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558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558B1
KR101728558B1 KR1020110064764A KR20110064764A KR101728558B1 KR 101728558 B1 KR101728558 B1 KR 101728558B1 KR 1020110064764 A KR1020110064764 A KR 1020110064764A KR 20110064764 A KR20110064764 A KR 20110064764A KR 101728558 B1 KR101728558 B1 KR 101728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ousing
connector
frame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955A (ko
Inventor
시게토 가타오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제1 하우징(10)의 프레임(11)은 오목형 수납부(20)를 구비한다. 암형 단자 피팅(33)을 구비한 서브커넥터(31)가 오목형 수납부(20)에 수납된다. 서브커넥터(31)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전선(34)의 둘레면과 오목형 수납부(20) 각각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기 위해, 오목형 수납부(20) 내에는 집단형 고무 스토퍼(36)가 수납되어 있다. 프레임(11)의 외면에는 제1 캠 팔로워(1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1 캠 팔로워는 조작 부재(80)와 맞물릴 수 있다. 프레임(11)은 외벽(12)과, 외벽(12)으로부터 분리 공간(17)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내벽(18)을 구비하고, 외벽(12)은 제1 캠 팔로워(19)가 형성되는 외면을 형성하며, 내벽(18)은 오목형 수납부(20) 각각의 내주면을 구성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7,448,908호에는,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서로 끼워 맞춰지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방수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제1 하우징은 오목형 수납부를 구비한 프레임을 갖고, 단자 피팅을 구비한 서브커넥터가 상기 오목형 수납부에 수납된다. 상기 서브커넥터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전선과 상기 오목형 수납부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기 위해, 상기 오목형 수납부내에는 집단형 고무 스토퍼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는 맞물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맞물림부는 레버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형성한다. 제2 하우징의 캠 팔로워와 맞물리는 캠 홈이 레버에 마련되어 있다. 레버를 피벗 운동시킴으로써, 캠 홈과 캠 팔로워의 사이에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결합하게 만드는 캠 운동이 발생한다.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의 부착 저항으로 인해, 레버에 피벗 작동력이 가해질 때, 맞물림부에 반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의 외벽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변형은, 상기 오목형 수납부의 내면과 상기 집단형 고무 스토퍼의 외면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켜, 방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방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서로 끼워 맞춰지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오목형 수납부를 구비한 프레임을 갖고, 단자 피팅을 구비한 서브커넥터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다. 상기 서브커넥터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전선의 둘레면과 상기 오목형 수납부 각각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기 위해, 상기 오목형 수납부내에는 집단형 고무 스토퍼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는 맞물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맞물림부는 상기 조작 부재와 맞물린다. 상기 맞물림부가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을 형성을 외벽이,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벽으로부터 분리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내벽이,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내벽은 상기 오목형 수납부 각각의 내주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집단형 고무 스토퍼와 상기 서브커넥터를 함께 유지시키도록 상기 서브커넥터에 장착되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에는 관형 보호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관형 보호부는 상기 집단형 고무 스토퍼를 둘러싼다. 상기 홀더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관형 보호부는 상기 분리 공간에 수납된다.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피벗식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벽과 상기 오목형 수납부의 개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거의 직사각형이다. 상기 분리 공간은, 실질적으로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회전축에 교차하는 측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오목형 수납부가 형성되는 독립적인 관형 수납부를 복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관형 수납부의 일부분이, 상기 외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내벽의 역할을 한다.
상기 서브커넥터와 상기 집단형 고무 스토퍼는, 커넥터 유닛을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결합 방지부가 상기 커넥터 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오목형 수납부 각각의 개구의 가장자리 부근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유닛이 상기 오목형 수납부와 정확한 조합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만, 상기 커넥터 유닛이 상기 오목형 수납부에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오결합 방지부가 서로 끼워 맞춰진다.
