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555B1 - 사이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555B1
KR101738555B1 KR1020150087425A KR20150087425A KR101738555B1 KR 101738555 B1 KR101738555 B1 KR 101738555B1 KR 1020150087425 A KR1020150087425 A KR 1020150087425A KR 20150087425 A KR20150087425 A KR 20150087425A KR 101738555 B1 KR101738555 B1 KR 101738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airbag
tension member
tension
width direction
inf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439A (ko
Inventor
유스케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146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t least two passengers, e.g. preventing them from hitt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60R2021/23388External tether means having ends which are movable or detachable during deploy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Abstract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사이드 에어백은, 가스 공급에 의해 팽창 전개되어 착석자의 적어도 흉부 및 복부의 후부를 구속하는 후팽창부와, 후팽창부와의 경계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한 가스 공급에 의해 팽창 전개되어 착석자의 적어도 흉부 및 복부의 전부를 구속하는 전팽창부를 포함한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수반하여 장력을 받아 전개된 상태에서, 전단 측이 후팽창부에 접속됨과 함께 후단 측이 시트백 프레임에 접속되어 있는 텐션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장치{SIDE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일의 봉지체인 에어백 봉지체가 착석자의 시트백 하부로부터 헤드레스트의 측부에 이르는 범위로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 장치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051557호 공보(특허문헌 1) 참조). 또, 사이드 에어백이, 내부에 인플레이터(inflator)가 배치된 후(後)백부와, 후백부로부터 연통구를 통하여 가스가 공급되는 전(前)백부로 구분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가 알려져 있다(국제공개 제2014/013822호 공보(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2의 구성에서는, 후백부가 전백부보다 높은 내압으로 팽창 전개된다. 이와 같이 전후의 백을 내압차가 생기도록 구분한 에어백은, 팽창 전개 시에, 후백부가 전방으로 끌어 당겨져 목표의 팽창 전개 위치에 대하여 전방으로 어긋나서 팽창 전개될 우려가 있다. 후백부가 전방으로 어긋나서 팽창 전개되면, 착석자가 비정규의 착석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내압이 높은 후백부가 착석자에게 간섭할 우려가 있어, 이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수반하여 후(後)팽창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시트백의 측부에 설치되고, 가스 공급을 받아 착석자의 적어도 흉부 및 복부의 후부(後部)에 대한 측방에서 팽창 전개되는 후팽창부와, 당해 후팽창부와의 경계부에 형성된 연통로를 통하여 당해 후팽창부로부터 가스 공급을 받아 착석자의 적어도 흉부 및 복부의 전부(前部)에 대한 측방에서 팽창 전개되는 전(前)팽창부를 갖는 사이드 에어백과,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수반하여 장력을 받아 전개되고, 전개 상태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의 전단(前端)측이 상기 후팽창부에 접속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의 후단(後端)측이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에 접속되어 있는 텐션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측면 충돌 시에, 후팽창부에 가스가 공급되면, 당해 후팽창부가 팽창 전개되고, 당해 후팽창부로부터 연통로를 경유하여 가스가 공급되는 전팽창부가 팽창 전개된다. 이 때문에, 착석자의 흉부 및 복부에 있어서의 상대적으로 내성값이 높은 후부에 접촉하는 후팽창부가 상대적으로 높은 내압으로 팽창 전개되고, 착석자의 흉부 및 복부에 있어서의 상대적으로 내성값이 낮은 전부에 접촉하는 전팽창부가 상대적으로 낮은 내압으로 팽창 전개된다.
여기서,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수반하여, 후팽창부 및 시트백의 프레임과의 접속부 사이에서, 텐션 부재가 장력을 받으면서 전개된다. 이 텐션 부재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내압으로 전개되는 후팽창부가 시트백의 프레임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제 1 태양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수반하여 후팽창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 2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후팽창부는, 팽창 전개 상태에서 상기 착석자의 흉부 및 복부의 후부에 대한 측방에서 팽창 전개되는 부분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착석자의 어깨부에 대한 측방에 위치하는 어깨 구속부를 갖고, 상기 텐션 부재는, 상기 후팽창부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전단 측이 상기 어깨 구속부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 방향의 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의 어깨 구속부가, 착석자를 그 내성값이 높은 부위인 어깨부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이 어깨 구속부는, 다른 부분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전방으로 이동하면 비정규의 착석 자세를 취하는 착석자에게 간섭하기 쉽지만, 이 어깨 구속부의 시트백의 프레임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이 상기와 같이 텐션 부재로 제한된다.
제 3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또는 제 2 태양에 있어서, 상기 텐션 부재로서, 상기 후팽창부에 대한 시트 폭 방향의 외측에서 전개되는 외측 텐션 부재를 구비한다.
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의 지지측인 시트백의 프레임으로부터 시트 폭 방향에 있어서 떨어진 측인 외측으로부터, 텐션 부재가, 후팽창부의 시트백의 프레임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제 4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3 태양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텐션 부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전단 측으로부터 상기 후단 측까지의 둘레 길이가, 상기 후팽창부에 있어서의 상기 프레임에의 고정 부위로부터 상기 외측 텐션 부재의 전단 측의 접속 부위까지의 둘레 길이에 대하여 동등 이하의 길이로 되어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사이드 에어백(후팽창부)의 팽창 전개에 수반하여, 외측 텐션 부재의 전단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당해 외측 텐션 부재에 장력이 작용한다. 이 외측 텐션 부재의 둘레 길이가,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의 시트백의 프레임에의 고정 부위로부터 외측 텐션 부재의 전단 측과의 접속 부위까지의 둘레 길이와 동등 이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측 텐션 부재에 의해, 후팽창부의 시트백의 프레임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제한된다.
제 5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텐션 부재로서, 상기 후팽창부에 대한 시트 폭 방향의 내측에서 전개되는 내측 텐션 부재를 구비한다.
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의 지지측인 시트백의 프레임 측 즉 시트 폭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텐션 부재, 후팽창부의 시트백의 프레임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제 6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텐션 부재로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후팽창부 내부에서 전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백 내측 텐션 부재를 구비한다.
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의 후팽창부의 내부에 있어서, 텐션 부재가, 후팽창부의 시트백의 프레임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제 7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내지 제 6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텐션 부재의 후단 측 및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에 고정된 계지(係止) 부재에 의해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에 접속되어 있다.
