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925B1 -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Google Patents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4925B1 KR101724925B1 KR1020150142588A KR20150142588A KR101724925B1 KR 101724925 B1 KR101724925 B1 KR 101724925B1 KR 1020150142588 A KR1020150142588 A KR 1020150142588A KR 20150142588 A KR20150142588 A KR 20150142588A KR 101724925 B1 KR101724925 B1 KR 1017249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tion
- cross member
- member section
- tunnel
- s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 실, 터널 멤버, 리어 사이드 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를 포함하고, 사이드 실, 터널 멤버, 리어 사이드 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차량의 폭방향 부재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1결합구간 및 차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부재와 결합되지 않는 복수의 제1비결합구간으로 구성되고, 제1결합구간과 제1비결합구간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면서 차량의 실내공간을 확보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의 설계기술은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람이 탑승하는 차량 내부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승객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개발되어 왔다. 즉, 차량 충돌시의 전달되는 충격에 대해,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의 일부는 아코디언 형상으로 찌그러지도록 구성하여 차량 내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일부는 밴딩이 발생하며 충격을 흡수하며, 일부는 차량의 실내공간이 침범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승객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고 및 차실의 내부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은 상반되는 것으로서 어떻게 양립시키는지가 기술의 핵심이 된다.
후방 충돌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특히나 후방 충돌의 경우 연료탱크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탱크가 손상되어 연료가 누출되는 경우 화재 등의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충격의 흡수와 안전공간의 확보라는 두가지 기능의 양립이 매우 중요하다.
즉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를 고강도로 설계하면 충격의 흡수기능이 떨어지고, 저강도로 설계하면 충격은 흡수되나 차량의 실내공간 확보가 어려워져 승객의 안전성 확보가 불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부품 내에서 구간별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제조하여 구간별 목적에 맞도록 강도를 배분하고 보강부품을 삭제하여 경량화시킨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 실, 터널 멤버, 리어 사이드 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를 포함하고, 사이드 실, 터널 멤버, 리어 사이드 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차량의 폭방향 부재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1결합구간 및 차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부재와 결합되지 않는 복수의 제1비결합구간으로 구성되고, 제1결합구간과 제1비결합구간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차량의 폭방향 부재는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 인텀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 인텀 크로스 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와 결합되는 제2결합구간 및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부재와 결합되지 않는 제2비결합구간으로 구성되고, 제2결합구간과 제2비결합구간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차량의 폭방향 부재에는 대시 로워 멤버,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가 포함되고, 사이드 실은, 사이드 실의 전단부로서 대시 로워 멤버와 결합되는 제1사이드 실 구간; 제1사이드 실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사이드 실 구간; 제2사이드 실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3사이드 실 구간; 제3사이드 실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사이드 실 구간; 제4사이드 실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5사이드 실 구간; 및 제5사이드 실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6사이드 실 구간;으로 구성되고, 제1사이드 실 구간 내지 제6사이드 실 구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사이드 실 구간 및 제4사이드 실 구간의 두께는 동일하고, 제1사이드 실 구간 및 제6사이드 실 구간의 두께는 제2사이드 실 구간 및 제4사이드 실 구간의 두께보다 얇고, 제3사이드 실 구간 및 제5사이드 실 구간의 두께는 제2사이드 실 구간 및 제4사이드 실 구간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차량의 폭방향 부재에는 대시 로워 멤버,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 인텀 크로스 멤버가 포함되고, 터널 멤버는, 터널 멤버의 전단부로서 대시 로워 멤버와 결합되는 제1터널 멤버구간; 제1터널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터널 멤버구간; 제2터널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3터널 멤버구간; 제3터널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터널 멤버구간; 제4터널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5터널 멤버구간; 제5터널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6터널 멤버구간; 및 제6터널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인텀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7터널 멤버구간;으로 구성되고, 제1터널 멤버구간 내지 제7터널 멤버구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터널 멤버구간, 제4터널 멤버구간 및 제7터널 멤버구간의 두께는 동일하고, 제1터널 멤버구간 및 제6터널 멤버구간의 두께는 제2터널 멤버구간, 제4터널 멤버구간 및 제7터널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얇고, 제3터널 멤버구간 및 제5터널 멤버구간의 두께는 제2터널 멤버구간, 제4터널 멤버구간 및 제7터널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차량의 폭방향 부재에는 인텀 크로스 멤버, 제1리어 크로스 멤버, 제2리어 크로스 멤버가 포함되고, 리어 사이드 멤버는,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전단부로서 인텀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8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8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1리어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9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9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2리어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및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2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으로 구성되고,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내지 제12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및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의 두께는 동일하고, 제8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및 제9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의 두께는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및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두껍고, 제12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의 두께는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및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에는 