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398B1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398B1
KR101745398B1 KR1020147035803A KR20147035803A KR101745398B1 KR 101745398 B1 KR101745398 B1 KR 101745398B1 KR 1020147035803 A KR1020147035803 A KR 1020147035803A KR 20147035803 A KR20147035803 A KR 20147035803A KR 101745398 B1 KR101745398 B1 KR 101745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ase
cases
transmission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3869A (ko
Inventor
타다시 콘도
유이치 카토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1998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2439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199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243967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식부 미션 케이스의 배치와 식부 전동 케이스의 배치를 식부부의 좌우 중량 밸런스를 고려해 배치한 이앙기를 제공한다. 식부부(40)의 식부 프레임(49)을 구성하는 식부 지지 케이스(34)를 좌우 방향에 배치하고, 식부 지지 케이스(34)의 좌우 중앙 위치에 식부 미션 케이스(47)를 배치하고,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34)로부터 후방으로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를 배치하고,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에 9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44)를 배치하고, 9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44)의 각각에 식부날부(45)를 마련해 9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9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44) 중 진행 방향에 대해 왼쪽에서 네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46)에만 식부 회전 케이스(44)를 하나 배치했다.

Description

이앙기{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주행부의 후방에 식부부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한 이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부부에 식부조 간격을 좁힌 다수 조의 식부날부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장(圃場, 이하 '논밭'이라고 함)에의 비료 시비량을 억제해 비료를 억제함으로써 모종의 생육이 저하되는 만큼 모종을 많이 심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식부조 간격을 좁혀 일정한 수확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밀식(密植)식 이앙기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밀식식 이앙기에서는, 식부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지지 프레임이 걸쳐지고, 식부조의 수에 맞추어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식부 전동 케이스가 배치되고, 식부 전동 케이스의 좌우 양측에 식부 회전 케이스가 배치되고, 식부 회전 케이스에 한 쌍의 식부날 케이스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식부날 케이스는 식부날과 푸시 로드(push rod)를 갖고, 식부날 케이스, 식부날, 푸시 로드에 의해 식부날부가 구성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0-83419호 공보
그러나, 각 식부조마다 식부 전동 케이스, 식부 회전 케이스 및 식부날부를 구비하는 이앙기의 구성에서, 홀수조 식부의 이앙기의 경우, 식부 전동 케이스가 좌우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좌우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식부 전동 케이스가 식부 전동 케이스에 PTO 입력축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해 전달하는 식부 미션 케이스를 간섭하기 때문에, 이러한 식부 전동 케이스의 식부 미션 케이스에의 간섭을 회피할 필요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가 식부부의 좌우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좌우 대칭 형상으로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식부부 좌우의 중량 밸런스가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부 미션 케이스의 배치와 식부 전동 케이스의 배치를 식부부의 중량 밸런스를 고려하여 배치하여, 9조 식부와 8조 식부 등 홀수조 식부와 짝수조 식부를 동일한 부재로 구성할 수 있는 식부부를 구비한 이앙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청구항 1에 있어서는, 식부부의 식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식부 지지 케이스를 좌우 방향에 배치하고, 식부 지지 케이스의 좌우 중앙 위치에 식부 미션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로부터 후방으로 식부 전동 케이스를 복수 개 배치하고, 상기 식부 전동 케이스에 식부조의 수가 홀수가 되도록 식부 회전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식부조의 수가 홀수가 되도록 배치한 식부 회전 케이스의 각각에 식부날부를 마련해 홀수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식부조의 수가 홀수가 되도록 배치한 식부 회전 케이스 중, 진행 방향에 대해 좌우 어느 한쪽의 바깥쪽으로부터 두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에만 식부 회전 케이스를 하나 배치한다.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식부부의 식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식부 지지 케이스를 좌우 방향에 배치하고, 식부 지지 케이스의 좌우 중앙 위치에 식부 미션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로부터 후방으로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를 배치하고,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에 9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를 배치하고, 9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의 각각에 식부날부를 마련해 9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9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 중 진행 방향에 대해 왼쪽에서 네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에만 식부 회전 케이스를 하나 배치한다.
청구항 3에 있어서는, 식부부의 식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식부 지지 케이스를 좌우 방향에 배치하고, 식부 지지 케이스의 좌우 중앙 위치에 식부 미션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로부터 후방으로 4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를 배치하고, 4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에 7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를 배치하고, 7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의 각각에 식부날부를 마련해 7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7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 중 진행 방향에 대해 왼쪽에서 두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에만 식부 회전 케이스를 하나 배치한다.
청구항 4에 있어서는, 주행부의 후부에 승강 링크 기구를 개재해 식부부를 장착하고, 식부부의 식부 프레임에, 식부 미션 케이스와, 9조 식부분의 식부날부가 배치된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와, 9조 식부분의 모종 매트가 적재되는 묘판 적재대를 배치해 9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식부 프레임은, 좌우 방향에 배치되고, 좌우 중앙 위치에 식부 미션 케이스가 장착됨과 함께,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후방으로 돌출되어 장착되는 식부 지지 케이스와, 식부 지지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식부틀과,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식부부측 히치브래킷(hitch bracket)과, 상기 식부틀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식부부측 히치브래킷의 사이에 조절 장착부를 구성한다.
