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897B1 - 리어 사이드 멤버 - Google Patents

리어 사이드 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897B1
KR101724897B1 KR1020150128616A KR20150128616A KR101724897B1 KR 101724897 B1 KR101724897 B1 KR 101724897B1 KR 1020150128616 A KR1020150128616 A KR 1020150128616A KR 20150128616 A KR20150128616 A KR 20150128616A KR 101724897 B1 KR101724897 B1 KR 10172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frame
fuel tank
thickness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989A (ko
Inventor
홍덕화
정희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8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897B1/ko
Priority to US14/943,757 priority patent/US9718496B2/en
Priority to DE102015223434.7A priority patent/DE102015223434A1/de
Priority to CN201510861455.7A priority patent/CN106515872B/zh
Publication of KR2017003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Abstract

차체의 후반부 양측에서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차량의 리어 사이드 멤버로서,
최전방 부분으로서 연료탱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간인 연료탱크 구간; 연료탱크 구간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간인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 및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타이어 웰(well)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간인 타이어 웰 구간;으로 구성되고, 연료탱크 구간,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 및 타이어 웰 구간은 멤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리어 사이드 멤버 {REAR SIDE MEMBER}
본 발명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면서 차량의 실내공간을 확보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체 중에서 리어 사이드 멤버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의 설계기술은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람이 탑승하는 차량 내부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승객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개발되어 왔다. 즉, 차량 충돌시의 전달되는 충격에 대해,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의 일부는 아코디언 형상으로 찌그러지도록 구성하여 차량 내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일부는 밴딩이 발생하며 충격을 흡수하며, 일부는 차량의 실내공간이 침범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승객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고 및 차실의 내부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은 상반되는 것으로서 어떻게 양립시키는지가 기술의 핵심이 된다.
후방 충돌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특히나 후방 충돌의 경우 연료탱크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탱크가 손상되어 연료가 누출되는 경우 화재 등의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충격의 흡수와 안전공간의 확보라는 두가지 기능의 양립이 매우 중요하다.
즉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를 고강도로 설계하면 충격의 흡수기능이 떨어지고, 저강도로 설계하면 충격은 흡수되나 차량의 실내공간 확보가 어려워져 승객의 안전성 확보가 불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490923 B1
본 발명은 하나의 부품 내에서 구간별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제조하여 구간별 목적에 맞도록 강도를 배분하고 보강부품을 삭제하여 경량화시킨 리어 사이드 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사이드 멤버에 따르면, 차체의 후반부 양측에서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차량의 리어 사이드 멤버로서,
최전방 부분으로서 연료탱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간인 연료탱크 구간; 연료탱크 구간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간인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 및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타이어 웰(well)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간인 타이어 웰 구간;으로 구성되고, 연료탱크 구간, 서브프레임 구간 및 타이어 웰 구간은 멤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연료탱크 구간은, 연료탱크 구간의 전단부로서 센터플로워와 연결되는 제1구간 및 연료탱크 구간의 후단부로서 제1구간으로부터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구간과 연결되는 제2구간으로 구성되며, 제1구간과 제2구간은 멤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서브프레임구간은, 리어 서브프레임구간의 전단부로서, 리어 서브프레임의 전단체결부가 마운팅되는 제3구간, 제3구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구간 및 제4구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의 후단체결부가 마운팅되며 타이어 웰 구간과 연결되는 제5구간으로 구성되고, 제3구간, 제4구간 및 제5구간의 멤버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 웰 구간은, 타이어 웰 구간의 전단부로서,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6구간과 제6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7구간으로 구성되고, 제6구간과 제7구간은 멤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구간의 두께를 T1, 제2구간의 두께를 T2라 할 때, 각 구간별 두께의 상관관계는 T2 > T1 일 수 있다.
제3구간의 두께를 T3, 제4구간의 두께를 T4, 제5구간의 두께를 T5라 할 때, 각 구간별 두께의 상관관계는 T5 > T4 > T3일 수 있다.