상기 분리 공간은, 제1 캠 팔로워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을 형성하는 상기 외벽과, 상기 오목형 수납부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상기 내벽의 사이에 있다. 상기 외벽은 상기 레버의 조작으로 인해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외벽의 변형은 상기 내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외벽의 변형은, 상기 오목형 수납부 각각의 내주면과 상기 집단형 고무 스토퍼의 둘레면 사이의 밀봉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상기 집단형 고무 스토퍼의 둘레면은 상기 관형 보호부로 둘러싸여 있어, 상기 서브커넥터와 상기 집단형 고무 스토퍼가 상기 오목형 수납부에 장착되기 이전의 상태에서는 이물질의 간섭으로부터 보호받는다. 이와 같이 상기 집단형 고무 스토퍼의 둘레면이 손상으로부터 보호받음으로써, 커넥터의 밀봉 성능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분리 공간은 상기 관형 보호부를 수납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관형 보호부는 외부로 크게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이 커야할 필요는 없다.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외벽의 변형은, 상기 조작 부재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측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상기 분리 공간은, 상기 조작 부재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교차하는 측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이 상기 외벽의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웃하는 상기 오목형 수납부를 형성하는 관형 수납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관형 수납부 중 어느 하나가 변형되더라도, 그 변형이 다른 관형 수납부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없다.
커넥터 유닛과 오목형 수납부의 부정확한 조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유닛과 상기 프레임에는 오결합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를 이용하면, 방수 성능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 유닛이 제1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커넥터 유닛이 제1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제1 하우징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 유닛이 프레임으로부터 제거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끼워 맞춰지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2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커넥터 유닛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커넥터 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제1 하우징(10), 제2 하우징(60) 및 레버(80)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는 방수 기능을 갖고, 레버(80)가 피벗될 때 밀봉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제1 하우징(10)은 합성 수지로 제조된 프레임(11)과, 복수의 커넥터 유닛(30)을 구비한다. 프레임(11)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투영된 형상이] 거의 직사각형이다. 프레임(11)은 대략 사각기둥 형상인 외벽(12)(도 1 및 도 2 참조)과 이 외벽(12)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전방 단부를 덮는 전벽(13)(도 3 및 도 4 참조)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12)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복수의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관형 수납부는 전벽(13)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 각각은 폭이 넓고, 후방에서 보았을 때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직교하는 투영면에 투영된 형상이] 거의 직사각형이다.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는 서로 독립되어 있고, 외벽(12)과도 독립되어 있다.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는 상단, 중간단 및 하단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관형 수납부(14A)가 상기 상단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동일한 높이의 관형 수납부(14B)가 상기 중간단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동일한 높이의 관형 수납부(14C가 상기 하단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의 폭치수는 서로 다르다. 서브커넥터(31) 및 집단형 고무 스토퍼(36)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형 수납부(20)를 형성하도록,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 각각의 내부 공간이 프레임(11)의 후방에서 개방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12)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연결벽(15)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벽(15)은 이웃하는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의 둘레면을 서로 연결하고, 외벽(12)의 내면을 이웃하는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의 둘레면에 연결한다. 연결벽(15)은 길이방향[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프레임(11)의 대략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벽(15)은 관형 수납부(14A 및 14B)간의 간극과, 관형 수납부(14B 및 14C)간의 간극, 그리고 외벽(12)과 각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간의 간극을 메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A 및 14B)간의 공간과, 상하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B 및 14C)간의 공간에는 수평 리브(16A)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우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A)간의 공간과, 좌우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B)간의 공간, 그리고 좌우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C)간의 공간에는 수직 리브(16B)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16A 및 16B)는 연결벽(15)으로부터 길이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직교하는 투영면에 투영되었을 때에는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의 벽과 평행하다. 상하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A 및 14B)가 서로 대면하고 있고 상하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B 및 14C)가 서로 대면하고 있는 전체 영역에서 수평 리브(16A)는 연속해 있다. 따라서, 수평 리브(16A)는, 상하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A 및 14B)의 사이를 구획하고, 상하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B 및 14C)의 사이를 구획한다. 좌우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A)가 서로 대면하고 있고, 좌우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B)가 서로 대면하고 있으며, 좌우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C)가 서로 대면하고 있는 전체 영역에서 수직 리브(16B)는 연속해 있다. 따라서, 수직 리브(16B)는, 좌우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A)의 사이를 구획하고, 좌우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B)의 사이를 구획하며, 좌우로 이웃해 있는 관형 수납부(14C)의 사이를 구획한다. 수평 리브(16A)와 수직 리브(16B)는 외벽(12)의 내면과 부분적으로 연속해 있다.
