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172B1 - 부품실장장치 - Google Patents

부품실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172B1
KR101749172B1 KR1020110026935A KR20110026935A KR101749172B1 KR 101749172 B1 KR101749172 B1 KR 101749172B1 KR 1020110026935 A KR1020110026935 A KR 1020110026935A KR 20110026935 A KR20110026935 A KR 20110026935A KR 101749172 B1 KR101749172 B1 KR 101749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nnector
power supply
component mounting
feeder b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306A (ko
Inventor
다이스케 타카하시
히데오 나카야마
켄지 우치야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8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절한 타이밍으로 전원 스위치를 자동으로 ON/OFF할 수 있는 부품공급부를 구비한 부품실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피더뱅크(22)의 기대(基臺 : 23)의 배면에, 피더뱅크(22)에 대한 전력공급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팅 커넥터(29)를 설치하고, 기대(23)를 파지(把持)하여 고정하기 위한 파지기구(7)에 플로팅 커넥터(29)와 접속가능한 커넥터(75)를 설치한다.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는, 파지기구(7)에 의해 기대(23)를 파지하였을 때 접속된다. 이때,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간의 접속 및 접속의 해제를, 피더뱅크 전원을 OFF로 한 상태에서 수행하는 동시에,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를 접속한 후에 피더뱅크 전원을 ON으로 하도록 전력공급원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부품실장장치{COMPONENT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부품공급부로부터 전자부품 등의 부품을 공급하여 기판상에 장착하는 부품실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부품실장장치로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피더뱅크마다 테이프 피더의 교환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일괄 교환 캐리지를 이용하여 복수의 테이프 피더를 일괄 교환한다.
도 16은 종래의 부품실장장치(101)의 부품실장부(101A)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7은 종래의 부품실장장치(101)에, 일괄 교환 캐리지(102A)와 부품실장부(101A)의 세팅위치(M1)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부품실장장치(101)는, 부품실장부(101A)와, 테이프 피더(103)가 재치(載置)된 일괄 교환 캐리지(102A)로 이루어지는 부품공급유닛(102)으로 구성되며, 부품실장부(101A)에 부품공급유닛(102)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일괄 교환 캐리지(102)를 세팅위치(M1)에 삽입한다. 이때, 일괄 교환 캐리지(102)의 기대(基臺 :123)가 부품실장부(101A)의 고정판(171)과 상승가동판(172)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 후, 상승 가동판(172)을 상승시켜 피더뱅크(122)를 들어올림으로써, 위치결정 핀(123a)을 고정판(171)의 가이드 구멍(171a)에 삽입하고, 기대(基臺 : 123)를 고정판(171)과 가동판(172)의 사이에 끼워 피더뱅크(122)를 고정한다.
도 18은 피더뱅크(122)의 아래에 설치된 플로팅 커넥터(129)와, 세팅위치(M1)에 설치된 커넥터(175)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로팅 커넥터(129) 및 커넥터(175)는, 끼움결합시에 위치결정 핀(G3)과 가이드 구멍(D4)에 의해 위치결정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피더뱅크(122)의 상승·고정시에 자동으로 접속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244183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부품실장장치에서는, 피더뱅크(122)의 상승시에 커넥터가 자동으로 접속될 뿐이기 때문에, 잘못하여 전원 스위치가 ON 상태인 채로 커넥터를 접속하거나 분리할 우려도 있다. 이러한 경우, 커넥터 접점에서의 아크(ARC) 등의 발생으로 인해 접점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접촉시의 채터링에 의한 전압변동의 영향으로 인해 회로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하기 때문에, 장치의 안전성에 있어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적절한 타이밍으로 전원스위치를 자동으로 ON/OFF할 수 있는 부품공급부를 구비한 부품실장장치를 제공하며 안전성의 향상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관한 부품실장장치는, 부품실장부와 상기 부품실장부의 소정의 세팅위치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부품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부품을 기판상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는 부품실장장치로서, 상기 부품실장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공급부의 일부를 파지(把持)함으로써 상기 부품공급부를, 부품공급을 수행하는 소정의 작업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파지체와, 상기 부품공급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공급부로의 전력의 공급을 수행하는 전력공급선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기와, 상기 파지체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공급부를 파지하였을 때 상기 접속기에 접속되는 피(被)접속기와, 상기 접속기와 상기 피접속기 간의 접속 및 접속의 해제를, 상기 전력공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수행하도록, 전력공급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수단과, 상기 세팅위치에 장착된 상기 부품공급부를 상기 파지체에 의해 파지한 후, 상기 부품공급부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부품공급부가 상기 작업위치에 세팅되어 있음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제어수단은, 상기 검지수단에 의해 상기 부품공급부가 상기 작업위치에 세팅되어 있음이 검지되었을 때 전력공급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력공급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전력공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접속기와 피접속기 간의 접속 및 접속의 해제를 수행하기 때문에, 커텍터 접점에서의 아크 등의 발생으로 인해 접점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접촉시의 채터링에 의한 전압변동의 영향으로 인해 회로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접속기와 피접속기를 접속시킨 후에 전력공급을 자동으로 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기와 피접속기를 접속시킨 후에 작업자가 전력공급을 개시하기 위한 조작(전원 스위치의 ON 조작 등)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즉, 부품공급부를 부품실장부에 세팅하는 경우에는, 세팅위치에서 부품공급부를 파지체에 의해 파지하여 접속기와 피접속기를 접속시킨 후, 액추에이터를 작동상태로 하여 부품공급부를 작업위치까지 이동시켜, 부품공급부가 상기 작업위치에 세팅되었음을 검지함에 따라 전력공급이 개시된다. 따라서, 반드시 통전(通電)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기와 피접속기를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기와 피접속기를 접속시킨 후에 전력공급을 개시할 수가 있다.