제6구간의 두께를 T6, 제7구간의 두께를 T7이라 할 때, 각 구간별 두께의 상관관계는 T6 > T7일 수 있다.
연료탱크 구간은, 연료탱크 구간의 전단부로서 센터플로워와 연결되는 제1구간 및 연료탱크 구간의 후단부로서 제1구간으로부터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구간과 연결되는 제2구간으로 구성되며, 리어 서브프레임구간은, 리어 서브프레임구간의 전단부로서, 리어 서브프레임의 전단체결부가 마운팅되는 제3구간, 제3구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구간 및 제4구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의 후단체결부가 마운팅되며 타이어 웰 구간과 연결되는 제5구간으로 구성되고, 타이어 웰 구간은, 타이어 웰 구간의 전단부로서,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6구간과 제6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7구간으로 구성되며, 제1구간 내지 제7구간의 전체적인 멤버 두께의 상관관계는 T6 > T7 > T5 > T4 > T3 > T2 > T1일 수 있다.
제1구간 내지 제7구간의 전체적인 두께의 상관관계는 T6 > T7 > T5 > T4 > T3 = T2 > T1일 수 있다.
제1구간 내지 제7구간의 전체적인 두께의 상관관계는 T6 > T7 = T5 > T4 > T3 > T2 > T1일 수 있다.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제1구간은, 차체를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크로스멤버의 양단과 결합될 수 있다.
각 구간은 두께는 TRB(Tailor Rolled Blanks)공법으로 구간별로 다르게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리어 사이드 멤버에 따르면, 구간별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제조하여 구간별 목적에 맞도록 강도를 배분함으로써 보강부품을 삭제하여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를 경량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사이드 멤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사이드 멤버의 구간 배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사이드 멤버의 구간 배치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사이드 멤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사이드 멤버의 구간 배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사이드 멤버의 구간 배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차체의 후반부 양측에서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차량의 리어 사이드 멤버(101)로서, 최전방 부분으로서 연료탱크(203)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간인 연료탱크 구간(301, 303); 연료탱크 구간(301, 303)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207)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간인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305, 307, 309); 및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305, 307, 309)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타이어 웰(well, 211)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간인 타이어 웰 구간(311, 313);으로 구성되고, 연료탱크 구간(301, 303),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305, 307, 309) 및 타이어 웰 구간(311, 313)은 멤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연료탱크 구간(301, 303)은, 연료탱크 구간(301, 303)의 전단부로서 센터플로워와 연결되는 제1구간(301) 및 연료탱크 구간(301, 303)의 후단부로서 제1구간(301)으로부터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305, 307, 309)과 연결되는 제2구간(303)으로 구성되며, 제1구간(301)과 제2구간(303)은 멤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305, 307, 309)은,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305, 307, 309)의 전단부로서, 리어 서브프레임(207)의 전단체결부(205)가 마운팅되는 제3구간(305), 제3구간(305)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구간(307) 및 제4구간(307)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207)의 후단체결부(209)가 마운팅되며 타이어 웰 구간(311, 313)과 연결되는 제5구간(309)으로 구성되고, 제3구간(305), 제4구간(307) 및 제5구간(309)의 멤버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 웰 구간(311, 313)은, 타이어 웰 구간(311, 313)의 전단부로서,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305, 307, 309)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6구간(311)과 제6구간(3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7구간(311)으로 구성되고, 제6구간(311)과 제7구간(311)은 멤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리어 사이드 멤버(101)는 차체 언더바디를 구성하는 멤버중의 하나로 후석시트의 후방에서부터 트렁크의 위치까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체는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실로 전달을 최소화 함으로써 탑승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단순히 강한 재질로서 변형을 방지하기만 하는 경우 차체의 변형을 막아 승객실의 공간을 확보할 수는 있으나, 충돌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흡수하지 못하고 탑승객에게 전달되어 탑승객이 큰 부상을 입을 수 있다. 반면 차체가 변형되면서 충돌시의 에너지를 잘 흡수하더라도 승객실의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 역시 탑승객이 큰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양자의 조화가 중요하다.