상측의 수평 리브(16A)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의 관형 수납부(14A)를 중간단의 관형 수납부(14B)로부터 구획한다. 상측의 수평 리브(16A)의 양단부는 외벽(12)과 연속해 있다. 하측의 수평 리브(16A)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간단의 관형 수납부(14B)를 하단의 관형 수납부(14C)로부터 구획한다. 하측의 수평 리브(16A)의 양단부는 외벽(12)과 연속해 있다. 이웃해 있는 상단의 관형 수납부(14A)를 구획하는 수직 리브(16B)는, 그 상단부가 외벽(12)의 상부 패널(12A)과 연속해 있고, 그 하단부가 상측의 수평 리브(16A)와 연속해 있다. 이웃해 있는 중간단의 관형 수납부(14B)를 구획하는 수직 리브(16B)는, 그 상단부가 상측의 수평 리브(16A)와 연속해 있고, 그 하단부가 하측의 수평 리브(16A)와 연속해 있다. 이웃해 있는 하단의 관형 수납부(14C)를 구획하는 수직 리브(16B)는, 그 상단부가 하측의 수평 리브(16A)와 연속해 있고, 그 하단부가 외벽(12)의 하부 패널(12B)과 연속해 있다.
대략 사각기둥 형상인 분리 공간(17)이, 외벽(12)과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의 둘레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분리 공간(17)은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고, 이들 분리 공간은 수평 리브(16A) 및 수직 리브(16B)를 통해 서로 격리되어 있다. 각 분리 공간(17)의 제1 부분이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를 수평 리브(16A) 및 수직 리브(16B)로부터 분리시키는 반면에, 각 분리 공간(17)의 제2 부분이 외벽(12)을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로부터 분리시킨다.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의 내벽(18)은, 외벽(12)에 대향하고 대략 평행하며 분리 공간(17)에 의해 외벽(12)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수평 리브(16A), 수직 리브(16B) 및 분리 공간(17)의 두 부분을 통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의 벽의 변형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분리 공간(17)을 통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의 벽(18)과 외벽(12)의 변형도,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분리 공간(17)은, 벽간의 변형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 전달 방지 수단의 역할을 한다.
상부 및 하부의 제1 캠 팔로워(19)가, 외벽(12)의 상부 패널(12A) 및 하부 패널(12B)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캠 팔로워(19)는 길이방향으로 프레임(11)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이 서로 끼워 맞춰지고 서로 분리되는 동안에 이중의 힘 작용이 나타나도록, 제1 캠 팔로워(19)는 레버(80)와 맞물린다. 제1 캠 팔로워(19)는 연결벽(15)의 약간 후방에 있다.
외벽(12)의 후방 가장자리와 수평 리브(16A)의 후방 가장자리를 절취함으로써, 프레임(11)에 오목형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형 부착부(21) 각각은, 오목형 수납부(20) 각각의 개구의 가장자리 부근에 배치되고,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형성한다. 오목형 부착부(21)는, 후술하는 커넥터 유닛(30)이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에 잘못된 조합으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결합 방지 수단의 역할을 한다.
도 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커넥터 유닛(30)은, 합성 수지로 제조된 서브커넥터(31)와, 집단형 고무 스토퍼(36), 그리고 합성 수지로 제조된 홀더(41)로 구성된다. 커넥터 유닛(30)에는 암형 단자 피팅(33)이 각각 삽입된다. 서브커넥터(31)는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의 개구의 형상에 대응하게 폭이 넓은 블록이다. 캐비티(32)가 서브커넥터(31)에 형성되어 있고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암형 단자 피팅(33)은 후방으로부터 캐비티(32)에 삽입된다. 암형 단자 피팅(33)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전선(34)은 서브커넥터(31)의 후방으로 인출된다. 단차형 로킹부(35)가 서브커넥터(31)의 좌우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집단형 고무 스토퍼(36)는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의 개구의 형상에 대응하게 대략 폭이 넓은 직사각형 모양이다.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의 둘레에는 외주 립(37)이 형성되고, 각 캐비티(3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삽입 구멍(38)이 집단형 고무 스토퍼(36)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각 삽입 구멍(38)의 내주에는 내주 립(39)이 형성된다. 삽입 구멍(38)이 형성되는 영역이 좌우의 위치 설정 구멍(4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좌우의 위치 설정 구멍(40)은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의 좌우 단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홀더(41)는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에 대응하게 본체(42)의 폭이 넓다. 위치 설정부(43)가 본체(42)의 좌우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해 있고, 로킹 아암(44)이 각 위치 설정부(33)의 돌출 단부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캔틸레버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의 삽입 구멍(38)에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48)이, 본체(42)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42)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플랜지(45)가 본체(42)의 둘레 가장자리에서 돌출해 있고, 관형 돌출부(46)가 플랜지(45)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전방을 향해 캔틸레버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한 부착부(47)가 관형 돌출부(46)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볼록한 부착부(47)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이다. 볼록한 부착부(47)는, 오목형 수납부(20)와 정확한 조합을 이루는 커넥터 유닛(30)이 이 오목형 수납부에 장착될 때, 오목형 부착부(21)에 끼워진다. 즉, 볼록한 부착부(47)와 오목형 부착부(21)는, 부적절한 커넥터 유닛(30)이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결합 방지 수단의 역할을 한다.