또한, 부품공급부를 부품실장부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부품공급부를 작업위치로부터 세팅위치를 향해 이동시켰을 때, 전력공급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고, 그 후에 세팅위치에서 부품공급부와 파지체를 분리함으로써 접속기와 피접속기 간의 접속이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력공급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므로, 작업자가 전원의 차단을 잊어버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반드시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기와 피접속기 간의 접속해제를 수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청구항 2에 관한 부품실장장치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수단은,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개시 후, 상기 검지수단에 의해 상기 부품공급부가 상기 작업위치에 세팅되어 있음이 검지되었을 때, 전력공급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력공급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액추에이터의 작동개시 후에 검지수단에 의해 부품공급부가 상기 작업위치에 세팅되어 있음을 검지하는 것을, 전력공급개시의 조건으로 하기 때문에, 검지수단이 작업위치에 존재하는 부품공급부 이외의 물체를 검지하는 등으로 인해 전력공급이 잘못 이루어지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관한 부품실장장치는, 부품실장부와 상기 부품실장부의 소정의 세팅위치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부품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부품을 기판상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는 부품실장장치로서, 상기 부품실장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공급부의 일부를 파지함으로써 상기 부품공급부를, 부품공급을 수행하는 소정의 작업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파지체와, 상기 부품공급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공급부로의 전력의 공급을 수행하는 전력공급선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기와, 상기 파지체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공급부를 파지하였을 때 상기 접속기에 접속되는 피접속기와, 상기 접속기와 상기 피접속기 간의 접속 및 접속의 해제를, 상기 전력공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수행하도록, 전력공급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수단과, 상기 세팅위치에 장착된 상기 부품공급부를 상기 파지체에 의해 파지한 후, 상기 부품공급부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접속기와 상기 피접속기 간의 접속상태를 검지하는 접속상태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제어수단은,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개시 후, 상기 접속상태 검지수단에 의해 상기 접속기와 상기 피접속기가 접속상태임이 검지되었을 때, 전력공급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력공급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부품공급부를 부품실장부에 세팅하는 경우에는, 세팅위치에서 부품공급부를 파지체에 의해 파지하여 접속기와 피접속기를 접속하였을 때, 이것을 검지하고 나서 전력공급이 개시된다. 따라서, 반드시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기와 피접속기를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기와 피접속기를 접속시킨 후에 전력공급을 개시할 수가 있다.
또한, 부품공급부를 부품실장부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부품공급부를 작업위치로부터 세팅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정지시켰을 때, 전력공급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고, 그 후, 세팅위치에서 부품공급부와 파지체를 분리함으로써 접속기와 피접속기 간의 접속이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력공급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므로, 작업자가 전원의 차단을 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어, 반드시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기와 피접속기 간의 접속을 해제할 수가 있다.
더욱이, 청구항 4에 관한 부품실장장치는,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수단은,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개시 후, 상기 접속상태 검지수단에 의해 상기 접속기와 상기 피접속기가 접속상태임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 후에, 전력공급을 개시하도록 상기 전력공급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부품공급부를 부품실장부에 세팅하는 경우에는, 접속기와 피접속기를 접속하고 나서 전력공급이 개시되기까지의 동안에, 지연시간을 확실히 마련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접속기와 피접속기 간의 접속을 수행할 때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관한 부품실장장치는, 청구항 1~4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 및 상기 피접속기 중 어느 한쪽의 접속포트가 상방향을 향하고, 다른 쪽의 접속포트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품공급부가 상기 부품실장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한쪽의 접속포트의 상면을 덮으며, 상기 부품실장부에 대한 상기 부품공급부의 탈부착에 따라 개폐되는 가동식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부품공급부가 부품실장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커버에 의해 접속포트의 상면을 덮으므로, 접속포트에 이물(異物)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포트에 이물이 낙하하여 방치된 상태에서 접속기와 피접속기 간의 접속을 수행함에 따른 쇼트(short)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부품실장부에 대한 부품공급부의 탈부착에 따라 상기 커버를 개폐시키기 때문에, 부품공급부의 장착시에는, 커버를 개방상태로 하여 커버가 커넥터 접속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공급부의 분리시에는, 커버를 폐쇄상태로 하여 커넥터 상에 이물이 낙하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기와 피접속기 간의 접속 및 접속의 해제를, 전력공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수행하므로, 커넥터 접점에서의 아크 등의 발생으로 인해 접점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접촉시의 채터링에 의한 전압변동의 영향으로 인해 회로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접속기와 피접속기를 접속시킨 후에 전력공급을 자동으로 개시하므로, 작업자에 의한 전원 스위치 등의 조작이 불필요해진다.