청구항 5에 있어서는, 상기 조절 장착부가 연결 플레이트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공과, 식부부측 히치브래킷에 형성되는 장착공과, 고정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이앙기에 있어서, 식부 미션 케이스와 식부 전동 케이스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장착 가능한 식부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식부부의 좌우 중량 밸런스가 무너지지 않아, 안정적인 식부부를 구비한 이앙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식부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식부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식부 미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연결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식부 회전 케이스와 식부날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식부 회전 케이스와 식부날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식부 회전 케이스와 식부날부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식부 회전 케이스와 식부날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식부 회전 케이스와 식부날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식부 회전 케이스와 식부날부의 평면도이다.
도 12은 식부 회전 케이스와 식부날부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식부 회전 케이스와 식부날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식부 회전 케이스와 식부날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식부 회전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식부날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식부날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7조 식부용 이앙기의 식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9조 식부용 이앙기의 식부 프레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8조 식부용 이앙기의 식부 프레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9조 식부용 선긋기 마커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8조 식부용 선긋기 마커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이용해 이앙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앙기(1)의 전진 방향(진행 방향)인 도면의 화살표 F로 가리키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화살표 U로 가리키는 방향을 상방이라고 하고, 화살표 L로 가리키는 방향을 좌측이라고 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부재의 위치나 방향 등의 기준으로 한다.
이앙기(1)는 주행부(10)와 식부부(40)를 갖고, 주행부(10)에 의해 주행하면서 식부부(40)에 의해 모종을 논밭에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식부부(40)는 주행부(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승강 링크 기구(30)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주행부(10)의 후부에 연결된다.
주행부(10)에서는, 전차축 케이스(16)가 차체 프레임(11)의 앞 부분에 지지되고, 전륜(12)이 상기 전차축 케이스(16)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다. 후차축 케이스(17)가 차체 프레임(11)의 후부에 지지되고, 후륜(13)이 상기 후차축 케이스(17)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다. 엔진(14)이 차체 프레임(11)의 앞 부분에 설치되고, 보닛(15)에 의해 덮여 있다. 그리고, 미션 케이스(18)가 차체 프레임(11)의 앞 부분에 지지되어, 엔진(14)의 후방에 배치된다.
주행부(10)에서는, 차체 프레임(11)의 전후 중간부 위에 운전 조작부(20)가 마련된다. 운전 조작부(20)의 앞 부분에는 대시보드(21)가 배치되고, 대시보드(21)의 좌우 중앙부에는 조향 핸들(24)이 배치되고, 조향 핸들(24)의 후방에는 운전석(22)이 배치되고, 운전석(22)의 하방에는 일부를 승강용 스텝으로 하는 차체 커버(23)가 배치된다. 상기 운전 조작부(20)에는 주변속 레버(25), 변속 페달(26), 브레이크 페달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구가 배치되고, 이들 조작구에 의해 주행부(10), 식부부(40)에 대해 적절히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 링크 기구(30)는 상부 링크(31), 하부 링크(32) 및 도시하지 않은 승강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링크(31)와 하부 링크(32)의 전단이 회동 프레임에 연결되고, 회동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11)의 사이에 승강 실린더가 개재되어 있어, 승강 실린더를 신축 구동함으로써 식부부(40)가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 링크 기구(30)의 상부 링크(31)와 하부 링크(32)의 후단에는, 식부부(40)측의 히치(33)가 연결된다. 히치(33)의 아래쪽 후부에는, 식부 프레임(49)의 좌우 중앙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요동 지지축(29)(도 4)이 베어링을 통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요동 지지축(29)이 식부부(40)의 좌우 기울어짐의 중심이 되어, 식부부(40)가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식부부(40)에 대해 설명한다. 식부부(40)는, 9조 식부분의 모종 매트 적재부가 좌우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는 묘판 적재대(41)와,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해 묘판 적재대(41)의 횡방향 이송 구동축(37), 종방향 이송 구동축(38) 및 식부 구동축(39)에 동력을 전달하는 식부 미션 케이스(47)와, 식부 구동축(39)으로부터 식부 회전 케이스(44·44…)에 동력을 전달하는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와, 이들을 지지하는 식부 프레임(49)과, 상기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로부터 9조 식부분의 식부날부(45·45…)로 동력을 전달하는 9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44·44…)와, 각 식부 회전 케이스(44·44…)에 배치되는 2개의 식부날부(45·45)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9조 식부 이앙기(1)를 구성한다.