커넥터 유닛(30)을 프레임(11)에 장착하기 전에, 커넥터 유닛(30)의 구성 부품, 즉 서브커넥터(31), 집단형 고무 스토퍼(36) 및 홀더(41)를 결합한다. 따라서,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와 홀더(41)를 결합시키도록, 홀더(41)의 위치 설정부(43)를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의 위치 설정 구멍(40)에 관통 삽입하고,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의 후면을 홀더(41)의 본체(42)의 전면과 접촉시킨다. 그 후에, 서브커넥터(31)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49)을 따라 로킹 아암(44)이 슬라이드하도록, 상기 결합된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와 홀더(41)를 서브커넥터(31)에 후방으로부터 장착한다.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와 홀더(41)가 서브커넥터(31)로부터 후방을 향해 분리되지 못하도록, 집단형 고무 스토퍼(36)가 서브커넥터(31)의 후면에 접촉할 때, 로킹 아암(44)이 로킹부(35)에 잠금 고정된다. 또한, 로킹 아암(44)이 가이드 홈(49)에 맞물림으로써,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와 홀더(41)가 서브커넥터(31)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식으로, 서브커넥터(31), 집단형 고무 스토퍼(36) 및 홀더(41)를 결합하여 커넥터 유닛(3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의 커넥터 유닛(30)에 있어서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의 전체 둘레를 관형 보호부(46)로 둘러싸서, 이물질이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의 외주 립(37)에 간섭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외주 립(37)은 손상 및 변형될 수 없다.
조립된 상태의 커넥터 유닛(30)에 암형 단자 피팅(33)을 각각 후방으로부터 삽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형 단자 피팅(33)은 홀더(41)의 가이드 구멍(48)과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의 삽입 구멍(38)을 차례로 통과하여 각 캐비티(32)에 수납된다. 암형 단자 피팅(33)이 각 캐비티(32)에 수납될 때에, 전선(34)은 삽입 구멍(38)을 관통하고, 내주 립(39)은 전선(34)의 둘레면에 액밀 상태로 부착된다.
암형 단자 피팅(33)이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유닛(30)을, 프레임(11)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에 장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브커넥터(31)와 집단형 고무 스토퍼(36)를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에 삽입하고, 또한, 홀더(41)의 본체(42)의 앞부분을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에 삽입한다. 적절히 장착된 커넥터 유닛(30)의 서브커넥터(31)의 전방 단부는 프레임(11)의 전벽(13)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고, 서브커넥터(31)의 좌우측 가장자리의 전방 단부에 있는 로킹 돌기(50)(도 7 참조)가 프레임(11)의 로킹 아암(51)(도 1 및 도 2 참조)에 잠금 고정된다. 따라서, 커넥터 유닛(30)은, 오목형 수납부(20)[프레임(11)]에 대해 유지되고, 길이방향으로의 변위가 방지된다.
커넥터 유닛(30)이 오목형 수납부(20)에 적절히 장착되었을 때,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의 외주 립(37)은 오목형 수납부(20)의 내주면에 긴밀하고도 액밀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오목형 수납부(20)를 관통하는 전선(34)의 둘레와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은, 물이 후방으로부터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액밀 상태이다. 또한, 홀더(41)의 플랜지(45)는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의 후방 단부에 접촉하거나 접근해 있고, 홀더(41)의 관형 보호부(46)가 분리 공간(17)에 끼워져 있다.
