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133A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133A
KR20220029133A KR1020200111091A KR20200111091A KR20220029133A KR 20220029133 A KR20220029133 A KR 20220029133A KR 1020200111091 A KR1020200111091 A KR 1020200111091A KR 20200111091 A KR20200111091 A KR 20200111091A KR 20220029133 A KR20220029133 A KR 20220029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
seat frame
airbag cushion
cove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령
박해권
황보상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1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9133A/ko
Priority to US17/408,526 priority patent/US11584330B2/en
Priority to CN202122086678.4U priority patent/CN216580435U/zh
Priority to DE202021104681.3U priority patent/DE202021104681U1/de
Publication of KR20220029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2Te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0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the bag being integrated in a multi-ba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60R2021/23388External tether means having ends which are movable or detachable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38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차량 충돌 사고시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탑승자를 구속하여 탑승자의 상해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에어백쿠션의 수납성이 향상되어 패키지가 축소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 장치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사고시 탑승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탑승자를 구속하여 탑승자의 상해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에어백쿠션의 수납성이 향상되어 패키지가 축소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주행 성능, 편의성, 기능성과 더불어, 탑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안전장치 중 탑승자의 충격을 보호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수단으로 에어백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백은 차량 충돌시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차량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센서, 충돌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컨트롤러,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에어백 모듈로 구성되며, 설치 위치나, 보호 대상에 따라 운전자 에어백, 조주석 에어백, 사이드 에어백, 루프 에어백 등으로 분류되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측방 충돌의 경우 운전석 및 조수석 탑승자의 상체가 이동됨에 따라 운전석과 조수석에 착좌한 탑승자 간의 충돌이 발생되거나, 암레스트, 시트 등에 부딪혀 탑승자의 상해가 발생된다.
아울러,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미착용시 탑승자의 몸이 과도하게 전방으로 이동되어 전방 에어백이 전개되더라도 탑승자에게 충격이 크게 작용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했다 하더라도, 탑승자의 몸이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몸의 꺾임이 발생됨에 따라 2차 상해를 입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2차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이드 에어백이 구비되는데, 시트 설계의 특성상 폴딩된 사이드에어백이 시트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보이는 문제가 있다. 즉, 시트의 측방으로 패키지가 확보되지 않음에 따라, 사이드에어백에 의해 시트의 외관 이미지가 저해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07-084014 A (2007.04.0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충돌 사고시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탑승자를 구속하여 탑승자의 상해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에어백쿠션의 수납성이 향상되어 패키지가 축소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시트프레임에 마련되어 충돌시 탑승자를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쿠션; 및 에어백쿠션을 덮으면서 시트프레임에 장착됨에 따라 에어백쿠션이 압축되어 시트프레임측에 마련되도록 하고, 일부 구간에는 에어백쿠션의 전개힘에 의해 절개되는 티어 라인이 형성된 커버테더;를 포함한다.