이와 같이, 안전성을 향상시킨 부품실장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부품실장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부품실장장치에 대한 부품공급유닛 세팅위치(M1)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피더뱅크와 파지기구의 배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피더뱅크 전원의 ON/OFF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제어수단의 회로도이다.
도 5는 피더뱅크 부착시의 타이밍챠트이다.
도 6은 피더뱅크 부착시의 커넥터 미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피더뱅크 부착시의 커넥터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피더뱅크 분리시의 타이밍챠트이다.
도 9는 피더뱅크 분리시의 커넥터 미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피더뱅크와 파지기구의 배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피더뱅크 전원의 ON/OFF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제어수단의 회로도이다.
도 12는 피더뱅크 부착시의 커넥터 미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피더뱅크 부착시의 타이밍챠트이다.
도 14는 피더뱅크 부착시의 커넥터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피더뱅크 분리시의 타이밍챠트이다.
도 16은 종래의 부품실장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부품실장장치의 일괄 교환 캐리지와 부품실장부 측의 세팅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커넥터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형태)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부품실장장치(1)의 부품실장부(1A)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부품실장장치(1)의 부품공급유닛(2)의 세팅위치(M1)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로서, 부품공급유닛(2)과 부품실장부(1A)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부품실장장치(1)는 부품실장부(1A)와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부품공급유닛(2)을 구비하고, 부품공급유닛(2)이 부품실장부(1A)의 세팅위치(M1)와 분리·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품공급유닛(2)은 하나 이상의 테이프 피더(3)를 일괄 교환 캐리지(2A)에 재치(載置)하여 부품실장장치(1)에 테이프 피더(3)를 장착하는 것이다.
부품실장부(1A)에는, 외측을 덮는 케이스(6)의 내부에, 소정의 부품공급위치에서 부품을 보유하며 소정의 탑재위치에서 해방시키는 탑재헤드와, 상기 탑재헤드를 X-Y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 및 기판을 실장위치까지 반송하고 실장종료 후에 반출하는 기판반송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부품실장장치와 같은 구성이므로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 11은 기판의 반입포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부품공급유닛(2)은, 일괄 교환 캐리지(2A)를 이용하여 복수의 테이프 피더(3)를 일괄 교환하는 것으로서, 하단부에 설치된 캐스터(21a)에 의해 바닥면 위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캐리어(21)와, 복수의 테이프 피더(3)를 위치결정하여 고정보유하는 피더뱅크(22)와, 테이프 피더(3)에 대하여 전원의 공급이나 전기신호의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배전(配電)블록(28)과, 배전블록(28)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부품실장부(1A) 측에 접속하는 플로팅 커넥터(29)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피더뱅크(22)는 기대(基臺 : 23) 상에 복수의 테이프 피더(3)를 병렬로 한데모아 고정 보유하는 것이다.
기대(基臺 : 23)에는, 위치결정 핀(23a)과, 가이드 구멍(23b,2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대(23)는 가이드 구멍(23b)에, 캐리어(21)에 설치된 가이드 축(21b)이 관통삽입된 상태에서 캐리어(21)상에 재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축(21b)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테이프 피더(3)에는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34)이 뻗어 있으며, 캐리어(21)의 배면(背面)측에 설치된 배전블록(28)에 커넥터(도시생략)를 통해 접속된다. 또, 기대(23)의 배면측에는, 접속포트가 하방을 향하게 배치된 플로팅 커넥터(29)가 설치되어 있다. 플로팅 커넥터(29)는 부품실장부(1A)에 설치된 후술하는 커넥터(75)에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피더뱅크(22)에 전원, 신호 등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로팅 커넥터(29)는 배전블록(28)에 배선(28a)에 의해 배선접속된다.
부품실장부(1A)의 세팅위치(M1)에는, 피더뱅크(22)의 기대(23)의 일부를 파지하여 고정하기 위한 파지기구(7)와, 피더뱅크(22) 아래의 플로팅 커넥터(29)에 접속되는 커넥터(75)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75)는, 피더뱅크(22)가 부품실장부(1A)로부터 전원, 신호, 공기 등을 받기 위한 것으로서, 그 접속포트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파지기구(7)는, 피더뱅크(22)의 기대(23)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고정판(71)과, 승강구동하여 기대(23)를 고정판(71)과의 사이에 파지하여 고정하는 가동판(72)과, 부품실장부(1A)에 설치된 상승 스위치(15)의 ON/OFF에 따라 가동판(72)을 승강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73)로 구성된다. 액추에이터(73)는 상승 스위치(15)가 OFF에서 ON으로 전환됨에 따라 작동(상승) 개시상태가 되고, 상승 스위치(15)가 ON에서 OFF로 전환됨에 따라 비작동(하강) 개시상태가 된다.