제 8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내지 제 7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시트백에 대한 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의 측부에 설치되고, 당해 시트백에 대한 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에서 팽창 전개된다.
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백에 대한 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에서 팽창 전개되는 파 사이드(far side) 에어백 장치로 되어 있다.
제 9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는, 상기 후팽창부와 상기 전팽창부를 구분하는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더(tether)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더에는, 상기 연통로로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 10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후팽창부와 상기 전팽창부의 경계부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 양측의 기포(基布)끼리가 심(seam)으로 봉제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통로는, 상기 심의 불연속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수반하여 후팽창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의 1-1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개략 전체 구성에 대하여, 팽창 전개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의 일부를 컷아웃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사이드 에어백 및 텐션포(布)의 외관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포의 접속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제 1 변형예의 단면도, (B)는 제 2 변형예의 단면도, (C)는 제 3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포의 접속 구조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사이드 에어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의 비교예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의 이동의 태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일례로서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에 대하여, 도 1∼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하게 기재하는 화살표(FR), 화살표(UP), 화살표(IN)는, 차량의 전방향, 상방향, 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단지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경우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 차량 전후 방향의 전방을 향한 경우의 좌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개략 전체 구성)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는, 차량용 시트(12)의 시트백(14)에 탑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시트(12)는, 도시하지 않은 자동차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중앙에 대하여 좌우의 어느 하나에(도시예에서는 우측)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고, 시트백(14)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의 측부에 탑재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용 시트(12)는, 전석(前席)(제 1 열 시트) 즉 운전석 또는 조수석으로 되어 있고, 차량용 시트(12)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폭(좌우) 방향은, 자동차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차폭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12)의 폭 방향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2는, 충돌 시험용의 더미(인형)(D)가 차량용 시트(12)의 시트 쿠션(16)에 착석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더미(D)는, 예를 들면 World SID(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World Side Impact Dummy)의 AM50(미국인 성인 남성의 50백분위수)이다. 이 더미(D)는, 충돌 시험법으로 정해진 표준적인 착석 자세로 착석하고 있고, 차량용 시트(12)는, 당해 착석 자세에 대응한 기준 설정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하,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더미(D)를 「착석자(D)」라고 칭한다.
그리고,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는,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차량용 시트(12)의 설치 측과는 반대측(파 사이드)으로의 측면 충돌 시에, 당해 차량용 시트(12)의 착석자(D)가 충돌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는, 파 사이드로의 측면 충돌 시에, 착석자(D)를 충돌 측으로부터 구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는, 가스 발생 장치로서의 인플레이터(18)와, 당해 인플레이터(18)로부터 가스 공급을 받아 팽창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20)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는, 사이드 에어백(20) 내에 설치된 정류포(整流布)(22)와, 사이드 에어백(20)에 대한 시트 폭 방향의 외측, 내측에 설치된 텐션포(24, 46)를, 더 구비하고 있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는, 사이드 에어백(20), 정류포(22), 텐션포(24, 46), 인플레이터(18) 등이 모듈화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는, 사이드 에어백(20), 정류포(22), 텐션포(24)가 접힌 상태에서 시트백(14)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의 측부 내에 배치(수납)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20)은, 인플레이터(18)로부터의 가스 공급을 받아, 시트백(14)에 대한 전방 측으로 또한 착석자(D)에 대한 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시트 폭 방향의 외측)에서 팽창 전개되는 구성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20)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팽창 전개 상태의 형상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사이드 에어백(20)은, 전후에 인접하는 2개의 팽창부(26, 28)로 구획(분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에어백(20)은, 측면에서 보아 사이드 에어백(20)의 후방 하부를 이루는 후팽창부(26)와, 여분의 부분을 이루는 전팽창부(28)로 구획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사이드 에어백(20)의 내부 공간이, 후팽창부(26) 내의 공간인 후(後)챔버(26C)와, 전팽창부(28) 내의 공간인 전(前)챔버(28C)로 구분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20)은,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포(布)인 테더(25)에 의해, 후팽창부(26)와 전팽창부(28)로 구분되어(구획되어) 있다. 테더(25)에는, 연통로로서의 관통 구멍(25H)이 형성되어 있다. 테더(25)의 시트 폭 방향의 양단(兩端)은, 심(30)으로 사이드 에어백(20)의 기포에 봉제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후팽창부(26)는, 측면에서 보아 시트백(1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주(主)팽창부(26M)와, 주팽창부(26M)의 상단(上端) 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부(副)팽창부(26S)를 갖는다. 주팽창부(26M)는, 주로 착석자(D)의 흉부 및 복부에 있어서의 후부에 대한 시트 폭 방향의 외측에서 팽창 전개되고, 당해 흉부 및 복부에 있어서의 후부를 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으로부터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부팽창부(26S)는, 주로 착석자(D)의 어깨부에 대한 시트 폭 방향의 외측에서 팽창 전개되고, 당해 어깨부를 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으로부터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 부팽창부(26S)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어깨 구속부에 상당한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전팽창부(28) 즉 전챔버(28C)는, 후팽창부(26)에 대하여 전방 및 상방에 인접하도록, 측면에서 보아 역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전팽창부(28)와 후팽창부(26)를 구분하는 테더(25)도 측면에서 보아 역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전팽창부(28)는, 주로 착석자(D)의 흉부 및 복부에 있어서의 전부, 및 헤드부에 대한 시트 폭 방향 외측에서 팽창 전개되고, 당해 흉부 및 복부에 있어서의 전부, 및 헤드부를 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으로부터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인플레이터(18)는, 후챔버(26C)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후챔버(26C) 