상기 식부부(40)의 좌우 방향 거리 중심은 요동 지지축(29)에 위치하고, 식부부(40)의 좌우 방향 거리 중심 위치의 좌측에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무게 중심이 위치하도록 식부 미션 케이스(47)가 배치된다. 상기 식부 회전 케이스(44·44…)와 식부날부(45·45…)는 9조 식부분이 필요하므로, 식부 회전 케이스(44·44…)를 식부 전동 케이스(46·46…)의 좌우 양쪽에 마련하는 4개의 유니트와, 식부 회전 케이스(44)를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한쪽에만 마련하는 하나의 유니트로 이루어진다.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한쪽에만 마련하는 식부 회전 케이스(44)는,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쪽과 좌우 반대쪽에 배치한다. 즉, 진행 방향에 대해 왼쪽에서 네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우측에 식부 회전 케이스(44)를 배치한다. 환언하면, 진행 방향에 대해 오른쪽에서 두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우측에 식부 회전 케이스(44)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식부부(40)의 좌우 중량 밸런스가 균형을 이룬다. 한편, 진행 방향에 대해 왼쪽에서 세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46)에 하나의 식부 회전 케이스(44), 왼쪽에서 네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46)에 2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44)를 배치하지 않는 것은, 식부부(40)의 좌우 중량 밸런스가 무너지기 때문이다.
상기 식부 프레임(49)은 지지 케이스(34)와 식부틀(55)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 케이스(34)는 사각 통 형상의 부재이며, 좌우 수평 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 케이스(34)의 좌우 대략 중앙 위치에는 식부 미션 케이스(47)가 장착되고,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식부 입력축(36)이 마련된다. 식부 입력축(36)은 전동축, 조인트, 케이스 등을 통해 주행부(10)의 미션 케이스(18)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PTO축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이 미션 케이스(18), PTO축 등을 통해 식부부(40)의 식부 미션 케이스(47)로 전달된다.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좌측면으로부터 뒤쪽 하방으로 기어 케이스부(47a)가 연장되어 마련된다.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무게 중심은, 좌측(기어 케이스부(47a)측)으로 편심한 위치에 있다.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기어 케이스부(47a)의 상부 우측으로부터는 묘판 적재대(41)의 횡방향 이송 구동축(37)이 돌출되고,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기어 케이스부(47a)의 상부 좌측으로부터는 묘판 적재대(41)의 종방향 이송 구동축(38)이 돌출된다.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기어 케이스부(47a)의 뒤쪽 하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는 식부 구동축(39)이 돌출된다. 상기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앞 부분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공이 마련되어, 이 관통공으로부터 입력축이 좌우 방향 또는 좌우 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입력축은 상기 식부 구동축(39) 또는 연동축과, 연결 보스나 키 등을 개재해 연동 연결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지지 케이스(34)의 후면으로부터는, 복수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후방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9조 식부 이앙기의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가 배치되고,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좌측에 2개, 우측에 3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가 배치된다. 진행 방향에 대해 왼쪽에서 네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후부 우측에는 식부 회전 케이스(44)가 하나 배치되고, 다른 4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의 후부에는 좌우 양측에 식부 회전 케이스(44·44…)가 배치된다.
또한, 7조 식부 이앙기의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지지 케이스(34)의 좌우 중앙에 식부 미션 케이스(47)를 배치하고, 그 무게 중심 위치가 좌측(기어 케이스부(47a)측)이 되도록 해, 식부 지지 케이스(34)로부터 후방으로 4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를 평행하게 돌출 배치하고, 4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의 후부 측면에 7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44·44…)를 배치하고, 7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44·44…)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식부날부(45·45…)를 마련하고, 상기 진행 방향에 대해 왼쪽에서 두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46)에만, 즉,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측의 식부 전동 케이스(46)에만, 그 식부 전동 케이스(46) 우측의 후부 측면에 식부 회전 케이스(44)를 하나 구비하고, 다른 3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46)의 후부 양측면에 식부 회전 케이스(44·44)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식부부(40)의 좌우 중량 밸런스가 균형을 이룬다.
상기 각 식부 전동 케이스(46·46…)의 전방 상부에는, 묘판대 레일 지지축(50)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묘판대 레일 지지축(50)으로부터는, 적절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54·54…)가 뒤쪽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54·54…)의 상부 선단에는 묘판대 레일(51)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묘판대 레일 지지축(50)으로부터 전방 위쪽에는 모종량 조절 레버(52)가 돌출된다. 모종량 조절 레버(52)를 상하로 회동함으로써 묘판대 레일(51)이 상하로 이동해, 묘판 적재대(41)와 식부날부(45)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식부날부(45)가 묘판 적재대(41)로부터 떼어내는 모종의 양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지지 케이스(34)의 상면에는 식부틀(55)의 하부가 장착된다. 식부틀(55)은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측부 프레임(55a·55a)과, 좌우의 측부 프레임(55a·55a)의 상부 사이에 가설되는 상부 프레임(55b)과, 좌우의 측부 프레임(55a·55a)의 상하 중간부 사이에 가설되는 중간 프레임(55c)과, 상부 프레임(55b)과 중간 프레임(55c)을 연결하는 보강 스테이(55d·55d)를 구비하고, 상기 식부틀(55)과 지지 케이스(34)를 함께 틀 형상으로 하여 식부 프레임(49)이 구성된다.