고정판(71)에는, 기대(23)의 위치결정 핀(23a)이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7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판(72)에는, 기대(23)의 가이드 구멍(23c)에 삽입되는 위치결정 핀(72a)이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75)는 가동판(72)에 개설(介設)부재(74)를 통해 부착되어 있으며, 가동판(72)의 승강이동에 따라 마찬가지로 승강이동한다.
또, 부품실장부(1A)의 세팅위치(M1)에는, 커넥터(75)의 접속포트의 상면을 덮도록, 후술하는 가압부재를 사이에 두고 가동식 커버(76)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부품실장부(1A)에는, 피더뱅크(22)가 상승하여 고정되었음을 검지하기 위한 근접센서인 상승검지센서(77)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피더뱅크(22)와 파지기구(7)의 세팅시의 배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품공급유닛(2)을 부품실장부(1A)의 세팅위치(M1)에 삽입하였을 때, 피더뱅크(22)의 배면이 커버(76)에 맞닿는다. 이때, 피더뱅크(2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76)를 가압부재(76a)에 의해 가압하는 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눌러 이동시킴으로써,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가 대향되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상태에서, 상승 스위치(15)를 ON으로 하여 액추에이터(73)를 작동시키면 가동판(72)이 상승하여 가동판(72)의 상면이 기대(23)의 하면에 맞닿는다.
이때, 가동판(72)의 위치결정 핀(72a)이 기대(23)의 가이드 구멍(23c)에 삽입되는 동시에,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가 접속된다.
그리고, 그대로 가동판(72)을 상승시켜 피더뱅크(22)를 가이드 축(21b)을 따라 들어올리면, 기대(23)의 위치결정 핀(23a)이 고정판(71)의 가이드 구멍(71a)에 삽입되어, 기대(23)는 고정판(71)과 가동판(72)의 사이에 끼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세팅위치(M1)에 장착된 피더뱅크(22)는 액추에이터(73)에 의해 부품공급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위치, 즉, 기대(23)의 상면이 고정판(71)의 하면에 맞닿는 상승 스트로크의 상한위치까지 상승한다. 이때, 세팅위치(M1)에서 기대(23)가 고정판(71)과 가동판(72)에 의해 파지되었을 때,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가 자동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상승검지센서(77)는 피더뱅크(22)가 작업위치에 세팅되어 있음을 검지하는 것으로서, 피더뱅크(22)가 작업위치에 세팅되어 있을 때 ON신호, 피더뱅크(22)가 작업위치에 세팅되어 있지 않을 때 OFF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더뱅크(22)가 부품실장부(1A)에 세팅되어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가 접속된 후에, 피더뱅크(22)의 전원이 자동으로 ON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피더뱅크 전원의 ON/OFF를 수행하는 전원제어수단의 회로도이다.
피더뱅크 전원의 ON/OFF 제어용 회로는, 2입력의 AND회로(41)로 구성된다. AND회로(41)는 상승 스위치(15)의 ON/OFF신호와, 상승검지센서(77)의 ON/OFF신호를 입력하여, 피더뱅크 전원의 ON/OFF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즉, 피더뱅크 전원은, 상승 스위치(15)와 상승검지센서(77)의 신호가 모두 ON인 경우에 ON이 되고, 적어도 한쪽의 신호가 OFF인 경우에는 OFF가 된다.
또한, 부품공급유닛(2)이 부품공급부에 대응되고, 파지기구(7)가 파지체에 대응되며, 케이블(34)이 전력공급선에 대응되고, 플로팅 커넥터(29)가 접속기에 대응되며, 커넥터(75)가 피접속기에 대응되고, 상승검지센서(77)가 검지수단에 대응되며, AND회로(41)가 전원제어수단에 대응된다.
(동작)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부품실장장치(1)의 부품실장부(1A)에 피더뱅크(22)를 세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승 스위치(15)와 상승검지센서(77)의 신호는 모두 OFF상태이기 때문에, 피더뱅크 전원은 OFF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때, 커넥터(75)의 상면이 커버(76)에 의해 덮인 상태로 되어 있어, 커넥터(75)상에 이물 등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피더뱅크(22)를 세팅할 경우에는, 먼저, 피더뱅크(22)상에 테이프 피더(3)를 장착한 일괄 교환 캐리지(2A)를, 부품실장부(1A)의 세팅위치(M1)에 삽입한다. 이때, 피더뱅크(22)를 삽입함으로써 커넥터(75)상의 커버(76)를 눌러 상기 커버(76)를 개방한다. 그리고, 플로팅 커넥터(29)가 커넥터(75)와 대향배치되는 위치까지 피더뱅크(22)를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피더뱅크(22)를 상승·고정시키기 위하여, 도 5의 시각(t1)에서 상승 스위치(15)를 ON으로 한다. 이 시각(t1)에서는, 상승 스위치(15)의 신호는 ON이 되지만, 피더뱅크(22)는 상승·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상승검지센서(77)는 피더뱅크(22)를 검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승검지센서(77)의 신호는 OFF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시각(t1)에서는 피더뱅크 전원도 OFF상태를 유지한다.