센터 사이드 멤버, 터널 사이드 멤버가 포함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는, 차체의 외측 단부로서 사이드 실과 결합되는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센터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C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및 C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으로 구성되고,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내지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동일하고,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두껍고, C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에는 센터 사이드 멤버, 터널 사이드 멤버가 포함되고,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는, 차체의 외측 단부로서 사이드 실과 결합되는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센터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C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및 C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으로 구성되고,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내지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동일하고,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두껍고, C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에는 센터 사이드 멤버, 터널 사이드 멤버가 포함되고, 인텀 크로스 멤버는, 차체의 외측 단부로서 사이드 실과 결합되는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센터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C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C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D인텀 크로스 멤버; 및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멤버와 결합되는 E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으로 구성되고,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내지 E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인텀 크로스 멤버의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동일하고,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및 E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두껍고, C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에 따르면, 구간별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제조하여 구간별 목적에 맞도록 강도를 배분함으로써 보강부품을 삭제하거나, 종래의 단일두께의 부품보다 두께를 줄이거나 늘임으로써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를 경량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구간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사이드 실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터널 멤버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리어 사이드 멤버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 및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인텀 크로스 멤버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구간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사이드 실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터널 멤버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리어 사이드 멤버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 및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인텀 크로스 멤버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구간 배치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사이드 실(100)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터널 멤버(200)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리어 사이드 멤버(300)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400) 및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500)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의 인텀 크로스 멤버(600) 도면이다.
도 1 내지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 실(100), 터널 멤버(200), 리어 사이드 멤버(300)를 포함하는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를 포함하고, 사이드 실(100), 터널 멤버(200), 리어 사이드 멤버(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차량의 폭방향 부재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1결합구간 및 차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부재와 결합되지 않는 복수의 제1비결합구간으로 구성되고, 제1결합구간과 제1비결합구간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제1결합구간은 도면부호 상의 101, 105, 109, 201, 205, 209, 213, 301, 305, 309가 해당된다. 제1비결합구간은 도면부호 상의 103, 107, 111, 203, 207, 211, 303, 307, 311이 해당된다.
도 2 내지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차량의 폭방향 부재에는 대시 로워 멤버(701),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400),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500)가 포함되고, 사이드 실(100)은, 사이드 실(100)의 전단부로서 대시 로워 멤버(701)와 결합되는 제1사이드 실(100) 구간; 제1사이드 실 구간(10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사이드 실 구간(103); 제2사이드 실 구간(103)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400)와 결합되는 제3사이드 실 구간(105); 제3사이드 실 구간(105)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사이드 실 구간(107); 제4사이드 실 구간(107)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500)와 결합되는 제5사이드 실 구간(109); 및 제5사이드 실 구간(109)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6사이드 실 구간(111);으로 구성되고, 제1사이드 실 구간(101) 내지 제6사이드 실 구간(111)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차량의 폭방향 부재는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400),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500), 인텀 크로스 멤버(600)를 포함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400),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500), 인텀 크로스 멤버(6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와 결합되는 제2결합구간 및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부재와 결합되지 않는 제2비결합구간으로 구성되고, 제2결합구간과 제2비결합구간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구간은 도면부호 상의 401, 403, 407, 501, 503, 507, 601, 603, 607, 609를 포함한다. 제2비결합구간은 도면부호 상의 405, 505, 605를 포함한다.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체는 크게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와 폭방향 부재로 구분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로는 사이드 실(100), 터널 멤버(200), 리어사이드 멤버, 터널 사이드 멤버(709), 센터사이드 멤버 등이 있다. 차량의 폭방향 부재로는 대시 로어 멤버,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400),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500), 인텀 크로스 멤버(600), 제1리어 크로스 멤버(703), 제2리어 크로스 멤버(705) 등이 있다. 이들 각각의 차량의 멤버들은 서로 간에 결합을 통하여 전체적인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체를 이룬다.