언더바디 구조체가 충격으로부터 탑승객을 보호하는 방법은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로 충돌시 언더바디를 구성하는 멤버가 압축변형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방식이다. 두번째는 주변의 강체에 의해 멤버의 압축변형이 어려운 경우, 강체의 변형과 함께 굽힘 변형을 통해 에너지를 흡수하는 방식이다. 세번째는 승객이 탑승하고 있는 부분이거나 중요부품이 존재하여 공간 자체를 보존함으로서 승객을 보호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하나의 부품 내에서도 변형을 통한 에너지 흡수가 필요한 부분인지, 절대적 공간자체의 확보가 필요한 부분인지에 따라 그 두께 및 강성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부품별로 강도의 보강이 필요한 부위에 보강부재를 추가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보강부재의 추가에 따른 조립비용의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보강부재가 용접에 의해 메인부재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강도의 개선효과도 미비하였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사이드 멤버(101)는 차체의 후방에서 가해지는 충돌에 대비하고 연료탱크(203) 등의 중요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강성을 유지하며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동일 부품 내에서도 충돌시 기여하는 역할 및 정도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는 정도가 구별되는바, 그에 따라 구간을 선정하고 그 부품의 두께를 다르게 가공함으로써, 충돌시 충격력의 흡수 및 공간확보 성능을 극대화하면서도 중량 및 생산원가는 절감시키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각 구간의 선정 및 역할은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연료탱크 구간(301, 303) 중 제1구간(301)은 전방의 센터플로워와 연결되는 부위로 리어 사이드 멤버(101)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센터플로워로 전달하여 분산하는 역할을 하는 구간이다. 따라서 효과적 충격분산을 위해 강성이 필요한 구간이다. 제2구간(303)은 연료탱크(203)의 몸체가 위치하는 구간으로 외부충격으로부터의 파손을 방지해야 하므로, 공간확보를 위해 강성이 필요한 구간이다.
서브프레임 구간 중 제3구간(305)은 서브 프레임의 전단부가 마운팅되어 결합되는 위치이므로 결합의 견고성을 위해 강성유지가 필요한 구간이다. 제4구간(307)은 리어 서브프레임(207)이 위치하는 곳으로 강체인 리어 서브프레임(207)과 함께 충돌시 공간확보를 위해 강성이 필요한 구간이다. 제5구간(309)은 서브 프레임의 후단부가 마운팅되어 결합되는 위치로써 결합의 견고성을 위해 강성유지가 필요한 구간이다.
타이어 웰 구간(311, 313) 중 제6구간(311)은 연료탱크(203)의 주입구인 필러넥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간으로서 필러넥의 후방에 위치하고 강성유지가 필요한 구간이다. 제7구간(311)은 차체의 길이에 대응하여 추가적인 멤버가 결합하는 구간으로 후방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전달하는 구간으로 강성의 유지가 필요한 구간이다.
위와 같이 리어 사이드 멤버(101)는 부품 전반에 걸쳐서 강성의 유지가 필요하나, 구간별로 그 두께의 차이를 두어 강성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실제 후방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구간은 일부 구간에 한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구간의 경우 필요 이상으로 과잉보강 되어 있다. 이는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과의 상관관계에 있어 에너지 분산이 효율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며, 과잉보강되어 있는 부분의 두께는 줄여줌으로써 원가 및 중량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구간별 멤버의 두께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5088333476-pat00001
제1구간(301)의 두께를 T1, 제2구간(303)의 두께를 T2라 할 때, 각 구간별 두께의 상관관계는 T2 > T1 일 수 있다.
제3구간(305)의 두께를 T3, 제4구간(307)의 두께를 T4, 제5구간(309)의 두께를 T5라 할 때, 각 구간별 두께의 상관관계는 T5 > T4 > T3일 수 있다.