커버테더는 폴딩된 에어백쿠션을 덮도록 형성되며, 일단부가 시트프레임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가 시트프레임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프레임에는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고정부가 형성되고, 커버테더는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고정부가 걸림 연결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는 시트프레임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부는 고정부가 삽입되는 체결용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는 시트프레임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부는 커버테더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장부와, 연장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고정용봉으로 구성되며, 연장부가 고정용봉을 감싸면서 고정시킴에 따라 복수의 연장부 사이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테더는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갈고리 형상의 후크부가 형성되어, 후크부를 통해 시트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걸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티어 라인은 커버테더의 일단부 및 타단부로부터 이격되고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커버테더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테더는, 일단부가 시트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에어백쿠션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에어백쿠션의 전개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테더; 및 일단부가 제1테더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시트프레임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티어 라인이 형성된 제2테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티어 라인은 제2테더에서 일단부측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테더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테더에는 일부 구간이 포개진 상태에서 포개진 부분이 연결되는 재봉부가 형성되고, 재봉부는 에어백쿠션의 전개힘에 의해 뜯어짐에 따라 제1테더의 연장길이가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백쿠션은 전개시 탑승자의 측방에 배치되는 메인챔버와 메인챔버의 전단부에서 꺾여져 탑승자의 전방에 배치되는 서브챔버로 이루어지고, 제1테더는 메인챔버와 서브챔버에 연결되며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탑승자 상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사고시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탑승자를 구속하여 탑승자의 상해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에어백쿠션의 수납성이 향상되어 패키지가 축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3은 커버테더 고정구조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5는 커버테더 고정구조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커버테더 고정구조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에어백 쿠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3은 커버테더 고정구조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5는 커버테더 고정구조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커버테더 고정구조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에어백 쿠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100)에 마련되어 충돌시 탑승자를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쿠션(200); 및 에어백쿠션(200)을 덮으면서 시트프레임(100)에 장착됨에 따라 에어백쿠션(200)이 압축되어 시트프레임(100)측에 마련되도록 하고, 일부 구간에는 에어백쿠션(200)의 전개힘에 의해 절개되는 티어 라인(T)이 형성된 커버테더(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백쿠션(200)은 탑승자의 측방으로 전개되는 사이드에어백으로 구성되고, 시트프레임(100)은 시트의 사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시트프레임(100)은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에어백쿠션(200)이 시트프레임(100)의 일단부(100a)와 타단부(100b) 사이에서 외측에 마련된다. 시트프레임(100)에는 에어백쿠션(200)에 팽창가스를 전달하기 위한 인플레이터(F)가 설치될 수 있고, 인플레이터(F)는 시트프레임(100)의 내측에 고정되고 시트프레임(100)을 관통하여 에어백쿠션(200)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에어백쿠션(200)을 덮으면서 시트프레임(100)에 장착되는 커버테더(300)가 마련된다. 이러한 커버테더(300)는 시트프레임(100)에 장착시, 에어백쿠션(200)을 덮어 에어백쿠션(200)을 시트프레임(100)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에어백쿠션(200)이 압축되어 부피가 축소된다. 이렇게, 에어백쿠션(200)은 커버테더(300)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설치공간이 축소되어 에어백쿠션(200)이 시트 패키지 영역을 이탈함에 따른 시트의 외관 디자인 저하가 방지된다. 이러한 커버테더(300)에는 일부 구간에 티어 라인(T)이 형성됨으로써, 에어백쿠션(200)의 팽창시 에어백쿠션(200)이 티어 라인(T)을 찢고 외부로 전개될 수 있다. 티어 라인(T)은 커버테더(300)의 일단부(300a) 및 타단부(300b)로부터 이격되고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커버테더(300)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시 커버테더(300)가 일단부(300a)와 타단부(300b)로 분리되면서 절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커버테더(300)에 의해 폴딩된 에어백쿠션(200)의 크기가 축소되어 시트 패키지가 축소되고, 커버테더(300)의 티어 라인(T)을 통해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되어 차량 충돌 상황에서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테더(300)는 폴딩된 에어백쿠션(200)을 덮도록 형성되며, 일단부(300a)가 시트프레임(100)의 일단부(100a)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300b)가 시트프레임(100)의 타단부(100b)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커버테더(300)는 폴딩된 에어백쿠션(200)을 덮도록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일단부(300a)와 타단부(300b)가 각각 시트프레임(1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탈착이 용이하다. 또한, 커버테더(300)는 에어백쿠션(200)을 덮도록 형성되어 다각형의 단면을 가짐에 따라 자체 강성이 증대된다.
