측 보강부(이하, "필러 외측 RF"라고 함)(54)는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폐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러 외측 RF(54)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개방되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필러 외측 RF(54)는 그 두께 방향이 상기 차폭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측벽부(54A), 및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기 측벽부(54A)의 전단과 후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전벽부(54B)와 후벽부(54C)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러 외측 RF(54)는,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후벽부(54C)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플랜지(54D)를 구비한다. 이러한 플랜지(54D)는, 상기 프론트 필러 외측부(42)와 상기 프론트 필러 내측 패널(50)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코너부(44)에서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플랜지(22D) 및 상기 필러 외측 RF(54)의 플랜지(54D)가, 상기 프론트 필러 내측 패널(50)과 상기 측부 외측 패널(26)(로커 외측부(28) 및 프론트 필러 외측부(42))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접합 영역들은 접합부(52, 52A)로서의 역할을 한다(도 2 참조). 첨언하면, 상기 접합부들 가운데, 상기 접합 영역 A의 접합부는 참조 부호 52A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접합 영역 A 외측의 접합부는 참조 부호 52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힌지 보강부(이하, "힌지 RF"라고 함)(56)는 상기 필러 외측 RF(54)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 RF(56)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개방되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힌지 RF(56)는 그 두께 방향이 상기 차폭 방향과 일치하는 측벽부(56A), 및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기 측벽부(56A)의 전단과 후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전벽부(56B)와 후벽부(56C)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전벽부(56B) 및 상기 후벽부(56C)는, 상기 필러 외측 RF(54)의 전벽부(54B) 및 상기 필러 외측 RF(54)의 후벽부(54C)의 내측면들에 각각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벽부(56B)의 하단부는, 상기 필러 외측 RF(54)의 전벽부(54B)와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전벽부(30D)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후벽부(56C)의 하단부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후벽부(56C)의 하단부는 상기 코너부(44)를 따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첨언하면, 상기 프론트 필러 외측부(42)의 두께와 상기 프론트 필러 내측 패널(50)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서로 같다. 상기 필러 외측 RF(54)의 두께, 또한 상기 힌지 RF(56)의 두께는 이 순서대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 즉 거싯(60), "상부 보강 부재"로서의 패치(70), "전방 보강 부재" 및 "벌크 부재"로서의 제1벌크부재(72)와 제2벌크부재(74), 그리고 "후방 보강 부재"로서의 제3벌크부재(76)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싯(60)은,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전단부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상방으로 그리고 상기 힌지 RF(56)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거싯(60)은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싯(60)은, 측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사다리꼴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벽부(60A)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본체벽부(60A)는 그 두께 방향이 상기 차폭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벽부(60A)에는 한 쌍의 거싯측 접합부(gusset-side joint portion; 6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싯측 접합부(62)들은, 상기 본체벽부(60A)로부터 차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벽부(60A)는, 상기 거싯측 접합부(62)들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힌지 RF(56)의 측벽부(56A)의 내면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본체벽부(60A)의 위치는,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본체벽부(60A)의 외측면(60AA)과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측벽부(22A)의 외측면(22AA)이 동일 평면에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7 참조). 따라서, 상기 거싯(60)(본체벽부(60A))으로부터 상기 로커 외측 RF(22)까지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하중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하중이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측벽부(22A)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즉,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본체벽부의 외측면과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의 측벽부의 외측면이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방식의 배열"은,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본체벽부(60A)의 외측면(60AA)과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측벽부(22A)의 외측면(22AA)이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 하중이 상기 측벽부(22A)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본체벽부(60A)와 상기 측벽부(22A)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싯(60)의 전단부에는 전벽부(6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벽부(60B)는 상기 본체벽부(60A)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벽부(60B)는 상기 힌지 RF(56)의 전벽부(56B)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도 1 참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싯(60)의 하단부에는 저벽부(60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벽부(60C)는 상기 본체벽부(60A)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벽부(60C)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저벽부(60C)가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차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즉, 상기 본체벽부(60A)와 상기 저벽부(60C)로 이루어진 각도는 정면에서 볼 때 예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벽부(60C)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 