이러한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체는 차량의 주요부품을 탑재하는 틀의 역할을 하면서도, 충돌시 그 충격으로부터 최소한의 형상을 유지하며 내부의 승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강성있는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만, 차체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순히 차체를 구성하는 멤버를 강한 재질로만 제조하거나 그 숫자를 늘려 과잉구속 구조로 설계하는 경우, 차체의 변형을 막아 승객실의 공간을 확보할 수는 있으나, 충돌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키지 못하고 탑승객에게 전달하여 탑승객에게 큰 부상을 입힐 수 있다.
또한, 차체를 구성하는 멤버의 재질을 강화하거나 멤버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차체의 중량증가에 따른 연비의 저하, 차체의 생산단가의 증가를 초래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중량증가 및 생산단가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충돌시 승객의 보호에는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따라서, 차체는 충돌시 차체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변형을 통해 충돌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잘 흡수 및 분산시키는 역할을 함께할 수 있도록 그 구성 및 설계를 최적화시켜야 한다.
그 최적화를 위한 연구 및 노력의 결과가 본 발명인 차체 구성 부품의 다중두께 가공이다. 차체는 다양한 길이방향 부재와 폭방향 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만큼 결합부위와 비결합부의가 충돌시 승객의 보호에 기여하는 정도가 상이하다. 따라서 각 차체의 구성부품을 충돌시 승객의 보호에 기여하는 바가 큰 구간과 기여하는 바가 작은 구간으로 구분하여 두께를 달리 가공한다. 즉, 충돌시 승객보호에 기여하는 바가 큰 부품의 경우는 구성부품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기여하는 바가 낮은 경우에는 그 부품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차체의 강성을 확보하고 변형에 의한 충돌에너지 흡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차체의 무게는 감소시켜 차량의 주행성능 및 연비의 확보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 및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차량의 폭방향 부재에는 대시 로워 멤버(701),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400),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500)가 포함되고, 사이드 실(100)은, 사이드 실(100)의 전단부로서 대시 로워 멤버(701)와 결합되는 제1사이드 실 구간(101); 제1사이드 실 구간(10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사이드 실 구간(103); 제2사이드 실 구간(103)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400)와 결합되는 제3사이드 실 구간(105); 제3사이드 실 구간(105)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사이드 실 구간(107); 제4사이드 실 구간(107)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500)와 결합되는 제5사이드 실 구간(109); 및 제5사이드 실 구간(109)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6사이드 실 구간(111);으로 구성되고, 제1사이드 실 구간(101) 내지 제6사이드 실 구간(111)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사이드 실 구간(103) 및 제4사이드 실 구간(107)의 두께는 동일하고, 제1사이드 실 구간(101) 및 제6사이드 실 구간(111)의 두께는 제2사이드 실 구간(103) 및 제4사이드 실 구간(107)의 두께보다 얇고, 제3사이드 실 구간(105) 및 제5사이드 실 구간(109)의 두께는 제2사이드 실 구간(103) 및 제4사이드 실 구간(107)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사이드 실 구간(101)은 사이드 실의 전단부로서 대시 로워 멤버(701)와 결합되는 구간이고, 제2사이드 실 구간(103)은 제1사이드 실 구간(10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3사이드 실 구간(105)을 연결하는 구간이며, 제3사이드 실 구간(105)은 제2사이드 실 구간(103)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400)와 결합되는 구간이다. 제4사이드 실 구간(107)은 제3사이드 실 구간(105)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5사이드 실 구간(109)을 연결하는 구간이고, 제5사이드 실 구간(109)은 제4사이드 실 구간(107)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500)와 결합되는 구간이며, 제6사이드 실 구간(111)은 제5사이드 실 구간(109)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구간이다.