상기 식부틀(55)의 상부 프레임(55b)의 상부에는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부 레일(53·53…)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상부 레일(53·53…)에 의해 묘판 적재대(41)의 뒷면(전면) 상부를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묘판 적재대(41)의 하부는 묘판대 레일(51)에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묘판 적재대(41)는 묘판 적재대(41)의 횡방향 이송 구동축(37)에 연결되는 횡방향 이송 기구의 작동에 의해 좌우 왕복 이송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47)와 식부틀(55)은 연결 플레이트(5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전방 상부에는 조절 장착부(57)가 마련되고, 이 조절 장착부(57)에는 연결 플레이트(56)의 하부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56)의 상부는 중간 프레임(55c)의 좌우 중앙 하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56)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장착공(56a·56a…)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장착공(56a·56a…)은 9조 식부용 식부틀(55)로서 사용하는 장착공(56a·56a)과, 8조 식부용 식부틀(55)로서 사용하는 장착공(56a·56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조절 장착부(57)에 장착 가능하게 하여, 식부틀(55)을 9조 식부와 8조 식부 겸용으로 할 수 있도록 해 비용 절감을 도모한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56)의 상부는 9조 식부용 식부틀(55)(또는 8조 식부용 식부틀(55))의 중간 프레임(55c)의 좌우 중앙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56)의 하부에는 4개의 장착공(56a·56a…)이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개구되어 있다. 한편, 겸용으로 하는 구성은, 9조 식부와 8조 식부 외에 8조 식부와 7조 식부 등, 하나 증가 또는 하나 감소한 식부조의 수에서 겸용으로 하는 구성이 있다.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상부에는 식부부측 히치브래킷(58)이 고정된다. 이 식부부측 히치브래킷(58)은 식부 지지 케이스(34)에도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식부부측 히치브래킷(58)의 상부에는 고정부(58a)가 형성되고, 이 고정부(58a)에는 장착공이 좌우에 2개 개구되어 있다. 이 장착공에 대해 상기 연결 플레이트(56)의 장착공(56a·56a)을 일치시켜, 고정 부재인 볼트(59·59)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조절 장착부(57)가 구성된다. 9조 식부 이앙기의 식부 프레임(49)으로 하는 경우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56)의 왼쪽에서 첫 번째와 세 번째의 장착공(56a·56a)을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식부부측 히치브래킷(58)의 장착공과 일치시켜 볼트(59·59)로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다. 8조 식부 이앙기의 식부 프레임(49)으로 하는 경우,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56)의 왼쪽에서 두 번째와 네 번째의 장착공(56a·56a)을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식부부측 히치브래킷(58)의 장착공과 일치시켜 볼트(59·59)로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주행부(10)의 후부에 승강 링크 기구(30)를 개재해 식부부(40)를 장착하고, 식부부(40)의 식부 프레임(49)에, 식부 미션 케이스(47)와 9조 식부분의 식부날부(45·45…)를 장착하는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를 배치하고, 9조 식부분의 모종 매트를 적재하는 묘판 적재대(41)를 구비한 9조 식부용 이앙기(1)에 있어서, 상기 식부 프레임(49)은 좌우 대략 중앙에 식부 미션 케이스(47)를 장착함과 함께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를 좌우 방향으로 나열하고 후방으로 돌출시켜 장착하는 식부 지지 케이스(34)와, 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식부 지지 케이스의 상부에 세로로 마련되는 식부틀(55)과,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전방 상부에 장착하는 식부부측 히치브래킷(58)과, 상기 식부틀(55)의 좌우 중앙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56)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56)의 하부와 식부부측 히치브래킷(58)의 상부 사이에 조절 장착부(57)를 구성했으므로, 9조 식부분의 묘판 적재대(41)를 지지하는 식부 프레임(49)을 8조 식부분의 묘판 적재대(41)를 지지하는 식부 프레임(49)으로서 밸런스를 무너뜨리지 않고 식부부측 히치브래킷(58)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져, 부품의 종류를 늘릴 필요가 없어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조절 장착부(57)는 연결 플레이트(56)의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공(56a·56a…)과, 식부부측 히치브래킷(58)에 형성하는 장착공과, 고정 부재가 되는 볼트(59)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조절 장착부(57)를 구성할 수 있으며 설치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묘판 적재대(41)는 표면에 전후 방향의 리브를 좌우 방향으로 모종 매트의 폭에 맞추어 형성하고, 복수 조분(9조분)의 모종 매트 적재부를 구비한다. 상기 모종 매트 적재부에는 모종 매트가 적재된다. 상기 모종 매트 적재부의 각 조에는 각각 묘판 횡방향 이송 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묘판 횡방향 이송 벨트는 묘판 적재대(41)가 좌우 왕복 횡방향 이송의 스트로크단에 도달할 때마다, 도시하지 않은 종방향 이송 기구에 의해 묘판 적재대(41)상의 모종 매트를 하방을 향해 종방향 이송하고, 묘판대 레일(51)에 형성한 절개부에서 식부날부(45)에 의해 한 주(株)의 모종이 묘판 적재대(41)상의 모종 매트로부터 떼어내져 논밭에 식부된다. 상기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하면에는 플로트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로트 장착부에는 지지축 등을 개재해 복수의 플로트(42·42…)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 케이스(34)로부터 후방으로 복수 개 돌출되어 마련되는 식부 전동 케이스(46)에서, 진행 방향에 대해 왼쪽에서 네 번째 이외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의 후부 좌우 양측에는 식부 회전 케이스(44·44…)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진행 방향에 대해 왼쪽에서 네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우측에는 식부 회전 케이스(44)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식부 회전 케이스(44)는 식부조의 수와 같은 수, 즉, 9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에는 9개가 구비된다. 각각의 식부 회전 케이스(44·44…)에는 회동 받침점(식부 회전 케이스 구동축(60))을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식부날부(45·45)가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진행 방향 왼쪽에서 네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46)에만 후부의 우측 측면에 식부 회전 케이스(44)를 구비하고, 다른 식부 전동 케이스(46)는 후부 좌우 양측면에 식부 회전 케이스(44·44)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9조 식부용으로 식부조 간격을 좁게 해도 식부 미션 케이스(47)와 식부 전동 케이스(46)를 서로 간섭하지 않고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식부부(40)의 좌우 중량 밸런스가 무너지지 않아, 안정적인 식부부(40)로 할 수 있다.