상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상벽부(22B)의 상면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첨언하면, 상기 거싯(60)에서는, 상기 저벽부(60C)의 전단부와 상기 전벽부(60B)의 하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저벽부(60C)와 상기 전벽부(60B)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편의상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와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가 서로 이격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벽부(60A)의 후단부는, 상기 힌지 RF(56)의 후벽부(56C)의 하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방식으로,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본체벽부(60A)의 후단부가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측을 향해 연장됨에 따라,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곡선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거싯(60)의 후단부의 상부에는 후벽부(60D)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벽부(60D)는 상기 본체벽부(60A)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벽부(60D)의 상부는 평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크랭크(crank)의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후벽부(60D)는 상기 힌지 RF(56)의 후벽부(56C)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벽부(60A)의 후단부에는 "취약부"로서 변형 기점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형 기점부(64)는 상기 후벽부(60D)의 하단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변형 기점부(64)는, 상기 후벽부(60D)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전방으로 그리고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되어 있고,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그리고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상방으로 대략 대각선 방향으로 개방되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본체벽부(60A)의 후단 외주부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의 좌측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의 모멘트가 상기 거싯(60)의 전벽부(60B)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거싯(60)이 상기 변형 기점부(64)로부터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된 모멘트가 상기 거싯(60) 전벽부(60B)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 하중은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로부터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로 작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하중은 상기 저벽부(60C)에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증가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상술된 모멘트가 상기 거싯(60)의 전벽부(60B)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거싯(60)이 상기 변형 기점부(64)로부터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술된 하중이 주로 상기 저벽부(60C)의 후단부(66)(구체적으로는, 변형 기점부(64)에 대하여 차량 전후 방향 후방의 저벽부(60C)의 영역)로부터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거싯의 저벽부의 후단부"란, 상술된 하중이 주로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에 작용하는 상기 저벽부(60C)에 대한 상기 차량 전후 방향 후방의 영역을 말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치(70)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패치(70)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의 기다란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개방되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상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패치(70)는, 상단벽부(70A) 및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상단벽부(70A)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굴곡부"로서의 외측벽부(70B)와 내측벽부(70C)를 구비한다. 상기 외측벽부(70B)의 상하 치수는 상기 내측벽부(70C)의 상하 치수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패치(70)의 상단벽부(70A)는,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상벽부(30B)를 통해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내면(하면)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치(70)의 전단부는 상기 거싯(60)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패치(70)의 후단부는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코너부(44)의 종단(44A)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벌크부재(72)는 상기 로커 외측 RF(22)(로커(20)의 폐단면) 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거싯(60)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벌크부재(72)는 그 세로 방향이 정면에서 볼 때 차량의 상하 방향과 일치하여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두께 방향이 상기 차량 전후 방향과 일치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벌크부재(72)의 상단부에는 상부 플랜지부(72A)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부(72A)는 상기 제1벌크부재(72)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패치(70)의 상단벽부(70A)가 상기 상부 플랜지부(72A)와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72A)는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상벽부(30B)를 통해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의 내면(하면)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벌크부재(72)의 하단부에는 하부 플랜지부(72B)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플랜지부(72B)는 상기 제1벌크부재(72)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하부 플랜지부(72B)의 중간부는 대략 크랭크의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또한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하부 플랜지부(72B)의 외측 영역은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상방으로 융기(bulge)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하벽부(30C)가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하부 플랜지부(72B)의 외측 