도 6은 상승 스위치(15)를 ON으로 하였을 때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 스위치(15)를 ON으로 하면 가동판(72)이 상승하고, 가동판(72)의 위치결정 핀(72a)이 기대(23)의 가이드 구멍(23c)에 삽입되는 동시에,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가 접속된다. 이러한 커넥터 접속의 시각을 t2로 한다. 이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는 접촉상태가 되는데, 상승검지센서(77)의 신호는 OFF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피더뱅크 전원도 OFF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가 접속된 상태에서, 가동판(72)이 상승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23)의 위치결정 핀(23a)이 고정판(71)의 가이드 구멍(71a)에 삽입되어, 기대(23)는 고정판(71)과 가동판(72)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승검지센서(77)는 피더뱅크(22)가 상승·고정되었음을 검지한다. 이 시각을 t3으로 한다. 시각(t3)에서는 상승 스위치(15)의 신호와 상승검지센서(77)의 신호가 모두 ON상태가 되기 때문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더뱅크 전원이 ON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 스위치(15)와 상승검지센서(77)가 양측 모두 ON인 조건에서 피더뱅크 전원이 ON이 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 때문에, 피더뱅크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가동판(72)을 상승시켜, 반드시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를 접속할 수가 있다. 또한, 상승시에는, 피더뱅크(22)의 상승도중에 커넥터가 접속되고, 그 후, 상승 스트로크의 상한 부근에서 상승검지센서(77)가 ON되어 피더뱅크 전원이 ON되기 때문에, 반드시 커넥터 접속 후에 피더뱅크 전원을 ON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하강시에는, 작업자가 상승스위치(15)를 OFF로 함으로써 피더뱅크(22)를 하강시킨다. 이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t11)에서 상승스위치(15)가 OFF되면, 이와 동시에 피더뱅크 전원이 OFF되게 된다. 그 후에는 가동판(72)이 하강함에 따라 피더뱅크(22)도 하강하여, 시각(t12)에서 상승검지센서(77)가 OFF된다. 그리고, 가동판(72)이 더욱 하강하면,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가 분리된다.
이와 같이, 하강시에는 상승 스위치(15)가 OFF되는 동시에 피더뱅크 전원을 OFF로 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를 분리할 수가 있다.
또한,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가 분리된 상태에서, 일괄 교환 캐리지(2)를 부품실장부(1A)의 세팅위치(M1)로부터 끌어내면, 커버(76)에 대한 피더뱅크(22)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76)는 가압부재(76a)에 의해 원래의 커넥터(75)의 상면을 덮는 위치로 되돌아온다.
(효과)
이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반드시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의 접속 및 분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접점에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접촉시의 채터링에 의한 전압변동의 영향을 회로에 주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인 동작을 제공할 수가 있다.
더욱이, 피더뱅크가 상승·고정되었을 때 피더뱅크에 전원이 자동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한 전원 스위치의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또한, 피더뱅크가 하강하였을 때 피더뱅크에 대한 전원의 공급이 자동으로 정지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전원의 차단을 잊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의 확보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 부품실장부측에 설치된 상향구조의 커넥터에 커버를 설치하기 때문에, 커넥터상에 이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물이 낙하하는 상태에서 커넥터를 접속시킴에 따라 쇼트 등이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커버를, 일괄 교환 캐리지(2A)의 탈부착시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일괄 교환 캐리지의 장착시에는 커버를 개방상태로 하여 커버가 커넥터 접속의 방해가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일괄 교환 캐리지(2A)의 분리시에는 커버를 폐쇄상태로 하여 커넥터 상에 이물이 낙하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본 제 2 실시형태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승 스위치(15)의 신호와 상승검지센서(77)의 신호를 이용하여 피더뱅크 전원을 ON/OFF 제어하는 데 대하여, 상승스위치(15)와 커넥터 접속상태를 이용하여 피더뱅크 전원을 ON/OFF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구성)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피더뱅크(22)와 파지기구(7)의 배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부품실장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상승검지센서(77)를 삭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피더뱅크(22)가 부품실장부(1A)에 세팅되어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가 접속된 후, 피더뱅크(22)의 전원이 자동으로 ON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피더뱅크 전원의 ON/OFF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제어수단의 회로도이다.
피더뱅크 전원의 ON/OFF 제어용 회로는, AND회로(42)와, 지연회로(43)와, 피더뱅크 유무 검지회로(44)로 구성되어 있다.