내에서 가스를 발생(후챔버(26C)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후챔버(26C)와 전챔버(28C)는, 상기한 관통 구멍(25H)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후챔버(26C)(주팽창부(26M))의 하부로부터 앞 방향으로 전챔버(28C)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25H)과, 후챔버(26C)(주팽창부(26M))의 상단부로부터 윗 방향으로 전챔버(28C)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25H)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챔버(28C)는, 후챔버(26C)를 통하여 인플레이터(18)의 가스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20)은, 인플레이터(18)의 가스가 후챔버(26C)에 공급된 후에, 관통 구멍(25H)을 통하여 전챔버(28C)에 공급되기 때문에,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후팽창부(26)의 내압이 전팽창부(28)의 내압보다 높아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챔버(26C) 내에 인플레이터(18)가 배치되는 구성, 및 후챔버(26C)와 전챔버(28C)가 관통 구멍(25H)에 의해 연통되는 구성에 의해, 후팽창부(26)의 내압을 전팽창부(28)의 내압보다 높게 하는 내압 조정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사이드 에어백(20)은, 예를 들면, 후단에서 되접어 꺾은 기포의 상하 가장자리, 전방 가장자리를 봉제함으로써 봉지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한 테더(25)로 전팽창부(28)와 후팽창부(26)로 구획되어 있다. 기포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포재(布材)가 이용된다. 또, 사이드 에어백(20)의 전방 가장자리(및 상하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기포의 봉제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심(31)에 의한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18)는, 소위 실린더 타입의 인플레이터로 되어 있고, 길이 방향이 시트백(14)의 측면에서 볼 때의 길이 방향(대략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상기와 같이 후챔버(26C)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18)와 함께, 당해 인플레이터(18)를 수용하는 정류포(22)가 후챔버(26C)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정류포(22)는, 사이드 에어백(20)의 기포와 동일한 포재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인플레이터(18)와 동일하게 대략 상하 방향이 길이 방향을 따른 자세로 후챔버(26C)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정류포(22)는, 상하단(上下端)이 각각 개구(22A)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터(18)가 발생한 가스가, 정류포(22)의 상하의 개구(22A)를 통하여, 후챔버(26C) 내에 공급되는 구성이다. 즉, 정류포(22)는, 인플레이터(18)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팽창 전개하고, 소위 디퓨저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 설명한 사이드 에어백(20), 정류포(22)는, 인플레이터(18)와 함께, 시트백(14)의 프레임인 시트백 프레임(14F)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18)의 외주부로부터는, 시트 폭 방향의 안쪽 방향으로 스터드(stud) 볼트(32)가 돌출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복수의 스터드 볼트(32)가 상하 방향으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각 스터드 볼트(32)는, 사이드 에어백(20)에 있어서의 후팽창부(26)를 이루는 기포, 정류포(22)의 기포, 및 시트백 프레임(14F)의 사이드 프레임(14FS)(후술하는 측벽(14FSs))을 관통한 상태에서, 선단(先端) 측으로부터 너트(34)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20) 및 정류포(22)가 인플레이터(18)를 개재하여 시트백 프레임(14F)의 사이드 프레임(14FS)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18)(스터드 볼트(32) 및 너트(34))에 의한 체결 구조(40)가, 후팽창부(26)에 있어서의 시트백 프레임(14F)에의 고정 부위로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인플레이터(18)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인 ECU(3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ECU(36)에는,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가 적용된 자동차의 측면 충돌을 검지하는 센서(3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센서(38)는, 측면 충돌의 발생(또는 측면 충돌이 불가피한 것), 및 측면 충돌의 발생 측(우측 또는 좌측)을 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ECU(36) 및 센서(38)는, 본 실시형태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의 구성 요소로서 인식할 수 있다.
ECU(36)는, 센서(38)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자동차의 측면 충돌(의 불가피)을 검지했을 때에, 인플레이터(18)를 기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ECU(36)는, 측면 충돌 시에,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 충돌 측과는 반대측(파 사이드)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12)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를 구성하는 인플레이터(18)를 기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시트 폭 방향 외측의 텐션포)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20)의 차폭 방향의 시트 폭 방향 외측(차량 중앙 측)에는, 외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24)가 설치되어 있다. 텐션포(24)는, 일단(一端)이 사이드 에어백(20)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他端)이 시트백 프레임(14F)에 접속되어 있다. 이 텐션포(24)는, 사이드 에어백(20)의 팽창 전개에 수반하여 전후 방향으로 장력을 받아 전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텐션포(24)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전개 상태의 형상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텐션포(24)는, 측면에서 보아 후팽창부(26)의 상부(부팽창부(26S)를 포함하는 부분)를 덮도록,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텐션포(24)의 전단 측은, 도 1에도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20)에 있어서의 후팽창부(26)와 전팽창부(28)의 경계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텐션포(24)의 전단 측은, 사이드 에어백(20)을 후팽창부(26)와 전팽창부(28)로 구획하는 테더(25)와 공통의 심(30)(봉제)으로, 당해 사이드 에어백(20)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기포에 봉제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텐션포(24)의 전단 측은, 후팽창부(26)에 있어서의 부팽창부(26S)의 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텐션포(24)의 후단 측은,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4F)의 사이드 프레임(14FS)에 있어서의 후벽(14FSr)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 프레임(14FS)에 대하여 보충하면, 사이드 프레임(14FS)은, 측벽(14FSs)과, 측벽(14FSs)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시트 폭 방향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벽(14FSf)과, 측벽(14FSs)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시트 폭 방향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벽(14FSr)을 갖는다. 체결 구조(40)는, 사이드 프레임(14FS)의 측벽(14FSs)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근에 사이드 에어백(20)을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텐션포(24)의 후단 측은, 체결 구조(40)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후벽(14FSr)에 접속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텐션포(24)의 후단에는 훅(hook) 부재(42)가 계지되어 있고, 훅 부재(42)는, 시트백 프레임(14F)에 있어서의 후벽(14FSr)의 시트 폭 방향의 내단(內端)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플랜지부(44)에 걸려 있다. 이에 따라, 텐션포(24)의 후단이 시트백 프레임(14F)에 접속되어 있다.
훅 부재(42)와 텐션포(24)의 계지 구조에 대하여 보충한다. 텐션포(24)의 후방 가장자리부로부터는, 계지편(41)이 연장 설치되어 있고, 당해 계지편(41)이 훅 부재(42)에 형성된 계지 구멍(42H)에 삽입 통과된 상태로 되접어 꺾어져 있다. 이 되접어 꺾어진 선단 측이 텐션포(24)(의 본체 또는 계지편(41))에 심(41S)으로 봉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계지편(41)이 훅 부재(42)에 계지되고, 텐션포(24)의 후방 가장자리부가 시트백 프레임(14F)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텐션포(24)의 후단부와 시트백 프레임(14F)의 접속 부위는, 상하 방향으로 1개소로 되어 있다.