상기 9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의 구성은, 7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7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의 경우,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행 방향에 대해 왼쪽에서 두 번째 이외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46)의 후부의 좌우 양측에는 식부 회전 케이스(44·44…)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왼쪽에서 두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우측에만 식부 회전 케이스(44)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9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와 마찬가지로 식부 미션 케이스(47)와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식부부(40) 좌우의 중량 밸런스가 균형을 이룬다.
상기 식부 전동 케이스(46) 내에는 베벨 기어, 전동축이 수납되고, 상기 식부 전동 케이스(46) 내의 식부 구동축(39) 상의 베벨 기어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축, 유니트 클러치 등을 통해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후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걸쳐진 식부 회전 케이스 구동축(60)에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후부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식부 회전 케이스 구동축(60)(도 13)에는 식부 회전 케이스(44)가 지지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식부 회전 케이스(44)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좌우 두 개로 나누어진 케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식부 회전 케이스(44)의 중심 위치에는 상기 식부 회전 케이스 구동축(60)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식부 회전 케이스(44) 내에서의 식부 회전 케이스 구동축(60)의 일단상에 선 기어(6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선 기어(61)는 식부 회전 케이스 구동축(60) 외측에 끼워진 플랜지(62)에 클로우(claw)를 개재해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플랜지(62)는 상기 식부 전동 케이스(46)에 고정된다. 상기 식부 회전 케이스 구동축(60)과 식부 회전 케이스(44)는 핀(63)에 의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식부 회전 케이스(44)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식부 회전 케이스 구동축(60)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식부날축(64·64)이 지지된다. 상기 식부날축(64·64)은 식부 회전 케이스 구동축(6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식부 회전 케이스(44)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식부날축(64·64) 상에는 통축(65·6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통축(65·65) 상에는 유성 기어(66·66)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식부 회전 케이스 구동축(60)과 식부날축(64·64)의 중간 위치에는, 중간축(67·67)이 식부 회전 케이스(4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중간축(67·67)은 식부 회전 케이스 구동축(60) 및 식부날축(64·64)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중간축(67·67) 상에는 선 기어(61)와 유성 기어(66)의 양쪽 모두에 치합(齒合)되는 중간 기어(68·68)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선 기어(61), 유성 기어(66), 중간 기어(68)는 비원형 편심 기어이며, 부등속 기어열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축(65·65)의 일단은 식부 회전 케이스(44)로부터 바깥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통축(65·65)의 외측 부분에는 원판상의 둘레부(65a·6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둘레부(65a·65a)에는 식부날부(45·45)가 장착된다.
상기 식부날부(45)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날 케이스(80)와, 식부날 케이스(80)(케이스 본체(70))에 장착되고 묘판 적재대(41) 상의 모종 매트로부터 한 주의 모종을 떼어내는 클로우(71)와, 떼어낸 모종을 논밭면으로 밀어 내는 푸시 로드(72)와, 푸시 로드(72)를 돌출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스프링(73)과, 식부날 케이스(80)(케이스 본체(70)) 내에서 식부날축(64) 상에 고정되는 캠(75)(도 13)과, 식부날 케이스(80)(케이스 본체(70))에 지지되어 캠(75)과 맞닿음으로써 요동하는 푸시 아암(76)과, 푸시 아암(76)과 푸시 로드(72)를 연결하는 연결체(77)를 구비한다.