AND회로(42)에는, 상승 스위치(15)의 ON/OFF 신호와, 지연회로(43)의 출력신호가 입력된다. 지연회로(43)는, 피더뱅크 유무 검지회로(44)의 신호를 소정의 지연시간을 두고 출력하는 회로이다. 여기서, 피더뱅크 유무 검지회로(44)는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가 접속상태일 때 ON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가 비접속상태일 때 OFF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즉, 피더뱅크 전원은, 상승 스위치(15)가 ON상태일 때, 피더뱅크 유무 검지회로(44)의 신호가 ON상태가 되고 나서 상기 지연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ON된다.
또한, AND회로(42) 및 지연회로(43)가 전원제어수단에 대응되고, 피더뱅크 유무 검지회로(44)가 접속상태 검지수단에 대응된다.
(동작)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부품실장장치(1)에 피더뱅크(22)를 세팅하지 않은 상태에서 피더뱅크(22)를 세팅하는 경우에는, 먼저, 피더뱅크(22)상에 새로운 테이프 피더(3)를 장착한 일괄 교환 캐리지(2A)를 부품실장장치(1)의 세팅위치(M1)에 삽입한다. 이때, 피더뱅크(22)를 삽입함으로써 커버(76)를 눌러 상기 커버(76)를 개방한다. 그리고, 플로팅 커넥터(29)가 커넥터(75)와 대향배치되는 위치까지 피더뱅크(22)를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피더뱅크(22)를 상승·고정시키기 위해 상승 스위치(15)를 ON으로 한다.
이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는 비접속상태이기 때문에, 피더뱅크 유무 검지회로(44)의 신호(피더뱅크 유무신호)는, 피더뱅크(22)가 없음을 나타내는 OFF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승 스위치(15)를 ON으로 한 시각을 t21로 하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t21)에서는 피더뱅크 전원은 OFF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가동판(72)이 상승하여 시각(t22)에서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가 접속되면, 피더뱅크 유무신호는 피더뱅크(22)가 있음을 나타내는 ON상태로 전환된다. 그런데, 이때, 피더뱅크 유무 검지회로(44)의 출력신호는, 지연회로(43)를 통해 AND회로(42)로 입력되기 때문에, 상기 시각(t22)에서는 피더뱅크 전원은 OFF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시각(t22)으로부터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한 시각(t23)에서, 지연회로(43)의 출력신호가 ON되어 피더뱅크 전원이 ON상태로 전환된다. 이때의 상태도를 도 14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승시에는 피더뱅크(22)의 상승 도중에 커넥터가 접속됨에 따라, 피더뱅크 유무신호가 ON된다. 피더뱅크 유무신호는 지연회로(43)를 통해 AND회로(42)에 입력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피더뱅크 유무신호가 ON상태가 된 후, 뒤늦게 피더뱅크 전원이 ON된다. 따라서, 반드시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 접속이 이루어지고, 커넥터 접속 후에 전원을 공급할 수가 있다.
또한, 하강시에는, 작업자가 상승 스위치(15)를 OFF로 함으로써 피더뱅크(22)를 하강시킨다. 이 경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t31)에서 상승 스위치(15)가 OFF되면, 그와 동시에 피더뱅크 전원이 OFF되게 된다. 이때의 상태도는 도 11과 같다. 그 후에는 가동판(72)이 하강함에 따라 피더뱅크(22)도 하강하여, 시각(t32)에서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렇게 되면 그와 동시에 피더뱅크 유무신호가 OFF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강시에는 상승 스위치(15)가 OFF되는 동시에 피더뱅크 전원을 OFF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를 분리할 수가 있다.
(효과)
이와 같이,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의 접속 및 분리를 수행할 수가 있다. 또, 커넥터 접속 후에 피더뱅크에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피더뱅크 전원의 ON/OFF제어에 상승 스위치의 신호와 커넥터 접속상태를 검지하는 피더뱅크 유무 검지회로의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상승검지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그만큼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변형예)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승 스위치(15)의 신호와 상승검지센서(77)의 신호를 이용하여 피더뱅크 전원의 ON/OFF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상승검지센서(77)의 신호만 이용하여 피더뱅크 전원의 ON/OFF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승검지센서(77)가 ON상태일 때 피더뱅크 전원을 ON으로 하고, 상승검지센서(77)가 OFF상태일 때 피더뱅크 전원을 OFF로 하도록 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피더뱅크 상승시에는 상승도중에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가 접속된 후, 피더뱅크(22)가 더욱 상승하여 작업위치에서 고정되었을 때 피더뱅크 전원이 ON되게 된다. 또, 피더뱅크 하강시에는, 피더뱅크(22)가 하강하여 작업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피더뱅크 전원이 OFF되고, 그 후, 피더뱅크(22)가 더욱 하강하고 나서 플로팅 커넥터(29)와 커넥터(75)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반드시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의 분리 및 접속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피더뱅크 유무 검지회로(44)의 출력신호를, 지연회로(43)를 통해 AND회로(42)에 입력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지연회로(43)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넥터가 접속되어 피더뱅크 유무신호가 ON된 후, 관련회로의 지연에 의해 뒤늦게 피더뱅크 전원이 ON되게 된다. 따라서, 반드시 커넥터 접속 후에 뒤늦게 통전시킬 수가 있다. 단, 의도적으로 피더뱅크 유무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회로(42)를 설치하는 경우에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더욱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접속포트를 이물로부터 보호하는 가동식의 커버(76)를 커넥터(75)의 접속포트의 상방에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플로팅 커넥터(29)의 접속포트를 상방을 향하게 하고 커넥터(75)의 접속포트를 하방을 향하게 하여 배치하였을 경우에는, 플로팅 커넥터(29)의 접속포트의 상방에 상기 커버(76)와 같은 기능을 갖는 가동식 커버를 설치하도록 한다.