또, 텐션포(24)의 후팽창부(26)에 대한 접속 부위(전방 가장자리, 도 1의 점(A) 참조)로부터 훅 부재(42)에 대한 계지 부위(후방 가장자리, 도 1의 점(B) 참조)까지의 평면에서 볼 때의 둘레 길이를 L24라고 한다. 또, 후팽창부(26)에 있어서의 체결 구조(40)에 의한 시트백 프레임(14F)에의 고정 부위(도 1의 점(C) 참조)로부터, 시트 폭 방향의 외측을 돌아 텐션포(24)의 접속 부위(도 1의 점(A) 참조)에 이르기까지의 평면에서 볼 때의 둘레 길이를 L20이라고 한다. 또한, 둘레 길이(L20, L24)의 도면상의 표기는 생략한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에 있어서는, 텐션포(24)의 둘레 길이(L24)는, 사이드 에어백(20)의 둘레 길이(L20)에 대하여 동등 이하(L24≤L20)의 길이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20)이 팽창 전개되면, 텐션포(24)가 후팽창부(26)에 의해 시트 폭 방향의 바깥 방향(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으로 밀려 장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시트 폭 방향 내측의 텐션포)
또,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20)의 차폭 방향의 시트 폭 방향 내측에는, 내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46)가 설치되어 있다. 텐션포(46)는, 일단이 사이드 에어백(20)에 있어서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시트백 프레임(14F)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이 시트백 프레임(14F)에 접속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텐션포(46)는, 전단 측이 사이드 에어백(20)에 접속됨과 함께, 후단 측이 시트백 프레임(14F)에 접속되어 있다. 이 텐션포(46)는, 사이드 에어백(20)의 팽창 전개에 수반하여 장력을 받아, 측면에서 보아 후팽창부(26)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전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텐션포(46)의 전단은, 사이드 에어백(20)에 있어서의 후팽창부(26)와 전팽창부(28)의 경계부(구획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텐션포(46)의 전단 측은, 사이드 에어백(20)을 후팽창부(26)와 전팽창부(28)로 구획하는 테더(25)와 공통의 심(30)(봉제)으로, 당해 사이드 에어백(20)의 시트 폭 방향 내측의 기포에 봉제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텐션포(46)의 전단 측은, 후팽창부(26)에 있어서의 부팽창부(26S)의 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텐션포(46)의 후단 측은,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4F)의 사이드 프레임(14FS)에 있어서의 전벽(14FSf)에 접속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텐션포(46)의 후단에는 계지편(41)을 개재하여 훅 부재(42)가 계지되어 있고, 훅 부재(42)는, 시트백 프레임(14F)에 있어서의 전벽(14FSf)의 시트 폭 방향의 내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플랜지부(48)에 걸려 있다. 이에 따라, 텐션포(46)의 후단이 시트백 프레임(14F)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텐션포(46)의 후단부와 시트백 프레임(14F)의 접속 부위는, 상하 방향으로 1개소로 되어 있다. 텐션포(46)의 상하 방향의 설치 영역은, 측면에서 보아 텐션포(24)의 전부의 상하 방향의 설치 영역과 대략 겹치고 있다(도 3 참조).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측면 충돌이 발생한 측과는 반대측(반(反)충돌 측 또는 파 사이드)의 차량용 시트(12)에 적용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에 대하여,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에서는, ECU(36)는, 센서(38)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측면 충돌을 검지하면, 인플레이터(18)를 기동시킨다. 그러면, 파 사이드의 차량용 시트(12)에서는, 인플레이터(18)가 발생한 가스가 정류포(22)를 통하여 사이드 에어백(20)의 후챔버(26C)에 공급되고, 후팽창부(26)가 착석자(D)에 대한 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에서 팽창 전개된다.
또, 관통 구멍(25H)을 통하여 후챔버(26C)로부터 전챔버(28C)로 가스가 공급되고, 전팽창부(28)가 후팽창부(26)의 전방 및 상방에서 팽창 전개된다. 여기서, 사이드 에어백(20)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후팽창부(26)의 내압이 전팽창부(28)의 내압보다 높다.
이에 따라, 파 사이드의 차량용 시트(12)의 착석자(D)는, 흉부 및 복부에 있어서의 후부 및 어깨부가 상대적으로 내압이 높은 후팽창부(26)로 단단히 구속되고, 흉부 및 복부에 있어서의 전부 및 헤드부가 상대적으로 내압이 낮은 전팽창부(28)로 부드럽게 구속된다. 바꾸어 말하면, 인체에 있어서의 상대적으로 내성값이 높은(고강성) 부위인 흉부 및 복부에 있어서의 후부 및 어깨부는, 후팽창부(26)로부터의 큰 반력을 받으면서 충돌 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인체에 있어서의 상대적으로 내성값이 낮은 부위인 흉부 및 복부에 있어서의 전부 및 헤드부는, 전팽창부(28)로부터의 반력이 억제되면서 충돌 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예를 들면, 싱글 챔버의 사이드 에어백을 구비한 비교예에서는, 당해 사이드 에어백의 내압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팽창부(28)와 동일 정도의 내압이고, 각 부에 있어서 동등하게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흉부 및 복부에 있어서의 후부 및 어깨부에서의 구속력이 부족하기 쉽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후팽창부(26) 및 전팽창부(28)로 착석자(D)를 효과적으로 구속(측면 충돌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다.
그런데, 사이드 에어백(20)은, 평면에서 볼 때는 체결 구조(40)의 일점(一點)에서 시트백 프레임(14F)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팽창 전개(가스 유동)에 수반하여 후팽창부(26)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텐션포(24, 46)를 구비하지 않는 비교예에서는, 사이드 에어백(20)은, 도 10에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목표의 팽창 전개 위치에 대하여,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창 전개 위치가 전방으로 위치가 어긋날 우려가 있다. 특히, 착석자(D)의 헤드부를 보호하기 위해 대용량의 사이드 에어백(20)(전팽창부(28)가 후팽창부(26)의 상부에까지 이르는 구성)에서는, 후팽창부(26)가 목표의 팽창 전개 위치에 대하여 전방으로 위치가 어긋나기 쉽다. 보충하면, 전팽창부(28)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측방에서 전개되는 부분은, 사이드 에어백(20)에 있어서의 시트백 프레임(14F)에의 접속 위치보다 상방에서 팽창 전개되기 때문에, 당해 부분은 팽창 전개 과정에서 상하로 요동하기 쉬워, 후팽창부(26)를 위치가 어긋나게 하기 쉽다.