상기 식부날 케이스(80)는 케이스 본체(70)와, 스프링(73)을 수납하는 스프링 케이스(74)를 구비하고, 상기 식부날 케이스(80)와 클로우(71)와 푸시 로드(72)는 좌우 대칭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식부날 케이스(80)는 식부 회전 케이스(44)에 대해 좌우 어느 측면에도 장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식부날부(45)는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후부 좌우에 장착되는 좌우의 식부 회전 케이스(44·44)의 좌측 또는 우측에 장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당연하지만, 식부 회전 케이스(44)의 좌우 한쪽에서의 양단부에는, 동일한 식부날 케이스(80)(식부날부(45))가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70)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에 클로우(71)가 고정되는 장착 평면(70a)이 형성되고, 이 장착 평면(70a)에 직교해 장착공(70b·70b)이 전후로 천공되어, 나사 등에 의해 클로우(71)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장착 평면(70a)의 하방에는 푸시 로드 삽입공(70c)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해 개구된다. 상기 푸시 로드 삽입공(70c)의 후면에는 스프링 케이스(74)가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푸시 로드 삽입공(70c)의 하방에는 식부날축(64)이 삽입되는 축공(70d)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개구된다. 상기 축공(70d)의 주위에는 통축(65)의 둘레부(65a)에 체결되는 볼트를 삽입하는 장착공(70f·70f)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개구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70) 축공(70d)의 개구부는 커버(81)로 닫을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축공(70d)의 주위에는 장착공(70f·70f)과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떼어내는 모종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공(70e)과, 푸시 아암(76)의 회동 받침점이 되는 축공(70g)이 천공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70)는 좌우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식부날축(64)을 삽입해 둘레부(65a)에 고정할 수 있고, 식부날축(64)이 삽입되지 않는 쪽의 축공(70d)의 개구부에 커버(81)를 부착해 막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로우(71) 및 푸시 로드(72)는 케이스 본체(70)의 좌우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 클로우(71)는 선단이 2개로 갈라진 포크 형상으로 구성되고, 기단부가 나사 등으로 케이스 본체(70) 상면의 장착 평면(70a)에 고정된다. 상기 푸시 로드(72)는 케이스 본체(70)의 푸시 로드 삽입공(70c)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에 모종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클로우(71)의 하방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푸시 로드(72)의 기단부는 케이스 본체(70) 내에 삽입되고, 연결체(77)를 통해 푸시 아암(76)의 선단과 연결된다. 상기 푸시 아암(76)의 선단은 스프링(73)의 전단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73)은 케이스 본체(70)의 후면에 고정되는 스프링 케이스(74) 내에 수납되고, 푸시 로드(72)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고 있다. 상기 스프링(73)의 일단은 푸시 아암(76)의 선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스프링 케이스(74)에 맞닿아 있다. 상기 푸시 아암(76)은 중간부가 케이스 본체(70)에 축을 개재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단이 연결체(77)와 연결됨과 동시에 스프링(73)의 전단과 결합된다. 상기 푸시 아암(76)의 타단은 식부날축(64) 상에 고정 설치한 캠(75)에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이, 좌우 대칭 형상의 식부날 케이스(80)로 식부날부(45)를 구성함으로써, 식부날부(45)를 식부 회전 케이스(44)에 대해 좌우 어느 쪽의 면에도 장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식부날 케이스(80)를 각 조 모두 동일한 부재로 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종류를 줄일 수 있어 설계, 제조, 조립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식부날 케이스(80)를 좌우 대칭 형상이면서 좌우 측면의 돌출을 억제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식부조 간격이 좁은 구조로 할 수 있고, 식부조 간격을 가능한 한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식부날부(45)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이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47), 식부 전동 케이스(46·46…) 등을 통해 각 식부 회전 케이스 구동축(60)에 전달되면, 식부 회전 케이스(44)가 회전한다. 이 식부 회전 케이스(44)의 회전에 의해, 중간 기어(68)가 식부 회전 케이스 구동축(60)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 이동함과 함께, 중간 기어(68)가 선 기어(61)와 치합하고 있기 때문에 식부 회전 케이스(44)와 같은 방향으로 부등속으로 자전한다. 이 중간 기어(68)의 회전에 의해, 중간 기어(68)와 치합하고 있는 유성 기어(66)가 부등속으로 역전한다. 유성 기어(66)에 통축(65)을 개재해 연결 고정된 식부날부(45)가 식부 회전 케이스(44)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부등속으로 자전한다.
그리고, 식부 회전 케이스(44)가 1 회전하면, 식부날부(45)가 역방향으로 부등속으로 1 회전하고, 식부날부(45)의 클로우(71) 선단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세로로 긴 타원의 회전 궤적을 그리도록 회동한다. 이 회전 궤적의 최상부 위치로부터 하강할 때, 식부날부(45)에 의해 묘판 적재대(41) 상의 모종 매트로부터 모종을 떼어내 한 주를 보유한 상태로 하강해, 최하단 위치에서 캠(75)에 맞닿은 푸시 아암(76)이 회동해 푸시 로드(72)를 밀어, 떼어낸 모종을 밀어내 논밭면에 식부한다.