이 때 각 구간별 두께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에 따라 선정하되, 차량의 길이방향 멤버와 폭방향 멤버가 결합되는 곳은 충돌시 전달되는 에너지의 효과적인 분산을 위하여 강성을 높이고, 그 외의 구간은 강성을 유지하거나 낮추도록함으로써, 승객의 안전도모 및 차량의 중량절감의 효과를 도모한다.
다만, 구체적인 구간별 두께의 선정은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체를 이루는 각 멤버의 구간별 두께를 변화시키며 강성을 측정하고, 두께의 증대에 대비하여 강성의 변화량이 큰 구간과 작은 구간을 구분하여 구간별 두께를 선정한다.
도 2 및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차량의 폭방향 부재에는 대시 로워 멤버(701),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400),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500), 인텀 크로스 멤버(600)가 포함되고, 터널 멤버(200)는, 터널 멤버(200)의 전단부로서 대시 로워 멤버(701)와 결합되는 제1터널 멤버구간(201); 제1터널 멤버구간(20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터널 멤버구간(203); 제2터널 멤버구간(203)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400)와 결합되는 제3터널 멤버구간(205); 제3터널 멤버구간(205)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터널 멤버구간(207); 제4터널 멤버구간(207)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500)와 결합되는 제5터널 멤버구간(209); 제5터널 멤버구간(209)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6터널 멤버구간(211); 및 제6터널 멤버구간(2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인텀 크로스 멤버(600)와 결합되는 제7터널 멤버구간(213);으로 구성되고, 제1터널 멤버구간(201) 내지 제7터널 멤버구간(213)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터널 멤버구간(203), 제4터널 멤버구간(207) 및 제7터널 멤버구간(213)의 두께는 동일하고, 제1터널 멤버구간(201) 및 제6터널 멤버구간(211)의 두께는 제2터널 멤버구간(203), 제4터널 멤버구간(207) 및 제7터널 멤버구간(213)의 두께보다 얇고, 제3터널 멤버구간(205) 및 제5터널 멤버구간(209)의 두께는 제2터널 멤버구간(203), 제4터널 멤버구간(207) 및 제7터널 멤버구간(213)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터널 멤버구간(201)은 터널 멤버의 전단부로서 대시 로워 멤버(701)와 결합되는 구간이고, 제2터널 멤버구간(203)은 제1터널 멤버구간(20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3터널 멤버구간(205)을 연결하는 구간이며, 제3터널 멤버구간(205)은 제2터널 멤버구간(203)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400)와 결합되는 구간이다. 제4터널 멤버구간(207)은 제3터널 멤버구간(205)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5터널 멤버구간(209)을 연결하는 구간이고, 제5터널 멤버구간(209)은 제4터널 멤버구간(207)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500)와 결합되는 구간이며, 제6터널 멤버구간(211)은 제5터널 멤버구간(209)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7터널 멤버구간(213)을 연결하는 구간이고, 제7터널 멤버구간(213)은 제6터널 멤버구간(2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인텀 크로스 멤버(600)와 결합되는 구간이다.
구체적인 구간별 두께의 선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체를 이루는 각 멤버의 구간별 두께를 변화시키며 강성을 측정하고, 두께의 증대에 대비하여 강성의 변화량이 큰 구간과 작은 구간을 구분하여 구간별 두께를 선정한다.