영역과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하벽부(22C)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플랜지부(72B)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하벽부(22C)의 내면(상면)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제1벌크부재(72)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플랜지부(72C), 및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제1벌크부재(72)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부(72D)가 상기 제1벌크부재(72)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 플랜지부(72C) 및 내측 플랜지부(72D)는 각각 상기 상부 플랜지부(72A)를 상기 하부 플랜지부(72B)와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측 플랜지부(72C)는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측벽부(30A)와 약간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내측 플랜지부(72D)의 선단부(전단부)는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프론트 필러 내측 패널(50)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벌크부재(74)는 상기 로커 외측 RF(22)(로커(20)의 폐단면) 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벌크부재(72)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2벌크부재(74)는 그 세로 방향이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과 일치한 대략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두께 방향이 상기 차량 전후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벌크부재(74)의 상단부에는 "상부 플랜지부"로서 상부 플랜지부(74A)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부(74A)는 상기 제2벌크부재(7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패치(70)의 상단벽부(70A)가 상기 상부 플랜지부(74A)와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74A)는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상벽부(30B)를 통해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의 내면(하면)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벌크부재(74)의 하단부에는 "하부 플랜지부"로서 하부 플랜지부(74B)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플랜지부(74B)는 상기 제2벌크부재(74)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하부 플랜지부(74B)의 중간부는 대략 크랭크의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또한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하부 플랜지부(74B)의 외측 영역은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상방으로 융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하벽부(30C)가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하부 플랜지부(74B)의 외측 영역과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하벽부(22C)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플랜지부(74B)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하벽부(22C)의 내면(상면)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제2벌크부재(74)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플랜지부(74C), 및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제2벌크부재(74)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부(74D)가 상기 제2벌크부재(74)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 플랜지부(74C) 및 내측 플랜지부(74D)는 각각 상기 상부 플랜지부(74A)를 상기 하부 플랜지부(74B)와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측 플랜지부(74C)는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측벽부(30A)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내측 플랜지부(74D)의 선단부(후단부)는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프론트 필러 내측 패널(50)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돌출편(protrusion strip; 74E)이 상기 상하 방향의 상기 외측 플랜지부(74C)의 중간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원형의 포지셔닝 홀(positioning hole; 75)이 상기 돌출편(74E)의 후단부에서 관통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측벽부(30A)에 형성되는 포지셔닝 보스(positioning boss; 31A)(도 1 참조)가 이러한 포지셔닝 홀(75) 내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상기 내측 로커 RF(30)(로커 외측 RF(22))에 대한 상기 제2벌크부재(74)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벌크부재(72) 및 상기 제2벌크부재(74)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를 통해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에서의 상기 후단부(66)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1벌크부재(72)는,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에서의 상기 후단부(66)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벌크부재(74)는 이러한 후단부(66)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벌크부재(72)와 상기 제2벌크부재(74) 사이에 상기 저벽부(60C)의 후단부(66)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후단부(66)는 상기 제1벌크부재(72) 및 상기 제2벌크부재(74)에 의해서도 지지된다(도 2 및 도 5 참조).
상기 제3벌크부재(76)는 상기 로커 외측 RF(22)(로커(20)의 폐단면) 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벌크부재(74)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벌크부재(76)는 상기 제2벌크부재(74)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3벌크부재(76)는 그 세로 방향이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과 일치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두께 방향이 상기 차량 전후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벌크부재(76)의 상단부에는 "상부 플랜지부"로서 상부 플랜지부(76A)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부(76A)는 상기 제3벌크부재(76)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패치(70)의 상단벽부(70A)가 상기 상부 플랜지부(76A)와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76A)는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상벽부(30B)를 통해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의 내면(하면)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벌크부재(76)의 하단부에는 "하부 플랜지부"로서 하부 플랜지부(76B)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플랜지부(76B)는 상기 제3벌크부재(76)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하부 