이 상대적으로 높은 내압으로 팽창 전개되는 후팽창부(26)가 상기와 같이 위치가 어긋나면, 착석자(D)가 비정규의 착석 자세(위치)를 취하고 있는 경우(아웃 오브 포지션(OOP)의 경우)에, 후팽창부(26)가 착석자(D)에 간섭할 우려가 있다. 특히, 후팽창부(26)에 있어서의 주팽창부(26M)에 대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부팽창부(26S)는, 비정규의 착석 자세를 취하는 착석자(D)에게 간섭하기 쉽다.
여기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에서는, 사이드 에어백(20)의 팽창 전개에 수반하여, 전단 측이 후팽창부(26)에 접속됨과 함께 후단 측이 시트백 프레임(14F)에 접속된 텐션포(24, 46)가 장력을 받는다. 이들 텐션포(24, 46)에 의해, 후팽창부(26)의 시트백 프레임(14F)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후팽창부(26)가 목표의 팽창 전개 위치로부터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억제된다(위치 어긋남량이 작게 억제된다).
이와 같이,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에서는, 텐션포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과 비교하여, 사이드 에어백(20)의 팽창 전개에 수반하여 후팽창부(26)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사이드 에어백(20)의 후팽창부(26)가 안정적인 자세(위치)로 팽창 전개된다. 이에 따라, 후팽창부(26), 특히 부팽창부(26S)가 비정규의 착석 자세를 취하는 착석자(D)에게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에서는, 비정규의 착석 자세를 취하는 착석자(D)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내압으로 팽창 전개되는 후팽창부(26)에 의한 가해성 저감에 기여한다.
각 텐션포(24, 46)에 의한 후팽창부(26)의 구속 작용(메커니즘)에 대하여 이하에 보충한다. 외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24)는, 후팽창부(26)가 팽창 전개되면, 당해 후팽창부(26)에 시트 폭 방향 바깥 방향으로 가압되어 장력을 받고, 전개된다. 즉, 텐션포(24)에 있어서의 도 1의 점(A)으로부터 점(B)까지의 둘레 길이(L24)가, 사이드 에어백(20)에 있어서의 도 1의 점(A)으로부터 점(C)까지의 둘레 길이(L20)에 대하여 동등 이하이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20)이 팽창 전개에 수반하여 텐션포(24)에 장력이 작용한다. 이 전개 상태에서 텐션포(24)에 의해, 후팽창부(26)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비교예에서는, 후팽창부(26)에 있어서의 인플레이터(18)보다 후방에서 팽창 전개되어야 할 부분의 기포가 전방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하여, 당해 후팽창부(26)가 시트백 프레임(14F)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기포의 돌아 들어감에 의한 후팽창부(26)의 이동이 텐션포(24)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텐션포(24)의 전단 측이 후팽창부(26)에 있어서의 부팽창부(26S)의 전단부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비정규의 착석 자세를 취하는 착석자(D)에 대한 가해성이 문제가 되기 쉬운 부팽창부(26S)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제한된다.
한편, 내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46)는, 후팽창부(26)가 그 전단(심(30))을 시트백 프레임(14F)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팽창 전개되는 데에 수반하여, 장력을 받으면서 전개된다. 이 텐션포(46)에 의해, 후팽창부(26)가 후방 측으로부터 끌어 당겨짐으로써, 당해 후팽창부(26)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텐션포(46)의 전단 측이 후팽창부(26)에 있어서의 부팽창부(26S)의 전단부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비정규의 착석 자세를 취하는 착석자(D)에 대한 가해성이 문제가 되기 쉬운 부팽창부(26S)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제한된다.
특히, 후팽창부(26)에 대한 시트 폭 방향의 양측에 텐션포(24, 4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팽창부(26)는 시트 폭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후방으로부터 지지되고, 안정적으로 팽창 전개된다. 이에 따라,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에서는, 비정규의 착석 자세를 취하는 착석자(D)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내압으로 팽창 전개되는 후팽창부(26)에 의한 가해성 저감에의 기여도가 높다. 또, 사이드 에어백(20)은, 이들 텐션포(24, 46)에 의해, 측면 충돌 시에 있어서의 착석자(D)의 구속 시에 팽창 전개 위치(자세)가 유지되기 쉬워, 탑승자 구속 성능의 향상에도 기여한다.
(텐션포의 접속부의 변형예)
도 4a의 (A)∼도 4a의 (C)에는, 텐션포의 접속 위치, 구조의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하, 각각 설명한다.
도 4a의 (A)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에서는, 외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24)의 전단 측이, 후팽창부(26)에 있어서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기포에, 심(50)에 의한 봉제로 접속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내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46)의 전단 측에 대해서도, 후팽창부(26)에 있어서의 시트 폭 방향 내측의 기포에 봉제로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도시예의 사이드 에어백(20)은, 테더(25)가 시트 폭 방향으로 분할된(2매 구조인) 예이고, 도시하지 않은 위치에 관통 구멍(25H)이 형성되어 있다. 테더(25)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
도 4a의 (B)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에서는, 텐션포(24, 46)의 후단 측의 계지편(41)이, 훅 부재(42) 대신에, 시트백 프레임(14F)에 체결 고정된 플레이트(52)에 계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지 부재인 플레이트(52)는, 시트백 프레임(14F)에 있어서의 후벽(14FSr)에 용접으로 고정된 웰드 스터드 볼트(54)가 관통한 상태에서, 당해 웰드 스터드 볼트(54)에 너트(55)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14F)에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52)에는, 시트 폭 방향의 양단에 각각이 형성된 계지 구멍(52H)에, 각 텐션포(24, 46)의 계지편(41)이 삽입 통과되어 계지되어 있다.
도 4a의 (C)에 나타내는 제 3 변형예에서는, 텐션포(24, 46)의 후단 측이 체결 구조(40)에 의해, 인플레이터(18), 사이드 에어백(20)과 함께 시트백 프레임(14F)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체결 구조(40)에 의해 플레이트(56)가 시트백 프레임(14F)에 있어서의 측벽(14FSs)에 고정되어 있고, 당해 플레이트(56)의 전후단에 각각 형성된 계지 구멍(56H)에, 각 텐션포(24, 46)의 계지편(41)이 삽입 통과되어 계지되어 있다.