도 2 및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차량의 폭방향 부재에는 인텀 크로스 멤버(600), 제1리어 크로스 멤버(703), 제2리어 크로스 멤버(705)가 포함되고, 리어 사이드 멤버(300)는, 리어 사이드 멤버(300)의 전단부로서 인텀 크로스 멤버(600)와 결합되는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1);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8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3); 제8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3)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1리어 크로스 멤버(703)와 결합되는 제9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5); 제9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5)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7);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7)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2리어 크로스 멤버(705)와 결합되는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9); 및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9)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2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11);으로 구성되고,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1) 내지 제12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11)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1),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7) 및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9)의 두께는 동일하고, 제8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3) 및 제9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5)의 두께는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1),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7) 및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9)의 두께보다 두껍고, 제12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11)의 두께는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1),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7) 및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9)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1)은 리어 사이드 멤버(300)의 전단부로서 인텀 크로스 멤버(600)와 결합되는 구간이고, 제8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3)은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9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5)을 연결하는 구간이며, 제9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5)은 제8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3)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1리어 크로스 멤버(703)와 결합되는 구간이다.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7)은 제9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5)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9)을 연결하는 구간이고,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9)은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7)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2리어 크로스 멤버(705)와 결합되는 구간이며, 제12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11)은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309)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구간이다.
구체적인 구간별 두께의 선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체를 이루는 각 멤버의 구간별 두께를 변화시키며 강성을 측정하고, 두께의 증대에 대비하여 강성의 변화량이 큰 구간과 작은 구간을 구분하여 구간별 두께를 선정한다.
도 2 및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에는 센터 사이드 멤버(707), 터널 사이드 멤버(709)가 포함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400)는, 차체의 외측 단부로서 사이드 실(100)과 결합되는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1);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1)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센터 사이드 멤버(707)와 결합되는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3);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3)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C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5); 및 C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5)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사이드 멤버(709)와 결합되는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7);으로 구성되고,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1) 내지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7)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3) 및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7)의 두께는 동일하고,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1)의 두께는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3) 및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7)의 두께보다 두껍고, C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5)의 두께는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3) 및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7)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1)은 차체의 외측 단부로서 사이드 실(100)과 결합되는 구간이고,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3)은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1)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센터 사이드 멤버(707)와 결합되는 구간이며, C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5)은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3)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7)을 연결하는 구간이고,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7)은 C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405)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사이드 멤버(709)와 결합되는 구간이다.
구체적인 구간별 두께의 선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체를 이루는 각 멤버의 구간별 두께를 변화시키며 강성을 측정하고, 두께의 증대에 대비하여 강성의 변화량이 큰 구간과 작은 구간을 구분하여 구간별 두께를 선정한다.
도 2 및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에는 센터 사이드 멤버(707), 터널 사이드 멤버(709)가 포함되고,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500)는, 차체의 외측 단부로서 사이드 실(100)과 결합되는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1);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1)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센터 사이드 멤버(707)와 결합되는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3);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3)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C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5); 및 C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5)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사이드 멤버(709)와 결합되는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7);으로 구성되고,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1) 내지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7)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3) 및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7)의 두께는 동일하고,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1)의 두께는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3) 및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7)의 두께보다 두껍고, C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5)의 두께는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3) 및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7)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1)은 차체의 외측 단부로서 사이드 실(100)과 결합되는 구간이고,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3)은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1)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센터 사이드 멤버(707)와 결합되는 구간이며, C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5)은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3)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7)을 연결하는 구간이고,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7)은 C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505)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사이드 멤버(709)와 결합되는 구간이다.
구체적인 구간별 두께의 선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체를 이루는 각 멤버의 구간별 두께를 변화시키며 강성을 측정하고, 두께의 증대에 대비하여 강성의 변화량이 큰 구간과 작은 구간을 구분하여 구간별 두께를 선정한다.
도 2 및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에는 센터 사이드 멤버(707), 터널 사이드 멤버(709)가 포함되고, 인텀 크로스 멤버(600)는, 차체의 외측 단부로서 사이드 실(100)과 결합되는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1);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1)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센터 사이드 멤버(707)와 결합되는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3);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3)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C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5); C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5)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사이드 멤버(709)와 결합되는 D인텀 크로스 멤버; 및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7)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멤버(200)와 결합되는 E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9)으로 구성되고,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1) 내지 E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9)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인텀 크로스 멤버(600)의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3) 및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7)의 두께는 동일하고,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1) 및 E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9)의 두께는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3) 및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7)의 두께보다 두껍고, C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5)의 두께는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3) 및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7)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1)은 차체의 외측 단부로서 사이드 실(100)과 결합되는 구간이고,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3)은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1)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센터 사이드 멤버(707)와 결합되는 구간이다. C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5)은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3)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7)을 연결하는 구간이고,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7)은 C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5)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사이드 멤버(709)와 결합되는 구간이며, E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9)은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607)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멤버(200)와 결합되는 구간이다.