제6구간(311)의 두께를 T6, 제7구간(311)의 두께를 T7이라 할 때, 각 구간별 두께의 상관관계는 T6 > T7일 수 있다.
연료탱크 구간(301, 303)은, 연료탱크 구간(301, 303)의 전단부로서 센터플로워와 연결되는 제1구간(301) 및 연료탱크 구간(301, 303)의 후단부로서 제1구간(301)으로부터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305, 307, 309)과 연결되는 제2구간(303)으로 구성되며,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305, 307, 309)은,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305, 307, 309)의 전단부로서, 리어 서브프레임(207)의 전단체결부(205)가 마운팅되는 제3구간(305), 제3구간(305)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구간(307) 및 제4구간(307)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207)의 후단체결부(209)가 마운팅되며 타이어 웰 구간(311, 313)과 연결되는 제5구간(309)으로 구성되고, 타이어 웰 구간(311, 313)은, 타이어 웰 구간(311, 313)의 전단부로서,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305, 307, 309)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6구간(311)과 제6구간(3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7구간(311)으로 구성되며, 제1구간(301) 내지 제7구간(311)의 전체적인 멤버 두께의 상관관계는 T6 > T7 > T5 > T4 > T3 > T2 > T1일 수 있다.
제1구간(301) 내지 제7구간(311)의 전체적인 두께의 상관관계는 T6 > T7 > T5 > T4 > T3 = T2 > T1일 수 있다.
제1구간(301) 내지 제7구간(311)의 전체적인 두께의 상관관계는 T6 > T7 = T5 > T4 > T3 > T2 > T1일 수 있다.
리어 사이드 멤버(101)의 제1구간(301)은, 차체를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크로스멤버(201)의 양단과 결합될 수 있다.
각 구간은 두께는 TRB(Tailor Rolled Blanks)공법으로 구간별로 다르게 제조될 수 있다.
위와같이 정의된 구간에 따라 리어 사이드 멤버(101)를 부품이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구간을 구분하고, 구분된 각 구간에 따라 두께를 달리하여 성형함에 따라 충돌시 충격력의 흡수 및 공간확보 성능을 극대화하면서도 중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Figure 112015088333476-pat00002
종래 단일 두께로 균일하게 제조하던 리어 사이드 멤버(101)를 주변의 부품과의 결합관계에 따라 충돌기여도를 분석하고, 과잉보강되어 있던 부분의 두께를 줄여 구간별로 두께를 다르게 제조함으로써 충돌시 충격력의 흡수 및 공간확보 성능을 극대화하면서도 중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위의 표 2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수치를 통해 비교해보면, 종래의 리어 사이드 멤버(101)의 경우 10.2kg 정도의 무게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사이드멤버는 8.7kg정도로 차량 한대 당 1.5kg(14.7%)의 무게 감소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1 : 리어 사이드 멤버 201 : 크로스 멤버
203 : 연료탱크 205 : 전단체결부
207 : 리어 서브프레임 209 : 후단체결부
211 : 타이어 웰 301 : 제1구간
303 : 제2구간 305 : 제3구간
307 : 제4구간 309 : 제5구간
311 : 제6구간 313 : 제7구간

Claims (12)

  1. 차체의 후반부 양측에서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차량의 리어 사이드 멤버로서,
    최전방 부분으로서 연료탱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간인 연료탱크 구간;
    연료탱크 구간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간인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 및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타이어 웰(well)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간인 타이어 웰 구간;으로 구성되고,
    연료탱크 구간은, 연료탱크 구간의 전단부로서 센터플로워와 연결되는 제1구간 및 연료탱크 구간의 후단부로서 제1구간으로부터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과 연결되는 제2구간으로 구성되며,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은,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의 전단부로서, 리어 서브프레임의 전단체결부가 마운팅되는 제3구간, 제3구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구간 및 제4구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의 후단체결부가 마운팅되며 타이어 웰 구간과 연결되는 제5구간으로 구성되고,
    타이어 웰 구간은, 타이어 웰 구간의 전단부로서,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6구간과 제6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7구간으로 구성되며,
    제1구간 내지 제7구간의 전체적인 두께의 상관관계는 T6 > T7 > T5 > T4 > T3 > T2 > T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탱크 구간은,
    연료탱크 구간의 전단부로서 센터플로워와 연결되는 제1구간 및 연료탱크 구간의 후단부로서 제1구간으로부터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과 연결되는 제2구간으로 구성되며,