플랜지부(76B)의 중간부는 대략 크랭크의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또한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하부 플랜지부(76B)의 외측 영역은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상방으로 융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하벽부(30C)가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하부 플랜지부(76B)의 외측 영역과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하벽부(22C)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플랜지부(76B)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하벽부(22C)의 내면(상면)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제3벌크부재(76)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플랜지부(76C), 및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제3벌크부재(76)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부(76D)가 상기 제3벌크부재(76)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 플랜지부(76C) 및 내측 플랜지부(76D)는 각각 상기 상부 플랜지부(76A)를 상기 하부 플랜지부(76B)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측 플랜지부(76C)는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측벽부(30A)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내측 플랜지부(76D)의 선단부(후단부)는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프론트 필러 내측 패널(50)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돌출편(76E)은 상기 상하 방향의 상기 외측 플랜지부(76C)의 중간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돌출편(76E)의 후단부에서 관통하는 방식으로 원형의 포지셔닝 홀(7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측벽부(30A)에 형성되는 포지셔닝 보스(31B)(도 1 참조)가 이러한 포지셔닝 홀(77) 안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상기 내측 로커 RF(30)(로커 외측 RF(22))에 대한 상기 제3벌크부재(76)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벌크부재(76)는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코너부(44)의 종단부에 설정되는 접합 영역 A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접합 영역 A와 상기 제3벌크부재(76)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제3벌크부재(76)는 상기 접합 영역 A의 접합부(52A)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 측부 구조(S)를 구비한 상기 차량(10)이 미소 오버랩 충돌을 겪는 경우, 상기 전륜(12)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로커(20)의 전단부 및 상기 프론트 필러(40)에 부딪친다. 상기 전륜(12)이 상기 프론트 필러(40)에 부딪치면, 상기 프론트 필러(40)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붕괴되려고 하며, 또한 상기 차량의 좌측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의 모멘트가 상기 프론트 필러(40)에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하단부에는 상기 거싯(60)이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거싯(60)의 본체벽부(60A)는 상기 힌지 RF(56)(프론트 필러(40))에 접합되어 있고, 또한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프론트 필러(40)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붕괴되려고 하면, 상술된 모멘트로 인하여,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로부터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로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 하중(모멘트 하중)이 작용한다. 이 때,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는 상기 차량 하방으로부터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를 지지하므로, 상기 프론트 필러(40)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붕괴되려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커 외측 RF(22)는 그 표면 상에서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받는다. 그러므로, 상기 로커 외측 RF(22)에 입력되는 하중이 분산되고, 또한 상기 로커 외측 RF(22) 상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20)가 굴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그 단면이 붕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
나아가,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는 상기 본체벽부(60A)의 하단부에서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거싯(60)에서는, 상기 저벽부(60C)와 상기 본체벽부(60A) 간의 경계 영역의 능선이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필러(40)에 입력되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 충돌 하중은 상기 능선을 통해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상기 로커(20)가 버클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량(10)의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프론트 필러(40)가 후방으로 붕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로커(20)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는, 상기 저벽부(60C)가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차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즉,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본체벽부(60A)와 상기 저벽부(60C)로 이루어진 각도는 예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로부터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로 입력되는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 하중은,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의 경사 방향으로도 작용한다. 즉, 이러한 하중은 또한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와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의 중첩 영역을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의 경사 방향으로 전단하는 방향으로도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경우보다, 상기 로커(20)가 굴곡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그 단면이 붕괴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음).