적절한 커넥터 유닛(30)을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에 장착할 때에, 커넥터 유닛(30)의 볼록한 부착부(47)는 프레임(11)의 오목형 부착부(21)에 부착된다. 따라서, 커넥터 유닛(30)은 문제없이 장착된다. 한편, 부적절한 커넥터 유닛(30)을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에 장착 시도하였다면, 오목형 부착부(21)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프레임(11)의 후방 가장자리의 부위와 볼록한 부착부(4)가 간섭하여, 장착 작업이 계속될 수 없다. 따라서, 부적절한 커넥터 유닛(30)이 오목형 수납부(20)에 장착될 수 없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60)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단자 피팅 유지부(61)를 구비한다. 대략 사각기둥 형상인 후드(62)가 단자 피팅 유지부(61)와 일체를 이루고 있고, 단자 피팅 유지부(61)로부터 전방을 향해 캔틸레버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 피팅 유지부(61)는 복수의 수형 단자 피팅(도시 생략)을 유지한다. 각 수형 단자 피팅에 있어서 그 전방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탭이, 단자 피팅 유지부(61)를 지나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후드(62)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된다. 회전축(63)은, 좌우방향에서는 후드(62)의 대략 중앙 위치에서, 그리고 길이방향에서는 후드(62)의 전방 단부보다 뒤쪽의 위치에서, 후드(62)의 상하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후드(62)를 전방 가장자리에서부터 회전축(63)보다 약간 앞쪽의 위치까지 절취함으로써, 후드(62)의 상하벽에 도피홈(64)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단자 피팅의 탭을 안내하기 위한 공지의 형태의 이동판(65)이 후드(62)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이동판(65)의 본체(66)에는, 탭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67)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벽(68)은 본체(66)와 일체를 이루며, 본체(66)의 둘레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이동판(65)은, 후드(62)의 내주면을 따라 가이드 벽(68)을 슬라이드함으로써, 자세가 기울어지는 일 없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2 캠 팔로워(69)가, 후드(62)의 대략 좌우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가이드 벽(68)의 상하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제2 캠 팔로워(69)에는 오목형 커플링(7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형 커플링은 안내 벽(68)으로 둘러싸인 공간과 연통해 있다. 상기 오목형 커플링(70)은 이동판(65)보다 앞쪽의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이동판(65)이 후드(62)의 내부에서 이동함에 따라, 제2 캠 팔로워(69)가 도피홈(64)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하우징(60)에는 레버(80)가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레버(80)는 상하의 판 형태인 2개의 아암(81)을 구비하며, 조작부(82)가 아암(81)을 일체로 상호 연결하고 있다. 각 아암(81)에는 축받이 구멍(83)이 형성되어 있고, 레버(80)가 회전축(63) 상에서 초기 위치(도 5 참조)와 부착 위치 사이로 피벗될 수 있도록, 회전축(63)이 축받이 구멍(83)에 끼워질 수 있다. 회전축(63)에 의해 형성된 레버(80)의 피벗축은,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이 서로 끼워 맞춰지고 서로 분리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룬다. 공지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캠 홈(84)이 각 아암(81)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캠 팔로워(60)가 캠 홈(84)에 맞물린다.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을 서로 끼워 맞추기 위해, 레버(80)를 초기 위치에 유지시킨채로 제1 하우징(10)을 제2 하우징(60)의 후드(62)에 얕게 삽입하고, 캠 홈(84)의 입구에서 대기하고 있는 이동판(65)의 제2 캠 팔로워(69)의 오목형 커플링(70)에 제1 캠 팔로워(19)를 끼워, 제1 캠 팔로워(19)와 제2 캠 팔로워(69)를 상호 결합시킨다. 그 후에, 레버(80)는 부착 위치를 향해 피벗된다. 그 결과, 제1 캠 팔로워(19) 및 제2 캠 팔로워(69)와 캠 홈(84) 사이의 맞물림을 통해 일어나는 이중의 힘 작용이,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을 한데 모은다.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을 서로 끼워 맞추는 동안에, 레버(80)에는 피벗 작동력이 가해지고,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간의 부착 저항[암형 단자 피팅(33)과 수형 단자 피팅의 탭간의 접촉 저항]으로 인해 발생한 반력이 제1 캠 팔로워(19)와 제2 캠 팔로워(69)에 작용한다. 그 결과, 연결벽(15)의 뒤쪽에 있는 프레임(11)의 외벽(12)이 변형되어 연결벽(15)에 대해 멀어지게 변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외벽(12)의 소정 영역의 자세가 기울어진 상태로 변화된다. 즉, 외벽(12)의 상부 패널(12A)은 상방으로 변위되고, 외벽(12)의 하부 패널(12B)은 하방으로 변위된다.