구체적인 구간별 두께의 선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체를 이루는 각 멤버의 구간별 두께를 변화시키며 강성을 측정하고, 두께의 증대에 대비하여 강성의 변화량이 큰 구간과 작은 구간을 구분하여 구간별 두께를 선정한다.
언더바디 구조체가 충격으로부터 탑승객을 보호하는 방법은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로 충돌시 언더바디를 구성하는 멤버가 압축변형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방식이다. 두번째는 주변의 강체에 의해 멤버의 압축변형이 어려운 경우, 강체의 변형과 함께 굽힘 변형을 통해 에너지를 흡수하는 방식이다. 세번째는 승객이 탑승하고 있는 부분이거나 중요부품이 존재하여 공간 자체를 보존함으로서 승객을 보호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하나의 부품 내에서도 변형을 통한 에너지 흡수가 필요한 부분인지, 절대적 공간자체의 확보가 필요한 부분인지에 따라 그 두께 및 강성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부품별로 강도의 보강이 필요한 부위에 보강부재를 추가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보강부재의 추가에 따른 조립비용의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보강부재가 용접에 의해 메인부재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강도의 개선효과도 미비하였다.
위의 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듯이, 본 발명과 같이 언더바디 구조체를 이루는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와 차량의 폭방향 멤버들 사이에서 상호간의 위치관계를 기준으로 구간을 선정하고, 각 구간별의 충돌시 기여하는 정도를 실험을 통해 파악하여 동일 멤버 내에서도 두께를 달리하도록 성형함으로써, 차체의 강성확보, 차체의 중량감소, 승객의 안전도 향상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사이드 실 200 : 터널 멤버
300 : 리어 사이드 멤버 400 :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
500 :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 600 : 인텀 크로스 멤버
300 : 리어 사이드 멤버 400 :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
500 :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 600 : 인텀 크로스 멤버
Claims (14)
-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 실, 터널 멤버, 리어 사이드 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를 포함하고, 사이드 실, 터널 멤버, 리어 사이드 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차량의 폭방향 부재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1결합구간 및 차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부재와 결합되지 않는 복수의 제1비결합구간으로 구성되고, 제1결합구간과 제1비결합구간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차량의 폭방향 부재는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 인텀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 인텀 크로스 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와 결합되는 제2결합구간 및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부재와 결합되지 않는 제2비결합구간으로 구성되고, 제2결합구간과 제2비결합구간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폭방향 부재에는 대시 로워 멤버,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가 포함되고,
사이드 실은,
사이드 실의 전단부로서 대시 로워 멤버와 결합되는 제1사이드 실 구간;
제1사이드 실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사이드 실 구간;
제2사이드 실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3사이드 실 구간;
제3사이드 실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사이드 실 구간;
제4사이드 실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5사이드 실 구간; 및
제5사이드 실 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6사이드 실 구간;으로 구성되고,
제1사이드 실 구간 내지 제6사이드 실 구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사이드 실 구간 및 제4사이드 실 구간의 두께는 동일하고, 제1사이드 실 구간 및 제6사이드 실 구간의 두께는 제2사이드 실 구간 및 제4사이드 실 구간의 두께보다 얇고, 제3사이드 실 구간 및 제5사이드 실 구간의 두께는 제2사이드 실 구간 및 제4사이드 실 구간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폭방향 부재에는 대시 로워 멤버,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 인텀 크로스 멤버가 포함되고,
터널 멤버는,
터널 멤버의 전단부로서 대시 로워 멤버와 결합되는 제1터널 멤버구간;
제1터널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터널 멤버구간;
제2터널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3터널 멤버구간;
제3터널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터널 멤버구간;
제4터널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5터널 멤버구간;
제5터널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6터널 멤버구간; 및
제6터널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인텀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7터널 멤버구간;으로 구성되고,
제1터널 멤버구간 내지 제7터널 멤버구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청구항 5에 있어서,
제2터널 멤버구간, 제4터널 멤버구간 및 제7터널 멤버구간의 두께는 동일하고, 제1터널 멤버구간 및 제6터널 멤버구간의 두께는 제2터널 멤버구간, 제4터널 멤버구간 및 제7터널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얇고, 제3터널 멤버구간 및 제5터널 멤버구간의 두께는 제2터널 멤버구간, 제4터널 멤버구간 및 제7터널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폭방향 부재에는 인텀 크로스 멤버, 제1리어 크로스 멤버, 제2리어 크로스 멤버가 포함되고,