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거싯(60)에서는, 상기 본체벽부(60A)와 상기 저벽부(60C)로 이루어진 각도가 예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벽부(60A)와 상기 저벽부(60C)로 이루어진 각도가 직각으로 설정되는 경우보다, 상기 본체벽부(60A)와 상기 저벽부(60C) 간의 경계 영역의 능선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더욱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싯(60)(프론트 필러(40))에 입력되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 충돌 하중이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로커(20)가 변형을 통해 버클링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본체벽부(60A)의 위치는,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본체벽부(60A)의 외측면(60AA)과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측벽부(22A)의 외측면(22AA)이 동일 평면에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거싯(60)으로부터 상기 로커 외측 RF(22)에 입력되는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 하중이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측벽부(22A)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이러한 하중이 상기 측벽부(22A)를 통해 상기 하벽부(22C)에도 전달되므로, 상기 프론트 필러(40)가 후방으로 붕괴되려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측벽부(22A)는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 하중에 대한 높은 굴곡 강성을 나타내는 상기 측벽부(22A)에 의해, 상기 거싯(60)으로부터 상기 로커 외측 RF(22)로 입력되는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20)가 굴곡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커(20)의 전단부 내측(폐단면 내)에는 상기 제1벌크부재(72) 및 상기 제2벌크부재(7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벌크부재(72) 및 제2벌크부재(74)는 상기 거싯(60)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와 함께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의 후단부(66)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20)가 그 전단부에서 굴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프론트 필러(40)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붕괴되려고 하면, 상기 차량의 좌측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의 모멘트가 상기 거싯(60)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로부터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로 작용하는 하중(모멘트 하중)이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증가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벌크부재(72) 및 상기 제2벌크부재(74)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와 함께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의 후단부(66)를 지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에 입력되는 큰 하중을 상기 제1벌크부재(72) 및 상기 제2벌크부재(74)에 의해서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20)가 그 전단부에서 굴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로커(20) 내측(폐단면 내)에는 상기 제3벌크부재(7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벌크부재(76)는,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코너부(44)의 종단부에 설정되는 상기 접합 영역 A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로커(20)의 굴곡 위치는,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코너부(44)의 종단부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 위치로서 설정될 수 있고, 또한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후퇴량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거싯(60), 상기 제1벌크부재(72), 및 상기 제2벌크부재(74)에 의해 상기 프론트 필러(40)와 상기 로커(20)가 보강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코너부(44)의 종단부에 큰 모멘트가 발생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너부(44)의 종단부에 설정되는 상기 접합 영역 A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상기 제3벌크부재(76)가 배치되므로, 상기 코너부(44)의 종단부가 상기 제3벌크부재(76)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상술된 모멘트에 기인하는 모멘트 하중을 상기 제3벌크부재(76)에 의해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량(10)의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로커(20) 및 상기 프론트 필러(40)는, 도 9a에 도시된 미소 오버랩 충돌의 초기 단계로부터 도 9b의 상태로 변화되고, 최종적으로는 도 9c의 상태로 추정한다. 따라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커(20)가 상기 코너부(44)의 종단부에서 굴곡되는 것이 억제되고, 또한 상기 로커(20)의 굴곡 위치가 상기 코너부(44)의 종단부에 대한 상기 차량 전후 방향 후방의 위치로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로커(20)의 굴곡 위치는 상기 패치(70)에 대한 상기 차량 전후 방향 후방의 위치로서 설정된다. 그 결과,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후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3벌크부재(76)는 상기 접합 영역 A의 접합부(52A)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술된 모멘트로 인하여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코너부(44)의 종단부에 발생되는 모멘트 하중이 상기 접합부(52A)에 의해서도 상기 제3벌크부재(76)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20)가 상기 코너부(44)의 종단부에서 굴곡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싯(60)의 본체벽부(60A)의 후단부에는 상기 변형 기점부(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술된 모멘트가 상기 거싯(60)에 작용하면, 상기 거싯(60)이 상기 변형 기점부(64)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붕괴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 그러므로, 상기 거싯(60)에 입력되는 충돌 하중이 상기 거싯(60)의 변형을 통해 흡수되므로, 상기 로커 외측 RF(22)에 입력되는 모멘트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첨언하면, 상기 프론트 필러(40)가 붕괴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거싯(60)이 변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거싯(60)이 전혀 변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프론트 필러(40)로부터 상기 거싯(60)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의 상면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상기 로커(20)가 굴곡되어,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후퇴량이 결국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변형 기점부(64)가 상기 거싯(60)의 본체벽부(60A)에 형성되어, 상기 로커(20)의 변형에 앞서 상기 거싯(60)을 변형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로커(20)가 굴곡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후퇴량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는 쪽으로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 플랜지부(72A) 및 상기 하부 플랜지부(72B)는 상기 제1벌크부재(72)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부(72A) 및 상기 하부 플랜지부(72B)는 각각 상기 로커 외측 RF의 상벽부(22B) 및 하벽부(22C)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부(74A) 및 상기 하부 플랜지부(74B)는 상기 제2벌크부재(74)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부(74A) 및 상기 하부 플랜지부(74B)는 각각 상기 로커 외측 RF의 상벽부(22B) 및 하벽부(22C)에 접합되어 있다. 