1 : 부품실장장치
1A : 부품실장부
2 : 부품공급유닛
2A : 일괄 교환 캐리지
3 : 테이프 피더
15 : 상승 스위치
21 : 캐리어
21a : 캐스터
22 : 피더뱅크
23 : 기대(基臺)
29 : 플로팅 커넥터
41 : AND 회로
42 : AND 회로
43 : 지연회로
44 : 피더뱅크 유무 검지회로
7 : 파지(把持)기구
71 : 고정판
72 : 가동판
75 : 커넥터
76 : 커버
76a : 가압부재
77 : 상승검지센서
M1 : 세팅위치

Claims (5)

  1. 부품실장부와 상기 부품실장부의 소정의 세팅위치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부품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부품을 기판상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는 부품실장장치로서,
    상기 부품실장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공급부의 일부를 파지(把持)함으로써 상기 부품공급부를, 부품공급을 수행하는 소정의 작업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파지체와,
    상기 부품공급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공급부로의 전력공급을 수행하는 전력공급선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기와,
    상기 파지체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공급부를 파지하였을 때 상기 접속기에 접속되는 피접속기와,
    상기 접속기와 상기 피접속기 간의 접속 및 접속 해제를, 상기 전력공급을 정지한 상태에서 수행하도록, 전력공급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수단과,
    상기 세팅위치에 장착된 상기 부품공급부를 상기 파지체에 의해 파지한 후, 상기 부품공급부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OFF에서 ON으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승 개시상태로 하고, ON에서 OFF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하강 개시상태로 하는 상승 스위치와,
    상기 부품공급부가 상기 작업위치에 세팅되어 있음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으로서, 상기 부품공급부가 상기 작업위치에 세팅되어 있을 때 ON 신호, 상기 부품공급부가 상기 작업위치에 세팅되어 있지 않을 때 OFF 신호를 출력하는 검지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제어수단은, 상기 상승 스위치로부터의 출력이 ON, 상기 검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이 ON인 조건에서, 전력공급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력공급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장치.
  2. 부품실장부와 상기 부품실장부의 소정의 세팅위치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부품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부품을 기판상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는 부품실장장치로서,
    상기 부품실장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공급부의 일부를 파지함으로써 상기 부품공급부를, 부품공급을 수행하는 소정의 작업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파지체와,
    상기 부품공급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공급부로의 전력공급을 수행하는 전력공급선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기와,
    상기 파지체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공급부를 파지하였을 때 상기 접속기에 접속되는 피접속기와,
    상기 접속기와 상기 피접속기 간의 접속 및 접속 해제를, 상기 전력공급을 정지한 상태에서 수행하도록, 전력공급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수단과,
    상기 세팅위치에 장착된 상기 부품공급부를 상기 파지체에 의해 파지한 후, 상기 부품공급부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OFF에서 ON으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승 개시상태로 하고, ON에서 OFF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하강 개시상태로 하는 상승 스위치와,
    상기 접속기와 상기 피접속기 간의 접속상태를 검지하는 접속상태 검지수단으로서, 상기 접속기와 상기 피접속기가 접속되어 있을 때 ON 신호, 상기 접속기와 상기 피접속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 OFF 신호를 출력하는 접속상태 검지수단과,
    상기 접속상태 검지수단으로부터의 ON 신호 및 OFF 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
    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제어수단은, 상기 상승 스위치로부터의 출력이 ON, 상기 지연회로에 의해 지연된 상기 접속상태 검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이 ON인 조건에서, 전력공급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력공급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 및 상기 피접속기 중 어느 한쪽의 접속포트가 상방향을 향하고, 다른 쪽의 접속포트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품공급부가 상기 부품실장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한쪽의 접속포트의 상면을 덮으며, 상기 부품실장부에 대한 상기 부품공급부의 탈부착에 따라 개폐되는 가동식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10026935A 2010-03-26 2011-03-25 부품실장장치 KR101749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3069 2010-03-26
JP2010073069A JP5574778B2 (ja) 2010-03-26 2010-03-26 部品実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306A KR20110108306A (ko) 2011-10-05