이러한 커버테더(300)의 설치 구조는 하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시트프레임(100)에는 일단부(100a)와 타단부(100b)에 각각 고정부(110)가 형성되고, 커버테더(300)는 일단부(300a)와 타단부(300b)에 각각 고정부(110)가 걸림 연결되는 걸림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커버테더(300)는 걸림부(310)를 통해 시트프레임(100)의 고정부(110)에 걸림 연결됨으로써, 걸림 구조에 의해 장착 편의성이 확보된다. 즉, 커버테더(300)는 일단부(300a)의 걸림부(310)를 통해 시트프레임(100)의 일단부(100a)에 형성된 고정부(110)에 걸림 연결되고, 타단부(300b)의 걸림부(310)가 시트프레임(100)의 타단부(100b)에 형성된 고정부(110)에 걸림 연결됨에 따라, 시트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고정부(110)는 시트프레임(100)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부(310)는 고정부(110)가 삽입되는 체결용홀(3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는 시트프레임(100)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부(310)는 체결용홀(311)이 형성됨에 따라 체결용홀(311)에 고리가 삽입되는 걸림 구조로 커버테더(300)가 시트프레임(100)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부(110)를 이루는 고리와 걸림부(310)를 이루는 체결용홀(311)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테더(300)의 일단부(300a) 또는 타단부(300b)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310)를 시트프레임(100)의 일단부(100a) 또는 타단부(100b) 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110)에 걸림 연결 후, 커버테더(300)가 에어백쿠션(200)을 감싼 상태에서 나머지 단부의 걸림부(310)와 고정부(110)의 걸림 연결을 통해, 커버테더(300)를 시트프레임(100)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로서, 고정부(110)는 시트프레임(100)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부(310)는 커버테더(300)의 일단부(300a)와 타단부(300b)에서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장부(312)와, 연장부(312)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고정용봉(313)으로 구성되며, 연장부(312)가 고정용봉(313)을 감싸면서 고정시킴에 따라 복수의 연장부(312) 사이로 관통홀(31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는 시트프레임(100)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고정부(110)는 시트프레임(100)에서 내측으로 절곡됨에 따라 에어백쿠션(200)을 포함한 타부품에 간섭되지 않는다. 걸림부(310)에는 연장부(312)가 형성되고 연장부(312)가 고정용봉(313)을 감쌈에 따라 복수의 연장부(312) 사이로 관통홀(314)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커버테더(300)는 관통홀(314)에 고정부(110)를 삽입시키는 작업을 통해 시트프레임(10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커버테더(300)의 걸림부(310)는 복수의 연장부(312)가 고정용봉(313)을 감싸는 형태를 이룸에 따라, 고정용봉(313)이 시트프레임(100)의 고정부(110)에 접촉된다. 여기서, 고정용봉(313)의 경우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커버테더(300)의 걸림부(310)와 시트프레임(100)의 고정부(110) 간의 접촉 강성이 확보된다. 즉, 커버테더(300)는 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틸 재질의 시트프레임(100)에 직접 체결시 찢어짐이 발생될 수 있으나, 강성의 고정용봉(313)이 시트프레임(100)에 접촉됨으로써 접촉 강성이 확보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제3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테더(300)는 일단부(300a)와 타단부(300b)에 각각 갈고리 형상의 후크부(315)가 형성되어, 후크부(315)를 통해 시트프레임(100)의 일단부(100a)와 타단부(100b)에 걸림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커버테더(300)의 일단부(300a)와 타단부(300b)에는 갈고리 형상의 후크부(315)가 형성됨으로써, 시트프레임(100)의 고정부(110)는 기존 형상을 유지하더라도 커버테더(300)를 시트프레임(100)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테더(300)는 일단부(320a)가 시트프레임(100)에 연결되고 타단부(320b)가 에어백쿠션(200)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테더(320); 및 일단부(330a)가 제1테더(320)의 타단부(330b)에 연결되고 타단부(330b)가 시트프레임(100)의 타단부(100b)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티어 라인(T)이 형성된 제2테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테더(320)의 일단부(320a)는 인플레이터(F)와 함께 시트프레임(100)에 고정되거나, 상술한 걸림 구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2테더(330)의 타단부(330b)는 상술한 걸림 구조로 시트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테더(320)와 제2테더(33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커버테더(300)는 제1테더(320)와 제2테더(330)로 구성되고, 제1테더(320)와 제2테더(330)가 각각 시트프레임(100)의 일단부(100a)와 타단부(100b)에 장착되어 에어백쿠션(200)을 시트프레임(100)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에어백쿠션(200)이 압축되어 부피가 축소된다. 특히, 제1테더(320)는 타단부(320b)가 에어백쿠션(200)에 연결됨으로써,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위치를 고정시켜 전개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처럼, 커버테더(300)를 이루는 제1테더(320)의 일단부(320a)는 시트프레임(100)의 일단부(100a)에 연결되고 타단부(320b)가 에어백쿠션(200)과 제2테더(330)의 일단부(330a)에 연결되며, 제2테더(330)는 일단부(330a)가 제1테더(320)의 타단부(320b)에 연결되고 타단부(330b)가 시트프레임(100)의 타단부(100b)에 장착됨으로써, 에어백쿠션(200)의 미전개시 제1테더(320)와 제2테더(330)가 에어백쿠션(200)을 가압하여 에어백쿠션(200)이 압축된 상태에서 시트프레임(100)측에 마련되도록 한다. 여기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시, 제2테더(330)에 형성된 티어 라인(T)이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힘에 의해 절단되고, 제1테더(320)와 제2테더(330)는 분리되며, 시트프레임(100)에 장착된 제1테더(320)가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위치를 제한하여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형상이 고정 및 유지되도록 한다.