즉, 상기 로커 외측 RF의 상벽부(22B) 및 하벽부(22C)는 상기 제1벌크부재(72) 및 상기 제2벌크부재(74)에 의해서도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벽부(22B) 및 하벽부(22C)는 상기 제1벌크부재(72) 및 상기 제2벌크부재(74)에 의해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20)가 그 선단부에서 굴곡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에서의 후단부(66)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1벌크부재(72)와 상기 제2벌크부재(7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제1벌크부재(72)와 제2벌크부재(74)에 의해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의 후단부(66)가 지지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상기 제1벌크부재(72) 및 상기 제2벌크부재(74)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거싯(60)을 연속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보다 상기 차량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거싯(60)과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 간의 접합부가 상기 제1벌크부재(72)와 상기 제2벌크부재(74)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접합부를 피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벌크부재(72) 및 상기 제2벌크부재(74)가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코너부(44)의 종단부에 설정되는 상기 접합 영역 A의 접합부(52A)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2벌크부재(74)와 상기 제3벌크부재(7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상기 제2벌크부재(74) 및 상기 제3벌크부재(76)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거싯(60)과 상기 코너부(44)를 연속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보다 상기 차량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제2벌크부재(74)와 상기 제3벌크부재(76) 사이에 다른 부재 등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부재 등을 피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3벌크부재(7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상부 플랜지부(74A)(상부 플랜지부(76A)) 및 상기 하부 플랜지부(74B)(하부 플랜지부(76B))는 상기 제2벌크부재(74)(제3벌크부재(76))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74A)(상부 플랜지부(76A)) 및 상기 하부 플랜지부(74B)(하부 플랜지부(76B))는 각각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 및 하벽부(22C)에 접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 플랜지부(74A)(상부 플랜지부(76A)) 및 상기 하부 플랜지부(74B)(하부 플랜지부(76B))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저항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로커(20)가 굴곡되는 것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상기 제2벌크부재(74)(제3벌크부재(76))의 형상이 유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한편에 있는 상기 제1벌크부재(72), 상기 제2벌크부재(74), 및 상기 제3벌크부재(76)와 다른 한편에 있는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 사이에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패치(7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패치(70)에 의해 상기 제1벌크부재(72), 상기 제2벌크부재(74), 및 상기 제3벌크부재(76)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가 상기 패치(70)에 의해서도 보강된다. 따라서, 상기 로커(20)의 그 전단부에서의 굴곡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패치(70)의 양단부 모두는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굴곡되어 있고, 또한 상기 외측벽부(70B) 및 상기 내측벽부(70C)는 상기 패치(70) 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패치(70)의 굴곡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로커(20)의 그 전단부에서의 굴곡 강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힌지 RF(56)의 전벽부(56B)의 하단부는, 상기 필러 외측 RF(54)의 전벽부(54B)와 상기 로커(20)의 내측 로커 RF(30)의 전벽부(30D)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힌지 RF(56)의 하단부는 상기 내측 로커 RF(30)의 전벽부(30D)에 의해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부터 지지된다. 따라서, 미소 오버랩 충돌 시 상기 프론트 필러(40)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붕괴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첨언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접합"의 방법으로는 스폿 용접이 예시되어 있다. 하지만, "접합"의 처리는 아크 용접이나 레이저 용접 등의 다른 용접, 또는 접착을 통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는, 상기 거싯(60)의 저벽부가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차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그 대신, 상기 거싯(60)의 저벽부(60C)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싯(60)의 변형 기점부(64)는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 대각선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전방으로 노칭되어 있지만, 상기 변형 기점부(64)의 형상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변형 기점부(64)를 볼록부의 모양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 모멘트에 응답하여 상기 거싯(60)이 상기 변형 기점부(64)로부터 변형되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도 허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벌크부재(72), 상기 제2벌크부재(74), 및 상기 제3벌크부재(76)는 서로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1벌크부재(72), 상기 제2벌크부재(74), 및 상기 제3벌크부재(76)는 서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치(70)는, 한편으로 상기 제1벌크부재(72), 상기 제2벌크부재(74), 및 상기 제3벌크부재(76)와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로커 외측 RF(22)의 상벽부(22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패치(70)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부(70B) 및 상기 내측벽부(70C)는 상기 패치(70) 상에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외측벽부(70B) 및 상기 내측벽부(70C)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차량 측부 구조로서,