리어 사이드 멤버는,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전단부로서 인텀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8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8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1리어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9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9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2리어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는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및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2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으로 구성되고,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내지 제12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청구항 7에 있어서,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및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의 두께는 동일하고, 제8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및 제9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의 두께는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및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두껍고, 제12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의 두께는 제7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제10리어 사이드 멤버구간 및 제11리어 사이드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에는 센터 사이드 멤버, 터널 사이드 멤버가 포함되고,
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는,
차체의 외측 단부로서 사이드 실과 결합되는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센터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C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및
C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으로 구성되고,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내지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청구항 9에 있어서,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동일하고, A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두껍고, C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B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시트 프런트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에는 센터 사이드 멤버, 터널 사이드 멤버가 포함되고,
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는,
차체의 외측 단부로서 사이드 실과 결합되는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센터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C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및
C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으로 구성되고,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내지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청구항 11에 있어서,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동일하고, A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두껍고, C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B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시트 리어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길이방향 부재에는 센터 사이드 멤버, 터널 사이드 멤버가 포함되고,
인텀 크로스 멤버는,
차체의 외측 단부로서 사이드 실과 결합되는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센터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C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C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터널 멤버와 결합되는 E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으로 구성되고,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내지 E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청구항 13에 있어서,
인텀 크로스 멤버의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동일하고, A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및 E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두껍고, C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는 B인텀 크로스 멤버구간 및 D인텀 크로스 멤버구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2588A KR101724925B1 (ko) | 2015-10-13 | 2015-10-13 |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US15/010,305 US9855977B2 (en) | 2015-10-13 | 2016-01-29 | Underbody structure of vehicle |
DE102016201730.6A DE102016201730B4 (de) | 2015-10-13 | 2016-02-04 | Unterbodenaufbau für Fahrzeu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2588A KR101724925B1 (ko) | 2015-10-13 | 2015-10-13 |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4925B1 true KR101724925B1 (ko) | 2017-04-07 |
Family
ID=5840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2588A KR101724925B1 (ko) | 2015-10-13 | 2015-10-13 |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855977B2 (ko) |
KR (1) | KR101724925B1 (ko) |
DE (1) | DE102016201730B4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3021403A1 (de) * | 2013-12-18 | 2015-06-18 | Daimler Ag | Unterbodenaussteifungs- und Verkleidungsmodul, Herstellverfahren sowie Kraftfahrzeug-Unterboden und Montageverfahren |