외벽(12)의 상부 패널(12A)과 하부 패널(12B)은 수직 리브(16B) 및 수평 리브(16A)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패널(12A)과 하부 패널(12B)은 외측으로 변형되기 어렵다. 또한, 분리 공간(17)이 외벽(12)과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 각각의 사이에 있다. 따라서, 외벽(12)의 변위 영역은 어느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에도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외벽(12)이 변형되더라도, 이 변형은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에 전달되지 않고,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는 변형되지 않을 것이다.
레버(80)를 조작함으로써,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은 서로 끼워 맞춰진다. 제1 하우징(10)은 오목형 수납부(20)가 마련된 프레임(11)을 구비한다. 서브커넥터(31)는 암형 단자 피팅(33)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에 수납된다. 서브커넥터(31)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전선(34)의 둘레면과 오목형 수납부(20) 각각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기 위해, 오목형 수납부(20) 내에는 집단형 고무 스토퍼(36)가 수납되어 있다. 프레임(11)의 외면에는 제1 캠 팔로워(1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1 캠 팔로워는 레버(80)와 맞물릴 수 있다. 프레임(11)은 외벽(12)과, 외벽(12)으로부터 분리 공간(17)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내벽(18)을 구비하는데, 외벽(12)은 제1 캠 팔로워(19)가 형성되는 외면을 구성하고, 내벽(18)은 오목형 수납부(20) 각각의 내주면을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공간(17)은, 제1 캠 팔로워(19)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11)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벽(12)과, 오목형 수납부(20) 각각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내벽(18)의 사이에 있다. 따라서, 레버(80)의 조작으로 인해 외벽(12)이 변형되더라도, 외벽(12)의 변형은 내벽(18)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외벽(12)의 변형은, 오목형 수납부(20) 각각의 내주면과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의 둘레면 사이의 밀봉을 저하시키지 않을 것이다.
레버(80)의 조작으로 인한 외벽(12)의 변형은, 레버(80)의 회전축(63)에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패널(12A) 및 하부 패널(12B)에 열중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외벽(12)과 오목형 수납부(20)의 개구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직교하는 투영면에 투영되었을 때, 거의 직사각형이다. 또한, 분리 공간(17)은, 레버(80)의 회전축(63)에 교차하는 수평한 측면들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레버(80)의 조작이 외벽(12)의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프레임(11)은, 이웃하는 오목형 수납부(20)가 그 안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를 구비한다. 오목형 수납부(20)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의 일부분이, 외벽(1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내벽(18)의 역할을 한다. 오목형 수납부(20)의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 중 어느 하나가 변형되더라도, 이러한 변형이 다른 관형 수납부(14A, 14B 및 14C)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없다.
서브커넥터(31)와 집단형 고무 스토퍼(36)가 오목형 수납부(20)에 장착되기 이전의 상태에서는,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의 둘레면이 관형 보호부(46)로 둘러싸여 있어, 이물질의 간섭으로부터 보호받는다.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의 둘레면이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그 밀봉 성능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분리 공간(17)은 관형 보호부(46)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홀더(41)가 프레임(11)에 장착될 때, 관형 보호부(46)가 밖으로 많이 돌출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제1 하우징(10)은 커야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모든 오목형 수납부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내벽이 외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오목형 수납부 중 일부는, 그 둘레의 일부분이 외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내벽으로서 형성되고 그 둘레의 나머지 부분이 외벽과 결합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독립적인 오목형 수납부를 형성하는 각 관형 수납부의 일부분이, 외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내벽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하나의 관형 수납부의 일부분과 이에 이웃하는 관형 수납부의 일부분이 서로 연속해 있거나 혹은 이들 일부분을 두 관형 수납부가 공유하도록, 이웃하는 오목형 수납부가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웃하는 오목형 수납부의 내벽 사이에 외벽과 이어져 있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리브를 형성하는 대신에, 이웃하는 내벽을 직접 서로 대면시킬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레버(조작 부재)는 제2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고, 맞물림부는 캠 팔로워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는, 레버(조작 부재)는 제1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고, 맞물림부는 레버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인 경우도 해당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조작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교차하는 회전축 상에서 피벗하는 레버이다. 그러나, 조작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서브커넥터와 집단형 고무 스토퍼를 오목형 수납부로부터 빼냈을 때, 서브커넥터와 집단형 고무 스토퍼는 커넥터 유닛을 형성하도록 홀더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러나, 서브커넥터와 집단형 고무 스토퍼를 오목형 수납부로부터 빼냈을 때, 서브커넥터와 집단형 고무 스토퍼는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홀더는 서브커넥터 또는 집단형 고무 스토퍼로부터 분리되어 있거나, 혹은 서브커넥터로부터 분리되고 집단형 고무 스토퍼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홀더에 관형 보호부가 형성되어 집단형 고무 스토퍼를 둘러싼다. 그러나, 홀더에 관형 보호부가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에 배치된 오결합 방지부가 리브 또는 외벽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오결합 방지부는 관형 수납부에 형성될 수 있다.