    차폭 방향의 차량 하부의 양측 각각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 - 상기 로커는 로커 외측 보강부(22) 및 로커 내측 패널로 구성되는 폐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22)는 측벽부, 상벽부 및 하벽부를 포함함 -;
    상기 로커의 전단부로부터 차량의 상하 방향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필러(40); 및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거싯(60) - 상기 거싯(60)은 본체벽부(60A)를 포함하고, 상기 차폭 방향은 상기 본체벽부(60A)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며, 상기 본체벽부(60A)는 상기 프론트 필러(40)에 접합되고, 상기 거싯(60)은 상기 본체벽부(60A)의 하단부에서 상기 차폭 방향의 내측으로 굴곡되는 저벽부(60C)를 포함하며, 상기 저벽부(60C)는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22)의 상기 상벽부(22B)의 상면에 접합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싯(60)의 상기 저벽부(60C)는, 상기 저벽부(60C)가 상기 차량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차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차량 측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거싯(60)의 상기 본체벽부(60A)의 외측면 및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22)의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이 동일 평면으로 배치되는 차량 측부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22)를 보강하는 전방 보강 부재가 상기 로커의 상기 전단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보강 부재는,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22)의 상기 상벽부(22B)와 함께 상기 거싯(60)의 상기 저벽부(60C)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차량 측부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도어 개구부의 모서리부를 구성하는 코너부는 상기 프론트 필러(40)의 상기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필러(40)와 상기 로커를 서로 접합하는 접합 영역은 상기 코너부의 종단부에 설정되며,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22)를 보강하는 후방 보강 부재는, 상기 전방 보강 부재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측 위치에서, 상기 로커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 보강 부재는, 상기 접합 영역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배치되는 차량 측부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와 상기 프론트 필러(40)가 서로 접합되는 영역은 상기 접합 영역의 접합부로서의 역할을 하고,
    상기 후방 보강 부재는 상기 접합부에 대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차량 측부 구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 하중에 따른 변형의 기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취약부가 상기 거싯(60)의 상기 본체벽부(60A)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차량 측부 구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보강 부재가,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22)의 상기 상벽부(22B)와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22)의 상기 하벽부를 서로 연결하는 차량 측부 구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보강 부재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는 한 쌍의 벌크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거싯(60)의 상기 저벽부(60C)의 상기 후단부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한 쌍의 벌크 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 측부 구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영역의 상기 접합부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전방 보강 부재와 상기 후방 보강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 측부 구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는 상기 전방 보강 부재 또는 상기 후방 보강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 및 상기 하부 플랜지부는,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22)의 상기 상벽부(22B) 및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22)의 상기 하벽부에 각각 접합되는 차량 측부 구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보강 부재 - 상기 상부 보강 부재는 상기 전방 보강 부재와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22)의 상기 상벽부(22B)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상부 보강 부재는 상기 후방 보강 부재와 상기 로커 외측 보강부(22)의 상기 상벽부(22B) 사이에 설치됨 -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측부 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강 부재는 그 두께 방향이 상기 차량의 상기 상하 방향과 일치하는 기다란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하방으로 굴곡되는 굴곡부가, 상기 차폭 방향의 상기 상부 보강 부재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차량 측부 구조.
KR1020167006627A 2013-09-17 2014-09-15 차량 측부 구조 KR101766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2126 2013-09-17
JP2013192126A JP5983570B2 (ja) 2013-09-17 2013-09-17 車両側部構造
PCT/IB2014/001825 WO2015040465A1 (en) 2013-09-17 2014-09-15 Vehicle sid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061A KR20160043061A (ko) 2016-04-20
KR101766749B1 true KR101766749B1 (ko) 2017-08-09

Family

ID=5184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627A KR101766749B1 (ko) 2013-09-17 2014-09-15 차량 측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55836B2 (ko)
EP (1) EP3046828B1 (ko)
JP (1) JP5983570B2 (ko)
KR (1) KR101766749B1 (ko)
CN (1) CN105555647B (ko)
WO (1) WO20150404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5986A1 (en) * 2020-10-01 2022-04-07 Subaru Corporation Vehicle bodyside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8087B2 (en) * 2013-03-26 2018-06-0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body side structure of automobile