JP6977307B2 (ja) * | 2017-04-28 | 2021-12-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下部構造 |
CN109204509B (zh) * | 2017-06-30 | 2021-11-12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车身结构及车辆 |
WO2021044198A1 (en) * | 2019-09-06 | 2021-03-11 | Arcelormittal | Front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8636B1 (ko) | 1998-04-30 | 2001-08-07 | 정주호 | 자동차의 리어 언더바디 구조물 |
JP5493897B2 (ja) * | 2010-01-18 | 2014-05-14 | スズキ株式会社 | 車体後部の下部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10952B2 (ja) * | 2002-01-16 | 2005-01-19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自動車のピラー構造 |
JP2007118736A (ja) | 2005-10-27 | 2007-05-17 | Nissan Motor Co Ltd | 車体下部骨格構造 |
JP4747812B2 (ja) * | 2005-12-01 | 2011-08-17 | マツダ株式会社 | 車両の下部車体構造 |
JP2008230460A (ja) | 2007-03-22 | 2008-10-02 | Mazda Motor Corp | 車両の下部車体構造 |
US8276980B2 (en) * | 2007-04-20 | 2012-10-02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frame side sill joints |
DE102007021223B4 (de) | 2007-05-07 | 2010-11-11 | Daimler Ag | Bodengruppe eines Kraftfahrzeuges mit einem Querträger zum Übertragen von Crashkräften |
US20120104793A1 (en) | 2010-10-29 | 2012-05-03 | Aptera Motors, Inc. | Automotive vehicle composite body structure |
JP5799747B2 (ja) * | 2011-10-21 | 2015-10-28 | マツダ株式会社 | 車体のフロアパネル構造およびその設計方法 |
JP6062755B2 (ja) | 2013-01-31 | 2017-01-18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車両の車体下部構造 |
US20150001887A1 (en) * | 2013-06-28 | 2015-01-01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Rocker end plate,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KR101491319B1 (ko) * | 2013-09-30 | 2015-02-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필러용 아우터 패널과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아우터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압연 장치 |
JP6137404B2 (ja) * | 2014-03-05 | 2017-05-31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部材の接合構造体 |
DE102014216225A1 (de) * | 2014-08-14 | 2016-02-18 | Muhr Und Bender Kg | Strukturbau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rukturbauteils |
MX2017003764A (es) | 2014-09-22 | 2017-06-28 | Arcelormittal | Estructura para bajos de carroceria de vehiculo y carroceria de vehiculo. |
US9487243B2 (en) * | 2014-12-09 | 2016-11-08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body structure |
CN109204509B (zh) | 2017-06-30 | 2021-11-12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车身结构及车辆 |
-
2015
- 2015-10-13 KR KR1020150142588A patent/KR10172492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1-29 US US15/010,305 patent/US9855977B2/en active Active
- 2016-02-04 DE DE102016201730.6A patent/DE102016201730B4/de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8636B1 (ko) | 1998-04-30 | 2001-08-07 | 정주호 | 자동차의 리어 언더바디 구조물 |
JP5493897B2 (ja) * | 2010-01-18 | 2014-05-14 | スズキ株式会社 | 車体後部の下部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16201730A1 (de) | 2017-04-13 |
DE102016201730B4 (de) | 2023-07-27 |
US9855977B2 (en) | 2018-01-02 |
US20170101132A1 (en) | 2017-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4925B1 (ko) |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
US7264302B2 (en) | Lower body construction | |
CN109649498B (zh) | 前车身加强结构 | |
DE102015115622B4 (de) | Frontkollisionsgerechte Fahrzeugkarosserie-Verstärkungsstruktur | |
CN106347466B (zh) | 车身组装结构 | |
KR102552505B1 (ko) | 차량용 하중분배구조 | |
JP4810234B2 (ja) |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 |
KR102691483B1 (ko) | 차량의 전방 지지체 | |
JP2017081201A (ja) | 車体側部構造 | |
KR101714200B1 (ko) |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 |
KR101724897B1 (ko) | 리어 사이드 멤버 | |
KR102621715B1 (ko) | 차량용 격벽구조 | |
KR102548477B1 (ko) | 복합재 센터플로어 | |
KR102383484B1 (ko) | 복합재료를 이용한 차량의 강성부재 | |
KR101189416B1 (ko) | Fr차량의 엔진룸부 보강구조 | |
CN105365890A (zh) | 车辆框架结构 | |
KR101724879B1 (ko) | 전방차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
CN101445129A (zh) | 一种轿车门槛断面结构 | |
KR102273465B1 (ko) | 전방 차체 구조 | |
CN103770847A (zh) | 一种车身前地板加强结构 | |
US11124244B2 (en) | Front body for vehicle | |
KR102614165B1 (ko) | 차량의 프런트 차체 | |
KR102262583B1 (ko) | 차체 구조 | |
KR101523851B1 (ko) | 충격흡수 및 회피 구조를 갖는 사이드멤버 | |
KR101230835B1 (ko) | 차량의 전방 차체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