Claims (5)

  1. 조작 부재(80)를 조작함으로써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커넥터로서,
    제1 하우징(10)은,
    오목형 수납부(20)가 마련된 프레임(11)과,
    그 안에 복수의 단자 피팅(33)을 구비하며 오목형 수납부(20) 중 적어도 하나에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커넥터(31)와,
    오목형 수납부(20) 내에 수납되어 상기 서브커넥터(31)로부터 인출된 전선(34)의 둘레면과 오목형 수납부(20) 각각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와,
    프레임(11)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80)와 맞물리는 맞물림부(19)와,
    집단형 고무 스토퍼(36)와 상기 서브커넥터(31)를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서브커넥터(31)에 장착되는 홀더(41)와,
    홀더(41) 상에 형성되며 집단형 고무 스토퍼(36)를 둘러싸는 관형 보호부(46)
    를 포함하고,
    프레임(11)은 외벽(12)과, 이 외벽(12)으로부터 분리 공간(17)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내벽(18)을 구비하며, 외벽(12)은 상기 맞물림부(19)가 형성되는 상기 외면을 형성하고, 내벽(18)은 오목형 수납부(20) 각각의 상기 내주면을 구성하고,
    상기 외벽(12)의 후방 가장자리에 오결합 방지부(21)가 형성되고,
    볼록한 부착부(47)가 관형 보호부(46)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홀더(41)가 프레임(11)에 장착될 때, 상기 볼록한 부착부(47)은 오결합 방지부(21)에 끼워지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홀더(41)가 프레임(11)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관형 보호부(46)는 분리 공간(17)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80)는,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63)에 피벗식으로 지지되어 있고,
    외벽(12)의 형상과 상기 오목형 수납부(20) 각각의 개구의 형상은,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60)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이며,
    분리 공간(17)은, 조작 부재(80)의 회전축(63)에 교차하는 측을 따라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은 복수의 관형 수납부(14A, 14B, 14C)를 구비하고, 이들 관형 수납부에서 상기 오목형 수납부(20)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형 수납부(14A, 14B, 14C) 각각의 일부분은 외벽(1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내벽(18)을 형성하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커넥터(31)와 상기 집단형 고무 스토퍼(36)는 커넥터 유닛(30)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되고,
    오결합 방지부(21)가 커넥터 유닛(30)의 부근과, 상기 프레임(11)의 상기 오목형 수납부(20) 각각의 개구의 가장자리 부근에 마련되며, 오목형 수납부(20)와 정확한 조합을 이루는 커넥터 유닛(30)이 장착되는 경우에만, 상기 커넥터 유닛(30)이 상기 오목형 수납부(20)에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오결합 방지부(21)가 서로 끼워 맞춰지는 것인 커넥터.