이상과 같이, 식부 프레임(49) 상에 묘판대 레일(51)을 개재해 묘판 적재대(41)를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적재하고, 식부 프레임(49)으로부터 복수의 식부 전동 케이스(46)를 평행하게 후방으로 돌출시켜,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후부 좌우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식부 회전 케이스(44)의 길이 방향 중간부를 지지하고, 식부 회전 케이스(44)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식부날부(45)를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이앙기(1)에 있어서, 상기 식부날부(45)는, 모종을 떼어내는 클로우(71)와, 논밭면 근방에서 떼어낸 모종을 밀어 내는 푸시 로드(72)와, 식부 회전 케이스(44)로부터 돌출되는 식부날축(64)과, 식부날축(64)에 고정 설치되는 캠(75)과, 캠(75)에 맞닿아 요동되는 푸시 아암(76)과, 상기 푸시 로드(72)를 돌출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스프링(73)과, 이들을 장착하는 식부날 케이스(80)을 구비하고, 식부날 케이스(80)는 좌우 대칭 형상으로 구성했으므로, 식부날부(45)는 외관상 좌우 대칭 형상으로 구성되게 되어,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좌우에 각각 식부 회전 케이스(44)를 개재해 장착되는 식부날부(45)는, 식부 회전 케이스(44)의 양단부의 좌우 일측, 또는 식부 회전 케이스(44) 양단부의 좌우 양측에 동일 부재를 이용해 구성할 수 있어, 부재의 종류를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식부날 케이스(80)는 각 조(9조) 모두 동일한 부품으로 조달할 수 있어 제조, 조립 등이 용이해져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70)에 마련한 축공(70d)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해 개구되므로, 식부날축(64)을 우측 또는 좌측으로부터 삽입해 푸시 로드(72)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70)에 마련한 장착공(70f)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므로, 장착공(70f)에 우측 또는 좌측으로부터 볼트를 삽입해 체결함으로써 통축(65)을 개재해 식부 회전 케이스(44)에 식부날부(45)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식부 프레임(49)의 식부틀(55) 좌우의 측부 프레임(55a·55a)의 하부 외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장착 브래킷이 마련되고, 이 설치 브래킷에 지지축 등을 개재해 선긋기 마커(48·48)가 좌우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선긋기 마커(48)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 브래킷에 지지되는 회동 아암(48a)과, 회동 아암(48a)에 일단이 고정되는 로드(48b)와, 로드(48b)의 타단에 고정되는 선긋기체(48c)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 아암(48a)의 기단부는 승강 기어로부터 돌출된 핀과 결합되고, 승강 기어는 모터의 출력축에 고정 설치된 피니언과 치합된다. 따라서, 식부부(40)를 상승시켰을 때에는, 모터가 구동되어 회동 아암(48a)을 선긋기체(48c)측이 들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모종의 식부 작업 개시시에는, 운전 조작부(20)에 마련한 마커 조작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선긋기체(48c)측이 들어 올려지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모터가 구동되어, 선긋기체(48c)가 논밭면에 접지해, 주행과 함께 논밭면에 선이 그어지게 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선긋기 마커(48)의 로드(48b)의 길이를 1조 간격만큼 짧게 해, 상기 상부 프레임(55b)과 중간 프레임(55c)과 식부 지지 케이스(34)의 좌우 양측을 1조 간격만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1에 나타내는 9조 식부(또는 7조 식부)에서 도 22에 나타내는 8조 식부(또는 6조 식부)로 변경할 수 있어, 식부 프레임(49), 선긋기 마커(48)의 부품을 9조 식부(또는 7조 식부)와 8조 식부(또는 6조 식부)에서 가능한 한 공용으로 할 수 있도록 해, 변경 부품을 줄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주행부의 후방에 식부날부를 갖는 식부부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한 이앙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이앙기
10 주행부
30 승강 링크 기구
34 식부 지지 케이스
40 식부부
41 묘판 적재대
44 식부 회전 케이스
45 식부날부
46 식부 전동 케이스
47 식부 미션 케이스
55 식부 프레임
56 연결 플레이트
56a 장착공
57 조절 장착부
58 식부부측 히치브래킷
80 식부날 케이스
81 커버

Claims (5)

  1. 식부부의 식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식부 지지 케이스를 좌우 방향에 배치하고,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의 좌우 중앙 위치에 식부 미션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로부터 후방으로 식부 전동 케이스를 복수 개 배치하고, 상기 식부 전동 케이스에 식부조의 수가 홀수가 되도록 식부 회전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식부조의 수가 홀수가 되도록 배치한 식부 회전 케이스의 각각에 식부날부를 마련해 홀수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식부조의 수가 홀수가 되도록 배치한 식부 회전 케이스 중, 진행 방향에 대해 좌우 어느 한쪽의 바깥쪽으로부터 두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에만 식부 회전 케이스를 하나 배치하고,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식부틀과,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식부부측 히치브래킷과,
    상기 식부틀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식부부측 히치브래킷 사이에 조절 장착부를 구성한 이앙기.
  2. 식부부의 식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식부 지지 케이스를 좌우 방향에 배치하고,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의 좌우 중앙 위치에 식부 미션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로부터 후방으로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에 9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9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의 각각에 식부날부를 마련해 9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9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 중, 진행 방향에 대해 왼쪽에서 네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에만 식부 회전 케이스를 하나 배치하고,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식부틀과,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식부부측 히치브래킷과,
    상기 식부틀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식부부측 히치브래킷 사이에 조절 장착부를 구성한 이앙기.