도 4b에 나타내는 제 4 변형예에서는, 텐션포(24)의 후단 측이 체결 구조(40)에 의해, 인플레이터(18), 사이드 에어백(20)과 함께 시트백 프레임(14F)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체결 구조(40)에 의해 플레이트(57)가 시트백 프레임(14F)에 있어서의 측벽(14FSs)에 고정되어 있고, 당해 플레이트(57)의 후단에 형성된 계지 구멍(57H)에, 텐션포(24)의 계지편(41)이 삽입 통과되어 계지되어 있다. 또한, 내측의 텐션포(46)의 후단은, 훅 부재(42)를 개재하여 시트백 프레임(14F)에 접속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의 변형예)
도 5에는, 변형예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58)이 나타내어져 있다. 사이드 에어백(58)은, 후팽창부(26)와 전팽창부(28)의 경계가, 테더(25) 대신에, 사이드 에어백(20)의 차폭 방향 양측의 기포끼리가 심(60)으로 봉제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챔버(26C)와 전챔버(28C)는, 당해 후챔버(26C)와 전챔버(28C)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심(60)이 없는 부분(심의 불연속부)으로서 형성된 연통로(도시 생략)로 연통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 각 변형예 또는 선행하는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작용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 각 변형예 또는 선행하는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70)가,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70)는, 내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46)를 구비하지 않고, 외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24)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와는 다르다.
도시예의 텐션포(24)의 후단 측 즉 계지편(41)은, 웰드 스터드 볼트(54) 및 너트(55)로 시트백 프레임(14F)에 체결된 플레이트(72)의 계지 구멍(72H)에 계지되어 있다. 텐션포(24)의 후단 측의 시트백 프레임(14F)에의 접속 구조는, 제 1 실시형태, 각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기재한 바와 같이 각종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70)의 다른 구성은, 도시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하여,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의 대응하는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70)에 의해서도, 시트 폭 방향의 양측에 텐션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80)가,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80)는, 외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24)를 구비하지 않고, 내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46)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와는 다르다.
도시예의 텐션포(24)의 후단 측 즉 계지편(41)은, 훅 부재(42)에 계지되어 있다. 텐션포(46)의 후단 측의 시트백 프레임(14F)에의 접속 구조는, 각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기재한 바와 같이 각종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80)의 다른 구성은, 도시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하여,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의 대응하는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80)에 의해서도, 시트 폭 방향의 양측에 텐션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90)가,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90)는, 사이드 에어백(20)에 대한 시트 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텐션포(24, 46) 대신에, 백 내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9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점에 있어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90)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와는 다르다.
텐션포(92)는, 후챔버(26C) 내에 배치되어 있고, 그 전단 측이 심(30)에 의해 테더(25)와 함께 사이드 에어백(20)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기포에 접속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텐션포(92)의 전단 측은, 후팽창부(26)의 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텐션포(92)의 후단 측은, 체결 구조(40)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20)에 있어서의 시트 폭 방향 내측의 기포, 정류포(22)와 함께, 시트백 프레임(14F)의 측벽(14FSs)에 접속되어(함께 조여져) 있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90)의 다른 구성은, 도시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하여,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의 대응하는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90)에 의해서도, 시트 폭 방향의 양측에 텐션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텐션포(92)에 의한 후팽창부(26)의 구속 작용(메커니즘)에 대하여 이하에 보충한다. 백 내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92)는, 후팽창부(26)가 그 전단(심(30))을 시트백 프레임(14F)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팽창 전개되는 데에 수반하여, 장력을 받으면서 전개된다. 이 텐션포(92)에 의해, 후팽창부(26)가 후방 측으로부터 끌어 당겨져, 후팽창부(26)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제 5 실시형태>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사이드 에어백(20) 내에 배치된 텐션포(92) 대신에, 일부가 사이드 에어백(102) 내에 배치된 백 내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10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점에 있어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90)와는 다르다.
사이드 에어백(102)은, 전단에서 되접어 꺾은 기포의 상하 가장자리, 후방 가장자리를 봉제함으로써 봉지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테더(25)로 전팽창부(28)와 후팽창부(26)로 구획되어 있다. 기포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포재가 이용된다. 또, 사이드 에어백(102)의 후방 가장자리(및 상하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기포의 봉제는, 심(106)에 의한다.
텐션포(104)는, 후단 측의 일부를 제외하는 부분이 후챔버(26C) 내에 배치되어 있고, 그 전단 측이 심(30)에 의해 테더(25)와 함께 사이드 에어백(102)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기포에 접속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텐션포(104)의 전단 측은, 후팽창부(26)의 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텐션포(104)의 후단 측은, 사이드 에어백(102)의 후방 가장자리에서 시트 폭 방향으로 중첩되는 기포 사이를 통과하여, 후팽창부(26)의 후방 외측으로 도출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102)의 후방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텐션포(104)의 통과 부위는, 심(106)에 의해 기밀성이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예에 있어서는, 텐션포(104)의 후단 측은, 계지편(41)이 플레이트(72)의 계지 구멍(72H)에 계지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14F)에 접속되어 있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다른 구성은, 도시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하여,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90)의 대응하는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에 의해서도, 기본적으로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90)(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텐션포(104)에 의한 후팽창부(26)의 구속 작용(메커니즘)에 대하여 이하에 보충한다. 백 내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104)는, 후팽창부(26)가 그 전단(심(30))을 시트백 프레임(14F)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팽창 전개되는 데에 수반하여, 장력을 받으면서 전개된다. 이 텐션포(104)에 의해, 후팽창부(26)가 후방 측으로부터 끌어 당겨져, 후팽창부(26)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제 4, 제 5 실시형태의 변형예)
또한, 제 4, 제 5 실시형태에서는, 텐션포로서, 백 내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92, 104)만이 설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백 내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92, 104)가 외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24) 및 내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46)의 적어도 일방과 함께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백 내측 텐션 부재로서의 텐션포(92, 104)의 전단 측에 대해서도, 상기한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텐션포(24)의 전단 측과 동일하게, 후팽창부(26)에 있어서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기포(심(30)보다 후방 부분)에 봉제로 접속되어도 된다.