    제1구간과 제2구간은 멤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은,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의 전단부로서, 리어 서브프레임의 전단체결부가 마운팅되는 제3구간, 제3구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구간 및 제4구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리어 서브프레임의 후단체결부가 마운팅되며 타이어 웰 구간과 연결되는 제5구간으로 구성되고,
    제3구간, 제4구간 및 제5구간의 멤버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타이어 웰 구간은,
    타이어 웰 구간의 전단부로서, 리어 서브프레임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6구간과 제6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7구간으로 구성되고,
    제6구간과 제7구간은 멤버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구간의 두께를 T1, 제2구간의 두께를 T2라 할 때,
    각 구간별 두께의 상관관계는 T2 > T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제3구간의 두께를 T3, 제4구간의 두께를 T4, 제5구간의 두께를 T5라 할 때,
    각 구간별 두께의 상관관계는 T5 > T4 > T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
  7. 청구항 4에 있어서,
    제6구간의 두께를 T6, 제7구간의 두께를 T7이라 할 때,
    각 구간별 두께의 상관관계는 T6 > T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구간 내지 제7구간의 전체적인 두께의 상관관계는 T6 > T7 > T5 > T4 > T3 = T2 > T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구간 내지 제7구간의 전체적인 두께의 상관관계는 T6 > T7 = T5 > T4 > T3 > T2 > T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제1구간은,
    차체를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크로스멤버의 양단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구간은 두께는 TRB(Tailor Rolled Blanks)공법으로 구간별로 다르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

KR1020150128616A 2015-09-10 2015-09-10 리어 사이드 멤버 KR101724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16A KR101724897B1 (ko) 2015-09-10 2015-09-10 리어 사이드 멤버
US14/943,757 US9718496B2 (en) 2015-09-10 2015-11-17 Rear side member
DE102015223434.7A DE102015223434A1 (de) 2015-09-10 2015-11-26 Rückseitenelement
CN201510861455.7A CN106515872B (zh) 2015-09-10 2015-12-01 后侧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16A KR101724897B1 (ko) 2015-09-10 2015-09-10 리어 사이드 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989A KR20170030989A (ko) 2017-03-20
KR101724897B1 true KR101724897B1 (ko) 2017-04-07

Family

ID=5816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616A KR101724897B1 (ko) 2015-09-10 2015-09-10 리어 사이드 멤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18496B2 (ko)
KR (1) KR101724897B1 (ko)
CN (1) CN106515872B (ko)
DE (1) DE102015223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7588B2 (ja) 2020-03-31 2023-10-2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9488A (ja) 2003-10-16 2005-05-12 Honda Motor Co Ltd 車体前部構造
JP2011143881A (ja) * 2010-01-18 2011-07-28 Suzuki Motor Corp 車体後部の下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8391A (en) * 1986-07-03 1987-11-24 Mazda Motor Corporation Rear body structure for motor vehicle
JPH0353384U (ko) * 1989-09-30 1991-05-23
US5174628A (en) * 1989-09-30 1992-12-29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bile rear body structure
JP3436232B2 (ja) * 2000-03-10 2003-08-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JP3674571B2 (ja) * 2001-10-15 2005-07-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3632666B2 (ja) * 2002-02-01 2005-03-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DE10208778B4 (de) * 2002-02-28 2004-08-12 Thyssenkrupp Stahl Ag Aus Stahl-Hohlprofilen gebildete Tragstruktur für Fahrzeuge
JP4122887B2 (ja) * 2002-08-05 2008-07-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2005029000A (ja) * 2003-07-11 2005-02-03 Honda Motor Co Ltd フィラーパイプの配管構造
US6938948B1 (en) * 2004-02-27 2005-09-0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front frame structure for a vehicle
JP2007038717A (ja) 2005-08-01 2007-02-1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4304537B2 (ja) * 2007-02-23 2009-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骨格構造