JP6083423B2 (ja) * 2014-09-19 2017-02-2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6299705B2 (ja) * 2015-08-21 2018-03-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JP6211107B2 (ja) * 2016-01-14 2017-10-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US10661837B2 (en) * 2017-03-30 2020-05-26 Honda Motor Co., Ltd. Door hinge standoff structure
KR102383237B1 (ko) * 2017-06-29 2022-04-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JP6597730B2 (ja) * 2017-07-14 2019-10-3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US10730560B2 (en) 2018-11-09 2020-08-04 Honda Motor Co., Ltd. Suspended side sill reinforcement
KR102644571B1 (ko) * 2019-05-13 2024-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보강 장치
JP7259771B2 (ja) * 2020-01-08 2023-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DE102020003433B3 (de) 2020-06-08 2021-08-12 Daimler Ag Karosserietragstruktur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sowie Fahrzeug
JP7473878B2 (ja) 2020-08-06 2024-04-2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7351817B2 (ja) * 2020-09-04 2023-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
JP2023153598A (ja) 2022-04-05 2023-10-1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下部車体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8614B2 (ja) 1999-01-29 2004-02-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車体構造
JP2008189137A (ja) 2007-02-05 2008-08-21 Toyota Motor Corp 車体構造
JP2009061991A (ja) 2007-09-07 2009-03-26 Toyota Motor Corp 車体側部構造
JP2013169823A (ja) 2012-02-17 2013-09-02 Honda Motor Co Ltd 車体下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616Y2 (ko) * 1986-02-13 1991-03-25
US4944553A (en) * 1989-06-30 1990-07-31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reinforcing structure
JP2593944Y2 (ja) * 1992-11-11 1999-04-1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JP3478317B2 (ja) 1996-08-21 2003-12-1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ボデーの構造
JPH10226358A (ja) * 1997-02-14 1998-08-25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下部構造
JP3514116B2 (ja) 1998-06-01 2004-03-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2000211549A (ja) * 1999-01-26 2000-08-02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ロッカ前部構造
JP3969054B2 (ja) * 2001-10-25 2007-08-29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のピラー下部構造
KR100422558B1 (ko) * 2001-12-03 200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런트필러패널구조
JP4894629B2 (ja) * 2007-05-29 2012-03-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ロッカー補強構造
JP5573608B2 (ja) * 2010-11-04 2014-08-20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シル部構造
JP5862064B2 (ja) 2011-06-15 2016-02-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5891827B2 (ja) * 2012-02-08 2016-03-23 マツダ株式会社 車体の下部車体構造
CN104114438B (zh) * 2012-02-13 2016-09-2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身下部构造
CN105164005B (zh) 2013-03-26 2017-10-1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汽车的前柱下部结构
JP6156258B2 (ja) * 2014-06-03 2017-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6185437B2 (ja) * 2014-07-18 2017-08-23 トヨタ自動車九州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6102869B2 (ja) * 2014-09-19 2017-03-2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ドア取付部構造及びドア取付部製造方法
DE102014114102B4 (de) * 2014-09-29 2023-01-1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es sowie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8614B2 (ja) 1999-01-29 2004-02-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車体構造
JP2008189137A (ja) 2007-02-05 2008-08-21 Toyota Motor Corp 車体構造
JP2009061991A (ja) 2007-09-07 2009-03-26 Toyota Motor Corp 車体側部構造
JP2013169823A (ja) 2012-02-17 2013-09-02 Honda Motor Co Ltd 車体下部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5986A1 (en) * 2020-10-01 2022-04-07 Subaru Corporation Vehicle bodyside structure
US11654969B2 (en) * 2020-10-01 2023-05-23 Subaru Corporation Vehicle bodysid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55836B2 (en) 2017-01-31
EP3046828A1 (en) 2016-07-27
US20160194032A1 (en) 2016-07-07
KR20160043061A (ko) 2016-04-20
WO2015040465A1 (en) 2015-03-26
EP3046828B1 (en) 2018-03-14
JP5983570B2 (ja) 2016-08-31
CN105555647A (zh) 2016-05-04
JP2015058749A (ja) 2015-03-30
CN105555647B (zh) 201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749B1 (ko) 차량 측부 구조
KR101763793B1 (ko) 차체 전부(前部) 구조
US9266568B2 (en) Vehicle body lower section structure
JP6256519B2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5487236B2 (ja) 自動車の車体側部構造
JP5481005B2 (ja) 車両用バンパービームのもぐり込み防止部材
US10836436B2 (en)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JP2008189137A (ja) 車体構造
JP7115414B2 (ja) 車両前部構造
JP4200907B2 (ja) 車両用フード構造
JPWO2018016174A1 (ja) 車体前部構造
JP2006282106A (ja) 車体骨格の補強構造
CN109204459B (zh) 车身后部结构
JP2007196748A (ja) 車両用サイドシルの補強構造
JP6155228B2 (ja) 車両のバンパビーム構造
JP5803790B2 (ja) 車体構造
JP2012162108A (ja) 車両前部構造
CN110341801B (zh) 车辆骨架构造
JP2009166718A (ja) 車体前部構造
WO2012098630A1 (ja) 車体側部構造
JP6543296B2 (ja) 車体前部構造
JP2019014373A (ja) 車体後部構造
JP5480324B2 (ja) 自動車の車体側部構造
JP6642480B2 (ja) サイドメンバ先端部構造
CN113173139A (zh) 车辆的车身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