이처럼, 커버테더(300)는 에어백쿠션(200)의 미전개시 에어백쿠션(200)의 부피가 축소되도록 하고,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티어 라인(T)은 제2테더(330)에서 일단부(330a)측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테더(330)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시, 제1테더(320)와 제2테더(330)가 티어 라인(T)을 기준으로 분리된다. 여기서, 티어 라인(T)이 제2테더(330)의 타단부(330b)측에 인접할 경우,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된 상태에서 제1테더(320)에 절개된 일부 제2테더(330)가 길게 남음에 따라 제2테더(330)가 탑승자를 타격하거나 시트프레임(100)에 걸려 에어백쿠션(200)의 전개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티어 라인(T)은 제2테더(330)의 일단부(330a)측에 인접하게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테더(320)에는 일부 구간이 포개진 상태에서 포개진 부분이 연결되는 재봉부(321)가 형성되고, 재봉부(321)는 에어백쿠션(200)의 전개힘에 의해 뜯어짐에 따라 제1테더(320)의 연장길이가 증대될 수 있다. 제1테더(320)의 경우 에어백쿠션(200)의 미전개시 에어백쿠션(200)을 가압함과 더불어,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위치를 고정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제1테더(320)는 에어백쿠션(200)을 가압시 시트프레임(100)에 대한 연결길이가 짧아질 수록 에어백쿠션(200)의 가압력을 확보할 수 있고,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형상에 따라 연장길이가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테더(320)에는 일부 구간이 포개진 상태에서 포개진 부분이 연결되는 재봉부(321)가 형성되도록 하여, 일부 구간이 포갠진만큼 길이가 감소되어 에어백쿠션(200)을 가압하기 위한 적정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시, 재봉부(321)는 에어백쿠션(200)의 전개힘에 의해 뜯어짐에 따라 제1테더(320)의 포개진 부분이 펼쳐지고, 제1테더(320)의 연장길이가 증대되어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200)은 전개시 탑승자의 측방에 배치되는 메인챔버(210)와 메인챔버(210)의 전단부에서 꺾여져 탑승자의 전방에 배치되는 서브챔버(220)로 이루어지고, 제1테더(320)는 메인챔버(210)와 서브챔버(220)에 연결되며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시 탑승자 상체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에어백쿠션(200)은 사이드에어백으로 구성되며, 전개 형상을 기준으로 메인챔버(210)가 탑승자의 골반에서 머리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서브챔버(220)가 탑승자의 상체 전방으로 꺾여지도록 형성된다. 특히, 메인챔버(210)와 서브챔버(220)는 제1테더(320)에 연결되어 전개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제1테더(320)는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시 탑승자 상체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제1테더(320)가 탑승자에 간섭되지 않아 메인챔버(210)와 서브챔버(220)가 정상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된 상태에서, 제1테더(320)가 탑승자의 상체 상측에서 탑승자를 구속함에 따라 탑승자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사고시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탑승자를 구속하여 탑승자의 상해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에어백쿠션(200)의 수납성이 향상되어 패키지가 축소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시트프레임 110:고정부
200:에어백쿠션 210:메인챔버
220:서브챔버 300:커버테더
310:걸림부 311:체결용홀
312:연장부 313:고정용봉
314:관통홀 315:후크부
320:제1테더 321:재봉부
330:제2테더

Claims (11)

  1. 시트프레임에 마련되어 충돌시 탑승자를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쿠션; 및
    에어백쿠션을 덮으면서 시트프레임에 장착됨에 따라 에어백쿠션이 압축되어 시트프레임측에 마련되도록 하고, 일부 구간에는 에어백쿠션의 전개힘에 의해 절개되는 티어 라인이 형성된 커버테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버테더는 폴딩된 에어백쿠션을 덮도록 형성되며, 일단부가 시트프레임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가 시트프레임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시트프레임에는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고정부가 형성되고,
    커버테더는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고정부가 걸림 연결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고정부는 시트프레임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부는 고정부가 삽입되는 체결용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고정부는 시트프레임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부는 커버테더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장부와, 연장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고정용봉으로 구성되며, 연장부가 고정용봉을 감싸면서 고정시킴에 따라 복수의 연장부 사이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커버테더는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갈고리 형상의 후크부가 형성되어, 후크부를 통해 시트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걸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티어 라인은 커버테더의 일단부 및 타단부로부터 이격되고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커버테더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버테더는, 일단부가 시트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에어백쿠션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에어백쿠션의 전개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테더; 및
    일단부가 제1테더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시트프레임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티어 라인이 형성된 제2테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티어 라인은 제2테더에서 일단부측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테더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테더에는 일부 구간이 포개진 상태에서 포개진 부분이 연결되는 재봉부가 형성되고, 재봉부는 에어백쿠션의 전개힘에 의해 뜯어짐에 따라 제1테더의 연장길이가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전개시 탑승자의 측방에 배치되는 메인챔버와 메인챔버의 전단부에서 꺾여져 탑승자의 전방에 배치되는 서브챔버로 이루어지고,