KR101749172B1 true KR101749172B1 (ko) 2017-06-20

Family

ID=4466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935A KR101749172B1 (ko) 2010-03-26 2011-03-25 부품실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74778B2 (ko)
KR (1) KR101749172B1 (ko)
CN (1) CN1022024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0542B (zh) * 2012-03-12 2017-11-03 富士机械制造株式会社 元件安装机
KR102159476B1 (ko) * 2012-06-28 2020-09-23 유니버셜 인스트루먼츠 코퍼레이션 융통성 있는 조립 기계, 시스템 및 방법
JP6001372B2 (ja) * 2012-08-01 2016-10-05 Juki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フィーダ
CN104604360B (zh) * 2012-08-08 2017-10-24 重机自动化系统有限公司 安装装置、移动控制方法、带盒和基板的制造方法
JP6815116B2 (ja) * 2016-07-19 2021-01-20 Juki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装置
JP7285397B2 (ja) * 2019-07-12 2023-06-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
WO2023209946A1 (ja) * 2022-04-28 2023-11-02 株式会社Fuji フィーダ管理装置、部品装着機、およびフィー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4183A (ja) * 1999-02-22 2000-09-08 Juki Corp 部品搭載装置
JP2001156492A (ja) 1999-11-30 2001-06-08 Yamaha Motor Co Ltd 実装機のフィーダー交換装置
JP2005014242A (ja) 2003-06-23 2005-01-20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タ
JP2005224539A (ja) * 2004-02-16 2005-08-25 Olympia:Kk 遊技機
JP2010067679A (ja) 2008-09-09 2010-03-25 Panasonic Corp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パーツフィーダ交換用台車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979Y2 (ja) * 1989-08-29 1996-01-31 京セラ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カバーを備えた電子機器
JP2736234B2 (ja) * 1994-11-25 1998-04-02 ジューキ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
CN1066606C (zh) * 1995-08-21 2001-05-30 日幸工业株式会社 电气零件夹持器及其固定机构
CH691561A5 (fr) * 1997-05-30 2001-08-15 Ultra Prec Holding Sa Adapteur pour composants électroniques.
JPH11260501A (ja) * 1998-03-05 1999-09-24 Fujitsu Ltd ケーブルコネクタ
JPH11272359A (ja) * 1998-03-25 1999-10-08 Sharp Corp 電子機器用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4183A (ja) * 1999-02-22 2000-09-08 Juki Corp 部品搭載装置
JP2001156492A (ja) 1999-11-30 2001-06-08 Yamaha Motor Co Ltd 実装機のフィーダー交換装置
JP2005014242A (ja) 2003-06-23 2005-01-20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タ
JP2005224539A (ja) * 2004-02-16 2005-08-25 Olympia:Kk 遊技機
JP2010067679A (ja) 2008-09-09 2010-03-25 Panasonic Corp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パーツフィーダ交換用台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306A (ko) 2011-10-05
JP2011205021A (ja) 2011-10-13
CN102202489A (zh) 2011-09-28
JP5574778B2 (ja) 2014-08-20
CN102202489B (zh)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172B1 (ko) 부품실장장치
CN105555122B (zh) 部件安装装置
JP2006322918A (ja) 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テスト装置
JP2003051519A (ja) プローブカード搬送装置及びプローブカード搬送方法
JPWO2014136212A1 (ja) バックアップピン及びバックアップピン自動交換システム
KR20160031298A (ko) 모터 액추에이터 조립 장치를 위한 부품 연속 공급 모듈
MX2012011130A (es) Remocion de proteccion de radio-frecuencia universal.
JP2013062458A (ja) フィーダの取付構造
JP6449895B2 (ja) テープフィーダ保持装置
WO2006051643A1 (ja) 基板検査装置
JP2009231734A (ja) 表面実装機および表面実装機用の保護カバー
CN112154070B (zh) 清扫单元及印刷装置
JP4226716B2 (ja) 部品搭載装置
EP3468331B1 (en) Nozzle holding mechanism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JPH10321681A (ja) ウエハプローバ及びテストボードの交換方法
JP2011100893A (ja) 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方法
CN114451079B (zh) 基板支撑销设置用夹具、基板支撑销设置方法
CN212100894U (zh) 物料输送设备以及锁体盖的自动倒角设备
KR101683764B1 (ko) 교체용 노즐 안착 유니트 및 이를 갖는 부품 실장기용 노즐 교체 장치
JP2001201528A (ja) 配線基板等の導通試験装置
CN220455937U (zh) 自动测试工装
CN218631969U (zh) 具有保护功能的推动装置及上料设备
CN113846007B (zh) 一种核酸提取仪的磁棒套安装机构
CN219966986U (zh) 夹取装置及具有其的组装系统
WO2023067700A1 (ja) 基板のクランプ方法、作業装置及び作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