(그 밖의 변형예)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본 발명이 적용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좌우의 좌석(시트백(14))이 차폭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된(세퍼레이트 타입) 2열째 이후의 좌석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또,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10) 등은, 예를 들면 차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양쪽 좌석(예를 들면 운전석 및 조수석)의 쌍방에 설치되어도 되고, 일방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텐션 부재로서 텐션포를 구비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텐션 부재로서, 끈 형상의 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텐션포에는, 네트(망) 형상을 이루는 텐션포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전팽창부(28)가 착석자(D)의 헤드부를 구속(보호)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팽창부(28)는, 착석자(D)의 흉부 및 복부에 있어서의 전부를 구속하는 구성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면 헤드부를 구속하는 부분을 갖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본 발명이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적용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시트백과 차폭 방향 외측의 차체 구조부(사이드 도어 등)의 사이에서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특히, 커튼 에어백 장치가 설정되지 않는 오픈 카 등에 있어서는, 측면 충돌이나 롤오버(rollover)에 대한 착석자의 보호를 위해 대형의 사이드 에어백이 채용되기 때문에, 당해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비정규의 착석 자세의 착석자에 대한 가해성이 현재(顯在)화되기 쉽다. 또, 차량용 시트에 대한 차폭 방향의 외측의 사이드 에어백은,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와 비교하여 측면 충돌 시에 단시간에서의 팽창 전개의 완료가 요구된다. 이 때문에, 오픈 카 등이 아닌 통상의 차량에 있어서도, 전개 속도가 빠른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착석자에 대한 가해성이 문제가 되기 쉽다. 이와 같은 각종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텐션포)을 적용하면,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착석자에의 가해성 저감에 기여한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 시에 인플레이터(18)가 기동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자(自)차량에 대하여 상대방 차량이 차폭 방향의 외단부(外端部)에 충돌하는 미소 랩 충돌이나, 자차량에 대하여 상대방 차량이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충돌하는 경사 충돌 시에, 인플레이터(18)가 기동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사이드 에어백(20) 내에 정류포(22)가 설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류포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 변형예의 구성(요소)을 적절하게 조합하거나 또는 재조합해도 된다.
10: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사이드 에어백 장치)
14: 시트백 14F: 시트백 프레임(프레임)
20: 사이드 에어백 24: 텐션포(외측 텐션 부재)
25: 테더(경계부) 25H: 관통 구멍(연통로)
26: 후팽창부 26S: 부팽창부(어깨 구속부)
28: 전팽창부 46: 텐션포(내측 텐션 부재)
58: 사이드 에어백
70, 80, 90, 100: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92, 104: 텐션포(백 내측 텐션 부재) 102: 사이드 에어백

Claims (10)

  1. 시트백의 측부에 설치되고, 가스 공급을 받아 착석자의 적어도 흉부 및 복부의 후부에 대한 측방에서 팽창 전개되는 후팽창부와, 당해 후팽창부와의 경계부에 형성된 연통로를 통하여 당해 후팽창부로부터 가스 공급을 받아 착석자의 적어도 흉부 및 복부의 전부에 대한 측방에서 팽창 전개되는 전팽창부를 갖는 사이드 에어백과,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수반하여 장력을 받아 전개되고, 전개 상태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의 전단 측이 상기 후팽창부에 접속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의 후단 측이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에 접속되어 있는 텐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후팽창부는, 팽창 전개 상태에서 상기 착석자의 흉부 및 복부의 후부에 대한 측방에서 팽창 전개되는 부분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착석자의 어깨부에 대한 측방에 위치하는 어깨 구속부를 갖고,
    상기 텐션 부재는, 상기 후팽창부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전단 측이 상기 어깨 구속부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 방향의 전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부재로서, 상기 후팽창부에 대한 시트 폭 방향의 외측에서 전개되는 외측 텐션 부재를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텐션 부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전단 측으로부터 상기 후단 측까지의 둘레 길이가, 상기 후팽창부에 있어서의 상기 프레임에의 고정 부위로부터 상기 외측 텐션 부재의 전단 측의 접속 부위까지의 둘레 길이에 대하여 동등 이하의 길이로 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부재로서, 상기 후팽창부에 대한 시트 폭 방향의 내측에서 전개되는 내측 텐션 부재를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부재로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후팽창부 내부에서 전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백 내측 텐션 부재를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부재의 후단 측 및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에 고정된 계지 부재에 의해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에 접속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시트백에 대한 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의 측부에 설치되고, 당해 시트백에 대한 차폭 방향의 차량 중앙 측에서 팽창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는, 상기 후팽창부와 상기 전팽창부를 구분하는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더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더에는, 상기 연통로로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팽창부와 상기 전팽창부의 경계부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 양측의 기포끼리가 심으로 봉제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통로는, 상기 심의 불연속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0150087425A 2014-06-23 2015-06-19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1738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28633A JP6107749B2 (ja) 2014-06-23 2014-06-23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JP-P-2014-128633 2014-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439A KR20150146439A (ko) 2015-12-31
KR101738555B1 true KR101738555B1 (ko) 2017-05-22

Family

ID=5348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425A KR101738555B1 (ko) 2014-06-23 2015-06-19 사이드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669789B2 (ko)
EP (1) EP2960117B1 (ko)
JP (1) JP6107749B2 (ko)
KR (1) KR101738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6733B2 (ja) * 2013-07-03 2015-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5517852B (zh) * 2013-11-21 2018-01-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侧面安全气囊装置
DE102014006862A1 (de) * 2014-05-13 2015-11-19 Trw Automotive Gmbh Fahrzeuginsassenschutzeinrichtung und Fahrzeugsitz
JP6179469B2 (ja) * 2014-06-23 2017-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3168090B1 (en) * 2014-06-24 2019-12-18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EP2979933B1 (en) 2014-07-29 2018-06-20 Toyoda Gosei Co., Ltd. Far-side aribag apparatus
EP2979934B1 (en) * 2014-07-29 2019-05-01 Toyoda Gosei Co., Ltd. Far-side airbag apparatus
WO2016039160A1 (ja) * 2014-09-08 2016-03-1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JP6233261B2 (ja) * 2014-09-29 2017-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91574B2 (ja) * 2014-10-10 2017-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49840B2 (ja) * 2014-10-21 2017-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31935B2 (ja) * 2014-12-03 2017-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1708213B1 (ko) * 2015-07-22 2017-02-2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측면 충돌용 에어백
KR101713794B1 (ko) 2015-10-21 2017-03-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필타임 연산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573551B1 (en) * 2015-11-06 2017-02-21 Autoliv Asp, Inc. Side airbag cush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323438B2 (ja) * 2015-12-16 2018-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JP6428666B2 (ja) 2016-02-10 2018-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DE102016001585A1 (de) * 2016-02-11 2017-08-17 Trw Automotive Gmbh Fahrzeuginsassen-Rückhaltevorrichtung