  3. 식부부의 식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식부 지지 케이스를 좌우 방향에 배치하고,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의 좌우 중앙 위치에 식부 미션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로부터 후방으로 4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4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에 7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7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의 각각에 식부날부를 마련해 7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7개의 식부 회전 케이스 중, 진행 방향에 대해 왼쪽으로부터 두 번째 식부 전동 케이스에만 식부 회전 케이스를 하나 배치하고,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식부틀과,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식부부측 히치브래킷과,
    상기 식부틀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식부부측 히치브래킷 사이에 조절 장착부를 구성한 이앙기.
  4. 주행부의 후부에 승강 링크 기구를 개입시켜 식부부를 장착하고, 상기 식부부의 식부 프레임에, 식부 미션 케이스와, 9조 식부분의 식부날부가 배치된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와, 9조 식부분의 모종 매트가 적재되는 묘판 적재대를 배치해 9조 식부용으로 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식부 프레임은,
    좌우 방향에 배치되고, 좌우 중앙 위치에 식부 미션 케이스가 장착되고, 5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가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고 후방으로 돌출되어 장착되는 식부 지지 케이스와,
    상기 식부 지지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식부틀과,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식부부측 히치브래킷과,
    상기 식부틀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식부부측 히치브래킷 사이에 조절 장착부를 구성한 이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착부는,
    연결 플레이트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과, 식부부측 히치브래킷에 형성된 장착공과,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이앙기.
KR1020147035803A 2012-05-25 2013-05-23 이앙기 KR101745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9987 2012-05-25
JP2012119986A JP2013243966A (ja) 2012-05-25 2012-05-25 田植機
JP2012119987A JP2013243967A (ja) 2012-05-25 2012-05-25 田植機
JPJP-P-2012-119986 2012-05-25
PCT/JP2013/064417 WO2013176235A1 (ja) 2012-05-25 2013-05-23 田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869A KR20150013869A (ko) 2015-02-05
KR101745398B1 true KR101745398B1 (ko) 2017-06-09

Family

ID=4962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803A KR101745398B1 (ko) 2012-05-25 2013-05-23 이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45398B1 (ko)
CN (1) CN104320966B (ko)
WO (1) WO2013176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125A (ko) 2016-11-30 2018-06-08 (주) 우진공업 이식기 식부장치
CN109804759A (zh) * 2019-04-03 2019-05-28 杭州良辰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农田插秧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823A (ja) 1999-08-31 2001-03-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田植機
JP2002027895A (ja) 2000-07-11 2002-01-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田植機の薬剤散布装置
JP2002165507A (ja) * 2000-11-30 2002-06-11 Iseki & Co Ltd 奇数条植えの苗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1306A (en) * 1980-03-14 1981-10-14 Iseki Agricult Mach Riding type rice transplanter
JPH07115814A (ja) * 1993-10-25 1995-05-09 Iseki & Co Ltd 苗植機
JP3402517B2 (ja) * 1994-08-01 2003-05-06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苗載台の横送り変速レバー
JP2000083419A (ja) * 1998-09-09 2000-03-28 Kubota Corp 密植型式の苗植付装置
JP3899735B2 (ja) * 1999-08-31 2007-03-28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823A (ja) 1999-08-31 2001-03-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田植機
JP2002027895A (ja) 2000-07-11 2002-01-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田植機の薬剤散布装置
JP2002165507A (ja) * 2000-11-30 2002-06-11 Iseki & Co Ltd 奇数条植えの苗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869A (ko) 2015-02-05
WO2013176235A1 (ja) 2013-11-28
CN104320966B (zh) 2016-08-24
CN104320966A (zh)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8058B1 (en) Top adjusting linkage for leveling a mower deck and vehicle
KR101745398B1 (ko) 이앙기
JP2010213615A (ja) 田植機
JP5385642B2 (ja) 田植機
JP2007053939A5 (ko)
JP2007053939A (ja) 苗移植機
JP5765830B2 (ja) 田植機
JP2013243967A (ja) 田植機
JP2007312674A (ja) 苗植機
JP3965000B2 (ja) 野菜移植機の走行部
CN1906992B (zh) 小型多功能水稻联合收割耕作机
JP2013243966A (ja) 田植機
CN204762078U (zh) 乘用型插秧机以及乘用型直播机
JPH0927A (ja) 苗載台の送り軸の支持構造
JP2019170211A (ja) 乗用型田植機
KR200473861Y1 (ko) 야채 수확기
JP2510819B2 (ja) 歩行型田植機
JP4766018B2 (ja) 5条植え苗移植機
JP6328017B2 (ja) 水田作業機
JP4360042B2 (ja) 奇数条植え苗移植機
JP6305361B2 (ja) 植付アーム
JP2538519Y2 (ja) 歩行型水田作業機におけるフレーム構造
JP2012110261A (ja) 歩行型田植機
JP3586982B2 (ja) 苗植装置
JP3106431B2 (ja) 乗用田植機の植付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