KR1020110064764A 2010-07-09 2011-06-30 커넥터 KR101728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56726 2010-07-09
JP2010156726A JP5402861B2 (ja) 2010-07-09 2010-07-09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55A KR20120005955A (ko) 2012-01-17
KR101728558B1 true KR101728558B1 (ko) 2017-04-19

Family

ID=4543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764A KR101728558B1 (ko) 2010-07-09 2011-06-30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85838B2 (ko)
JP (1) JP5402861B2 (ko)
KR (1) KR101728558B1 (ko)
CN (1) CN1023944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4031B2 (ja) * 2011-09-24 2015-04-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3183315A1 (ja) 2012-06-04 2013-12-12 株式会社Neomaxマテリアル シールリングおよびシールリングの製造方法
JP6423191B2 (ja) * 2014-07-17 2018-11-14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6512076B2 (ja) * 2015-11-18 2019-05-15 住友電装株式会社 弾性部材および防水コネクタ
JP2019169244A (ja) * 2018-03-22 2019-10-03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7207233B2 (ja) * 2019-08-26 2023-01-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171438B2 (en) * 2020-04-09 2021-11-09 Energy Services LLC Unitized cable plug array for mobile power generation equipment
JP2022113256A (ja) * 2021-01-25 2022-08-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5702A (en) 1995-04-07 1998-04-0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 type connector
JP2000150049A (ja) * 1998-11-04 2000-05-30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割コネクタ
JP2005135685A (ja) * 2003-10-29 2005-05-26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割コネクタ
JP2008041309A (ja) * 2006-08-02 2008-02-21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9702A (en) * 1950-05-12 1954-02-16 American Phenolic Corp Sealed connector
JP3299624B2 (ja) * 1994-02-24 2002-07-08 菱星電装株式会社 レバー付コネクタ
JP3278048B2 (ja) * 1997-10-01 2002-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142826A (en) * 1998-03-13 2000-11-07 The Whitaker Corporatio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member
US6527586B2 (en) * 1998-06-08 2003-03-0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Waterproof connector
JP3518372B2 (ja) * 1998-11-04 2004-04-12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3540197B2 (ja) * 1999-05-18 2004-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3691291B2 (ja) * 1999-06-28 2005-09-0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3800495B2 (ja) * 2000-04-25 2006-07-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134219A (ja) * 2000-10-30 2002-05-10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及び該防水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6547584B2 (en) * 2001-02-16 2003-04-15 John Mark Myer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for a sealed connector
JP3946452B2 (ja) * 2001-02-22 2007-07-18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2373732A (ja) * 2001-04-13 2002-12-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831213B2 (ja) * 2001-06-12 2006-10-1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の二重壁構造
JP3863739B2 (ja) * 2001-07-16 2006-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式低挿入力コネクタ
JP2004185918A (ja) * 2002-12-02 2004-07-02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DE102004017275A1 (de) * 2004-04-07 2005-10-27 Tyco Electronics Amp Gmbh Abgedichtete Steckverbindung durch eine Trennwand und Montageverfahren
JP2005317385A (ja) * 2004-04-28 2005-11-10 Tyco Electronics Amp Kk 防水型コネクタ用シール部材及び防水型コネクタ
JP4513677B2 (ja) * 2005-07-13 2010-07-28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4525499B2 (ja) * 2005-07-13 2010-08-18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4537966B2 (ja) * 2006-02-20 2010-09-08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5093088B2 (ja) * 2008-12-24 2012-12-05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5445365B2 (ja) * 2010-07-09 2014-03-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5702A (en) 1995-04-07 1998-04-0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 type connector
JP2000150049A (ja) * 1998-11-04 2000-05-30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割コネクタ
JP2005135685A (ja) * 2003-10-29 2005-05-26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割コネクタ
JP2008041309A (ja) * 2006-08-02 2008-02-21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94436A (zh) 2012-03-28
JP2012018874A (ja) 2012-01-26
KR20120005955A (ko) 2012-01-17
US20120009809A1 (en) 2012-01-12
CN102394436B (zh) 2014-07-16
JP5402861B2 (ja) 2014-01-29
US8485838B2 (en)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558B1 (ko) 커넥터
EP2495826B1 (en) Connector
JP4591228B2 (ja) コネクタ
JP3726641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637023B2 (ja) ダミー栓
US9407025B2 (en) Connector
JP540796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EP2284957B1 (en) Waterproof structure and waterproof connector
WO2014115363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3667652B2 (ja) コネクタ
JP5343902B2 (ja) コネクタ
KR101411202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120028821A (ko) 커넥터
JP5095431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20309234A1 (en) Connector
WO2018163787A1 (ja)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US9917395B2 (en) Lever-type connector
EP1693932B1 (en) A shielded connector, use of mating shielded connector and shielded connector assembly
JP4513677B2 (ja) 防水コネクタ
KR20120036755A (ko) 커넥터
US10135184B2 (en) Lever-type connector
CN103384908B (zh) 熔断器盒
JP2019021493A (ja) コネクタ
KR20210001980A (ko) 피드백을 갖는 정합 보조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JP7272230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