JP6571555B2 (ja) * 2016-02-18 2019-09-04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JP6432547B2 (ja) * 2016-03-02 2018-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332308B2 (ja) 2016-03-10 2018-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6565771B2 (ja) * 2016-04-06 2019-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KR101781387B1 (ko) * 2016-04-15 2017-09-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098372B1 (ko) * 2016-05-20 2020-04-07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6614047B2 (ja) * 2016-06-24 2019-12-04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414157B2 (ja) * 2016-07-22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装置
DE102016010249A1 (de) * 2016-08-26 2018-03-01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Airbagkissen für eine Airbagvorrichtung
JP6610493B2 (ja) * 2016-10-03 2019-1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KR101866083B1 (ko) * 2016-11-01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립형 센터 사이드 에어백
JP6764944B2 (ja) * 2016-12-26 2020-10-0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658585B2 (ja) * 2017-02-03 2020-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KR102257441B1 (ko) * 2017-03-30 2021-05-3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승객 보호 장치
JP6880954B2 (ja) * 2017-04-07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87636B1 (ko) * 2017-08-01 2022-04-1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승차인 보호 장치
DE102017117856A1 (de) * 2017-08-07 2019-02-07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Fahrzeugsitzanordnungen für ein Kraftfahrzeug
KR102530685B1 (ko) 2017-08-18 2023-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KR102399622B1 (ko) 2017-08-24 2022-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452467B1 (ko) 2017-08-24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DE102017217499A1 (de) * 2017-09-29 2019-04-04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JP6946986B2 (ja) * 2017-12-01 2021-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後席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351947B2 (en) 2018-01-11 2022-06-07 Autoliv Development Ab Passenger protection apparatus
KR102565349B1 (ko) 2018-03-19 202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JP2019177788A (ja) * 2018-03-30 2019-10-17 株式会社Subaru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6691569B2 (ja) * 2018-03-30 2020-04-28 株式会社Subaru 車両の乗員保護装置
US11505153B2 (en) 2018-04-09 2022-11-22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apparatus
WO2020080050A1 (ja) * 2018-10-16 2020-04-2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JP7047701B2 (ja) * 2018-10-22 2022-04-05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059442B2 (en) * 2019-03-26 2021-07-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daptive side airbag for protecting occupants in a vehicle
JP7192725B2 (ja) * 2019-09-25 2022-12-20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161473B2 (en) * 2020-01-22 2021-1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assembly
KR20220029133A (ko) * 2020-09-01 2022-03-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DE102020123629A1 (de) * 2020-09-10 2022-03-10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anordn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4083A1 (en) * 2007-06-11 2010-08-05 Takata Corporation Airbag device
US20120091697A1 (en) * 2010-10-13 2012-04-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US20140035264A1 (en) * 2012-08-02 2014-02-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2338B (en) * 1997-02-20 2001-03-1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GB2357999B (en) * 2000-01-05 2003-05-1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DE102004020643A1 (de) 2004-04-22 2005-11-17 Takata-Petri (Ulm) Gmbh Sicherheitsvorrichtung
JP2006035988A (ja) * 2004-07-26 2006-02-09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20060119083A1 (en) * 2004-12-03 2006-06-08 Ford Motor Company Seat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7240915B2 (en) * 2004-12-03 2007-07-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system with airbag-based occupant reaction surface
KR101080728B1 (ko) * 2009-07-31 2011-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장치
JP5473812B2 (ja) 2010-07-20 2014-04-1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8360469B2 (en) 2010-08-27 2013-01-29 Tk Holdings Inc. Airbag system
US8480124B2 (en) 2011-01-18 2013-07-09 Autoliv Asp, Inc. Seat bolster chamber
JP5655799B2 (ja) * 2012-02-08 2015-01-21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296356B2 (en) 2012-07-19 2016-03-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ide air bag device
JP5754436B2 (ja) * 2012-12-03 2015-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システム
CN105517852B (zh) 2013-11-21 2018-01-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侧面安全气囊装置
EP2979934B1 (en) * 2014-07-29 2019-05-01 Toyoda Gosei Co., Ltd. Far-side airbag apparatus
JP6327110B2 (ja) * 2014-10-23 2018-05-23 豊田合成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4083A1 (en) * 2007-06-11 2010-08-05 Takata Corporation Airbag device
US20120091697A1 (en) * 2010-10-13 2012-04-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US20140035264A1 (en) * 2012-08-02 2014-02-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82969A1 (en) 2017-06-29
EP2960117B1 (en) 2017-10-11
US20150367804A1 (en) 2015-12-24
KR20150146439A (ko) 2015-12-31
JP6107749B2 (ja) 2017-04-05
US10308206B2 (en) 2019-06-04
JP2016007901A (ja) 2016-01-18
US9669789B2 (en) 2017-06-06
EP2960117A1 (en)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555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11077815B2 (en) Vehicle seat equipped with side airbag device, and side airbag device
JP632343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US9409542B2 (en) Vehicle side airba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ide airbag
US8690187B2 (en) Vehicle safety device
JP6179469B2 (ja)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296357B2 (en) Vehicle far-side airbag apparatus
EP3431346B1 (en) Side airbag device-installed vehicle seat
US9085280B2 (en) Vehicle side airbag device
US8752861B2 (en) Vehicle rear side airbag device fixing structure
JP5382199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0232816B2 (en) Vehicle seat having a side airbag device
US20150137493A1 (en) Vehicle side airbag device
US8820786B2 (en) Side airb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ide airbag
CN111615473B (zh) 乘员保护装置
US9452730B2 (en) Vehicle far side airbag device
JP7192725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54426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769382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JP2014046752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14454843B (zh) 车辆用侧面气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