    제1테더는 메인챔버와 서브챔버에 연결되며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탑승자 상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0200111091A 2020-09-01 2020-09-01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220029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91A KR20220029133A (ko) 2020-09-01 2020-09-01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17/408,526 US11584330B2 (en) 2020-09-01 2021-08-23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CN202122086678.4U CN216580435U (zh) 2020-09-01 2021-08-31 用于车辆的气囊设备
DE202021104681.3U DE202021104681U1 (de) 2020-09-01 2021-08-31 Airbag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91A KR20220029133A (ko) 2020-09-01 2020-09-01 차량용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133A true KR20220029133A (ko) 2022-03-08

Family

ID=8035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091A KR20220029133A (ko) 2020-09-01 2020-09-01 차량용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84330B2 (ko)
KR (1) KR20220029133A (ko)
CN (1) CN216580435U (ko)
DE (1) DE202021104681U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4014A (ja) 2005-09-26 2007-04-05 Toyoda Gosei Co Ltd 後席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9597B1 (en) * 1999-04-30 2002-08-27 Ts Tech Co., Ltd. Seat provided with side air bag system
US6578911B2 (en) * 2000-11-30 2003-06-17 Ts Tech Co., Ltd. Seat provided with air bag module
US7540529B2 (en) * 2004-12-01 2009-06-02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US7390015B2 (en) * 2004-12-01 2008-06-24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component side air bag module having air bag guide including flexible inner and outer panels attached to a seat pad attachment wire and to the seat component frame
DE102007045550A1 (de) * 2007-09-24 2009-04-02 Autoliv Development Ab Kraftfahrzeugsitz
US8876154B2 (en) * 2012-03-30 2014-11-04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having a back panel module
JP6107749B2 (ja) * 2014-06-23 2017-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3085584B1 (en) * 2015-04-20 2018-06-06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unit for a motor vehicle safety device and a related method of packaging an airbag
US11485311B2 (en) * 2017-11-09 2022-11-01 Ts Tech Co., Ltd.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960321B2 (ja) * 2017-12-13 2021-11-05 株式会社タチエス 乗物用シート
JP6990266B2 (ja) * 2019-05-30 2022-01-1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21149534A1 (ja) * 2020-01-20 2021-07-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7299186B2 (ja) * 2020-03-19 2023-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11377059B2 (en) * 2020-03-23 2022-07-05 Autoliv Asp, Inc. Subtotal enclosures for airbag assembl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4014A (ja) 2005-09-26 2007-04-05 Toyoda Gosei Co Ltd 後席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21104681U1 (de) 2022-02-15
CN216580435U (zh) 2022-05-24
US11584330B2 (en) 2023-02-21
US20220063547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622B1 (ko)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7695004B2 (en) Airbag apparatus
CN110293929B (zh) 安全气囊装置
EP2319734B1 (en) A Safety Arrangement
CN111094077B (zh) 用于机动车的车辆座椅的安全气囊组件
JP5382199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90019195A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EP3521109B1 (en) Side airbag apparatus
US7213837B2 (en) Airbag module
KR20220158440A (ko) 커튼에어백용 차체 결합 장치
JP5330758B2 (ja) シートバック構造
CN114802088A (zh) 安全气囊装置
KR20180094911A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그리고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JP364289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内蔵シートのシートパッド構造
KR20120019622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220029133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210136959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545852B1 (ko) 루프탑 에어백 장치
US8833798B2 (en) Airbag device
US10604101B2 (en) Airbag apparatus
KR100806592B1 (ko)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KR100745636B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 홀더
KR100512860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101430197B1 (ko) 커튼 에어백 모듈
JP6744113B2 (ja) 乗員保護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