US7695052B2 (en) * 2007-03-30 2010-04-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ront rail having controlled thickness for energy absorption
KR100974554B1 (ko) 2008-09-08 2010-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언더바디 프레임
JP5428802B2 (ja) * 2009-11-26 2014-02-26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の下部構造
US9033398B2 (en) * 2010-03-29 2015-05-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thickness tube for hydroformed members
DE102010019992A1 (de) * 2010-05-10 2011-11-10 Volkswagen Ag Karosseriestruktur, insbesondere Bod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JP5495122B2 (ja) * 2010-05-26 2014-05-21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の下部構造
KR101277964B1 (ko) * 2011-09-23 2013-06-27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자동차의 후방 차체
DE102012004001A1 (de) * 2012-02-28 2013-08-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ängsträger für Hinterrahmen einer Fahrzeugkarosserie
JP6035916B2 (ja) * 2012-07-05 2016-11-30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6062755B2 (ja) 2013-01-31 2017-01-1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車体下部構造
DE102013106073A1 (de) * 2013-06-12 2014-12-18 Leichtbau-Zentrum Sachsen Gmbh Integraler Längsträger für Kraftfahrzeuge
KR101490923B1 (ko) 2013-08-09 2015-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리어 사이드 멤버를 구비한 차체
DE202014004652U1 (de) * 2014-05-31 2015-09-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Heckseitige Verstärkungsstruktur für eineKraftfahrzeugkarosserie
US9266564B1 (en) * 2014-08-25 2016-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rail adapted to induce spare tire rotation in a rear-end collision
KR101664048B1 (ko) * 2014-11-10 2016-10-2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JP6098622B2 (ja) * 2014-12-05 2017-03-2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2017001601A (ja) * 2015-06-15 2017-0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用サイドフレー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9488A (ja) 2003-10-16 2005-05-12 Honda Motor Co Ltd 車体前部構造
JP2011143881A (ja) * 2010-01-18 2011-07-28 Suzuki Motor Corp 車体後部の下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73015A1 (en) 2017-03-16
US9718496B2 (en) 2017-08-01
CN106515872A (zh) 2017-03-22
KR20170030989A (ko) 2017-03-20
DE102015223434A1 (de) 2017-03-16
CN106515872B (zh)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0828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4875558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KR102383247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4810234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4875559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KR101691110B1 (ko)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
JP2017200795A (ja) 車体側部構造
KR101724925B1 (ko)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KR101714200B1 (ko)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JP6248959B2 (ja) 車両骨格構造
CN111376983A (zh) 用于加强电动汽车车身正面碰撞性能的加强结构
WO2012153602A1 (ja) 車体前部構造体
KR101724897B1 (ko) 리어 사이드 멤버
KR100932672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CN102390433A (zh) 汽车的碰撞吸能结构
CN104554481A (zh) 车身前地板骨架及车辆
JP5831246B2 (ja) 車体前部構造
JP2008189273A (ja) フロント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
KR101490935B1 (ko) 차량용 시트 크로스 멤버유닛
KR101724879B1 (ko) 전방차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101445129A (zh) 一种轿车门槛断面结构
KR101189416B1 (ko) Fr차량의 엔진룸부 보강구조
CN201347128Y (zh) 一种轿车门槛
KR102273465B1 (ko) 전방 차체 구조
KR102251342B1 (ko) 차량용 사이드멤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